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8061B1 - 유기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8061B1
KR100918061B1 KR1020080003940A KR20080003940A KR100918061B1 KR 100918061 B1 KR100918061 B1 KR 100918061B1 KR 1020080003940 A KR1020080003940 A KR 1020080003940A KR 20080003940 A KR20080003940 A KR 20080003940A KR 100918061 B1 KR100918061 B1 KR 100918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display area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39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8135A (ko
Inventor
문찬경
하근동
강지호
이현희
이동수
임정준
권오준
황현민
Original Assignee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039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8061B1/ko
Priority to JP2008137907A priority patent/JP4547582B2/ja
Priority to US12/318,858 priority patent/US8502446B2/en
Publication of KR20090078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8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8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80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1Device type
    • H01L2924/12Passive devices, e.g. 2 terminal devices
    • H01L2924/1204Optical Diode
    • H01L2924/12044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51Thickne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10K59/8722Peripheral sealing arrangements, e.g. adhesives, seala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베젤을 개선하여 낙하 충격에 대한 기구적 강도를 높인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과 패드 영역을 구비하며 표시 영역 내부에 복수의 유기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패널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베젤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25.4mm 이상 101.6mm 미만일 때, 베젤은 하기 조건을 만족한다.
t ≥ 0.0003×a
여기서, t는 베젤의 두께(mm)를 나타내고, a는 표시 영역의 면적(mm2)을 나타낸다.
패널어셈블리, 표시영역, 패드영역, 베젤, 합성수지, 바닥부, 측벽, 충격강도

Description

유기발광 표시장치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본 발명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패널 어셈블리를 지지하는 베젤을 개선하여 기구적 강도를 높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정공 주입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전자 주입전극으로 구성되는 유기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며, 유기 발광층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생성된 여기자(exciton)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리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자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낮은 소비전력, 높은 휘도 및 높은 반응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휴대용 전자 기기의 차세대 표시장치로 여겨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내부에 유기발광 소자들을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패널 어셈블리의 후방에서 패널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베젤과, 연성 회로기판을 통해 패널 어셈블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패널 어셈블리의 내부가 액정으로 채워진 액정 표시장치와 달리 패널 어셈블리의 내부에 빈 공간이 존재하는 구조이므로 내충격성 개선이 요구된다. 특히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패널 어셈블리의 면적이 커질수록 낙하에 대한 내충격성이 떨어지는 단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장착된 전자 기기를 사용중에 떨어뜨리게 되면, 순간적으로 큰 비틀림 하중 또는 굽힘 하중이 베젤에 작용하여 베젤이 변형하게 된다. 그 결과, 베젤에 결합되어 있는 패널 어셈블리에 비틀림 하중과 굽힘 하중이 그대로 전달되어 패널 어셈블리가 쉽게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패널 어셈블리와 결합되는 베젤을 개선하여 기구적 강도와 내충격성을 높일 수 있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과 패드 영역을 구비하며 표시 영역 내부에 복수의 유기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패널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베젤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는 25.4mm 이상 101.6mm 미만이며, 베젤은 하기 조건을 만족한다.
t ≥ 0.0003×a
여기서, t는 베젤의 두께(mm)를 나타내고, a는 표시 영역의 면적(mm2)을 나 타낸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45.72mm일 때, 베젤은 0.3 내지 1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55.88mm일 때, 베젤은 0.45 내지 1.2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71.12mm일 때, 베젤은 0.73 내지 1.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76.2mm일 때, 베젤은 0.84 내지 1.80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88.9mm일 때, 베젤은 1.14 내지 2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99.06mm일 때, 베젤은 1.41 내지 2.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과 패드 영역을 구비하며 표시 영역 내부에 복수의 유기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패널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베젤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는 101.6mm 이상 177.8mm 미만이고, 베젤은 하기 조건을 만족한다.
t ≥ 0.00024×a
여기서, t는 베젤의 두께(mm)를 나타내고, a는 표시 영역의 면적(mm2)을 나타낸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101.6mm일 때, 베젤은 1.19 내지 3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127mm일 때, 베젤은 1.86 내지 4mm의 두께 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152.4mm일 때, 베젤은 2.67 내지 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표시 영역과 패드 영역을 구비하며 표시 영역 내부에 복수의 유기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와, 패널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베젤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는 177.8mm 이상이고, 베젤은 하기 조건을 만족한다.
