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1303B1 - 콘텐츠 수신 및 음성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 - Google Patents

콘텐츠 수신 및 음성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1303B1
KR100921303B1 KR1020037016115A KR20037016115A KR100921303B1 KR 100921303 B1 KR100921303 B1 KR 100921303B1 KR 1020037016115 A KR1020037016115 A KR 1020037016115A KR 20037016115 A KR20037016115 A KR 20037016115A KR 100921303 B1 KR100921303 B1 KR 100921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stream
content
terminal device
unit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161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1525A (ko
Inventor
구라미츠마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40091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15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1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1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1/00Telephonic communica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electrical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7PVR [Personal Video Record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3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sound input device, e.g. micr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3Processing operations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 H04N21/4788Supplemental services, e.g. displaying phone caller identification, shopping application communicating with other users, e.g. chat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5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8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up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04N7/141Systems for two-way working between two video terminals, e.g. videoph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 H04N7/17309Transmission or handling of upstream communications
    • H04N7/17318Direct or substantially direct transmission and handling of reque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8Transmitter circuitry for the transmiss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Abstract

단말에서, 콘텐츠 재생부는 수신된 이송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전화통화 처리부는 음성 통신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 상태 검출부는 음성 통신의 상태가 변화하는 시점을 검출한다. 제어부는 상태 검출부가 음성 통신의 개시를 검출할 때, 콘텐츠 재생부에 의해 수신된 이송 스트림을 콘텐츠 저장부에 기록하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이송 스트림을 소정의 타이밍에 따라 판독하여 콘텐츠 재생부로 보낸다. 콘텐츠 재생부는 제어부에 의해 판독된 이송 스트림으로부터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Description

콘텐츠 수신 및 음성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COMMUNICATIONS TERMINAL DEVICE ALLOWING CONTENT RECEPTION AND VOICE COMMUNICATION}
본 발명은 통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콘텐츠 수신 기능과 음성 통신 기능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상파 디지털 방송이 2003년에 3대 대도시 지역에서 일본에서는 처음으로 시작되며 2006년에는 전국적으로 확대된다.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특징은 콘텐츠의 이동 수신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동 통신에 관해서는 3세대 휴대전화 서비스가 2001년에 시작되어 동영상의 배포와 휴대용 비디오폰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상황하에서, 콘텐츠 수신 기능과 음성 통신 기능 둘다를 갖는 통신 단말 장치의 개념이 최근에 발표되었다. 그러나, 그러한 통신 단말 장치로 콘텐츠를 볼 때 음성 전화가 오면, 사용자는 콘텐츠를 계속 보기 보다는 전화받기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반대 경우에, 즉 만약 사용자가 이동 통신 단말 장치를 이용하여 음성 통신을 하고 있는 동안에 사용자가 보기를 원하는 콘텐츠가 시작했다면, 사용자는 음성 통신을 계속하는 경향이 있다.
시청자가 선택한 채널상에 외부적으로 방송된 비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디오 신호를 재생하며, 수신된 비디오 신호에 의해 표현된 비디오를 출력하는 종래의 텔레비전 기술이 알려져 있다. 종래의 텔레비전은 부착된 전화기가 비디오 신호의 수신 중에 전화를 수신할 때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빌트-인(built-in) 모뎀을 포함한다. 상태 신호에 응답하여, 종래의 텔레비전은 내장된 저장 장치에 현재 수신중인 비디오 신호의 기록을 시작한다(즉, 비디오 기록을 수행한다). 음성 통신이 끝난 후, 종래의 텔레비전은 저장 장치에 기록되어 있는 비디오 신호를 재생한다. 그리하여, 시청자는 음성 통신 때문에 놓친 비디오를 볼 수 있다.
개념적인 통신 단말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즉, 사용자는 적어도 음성 통신이 끝나기 전까지 콘텐츠를 볼 수 없다는 것이다. 다른 문제점으로서, 전술한 종래의 텔레비전은 장시간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대용량의 저장 장치를 갖출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전술한 통신 단말 장치는 이동용 유닛이며 단지 소용량의 저장 장치만을 구비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장시간의 콘텐츠를 저장할 수 없다. 이상을 고려하면, 상당한 변형없이 이동용 통신 단말 장치를 위해 전술된 텔레비전용으로 개발된 기술을 구현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 통신 때문에 사용자가 놓친 콘텐츠 부분을 실제 방송 시간으로부터 변경된 시간에 출력할 수 있는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음성 통신 때문에 사용자가 놓친 콘텐츠 부분을 기록/재생할 수 있는 통신 단말 장치를 이동용 유닛에 적합한 기술에 의해 제공하는 것이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국면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 국면은 다음을 포함하는 통신 단말 장치를 지향한다: 외부원으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재생할 수 있는 재생부; 적어도 음성 통신의 반대쪽단에 있는 상대의 음성을 수신하고 재생할 수 있는 전화통화 처리부; 음성 통신의 상태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 상태 검출부; 재생부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부; 상태 검출부가 음성 통신의 상태 변화를 검출하는 동안에 재생부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를 저장부에 기록할 수 있는 기록부; 및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를 판독할 수 있는 판독부를 구비하고, 재생부는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콘텐츠를 추가로 재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재생부는 원격 방송국으로부터 비디오와 오디오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콘텐츠로 수신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신 단말 장치는 사용자가 음성 통신을 하고 있는 동안에 수신된 콘텐츠를 저장부에 저장하며, 음성 통신에 끝난 후에 저장된 콘텐츠를 판독하고 재생한다. 그리하여, 통신 단말 장치는 음성 통신 때문에 볼 수 없었던 콘텐츠 부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판독부는 상태 검출부가 음성 통신의 후속 상태 변화를 검출하는 동안에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의 판독을 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콘텐츠의 재생이 자동적으로 시작된다. 그리하여, 보다 향상된 동작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상태 검출부는 전화통화 처리부에서의 인커밍 콜(incoming call)을 음성 통신의 시작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전화통화 처리부가 음성 통 신을 끊었다는 것을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상태 검출부는 전화통화 처리부가 오프-후크(off-hook) 상태에 진입한 것을 음성 통신의 시작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으며, 전화통화 처리부가 온-후크(on-hook) 상태에 진입한 것을 음성 통신의 종료 시점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원래 통신 단말 장치에 의해 처리되는 음성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상태는 검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통신 단말 장치의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 원가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하여, 전화통화 처리부는 음성 통신의 반대쪽단에 있는 상대방의 영상을 수신하고 재생할 수 있다.
또는, 재생부는 판독부에 의해 판독된 콘텐츠를 n배속(n은 n>1을 만족하는 양수)으로 재생할 수 있으며, 또한 외부원으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판독부에 의한 판독이 완료될 때 수신하고 재생할 수 있다. 통신 단말 장치는 저장부에 데이터가 거의 남아있지 않다면, 수신중인 콘텐츠를 재생한다. 그러므로, 음성 통신의 시작 후 수신된 모든 콘텐츠를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은 불필요하다. 이 사실은 소용량의 메모리만을 포함할 수 있는 통신 단말 장치용으로 적합한 기록/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 단말 장치는 추가적으로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통신에 관계된 영상 정보를 생성시킬 수 있는 영상 생성부; 및 상태 검출부가 음성 통신의 상태 변화를 검출하는 동안에, 영상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영상 정보와 재생부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를 결합함으로써 결합 영상 정보를 생성시킬 수 있는 영상 결합부. 이들 구성요소로써, 사용자는 음성 통신 중에도 콘텐츠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추가적으로 향상된 동작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재생부는 콘텐츠에 관계된 문자 데이터를 추가적으로 수신할 수 있으며, 영상 결합부는 수신된 문자 데이터가 추가적으로 포함된 결합 영상 정보를 생성시킬 수 있다. 사용자는 음성 통신 중에도 문자 데이터를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추가적으로 향샹된 동작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영상 결합부는 음성 통신의 반대쪽단에 있는 상대방의 영상이 추가적으로 포함된 결합 영상 정보를 생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재생부가 사용자의 영상을 캡처할 수 있을 때, 영상 결합부는 캡처된 사용자 영상이 추가적으로 포함된 결합 영상 정보를 생성시킬 수 있다.
재생부가 적어도 수신된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를 재생할 수 있을 때, 통신 단말 장치는 추가로 다음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통신의 묵음 시간 구간을 검출할 수 있는 묵음 검출부; 및 묵음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묵음 시간 구간 동안에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는 음성 스위치부. 음성 스위치부는 묵음 검출부가 어떠한 묵음 시간 구간도 검출하지 않을 때, 전화통화 처리부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를 추가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것은 음성 통신 중에도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를 사용자가 들을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추가적으로 향상된 동작성을 갖는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통신 단말 장치는 음성 통신의 상태 변화가 상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동안에,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오디오와 전화통화 처리부에 의해 재생된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제 1 및 제 2 스피커를 추가로 포함한다. 이것은 사용자가 음성 통신 동안에 콘텐츠의 오디오를 들을 수 있게 한다.
통신 단말 장치는 소정의 콘텐츠 전송 개시 시간을 검출할 수 있는 개시 검출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기록부는 전송 상태 변화가 개시 검출부에 의해 검출되는 동안에, 재생부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를 추가로 저장할 수 있다. 그리하여, 통신 단말 장치는 음성 통신 때문에 시청하지 못한 콘텐츠 부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시간-변경(time-shifted) 재생을 위해서, 판독부는 기록부가 저장부에 콘텐츠의 기록을 진행하는 동안에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콘텐츠의 헤드부터 콘텐츠를 추가로 판독할 수 있다. 그리하여, 통신 단말 장치는 음성 통신 때문에 시청할 수 없었던 콘텐츠 부분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통신 단말 장치는 추가로 다음을 포함한다: 재생부에 의해 수신되어 현재 저장부에 기록되고 있는 콘텐츠의 종료 시간을 판정할 수 있는 종료 시간 판정부; 및 종료 시간 판정부가 종료 시간이 지났음을 판정할 때 저장부로의 콘텐츠의 기록을 종결할 수 있는 기록 종결부. 기록 종결부로써, 저장부로의 대상 콘텐츠의 기록은 일단 콘텐츠가 완료되면 음성 통신 중이라도 종결될 수 있다. 이 사실은 소용량의 메모리만을 포함할 수 있는 통신 단말 장치용으로 적합한 기록/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통신 단말 장치는 저장부의 잔여 저장 용량을 검출할 수 있는 잔여 용량 검출부를 추가로 포함한다. 기록부는 잔여 용량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잔여 용량에 기초하여 비트율을 추가로 결정할 수 있으며, 재생부에 의해 수신된 콘텐츠를 결정 된 비트율에 기초하여 기록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텐츠의 비트율은 저장부의 잔여 용량에 따라서 제어될 수 있다. 이 사실은 소용량의 메모리만을 포함할 수 있는 통신 단말 장치용으로 적합한 기록/재생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 2 국면은 방송 수신 기능과 음성 통신 기능을 컴퓨터에 제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외부원으로부터 전송된 콘텐츠를 수신하고 재생하는 단계; 적어도 음성 통신의 반대쪽단에 있는 상대방의 목소리를 수신하고 재생하는 단계; 음성 통신의 상태 변화 시점을 검출하는 단계; 음성 통신의 상태 변화가 검출 단계에서 검출되는 동안에, 콘텐츠 수신 및 재생 단계에서 수신된 콘텐츠를 기록하는 단계; 및 기록 단계에서 기록된 콘텐츠를 판독하는 단계. 콘텐츠 수신 및 재생 단계는 판독 단계에서 판독된 콘텐츠를 재생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은 기록 매체에 기록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말 장치 E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단말 장치 E1의 동작의 개요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3은 도 1의 단말 장치 E1의 상세한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4는 도 1의 단말 장치 E1의 제 1 변형인 단말 장치 E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도 4의 단말 장치 E2의 동작의 개요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6은 도 4의 단말 장치 E2의 상세한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7은 도 1의 단말 장치 E1의 제 2 변형인 단말 장치 E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도 7의 단말 장치 E3의 동작의 개요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9는 도 7의 단말 장치 E3의 상세한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10은 도 7에 있는 영상 결합부(104)에 의해 생성된 결합 영상 신호 SLM의 제 1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7에 있는 영상 결합부(104)에 의해 생성된 결합 영상 신호 SLM의 제 2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7에 있는 영상 결합부(104)에 의해 생성된 결합 영상 신호 SLM의 제 3 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3은 도 1의 단말 장치 E1의 제 3 변형인 단말 장치 E4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4는 도 13의 단말 장치 E4의 동작의 개요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15는 도 13의 단말 장치 E4의 상세한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16은 도 1의 단말 장치 E1의 제 4 변형인 단말 장치 E5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7는 도 16의 단말 장치 E5의 동작의 개요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18은 도 16의 단말 장치 E5의 상세한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19는 도 1의 단말 장치 E1의 제 5 변형인 단말 장치 E6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0는 도 19의 단말 장치 E6의 동작의 개요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21은 도 19의 단말 장치 E6의 상세한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22는 도 1의 단말 장치 E1의 제 6 변형인 단말 장치 E7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3은 도 22의 단말 장치 E7의 동작의 개요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도 24는 도 22의 단말 장치 E7의 상세한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
도 25는 도 1의 단말 장치 E1의 제 7 변형인 단말 장치 E8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6은 도 25의 단말 장치 E8의 동작의 개요를 도시하는 타이밍 차트; 및
도 27은 도 25의 단말 장치 E8의 상세한 동작을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이후, 간략히 단말 장치라 칭함) E1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서, 단말 장치 E1은 콘텐츠 재생부(1), 전화통화 처리부(2), 영상 스위치부(3), 표시 장치(4), 음성 스위치부(5), 스피커(6), 상태 검출부(7), 제어부(8), 콘텐츠 저장부(9), 입력 장치(10)를 포함한다.
