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3209B1 -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3209B1
KR101863209B1 KR1020170154609A KR20170154609A KR101863209B1 KR 101863209 B1 KR101863209 B1 KR 101863209B1 KR 1020170154609 A KR1020170154609 A KR 1020170154609A KR 20170154609 A KR20170154609 A KR 20170154609A KR 101863209 B1 KR101863209 B1 KR 101863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module
scum
pressing
suppor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우찬
Original Assignee
청록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청록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청록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170154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32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3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3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에 있어서, 전처리 과정을 거친 오ㆍ폐수를 저장하여 상기 오ㆍ폐수에 포함된 고형물중 물보다 무거운 슬러지는 침전조의 저면에 설치된 스크레퍼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침전조의 저면에 설치된 수집구로 유입되도록 하고 수집된 슬러지를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오.폐수의 수면으로 부상하되는 스컴은 수면과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전되는 스키머를 회전시키면서 침전조의 둘레면 일측에 설치된 스컴수거조로 배출시키되, 상기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는, 상기 침전조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 및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를 포함하는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침전조에 저장된 오ㆍ폐수의 수면으로 부상된 스컴을 배출시키는 스키머의 일측에서 공기를 분사시켜 스컴을 침전조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고 배출된 스컴에 포함된 수분을 배수시킴은 물론 스컴을 압축하여 탈수 및 부피를 최소화여 스컴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SCUM EXHAUST APPARETUS OF PRECIPITATION TANK}
본 발명은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ㆍ폐수의 수면으로 부상되는 스컴을 신속하게 배출시켜 스컴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 시키고 수분이 탈수된 스컴을 압착하여 부피를 줄여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운용 상의 소음과 진동을 최소화시켜 작업 현장의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처리 과정을 거쳐서 유입된 하수ㆍ폐수등의 처리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은 침전조에 공급하고 적정시간이 경과되어 물보다 무거운 슬러지가 침전조(1)의 저면에 침전되면 구동수단(2)을 작동시켜 침전조(1)의 하부에 침전된 침전물이 부상되지 않도록 스크레퍼(3)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침전조(1)의 저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구(4)로 유입되도록 하고 수집된 슬러지는 배출구(5)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한편, 침전조(1)로 유입된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중 물보다 가벼운 스컴은 수면으로 부상하게 되므로 수면과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구동수단(2)에 의해서 회전되는 스키머(6)를 회전시키면서 수면으로 부상된 스컴을 침전조(1)의 둘레면 일측에 설치된 스컴수거조(7)로 배출시키며 이와같이 배출된 스컴이 상기 스컴수거조(7)의 내부에 안착된 수거함(8)에 쌓이면 상기 수거함(8)을 인출하여 스컴을 폐기처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장치는 수면으로 부상된 스컴이 회전되는 스키머(6)에 의해서 원심력이 발생되어 침전조(1)의 일측면에 설치된 스컴수거조(7)로 배출되므로 상기 스키머(6)에 스컴이 부착될 경우에는 배출되지 않게 되었다. 또한 스키머(6)에 의해서 배출된 스컴에는 다량의 수분이 함유되어 있게되므로 소각이나 매립등의 방법으로 폐기처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건조장치가 반드시 필요하여 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었다. 그리고 스컴수거조(7)의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스컴에서 발생되는 악취가 공기를 오염시키게 됨은 물론 비가올 경우에는 비가 스컴수거조(7)로 유입되어 이동 및 보관시 스컴이 외부로 유출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 현장 상에서 설비의 운용으로 인한 충격과 소음 발생으로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73542호
본 발명은 침전조에 유입된 오ㆍ폐수의 수면으로 부상되는 스컴을 신속하게 배출시켜 스컴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 시키고 수분이 탈수된 스컴을 압착하여 부피를 줄여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으며,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운용 상의 충격과 소음을 완화시켜 작업 환경을 쾌적하게 개선할 수 있는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에 있어서, 전처리 과정을 거친 오ㆍ폐수를 저장하여 상기 오ㆍ폐수에 포함된 고형물중 물보다 무거운 슬러지는 침전조의 저면에 설치된 스크레퍼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침전조의 저면에 설치된 수집구로 유입되도록 하고 수집된 슬러지를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오.폐수의 수면으로 부상하되는 스컴은 수면과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전되는 스키머를 회전시키면서 침전조의 둘레면 일측에 설치된 스컴수거조로 배출시키되, 상기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는, 상기 침전조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 및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를 포함하는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침전조에 저장된 오ㆍ폐수의 수면으로 부상된 스컴을 배출시키는 스키머의 일측에서 공기를 분사시켜 스컴을 침전조의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키고 배출된 스컴에 포함된 수분을 배수시킴은 물론 스컴을 압축하여 탈수 및 부피를 최소화여 스컴의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둘째, 침전조에서 배출된 후 스컴수거조에 모아지는 스컴이 차단된 상태로 처리되므로 악취가 대기중에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특히 비가오는 악천우에도 스컴을 용이하게 처리 할 수 있다.
