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65651A -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 Google Patents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65651A
KR20110065651A KR20090122243A KR20090122243A KR20110065651A KR 20110065651 A KR20110065651 A KR 20110065651A KR 20090122243 A KR20090122243 A KR 20090122243A KR 20090122243 A KR20090122243 A KR 20090122243A KR 20110065651 A KR20110065651 A KR 201100656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ss
water
base plate
floating
buoyancy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90122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2064B1 (ko
Inventor
윤영삼
두정언
손선애
Original Assignee
(주)디케이엠엔이
손선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케이엠엔이, 손선애 filed Critical (주)디케이엠엔이
Priority to KR1020090122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2064B1/ko
Publication of KR20110065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5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2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20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9Apparatus with independent power supply, e.g. solar cells, windpower,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장 또는 하수처리장의 침전지 및 응집지, 혼화지등의 수로 외벽 및 벽면에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물 때, 이끼등의 부착성 이물질과 수면위에 떠있는 부유물(거품, 스컴)을 동시에 제거하여 수질악화를 방지하고 주위환경 및 침전지 성능을 높이기 위한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태양광을 동력원으로 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수위변화에 상관없이 수면에 항상 일정한 높이에서 구동되도록 부력체(400)가 내장되어 수면위를 전진하며, 양측의 회전형 브러쉬(410)로 벽면의 부착성 이물질을 청소하고, 부유물은 여과판(440)에 수집되는 구조로 별도의 배출용 배관설비가 필요 없어 부유물 제거에 소요되는 처리수의 손실이 없으며 벽면 청소 및 부유물 제거가 전 범위에서 이루어져 물의 수질효율을 극대화 하였으며 경제적이며 유지보수가 간단하다.
부상식, 부력식, 부유물제거, 이끼제거, 태양광, 거품, 스컴

Description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removes The moss and float of buoyant filter which uses the solar power}
본 발명은 정수장 또는 하수처리장의 침전지 및 응집지, 혼화지등에서 수로 외벽 및 벽면에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물 때, 이끼등의 부착성 이물질과 수면위에 떠있는 부유물(거품, 스컴)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장치로써 벽면에 흡착된 부착성 이물질을 청소하고 수면위에 떠있는 부유물을 동시에 제거하여 수질악화를 방지하고 주위환경 및 침전지 성능을 높이기 위한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에는 부유성 조류(식물성 프랑크톤)등이 대량으로 번식하여 철구조물이나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성 조류가 번식하게 되어 물때, 냄새, 맛을 유발하여 수질을 악화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정수장 또는 하수처리장의 침전지 및 응집지, 혼화지등에서는 부유물(거품, 스컴)이 생성되고 도수로 외벽 및 벽면에는 이끼등 부착성 조류등이 서식하여 물의 유수를 방해하고 미생물에 의해 방류수가 오염되고 부착성 조류의 번식으로 미관상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통상 부유물은 부유물제거기를 설치하여 제거하고 있으나 부유물의 유입을 유도하기 위한 처리수의 손실에 따른 재처리비용 및 전면적 제거를 위해 여러대의 부유물제거기 설치에 따른 경제적 비용부담이 발생되고 있으며, 부착성 이물질은 수작업을 통한 벽면청소를 하고 있으나 자주 청소해야 하는 문제로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요되므로 고압 세척기로 물을 분사하여 청소하거나 소방호스를 이용하여 청소하고 있지만 이로 인한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출한 것으로 전면적의 부유물 제거를 위해 고정식으로 인한 많은 수의 부유물 제거기 설치에 따른 예산을 1대의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로 전 범위 제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예산을 절감시키고, 물과 부유물(거품, 스컴)을 유입하되 부유물만 수집하고 물은 배출되는 구조로 처리수의 손실이 없어 물의 재처리 비용이 없으며 또한 측면에 브러쉬를 설치하여 벽면 및 수로의 이끼제거가 가능하도록 하여 부유물 및 이끼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져 깨끗한 정수 환경을 개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태양광에 의한 솔라셀(100)의 수집으로 전력을 발생시켜 구동모터(310)에 공급하여 주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자체적인 전력생산으로 별도의 전력이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은 넓은 면적의 수면위에 분포된 부유물 제거를 위해 부력체(400)를 내장하여 항상 일정 수위를 유지하며 구동모터(310)와 연결된 패들(340)의 회전으로 주행 이동하며 부유물을 양단의 부력체(400) 내부로 유도하므로 전범위 운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고정식으로 설치된 다수의 부유물제거기 역할을 1대로 가능하게 하였으며, 좌우 양단에 회전형 브러쉬(410)를 설치하여 수로 및 벽면의 이끼를 제거하여 부유물제거 및 이끼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또한, 부유물을 유입하는데 사용되는 물의 재처리 비용을 없애기 위해 전단 및 후단에 설치된 패들(340)을 타공판으로 하여 부유물을 파쇄하는 기능을 갖도록 하였으며 잔여 부유물(거품, 스컴, 이끼류)은 여과판(440)에 걸러져 물은 배출되고 부유물(거품, 스컴, 이끼류)만 수집되는 구조로 하여 물의 소비가 없도록 하였다.
