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646B1 - 현금 취급장치 - Google Patents

현금 취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646B1
KR100909646B1 KR1020070115917A KR20070115917A KR100909646B1 KR 100909646 B1 KR100909646 B1 KR 100909646B1 KR 1020070115917 A KR1020070115917 A KR 1020070115917A KR 20070115917 A KR20070115917 A KR 20070115917A KR 100909646 B1 KR100909646 B1 KR 1009096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sensor
voltage value
voltage
rise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9502A (ko
Inventor
아키히로 사사키
쿠니히코 마루야마
Original Assignee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끼 덴끼 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9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9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6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3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monitoring or indicating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malfunc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9Monitoring, auditing or diagnose of functioning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전체의 센서 및 모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단시간에 확인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각 부분에서 구동원으로서 사용되는 복수의 모터와, 각 부분에 설치되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한 지폐처리기에 있어서, 센서 전압 임계값와, 모터 전압 임계값, 모터의 상승 시간 임계값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가지고, 센서 및 모터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에, 각 센서의 센서 전압값을 취득하고, 센서 전압값과 센서 전압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센서마다 동작이 정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각 모터의 모터 전압값과 상승 시간을 취득하고, 모터 전압값과 모터 전압 임계값을 비교하는 동시에, 상승 시간과 상승 시간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모터마다 동작이 정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자동거래장치, 지폐처리장치, 센서 전압, 모터 전압, 모터 상승 시간

