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0109B1 - 손수건용 파우치 - Google Patents

손수건용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0109B1
KR101290109B1 KR1020120015271A KR20120015271A KR101290109B1 KR 101290109 B1 KR101290109 B1 KR 101290109B1 KR 1020120015271 A KR1020120015271 A KR 1020120015271A KR 20120015271 A KR20120015271 A KR 20120015271A KR 101290109 B1 KR101290109 B1 KR 1012901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kerchief
cover
pouch
outside
ex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5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수경
송현훈
Original Assignee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15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01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01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01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3/00Flexible luggage; Handbags
    • A45C3/06Ladies' handba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10Arrangement of fasteners
    • A45C13/1038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 A45C13/1046Arrangement of fasteners of flexible ties of strings or cor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0Straps; Ban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7Receptacles for personal medical or care products, e.g. drugs, condoms or patches; Small first-aid kits

Landscapes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수건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사각형상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손수건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일측에 통과공이 형성된 커버고정부와, 상기 바닥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바닥부의 일면 일측 중 상기 커버고정부와 대향하는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손수건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커버고정부와 대응되는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손수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커버부 및 일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커버고정부의 통과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고리형상의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용 파우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손수건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수용공간에 수용된 손수건이 커버부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손수건에 묻은 땀 또는 체액이 외부로 노출되어 타인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손수건에 묻은 땀 또는 체액이 사용자의 옷에 묻어 손수건에 의해 사용자의 옷이 더러워지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손수건 외에도 화장용품과 같은 여성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손수건용 파우치{Pouch for handkerchief}
본 발명은 손수건용 파우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수건에 묻은 땀 또는 체액이 외부로 노출되어 타인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손수건에 묻은 땀 또는 체액이 사용자의 옷에 묻어 손수건에 의해 사용자의 옷이 더러워지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손수건 외에도 화장용품과 같은 여성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손수건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손수건은 흡수율(땀이나 기타 수분 등)이 좋은 얇은 천을 이용해 대략 사각형상으로 제조되며, 휴대하고 다니면서 운동시 자신의 얼굴등에 흐르는 땀이나 세면시 피부에 잔존하는 수분등을 닦는 용도로 사용될 뿐 아니라 유아의 경우에는 음식물을 먹을 때 입 주위에 흐르는 음식물 또는 침과 같은 체액을 닦는 용도 또는 목등에 걸어 턱받침대로 사용하는 등 생활에 다양한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사용하여 땀 또는 체액이 묻은 손수건을 휴대하기 위해 사용자의 호주머니 내에 소지하는 경우 손수건에 묻어있는 땀 또는 체액이 손수건이 수용된 옷에 묻으면서 손수건이 수용된 옷이 더러워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땀 또는 체액이 묻은 손수건이 타인에게 노출되는 경우 미감상 좋지않은 이미지를 풍기면서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는 문제점 또한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손수건에 묻은 땀 또는 체액이 외부로 노출되어 타인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손수건에 묻은 땀 또는 체액이 사용자의 옷에 묻어 손수건에 의해 사용자의 옷이 더러워지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손수건 외에도 화장용품과 같은 여성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손수건용 파우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손수건이 수용되는 직물재질의 손수건용 파우치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손수건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일측에 통과공이 형성된 커버고정부와, 상기 바닥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바닥부의 일면 일측 중 상기 커버고정부와 대향하는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손수건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커버고정부와 대응되는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손수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커버부 및 일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커버고정부의 통과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고리형상의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용 파우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과 상기 바닥부에 부착된 상기 커버부의 일측을 관통하여 일단부가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끈부재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끈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손수건의 일측을 파지하는 집게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일측과 상기 바닥부에 부착된 일측 중 상기 끈부재가 관통하는 일측에 각각 제1 삽입공 및 제2 삽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커버부의 일측이 상기 커버고정부의 통과공에 삽입된 경우 상기 끈부재의 일측이 관통된 상기 커버부의 상면 일측과 대응되는 끈부재 일측에 결합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와, 상기 커버고정부 및 상기 커버부는 외부로 노출되면 일측에 문양 또는 문자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커버고정부의 통과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 일측에 경질의 파지블럭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손수건을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제공함과 아울러 수용공간에 수용된 손수건이 커버부에 의해 차폐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손수건에 묻은 땀 또는 체액이 외부로 노출되어 타인이 불쾌감을 느끼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손수건에 묻은 땀 또는 체액이 사용자의 옷에 묻어 손수건에 의해 사용자의 옷이 더러워지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손수건 외에도 화장용품과 같은 여성용품을 수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의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에 손수건이 수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가 가방에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의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의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부가 손수건을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가 수용공간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의 단면도이다.
