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9395B1 - 이중 더스트 커버 및 그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이중 더스트 커버 및 그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9395B1
KR100919395B1 KR1020070021504A KR20070021504A KR100919395B1 KR 100919395 B1 KR100919395 B1 KR 100919395B1 KR 1020070021504 A KR1020070021504 A KR 1020070021504A KR 20070021504 A KR20070021504 A KR 20070021504A KR 100919395 B1 KR100919395 B1 KR 100919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over
circumferential surface
ims
protru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15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81481A (ko
Inventor
박성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00211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91939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700215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9395B1/ko
Publication of KR20080081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81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9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93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20Connecting steering column to steer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ealing Device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중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경계패널에 장착되어 축부재의 일부분이 관통하는 더스트 커버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는 상기 경계패널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일체로 연결되는 돌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우터 커버; 및 상기 돌출관 안으로 인입되고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과 맞닿는 베어링을 수용하는 이너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더스트 커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더스트 커버를 아우터 커버와 이너 커버로 분리하여 이중으로 제작함으로써 차량 조립시 아우터 커버는 대시패널에 고정되어 있으나 이너 커버가 IMS의 튜브와 결합된 상태에서 아우터 커버와 분리되어 실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조립시 작업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커버의 돌출관 직경이 이너 커버의 베어링 내경보다 크므로 IMS(Inter Mediate Shaft) 중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부분도 아우터 커버를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고, 이너 커버가 IMS의 튜브와 결합된 상태에서 아우터 커버와 이동하므로 이너 커버에 구비된 베어링이 작업시 IMS의 실외방향 또는 실내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손상될 염려가 없게 된다.

Description

이중 더스트 커버 및 그를 포함하는 조향장치{Double Dust Cover and Steering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중 더스트 커버 및 그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더스트 커버를 아우터 커버와 이너 커버로 분리하여 이중으로 제작함으로써 차량 조립시 아우터 커버는 대시패널에 고정되어 있으나 이너 커버가 IMS의 튜브와 결합된 상태에서 아우터 커버와 분리되어 실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조립시 작업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고, 아우터 커버의 돌출관 직경이 이너 커버의 베어링 내경보다 크므로 IMS 중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부분도 아우터 커버를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이너 커버가 IMS의 튜브와 결합된 상태에서 아우터 커버와 이동하므로 이너 커버에 구비된 베어링이 작업시 IMS의 실외방향 또는 실내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손상될 염려가 없게 되는 이중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더스트 커버가 장착된 조향장치의 예시도로서,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장치에서는 조향축(130)의 하단을 기어박스(180)와 연결하되, 조향축(130)은 주변 여건상 임의의 각도로 기울어진 채 기어박스(180)와 연결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유니버셜 조인트로 연결되고 튜브(100)와 샤프트(110)로 구성되는 인터 미디어트 샤프트(120: Inter Mediate Shaft, 이하 "IMS"라 한다.)를 사용하게 된다.
IMS(120)는 일측이 조향휠(170)과 연결된 조향축(130)에 연결되고, 타측이 기어박스(180)에 연결되어 조향휠(170)에서 발생하는 회전력을 기어박스(180)를 통해 차륜에 전달하는 장치이다.
조향컬럼(150)은 아우터 튜브(145), 이너 튜브(140) 및 마운팅 브라켓(16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아우터 튜브(145)는 조향휠(170) 측에 형성되고 내부에는 아우터 튜브(145)보다 지름이 작아 충격시 내부로 삽입 가능한 이너 튜브(140)가 마련된다. 아우터 튜브(145) 및 이너 튜브(140)는 중공 형태의 튜브로 형성되어 조향축(130)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더스트 커버(105)는 대시패널(115)에 고정되어 엔진룸을 통해 실내측으로 유입되는 소음 등을 차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도 2는 종래 더스트 커버의 사시도로서,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트 커버(105)는 크게 IMS(120)에 끼워지는 베어링부(210)와 베어링부(210)의 외주면을 감싸는 고무부재(25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고무부재(250)는 베어링부(210)를 감싸는 커버부(220), 더스트 커버(105)를 대시패널(115)에 고정시키는 바닥판 결합부(230), 커버부(220)와 바닥판 결합부(230)를 연결하는 연결부(240)로 구성된다.
