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367B1 - 타월 - Google Patents

타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367B1
KR100916367B1 KR1020070077935A KR20070077935A KR100916367B1 KR 100916367 B1 KR100916367 B1 KR 100916367B1 KR 1020070077935 A KR1020070077935 A KR 1020070077935A KR 20070077935 A KR20070077935 A KR 20070077935A KR 100916367 B1 KR100916367 B1 KR 100916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uch
towel
band
towel body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7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3849A (ko
Inventor
손대업
Original Assignee
손대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대업 filed Critical 손대업
Priority to KR1020070077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367B1/ko
Priority to TW097128932A priority patent/TWI350155B/zh
Publication of KR20090013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3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A47K10/025Holders; Box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45F5/02Fastening articles to the garment
    • A45F5/04Holding handkerchiefs, napkin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월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타월은 일측에 형성된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내부에 수용 보관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되는 타월체를 구비하는 타월에 있어서, 상기 타월체는 끝단부에 길이재의 연결밴드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파우치는 입구와 반대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밴드의 끝단부와 파우치의 외면 일측에는 상호 선택적으로 탈부착되게 하는 접합파트가 부가 구성된다.
본 발명은 간소한 조작만으로 파우치와 타월체를 손쉽게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세탁시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월체가 낡은 경우에는 손쉽게 새로운 타월체로 교환 가능하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타월, 파우치, 레저, 수납, 보관

Description

타월{Towel}
본 발명은 휴대성과 보관성을 양호하게 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타월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우치와 타월체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여 세탁성을 양호하게 하면서 사용범위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타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월이라 함은, 얼굴이나 몸에 묻은 수분이나 땀 또는 각종 이물질을 닦는 데 쓰는 무명실로 보풀 보풀하게 짠 면포제품으로 수건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타월은 그 내부 또는 표면에 언컨 파일(uncut pile)이 있으므로 흡수성과 통풍성이 좋고, 그 용도에 따라 목욕할 때 쓰는 규격이 큰 목욕 타월, 보통크기의 세면 타월, 주머니에 넣고 다니는 타월 행커치프, 운동 또는 작업 도중에 땀따기용 타월 등이 있다. 타월용으로 짠 피륙을 타월천이라 하는데, 습기를 잘 흡수하기 때문에 여름 이불로 쓰는 홑 이불이나 파자마를 만드는 데도 쓰인다.
각종 토목 및 건축 공사장, 제조공장 등에서 작업하는 도중에 또는 등산, 운동 등을 하는 도중에 사람의 얼굴이나 신체에 땀이 발생하거나 각종 이물질 등이 묻게 되고, 이러한 땀과 같은 수분이나 이물질이 눈이나 신체 일부에 묻어 있게 되면 각종 작업 또는 운동 등에 집중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각종 수분 또는 이물질을 닦아 주는 타월을 항상 휴대하기 마련이다.
하지만, 종래의 타월은 바지의 주머니에 일부 끼워지거나 목 주위에 감싸 휴대되는 방식이 일반적이다.
이에 따라, 타월의 휴대가 간편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쉽게 이탈될 수 있고, 또한 원활하게 타월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타월은 그 휴대 및 보관이 매우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타월은 얼굴 또는 신체 일부분에 묻은 수분 등을 닦아 낸 후 내부에 흡수된 수분이 쉽게 증발되지 않아 타월의 연속적인 사용시에는 땀 냄새 또는 수분 등에 의해 그 사용상의 번거러움이 뒤따르는 단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6-74461호를 통해 개선된 ′타월′을 출원한 바 있다.