t ≥ 0.00015×a
여기서, t는 베젤의 두께(mm)를 나타내고, a는 표시 영역의 면적(mm2)을 나타낸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177.8mm일 때, 베젤은 2.27 내지 5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203.2mm일 때, 베젤은 2.97 내지 6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베젤은 패널 어셈블리가 올려지는 바닥부와, 바닥부의 가장자리들 중 패드 영역에 대응하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측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패드 영역에 고정되며 베젤의 뒷면을 향해 접히는 연성 회로기판과, 연성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합성수지 소재의 베젤을 구비함에 따 라, 베젤의 충격 흡수 및 분산 효과를 높이고, 베젤의 무게 감소를 통해 패널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 자체를 감소시켜 기구적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베젤의 두께를 확대시킴에 따라, 표시 영역이 확대된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도 우수한 낙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표시 영역(A10)과 패드 영역(A20)을 구비하며 표시 영역(A10)에서 소정의 영상을 표시하는 패널 어셈블리(20)와, 패널 어셈블리(20)의 후방에서 패널 어셈블리(20)와 결합되는 베젤(40)과, 연성 회로기판(32)을 통해 패널 어셈블리(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36)을 포함한다.
패널 어셈블리(20)는 제1 기판(12)과, 제1 기판(12)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되며 실런트에 의해 가장자리가 제1 기판(12)에 고정되는 제2 기판(14)을 포함한다. 실런트 내측으로 제1 기판(12)과 제2 기판(14)이 중첩되는 영역에 실제 영상 표시가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A10)이 위치하고, 실런트 외측의 제1 기판(12) 위에 패드 영역(A20)이 위치한다.
제1 기판(12)의 표시 영역(A10)에는 부화소들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표시 영역(A10)과 실런트 사이 또는 실런트의 외측에 부화소들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캔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와 데이터 드라이버(도시하지 않음)가 위치한다. 제1 기판(12)의 패드 영역(A20)에는 스캔 드라이버와 데이터 드라이버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패드 전극들이 위치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패널 어셈블리의 부화소 회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패널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고하면, 패널 어셈블리(20)의 부화소는 유기발광 소자(L1)와 구동 회로부로 이루어진다. 유기발광 소자(L1)는 애노드 전극(16)과 유기 발광층(18) 및 캐소드 전극(22)을 포함하며, 구동 회로부는 적어도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와 적어도 하나의 저장 캐패시터(C1)를 포함한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기본적으로 스위칭 트랜지스터(T1)와 구동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T1)는 스캔 라인(SL1)과 데이터 라인(DL1)에 연결되고, 스캔 라인(SL1)에 입력되는 스위칭 전압에 따라 데이터 라인(DL1)에서 입력되는 데이터 전압을 구동 트랜지스터(T2)로 전송한다. 저장 캐패시터(C1)는 스위칭 트랜지스터(T1)와 전원 라인(VDD)에 연결되며, 스위칭 트랜지스터(T1)로부터 전송받은 전압과 전원 라인(VDD)에 공급되는 전압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압을 저장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2)는 전원 라인(VDD)과 저장 캐패시터(C1)에 연결되어 저장 캐패시터(C1)에 저장된 전압과 문턱 전압의 차이의 제곱에 비례하는 출력 전 류(IOLED)를 유기발광 소자(L1)로 공급하고, 유기발광 소자(L1)는 출력 전류(IOLED)에 의해 발광한다. 구동 트랜지스터(T2)는 소스 전극(24)과 드레인 전극(26) 및 게이트 전극(28)을 포함하며, 유기발광 소자(L1)의 애노드 전극(16)이 구동 트랜지스터(T2)의 드레인 전극(26)에 연결될 수 있다. 부화소의 구성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다시 도 1과 도 2를 참고하면, 제2 기판(14)이 실런트에 의해 제1 기판(1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접합되어 제1 기판(12)에 형성된 구동 회로부들과 유기발광 소자들을 외부로부터 밀봉시켜 보호한다. 제2 기판(14)이 패널 어셈블리(20)의 상부 기판이 될 수 있으며, 제2 기판(14)의 내면에 흡습재(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패널 어셈블리(20)의 패드 영역(A20)에는 칩 온 글라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집적회로 칩(30)이 실장되고,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방식으로 연성 회로기판(32)이 실장된다. 집적회로 칩(30)과 연성 회로기판(32)의 주위에는 보호막(34)이 형성되어 패드 영역(A20)에 형성된 패드 전극들을 덮어 보호한다.
