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4086B1 - 슬러지 수집기 - Google Patents

슬러지 수집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4086B1
KR102234086B1 KR1020200123277A KR20200123277A KR102234086B1 KR 102234086 B1 KR102234086 B1 KR 102234086B1 KR 1020200123277 A KR1020200123277 A KR 1020200123277A KR 20200123277 A KR20200123277 A KR 20200123277A KR 102234086 B1 KR102234086 B1 KR 1022340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tank
rectifier
scum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32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옥
김준명
염정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에이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에이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에이치
Priority to KR10202001232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40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4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4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05Feed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12Settling tanks making use of filters, e.g. by floating layers of particulat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01D21/0042Baffles or guid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0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01D21/2472Means for fluidising the sediments, e.g. by jets or mechanical agit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8Mechanical auxiliary equipment for acceleration of sedimentation, e.g. by vibrators or the like
    • B01D21/286Means for gentle agitation for enhancing floccul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전조 내에 유입되는 슬러지의 입자를 정류기를 통해 크게 향상시키고 침전조 내에 유입되는 슬러지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등 분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정류기와 스컴 제거장치를 슬러지 수집부와 동일축선상에 설치하면서도 슬러지의 균등 분배가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구동모터(102)와, 회전축부(104)와, 상기 회전축부(104)와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모아서 배출하는 슬러지 수집부(106)를 포함하고 호기조 내의 슬러지를 유입하여 침전조 내에 슬러지를 배분하는 원형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에 있어서, 호기조 내에서 유입되는 슬러지의 입자를 크게하고 침전조 내부 전체에 균등하게 배분하고 상기 회전축부(104)와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되는 정류기(108)와; 침전조 내에서 발생하여 물위로 부상하는 스컴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부(104)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정류기(108)와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 스컴 제거장치(110)와; 호기조 내에 설치되고 침전조와 연통되도록 배출 배관부(78) 및 유입배관부(79)와 연결 설치되되, 상기 호기조 내의 슬러지를 급속 혼화하여 침전조의 슬러지 수집부(108)로 배출하기 위한 혼화장치(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침전조 내로 유입되는 슬러지의 입자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침전조 내 전체에 걸쳐서 균등하게 배분하도록 함으로써 침전지 전면적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그로 인하여 크기가 커진 슬러지 입자로 인하여 슬러지 수집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슬러지 수집기{Equal Dispensing type sludge collecting device}
본 발명은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전조 내에 유입되는 슬러지의 입자를 정류기를 통해 크게 향상시키고 침전조 내에 유입되는 슬러지가 일측으로 치우치지 않고 전체적으로 균등 분배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정류기와 스컴 제거장치를 슬러지 수집부와 동일축선상에 설치하면서도 슬러지의 균등 분배가 가능한 슬러지 수집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반적으로 가정, 공장에서는 다양한 오수 및 폐수가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오수 및 폐수를 처리하기 위해 배출되는 오,폐수를 정수장이나 하수 처리장의 농축조 또는 침전조 등 슬러지 처리조 내에 일정기간 동안 저장하고, 특정약품을 이용하여 이물질 및 불순물을 침전시켜서 고액을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오,폐수의 고액 분리후, 슬러지 처리조의 바닥면에 침전된 슬러지는 장기간 방치할 경우 수질을 오염시킬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기적을 슬러지 제거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슬러지 