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6191B1 -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장치의 조립방법, 해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임시 고정부재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장치의 조립방법, 해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임시 고정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6191B1
KR100916191B1 KR1020070003814A KR20070003814A KR100916191B1 KR 100916191 B1 KR100916191 B1 KR 100916191B1 KR 1020070003814 A KR1020070003814 A KR 1020070003814A KR 20070003814 A KR20070003814 A KR 20070003814A KR 100916191 B1 KR100916191 B1 KR 100916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sultation
drum
image forming
provided ar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5585A (ko
Inventor
아츠나 사이키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5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5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1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19Frame struc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7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1/1821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mean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process cartridge, e.g. attachment, positioning of parts with each other, pressure/distance regul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4Locks and means for positioning or align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8Cartridge systems
    • G03G2221/183Process cartridge
    • G03G2221/1853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 G03G2221/1876Process cartridge having a submodular arrangement for production purposes, e.g. manufacture or mass production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의 위치 결정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 해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임시 고정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유닛(26)을 갖고, 이 화상 형성 유닛(26)은 상담지체(42), 제 1 하우징(64) 및 제 2 하우징(88)을 갖는다. 상담지체(像擔持體)(42)와 제 1 하우징(64)은 임시 고정 부재(72)에 의해 임시 고정되어 있다. 지지축(94)을 삽입하면, 상담지체(42), 제 1 하우징(64) 및 제 2 하우징(88)이 이 지지축(94)에 따르고, 위치 고정된다.
Figure R1020070003814
상담지체, 고정 부재, 지지축, 화상 형성 유닛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장치의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임시 고정 부재{IMAGE FORMATION APPARATUS, IMAGE FORMATION UNIT, METHODS OF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IMAGE FORMATION APPARATUS, AND TEMPORARILY TACKING MEMBER USED FOR IMAGE FORMATION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한 화상 형성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한 상담지체(像擔持體) 유닛을 앞쪽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한 상담지체 유닛을 뒤쪽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지지축을 삽입한 후의 지지 부분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지지축을 삽입하기 전의 지지 부분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한 제 1 하우징과 임시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한 상담지체 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한 상담지체 유닛의 임시 고정 전으로서, 상담지체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한 화상 형성 유닛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고, 제 2 하우징에 상담지체 유닛을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한 화상 형성 유닛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고, 제 2 하우징에 상담지체 유닛을 3개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한 화상 형성 유닛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한 화상 형성 유닛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고, 제 2 하우징에 상담지체 유닛을 장착한 후, 현상 유닛을 장착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화상 형성 장치 12: 화상 형성 장치 본체
26: 화상 형성 유닛 28: 전사 유닛
38: 상담지체 유닛 40: 현상 유닛
42: 상담지체 48: 클리닝 블레이드(cleaning blade)
64: 제 1 하우징 72: 임시 고정 부재
88: 제 2 하우징 94: 지지축
96: 제 1 끼워 맞춤부 98: 제 2 끼워 맞춤부
100: 제 1 피끼워 맞춤부 108: 제 2 피끼워 맞춤부
110: 제 1 지지축 삽입 구멍 112: 제 2 지지축 삽입 구멍
114: 제 3 지지축 삽입 구멍 116: 임시 고정부
본 발명은 프린터, 복사기, 팩시밀리 등의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장치의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임시 고정 부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담지체(像擔持體)를 대전 장치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시키고, 노광 장치에 의해 잠상(潛像)을 형성하고, 현상 장치에 의해 잠상을 토너로 가시상(可視像)화하고, 전사 장치에 의해 용지에 토너상을 전사하며, 정착 장치에 의해 토너를 용지에 정착시키는 것이 제로그래피(xerography) 방식으로 서 주지(周知)이다. 컬러 화상 형성 장치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상담지체, 노광 장치, 현상 장치, 전사 장치 등을 토너의 색에 대응하여 복수 설치한다. 통상은 청록색, 자홍색, 황색, 흑색의 4색이고, 상기 장치를 4개 조합시킨다.
이러한 컬러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담지체 등을 1개의 상담지체 유닛으로서 모으고, 또한 이들 유닛을 4색씩 모아 화상 형성 유닛으로 한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평8-54917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에서는 상담지체와 다른 구성 부품 위치 결정은 상담지체 유닛으로서 일체화하고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행할 수 있지만, 상담지체와 화상 형성 유닛의 하우징의 위치 결정은 상담지체 유닛의 하우징이 개재(介在)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는 행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상담지체를 지지하는 지지축에 의해, 상담지체, 감광체 유닛의 하우징 및 화상 형성 유닛의 하우징의 3개의 부재를 일체로 지지하도록 하여 3개의 부재의 위치 결정을 행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지만, 3개의 부재를 지지축에 의해 한번에 위치 결정하는 것은 제조상 곤란하다.