콘텐츠 재생부(1)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과 지상파 디지털 방송국(101)으로부터의 방송으로 이루어지는 이송 스트림(transport stream) STT를 수신하며, 수신된 이송 스트림 STT로부터의 콘텐츠를 재생한다. 본 실시예에서, 콘텐츠는 예를 들면, 방송 제공자에 의해 구성된 시간표에 따라 스케줄된 시간 구성으로 방송된 TV 프로그램으로 가정한다. TV 프로그램은 본질적으로 비디오 신호 SLV에 의해 표현되는 비디오와 오디오 신호 SLA에 의해 표현되는 오디오로 이루어진다. 비디오 신호 SLV와 오디오 신호 SLA는 MPEG(Moving Pictue Experts Group) 표준에 따라 방송국(101)에서 부호화된다. 결과적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CSLV와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CSLA는 이송 스트림 STT를 생성하기 위해 다중화된다. 콘텐츠 재생부(1)는 음성 통신이 콘텐츠의 수신/재생 동안에 시작되는 경우에 콘텐츠 저장부(9)(아래에서 설명됨)로부터 판독된 이송 스트림 STT로부터 비디오 신호 SLV와 오디오 신호 SLA 를 재생할 수 있게끔 또한 만들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은 콘텐츠의 수신/재생을 구현하기 위해서, 콘텐츠 재생부(1)는 안테나(11), 튜너(12), TS 스위치부(13), 디멀티플 렉서(14), 비디오 복호기(15), 오디오 복호기(16)를 포함한다.
안테나(11)는 복수의 방송국(101)(하나의 방송국이 도 1에 도시되어 있음)으로부터 방송된 이송 스트림 STT를 수신하며, 수신된 스트림을 튜너(12)로 출력한다. 튜너(12)는 안테나(11)에 의해 수신가능한 채널들에 전송된 이송 스트림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채널에 전송된 이송 스트림 STT를 선택하며, 선택된 이송 스트림 STT를 TS 스위치부(13)와 제어부(8) 둘다로 출력한다. TS 스위치부(13)는 튜너(12)로부터 보내져온 이송 스트림 STT를 디멀티플렉서(14)로 출력한다. TS 스위치부(13)는 제어부(8)에 의해 콘텐츠 저장부(9)로부터 판독한 이송 스트림 STT를 또한 수신하고, 수신된 이송 스트림 STT를 디멀티플렉서(14)로 출력한다. TS 스위치부(13)는 제어부(8)로부터 보내져온 제어 신호 CSC에 따라 이들 2개의 입력선을 스위칭한다. 디멀티플렉서(14)는 TS 스위치부(13)로부터 출력된 이송 스트림 STT를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CSLV와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CSLA로 디멀티플렉싱하며, 이들 신호들은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로 각각 전달된다. 비디오 복호기(15)는 디멀티플렉서(14)로부터 수신된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CSLV를 MPEG에 따라 복호화하며,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를 나타내는 비디오 신호 SLV를 재생한다. 재생된 비디오 신호 SLV는 영상 스위치부(3)로 출력된다. 오디오 복호기(16)는 디 멀티플렉서(14)로부터 수신된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CSLA를 MPEG에 따라 복호화하며, 콘텐츠를 구성하며 비디오와 동기된 오디오를 나타내는 오디오 신호 SLA를 재생한다. 재생된 오디오 신호 SLA는 음성 스위치부(5)로 출력된다.
전화통화 처리부(2)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기지국(102)과 통신하며, 기지국(102)으로부터/기지국(102)으로 다중화된 신호 SLS를 수신/송신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 의해 채택된 다중화 체계와 음성 부호화 체계에 따라 다중화되고 부호화된, 다중화된 신호 SLS는 사용자가 단말 장치 E1을 사용하여 이야기하는 상대방의 말을 나타내는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1과 사용자의 말을 나타내는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2를 적어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음성 통신을 구현하기 위해서, 전화통화 처리부(2)는 일반적으로 안테나(21), 무선 통신 부분(22), 음성 복호기(23), 음성 입력 부분(24), 음성 부호화기(25)를 포함한다.
안테나(21)는 기지국(102)으로부터 송신된 다중화된 신호 SLS를 수신한다. 무선 통신 부분(22)은 디멀티플렉서로서,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1을 얻기 위해서 다중화된 신호 SLS를 디멀티플렉싱하며, 디멀티플렉싱된 신호를 음성 복호기(23)로 출력한다. 음성 복호기(23)는 무선 통신 부분(22)으로부터 출력된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1을 전술한 음성 부호화 체계에 따라 복호화하며, 결과적인 음성 신호 SLS1을 음성 스위치부(5)로 출력한다. 음성 입력 부분(24)은 사용자의 말을 나타내는 음성 신호 SLS2를 생성시키며, 생성된 신호를 음성 부호화기(25)로 출력한다. 음성 부호화기(25)는 음성 입력 부분(24)으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 SLS2를 전술한 음성 부호화 체계에 따라 부호화하며, 결과적인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2를 무선 통신 부분(22)으로 출력한다. 무선 통신 부분(22)은 멀티플렉서로서, 음성 부호화기(25)로부터 수신된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2를 다중화된 신호 SLS를 생성시키기 위해 다중화하며, 생성된 신호 SLS를 안테나(21)로 출력한다. 안테나(21)는 무선 통신 부분(22)으로부터 수신된 다중화된 신호 SLS를 기지국(102)으로 송신한다.
영상 스위치부(3)는 비디오 복호기(15)로부터 수신된 비디오 신호 SLV를 표시 장치(4)로 출력한다. 영상 스위치부(3)는 영상 신호 SLI를 또한 수신하며, 이 신호는 일반적으로 현재 시각, 전파 수신 상태, 잔여 배터리 시간을 표시하기 위해 음성 통신 동안에 사용된다. 영상 신호 SLI는 제어부(8)에 의해 생성된다. 영상 스위치부(3)는 입력된 비디오 신호 SLV의 출력과 입력된 영상 신호 SLI의 출력 사이에서 제어부(8)로부터 보내져온 제어 신호 CSa 또는 CSb에 따라 스위칭한다. 표시 장치(4)는 영상 스위치부(3)로부터 출력된 비디오 신호 SLV 또는 영상 신호 SLI에 따라 비디오 또는 영상을 표시한다.
음성 스위치부(5)는 오디오 복호기(16)로부터 보내져온 오디오 신호 SLA를 스피커(6)로 출력한다. 음성 스위치부(5)는 음성 복호기(23)로부터 보내져온 음성 신호 SLS1을 스피커(6)로 또한 출력한다. 음성 스위치부(5)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 SLA의 출력과 입력된 음성 신호 SLS1의 출력 사이에서 제어부(8)로부터 보내져온 제어 신호 CSa 또는 CSb에 따라 스위칭한다. 스피커(6)는 비디오에 동기된 오디오 또는 음성 통신의 반대쪽단에 있는 상대방의 말을 출력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전술한 다중화된 신호 SLS 이외에, 음성 통신의 인커밍 콜과 접속종결을 가리키는 것과 같은 다양한 제어 신호 CSM이 단말 장치 E1과 기지국(102) 사이에서 교환된다. 무선 통신 부분(22)은 안테나(21)를 통해 그러한 제어 신호 CSM을 송수신한다. 수신되거나 송신될 그러한 제어 신호 CSM은 무선 통신 부분(22)으로부터 상태 검출부(7)로 또한 공급된다. 상태 검출부(7)는 무선 통신 부분(22)으로부터 보내져온 제어 신호 CSM을 복호화하며, 일반적으로 음성 통신의 인커밍 콜이나 접속종결인 음성 통신의 상태 변화를 가리키는 신호 CSST(이후, 상태 통지라 칭함)를 제어부(8)로 출력한다.
전술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부(8)는 프로그램 메모리(81), 처리기(82), 작업 영역(83)을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81)는 운영체제(OS), 콘텐츠의 수신/재생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음성 통신 처리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을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들 프로그램은 편의상 프로그램 CP1으로 총칭된다. 처리기(82)는 작업 영역(83)을 이용하여 프로그램 CP1을 실행한다.