처리조 내에 침전된 슬러지는 그 양이 많으며 또한 악취가 심해서 작업자가 수동으로 처리하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자동으로 슬러치 처리조내에 퇴적된 슬러지를 수집 및 배출시키기 위한 원형 슬러지 수집기가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원형 슬러지 수집기의 경우, 궤도를 따라 회전하는 스크레이퍼를 구동시켜서 슬러지를 슬러지 처리조의 중앙측으로 수집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었고, 이러한 슬러지를 수집하기 위한 스크레이퍼의 구동을 위한 구동부와, 스크레이퍼가 장착되는 프레임이 구성되고, 프레임을 슬러지 처리조의 둘레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프레임 스크레이퍼 구동부가 필수적으로 구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슬러지 수집기를 이용하여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중심 부분의 호퍼 쪽으로 모아여 배출관으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슬러지 수집기가 설치되는 침전조의 전단계에서는 호기조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호기조에서 오염물질을 분해하기 위해 공기를 불어넣어 에어레이션을 하여 오염물이 분해되도록 하고 분해된 오염물이 호기조 수심 중간에서 관로를 통해 침전조로 유입되도록 하였으나 바로 침전지로 유입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플럭이 완전하지 않은 상태로 침전지로 이월되어 플럭이 침강되지 않고 작게 분해된 상태로 상등수로 유출되어 수질을 악화시키는 단점이 있었고, 호기조 수심 중간에서 관로를 통해 호기조로부터 발생되는 스컴이 침전조로 직접적으로 유입되어 슬러지 수집기의 한쪽으로 치우쳐서 유입되어 일측부에 불균일하게 - 좌측부에만 쌓이는 현상이 발생하여 슬러지 수집기의 중심이 편심되어 스크레이퍼의 동작이 원할하게 이루어지지 않거나 회전이 정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호기조로부터 유입되는 물위에 뜨는 스컴이 침전조로 넘어가면 처리수와 같이 방류되어 방류수질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침전조에 유입되는 스컴 및 슬러지가 일방향에 모이고 쌓여서 침전조의 슬러지 수집기의 동작을 방해하고 장치고장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하수 처리장에서의 슬러지 수집기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터피더 또는 중심축에 스컴 제거장치가 같이 결합되어 회전하고 있으나 센터피더에 정류기를 설치하게 되면 유입관과 맞물려 센터피더가 회전을 못하게 되어 스컴제거장치를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1253호 (2017.01.24. 등록)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105317호(2009. 10.0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슬러지 수집기의 센터피더에서 슬러지 입자의 충돌에 의해 입자가 커지는 것을 유도하고 균등분배에 의한 침전지 전면적을 활용하여 침전시킴과 동시에 침전지 축선상의 몸체인 센터피더월에 정류판을 1-3개 설치하여 침전 및 커진 입자의 침전에 따른 슬러지 수집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러지 수집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기조 내에서 발생하는 스컴이 침전조로 넘어가지 않도록 급속으로 혼화시킴으로써 스컴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슬러지 수집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컴이 넘어가지 않으면서도 슬러지가 넘어가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부유물의 플록상태를 확인 할 수 있고, 약품 주입시 약품량 측정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 슬러지 수집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호기조에서 침전조로 유입되는 스컴이나 슬러지 등을 균일하게 분산시켜서 슬러지 수집기의 회전 동작을 자유롭게 할 수 있고, 장치의 내구성을 증가시켜서 설비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슬러지 수집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슬러지 수집기 중심 축선상의 센터피더월을 상하좌우의 벽체 또는 브릿지에 고정하지 않고 축에 얹혀놓도록 설치하여 축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하고, 스컴제거장치를 중심축에 설치하여 정류판의 유입관과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슬러지 수집기가 원할한 회전동작을 할 수 있는 슬러지 수집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회전구동모터(102)와, 회전축부(104)와, 상기 회전축부(104)와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모아서 배출하는 슬러지 수집부(106)를 포함하고 호기조 내의 슬러지를 유입하여 침전조 내에 슬러지를 배분하는 원형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에 있어서, 호기조 내에서 유입되는 슬러지의 입자를 크게하고 침전조 내부 전체에 균등하게 배분하고 상기 회전축부(104)와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되는 정류기(108)와; 침전조 내에서 발생하여 물위로 부상하는 스컴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부(104)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정류기(108)와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 스컴 제거장치(110)와; 호기조 내에 설치되고 침전조와 연통되도록 배출 배관부(78) 및 유입배관부(79)와 연결 설치되되, 상기 호기조 내의 슬러지를 급속 혼화하여 침전조의 슬러지 수집부(108)로 배출하기 위한 혼화장치(1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류기(108)는, 원통형상의 정류통(30)과; 상기 정류통(30)의 내측부에 설치되어 