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599B1 -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599B1
KR102013599B1 KR1020180168710A KR20180168710A KR102013599B1 KR 102013599 B1 KR102013599 B1 KR 102013599B1 KR 1020180168710 A KR1020180168710 A KR 1020180168710A KR 20180168710 A KR20180168710 A KR 20180168710A KR 102013599 B1 KR102013599 B1 KR 102013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um
sedimentation tank
bar
sludge
settli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8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본
김경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누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누리
Priority to KR1020180168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5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72Means for fluidising the sediments, e.g. by jets or mechanical agit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의 침전조 상부에 송풍장치를 설치하여 침전조에 저장된 하수의 상부에 떠오른 찌꺼기인 스컴(scum)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도 매우 편리한,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Scum removal system of sewage treatment plant using blowing device}
본 발명은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처리장의 침전조에 송풍장치를 설치하여 침전조에 저장된 하수의 상부에 떠오른 찌꺼기인 스컴(scum)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화 이후 소득수준이 높아지면서 생활수준의 향상과 여가활동의 증가로 각종 숙박시설, 판매시설 및 일반 가정의 화장실, 욕탕, 샤워실, 세탁실, 주방에서 배출되는 각종 생활하수의 양이 급격하게 증대되어 기존 하천이 갖고 있었던 정화능력을 초과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유기물, 질소, 인 등이 다량 함유된 생활하수가 정화되지 못한 상태로 하천이나 공공수역에 그대로 방류되어 하천의 수질오염을 가중시키는 상황이 발생하였고,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현재는 자치단체 또는 일정 지역마다 오염된 생활하수를 처리하기 위한 하수처리시설을 설치하여 정해진 수질기준을 충족하여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각종 생활하수를 처리하는 방법은 스크리닝, 침전, 부상 및 여과 등과 같은 물리적 방법과, 중화, 산화환원, 응집 및 흡착 등과 같은 화학적 처리방법, 그리고 미생물의 배양에 따라 정화처리가 이루어지는 생물학적 방법이 있는데, 종래부터 사용되어 온 표준 활성 슬러지법은 생물학적 방법에 물리적 및 화학적 방법을 적절히 혼합한 것으로서, 유량조정조에 저장된 하수를 폭기조로 보내고, 폭기조에서는 산소를 공급하여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을 촉진시켜 유기물을 분해시킨 다음, 마지막으로 침전조에서 슬러지와 처리수를 비중차에 의해 고액분리시키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생활하수 처리장 등에서 사용하기 위해 개발된 특허등록 제499979호 "상하수 처리장치용 원격제어식 스컴스키머"는 하수처리장 및 정수장에서 공기압축기를 통해 생산한 압축공기를 일렬로 배열한 다수의 노즐을 통해 스컴을 강제로 한쪽으로 이송시켜 스컴스키머가 수거하도록 하는 장치인데, 상기 특허는 우선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설치되는 구성도 많기 때문에 유지 관리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수장에서 깨끗한 물을 만드는 데는 적용할 수 있지만 하수처리장과 같이 폐수를 처리하는 시설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고, 하수처리장이나 정수장의 크기가 커서 노즐과 스컴스키머가 상당한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스컴의 제거 효율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며, 하수처리장이나 정수장이 원형인 시설에는 적용할 수 없다는 등 많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수처리장의 침전조 상부에 송풍장치를 설치하여 침전조에 저장된 하수의 상부에 떠오른 찌꺼기인 스컴(scum)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없을 뿐만 아니라 유지 관리도 매우 편리한,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하부는 하향으로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요부(凹部) 형상의 슬러지수집부가 형성되고, 슬러지수집부에는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가장자리에는 스컴이 제거된 상등수가 체류시간을 길게 하면서 천천히 유출되도록 조절하는 수로가 형성된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수로의 내측으로 내측벽과 외측벽으로 분리 설치되어 침전조에 저장된 하수에 떠있는 스컴이나 부유물이 수로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둑 역할을 하도록 설치된 위어(weir); 상기 침전조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침전조의 상부로부터 슬러지수집부의 바닥면까지 설치된 회전축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설치되고 일정 반경을 갖는 중공(中空) 원통 형상이면서, 회전축과 고정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일단(一端)이 고정되어 침전조의 가장자리 내주면까지 로드(rod) 형상으로 형성되고, 로드의 하부에 스컴수집판이 부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침전조에 