커버부(220)와 연결부(240)는 일체로 형성되되, 그 만나는 부분에 주름이 져 있어서 IMS(120)의 축방향 진동을 일부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종래 더스트 커버는 IMS가 관통하는 커버부와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서 차량 조립시 IMS를 장착한 후 서브 프레임 마운팅시 IMS와 서브 프레임 사이의 간섭으로 인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차량 조립시 대시패널에 더스트 커버와 IMS를 장착한 후에도 IMS를 실내방향 또는 실외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러한 경우 IMS의 튜브와 더스트 커버의 베어링 사이 접촉으로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부분은 커버부를 관통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무리하게 IMS를 실내방향 또는 실외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베어링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더스트 커버를 아우터 커버와 이너 커버로 분리하여 이중으로 제작함으로써 차량 조립시 아우터 커버는 대시패널에 고정되어 있으나 이너 커버가 IMS의 튜브와 결합된 상태에서 아우터 커버와 분리되어 실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작업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고, 아우터 커버의 돌출관 직경이 이너 커버의 베어링 내경보다 크므로 IMS 중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부분도 아우터 커버를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이너 커버가 IMS의 튜브와 결합된 상태에서 아우터 커버와 이동하므로 이너 커버에 구비된 베어링이 IMS의 실외방향 또는 실내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손상될 염려가 없게 되는 이중 더스트 커버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계패널에 장착되어 축부재의 일부분이 관통하는 더스트 커버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는 상기 경계패널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일체로 연결되는 돌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우터 커버; 및 상기 돌출관 안으로 인입되고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과 맞닿는 베어링을 수용하는 이너 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더스트 커버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이중 더스트 커버가 조향장치 중 IMS에 장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반드시 조향장치 중 IMS에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실외측과 실내측이 구분되어 실외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먼지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더스트 커버의 장착이 필요한 다양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더스트 커버의 조립단면도로서,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더스트 커버(310)는 경계패널(305)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340)와 고정 플레이트(340)에 일체로 연결되는 돌출관(3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우터 커버(320), 돌출관(350) 안으로 인입되고 축부재(307)의 외주면과 맞닿는 베어링(331)을 수용하는 이너 커버(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 본 발명이 조향장치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상기 경계패널(305)과 축부재(307)는 각각 대시패널(115)과 IMS(120)에 해당될 것이다.
아우터 커버(320)는 경계패널(305)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340)와 고정 플레이트(340)에 일체로 연결되고 실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관(350)으로 구성된다.
돌출관(350)은 양 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써 축부재(307)가 돌출관(350)을 관통하여 구비되고, 돌출관(350)의 직경은 축부재(307)가 관통할 수 있도록 적절한 크기로 형성된다.
돌출관(350)의 내주면에는 경계패널(305)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가 잘린 원뿔 형상의 차단부(370)가 마련되어 있는데, 차단부(370)는 실외측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하여 이너 커버(330)에 쌓이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차량 운행시 돌 등의 이물질이 튀어 이너 커버(330) 또는 베어링(331) 등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차단부(370)의 일측 끝단은 축부재(307)가 원활히 관통할 수 있도록 축부재(307)의 외경보다 적절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너 커버(330)가 아우터 커버(320)에 완전히 끼워진 경우에도 내측 튜브(333)의 일측 끝단이 차단부(370)의 일면에 맞닿지 않도록 적절한 간격을 유지한 채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너 커버(330)는 경계패널(305)을 경계로 실내측에 위치하며 축부재(307)가 이너 커버(330)를 관통하여 구비되고, 이너 커버(330)의 일측은 아우터 커버(320)에 형성된 돌출관(350)에 끼워진다.
