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8966A - 무분진 케이블 베어 - Google Patents

무분진 케이블 베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8966A
KR20210138966A KR1020200057103A KR20200057103A KR20210138966A KR 20210138966 A KR20210138966 A KR 20210138966A KR 1020200057103 A KR1020200057103 A KR 1020200057103A KR 20200057103 A KR20200057103 A KR 20200057103A KR 20210138966 A KR20210138966 A KR 20210138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link module
dust
coupled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1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민우
Original Assignee
이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민우 filed Critical 이민우
Priority to KR10202000571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38966A/ko
Priority to PCT/KR2020/012607 priority patent/WO2021230436A1/ko
Publication of KR20210138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896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3/00Chains
    • F16G13/02Driving-chains
    • F16G13/06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 F16G13/07Driving-chains with links connected by parallel driving-pins with or without rollers so called open links the links being of identical shape, e.g. crank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분진 케이블 베어에 관한 것으로, 복수 개의 링크모듈체가 회전가능하게 상호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링크모듈체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양측에 이격형성되는 링크부와, 대향하는 상기 링크모듈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시키며, 내부에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통로를 형성시키는 지지연결부 및 상기 링크모듈체가 상호 결합되어 접촉되는 접촉면 상에 구비되는 내마모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기의 작동 시 구성부품간의 반복적 마찰에 대한 열화성 마모현상에 따른 분진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또한, 내부의 케이블과 구성부품 간의 미세 반복 접촉에 의한 마모로 발생되는 분진발생의 억제 및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무분진 케이블 베어{Particle-free cableveyor}
본 발명은 케이블 베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찰 부위에 내마모성 재질의 수단을 구비하여 분진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무분진 케이블 베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케이블 베어(Cable veyor)는 자동화 장비의 전선과 호스를 보호하고 안전하게 가이드를 하기 위한 장치를 말한다.
다수의 링크가 체인 연결식과 같이 필요로 하는 만큼 상호 연결 조합되어 각각 링크의 마디마디가 굴곡지게 구비된 것으로, 그 내부에는 통로를 확보하여 반도체 장비, 클린룸 설비, 공작기계 로봇, 중단거리 산업기계 등의 각종 자동화기기에 접속된 케이블이나 유공압 호스를 수용함으로써, 일정한 각도로 움직이지 않는 기기에 접속된 케이블 또는 유공압 호스가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서 기기의 작동시 케이블이나 유공압 호스의 피복이 벗겨지거나 서로 꼬여서 단선이나 누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구의 일종이다.
상기 케이블 베어는 기본적인 상호 링크로 케이블에 안내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그 상부 및 하부에는 연결지지대로서 링크를 상호 지지하면서 내측의 케이블이나 호스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케이블 베어는 소형부터 대형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대체로 소형이나 중형으로 제작되는 케이블 베어의 경우는 성형제작이 용이한 폴리아미드(PA)계 플라스틱 합성수지계열 소재로 사출 성형되며, 그 대략적인 형상은 상호 대응되는 측면 일측에 축부가 형성되고, 반대측에는 축공이 대응되게 형성되어 축부와 축공의 결합에 따른 링크관절이 결합되고, 일측에는 지지대가 상기 링크의 양측을 걸어 고정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케이블이나 호스가 수용될 수 있는 통로를 형성하는 단위체로 제작된다.