저장된 하수의 액면(液面)에 떠있는 스컴을 수집하게 되는 스컴제거기; 상기 침전조의 상단 부분 가장자리 내주면 부분에 상방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에는 수집된 스컴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육면체 형상에서 개방된 상면의 일측에는 수집된 스컴이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판상(板狀)의 부재가 경사지도록 설치된 가이드경사판이 설치되어 있고, 육면체 형상의 모서리로부터 가이드경사판의 내측 쪽으로 일정 길이의 가이드베인이 설치되어 구성된 스컴투입구; 상기 침전조의 외측에 설치되며, 스컴투입구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스컴을 수집하는 스컴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침전조에 저장된 하수의 액면에 떠있는 스컴을 스컴제거기가 회전하면서 수집하여 스컴투입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사각 형성으로 제작되어, 회전축의 하부 부분에 고정 설치된 블레이드고정부를 중심으로 블레이드가 더 설치되는데, 상기 블레이드는, 일단(一端)이 상기 블레이드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침전조의 가장자리 내주면 부분까지 침전조의 하부 경사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바; 상기 제1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제1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제2바; 상기 제1바의 선단(先端) 부분과 회전축 사이를 연결하여, 블레이드가 침전조의 하부 경사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상태를 유지해 주는 턴바클;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침전조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교반시키면서 슬러지수집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슬러지를 침전조 외부로 반출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스컴제거기 보다 상부에 송풍장치가 더 설치되고, 송풍장치는 수집된 스컴이 스컴투입구 쪽으로 이동하도록 침전조의 상부 액면을 향해 송풍하여 스컴 제거효율을 높인다.
바람직하게는, 블레이드의 제1바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바이고, 제2바는 제1바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등간격으로 다수개가 설치되며 제1바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스컴제거기의 로드는, 하우징에 일단이 고정되어 설치된 제1로드와, 제1로드의 선단(先端)에서 절곡되어 설치된 제2로드로 구성되고, 제2로드의 하부에 스컴수집판이 부착되어, 스컴수집판으로 수집한 스컴이 스컴투입구로 투입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스컴투입구는 육면체 형상에서 개방된 상면의 일측에는 수집된 스컴이 스컴투입구로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판상(板狀)의 부재가 경사지도록 설치된 가이드경사판이 더 설치되어 있고, 스컴투입구의 모서리로부터 가이드경사판의 내측 쪽으로 일정 길이의 가이드베인이 더 설치되어, 가이드베인이 스컴수집판이 수집한 스컴이 가이드경사판 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안내해 준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는, 하수처리장의 침전조 상부에 설치된 스컴제거기에 의해 침전조에 저장된 하수 액면(液面)에 떠오른 스컴 및 부유물을 수집하면서 스컴 및 부유물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스컴투입구 쪽을 향해 송풍하도록 송풍장치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컴제거기와 함께 침전조에 저장된 하수의 스컴 및 부유물 제거 효율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스컴 및 부유물을 수집하는 로드(rod) 형상에 스컴수집판이 부착된 스컴제거기와 팬(fan)을 구비한 송풍기만 설치되기 때문에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고장의 염려가 전혀 없기 때문에 유지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침전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의 침전조를 절개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침전조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스컴제거기와 송풍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송풍장치의 위치를 고정시켜서 설치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하수처리장의 침전조 상부에 송풍장치를 설치하여 스컴제거기에 의해 수집된 스컴(scum)이 스컴투입구 쪽으로 모이도록 송풍해 줌으로써 스컴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생활하수를 주로 처리하여 정화시켜 배수하는 하수처리장은, 하수에서 협잡물 및 침사물을 제거하는 침사조, 유량을 일정하게 공급하기 위한 유량조정조, 유입된 하수에 포함된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최초침전조, 미생물이 서식하면서 하수에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생물반응조, 미생물의 반응으로 생성된 슬러지를 침전시켜 깨끗한 처리수를 얻는 최종침전조, 여과설비를 통해 더욱 안정된 처리수를 확보하기 위한 여과설비조, 처리수의 방류 전에 대장균을 살균시키기 위한 소독조, 생슬러지와 잉여슬러지를 농축시켜 탈수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슬러지농축조, 농축된 슬러지와 응집제를 혼합 응집시킨 후 고형물과 수분을 분리시키는 탈수기를 포함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컴 제거장치는 하수처리장에 설치된 최초침전조 및 최종침전조와 같은 침전조에 설치되는데, 침전조(10)에 저장된 하수의 액면(液面)에 떠있는 스컴을 제거하기 위한 스컴 제거장치는 구동모터(11), 스컴제거기(12), 구동모터(11)의 회전력을 스컴제거기(12)에 전달하는 하우징(112), 스컴투입구(16) 및 스컴박스(17)가 기본적으로 구비된다.
