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0444B1 - 봉제용 재봉틀 - Google Patents

봉제용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0444B1
KR100920444B1 KR1020070089280A KR20070089280A KR100920444B1 KR 100920444 B1 KR100920444 B1 KR 100920444B1 KR 1020070089280 A KR1020070089280 A KR 1020070089280A KR 20070089280 A KR20070089280 A KR 20070089280A KR 100920444 B1 KR100920444 B1 KR 100920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jig
corner
sewing
elastic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9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4334A (ko
Inventor
서명원
Original Assignee
서명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명원 filed Critical 서명원
Priority to KR1020070089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0444B1/ko
Priority to PCT/KR2008/005009 priority patent/WO2009031780A1/en
Priority to CN2008801056276A priority patent/CN101809217B/zh
Publication of KR20090024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4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0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0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1/00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 D05B21/007Sewing machines with device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movement of work-carrier relative to stitch-forming mechanism in order to obtain particular configuration of seam, e.g. programme-controlled for sewing collars, for attaching pockets to obtain circular or elliptical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4Devices for changing speed or for reversing direction of ro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봉제용 재봉틀에 관한 것으로, 재봉선을 안내하는 가이드홈(22)이 형성되고 옷감을 고정시키는 지그(2)와; 상기 지그(2)를 이동 및 회전시키는 사이드롤러(5)와, 상기 사이드롤러(5)를 회전시키는 스텝모터(7) 또는 기계식 구동장치와, 전단에는 상기 지그(2)에 밀착되는 롤러(61~63)가 장착되고, 후단에는 스프링(66)이 설치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탄성지지수단(6)이 설치되고, 이에 더하여 상기 탄성지지수단(6)에 설치되며, 상기 지그(2)의 모퉁이의 곡률을 따라 연동되는 제 1센서(8)와, 상기 제 1센서(8)를 감지하여 모퉁이의 시작점과 끝점을 감지하는 제 2센서(9)로 구성된 감지수단이 설치된 것이며, 상기 지그(2)의 측면에 지지되는 상기 탄성지지수단(6)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센서(8)와 제 2센서(9)가 일치됨으로써 모퉁이의 시작점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탄성지지수단(6)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센서(8)와 제 2센서(9)가 불일치됨으로써 모퉁이의 끝점을 감지하도록 한 것이다.
소매, 카라, 봉제, 지그, 회전, 센서

Description

봉제용 재봉틀{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봉제용 재봉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매 또는 카라와 같은 옷감을 봉제시 라운드부위 또는 꺽임(코너)부위를 정확하게 인식하여, 옷감의 선회속도를 조절함으로써 재봉되는 바늘땀이 일부위에만 집중되지 않도록 하여 옷감의 훼손을 방지하도록 한 봉제용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봉틀은 옷을 짓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써, 앞판, 뒷판, 팔, 소매, 카라 등 각 부위별로 재단된 옷감을 서로 연결하여 옷을 짓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소매부위 및 카라부위는 지그를 이용하여 보다 신속하면서 용이하게 봉제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소매부위 및 이를 고정하는 지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그(2)는, 재봉선을 안내하는 가이드홈(22)이 형성된 장방형의 판재를 중첩시킨 것으로, 그 사이에 소매옷감(100)이 펼쳐진 채 삽입되고, 상면에는 코너부위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센싱테잎(24,26)이 부착된다.
이하 설명에서 코너부위는 '모퉁이'로 통일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도 2는 종래 재봉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틀(m)에는 센싱테잎(24,26)을 감지하는 센서(s)가 설치되고, 지그(2)를 이동시키기 위해 일측에는 사이드롤러(5)와, 상기 사이드롤러(5)를 회전시키는 스텝모터(7) 또는 기계식 구동장치가 장착된다.
또한, 지그(2)의 측면에 탄성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미동을 방지하기 위한 탄성지지수단(6)이 더 설치된다.