도 1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타월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일측에 입구가 형성되고 그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일측 외면으로는 메쉬망으로 구비되는 파우치 형태의 파우치(110)와, 상기 파우치(110)의 일측에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부(130)와, 상기 파우치(110)의 일측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파우치(110)내에 수납되는 타월체(150)와, 상기 파우치(110)의 입구를 커버부(130)가 차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벨크로 테잎으로 제공되는 부착수단(170)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타월(100)은 상기 파우치(110)내에 타월체(150)를 수용시킨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꺼내어 사용할 수 있으므로 야외 활동시 활동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간편하게 휴대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타월(100)은 상기 파우치(110)와 타월체(150)가 박음질로 고정되어 있어 분리가 불가능하여, 결과적으로 세탁이 불편함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수명이 짧은 타월체(150)의 교환이 불가능하여 부득이 파우치(110)와 함께 폐기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상기 타월(100)은 상기 타월체(150)의 일측 끝단이 파우치(110)의 내부 일측에 박음질로 고정되는 것에 의해 세탁시 파우치(110)를 뒤집은 상태로 세탁을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에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타월체(150)는 그 사용 환경으로 인해 수명이 짧은데 반해 외체인 상기 파우치(110)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장수명이므로 상기 타월체(150)가 낡은 경우에도 손상이 없는 파우치(110)와 함께 폐기해야 하는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또한, 상기 종래의 타월(100)은 사용자가 등산이나 야외 활동시 상기 파우치(110)를 가방이나 옷 등에 연결한 경우에는 상기 타월체(150)를 외부로 꺼내었을 때 그 사용범위가 제한적이어서 상기 파우치(110)를 가방이나 옷 등에서 분리하여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파우치와 마이크로 화이버와 같은 기능성 원단으로 된 타월체를 서로 분리 가능하게 하여 세탁을 용이하게 하고, 타월체의 사용범위를 제한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한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면서 제품의 디자인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타월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월은, 일측에 형성된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내부에 수용 보관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되는 타월체를 구비하는 타월에 있어서, 상기 타월체는 끝단부에 길이재의 연결밴드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파우치는 입구와 반대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밴드의 끝단부와 파우치의 외면 일측에는 상호 선택적으로 탈부착되게 하는 접합파트가 부가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접합파트는 벨크로 테이프인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월은 일측에 형성된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내부에 수용 보관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되는 타월체를 구비하는 타월에 있어서, 상기 타월체는 끝단부에 길이재의 연결밴드가 일체로 연결 구비되고, 상기 파우치는 입구와 반대되는 위치에 내·외부로 양단이 돌출되는 버클밴드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밴드와 버클밴드는 서로 탄성 끼워 맞춤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부가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체결수단은 한쌍의 탄성편을 구비하는 삽입체와, 상기 삽입체의 탄성편이 탄력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조립홈을 형성한 수용체로 구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특징으로서, 상기 버클밴드는 상기 파우치의 외부에 노출되는 일단이 고리 형상의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월은, 일측에 형성된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내부에 수용 보관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되는 타월체를 구비하는 타월에 있어서, 상기 타월체는 끝단부에 길이재의 연결밴드가 일체로 연결 구비되고, 상기 파우치는 입구와 반대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밴드의 끝단부와 파우치의 외면 일측에는 서로 탄성 끼워 맞춤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부가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으로서, 상기 체결수단은 일단이 상기 관통구멍을 삽입 통과하는 연장밴드와, 상기 연장밴드의 양끝단과 상기 연결밴드의 끝단부 및 파우치의 외면 일측에 각각 접합 구비되는 것으로 탄성변위를 갖는 탄성편을 구비한 삽입체 및 상기 삽입체의 탄성편이 탄력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조립홈을 형성한 수용체로 이루어진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월은 간소한 조작만으로 파우치와 타월체를 손쉽게 분리하거나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세탁시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타월체가 낡은 경우에는 손쉽게 새로운 타월체로 교환 가능하므로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파우치가 가방이나 옷 등에 연결고리 등을 통해 고정되어 있는 경우, 상기 파우치를 가방이나 옷 등에서 분리시키지 않고 타월체만을 분리 사용 가능하므로 종전의 타월이 갖는 사용범위가 제한적인데서 오는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아울러, 상기 파우치와 타월체의 연결구조에 따른 제품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이를 통한 제품의 경쟁력 확보를 기대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타월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월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절개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타월(1)은 크게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주머니 형태를 갖는 파우치(10)와, 상기 파우치(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되는 타월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파우치(10)는 내부에 소정 크기의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그 일측으로는 후술할 타월체(20)를 집어넣거나 또는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구(미부호)가 형성된다.
