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0181B1 - 메모지 모듈 - Google Patents

메모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0181B1
KR100910181B1 KR1020070080775A KR20070080775A KR100910181B1 KR 100910181 B1 KR100910181 B1 KR 100910181B1 KR 1020070080775 A KR1020070080775 A KR 1020070080775A KR 20070080775 A KR20070080775 A KR 20070080775A KR 100910181 B1 KR100910181 B1 KR 100910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
paper
memo paper
cutt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0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6263A (ko
Inventor
박상혁
Original Assignee
박상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혁 filed Critical 박상혁
Priority to KR1020070080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0181B1/ko
Publication of KR20090016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7/00Filing appliances without fastening means
    • B42F7/14Boxe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모수단(150)의 메모용지(151) 끝단이 인출되는 인출공(113)과 메모수단(150)이 수용되는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수납부(111)를 구비하는 수납수단(110)과; 상기 수납수단(110)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수납수단(110)의 인출공(113)으로부터 인출되는 메모용지(151)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받침판(121)으로 이루어지는 받침수단(120)과; 상기 받침수단(120)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메모용지(151)를 절단하는 절단부(133)로 이루어지는 절단수단(130)과; 상기 수납부(111)에 형성되는 개구부(112)에 삽입되며 일측으로 길이 방향으로 접착부(155)를 구비하는 롤 형태의 메모용지(151)로 이루어지는 메모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메모지 모듈(100)에 관한 것으로; 롤 형태의 메모수단(150)을 사용하므로 많은 양의 메모용지(151)를 연속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연속되는 메모용지(151)로 메모수단(150)을 구성하므로 절단에 소요되는 생산 공정이 생략되고 따라서 생산 비용이나 시간이 절감되고, 사용자는 원하는 길이로 메모용지(151)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러 규격의 메모용지가 필요 없게 되고, 받침판(121)의 일측으로 단차부(123)를 구비하므로 메모 중에 접착부(155)의 접착력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단부(13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메모용지(151)가 손상되거나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메모, 용지, 접착, 절단

Description

메모지 모듈{Module of Scratch Paper}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의한 메모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메모지 모듈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메모지 모듈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메모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메모지 모듈에서 커버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착탈 수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절단수단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메모지 모듈 110 : 수납수단
111 : 수납부 113 : 인출공
120 : 받침수단 121 : 받침판
123 : 단차부 130 : 절단수단
131 : 회전축 133 : 절단부
135 : 지지부 137 : 회전손잡이
139 : 고정나사 140 : 커버
141 : 착탈수단 142 : 걸림돌기
143 : 단턱부 144 : 걸림홈
145 : 삽입부 147 : 가이드
150 : 메모수단 151 : 메모용지
155 : 접착부 157 : 삽입공
본 발명은 간단한 내용을 메모하여 일시적으로 부착하는 메모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메모량에 관계없이 다양한 규격의 메모지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는 원하는 분량의 메모를 기재하고 원하는 길이로 메모지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는 메모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학생이나 회사원 등은 공부나 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중요한 사항을 단순히 노트에만 기록하는 것이 아니고, 포스트잇과 같은 메모지에 약속 시간과 같은 중요한 정보를 기재하여 눈에 쉽게 띄는 장소에 일시적으로 부착하여 기억에만 의 존함으로써 발생하는 문제를 방지하고 있다.
포스트잇은 간단한 메모를 적을 수 있는 용지를 적층시킨 것으로, 용지의 일부는 용지가 접착되도록 하는 접착부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포스트잇(이하에서 "메모지"라고 한다)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의한 메모지(10, 20)는 일측으로 접착부(12, 22)를 가지는 메모용지(11, 21)가 적층된 것으로, 그 표면에 메모할 내용을 기재하고 메모용지(11, 21)를 한 장씩 분리하여 접착부(12, 22)를 벽 등에 부착하여 사용하였다.