콘텐츠 저장부(9)는 제어부(8)의 제어하에서 튜너(12)로부터 전달된 이송 스트림 STT를 저장한다. 입력 장치(10)는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된 이송 스트림 STT의 판독을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지시하는 신호 SLP(이후, 개시 명령이라 칭함)를 제어부(8)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단말 장치 E1의 동작이 도 2를 참조하면서 개요가 설명된다. 도 2에서, 터미널 장치 E1이 이송 스트림 STT(즉, 콘텐츠)를 시각 t0에서 수신/재생할 때 전화가 온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음성 통신이 끝날 때까지 시각 t0로부터 콘텐트를 볼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 E1은 사용자가 콘텐츠를 보지 못하는 동안에 콘텐츠 저장부(9)에 음성 통신 동안 수신된 이송 스트림 STT를 저장한다. 시각 t1에서 음성 통신이 끝나고 단말 장치 E1이 음성 통신을 접속종결한다고 가정하면, 단말 장치 E1은 시각 t1에서 이송 스트림 STT의 수신/재생을 재개하며, 시각 T2에서 수신/재생이 완료된다. 시각 t2 후에, 전술한 개시 명령 SLP 이 생성된다. 개시 명령 SLP에 응답하여, 단말 장치 E1은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이송 스트림 STT를 판독하며, 이송 스트림 STT를 재생한다. 이러한 방식으 로, 사용자는 음성 통신 때문에 놓쳤던 콘텐츠 부분을 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서 이상에서 개요가 설명된 동작은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3에서, 처리기(82)는 콘텐츠의 수신/재생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이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CP1에 포함되어 있다. 프로그램 CP1의 실행 동안에, 만약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이하, 대상 콘텐츠라 칭함)를 보기위해 채널을 지정하면, 다음과 같은 설정이 처리기(82)에 의해 수행된다. 즉, 튜너(12)에 의해 수신될 지정 채널이 설정되고, TS 스위치부(13)는 튜너(12)의 출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로 설정되며, 영상 스위치부(3)는 비디오 복호기(15)의 출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로 설정되고, 음성 스위치부(5)는 오디오 복호기(16)의 출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러한 설정 후, 단말 장치 E1은 수신된 이송 스트림 STT로부터 비디오 신호 SLV와 오디오 신호 SLA를 재생하며, 비디오와 그 비디오에 동기된 오디오를 출력한다(단계(S1)). 더 구체적으로는, 튜너(12)는 안테나(11)로부터 출력된 이송 스트림 STT 중에서 설정된 채널을 통해 전송된 이송 스트림 STT를 선택하며, 선택된 이송 스트림 STT를 TS 스위치부(13)로 출력한다. TS 스위치부(13)는 입력된 이송 스트림 STT를 디멀티플렉서(14)로 출력한다. 디멀티플렉서(14)는 입력된 이송 스트림 STT를 디멀티플렉싱하며, 결과적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CSLV와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CSLA를 각각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로 출력한다. 비디오 복호기(15)는 입력된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CSLV를 복호화하며, 영상 스위치부(3)를 통해 표시 장치(4)로 결과적인 비디오 신호 SLV를 출력한다. 오디오 복호기(16)는 입력된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CSLA를 복호화하며, 음성 스위치부(5)를 통해 스피커(6)로 결과적인 오디오 신호 SLA를 출력한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대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는 표시 장치(4)에 표시되며 동시에, 표시된 비디오에 동기된 오디오가 스피커(6)로부터 출력된다.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출력된 이송 스트림 STT는 또한 튜너(12)로부터 제어부(8)로 보내진다. 그러나, 단계(S1)에서, 제어부(8)는 바람직하게는 입력된 이송 스트림 STT를 콘텐츠 저장부(9)로 전달하지 않고 그것을 버린다. 단계(S1)에서 튜너(12)로부터 출력된 이송 스트림 STT가 제어부(8)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튜너(12)와 TS 스위치부(13) 사이의 어느 곳에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다.
단계(S1)에 뒤이어, 처리기(82)는 음성 통신의 상태 변화, 즉 인커밍 콜을 가리키는 상태 통지 CSST가 상태 검출부(7)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2)). 수신되지 않았다면, 어떠한 음성 통신 처리도 필요 없음을 나타내면서, 단계(S1)의 실행이 반복된다. 만약 인커밍 콜을 가리키는 상태 통지 CSST가 수신되었다면, 처리기(82)는 우선 제어 신호 CSa를 생성시키고, 2개의 입력선간의 스위칭을 위한 영상 스위치부(3)와 2개의 입력선간의 스위칭을 위한 음성 스위치부(5)로 신호를 보낸다(단계(S3)). 이 제어 신호 CSa로써, 영상 스위치부(3)는 제어부(8)의 출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로 설정되고, 음성 스위치부(5)는 음성 복호기(23)의 출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후 처리기(82)는 프로그램 CP1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통신 처리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개시한다. 단말 장치 E1은 음성 통신을 위해 기지국(102)과 다중화된 신호 SLS를 교환하며, 다중화된 신호 SLS에 포함된 음성 신호 SLS1을 재생하며, 전화건 사람의 말을 출력한다. 단말 장치 E1은 사용자의 말을 나타내는 음성 신호 SLS2로부터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2를 또한 생성시키며,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2를 다중화하며, 결과적인 다중화된 신호 SLS를 기지국(102)으로 전송한다. 즉, 단말 장치 E1은 음성 통신 처리를 수행한다(단계(S4)). 더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부분(22)은 디멀티플렉서의 기능과 멀티플렉서의 기능 사이에서 자신의 기능을 스위치한다. 무선 통신 부분(22)은 디멀티플렉서로서,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1을 얻기 위해 안테나(21)로부터 출력된 다중화된 신호 SLS를 디멀티플렉싱하며,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1을 음성 복호기(23)로 출력한다. 음성 복호기(23)는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1을 수신하며, 복호화된 음성 신호 SLS1을 음성 스위치부(5)를 통해 스피커(6)로 출력한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전화건 사람의 말이 스피커(6)로부터 출력된다.
음성 입력 부분(24)은 사용자의 말을 나타내는 음성 신호 SLS2를 생성시키며, 음성 신호 SLS2를 음성 부호화기(25)로 출력한다. 음성 부호화기(25)는 입력된 음성 신호 SLS2를 부호화하며, 결과적인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2를 무선 통신 부분(22)으로 출력한다. 무선 통신 부분(22)은 멀티플렉서로서,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2를 다중화하며, 다중화된 신호 SLS를 기지국(102)으로 전송한다.
처리기(82)는 만약 필요하다면 작업 영역(83)에서 영상 신호 SLI를 또한 생성시키며, 생성된 신호 SLI를 영상 스위치부(3)를 통해 표시 장치(4)로 보낸다. 이 처리에 의해, 영상 신호 SLI에 의해 나타내어진 영상은 표시 장치(4)에 표시된다.
전술한 단계(S4)에 뒤이어, 튜너(12)로부터 출력된 이송 스트림 STT는 처리기(82)의 제어하에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된다(단계(S5)). 이송 스트림 STT의 저장 후에, 처리기(82)는 음성 통신의 후속 상태 변화, 즉 음성 통신의 접속종결을 가리키는 상태 통지 CSST가 상태 검출부(7)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6)). 만약 수신되지 않았다면, 콘텐츠의 수신/재생의 재개가 필요하지 않다는 것을 나타내면서, 단계(S4 및 S5)는 음성 통신의 접속종결이 검출될 때까지 실행된다. 만약 음성 통신의 접속종결을 가리키는 상태 통지 CSST가 수신되었다면, 이것은 시각 t1(도 2를 보시오)이 검출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콘텐츠의 수 신/재생을 재개하기 위해서, 처리기(82)는 제어 신호 CSb를 생성시키며, 2개의 입력선간의 스위칭을 위한 영상 스위치부(3)와 2개의 입력선간의 스위칭을 위한 음성 스위치부(5)에 신호 CSb를 보낸다(단계(S7)). 이 제어 신호 CSb로써, 영상 스위치부(3)는 비디오 복호기(15)의 출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로 설정되며, 음성 스위치부(5)는 오디오 복호기(16)의 출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후, 콘텐츠 재생부(1)는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와 오디오를 단계(S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출력한다(단계(S8)).
단계(S4 및 S5)의 처리를 반복하는 동안에,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 E1의 전력 소비를 보호하기 위해서, 처리기(82)는 이들 구성요소에 대한 전력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처리기(82)는 단계(S8)에서 이들 구성요소에 전력 공급을 재개해야 한다.
단계(S8) 후에, 처리기(82)는 입력 장치(10)로부터 개시 명령 SLP이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9)). 만약 수신되지 않았다면, 콘텐츠 저장부(9)로부터 이송 스트림 STT를 판독할 필요가 없음을 나타내면서, 단계(S8)의 실행이 반복된다. 만약 개시 명령 SLP가 수신되었다면, 이것은 시각 t2(도 2를 보시오)가 검출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처리기(82)는 TS 스위치부(13)의 입력을 튜너(12)측으로부터 제어부(8)측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 CSC를 생성시키며, 신호 CSC를 TS 스위치부(13)로 보낸다(단계(S10)). 단계(S10)의 이러한 처리에 의 해, TS 스위치부(13)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자신의 입력선을 변경한다. 이후 처리기(82)는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이송 스트림 STT를 판독하며, 이송 스트림 STT를 TS 스위치부(13)로 전달한다. 디멀티플렉서(14)는 TS 스위치부(13)를 통해 전달된 이송 스트림 STT를 수신하며, 이송 스트림 STT를 디멀티플렉싱하고, 결과적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CSLV와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CSLA를 각각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로 출력한다.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는 단계(S1)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하는데, 즉 입력된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CSLV와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CSLA로부터 비디오 신호 SLV와 오디오 신호 SLA를 재생하고, 각각의 신호를 표시 장치(4)와 스피커(6)로 출력한다. 즉, 단말 장치 E1는 대상 콘텐츠를 판독하고 재생한다(단계(S11)). 그 결과, 음성 통신 동안에 사용자가 놓쳤던 대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 부분이 표시 장치(4)에 표시되고, 그 비디오와 동기된 오디오가 스피커(6)로부터 출력된다. 단계(S11)에서, 단계(S1)에서와 같이, 제어부(8)는 바람직하게는 튜너(12)로부터 출력된 이송 스트림 STT가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되는 것을 막기 위해 관계있는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그 후, 처리기(82)는 재생될 이송 스트림 STT의 일부분이 아직 콘텐츠 저장부(9)에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12)). 만약 있다면, 단계(S11)의 실행이 반복된다. 만약 이송 스트림 STT가 남아있지 않다면, 음성 통신 동안에 사용 자가 놓친 전체 부분이 재생되었음을 의미하면서, 처리기(82)는 도 3에 도시된 처리를 종결한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단말 장치 E1은 음성 통신 동안에 콘텐츠 저장부(9)에 이송 스트림 STT를 저장한다. 사용자가 음성 통신을 끝내고 방송국(101)으로부터 이송 스트림 STT의 수신이 끝난 후에, 단말 장치 E1은 개시 명령 SLP에 응답하여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이송 스트림 STT의 재생을 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성 통신 때문에 사용자가 놓친 콘텐츠 부분을 실제 방송된 시각으로부터 변경된 시각에 출력할 수 있는 단말 장치 E1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장치 E1은 단계(S11)에서 콘텐츠 저장부(9)로부터의 판독이 일단 개시되면, 콘텐츠 저장부(9)에 콘텐츠를 저장하는 것을 중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어떠한 불필요한 콘텐츠도 콘텐츠 저장부(9)에 기록되지 않는다. 이는 콘텐츠 저장부(9)의 기록 용량의 효율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실시예예서, 상태 검출부(7)는 제어 신호 CSM에 의해 음성 통신의 상태 변화를 검출한다. 휴대전화로 대표되는 단말 장치 E1은 온-후크나 오프-후크 상태로의 진입을 위한 입력 장치가 일반적으로 제공된다. 그러므로, 이 입력 장치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상태 검출부(7)는 전화통화 처리부가 음성 통신의 첫번째 상태 변화로서 오프-후크 상태로 진입하는 시점과 전화통화 처리부(2)가 음성 통신의 후속 상태 변화로서 온-후크 상태로 진입하는 시점을 검출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전화통화 처리부(2)는 음성 통신에 관계된 처리를 수행한다. 또는, 전화통화 처리부(2)는 비디오폰에 관계된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전화통화 처리부(2)는 음성 통신의 반대쪽단에 있는 상대방측에 대한 영상 정보의 수신/재생을 추가로 수행하고, 전술한 영상 신호 SLI에 의해 주어진 영상 대신에 반대쪽단에 있는 상대방을 보여주는 비디오를 표시하는 것이 요구되며, 또한 사용자측에 대한 영상 정보를 캡처하고 부호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콘텐츠는 TV 프로그램으로 가정되었으나 그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콘텐츠는 라디오 방송 제공자에 의해 구성된 시간표에 따라 스케줄된 시간 구성으로 방송된 라디오 프로그램일 수 있다. 그러한 라디오 프로그램은 오디오 신호 SLA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오디오로 구성된다. 그렇지 않으면, 콘텐츠는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디지털 네트워크을 통해 서버로부터 스트림으로 배포되며 오디오만으로 구성되거나 오디오 및 비디오로 구성되는 음악일 수 있다. 그러한 음악은 오디오 신호 SLA로 제공된다.
