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396Y1 - 다이어리 조립체 및 그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다이어리 조립체 및 그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396Y1
KR200365396Y1 KR20-2004-0020731U KR20040020731U KR200365396Y1 KR 200365396 Y1 KR200365396 Y1 KR 200365396Y1 KR 20040020731 U KR20040020731 U KR 20040020731U KR 200365396 Y1 KR200365396 Y1 KR 2003653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diary
base
assembly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07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진
임재천
Original Assignee
이명진
임재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명진, 임재천 filed Critical 이명진
Priority to KR20-2004-00207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39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3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39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1/00Carrying forward or transferring entries from one page to another, e.g. for book-keep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2/00Book-keeping books, form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8Other accessories

Landscapes

  • Sheet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체는, 여러 장의 메모용지들이 포개어져 제본된 다이어리; 그 상면에 상기 다이어리가 놓여져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다이어리를 덮거나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회전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다이어리가 손상되지 않으며 다이어리를 일정각도로 유지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체 지지장치는, 상기 다이어리 조립체를 벽체에 지지하기 위한 다이어리 조립체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트여있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홈부를 가지는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홈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다이어리 조립체를 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이어리 조립체 및 그 지지장치{A diary assembly and the supporting device for the diary assembly}
본 고안은 다이어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이어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되고 사용상 편의를 위해 다이어리를 일정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다이어리 조립체와, 그 다이어리 조립체를 벽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다이어리 조립체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이어리는 일반적으로 한 장씩 넘기면서 날짜별로 간단한 메모를 할 수 있도록 메모용지들을 묶어 놓은 것으로서, 학생들뿐만 아니라 직장인들에 이르기까지 휴대하면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 메모용지는 달력이 디자인된 형태일 수도 있으며 달력이 없는 통상의 메모용지일 수도 있다.
그런데, 종래의 다이어리를 휴대하는 과정에서, 예컨대 가방에 넣어서 휴대하는 경우에 그 다이어리가 가방 속에서 다른 책들이나 물건에 의해 구겨지거나 찢어지는 등의 손상이 종종 발생한다. 또한, 다이어리가 이물질에 오염되기 쉽다. 예컨대 물을 엎질렀을 때에 그 메모용지들이 쉽게 젖게 되며, 특히 메모용지에 메모가 되어 있을 때에는 잉크가 번져서 글씨를 알아볼 수도 없게 된다.
또한, 다이어리를 책상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에, 다이어리가 그 다이어리를 소정각도로 위치시키는 독서대와 같은 별도의 장치 없이는 책상면과 평행하게 놓여지므로 사용자는 고개를 숙여서 메모를 해야한다. 또한, 기록된 메모내용 또는 달력이 있는 메모용지에서 날짜를 확인하기 위해서도 항상 고개를 숙여서 보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다이어리를 벽체에 고정시키는 지지장치가 별도로 마련되어 있지 않았다. 그런데, 필요에 따라서는, 예컨대 메모된 내용을 컴퓨터에 입력하는 경우에 다이어리를 컴퓨터 모니터에 부착시켜 사용자가 동일 시선으로 다이어리와 모니터를 보면서 작업을 한다면 매우 편리할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이어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다이어리를 일정각도로 유지시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다이어리 조립체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상기 다이어리 조립체를 컴퓨터 모니터나 벽 등과 같은 소정의 벽체에 기울어지지 않으면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다이어리 조립체 지지장치를 제공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이어리 조립체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이어리 조립체의 일사용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다이어리 조립체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다이어리 조립체의 다른 사용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다이어리 조립체의 회동부재가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커버가 닫힘위치에서 열림위치로 회전하는 도중에 그 회동부재가 레일부에 접촉하여 슬라이딩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체 지지장치의 지지부재가 벽체에 고정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다이어리 조립체가 그 지지장치에 의해 벽체에 지지된 경우 그 지지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벽체 10...다이어리
12...메모용지 14...코일형 스프링부재
20...베이스 22...샤프트
30...커버 32...메모용지고정부재
40...회동부재 50...지지부재
100...다이어리 조립체 200...다이어리 조립체 지지장치
201...레일부 202...결합돌출부
301...관통공 302...홀
401...자유단부 402...결합돌기부
501...결합홈부 601...돌출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체는 여러 장의 메모용지들이 포개어져 제본된 다이어리; 그 상면에 상기 다이어리가 놓여져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다이어리를 덮거나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회전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체 지지장치는 상기 다이어리 조립체를 벽체에 지지하기 위한 다이어리 조립체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트여있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홈부를 가지는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홈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다이어리 조립체의 배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다이어리 조립체의 일사용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다이어리 조립체(100)는 다이어리(10)와, 베이스(20)와, 커버(30)와, 회전제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다이어리(10)는 여러 장의 메모용지(12)들이 포개어져 제본된 것이다. 상기 메모용지(12)는 달력이 인쇄된 형태일 수도 있고 달력이 없는 통상의 메모용지일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달력이 인쇄되어 있어 메모 기능과 캘린더 기능을 함께 가지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그 메모용지(12)들은 코일형 스프링부재(14)에 의해 묶여 있다.
