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726Y1 - 세정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스크린고정식 세정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세정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스크린고정식 세정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726Y1
KR200143726Y1 KR2019960041949U KR19960041949U KR200143726Y1 KR 200143726 Y1 KR200143726 Y1 KR 200143726Y1 KR 2019960041949 U KR2019960041949 U KR 2019960041949U KR 19960041949 U KR19960041949 U KR 19960041949U KR 200143726 Y1 KR200143726 Y1 KR 200143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screen
sludge
water treatment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194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8900U (ko
Inventor
안효진
Original Assignee
유재영
에코필엔지니어링주식회사
한상우
한국탈수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재영, 에코필엔지니어링주식회사, 한상우, 한국탈수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재영
Priority to KR20199600419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726Y1/ko
Publication of KR199800289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890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7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4Maintenance of water treatment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벨트형 탈수기 벨트세척수 리사이클(RECYCLE)용이나 폐수처리장 폭기조 스프레이 노즐막힘 방지용, 웹 스크러버(WET SCRUBBR) 스프레이 노즐막힘 방지용, 지하수나 해수취수설비, 기계가공 절삭유리사이클시스템(RECYCLE SYSTEME), 생산가공 스프레이 노즐막힘 방지용 등으로 사용되는 세정수처리장치를 세정수압으로 동작되도록 구성한 세정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세정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크린을 고정하고 세정수압을 이용하여 스크린벽면에 붙은 슬러지를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를 구동시키므로서 별도의 외부동력이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한번 집하된 슬러지가 재부상하지 못하므로서 세정효율이 뛰어나며,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등 제작이 손쉬우면서도 고장이 없는 보다 경제적이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세정수처리장치를 제공하여 산업발전은 물론 환경오염을 방지하고자 함에 그 목적을 둔 것이다.

Description

세정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스크린고정식 세정수처리장치
제1도는 종래 세정수처리장치의 구성상태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을 구성하는 몸체의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인 어셈블리(ASSEMBLY) 구성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조립상태의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예시도로서,
(a)는 벨트프레스형 탈수기에 설비한 예시도.
(b)는 웹 스크러버(WET SCRUBER)에 설비한 예시도.
(c)는 폭기조스프레이시스템에 설비한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12 : 세정수유
13 : 슬러지집하용호파 13a : 차폐날개
14 : 슬러지추출부 15 : 밸브
20 : 밀폐플랜지 21 : 유출구
22 : 에어밴 30 : 스크린
31 : 여과공 40 : 임페라
50 : 스크레이퍼 51 : 중심축
52 : 회동브라켓 55 : 브러쉬
100 : 세정수가압펌프
본 고안은 벨트형 탈수기 벨트세척수 리사이클(RECYCLE)용이나 페수처리장 폭기조 스프레이 노즐막힘 방지용, 웹 스크러버(WET SCRUBBER) 스프레이 노즐막힘 방지용, 지하수나 해수취수설비, 기계가공절삭유리사이클시스템(RECYCLE SYSTEME), 생산가공 스프레이 노즐막힘 방지용등으로 사용되는 세정수처리장치를 세정수압으로 동작되므로 구성한 세정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세정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의 발전으로 수많은 산업기계를 가동시키는데 따른 산업용수의 사용으로 많은 수자원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여기서 발생하는 폐수가 환경오염의 한 원인이 됨으로서 한번 사용한 용수를 다시 정수처리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있다.