본 발명은 여타의 부유물 제거기와는 달리 고정식이 아닌 이동식으로 물에 뜨는 부력을 이용하여 수로 및 벽면의 이끼제거가 가능하고 산발적으로 설치된 다수의 부유물제거기 기능을 한 대로써 그 기능을 대체하여 이끼제거 및 부유물 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여 예산을 절감하고, 이동식으로 인해 전 범위 제거 효율을 높였다.
또한, 태양광을 동력으로 구동모터(310)에 공급되어 전력소모가 전혀 없으며 좌우양단에 설치된 회전형 브러쉬(410)가 벽체 및 수로 벽면의 이끼를 제거하며 전,후단에 설치된 타공형 날개 패들(340)의 회전으로 부유물을 파쇄하고 잔여 부유물은 후미에 설치된 여과판(440)에 걸러지는 구조로 처리수의 손실이 없어 물의 재처리 비용이 없으며 이끼제거 및 부유물 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지는데 그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벽체 및 수로의 벽면에 서식하는 이끼제거 및 여러 대의 고정식 부유물 제거기 기능을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1대로 운전이 가능하도록 대체하였고 물의 소비가 없어 재처리비용이 발생되지 않고 이끼 제거 및 부유물제거가 동시에 이루어져 경제적이며 구조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쉬워 정수장 및 하수처리장의 부유물 및 이끼 제거 효율을 극대화하였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도면은 예시적인 목적일 뿐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3은 타공형 날개의 패들을 나타낸 상세도이며, 도 4는 전면타공판(430) 및 여과판(440)의 상세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솔라셀(100)과 카바(200), 베이스판(300), 부력체(400)가 수직으로 일렬로 조립되며, 모든 삽입되는 부품의 배열 구조가 좌우, 전후단 대칭으로 이루어져 무게중심이 일정하도록 하였다.
솔라셀(100)은 카바(200)상부에 설치되며 태양광을 수집하여 전력을 발생시켜 전,후단 2대의 구동모터(310)에 동력을 공급한다.
베이스판(300) 상부에는 전,후단에 대칭으로 주행용 구동모터(310)가 설치되며 구동모터(310)가 구동이 되면 일축으로 연결된 종동기어(320)를 회전시키며 베이스판 하부의 주동기어(330)를 맞물려 회전시켜 이와 일축으로 연결된 패들(340)을 동작시켜 수면을 주행이동하게 된다. 이때 좌우에 설치된 부력체 내부로 부유물(거품, 스컴)과 물이 흡입되며, 부유물은 수평형으로 다수의 타공형 날개가 부착된 패들(340)에 의해 파쇄되며 또한, 전후단에 방향키(450)가 한쪽으로 치우쳐 져 항상 벽면에 밀착되어 운전되어지는 구조를 갖는다.
부력체(400)는 베이스판(300) 하부의 좌우 양단에 대칭으로 결합 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전진운전시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전후면을 삼각 구조로 하며 하부도 경사각을 주어 부력발생면적을 높이며 구조를 대칭구조로 하여 부력발생시 무게중심이 같게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하였다. 또한, 좌우 양단의 부력체(400) 전후단에 각각 대칭으로 회전형 브러쉬(410)를 설치하여 벽면 및 수로의 벽체에 접촉되어 운전시 마찰에 의한 회전이 이루어지며 부력체(400) 안쪽의 전후단에 밖으로 경사진 유도판(420)을 설치하여 브러쉬(410)의 회전에 의한 분출을 방지하고 좌우 양단에 설치된 부력체(400)사이 공간으로 부유물 및 물의 유입이 원활한 구조를 갖는다.