슬러지의 입자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슬러지를 침전조 내 전체에 균등 배분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하부 정류판(34) 및 상부 정류판(3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혼화장치(114)는 사각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스컴유입 방지몸체(86)와; 상기 스컴유입 방지몸체(86)의 내측에 다수개의 고정봉(88)에 의해 고정되고 노치부(85)를 이용하여 슬러지의 유입을 걸러주기 위한 유입필터부재(84)와; 상기 유입필터부재(84)의 하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배관 직선부(80)와; 상기 배관 직선부(80)의 내측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슬러지를 급속 혼화하기 위한 스크류(8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침전조 내로 유입되는 슬러지의 입자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침전조 내 전체에 걸쳐서 균등하게 배분하도록 함으로써 침전지 전면적을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그로 인하여 크기가 커진 슬러지 입자로 인하여 슬러지 수집효율을 크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침전조 내의 회전축부와 동일 중심선상에 정류기와 스컴 제거장치와 슬러지 수집부를 설치할 수 있게 됨으로써 슬러지를 효율적으로 수집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정류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정류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정류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설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기의 회전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기의 회전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기의 혼화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설치 상태도
도 10은 종래의 슬러지 수집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상태도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으로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하기에 실시예로서 기술되는 구성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기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정류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정류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정류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설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기의 회전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기의 회전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기의 혼화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설치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기를 설명하여 보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기(100)는, 회전구동모터(102)와, 회전축부(104)와, 슬러지 수집부(106)와, 정류기(108)와, 스컴 제거장치(110)와, 회전 지지부재(112)와, 혼화장치(114)를 포함한다.
회전구동모터(102)가 도시되지 않은 벽체 또는 프레임에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구동모터(102)의 아래방향으로는 수직하게 연장되고 회전 가능하도 회전축부(10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구동모터(102)는 슬러지를 수집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기(100)를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상기 회전구동모터(102)로부터 제공되는 동력을 이용하여 상기 회전축부(104)가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104)의 하단부에는 슬러지를 모으고 배출하기 위한 슬러지 수집부(106)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슬러지 수집부(106)는, 완만한 브이자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회전축부(104)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호기조로부터 유입되는 슬러지를 모아서 배출하도록 회전축부(104)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다수의 스크레이퍼(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부(104)의 하단에는 슬러지 수집부(106)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104)의 중단부에는 정류기(10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류기(108)는 호기조로부터 배출되고 유입되는 슬러지를 여과하되, 상기 슬러지 수집부(106)가 설치된 침전조 내에 균일하게 분포되면서 슬러지가 모아지도록 균일분산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정류기(108) 내부에는 슬러지를 분산 여과시키기 위한 정류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정류기(108)의 상부에는 침전조 내에서 발생하는 스컴을 모아서 제거하기 위한 스컴 제거장치(110)가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스컴 제거장치(110)는 상기 회전축부(104)에 일단부가 연결 고정되되, 상기 회전축부(104)와 함께 회전하도록 스키머(74)를 포함한다.