상기 탄성지지수단(6)은 전단에는 상기 지그(2)에 밀착되는 다수의 롤러(62)가 장착되고, 후단에는 본체(70)에 삽입되는 로드(64)가 형성된 지지대(60)와, 상기 로드(64)에 결합되어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66)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그(2)를 재봉틀(m)의 재봉부에 배치하면 사이드롤러(5)에 의해 지그(2)가 진입하면서 봉제가 수행되고, 모퉁이에 도달하면 자동 선회하게 되므로 모퉁이에서도 작업을 멈출 필요없이 자동으로 박음질되면서 소매옷감(100)의 봉제가 이루어지게 된다.
즉,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소매부위 및 이를 고정하는 지그를 이용한 봉제작동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3a는 모퉁이를 진입하기 직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은 모퉁이를 회전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재봉틀(m)의 재봉부에 지그(2)를 위치시켜, 바 늘(300)이 가이드홈(22)에 위치되게 하고, 지그(2)의 측면이 사이드롤러(5)에 밀착되도록 하며, 상기 탄성지지수단(6)의 롤러가 지그(2)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한다.
이후,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바늘(300)이 상하작동하여 박음질을 시작함과 동시에 스텝모터(7) 또는 기계식 구동장치의 구동에 의해 사이드롤러(5)가 회전하면,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초 "A구간"에서는 지그(2)가 전진하면서 직선형의 박음질이 수행된다.
이후, 센싱테잎(24)을 센서(s)가 감지하면, 모퉁이의 시작임을 감지한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사이드롤러(5)는 더욱 빠르게 회전함으로써 지그(2)를 90°회전시켜 주게 되어 도 3b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때, 지그(2)의 회전과정에서 모퉁이의 반경이 변동됨에 따라 이에 지지되는 상기 탄성지지수단(6)은 인입 및 인출을 반복하게 된다.
이후, 센싱테잎(26)을 센서(s)가 감지하면, 모퉁이의 끝점임을 감지하게 되고, 사이드롤러(5)는 원래의 속도로 감속되어 다시 "B구간"을 따라 직선형의 박음질이 수행된다.
이후, 다시 모퉁이의 시작을 알리는 시작센싱테잎(24)을 센서(s)가 감지하면, 전술한 회전작동을 수행하여 "C구간"을 봉제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지그의 센싱테잎을 작업자가 직접 붙이게 되므로, 상황에 따라 매번 부착위치가 변경될 수 밖에 없고, 이는 부정확한 위치에 센싱테잎이 부착되는 오류가 발생되므로, 지그의 회전 시점에 대한 오차가 발생되고, 이로 인해 재봉선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특히, 모퉁이 위치를 항상 일정하게 설정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박음질이 일부위에만 조밀하게 집중될 우려가 있으며, 이렇게 박음질이 집중되는 경우 옷감이 천공되어 불량품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옷감의 모퉁이에 대한 시작점과 끝점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센싱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작업자가 일일이 센싱테잎을 부착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하였고, 또한 지그의 회전 시점을 항상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 불량발생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는 봉제용 재봉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재봉선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옷감을 고정시키는 지그와; 상기 지그를 이동 및 회전시키는 사이드롤러와, 상기 사이드롤러를 회전시키는 스텝모터 또는 기계식 구동장치와, 전단에는 상기 지그에 밀착되는 롤러가 장착되고, 후단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탄성지지수단이 설치된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수단에 설치되며, 상기 지그의 모퉁이의 곡률을 따라 연동되는 제 1센서와, 상기 제 1센서를 감지하여 모퉁이의 시작점과 끝점을 감지하는 제 2센서로 구성된 감지수단이 설치된 것이며, 상기 지그의 측면에 지지되는 상기 탄성지지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센서와 제 2센서가 일치되면 모퉁이의 