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928B1 - 휴대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928B1
KR100921928B1 KR1020070098445A KR20070098445A KR100921928B1 KR 100921928 B1 KR100921928 B1 KR 100921928B1 KR 1020070098445 A KR1020070098445 A KR 1020070098445A KR 20070098445 A KR20070098445 A KR 20070098445A KR 100921928 B1 KR100921928 B1 KR 1009219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casings
portable device
hinge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8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9932A (ko
Inventor
아쯔시 미사와
Original Assignee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9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9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9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79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 H04M1/0281Improving the user comfort or ergonomics for providing single handed use or left/right hand conver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 장치는, 제 1 케이싱; 제 2 케이싱; 및 서로에 대해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힌지에서 회전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결합하는 힌지를 포함하며,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 1 케이싱의 제 1 부분 및 제 2 케이싱의 제 1 부분은 서로 직면하며, 제 1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고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제 1 케이싱의 뒤로부터 돌출되며,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제 1 부분을 가로질러 서로 대향하고 있다.
휴대 장치, 제 1 케이싱, 제 2 케이싱, 힌지

Description

휴대 장치{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 장치, 및 특히 접을 수 있는 휴대 장치에 관한 것이다.
2개의 케이싱으로 이루어진 접을 수 있는 휴대 장치는, 1개의 케이싱은 디스플레이 유닛을 구비하고 다른 케이싱은 동작 유닛을 구비하며, 케이싱을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힌지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접을 수 있는 휴대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과 동작 유닛이 서로 직면하여 폐쇄되도록 접어짐으로써 압축 형태로 이동되기에 편리하다.
접을 수 있는 휴대 장치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힌지로 결합된 2개의 케이싱의 가장자리가 동일한 위치에 실질적으로 위치되면 사용자는 휴대 장치를 한 손으로 열기 어렵다.
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5-159390호는 사용자가 휴대 장치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 수 있도록 힌지 근처에 경사로 형성된 케이싱을 구비하는 휴대 장치를 공지한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4-215180호는 슬라이딩 기구로 바뀔 수 있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싱을 구비하는 휴대 장치를 공지한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 2003-319043호는 디스플레이 유닛이 바뀔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 유닛이 각각 부착된 케이싱을 구비하는 휴대 장치를 공지한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4-207961호는 동작 유닛 케이싱 가장자리보다 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싱 가장자리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를 공지한다.
관련 기술의 상술한 휴대 장치는 이하의 문제를 가진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5-159390호에 기술된 휴대 장치는 열림의 방향으로 닫힌 케이싱에 사용자의 손가락 및/또는 엄지로 잡는데 적합하다. 그러나, 휴대 장치는 동작 유닛 케이싱이 사용자의 손에 고정 유지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지 않고, 휴대 장치가 한 손으로 케이싱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의 힘에 의해 떨어뜨리기 쉽다. 게다가, 휴대 장치는 케이싱에 휴대 장치의 외관이 불균형하게 되는 비대칭 후퇴부를 구비한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4-215180호 및 제2003-319043호에 설명된 휴대 장치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싱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자체가 수직 또는 수평 중 한쪽의 방향으로 위치되게 회전되도록 개조된다; 그러나, 2개의 케이싱을 용이하게 연다는 개념이 없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싱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 자체가 회전될 때 회전된 케이싱 또는 회전된 디스플레이 유닛은 2개의 케이싱을 한 손으로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 및/또는 엄지로 잡을 수 없다.
일본 공개 특허 출원 제2004-207961호에 설명된 휴대 장치는 2개의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서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유닛을 볼 수 있도록 동작 유닛 케이싱보다 더 큰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싱을 갖는다; 그러나, 2개의 케이싱을 용이하게 연다는 개념이 없다. 그러므로, 동작 유닛 케이싱로부터 돌출하는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싱의 일부는 2개의 케이싱을 한 손으로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 및/또는 엄지로 잡을 수 없다.
본 발명은 그러한 상황의 관점에서 고안되었고, 그 목적은 사용자가 다른 쪽을 안정하게 유지하면서 케이싱 중 한쪽을 이동할 수 있는 개념에 따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케이싱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한 손으로 장치를 안정하게 유지하면서 케이싱을 용이하게 개방할 수 있도록 된 휴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휴대 장치는 좋은 동작성도 제공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제 1 케이싱; 제 2 케이싱; 및 서로에 대해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힌지에서 회전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결합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 있어서,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 1 케이싱의 제 1 부분 및 제 2 케이싱의 제 1 부분은 서로 직면하며, 제 1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고,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제 1 케이싱의 뒤로부터 돌출되고,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제 1 부분을 가로질러 서로 대향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 양상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닫힐 때 위치되며, 제 2 케이싱의 일부가 제 1 케이싱의 가장자리 뒤로부터 돌출되면서 제 1 케이싱의 일부는 제 2 케이싱의 가장자리 뒤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부분은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오버랩 부분을 가로질러 양측에 있게 된다. 즉,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오버랩 부분을 손바닥에 중지, 제 2 케이싱의 뒤로부터 돌출되는 제 1 케이싱의 부분 중 한쪽과 제 1 케이싱의 뒤로부터 돌출되는 제 2 케이싱의 부분에 위치된 제 3 손가락 및 약지, 및 다른 부분에 위치된 엄지로 위치시킴으로써 한 손으로 휴대 장치를 유지한다. 돌출부 중 한쪽은 휴대 장치에 위치된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잡기 위한 장소를 만들고 다른 쪽 돌출부는 휴대 장치를 개방하는 사용자의 엄지로 잡기 위한 장소를 만든다. 사용자는 엄지로 후자의 돌출부를 밀어냄으로써 휴대 장치를 개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로부터 보여지는 폐쇄 상태의 휴대 장치는 제 2 케이싱이 제 1 케이싱 위에 위치되고 힌지가 사용자로부터 먼 측에 위치되는 적절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도록 되고; 및 폐쇄 상태의 휴대 장치가 적절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될 때 제 1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좌측으로 돌출되고,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우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상에 의하면, 휴대 장치가 제 1 케이싱 위에 위치된 제 2 케이싱과 사용자로부터 먼 측에 위치된 힌지로 유지될 때, 제 1 케이싱의 일부는 사용자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좌측 뒤로부터 돌출되고, 제 2 케이싱의 일부는 오른손 뒤로부터 돌출한다. 즉,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휴대 장치를 유지할 때 사용자는 중지, 제 3 손가락 및 약지를 제 1 케이싱의 돌출부에 위치시킴으로써 휴대 장치를 유지하고 엄지로 제 2 케이싱의 돌출부를 밀어냄으로써 휴대 장치를 개방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오른손만으로 용이하게 개방하면서 휴대 장치를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또한 본 발명은 제 1 케이싱; 제 2 케이싱; 및 서로에 대해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힌지의 회전축에서 회전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결합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 있어서,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휴대 장치는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내고, 힌지의 회전축은 휴대 장치의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의 길이 방향측에 수직한 선에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이 양상에 의하면,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열릴 때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내고, 힌지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결합을 위해 힌지의 회전축이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 방향측에 직교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도록 제공된다. 즉,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힌지의 회전축이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 방향측에 직교한 방향으로 경사져 있음으로써,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낸다.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닫혀 있을 때 제 2 케이싱의 부분이 제 1 케이싱의 가장자리 뒤로부터 돌출되면서 제 1 케이싱의 부분은 제 2 케이싱의 가장자리 뒤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부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오버랩 부분을 가로질러 양측에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보통 휴대 장치와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또한,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휴 대 장치는 제 2 케이싱이 제 1 케이싱 위에 위치되고 힌지가 사용자로부터 먼 측에 위치되는 적절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도록 되고; 사용자로부터 보여지는 폐쇄 상태의 휴대 장치가 적절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될 때 힌지의 회전축은 휴대 장치의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의 길이 방향측에 직교한 라인에 대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이 양상에 의하면, 휴대 장치가 제 1 케이싱 위에 위치된 제 2 케이싱과 사용자로부터 먼 측에 위치된 힌지로 유지될 때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내고,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결합하기 위한 힌지는 그 회전축이 직사각형 형상의 길이 방향측에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제공된다. 즉, 힌지의 회전축은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길이 방향측에 직교한 방향에 대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고,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낸다.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제 1 케이싱 위에 위치된 제 2 케이싱과 사용자로부터 먼 측에 위치된 힌지로 닫힐 때 사용자로부터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의 일부는 좌측 뒤로부터 돌출되고, 제 2 케이싱의 일부는 우측 뒤로부터 돌출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오른손만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유지할 수 있다. 게다가,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보통 휴대 장치와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또한 본 발명은, 제 1 케이싱; 제 2 케이싱; 서로에 대해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힌지의 회전축에서 회전할 수 있고 휴대 장치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내부에 내부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결합하는 힌지; 및 휴대 장치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이 비정렬 위치와 정렬 위치 사이의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다른 쪽에 대해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의 내부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경사지게 회전시키는 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 있어서, 비정렬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은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다른 쪽에 대해 소정 각의 소정 방향으로 경사지며, 제 1 케이싱의 제 1 부분과 제 2 케이싱의 제 1 부분은 서로 직면하고, 제 1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고,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제 1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며; 정렬 위치에서 제 1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제 1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양상에 의하면, 닫힌 2개의 케이싱 중 한쪽은 2개의 케이싱이 돌출된 어느 부분 없이 서로 정렬되는 위치와 2개의 케이싱 중 한쪽이 소정 각의 방향으로 경사진 위치 사이의 케이싱의 내부면을 따라 경사져 있다. 즉, 제 2 케이싱이 사용자로부터 먼 측에 위치된 힌지와 함께 제 1 케이싱 위에 위치될 때 휴대 장치에 주어진 측 압력은 제 1 케이싱로부터 제 2 케이싱을 시프트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유지할 수 있다.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보통 휴대 장치와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제 2 케이싱의 경사 방향이 한 방향으로 한정됨에 따라 사용자는 다른 쪽보다 월등히 손이 휴대 장치에 가벼운 측 압력을 가하여 용이하게 개방하기 위해 제 2 케이싱을 용이하게 경사지게 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또한 본 발명은, 제 1 케이싱; 제 2 케이싱; 서로에 대해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힌지의 회전축에서 회전할 수 있고 휴대 장치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내부에 내부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결합하는 힌지; 및 휴대 장치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이 비정렬 위치 및 정렬 위치 사이의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다른 쪽에 대해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의 내부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경사지게 하는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 있어서, 비정렬 위치에서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은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다른 쪽에 대해 소정 각으로 경사져 있으며 제 1 케이싱의 제 1 부분과 제 2 케이싱의 제 1 부분은 서로 직면하며, 제 1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고,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제 1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고, 정렬 위치에서, 제 1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제 1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 양상에 의하면, 닫힌 2개의 케이싱 중 한쪽은 2개의 케이싱이 돌출된 어느 부분 없이 서로 정렬된 위치와 2개의 케이싱 중 한쪽이 소정 각으로 경사진 위치 사이의 케이싱의 내부면을 따라 탄성 부재를 통해 경사져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의 휴대 장치는 휴대 장치를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유지가능하게 한다.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보통 휴대 장치와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또한, 휴대 장치는 비정렬 위치 및 정렬 위치 각각에서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을 유지하도록 된 클릭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상에 의하면, 2개의 케이싱 중 한쪽의 경사는 2개의 케이싱이 돌출된 어느 부분 없이 서로 정렬된 위치와 2개의 케이싱 중 한쪽이 소정 각으로 경사진 위치 각각으로 유지된다. 즉, 측 압력이 제 1 케이싱 위에 위치된 제 2 케이싱과 사용자로부터 먼 측에 위치된 힌지로 유지된 휴대 장치에 주어질 때 제 2 케이싱은 제 1 케이싱에 대해 경사져 있다. 제 2 케이싱은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의 경사를 조절하게 된 경사 조절 장치를 더 구비하여 휴대 장치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상에 의하면, 닫힌 2개의 케이싱이 다른 외관을 나타내더라도 경사는 열린 2개의 케이싱이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내도록 조절된다. 즉, 제 2 케이싱이 휴대 장치가 제 1 케이싱 위에 위치된 제 2 케이싱에 유지된 상태에서 개방될 때, 사용자로부터 먼 측에 위치된 힌지 및 제 2 케이싱은 제 1 케이싱에 대해 경사져 있고 제 1 및 제 2 케이싱은 직선으로 배열된다.