셋째,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의 운용상에 발생되는 충격과 소음을 저감시켜 현장 주변의 환경을 보다 괘적하고 안정적으로 조성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침전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가 설치된 침전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탈수부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7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가 설치된 침전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4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가 설치된 침전조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B - B선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탈수부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침전조(1)에 저장된 오ㆍ폐수의 수면으로 부상된 스컴을 배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침전조(1)에 저장된 오ㆍ폐수의 수면과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있는 스키머(6)의 중심축 일측에 상기 스키머(6)측으로 공기를 분사시켜 스컴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에어분사노즐(1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스키머(6)에 의해서 배출된 스컴이 모아지는 스컴수거조(7)의 내부에는 스컴에 포함된 수분을 탈수 시키는 탈수관(11)의 단부가 삽입되어 있되, 하측 저면에는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이 배출될 수 있도록 다수의 배수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탈수관(11)의 내부에는 스컴을 이동시키기 위한 스크류축(13)이 삽입되어 있으며 이 스크류축(13)에 형성된 스크류의 간격은 이동되는 스컴을 압축하여 탈수 시킬 수 있도록 하부보다 상부의 간격이 점점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탈수관(11)의 상측은 플레이트(14)에 설치된 지지봉(15)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고, 상측 저면에는 스크류축(13)에 의해서 이동되면서 압축되어 수분이 탈수된 스컴이 배출되는 배출관(16)이 형성되어 있다.
탈수관(11)의 상측 단부에는 스크류축(13)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17)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4)의 상측에는 배출관(16)에서 배출되는 스컴을 모으기 위한 스컴수거조(7)가 배출관(16)의 직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전처리 과정을 거친 오ㆍ폐수를 침전조에 공급하고 적정시간이 경과되어 물보다 무거운 슬러지가 침전조(1)의 저면에 침전되면 구동수단(2)을 작동시켜 침전조(1)의 하부에 침전된 침전물이 부상되지 않도록 스크레퍼(3)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침전조(1)의 저면에 침전된 슬러지를 수집구(4)로 유입되도록 하고 수집된 슬러지는 배출관(16)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킨다.
한편, 침전조(1)로 유입된 처리수에 포함되어 있는 고형물중 물보다 가벼운 스컴은 수면으로 부상하게 되며 수면과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구동수단(2)에 의해서 회전되는 스키머(6)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에어분사 노즐(10)을 통하여 공기를 분사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공기에 해서 수면으로 부상된 스컴은 침전조(1)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스키머(6)에 스컴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게되므로 스컴을 원활하게 배출시키게 된다.
수면으로 부상된 스컴은 침전조(1)의 둘레면 일측에 설치된 스컴수거조(7)로 배출되는 것이다. 침전조(1)에서 배출된 스컴은 스컴수거조(7)에 삽입된 탈수관(11)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스컴과 함께 유입된 수분은 탈수관(11)에 형성된 배수공(12)을 통하여 배수되고, 수분이 배수된 스컴은 구동모터(17)가 구동함에 따라 회전되는 스크류축(13)에 의해서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축(13)에 형성된 스크류는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점차적으로 좁아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컴은 상부로 이동되면서 압축되어 스컴에 포함된 수분이 탈수 됨은 물론 부피가 축소된다.