본 발명은 구성 부품의 위치 결정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 해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임시 고정 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드럼과, 이 드럼 주위에 설치된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 주위에 설치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부재로부터 선택된 2개의 부재를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수단과,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위치 고정하는 지지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있다. 따라서, 드럼,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부재로부터 선택된 2개의 부재를 임시 고정 수단에 의해 임시 고정하고, 상기 3개의 부재를 지지 부재에 의해 지지하므로, 상기 3개의 부재의 위치 결정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화상 형성 장치의 제조, 해체를 용이하게 행하는 것을 제 1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여기서 「임시 고정」은, 제조 공정에서는 부재간을 지지하지만, 제품으로 된 경우에는 부재간의 지지에 관여하지 않는 것을 가리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삽입된 지지축이다. 따라서, 상기 3개의 부재에 지지축을 삽입함으로써 상기 3개의 부재를 위치 결정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럼은 상담지체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담지체에 접하는 클리닝 블레이드(cleaning blade)를 더 갖고,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상담지체에 의해 상담지체 유닛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임시 고정 수단은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제 1 하우징을 임시 고정한다. 상기 임시 고정 수단은 상기 제 1 하우징에 끼워 맞추는 제 1 끼워 맞춤부와, 상기 상담지체에 끼워 맞추는 제 2 끼워 맞춤부를 갖는 임시 고정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고, 상기 제 1 하우징에 일체(一體)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담지체 유닛을 복수 갖고, 상기 복수의 상담지체 유닛이 상기 제 2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담지체와, 이 상담지체에 접하는 클리닝 블레이드와, 상기 상담지체의 주위에 설치된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과 상기 상담지체를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수단을 갖는 상담지체 유닛을 갖고, 복수의 상담지체 유닛과, 상기 복수의 상담지체 유닛의 주위에 설치된 제 2 하우징으로 화상 형성 유닛이 구성되고, 상기 상담지체,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위치 고정하는 지지 부재를 더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제 2 특징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은 상기 상담지체 유닛에 대응하여 현상 유닛을 더 갖는다.
본 발명은 드럼과, 이 드럼 주위에 설치된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 주위에 설치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부재로부터 선택된 임시 고정하려는 2개의 부재 중 어느 하나에 끼워 맞추는 제 1 끼워 맞춤부 및 상기 2개의 부재 중 다른 하나에 끼워 맞추는 제 2 끼워 맞춤부를 갖는 임시 고정 부재와,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위치 고정하는 지지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에 제 3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상담지체와, 이 상담지체에 접하는 클리닝 블레이드와, 상기 상담 지체의 주위에 설치된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과 상기 상담지체를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수단을 갖는 복수의 상담지체 유닛과, 상기 복수의 상담지체 유닛의 주위에 설치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상담지체,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위치 고정하는 지지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유닛에 제 4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드럼과, 이 드럼 주위에 설치되는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 주위에 설치되는 제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부재로부터 선택된 2개의 부재를 임시 고정하고,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지지축을 삽입시켜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위치 고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조립 방법에 제 5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드럼과, 이 드럼 주위에 설치된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 주위에 설치된 제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부재로부터 선택된 2개의 부재가 임시 고정되고,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위치 고정하고 있는 지지축을 빼내는 화상 형성 장치의 해체 방법에 제 6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드럼과, 이 드럼 주위에 설치된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 주위에 설치된 제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부재로부터 선택된 2개의 부재를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부재로서, 상기 임시 고정 부재에 의해 임시 고정한 후,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지지축을 삽입시켜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위치 고정하도록 한 임시 고정 부재에 제 7 특징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가 도시되어 있다. 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를 갖고,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하부에는 급지 장치(14)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의 상부에는 배지부(排紙部)(16)가 형성되어 있다.