따라서,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유지할 수 있다. 휴대 장치는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도록 더 좋은 동작성을 갖는다.
또한, 휴대 장치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휴대 장치는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내고, 힌지의 회전축은 휴대 장치의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의 길이 방향측에 직교한 선에 경사져 있다.
본 발명의 이 양상에 의하면, 닫힌 2개의 케이싱 중 한쪽은 2개의 케이싱이 돌출된 어느 부분 없이 서로 정렬된 위치와 2개의 케이싱 중 한쪽이 소정 각의 방향으로 경사진 위치 사이의 케이싱의 표면을 따라 경사져 있고, 2개의 케이싱을 열고 닫는 회전축은 대략 직사각형의 형상의 길이 방향측에 직교한 방향에 대해 경사져서 열린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낸다. 즉, 측 압력이 제 1 케이싱 위에 위치된 제 2 케이싱과 사용자로부터 먼 측에 위치된 힌지로 유지된 휴대 장치에 주어질 때 제 2 케이싱은 제 1 케이싱로부터 경사져 있다.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이 상태로부터 열릴 때 열린 제 1 및 제 2 케이싱은 힌지의 회전축이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길이 방향측에 직교한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음으로써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낸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유지할 수 있다.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보통 휴대 장치와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또한 본 발명은, 제 1 케이싱;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제 2 케이싱; 및 서로에 대해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힌지의 회전축에서 회전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결합하는 힌지; 제 2 케이싱이 제 1 케이싱에 대한 디스플레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경사지게 회전시키는 틸팅 장치; 및 디스플레이가 상부의 단측에 사용되도록 설정되는 제 1 위치, 디스플레이가 상부의 장측에 사용되도록 설정되는 제 2 위치, 및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제 3 위치의 각각에서 틸팅 장치에 의해 경사진 제 2 케이싱을 유지하도록 된 클릭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케이싱은 제 2 케이싱이 제 3 위치에 유지될 때 서로에 대해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양상에 의하면, 제 2 디스플레이 유닛 케이싱은 상부의 단측에 사용될 디스플레이를 설정하는 제 1 위치 및 상부의 장측에 사용될 디스플레이를 설정하는 제 2 위치 사이에 경사져 있다. 제 2 케이싱은 제 1 위치, 제 2 위치 및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 위치된 제 3 위치 각각에 유지될 수 있고, 제 2 케이싱이 제 3 위치에 있을 때 제 2 케이싱은 열고 닫힐 수 있다. 즉, 2개의 케이싱을 개방하기 위해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은 디스플레이의 오리엔테이션(orietation)을 변경하는 기구를 사용하여 준비될 수 있다.
따라서,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새로운 기구의 제공 없이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틸팅 장치는 힌지의 회전축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서로에 대해 개방하기 위해 회전하는 작용,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서로에 대해 폐쇄하기 위해 회전하는 작용 및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이 소정 각으로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다른 쪽에 대해 경사지게 회전하는 작용 중 한쪽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 및 검출 장치를 통해 검출된 작용에 따른 휴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 양상에 의하면, 케이싱이 경사지거나 개방되거나 폐쇄되어 있는지가 검출되고, 휴대 장치는 검출된 결과에 따라 제어된다. 즉,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 장치를 개방하거나 폐쇄하거나 또는 이동시키는 작용을 검출하고 검출된 작용에 따라 다양한 모드로 자동 동작시킨다.
따라서, 휴대 장치는 더 나은 동작성을 위해 용이하게 동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휴대 장치를 좋은 동작성으로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고 닫으면서 사용자가 휴대 장치를 유지할 수 있는 휴대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본질, 다른 목적 및 그 이득은 참조 번호가 도면 전부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을 명시하는 동봉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 1 실시예)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1)의 외관을 도시하며 도 1A는 폐쇄 상태를 도시하고 도 1B는 개방 상태를 도시한다.
휴대 장치(1)는 모바일폰과 같은 접을 수 있는 휴대 장치이다. 휴대 장치(1)는, 다이얼 키 등을 구비한 동작부(12)를 제공하는 제 1 케이싱(10); 사진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메인 디스플레이(22)와 외장 디스플레이(24)를 제공 하는 제 2 케이싱(20); 및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을 함께 결합하는 힌지(21)를 포함한다.
제 1 케이싱(10)은 대략 직사각형의 평행 6면체 형상을 갖는다. 다이얼 키 등을 구비한 동작부(12) 및 마이크로폰(13)[도 3 참조]은 휴대 장치(1)가 접힐 때 표면이 내부로 오는 제 1 케이싱(10)의 내부면에 배치된다.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10)은 동작부(12) 등을 통해 입력된 신호를 처리하는 중앙 처리 장치(CPU, 40)[도 3 참조] 등이 배치되는 메인 회로 보드(11), 동작부(12) 등이 배치되는 스위치 회로 보드(15), 배터리(18) 등을 포함한다.
제 2 케이싱(20)은 제 1 케이싱(10)과 유사한 대략 직사각형의 평행 6면체를 갖는다. 메인 디스플레이(22)는 일정 영상비(10)의 직사각형 형상을 갖고, 메인 디스플레이(22)가 상부에 단측으로 주로 사용되는 그러한 방식으로 휴대 장치(10)가 접힐 때 표면이 내부로 오는 제 2 케이싱(20)의 내부면에 배치된다. 외장 디스플레이(24)는 휴대 장치(1)가 접힐 때 표면이 외부로 오는 제 2 케이싱(20)의 표면에 배치된다. 외장 디스플레이(24)는 제 2 케이싱(20)의 외부면에 대해 경사져서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이 폐쇄 상태에서의 휴대 장치(1)를 자연스럽게 유지할 때 수평으로 나타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케이싱(20)은 카메라(28), 플래시광(64)[도 3 참조] 등을 포함한다.
메인 회로 보드(11) 및 디스플레이(22 및 24)는 힌지(21) 내부를 통과하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27)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힌지(21)는 서로에 대해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힌지(21)의 회전축(14b) 에서 회전가능한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을 결합한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장치(1)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은 서로 비정렬로 오버랩되고; 구체적으로, 제 1 케이싱(10)의 좌측의 부분(10-2)이 제 2 케이싱(20) 뒤로부터 돌출되고, 제 2 케이싱(20)의 우측의 부분(20-2)이 제 1 케이싱(10) 뒤로부터 돌출되면서 제 1 케이싱(10)의 부분(10-1)과 제 2 케이싱(20)의 부분(20-1)은 서로 대향한다.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의 돌출부(10-2 및 20-2)는 제 1 및 제 2 케이싱(10)의 대향면(10-1 및 20-1)을 가로질러 서로 대향한다. 반면,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장치(1)가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이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은 서로 배열되고, 휴대 장치(1)는 전체적으로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낸다.
휴대 장치(1)를 접고 여는 힌지(21)의 회전축(14b)은 도 1A 및 1B에서 개방 상태의 휴대 장치(1)의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의 길이 방향측에 직교한 라인(14a)에 대해 θ만큼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그러므로, 휴대 장치(1)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이 2θ만큼 비정렬된 채로 나타내며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에서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낸다.
도 3은 휴대 장치(1)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 장치(1)는 CPU(40), 메모리(42), 오디오 처리 유닛(44), 송신/수신 회로(46) 등에 더하여 도 1B에 도시된 동작부(12) 및 디스 플레이(22)를 포함하고, 텔레비젼 방송을 수신하는 기능 및 통상의 전화 기능과 함께 이메일을 송신/수신하는 기능을 갖는다.