침전조(10)는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침전시켜 배출시키고, 하수의 상부에 떠있는 스컴과 부유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저장탱크로,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하부는 슬러지 배출이 용이하도록 하향으로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요부(凹部) 형상의 슬러지수집부(13)가 형성되고, 슬러지수집부(13)에는 슬러지를 탈수기 또는 생물반응조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구성된다. 또한, 침전조(10)의 상부 가장자리 외측으로는 수로(18)가 형성되어 있어서, 침전조(10)에서 스컴이 제거된 상등수(하수)가 수로(18)를 통해 다음 시설물인 여과설비조로 유출되게 된다(도 1, 2 참조). 미설명부호 101은 관리자가 걸어다니면서 침전조(10)를 점검하기 위해 설치된 통로인 워크웨이(walk way)이다.
구동모터(11)는 회전축(111)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축(111)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 회전축(111)은 침전조(10)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침전조의 상부로부터 슬러지수집부(13)의 바닥면까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회전축(111)의 외측에는 일정 반경과 일정 높이를 갖는 중공(中空) 원통 형상이면서, 회전축(111)과 고정 연결된 하우징(112)이 설치된다. 하우징(112)은 모터의 회전력을 스컴제거기(12)의 로드에 전달하는 역할도 하지만, 침전조(10) 보다 앞에 설치된 생물반응조 또는 유량조정조로부터 침전조(10)로 유입되는 하수가 파이프(미도시)를 통해 하우징(112)의 원통 형상 내측에 낙하하게 함으로써 유입되는 하수가 낙하하면서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게 하는 기능도 한다.
스컴제거기(12)는 하우징(112)의 외측면에 일단(一端)이 고정되어 침전조의 가장자리 내주면까지 로드(rod)(121) 형상으로 형성되고, 로드(121)의 하부에는 스컴수집판(122)이 부착되어 회전축(11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침전조에 저장된 하수의 액면(液面)에 떠있는 스컴을 수집하게 된다.
스컴제거기의 로드(121)는 일직선인 하나의 로드로 제작해도 되지만, 하우징(112)에 일단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제1로드와, 제1로드의 선단(先端)에서 약간 절곡되어 설치된 제2로드로 구성하고, 제2로드의 하부에 고무판 등으로 제작한 사각형상의 스컴수집판(122)을 부착하여, 스컴수집판(122)으로 수집한 스컴이 스컴투입구(16)로 투입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컴수집판(122)의 길이는 스컴투입구(16)에 설치된 가이드경사판(162)의 폭과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침전조(10)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침전조 상부에서 수로(18)로 유출되는 상등수(하수)가 곧바로 흘러가지 않고 체류시간을 길게 하면서 천천히 유출되도록 조절하며, 스컴이나 부유물이 유출되지 못하도록 하는 일종의 둑(댐)인 위어(weir)(19)가 설치되어 있는데, 위어(19)는 내측으로 내측벽(191)이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내측벽(191)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외측으로 외측벽(192)이 설치되는데, 외측벽(192)은 상부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침전조(10)에서 슬러지와 스컴이 제거된 상등수(하수)는 내측벽(191)과 외측벽(192)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통과하여, 외측벽(192)의 톱니 형상에서 높이가 낮은 부분을 통해 일정량씩의 상등수(하수)가 수로(18)로 유출되게 된다(도 1, 2 참조).
스컴투입구(16)는 침전조(10)의 상단 부분 가장자리에 설치된 위어(19)의 내측벽(191) 내주면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데, 스컴투입구(16)는 상방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에는 수집된 스컴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침전조의 외측에는 스컴투입구(16)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스컴을 수집하기 위한 스컴박스(17)가 설치되며, 침전조에 저장된 하수의 액면에 떠있는 스컴을 스컴제거기(12)가 회전하면서 수집하여 스컴투입구(16)를 통해 배출시키게 된다.