이와 같이 압축된 스컴은 탈수관(11)의 상측에 형성된 배출관(16)을 통하여 배출되고 이 플레이트(14)의 상면에 설치된 스컴수거조(7)에 모아지게 되므로 스컴이 모아진 스컴수거조(7)를 이동시켜 간단하게 처리 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가 설치된 침전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4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가 설치된 침전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4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인쇄장치는 상기 침전조(1)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B)와, 상기 지지부(B)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110)와, 상기 베이스몸체부(110) 상에서 상기 지지부(B)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120)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1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110) 상에서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121)와, 상기 바닥부(1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122)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 상에서 지면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부(B),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110)을 더 포함한다. 상기 고정모듈(120)은 상기 베이스몸체부(110) 상에서 설정범위로 이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121)와, 상기 바닥부(12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B)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122)를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122)는 상기 바닥부(1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하단유동체(1221)와, 상기 최하단유동체(1221)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상단유동체(1223)와, 상기 최하단유동체(1221)와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유동체(1222)를 포함한다. 상기 최하단유동체(1221),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 및 상기 중단유동체(1222)의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내측면부에는 자성이 부여되는 자성층(ML)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B) 상에 자성 결합되되, 상기 유동체(122)는 내부에 수평형 완충공간(s1)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완충공간(s1) 상에는 바(Bar) 형상 탄성체(L)가 복수 구비된다. 상기 탄성체(L)는 상기 지지부(B) 기준으로 직교방향으로 위치된다. 상기 자성층(ML)에 후단측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초음파 진동부(EL)와, 히팅을 위한 히팅부(HL)가 구비된다. 상기 자성층(ML)은 외부 제어수단(미도시) 제어 하에 (예 : 전력원 공급 여부 등)에 따라 동작이 on 또는 off 되는 전자석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부(HL), 상기 초음파 진동부(EL), 상기 자성층(ML)의 동작은 외부 제어수단의 제어 하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동작되거나, 동시적으로 동작된다.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진퇴형 노즐(N)이 형성된다. 즉, 상기 지지부(B)를 향해 접착액을 토출한 뒤 상기 자성층(ML) 내부로 후퇴한다. 또한, 상기 노즐(N)이 상기 지지부(B)와 접촉함으로써 접착액을 토출하며 후퇴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유동체(122)는, 상기 완충공간(s1)들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충진물이 충진되고 외주면 또는 내주면 상에는 상기 충진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다수의 충진체(FU)가 구비되며, 상기 충진체(FU)는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충진물을 토출하여 인접하는 상기 완충공간 상에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충진물은 용융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분사액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체(122)는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 상에 구비되어,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123)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의 상부에는 완충패드(123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모듈(120)은,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면이 상하 방향 상으로 소정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B)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는 횡단면 기준으로 다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유동체(122)는, 상기 중단유동체(1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1221)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은 상기 중단유동체(1222)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1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1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필요에 따라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
도 15 내지 도 17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유동체(222)는 상기 중단유동체(2222)는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는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2222)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필요에 따라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한다.
도 18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는, 상기 지지부(B)를 향하는 전방이 후방과 상호 반전되도록 회전되며, 각 후단부 상에는 상기 지지부 상에 접촉되도록 하기위한 내부와 외부 간에 전진 및 후진 가능한 흡착모듈(I)이 구비된다. 상기 흡착모듈(I)은 제1 흡착모듈(I1)과, 상기 제1 흡착모듈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2 흡착모듈(I2)와, 상기 제2 흡착모듈(I2)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3 흡착모듈(I3)을 포함한다.
도 19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서 일정 범위로 유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2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가압모듈(P1)과, 상기 제1 가압모듈(P1)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가압모듈(P2)과, 상기 제2 가압모듈(P2)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중단유동체(2222)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3 가압모듈(P3)과, 상기 제3가압모듈(P3)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4 가압모듈(P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가압모듈(P1)은 상방에 상기 제1 가압모듈(P1)을 상기 베이스몸체부(210)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조임모듈(L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방에 상기 제2 가압모듈(P2)을 상기 제1 가압모듈(P1)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조임모듈(L2)이 구비되고, 상기 제3 가압모듈(P3)은 상방에 상기 제3 가압모듈(P3)을 상기 제2 가압모듈(P2)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조임모듈(L3)이 구비된다.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 상방에 상기 제4 가압모듈(P4)을 상기 제3 가압모듈(P3)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4 조임모듈(L4)이 구비되고, 상기 제1가압모듈(P1)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은(P4)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수동방식으로 동작되거나, 외부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자동방식으로 동작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동작된다.