CPU(40)는 소정 프로그램에 의한 휴대 장치(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로서 역할하고, 다양한 종류의 연산 동작을 수행하는 연산 장치로서 역할한다. 즉, CPU(40)는 통신 제어, 촬상 동작 제어, 화상 처리 제어, 디스플레이(22 및 24)의 디스플레이 제어, 메모리(42)의 읽기/쓰기 제어, 주소록의 관리 등을 수행하도록 동작부(12)를 통해 입력된 명령 신호에 따라 휴대 장치(1) 내부의 각 회로를 제어한다.
메모리(42)는 버스(49)를 통해 CPU(40)에 연결되고 CPU(40)가 실행하는 프로그램과 제어에 요구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저장된 비휘발성 메모리(ROM) 영역, 프로그램의 스프레드 영역 및 CPU(40)의 연산 동작을 위한 영역으로 사용된 휘발성 메모리(RAM) 영역을 포함하는 블록이다. ROM 영역은 주소록 및 통화 기록의 데이터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고 오디오와 화상의 보유 영역으로 사용된다. RAM 영역은 화상 데이터의 일시적 저장 영역으로 사용된다.
오디오 처리 유닛(44)은 CPU(40)와 관련하여 오디오 신호를 처리/변환하는 장치이다. 오디오 처리 유닛(44)은 송신/수신 회로(46)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의 디코딩 처리, 마이크로폰(13)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의 코딩 처리, 스피커(23)로 출력된 신호의 생성 처리 등을 수행한다.
송신/수신 회로(46)는 안테나(48)에 의해 수신된 데이터 및 안테나로부터 (48) 송신될 데이터의 신호 형태를 변환한다.
통화 모드(전화 기능을 사용하는 모드)에서, 통화를 위해 한쪽 당사자와 통신 접속이 성립될 때 마이크로폰(13)에 입력된 사운드는 전기 신호로 변환되어 오디오 처리 유닛(44)으로 송신된다. 오디오 처리 유닛(44)은 마이크로폰(13)으로부터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A/D 변환)한 후 요구되는 신호 처리를 거쳐서 소정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된다. 오디오 처리 유닛(44)에서 처리를 거친 오디오 데이터(송신용 데이터)는 버스(49)를 통해 송신/수신 회로(46)로 송신되고 송신을 위해 소정 신호 형태로 변환된 후 안테나(48)로부터 송신된다.
안테나(48)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송신/수신 회로(46)에서 변조 해제되고 오디오 처리 유닛(44)으로 송신된다. 오디오 처리 유닛(44)은 송신/수신 회로(46)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를 소정 형태의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한다. 오디오 처리 유닛(44)에서 생성된 오디오 데이터(수신 데이터)는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D/A 변환)되어 스피커(23)로 송신된다. 그래서, 통화 한쪽 당사자의 사운드는 스피커(23)로부터 들을 수 있게 출력된다.
텔레비젼 모드에서, 안테나(48)가 텔레비젼 방송의 무선파를 수신할 때 텔레비젼 방송의 수신 신호는 송신/수신 회로(46)에서의 오디오 신호와 비디오 신호로 분할된다.
오디오 신호는 오디오 처리 유닛(44)에 입력되어 스피커(23)로부터 출력된다.
반면, 비디오 신호는 송신/수신 회로(46)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 회로(60)를 통해 디스플레이(22)에 출력된다. 그래서, 방영되는 비디오는 디스플레이(22)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송신/수신 회로(46)에서 텔레비젼의 채널 선택은 십자 버튼(12-1)의 왼쪽/오른쪽 키를 통해 수행된다. 즉, 오른쪽 키를 누를 때마다 차례로 전방향으로의 채널을 보낸다. 왼쪽 키를 누를 때마다 차례로 후방향으로의 채널을 보낸다.
텔레비젼 오디오 볼륨은 십자 버튼(12-1)의 상부 및 하부 키로 제어된다. 상부 키를 누를 때마다 오디오 볼륨을 한 단계씩 크게하고 하부 키를 누를 때마다 오디오 볼륨을 한 단계씩 작게한다.
휴대 장치(1)는 화상 데이터, 문서 데이터, 프로그램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를 이메일 기능, 인터넷 브라우저 기능 등의 사용으로 송신/수신할 수 있다.
휴대 장치(1)는 촬상 렌즈(50) 및 CCD 화상 센서(52)[이하 CCD로 참조]를 갖는 카메라(28)를 포함하고, CCD(52)로부터 수신된 화상 신호를 처리하는 아날로그 처리 유닛(54), A/D 변환 장치(55), 화상 처리 유닛(56) 및 압축/신장 유닛(57)을 더 포함한다. 휴대 장치(1)는 상태에 따라 플래시광 제어 유닛(62) 및 CCD(52)를 통해 화상이 촬영된 대상을 조명하는 플래시광(64)을 갖는다.
촬상 렌즈(50)에 통과된 광은 CCD(52)의 수광면에 집광된다. CCD(52)의 수광면에, 대량의 광센서(수광 소자)가 2차원으로 배열된다. 각 광센서와 대응하여, 레드(R), 그린(G) 및 블루(B)의 기초 칼라 필터가 소정 어레이 구성으로 배열된다.
CCD(52)의 수광면에 형성된 대상 화상은 입사된 광량에 대응하는 양의 신호 전하로 광센서에 의해 변환된다. CCD(52)는 셔터 펄스의 타이밍으로 광센서의 전하 축적 지속 기간(셔터 속도)을 제어하는 전자 셔터 기능을 갖는다.
CCD(52)의 광센서에 축적된 신호 전하는 CPU(40)의 명령에 의해 타이밍 발생 장치(TG, 58)로부터 부여된 펄스[수평 구동 펄스(ψH), 수직 구동 펄스(ψV) 및 오버플로우(overflow) 배출 펄스]에 의하여 신호 전하와 대응하는 전압 신호(화상 신호)로서 연속적으로 판독된다. CCD(52)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는 상호 관련 이중 샘플링(CDS) 처리 및 이득 조정과 같은 요구된 처리를 거치도록 아날로그 처리 유닛(54)으로 송신된 후 A/D 변환 장치(55)에 의해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다. 디지털화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 유닛(56)으로 송신된다.
화상 처리 유닛(56)은 동기화 회로(단일판 CCD의 칼라 필터 어레이에 의해 수반된 칼라 신호의 특별 변위를 삽입하여 각 포인터의 칼라를 산출하는 처리 회로), 조명과 색상차 신호 생성 회로, 감마 변환 회로, 윤곽 보정 회로, 화이트 밸런스 조정 회로 등을 포함하는 디지털 화상 신호 처리 유닛이고 CPU(40)의 명령에 의한 메모리(42)를 사용하는 화상 신호를 처리한다.
화상 처리 유닛(56)에서, 화이트 밸런스 조정 처리, 감마 변환 처리, 및 조명 신호(Y 신호)와 색상차 신호(Cr, Cb 신호)로 변환 처리(YC 처리)와 같은 소정 처리를 거친 후 생성된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42)에 일시적으로 저장된다. 여기서, 화상이 촬영되며 디스플레이(22)상에 디스플레이될 경우에, 메모리(42)의 컨텐츠는 판독되어 디스플레이 회로(60)로 송신되고 신호가 디스플레이(22)에 부여된 디스플레이 회로(60)에 디스플레이용 신호로 변환된다. 그래서, CCD(52)에 의해 촬영된 라이브 화상(화상을 통해)은 디스플레이(22)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는 디스플 레이(22)상에 디스플레이된 비디오 화상으로 촬영 각(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
플래시광 제어 유닛(62)은 CPU(40)의 명령에 의한 플레시광(64)의 축적과 발광을 제어한다.
동작부(12)에 촬상 버튼(예컨대, 촬상 모드에 할당된 동작부(12)의 키 중 어느 하나, 또는 전용 촬상 버튼)이 프레스될 때 CPU(40)는 사실을 검출하고 촬상 동작을 실행한다. 즉, CCD(52)의 노광 제어 및 전하 판독 제어가 수행된다. 대상의 밝기가 그 순간에 플래시광(64)의 발광을 요구하면 CPU(40)는 플래시광(64)을 플래시광 제어 유닛(62)을 통해 발광시킨다.
그렇게 촬영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처리 유닛(56)에서 YC 처리 및 다른 소정 신호 처리를 거친 후 압축/신장 유닛(57)으로 송신되고 소정 압축 포맷(예컨대, JPEG 포맷)에 따라 압축된다. 압축된 화상 데이터는 메모리(42)에서 화상 저장 영역에 저장된다.
저장된 화상을 재생할 때, 화상 파일의 데이터는 사용자의 파일 선택 동작에 따라, 아니면 자동으로 메모리(42)로부터 판독된다. 메모리(42)로부터 판독된 압축된 데이터는 압축/신장 유닛(57)에 의해 압축 해제되고, 디스플레이 회로(60)로 디스플레이되는 신호로 변환되어 그 신호가 디스플레이(22)에 부여된다. 그래서, 관련된 파일의 화상 컨텐츠는 디스플레이(22)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유사하게, 외장 디스플레이(24)상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때, 디스플레이될 화상의 데이터는 디스플레이 회로(60)로 디스플레이되는 신호로 변환되어 그 신호가 외장 디스플레이(24)에 부여된다.
이제, 사용자가 오른손에 휴대 장치(1)를 유지할 때 휴대 장치(1)를 취급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폐쇄 상태에서 휴대 장치(1)는 제 2 케이싱(20)이 제 1 케이싱(10) 위에 위치되는 적절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도록 접합화되고 힌지(2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먼 측에 위치된다. 사용자가 오른손에 적절하게 유지된 상태에서 닫힌 휴대 장치(1)를 유지하고 휴대 장치(1)를 한 손으로(즉, 오른손만으로) 열고자 할 때 휴대 장치(1)를 개방하기 위해 돌출부(20-2)를 프레스하도록 제 2 케이싱(20)의 돌출부(20-2)에 엄지를 두어 사용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지, 제 3 손가락 및 약지로 제 1 케이싱(10)의 돌출부(10-2)를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사용자는 휴대 장치(1)를 엄지로 자연스럽게 열면서 손가락으로 손바닥의 휴대 장치(1)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휴대 장치(1)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정렬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 장치(1)를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돌출부(20-2)를 엄지로 프레스함으로써 휴대 장치를 열면서 중지, 제 3 손가락 및 약지를 돌출부(10-2)에 유지하여서 휴대 장치를 유지함에 따라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오른손만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돌출부(10-2)를 중지, 제 3 손가락 및 약지로 유지하여서 휴대 장치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휴대 장치를 열 때 휴대 장치를 떨어뜨릴 경우가 거의 없다.