스컴투입구(16)의 육면체 형상에서 개방된 상면의 일측면에는 수집된 스컴이 스컴투입구(16)로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판상(板狀)의 부재로 경사지도록 설치한 가이드경사판(162)을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컴투입구(16)에서 가이드경사판(162)이 설치된 모서리로부터 가이드경사판(162)의 내측(회전축 방향을 말함) 쪽으로는 일정 길이의 가이드베인(161)을 더 설치하여, 스컴수집판(122)이 수집한 스컴이 가이드경사판(162) 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가이드베인(161)이 안내해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베인(161)은 가이드경사판(162)이 설치된 스컴투입구(16)의 상면으로부터 멀이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내측(회전축 쪽을 말함) 쪽으로 라운드지도록 설치하여 스컴을 가이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침전조(10)에 저장된 하수에 포함된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블레이드(14)가 더 설치되고, 블레이드고정부(141)는 사각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임의의 다각형 형상으로 제작할 수도 있다. 블레이드(14)는 회전축(111)의 하부 부분에 고정 설치된 블레이드고정부(141)를 중심으로 양측에만 설치해도 되지만, 블레이드(14)는 블레이드고정부(141)가 사각 형상인 경우 4개의 블레이드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3 참조).
블레이드(14)는 하나의 직선 바(bar)를 사용하여 제작해도 되지만, 슬러지가 침전되어 응고되지 않도록 잘 교반시켜 주기 위해서는 일단(一端)이 블레이드고정부(141)에 고정되고 타단이 침전조(10)의 가장자리 내주면 부분까지 침전조의 하부 경사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바(142)와, 제1바(142)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되고 제1바(142)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제2바(143)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바(142)와 제2바(143)는 파이프 또는 바 형상의 부재 또는 'ㄱ'자 형상의 앵글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1바(142)는 일정 간격을 두고 한 쌍이 설치되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바이고, 제2바(143)는 제1바(142)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한 쌍의 제1바(142) 사이에 걸쳐져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바(143)가 경사지도록 설치되어야 슬러지의 교반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블레이드(14)가 침전조의 하부 바닥면에 직접 닿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제1바(142)의 선단(先端) 부분과 회전축(111) 사이를 턴바클(144)로 연결하여 블레이드(14)를 고정시켜, 블레이드(14)가 침전조(10)의 하부 경사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상태를 유지해 주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설치된 블레이드(14)는 회전축(11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침전조(10)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교반시키면서 슬러지수집부(13)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슬러지를 침전조(10) 외부로 반출시켜, 하수처리장의 탈수기 또는 생물반응조로 이송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중 하나가 스컴의 수집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송풍장치(15)를 설치한다는 점인데, 송풍장치(15)는 하우징(112)에 일단이 고정된 부재에 설치되어 스컴제거기(12)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할 수도 있고(도 1 내지 4), 워크웨이(101)와 같이 고정된 시설물에 고정 설치할 수도 있으며(도 5 참조), 송풍장치(15)는 수집된 스컴이 스컴투입구(16) 쪽으로 이동하도록 침전조(10)의 상부 액면을 향해 송풍해 주도록 설치된다. 송풍장치(15)는 한방향으로 바람을 송풍해 주는 송풍팬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송풍을 위한 구조가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설치를 위한 비용도 적게 들어갈 뿐만 아니라 고장도 적어서 유지 관리도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의 스컴 제거장치는, 스컴제거기의 스컴수집판(122)으로 액면에 떠있는 스컴이나 부유물질을 수집하여 스컴투입구(16)로의 투입이 수월하도록 가이드베인(161)과 가이드경사판(162)를 설치했다는 점과, 수집된 스컴이 가이드베인(161)과 가이드경사판(162) 쪽으로 모이도록 송풍장치(15)를 통해 한쪽 방향으로 바람을 송풍해 준다는 점 때문에 스컴의 제거효율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침전조 101 : 워크웨이
11 : 구동모터 111 : 회전축
112 : 하우징
12 : 스컴제거기 121 : 로드(rod)
122 : 스컴수집판
13 : 슬러지수집부
14 : 블레이드 141 : 블레이드고정부
142 : 제1바 143 : 제2바
144 : 턴바클
15 : 송풍장치
16 : 스컴투입구 161 : 가이드베인
162 : 가이드경사판
17: 스컴박스
18 : 수로
