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4036B1 - 케이블 드래그 장치 및 케이블 드래그 장치를 수용하는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 Google Patents

케이블 드래그 장치 및 케이블 드래그 장치를 수용하는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4036B1
KR100924036B1 KR1020077026191A KR20077026191A KR100924036B1 KR 100924036 B1 KR100924036 B1 KR 100924036B1 KR 1020077026191 A KR1020077026191 A KR 1020077026191A KR 20077026191 A KR20077026191 A KR 20077026191A KR 100924036 B1 KR100924036 B1 KR 100924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drag
support element
strand
bar segment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8311A (ko
Inventor
씰로-알렉산더 재커
안드레아스 헤르메이
프랭크 블라제
Original Assignee
이구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이구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1183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3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4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4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F16G13/16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with arrangements for holding electric cables, hos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12Hauling- or hoisting-chains so called ornamental chai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06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extensible carrier for the cable, e.g. self-coiling sp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59/00Chain, staple, and horseshoe making
    • Y10S59/90Plas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 공급 케이블을 가이드하기 위한 케이블 드래그 장치 (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는 서로 힌지되며, 교차 연결부에 의해 상호연결된 각각 두 개의 사이드 바 (3)를 포함하는 다수의 부재 (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장치의 상부 스트랜드가 상기 상부 스트랜드의 적당한 유지 장치에서 적절히 지지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1)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어도 일부 부재 (2)의 사이드 바 (3)가, 인접 부재에 대응하여 기본적으로 선형인 위치를 가질 때, 상기 각각의 사이드 바 (3) 외측 면 (10)의 잔류 영역 넘어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지지 요소 (9)를 포함한다. 이러한 지지 요소가 상기 인접 부재에 대응하여 오프셋 (offset)할 때는, 상기 각각의 사이드 바 (3) 외측 면 (10)의 잔류 영역 넘어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는다. 상기 인접 부재에 제공된 조절기 (11)가 상기 부재의 대응 위치에 따른 상기 지지 요소 (9)의 위치 설정에 영향을 끼친다.
케이블 드래그 장치, 유지 장치, 조절기, 부재, 스트랜드, 지지 요소

Description

케이블 드래그 장치 및 케이블 드래그 장치를 수용하는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CABLE DRAG ARRANGEMENT COMPRISING A CABLE DRAG DEVICE AND A RETAINING DEVICE RECE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보팅 (pivoting)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부재를 포함하고, 이러한 부재들 각각이 교차 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사이드 바 (side bar)를 가지고, 하부 스트랜드 (strand), 하부 스트랜드로부터 이어지는 휨 지대 (deflection zone), 및 상기 휨 지대로부터 이어지는 상부 스트랜드를 형성하며, 상기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으로 전후 이동이 가능하고, 이러한 의미에서 상기 부재가 상기 스트랜드에서 기본적으로 선형인 (linea) 배열로부터 상기 휨 지대에서 각진 대응 위치로 선회 (pivot)될 수 있으며, 이 위치에서부터 기본적으로 선형인 배열로 다시 선회될 수 있는, 에너지 라인 (line)을 가이드하기 (guide) 위한 케이블 드래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드래그 장치 및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상부 스트랜드용 유지 (retaining) 장치를 포함하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하부 스트랜드는, 알려진 다양한 설계의 가이 드 트로프 (trough)의 도움으로 가이드 (guide)되거나 놓여지며, 또한 이동 경로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에는 평평한 바닥에 단순히 놓여진다. 이동 경로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 상기 상부 스트랜드는 자가지지 (self-supporting) 상부 스트랜드로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반해 이동 경로가 상대적으로 긴 경우, 상기 상부 스트랜드는 그것의 무게때문에 지지되어야만 한다.
만일 상부 스트랜드가 이동 연결부에 연결되어, 전후로 이동한다면, 상대적으로 긴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경우에는, 상기 상부 스트랜드가 하부 스트랜드 위에 놓이고, 상기 하부 스트랜드가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각각의 이동 위치에서 충분한 길이를 가질 때는 상기 하부 스트랜드에 슬라이드 (slide)된다. 상기 하부 스트랜드를 넘어, 그리고 그것의 연장 부분에서, 슬라이딩 레일이 상기 하부 스트랜드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하부 스트랜드를 넘어 연장되는 상기 상부 스트랜드가 슬라이드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휨 지대로부터 이어지는 경우에, 상기 상부 스트랜드가 배열되어 동일한 높이에서 선형 방식으로 이동한다.
특히, 만일 상부 스트랜드가 충분한 길이 이상으로 고정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상기 하부 스트랜드가 이동 연결부에 연결되어 전후 이동이 가능해진다면, 상기 상부 스트랜드의 지지가 필요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하부 스트랜드의 연장으로 고정 지지 레일을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여기서 상기 상부 스트랜드의 밑면이 지지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 스트랜드용의 적당한 유지 장치에서 그것의 상부 스트랜드를 적절히 지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유형의 케이블 드래그 장치를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렉서블 (flexible) 리본 (ribbon) 케이블로 이루어진 에너지 라인을 가이딩하기 위한 케이블 드래그 장치는 유럽특허 제EP 0490022 A1호에 공개되어 있다.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양쪽 측면에, 상기 리본 케이블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 설정 (locating) 슬리브 (sleeve)에 장착되고 스프링이 걸려 있는 슬라이딩 (sliding) 요소 (element)를 갖는다. 상기 리본 케이블의 하부 스트랜드에 대한 하부 채널, 상부 스트랜드에 대한 상부 채널, 및 휨 지대에 대한 폭이 더 좁은 휨 채널이 상기 리본 케이블을 가이딩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리본 케이블이 이동할 때, 휨 지대가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휨 채널이 슬라이딩 블록 (block)의 도움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하부 및 상부 스트랜드에 대한 채널들에 장착된다.