제 1 실시예에서, 휴대 장치가 경사진 힌지 축을 가지므로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돌출부(10-2 및 20-2)를 갖고 휴대 장치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보통 휴대 장치와 같이 돌출부가 없는 외관을 나타낸다.
제 1 실시예에서 설명된 휴대 장치는 도 1A 및 도 1B에 개방 상태에 있어서의 휴대 장치(1)의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의 길이 방향측에 직교한 라인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진 힌지 축을 가져서, 제 1 케이싱(10)의 좌측의 부분(10-2) 및 제 2 케이싱(20)의 우측의 부분(20-2)이 사용자가 휴대 장치를 오른손만으로 용이하게 취급하면서 휴대 장치를 유지하도록 폐쇄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의 대향부(10-1 및 20-1)로부터 돌출한다. 대안으로, 사용자가 휴대 장치를 왼손만으로 용이하게 취급하면서 휴대 장치를 유지하기 위해, 휴대 장치가 개방 상태에서 휴대 장치(1)의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의 길이 방향측에 직교한 라인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경사진 힌지 축을 가져서 제 1 케이싱(10)의 우측의 부분 및 제 2 케이싱(20)의 좌측의 부분이 폐쇄 상태에서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의 대향부로부터 돌출할 수도 있다.
(제 2 실시예)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휴대 장치는 부분(10-2 및 20-2)이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고 휴대 장치가 접힌 상태에 있을 때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 뒤로부터 돌출되도록 하는 경사진 힌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힌지의 배열은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 장치는 돌출부가 경사진 힌지를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 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도록 적합화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는 돌출부(10-2 및 20-2)가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을 휴대 장치를 열고 접기 위한 방향으로부터 다른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도록 제공된다. 도 5A 내지 5B는 제 2 실시예에 따라 휴대 장치(2)의 외관을 도시하며, 도 5A는 폐쇄 상태에서의 휴대 장치(2)를 도시하며 도 5B는 휴대 장치(2)의 제 2 케이싱(20)이 폐쇄 상태에서의 제 1 케이싱(10)에 대해 경사지게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5C는 휴대 장치(2)가 막 개방 상태를 도시하고, 도 5D는 사용하도록 준비된 휴대 장치(2)를 도시한다.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은 도면에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고 이하 설명되지 않는다.
휴대 장치(2)는 접을 수 있고, 다이얼 키 등을 구비하는 동작부(12)를 제공하는 제 1 케이싱(10); 사진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22)를 제공하는 제 2 케이싱(20); 및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과 함께 결합하는 힌지(30)를 포함한다.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은 2 종류의 프리돔: (I) 열고 닫는 방향으로의 프리돔 및(II) 경사 방향으로의 프리돔으로 힌지(30)를 통해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프리돔(I)은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 중 한쪽이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 중 다른 쪽에 대해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회전되게 하고, 프리돔(II)은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 중 한쪽이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 중 다른것에 대해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의 내부면에 평행한 면을 따 라 경사지게 회전되게 한다.
휴대 장치(2)가 이동될 때[즉, 휴대 장치(2)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휴대 장치(2)는 압축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은 제 1 케이싱(10)의 부분(10-2)이 제 2 케이싱(20) 뒤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제 2 케이싱(20)의 부분(20-2)이 제 1 케이싱(10) 뒤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서로 정렬된다. 측압이 폐쇄 상태에서 휴대 장치(2)에 부여될 때 제 2 케이싱(20)은 제 1 케이싱(10)에 대해 제 2 케이싱(20)의 내부면에 평행한 면을 따라 경사 축(16)에서 회전되고, 제 2 케이싱(20)은 도 5A에서 제 1 케이싱(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평면을 따라 슬라이딩 경사져서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10-2 및 20-2)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도 5C에 도시된 상태의 결과로서 사용자는 엄지로 돌출부(20-2)를 밀면서 손가락으로 돌출부(10-2)를 유지하여 사용자가 휴대 장치(2)를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2)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케이싱(20)은 경사진 상태에서 직선 상태로 복귀하고 휴대 장치(2)는 사용하도록 준비된 도 5D에 도시된 외관을 나타낸다.
측압이 휴대 장치(2)에 부여될 때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10-2 및 20-2)을 돌출시키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5A에서, 경사 조절부(D1 내지 D2)는 서로 맞물리고 제 2 케이싱(20)은 제 1 케이싱(1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반면, 경사 조절부(E1 및 E2) 사이에 어떤 공간이 있어서 경사 조절부(E1 및 E2)가 서로 맞물 릴 때까지 제 2 케이싱(20)은 제 1 케이싱(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제 2 케이싱(20)은 제 2 케이싱(20)이 경사 조절부로 경사지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지 않는 방향인 반시계 방향으로 적절한 측압으로만 경사지게 자연스럽게 회전된다. 그래서, 제 2 케이싱(20)은 도 5B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된다.
휴대 장치가 제 2 케이싱(20)이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시키도록 적합화되면 제 2 케이싱(20)은 개방하기 위해 제 2 케이싱(20)에 부여된 힘을 극복하는 원래 곧은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된다. 휴대 장치(2)가 도 5A 및 5B에 도시된 경사 방향으로 각 위치에 제 2 케이싱(20)을 유지하기 위한 클릭 장치를 제공하므로 그러한 경우는 피할 수 있다.
클릭 장치는 도 6A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된다.
힌지(30)는 도 6A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본체(31) 및 판 용수철(32)을 포함한다.
힌지 본체(31)는 서로 직교한 회전축(14b) 및 경사 축(16)을 제공한다. 힌지 본체(31)는 회전축(14b)으로서 삽입되는 축(도시 생략)으로 제 1 케이싱(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경사 축(16)으로서 삽입되는 축(33)으로 제 2 케이싱(2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축(33)은 너트(34)로 고정된다. 힌지 본체(31)는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을 연결하기 위한 오목부를 통과하는 전기선(도시 생략)과 내부 오목부를 갖는다.
판 스프링(32)은 힌지 본체(31) 내부에 정렬된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스프링(32)은 단부가 힌지 본체(31)에 고정된 캔티레버(cantilever) 스프링 이다. 단부가 힌지 본체(31)에 고정되지 않은 판 스프링(32)의 다른 단부는 도 7에 도시된 제 2 케이싱(20)에 형성된 오목부(25) 또는 오목부(26)에 결합된다.
휴대 장치(2)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판 스프링(3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케이싱(20)을 제 1 케이싱(10)과 정렬된 상태에서 유지하도록, 즉 도 5A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2 케이싱(20)의 오목부(25)와 맞물리게 한다.
제 2 케이싱(20)이 도 8의 상태로부터 제 1 케이싱(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될 때 판 스프링(32)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10)에 대해 경사진 상태에서 제 2 케이싱(20)을 유지하도록, 즉 도 5B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 2 케이싱(20)의 오목부와 맞물리게 된다.
이제, 사용자가 휴대 장치(2)를 오른손으로 유지할 때 휴대 장치(2)를 취급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사용자가 휴대 장치(2)를 오른손에 폐쇄 상태로 유지하고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케이싱(20)의 좌측을 제 3 손가락 및 약지로 프레스할 때 제 2 케이싱(20)은 제 1 케이싱(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경사지게 경사 축(16)에서 회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10-2 및 20-2)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 뒤로부터 돌출된다. 측압이 휴대 장치(2)에 부여될 때 경사 조절부(D1 및 D2)는 제 2 케이싱(20)이 경사 조절부(D1 및 D2)에 의해 방지되지 않는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지게 자연스럽게 회전되게 하고, 휴대 장치(2)는 도 10B에 도시된 상태로 변경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돌출부(20-2)를 엄지로 밀면서 돌출부(10-2)를 중지, 제 3 손가락 및 약지 로 유지하여 사용자가 휴대 장치를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2)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막 열린 휴대 장치(2)가 도 5C에 도시된 외관을 나타낸다. 사용자는 사용하도록 준비된 휴대 장치(2)를 만들기 위해 엄지로 경사진 상태에서 직선 상태로 제 2 케이싱(20)을 복귀하여 도 5D에 도시된 형상으로 휴대 장치를 만든다.
취급 방법은 상술한 바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휴대 장치(2)를 유지하고 제 2 케이싱(20)의 상부를 엄지로 오른쪽으로 밀어냄으로써 제 2 케이싱(20)을 슬라이드할 때 제 2 케이싱(20)은 제 1 케이싱(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경사지게 경사 축(16)에서 회전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은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비정렬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10-2 및 20-2)이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 뒤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이 경우에, 사용자가 휴대 장치(2)를 개방하기 위해 제 2 케이싱(20)을 경사지게 하는 적절한 방향을 잊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는 제 2 케이싱(20)이 경사질 수 있는 방향을 찾기 위해 제 2 케이싱(20)을 움직여만 봄으로써 오른손으로 용이하게 개방 상태에서 휴대 장치(2)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어, 휴대 장치(2)를 도 11B에 도시된 상태로 용이하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보통 휴대 장치와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제 2 케이싱은 한 방향으로만 경사지게 되어 사용자가 제 2 케이 싱을 사용자의 손에 다른 방향보다 더 용이한 적절한 방향으로 가벼운 측압을 부여함으로써 용이하게 경사지게 할 수 있다. 게다가, 제 2 케이싱은 경사진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어서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유지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에 설명된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 장치를 오른손만으로 유지하며, 열고 닫는 경우를 고려하여 제 2 케이싱이 제 1 케이싱에 대해 도 10A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되도록 된다. 대안으로,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 장치를 왼손만으로 유지하며, 열고 닫는 경우를 고려하여 제 2 케이싱이 제 1 케이싱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되도록 적합화될 수도 있다.