도1 및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1)는 바닥부(10)와, 커버고정부(20)와, 커버부(30) 및 고리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바닥부(10)는 대략 정사각형 형상의 천재질로 형성되고, 파우치의 전체형상을 이루며, 후술하는 커버고정부(20)가 결합되면서 손수건(H)의 수용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커버고정부(20)는 대략 사다리꼴형상의 천재질로 형성되고, 바닥부(10)의 일면 일측에 부착되되, 후술하는 커버부와 대향하는 일측이 개방되어 바닥부(10)와 커버고정부(20) 사이에 손수건(H)이 수납되는 수용공간(S)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커버고정부(20)는 바닥부(10)의 일측 중 도면에 도시된 a,b,c,d점에 각 꼭지점이 위치하도록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이 커버고정부(20)를 각 꼭지점이 a,b,c,d점에 위치하도록 바닥부(10)에 부착하는 이유는 후술하는 커버부(30) 중 커버고정부(20)와 대응되는 일측이 수용공간(S)에 삽입되어 수용공간(S)에 수용되는 손수건(H)을 차폐하게 되는데, 커버고정부(20)와 대응되는 일측이 커버부(30) 중 어느 하나의 꼭지점 부근영역이 되도록 함으로써 커버부(30)의 일측을 수용공간(S)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커버고정부(20)는 부착된 바닥부(10)의 영역 중 꼭지점(b,c)과 대응되는 일측에 후술하는 고리부재(40)가 통과하는 통과공(21)이 형성된다.
커버부(30)는 바닥부(10)와 대응되는 형상의 천재질로 형성되고, 일측이 바닥부(10)의 일면 일측 중 커버고정부(20)와 대향하는 위치에 부착되어 고정되며, 바닥부(10)에 부착된 일측과 대향하는 일측(P)은 자유유동되어 수용공간(S)에 손수건(H)이 수용되는 경우 자유유동되는 일측(P)이 수용공간(S)에 삽입되면서 수용공간(S)에 수용된 손수건(H)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손수건(H)이 수용공간(S)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바닥부(10)를 준비하는 경우 커버부(30)의 형상을 고려하여 바닥부(10)를 제단함으로써 바닥부(10)와 커버부(3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1) 중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의 일면에는 일정형상의 무늬가 형성되어 보는 이로 하여금 미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리부재(40)는 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수용공간(S)에 삽입되는 커버부(30)의 일측(P)에 결합되어 커버부(30)가 수용공간(S)에 삽입되는 경우 커버고정부(20)의 통과공(21)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이를 파지하여 당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버부(30)의 일측이 수용공간(S)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가방과 같은 휴대물품이나 사용자의 허리등에 걸 수 있도록 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고리부재(40)는 통과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에 경질의 파지블럭(41)이 결합된다.
이러한 파지블럭(41)은 커버부(20)가 수용공간(S)에 삽입됨에 따라 고리부재(40)가 수용공간(S) 동반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가 수용공간(S)에 위치한 고리부재(40)의 단부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고리부재(40)의 파지영역을 제공함으로써 고리부재(40)가 통과공을 통해 외부로 용이하게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에 손수건이 수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가 가방에 결속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1)의 동작을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손수건(H)을 사용한 후 이를 휴대하고자 하는 경우 바닥부(10)와 커버부(30) 사이에 사용한 손수건(H)을 삽입한 상태에서 손수건(H)의 일측을 커버고정부의 수용공간(S)에 삽입한다.