상기와 같은 링크 단위체를 연속으로 상기 축부와 축공의 조합으로써 필요로 하는 만큼 연결하여 사용되는데, 케이블 베어 동작에 따른 링크 간에 마찰이 발생되고, 마찰에 따른 분진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링크 단위체의 내부에 수용된 케이블이나 호스가 케이블베어 작동에 따른 움직임으로 인해 링크 내부에서 접촉이 누적되어 파손의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분진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지속적으로 유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83896호(명칭:바닥접촉 마모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베어, 등록일자: 2019년 05월 23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기기의 작동 시 구성부품간의 반복적 마찰에 대한 열화성 마모현상에 따른 분진발생을 억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내부의 케이블과 구성부품 간의 미세 반복 접촉에 의한 마모로 발생되는 분진발생을 억제하는 동시에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는데도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지닌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링크모듈체가 회전가능하게 상호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링크모듈체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양측에 이격형성되는 링크부와, 대향하는 상기 링크모듈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시키며, 내부에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통로를 형성시키는 지지연결부 및 상기 링크모듈체가 상호 결합되어 접촉되는 접촉면 상에 구비되는 내마모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모듈체는, 일측이 원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으로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삽입구와, 타측이 상기 삽입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방으로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수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구는 외측 단부의 호 형상을 따라 절개면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구는 후방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와 상기 수용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이 상기 절개면 상에 위치되어 상기 링크모듈체의 회전 범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마모삽입부재는, 상기 삽입구와 상기 수용구 사이 접촉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와 상기 수용부의 직접 접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연결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한 개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관통 형성되는 케이블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내마모삽입부재와 상기 케이블고정부재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기기의 작동 시 구성부품간의 반복적 마찰에 대한 열화성 마모현상에 따른 분진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내부의 케이블과 구성부품 간의 미세 반복 접촉에 의한 마모로 발생되는 분진발생의 억제 및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분진 케이블 베어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모듈체에 내마모삽입부재가 형성된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분진 케이블 베어의 일측 절개면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연결부, 케이블고정부재 및 케이블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본 발명은 케이블 베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찰 부위에 내마모성 재질의 수단을 구비하여 분진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무분진 케이블 베어에 관한 것이다.
특히, 기기의 작동 시 구성부품간의 반복적 마찰에 대한 열화성 마모현상에 따른 분진발생을 억제하고, 내부의 케이블과 구성부품 간의 미세 반복 접촉에 의한 마모로 발생되는 분진발생의 억제 및 케이블의 파손을 방지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분진 케이블 베어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모듈체에 내마모삽입부재가 형성된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분진 케이블 베어의 일측 절개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연결부, 케이블고정부재 및 케이블 간의 결합 관계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무분진 케이블 베어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게 링크부(10), 지지연결부(20), 내마모삽입부재(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링크부(10)는 복수 개의 링크모듈체(100)가 회전가능하게 상호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링크모듈체(100)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양측에 이격형성된다.
즉, 상기 링크부(10)는 링크모듈체(100)를 상호 결합을 시켜 길이방향으로 연장이 가능하며, 케이블(C)의 길이나 작업환경에 맞춰어 링크모듈체(100)의 수량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링크모듈체(100)는 삽입구(110)와 수용구(120)로 구분되는데, 구분 기준은 링크모듈체(100)의 일측부와 타측부의 구조 및 역할의 차이에 따라 구분된다.
복수 개의 링크모듈체(100)의 결합을 위하여 링크모듈체(100)를 인접하게 위치시킬 때 삽입구(110)와 수용구(120)를 인접하게 위치시켜 상호 결합을 함으로써 연결된다.
먼저, 상기 삽입구(110)는 상기 링크모듈체(100)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원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으로 결합돌기(111)가 돌출형성된다.
이때, 상기 삽입구(110)가 원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수용구(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을 할 때 간섭이 발생치 않고 회전이 가능해진다.
상기 수용구(120)는 상기 링크모듈체(100)의 타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구(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방으로 결합홀(121)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111)가 삽입 결합됨으로써 링크모듈체(10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구(110)와 상기 수용구(120)는 동일 연장선 상에 위치되는데, 상기 삽입구(110)가 상기 수용구(120)로부터 내측을 향하여 단차지게 이루어져 상기 결합돌기(111)가 상기 결합홀(121)에 삽입 결합되는 것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결합된 상태에서 외측면이 평평한 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인접하는 링크모듈체(100)의 삽입구(110)와 수용구(12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이 될 때 회전 가동 범위의 설정이 이루어진다.
회전 가동 범위 설정을 위하여, 상기 삽입구(110)는 외측 단부의 호 형상을 따라 절개면(112)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구(120)는 후방에 걸림턱(122)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110)와 상기 수용구(1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122)이 상기 절개면(112) 상에 위치되어 간섭에 의하여 회전 가동 범위를 설정하게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삽입구(110)의 외측 단부의 절개면(112)과 동일 선상에 상기 걸림턱(122)이 위치되며, 상기 걸림턱(122)이 상기 절개면(112) 내부에 들어와 위치됨에 따라 상기 절개면(112)의 단면과 상기 걸림턱(122) 간에 간섭이 발생함에 따라 회전 가동 범위가 설정되는 것이다.