상기 베이스(20)는 그 상면에 상기 다이어리(10)가 놓여져 지지되는 것이며, 레일부(201)와, 결합돌출부(202)를 구비한다.
상기 레일부(201)는 상기 베이스(20)에 대하여 돌출된 부분이다. 그 레일부(201)는 상기 베이스(20)의 하면에 한 쌍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출부(202)는 상기 다이어리 조립체 지지구조(200)의 구성요소이므로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커버(30)는 상기 다이어리(10)를 보호하기 위해 덮거나 사용하기 위해 노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버(30)는 그 커버(30)와 베이스(20)에 끼워지는 샤프트(22)에 의해 상기 베이스(2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베이스(20)에 결합된다. 상기 샤프트(22)가 상기 코일형 스프링부재(14)에 삽입되어, 상기 메모용지(10)들은 상기 커버(30)가 열리더라도 상기 베이스(20)에서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 커버(30)에는 결합공(301)과, 홀(30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커버(30)의 회전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다. 이 회전제한수단으로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회동부재(4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재(40)는 상기 커버(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커버(30)에 결합된 것이다. 이 회동부재(40)는 결합돌기부(402)와 자유단부(401)를 구비한다.
상기 결합돌기부(402)는 상기 회동부재(4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결합공(301)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상기 자유단부(401)는 상기 회동부재(40)의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는 부분이다. 상기 회동부재(40)의 회전중심축선, 즉 상기 결합돌기부(402)들을 잇는 가상선은 상기 커버(30)의 회전중심축선, 즉 샤프트(22)의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회동부재(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1위치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자유단부(401)가 상기 커버(30)의 회전중심축선에 대해 접근하는 위치이다.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자유단부(401)가 상기 커버(30)의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회동부재(40)의 일측이 상기 커버에 걸리서 상기 회동부재(40)가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는 위치이다.
상기 커버(30)는 닫힘위치와 열림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닫힘위치는 상기 커버(30)가 상기 다이어리(10)를 덮는 위치이다. 상기 열림위치는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된 회동부재(40)가 상기 베이스(20)에 접촉할 때의 상기 커버(30)의 위치이다.