상기 스키머(74)는 상기 침전조 내에서 슬러지는 가라앉고 물 위로 부상하여 뜨는 스컴을 회전하면서 긁어 모아서 제거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정류기(108)의 내측부에는 상하부에 각각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회전축부(104)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 지지부재(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회전 지지부재(112)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회전축부(104)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슬러지 수집부(106)의 회전이 침전조 내의 중앙에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원할하게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호기조에서는 미생물에 의해 발생하는 스컴과 슬러지를 여과하여 침전조 내로 배출하는바, 상기 호기조에서 발생한 스컴을 여과하기 위해 혼화장치(114)가 설치되고 상기 혼화장치(114)에 의해 스컴이 필터링되어 슬러지를 배출하고 배출된 슬러지를 다시 여과하여 침전조 내의 슬러지 수집부(106)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혼화장치(114)는 호기조에서 침전조에 설치된 슬러지 수집기(100)로 보낼 때 스컴이 유입되지 않도록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서 호기조 내에서 급속 혼화시킴으로써 스컴이 침전조로 유입되지 않도록 나선형상의 스크류(82)를 포함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회전축부(104)를 침전조 내의 중심부에 위치시키고 상기 회전축부(104)와 동일한 중심을 갖도록 정류기(108)를 설치하고 상기 정류기(108)를 설치함에도 불구하고 상기 회전축부(104)의 중심선상에 슬러지 수집부(106)와 스컴 제거장치(110)가 서로의 간섭없이 회전 동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정류기(108)를 통과한 슬러지 입자들의 부피가 커지고 균일하게 하향 배출되며 슬러지 수집부(106)로 균등 배분되며 침전됨으로써 침전조 내의 하부 전면적을 활용할 수 있으므로 슬러지 수집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기(100)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회전구동모터(102)가 고정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구동모터(102)의 하부에는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축부(10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회전축부(104)는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된 축몸체(10)로 이루어지고, 상기 축몸체(10)의 하단부에는 상부 고정 브라켓(12)이 좌우측부에 대향하여 고정 설치되고, 상기 좌우측부에 설치된 상부 고정 브라켓(12)에는 와이어(14)의 일단이 연결 설치된다.
상기 상부 고정 브라켓(12)과 일정거리 이격된 하단부에는 좌우측부에 각각 대향하여 하부 고정 브라켓(16)이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하부 고정 브라켓(16)의 하부에는 연결부재(18)가 회전 가능하도록 횡방향으로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재(18)의 좌우측부에는 스크레이퍼(20)를 구비한 트러스 프레임(22)이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트러스 프레임(22)의 외측 끝단 상부에는 트러스 고정 브라켓(24)이 고정 형성되며, 상기 트러스 고정 브라켓(24)에는 전술된 와이어(14)의 타단이 연결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된 회전축부(104)의 하단 밑면에는 침전조 내에 고정되도록 회전 받침부(2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회전 받침부(26)에는 완화부재(28)가 내삽 되어 있다.
상기 완화부재(28)는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회전축부(104)의 축몸체(10)의 하면과 접촉하여 회전 마찰과 상부에서 가압되는 하중을 탄력적으로 받쳐줌과 동시에 상기 슬러지 수집부(106)의 스크레이퍼(20)가 회전시 원할하게 회전동작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이어서,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정류기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정류기(108)는 호기조를 통해서 유입되는 슬러지들을 침전조 내부 전체에 균일하게 배분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입되는 슬러지들의 입자를 크게 만들어서 슬러지 수집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축부(104)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류기(108)는 원통형상으로 정류통(30)이 형성되고, 상기 정류통(30)의 내측 중단부에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정류공(40)이 형성된 하부 정류판(34)이 좌하향되어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정류판(34)의 근접한 상부에는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서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정류공(40)이 형성된 상부 정류판(36)이 우하향되어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정류통(30)의 상단부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되어서 상부 플랜지부(38)가 형성된다.
도 3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정류판(34)은 좌하향하여 경사가 진 상태로 설치되되, 다수의 정류공(40)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축몸체(10)가 끼워지는 축공(42)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42)의 근접한 좌측부에는 배관공(44)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정류공(40)은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직경이 더 커지도록 형성되고 혼화장치(114)로부터 유입되는 슬러지 크기의 입자가 우측부의 정류공(40)을 통해서 배출되면서 크게 만들어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공(44)에는 전술된 혼화장치(114)로부터 유입되는 슬러지를 통과시키기 위한 유입배관부(79)가 수직 상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정류공(40)은 슬러지들이 우측부에서 더 많이 더 크게 하향 배출된다.
상기 상부 정류판(36)은 우하향하여 경사가 진 상태로 설치되되, 다수의 정류공(40)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상기 축몸체(10)가 끼워지는 축공(42)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42)의 근접한 좌측부에는 배관공(44)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정류공(40)은 좌측방향에서 우측방향으로 진행하면서 직경이 더 커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혼화장치(114)로부터 유입되는 슬러지 크기의 입자가 우측 상방에서 배출되면서 더 크게 만들어지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다수의 정류공(40)은 슬러지들이 우측부에서 더많이 더 크게 형성되어서 하향 배출된다.