급지 장치(14)는 시트 트레이(18)를 갖고, 이 시트 트레이(18)에 다수의 시트(용지)가 적층된다. 이 시트 트레이(18)의 일단(一端) 상부에는 공급 롤러(20)가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 공급 롤러(20)에 대향하여 핸들링 롤러(handling roller)(22)가 설치되어 있다. 시트 트레이(18)의 최상위에 있는 시트가 공급 롤러(20)에 의해 픽업(pick up)되고, 공급 롤러(20)와 핸들링 롤러(22)의 협동에 의해 시트가 분류되어 반송된다.
시트 트레이(18)로부터 반송된 시트는 레지스트 롤러(24)에 의해 일시 정지되고, 소정의 타이밍에 의해 화상 형성 유닛(26)과 전사 유닛(28)의 사이 및 정착 장치(30)를 통과하여 배지 롤러(32)에 의해 배지부(16)로 배출된다.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 내에는 화상 형성 유닛(26), 전사 유닛(28), 전원 유닛(34) 및 제어부(36)가 배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유닛(26)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색에 대응하여 예를 들어 4개의 상담지체 유닛(38)과 4개의 현상 유닛(40)을 갖는다. 상담지체 유닛(38)은 상담지체(42)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각 상담지체(42)의 주위에는 상담지체(42)를 균일하게 대전하는 대전 롤러를 구비한 대전 수단으로서의 대전 부재(44)와, 전사 후의 상담지체(42)를 제전(除電)하는 제전 수단으로서의 제전 부재(46)와, 전사가 이루어진 후에 상담지체(42)에 잔류하는 현상제를 제거하는 현상제 제거 수단으로서의 클리닝 블레이드(48)를 갖는다.
4개의 토너 박스(50)는 화상 형성 유닛(26)의 이면(裏面) 측 측방(側方)에 접속되어 있다. 각 토너 박스(50)는 자홍색, 황색, 청록색 및 흑색용이고, 토너 공급부(52)와 토너 회수부(54)가 일체로 되어 구성되어 있다. 토너 공급부(52)는 현상 유닛(40)에 접속되어 각색의 토너를 현상 유닛(40)에 공급하고, 토너 회수부(54)는 클리닝 블레이드(48)에 의해 제거된 각색의 토너를 회수한다.
광 기입 장치(56)는 각각 레이저 노광 장치로 이루어지고, 화상 형성 유닛(26)의 배면(背面) 측에서 각 상담지체(42)에 대응한 위치에 배치되고, 균일하게 대전된 상담지체(42)에 대하여 레이저를 조사하여 잠상을 형성하게 되어 있다.
전사 유닛(28)은 화상 형성 유닛(26) 앞쪽에서 화상 형성 유닛(26)에 대향하여 종(縱)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전사 유닛(28)은 상하 방향에 설치된 두개의 지지 롤러(58)에 반송 벨트(60)가 걸쳐 있다. 또한, 각 상담지체(42)에 반송 벨트(60)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여 전사 부재(62)가 설치되어 있다. 화상 형성 유닛(26)은 전사 유닛(28)을 누름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 본체(12)에 착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각 상담지체(42)는 대전 부재(44)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광 기입 장치(56)에 의해 잠상이 형성되며, 현상 유닛(40)에 의해 잠상이 토너에 의해 가시상화된다. 각 상담지체(42)에 형성된 토너상은 하방(下方)으로부터 차례로 전송 유닛(28)의 전사 부재(62)에 의해 반송되는 시트에 전사되고, 정착 장치(30)에 의해 시트에 정착된다.
도 2에 있어서, 화상 형성 유닛(26)의 상세(詳細)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있어서, 화상 형성 유닛(26)에 장착되는 상담지체 유닛(38)이 도시되어 있다. 상담지체 유닛(38)은 제 1 하우징(64)을 갖는다. 이 제 1 하우징(64)은 상담지체(42) 및 대전 부재(44)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고, 또한 제전 부재(46) 및 클리닝 블레이드(48)를 지지하고 있다. 또한, 이 제 1 하우징(64)은 좌우 양면 및 상면이 둘러싸이고, 후면(後面)은 광 기입 장치(56)로부터의 변조된 레이저 주사광을 받아들이기 위해 개방되고, 전면(前面)은 상담지체(42)를 전사 유닛(26)에 대치시키기 위해 개방되며, 하면은 후술하는 현상 유닛(40)의 현상 롤러(86)를 상담지체(42)에 대치시키기 위해 개방되어 있다. 또한, 제 1 하우징(64)과 클리닝 블레이드(48)의 사이에는 토너 회수 통로(68)가 형성되어 있다. 이 토너 회수 통로(68)에는 토너 회수용 오거(auger)(70)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클리닝 블레이드(48)는 탄성체로 이루어지고, 상담지체(42)에 예를 들어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이 클리닝 블레이드(48)에 의해 상담지체(42)에 남은 토너가 상담지체(42)로부터 제거되고, 제거된 토너가 토너 회수 통로(68)의 토너 회수용 오거(70)에 의해 일단(一端)으로 반송되며, 토너 회수 통로(68)에 접속된 토너 박스(50)의 토너 회수부(54)로 반송된다.