상기 슬라이딩 요소가 폭이 더 좁은 휨 채널에 있을 때는 상기 스프링 장력 (tension)에 대항하여 위치 설정 슬리브 안으로 프레스 (press)되는 반면, 상기 스프링 장력이 상기 하부 및 상부 스트랜드에 대한 채널들에 있을 때는 상기 위치 설정 슬리브로부터 슬라이딩 요소를 돌출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리본 케이블의 상부 스트랜드가 상기 휨 지대로부터 멀어질 때, 상기 하부 스트랜드에 위치한 슬라이딩 요소가, 상기 폭이 더 좁은 휨 채널로 변환 영역 (transition area)을 형성하는 램프 (ramp)에 의해 상기 위치 설정 슬리브로 프레스된다. 상기 휨 채널을 떠나는 상기 슬라이딩 요소도 램프에 의해 상기 리본 케이블의 상부 스트랜드에 대한 더 넓은 채널로 가이드되어, 상기 스프링 장력의 결과로서 상기 위치 설정 슬리 브로부터 나온다. 그런 후, 상기 슬라이딩 요소는 상기 채널의 내향 (inward-facing) 벽부 (wall area)와 접촉하여, 이 영역에서 스라이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상부 스트랜드는 그것의 직선 위치에 있을 때 지지된다.
리본 케이블용으로 구상된 이러한 해결 방법의 단점은, 상기 스프링 장력때문에, 상기 슬라이딩 요소가 압력 하에 상기 휨 채널의 측벽에 반하여 놓이게 되는 것이다. 마찰로 인해, 이러한 압력이 상기 유지 장치에서 상기 리본 케이블의 이동을 방해하고, 슬라이딩 요소에 마모 (wear)를 이끌어, 슬라이딩 요소가 상기 지지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한 서비스 기간 이후 교체되어야만 한다. 더욱이, 상기 리본 케이블의 휨 지대에 적용되고, 슬라이딩 블록의 도움으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상기 하부 및 상부 스트랜드에 대한 채널들에 장착된 휨 채널을 사용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지 장치에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비교적 간단하고 저마모(low-wear) 가이던스 (guidance)를 허용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적은 다음에 의해 해결된다: 즉, 상기 기술 분야에서 언급된 종류의 케이블 드래그 장치에, 적어도 일부 부재들의 사이드 바가 인접 부재에 대응하여 기본적으로 선형인 위치에 있을 때는 해당 사이드 바 외측 면의 잔류 영역을 넘어 바깥쪽으로 돌출하지만, 상기 인접 부재에 대응하여 각진 위치에 있을 때는 해당 사이드 바 외측 면의 잔류 영역을 넘어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는 지지 요소를 구비되고, 조절기 (adjusting device)가 상기 부재의 대응 위치의 인과 작용으로서 상기 지지 요소의 위치 설정에 영향을 끼치는 상기 인접 부재에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설계로 인해, 상기 상부 스트랜드는 내향-돌출 벽부를 지닌 채널에 적절히 가이드되고 놓일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지지 요소가 지지된다.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가 이동할 때 상기 부재가 상기 상부 스트랜드에서 상기 휨 지대로 이동하여 인접 부재와 대응하여 각진 위치를 차지하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단으로 인해,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사이드 바의 외측 면 너머로 돌출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면서, 상기 채널에서 상기 사이드 바의 외측 면 너머로 돌출한다. 따라서, 상기 부재는 상기 유지 장치의 내향-돌출 벽부에 의해 형성된 협착부 (constriction)를 통과하여, 상기 유지 장치의 벽부에 의한 마찰에 노출되지 않고 상기 휨 지대로 들어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설계로 인해, 상기 채널과 대응하여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휨 지대에 대한 휨 채널이 형성되지 않는다.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는 종래의 피보팅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피보트 용이성 (pivotability)이 상기 부재의 피보팅 축 (pivoting axis)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며, 상기 피보팅 축은 예를 들어, 피보트 핀 (pin) 및 피보트 홀 (hole)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상기 부재는 또한 피보팅 연결을 허용하는 부재를 연결하거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를 통해 계속해서 연장하는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만일 상기 부재가 피보팅 축에 의해 연결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체인 고리로 설계된다면, 적어도 일부 체인 고리의 반대편 사이드 바가 안정된 방식으로 고리들을 함께 홀딩 (holding)하기 위한 가로대 (cross-piece)를 갖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전개에서, 상기 지지 요소는 피보팅 방향으로 향하며, 상기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놓인 지지 에지 (edge)가 구비되며, 이러한 지지 에지는, 해당 부재가 인접 부재와 대응하여 기본적으로 선형인 위치에 있을 때 바깥쪽으로 돌출한다. 그런 후, 상기 지지 에지는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상부 스트랜드에 대한 채널의 내측-돌출 벽부에서 지지된다.
본 발명의 이로운 실시예에서, 상기 부재는, 두 개의 인접 부재의 사이드 바들이 중첩되는 방식으로 설계되며, 여기서 상기 중첩 영역을 형성하는 바 세그먼트 (segment)가 상기 부재 중 일 부재의 외측과 타 부재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지지 요소가 바깥쪽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는 외측 바 세그먼트의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조절기는 내측 바 세그먼트의 외측 면에 위치된다. 이러한 설계로 인해, 상기 내측 바 세그먼트에 놓인 조절기와 상기 부재의 중첩 영역에서 외측 바 세그먼트에 놓인 지지 요소들간의 간단한 상호작용이 가능하다.
상기 조절기는 편의상, 외향 (outward-facing) 돌출부로 설계되는데, 여기서, 상기 외측 바 세그먼트의 영역으로서 지지 요소 및 상기 내측 바 세그먼트의 돌출부는, 상기 부재가 기본적으로 선형인 대응 위치로 선회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공정에서 지지 요소를 바깥쪽으로 연장하며, 지지 요소 하에 가이드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외측 바 세그먼트의 바깥쪽으로 구부려질 수 있는 영역으로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지지 요소 하에 그것의 방해받지 않는 가이던스에 대한 런업 (run-up) 표면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상기 지지 요소 또한 상기 돌출부에 대한 런업 표면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전개에서, 상기 지지 요소는, 일 끝단 (end)에서 상기 외측 바 세그먼트의 잔류 영역에 연결되지만, 슬릿 (slit)에 의해 상기 잔류 영역으로부터 분리되고, 타 끝단에서 상기 지지 에지를 갖는 외측 바 세그먼트의 스트립형 (strip-like) 에지 영역을 형성한다.