이너 커버(330)는 내측 튜브(333)와 외측 튜브(337)로 구성되는데 내측 튜브(333) 내에는 베어링(331)이 수용되고, 외측 튜브(337) 내에는 이너 밴드(335)가 수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더스트 커버는 아우터 커버(320)와 이너 커버(330)로 분리되어 있으므로 차량 조립시 등의 경우 아우터 커버(320)는 경계패널(305)에 고정되어 있으나 이너 커버(330)는 축부재(307)와 결합된 상태에서 아우터 커버(320)와 분리되어 실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더스트 커버 중 아우터 커버의 사시도로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아우터 커버(320)는 경계패널(305)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340)와 고정 플레이트(340)에 일체로 연결되는 돌출관(35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추가로 돌출관(350)의 외주면 일단에는 돌출관(350)의 둘레를 따라 고정밴드 체결부(42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아우터 커버(320)는 고정 플레이트(340)와 돌출관(350)으로 구성되는데, 고정 플레이트(340)는 아우터 커버(320)가 경계패널에 고정/결합될 때 경계패널에 밀착되는 부분으로써, 고정 플레이트(340)에는 수개의 결합공(410)이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공(410)에 대응하여 경계패널에도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서 고정 플레이트(340)에 형성된 결합공(410)과 경계패널에 형성된 구멍을 체결부재로 연결함으로써 고정 플레이트(340)가 경계패널에 단단히 고정/결합되게 된다.
고정 플레이트(340)에 형성된 결합공(410)과 경계패널에 형성된 구멍을 연결하는 체결부재로 볼트와 너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고정 플레이트(340)와 경계패널 사이에 적절한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종류의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정 플레이트(340)의 형상이 삼각형 모양이고 결합공(410)이 하단 모서리에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고정 플레이트(340)의 형상은 경계패널에 장착되는 위치 등을 고려하여 사각형, 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결합공(410)의 위치 및 개수 또한 고정 플레이트(340)의 형상 및 요구되는 결합력 등을 고려하여 1개 이상으로 다양하게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돌출관(350)은 고정 플레이트(340)와 일체로 연결되고 양 단이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써 축부재(307)가 돌출관(350)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추가로 돌출관(350)의 외주면 일단에는 돌출관(350)의 둘레를 따라 고정밴드 체결부(42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밴드 체결부(420)란 이너 커버(330)가 아우터 커버(320)에 삽입된 후 이너 커버(330)와 아우터 커버(320)를 단단히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밴드(360)가 돌출관(350)의 외주면 일단에 형성된 고정밴드 체결부(420)를 압착할 때 고정밴드(360)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해 돌출관(350)의 외주면 일단에 움푹 파인 홈 형태로 형성되는 부분이다.
고정밴드 체결부(420)의 폭은 체결되는 고정밴드(360)의 폭에 맞추어 적절히 형성되며 고정밴드(360)의 폭은 요구되는 압착력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고정밴드(360)는 적절한 압착력을 돌출관(350)의 외주면 일단에 제공할 수 있도록 러버 등의 탄성부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관(350)의 내경은 이너 커버(330)가 아우터 커버(320)의 돌출관(350)에 원활히 끼워진 후 고정밴드(360)에 의해 돌출관(350)의 내주면이 이너 커버(330)의 외측 튜브(337, 도 3 참조) 외주면을 압착하도록 이너 커버(330)의 외측 튜브(337) 외경보다 미세히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더스트 커버 중 이너 커버의 부분절개사시도로서,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 커버(330)는 내측 튜브(333), 내측 튜브(333)의 일단이 연결되어 내측 튜브(333)와 일체로 구성되는 외측 튜브(337)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추가로 외측 튜브(337)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고 외측 튜브(337)의 외경보다 큰 직경을 가진 걸림턱(510), 내측 튜브(333)와 외측 튜브(337)의 연결되는 부분에 하나 이상의 주름이 형성된 완충부(540), 외측 튜브(337)에 원주방향으로 삽입되는 이너 밴드(335), 외측 튜브(337)의 일측 끝단에 형성된 라운딩 가공부(5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너 커버(330)는 아우터 커버(320)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관(350) 안으로 인입된다.
