KR200248128Y1 -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128Y1
KR200248128Y1 KR2020010019070U KR20010019070U KR200248128Y1 KR 200248128 Y1 KR200248128 Y1 KR 200248128Y1 KR 2020010019070 U KR2020010019070 U KR 2020010019070U KR 20010019070 U KR20010019070 U KR 20010019070U KR 200248128 Y1 KR200248128 Y1 KR 200248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ating
float
rotating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90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상준
Original Assignee
임상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상준 filed Critical 임상준
Priority to KR20200100190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12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128Y1/ko

Links

Landscapes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수도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 및 거품 등을 자동으로 손쉽게 제거하고 파쇄하여 다음 처리 과정으로 보내거나 혹은 회수하여 재사용 하도록 함으로서, 보다 맑고 깨끗하면서 위생적인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는 것으로, 이러한 목적은 수조 내를 흐르는 물의 수면 위에 떠 있는 부유물 및 거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유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을 소량의 물과 함께 수집하여 일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부유물 제거수단; 및 상기 부유물이 모이도록 하며 그 부유물과 함께 흐르는 소량의 물에 의해 회전하도록 회전판을 설치하고, 상부에서 물을 고압으로 뿌려주어 상기 부유물을 파쇄하는 부유물 파쇄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에 의해 달성 가능하다.