인접 사이드 바를 향하는 상기 외측 바 세그먼트의 잔류 에지 영역과 같은, 상기 지지 요소를 형성하는 스트립형 에지 영역은 바 평면 (plane)에서 부분 원 형태로 (in the form of a partial circle) 구부러질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상기 지지 에지를 형성하는 스르립형 에지 영역의 끝단이 상기 사이드 바의 중앙 길이 방향 축에 놓이게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바 세그먼트의 잔류 영역에 연결된 스트립형 영역의 끝단은 상기 사이드 바의 중앙 길이 방향 축에 수직으로 놓인 부분 원의 반경 (radius)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요소의 설계에서, 상기 돌출부가 부분 원 형태로 구부러지고, 상기 사이드 바의 중앙 길이 방향 축을 향해 솟아오른 런업 표면을 갖는 스트립 (strip)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상기 지지 요소를 형성하는 스트립형 에지 영역의 지지 에지로부터 이어지는 상기 외측 바 세그먼트의 에지 영역은 그것의 내측 면에 상기 지지 에지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리세스 (recess)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상기 지지 에지와 이격되어 면하는 리세스의 사이드 벽이 상기 돌출부에 대한 정지 면 (stop face)을 형성하여, 인접 부재가 각진 위치로 선회하는 것을 제한한다.
또한, 정지 면은 상기 외측 바 세그먼트 내측 면의 정지부와 상호작용하며, 상기 내측 바에 위치하여, 인접 부재가 상기 기본적으로 선형인 배열 및/또는 각진 위치로 선회하는 것을 제한한다.
상기 부재는 내측으로 크랭크된 (cranked) 바 세그먼트 및 외측으로 크랭크된 바 세그먼트와 크랭크된 사이드 바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상기 지지 요소는 외측으로 크랭크된 바 세그먼트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조절기는 내측으로 크랭크된 바 세그먼트에 위치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부재는 외측과 내측에 위치한 사이드 바를 교대로 가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 요소가 외측 사이드 바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조절기는 내측 사이드 바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요소는, 이러한 목적에 적합한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제를 사용하여, 상기 사이드 바와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지지 요소는 상기 사이드 바의 재료와 다른 재료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재료는 특히 상기 지지에 유리한 재료적 특성 및 적당한 슬라이딩 기능, 특히 상기 유지 장치의 재료에 관하여 내마모성 (wear resistance) 및 바람직한 마찰 계수를 보여준다. 특히, 상기 지지 요소는 단일 몰드 (mold)로 이중복합 사출성형 (two-component injection molding)에 의해, 또는 상기 지지 요소를 사전에 제조된 사이드 바에 사출성형하여, 사이드 바와 함께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목적은 상기 설명된 설계 특징을 지닌 케이블 드래그 장치 및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상부 스트랜드용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설비을 제공하는 것인데, 여기서 상기 유지 장치는 약간의 유격은 있으되, 비연장된 지지 요소를 지닌 부재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진 제1 영역과, 약간의 유격은 있으되, 적어도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 요소를 지닌 부재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으며 스텝 (stepped) 방식으로 더 넓어진 제1 영역 위에 위치한 제2 영역을 갖으며, 상기 상부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을 포함하여, 그 결과 상기 지지 요소가 상기 부재의 양쪽 측면의 더 넓은 영역의 스텝에서 지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 장치는 또한 상기 하부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하부 내향 벽부를 갖는 채널에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하부 스트랜드를 수용하며, 여기서 상기 하부 스트랜드의 부재가 적어도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 요소를 지닌 부재의 폭에 상응하는 폭으로, 그들의 밑면의 측면 영역에서 지지된다.
상기 유지 장치는 트로프 (trough)로 설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상부 스트랜드에 대한 상부 채널 및 상기 하부 스트랜드에 대한 하부 채널이 통합되어, 상기 상부 채널의 제1 영역이 최대 하부 채널까지 연장되고, 상기 하부 채널이 제1 영역에 비해 스텝 방식으로 넓어진다.
상기 트로프는 일체형 섹션 (section), 예를 들어 압출성형된 알루미늄 섹션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유지 장치는 그것의 상부 또는 하부 좁은 면 에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이동 연결 요소용 캐치 (catch)를 통과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방부 (opening)를 갖으며, 이 개방부는 전후 이동이 가능한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하부 스트랜드 또는 전후 이동이 가능한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상부 스트랜드에 연결된다.
대안적으로, 상기 캐치를 통과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개방부는 또한 상기 유지 장치의 측벽의 적절한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지 장치는 상기 개방부를 갖는 좁은 면과 (만일 그러하다면) 마주하는 그것의 좁은 면 중 하나에 고정 요소를 가질 수 있는데, 이에 의해 상기 유지 장치가 그것에 길이 방향으로 놓인 전반적인 구조물의 표면 및/또는 그것에 수직 방향으로 놓인 표면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스트랜드에 대한 채널의 제2 영역은 약간의 유격은 있으되,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 요소를 지닌 부재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진다.
더욱이, 상기 하부 스트랜드에 대한 채널 또한 약간의 유격은 있으되,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 요소를 지닌 부재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진다.