내측 튜브(333)의 내주면에는 베어링(331)이 구비되는데 베어링(331)의 내주면은 축부재의 외주면과 맞닿아 구름마찰력을 제공하게 된다.
내측 튜브(333)의 일단은 외측 튜브(337)와 연결되어 내측 튜브(333)와 외측 튜브(337)는 일체로 구성되며, 추3가로 내측 튜브(331)와 외측 튜브(337)의 연결되는 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주름이 형성된 완충부(540)가 구비될 수 있다.
완충부(540)는 축부재에 본 발명인 이중 더스트 커버가 장착된 후 차량 운행시 또는 조립시 축부재에 길이방향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하중을 흡수하여 이너 커버(330)가 아우터 커버(3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완충부(540)에 1개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너 커버(330)가 아우터 커버(3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부재의 길이방향 하중을 적절히 흡수할 수 있도록 2개 이상의 적절한 개수의 주름이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완충부(540)는 내측 튜브(333)와 외측 튜브(337)의 재질과 같이 탄성력이 있는 플라스틱 등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완충부(540)가 외측 튜브(337)와 만나는 부분이 외측 튜브(337)의 끝단에서 일정 부분 안으로 인입된 부분에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측 튜브(337)의 끝단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외측 튜브(337)는 내측 튜브(331)의 일단과 연결되어 내측 튜브(331)와 일체로 구성되는데, 외측 튜브(337)의 직경은 내측 튜브(331)의 직경보다 적절히 크게 형성되되, 아우터 커버(320)에 형성된 돌출관(350)의 내경보다는 적절히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측 튜브(337)의 직경이 아우터 커버(320)에 형성된 돌출관(350)의 내경보다는 적절히 작게 형성되더라도 돌출관(350)의 외주면 일단에 형성된 고정밴드 체결부(도 4의 420)에 고정밴드(도 4의 360)가 체결되어 돌출관(350)의 외주면을 압착해 주는 경우 돌출관(350)의 내주면이 외측 튜브(337)의 외주면을 압착하게 되므로 이너 커버(330)가 아우터 커버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
추가적으로 외측 튜브(337)에는 원주방향으로 이너 밴드(335)가 삽입될 수 있다.
이너 밴드(335)는 이너 커버(330)가 아우터 커버(320)에 형성된 돌출관(350) 안으로 인입되는 경우 돌출관(350)에 형성된 고정밴드 체결부(420)에 고정밴드(360)가 체결되어 돌출관(350)의 외주면을 압착함에 따라 외측 튜브(337)의 외주면에 압착력을 가하게 될 때 이에 따른 이너 커버(330)의 형상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따라서, 이너 밴드(335)는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밴드(360)의 압력에 대해 적절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는 한 다양한 종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외측 튜브(337)의 일측 끝단에는 추가적으로 걸림턱(510)이 형성될 수도 있는데, 걸림턱(510)은 외측 튜브(337)의 외경보다 적절히 큰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되며, 이너 커버(330)가 아우터 커버(320)에 형성된 돌출관(350) 안으로 인입될 때 걸림턱(510)의 일측면이 돌출관(350)의 끝단과 만날때까지만 이너 커버(330)가 돌출관(350) 안으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여 이너 커버(330)가 돌출관(350) 안으로 완전히 인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외측 튜브(337)의 걸림턱(510)이 형성된 부분의 반대측에는 라운딩 가공부(560)가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라운딩 가공부(560)는 이너 커버(330)가 아우터 커버(320)에 형성된 돌출관(350) 안으로 인입될 때 돌출관(350) 끝단에 외측 튜브(520)의 끝단이 걸리지 않고 원활히 인입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아우터 커버(320)와 이너 커버(330)는 플라스틱 등의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작 단가와 적절한 강도 제공 등을 만족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종류의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더스트 커버를 아우터 커버와 이너 커버로 분리하여 이중으로 제작함으로써 차량 조립시 아우터 커버는 대시패널에 고정되어 있으나 이너 커버가 IMS의 튜브와 결합된 상태에서 아우터 커버와 분리되어 실내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조립시 작업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아우터 커버의 돌출관 직경이 이너 커버의 베어링 내경보다 크므로 IMS 중 베어링의 내경보다 큰 부분도 아우터 커버를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고, 이너 커버가 IMS의 튜브와 결합된 상태에서 아우터 커버와 이동하므로 이너 커버에 구비된 베어링이 작업시 IMS의 실외방향 또는 실내방향으로의 이동에 의해 손상될 염려가 없게 된다.