도 4는 전술한 단말 장치 E1의 제 1 변형인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이하, 간략히 단말 장치라 칭함) E2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에서 단말 장치 E2는 컴퓨터 프로그램(이하, 간략히 프로그램이라 칭함) CP2가 프로그램 메모리(81)에 저장되어 있고, 입력 장치(103)가 입력 장치(10) 대신에 사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단말 장치 E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도 4에서는, 도 1에서 단말 장치 E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표시되며, 그것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다.
프로그램 CP2는 프로그램 CP1과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프로그램 CP2를 실행함으로써, 단말 장치 E2는 단말 장치 E1에 의해 수행된 것과는 다른 처리 아이템을 수행한다. 이것은 도 5 및 6을 참조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입력 장치(103)는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이송 스트림 STT의 수신/재생의 종료를 명령하는 신호 SLP(이하, 종료 명령이라 칭함)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단말 장치 E2의 동작이 도 5를 참조하면서 그 개요가 설명된다. 도 5에서, 단말 장치 E2가 이송 스트림 STT를 수신/재생할 때 시각 t0 에서 전화가 온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음성 통신이 완료될 때까지 시각 t0에서부터 대상 콘텐츠를 볼 수 없게 된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 E2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보지 못하는 동안에, 음성 통신 동안 수신된 이송 스트림 STT를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한다. 음성 통신이 시각 t1에서 접속종결된다고 가정하면, 단말 장치 E2는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이송 스트림 STT를 시각 t1부터 판독하며, 이송 스트림 STT를 n배속(n은 n>1을 만족하는 수)으로 재생한다. 구체적으로, 음성 통신 때문에 사용자가 놓쳤던 대상 콘텐츠 부분은 그것의 헤드부터 순서대로 판독된다. 그러므 로, 이 동안 사용자는 실제 방송 시간에 따라 방송되고 있는 대상 콘텐츠 부분(시각 t1 이후의 부분)은 볼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단말 장치 E2는 이송 스트림 STT , 즉 시각 t1 이후에 실제 방송 시간에 따라 방송되고 있는 대상 콘텐츠를 저장부(9)에 계속해서 저장한다. 이 상태에서, 저장된 콘텐츠의 n배속 시간-변경 재생으로, 재생되고 있는 콘텐츠와 방송되고 있는 콘텐츠의 시간 지연은 점차로 감소한다. 그리하여,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될 이송 스트림 STT는 감소한다. 즉, n배속 시간-변경 재생은 시각 t1에서 시각 t2까지 수행된다. 전술한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n배속 시간-변경 재생에 의해, 대상 콘텐츠는 실제 디지털 방송 시간과는 다른 시간축을 따라 n배속으로 재생된다.
n배속 시간-변경 재생의 결과로서, 콘텐츠 저장부(9)는 거의 비워지며, 그리하여 이송 스트림 STT의 판독은 시각 t2에서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이 시각 t2 가 검출될 때, 단말 장치 E2는 콘텐츠 저장부(9)로의 콘텐츠의 기록과 콘텐츠 저장부(9)로부터의 콘텐츠의 판독을 종결하며, 대신 실제 방송 시간에 따라 방송국(101)으로부터 방송되고 있는 이송 스트림 STT를 수신/재생한다.
도 6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도 5에서 개요가 설명된 단말 장치 E2의 동작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의 순서도는 단계(S7 내지 S12) 대신에 단계(S21 내지 S27)가 포함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6에서는, 도 3에 있는 단계와 동일한 단계는 동일한 단계 번호로 표시되며, 그것의 설명 은 생략된다.
단계(S6)에서 만약 처리기(82)가 음성 통신이 접속종결되었다고 판정하면, 이것은 시각 t1(도 5를 보시오)이 검출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n배속 시간-변경 재생을 수행하기 위해서, 처리기(82)는 제어 신호 CSb를 생성시켜 그 신호를 2개의 입력선간의 스위칭을 위한 영상 스위치부(3)와 2개의 입력선간의 스위칭을 위한 음성 스위치부(5)로 보낸다(단계(S21)). 이 제어 신호 CSb로서, 영상 스위치부(3)는 비디오 복호기(15)의 출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로 설정되고, 음성 스위치부(5)는 오디오 복호기(16)의 출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추가로, n배속 시간-변경 재생을 위해서, 처리기(82)는 TS 스위치부(13)의 입력을 튜너(12)측으로부터 제어부(8)측으로 변경하고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로 하여금 n배속 시간-변경 재생을 수행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제어 신호 CSc를 생성시키며, 이 신호를 TS 스위치부(13), 비디오 복호기(15), 오디오 복호기(16)로 보낸다(단계(S22)). 이 제어 신호 CSc로서, TS 스위치부(13)는 자신의 입력선을 전술한 바와 같이 변경하며,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의 재생 속도는 n배로 설정된다.
그후, 처리기(82)는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이송 스트림 STT를 판독하며, 이송 스트림 STT를 TS 스위치부(13)로 전달한다. 그러한 판독 처리 동안에, 음성 통신 때문에 사용자가 놓친 대상 콘텐츠 부분은 순서대로 판독된다. 즉, 음성 통신 동안에 저장된 이송 스트림 STT의 부분은 그것의 헤드부터 순서대로 판독된다. 디멀티플렉서(14)는 TS 스위치부(13)를 통해 수신된 이송 스트림 STT를 디멀티플렉싱하며, 결과적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CSLV와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CSLA를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로 각각 출력한다. 비디오 복호기(15)는 수신된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CSLV로부터 n배속 시간-변경 재생에 필요한 화상들을 선택하며, 선택된 화상들을 MPEG에 따라 복호화하며, 비디오 신호 SLV를 재생한다. 재생된 비디오 신호 SLV는 영상 스위치부(3)를 통해 표시 장치(4)로 출력된다. 오디오 복호기(16)는 수신된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CSLA로부터 n배속 시간-변경 재생에 필요한 부분들을 선택하며, 선택된 부분들을 MPEG에 따라 복호화하며, 오디오 신호 SLA를 재생한다. 재생된 오디오 신호 SLA는 음성 스위치부(5)를 통해 스피커(6)로 출력된다. 그러한 n배속 시간-변경 재생 동안에, 튜너(12)로부터 출력된 이송 스트림 STT는 처리기(82)의 제어하에서 콘텐츠 저장부(9)에 기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장치 E2는 n배속 시간-변경 재생을 수행한다(단계(S23)). 단계(S23)에서의 처리의 결과로서, 음성 통신 때문에 사용자가 놓친 콘텐츠는 그것의 헤드부터 n배속으로 표시 장치(4)에 표시되며, 비디오와 동기된 오디오는 스피커(6)로부터 출력된다.
처리기(82)는 이후, 재생되어야 하는 이송 스트림 STT의 일부분이 아직 콘텐 츠 저장부(9)에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24)). 만약 있다면, 단계(S23)의 실행이 반복된다. 만약 이송 스트림 STT가 남아있지 않다면, 이는 음성 통신 때문에 사용자가 놓친 대상 콘텐츠의 전체 부분이 재생되었고 또한 시각 t2(도 5를 보시오)가 검출되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콘텐츠의 수신/재생을 수행하기 위해서, 처리기(82)는 TS 스위치부(13)의 입력선을 제어부(8)측으로부터 튜너(12)측으로 변경하고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로 하여금 정상속도 재생을 수행하도록 명령하기 위한 제어 신호 CSd를 생성시키며, 이 신호를 TS 스위치부(13), 비디오 복호기(15), 오디오 복호기(16)로 보낸다(단계(S25)). 이 제어 신호 CSd로서, TS 스위치부(13)는 자신의 입력선을 전술한 바와 같이 변경하며,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의 재생 속도는 정상으로 설정된다. 그후, 콘텐츠 재생부(1)는 단계(S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대상 콘텐츠를 재생한다(단계(S26)). 처리기(82)는 이후, 종료 명령 SLF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27)). 만약 수신되지 않았다면, 사용자가 아직 대상 콘텐츠를 보고 있다는 것으로 판정되며, 처리기(82)는 단계(S26)의 실행을 반복한다. 만약 종료 명령 SLF가 수신되었다고 판정되면, 처리기(82)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다 본 것으로 판정하고 도 6에 도시된 처리를 종결한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서, 단말 장치 E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성 통신의 개시 시점(즉, 시각 t0)으로부터 시각 t2까지 이송 스트림 STT를 콘텐츠 저장부(9)에 기록한다. 음성 통신의 종료 시점(즉, 시각 t1)에서, 단말 장치 E2는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가 놓친 대상 콘텐츠 부분의 n배속 시간-변경 재생을 그것의 헤드부터 개시한다. 이러한 n배속 시간-변경 재생은 시각 t1에서부터 시각 t2까지 수행된다. 이러한 처리에 의해,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이송 스트림 STT의 양은 줄어들 수 있으며, 또한 이송 스트림 STT를 위한 기록 영역도 곧 해제될 수 있다. 이것은 콘텐츠 저장부(9)의 기록 영역의 효과적인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변형예에서,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는 n배속 시간-변경 재생을 위해 필요한 부분을 선택하며, 선택된 부분을 재생한다. 또는, 처리기(82)는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이송 스트림 STT로부터 n배속 시간-변경 재생에 필요한 부분만을 판독하여, 이 부분들을 TS 스위치부(13)로 전달할 수 있다.
전술한 변형예에서, 처리기(82)는 n배속 시간-변경 재생이 정상 재생으로 되돌아 가는 때를 이송 스트림 STT의 임의의 부분이 콘텐츠 저장부(9)에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함으로써 판정한다. 또는, n배속 시간-변경 재생은 기록되고 있는 이송 스트림 STT에 포함된 프리젠테이션 시간 스탬프(presentation time stamp: PTS)의 값과 판독되고 있는 이송 스트림 STT에 포함된 PTS의 값간의 차이가 거의 0이 되는 때에 정상 재생으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또다른 경우로서, 만약 사용자가 아마도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할 대상 콘텐츠의 부분(일반적으로, 광고)을 건너뛰고 단지 TV 프로그램만이 재생된다면, 콘텐츠 저장부(9)는 거의 비게 될 것이다. 단말 장치 E2는 이 시각 t2를 검출할 수 있고, 이후 실제 방송 시간에 따라 방송국(101)으로부터 방송되고 있는 이송 스트림 STT를 수신/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아마도 불필요한 것으로 간주할 부분들을 콘텐츠 저장부(9)에 기록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대상 콘텐츠에 의해 콘텐츠 저장부(9)에서 점유되는 저장 영역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은 전술한 단말 장치 E1의 제 2 변형인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이하, 간략히 단말 장치라 칭함) E3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7에서 단말 장치 E3는 컴퓨터 프로그램(이하, 간략히 프로그램이라 칭함) CP3가 프로그램 메모리(81)에 저장되어 있고, 영상 결합부(104)가 영상 스위치부(3) 대신에 제공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단말 장치 E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7에서는, 도 1에서 단말 장치 E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표시되며, 그것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다.