휴대 장치(2)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휴대 장치(2)가 더 나타나 있는 힌지(30)를 갖더라도 휴대 장치(2')가 도 12B에 도시된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힌지(30)를 숨기기 위해 휴대 장치(2)와 기능적으로 동일한 도 12A의 분해도로 도시된 휴대 장치(2')로 구성될 수도 있다.
휴대 장치(2)가 상부에 단측으로 사용된 디스플레이(22)를 구비하더라도 도 13A 내지 13C에 도시된 상부에 장측으로 사용된 디스플레이(22)를 구비하는 휴대 장치(3)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3A 내지 13C는 사용자가 게임, 사진 및 음악을 카드 슬롯(19)에 카드를 삽입하여 즐기는 휴대 장치(3)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13A는 폐쇄 상태에서 휴대 장치(3)를 도시하며 도 13B는 휴대 장치(3)의 제 2 케이싱(20)이 제 1 케이싱(10)과 비정렬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13C는 개방 상태에서 휴대 장치(3)를 도시한다. 휴대 장치(3)의 제 1 케이싱(10)의 측에 삽입될 음악 또는 사진을 저장하는 카드용 카드 슬롯(19), 헤드폰 등을 연결하는 헤드폰 잭(18)이 예컨대, 배열된다. 제 1 케이싱(10)의 내부면에, 대상 등의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의 셔터를 릴리즈하는 셔터 버튼(17)이 배열된다. 제 2 케이싱(20)의 외부면에, 대상의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28)가 배열된다. 셔터 버튼(17)을 프레스하여 사용자는 카메라(28)로 대상의 동영상 또는 스틸 사진을 촬영할 수 있고 사진을 기록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장치는 제 2 케이싱이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10-2 및 20-2)을 돌출시키도록 경사지게 하는 경사 축을 갖는 힌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부분(10-2 및 20-2)을 돌출시키는 방법은 그것에 제한되지 않고 제 2 케이싱이 용수철과 같은 탄성 부재를 사용하여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는 제 2 케이싱이 틸팅 장치로서 힌지 용수철을 통해 경사지게 한다. 도 14는 제 3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4)의 내부 구조가 보이도록 한 사선도이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 이와 동일한 부분은 도면에 동일한 참조 번호를 나타내어 이하 설명되지 않는다.
휴대 장치(4)의 힌지(30)는 힌지 본체(31), 힌지 용수철(35) 및 L형상 부재(36)를 구비한다.
힌지 본체(31)는 축(도시 생략)으로 제 1 케이싱(10)과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힌지 용수철(35)은 힌지 본체(31)에 부착된 단부와 L형상 부재(36)에 부착된 다른 단부로 스테인리스강 용수철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진 탄성 부재이다.
L형상 부재(36)는 힌지 용수철(35)에 고정된 단부와 제 2 케이싱(20)에 고정된 다른 단부를 가진다.
이제, 제 2 케이싱(20)을 경사지게 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15A는 폐쇄 상태에서 휴대 장치(4)를 도시한다. 도 15A에서 제 1 케이싱(10)에 대해 제 2 케이싱(20)의 좌측에 힘이 부여될 때 힌지 용수철(35)은 제 2 케이싱(20)이 제 1 케이싱(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경사지게 구부러져서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10-2 및 20-2)이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더라도, 도 15A에서 제 1 케이싱(10)에 대해 제 2 케이싱(20)의 우측에 힘이 부여될 때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10-2 및 20-2)은 도 15B에 도시된 것에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의 측 뒤로부터 돌출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의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도 보통 휴대 장치와 같은 외관을 나타낸다.
제 3 실시예에 설명된 휴대 장치가 클릭 장치를 제공하지 않더라도 휴대 장치는 힌지 용수철이 배열된 위치 이외의 위치에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의 클릭 장치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 3 실시예에 설명된 휴대 장치는 제 2 케이싱(20)이 제 1 케이싱(10)에 대해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경사지게 하더라도 휴대 장치는 제 2 케이싱(20)이 제 1 케이싱(10)에 대해 시계 방향과 반시계 방향 중 한 방향만으로 경사지도록 경사 조절부를 제공할 수도 있다.
(제 4 실시예)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으로 열리도록 적합화되고 휴대 장치가 막 열렸을 때 제 1 케이싱에 대해 경사진 제 2 케이싱을 갖는다; 그러나, 휴대 장치는 제 2 케이싱이 막 열린 휴대 장치의 제 1 케이싱과 곧게 정렬되도록 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이 제 1 및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상태로부터 제 1 케이싱을 개방할 수 있게 하고 막 열린 휴대 장치에서 서로에 대해 경사지지 않은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갖는다. 도 16A 내지 16F는 제 4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5)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16A 내지 16C는 폐쇄 상태에서의 휴대 장치(5)를 도시하며, 16A는 정면도, 16B는 오른측면도 및 도 16C는 왼측면도이다. 도 16D 내지 16E는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서의 제 1 케이싱(10)에 대해 슬라이딩 경사지게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하며, 16D는 정면도이고 16E는 오른측면도이다. 도 16F는 막 열린 막 열린 휴대 장치(5)의 정면도이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은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어 이하 설명되지 않는다.
내부에 클릭 장치(도시 생략)를 갖는 힌지(30)는 2 종류의 프리돔: 열고 닫는 방향으로의 프리돔 및 경사 방향으로의 프리돔으로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을 결합한다. 휴대 장치(5)는 경사 방향으로 제 2 케이싱(20)의 회전을 조절하는 경사 조절부(G, H, I, J, K, L 및 M)를 제공한다.
이제, 경사 방향으로 제 2 케이싱(20)의 회전을 조절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휴대 장치(5)가 도 16A 및 16C에 도시된 폐쇄 상태에 있을 때 경사 조절부(H 및 J) 사이에 어떤 공간이 있고, 제 2 케이싱(20)은 도 16A에서 경사 조절부(H 및 J)가 서로 맞물릴 때까지 제 1 케이싱(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경사지게 회전하도록 한다; 반면, 경사 조절부(G 및 I) 사이에 작은 공간이 있고, 제 2 케이싱(20)은 제 1 케이싱(10)에 대해 시계 방향으로 경사지게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도 17은 도 16A 내지 16C의 상태에서 휴대 장치(5)의 힌지(30) 둘레부의 확대도이다. 경사 조절부(H) 및 각 경사 조절부(J 및 M) 사이에 어떤 공간이 있다. 경사 조절부(J 및 M)는 회전축(14b)에 중앙축과 반경(R)을 갖는 반원부 및 반원부로부터 연속하는 직선부로 이루어진 도 17에 점선으로 도시된 부분으로부터 도 17의 해치(hatch)된 부분을 제거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처럼의 형상을 가진다.
제 2 케이싱(20)이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10-2 및 20-2)이 케이싱(10 및 20) 뒤로부터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회전될 때 경사 조절부(H 및 J)는 도 18(또는 도 16D 및 1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린다. 경사 조절부(H 및 J)가 도 16D, 16E 및 18에서 도시된 상태에서 서로 맞물리므로 제 2 케이싱(20)은 더 경사지게 회전되는 것이 방지된다. 힌지(30)에 배열된 클릭 장치(도시 생략)는 경사 방향으로 이 위치에서 제 2 케이싱(20)을 유지한다.
제 2 케이싱(20)이 도 18에서의 상태로부터 열리도록 회전되면서 제 2 케이싱(20)의 경사 조절부(H)는 경사 조절부(J)로부터 멀어지며 경사 조절부(M)에 접촉하고 경사 조절부(M)를 따라 더 이동한다. 동시에, 경사 방향으로 제 2 케이싱(20)의 회전이 경사 조절부(M)에 의해 점차 곧아진다. 제 2 케이싱(20)이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10)에 수직하게 열리는 열림 방향으로 더 회전될 때 제 2 케이싱(20)의 경사 조절부(H)는 경사 조절부(M)로부터 멀어지며 경사 조절부(L)에 접촉하여 제 1 케이싱(10)에 대해 제 2 케이싱(20)의 경사가 대략 0˚가 되는, 즉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이 어떤 경사 없이 곧게 정렬된다. 힌지(30)에 배열된 클릭 장치(도시 생략)는 제 2 케이싱(20)이 어떤 경사 없이 제 1 케이싱(10)과 정렬된 상태에서 경사 방향으로 이 위치에 제 2 케이싱(20)을 유지한다. 그래서, 경사 조절부(L 및 K)의 치수가 정확하게 조절되지 않더라도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이 서로 정렬된 상태는 움직임 없이 유지될 수 있다.
제 2 케이싱(20)이 도 19에서의 상태로부터 열리도록 더 회전될 때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은 도 1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떤 경사 없이 곧게 정렬됨으로써 개방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한 손으로 휴대 장치를 유지하고 휴대 장치에 가벼운 측압을 부여할 때 제 1 및 제 2 케이싱은 서로 비정렬되어 용이하게 열리고, 사용자가 휴대 장치를 열 때 제 1 및 제 2 케이싱은 서로 정렬된 상태로 복귀한다. 그러므로,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용이하게 취급하여 동작성을 더 향상시킨다.
제 4 실시예에 설명된 휴대 장치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약 90˚로 열릴 때 어떤 경사 없이 정렬된 상태로 복귀되더라도 정렬된 상태로 복귀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케이싱에 대한 위치는 그것에 한정되지 않고 경사 조절부(M)의 위치 및/또는 경사를 변경하여 다양하게 고안될 수 있다.