시작점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탄성지지수단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센서와 제 2센서가 불일치되면 모퉁이의 끝점을 감지하도록 하는 봉제용 재봉틀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매의 라운드부위 또는 카라의 꺽임부위에 대한 시작점과 끝점을 정확하게 인식하는 센싱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작업자가 일일이 센싱테잎을 부착시키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항상 정확한 방향전환지점을 설정할 수 있어 불량발생율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용 재봉틀에 대한 도면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을 이용하여 소매옷감을 봉제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봉제용 재봉틀(m)은, 재봉선을 안내하는 가이드홈(22)이 형성되고 옷감을 고정시키는 지그(2)와; 상기 지그(2)를 이동 및 회전시키는 사이드롤러(5)와, 상기 사이드롤러(5)를 회전시키는 스텝모터(7)와, 전단에는 상기 지그(2)에 밀착되는 롤러(61~63)가 장착되고, 후단에는 스프링(66)이 설치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탄성지지수단(6)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탄성지지수단(6)에 설치되며, 상기 지그(2)의 모퉁이의 곡률을 따라 연동되는 제 1센서(8)와, 상기 제 1센서(8)를 감지하여 모퉁이의 시작점과 끝점을 감지하는 제 2센서(9)로 구성된 감지수단이 더 설치된 것이며, 상기 지그(2)의 측면에 지지되는 상기 탄성지지수단(6)의 순방향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센서(8)와 제 2센서(9)가 일치됨으로써 모퉁이의 시작점을 감지할 수 있고, 상기 탄성지지수단(6)의 역방향 움직임에 따라 상기 제 1센서(8)와 제 2센서(9)가 불일치됨으로써 모퉁이의 끝점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탄성지지수단(6)은, 전단에는 상기 지그(2)에 밀착되는 제 1 내지 제 3롤러(61~63)가 장착되고, 후단에는 본체(70)에 삽입되는 로드가 형성된 지지대(60)와, 상기 로드에 외삽되어 탄성을 부여하는 스프링(66)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3롤러(63)가 가장 앞쪽에 설치되고, 이보다 뒷쪽으로 제 2 및 제 1롤러(62,61) 순으로 설치된다.
여기서, 가장 앞쪽이란 작업자가 앉아있는 위치와 가까운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스프링(66)은 지지대(60)를 밀어내는 탄발력을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 1 내지 제 3롤러(61~63)가 항상 지그(2)의 측면과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 1센서(8)는, 상기 탄성지지수단(6)의 지지대(60)의 상면에 설치된 "ㄱ"자 형의 브라켓(82)과, 상기 브라켓(82)의 일단부 상면에 돌출 형성된 감지구(84)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탄성지지수단(6)의 움직임에 종속되어 횡이동될 수 있다.
즉, 지그(2)의 모퉁이의 시작점을 지나 곡선부에 제 1롤러(61)가 도달하면 상기 탄성지지수단(6)이 스프링(66)의 탄발력에 의해 전진작동(순방향)하게 되고, 이에 동반하여 상기 제 1센서(8)가 상기 제 2센서(9)와 좀더 가까운 위치로 이동된다.
역으로, 지그(2)의 모퉁이의 끝점을 지나 직선부에 다다르면, 상기 탄성지지수단(6)의 후진작동(역방향)하게 되고, 이에 동반하여 상기 제 1센서(8)가 제 2센서(9)로부터 이격된다.
따라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센서(9)는, 상기 탄성지지수단(6)이 지그(2)의 모퉁이의 시작점에 지지되는 위치에 상응되도록 설치된 것이며, 제어부와 연결되어 사이드롤러(5)의 회전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결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
탄성지지수단(6)에 제 1센서(8)를 설치하고, 상기 제 1센서(8)에 대응되는 제 2센서(9)를 그 상부에 설치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지지수단(6)이 지그(2)의 모퉁이의 시작점에 지지되는 위치에 상응되도록 설치한다.
이후, 지그(2)의 내측에 소매옷감(100)을 삽입한 후 재봉틀(m)에 삽입하여 봉제를 시작한다.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지그(2)는 가이드홈(22)이 "U"자 형이 되게 하여, "A구간"부터 봉제를 시작한다.