Description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elimination device of floating matter and bubble}
본 고안은 상하수도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 및 거품을 제거하여 파쇄하도록 하는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유물 및 거품 등을 자동으로 제거하고 파쇄하여 다음 처리 과정으로 보내거나 혹은 회수하여 재사용 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 생활이 편리해지면서 환경오염에 대한 관심이 심각해지고 있는 실정인 바, 보다 깨끗하고 위생적인 환경에서 생활하고자 하는 것이 주지된 사실이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상수원인 강물을 맑게 하기 위한 하수 및 폐수 처리 장치의 개발 및 상하수도의 처리 장치 등의 다양한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상기 처리 장치들은 각종 단계(예컨데, 응집 및 약품 침전단계, 여과단계, 살균단계)등을 거치면서 정수되는데, 이들 단계에서도 마찬가지로 최종 수요자들에게 보다 맑은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정수 기술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은 단계를 거쳐 물을 아무리 깨끗하게 정수하더라도 물에는 기본적으로 불순물들이 포함되게 마련인바, 이러한 불순물은 수면 위에 떠서 흘러가는 부유물 및 거품의 형태로 모여 커다란 거품띠를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수면 위에 부유하는 부유물 및 거품의 제거에 대해서는 그 중요성에 비추어 이제까지 별로 관심 있게 취급되지 않고 있었다. 따라서, 이들 부유물 및 거품을 제거하기 위한 종래의 방법은 수면 부위에 위치하도록 각목이나 철재 평판 등을 설치하여 여기에 상기 부유물 및 거품이 모여 걸리도록 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에 의해 직접 수거통을 이용하여 이들을 퍼서 제거하였다.
따라서, 종래에는 수시로 상기 부유물 및 거품이 쌓이는 것을 체크해야 하는 등, 막대한 시간 및 인력낭비를 초래할 뿐 아니라 작업자에 있어서는 상당히 귀찮고 번거로운 일이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하수도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 및 거품 등을 자동으로 손쉽게 제거하고 파쇄하여 다음 처리 과정으로 보내거나 혹은 회수하여 재사용 하도록 함으로서, 보다 맑고 깨끗하면서 위생적인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3은 부유물 및 거품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a와 도 4b는 도 3에 의한 제거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부유물 및 거품을 파쇄하는 파쇄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조 100 - 부유물 제거수단
110 - 회전체 120 - 관
200 - 부유물 파쇄수단 210 - 몸체
220 - 회전축 230 - 회전판
240 - 날개편 250 - 노즐
260 - 모터펌프 270 - 파이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는, 수조 내를 흐르는 물의 수면 위에 떠 있는 부유물 및 거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유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을 소량의 물과 함께 수집하여 일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부유물 제거수단; 및 상기 부유물이 모이도록 하며 그 부유물과 함께 흐르는 소량의 물에 의해 회전하도록 회전판을 설치하고, 상부에서 물을 고압으로 뿌려주어 상기 부유물을 파쇄하는 부유물 파쇄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부유물 제거수단은 부유물을 소량의 물과 함께 수집할 수 있도록 수면의 표층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나선형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설치하여 회전체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체에 의해 수집된 부유물이 소량의 물과 함께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관과, 상기 관과 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와 연결 설치한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유물을 나선형의 회전체 내로 정확히 유입될 수 있도록 회전체의 양측단에 설치한 회전가이드판과, 그 회전가이드판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고정가이드판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부유물 파쇄수단은 관을 통해 흐르는 부유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그 몸체의 중심부에 설치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구멍들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부유물과 함께 흐르는 소량의 물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프로펠러형의 날개들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부유물을 파쇄시키도록 물을 고압으로 뿌려주는 노즐들과, 상기 노즐들을 통해 수조 내를 흐르는 부유물이 제거된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한 파이프와 모터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제거장치는 수조(10) 내를 흐르는 물의 수면 위에 떠있는 부유물 및 거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부유물 및 거품을 수집하여 제거하기 위한 부유물 제거수단(100)과, 상기 부유물을 파쇄하기 위한 부유물 파쇄수단(20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부유물 제거수단(100)의 구조와 그 작동 상태를 도 3과 도4a 및 도 4b에 보다 자세하게 나타내었다.
도 3은 부유물 및 거품을 제거하는 제거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도 3에 의한 제거수단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물 제거수단(100)은 부유물을 소량의 물과 함께 수집할 수 있도록 수면의 표층 부위에 회전 가능하도록 나선형의 회전체(110)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체(110)의 일측에는 회전체(110)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관(120)을 설치한다. 이 관(120)은 상기 회전체(110)에 의해 수집된 부유물이 소량의 물과 함께 흐를 수 있도록 하는 통로를 제공한다. 즉, 상기 회전체(110)의 회전에 의해 부유물이 소량의 물과 함께 수집되어 회전체(110)의 중심부로 모인 후 상기 관(120)을 통해 일측으로 흘러 상기 부유물 파쇄수단(200)에 모이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체(110)의 일측에 관(12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상기 관(120)의 단부에 플랜지(122)를 형성하여 결합하는 것이 좋고, 상기 플랜지(122)가 형성되지 않은 반대측에도 플랜지(124)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반대측에 형성한 플랜지(124)는 상기 관(120)을 통해 일측으로 흘러가는 부유물과 소량의 물이 관(120)을 통해 몸체(210)에 구비되는 유입구(212)로 들어갈 경우 뒤쪽으로 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관(120)의 끝단이 유입구(212)에 막혀 있는 상태로 설치됨으로서 관(120)을 통과한 부유물과 소량의 물이 뒤쪽으로 튈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110)와 관(120)을 회전시키도록 하기 위해서 구동모터(130)를 설치하여 동력전달부(140)로 연결 설치한다. 이러한 동력전달부(140)의 일 예로서, 상기 관(120)의 외주연과 상기 구동모터(130)에 각각 스프라켓(142a,142b)들을 설치하고, 그 스프라켓(142a,142b)들을 체인(144)으로 연결 설치하여 상기 구동모터(130)의 회전력으로 상기 관(120)을 회전되도록 하여 회전체(110)가 함께 회전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동력전달부(140)는 스프라켓(142a,142b)들과 체인(144)이 아닌 플리와 벨트로 대체하여 설치하여도 되는 것으로, 이러한 동력전달부(140)에 대한 구성을 일반적인 기계장치에서 많이 사용되는 모든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미 설명 부호 (150)는 상기 회전체(110)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설치한 베어링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부유물 제거수단(100)에는 부유물을 나선형의 회전체(110) 내로 정확히 유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이드수단(3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가이드수단(300)은 상기 회전체(110)의 양측단에 회전가이드판(310)을 설치하고, 그 회전가이드판(310)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고정가이드판(320)을 수조(10)의 내측벽에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가이드판(310)은 나선형의 회전체(110)에 일체형으로 설치하여 회전체(110)와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부유물 제거수단(100)에 의해 제거된 부유물을 파쇄하기 위한 부유물 파쇄수단(200)을 도 5에 더욱 자세하게 나타내었다.