드럼인 상담지체(42)와 제 1 하우징(64)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양쪽에서 임시 고정 부재(72, 72)를 통하여 임시 고정되어 있다. 상기 임시 고정은 제조 과정 중에는 상기 부재를 지지하지만, 제품이 완성되면 상기 부 재를 지지하는 기능을 잃는 것을 의미한다.
현상 유닛(40)은 현상 유닛 본체(74)를 갖고, 이 현상 유닛 본체(74) 내에 현상제 반송부(76)와 현상부(78)가 형성되어 있다. 현상 유닛(40)은 예를 들어 2성분 방식의 것이고, 현상제 반송부(76)는 구획벽(80)에 의해 2개의 통로로 구획되고, 각각의 통로에는 교반(攪拌) 반송용 오거(82, 82)가 배치되고 있으며, 이 2개의 통로는 축방향 양단(兩端)에서 접속되어 있다. 또한, 현상제 반송부(76)는 상술한 토너 박스(50)의 토너 공급부(52)에 접속되고, 이 토너 공급부(52)로부터 토너가 공급된다. 이 현상제 반송부(76)에는 미리 캐리어가 수용되어 있고, 교반 반송용 오거(82, 82)에 의해 토너와 캐리어가 교반 반송용 오거(82, 82)의 축방향으로 교반 반송되며, 토너를 대전시킨다. 현상부(78)에는 패들(paddle)(84)과 현상 롤러(86)가 배치되어 있다. 교반된 토너와 캐리어로 이루어지는 현상제는 패들(84)을 통하여 현상 롤러(86)에 공급된다. 현상 롤러(86)는 주지(周知)한 바와 같이 마그넷 롤러로 이루어지고, 롤러 표면 상에 공급된 현상제에 의해 자기(磁氣) 브러시를 형성하며, 이 자기 브러시에 의해 상담지체(42)에 토너를 공급한다.
화상 형성 유닛(26)은 제 2 하우징(88)을 갖는다. 이 제 2 하우징(88)은 좌우 양면 및 상하면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좌우 양면의 내측에는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제 1 홈(90)과, 마찬가지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4개의 제 2 홈(92)이 형성되어 있다. 상담지체 유닛(38) 및 현상 유닛(40)의 각각에는 레일(도시 생략)이 설치되고, 상담지체 유닛(38)의 레일이 제 1 홈(90)에, 현상 유닛(40)의 레일이 제 2 홈(92)에 각각 끼워 맞춰, 4 개의 상담지체 유닛(38)과 4개의 현상 유닛(40)이 제 2 하우징(88)에 지지되어 있다.
상술한 상담지체(42), 제 1 하우징(64) 및 제 2 하우징(88)은 지지 부재인 지지축(94)에 의해 지지 고정되어 있다. 이 지지축(94)에 의한 지지 구조를 도 5 내지 도 7을 사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지지축(94)을 삽입한 뒤의 지지 부분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지지축(94)을 삽입하기 전의 지지 부분의 단면도이며, 도 6은 제 1 하우징(64)과 임시 고정 부재(72)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임시 고정 부재(72)는 예를 들어 링 형상으로 형성된 제 1 끼워 맞춤부(96)와, 이 제 1 끼워 맞춤부(96)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된 예를 들어 3개의 제 2 끼워 맞춤부(98)를 갖는다. 한편, 제 1 하우징(64)에는 제 1 끼워 맞춤부(96)의 내면이 끼워 맞춰지는 제 1 피끼워 맞춤부(100)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제 1 피끼워 맞춤부(100)의 주위에 예를 들어 3개의 임시 고정 부재 삽입 구멍(102)이 형성되어 있다. 임시 고정 부재(72)의 제 2 끼워 맞춤부(98)는 임시 고정 부재 삽입 구멍(102)에 삽입되고, 상담지체(42) 측에 돌출되어 있다.