상기 회동부재(40)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커버(30)가 상기 닫힘위치로부터 상기 열림위치로 회전하면, 그 커버(30)의 회전도중에,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커버(30)가 상기 베이스에(20) 대하여 약 180도 회전한 상태에서 상기 자유단부(401)가 상기 베이스(20)의 레일부(201)들에 접촉하여 눌리게 된다. 그후에 상기 커버(30)가 동일한 방향으로 계속해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자유단부(401)가 상기 베이스(20)의 레일부(201)들에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상기 회동부재(40)가 상기 커버(30)에 대해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40)가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커버(30)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상기 열림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다이어리 조립체(100)에는 메모용지고정부재(6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메모용지고정부재(60)는 상기 커버(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커버(30)의 내측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메모용지고정부재(60)의 양측에는 각각 돌출부(601)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601) 각각은 상기 홀(302)들에 결합된다. 상기 메모용지고정부재(60)는 그 메모용지고정부재(60)가 상기 커버(30)의 내면에 접촉하는 위치와, 상기 메모용지고정부재(60)와 상기 커버(30)의 내면과의 사이에 상기 메모용지(12)들이 끼워 넣어질 수 있도록 그 커버(3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체 지지장치의 지지부재가 벽체에 고정된 것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다이어리 조립체가 그 지지장치에 의해 벽체에 지지된 경우 그 지지장치의 주요부분을 나타내는 도 7의 Ⅷ-Ⅷ선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다이어리 조립체 지지장치(200)는 지지부재(50)와, 결합돌출부(202)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재(50)는 컴퓨터 모니터나 벽체 등과 같은 소정의 벽체(1)에 고정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지지부재(50)는 나사 또는 양면테이프 등에 의해 벽체(1)에 고정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부재(50)의 벽체(1)와 마주하는 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상기 지지부재(50)가 벽체(1)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부재(50)에는 결합홈부(501)가 구비되어 있다. 그 결합홈부(50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으로 트여있고, 횡방향, 즉 벽체면의 가로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결합돌출부(202)는 상기 베이스(20)에 마련된 것이다. 상기 결합돌출부(202)는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50)의 결합홈부(501)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다이어리 조립체(100)의 사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이어리 조립체(100)는 그 커버(30)가 닫힘위치에 있어 다이어리(10)를 덮고 있고, 그 회동부재(40)가 제1위치에 있는 상태로 있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다이어리가 보호되며, 사용자는 다이어리 조립체(100)를 휴대하게 된다.
휴대하고 있던 다이어리 조립체(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커버(30)를 열어야하며, 커버(30)를 열어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는 일반적으로 도 3에 도시된 상태와 도 5에 도시된 상태가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회동부재(40)의 자유단부(401)를 그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커버(30)의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커버(30)에 대하여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커버(30)를 회전시키면 그 회동부재(40)는 그 일측이 커버(30)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제2위치까지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동부재(40)가 제2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커버(30)를 그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베이스(20)에 대하여 회전시켜 탁상에 놓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이어리 조립체(100)가 레일부(201)들과 회동부재(40)의 자유단부(401)에 의해서 탁상에서 지지되게 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다이어리 조립체(100)가 탁상에 놓인 상태에서, 메모용지(12)에 필요한 메모를 하거나 기록된 내용을 볼 수 있으며, 메모용지(12)에 달력이 인쇄되어 있는 경우라면 날짜를 확인할 수도 있다. 한편, 다 쓴 메모용지(12)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모용지고정부재(60)를 커버(30)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회전시킨 후에 커버(30)의 내면과 그 메모용지고정부재(60) 사이에 도 3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끼워서 넣으면 손쉽게 새로운 메모용지(12)에 메모를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렇게 끼워진 메모용지(12)는 커버(30)를 닫힘위치로 회전시킨 후에 다시 도 3 및 도 4와 같은 상태로 회전시키더라도 커버(30)의 내면과 메모용지고정부재(60) 사이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다 쓴 메모용지(12)를 다이어리(10)에서 제거하거나 커버(30)의 내면쪽으로 넘기는 별도의 동작 없이도 새로운 메모용지(12)에 메모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메모용지를 사용한 후에는, 커버(30)를 닫힘위치로 회전시키고 회동부재(40)를 제1위치로 회전시켜 다이어리 조립체(100)를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만들어서 휴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커버(30)를 그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베이스(20)에 대하여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커버(30)가 회전함에 따라, 회동부재(40)는 커버(30)와 일체로 베이스(20)에 대하여 회전하게 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와 베이스(20)가 대략 180도 각도를 유지하기까지 커버(30)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회동부재(40)의 자유단부(401)는 레일부(201)들에 접촉한다. 도 6에 도시된 상태에서, 커버(30)를 베이스(20)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게 되면, 그 커버(30)가 회전함에 따라 자유단부(401)가 레일부(201)에 슬라이딩된다. 이러한 자유단부(401)의 슬라이딩과 함께, 회동부재(40)가 커버(30)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게 된다. 계속해서 커버(30)를 베이스(20)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40)의 일측이 커버(30)에 걸려서 그 회동부재(40)는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커버(30)가 제2위치에 위치하면, 그 자유단부(401)가 레일부(201)에 접촉하게 되어 커버(30)도 더 이상 회전할 수 없는 열림위치에 위치하게 되고, 다이어리 조립체(100)를 탁상에 놓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샤프트(22)와 커버(30) 및 베이스(2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커버(30)와 베이스(20)가 탁상면에 대하여 미끄러지지 않기 때문에, 다이어리 조립체(100)는 도 5에 도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를 가지게 되면, 단지 커버(30)를 회전시킴으로써 그에 연동되어 회동부재(40)도 회전하게 되어 도 5에 도시된 상태를 만들 수 있어 편리하다. 그러나, 회동부재(40)를 미리 제2위치로 회전시켜둔 후에 커버(30)를 열림위치로 회전시켜서 도 5에 도시된 상태를 만들 수도 있다.