즉, 링크모듈체(100)의 회전 가동 범위를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절개면(112)의 범위를 조절하면 되고 절개면(112)과 걸림턱(122)의 배치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펼쳐진 상태에서 일방으로 회전을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연결부(20)는 대향하는 상기 링크모듈체(1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시키며, 양측의 링크모듈체(100)와 상하로 형성되는 상기 지지연결부(20)에 따라 내부에는 케이블(C)이 수용되는 케이블통로(21)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통로(21)에 수용되는 케이블(C)은 상하좌우가 막혀 있기 때문에 외부로 이탈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케이블(C)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부 또는 하부의 지지연결부(20) 중 어느 하나는 일체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져 좌우측의 링크모듈체(100)를 일체화된 상태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하나는 착탈가능하게 형성시켜 삽입구(110)와 수용구(120)의 결합 및 탈거 시 용이하게 작업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상부 지지연결부(20)는 상기 링크모듈체(100)에 일체로 결합되고, 하부 지지연결부(20)는 상기 링크모듈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연결부(20)의 착탈 방식은 링크모듈체(100)의 하다에 체결바를 형성시키고, 상기 지지연결부(20)의 양측 단부에 체결고리를 형성시켜 억지끼움을 통한 상호 체결을 방식을 채택하고 있으나, 착탈방식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내마모삽입부재(30)는 상기 링크모듈체(100)가 상호 결합되어 접촉되는 접촉면 상에 구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내마모삽입부재(30)는 상기 삽입구(110)와 상기 수용구(120) 사이 접촉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와 상기 수용부의 직접 접촉을 차단하게 함으로써 기존에 발생하던 구성부품간의 반복적 마찰에 대한 열화성 마모현상에 따른 분진발생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케이블(C)과 구성부품 간의 미세 반복 접촉에 의한 마모로 발생되는 분진발생의 억제 및 케이블(C)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케이블고정부재(4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0)는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연결부(20)의 사이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한 개 이상의 고정홀(41)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C)이 삽입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C)의 동작을 줄여주면서 케이블(C)과 링크모듈체(100) 및 지지연결부(20)의 직접 접촉을 차단하여 케이블(C)의 파손과 마모를 방지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지지연결부(20)의 내측면은 소정의 깊이로 파여지는 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0)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지지연결부(20)의 홈(22) 상에 위치시킨 뒤 지지연결부(20)를 링크모듈체(100)로 결합시키면서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0)를 가압함으로써 고정시킨다.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0)는 한 개 이상의 고정홀(41)이 형성되되 상기 고정홀(41)과 연통하는 삽입로(42)를 형성함에 따라 케이블(C)을 상기 삽입로(42)로 억지로 밀어넣어 상기 고정홀(41)에 위치시킴으로써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0)에 케이블(C)을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내마모삽입부재(30)와 상기 케이블고정부재(40)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 폴리에틸렌 분자량은 2만에서 30만 정도지만,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은 분자량이 100만에서 1000만까지로 됨에 따라 저온 환경에서 잘 견디고,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가볍고 견고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내충격성을 가지고 있으며 흡수율이 낮아 방수도 가능하게 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한 것으로, 당해 기술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상기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변형된 다른 실시예가 포함되어야 한다.
C : 케이블
10 : 링크부
20 : 지지연결부
21 : 케이블통로
22 : 홈
30 : 내마모삽입부재
40 : 케이블고정부재
41 : 고정홀
42 : 삽입로
100 : 링크모듈체
110 : 삽입구
111 : 결합돌기
112 : 절개면
120 : 수용구
121 : 결합홀
122 : 걸림턱

Claims (6)

  1. 복수 개의 링크모듈체가 회전가능하게 상호 결합되어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링크모듈체가 지면과 수직방향으로 양측에 이격형성되는 링크부;
    대향하는 상기 링크모듈체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연결시키며, 내부에 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통로를 형성시키는 지지연결부;
    상기 링크모듈체가 상호 결합되어 접촉되는 접촉면 상에 구비되는 내마모삽입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분진 케이블 베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모듈체는,
    일측이 원형의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외측면으로 결합돌기가 돌출형성되는 삽입구;
    타측이 상기 삽입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측방으로 결합홀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돌기가 삽입 결합되는 수용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분진 케이블 베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구는 외측 단부의 호 형상을 따라 절개면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구는 후방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구와 상기 수용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이 상기 절개면 상에 위치되어 상기 링크모듈체의 회전 범위가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분진 케이블 베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삽입부재는,
    상기 삽입구와 상기 수용구 사이 접촉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와 상기 수용부의 직접 접촉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분진 케이블 베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하부에 형성되는 상기 지지연결부의 사이에 설치되며, 길이방향으로 한 개 이상의 고정홀이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이 삽입형성되는 케이블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분진 케이블 베어.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마모삽입부재와 상기 케이블고정부재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분진 케이블 베어.