이러한 파우치(10)는 두 장의 서로 다른 천을 박음질 하여 일체로 구성한 것으로서,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쪽 면은 합성원사나 천연원사 또는 이들을 혼합한 원사로 된 천으로 차폐면(11)을 형성하고, 다른쪽 면은 내부에 수납된 타월 체(20)에 대한 통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등 간격으로 통기구멍이 형성된 메쉬망으로 된 통풍면(13)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통풍면(13)은 상기 파우치(10)의 입구를 가릴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갖는 커버부(130)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차폐면(11)과 커버부(15)에는 각각 벨크로로 된 부착파트(15b,15a)가 구비되는 것에 의해 상기 커버부(15)를 상기 차폐면(11)측으로 접은 상태에서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입구를 차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차폐면(11)과 커버부(15)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벨크로로 된 부착파트(15b,15a)외에도 공지의 스냅 파스너(snap fastner) 나 각종 단추 또는 끈 등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타월체(20)는 상기 파우치(10)의 내부에 보관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외부로 인출시켜 사용하는 것으로서, 땀이나 물기의 흡수 및 증발과 이물질의 제거가 원활한 천으로 만들어지며, 바람직하게는 면이나 기능성 원단인 마이크로 화이버로 제조되는 것이다. 이러한 타월체(20)는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파우치(10)의 내부에 접혀져 보관되며 상기 파우치(10)의 커버부(15)에 의해 입구가 차폐되는 것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타월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파우치(10)와 타월체(20)를 상호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하는 것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타월(1)을 구성한 파우치(10)와 타월체(20)에 다음과 같은 구성을 부가하는 것에 의해 이들 파우치(10)와 타월체(20)가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파우치(10)는 상기 타월체(20)를 외부로 꺼내거나 또는 그 내부의 수용공간으로 집어넣기 위한 입구와 반대되는 위치에 관통구멍(h)이 형성된다. 이때의 상기 관통구멍(h)은 상기 입구에 비하여 작은 크기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파우치(10)는 상기 관통구멍(h)에 인접하는 차폐면(11)의 일측으로 접합파트(16)가 구성되며, 이때의 접합파트(16)는 벨크로 천을 박음질 하여 구비된다.
상기 타월체(20)는 사각형 또는 장방형상을 갖는 천으로서, 일측 모서리에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결밴드(25)가 일체로 연결된다. 이때의 연결밴드(25)는 그 끝단부에 상기 차폐면(11)의 접합파트(16)와 선택적으로 탈부착되는 접합파트(26)가 일체로 구성되며, 이때의 상기 접합파트(26)는 벨크로 천을 박음질 하여 구비된다.
이러한 타월체(20)는 상기 연결밴드(25)를 상기 파우치(10)의 관통구멍(h)으로 삽입 통과시키고 그 외면 즉, 차폐면(11)에 제공되는 접합파트(16)에 접합파트(26)를 부착시키는 것에 의해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이때의 상기 연결밴 드(25)는 그 일단이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리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에 의해 이 부분에 연결고리 등을 연결 사용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파우치(10)의 차폐면(11)에 구비되는 접합파트(16)와 상기 타월체(20)의 연결밴드(25)에 구비되는 접합파트(26)는 벨크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외에도 스냅 파스너나 끈 등에 의해 상호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월의 사용예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파우치(10)의 내부에 타월체(20)가 수용된 상태에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파우치(10)의 입구를 차폐하고 있는 커버부(15)를 차폐면(11)으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펼쳐 입구를 개방한다. 이어서 상기 파우치(10)의 내부에 수용된 타월체(20)를 외부로 잡아당기면 넓게 펼쳐지게 되어 땀이나 또는 물기 등을 닦아낼 수 있게 된다.
상기 타월체(20)의 사용이 끝난 뒤 상기 파우치(10)의 내부에 보관하는 경우에는, 상기 파우치(10)의 입구를 통해 타월체(20)를 접어서 밀어 넣은 뒤 상기 커버부(15)를 차폐면(11)의 앞쪽으로 접어 각각의 부착파트(15b,15a)를 이용하여 상호 부착시킨다.
한편, 상기 타월(1)은 파우치(10)에 형성된 관통구멍(h)을 통해 타월체(20)에 연결된 연결밴드(25)가 삽입 통과하고, 상기 차폐면(11)과 연결밴드(25)에 구비된 각각의 접합파트(16)와 접합파트(26)가 탈부착되는 것에 의해 상기 파우치(10)로부터 타월체(20)를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파우치(10)와 타월체(20)를 상호 선택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음에 따라 타월체(20)에 대한 세탁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타월체(20)가 낡은 경우에는 새로운 타월체(20)로의 교환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타월체(20)를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함에 따라 상기 파우치(10)가 가방이나 옷 등에 고정된 경우에도 그 사용범위에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보장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월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타월(1)은 크게 내부에 수용공간을 제공하는 주머니 형태를 갖는 파우치(10)와, 상기 파우치(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되는 타월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일 실시예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파우치(10)와 타월체(20)를 상호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함에 있어 벨크로를 이용하지 않고 견고한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는 체결수단으로 연결되는 것을 제안한다.