인쇄회로기판(36)에는 구동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전자 소자들(도시하지 않음)이 실장되며, 외부 신호를 인쇄회로기판(36)으로 전송하기 위한 커넥터(38)가 설치된다. 패드 영역(A20)에 고정된 연성 회로기판(32)은 베젤(40)의 뒤쪽으로 접혀 인쇄회로기판(36)이 베젤(40)의 뒷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베젤(40)은 기본적으로 패널 어셈블리(20)가 올려지는 바닥부(42)와, 연성 회로기판(32)이 접히는 부분을 제외한 바닥부(42)의 가장자리로부터 패널 어셈블리(20)를 향해 연장되어 패널 어셈블리(20)의 측면과 접촉하는 측벽(44)을 포함한다. 베젤(40)의 바닥부(42)와 패널 어셈블리(20) 사이에는 양면 테이프(46)가 위치하여 패널 어셈블리(20)를 베젤(4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베젤(40)의 구조는 도시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변형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연성 회로기판(32)이 접히는 바닥부(42)의 가장자리에 강도 보강을 위한 플랜지 등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젤(40)은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는 특성이 우수한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며, 일례로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폴리머 계통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합성수지의 강도는 금속보다 약하지만 충격을 흡수 및 분산시키는 특성은 금속보다 우수하므로, 합성수지 소재의 베젤(40)이 패널 어셈블리(20)와 결합되어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를 구성하는 경우, 오히려 외부 충격으로부터 패널 어셈블리(20)의 깨짐을 억제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즉,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베젤(40)의 합성수지 소재에 의한 충격 흡수 및 분산 효과와 더불어 베젤(40)의 무게를 줄임으로써 패널 어셈블리(20)에 가해지는 충격 에너지 자체를 감소시키는 이중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패널 어셈블리(20)의 면적에 따라 베젤(40)의 두께를 변화시켜 패널 어셈블리(20)의 면적이 증가하여도 충격 강 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는 패널 어셈블리(20)의 표시 영역(A10)이 큰 면적을 가질수록 베젤(40)의 두께(t, 도 1 참고)를 증가시켜 베젤(40)의 기구적 강도를 높인다.
먼저, 표시 영역(A10)의 대각 길이(d, 도 1 참고)가 25.4mm(1인치) 이상 101.6mm(4인치) 미만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 있어서, 베젤(40)의 두께는 하기 조건을 만족한다.
t ≥ 0.0003×a
여기서, t(mm)는 베젤(40)의 두께를 나타내고, a(mm2)는 표시 영역(A10)의 면적을 나타낸다.
수학식 1을 통해 얻어지는 베젤(40)의 두께(t)는 내충격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베젤(40)의 최소 두께를 의미한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표시 영역(A10)의 대각 길이(d)가 25.4mm 이상 101.6mm 미만의 조건을 만족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를 내장한 낙하 지그를 1.5m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패널 어셈블리(20)의 파손 여부를 판별하는 낙하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도 5는 낙하 테스트에 사용된 낙하 지그의 개략도이다. 낙하 지그(50)는 나사로 체결되는 상부 케이스와 하부 케이스로 구성되며, 그 내부에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탑재한다. 낙하 지그(50)의 낙하 방향은 육면체 낙하 지그의 각 면에 대응하 는 6개의 화살표 방향(제1 내지 제6 방향)이고, 낙하 지그(50)를 각 방향에서 3번 떨어뜨려 패널 어셈블리의 파손 여부를 판별하였다.
하나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해서 총 18번(6개 방향×3번 실시)의 낙하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패널 어셈블리가 파손되지 않은 양호 판정을 1점으로, 패널 어셈블리가 파손된 불량 판정을 0점으로 계산하였다. 이러한 테스트를 10개의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해 반복 실시하였으며, 하기에 설명하는 표에서 평균 낙하 점수는 10개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 실시된 낙하 점수의 평균값을 나타낸다.