19 : 위어(weir) 191 : 내측벽
192 : 외측벽

Claims (6)

  1. 하수처리장의 침전조에 설치되는 스컴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컴 제거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하부는 하향으로 경사진 면으로 형성되며, 하부 중앙에는 일정 깊이를 갖는 요부(凹部) 형상의 슬러지수집부가 형성되고, 슬러지수집부에는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가장자리에는 스컴이 제거된 상등수가 체류시간을 길게 하면서 천천히 유출되도록 조절하는 수로가 형성된 침전조;
    상기 침전조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수로의 내측으로 내측벽과 외측벽으로 분리 설치되어 침전조에 저장된 하수에 떠있는 스컴이나 부유물이 수로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둑 역할을 하도록 설치된 위어(weir);
    상기 침전조의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침전조의 상부로부터 슬러지수집부의 바닥면까지 설치된 회전축의 상부에 설치되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설치되고 일정 반경을 갖는 중공(中空) 원통 형상이면서, 회전축과 고정 연결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일단(一端)이 고정되어 침전조의 가장자리 내주면까지 로드(rod) 형상으로 형성되고, 로드의 하부에 스컴수집판이 부착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침전조에 저장된 하수의 액면(液面)에 떠있는 스컴을 수집하게 되는 스컴제거기;
    상기 침전조의 상단 부분 가장자리 내주면 부분에 상방이 개방된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면에는 수집된 스컴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육면체 형상에서 개방된 상면의 일측에는 수집된 스컴이 원활하게 투입될 수 있도록 판상(板狀)의 부재가 경사지도록 설치된 가이드경사판이 설치되어 있고, 육면체 형상의 모서리로부터 가이드경사판의 내측 쪽으로 일정 길이의 가이드베인이 설치되어 구성된 스컴투입구;
    상기 침전조의 외측에 설치되며, 스컴투입구의 배출구를 통해 배출된 스컴을 수집하는 스컴박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어의 내측벽은 일정 높이로 형성되고, 내측벽과 일정 거리 이격되어 외측으로 외측벽이 설치되는데, 외측벽은 상부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침전조에서 슬러지와 스컴이 제거된 상등수는 내측벽과 외측벽 사이의 이격된 부분을 통과하여, 외측벽의 톱니 형상에서 높이가 낮은 부분을 통해 일정량씩의 상등수가 수로로 유출되게 되며,
    상기 스컴제거기의 로드는, 상기 하우징에 일단이 고정되어 설치된 제1로드와, 제1로드의 선단(先端)에서 절곡되어 설치된 제2로드로 구성되고, 제2로드의 하부에 스컴수집판이 부착되어 구성되며, 침전조에 저장된 하수의 액면에 떠있는 스컴을 스컴제거기가 회전하면서 스컴수집판으로 수집하여 스컴투입구를 통해 배출시키도록 구성되며,
    상기 가이드베인이 스컴수집판이 수집한 스컴이 가이드경사판 쪽으로 모일 수 있도록 안내하며, 가이드베인은 가이드경사판이 설치된 스컴투입구의 상면으로부터 멀이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내측 쪽으로 라운드지도록 설치하여 스컴을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에 의해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사각 형성으로 제작되어 상기 회전축의 하부 부분에 고정 설치된 블레이드고정부를 중심에 두고 블레이드가 더 설치되는데,
    상기 블레이드는,
    일단(一端)이 상기 블레이드고정부에 고정되고, 타단이 침전조의 가장자리 내주면 부분까지 침전조의 하부 경사면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된 제1바;
    상기 제1바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제1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된 제2바;
    상기 제1바의 선단(先端) 부분과 회전축 사이를 연결하여, 블레이드가 침전조의 하부 경사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상태를 유지해 주는 턴바클;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블레이드가 회전하면서, 침전조의 하부에 침전된 슬러지를 교반시키면서 슬러지수집부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슬러지를 침전조 외부로 반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컴제거기 보다 상부에 송풍장치가 더 설치되고, 상기 송풍장치는 수집된 스컴이 스컴투입구 쪽으로 이동하도록 침전조의 상부 액면을 향해 송풍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에 의해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바이고, 제2바는 제1바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고 상기 제1바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장치에 의해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5. 삭제
  6. 삭제
KR1020180168710A 2018-12-24 2018-12-24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KR1020135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710A KR102013599B1 (ko) 2018-12-24 2018-12-24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8710A KR102013599B1 (ko) 2018-12-24 2018-12-24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599B1 true KR102013599B1 (ko) 2019-08-23