사용에 있어서 메모량이 항상 일정하지 않으므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양한 폭(W)을 가지는 메모지(10, 20)를 사용하여야 하였으며, 제조 과정에서 크기에 맞추어 절단하여야 하므로 생산 시간이나 비용이 증가하였으며, 메모지(10, 20)는 사용 중에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표면이 쉽게 더럽혀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가장 표층에 위치하는 메모용지(11, 21)에 메모하는 경우 메모 강도에 따라서 그 아래층의 메모용지(11, 21)에 눌림 자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사용자는 원하는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크기의 메모지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며, 메모지가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손상이나 오염 의 염려가 없으며, 메모에 의하여 다른 부분의 메모용지에 눌림 자국이 발생하지 않는 메모지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메모리 모듈은 메모수단의 메모용지 끝단이 인출되는 인출공과 메모수단이 수용되는 개구부가 형성되는 수납부를 구비하는 수납수단과; 상기 수납수단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수납수단의 인출공으로부터 인출되는 메모용지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받침판으로 이루어지는 받침수단과; 상기 받침수단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메모용지를 절단하는 절단부로 이루어지는 절단수단과; 상기 수납부에 형성되는 개구부에 삽입되며 일측으로 길이 방향으로 접착부를 구비하는 롤 형태의 메모용지로 이루어지는 메모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절단부는 접착부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납부는 만곡진 내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납수단은 수납부의 중심부에 지지축을 더 구비하며; 상기 메모수단은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받침수단은 받침판의 양측에서 받침판을 지지하는 측판과, 상기 측판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절단수단은 상기 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을 구비하며, 상기 절단부는 회전축에 설치되어 회전축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에 있어서, 메모지 모듈은 착탈수단을 구비하여 수납부의 개구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는 중심부에 상기 지지축이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지지축 가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납부는 일측으로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는 외측으로 요홈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수단은 그 일측이 요홈의 저면과 일체로 이루어지고 타측은 요홈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탄성적으로 요홈에 설치되며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돌기가 걸리는 걸림돌기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돌기의 일측으로 상기 돌출돌기가 삽입되는 걸림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메모용지가 인출공으로부터 인출될 때 메모용지의 접착부 일부분 또는 전부분이 받침판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받침판에는 일단으로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메모지 모듈을 첨부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종래 기술과 동등한 작용을 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을 사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르는 메모지 모듈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메모지 모듈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에 도시한 메모지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메모지 모듈에서 커버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A부를 확대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한 착탈 수단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9는 절단수단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메모지 모듈은 일측의 길이 방향으로 접착부(155)를 구비하며 롤 형태인 메모용지(151)로 이루어지는 메모수단(150)이 수납되며 인출공(113)이 형성된 수납수단(110)과, 상기 수납수단(110)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수납수단(110)의 인출공(113)으로부터 인출되는 메모용지(151)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는 받침수단(120)과; 상기 받침수단(120)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인출되는 메모용지(151)를 사용자가 원하는 폭으로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절단수단(130)과; 상기 수납수단(110)에 수납되는 메모수단(1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납수단(110)은 만곡진 내면(111a)을 가지며, 상기 메모수단(150)이 수납되는 개구부(112)와, 롤 형태의 메모용지(151) 끝단이 인출되는 인출공(113)이 형성되는 수납부(111)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납부(111)의 중심부에 상기 롤 형태의 메모수단(150)이 삽입되는 지지축(11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납수단(110)의 일측으로 구비되는 상기 받침수단(120)은 인출공(113)을 통하여 인출된 메모용지(151)에 메모 내용을 기재할 때 메모용지(151)를 받치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서 평판인 받침판(1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판(121)의 양측으로 상기 받침판(121)을 지지하는 측판(122)을 더 포함하며, 상기 측판(122)에는 지지부(135)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121)에는 메모용지(151)가 인출되는 길이 방향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된 단차부(123)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모용지(151)를 인출하여 받침판(121)의 상부에 위치시키고 메모 내용을 메모용지(151)에 기재할 때 메모용지(151)에 길이 방향으로 구비되는 접착부(155)는 받침판(121)에 부착될 수 있으며, 부착된 후 분리에 의하여 접착부(155)의 접착력은 저하되거나 소멸될 수 있다. 그러나 받침판(121)에 상기와 같은 단차부(123)를 형성하면 단차부(123)의 폭에 따라 메모용지(151) 접착부(155)의 전부 또는 일부는 받침판(121)과 접촉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접착부(155)의 접착력을 보존할 수가 있게 된다.