제 4 실시예에 설명된 휴대 장치가 2 종류의 열고 닫는 방향으로의 프리돔 및 경사 방향으로의 프리돔을 갖는 힌지를 통해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결합하더라도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결합은 그것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열고 닫는 방향만으로의 프리돔을 갖는 힌지를 통해 결합될 수도 있고,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힌지 용수철과 같은 탄성 부재에 의해 경사 방향으로의 프리돔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 5 실시예)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으로 열도록 적합화되고 휴대 장치가 막 열렸을 때 제 1 케이싱에 대해 경사진 제 2 케이싱을 가진다; 그러나, 휴대 장치는 제 2 케이싱이 막 열린 휴대 장치에서의 제 1 케이싱과 곧게 정렬되도록 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이 제 1 및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상태로부터 사용자가 제 2 케이싱을 개방할 수 있도록 경사진 힌지를 갖게 되고, 막 열린 휴대 장치에서 서로에 대해 경사지지 않은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가진다. 도 20A 내지 20C는 제 5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6)의 외관을 도시하며, 도 20A는 폐쇄 상태에서의 휴대 장치(6)를 도시하며 도 20B는 휴대 장치(6)의 제 2 케이싱(20)이 폐쇄 상태에서의 제 1 케이싱(10)에 대해 슬라이딩 경사지게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20C는 휴대 장치(6)가 막 개방 상태를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이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어 이하 설명되지 않는다.
휴대 장치(6)는 접을 수 있고, 제 1 케이싱(10), 사진과 같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22 및 24)를 갖는 제 2 케이싱(20) 및 제 1 케이싱(10) 및 제2 케이싱을 함께 결합하는 힌지(30)를 포함한다.
힌지(30)는 열고 닫는 방향으로의 프리돔과 경사 방향으로의 프리돔의 2종류의 프리돔으로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을 결합한다. 힌지(30)의 회전축(14b)은 도 20C에 도시된 개방 상태에서의 휴대 장치(6)의 대략 직사각형의 외관의 길이 방향측에 수직한 라인(14a)에 대해 θ만큼 도 20A 내지 20C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경사져 있다. 힌지(30)는 제 2 케이싱(20)을 각 도 20A 및 20B에 도시된 경사 방향으로의 위치에 유지하도록 내부에 클릭 장치(도시 생략)를 제공한다.
메인 디스플레이(22)는 일정 영상비의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메인 디스플레이(22)가 상부에 단측에 주로 사용되는 그러한 방법으로 휴대 장치(6)가 접힐 때 내부로 오는 제 2 케이싱(20)의 표면에 배열된다. 외장 디스플레이(24)는 휴대 장 치(6)가 접힐 때 외부로 오는 제 2 케이싱(20)의 표면에 배열된다.
휴대 장치(6)가 이동될 때[즉, 휴대 장치(6)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휴대 장치(6)는 도 2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 뒤로부터 돌출한 부분이 없는 압축 상태에서 이동될 수 있다. 힌지(30)에 배열된 클릭 장치(도시 생략)는 경사 방향으로의 위치에 제 2 케이싱(20)을 유지한다. 측압이 폐쇄 상태에서의 휴대 장치(6)에 부여될 때 제 2 케이싱(20)은 제 1 케이싱(10)에 대해 도 20A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경사지게 회전축(14b) 근방에 배열된 경사 축(16)에서 회전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10-2 및 20-2)이 2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되게 이루어진다. 힌지(30)에 배열된 클릭 장치(도시 생략)는 경사 방향으로의 위치에 제 2 케이싱(20)을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돌출부(20-2)를 엄지로 밀어내면서 돌출부(10-2)를 손가락으로 유지하여 사용자가 도 20C에 도시된 상태가 되는 휴대 장치(6)를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6)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래서,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은 휴대 장치(6)가 막 열렸을 때도 서로에 대해 경사지지 않고, 사용자가 휴대 장치(6)에 자연스럽게 작업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술한 열림 절차에 반대 절차로 휴대 장치(6)를 닫을 수 있더라도 사용자는 제 2 케이싱(20)을 닫을 때 도 20C에 우측으로부터 제 2 케이싱(20)을 약간 프레스하여 도 20B의 상태를 통하지 않고 하나의 동작으로 도 20C의 상태에서의 휴대 장치(6)를 도 20A의 상태로 가져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최소한의 동작으로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장치가 폐쇄 상태와 개방 상태에서 경사지지 않는 외관(제 1 및 제 2 케이싱)을 나타내더라도 휴대 장치는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돌출부(10-2 및 20-2)를 준비할 수 있다. 이는 동작성을 향상시킨다.
(제 6 실시예)
제 2 실시예에서의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 장치를 연 후 휴대 장치에 작업하도록 된다; 그러나, 휴대 장치는 그 스타일로 작업되도록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는 제 1 케이싱에 대해 슬라이딩 경사지게 제 2 케이싱이 회전하자마자 소정 모드로 동작되기 시작한다. 도 21A 및 도 21B는 제 6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7)의 외관을 도시하며, 도 21A는 폐쇄 상태에서의 휴대 장치(7)를 도시하고 도 21B는 휴대 장치(7)의 제 2 케이싱(20)이 폐쇄 상태에서의 제 1 케이싱에 대해 슬라이딩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이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어 여기 설명되지 않는다.
물체를 촬영하는 카메라(28)와 물체를 조사하는 플래시광(64)은 제 2 케이싱(20)의 외부면에 배열된다.
힌지(30)는 제 2 케이싱(20)을 각 도 21A과 도 21B에 도시된 경사 방향으로의 위치에 유지하도록 내부에 클릭 장치(도시 생략)를 제공한다. 클릭 장치는 제 2 케이싱(20)이 도 21B에서의 위치에서 정지할 때 회전되는 경사 검출 스위치(29)를 제공한다.
제 2 케이싱(20)이 도 21A의 상태로부터 제 1 케이싱(10)에 대해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 경사지게 경사 축(16)에서 회전될 때 휴대 장치(7)는 도 21B의 상태를 취하고, CPU(40)는 제 2 케이싱(20)이 도 21B의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경사 검출 스위치(29)를 통해 검출한다.
제 2 케이싱(20)이 도 21B의 위치에 도달하는 것을 검출하자마자, CPU(40)는 플래시광(64)을 충전하기 시작하도록 플래시광 제어 유닛(62)에 명령한다. 플래시광(64)이 충전하기 시작한 때로부터 발광할 수 있는데 어느 정도의 시간이 걸리더라도 휴대 장치(7)가 도 21B의 상태로 되자마자 플래시광(64)의 충전을 시작하므로 사용자는 휴대 장치(7)를 연 직후에 플래시광(64)을 사용하여 대상의 스틸 사진 또는 동영상을 찍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에 대해 슬라이딩 경사진 제 2 케이싱의 회전이 검출되고, 휴대 장치는 검출된 작용에 의해 다양한 모드로 자동적으로 동작한다. 이는 동작성을 향상시켜서 동작을 더 용이하게 한다.
제 6 실시예에 설명된 휴대 장치가 열고 닫는 방향으로의 프리돔과 경사 방향으로의 프리돔의 2 종류를 갖는 힌지를 통해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결합하게 되더라도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결합은 그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열고 닫는 방향만으로의 프리돔을 갖는 힌지를 통해 결합되고,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힌지 용수철과 같은 탄성 부재에 의해 경사 방향으로의 프리돔을 제공할 수도 있다.
(제 7 실시예)
제 2 실시예에서의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된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과 서로 약 180℃로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열고, 상부에 단측으로 사용된 디스플레이를 갖게 된다; 휴대 장치는 디스플레이가 상부에 장측으로도 사용되도록 된다.
제 7 실시예의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이 제 1 및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루어진 상태로부터 제 2 케이싱을 열게 할 수 있고, 개방 상태에서 상부에 단측 및 장측 중 한쪽으로 사용될 디스플레이를 설정할 수 있다. 도 22A 내지 도 22E는 제 7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8)의 외관을 도시하며, 도 22A는 폐쇄 상태에서의 휴대 장치(8)를 도시하며, 도 22B는 휴대 장치(8)의 제 2 케이싱(20)이 폐쇄 상태에서의 제 1 케이싱(10)에 대해 슬라이딩 경사지게 회전하는 상태를 도시하며, 도 22C는 휴대 장치(8)가 막 개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22D는 상부에 장측으로 사용될 디스플레이(22)를 설정한 과도기적 상태를 도시하고 도 22E는 디스플레이가 상부에 장측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된 상태를 도시한다. 제 1 및 제 2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부분이 도면에서의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어 여기 설명되지 않는다.
휴대 장치(8)는 접을 수 있고, 제 1 케이싱(10), 사진과 같은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대스플레이(22)를 갖는 제 2 케이싱(20) 및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서로 결합하는 힌지(30)를 구비한다.
힌지(30)는 힌지 본체(31) 및 링크(37)를 구비한다.
링크(37)는 힌지 본체(31)에 피봇된 단부와 제 2 케이싱(20)의 디스플레이(22)에 피봇된 타단부를 갖는다.
제 2 케이싱(20)은 제 2 케이싱(20의 회전을 조절하는 조절 핀(21a 및 21b)을 제공한다.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은 링크(37)를 포함하는 힌지(30)를 통해 결합되고 열고 닫는 방향으로와 경사 방항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힌지(30)는 제 2 케이싱(20)을 기대치 않게 회전되지 않도록 도 22A 및 도 22B에 도시된 각 위치에 유지하도록 내부에 클릭 장치(도시 생략)를 제공한다.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도시 생략)과 같은 연결 장치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힌지(30)의 구성이 설명된다.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37)는 힌지 본체(31)에 피봇된 단부와 제 2 케이싱(20)에 고정된 디스플레이(22)에 피봇된 타단부를 갖는다.
링크(37)는 회전축(14b)에 인접하게 제공된 축(39b)으로 힌지 본체(31)에 피봇되며, 힌지 본체(31)는 열고 닫는 방향으로 제 2 케이싱(20)과 회전된다. 링크(37)는 축(39a)과 디스플레이(22)에 피봇된다. 이 구성은 힌지 본체(31)에 연결된 제 1 케이싱(10)과 디스플레이(22)에 고정된 제 2 케이싱(20)이 축(39a 및 39b)에 링크(37)와 평행하게 회전하도록 한다. 각 피봇은 변위되지 않도록 부가된 대략의 마찰을 갖는다.
이제, 측압이 휴대 장치(8)에 부여된 경우에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 뒤로부터 돌출된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10-2' 및 20-2')을 만 드는 방법이 설명된다.