도 1은 종래 더스트 커버가 장착된 조향장치의 예시도;
도 2는 종래 더스트 커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더스트 커버의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더스트 커버 중 아우터 커버의 사시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 더스트 커버 중 이너 커버의 부분절개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튜브 105: 더스트 커버
110: 샤프트 115: 대시패널
120: 인터 미디어트 샤프트(IMS) 130: 조향축
140: 이너 튜브 145: 아우터 튜브
150: 조향컬럼 160: 마운팅 브라켓
170: 조향휠 180: 기어박스
210: 베어링부 220: 커버부
230: 바닥판 결합부 240: 연결부
250: 고무부재 305: 경계패널
307: 축부재
310: 본 발명에 의한 이중 더스트 커버
320: 아우터 커버 330: 이너 커버
331: 베어링 333: 내측 튜브
335: 이너 밴드 337: 외측 튜브
340: 고정 플레이트 350: 돌출관
360: 고정밴드 370: 차단부
410: 결합공 420: 고정밴드 체결부
510: 걸림턱 540: 완충부
560: 라운딩 가공부

Claims (10)

  1. 경계패널에 장착되어 축부재의 일부분이 관통하는 더스트 커버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는
    상기 경계패널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일체로 연결되는 돌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우터 커버; 및
    상기 돌출관 안으로 인입되고 상기 축부재의 외주면과 맞닿는 베어링을 수용하며, 일단이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로 구성되는 이너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경계패널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가 잘린 원뿔 형상의 차단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관의 외주면 일단에는 상기 돌출관의 둘레를 따라 고정밴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밴드 체결부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밴드가 체결되며,
    상기 외측 튜브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외측 튜브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주름이 형성된 완충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 튜브에는 원주방향으로 이너 밴드가 삽입되고, 상기 외측 튜브의 타측 끝단에는 라운딩 가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더스트 커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인터 미디어트 샤프트(IMS)와, 차체의 경계패널에 장착되어 상기 IMS의 일부분이 관통하는 이중 더스트 커버를 포함하는 조향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중 더스트 커버는,
    상기 경계패널에 고정되는 고정 플레이트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에 일체로 연결되는 돌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우터 커버; 및
    상기 돌출관 안으로 인입되고 상기 IMS의 외주면과 맞닿는 베어링을 수용하며, 일단이 연결되어 일체로 구성되는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로 구성되는 이너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관의 내주면에는 상기 경계패널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가 잘린 원뿔 형상의 차단부가 마련되고,
    상기 돌출관의 외주면 일단에는 상기 돌출관의 둘레를 따라 고정밴드 체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밴드 체결부의 외주면을 따라 고정밴드가 체결되며,
    상기 외측 튜브의 일측 끝단에는 상기 외측 튜브의 외경보다 큰 직경의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내측 튜브와 외측 튜브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주름이 형성된 완충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측 튜브에는 원주방향으로 이너 밴드가 삽입되고, 상기 외측 튜브의 타측 끝단에는 라운딩 가공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장치.