좌우 양단의 부력체(400)간 내부 공간 전단에 전면타공판(430)을 설치하여 나뭇잎등 큰 협잡물을 걸러내며 후단에 여과판(440)을 설치하여 부유물은 수집하고 물만 배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전면 타공판(430) 및 여과판(440)은 부력체(400)에 조립되어 청소시 쉽게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1도 부상식 태양광 청소기 분해도
제2도 부상식 태양광 청소기 조립 사시도
제3도 부상식 태양광 청소기 패들 상세도
제4도 부상식 태양광 청소기 타공망 상세도
-기호설명
100. 솔라셀
200. 카바
300. 베이스판
310. 구동모터
320. 종동기어
330. 주동기어
340. 패들
400. 부력체
410. 브러쉬
420. 유도판
430. 전면타공판
440. 여과판
450. 방향키

Claims (3)

  1.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는 정수장 또는 하수처리장의 약품 혼화지, 침전지 또는 응집지의 수면위에 떠있는 부유물 및 벽체의 이끼를 동시에 제거하기 위한 설비로써 물의 재처리비용을 없애고 이끼 및 부유물제거 효율을 극대화 하는데 있어서,
    솔라셀(100)과 카바(200), 베이스판(300), 부력체(400)가 수직으로 일렬로 조립된 구조로 베이스판(300) 상부에는 전,후단에 대칭으로 주행용 구동모터(310)가 설치되며 솔라셀(100)에 의해 수집된 동력으로 구동모터(310)와 일축으로 연결된 종동기어(320)가 회전되며 베이스판(300) 하부의 주동기어(330)와 일축으로 연결된 패들(340)이 맞물려 회전되어 수면을 주행이동하며 전,후단에 방향키(450)가 한쪽으로 치우쳐져 항상 벽면에 밀착되어 운전되어지며 부력체(400)는 베이스판(300) 하부의 좌우 양단에 대칭으로 결합되고 부력체(400) 전후단에 각각 대칭으로 회전형 브러쉬(410)가 설치되며 부력체(400) 안쪽의 전후단에 밖으로 경사진 유도판(420)이 설치되고 양단의 부력체(400) 사이 내부 공간 전단에 전면타공판(430)과 후단에 여과판(440)이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2. 제 1항에 있어서,
    패들(340)은 수평형 축에 다수의 날개가 결합된 구조로 각 날개에 사각 또는 원형 모양으로 타공하여 회전시 부유물(거품,스컴)을 파쇄하는 구조를 갖도록 한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3. 제 1항에 있어서,
    부력체(400)는 베이스판(300) 하부의 좌우 양단에 대칭으로 결합 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전진운전시 부하를 줄이기 위해 전후면을 삼각 구조로 하며 하부도 경사각을 주어 부력발생면적을 높이며 구조를 대칭구조로 하여 부력발생시 무게중심이 같게하여 흔들림이 없도록 구성한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KR1020090122243A 2009-12-10 2009-12-10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KR1011620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243A KR101162064B1 (ko) 2009-12-10 2009-12-10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2243A KR101162064B1 (ko) 2009-12-10 2009-12-10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5651A true KR20110065651A (ko) 2011-06-16
KR101162064B1 KR101162064B1 (ko) 2012-07-03

Family

ID=44398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2243A KR101162064B1 (ko) 2009-12-10 2009-12-10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2064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000634A (zh) * 2015-06-30 2015-10-28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净水机
KR101642443B1 (ko) * 2015-02-26 2016-07-25 서울특별시 이동자흡식 부유물 제거장치
KR101696079B1 (ko) 2015-07-06 2017-01-13 주식회사 포스코 오물제거장비
CN108837610A (zh) * 2018-07-08 2018-11-20 江苏盈科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车载汽车空调系统管道清洁装置
CN110667794A (zh) * 2019-11-16 2020-01-10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水面漂浮杂物清理船
CN112301987A (zh) * 2020-03-09 2021-02-02 孙佳星 一种新能源太阳能微动力水质洁净装置
CN112482332A (zh) * 2020-11-12 2021-03-12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用于水面清理船翻转装置的同步机构