상기 받침수단(120)의 일측으로 구비되어 인출공(113)을 통하여 인출된 메모용지(151)에 메모 내용을 기재한 후에 메모용지(151)를 원하는 길이(폭)로 절단하는데 사용하는 절단수단(130)은 톱니나 칼날과 같이 메모용지(151)에 전단력을 발생시키는 절단부(1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35)에는 회전축(131)을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절단부(133)를 회전축(131)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회전축(131)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판(121)을 지지하는 전면판(126)에 턱부(124)를 구비하여 받침판(121)과 함께 "ㄴ"자형의 오목부를 형성하고 회전축(131)과 함께 상기 절단부(133)를 회전 가능하게 상기 "ㄴ"자형의 오목부에 설치하고, 회전축(131)을 회전시킴으로써 절단을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3,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9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절단부(133)를 위치시키고 메모용지(151)를 절단할 수 있으며,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회전축(131)을 회전시켜 도 9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로 절단부(133)를 위치시켜 절단부(13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131)을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하여 회전축(131)과 일체로 회전하며 돌기가 형성된 회전손잡이(137)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 미설명 부호 139는 지지부(135)를 측판(12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를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지지부(135)는 접착에 의한 방법으로 측판(122)에 고정할 수도 있고, 접착과 고정나사 모두를 이용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고정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메모수단(150)은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 접착부(155)를 구비하는 롤 형태의 메모용지(151)로 이루어지며, 수납수단(110)이 지지축(115)을 구비하는 경우에는 중심부에 지지축(115)이 삽입되는 삽입공(157)을 형성한다. 상기 메모수단(150)은 소모성이며, 메모용지(150)를 다 소모한 경우에는 또 다른 롤 형태의 메모수단(150)을 수납수단(110)에 수납시켜 사용한다.
도 3, 도 5 및 도 6에서 도면 부호 140은 상기 수납수단(110)의 수납부(111)에 형성되는 개구부(112)를 개폐하는 커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버(140)는 개구부(112)를 개폐하도록 원형으로 형성되며, 단턱부(143)가 형성되며 단턱부(143)로부터 상기 개구부(112)로 삽입되는 삽입부(145)를 구비한다. 그리고 원주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요홈(140a)이 형성되고, 상기 요홈(140a)에 착탈수단(141)이 설치된다. 상기 착탈수단(141)의 일측은 요홈(140a)의 저면에 고정되고, 타측은 요홈(140a)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요홈(140a)에 탄성 변형 가능 하게 설치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착탈수단(141)은 삽입부(145)의 상부로 돌출되어 삽입부(145)가 개구부(112)에 삽입할 때 삽입부(145)와 함께 개구부(112)로 삽입되면서 수납부(111)의 일측으로부터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돌기(117)에 걸리는 걸림돌기(142)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돌기(142)의 일측으로 걸림홈(144)이 형성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40)를 개구부(112)에 삽입하면 커버(140)의 삽입부(145)가 삽입되면서 걸림돌기(142)가 수납부(111)의 돌출돌기(117)와 접촉하면서 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하향 변형하고, 돌출돌기(117)가 걸림돌기(142)를 지나면서 걸림홈(144)이 삽입하여 커버(140)는 개구부(112)에 삽입된 상태에서 수납부(111)에 고정된다.
한편, 커버(140)를 수납부(111)로부터 분리할 때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착탈수단(141)을 화살표 방향으로 변형시켜 돌출돌기(117)와 걸림돌기(142)의 간섭을 해제하고, 커버(140)를 도 8에서 좌측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커버(14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심부에 가이드홈(148)이 형성된 지지축 가이드(147)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140)를 개구부(112)에 삽입하면 상기 가이드홈(148)에 도 5에 도시한 지지축(115)이 삽입되면서 지지축(115)을 지지하여 사용시 지지축(115)이 흔들리거나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메모지 모듈(100)의 사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수단(110)의 수납부(111)에 형성되는 개구부(112)에 롤 형태의 메모용지(151)로 이루어지는 메모수단(150)을 삽입한다. 상기 수납부(111)의 중심부에 지지축(115)을 구비하는 경우 메모수단(150)에 형성되는 삽입공(157)에 지지축(115)이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개구부(112)에 커버(140)를 삽입하여 개구부(112)를 닫는다.