KR1020070021504A 2007-03-05 2007-03-05 이중 더스트 커버 및 그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KR100919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504A KR100919395B1 (ko) 2007-03-05 2007-03-05 이중 더스트 커버 및 그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21504A KR100919395B1 (ko) 2007-03-05 2007-03-05 이중 더스트 커버 및 그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8222A Division KR20090094426A (ko) 2009-08-24 2009-08-24 이중 더스트 커버 및 그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481A KR20080081481A (ko) 2008-09-10
KR100919395B1 true KR100919395B1 (ko) 2009-09-29

Family

ID=40021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1504A KR100919395B1 (ko) 2007-03-05 2007-03-05 이중 더스트 커버 및 그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939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6489A (ko) 2007-11-06 2009-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조향 컬럼의 기밀장치
KR101411166B1 (ko) * 2011-07-12 2014-06-23 주식회사 만도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커버
JP5914233B2 (ja) * 2012-07-26 2016-05-11 株式会社イノアックコーポレーション コラムホールカバー
KR101428219B1 (ko) * 2012-11-23 2014-08-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스티어링 유니버설 조인트용 소음 차단 장치
KR102322369B1 (ko) 2017-03-07 2021-11-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더스트커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467A (ja) * 1995-07-31 1997-02-14 Toyota Motor Corp コラムホールカバー
JP2003194230A (ja) * 2001-12-27 2003-07-09 Toyoda Gosei Co Ltd ホールカバー
WO2005068277A1 (ja) * 2004-01-15 2005-07-28 Nsk Ltd.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用ダストカバー
KR100633951B1 (ko) * 2005-03-03 2006-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더스트커버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2467A (ja) * 1995-07-31 1997-02-14 Toyota Motor Corp コラムホールカバー
JP2003194230A (ja) * 2001-12-27 2003-07-09 Toyoda Gosei Co Ltd ホールカバー
WO2005068277A1 (ja) * 2004-01-15 2005-07-28 Nsk Ltd. ステアリングシャフト用ダストカバー
KR100633951B1 (ko) * 2005-03-03 2006-10-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더스트커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81481A (ko)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9395B1 (ko) 이중 더스트 커버 및 그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US7017890B2 (en) Rubber bearing with anti-vibration system
US10731744B2 (en) Speed reducer for vehicle
EP0717211A1 (en) Flexible plate for transmitting torque
CA2450291A1 (en) Vibration-damping ring insert arrangement, also in connection arrangements for components
US20140041466A1 (en) Rack-pinion type steering apparatus
KR101669426B1 (ko) 자동차용 댐핑부쉬
KR20090094426A (ko) 이중 더스트 커버 및 그를 포함하는 조향장치
KR101736092B1 (ko) 차량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JP2006189095A (ja) 弾性継手及び自動車用ホイールの連結構造
US6558262B1 (en) Boot for slip yoke assembly in a vehicle driveshaft
KR101674304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아우터 볼 조인트
JP2005147396A (ja) 複数分割式の長手方向駆動軸
CN209813618U (zh) 一种麦克纳姆轮及移动平台
KR101428219B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유니버설 조인트용 소음 차단 장치
JP7206977B2 (ja) ホールカバー及びこれ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装置
JP6934345B2 (ja) 防振マウント及びその組付け方法
KR101411166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더스트 커버
JP4417647B2 (ja) モータ取付構造
CN218817578U (zh) 球头结构、推力杆、悬置装置和车辆
KR20150017627A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KR100925696B1 (ko) 프로펠러 샤프트 센터베어링
KR101764936B1 (ko) 자동차의 조향장치
JP4664262B2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JP7178797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00503

Effective date: 20110106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122 Written withdrawal of action (patent court)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10208

Effective date: 201110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