상기 상부 스트랜드에 대한 채널의 제2 영역의 높이는 적어도 상기 지지 요소의 지지 에지 이상의 부재의 높이를 갖는다. 상기 하부 스트랜드에 대한 채널의 해당 영역 또한 그러한 높이를 갖는다. 상기 두 개의 채널은 이격되어 배열되었음에 틀림없고, 여기서 상기 이격되는 거리는 적어도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아크형 (arc-shaped) 휨 지대의 직경에 상응한다. 상기 두 개의 채널들 사이의 거리 및 상기 휨 지대의 직경이 본래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제적 예는 하기 도면을 기본으로 더 자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도면들은 다음과 같다:
도 1a은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의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a는 도 1a에 도시된 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3a는 도 2a의 화살표 A 방향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4a는 도 2a에 도시된 부재의 좌측으로부터의 전면도이고;
도 5a는 도 2a에 도시된 부재의 우측으로부터의 전면도이고;
도 1b은 바같쪽으로 연장된 지지 요소를 지닌 도 1a에 도시된 부재의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1b에 도시된 부재의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2b의 화살표 B 방향에 따른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2b에 도시된 부재의 좌측으로부터의 전면도이고;
도 5b는 도 2b에 도시된 부재의 우측으로부터의 전면도이고;
도 6은 도 1a 내지 5b에 도시된 부재를 갖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및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설비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설비의 좌측으로부터의 전면도이고;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설비의 측면도이고; 및
도 9는 도 7의 표시된 부분 D의 확대도이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되지 않은 에너지 라인을 가이드하기 위해,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케이블 드래그 장치 (1)는, 도 1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대로, 피보팅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부재 (2)를 포함한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대로, 각각의 부재 (2)는 두 개의 마주보는 사이드 바 (3)를 갖으며, 이러한 바들은 상부 및 하부 가로대 (4) 및 (5)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특히,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대로, 케이블 드래그 장치 (1)는 하부 스트랜드 (6), 하부 스트랜드 (6)로부터 이어지는 휨 지대 (7) 및 휨 지대 (7)로부터 이어지는 상부 스트랜드 (8)를 상기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며, 전후 이동이 가능하다. 이러한 의미에서, 부재 (2)는 스트랜드 (6, 8)에서 기본적으로 선형인 배열로부터 휨 지대 (7)에서 각진 대응 위치로, 그리고 이 위치에서 다시 상기 기본적으로 선형인 배열로 선회될 수 있다.
부재 (2)가 하부 스트랜드 (6)에 평행하게 이격된 위치 (하기 더 상세히 설명됨)에 있을 때, 상부 스트랜드 (8)를 지지하기 위해, 부재 (2)의 사이드 바 (3)는 인접 부재에 대응하여 기본적으로 선형인 위치에 있을 때는 해당 사이드 바 (3)의 외측 면 (10)의 잔류 영역을 넘어 바깥쪽으로 돌출하지만, 상기 인접 부재에 대응하여 각진 위치에 있을 때는 해당 사이드 바 (3)의 외측 면 (10)의 잔류 영역을 넘어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는 지지 요소 (9)를 갖는다. 이러한 해당 부재의 지지 요소 (9)의 다른 위치 설정은 서로에 대응하는 부재 위치의 인과 작용 (causal function)으로서 상기 인접 부재에 놓인 조절기 (11)에 의해 영향받는다 (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됨).
도 1a 내지 도 5a에 도시된 부재 (2)의 지지 요소 (9)는 상기 인접 부재의 조절기에 의해 바깥쪽으로 연장되지 않지만, 도 1b 내지 5b에 도시된 부재 (2)의 지지 요소 (9)는 인접 부재의 조절기에 의해 바깥쪽으로 연장된다.
도 1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대로, 케이블 드래그 장치 (1)의 부재 (2)는 두 개의 인접 부재의 사이드 바 (3)가 중첩된 방식으로 설계되는데, 여기서 상기 중첩 영역을 형성하는 바 세그먼트는 상기 부재 중 일 부재 (2)의 외측 및 타 부재 (2)의 내측에 위치한다. 지지 요소 (9)가 바깥쪽 측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는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영역을 형성하는 반면, 조절기 (11)는 내측 바 세그먼트 (13)의 외측 면에 위치한다.
도 1a 내지 도 5b에 도시된 대로, 조절기 (11)는 외향 돌출부로, 지지 요소 (9)는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영역으로서 설계되고, 내측 바 세그먼트 (13)의 돌출부는, 상기 부재가 기본적으로 선형인 대응 위치로 선회될 때, 돌출부, 즉 조절기 (11)가 상기 공정에서 바깥쪽으로 지지 요소 (9)를 연장하며, 지지 요소 (9) 하에 안내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도 1a 및 도 2a뿐만 아니라, 도 1b 및 도 2b에 도시된 대로, 상기 지지 요소는 바 평면에서 부분 원 형태로 구부러지는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스트립형 에지 영역 (14)을 형성한다. 에지 영역 (14)은 일 끝단에서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잔류 영역에 연결되지만, 슬릿에 의해 그것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에지 영역 (14)은 타 끝단에서 지지 에지 (15)를 갖는다. 지지 에지 (15)는 완만한 외향 슬로프 (slop)(16) 및 완만한 내향 슬로프를 가질 수 있다.
지지 요소 (9)를 형성하는 에지 영역의 곡률 (curvature)은 인접 사이드 바를 향하는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잔류 에지 영역에 상응한다.
지지 에지 (15)를 형성하는 상기 스트립형 에지 영역의 일 끝단이 사이드 바 (3)의 중앙 길이 방향 축에 놓이는 반면,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잔류 영역에 연결된 상기 스트립형 에지 영역의 타 끝단은 사이드 바 (3)의 중앙 길이 방향 축에 수직으로 놓인 부분 원의 반경에 대략 위치한다.
조절기 (11)의 역할을 하는 돌출부는 또한, 부분 원 형태로 구부러지며, 상기 사이드 바의 중앙 길이 방향 축을 향해 솟아오르는 런업 표면 (16)을 갖는 스트립으로 설계된다.