이후,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A구간"을 따라 봉제가 진행되다가 모퉁이에 도달하면, 지지위치의 변경에 의해 곡면을 따라 탄성지지수단(6)의 제 3롤러(63)부터 전진하게 됨으로써 제 1센서(8)가 제 2센서(9)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센서(8,9)가 일치되면 모퉁이의 시작점에 도달되었음을 제어부에 신호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스텝모터(7) 및 사이드롤러(5)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를 보다 빠른 속도로 방향전환시키게 된다.
이때, 바늘(300)의 속도는 직선부의 봉제속도와 동일하게 유지된다.
이후, 지그(2)의 방향전환에 따라 탄성지지수단(6)의 제 1롤러(61)가 곡면의 끝점을 지나 직선면에 도달하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센서(8)가 제 2센서(9)와 불일치하게 되고, 이를 통해 모퉁이의 끝점을 지났음을 제어부에 신호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스텝모터(7) 및 사이드롤러(5)의 회전속도를 원래의 속도로 감속시켜 지그(2)의 "B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봉제하게 된다.
이후, "B구간"을 따라 봉제가 진행되다가 모퉁이에 도달하면,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면을 따라 탄성지지수단(6)의 제 3롤러(63)부터 전진하게 됨으로써 제 1센서(8)가 제 2센서(9)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제 1 및 제 2센서(8.9)가 일치되면 모퉁이의 시작점에 도달되었음을 제어부에 신호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스텝모터(7) 및 사이드롤러(5)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지그(2)를 보다 빠른 속도로 방향전환시키게 된다.
이때, 바늘(300)의 속도는 직선부의 봉제속도와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C구간"을 봉제하게 된다.
한편, 카라옷감(200)을 봉제하는 과정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을 이용하여 카라옷감(200)을 봉제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지그(2)의 내측에 카라옷감(200)을 삽입한 후 재봉틀(m)에 삽입하여 "F구간"을 따라 봉제를 시작한다.
이후, 꺽임부에 도달하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면을 따라 탄성지지수단(6)의 제 3롤러(63)부터 전진하게 됨으로써 제 1센서(8)가 제 2센서(9)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제 1 및 제 2센서(8,9)가 일치되면 모퉁이의 시작점에 도달되었음을 제어부에 신호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스텝모터(7) 및 사이드롤러(5)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지그(2)를 보다 빠른 속도로 방향전환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바늘(300)은 하강한 상태에서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이후, 지그(2)의 방향전환에 따라 탄성지지수단(6)의 제 1롤러(61)가 곡면의 끝점을 지나 직선면에 도달하면, 제 1센서(8)가 제 2센서(9)와 불일치하게 되고, 이를 통해 모퉁이의 끝점을 지났음을 제어부에 신호하게 된다.
이후,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부는 다시 바늘(300)을 작동시켜 봉제가 시작되고, 아울러 스텝모터(7) 및 사이드롤러(5)의 회전속도를 원래의 속도로 감속시켜 지그(2)의 "G구간"을 따라 이동하면서 봉제하게 된다.
이후, "G구간"을 따라 봉제가 진행되다가 꺽임부에 도달하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면을 따라 탄성지지수단(6)의 제 3롤러(63)부터 전진하게 됨으로써 제 1센서(8)가 제 2센서(9)를 향해 이동하게 되고, 제 1 및 제 2센서(8,9)가 일치되면 모퉁이의 시작점에 도달되었음을 제어부에 신호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스텝모터(7) 및 사이드롤러(5)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지그를 보다 빠른 속도로 방향전환시키게 된다.
이때,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바늘은 하강한 상태에서 정지상태에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스텝모터(7) 및 사이드롤러(5)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지그(2)를 보다 빠른 속도로 방향전환시키게 된다.