프로그램 CP3는 프로그램 CP1과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프로그램 CP3를 실행함으로써, 단말 장치 E3는 단말 장치 E1에 의해 수행된 것과는 다른 처리 아이템을 수행한다. 이것은 도 8 및 9을 참조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음성 통신 동안에, 영상 결합부(104)는 비디오 복호기(15)로부터 비디오 신 호 SLV를 수신하고, 제어부(8)에 의해 생성된 영상 신호 SLI를 수신한다. 영상 결합부(104)는 입력된 비디오 신호 SLV와 입력된 영상 신호 SLI를 결합 영상 신호 SL M을 생성시키기 위해 결합하며, 결합된 신호를 표시 장치(4)로 출력한다. 이송 스트림 STT의 수신/재생 동안에, 영상 결합부(104)는 비디오 복호기(15)로부터의 비디오 신호 SLV를 그대로 표시 장치(4)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단말 장치 E3의 동작이 도 8을 참조하면서 그 개요가 설명된다. 도 8에서, 단말 장치 E3가 이송 스트림 STT를 수신/재생할 때 시각 t0 에서 전화가 오고 시각 t1에서 음성 통신이 접속종결된다고 가정하자. 전술한 실시예와 변형예에서, 사용자는 t0에서 t1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에 대상 콘텐츠를 볼 수 없다. 그러나 이 변형예에서, 단말 장치 E3는 전술한 바와 같은 결합 영상 SLM을 생성시키며, t0에서 t1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에 이 영상을 표시한다. 이 영상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음성 통신 동안에 대상 콘텐츠를 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장치 E3는 보다 향상된 동작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9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도 8을 참조하며 개요가 설명된 단말 장치 E3의 동작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9의 순서도는 단계(S4) 대신에 단계(S31)가 포함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9에서 는, 도 3에 있는 단계와 동일한 단계는 동일한 단계 번호로 표시되며, 그것의 설명은 생략된다.
만약 인커밍 콜을 가리키는 상태 통지 CSST가 단계(S2)에서 수신되었다면, 처리기(82)는 프로그램 CP3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통신 처리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개시한다. 이후 단말 장치 E3는 음성 통신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며, 또한 결합 영상 SLM을 생성시키며 표시한다(단계(S31)). 음성 통신에 필요한 처리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수행된 것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이 변형예에서는 단지 결합 영상 SLM의 생성/표시만이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처리기(82)는 필요하다면 작업 영역(83)상에 영상 신호 SLI를 생성시키며, 그 신호를 영상 결합부(104)로 보낸다. 비디오 신호 SLV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비디오 복호기(15)로부터 영상 결합부(104)로 또한 보내진다. 영상 결합부(104)는 방송된 콘텐츠의 비디오가 음성 통신 동안에 사용되는 영상에 중첩되는 결합 영상 신호 SLM를 생성시키기 위해, 입력된 영상 신호 SLI와 입력된 비디오 신호 SLV를 결합한다. 표시 장치(4)는 결합 영상 신호 SLM을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대해 필요한 표시 처리를 수행하면서, 영상 신호 SLI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영상과 대상 콘텐츠의 비디오를 표시한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단말 장치 E3는 음성 통신 동안에도 대상 콘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비록 단말 장치 E3가 단말 장치 E1의 변형으로 설명되었지만, 그것은 또한 단말 장치 E2의 변형일 수 있다. 즉, 전술한 단계(S31)는 도 6에 있는 단계(S4) 대신에 실행될 수 있다.
전술한 변형예에서, 결합 신호 SLM은 음성 통신 동안에 표시될 영상과 대상 콘텐츠를 결합함으로써 얻어진다. 또는, 만약 이송 스트림 STT가 콘텐츠를 구성하는 음성에 의해 표현되는 문자를 나타내는 다중화된 텍스트 데이터, 즉 캡션 데이터를 포함한다면, 영상 결합부(10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션을 추가로 포함하는 결합 영상 신호 SLM을 생성시킬 수 있다. 만약 전화통화 처리부(2)가 비디오폰에 필요한 처리를 수행한다면, 영상 결합부(104)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 통신의 반대쪽단에 있는 상대방의 영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결합 영상 신호 SLM을 생성시킬 수 있다. 영상 결합부(104)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영상을 더욱 추가로 포함하는 결합 영상 신호 SLM을 또한 생성시킬 수 있다.
도 13은 전술한 단말 장치 E1의 제 3 변형인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이하, 간략히 단말 장치라 칭함) E4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3에서 단말 장치 E4는 컴퓨터 프로그램(이하, 간략히 프로그램이라 칭함) CP4가 프로그램 메모리(81)에 저장되어 있고, 묵음 검출부(105)가 추가로 포함된다 것을 제외하고는 단말 장치 E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도 13에서는, 도 1에서 단말 장치 E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표시되며, 그것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다.
프로그램 CP4는 프로그램 CP1과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프로그램 CP4를 실행함으로써, 단말 장치 E4는 단말 장치 E1에 의해 수행된 것과는 다른 처리 아이템을 수행한다. 이것은 도 14 및 15을 참조하면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묵음 검출부(105)는 음성 복호기(23)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 SLSl을 수신한다. 묵음 검출부(105)는 일반적으로 음성 통신의 반대쪽단에 있는 상대방이 말하지 않는 묵음 시간 구간 BNS를 입력된 음성 신호 SLSl의 진폭값에 기초하여 검출하며, 묵음 시간 구간의 개시나 종료 시점을 가리키는 타이밍 신호 SLT를 생성시키며, 그 제어 신호를 제어부(8)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전술한 단말 장치 E4의 동작을 도 14를 참조하면서 개요를 설명한다. 도 14에서, 시각 t0와 t1이 전술한 바와 같이 정의된다고 가정하자. 사용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t0에서 t1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 대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를 들을 수 없게 된다. 그러나 이 변형에서, 단말 장치 E4는 음성 통신의 반대쪽단에 있는 상대방이 말하지 않는 묵음 시간 구간 BNS를 음성 신호 SLSl에 기초하여 검출하며, 음성 스위치부(5)의 입력선을 제어하여 오디오 복호기(16)로부터의 오디오 신호 SLA가 검출된 묵음 시간 구간 BNS 동안 스피커(6)로 입력되도록한다. 이 처리에 의해, 사용자는 음성 통신 동안에 그것이 만약 묵음 시간 구간 BNS에 있다면 대상 콘텐츠의 오디오를 들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장치 E4는 보다 향상된 동작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5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위에서 개요가 설명된 단말 장치 E4의 동작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5의 순서도는 단계(S41 내지 S44)가 추가로 포함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5에서는, 도 3에 있는 단계와 동일한 단계는 동일한 단계 번호로 표시되며, 그것의 설명은 생략된다.
단계(S5) 후에, 처리기(82)는 묵음 검출부(105)로부터 타이밍 신호 SLT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41)). 만약 수신되지 않았다면, 처리는 단계(S6)로 진행되는데 왜냐하면 음성 스위치부(5)의 어떠한 스위칭도 필요하지 않기 때문이다. 만약 타이밍 신호 SLT가 수신되었다면, 처리기(82)는 그 신호가 묵음 시간 구간 BNS의 종료 시점을 가리키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42)). 만약 그렇지 않다면, 이는 수신된 타이밍 신호 SLT가 묵음 시간 구간 BNS의 개시 시점을 가리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처리기(82)는 음성 스위치부(5)의 입력선을 음성 복호기(23)로부터 오디오 복호기(16)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 CSd를 생성시키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음성 스위치부(5)로 출력한다(단계(S43)). 반면에, 만약 묵음 시간 구간 BNS의 종료 시점을 가리키는 타이밍 신호 SLT가 단계(S42)에서 수신되었다면, 처리기(82)는 음성 스위치부(5)의 입력선을 오디오 복호기(16)로부터 음성 복호기(23)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 CSe를 생성시키며, 생성된 제어 신호를 음성 스위치부(5)로 출력한다(단계(S44)). 일단 전술한 단계(S43 또는 S44)의 처리가 끝나면, 처리기(82)는 단계(S4)를 다시 실행한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단말 장치 E4는 음성 통신 동안에 만약 그것이 묵음 시간 구간 BNS에 있다면 대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비록 단말 장치 E4가 단말 장치 E1의 변형으로 설명되었지만, 그것은 단말 장치 E2나 E3의 변형일 수 있다. 즉, 전술한 단계(S41 내지 S44)는 도 6이나 도 9의 순서도에 통합될 수 있다.
도 16은 전술한 단말 장치 E1의 제 4 변형인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이하, 간략히 단말 장치라 칭함) E5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6에서 단말 장치 E5는 컴퓨터 프로그램(이하, 간략히 프로그램이라 칭함) CP5가 프로그램 메모리(81)에 저장되어 있고, 음성 스위치부(106)와 제 1 및 제 2 스피커(107, 108)가 음성 스위치부(5)와 스피커(6) 대신에 제공된다 것을 제외하고는 단말 장치 E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도 16에서는, 도 1에서 단말 장치 E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표시되며, 그것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 다.
프로그램 CP5는 프로그램 CP1과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프로그램 CP5를 실행함으로써, 단말 장치 E5는 단말 장치 E1에 의해 수행된 것과는 다른 처리 아이템을 수행한다. 이것은 도 17 및 18을 참조하면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음성 스위치부(106)는 오디오 복호기(16)로부터 출력된 오디오 신호 SLA와 음성 복호기(23)로부터 출력된 음성 신호 SLSl을 수신한다. 이송 스트림 STT의 수신/재생 동안에, 음성 스위치부(106)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 SLA를 제 1 및 제 2 스피커(107, 108)로 출력한다. 그러나, 음성 통신 동안에, 음성 스위치부(106)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 SLA를 제 1 및 제 2 스피커(107, 108) 중의 하나로 출력하며(도 16에 있는 제 2 스피커(108)), 입력된 음성 신호 SLSl을 나머지 스피커(107 또는 108)로 출력한다(도 16에 있는 제 1 스피커(107)). 음성 스위치부(106)는 제어부(8)로부터 출력된 제어 신호(CSa 또는 CSb)에 따라 자신의 입/출력선을 스위칭한다.
제 1 및 제 2 스피커(107, 108)는 각각 스테레오 출력을 위한 좌측 및 우측 스피커이다.
다음으로, 전술한 단말 장치 E5의 동작이 도 17을 참조하면서 개요가 설명된 다. 사용자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t0에서 t1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 대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를 듣지 못한다. 그러나 이 변형에서,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 장치 E5는 음성 스위치부(106)를 제어하여 음성 복호기(23)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 SLSl이 제 1 스피커(107)로부터 출력되고, 오디오 복호기(16)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신호 SLA가 제 2 스피커(108)로부터 출력되도록 한다. 이 처리에 의해, 사용자는 음성 통신 동안에도 대상 콘텐츠의 오디오를 들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장치 E5는 보다 향상된 동작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8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위에서 개요가 설명된 단말 장치 E5의 동작이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8의 순서도는 단계(S51 내지 S53)가 단계(S3, S4, S7) 대신에 포함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18에서는, 도 3에 있는 단계와 동일한 단계는 동일한 단계 번호로 표시되며, 그것의 설명은 생략된다.