다음, 도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유유동되는 커버부(30)의 일측(P)을 수용공간(S)에 삽입하되, 수용공간(S)에 수용된 손수건(H)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수용공간(S)에 삽입함으로써 수용공간(S)에 삽입되는 커버부(30)의 일측에 의해 손수건(H)이 차폐되도록 한다.
이때, 고리부재(40)는 커버부(30)의 일측이 수용공간(S)에 수용됨에 따라 수용공간(S)내에 동반 삽입되는데, 사용자는 수용공간(S)내에 위치한 파지블럭(41)을 밀거나 당기면서 파지블럭(41)이 통과공(21)을 통과하도록 하여 고리부재(40)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외부로 노출된 고리부재(40)를 당기면서 커버부(30)의 일측이 수용공간(S)에 보다 삽입되도록 하여 커버부(30)의 일측이 수용공간(S)에 보다 깊숙히 삽입되도록 하여 커버부(30)의 일측이 수용공간(S)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1)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경우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휴대성을 높이기 위해 가방과 같은 사용자의 휴대물품(B) 일측에 결속한 후 휴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수용공간에 손수건(H)이 수납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화장용품등과 같은 여성용품을 수납하여 휴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따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의 사시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의 단면도이다.
도5 내지 도6 실시예의 기본적인 구성은 도1 내지 도4의 실시예와 동일하나 손수건을 커버부(30)와 바닥부(10)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것이다.
도5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 실시예와 달리 커버부(30)의 일측에 제1 및 제2 삽입공(31,32)이 형성되고, 고리부재(40)는 끈부재(42)와, 집게부(43)와, 스토퍼(44) 및 파지블럭(4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커버부(30)는 자유유동되는 커버부의 단부 일측(P)에 제1 삽입공(31)이 형성되고, 바닥부(10) 일측에 고정된 일측 중 자유유동되는 커버부의 단부(P)와 대향되는 단부 일측에 제2 삽입공(3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끈부재(42)는 일단부가 커버부(30)의 저면으로부터 제1 삽입공(31)에 삽입되어 커버부(30)의 상면 일측을 통과한 후 커버부(30)의 상부로부터 제2 삽입공(32)으로 삽입되어 커버부(30)와 바닥부(10) 사이에 위치하도록 커버부(30)에 결합되며, 후술하는 집게부(43)에 손수건이 파지된 상태에서 커버부(30)가 수용공간(S)방향으로 젖혀지는 경우 집게부(43)가 바닥부(10)에 결합된 커버부(30)의 일측과 바닥부(10)의 사이공간(도6에 도시된 A영역)으로 끌려오도록 함으로써 손수건 또한 바닥부(10)에 결합된 커버부(30)의 일측과 바닥부(10)의 사이공간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집게부(43)는 커버부(30)와 바닥부(10) 사이에 위치하는 끈부재(42)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손수건을 커버부(30)와 바닥부(10) 사이에 삽입하고자 하는 경우 손수건의 일측을 파지하여 커버부(30)가 수용공간(S)에 삽입되는 동작에 따라 끈부재(42)에 의해 바닥부(10)에 결합된 커버부(30)와 바닥부(10)의 사이공간(도6에 도시된 A영역)으로 끌려오도록 함으로써 손수건이 바닥부(10)에 결합된 커버부(30)와 바닥부(10)의 사이공간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아울러, 상기한 집게부(43)는 파지기능을 갖는 일반적인 집게도구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나, 소형화를 위해 되도록 작은 부피의 집게도구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토퍼(44)는 커버부(30)의 일측이 커버고정부(20)의 통과공(21)에 삽입된 경우 끈부재(42)의 일측 중 커버부(30)의 제1 삽입공(31)과 대응되는 일측에 결합되고, 자유유동되는 커버부의 일측(P)이 젖혀진 상태에서 사용자가 후술하는 파지블럭(41)을 당기는 경우 커버부(30)의 상면 일측에 지지되면서 자유유동되는 커버부의 일측(P)이 수용공간(S)방향으로 젖혀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스토퍼(44)는 끈부재(42)의 일측을 매듭지어 형성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별도의 지지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파지블럭(41)은 앞서 설명한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파지블럭(41)과 동일한 것으로서, 파지블럭(41)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게부가 손수건을 