도 5와 같이 다이어리 조립체(100)가 탁상에 놓인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용지(12)에 필요한 메모를 하거나 기록된 내용을 보거나, 메모용지(12)에 인쇄되어 있는 카렌더를 통해서 날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 쓴 메모용지(12)나 날짜가 지나간 메모용지(12)를 커버(30)의 내면과 메모용지고정부재(60)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또한, 사용한 후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30)와 회동부재(40)를 회전시켜서 도 1에 도시된 상태를 만들어 휴대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체(100)는 다이어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되며 다이어리를 일정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레일부가 구비되어 있어, 자유단부가 베이스의 하부에 슬라이딩되는 때에 베이스의 하부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다이어리 조립체 지지장치(200)의 사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지지부재(50)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면테이프(미도시)를 사용하여 벽체(1)에 고정시킨다. 지지부재(50)가 벽체(1)에 고정된 후에, 도 1에 도시된 다이어리 조립체(100)를 그 베이스(20)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돌출부(202)와 지지부재(50)의 결합홈부(501)가 서로 마주하도록 도 8에 가상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돌출부(202)와 결합홈부(501)가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 베이스(20)의 하면이 지지부재(50)에 닿도록 밀착시킨다. 베이스(20)의 하면이 지지부재(50)에 밀착된 상태에서 다이어리 조립체(100)를 하방으로 이동시키면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출부(202)가 결합홈부(501)에 끼워 넣어져, 다이어리 조립체(100)가 벽체(1)에 고정된다. 이때, 결합돌출부(202)와 결합홈부(501)는 그 길이들이 충분히 길기 때문에, 다이어리 조립체(100)가 벽체(1)에 대하여 기울어지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이어리 조립체(100)가 벽체(1)에 고정된 후에, 커버(30)를 그 회전중심축선을 중심으로 베이스(20)에 대하여 회전시켜 커버(30)와 베이스(20)가 대략 180도 각도를 이루도록 만든다. 샤프트(22)와 커버(30) 및 베이스(20) 사이의 마찰력에 의하여 커버(30)가 중력에 의하여 제1위치로 회전하지 않기 때문에, 다이어리 조립체(100)는 커버(30)와 베이스(20)가 약 180도 각도를 이루며 그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메모용지(12)에 필요한 메모를 하거나 메모용지(12)에 인쇄되어 있는 카렌더를 통해서 날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다 쓴 메모용지(12)나 날짜가 지나간 메모용지(12)를 커버(30)의 내면과 메모용지고정부재(60) 사이에 끼워 넣을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상태에서 다이어리 조립체(100)를 다 사용한 후에, 커버(30)를 닫힘위치로 회전시킨다. 그 후에, 베이스(20)를 상방으로 이동시켜 결합돌출부(202)를 결합홈부(501)로부터 이탈시킨다. 이와 같이 결합돌출부(202)가 결합홈부(501)로부터 이탈된 후에, 다이어리 조립체(100)를 벽체(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지지부재(50)로부터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분리된 다이어리 조립체(100)를 휴대하여 다른 장소에서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다이어리 조립체 지지장치(200)는 결합돌출부(202)와 지지부재(50)를 포함하여, 간단한 조작을 통해서 다이어리 조립체(100)를 컴퓨터 모니터나 벽 등과 같은 벽체(1)에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 벽체(1)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다.
이상,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명백하다.
상기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이어리가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되며, 다이어리를 일정각도로 유지시켜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이어리 조립체 지지장치에 의하여 다이어리 조립체를 컴퓨터 모니터나 벽 등과 같은 소정의 벽체에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으며 그 벽체로부터 분리시킬 수도 있다.