특히,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대로, 부재 (2)는 내측으로 크랭크된 바 세 그먼트 (13) 및 외측으로 크랭크된 바 세그먼트 (12)와 크랭크된 사이드 바 (3)를 갖는다. 런업 표면 (16)이 구비된 상기 돌출부, 즉 조절기 (11)는 외측으로 크랭크된 바 세그먼트 (12)로 스텝형 (step-like) 변환하는 내측으로 크랭크된 바 세그먼트 (13)의 외측 면에 위치한다. 도 2a 및 2b에 도시된 대로, 지지 요소 (9)를 형성하는 스트립형 에지 영역의 지지 에지 (15)로부터 이어지는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에지 영역 (17)은 그것의 내측 면에 지지 에지 (15)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리세스 (18)를 갖는다. 지지 에지 (15)와 이격되어 면하는 리세스 (18)의 측벽 (19)은 상기 돌출부, 즉 조절기 (11)에 대한 정지 면을 형성하여, 인접 부재가 각진 위치로 선회되는 것을 제한한다. 런업 표면 (16)의 가장 높은 라인을 포함하는 돌출부의 측벽 (20)은 리세스 (18)의 측벽 (19)과 상호작용한다.
또한, 정지 면 (21) 및 (22)은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내측 면의 정지부 (23)와 상호작용하며, 내측 바 세그먼트에 위치하여, 인접 부재가 기본적으로 선형인 배열 또는 각진 위치로 선회하는 것을 제한한다.
도 1a에 도시된 대로, 예를 들어 부재의 사이드 바 (3)는 일체형 스키드 (24)를 구비하여, 하부 스트랜드 (6)가 가이드 장치에 놓이고, 아마도 슬라이드될 때 마모 및 소음을 줄인다. 스키드 (24)는 사이드 바 (3)과 일체로 제조될 수 있다. 스키드 (24)는 또한 특수 내마모성 및 소음 감쇄 (damping)의 재료적 특성을 지닌 다른 플라스틱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이드 바 (3) 위에 성형될 수 있다. 특히, 스키드 (24) 및 사이드 바 (3)는 단일 몰드로 이중복합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5b에 도시된 부재는 가볍고 간단한 설계상의 특징을 지닌다. 인접 부재들 (2) 사이에 피보팅 연결부는 피보트 핀 (25) 및 피보트 홀 (26)로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사이드 바 (3)는 하부 가로대 (4)에 의해 일체형으로 서로 연결된다. 상부 가로대 또한, 일체형 교차 연결을 형성한다. 대안적으로, 상기 가로대는 일반적인 방식으로 개방될 수 있거나, 케이블의 손쉬운 삽입을 위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피보팅 연결의 끊김을 막기 위한 추가 안전 장치로서, 피보트 핀 (25) 및 피보트 홀 (26)이 해제가능한 스냅인 (sanp-in)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5a에 도시된 부재 (2)의 실시예에서, 상부 가로대 (5)는, 사이드 바 (3)의 상부 너머로 돌출하는 탄성 스프링 요소 (27)를 갖는다. 상기 스프링 요소 (27)는, 부재 (2)가 휨 지대 (7)로부터 나와 하부 스트랜드 (6)로 이동할 때 댐핑 (damping) 요소 역할을 한다.
도 6 내지 도 9는 상기 설명된 부재 (2)를 포함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1)가 적당한 유지 장치 (28)에 놓이고 가이드되는 방법을 도시한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대로, 유지 장치 (28)는 약간의 유격은 있으되, 비연장된 지지 요소 (9)를 지닌 부재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진 제1 영역과, 약간의 유격은 있으되, 연장된 지지 요소 (9)를 지닌 부재 (2)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으며 스텝 방식으로 넓어진 제1 영역 위에 위치한 제2 영역을 갖으며, 케이블 드래그 장치 (1)의 상부 스트랜드 (8)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 (29)을 구비한다.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 요소 (9)는 부재 (2)의 양쪽 측면의 더 넓은 영역의 스텝 (32)에서 지지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설비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1) 및 유지 장치 (28)를 포함하며, 여기서 상부 스트랜드 (8)는 상기 도들에 도시되지 않은 고정 연결부에 연결되는 반면, 하부 스트랜드 (6)는 이동 연결부 (33)에 연결된다. 만일 하부 스트랜드 (6)가 이동 연결부 (33)를 통해 휨 지대 (7)로부터 이동한다면, 상기 휨 지대 (7)로부터 이어지는 상부 스트랜드 (8)의 부재 (2)는 상기 휨 지대 (7)로 선회한다. 이와 같은 부재 (2)가 인접 부재에 대응하여 각진 위치로 선회하는 동안, 조절기 (11)가 지지 요소 (9)의 영역 밖으로 선회되어, 지지 요소 (9)가 그것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비연장된 위치로 다시 이동한다. 결과적으로, 부재 (2)는 더 넓은 제2 영역 (31)을 벗어나 상부 스트랜드 (8)에 대한 채널 (29)의 더 좁은 제1 영역으로 이동한다.
반대로, 상기 설명된 이동 동안, 하부 스트랜드 (6)에 인접한 휨 지대의 부재 (2)가 하부 스트랜드 (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유지 장치 (28)의 채널 (34)로 들어간다. 부재 (2)가 각진 위치에서 나와 상기 공정에서 기본적으로 선형인 배열로 선회되기 때문에, 지지 요소 (9)가 조절기 (11)의 런업 표면 (16)을 따라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사이드 바의 바깥쪽 외측 면 (10)을 넘어 돌출한다. 이러한 이유로, 하부 스트랜드 (6)에 대한 채널 (34)은 약간의 유격은 있으되,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 요소 (9)를 지닌 부재 (2)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도록 설계된다.
하부 스트랜드 (6)를 수용하는 채널 (34)은 하부 내향 벽부 (35)가 구비되고, 여기서 하부 스트랜드 (6)의 부재 (2)가 그들의 밑면의 측면 영역에서 지지된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대로, 유지 장치 (28)는 섹션, 예를 들어 압출성형된 알루미늄 섹션으로 설계되고, 여기서 상부 스트랜드 (8)에 대한 상부 채널 (29) 및 하부 스트랜드 (6)에 대한 하부 채널 (34)이 통합된다. 이러한 의미에서, 상부 채널 (29)의 제1 영역 (30)은 최대 하부 채널 (34)까지 연장되어, 하부 채널 (34)이 상기 제1 영역 (30)에 비해 스텝 방식으로 넓어진다.