도 20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P4)은, 각각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내지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상에 바(Bar)형상체로 결속되어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바 형상체로부터 상방과 하방간에 상대이동 가능하도록 결속된다. 상기 제2 가압모듈(P2)은 상기 제1 가압모듈(P1)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하단유동체(2221)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3 가압모듈(P2)이 상기 제2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중단유동체(2222)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고, 상기 제4 가압모듈(P4)이 상기 제3 가압모듈(P2)로부터 상승하여 바 형상체를 매개로 상기 최상단유동체(2223) 상에 가압힘을 제공하며, 상기 제2 가압모듈(P2) 내지 제4 가압모듈(P4)이 하방으로 유동되면 상기 제1 조임모듈(L1) 내지 상기 제4 조임모듈(L4)을 통해 상호 결속된다.
도 21은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승강부(123) 상에는 상기 지지부(B)를 항하여 진퇴 가능한 플레이트부(123a)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분사노즐(123b)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123b)은 상기 플레이트부(123a)가 상기 지지부(B)를 향하여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123)와 상기 지지부(B) 사이의 형성되는 소정의 충진공간(FS) 상에 접착액을 분사하여 토출시킨다. 상기 각 자성층(ML)의 내부에는 길이방향 상으로 소정의 관통공(FH)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123b)로부터 분사된 접착액은 상기 관통공(FH)에 유입되어, 상기 지지부(B)가 상기 고정모듈(120)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층(ML) 상호간을 결속시켜 상기 고정모듈(120)과 상기 지지부(B) 상호간의 결속을 강화시킨다. 상기 완충패드(1231) 상면부에는 상기 완충패드(123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본체부(1231a1)와, 상기 본체부(1231a1)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토출부(1231a2)를 포함하는 제2 분사노즐(1231a)이 구비된다. 상기 제2 분사노즐(1231a)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 상기 바닥부(121)는 하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1 가압체(121a)와, 수평방향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상기 제2 가압체(121b)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몸체부(110)는, 상방에 대한 가압힘으로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하기 위한 제3 가압체(3121c)가 구비된다. 상기 바닥부(121)는, 상기 제1 가압체(121a)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압체(121a)와 상기 바닥부(121)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3 분사노즐(AN1)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체(121b)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2 가압체(121b)와 상기 바닥부(121)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4 분사노즐(AN2)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110)는, 상기 제3 가압체(3121c)가 상기 지지부(B)를 가압한 상태에서 상기 제3 가압체(3121c)와 상기 베이스몸체부(110) 사이의 공간에 접착액을 토출하여 충진시기키 위한 제5 분사노즐(AN3)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몸체부(110)는, 저면부 상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제6 분사노즐(111)이 구비되며, 상기 제6 분사노즐(111)은 상기 베이스몸체부(110)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제2 본체부(111b)와, 제2 본체부(111b)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제2 토출부(111a)를 포함한다. 상기 제6 분사노즐(111)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한다.
도 22는 도 7에 따른 구성들 중 일부 구성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구성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2를 참조하면, 전술한바와 같이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N)이 구비 될 수 있는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지지부(B)에 대하여 접착액 토출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지지부(B)와 접촉에 기반하여 후퇴되면서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다른 변형예로서는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복수의 진퇴형 노즐(N)이 구비되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접착액(예: 에폭시 등) 토출하며, 상기 진퇴형 노즐(N)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상기 접착액과 혼합을 위한 유체(예 : 경화제, 첨가제, 기타 등)가 토출되는 것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자성층(ML)의 전단부에는 상기 진퇴형 노즐(N)을 수용하도록 소정형상의 믹싱모듈(MX)이 구비되며,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진퇴형 노즐(N)로부터 토출되는 접착액과 유체를 믹싱하여 믹싱 용액을 분사노즐(N2)을 통해 상기 지지부(B)에 토출한다.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혼합액과 상기 유체가 충진되며 충진되는 충진액을 믹싱 용액으로 믹싱하되, 상기 충진액과 상기 유체를 설정온도 값으로 유지한 채, 초음파 진동을 가한다. 상기 믹싱모듈(MX)은 상기 자성층(ML) 상의 내부 또는 외부로부터 진퇴 가능하도록 구비되거나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 침전조 2 : 구동수단