이때, 바늘(300)의 속도는 직선부의 봉제속도와 동일하게 유지되면서 "H구간"을 봉제하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 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소매부위 및 이를 고정하는 지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 재봉틀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종래 소매부위 및 이를 고정하는 지그를 이용한 봉제작동을 나타낸 도면으로써, 도 3a는 모퉁이를 진입하기 직전 상태를 나타낸 것이고, 도 3b은 모퉁이를 회전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봉제용 재봉틀에 대한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을 이용하여 소매옷감을 봉제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재봉틀을 이용하여 카라옷감을 봉제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지그 5 : 사이드롤러
6 : 탄성지지수단 7 : 스텝모터
8 : 제 1센서 9 : 제 2센서
22 : 가이드홈 24,26 : 센싱테잎
60 : 지지대 61~63 : 제 1~ 제 3롤러
64 : 로드 66 : 스프링
84 : 감지구

Claims (7)

  1. 재봉선을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옷감을 고정시키는 지그와; 상기 지그를 이동 및 회전시키는 사이드롤러와, 상기 사이드롤러를 회전시키는 스텝모터와, 전단에는 상기 지그에 밀착되는 롤러가 장착되고, 후단에는 스프링이 설치되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탄성지지수단이 설치된 재봉틀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수단(6)에 설치되며, 상기 지그(2)의 모퉁이의 곡률을 따라 연동되는 제 1센서(8)와,
    상기 제 1센서(8)를 감지하여 모퉁이의 시작점과 끝점을 감지하는 제 2센서(9)로 구성된 감지수단이 더 설치된 것이며,
    상기 제 1센서(8)와 제 2센서(9)가 일치된 상태는 항상 모퉁이의 시작점으로 인식되고, 상기 제 1센서(8)와 제 2센서(9)가 불일치된 상태는 항상 모퉁이의 끝점으로 인식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용 재봉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센서(8)는, 상기 탄성지지수단(6)의 지지대(60)의 상면에 설치된 "ㄱ"자 형의 브라켓(82)과, 상기 브라켓(82)의 일단부 상면에 돌출 형성된 감지구(8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용 재봉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센서(8)는, 상기 탄성지지수단(6)의 전진 작동에 종속되어 상기 지그(2)의 모퉁이의 시작점으로 갈수록 상기 제 2센서(9)를 향해 이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용 재봉틀.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센서(8)는, 상기 탄성지지수단(6)의 후진 작동에 종속되어 상기 지그(2)의 모퉁이의 끝점을 지날수록 상기 제 2센서(9)와 이격되도록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용 재봉틀.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센서(9)는, 상기 탄성지지수단(6)이 상기 지그(2)의 모퉁이의 시작점에 지지되는 위치에 상응되도록 설치된 것이며, 제어부와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롤러(5)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용 재봉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센서(8) 및 제 2센서(9)가 일치되면, 상기 사이드롤러(5)의 회전속도가 증가되어 상기 지그(2)를 빠른 속도로 방향전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용 재봉틀.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센서(8) 및 제 2센서(9)가 불일치되면, 상기 사이드롤러(5)의 회전속도가 원래대로 감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제용 재봉틀.
KR1020070089280A 2007-09-04 2007-09-04 봉제용 재봉틀 KR100920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280A KR100920444B1 (ko) 2007-09-04 2007-09-04 봉제용 재봉틀
PCT/KR2008/005009 WO2009031780A1 (en) 2007-09-04 2008-08-27 Sewing machine
CN2008801056276A CN101809217B (zh) 2007-09-04 2008-08-27 缝纫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9280A KR100920444B1 (ko) 2007-09-04 2007-09-04 봉제용 재봉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4334A KR20090024334A (ko) 2009-03-09
KR100920444B1 true KR100920444B1 (ko) 2009-10-08

Family

ID=40429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9280A KR100920444B1 (ko) 2007-09-04 2007-09-04 봉제용 재봉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920444B1 (ko)