파지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가 수용공간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수건용 파우치에 손수건을 인입하는 동작을 첨부된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손수건(H)을 커버부(30)와 바닥부(10) 사이에 수용하기 위해 자유유동되는 커버부(30)의 일측을 상방을 젖히면 도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삽입공(31)과 제2 삽입공(32)간 거리가 짧아지면서 커버부(30)의 상면을 통과하는 끈부재(42)의 일측에 여유길이가 형성되는데, 작업자는 커버부(30)와 바닥부(10) 사이에 위치하는 끈부재(42)의 단부 또는 집게부(43)를 잡아당겨 집게부(43)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 상태에서 손수건(H)의 일측을 수용공간(S)에 삽입하고, 외부로 노출된 집게부(43)가 손수건(H)의 다른 일측을 파지하도록 한다.
이후, 작업자가 파지블럭(41)을 커버고정부(20)의 통과공(21)으로 삽입한 후 바닥부(10)의 외측방향으로 잡아당긴다.
자유유동되는 커버부(30)의 일측이 수용공간(S)에 삽입되면서 젖혀진 커버부(30)가 펴지게 된다.
이때, 스토퍼(44)가 커버부(30)의 상면 일측에 지지되면서 자유유동되는 커버부(30)의 일측이 수용공간(S) 방향으로 젖혀지게 되면서 상방으로 젖혀진 커버부(30)의 일측이 펼쳐지게 된다.
이에, 제1 삽입공(31)과 제2 삽입공(32)의 거리가 다시 벌어지게되고, 커버부(30)와 바닥부(10) 사이에 위치하는 끈부재(42)의 일측이 제2 삽입공(32)을 통해 커버부(30)의 상면 방향으로 끌려오면서 끈부재(42)의 일단부에 결합된 집게부(43)가 동반 이동되고, 집게부(43)에 의해 파지된 손수건(H)이 바닥부(10)에 고정된 커버부(30)의 일측과 바닥부(10) 사이로 용이하게 인입된다.
이후, 자유유동되는 커버부(30) 단부를 수용공간(S)에 삽입하는 동작은 전술한 기본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나머지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 : 손수건용 파우치 10 : 바닥부
20 : 커버고정부 21 : 통과공
30 : 커버부 31 : 제1 삽입공
32 : 제2 삽입공 40 : 고리부재
41 : 파지블럭 42 : 끈부재
43 : 스토퍼 44 : 집게부
S : 수용공간 P : 자유유동되는 커버부의 일측

Claims (6)

  1. 손수건이 수용되는 직물재질의 손수건용 파우치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일면 일측에 부착되어 상기 손수건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하고, 일측에 통과공이 형성된 커버고정부와;
    상기 바닥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바닥부의 일면 일측 중 상기 커버고정부와 대향하는 일측에 부착되고,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손수건이 수용되는 경우 상기 커버고정부와 대응되는 일측이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손수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커버부; 및
    일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커버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커버고정부의 통과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고리형상의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용 파우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상기 커버부의 일측과 상기 바닥부에 부착된 상기 커버부의 일측을 관통하여 일단부가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 위치하고, 타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끈부재; 및
    상기 커버부와 상기 바닥부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끈부재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손수건의 일측을 파지하는 집게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용 파우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는 일측과 상기 바닥부에 부착된 일측 중 상기 끈부재가 관통하는 일측에 각각 제1 삽입공 및 제2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용 파우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일측이 상기 커버고정부의 통과공에 삽입된 경우 상기 끈부재의 일측이 관통된 상기 커버부의 상면 일측과 대응되는 끈부재 일측에 결합된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용 파우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와, 상기 커버고정부 및 상기 커버부는 외부로 노출되면 일측에 문양 또는 문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용 파우치.