3 : 스크레퍼 4 : 수집구
5 : 배출구 6 : 스키머
7 : 스컴수거조 10 : 에어분사노즐
11 : 탈수관 12 : 배수공
13 : 스크류축 16 : 배출관
17 : 구동모터 18 : 하부구조물
FS1 : 제1 충진공간 FS2 : 제2 충진공간
FS3 : 제3 충진공간 PT1 : 제1 피스톤 부재
PT2 : 제2 피스톤 부재 PT3 : 제3 피스톤 부재
1B : 하부구조물

Claims (17)

  1.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에 있어서,
    전처리 과정을 거친 오ㆍ폐수를 저장하여 상기 오ㆍ폐수에 포함된 고형물중 물보다 무거운 슬러지는 침전조의 저면에 설치된 스크레퍼를 저속으로 회전시키면서 침전조의 저면에 설치된 수집구로 유입되도록 하고 수집된 슬러지를 배출구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오.폐수의 수면으로 부상하되는 스컴은 수면과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서 회전되는 스키머를 회전시키면서 침전조의 둘레면 일측에 설치된 스컴수거조로 배출시키되,
    상기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는,
    상기 침전조의 저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가 거치되는 소정의 베이스몸체부; 및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의 둘레부 적어도 일부에 접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를 고정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모듈은,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상기 지지부에 접하도록 구비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호간에 슬라이딩 방식으로 유동되어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는 복수의 구조물로 이루어진 유동체를 포함하되,
    상기 유동체는,
    상기 바닥부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하단유동체와, 상기 최하단유동체의 상방에 위치되는 최상단유동체와, 상기 최하단유동체와 상기 최상단유동체 사이에 구비되는 중단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최하단유동체, 상기 최상단유동체 및 상기 중단유동체의 상기 지지부를 향하는 내측면부에는 자성이 부여되는 자성층이 각각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 상에 자성 결합되되,
    상기 유동체는,
    내부에 수평형 완충공간이 다층으로 형성되고 상기 각 완충공간 상에는 바(bar) 형상 탄성체가 복수 구비되며, 상기 탄성체는 상기 지지부 기준으로 직교방향으로 위치되는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는,
    상기 완충공간들 사이에 높이방향으로 충진물이 충진되고 외주면 또는 내주
    면 상에는 상기 충진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다수의 충진체가 구비되며,
    상기 충진체는 외부 제어를 통해 상기 충진물을 토출하여 인접하는 상기 완충공간 상에 충진물이 충진되도록 하고,
    상기 충진물은 용융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수지 분사액을 포함하되,
    상기 유동체는,
    상기 최상단유동체 상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몸체부 저면부를 향하여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의 상부에는 완충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승강부 상에는 상기 지지부를 항하여 진퇴 가능한 플레이트부와,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접착액을 토출하기 위한 분사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플레이트부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부와 상기 지지부 사이의 형성되는 소정의 충진공간 상에 접착액을 분사하여 토출시키며,
    상기 고정모듈은,
    한 쌍 또는 두 쌍으로 구비되어 상호 대향하는 면이 상하 방향 상으로 소정의 함입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며, 상기 함입부는 횡단면 기준으로 다각 또는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는,
    상기 중단유동체는 상기 최하단유동체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는 상기 중단유동체 상에서 경사지도록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와 상기 최상단유동체는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필요에 따라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하는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유동체는,
    상기 중단유동체는 상기 최하단유동체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며,
    상기 최상단유동체는 상기 중단유동체 상에서 수평방향상으로 유동되고,
    상기 중단유동체와 상기 최상단유동체는 상기 지지부를 향하여 필요에 따라 택일적 이거나 획일적으로 유동하여 접하는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최하단유동체, 상기 중단유동체, 상기 최상단유동체는,
    상기 지지부를 향하는 전방이 후방과 상호 반전되도록 회전되며, 각 후단부상에는 상기 지지부 상에 접촉되도록 하기위한 흡착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흡착모듈은 제1 흡착모듈과, 상기 제1 흡착모듈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2 흡착모듈와, 상기 제2 흡착모듈로부터 진퇴형으로 구비되는 제3 흡착모듈을 포함하는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서 일정 범위로 유동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바닥부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1 가압모듈과,
    상기 제1 가압모듈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하단유동체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2 가압모듈과,