먼저,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d)가 45.72mm(1.8인치)이고, 표시 영역의 면적이 1003.35mm2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베젤의 두께(t)별 낙하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01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베젤은 제작 가능한 최소 성형 두께가 0.3mm이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d)가 45.72mm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서는 베젤이 0.3mm 이상의 두께(t)를 가지는 4개의 테스트 항목 모두에서 평균 낙하 점수가 18점으로서, 4개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 모두 우수한 충격 강도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d)가 55.88mm(2.2인치)이고, 표시 영역의 면적이 1498.83mm2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베젤의 두께(t)별 낙하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02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d)가 71.12mm(2.8인치)이고, 표시 영역의 면적이 2427.87mm2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베젤의 두께(t)별 낙하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03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d)가 76.2mm(3인치)이고, 표시 영역의 면적이 2787.1mm2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베젤의 두께(t)별 낙하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04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d)가 88.9mm(3.5인치)이고, 표시 영역의 면적이 3793.54mm2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베젤의 두께(t)별 낙하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05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d)가 99.06mm(3.9인치)이고, 표시 영역의 면적이 4710.18mm2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베젤의 두께(t)별 낙하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06
이와 같이 표시 영역(A10)의 대각 길이(d)가 25.4mm 이상 101.6mm 미만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서는 전술한 표 1 내지 표 6의 결과로부터 18점 이상의 우수한 낙하 강도를 나타내는 베젤(40)의 최소 두께가 전술한 수학식 1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베젤(40)의 두께가 커질수록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므로 슬림화에 불리해진다. 슬림 모바일 기기 제작을 위해 허용되는 베젤(40) 두께의 최대값은 하기 표와 같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07
전술한 수학식 1 및 표 7의 결과로부터 베젤(40)의 최적 두께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08
다음으로, 표시 영역(A10)의 대각 길이(d)가 101.6mm(4인치) 이상 177.8mm(7인치) 미만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 있어서, 베젤(40)의 두께는 하기 조건을 만족한다.
t ≥ 0.00024×a
여기서, t(mm)는 베젤(40)의 두께를 나타내고, a(mm2)는 표시 영역(A10)의 면적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표시 영역(A10)의 대각 길이(d)가 101.6mm 이상 177.8mm 미만의 조건을 만족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를 내장한 낙하 지그(50)를 1.2m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패널 어셈블리(20)의 파손 여부를 판별하는 낙하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낙하 높이를 제외한 낙하 테스트 방법과 평균 낙하 점수 계산은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먼저,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d)가 101.6mm(4인치)이고, 표시 영역의 면적이 4954.83mm2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베젤의 두께(t)별 낙하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09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d)가 127mm(5인치)이고, 표시 영역의 면적이 7741.92mm2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베젤의 두께(t)별 낙하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10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d)가 152.4mm(6인치)이고, 표시 영역의 면적이 11148.36mm2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베젤의 두께(t)별 낙하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11
이와 같이 표시 영역(A10)의 대각 길이(d)가 101.6mm 이상 177.8mm 미만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서는 전술한 표 8 내지 표 10의 결과로부터 18점 이상의 우수한 낙하 강도를 나타내는 베젤(50)의 최소 두께가 전술한 수학식 2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베젤(40)의 두께가 커질수록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므로 슬림화에 불리해진다. 피엠피(PMP; personal multimedia player) 제작을 위해 허용되는 베젤(40) 두께의 최대값은 하기 표와 같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12
전술한 수학식 2 및 표 12의 결과로부터 베젤(40)의 최적 두께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13
다음으로, 표시 영역(A10)의 대각 길이(d)가 177.8mm(7인치) 이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 있어서, 베젤(40)의 두께는 하기 조건을 만족한다.
t ≥ 0.00015×a
여기서, t(mm)는 베젤(40)의 두께를 나타내고, a(mm2)는 표시 영역(A10)의 면적을 나타낸다.