Claims (7)

  1. 여러 장의 메모용지들이 포개어져 제본된 다이어리;
    그 상면에 상기 다이어리가 놓여져 지지되는 베이스;
    상기 다이어리를 덮거나 노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베이스에 결합되는 커버; 및
    상기 커버의 회전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수단을 구비하는 다이어리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수단은 상기 커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그 커버에 결합되는 회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중심축선은 상기 커버의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마련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그 자유단부가 상기 커버의 회전중심축선에 대해 접근된 제1위치와 그 자유단부가 상기 커버의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회동부재의 일측이 상기 커버에 걸리는 제2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커버는 상기 다이어리를 덮는 닫힘위치와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된 회동부재가 상기 베이스에 접촉하는 열림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상기 커버가 상기 닫힘위치로부터 상기 열림위치로 회전하면, 그 커버의 회전도중에 상기 회동부재의 자유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의해 눌려서 상기 제2위치로 회전됨과 아울러, 그 제2위치에 위치한 회동부재의 자유단부가 상기 베이스에 걸림으로써, 상기 커버가 상기 열림위치에서 정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조립체.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면에는 한 쌍의 레일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회동부재의 자유단부가 상기 레일부들에 접촉하여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에 대해, 그 커버의 내면에 접촉하는 위치와, 그 커버의 내면과의 사이에 상기 메모용지들이 끼워 넣어질 수 있도록 그 커버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 사이에서 회전 가능하게 그 커버의 내측에 결합되는 메모용지고정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조립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와 베이스에 끼워진 샤프트에 의해 상기 베이스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메모용지들은 코일형 스프링부재에 의해 묶여 있으며,
    상기 스프링부재에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상기 메모용지들이 상기 베이스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조립체.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다이어리 조립체를 벽체에 지지하기 위한 다이어리 조립체 지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벽체에 고정되며, 상방으로 트여있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홈부를 가지는 지지부재; 및
    상기 베이스에 형성되며,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결합홈부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지는 결합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이어리 조립체 지지장치.
KR20-2004-0020731U 2004-07-21 2004-07-21 다이어리 조립체 및 그 지지장치 KR20036539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731U KR200365396Y1 (ko) 2004-07-21 2004-07-21 다이어리 조립체 및 그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0731U KR200365396Y1 (ko) 2004-07-21 2004-07-21 다이어리 조립체 및 그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396Y1 true KR200365396Y1 (ko) 2004-10-22

Family

ID=49439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0731U KR200365396Y1 (ko) 2004-07-21 2004-07-21 다이어리 조립체 및 그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39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15873A (en) Rotatable writing support notebook insert
CA2535355A1 (en) A universal bookholder
KR200365396Y1 (ko) 다이어리 조립체 및 그 지지장치
GB2459899A (en) Enclosure for a writing instrument
JP2007286630A (ja) 原稿圧着板開閉装置
JP3114399U (ja) クリップ式しおり
CN214138036U (zh) 一种双面书写装置
CN101737415B (zh) 枢接结构
CN211106502U (zh) 一种多功能活页装订环
KR100726839B1 (ko) 책카버용 회동힌지부재 및 이를 이용한 책카버
KR20210060148A (ko) 다이어리 케이스
KR900009780Y1 (ko) 권회 접착 테이프 홀더
KR200433956Y1 (ko) 서류용 지철구
KR20090019314A (ko) 결착형 메모지 수납장치
KR200478710Y1 (ko) 메모지 홀더
KR102410741B1 (ko) 포스트잇이 내장되는 필기장
CN220752756U (zh) 一种多功能打卡器及阅读支架
CN212171751U (zh) 一种作业本保护装置
CN216033417U (zh) 可放置电子产品的书写板
JPH11143578A (ja) キーボードカバー及びこのキーボードカバーを具えた情報処理装置
KR200416465Y1 (ko) 다기능 휴대 책카버
JP2940412B2 (ja) インデックス装置
KR960002943Y1 (ko) 메모지가 내장된 필기구
KR200380419Y1 (ko) 휴대용 수첩
JPS6016987Y2 (ja) 熟語ブツク保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