즉, 상기 파우치(10)는 상기 타월체(20)를 외부로 꺼내거나 또는 그 내부의 수용공간을 접어 넣는 입구와 반대되는 위치에 내·외부로 양단이 돌출되는 버클밴드(17)가 박음질에 의하여 일체로 구비된다. 이때의 상기 버클밴드(17)는 소정의 폭을 갖는 천이 사용되며, 상기 파우치(10)의 외부에 노출되는 일단이 고리 형상을 갖도록 고리부(18)가 형성된다. 이러한 고리부(18)에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고리(c) 등이 연결되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타월체(20)는 일측 모서리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결밴드(25)가 일체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파우치(10)의 버클밴드(17)와 타월체(20)의 연결밴드(25)에는 상호 탄력적인 결합 및 해제를 위한 체결수단이 구비되며, 이때의 상기 체결수단은 공지의 기술에 의해 실시되는 것으로 한쌍의 탄성편을 구비하는 삽입체 및 상기 삽입체의 탄성편이 탄력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조립홈을 형성한 수용체로 이루어진 버클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면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파우치(10)의 내부에 위치되는 버클밴드(17)의 일단에 수용체(19)를 연결하였고, 상기 타월체(20)의 연결밴드(25)의 끝단에 삽입체(29)를 연결한 구성을 제안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수용체(19)와 삽입체(29)의 위치가 서로 바뀌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월은 상기 파우치(10)에 일체로 구비되는 수용체(19)와 상기 타월체(20)에 일체로 구비되는 삽입체(29)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므로 전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타월체(20)에 대한 세탁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상기 타월체(20)가 낡 은 경우에는 새로운 타월체(20)로의 교환이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타월체(20)를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함에 따라 상기 파우치(10)가 가방이나 옷 등에 고정된 경우에도 그 사용범위에 제약을 받지 않으므로 사용상의 편의성이 보장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월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로서,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의 타월(1)은 크게 내부에 수용 공간을 제공하는 주머니 형태를 갖는 파우치(10)와, 상기 파우치(10)의 내부에 수용되어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 사용되는 타월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파우치(10)와 타월체(20)를 상호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구성하는 체결수단을 구성함에 있어 상기 파우치(10)에 제공되는 입구와 반대되는 위치에 관통구멍(미부호)을 형성하고, 이 관통구멍에 소정의 길이를 갖는 연장밴드(17a)의 일단이 삽입 통과되게 배치하며, 이때의 상기 연장밴드(17a)는 그 일측 끝단이 각각 타월체(20)의 연결밴드(25)에 구비된 삽입체(29)와 끼움 결합될 수 있게 수용체(19a)가 연결되고, 타측 끝단은 상기 파우치(10)의 외면 일측에 연결 고정된 수용체(19b)와 탄력적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게 삽입체(29a)가 연결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연장밴드(17a)가 상기 파우치(10)에 마련된 관통구멍을 통과 배치되는 구성에 의해 고리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 부분에 연결고리 등을 연결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월(1)은 연장밴드(17a)를 부가 구성함에 따라 그 양단에 마련된 삽입체(29a)와 수용체(19a)를 각각 파우치(10)의 외면에 제공되는 수용체(19b) 및 타월체(20)에 제공되는 삽입체(29)와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 일체로 구비되며,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사용되어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타월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월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월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월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월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타월 10 : 파우치
11 : 차폐면 13 : 통풍면
16 : 접합파트 20 : 타월체
25 : 연결밴드 26 : 접합파트
15a, 15b : 부착파트 c : 연결고리

Claims (7)

  1. 일측에 형성된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내부에 수용 보관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되는 타월체를 구비하는 타월에 있어서,
    상기 타월체는 끝단부에 길이재의 연결밴드가 일체로 연결되고, 상기 파우치는 입구와 반대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밴드의 끝단부와 파우치의 외면 일측에는 상호 선택적으로 탈부착되게 하는 접합파트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월.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파트는 벨크로 테이프 또는 스냅 파스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월.
  3. 일측에 형성된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내부에 수용 보관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되는 타월체를 구비하는 타월에 있어서,
    상기 타월체는 끝단부에 길이재의 연결밴드가 일체로 연결 구비되고, 상기 파우치는 입구와 반대되는 위치에 내·외부로 양단이 돌출되는 버클밴드가 구비되 며, 상기 연결밴드와 버클밴드는 서로 탄성 끼워 맞춤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월.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한쌍의 탄성편을 구비하는 삽입체 및 상기 삽입체의 탄성편이 탄력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조립홈을 형성한 수용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월.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버클밴드는 상기 파우치의 외부에 노출되는 일단이 고리 형상의 고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월.