상기와 같이 수납수단(110)에 메모수단(150)이 삽입된 상태에서, 메모수단(150)의 메모용지(151) 끝단을 수납부(111)에 형성되는 인출공(113)을 통하여 인출하고 받침수단(120)의 받침판(121) 상부에 위치시키고, 메모용지(151)에 필요한 내용을 메모한다. 상기에서 받침판(121)이 메모용지(151)를 아래로부터 지지하므로 용이하게 메모용지(151)에 메모 내용을 기재할 수 있다.
상기 받침판(121)에는 메모용지(151)가 인출되는 길이 방향으로 단차부(12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차부(123)를 형성함으로써 인출되는 메모용지(151)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접착부(155)가 받침판(12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 단차부(123)의 폭에 따라서 접착부(155)의 전부 또는 일부가 받침판(12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접착부(155) 넓이(인출되는 길이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의 폭)의 일부가 받침판(121)에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인출되는 메모용지(151)를 받침판(121)에 고정할 수 있어 메모가 용이한 한편, 일부만이 받침판(121)과 접촉하므로 접촉되지 않는 접착부(155)의 접착력은 보존되도록 할 수도 있다.
메모 기재를 완료한 후에 절단하려는 폭(도 1 및 도 2에서의 W에 대비되는 길이)만큼 더욱더 인출하여 절단하려는 위치를 절단수단(130)의 절단부(133)에 위치시켜 메모용지(151)를 절단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는 메모지 모듈(100)을 사용하는 경우 다양한 폭(도 1 및 도 2에서의 W)을 가지는 메모지를 구비할 필요가 없고, 규격 이외의 폭으로도 메모용지(151)를 절단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경,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는 메모지 모듈(100)에 의하면, 롤 형태의 메모수단(150)을 사용하므로 많은 양의 메모용지(151)를 연속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연속되는 메모용지(151)로 메모수단(150)을 구성하므로 절단에 소요되는 생산 공정이 생략되고 따라서 생산 비용이나 시간이 절감되고, 사용자는 메모용지(151)에 자유롭게 메모하고 원하는 길이로 메모용지(151)를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여러 규격의 메모용지가 필요하지 않고 하나의 규격의 용지만을 사용하여 다양한 폭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받침판(121)의 일측으로 단차부(123)를 구비하므로 메모 중에 메모용지(151) 접착부(155)의 접착력이 감소하 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절단부(133)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고 사용하지 않는 경우 절단부(133)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메모용지(151)는 수납부(111)에 수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메모용지(151)가 손상되거나 더럽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메모수단(150)의 메모용지(151) 끝단이 인출되는 인출공(113)과 메모수단(150)이 수용되는 개구부(112)가 형성되는 수납부(111)를 구비하는 수납수단(110)과, 상기 수납수단(110)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수납수단(110)의 인출공(113)으로부터 인출되는 메모용지(151)를 아래에서 지지하는 받침판(121)으로 이루어지는 받침수단(120)과, 상기 받침수단(120)의 일측으로 구비되며 메모용지(151)를 절단하는 절단부(133)로 이루어지는 절단수단(130)과, 상기 수납부(111)에 형성되는 개구부(112)에 삽입되며 일측으로 길이 방향으로 접착부(155)를 구비하는 롤 형태의 메모용지(151)로 이루어지는 메모수단(150)을 포함하며; 상기 메모용지(151)가 인출공(113)으로부터 인출될 때 메모용지(151)의 접착부(155) 일부분 또는 전부분이 받침판(121)에 접촉하지 않도록 상기 받침판(121)에는 일단으로 단차부(123)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모듈(1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133)는 접착부(155)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모듈(100).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1)는 만곡진 내면(111a)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수납수단(110)은 수납부(111)의 중심부에 지지축(115)를 더 구비하며; 상기 메모수단(150)은 상기 지지축(115)이 삽입되는 삽입공(15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모듈(100).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수단(120)은 받침판(121)의 양측에서 받침판(121)을 지지하는 측판(121)과, 상기 측판(121)에 고정 설치되어 회전축(1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135)를 구비하며; 상기 절단수단(130)은 상기 지지부(13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31)을 구비하며, 상기 절단부(133)는 회전축(131)에 설치되어 회전축(131)과 함께 일체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모듈(100).