상기 정류기(108)는 정류통(30)의 중심부에는 축몸체(1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축몸체(10)의 일측 도4에 도시된 바로는 좌측부에 유입 배관부(79)가 상기 정류판(34,36)에 끼워져서 고정 설치됨으로써 회전축부(104)의 축몸체(10)가 지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정류통(30)의 상부에는 스컴 제거장치(110)가 상기 축몸체(10)에 유착 고정되어 있고, 상기 축몸체(10)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축몸체(10)에는 하부 및 상부에 회전 지지부재(112)가 일정한 거리로 상하 이격되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정류기(108)의 상부에는 스컴 제거장치(110)가 설치되어 침전조 내의 물위로 부상하는 스컴을 제거하도록 설치되어 있는바, 상기 일단부가 상기 축몸체(10)에 융착 고정되어 가로방향으로 길게 설치되고 다수의 고정공(73)이 형성된 스키머 아암(72)과, 상기 스키머 아암(72)의 우측 하부에 고정되어 스컴을 긁어 모으기 위한 다수의 고정공(75)이 형성된 스키머(74)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스키머(74)의 좌측단부에는 계단 형상의 결합 단턱부(76)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 단턱부(76)가 상기 정류통(30)의 상부 플랜지부(38)와 지그재그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플랜지부(38)와 결합단턱부(76)가 결합설치됨으로써 상기 축몸체(10)가 회전함에 따라 스키머(74)가 함께 회전하며 상기 정류통(30)의 외측면을 쓸어내듯이 스컴을 모으면서 상기 회전축부(104)와 동일한 중심선상에서 슬러지 수집부와 함께 일체의 회전동작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어서,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회전 지지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회전축부(104) 축몸체(10)의 하부 및 상부에 일정 거리로 이격되어서 지지하도록 회전 지지부재(112)가 각각 설치되어 있는바, 회전 지지부재(112)는, 상기 축몸체(10)를 외측부에서 감싸도록 설치되는 베어링(50)과, 상기 베어링(50)의 하부에서 베어링(50)을 받쳐주도록 고정 설치되는 하부 받침부재(52)와, 상기 베어링(50)의 상부에서 베어링(50)의 이탈을 방지하고 원할할 회전동작을 지지하도록 고정 설치되는 상부 받침부재(60)와, 상기 하부 받침부재(52)와 상부 받침부재(60)의 외측부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베어링(50)과 하부 받침부재(52)와 상부 받침부재(60)를 동시에 고정 지지하기 위해 마주보도록 고정되는 한 쌍의 베어링 측부 가이드(66)를 포함한다.
상기 베어링(50)은 수중 베어링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술하여 보면, 상기 하부 받침부재(52)는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좌우측 외주면에는 상방향으로 돌출된 가이드(56)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56)의 내측부에는 안착부(54)가 형성되며, 중앙부에는 축공(58)이 형성되고, 상기 축공(58)의 근접한 외측방향에는 다수의 베어링 고정공(5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하부 받침부재(52)의 상기 안착부(54)에 상기 베어링(50)이 삽입 안착되고, 상기 베어링 고정공(51)에 볼트,너트,스크류 등의 고정수단(도면부호 도시안함)에 의해 베어링(50)과 연결 고정된다.
그리고, 상부 받침부재(60)는 원판형상으로 형성되고, 외주면부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베어링 가이드(62)가 형성되고 내부면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베어링 가이드(63)가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가이드(62)와 베어링 가이드(63) 사이에는 안착부(64)가 형성된다.