상담지체(42)는 드럼 본체부(104)와, 이 드럼 본체부(104)의 양쪽에 설치된 플랜지부(flange)(106)를 갖는다. 드럼 본체부(104)에는 감광층이 설치되고, 상술한 광 기입 장치로부터의 레이저광에 의해 잠상이 형성된다. 이 상담지체(42)의 드럼 본체부(104)에 클리닝 블레이드(48)가 가압하도록 맞닿아 있다. 플랜지부(106)의 일단에는 제 2 피끼워 맞춤부(108)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피끼워 맞 춤부(108)의 외주에 임시 고정 부재(72)의 제 2 끼워 맞춤부(98)의 내면이 끼워 맞춰지도록 되어 있다.
상담지체(42)의 플랜지부(106), 제 1 하우징(64) 및 제 2 하우징(88)에는 각각 제 1 지지축 삽입 구멍(110), 제 2 지지축 삽입 구멍(112) 및 제 3 지지축 삽입 구멍(11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지지축 삽입 구멍(110), 제 2 지지축 삽입 구멍(112) 및 제 3 지지축 삽입 구멍(114)에 지지축(94)이 삽입되어 있다. 지지축(94)의 직경과 제 1 지지축 삽입 구멍(110), 제 2 지지축 삽입 구멍(112) 및 제 3 지지축 삽입 구멍(114)의 내경(內徑)은 거의 동일하고, 따라서 지지축(94)에 의해 상담지체(42), 제 1 하우징(64) 및 제 2 하우징(88)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져 있다.
상술한 임시 고정 부재(72)의 제 2 끼워 맞춤부(98)의 내경과 플랜지부(106)의 제 2 피끼워 맞춤부(108) 사이에는 소정의 차가 있다. 따라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94)의 삽입 전에는 임시 고정 부재(72)의 제 2 끼워 맞춤부(98)와 플랜지부(106)의 제 2 피끼워 맞춤부(108) 사이에는 틈이 생겨 있다. 다만, 상담지체(42)가 클리닝 블레이드(48)에 가압되어 있기 때문에, 클리닝 블레이드(48)에 가까운 부분에 틈이 생기고, 클리닝 블레이드(48)로부터 멀리 있는 제 2 끼워 맞춤부(98)와 제 2 피끼워 맞춤부(108)는 접촉되어 있으며, 상담지체 유닛(38) 단체(單體)로서는 이러한 상태에서 상담지체(42)와 제 1 하우징(64)이 임시 고정 부재(72)를 통하여 임시 고정되어 있다.
그런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94)을 삽입하면, 지지축(94)에 상 담지체(42), 제 1 하우징(64) 및 제 2 하우징(88)이 따르게 되므로, 임시 고정 부재(72)의 모든 제 2 끼워 맞춤부(98)와 플랜지부(106)의 제 2 피끼워 맞춤부(108)는 완전히 이간되고, 임시 고정 부재(72)는 위치 고정 기능을 잃게 된다. 따라서, 지지축(94)을 통하여 상담지체(42), 제 1 하우징(64) 및 제 2 하우징(88)이 위치 고정되므로, 예를 들어 상담지체(42)와 클리닝 블레이드(48)의 위치 관계 또는 상담지체(42)와 현상 유닛(40)의 위치 관계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화상 형성 장치, 특히 화상 형성 유닛(26)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상담지체 유닛(38)의 조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하우징(64)에 대전 부재(44), 클리닝 블레이드(48) 등을 미리 일체로 구성해 둔다. 다음으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담지체(42)를 제 1 하우징(64) 내에 삽입한다. 그리고, 임시 고정 부재(72, 72)를 제 1 하우징(64)의 좌우에 끼워 넣으면 완료된다. 즉, 임시 고정 부재(72)의 제 2 끼워 맞춤부(98)를 제 1 하우징(64)의 임시 고정 부재 삽입 구멍(102)에 삽입하고, 임시 고정 부재(72)의 제 1 끼워 맞춤부(96)를 제 1 하우징(64)의 제 1 피끼워 맞춤부(100)에 끼워 넣는 동시에, 임시 고정 부재(72)의 제 2 끼워 맞춤부(98)를 상담지체(42)의 제 2 피끼워 맞춤부(108)에 끼워 넣는다. 이에 따라, 임시 고정 부재(72)를 통하여 상담지체(42)와 제 1 하우징(64)이 임시 고정되고, 상담지체 유닛(38)이 구성된다. 상담지체 (42)는 클리닝 블레이드(48)에 가압되고, 임시 고정 부재(72)의 제 2 끼워 맞춤부(98)와 상담지체(42)의 제 2 피끼워 맞춤부(108) 사이에는 틈이 생기도록 고정된다. 그러나, 상담지체(42)의 제 1 지지축 삽입 구멍(110)과 제 1 하우징(64)의 제 2 지지축 삽입 구멍(112)의 위치는 거의 일치하게 된다(도 6 참조).