특히 벨트형 탈수기에서 벨트세척수를 재순환하여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에서나 기계가공시 사용되는 절삭유를 재순환하여 사용하는 절삭유 리사이클 시스템등에서는 한번 사용되어진 산업용수에 가공칩등 각종 슬러지가 포함되어지므로 이를 재순환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산업용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를 필수적으로 걸러주어야만 하며, 폐수처리장에서 사용되는 폭기조스프레이노즐이나 증기속의 수분을 제거하거나, 대기 오염물이 섞인 가스등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인 웹 스크러브(WET SCRUBBER)에서 사용되어지는 노즐, 생산가공 라인에서 가공칩등을 붙어주는 스프레이노즐 또는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에 의하여 노즐이 막히게 되어 고장을 유발히게 되므로 이들 또한 내부에 포함되어 있는 스러지를 걸러주어야만 하므로 본 고안인 세정수처리장치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같이 현대산업 구조에서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정수처리장치를 지금까지는 드럼형 오토스트레이너 시스템을 사용하였는바, 이는 드럼이 자주 막히거나 드럼인 입구로 벨트세척수가 넘쳐 여과되지 않은 세척수가 그대로 순환되어서 탈수기의 벨트세정노즐을 막히게 하기 때문에 노즐을 자주 청소하여야 하였으며, 이로 인하여 탈수기가 정상운전되지 못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첨부도면 제1도와 같이 밀폐된 몸체(1) 내부에 0.15mm 내지 0.2mm의 간격을 갖는 스크린(3)을 내장하고 산업용수를 스크린(3)을 통과시킴으로서 세정함과 동시에, 스크린(3) 외측에 브러쉬(5)를 고정설치하고 스크린(3)을 모터(2)의 동력으로 강제 회동시켜서 스크린(3)에 붙은 슬러지를 털어서 아래로 가라앉게 하여 드레인 하는 것이 있었으나, 이는 스크린(3)을 돌려주기 위한 별도의 동력원인 모터(2)를 필요로 할 뿐만아니라 세정수가 몸체(1) 일측으로부터 유입되어서 반대측으로 흘러나오는 구조이므로, 몸체(1) 내부에 차폐벽을 형성하여 유입된 오수와 세정된 세정수가 혼합되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으며, 스크린(3)에서 걸러진 슬러지가 아래로 가라앉았다가 스크린(3)이 회동하면서 발생되는 소용돌이에 의하여 재부상하여 스크린(3)에 걸리는등 세정작업에 많은 지장을 초래하였고, 스크린(3)이 회동하고 그 외측에 설치된 브러쉬(5)가 설치된 스크레이퍼가 고정된 상태에서 스크린(3)만 회동하게 됨으로서 세정수의 회오리가 제대로 일어나지 않아 슬러지가 아래측으로 쉽게 가라앉아 드레인되지 못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스크린을 고정하고 세정수압을 이용하여 스크린벽면에 붙은 슬러지를 제거하는 스크레이퍼를 구동시키므로서 별도의 외부동력이 없이 사용이 가능하며 한번 집하된 슬러지가 재부상하지 못하므로서 세정효율이 뛰어나며, 구조가 간단하여 조립등 제작이 손쉬우면서도 고장이 없는 보다 경제적이면서도 사용이 편리한 세정수처리장치를 제공하여 산업발전은 물론 환경오염을 방지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안출된 본 고안은, 세정수를 걸러주는 스크린을 고정한 상태에서 세정수를 측면으로 유입하여 상측으로 유출되도록 함과 동시에, 유입되는 세정수의 수압으로 임페라를 돌려서 스크린에 부착되어 있는 슬러지를 털어주는 브러쉬가 결합되어 있는 스크레이퍼를 회동시킴으로서 별도의 외부동력이 필요치 않으므로서 모터를 필요로 하지 않고, 하단의 슬러지 집합 호퍼 내주면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차폐날개를 구비하여 한번 아래로 집합된 슬러지가 재부상하지 않도록 하였다.