도 5는 부유물 및 거품을 파쇄하는 파쇄수단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유물 파쇄수단(200)은 상기 관(120)을 통해 흐르는 부유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몸체(210)가 설치된다. 이 몸체(210)에는 상기 부유물과 소량의 물이 유입되는 유입구(212)와 상기 부유물이 파쇄되어 배수되는 배수구(214)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210)의 중심부에는 회전축(220)을 설치하고, 이 회전축(220)에는 다수개의 구멍(232)들을 형성한 회전판(230)을 설치한다. 상기 회전판(230)에 의해 부유물이 소량의 물과 함께 흘러들어와 물은 구멍(232)을 통해 하부로 빠지고 부유물은 상부에서 고압으로 뿌려주는 물에 의해 파쇄된다. 상기 회전판(230)은 부유물과 함께 흐르는 소량의 물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프로펠러형의 날개편(240)들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날개편(240)들은 부유물과 함께 흘러 들어오는 소량의 물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몸체(210)에 구비되는 유입구(212)측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유입된 부유물을 파쇄하기 위해 상부에서 고압으로 물을 뿌려줄 수 있도록 노즐(250)들이 설치되어 있다. 이 노즐(250)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을 설치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3개 혹은 4개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노즐(250)을 통해 고압으로 뿌려지도록 하는 물은 수조 내를 흐르는 물 중에서 부유물이 제거된 물을 공급하도록 파이프(270)와 모터펌프(260)가 설치된다. 상기 파이프(270)는 수조(10) 내에 후단즉 즉, 수조(10) 내로 물이 유입되어 배수되는 위치의 회전체(110)의 뒤쪽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부유물을 파쇄하기 위해 상부에서 노즐(250)을 통해 고압으로물을 뿌려주는 대신에 상기 노즐(250)을 통해 고압의 에어(air)를 분사하여도 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고압의 에어를 분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파이프(270)와 모터펌프(260)를 설치하는 대신에 상기 노즐(250)을 에어컴프레셔(미도시)와 연결되도록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이와 같이 에어컴프레셔를 설치하기 위한 구성은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기술임으로 여기서는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수조(10) 내의 물 흐름 방향으로 물이 흐를 때 수면의 표층 부위에 설치된 나선형의 회전체(110)에 부유물 및 거품이 도달하게 된다. 이때, 구동모터(130)가 작동하여 동력전달부(140)에 의해 나선형의 회전체(110)를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도 4b의 상태로 회전하게 되면, 나선형의 회전체(110)의 외측부에 형성한 돌출부에 의해 부유물 및 거품이 소량의 물과 함께 나선형의 회전체(110)의 중심부로 수집되고, 수집된 부유물 및 거품은 회전체(110)의 일측으로 설치된 관(120)을 통해 원통형 몸체(210)에 설치된 회전판(230)에 모이게 된다.
이렇게 모아진 부유물 및 거품은 수조(10)에 설치된 회전체(110) 뒤쪽에서 파이프(270)를 통해 모터펌프(260)에 의해 물을 공급받아 노즐(250)을 통해 고압으로 뿌려주어 부유물 및 거품을 파쇄하여 다음 공정으로 보내진다. 상기와 같이 파쇄되는 부유물 및 거품은 그 부유물과 함께 흐르는 소량의 물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판(230)의 날개편(240)들에 의해 그 파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 설명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에 의하면, 상하수도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부유물 및 거품 등을 자동으로 손쉽게 제거하고 파쇄하여 다음 처리 과정으로 보내거나 혹은 회수하여 재사용 하도록 함으로서, 보다 맑고 깨끗하면서 위생적인 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수조 내를 흐르는 물의 수면 위에 떠 있는 부유물 및 거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유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을 소량의 물과 함께 수집하여 일측으로 흐를 수 있도록 하는 부유물 제거수단; 및
    상기 부유물이 모이도록 하며 그 부유물과 함께 흐르는 소량의 물에 의해 회전하도록 회전판을 설치하고, 상부에서 물을 고압으로 뿌려주어 상기 부유물을 파쇄하는 부유물 파쇄수단을 포함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제거수단은 부유물을 소량의 물과 함께 수집할 수 있도록 수면의 표층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나선형의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의 일측에 설치하여 회전체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하고 회전체에 의해 수집된 부유물이 소량의 물과 함께 흐를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는 관과, 상기 관과 회전체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모터와 연결 설치한 동력전달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파쇄수단은 관을 통해 흐르는 부유물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갖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그 몸체의 중심부에 설치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설치되고 다수개의 구멍들이 형성된 회전판과, 상기 회전판의 상부에 설치되어 부유물과 함께 흐르는 소량의 물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회전판을 함께 회전하도록 하는 프로펠러형의 날개들과, 상기 몸체의 상부에 설치되어 부유물을 파쇄시키도록 물을 고압으로 뿌려주는 노즐들과, 상기 노즐들을 통해 수조 내를 흐르는 부유물이 제거된 물을 공급하도록 설치한 파이프와 모터펌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을 나선형의 회전체 내로 정확히 유입될 수 있도록 회전체의 양측단에 설치한 회전가이드판과, 그 회전가이드판의 선단에 위치하도록 설치한 고정가이드판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KR2020010019070U 2001-06-25 2001-06-25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KR200248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70U KR200248128Y1 (ko) 2001-06-25 2001-06-25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9070U KR200248128Y1 (ko) 2001-06-25 2001-06-25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5136A Division KR100460524B1 (ko) 2002-09-11 2002-09-11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128Y1 true KR200248128Y1 (ko) 2001-10-17