  5.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지 모듈(100)은 착탈수단(141)을 구비하여 수납부(111)의 개구부(112)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1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커버(140)는 중심부에 상기 지지축(115)이 삽입되는 가이드홈(148)이 형성된 지지축 가이드(14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모듈(10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111)는 일측으로 중심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돌출돌기(117)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140)는 외측으로 요홈(140a)이 형성되고, 상기 착탈수단(141)은 그 일측이 요홈(140a)의 저면과 일체로 이뤄지고 타측은 요홈(140a)의 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탄성적으로 요홈(140a)에 설치되며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돌출돌기(117)가 걸리는 걸림돌기(142)를 구비하며, 상기 걸림돌기(142)의 외향으로 걸림홈(1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메모지 모듈(100).
  7. 삭제
KR1020070080775A 2007-08-10 2007-08-10 메모지 모듈 KR1009101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775A KR100910181B1 (ko) 2007-08-10 2007-08-10 메모지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0775A KR100910181B1 (ko) 2007-08-10 2007-08-10 메모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263A KR20090016263A (ko) 2009-02-13
KR100910181B1 true KR100910181B1 (ko) 2009-07-30

Family

ID=406855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0775A KR100910181B1 (ko) 2007-08-10 2007-08-10 메모지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01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522Y1 (en) * 1982-04-30 1984-03-28 Lee Bang Kyu A telephone
JPH0712296U (ja) * 1993-08-05 1995-02-28 株式会社トンボ鉛筆 メモ台
KR20010081380A (ko) * 2000-02-14 2001-08-29 김태승 롤식 점착메모지
KR200431286Y1 (ko) 2006-08-17 2006-11-23 조용범 메모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40000522Y1 (en) * 1982-04-30 1984-03-28 Lee Bang Kyu A telephone
JPH0712296U (ja) * 1993-08-05 1995-02-28 株式会社トンボ鉛筆 メモ台
KR20010081380A (ko) * 2000-02-14 2001-08-29 김태승 롤식 점착메모지
KR200431286Y1 (ko) 2006-08-17 2006-11-23 조용범 메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263A (ko) 200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181B1 (ko) 메모지 모듈
US6366456B1 (en) Housing with card-retention capability
CN214647178U (zh) 一种城乡规划设计用绘图辅助装置
US7021211B1 (en) Stamp housing assembly
KR100865573B1 (ko) 필기구 및 메모지 꽂이 장치
JP4189885B2 (ja) 活字装置、印字装置及び印字機能付き名刺入れ
EP1285612A1 (en) Printer with photo stand and photo stand detachably attachable to printer
JP2004033490A (ja) カッターナイフの替刃ケース
JP2815776B2 (ja) 給紙カセット
JP2005296636A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ホルダー
JP3109701U (ja) 押し開き天板装着筆箱
KR200365396Y1 (ko) 다이어리 조립체 및 그 지지장치
KR200484385Y1 (ko) 테이블의 공간활용이 용이하면서 다양한 메모지를 사용할 수 있는 메모지 케이스
KR200303964Y1 (ko) 수납 및 사용이 편리한 시디 수납구
KR0114951Y1 (ko) 설계판용 트레이싱지 보관함
JP3123784U (ja) ティッシュボックス用マグネットホルダ
KR200225853Y1 (ko) 탁상용 다용도 필기구통
JP3124804U (ja) カード収納ボックス
KR20020024248A (ko) 메모기능을 구비하는 필통
JPS5830711Y2 (ja) 目録カ−ドロツク装置
JP3095692B2 (ja) ファイル用綴じ具
JP2009155079A (ja) テープディスペンサ
KR200248490Y1 (ko) 화이트보드
JP3124803U (ja) カード収納ボックス
JP3624555B2 (ja) タイムレコ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