다음으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한 상담지체 유닛(38)을 제 2 하우징(88)에 삽입한다. 상담지체(42)의 제 1 지지축 삽입 구멍(110) 및 제 1 하우징(64)의 제 2 지지축 삽입 구멍(112)과 제 2 하우징(88)의 제 3 지지축 삽입 구멍(114)의 위치가 거의 일치한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하우징(88)에 상담지체 유닛(38)을 장착한 후, 지지축(94)을 제 2 하우징(88)의 제 3 지지축 삽입 구멍(114)으로부터 삽입한다. 지지축(94)을 제 3 지지축 삽입 구멍(114)으로부터 삽입하면, 제 1 하우징(64)의 제 2 지지축 삽입 구멍(112) 및 상담지체(42)의 제 1 지지축 삽입 구멍(110)에 자동적으로 삽입되고, 또한 반대 측의 제 1 지지축 삽입 구멍(110), 제 2 지지축 삽입 구멍(112) 및 제 3 지지축 삽입 구멍(114)에 자동적으로 삽입되며, 제 2 하우징(88)을 관통시킨다. 지지축(94)의 관통이 종료되면, 지지축(94)을 핀 등에 의해 제 2 하우징(88)에 고정시킨다.
마지막으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상 유닛(40)을 제 2 하우징(88)에 장착함으로써 화상 형성 유닛(26)의 조립을 완료할 수 있다.
상담지체(42)와 제 1 하우징(64)을 임시 고정하지 않고 조립하려면, 상담지체(42), 제 1 하우징(64) 및 제 2 하우징(88)의 3개의 부품을 지지축(94)이 관통하도록 지지하면서, 또한 상담지체(42)가 클리닝 블레이드(48)로부터의 압력을 받으면서, 지지축(94)을 관통시켜야 하여, 곤란한 작업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상담지체(42)와 제 1 하우징(64)을 임시 고정 부재(72)를 통하여 임시 고정하고 있기 때문에, 임시 고정된 상담지체 유닛(38)을 제 2 하우징(88)에 맞춤으로써 간단하게 지지축(94)을 관통시킬 수 있고, 또한 클리닝 블레이드(48)에 의한 상담지체(42)로의 압력의 영향을 받지 않고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화상 형성 장치를 해체할 경우에는, 상기 작업의 반대로 행하면 된다. 즉, 지지축(94)을 빼냄으로써 제 2 하우징(88)과 임시 고정된 상담지체 유닛(38)을 분리할 수 있다.
도 14에 있어서, 제 1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의 임시 고정 부재(72)는 3개의 제 2 끼워 맞춤부(98)를 설치했지만, 제 2 끼워 맞춤부(98)는 복수 있으면 되고, 예를 들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6개의 제 2 끼워 맞춤부(98)를 설치할 수도 있다.
도 15에 있어서, 제 2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임시 고정 부재(72)에 의해 상담지체(42)와 제 1 하우징(64)을 임시 고정했지만, 이 제 2 변형예에서는 제 1 하우징(64)과 일체로 돌출된 임시 고정부(116)를 설치하여, 이 임시 고정부(116)에 의해 상담지체(42)와 제 1 하우징(64)을 임시 고정할 수도 있다. 또한, 임시 고정부(116)는 제 1 하우징(64)에 설치하는 대신에 상담지체(42) 측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담지체(42)와 제 1 하우징(64)을 임시 고정하는 것은 별체(別體)여도 일체(一體)여도 되기 때문, 특허청구범위에서는 임시 고정 수단라는 단어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담지체(42)와 제 1 하우징(64)을 임시 고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로서, 상담지체(42)와 제 2 하우징(88), 또는 제 1 하우징(64)과 제 2 하우징(88)을 임시 고정할 수도 있고, 요컨데 본 발명에서는 상담지체(42), 제 1 하우징(64) 및 제 2 하우징(88)의 3개의 부재로부터 선택된 2개의 부재를 임시 고정하면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위치 결정 정밀도의 향상과 조립, 해체의 용이화를 도모하고자 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성 부품의 위치 결정을 정밀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제조, 해체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장치의 조립 방법, 해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임시 고정 부재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드럼과, 이 드럼 주위에 설치된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 주위에 설치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부재로부터 선택된 2개의 부재 사이에 틈을 갖는 위치 고정 기능을 발휘시키도록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수단과,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을 위치 고정하는 지지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삽입된 지지축인 화상 형성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드럼은 상담지체인 화상 형성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像擔持體)에 접하는 클리닝 블레이드(cleaning blade)를 더 갖고, 상기 클리닝 블레이드,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상담지체에 의해 상담지체 유닛이 구성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22. 삭제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고정 수단은 상기 상담지체와 상기 제 1 하우징 사이에 틈을 갖는 위치 고정 기능을 발휘시키도록 임시 고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
  24. 삭제
  25. 삭제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지체 유닛을 복수 갖고, 상기 복수의 상담지체 유닛이 상기 제 2 하우징에 지지되어 있는 화상 형성 장치.