본 출원의 발명자는 표시 영역(A10)의 대각 길이(d)가 177.8mm 이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를 내장한 낙하 지그(50)를 75cm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켜 패널 어셈블리(20)의 파손 여부를 판별하는 낙하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낙하 높이를 제외한 낙하 테스트 방법과 평균 낙하 점수 계산은 전술한 방법과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먼저,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d)가 177.8mm(7인치)이고, 표시 영역의 면적이 15174.16mm2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베젤의 두께(t)별 낙하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14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d)가 203.2mm(8인치)이고, 표시 영역의 면적이 19819.32mm2인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대하여, 베젤의 두께(t)별 낙하 테스트 결과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15
이와 같이 표시 영역(A10)의 대각 길이(d)가 177.8mm 이상인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에서는 전술한 표 14 및 표 15의 결과로부터 18점 이상의 우수한 낙하 강도를 나타내는 베젤(40)의 최소 두께가 전술한 수학식 3의 조건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베젤(40)의 두께가 커질수록 유기발광 표시장치(100)의 전체 두께가 증가하므로 슬림화에 불리해진다. 걸어서 고정시키는 이른바 거치식 표시장치 제작을 위해 허용되는 베젤(40) 두께의 최대값은 하기 표와 같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16
전술한 수학식 3 및 표 16의 결과로부터 베젤(40)의 최적 두께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8002907279-pat00017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합성수지 소재의 베젤을 구비함과 아울러 표시 영역의 크기에 비례하여 베젤의 두께를 확대시킴에 따라, 표시 영역이 확대된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있어서도 작은 크기의 표시 영역을 갖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와 동일한 낙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결합 상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패널 어셈블리의 부화소 회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패널 어셈블리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낙하 테스트에 사용된 낙하 지그의 개략도이다.

Claims (16)

  1. 표시 영역과 패드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 영역 내부에 복수의 유기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베젤
    을 포함하며,
    상기 베젤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올려지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들 중 상기 패드 영역에 대응하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측벽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25.4mm 이상 101.6mm 미만이고,
    상기 베젤이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t ≥ 0.0003×a
    여기서, t는 상기 베젤의 두께(mm)를 나타내고, a는 상기 표시 영역의 면적(mm2)을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45.72mm이고, 상기 베젤의 두께가 0.3 내지 1mm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55.88mm이고, 상기 베젤의 두께가 0.45 내지 1.2mm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71.12mm이고, 상기 베젤의 두께가 0.73 내지 1.5mm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76.2mm이고, 상기 베젤의 두께가 0.84 내지 1.8mm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88.9mm이고, 상기 베젤의 두께가 1.14 내지 2mm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99.06mm이고, 상기 베젤의 두께가 1.41 내지 2.5mm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8. 표시 영역과 패드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 영역 내부에 복수의 유기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베젤
    을 포함하며,
    상기 베젤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올려지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들 중 상기 패드 영역에 대응하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측벽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101.6mm 이상 177.8mm 미만이고,
    상기 베젤이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t ≥ 0.00024×a
    여기서, t는 상기 베젤의 두께(mm)를 나타내고, a는 상기 표시 영역의 면적(mm2)을 나타낸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101.6mm이고, 상기 베젤의 두께가 1.19 내지 3mm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127mm이고, 상기 베젤의 두께가 1.86 내지 4mm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152.4mm이고, 상기 베젤의 두께가 2.67 내지 5mm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12. 표시 영역과 패드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표시 영역 내부에 복수의 유기발광 소자를 형성하는 패널 어셈블리; 및
    상기 패널 어셈블리와 결합되고, 합성수지 소재로 형성되는 베젤
    을 포함하며,
    상기 베젤이,
    상기 패널 어셈블리가 올려지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들 중 상기 패드 영역에 대응하는 가장자리를 제외한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측벽
    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177.8mm 이상이고,
    상기 베젤이 하기 조건을 만족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t ≥ 0.00015×a
    여기서, t는 상기 베젤의 두께(mm)를 나타내고, a는 상기 표시 영역의 면적(mm2)을 나타낸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177.8mm이고, 상기 베젤의 두께가 2.27 내지 5mm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영역의 대각 길이가 203.2mm이고, 상기 베젤의 두께가 2.97 내지 6mm인 유기발광 표시장치.