이와같은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10)의 상측 측벽에는 인벌류트(INVOLUT) 곡선방향으로 형성된 세정수유입구(12)를 형성하고, 내부 하측에 적어도 한 개이상의 차폐날개(13a)를 구비한 슬러지집하용호파(13)를 형성하며, 상기 슬러지집하용호파(13)의 하단에는 밸브(15)로 개폐되는 슬러지추출부(14)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 상단에 결합되는 밀폐플랜지(20)는, 첨부도면 제3도와 같이 중앙에는 걸러진 세정수를 유출하는 유출구(21)를 형성하고 그 일측에는 에어밴(22)을 형성한 다음, 상기 밀폐플랜지(20)의 저부에는 하단이 밀폐되고 주연에 여과공(31)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스크린(30)을 여과된 내부의 세정수가 유출구(21)로 유출되도록 일체로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밀폐플랜지(20)와 일체로 결합된 스크린(30)의 상측 외주연에는, 몸체(10) 측벽에 형성된 세정수유입구(12)로부터 유입하는 세정수압에 의하여 회동하는 임페라(40)를 설치하고, 상기 임페라(40)에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스크레이퍼(50)를 스크린(30) 외측에 등간격으로 설치하여, 상기 스크레이퍼(50)에 결합된 브러쉬(55)가 스크린(30) 외주면을 긁어주도록 스크레이퍼(50) 하단은 중심축(51)이 지지되어 회동하는 회동브라켓(52)에 결합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첨부도면 제4도와 같이, 몸체(10) 내부에 하나의 어셈블리로된 스크린(30)과 임페라(40), 브러쉬(55)가 결합된 스크레이퍼(50)를 삽입하여 밀폐플랜지(20)를 몸체(10) 상단에 결합하면, 스크린(30) 외주면 상측에 설치한 임페라(40)는 몸체(10) 상측에 인벌류트곡선상으로 형성된 세정수유입구(12)와 일치되어서 세정수유입구(12)로부터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는 세정수의 수압이 임페라(40)에 작용하여 임페라(40)가 회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인 세정수압을 동력원으로 이용한 스크린고정식 세정수처리장치(A)를 첨부도면 제5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벨트형 탈수기 벨트세척수 리사이클 시스템(B)이나, 기계가공시 사용되는 절삭유를 재순환하여 사용하는 절삭유 리사이클 시스템(C) 폐수처리장에서 사용되는 폭기조스프레이 시스템, 증기속의 수분을 제거하거나, 대기 오염물이 섞인 가스등을 분리하기 위한 장치인 웹 스크러버(WET SCRUBBER)시스템(D) 등에 설비하여 사용할 때 한번 사용되어진 세정수는 가공칩이나 오물등의 슬러지가 포함된 상태에서 별도로 설비된 세정수가압펌프(100)에 의하여 일정한 압력을 가지고 본고안의 몸체(10) 측면에 형성된 세정수유입구(12)를 통하여 몸체(10) 내부로 유입되면서 임페라(40)를 돌려준다.
상기와 같이 임페라(40)를 돌려주면서 몸체(10) 내부로 유입된 세정수는 몸체(10) 내부에 충진됨과 동시에 스크린(30)의 여과공(31)을 통과하면서 가공칩이나 오물 등의 슬러지가 걸러진다.
이때, 스크린(30)의 표면이나 여과공(31)에 끼어있는 슬러지는 유입되는 세정수의 수압으로 회동하는 임페라(40)와 일체로 회동하도록 설치된 스크레이퍼(50)의 브러쉬(55)가 털어주게 되고, 걸러진 슬러지는 자중에 의하여 아래로 낙하하여서 슬러지집하용호파(13)로 침전되는데, 스크레이퍼(50)가 회동하면서 일으키는 와류에 의하여 슬러지의 침전 속도는 더욱 빠르게 진행된다.
여기서 한번 슬러지집하용호파(13) 내부로 침전된 슬러지는 적어도 한 개이상 형성한 차폐날개(13a)에 저지되어서 재부상하지 못하고 슬러지집하용호파(13) 내부에 그대로 머무르게 됨으로써 여과효과는 더욱 뛰어나게 된다.
이와같이 정제된 세정수는 스크린(30) 내부에서 상측으로 흘러서 밀폐플랜지(20)의 중앙에 형성된 유출구(21)를 통하여 유출된 다음 또다시 세정수로 사용된다.
이와같이 세정수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슬러지집하용호파(13) 내부에 집하된 슬러지는 슬러지추출부(14)에 형성된 밸브(15)를 열어서 드레인 하면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스크린을 밀폐플랜지에 일체로 고정하여 스크레이퍼와 임페라등을 하나의 어셈블리로 형성하여 조립 및 제작이 손쉽고 고장수리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세정수의 수압으로 임페라를 돌려서 그 동력으로 브러쉬가 달린 스크레이퍼를 돌려주어서 스크린에 끼이는 슬러지를 털어 주므로, 여기에 따른 별도의 동력원인 모터를 제거하여 에너지 절감은 물론 제작원가를 대폭 절감하였으며, 스크레이퍼 회동으로 몸체 내부에서 와류를 더욱 크게 일으켜 슬러지의 침전을 더욱 유리하게 하였고, 하단의 슬러지집하용호파에 차폐날개를 형성하여 한번 침하한 슬러지가 재부상하지 못하게 하여 정제능력이 더욱 뛰어나게 하는등, 실사용에 있어서 매우 유용한 신규한 고안이다.