상기 케이블을 통과하고 캐치를 이동 연결부 (33)에 연결하기 위해, 유지 장치 (28)의 하부 좁은 면은 벽부들 (35) 사이에서 벽부 전체 길이 이상으로 연장하는 개방부 (36)를 갖는다.
유지 장치 (28)는 개방부 (36)와 마주하는 좁은 면에 고정 요소 (37)를 갖는다. 이에 의해, 유지 장치 (28)가 그것에 길이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놓인 전반적인 구조물 (미도시)의 표면의 양쪽 측면에서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유지 장치 (28)의 밑면은 케이블 드래그 장치 (1)의 하부 스트랜드 (6)에 연결된 케이블 드래그 장치 (1)를 통과하기 위해 캐리지 (carriage)[미도시]용 가이드 프로파일 (guide profile)을 더 가질 수 있다.

Claims (26)

  1. 교차-연결부에 의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사이드 바 (3)를 각기 갖으며 피보팅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다수의 부재 (2)를 포함하고, 전후 이동이 가능하며, 하부 스트랜드 (6), 하부 스트랜드로부터 이어지는 휨 지대 (7) 및 휨 지대로부터 이어지는 상부 스트랜드 (8)를 상기 스트랜드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하고, 이러한 구성에 의해 상기 부재 (2)가 상기 스트랜드 (6, 8)의 기본적으로 선형인 배열을 벗어나 휨 지대 (7)에서의 각진 대응 위치로 선회되고, 다시 이 위치에서 기본적으로 선형인 배열로 선회될 수 있는, 에너지 라인을 가이드하기 위한 케이블 드래그 장치 (1)에 있어서,
    적어도 일부 부재 (2)의 사이드 바 (3)가 인접 부재에 대응하여 기본적으로 선형인 위치에 있을 때는 해당 사이드 바 (3)의 외측 면 (10)의 나머지 영역을 넘어 바깥쪽으로 돌출하지만, 인접 부재에 대하여 각진 위치에 있을 때는 해당 사이드 바 (3)의 외측 면 (10)의 잔류 영역을 넘어 바깥쪽으로 돌출하지 않는 지지 요소 (9)를 갖고, 조절기 (11)가 상기 부재의 대응 위치에 따라 상기 지지 요소 (9)의 위치 설정에 영향을 끼치는 인접 부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 (9)가 상기 부재의 길이 방향에 놓여 피보팅 방향으로 향하고, 해당 부재 (2)가 인접 부재에 대응하여 기본적으로 선형인 위치에 있을 때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지지 에지 (1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두 개의 인접 부재의 사이드 바 (3)가 중첩되며, 이때 상기 중첩 영역을 형성하는 바 세그먼트가 상기 부재 중 일 부재의 외측 및 타 부재의 내측에 위치하고, 지지 요소 (9)가 바깥쪽 측면으로 연장될 수 있는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영역을 형성하고, 조절기 (11)가 내측 바 세그먼트 (13)의 외측 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 (11)가 외향 돌출부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영역으로서 지지 요소 (9) 및 내측 바 세그먼트 (13)의 돌출부는, 상기 부재 (2)가 기본적으로 선형인 배열로 선회될 때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지지 요소 (9)를 바깥쪽으로 연장하며 상기 지지 요소 (9) 안쪽에서 가이드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 (9)가 상기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바깥쪽으로 구부러질 수 있는 영역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상기 지지 요소 (9)의 런업 표면 (16)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 (9)가 상기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스트립형 에지 영역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 요소 (9)의 일 끝단은 상기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나머지 영역에 연결되지만, 상기 지지 요소 (9)의 나머지 부분은 슬릿에 의해 상기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나머지 영역으로부터 분리되며, 상기 지지 요소 (9)의 타 끝단에서는 지지 에지 (15)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인접 사이드 바를 향하는 상기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잔류 에지 영역과 같은, 상기 지지 요소 (9)를 형성하는 스트립형 에지 영역이 바 평면에서 부분 원 형태로 구부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에지 (15)를 형성하는 스트립형 에지 영역의 끝단이 상기 사이드 바 (3)의 중앙 길이 방향 축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잔류 영역에 연결된 상기 지지 요소 (9)를 형성하는 스트립형 에지 영역의 끝단이 상기 사이드 바 (3)의 중앙 길이 방향 축에 수직으로 놓인 부분 원의 반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11. 삭제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 (9)를 형성하는 스트립형 에지 영역의 지지 에지 (15)로부터 이어지는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에지 영역 (17)이 에지 영역 (17)의 내측 면에 상기 지지 에지 (15)를 향해 개방된 리세스 (18)를 갖으며, 이때 상기 지지 에지 (15)로부터 이격되어 면하는 리세스 (18)의 측벽 (19)이 돌출부에 대한 정지 면을 형성하여, 인접 부재 (2)가 각진 위치로 선회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13. 제 3항에 있어서, 정지 면 (21, 22)이 내측 바 세그먼트 (13)에 위치하며, 상기 외측 바 세그먼트 (12)의 내측 면의 정지부 (23)와 상호작용하여, 인접 부재 (2)가 기본적으로 선형인 배열 또는 각진 위치로 선회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1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2)가 내측으로 크랭크된 바 세그먼트 (13) 및 외측으로 크랭크된 바 세그먼트 (12)와 크랭크된 사이드 바 (3)를 갖고, 상기 지지 요소 (9)가 외측으로 크랭크된 바 세그먼트 (12)에 위치하고, 조절기 (11)가 내측으로 크랭크된 바 세그먼트 (13)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1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부재 (2)가 외측에 위치한 외측 바와 내측에 위치한 내측 바를 교대로 갖고, 상기 지지 요소 (9)가 외측 바에 위치하고, 조절기 (11)가 내측 바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장치.