상기 안착부(64)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의 베어링 고정공(61) 및 유동방지 고정공(6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베어링 고정공(61)은 볼트,너트, 스크류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베어링(50)을 고정하기 위함이고, 상기 유동방지 고정공(65)은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받침부재(60)가 베어링(50)의 상면부에서 슬립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방향에서 가압되면서 베어링(50)의 상면에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베어링(50)의 하면부는 하부 받침부재(52)로 감싸면서 고정하고, 베어링(50)의 상면부는 상부 받침부재(60)로 감싸면서 견고하게 고정하되, 상기 하부 받침부재(52)와 상부 받침부재(60)의 외측면부는 베어링 측부 가이드(66)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상기 베어링 측부 가이드(66)는 원호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받침부재(52)와 상부 받침부재(6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한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어링(50)을 외측면부에거 강하게 조여줌으로써 고정시킨다.
상기 베어링 측부 가이드(66)는 상방향으로 돌출되고 니은자 또는 역니은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중앙 상부면에는 안착부(68)가 형성되고, 상기 상방 돌출된 베어링 측부 가이드(66)를 좌우로 관통하는 받침부재 고정공(70)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안착부(68)에는 상기 하부 받침부재(52)의 가이드(56)가 안착되고 상기 받침부재 고정공(70)에는 다수의 고정수단을 체결하되, 상기 다수의 고정수단을 상기 상부 받침부재(60)의 베어링 가이드부(62)에 체결 고정한다. 즉, 다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하부 받침부재(52)와 상부 받침부재(60)와 베어링 측부 가이드(66)가 상기 베어링(50)을 한몸으로 고정하여 일체가 되도록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계속해서,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혼화장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혼화장치(114)는 호기조 내에서 미생물에 의해서 폭기되어 발생하는 스컴의 배출을 방지하고 호기조 내의 슬러지를 급속으로 혼합하여 침전조내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혼화장치(114)는 호기조 내에서 침전조로 슬러지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 배관부(78)가 형성되고, 상기 배출 배관부(78)의 좌측부에 상방향으로 연장 설치되는 배관 직선부(80)가 형성되고, 상기 배관 직선부(78)의 내측부에는 나선형상의 스크류(80)가 내삽되며, 상기 배관 직선부(78)의 상단부에는 유입 필터부재(84)가 융착 설치된다.
상기 유입 필터부재(84)의 외측부에는 스컴유입 방지몸체(86)가 설치되고, 상기 스컴유입 방지몸체(86)는 다수의 고정봉(88)들에 의해 고정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먼저, 스컴유입 방지몸체(86)는 사각형상의 이루어지고 상하로 관통되어 있고, 상기 스컴유입 방지몸체(86)의 내측부에는 호기조내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걸러내기 위한 유입필터부재(84)가 설치되는바, 상기 유입 필터부재(84)는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부에는 다수의 노치부(8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노치부(85)는 산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골과 골 사이를 통하여 화살표 방향과 같이 슬러지가 유입된다.
상기 스컴유입 방지몸체(86)와 유입필터부재(84)의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다수의 고정봉(88)에 의해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봉(88)은 상하부에 각각 고정되고 상기 스컴 유입 방지몸체(86)가 흔들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잡아주기 위해서 사면에 모두 고정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필터부재(84)의 하면부에는 원통형상의 배관 직선부(80)가 융착 고정되고, 상기 배관 직선부(80)의 내측부에는 나선형의 스크류(8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 직선부(80)의 하부에는 슬러지를 침전조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 배관부(78)가 연속해서 연결 설치된다.
상기 호기조 내의 슬러지는 도 7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과 같이 일정한 거리로 이격되어 고정된 스컴유입 방지몸체(86)와 유입필터부재(84)의 사이로 유입되고, 상기 노치부(85)를 지나서 유입되고, 상기 노치부(85)를 통과한 슬러지는 상기 스크류(82)를 통과하면서 혼화되어 배출 배관부(78)로 배출되어진다.