  6.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커버고정부의 통과공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 일측에 경질의 파지블럭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건용 파우치.
KR1020120015271A 2012-02-15 2012-02-15 손수건용 파우치 KR1012901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271A KR101290109B1 (ko) 2012-02-15 2012-02-15 손수건용 파우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5271A KR101290109B1 (ko) 2012-02-15 2012-02-15 손수건용 파우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0109B1 true KR101290109B1 (ko) 2013-07-26

Family

ID=48998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5271A KR101290109B1 (ko) 2012-02-15 2012-02-15 손수건용 파우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010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798735S1 (en) 2016-04-29 2017-10-03 Kimberly-Clark Worlwide, Inc. Sheet material dispenser
US10611541B2 (en) 2016-04-29 2020-04-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dispenser for compact stack of folded tissues
US10743726B2 (en) 2016-01-25 2020-08-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lded stack of tissues
KR200492632Y1 (ko) 2019-09-24 2020-11-16 정은정 타월을 포함한 파우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1533A (ja) * 1997-08-22 1999-03-05 Kazue Tsukada 抗菌ハンカチ入れ
KR100916367B1 (ko) 2007-08-03 2009-09-07 손대업 타월
KR200457029Y1 (ko) 2009-10-27 2011-12-02 (주)웰크론 삽입형 포켓타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1533A (ja) * 1997-08-22 1999-03-05 Kazue Tsukada 抗菌ハンカチ入れ
KR100916367B1 (ko) 2007-08-03 2009-09-07 손대업 타월
KR200457029Y1 (ko) 2009-10-27 2011-12-02 (주)웰크론 삽입형 포켓타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743726B2 (en) 2016-01-25 2020-08-1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olded stack of tissues
USD798735S1 (en) 2016-04-29 2017-10-03 Kimberly-Clark Worlwide, Inc. Sheet material dispenser
US10611541B2 (en) 2016-04-29 2020-04-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lexible dispenser for compact stack of folded tissues
KR200492632Y1 (ko) 2019-09-24 2020-11-16 정은정 타월을 포함한 파우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0109B1 (ko) 손수건용 파우치
US6839907B2 (en) Craftworker's apron
CN203555208U (zh) 可折成随身衣袋的衣服结构
CN109310168A (zh) 带有一体夹包的可转换服装
US20150305411A1 (en) Lightweight portable changing garment
KR200442771Y1 (ko) 다용도 손수건
KR200483956Y1 (ko) 유아 식탁용 방수 턱받이
JP6283783B1 (ja) 鞄の補助袋
JP3215364U (ja) 携行用外衣
US20170295858A1 (en) Lightweight Portable Changing Garment
JP6231325B2 (ja) 衣服の保管用且つ洗濯用のメッシュネット袋体
JP2013060691A (ja) 背負える上衣
JP2010013781A (ja) バッグあるいはリュックに変形自在な衣類
JP6055145B1 (ja) レインコート
JP3162821U (ja) 布製バック
JP3199806U (ja) 布団カバー
RU148246U1 (ru) Одежда для кормления грудью (варианты)
CN209610748U (zh) 西服袋
JP3168531U (ja) ポケットティッシュポーチ
JP3162559U (ja) リュックサック
JP6308564B2 (ja) ポーチ
JP2015027442A (ja) 皺軽減バッグ
JP3084941U (ja) エプロン
KR200212047Y1 (ko) 가방형 상의
TWM559609U (zh) 帶有收納裝置的多功能服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