  15. 삭제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영역에 고정되며 상기 베젤의 뒷면을 향해 접히는 연성 회로기판; 및
    상기 연성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
    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080003940A 2008-01-14 2008-01-14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180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940A KR100918061B1 (ko) 2008-01-14 2008-01-14 유기발광 표시장치
JP2008137907A JP4547582B2 (ja) 2008-01-14 2008-05-27 有機発光表示装置
US12/318,858 US8502446B2 (en) 2008-01-14 2009-01-09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3940A KR100918061B1 (ko) 2008-01-14 2008-01-14 유기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8135A KR20090078135A (ko) 2009-07-17
KR100918061B1 true KR100918061B1 (ko) 2009-09-22

Family

ID=40931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3940A KR100918061B1 (ko) 2008-01-14 2008-01-14 유기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502446B2 (ko)
JP (1) JP4547582B2 (ko)
KR (1) KR1009180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59586B2 (ja) * 2010-04-07 2014-07-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有機elモジュール
WO2012146820A1 (en) * 2011-04-26 2012-11-01 Nokia Corporation Electronic apparatus with a display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3673A (ko) * 2004-09-10 2006-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KR100681604B1 (ko) 2004-06-25 2007-02-0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KR100769425B1 (ko) 2006-09-21 2007-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49135A (ja) * 1998-03-04 1999-09-17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モジュール
TW540553U (en) * 2000-12-04 2003-07-01 Chi Mei Optoelectronics Corp Structure reinforced exterior frame for planar display device
KR100768182B1 (ko) * 2001-10-26 2007-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자 발광 소자와 그 제조방법
JP2003217836A (ja) * 2002-01-28 2003-07-31 Mitsumi Electric Co Ltd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回路基板の取り付け方法
JP4017904B2 (ja) * 2002-04-04 2007-12-05 株式会社アドバンスト・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JP3967216B2 (ja) * 2002-07-08 2007-08-2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US7078854B2 (en) * 2002-07-30 2006-07-18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spacer with fixtures
JP2004259656A (ja) * 2003-02-27 2004-09-16 Seiko Epson Corp 表示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JP4357868B2 (ja) * 2003-04-25 2009-11-04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5121837A (ja) * 2003-10-15 2005-05-12 Citizen Watch Co Ltd 表示装置
JP2006133651A (ja) * 2004-11-09 2006-05-25 Funai Electric Co Ltd 液晶表示装置
JP2006157487A (ja) * 2004-11-30 2006-06-15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および携帯電話
JP4581726B2 (ja) * 2004-12-28 2010-11-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携帯機器
KR101119153B1 (ko) * 2005-02-07 2012-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장치
JP4677843B2 (ja) * 2005-07-22 2011-04-27 エプソンイメージングデバイス株式会社 表示装置
JP5276772B2 (ja) * 2005-09-22 2013-08-28 東北パイオニア株式会社 自発光ユニット
JP2007199106A (ja) * 2006-01-23 2007-08-09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平面表示装置
JP2007232802A (ja) * 2006-02-27 2007-09-13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JP2007287354A (ja) * 2006-04-12 2007-11-01 Hitachi Displays Ltd 有機el表示装置
US7816444B2 (en) * 2006-07-12 2010-10-19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Glossy colored injection molded article
US7786559B2 (en) * 2006-11-08 2010-08-31 Corning Incorporated Bezel packaging of frit-sealed OLED devices
KR100918053B1 (ko) * 2007-12-27 2009-09-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발광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604B1 (ko) 2004-06-25 2007-02-09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KR20060023673A (ko) * 2004-09-10 2006-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 표시장치
KR100769425B1 (ko) 2006-09-21 2007-10-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47582B2 (ja) 2010-09-22
KR20090078135A (ko) 2009-07-17
US8502446B2 (en) 2013-08-06
JP2009170396A (ja) 2009-07-30
US20090195485A1 (en) 200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61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091805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2235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22358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10096525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090076565A (ko) 표시 장치
KR10205341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89129B1 (ko) 표시 장치
KR100918061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22360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18063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1805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0362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120079677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918057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18056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100009912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22359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13185B1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090128145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0918051B1 (ko) 표시 장치
KR20090077227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