도 22A에 도시된 상태에서, 힌지 본체(31)에 고정된 타단부로 클릭 장치(도시 생략)의 판 용수철(도시 생략)의 단부가 제 2 케이싱(20)에 형성된 홈(25')에 끼워져서, 제 2 케이싱(20)이 이 상태에서 유지된다.
조절 핀(21a)은 제 2 케이싱(20)이 도 22A의 시계 방향으로만 제 1 케이싱(10)에 대해 슬라이딩하게 회전하도록 한다. 따라서, 압력이 그 상태에서 제 2 케이싱(20)의 측에 부여될 때 힘은 제 2 케이싱(20)이 회전이 방지되지 않는 방향으로 전환된 후 제 2 케이싱(20)은 당연히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판 용수철의 단부가 홈(25')에서 멀어지고, 홈(25')에 인접한 제 2 케이싱(20)에 형성된 홈(26')으로 드로우된다. 그래서, 제 2 케이싱(20)은 도 22B의 상태로 유지된다.
그래서,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10-2' 및 20-2')은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 본체(31) 근방의 제 2 케이싱(20) 하부측의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 뒤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제, 상부에 각 단측과 장측으로 사용될 디스플레이(22)를 설정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사용자가 도 22B의 상태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돌출부(10-2' 및 20-2')를 사용하여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을 열 때 휴대 장치(8)는 도 22C의 상태가 된다.
사용자가 도 22C의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축(39a)에서 제 2 케이싱(20)을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22)는 상부에 단측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된다.
링크(37)가 조절 핀(21b)과 맞물릴 때까지 사용자가 도 22C의 상태로부터 축(39a)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제 2 케이싱(20)을 회전시키면 디스플레이(22)는 도 2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장측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된다.
휴대 장치(8)가 도 22D의 상태에서도 미리 사용될 준비가 되었더라도 사용자는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 사이의 오프셋에 의해 성가시게 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사용자는 축(39b)에서 제 2 케이싱(20)을 회전하여 도 22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케이싱(10)를 대칭으로 위치할 수 있다.
이제, 휴대 장치(8)를 취급하는 방법이 설명된다.
사용자가 오른손에 폐쇄 상태로의 휴대 장치(8)를 유지하고 제 2 케이싱(20)의 힌지 본체(31) 근방의 하부를 도 2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른손의 중지와 제 3 손가락으로 프레스할 때 사용자의 손가락 및 엄지로 잡기 위한 부분(10-2' 및 20-2')은 도 2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 뒤로부터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도 25B의 상태에서 제 2 케이싱(20)을 엄지로 밀어 올릴 때 제 1 케이싱(10) 및 제 2 케이싱(20)은 도 22C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용이하게 열린다.
사용자는 도 22C의 상태에서 휴대 장치(8)를 즉시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전화 또는 디스플레이 특성 정보를 만들기 위해 상부에 단측으로 사용될 디스플레이(22)를 설정하길 원하면, 사용자는 상부에 단측으로 사용될 디스플레이(22)를 설정하기 위해 어떤 경사 없이 제 2 케이싱(20)을 제 1 케이싱(10)과 곧게 정렬하도 록 제 2 케이싱(20)을 오른 엄지 또는 왼손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사용자가 수평적 사진을 보기 위해 상부에 장측으로 사용될 디스플레이(22)를 설정하길 원하면 사용자는 도 2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장측으로 디스플레이(22)를 설정하기 위해 제 2 케이싱(20)을 왼손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하면,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고, 개방 상태에서 휴대 장치에 한 손 및/또는 다른 손으로 디스플레이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휴대 장치는 사용자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한 손으로 용이하게 열면서 휴대 장치를 유지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의 정렬을 변경시킬 수 있게 어떤 새로운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고 링크를 제공한다.
상술한 제 7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부에 장측으로 사용될 디스플레이를 설정하기 위해 왼손으로 제 2 케이싱을 회전하면서 오른손으로 휴대 장치를 유지하고,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필요로 하는 바와 같이 대칭으로 위치시킨다. 대안으로, 휴대 장치는 이하 설명된 바와 같이, 스스로 대칭적이 되도록 적합화될 수도 있다.
도 26A 내지 도 26E는 제 7 실시예의 수정에 의한 휴대 장치(9)의 외관을 도시하며, 도 26A는 폐쇄 상태에서의 휴대 장치(9)를 도시하며, 도 26B는 휴대 장치(9)의 제 2 케이싱(20)이 폐쇄 상태에서의 제 1 케이싱(10)에 대해 슬라이딩 경사지게 회전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26C는 휴대 장치(9)가 막 개방 상태를 도시하 며 도 26D는 상부에 장측으로 사용될 디스플레이(22)를 설정하기 위한 과도기 상태를 도시하고 도 26E는 디스플레이(22)가 상부에 장측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되는 상태를 도시한다. 휴대 장치(8)와 동일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나타내어 여기 설명되지 않는다.
휴대 장치(9)는 링크(37)와 제 2 케이싱(20) 사이에 연장된 용수철(38)을 제공한다. 도 26A 내지 26C에서, 힌지 본체(31)의 오목부와 제 2 케이싱(20)의 원주부가 서로 맞물리고, 제 2 케이싱(20)은 용수철(38)의 힘에 대향하는 도 26A 내지 26C에 도시된 위치에 유지된다. 힌지 본체(31)의 오목부와 제 2 케이싱(20)의 원주부가 도 26D에 도시된 상태에서 맞물리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제 2 케이싱로부터 손을 제거할 때 왼쪽으로 향하는 힘은 용수철(38)에 의해 제 2 케이싱(20)에 부여된다. 그래서, 제 1 및 제 2 케이싱(10 및 20)은 도 2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칭으로 위치된다.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서, 휴대 장치는 제 2 케이싱이 열린 경우, 디스플레이가 상부에 단측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된 경우 및 디스플레이가 상부에 장측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된 경우를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휴대 장치는 제 2 케이싱이 열릴 때 회전되는 모드, 디스플레이가 상부에 단측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될 때 통화 모드로 들어가는 모드, 디스플레이가 상부에 장측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될 때 TV 모드로 들어가는 모드의 휴대 장치를 갖는 다양한 모드 사이에서 모드를 변경시키면서 동작을 자동으로 시작한다. 디스플레이가 상부에 단측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되는 경우를 위해 모드가 통화 모드에 적용되게 제한되지 않고, 카메라 모드, 브라우징 모드 등을 포함한, 디스플레이가 상부에 단부로 사용되도록 설정된 경우를 위한 적절한 모드와 같은 다양한 모드를 적용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가 상부에 장측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된 경우를 위해, 모드가 TV 모드에 적용되게 제한되지 않고, 게임 모드를 포함한, 디스플레이가 상부에 장측으로 사용되도록 설정된 경우를 위한 절절한 모드와 같은 다양한 모드를 적용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을 공지된 구체적인 형태에 제한할 의도는 없지만, 반대로 본 발명이 추가 청구항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의도와 범위 내에서 모든 수정, 대안적인 구성 및 등가물을 커버하기 위한 것임이 이해되어야만 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는 휴대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3은 휴대 장치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A 및 4B는 휴대 장치의 취급 방법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5D는 본 발명에 제 2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6A 및 6B는 휴대 장치의 힌지를 도시한다.
도 7은 휴대 장치의 제 2 케이싱에 클릭 장치를 도시한다.
도 8은 휴대 장치에서 클릭 장치를 도시한다.
도 9는 휴대 장치에서 클릭 장치를 도시한다.
도 10A 및 10B는 휴대 장치의 취급 방법을 도시한다.
도 11A 및 11B는 휴대 장치의 다른 취급 방법을 도시한다.
도 12A 및 12B는 제 2 실시예의 휴대 장치의 수정에 대한 외관도이다.
도 13A 내지 13C는 제 2 실시예의 휴대 장치의 수정에 대한 외관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의 사선도이다.
도 15A 및 15B는 제 3 실시예의 휴대 장치의 도면이다.
도 16A 내지 16F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17은 제 4 실시예의 휴대 장치의 사선도이다.
도 18은 제 4 실시예의 휴대 장치의 사선도이다.
도 19는 제 4 실시예의 휴대 장치의 사선도이다.
도 20A 내지 20C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1A 및 21B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2A 내지 22E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휴대 장치의 외관도이다.
도 23은 제 7 실시예의 휴대 장치의 사선도이다.
도 24는 제 7 실시예의 휴대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5A 내지 25D는 제 7 실시예의 휴대 장치의 취급 방법을 도시한다.
도 26A 내지 26E는 제 7 실시예의 휴대 장치의 외관도이다.