  6. 일측에 형성된 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커버부를 일체로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내부에 수용 보관된 상태에서 선택적으로 외부로 인출되어 사용되는 타월체를 구비하는 타월에 있어서,
    상기 타월체의 끝단부에 일체로 연결 구비되는 길이재의 연결밴드와,
    상기 파우치의 입구와 반대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구멍과,
    상기 관통구멍으로 일단이 삽입 통과되게 배치되는 것으로 그 양끝단이 각각 연결밴드와 파우치의 외면에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연장밴드와,
    상기 연장밴드의 양 끝단부 및 연결밴드의 끝단부 그리고 파우치의 외면 일측에 각각 구비되어 탄성 끼워 맞춤에 의해 선택적으로 분리 결합되는 체결수단이 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월.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파우치에 형성된 관통구멍 및 일단이 상기 관통구멍을 삽입 통과하는 연장밴드와, 상기 연장밴드의 양끝단과 상기 연결밴드의 끝단부 및 파우치의 외면 일측에 각각 접합 구비되는 것으로 탄성변위를 갖는 탄성편을 구비한 삽입체 및 상기 삽입체의 탄성편이 탄력적으로 끼워 맞춤되는 조립홈을 형성한 수용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월.
KR1020070077935A 2007-08-03 2007-08-03 타월 KR100916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935A KR100916367B1 (ko) 2007-08-03 2007-08-03 타월
TW097128932A TWI350155B (en) 2007-08-03 2008-07-31 Tow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77935A KR100916367B1 (ko) 2007-08-03 2007-08-03 타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3849A KR20090013849A (ko) 2009-02-06
KR100916367B1 true KR100916367B1 (ko) 2009-09-07

Family

ID=40684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7935A KR100916367B1 (ko) 2007-08-03 2007-08-03 타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16367B1 (ko)
TW (1) TWI350155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935B1 (ko) 2011-07-26 2013-07-24 손대업 타월
KR101290109B1 (ko) 2012-02-15 2013-07-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손수건용 파우치
WO2013118976A1 (ko) 2012-02-08 2013-08-15 Sohn Dae Up 타월
KR20200127069A (ko) 2019-04-30 2020-11-10 주식회사 나스켐 타월을 구비한 가방
KR200492632Y1 (ko) 2019-09-24 2020-11-16 정은정 타월을 포함한 파우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654B1 (ko) * 2013-06-19 2014-10-07 손대업 타월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234Y1 (ko) 2001-07-04 2001-11-17 김덕수 레저용 수건
US20050071920A1 (en) 2003-10-07 2005-04-07 Randy Higashi Convertible sheet material and bag
US7017206B1 (en) 2004-08-30 2006-03-28 Nadia Kedineoglu Bag and towel combina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234Y1 (ko) 2001-07-04 2001-11-17 김덕수 레저용 수건
US20050071920A1 (en) 2003-10-07 2005-04-07 Randy Higashi Convertible sheet material and bag
US7017206B1 (en) 2004-08-30 2006-03-28 Nadia Kedineoglu Bag and towel combinatio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8935B1 (ko) 2011-07-26 2013-07-24 손대업 타월
WO2013118976A1 (ko) 2012-02-08 2013-08-15 Sohn Dae Up 타월
KR101290109B1 (ko) 2012-02-15 2013-07-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손수건용 파우치
KR20200127069A (ko) 2019-04-30 2020-11-10 주식회사 나스켐 타월을 구비한 가방
KR200492632Y1 (ko) 2019-09-24 2020-11-16 정은정 타월을 포함한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32176A (en) 2009-08-01
KR20090013849A (ko) 2009-02-06
TWI350155B (en)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82257B2 (en) Towel
KR100916367B1 (ko) 타월
CA2690810A1 (en) Convertible garments
KR200442771Y1 (ko) 다용도 손수건
KR101288935B1 (ko) 타월
JP3140060U (ja) 雨用ズボン
JP2006214025A (ja) 多用途アフガン
JP3225811U (ja) 衣服
JP5981597B1 (ja) 携帯用小物入れ
JP4863776B2 (ja) レインパンツ付きズボン
KR102477882B1 (ko) 다용도 손수건
KR101596428B1 (ko) 낚시용 타월
JP3185320U (ja) 靴下の着脱可能な靴下付き幼児服
CN214340739U (zh) 一种便于更换部件的婴儿床背包
CN209789768U (zh) 一种婴儿裤套拖布
JP6510721B1 (ja) ランドセル用サブバッグ
JP3052015U (ja) 胸当て付きの水作業用オーバーズボン
JP2006097219A (ja) 多機能カバー
JP3880784B2 (ja) 上衣
JP5462324B2 (ja) 着物用の保護袴
JP2004016621A (ja) ザックカバー
JPH0216966Y2 (ko)
JP3029139U (ja) エプロン
JP2007330759A (ja) ゴルフボールクリーナ
JP2007262593A (ja) 乳児用衣服及び背中汗取りパッ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