만약 인커밍 콜을 가리키는 상태 통지 CSST가 단계(S2)에서 수신되었다면, 처리기(82)는 제어 신호 CSa를 생성시키고, 2개의 입력선간의 스위칭을 위한 영상 스위치부(3)와 2개의 입력선간의 스위칭을 위한 음성 스위치부(5)로 그 신호를 보낸다(단계(S51)). 그 결과, 영상 스위치부(3)는 제어부(8)의 출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로 설정되고, 음성 스위치부(5)는 오디오 복호기(5) 및 음성 복호기(23) 둘다의 출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후 처리기(82)는 프로그램 CP5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통신 처리용 프로그램의 실행을 개시한다. 단말 장치 E5는 음성 통신을 위해 기지국(102)과 다중화된 신호 SLS를 교환하며, 다중화된 신호에 포함된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1을 음성 신호 SLSl을 재생하기 위해서 디멀티플렉싱하며, 그리하여 전화건 사람의 말을 출력한다. 단말 장치 E5는 사용자의 말을 나타내는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2를 또한 생성시키며,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다중화하며, 결과적인 다중화된 신호 SLS를 기지국(102)으로 전송한다(단계(S52)). 더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 부분(22)은 디멀티플렉서의 기능과 멀티플렉서의 기능 사이에서 자신의 기능을 스위치한다. 무선 통신 부분(22)은 디멀티플렉서로서,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1을 얻기 위해 안테나(21)로부터 출력된 다중화된 신호 SLS를 디멀티플렉싱하며, 부호화된 음성 신호를 음성 복호기(23)로 출력한다. 음성 복호기(23)는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1을 복호화하며, 복호화된 음성 신호 SLS1을 음성 스위치부(106)를 통해 제 1 및 제 2 스피커(107, 108) 중의 하나로 출력한다. 동시에 오디오 복호기(16)는 재생된 오디오 신호 SLA를 음성 스위치부(106)를 통해 나머지 스피커(107 또는 108)로 출력한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전화건 사람의 말과 콘텐츠의 오디오는 스피커(107, 108)로부터 출력된다.
음성 부호화기(25)는 음성 입력 부분(24)으로부터의 음성 신호 SLS2를 부호화하며,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2를 무선 통신 부분(22)으로 출력한다. 무선 통신 부분(22)은 멀티플렉서로서, 입력된 부호화된 음성 신호 CSLS2를 다중화하며, 결과적인 다중화된 신호 SLS를 안테나(21)를 통해 기지국(102)으로 전송한다.
처리기(82)는 만약 필요하다면 작업 영역(83)에서 영상 신호 SLI를 생성시키며, 영상 스위치부(3)를 통해 표시 장치(4)로 그 신호를 보낸다. 이 처리에 의해, 영상 신호 SLI에 의해 나타내어진 영상은 표시 장치(4)에 표시된다.
만약 단계(S6)에서 음성 통신이 접속종결되었다고 판정되면, 처리기(82)는 제어 신호 CSb를 생성시키며, 입력선들간의 스위칭을 위한 음성 스위치부(106)와 영상 스위치부(3)로 그 신호를 보낸다(단계(S53)). 그 결과, 영상 스위치부(3)는 비디오 복호기(15)의 출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로 설정되며, 음성 스위치부(106)는 오디오 복호기(16)의 출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도 17을 참조하면서 개요가 설명된 동작이 얻어진다. 즉, 단말 장치 E5는 음성 통신 동안에도 대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다.
비록 단말 장치 E5가 단말 장치 E1의 변형으로 설명되었지만, 그것은 단말 장치 E2나 E3의 변형일 수 있다. 즉, 전술한 단계(S51 내지 S53)는 도 6이나 도 9의 순서도에 통합될 수 있다.
도 19는 전술한 단말 장치 E1의 제 5 변형인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이하, 간략히 단말 장치라 칭함) E6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9에서 단말 장치 E6는 컴퓨터 프로그램(이하, 간략히 프로그램이라 칭함) CP6가 프로그램 메모리(81)에 저장되어 있고, 입력 장치(109)와 사전선택 저장부(110)가 추가로 제공된다 것을 제외하고는 단말 장치 E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도 19에서는, 도 1에서 단말 장치 E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표시되며, 그것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다.
프로그램 CP6는 프로그램 CP1과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프로그램 CP6를 실행함으로써, 단말 장치 E6는 단말 장치 E1에 의해 수행된 것과는 다른 처리 아이템을 수행한다. 이것은 도 20 및 21을 참조하면서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입력 장치(109)는 사용자가 차후에 보기를 원하는 콘텐츠의 방송 시작 시간과 채널을 가리키는 신호 SLR(이하, 사전선택 정보라 칭함)을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에 응답하여 제어부(8)로 출력한다.
다음으로, 단말 장치 E6의 동작이 도 20을 참조하면서 개요가 설명된다. 입력 장치(109)를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사전선택 정보 SLR은 단말 장치 E6의 사전선택 저장부(110)에 저장된다. 도 20에서, 사용자는 사전선택 정보 SLR에 의해 규정된 콘텐츠(이하, 대상 콘텐츠라 칭함)의 방송이 시각 t0에서 시작할 때 여전히 단말 장치 E6를 이용하여 음성 통신을 하고 있다고 가정하자. 사용자는 음성 통신이 끝날 때까지 시각 t0에서부터 대상 콘텐츠를 볼 수 없게 된다. 이 변형에서 사용된 대로의 콘텐츠는 위의 실시예에서 설명된 것과 동일한 정의를 가짐을 주목하라. 사용자가 콘텐츠를 놓치는 시간 구간 동안, 단말 장치 E6는 수신된 이송 스트림 STT를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한다. 음성 통신이 끝나고 시각 t1에서 접속종결된다고 가정하면, 단말 장치 E6는 수신된 이송 스트림 STT를 시각 t1 이후의 시각 t2에서 재생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는 음성 통신 동안에 방송된 콘텐츠 부분을 볼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서 위에서 개요가 설명된 동작은 도 21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된다. 도 21에서, 사용자는 단말 장치 E6의 입력 장치(109)로 대상 콘텐츠의 방송 시작 시간과 채널을 입력한다. 이 입력에 응답하여, 입력 장치(109)는 입력 정보를 가리키는 사전선택 정보 SLR을 생성시킨다. 생성된 사전선택 정보 SLR은 사전선택 저장부(110)에 저장된다(단계(S61)).
인커밍 콜을 가리키는 제어 신호 CSM이 음성 통신 처리 유닛(2)에 의해 수신되면, 처리기(82)는 상태 검출부(7)로부터 상태 통지 CSST를 수신하며, 이 통지에 응답하여 프로그램 CP6에 포함되어 있는 음성 통신 처리용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영상 스위치부(3)는 제어부(8)의 출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로 설정되며, 음성 스위치부(5)는 음성 복호기(23)의 출력을 수신 대기하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후, 단말 장치 E6는 전술한 단계(S4)에서와 같이 음성 통신을 위해 기지국(102)과 다중화된 신호 SLS를 교환한다(단계(S62)).
그후, 처리기(82)는 사전선택 저장부(110)에 액세스하여, 사전선택 정보 SLR에 의해 명시된 대상 콘텐츠의 방송 시간이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63)). 만약 시간이 도달하지 않았다면, 이송 스트림 STT의 기록이 불필요함을 가리키면서, 단계(S62)의 실행이 반복된다. 만약 대상 프로그램의 시작 시간이 도달했다면, 튜너(12)는 처리기(82)의 제어하에서 사전선택된 채널을 수신하도록 설정되며, 처리기(82)는 전술한 단계(S5)에서처럼, 튜너(12)로부터 출력된 이송 스트림 STT를 콘텐츠 저장부(9)에 기록한다(단계(S64)). 기록 동작에 뒤이어, 처리기(82)는 음성 통신의 접속종결을 가리키는 상태 통지 CSST가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65)). 만약 수신되지 않았다면,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이송 스트림 STT의 재생이 불필요함을 가리키면서, 단계(S62)의 실행은 반복된다. 만약 음성 통신의 접속 종결을 가리키는 상태 통지 CSST가 수신되었다면, 처리기(82)는 이 통지에 응답하여 필요한 처리를 행하며, 이후 콘텐츠 저장부(9)로의 그 콘텐츠의 기록을 종료한다. 동시에, 처리기(82)는 제어 신호 CSa를 생성시켜 그 신호를 2개의 입력선간의 스위칭을 위한 영상 스위치부(3)와 2개의 입력선간의 스위칭을 위한 음성 스위치부(5)로 보낸다(단계(S66)).
단계(S66)에서 입력선들간의 스위칭의 결과로, 전술한 단계(S1)에서와 같이, 대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는 표시 장치(4)에 표시되며, 비디오와 동기된 오디오는 스피커(6)로부터 출력된다(단계(S67)). 그후, 처리기(82)는 개시 명령 SLP가 입력 장치(10)로부터 수신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68)). 만약 수신되지 않았다면, 콘텐츠 저장부(9)로부터 이송 스트림 STT의 판독이 불필요함을 가리키면서, 단계(S67)의 실행이 반복된다. 만약 개시 명령 SLP가 수신되었다면, 처리기(82)는 TS 스위치부(13)의 입력을 튜너(12)측으로부터 제어부(8)측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어 신호 CSC를 생성시키며, 그 신호를 TS 스위치부(13)으로 보낸다(단계(S69)). 이 단계(S69)에 의해서, TS 스위치부(13)는 그에 따라 입력을 변경한다.
처리기(82)는 콘텐츠 저장부(9)에 저정되어 있는 이송 스트림 STT를 판독하며, 이송 스트림을 TS 스위치부(13)로 전달한다. 디멀티플렉서(14)는 TS 스위치부(13)를 통해 전달된 이송 스트림 STT를 디멀티플렉싱하며, 결과적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CSLV와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CSLA를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로 각각 출력한다.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는 단계(S1) 에서와 같이, 비디오 신호 SLV와 오디오 신호 SLA를 재생하기 위한 동작을 한다(단계(S610)). 그 결과, 음성 통신 동안에 사용자가 놓친 대상 콘텐츠를 구성하는 비디오는 표시 장치(4)에 표시되고, 비디오와 동기된 오디오는 스피커(6)로부터 출력된다.
단계(S11)에서와 마찬가지로, 처리기(82)는 재생되어야 하는 이송 스트림 STT의 일부분이 아직 콘텐츠 저장부(9)에 남아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611)). 만약 있다면, 단계(S610)의 실행이 반복된다. 만약 이송 스트림 STT가 남아있지 않다면, 이는 음성 통신 때문에 놓친 콘텐츠의 모든 부분을 사용자가 보았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처리기(82)는 도 21에 도시된 처리를 종결한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도 20을 참조하면서 개요가 설명된 동작이 얻어진다. 즉, 음성 통신 동안에, 단말 장치 E6는 일단 대상 프로그램의 방송이 개시되면 콘텐츠 저장부(9)에 이송 스트림 STT를 기록한다. 음성 통신이 끝나고 방송국(101)으로부터 이송 스트림 STT의 수신이 끝난 후에,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이송 스트림 STT의 재생이 개시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성 통신 때문에 사용자가 놓친 콘텐츠 부분을 실제 방송된 시각으로부터 변경된 시각에 출력할 수 있는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비록 단말 장치 E6가 단말 장치 E1의 변형으로 설명되었지만, 그것은 단말 E2 내지 E5 중의 하나의 변형일 수 있다. 그렇지 않으면, 단말 장치 E6는 단말 E1 내지 E5 중의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도 22는 전술한 단말 장치 E1의 제 6 변형인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이하, 간략히 단말 장치라 칭함) E7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2에서 단말 장치 E7은 컴퓨터 프로그램(이하, 간략히 프로그램이라 칭함) CP7이 프로그램 메모리(81)에 저장되어 있고, 입력 장치(10)가 불필요하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단말 장치 E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도 22에서는, 도 1에서 단말 장치 E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표시되며, 그것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다.