Claims (19)

  1. 제 1 케이싱;
    제 2 케이싱; 및
    서로에 대해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힌지에서 회전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결합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 케이싱의 제 1 부분 및 상기 제 2 케이싱의 제 1 부분은 서로 직면하며, 상기 제 1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제 1 부분을 가로질러 서로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상태의 휴대 장치는 상기 제 2 케이싱이 상기 제 1 케이싱 위에 위치되고 상기 힌지가 사용자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도록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도록 되고,
    폐쇄 상태의 휴대 장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될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 볼 때 상기 제 1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좌측으로 돌출되고, 상기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우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3. 제 1 케이싱;
    제 2 케이싱; 및
    상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접을 수 있게 연결하는 힌지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케이싱과 상기 제 2 케이싱이 곧바로 정렬되고,
    상기 힌지의 회전축은 그 축방향이 상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의 측면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설치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상태에서는 상기 제 1 케이싱과 상기 제 2 케이싱이 비스듬하게 되어 상기 제 1 케이싱의 측면과 상기 제 2 케이싱의 측면이 서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휴대 장치는 상기 제 2 케이싱이 상기 제 1 케이싱 위에 위치되고 상기 힌지가 사용자로부터 먼 측에 위치하도록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되도록 되고,
    폐쇄 상태의 상기 휴대 장치가 유지된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해 유지될 때 상기 사용자로부터 볼 때 상기 힌지의 회전축은 상기 휴대 장치의 직사각형의 외관의 길이 방향측에 직교한 라인에 대해 시계 반대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5. 제 1 케이싱;
    제 2 케이싱;
    서로에 대해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힌지의 회전축에서 회전할 수 있고 휴대 장치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내부에 내부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결합하는 힌지; 및
    상기 휴대 장치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이 비정렬 위치와 정렬 위치 사이의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다른 쪽에 대해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의 내부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경사지게 회전시키는 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정렬 위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은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다른 쪽에 대해 소정 각의 소정 방향으로 경사지며, 상기 제 1 케이싱의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케이싱의 제 1 부분은 서로 직면하며, 상기 제 1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정렬 위치에서 상기 제 1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상기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렬 위치와 정렬 위치의 각각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 쪽을 유지하도록 된 클릭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는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휴대 장치는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내고, 상기 힌지의 회전축은 상기 휴대 장치의 직사각형의 외관의 길이 방향측에 직교한 라인에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장치는 상기 힌지의 회전축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서로에 대해 개방하기 위해 회전하는 작용,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서로에 대해 폐쇄하기 위해 회전하는 작용, 및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이 소정 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다른 쪽에 대해 경사지도록 회전하는 작용 중 한쪽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 및
    상기 검출 장치를 통해 검출된 작용에 따라 상기 휴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1. 제 1 케이싱;
    제 2 케이싱;
    서로에 대해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힌지의 회전축에서 회전할 수 있고 휴대 장치가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폐쇄되는 폐쇄 상태에 있을 때 내부에 내부면을 갖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결합하는 힌지; 및
    상기 휴대 장치가 폐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이 비정렬 위치와 정렬 위치 사이의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다른 쪽에 대해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의 내부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경사지게 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틸팅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비정렬 위치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은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다른 쪽에 대해 소정 각으로 경사져 있으며, 상기 제 1 케이싱의 제 1 부분과 상기 제 2 케이싱의 제 1 부분은 서로 직면하며, 상기 제 1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2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정렬 위치에서 상기 제 1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2 케이싱 뒤로 부터 돌출되지 않고, 상기 제 2 케이싱의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케이싱 뒤로부터 돌출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렬 위치와 정렬 위치 각각에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을 유지하도록 된 클릭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가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내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의 경사를 조절하는 경사 조절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장치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개방되는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휴대 장치는 직사각형의 외관을 나타내고, 상기 힌지의 회전축은 상기 휴대 장치의 직사각형의 외관의 길이 방향측에 직교한 라인에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장치는 상기 힌지의 회전축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서로에 대해 개방하기 위해 회전하는 작용,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서로에 대해 폐쇄하기 위해 회전하는 작용, 및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이 소정 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다른 쪽에 대해 경사지도록 회전하는 작용 중 한쪽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 및
    상기 검출 장치를 통해 검출된 작용에 따라 상기 휴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7. 제 1 케이싱;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제 2 케이싱;
    서로에 대해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힌지의 회전축에서 회전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케이싱을 결합하는 힌지;
    상기 제 2 케이싱이 상기 제 1 케이싱에 대한 디스플레이에 평행한 평면을 따라 경사지게 회전시키는 틸팅 장치; 및
    디스플레이가 상부의 단측에 사용되도록 설정되는 제 1 위치, 디스플레이가 상부의 장측에 사용되도록 설정되는 제 2 위치, 및 상기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의 제 3 위치의 각각에서 틸팅 장치에 의해 경사진 상기 제 2 케이싱을 유지하도록 된 클릭 장치를 포함하는 휴대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은 상기 제 2 케이싱이 제 3 위치에 유지될 때 서로에 대해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해서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장치는 상기 힌지의 회전축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서로에 대해 개방하기 위해 회전하는 작용,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이 서로에 대해 폐쇄하기 위해 회전하는 작용, 및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 중 한쪽이 소정 각으로 상기 제 1 및 제 2 케이싱의 다른 쪽에 대해 경사지도록 회전하는 작용 중 한쪽 이상을 검출하는 검출 장치; 및
    상기 검출 장치를 통해 검출된 작용에 따라 상기 휴대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장치.
KR1020070098445A 2006-09-28 2007-09-28 휴대 장치 KR1009219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65495 2006-09-28
JP2006265495A JP4730270B2 (ja) 2006-09-28 2006-09-28 携帯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932A KR20080029932A (ko) 2008-04-03
KR100921928B1 true KR100921928B1 (ko) 2009-10-16

Family

ID=39256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8445A KR100921928B1 (ko) 2006-09-28 2007-09-28 휴대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56258B2 (ko)
JP (1) JP4730270B2 (ko)
KR (1) KR100921928B1 (ko)
CN (1) CN1011552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86662A1 (en) * 2008-01-18 2009-07-23 Research In Motion Limited Clamshell handheld electronic communication device with pivotally coupled interconnector
JP5129686B2 (ja) * 2008-08-06 2013-01-30 加藤電機株式会社 携帯機器並びにこの携帯機器の開閉装置
US20100042236A1 (en) * 2008-08-15 2010-02-18 Ncr Corporation Self-service terminal
JP5545216B2 (ja) 2008-09-25 2014-07-0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装置およびそのヒンジ機構
JP5115744B2 (ja) * 2009-01-16 2013-01-09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筐体構造、及び電子機器
US8150481B2 (en) * 2009-02-13 2012-04-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2219347B1 (en) * 2009-02-13 2015-10-28 BlackBerry Limited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023256B2 (en) * 2009-03-10 2011-09-20 Research In Motion Limited Portable folding electronic device
EP2228972B1 (en) 2009-03-10 2012-08-0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foldable electronic terminal
JP5975173B2 (ja) * 2013-04-30 2016-08-23 富士通株式会社 分割筐体の結合装置及び分割筐体を備えた電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148B1 (ko) * 2000-06-21 2003-01-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엔진용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JP2005159390A (ja) 2003-11-20 2005-06-16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携帯通信端末機
JP2006019925A (ja) 2004-06-30 2006-01-19 Sharp Corp 携帯情報端末、その開閉操作方法、およびその表示方法
JP2007228518A (ja) * 2006-02-27 2007-09-06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42925A1 (de) * 1989-12-23 1991-06-27 Swf Auto Electric Gmbh Elektrischer schalter, insbesondere blinkerschalter fuer kraftfahrzeuge
JP3268467B2 (ja) * 1992-09-08 2002-03-2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電話機
JP3652972B2 (ja) 2000-09-25 2005-05-25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電話機
JP2002135380A (ja) * 2000-10-27 2002-05-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JP4476503B2 (ja) 2001-02-07 2010-06-0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携帯型電子装置
JP2003060750A (ja) * 2001-08-21 2003-02-28 Toshiba Corp 折り畳み型携帯端末
AU2003210019A1 (en) * 2002-03-02 2003-09-16 M2Sys Co., Ltd. Rotary hinge mechanism of portable phone
JP4061473B2 (ja)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EP1645759A1 (en) * 2002-10-15 2006-04-12 Panasonic Mobile Communications Co., Ltd. Foldable and rotable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2004207961A (ja) 2002-12-25 2004-07-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移動体通信情報端末装置
JP3796222B2 (ja) 2003-01-08 2006-07-12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型無線端末機
CN1531391B (zh) * 2003-03-10 2011-12-07 京瓷株式会社 便携式终端及其打开或闭合的方法
JP2005054890A (ja) * 2003-08-04 2005-03-03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端末用ヒンジ
JP2005054891A (ja) * 2003-08-04 2005-03-03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端末用ヒンジ
KR100566276B1 (ko) 2003-10-17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US20050125570A1 (en) * 2003-10-23 2005-06-09 Robert Olodor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JP4188810B2 (ja) * 2003-11-26 2008-12-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付携帯機器
JP2006010025A (ja) * 2004-06-29 2006-01-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軸ヒンジ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情報端末
KR20070036802A (ko) * 2004-09-14 2007-04-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휴대 기기
JP2006197044A (ja) * 2005-01-12 2006-07-27 Nec Corp 携帯通信端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9148B1 (ko) * 2000-06-21 2003-01-2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디젤 엔진용 배기가스 재순환 장치
JP2005159390A (ja) 2003-11-20 2005-06-16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型携帯通信端末機
JP2006019925A (ja) 2004-06-30 2006-01-19 Sharp Corp 携帯情報端末、その開閉操作方法、およびその表示方法
JP2007228518A (ja) * 2006-02-27 2007-09-06 Kyocera Corp 携帯端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55201B (zh) 2011-06-22
JP2008085865A (ja) 2008-04-10
US7856258B2 (en) 2010-12-21
US20080151481A1 (en) 2008-06-26
KR20080029932A (ko) 2008-04-03
CN101155201A (zh) 2008-04-02
JP4730270B2 (ja) 201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928B1 (ko) 휴대 장치
US7966048B2 (en) Portable device
US7632023B2 (en) Camera
US20060216022A1 (en) Mobile terminal having multi-directional camera lens modules
US6803963B2 (en) Mobile communications unit with teleconferencing capability when open and digital camera feature when closed
US7619686B2 (en) Apparatus for a combination camcorder-handset device
CN100496064C (zh) 摄像装置
JP2004032024A (ja) カメラ付携帯電話機
JP3929704B2 (ja) 通信機能付き撮像装置
JP4199576B2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3751197B2 (ja) 移動体電話機
JP2000092360A (ja) 多機能付き通信装置と通信装置の制御方法
JP2003018261A (ja) 携帯型端末機
JP2006148346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4120290A (ja) 携帯端末及び携帯端末の画像表示方法
JP2004297272A (ja) 折り畳み式携帯端末機
JP2003258955A (ja) 情報端末装置
JP2004159363A (ja) 携帯電話機
JP7433929B2 (ja) 撮像装置
JP2002237880A (ja) 携帯電話機
JP4066990B2 (ja) 撮像装置、及び、カメラモジュール
JP4269900B2 (ja) スライド式携帯電子機器
JP4371353B2 (ja) 電子カメラ装置
JP2005110114A (ja) 携帯機器
JP2003101619A (ja) 携帯端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