Family

ID=7306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9070U KR200248128Y1 (ko) 2001-06-25 2001-06-25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12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817B1 (ko) * 2002-12-20 2009-11-27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KR100946982B1 (ko) 2009-05-06 2010-03-15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슬러지 수집기의 스컴 제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8817B1 (ko) * 2002-12-20 2009-11-27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세정라인의 세정탱크내 부유물 제거장치
KR100946982B1 (ko) 2009-05-06 2010-03-15 주식회사 천보엔지니어링 슬러지 수집기의 스컴 제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5651A (ko)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KR100414905B1 (ko) 원통형 미세 협잡물 제거장치
KR200248128Y1 (ko)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KR100460524B1 (ko) 부유물 및 거품 제거장치
KR200252231Y1 (ko) 부상분리조의 스컴 제거장치
KR101301717B1 (ko) 초기 우수의 연속 세척 기능을 갖는 여과시스템
CN215901209U (zh) 一种工业废气净化处理装置
KR20080000444U (ko) 로터리식 스컴(거품)제거기
JP2001262541A (ja) 塵芥除去設備
CN114671480A (zh) 一种市政污水处理设备及其方法
KR20060095600A (ko) 스크류축과 분사노즐 방식의 스컴 배출수단이 구비된 슬러지수집기
CN212450890U (zh) 一种便于除臭的废水处理装置
CN113415836A (zh) 一种污水处理厂用污泥去除装置
CN112156535A (zh) 一种用于污水处理的防堵塞螺旋式滤渣刮除设备
CN220633284U (zh) 一种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111362442A (zh) 一种多级净化污水处理装置
KR20100067165A (ko) 무동력 수평정 청소장치
CN220695973U (zh) 一种防堵塞污水固体过滤装置
CN220034111U (zh) 一种气浮分离装置
CN220887139U (zh) 涂料废水电絮凝气浮机
KR200143726Y1 (ko) 세정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스크린고정식 세정수처리장치
JP3341135B2 (ja) スカム除去・処理設備
CN220245649U (zh) 一种气浮机
CN220666320U (zh) 一种效率高的清淤装置
CN213475577U (zh) 高效气浮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09

Year of fee payment: 4

EXTG Ip right invalida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