CN112554155A (zh) * 2020-11-12 2021-03-26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水面漂浮杂物清理船的四扇叶收集装置
CN112554154A (zh) * 2020-11-12 2021-03-26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水面漂浮杂物清理船的三扇叶收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78921B1 (ko) 2017-05-10 2017-09-14 서림종합건설주식회사 원형 최종침전지용 배수로 이끼제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72293U (ko) 1975-11-25 1977-05-30
JP4195204B2 (ja) 2000-10-13 2008-12-10 慶一 杉野 水処理装置
KR200445430Y1 (ko) 2008-09-01 2009-07-29 (주)디케이엠엔이 태양광 자동 부유물 제거기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2443B1 (ko) * 2015-02-26 2016-07-25 서울특별시 이동자흡식 부유물 제거장치
CN105000634A (zh) * 2015-06-30 2015-10-28 佛山市顺德区美的饮水机制造有限公司 净水机
KR101696079B1 (ko) 2015-07-06 2017-01-13 주식회사 포스코 오물제거장비
CN108837610A (zh) * 2018-07-08 2018-11-20 江苏盈科汽车空调有限公司 一种车载汽车空调系统管道清洁装置
CN110667794A (zh) * 2019-11-16 2020-01-10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水面漂浮杂物清理船
CN112301987B (zh) * 2020-03-09 2022-05-17 海南伟复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新能源太阳能微动力水质洁净装置
CN112301987A (zh) * 2020-03-09 2021-02-02 孙佳星 一种新能源太阳能微动力水质洁净装置
CN112482331A (zh) * 2020-03-09 2021-03-12 孙佳星 新能源太阳能微动力水质洁净装置
CN112482332A (zh) * 2020-11-12 2021-03-12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用于水面清理船翻转装置的同步机构
CN112554154A (zh) * 2020-11-12 2021-03-26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水面漂浮杂物清理船的三扇叶收集装置
CN112482332B (zh) * 2020-11-12 2022-02-18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用于水面清理船翻转装置的同步机构
CN112554154B (zh) * 2020-11-12 2022-02-18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水面漂浮杂物清理船的三扇叶收集装置
CN112554155B (zh) * 2020-11-12 2022-02-18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水面漂浮杂物清理船的四扇叶收集装置
CN112554155A (zh) * 2020-11-12 2021-03-26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水面漂浮杂物清理船的四扇叶收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2064B1 (ko) 2012-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064B1 (ko)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JP6406556B2 (ja) 3方向スクリーン装置
KR102013599B1 (ko)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CN113023945A (zh) 一种市政污水处理装置
CN216890395U (zh) 一种污水净化处理装置
CN214880727U (zh) 一种市政污水处理装置
CN208136013U (zh) 一种自消毒型污水处理装置
CN213760881U (zh) 一种市政污水处理设备
CN214218338U (zh) 对残留在滤板上残渣进行二次处理的污水处理设备
CN111039458B (zh) 一种高原湖泊渔业水域生态修复装置
CN206591008U (zh) 一种分布式污水处理系统
KR200252231Y1 (ko) 부상분리조의 스컴 제거장치
CN113336361B (zh) 一种污水净化处理装置及方法
CN110590023A (zh) 家庭污水净化装置
CN207792936U (zh) 一种污水处理装置
CN112551812B (zh) 一种水质处理装置及水质处理方法
CN210505663U (zh) 一种处理造纸废水的气浮机
CN210711046U (zh) 一体化污水处理设备
CN209940753U (zh) 一种微纳气泡乳化液处理装置
CN108854257B (zh) 一种污水处理设备
KR20110005470U (ko) 부상식 태양광 부유물제거기
CN218810552U (zh) 一种造纸废水处理系统的气浮池
CN219194613U (zh) 一种一体化废水处理装置
CN108751478A (zh) 一种反冲洗式污水处理装置
CN211226650U (zh) 一种污水处理厂用沉降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