이때, 상기 배출 배관부(78)에는 침전조 내의 유입 배관부(79)가 연결 설치되어 있고, 유입 배관부(79)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정류통 내측부에 연장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호기조 내의 슬러지는 상기 유입필터부재(84)와 스크류(82)를 통과하면서 급속 혼화되고 상기 배출 배관부(78)와 유입 배관부(79)를 통과하여 정류기(108)의 상부 및 하부 정류판(36,34)을 통과하면서 입자가 커지고 슬러지 수집부(106)로 균등하게 배분되어 쌓이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슬러지 수집기의 전체 설치 상태도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호기조 내에 슬러지를 침전조로 배출하기 위한 혼화장치(114)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혼화장치(114)는 침전조 내로 연결되어 슬러지를 공급하고 여과하여 입자를 균등 배분하는 정류기(108)와 연결되며, 상기 정류기(108)에 의해 균등배분되는 슬러지는 하향으로 배출되어 슬러지 수집부(108)로 분산된다.
상기 슬러지 수집부(108)는 가로방향으로 회전축부(104)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104)는 수직하게 설치되어 상기 회전구동모터(102)에 의해 회전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정류기(108)를 통과한 슬러지를 모아서 배출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104)에는 정류기(108)의 상단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부(104)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스컴 제거장치가(110)가 설치되어 물 위로 부상하는 스컴을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이러한 범위내의 기술적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 있다고 할 것이다.
10 : 축몸체 12 : 상부 고정브라켓
14 : 와이어 16 : 하부 고정브라켓
18 : 연결부재 20 : 스크레이퍼
22 : 트러스 프레임 24 : 트러스 고정브라켓
26 : 회전 받침부 28 : 완화부재
30 : 정류통
34 : 하부 정류판 36 : 상부 정류판
38 : 상부 플랜지부 40 : 정류공
42 : 축공 44 : 배관공
46 : 하부키부 48 : 상부키부
50 : 베어링 52 : 하부 받침부재
54 : 안착부 56 : 가이드
58 : 축공 60 : 상부 받침부재
62 : 베어링 가이드부 64 : 안착부
66 : 베어링 측부 가이드 68 : 안착부
70 : 수납부 72 : 스키머 아암
74 : 스키머 76 : 결합단턱부
78 : 배출 배관부 80 : 배관 직선부
82 : 스크류 84 : 유입 필터부재
86 : 스컴유입 방지몸체 88 : 고정봉
100 : 슬러지 수집기
102 : 회전구동모터 104 : 회전축부
106 : 슬러지 수집부 108 : 정류기
110 : 스컴 제거장치 112 : 회전 지지부재
114 : 혼화장치

Claims (3)

  1. 회전구동모터(102)와, 회전축부(104)와, 상기 회전축부(104)와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모아서 배출하는 슬러지 수집부(106)를 포함하고 호기조 내의 슬러지를 유입하여 침전조 내에 슬러지를 배분하는 원형 침전지의 슬러지 수집기에 있어서,
    호기조 내에서 유입되는 슬러지의 입자를 크게하고 침전조 내부 전체에 균등하게 배분하고 상기 회전축부(104)와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되는 정류기(108)와;
    침전조 내에서 발생하여 물위로 부상하는 스컴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회전축부(104)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정류기(108)와 동일 중심선상에 설치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 스컴 제거장치(110)와;
    호기조 내에 설치되고 침전조와 연통되도록 배출 배관부(78) 및 유입배관부(79)와 연결 설치되되, 상기 호기조 내의 슬러지를 급속 혼화하여 침전조의 슬러지 수집부(106)로 배출하기 위한 혼화장치(114)를 포함하되,
    상기 혼화장치(114)는
    사각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 스컴유입 방지몸체(86)와;
    상기 스컴유입 방지몸체(86)의 내측에 다수개의 고정봉(88)에 의해 고정되고 노치부(85)를 이용하여 슬러지의 유입을 걸러주기 위한 유입필터부재(84)와;
    상기 유입필터부재(84)의 하부면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배관 직선부(80)와;
    상기 배관 직선부(80)의 내측부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슬러지를 급속 혼화하기 위한 스크류(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108)는,
    원통형상의 정류통(30)과;
    상기 정류통(30)의 내측부에 설치되어 슬러지의 입자의 크기를 증가시키고 슬러지를 침전조 내 전체에 균등 배분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설치되는 하부 정류판(34) 및 상부 정류판(3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수집기.