  27. 삭제
  28. 상담지체와, 이 상담지체에 접하는 클리닝 블레이드와, 상기 상담지체의 주위에 설치된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과 상기 상담지체 사이에 틈을 갖는 위치 고정 기능을 발휘시키도록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수단을 갖는 상담지체 유닛을 갖고,
    복수의 상담지체 유닛과, 상기 복수의 상담지체 유닛의 주위에 설치된 제 2 하우징으로 화상 형성 유닛이 구성되고,
    상기 상담지체,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위치 고정하는 지지 부재를 더 갖는 화상 형성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형성 유닛은 상기 상담지체 유닛에 대응하여 현상 유닛을 더 갖는 화상 형성 장치.
  30. 삭제
  31. 드럼과, 이 드럼 주위에 설치된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 주위에 설치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부재로부터 선택된 임시 고정하려는 2개의 부재 중 어느 하나에 끼워 맞추는 제 1 끼워 맞춤부 및 상기 2개의 부재 중 다른 하나에 끼워 맞추는 제 2 끼워 맞춤부를 갖고, 상기 3개의 부재로부터 임시 고정하려고 선택된 2개의 부재 사이에 틈을 갖는 위치 고정 기능을 발휘시키도록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부재와,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위치 고정하는 지지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
  32. 삭제
  33. 상담지체와, 이 상담지체에 접하는 클리닝 블레이드와, 상기 상담지체의 주위에 설치된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과 상기 상담지체 사이에 틈을 갖는 위치 고정 기능을 발휘시키도록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수단을 갖는 복수의 상담지체 유닛과,
    상기 복수의 상담지체 유닛의 주위에 설치된 제 2 하우징과,
    상기 상담지체,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위치 고정하는 지지 부재를 갖는 화상 형성 유닛.
  34. 삭제
  35. 드럼과, 이 드럼 주위에 설치되는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 주위에 설치되는 제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부재로부터 선택된 2개의 부재 사이에 틈을 갖는 위치 고정 기능을 발휘시키도록 임시 고정하고,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지지축을 삽입시켜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위치 고정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조립 방법.
  36. 삭제
  37. 드럼과, 이 드럼 주위에 설치된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 주위에 설치된 제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부재로부터 선택된 2개의 부재 사이에 틈을 갖는 위치 고정 기능을 발휘시키도록 임시 고정되고,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삽입되어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위치 고정하고 있는 지지축을 빼내는 화상 형성 장치의 해체 방법.
  38. 삭제
  39. 드럼과, 이 드럼 주위에 설치된 제 1 하우징과, 이 제 1 하우징 주위에 설치된 제 2 하우징으로 이루어지는 3개의 부재로부터 선택된 2개의 부재 사이에 틈을 갖는 위치 고정 기능을 발휘시키도록 임시 고정하는 임시 고정 부재로서, 상기 임시 고정 부재에 의해 임시 고정한 후,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에 지지축을 삽입시켜 상기 드럼, 상기 제 1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을 위치 고정하도록 한 임시 고정 부재.