프로그램 CP7은 프로그램 CP1과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프로그램 CP7을 실행함으로써, 단말 장치 E7은 단말 장치 E1에 의해 수행된 것과는 다른 처리 아이템을 수행한다. 이것은 도 23 및 24을 참조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전술된 단말 장치 E7의 동작이 도 23을 참조하면서 개요가 설명된다. 도 23에서, 사용자는 전술된 경우에서와 같이 음성 통신 때문에 t0에서 t1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에 대상 콘텐츠를 볼 수 없게 된다. 단말 장치 E7은 시각 t0 이후부터 적어도 대상 콘텐츠의 방송이 끝나는 시각 t1까지 수신된 이송 스트림 STT를 콘텐츠 저장부(9)에 기록한다. 음성 통신의 접속종결 후(시각 t1), 단말 장치 E7은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이송 스트림 STT를 판독하여 정상 속도로 재생한다. 이 판독은 음성 통신 때문에 사용자가 놓친 대상 콘텐츠의 헤드부터 차례로 수행되며, 사용자가 보도록 표시된다. 그러므로, 단말 장치 E7은 시각 t1에서부터 콘텐츠 저장부(9)로부터의 대상 콘텐츠의 판독이 끝나는 t3까지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대상 콘텐츠를 사용자를 위해 표시한다. 즉, 음성 통신 후에, 단말 장치 E7은 실제 방송 시간으로부터 (t1-t0) 시간만큼 변경된 시간축을 따라 콘텐츠의 시간-변경 재생을 수행한다.
도 23을 참조하면서 위에서 개요가 설명된 동작은 도 24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4의 순서도는 단계(S7 내지 S12) 대신에 단계(S71 내지 S74)가 포함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24에서는, 도 3에 있는 단계와 동일한 단계는 동일한 단계 번호로 표시되며, 그것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다.
만약 단계(S6)에서 음성 통신이 접속종결되었다고 판정되면, 시각 t1(도 23를 보시오)이 검출되었음을 의미하면서, 처리기(82)는 도 6의 단계(S21)에 관계되어 전술된 제어 신호 CSb를 생성시켜 전송한다(단계(S71)). 이 제어 신호로써, 영상 스위치부(3)와 음성 스위치부(5)는 단계(S21)와 관계되어 전술된 각각의 상태로 설정된다. 처리기(82)는 또한 제어 신호 CSC를 TS 스위치부(13)로 보냄으로써 TS 스위치부(13)의 입력선을 제어부(8)측으로 변경한다(단계(S72)). 도 6의 단계(S22)에 관계되어 전술된 바와 같이, 제어 신호 CSC는 또한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로 보내져 그것의 재생 속도를 정상 속도로 설정한다.
그후, 처리기(82)는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이송 스트림 STT를 판독하며, 그 스트림을 TS 스위치부(13)로 전달한다. 이러한 전달에 의해, 음성 통신 때문에 사용자가 놓친 대상 콘텐츠 부분은 그것의 헤드부터 순서대로 판독된다. 디멀티플렉서(14)는 TS 스위치부(13)를 통해 전달된 이송 스트림 STT를 디멀티플렉싱하며, 결과적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CSLV와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CSLA를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로 각각 출력한다. 비디오 복호기(15)는 비디오 신호 SLV를 재생하며, 이것은 영상 스위치부(3)를 통해 표시 장치(4)로 출력된다. 오디오 복호기(16)는 오디오 신호 SLA를 재생하며, 이것은 음성 스위치부(5)를 통해 스피커(6)로 출력된다. 동시에, 튜너(12)로부터 출력된 이송 스트림 STT는 처리기(82)의 제어하에서 콘텐츠 저장부(9)에 계속해서 기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말 장치 E7은 시간-변경 재생을 수행한다(단계(S73)). 단계(S73)에서의 처리에 의해, 음성 통신 때문에 사용자가 놓친 콘텐츠의 영상은 그것의 헤드부터 정상 속도로 표시 장치(4)에 표시되며, 비디오와 동기된 오디오는 스피커(6)로부터 출력된다.
그후, 처리기(82)는 시간-변경 재생이 끝났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74)). 만약 끝나지 않았다면, 단계(S73)의 실행이 반복된다. 만약 시간-변경 재생이 끝났다면, 도 24에 도시된 처리는 종결된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서, 도 23을 참조하면서 개요가 설명된 동작이 얻어진다. 즉, 단말 장치 E7은 음성 통신의 개시 시점(즉, 시각 t0)으로부터 이송 스트림 STT를 콘텐츠 저장부(9)에 기록한다. 음성 통신의 종료 시점(즉, 시각 t1)에서부터, 단말 장치 E7은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되어 있는, 사용자가 놓친 대상 콘텐츠 부분의 시간-변경 재생을 그것의 헤드부터 개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음성 통신 때문에 사용자가 놓친 콘텐츠 부분을 실제 방송 시간으로부터 변경된 시각에 출력할 수 있는 통신 단말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5는 전술한 단말 장치 E1의 제 7 변형인 이동 통신 단말 장치(이하, 간략히 단말 장치라 칭함) E8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5에서 단말 장치 E8은 디멀티플렉서(14) 대신에 디멀티플렉서(120)가 포함되고 컴퓨터 프로그램(이하, 간략히 프로그램이라 칭함) CP8이 프로그램 메모리(81)에 저장되어 있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단말 장치 E1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도 25에서는, 도 1에서 단말 장치 E1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에 의해 표시되며, 그것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다.
디멀티플렉서(120)는 디멀티플렉서(14)와 마찬가지로, TS 스위치부(13)로부 터 출력된 이송 스트림 STT를 디멀티플렉싱하며, 결과적인 부호화된 비디오 신호 CSLV와 부호화된 오디오 신호 CSLA를 비디오 복호기(15)와 오디오 복호기(16)로 각각 출력한다. 이러한 디멀티플렉싱에 의해서, 디멀티플렉서(120)는 적어도 수신하고 있는 콘텐츠의 방송 종료 시간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맵 테이블(program map table: PMT)을 또한 획득하며, 이 PMT를 처리기(82)로 보낸다.
프로그램 CP8은 프로그램 CP1과 동일한 구성이다. 그러나, 프로그램 CP8을 실행함으로써, 단말 장치 E8은 단말 장치 E1에 의해 수행된 것과는 다른 처리 아이템을 수행한다. 이것은 도 26 및 27을 참조하면서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다음으로, 전술된 단말 장치 E8의 동작이 도 26을 참조하면서 개요가 설명된다. 도 26에서, 사용자는 전술된 경우에서와 같이 t0에서 t1까지의 시간 구간 동안 음성 통신을 한다. 만약 대상 콘텐츠가 시각 t0에서 t1 사이에 있는 시각 t2 에서 끝난다면, 처리기(82)는 콘텐츠 저장부(9)로의 대상 콘텐츠의 기록을 종료한다.
도 26을 참조하면서 위에서 개요가 설명된 단말 장치 E8의 동작은 도 27의 순서도를 참조하면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7의 순서도는 단계(S81 내지 S83)가 추가로 포함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 3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도 27에서는, 도 3에 있는 단계와 동일한 단계는 동일한 단계 번호로 표시되며, 그것의 설명은 여기서 생략된다.
단계(S4) 후에, 처리기(82)는 기록 종료 처리가 단계(S83)에서 실행되었는지 의 여부를 판정한다(단계(S81)). 만약 실행되지 않았다면, 처리기(82)는 단계(S5)로 진행한다. 만약 기록 종료 처리가 실행되었다면, 수신된 이송 스트림 STT를 콘텐츠 저장부(9)로 기록하는 것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 그러므로, 처리기(82)는 단계(S5)와 그 뒤의 몇 단계를 생략하고 단계(S6)으로 진행한다.
단계(S5) 후에, 처리기(82)는 대상 콘텐츠의 방송 종료 시간이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디멀티플렉서(120)로부터 보내져온 PMT에 기초하여 판정한다(단계(S82)). 만약 방송 종료 시간이 도달하지 않았다면, 처리기(82)는 단계(S6)로 진행한다. 만약 방송 종료 시간이 도달했다고 판정되면, 처리기(82)는 대상 콘텐츠를 콘텐츠 저장부(9)로 기록하는 것을 종료한다(단계(S83)). 즉, 처리기(82)는 튜너(12)로부터 보내져온 이송 스트림 STT를 버리며, 이를 콘텐츠 저장부(9)로 전달하지 않는다. 처리기(82)는 이후 단계(S6)를 수행한다. 전술한 처리에 의해, 콘텐츠 저장부(9)로의 대상 콘텐츠의 기록은 대상 콘텐츠의 방송 종료시에 종료된다. 이것은 기록/재생이 기록 용량이 작은 콘텐츠 저장부(9)에 적합하도록 만든다.
비록 단말 장치 E8이 단말 장치 E1의 변형으로 설명되었지만, 그것은 단말 E2 내지 E7 중의 하나의 변형일 수 있다.
튜너(12)와 TS 스위치부(13) 사이에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때, 단계(S83)에서 처리기(82)는 이 스위치를 제어하여 튜너(12)로부터 출력된 이송 스트림 STT가 제어부(8)로 입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변형에서, 처리기(82)는 대상 콘텐츠의 종료 시간이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PMT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만약 전기 프로그램 가이드(electric program guide: EPG)가 획득가능하다면, 처리기(82)는 대상 콘텐츠의 종료 시간이 도달했는지의 여부를 획득된 이 EPG에 기초하여 판정한다.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들에서, 처리기(82)는 콘텐츠 저장부(9)의 잔여 기록 용량을 검출할 수 있고, 검출된 잔여 용량에 기초하여 대상 콘텐츠의 기록을 위한 비트율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후 결정된 비트율에 따라 콘텐츠 저장부(9)에 대상 콘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 및 변형들에서, 이송 스트림 STT로부터 변환된 프로그램 스트림은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될 수 있다. 아니면, MPEG4-부호화 이송 스트림 STT가 콘텐츠 저장부(9)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상세히 설명되는 동안, 전술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서 예시적인 것이지 제한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수많은 변경과 변형이 고안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된다.
본 발명의 통신 단말 장치는 콘텐츠 수신 기능과 음성 통신 기능을 통합할 수 있는 휴대전화, 휴대용 개인 정보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개인용 컴퓨터(PC)와 같은 디지털 장치에 적용가능하다.