  16. 제 1항에 따른 케이블 드래그 장치 (1) 및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 (1)의 상부 스트랜드 (8)용 유지 장치 (28)를 포함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로서,
    상기 유지 장치 (28)가 약간의 유격은 있으되, 비연장된 지지 요소 (9)를 지닌 부재 (2)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가진 제1 영역 (30)과, 약간의 유격은 있으되,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 요소 (9)를 지닌 부재 (2)의 폭에 상응하거나 더 큰 폭을 갖으며 스텝 방식으로 넓어진 제1 영역 위에 위치한 제2 영역 (31)을 갖으며, 상기 상부 스트랜드 (8)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채널 (29)을 구비하여, 상기 지지 요소 (9)가 상기 부재 (2)의 양쪽 측면의 더 넓은 영역의 스텝 (32)에서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 (28)가 또한 하부 스트랜드 (6)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고, 하부 내향 벽부 (35)를 갖는 채널 (34)에서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 (1)의 하부 스트랜드 (6)를 수용하며, 이때 상기 하부 스트랜드 (6)의 부재 (2)가 적어도 부재 (2)의 밑면의 측면 영역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 요소 (9)를 지닌 부재 (2)의 폭에 상응하거나 더 큰 폭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 (28)가 트로프(trough)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상부 스트랜드 (8)에 대한 상부 채널 (29) 및 하부 스트랜드 (6)에 대한 하부 채널 (34)이 통합되고, 상기 상부 채널 (29)의 제1 영역 (30)이 최대 상기 하부 채널 (34)까지 연장하고, 상기 하부 채널 (34)이 제1 영역 (30)에 비해 스텝 방식으로 넓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 (18)가 일체형 섹션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20. 제 18항 또는 19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 (28)가 유지 장치 (28)의 상부 또는 하부 좁은 면에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 (1)의 이동 연결부 (33)용 캐치를 통과하기 위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방부 (36)를 갖으며, 이 개방부 (36)가 전후 이동이 가능한 상기 케이블 장치 (1)의 하부 스트랜드 (6) 또는 전후 이동이 가능한 상기 케이블 드래그 장치 (1)의 상부 스트랜드 (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장치 (28)가 개방부 (36)가 위치한 좁은 면과 마주하는 좁은 면에 고정 요소 (37)를 가짐으로써 상기 유지 장치 (28)는 상기 유지 장치 (28)에 길이 방향으로 놓인 표면과 수직 방향으로 놓인 표면 중 하나 이상에서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22. 제 16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스트랜드 (8)에 대한 채널 (29)의 제2 영역 (31)이,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 요소 (9)를 지닌 부재 (2)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23. 제 17항 내지 제 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스트랜드 (6)에 대한 채널 (34)이,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 요소 (9)를 지닌 부재 (2)의 폭에 상응하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24.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 (30) 의 폭과 상기 비연장된 지지 요소 (9) 를 지닌 부재 (2) 의 폭은 유격이 있도록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역 (31)의 폭과 상기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 요소 (9)를 지닌 부재 (2)의 폭은 유격이 있도록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26.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34)의 폭과 상기 바깥쪽으로 연장된 지지 요소 (9)를 지닌 부재 (2)의 폭은 유격이 있도록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KR1020077026191A 2005-04-11 2006-04-11 케이블 드래그 장치 및 케이블 드래그 장치를 수용하는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KR100924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0520005826 DE202005005826U1 (de) 2005-04-11 2005-04-11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und System bestehend aus einer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und einer diese aufnehmenden Haltevorrichtung
DE202005005826.2 2005-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311A KR20070118311A (ko) 2007-12-14
KR100924036B1 true KR100924036B1 (ko) 2009-10-27

Family

ID=3468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6191A KR100924036B1 (ko) 2005-04-11 2006-04-11 케이블 드래그 장치 및 케이블 드래그 장치를 수용하는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849667B2 (ko)
EP (1) EP1869744B1 (ko)
JP (1) JP4615598B2 (ko)
KR (1) KR100924036B1 (ko)
CN (1) CN101176243B (ko)
DE (2) DE202005005826U1 (ko)
WO (1) WO2006108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8005165U1 (de) 2008-04-15 2008-09-25 Igus Gmbh Quersteg, Glied einer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mit Quersteg,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und Set mit Quersteg
NL2003509A (en) 2008-10-21 2010-04-22 Asml Netherlands Bv Guiding device and guiding assembly for guiding cables and/or hoses, and a lithographic apparatus.