  3. 삭제
KR1020200123277A 2020-09-23 2020-09-23 슬러지 수집기 KR102234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277A KR102234086B1 (ko) 2020-09-23 2020-09-23 슬러지 수집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3277A KR102234086B1 (ko) 2020-09-23 2020-09-23 슬러지 수집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4086B1 true KR102234086B1 (ko) 2021-03-31

Family

ID=75238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3277A KR102234086B1 (ko) 2020-09-23 2020-09-23 슬러지 수집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408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742B1 (ko) * 2021-11-26 2022-05-31 주식회사 케이디 슬러지 침강 촉진용 슬러지 수집장치
CN115569413A (zh) * 2022-12-09 2023-01-06 烟台兴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去除矿浆表面漂浮物的浓密机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810B1 (en) * 2002-03-22 2003-05-09 Global Technology Dt Inc Settling tank with improved structure
KR200332821Y1 (ko) * 2003-08-29 2003-11-10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슬러지 농축 장치
KR20090105317A (ko) 2008-04-02 2009-10-07 주식회사 한힘테크놀러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스컴배출장치
KR101029605B1 (ko) * 2010-10-12 2011-04-15 황병호 무동력 응집 혼화장치
KR101701253B1 (ko) 2016-08-01 2017-02-02 주식회사 가온텍 급속응집침전 원형 슬러지수집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2810B1 (en) * 2002-03-22 2003-05-09 Global Technology Dt Inc Settling tank with improved structure
KR200332821Y1 (ko) * 2003-08-29 2003-11-10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슬러지 농축 장치
KR20090105317A (ko) 2008-04-02 2009-10-07 주식회사 한힘테크놀러지 원형슬러지 수집기의 스컴배출장치
KR101029605B1 (ko) * 2010-10-12 2011-04-15 황병호 무동력 응집 혼화장치
KR101701253B1 (ko) 2016-08-01 2017-02-02 주식회사 가온텍 급속응집침전 원형 슬러지수집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3742B1 (ko) * 2021-11-26 2022-05-31 주식회사 케이디 슬러지 침강 촉진용 슬러지 수집장치
CN115569413A (zh) * 2022-12-09 2023-01-06 烟台兴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去除矿浆表面漂浮物的浓密机
CN115569413B (zh) * 2022-12-09 2023-03-07 烟台兴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去除矿浆表面漂浮物的浓密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7413A (en) Apparatus for clarification of water
KR101577348B1 (ko) 스크린, 와류, 여과 및 응집기능 복합형 종합 수처리장치
US4003832A (en) Method of applying ozone and sonic energy to sterilize and oxidize waste water
KR102234086B1 (ko) 슬러지 수집기
KR101728525B1 (ko) 하수 처리 장치
KR20010087229A (ko) 고체 액체 분리장치
KR102013599B1 (ko)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JP4765045B2 (ja) 固液分離装置および固液分離システム
KR101728529B1 (ko) 하수 처리 장치
KR101951202B1 (ko) 침전지용 슬러지 수집장치
SE503468C2 (sv) Förfarande för rening av en vätska från fasta och upplösta föroreningar med ett flotationsuppklarnings- flockningsförfarande
RU2426696C2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4774491B2 (ja) 固液分離システム
AU624335B2 (en) Apparatus and process to separate and remove extraneous matter from a liquid stream
KR102063343B1 (ko) 화학 응집 침전 여과장치
KR101249777B1 (ko) 슬러지 침강장치
KR101545538B1 (ko) 하이브리드형 상향류식 여과장치를 이용한 강우 유출수 처리시스템
KR20100004577A (ko) 혼합용 스크류가 설치된 수처리용 침전조
KR101783292B1 (ko) 하수 처리 장치
CN214457183U (zh) 一体化组合式气浮过滤装置
CN211946606U (zh) 一种工业废水沉降处理装置
CN108751611A (zh) 高效印染废水处理系统及其处理方法
KR100960643B1 (ko) 오염수 처리장치
CN210711192U (zh) 塑料清洗用水的循环处理装置
JP2505719B2 (ja) 液体処理装置及びこれを使用した液体処理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