    상기 제2 가압모듈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중단유동체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3 가압모듈과,
    상기 제3 가압모듈의 상방으로 연동되어 상기 최상단유동체가 상기 지지부를 향하도록 가압힘을 제공하는 제4 가압모듈를 더 포함하는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압모듈은 상방에 상기 제1 가압모듈을 상기 베이스몸체부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1 조임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모듈은 상방에 상기 제2 가압모듈을 상기 제1 가압모듈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2 조임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제3 가압모듈은 상방에 상기 제3 가압모듈을 상기 제2 가압모듈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3 조임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제4 가압모듈은 상방에 상기 제4 가압모듈을 상기 제3 가압모듈 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제4 조임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제1 가압모듈 내지 상기 제4 가압모듈은 사용자의 조작에 기반하여 수동방식으로 동작되거나, 외부의 제어신호에 기반하여 자동방식으로 동작되되, 정회전 또는 역회전 방식으로 동작되는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각 자성층의 내부에는 길이방향 상으로 소정의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분사노즐로부터 분사된 접착액은 상기 관통공에 유입되어, 상기 지지부가 상기 고정모듈과 접한 상태에서 상기 각 자성층 상호간을 결속시켜 상기 고정모듈과 상기 지지부 상호간의 결속을 강화시키는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완충패드 상면부에는 상기 완충패드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와 외부로 출몰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접착액을 토출하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제2 분사노즐이 구비되며, 상기 제2 분사노즐은 자체적 또는 외부접촉에 기반하여 접착액을 토출하는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154609A 2017-11-20 2017-11-20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KR101863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609A KR101863209B1 (ko) 2017-11-20 2017-11-20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609A KR101863209B1 (ko) 2017-11-20 2017-11-20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3209B1 true KR101863209B1 (ko) 2018-07-13

Family

ID=6291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609A KR101863209B1 (ko) 2017-11-20 2017-11-20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32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599B1 (ko) * 2018-12-24 2019-08-23 주식회사 누리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631A (ko) * 2000-05-04 2001-11-14 홍광식 침전조용 스컴 배출장치
KR100706641B1 (ko) * 2006-12-12 2007-04-13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기둥 보강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0631A (ko) * 2000-05-04 2001-11-14 홍광식 침전조용 스컴 배출장치
KR100706641B1 (ko) * 2006-12-12 2007-04-13 (주)휴먼아키피아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 기둥 보강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3599B1 (ko) * 2018-12-24 2019-08-23 주식회사 누리 송풍장치를 활용한 하수처리장 침전조의 스컴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7389B1 (en) System for removing hydrocarbons and contaminates
KR101863209B1 (ko) 침전조용 스컴배출장치.
KR20170043945A (ko) 스컴 제거장치
KR100534680B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보충수의 재사용 방법
JP5933574B2 (ja) 沈殿池用スラッジ排出装置
US4399042A (en) Filter devices and methods
CN210874282U (zh) 一种混凝土生产废水回收利用设备
CN112427440B (zh) 一种水泥废料处理再生装置
KR102285127B1 (ko) 스키머 세척장치를 포함하는 용존부상장치
KR101777997B1 (ko) 장방형 폭기 침사 및 유분 제거 시스템
KR100650737B1 (ko) 침전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CN212355689U (zh) 一种处理加气混凝土坯体废料用反推式翻转动力机构
KR101727855B1 (ko) 스컴제거장치
KR101310021B1 (ko) 플라스틱 폐재의 세정 장치
KR200313445Y1 (ko) 건설폐기물의 이물질 선별 제거장치
KR101874567B1 (ko) 순환골재용 이물질 수력 분리장치
RU229728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нефтезагрязненного грунта от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CN112495649A (zh) 一种料液可回收的喷涂设备
JPH0629506B2 (ja) 地盤硬化材注入工法
KR101939612B1 (ko) 연약지반 보강을 위한 모래 연속 포설 장치 및 방법
KR100631042B1 (ko) 재생골재용 스크린필터
CN109351697A (zh) 一种矿业用的矿石表面清洗装置
CN219077179U (zh) 一种新拌混凝土废料收集再利用装置
CN212770135U (zh) 一种再生混凝土用废水回收利用系统
KR100453931B1 (ko) 건설폐기물의 재생골재 세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