US20100243822A1 (en) * 2009-03-25 2010-09-30 Listan Asia Inc. Power supply cable outlet angle adjustment structure
DE202009005547U1 (de) * 2009-04-16 2009-08-20 Igus Gmbh Führungsrinne
DE102013102483B4 (de) * 2013-03-12 2022-08-04 Tsubaki Kabelschlepp GmbH Energieführungsvorrichtung mit einer Magnetkupplung
US9400431B2 (en) 2013-12-23 2016-07-26 United Microelectronics Corp. Supporting assembly with a rolling ball disposed directly below supporting rods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DE202014104075U1 (de) 2014-09-01 2014-09-09 Igus Gmbh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WO2016144317A1 (en) * 2015-03-09 2016-09-1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ollapsible wiring conduit for downhole linear actuator
JP6290811B2 (ja) * 2015-03-20 2018-03-07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6233723B2 (ja) * 2015-09-09 2017-11-2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ガイド装置
JP6378266B2 (ja) * 2016-08-08 2018-08-2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DE202017106108U1 (de) * 2017-10-09 2017-10-24 Igus Gmbh Leitungsführungssystem und Führungsrinne, insbesondere für hohe Verfahrgeschwindigkeiten
DE202018102238U1 (de) 2018-04-20 2018-04-26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mit Querstück, entsprechende Seitenlasche und Führungsanordnung hiermit
DE202019107117U1 (de) * 2019-12-19 2021-04-19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und Speichereinheit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DE202019107116U1 (de) * 2019-12-19 2021-03-22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und Speichereinheit für eine Energieführungskette
KR20210138966A (ko) * 2020-05-13 2021-11-22 이민우 무분진 케이블 베어
CN114725853B (zh) * 2022-03-18 2023-12-22 北京天玛智控科技股份有限公司 导向轨道总成和采煤机电缆拖拽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0289A1 (de) * 1996-04-22 1997-10-30 Igus Spritzgussteile für die Industrie GmbH Kanal für energieführungsketten
KR20010075712A (ko) * 1998-05-05 2001-08-09 이구스 슈프리츠구쓰타일레 퓌어 디 인두스트리 게엠베하 에너지 안내 체인
KR20020077897A (ko) * 2000-01-27 2002-10-14 이구스 슈프리츠구쓰타일레 퓌어 디 인두스트리 게엠베하 에너지 전달 체인
WO2002086349A1 (de) * 2001-04-23 2002-10-31 Igus Spritzgussteile für die Industrie GmbH Energieführungskett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29277A (en) 1977-02-07 1978-12-12 Mcgraw-Edison Company Retractable roller support for use with flexible rolling support for conductors or conduits
DE8901955U1 (ko) 1989-02-18 1989-04-06 Kabelschlepp Gmbh, 5900 Siegen, De
DE9016870U1 (ko) 1990-12-13 1992-04-16 W.L. Gore & Associates Gmbh, 8011 Putzbrunn, De
JP3100889B2 (ja) * 1995-10-27 2000-10-2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ドラグチェーンの回転角規制ストッパ衝接音抑止機構
DE29607171U1 (de) 1996-04-22 1996-06-13 Igus Gmbh Energieführungskette
DE29706670U1 (de) * 1997-04-14 1997-06-12 Igus Gmbh Führungsrinne für Energieführungsketten
JP3157491B2 (ja) * 1997-11-28 2001-04-16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可撓体の案内支持チェーン
DE29802278U1 (de) 1998-02-11 1999-06-10 Wampfler Ag Arbeitsplatz-Versorgungsvorrichtung
DE10053635A1 (de) 2000-10-28 2002-05-29 Ekd Gelenkrohr Gmbh Energieführungskette
JP2003032867A (ja) * 2001-07-13 2003-01-31 Sankei Seisakusho:Kk ケーブル・ホースの案内支持装置
JP4266745B2 (ja) 2003-08-18 2009-05-20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144869B2 (ja) * 2003-09-11 2008-09-03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JP4098275B2 (ja) * 2004-06-07 2008-06-11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7040289A1 (de) * 1996-04-22 1997-10-30 Igus Spritzgussteile für die Industrie GmbH Kanal für energieführungsketten
KR20010075712A (ko) * 1998-05-05 2001-08-09 이구스 슈프리츠구쓰타일레 퓌어 디 인두스트리 게엠베하 에너지 안내 체인
KR20020077897A (ko) * 2000-01-27 2002-10-14 이구스 슈프리츠구쓰타일레 퓌어 디 인두스트리 게엠베하 에너지 전달 체인
JP3705488B2 (ja) 2000-01-27 2005-10-12 イグス・シュプリッツグスタイレ・フュア・ディー・インドゥストリー・ゲゼルシャフト・ミット・ベシュレンクテル・ハフツング エネルギードラッグチェーン
WO2002086349A1 (de) * 2001-04-23 2002-10-31 Igus Spritzgussteile für die Industrie GmbH Energieführungske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536069A (ja) 2008-09-04
EP1869744A1 (de) 2007-12-26
DE112006001572A5 (de) 2008-03-27
EP1869744B1 (de) 2014-09-03
CN101176243B (zh) 2012-01-18
US7849667B2 (en) 2010-12-14
CN101176243A (zh) 2008-05-07
WO2006108401A1 (de) 2006-10-19
US20100175363A1 (en) 2010-07-15
JP4615598B2 (ja) 2011-01-19
DE202005005826U1 (de) 2005-06-16
KR20070118311A (ko) 2007-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4036B1 (ko) 케이블 드래그 장치 및 케이블 드래그 장치를 수용하는 유지 장치를 포함하는 케이블 드래그 설비
JP2008536069A5 (ko)
KR100411359B1 (ko) 라인 가이드 장치
KR101164720B1 (ko) 케이블 가이드 장치용 측벽 세그먼트 및 측벽 세그먼트를 갖는 케이블 가이드 장치, 그리고 측벽 세그먼트의 제조방법
CA2246451C (en) Energy guide chain with guide stop
KR101242858B1 (ko) 일체로 형성된 런너를 갖는 에너지 안내 체인
KR100517779B1 (ko) 에너지 안내 체인
US6615573B2 (en) Energy drag chain
US6695014B2 (en) Energy guiding chain
KR100391836B1 (ko) 에너지 안내 체인
US6835891B1 (en) Cover for cable trough
KR100388323B1 (ko) 에너지 안내 체인
TWI386567B (zh) 具減少噪音發出功能的導線導引裝置
KR20010072759A (ko) 라인 가이딩 장치
KR101962549B1 (ko) 안내 장치
NL8602265A (nl) Kabelgeleiding voor motorvoertuigschuifdaken.
US20060112671A1 (en) Arrangement of cross-members which are connected by connecting elements
KR100517777B1 (ko) 안내 홈
KR20040075979A (ko) 와이어, 케이블 등의 고정 안내를 위한 라인 안내 시스템및 지지 스트랩
CA3031262A1 (en) Chain for a screen device
KR20030028493A (ko) 라인 안내 장치
CN111801481A (zh) 用于车辆窗升降器的带动件
JP2023517462A (ja) 横断方向安定化のための簡素化されたガイドデバイス付きのラインガイドシステム及びそのためのアドオンモジュール
JPH0343431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