  40. 삭제
KR1020070003814A 2006-06-01 2007-01-12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장치의 조립방법, 해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임시 고정부재 KR100916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53474 2006-06-01
JP2006153474 2006-06-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5585A KR20070115585A (ko) 2007-12-06
KR100916191B1 true KR100916191B1 (ko) 2009-09-08

Family

ID=38790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3814A KR100916191B1 (ko) 2006-06-01 2007-01-12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장치의 조립방법, 해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임시 고정부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627267B2 (ko)
KR (1) KR100916191B1 (ko)
CN (1) CN10108279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654328T3 (es) 2004-07-21 2018-02-13 Mevion Medical Systems, Inc. Generador en forma de onda de radio frecuencia programable para un sincrociclotrón
JP4451456B2 (ja) * 2007-02-22 2010-04-14 株式会社沖データ 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20110222810A1 (en) * 2010-03-15 2011-09-15 Lubezny Vadim A Hygienic roller assembly with external bearing and method of assembling a roller assembly
JP6187797B2 (ja) * 2011-12-22 2017-08-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着脱ユニット、及び、複数の着脱ユニット
JP6367201B2 (ja) * 2012-09-28 2018-08-01 メビオン・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粒子ビームの強度の制御
TW201422278A (zh) 2012-09-28 2014-06-16 Mevion Medical Systems Inc 粒子加速器之控制系統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2144A (ja) * 1995-08-28 1997-03-07 Canon Inc 円筒部材と係合部材の結合方法及びその組立体及び感光体の組立体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5215548A (ja) 2004-01-30 2005-08-11 Brother Ind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058705A (ja) 2004-08-20 2006-03-02 Ricoh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JP2006133817A (ja) 2000-08-18 2006-05-25 Mitsubishi Chemicals Corp 感光体ドラム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32299B2 (ja) 1994-06-08 2003-08-04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カラープリンタ
JP3389027B2 (ja) 1996-10-21 2003-03-24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H11119632A (ja) 1997-10-17 1999-04-30 Canon Inc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3627627B2 (ja) 2000-06-16 2005-03-0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カラー画像形成装置
US6301458B1 (en) * 2000-08-03 2001-10-09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3703450B2 (ja) * 2002-10-22 2005-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U2003235405A1 (en) * 2003-05-22 2004-12-13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Light-sensitive body drum, method and device for assembling the drum, and image forming device using the drum
JP4126254B2 (ja) * 2003-06-30 2008-07-3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4432574B2 (ja) 2004-03-26 2010-03-17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756966B2 (ja) * 2005-09-14 2011-08-24 株式会社リコー 像担持体固定冶具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884144B2 (ja) * 2006-02-16 2012-02-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支持装置、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支持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2144A (ja) * 1995-08-28 1997-03-07 Canon Inc 円筒部材と係合部材の結合方法及びその組立体及び感光体の組立体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2006133817A (ja) 2000-08-18 2006-05-25 Mitsubishi Chemicals Corp 感光体ドラム及びその組み立て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JP2005215548A (ja) 2004-01-30 2005-08-11 Brother Ind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6058705A (ja) 2004-08-20 2006-03-02 Ricoh Co Ltd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そ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80732A1 (en) 2007-12-06
US7627267B2 (en) 2009-12-01
CN101082795A (zh) 2007-12-05
CN101082795B (zh) 2010-09-22
KR20070115585A (ko) 2007-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7021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組立方法及び解体方法並びに画像形成装置に用いられる仮止め部材
US7272342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cartridge including a photoconductive drum with axis shaft having a minimal rotational eccentricity, and a method of assembling the image forming apparatus
EP1054307A3 (en) Process cartridge, assembling method therefo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KR100916191B1 (ko) 화상 형성 장치, 화상 형성 유닛, 화상 형성 장치의 조립방법, 해체 방법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사용되는 임시 고정부재
JP2009162854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ユニット及び画像形成装置
EP1975734B1 (en) Photosensitive medium supporting apparatus, developing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to assemble and disassemble a developing cartridge
JP6137786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6039247B2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JP4658709B2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7371372B2 (ja) 画像形成装置
JP3627627B2 (ja) カラー画像形成装置
JP2011215434A (ja) 現像剤収納容器、現像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EP1757995A1 (en) Developer and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7140328A (ja) 駆動カップリング機構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の製造方法
JP2010134047A (ja) ベルト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92616B2 (ja) タンデム型感光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687776B2 (ja) タンデム型感光体ユニットおよび画像形成装置
EP1376253A2 (en) Rotary body support structur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JP2004070088A (ja) 像担持体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5218717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感光体ユニット
JP2002182540A (ja) 画像形成装置
JP4380279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126030A (ja)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08111900A (ja)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24039773A (ja) 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