CN (1) CN101809217B (ko)
WO (1) WO200903178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73B1 (ko) * 2016-01-30 2016-06-24 황일섭 패턴 재봉기
KR102029590B1 (ko) 2018-06-25 2019-10-08 서호성 재봉기의 재봉물 두께 감지 장치
KR102104419B1 (ko) * 2018-11-30 2020-04-24 김태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인공지능 재봉틀 및 재봉틀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84315B2 (ja) * 2011-06-30 2016-03-15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手元コントローラユニットおよび手元コントローラユニットを備える刺繍機能付ミシン
CN103911772B (zh) * 2011-12-27 2016-05-11 苏运松 数控多功能自动缝纫机的缝纫模样板及其缝纫机
CN104711786A (zh) * 2015-03-28 2015-06-17 张正清 平缝机轨道器
CN108691105A (zh) * 2018-07-06 2018-10-23 宁波舒普机电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实现缝纫结束点设置的花样缝纫机
CN108914410B (zh) * 2018-10-18 2023-07-14 安徽即刻动身健身器械科技有限公司 一种布套连续缝制翻套的加工设备
CN114457514B (zh) * 2021-12-24 2023-09-08 石狮市伟马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圆领缝纫机及多色圆领的缝纫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1772A (en) * 1977-09-14 1981-06-09 Ugo Pignatti Sewing machine attachment for edgings and collars
JPH0796091A (ja) * 1993-09-30 1995-04-11 Matsuka Shoten:Kk 敷物周縁部の縫製装置
JPH08187380A (ja) * 1992-02-18 1996-07-23 Kato Sewing Mach Kogyo:Kk 縫製装置
US6035794A (en) * 1998-09-04 2000-03-14 Atlanta Attachment Company Automatic collar load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1346C1 (ko) * 1991-01-18 1992-07-23 G.M. Pfaff Ag, 6750 Kaiserslautern, De
US5628264A (en) * 1995-03-16 1997-05-13 Union Special Corporation Sleeve making method and apparatu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71772A (en) * 1977-09-14 1981-06-09 Ugo Pignatti Sewing machine attachment for edgings and collars
JPH08187380A (ja) * 1992-02-18 1996-07-23 Kato Sewing Mach Kogyo:Kk 縫製装置
JPH0796091A (ja) * 1993-09-30 1995-04-11 Matsuka Shoten:Kk 敷物周縁部の縫製装置
US6035794A (en) * 1998-09-04 2000-03-14 Atlanta Attachment Company Automatic collar loading system and method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3273B1 (ko) * 2016-01-30 2016-06-24 황일섭 패턴 재봉기
KR102029590B1 (ko) 2018-06-25 2019-10-08 서호성 재봉기의 재봉물 두께 감지 장치
KR102104419B1 (ko) * 2018-11-30 2020-04-24 김태범 사물인터넷을 이용한 인공지능 재봉틀 및 재봉틀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031780A1 (en) 2009-03-12
CN101809217B (zh) 2012-11-21
KR20090024334A (ko) 2009-03-09
CN101809217A (zh) 2010-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20444B1 (ko) 봉제용 재봉틀
US5033399A (en) Automatic fabric guide in sewing machine
KR102093407B1 (ko) 매트 박음질 장치
KR20200027878A (ko) 매트 박음질 장치
JP4645870B2 (ja) ミシンの縫外れ検出装置
KR880003050A (ko) 쌍바늘 재봉틀로 이중 솔기 코너를 재봉하는 방법
US4848256A (en) Workpiece detector for a sewing machine
JPH0710314B2 (ja) ミシンの上下送り量制御装置
CN109023746B (zh) 一种调节平缝机针距的方法及装置
JP6425069B2 (ja) ミシン
CN209602751U (zh) 皮带机自动缝工作站
JP2903430B2 (ja) ミシン用縫製案内装置
JPH0335271Y2 (ko)
JP4025846B2 (ja) 自動縫製機の縫い外れ検出装置
CN110578209B (zh) 缝纫过程中布边控制方法
CN216838505U (zh) 缝位检测装置
JP3066508B2 (ja) 環状衣類の布地安定化装置
CN109468753A (zh) 皮带机自动缝工作站
JPH0243344Y2 (ko)
CN116356491A (zh) 一种多轴缝制设备、其控制方法及介质
CN113914021A (zh) 一种缝纫机中的送领装置及其控制方法
JPH0796094A (ja) ミシンの糸案内装置
JPH0691077A (ja) ミシンの布位置調節装置
JPS645919B2 (ko)
JPH08187381A (ja) 縫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