Claims (21)

  1. 통신 단말 장치에 있어서,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튜너;
    음성통화를 위해, 적어도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무선으로 수신 및 재생하는 통화처리부;
    상기 통화처리부의 통화의 상태 변화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부;
    방송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콘텐츠 저장부;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스위칭하는 TS 스위칭부;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상기 콘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재생하는 재생부;
    사용자가 시청을 희망하는 콘텐츠의 채널과 방송개시시각을 특정하는 예약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제 1 입력장치; 및
    상기 예약정보를 저장하는 예약저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음성통화중에 상기 예약정보에 의해 특정된 콘텐츠의 방송개시시각이 되면, 상기 콘텐츠 저장부는 상기 예약정보에 의해 특정된 채널에서 방송되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저장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개시지시가 입력되는 제 2 입력장치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상태 검출부가 음성 통신의 종결을 검출하면, 상기 컨텐츠 저장부는 상기 방송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저장을 종료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수신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재생하고,
    상기 재생부는 상기 음성 통신의 종결의 검출후에 입력되는 상기 개시지시에 따라서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컨텐츠의 재생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상기 상태 검출부가 음성 통신의 종결을 검출하면, 상기 재생부는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순차 재생하고,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모든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재생을 종료하면, 상기 컨텐츠 저장부는 상기 방송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저장을 완료하고, 상기 TS 스위칭부는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재생에서,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한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재생으로 스위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음성통화와 관련된 영상 정보를 생성시키는 영상 생성부; 및
    상기 상태 검출부에 의해 음성 통화의 개시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튜너에 의해 수신되는 컨텐츠와 상기 영상 생성부에 의해 작성되는 영상정보를 합성하여 합성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합성부를 구비하고,
    상기 영상 합성부는 통화 상대방측의 영상정보가 합성된 합성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처리부는 추가로 사용자 본인측의 영상정보를 캡처하고,
    상기 영상 합성부는 상기 통화처리부가 캡처한 상기 사용자 본인측의 영상정보가 추가로 합성되는 합성 영상정보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부는 적어도 상기 수신된 콘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를 재생하며,
    상기 통신 단말 장치는,
    음성통화의 묵음 시간 구간을 검출하는 묵음 검출부; 및
    상기 묵음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묵음 시간 구간 동안에 상기 재생부에 의해 재생된 상기 오디오를 출력하는 음성 스위치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음성 스위치부는 추가로 상기 묵음 검출부가 어떠한 묵음 시간 구간도 검출하지 않을 때에는 상기 통화처리부에 의해 재생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7. 통신 단말 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국으로부터 송신된 콘텐츠를 포함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수신하는 단계;
    음성통화를 위해, 적어도 통화 상대방의 음성을 무선으로 수신 및 재생하는 통화처리 단계;
    상기 통화처리 단계에서의 통화의 상태 변화를 검출하는 상태 검출 단계;
    방송된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저장하는 저장 단계;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과 상기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스위칭하는 TS 스위칭 단계;
    상기 방송국으로부터 수신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또는 상기 저장 단계에서 저장된 트랜스포트 스트림을 재생하는 재생 단계;
    사용자가 시청을 희망하는 콘텐츠의 채널과 방송개시시각을 특정하는 예약정보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 단계; 및
    상기 예약정보를 저장하는 예약저장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음성통화중에 상기 예약정보에 의해 특정된 콘텐츠의 방송개시시각이 되면, 상기 저장 단계에서는 상기 예약정보에 의해 특정된 채널에서 방송되는 상기 트랜스포트 스트림의 저장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 장치 이용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037016115A 2002-04-05 2003-04-01 콘텐츠 수신 및 음성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 KR100921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04067 2002-04-05
JP2002104067 2002-04-05
PCT/JP2003/004153 WO2003085938A2 (en) 2002-04-05 2003-04-01 Communications terminal device for receiving and recording content, starting recording when a chance of status in a voice communication is detect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1525A KR20040091525A (ko) 2004-10-28
KR100921303B1 true KR100921303B1 (ko) 2009-10-09

Family

ID=28786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16115A KR100921303B1 (ko) 2002-04-05 2003-04-01 콘텐츠 수신 및 음성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221903B2 (ko)
EP (1) EP1407601B1 (ko)
JP (1) JP4528845B2 (ko)
KR (1) KR100921303B1 (ko)
CN (1) CN1320819C (ko)
WO (1) WO200308593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204B1 (ko) * 2002-09-17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모드에 따른 영상 및 데이터 표시장치 및 방법
JP4073819B2 (ja) * 2003-04-10 2008-04-09 エボリウム・エス・アー・エス 携帯電話への動画情報のプッシュ型配信方法
KR100514685B1 (ko) * 2003-05-13 2005-09-13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타임 시프트 기능 구현 단말기 및 방법
KR100552077B1 (ko) * 2003-08-29 2006-02-20 바로비젼(주) 컨텐츠 제공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단말
WO2005039157A1 (ja) * 2003-10-22 2005-04-28 Sanyo Electric Co., Ltd. 携帯電話機、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50245240A1 (en) * 2004-04-30 2005-11-03 Senaka Balasuriya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media during interruption of a media session
DE102004026577A1 (de) * 2004-06-01 2005-12-29 Infineon Technologies Ag Verfahren zum Steuern einer Kommunikationseinrichtung, Kommunikationseinrichtung, mobiles Kommunikationsgerät und Kommunikations- und Infotainmentsystem
US8095952B2 (en) 2004-06-02 2012-01-10 Panasonic Corporation Mobile terminal device, control method thereof, program, and semiconductor device
EP2515549A3 (en) * 2004-06-29 2012-12-12 Kyocera Corporation Digital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EP1624679A1 (fr) * 2004-08-03 2006-02-08 Nagra France Sarl Dispositif et méthode de commande d'appareils audio/vidéo lors d'un appel téléphonique
KR100595708B1 (ko) * 2004-12-30 200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브로드캐스팅 스트리밍의 일시 정지서비스 장치 및 방법
KR100686157B1 (ko) * 2005-05-04 2007-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기능을 갖는 이동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데이터 녹화방법
KR100557185B1 (ko) * 2005-05-17 200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기능과 동시에 통화 기능을수행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동시통화 방법
JP2006345251A (ja) * 2005-06-09 2006-12-21 Kyocera Corp 無線通信端末及び通信方法
KR100743035B1 (ko) * 2005-07-18 2007-07-2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상호를 이용하여 방송전달이 가능한 이동통신 단말기 및그 방법
US20070033617A1 (en) * 2005-08-08 2007-02-08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Redirecting broadcast signals for recording programming
KR100792983B1 (ko) * 2005-10-11 200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처리방법
KR100656159B1 (ko) * 2005-10-17 2006-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재생방법
KR100781266B1 (ko) * 2005-10-20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통신 기기 및 처리 방법
KR100702705B1 (ko) * 2005-11-28 2007-04-02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 및 멀티밴드-멀티모드(mb-mm)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멀티태스킹 방법
EP1801803B1 (en) * 2005-12-21 2017-06-07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Audio/video device with replay function and method for handling replay function
KR20070067927A (ko) * 2005-12-26 2007-06-29 주식회사 케이티 음성 통화 중에 콘텐츠 공유를 제공하는 시스템, 방법 및이를 구현하는 단말
KR100757231B1 (ko) * 2006-06-08 2007-09-10 삼성전자주식회사 Dmb 휴대단말기에 있어 복수의 채널 동시 다중화면시청 방법 및 장치
KR100799670B1 (ko) * 2006-06-30 2008-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을 이용한 방송수신 중 화면분할 방법 및 장치
KR101086423B1 (ko) * 2007-01-12 2011-11-2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텔레비전(tv) 수신기에서의 채널 전환 속도 향상방법 및 그 디지털 tv 수신기
KR101448616B1 (ko) * 2007-04-05 2014-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방송 출력 제어방법 및 이동통신 단말기
DE102007060053A1 (de) * 2007-12-13 2009-06-18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akustischen Wiedergabe mindestens zweier Audiosignale
KR101919787B1 (ko) * 2012-05-09 2018-11-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8971690B2 (en) * 2012-12-07 2015-03-03 Intel Corporation Technique to coordinate activities between a content device and a wireless device based on context awareness
CN105721088A (zh) * 2016-03-02 2016-06-29 浙江吉利控股集团有限公司 一种收音方法、收音装置及车载系统
JP2018084878A (ja) * 2016-11-21 2018-05-3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330034B1 (en) * 2020-10-27 2022-05-10 T-Mobile Usa, Inc. Data disruption tracking for wireless networks, such as IMS network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0150A (ja) * 1993-10-29 1995-05-19 Ricoh Co Ltd 情報機器
JPH11252471A (ja) 1998-03-03 1999-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及び番組情報を放送するセンター装置と端末装置
KR20010097757A (ko) * 2000-04-26 2001-11-08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하기 위한시스템
KR100308841B1 (ko) * 1995-02-09 2001-12-28 모리시타 요이찌 기록및 재생장치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41428A (en) * 1991-03-12 1993-08-31 Goldwasser Eric P Variable-delay video recorder
JPH0730872A (ja) * 1993-07-08 1995-01-31 Casio Comput Co Ltd テレビ放送受信機付テレビ電話装置
JPH0730622A (ja) * 1993-07-12 1995-01-31 Casio Comput Co Ltd 電話機
US6005564A (en) * 1996-12-05 1999-12-21 Interval Research Corporation Display pause with elastic playback
US6229810B1 (en) * 1997-12-31 2001-05-08 At&T Corp Network server platform for a hybrid fiber twisted pair local loop network service architecture
GB2343074B (en) * 1998-10-23 2003-05-14 Sony Uk Ltd Recording broadcast material
US6400804B1 (en) * 1998-12-10 2002-06-04 At&T Corp. On-hold activity sel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4350185B2 (ja) * 1998-12-25 2009-10-21 キヤノン株式会社 テレビ電話機能付きディスプレイ装置、テレビ電話機能付きディスプレイ装置の制御方法、及び記憶媒体
US20010038690A1 (en) * 1999-12-30 2001-11-08 Douglas Palmer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ement and synchronization of telephony services with video services over an HFC network
US20020040475A1 (en) * 2000-03-23 2002-04-04 Adrian Yap DVR system
US20010036254A1 (en) * 2000-04-25 2001-11-01 Robert Davis DVR Telephone answering device
JP2001333334A (ja) 2000-05-22 2001-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受信機
US6768722B1 (en) * 2000-06-23 2004-07-27 At&T Corp.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ing multiple communications
GB2364211A (en) * 2000-06-30 2002-01-16 Nokia Oy Ab A terminal comprising two receivers for receiving an encrypted first signal from a first network and a decryption second signal from a second network
KR100574733B1 (ko) * 2002-03-27 2006-04-2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통신 장치 및 통신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0150A (ja) * 1993-10-29 1995-05-19 Ricoh Co Ltd 情報機器
KR100308841B1 (ko) * 1995-02-09 2001-12-28 모리시타 요이찌 기록및 재생장치및 방법
JPH11252471A (ja) 1998-03-03 1999-09-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番組及び番組情報を放送するセンター装置と端末装置
KR20010097757A (ko) * 2000-04-26 2001-11-08 윤종용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하기 위한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3085938A2 (en) 2003-10-16
JP4528845B2 (ja) 2010-08-25
EP1407601B1 (en) 2018-10-10
US20040204020A1 (en) 2004-10-14
JP2008206189A (ja) 2008-09-04
EP1407601A2 (en) 2004-04-14
CN1602629A (zh) 2005-03-30
CN1320819C (zh) 2007-06-06
US7221903B2 (en) 2007-05-22
WO2003085938A3 (en) 2004-01-15
KR20040091525A (ko) 2004-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1303B1 (ko) 콘텐츠 수신 및 음성 통신이 가능한 통신 단말 장치
KR100606060B1 (ko) 휴대단말기의 데이터를 외부장치로 출력하는 장치 및 방법
CN102123232B (zh) 数字广播接收设备
KR100781266B1 (ko) 통신 기기 및 처리 방법
US20070192370A1 (en) Multimedia content production method for portable device
CN100518258C (zh) 接收发送装置、接收装置及再现方法
JPH0528190U (ja) 外部遠隔操作対応型画像提供装置
JP4628285B2 (ja) 番組録画装置、携帯端末、番組録画・再生システム、録画番組表示方法
JP4137520B2 (ja) 携帯端末
JP2007174245A (ja) 録画再生システム及び録画再生方法
JP2005184180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テレビ番組視聴システム
JP4368125B2 (ja) コンテンツ受信および音声通話が可能な通信端末装置
CN101779458B (zh) 视频配送装置以及视频配送程序
JP2005064592A (ja) 携帯通信端末
KR100751859B1 (ko) 디지털 방송 휴대 단말기에서 멀티태스킹 장치 및 방법
JP2008042234A (ja) テレビ放送視聴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1103580A (ja) 遠隔操作システム
CN1977460B (zh) 数字广播接收设备
JP2005117149A (ja) 携帯電話機
KR20070010598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 재생 중 화면캡쳐 방법
JP4398573B2 (ja) 画像伝送装置及び画像伝送方法
JP2011193515A (ja) 携帯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2006238187A (ja) 移動型放送受信装置
JP2006140777A (ja) 動画再生装置、動画再生方法および動画再生プログラム
JP2013115788A (ja) 電子機器および記録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