KR1020200057103A 2020-05-13 2020-05-13 무분진 케이블 베어 KR20210138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103A KR20210138966A (ko) 2020-05-13 2020-05-13 무분진 케이블 베어
PCT/KR2020/012607 WO2021230436A1 (ko) 2020-05-13 2020-09-18 무분진 케이블 베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103A KR20210138966A (ko) 2020-05-13 2020-05-13 무분진 케이블 베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8966A true KR20210138966A (ko) 2021-11-22

Family

ID=78524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103A KR20210138966A (ko) 2020-05-13 2020-05-13 무분진 케이블 베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10138966A (ko)
WO (1) WO20212304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058A1 (ko) * 2021-11-23 2023-06-01 주식회사 스테른 먼지 발생 억제가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용 링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896B1 (ko) 2017-07-13 2019-05-29 송창욱 바닥접촉 마모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베어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05826U1 (de) * 2005-04-11 2005-06-16 Igus Gmbh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und System bestehend aus einer Leitungsführungseinrichtung und einer diese aufnehmenden Haltevorrichtung
KR200465881Y1 (ko) * 2011-11-22 2013-03-18 송영우 케이블 베어
KR101321857B1 (ko) * 2012-08-31 2013-10-28 씨피시스템(주) 케이블체인 보호 부재
KR20160040153A (ko) * 2016-03-21 2016-04-12 송영우 회전소음 저감 구조를 갖는 링크타입 케이블 베어
KR102076211B1 (ko) * 2018-07-16 2020-02-11 씨피시스템(주) 체인 링크용 케이블 지지부재 및 이를 갖는 체인 링크와, 체인 링크용 케이블 지지부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896B1 (ko) 2017-07-13 2019-05-29 송창욱 바닥접촉 마모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베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96058A1 (ko) * 2021-11-23 2023-06-01 주식회사 스테른 먼지 발생 억제가 가능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용 링크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가이드 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30436A1 (ko) 2021-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615691B2 (en) Line protecting apparatus
US20120205498A1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KR20210138966A (ko) 무분진 케이블 베어
US8561949B2 (en) Articulated cable protection and guide apparatus
KR100778624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
US7493750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GB2347183B (en) Flowline connector with subsea equipment package
KR100727362B1 (ko) 소음과 분진을 저감시킨 케이블 베어
US6036526A (en) Sealable enclosure for electrical cable connectors
JP2007192367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20180007435A (ko) 소방호스 연결커플링유닛
KR101667983B1 (ko) 멀티 커플러 연결장치
KR20050047463A (ko) 케이블 보호안내장치
KR100876639B1 (ko) 케이블 베어 시스템
KR100727361B1 (ko) 궤도 곡률이 조절되는 케이블 베어 시스템
KR101159109B1 (ko) 로보체인 시스템
KR101983896B1 (ko) 바닥접촉 마모방지 기능을 갖는 케이블 베어
EP0710752B1 (fr) Elément de protection pour noeuds ou joints d'échafaudages
KR100924679B1 (ko) 소음 및 분진 저감형 케이블베어
CN106795948B (zh) 长条物的导引装置
WO1995023310A1 (en) Line protecting apparatus
JP5264827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2009659B1 (ko) 공동주택 전기의 누수와 누전 감시장치
KR20110080461A (ko) 케이블 베이어의 처짐 방지용 링크
KR200292293Y1 (ko) 케이블체인용 체인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