Claims (4)

  1. 세정수를 걸러주는 스크린을 유출구가 형성된 밀폐플랜지에 고정하여 세정수가 몸체 측면에 형성된 유입구로 유입되어서 상기 유출구로 유출되도록 한 것과, 상기 스크린의 표면에 부착되는 슬러지를 털어 주는 브러쉬가 결합된 스크레이퍼를 세정수압으로 회동시키도록 한 것과, 하단의 슬러지집합호퍼내주면에 차폐날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스크린고정식 세정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가 결합되는 스크레이퍼는, 몸체 내부로 유입하는 세정수의 수압으로 회동하는 임페라와 일체로 결합되어서 세정수가 몸체 내부로 유입됨과 동시에 회동하여 스크린 외주면에 붙은 슬럿지를 브러쉬가 털어주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스크린 고정식 세정수처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과 브러쉬가 결합되는 스크레이퍼, 이와 일체로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임페라가 몸체 상단에 결합되는 밀폐플랜지에 설치되어 어셈블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의 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스크린고정식 세정수처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 내부하측에 형성되는 슬러지집하용호파 내부에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호파형 차폐날개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수와 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스크린고정식 세정수처리장치.
KR2019960041949U 1996-11-26 1996-11-26 세정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스크린고정식 세정수처리장치 KR200143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949U KR200143726Y1 (ko) 1996-11-26 1996-11-26 세정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스크린고정식 세정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1949U KR200143726Y1 (ko) 1996-11-26 1996-11-26 세정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스크린고정식 세정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900U KR19980028900U (ko) 1998-08-05
KR200143726Y1 true KR200143726Y1 (ko) 1999-06-15

Family

ID=194750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1949U KR200143726Y1 (ko) 1996-11-26 1996-11-26 세정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스크린고정식 세정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72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937B1 (ko) * 2006-08-29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분사노즐 막힘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8510A (ko) * 2001-07-30 2001-09-28 김행웅 배수용 오물제거장치
CN117427519B (zh) * 2023-12-22 2024-03-26 山东上远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药剂净化处理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4937B1 (ko) * 2006-08-29 2008-02-20 주식회사 포스코 분사노즐 막힘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8900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62956Y1 (ko) 오폐수 처리장치
KR101302269B1 (ko) 하이드로싸이클론 농축장치
KR100328545B1 (ko) 액체 여과용 필터의 연속 세척 장치
KR100212298B1 (ko) 오폐수 정화처리장치
KR100518805B1 (ko) 분뇨 및 축산폐수용 협잡물 종합처리기
KR200143726Y1 (ko) 세정수압을 동력원으로한 스크린고정식 세정수처리장치
KR100479476B1 (ko) 드럼필터 및 와류형여과기를 이용한 하폐수 재이용 처리장치
KR200406764Y1 (ko) 일체형 스크린 및 원통형 모래제거기
KR0121460Y1 (ko) 무전력 탈리액 여과장치
KR100380225B1 (ko) 싸이클론식 연속여과기의 자동 역세 장치
CN109019922B (zh) 一种污水处理设备
KR200203076Y1 (ko) 협잡물 제거장치의 보조장치(2)
KR200242878Y1 (ko) 수처리장의 침사물 분리기
DK3150558T3 (en) PROCEDURE FOR CLEANING USED WASHING WATER FROM CAR WASHING INSTALLATION AND CAR WASHING INSTALLATION
JP2896660B2 (ja) 集塵装置
KR20090028134A (ko) 회전드럼식 고액분리기
JP2005238055A (ja)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
KR20030024518A (ko) 산업용 스트레이너
CN213037552U (zh) 一种用于纸箱清洁生产的废水处理装置
CN219043149U (zh) 一种处理循环污水的节水装置
CN220317467U (zh) 一种工业污水处理用净化箱
KR100274536B1 (ko) 역세척 기능이 구비된 자흡식 여과장치 및 여과방법
CN212151687U (zh) 一种垃圾处理的油水分离器
KR200400257Y1 (ko) 오폐수 정화용 슬러지 분리기
CN220026258U (zh) 一种便于维护的污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