Family

ID=677639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8710A KR102013599B1 (ko) 2018-12-24 2018-12-24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59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409B1 (ko) 2019-11-12 2020-03-31 하민호 고압분사노즐을 활용한 자동화 청소장치
KR102209916B1 (ko) * 2020-04-02 2021-02-01 주식회사 씨앤지 수처리장치의 에어리프트형 스컴제거장치를 구비한 슬러지수집기
KR102433194B1 (ko) 2022-03-25 2022-08-18 주식회사 그레넥스 하수처리시설에 설치된 경사판 침전지 상단 스컴처리장치
CN115504531A (zh) * 2022-10-12 2022-12-23 枣庄高新区立正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用废水浮渣打捞装置
KR102574690B1 (ko) 2023-06-30 2023-09-06 호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하수처리 침전조의 스컴 제거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03U (ja) * 1993-10-18 1995-05-1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スカム除去装置
KR101863209B1 (ko) * 2017-11-20 2018-07-13 청록엔지니어링(주)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KR101877738B1 (ko) * 2017-12-11 2018-07-13 (주)가나엔지니어링 배출수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크래퍼 회전형 스컴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5903U (ja) * 1993-10-18 1995-05-16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スカム除去装置
KR101863209B1 (ko) * 2017-11-20 2018-07-13 청록엔지니어링(주)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KR101877738B1 (ko) * 2017-12-11 2018-07-13 (주)가나엔지니어링 배출수 저감 기능을 구비한 스크래퍼 회전형 스컴 제거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5409B1 (ko) 2019-11-12 2020-03-31 하민호 고압분사노즐을 활용한 자동화 청소장치
KR102209916B1 (ko) * 2020-04-02 2021-02-01 주식회사 씨앤지 수처리장치의 에어리프트형 스컴제거장치를 구비한 슬러지수집기
KR102433194B1 (ko) 2022-03-25 2022-08-18 주식회사 그레넥스 하수처리시설에 설치된 경사판 침전지 상단 스컴처리장치
CN115504531A (zh) * 2022-10-12 2022-12-23 枣庄高新区立正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用废水浮渣打捞装置
CN115504531B (zh) * 2022-10-12 2024-02-06 枣庄高新区立正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市政工程用废水浮渣打捞装置
KR102574690B1 (ko) 2023-06-30 2023-09-06 호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하수처리 침전조의 스컴 제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599B1 (ko)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US20110163022A1 (en) Integrated sewage treatment plant
RU2431610C2 (ru) Комплексный способ безреагентной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брикетирования ила
KR101951202B1 (ko) 침전지용 슬러지 수집장치
US4193877A (en) Apparatus for clarifying liquid
KR100808289B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US20150183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ir scouring of a screen in a water treatment facility
KR20110065651A (ko) 이끼 및 부유물 제거용 태양광 부상식 제거기
KR102063343B1 (ko) 화학 응집 침전 여과장치
CN106630482B (zh) 一种污水处理装置
KR100646042B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KR100850162B1 (ko) 하수처리조의 부유물 처리장치
US4533470A (en) Apparatus for treating liquids
KR102234086B1 (ko) 슬러지 수집기
CN113735385A (zh) 一种养殖废水处理装置及其处理方法
KR100533523B1 (ko) 스컴 제거용 버퍼를 구비한 침전조
JPH09234465A (ja) スカム・水分離装置ならびに分離水の利用方法
KR101783292B1 (ko) 하수 처리 장치
KR20060029765A (ko) 정수처리용 상향류식 일체형 응집·침전장치
CN211310900U (zh) 一种生物池除污装置
KR102009674B1 (ko) 친환경 생활하수 처리시스템
KR101989834B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200371161Y1 (ko) 정수처리용 상향류식 일체형 응집·침전장치
KR200384139Y1 (ko) 스크류형 경사판을 갖는 폐수설비의 침전조
WO2006105575A1 (en) Water treat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