Description

현금 취급장치{CASH HANDLING APPARATUS}
본 발명은, 지폐처리기 등의 자동거래장치의 보수 점검 기능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1회의 조작에 의해 모든 센서 및 모터의 동작이 정상인가 아닌가의 확인을 일괄해서 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지폐처리기는, 지폐 투입구에 투입된 지폐를 1매씩 분리해서 감별부에서 진위, 돈의 종류, 훼손 등의 감별을 행하는 동시에,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를 계수하고,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를 돈의 종류별로 일시 집적부에 일시 집적하고, 100매 집적된 지폐를 이송 기구에 의해 지폐 다발 밀봉기구로 나르고, 지폐 다발 밀봉기구에서 지폐를 지대로 불리는 테이프로 결속해서 배출구에서 계원에게 배출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특개 2002-197509호(단락 「0038」-단락 「0045」, 도1) 일반적으로 전술한 지폐처리기는, 계원에 의해 각 부분에 구비되어 있는 센서 및 모터의 동작을 확인하는 점검 작업이 행해질 때, 센서의 점검에서는 모든 센서 에 대하여 발광 전류를 흘려보내는 것으로 취득하는 센서 전압값을 바탕으로 각 센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또한 모터의 점검에서는 대상이 되는 모터를 회전시켜서, 그 모터의 상승 시간이 느리거나, 혹은 모터의 속도가 안정되지 않는 것 등의 경우에 모터의 동작이 정상인 아니라고 판단하고 있다.
그렇지만, 전술한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는, 센서의 동작의 확인과 모터의 동작의 확인을 각각 행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모터의 점검을 행할 때에는 모터를 개별적으로 점검하기 위해서 그 때마다 점검을 위한 입력 조작을 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모든 모터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대단히 손이 많이 가는 동시에 시간도 걸려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현금의 반송, 내보냄 및 받아들임을 행하는 각 부분에서 구동원으로서 사용되는 복수의 모터와, 상기 각 부분에 설치되어서 현금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한 자동거래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마다의 센서 전압 임계값와, 상기 모터마다의 모터 전압 임계값, 모터의 상승 시 간 임계값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가지고, 상기 센서 및 모터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에, 각 센서의 센서 전압값을 취득하고, 상기 센서 전압값과 상기 센서 전압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센서마다 동작이 정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각 모터의 모터 전압값과 상승 시간을 취득하고, 상기 모터 전압값과 상기 모터 전압 임계값을 비교하는 동시에, 상기 상승 시간과 상기 상승 시간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모터마다 동작이 정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은, 센서와 모터의 동작 확인의 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에, 모든 센서 및 모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가 아닌가의 확인을 일괄해서 행할 수 있으므로, 계원에 있어서의 수고가 경감하고, 더구나 모든 센서와 모터 동작 확인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거래장치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의 자동거래장치로서의 지폐처리기의 구조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지폐 수취부로서, 지폐처리기 정면에 설치한 지폐 투입 구를 가지고, 그 지폐 투입구에 투입된 지폐를 받아들이는 기능을 가진다.
2는 표시 입력부이며, 지폐처리기 정면의 접객면에 노출시켜서 설치되어 있고, CRT 디스플레이 또는 액정 모니터 등의 표시부와, 그 표시부 위에 배치된 터치패널의 입력부에 의해 구성되고, 표시부에 오퍼레이터에의 조작을 유도하는 화면이나 입력 키를 표시하고, 터치패널로부터 입력 키를 누름으로써 입력 키에 정의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3은 반송부이며, 지폐 수취부(1)의 지폐투입구에 투입된 지폐를 지폐처리기 내부의 각 부분에 반송하는 기능을 가진다.
4는 감별부이며, 반송부(3)에 의해 반송된 지폐의 종류나 훼손, 진위 등을 감별하는 기능을 가진다.
5는 리젝트 집적부이며, 감별부(4)에서 돈의 종류가 불명으로 감별된 지폐 등의 리젝트 지폐를 집적하도록 되어 있고, 집적된 리젝트 지폐는 외부에서 꺼내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6은 집적 기구이며, 종 방향으로 1열로 늘어 놓은 5개의 일시 집적부(6a)를 구비하고 있고, 감별부(4)에서 정상으로 감별되어서 반송부(3)에 의해 반송된 지폐를 일시 집적부(6a)에 집적하는 기능을 가진다.
각 일시 집적부(6a)는, 돈의 종류마다 지폐를 정해진 매수(예를 들면 100매)만큼 집적할 수 있게 되어 있다.
7은 지폐 다발 밀봉기구이며, 100매로 집적한 지폐 다발에 지대로 불리는 테이프로 밀봉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 이외에, 밀봉된 지폐 다발을 도면에 나타나 있 지 않은 지폐 다발 배출구로 반송해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진다.
8은 핸드부로서, 집적 기구(6)와 지폐 다발 밀봉기구(7) 사이를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되고, 일시 집적부(6a)에서 100매 집적한 지폐 다발을 일괄해서 받아서 그 지폐 다발을 지폐 다발 밀봉기구(7)까지 운반하여 주고받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10은 오픈 포켓이며, 감별부(4)에서 돈의 종류가 감별된 지폐 중에서, 밀봉 대상 외의 돈의 종류의 지폐를 집적해서 계원에게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되어, 지폐처리기 상부에 2군데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의 지폐처리기로 매상고 정밀조사를 위해 지폐의 계수처리를 행할 경우, 계원에 의한 표시 입력부(2)에서의 지폐 계수처리를 위한 입력 조작이 행해지고, 지폐투입구에 지폐가 투입되면, 그 지폐는 반송부(3)에 의해 감별부(4)에 반송된다.
그리고, 감별부(4)는, 반송된 지폐의 진위, 돈의 종류, 훼손 등의 감별을 행하여, 진권으로 감별된 지폐는 반송부(3)에 의해 일시 집적부(6a) 혹은 오픈 포켓(10)에 반송된다.
이때 감별부(4)에서 진권으로 감별한 지폐의 금액을 인식하여, 합계액을 계수해 나가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일시 집적부(6a)에 집적되는 지폐는 반송부(3)의 도중에 설치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지폐 반전부에 의해 표리를 반전시킴으로써 지폐의 표리를 일치시킨 상태에서 일시 집적부(6a)에 집적하도록 하고 있다.
이때, 진권으로 감별되지 않은 지폐는 리젝트 지폐로서 반송부(3)에 의해 리젝트 집적부(5)에 집적된다.
일시 집적부(6a)에 반송되어서 집적된 지폐는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카운터에 의해 집적 매수를 계수하여, 100매 집적하고 있는 것을 계수하였을 때에 핸드부(8)에 의해 100매의 지폐 다발을 추출해서 지폐 다발 밀봉기구(7)로 이동시켜서 건네준다.
지폐 다발 밀봉기구(7)는, 건네받은 지폐 다발을 밀봉 해서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지폐 다발 배출구로 반송해서 계원에게 배출한다.
그리고, 지폐 다발이 배출된 후, 표시 입력부(2)는 지폐 다발을 배출한 취지의 화면과 계수된 진권의 합계 금액 등을 배치한 계수결과 화면을 표시한다.
도 2은 지폐처리기를 나타낸 회로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15은 주제어부이며, 주기억부(16)에 격납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지폐처리기의 각 부분의 동작을 통괄 제어한다.
주제어부(15)는, 부제어부(17)와 하위 제어부(20)와 접속하고 있고, 부제어부(17)를 통해 표시 입력부(2)에의 화면표시나 계원으로부터의 입력 내용을 접수하여, 하위 제어부(20)를 통해 지폐처리기의 각 부분에 설치된 센서 및 모터의 동작 지시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16은 주기억부이며, 제어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것 이외에, 센서의 발광 전압 레벨과 수광전압 레벨을 판정하기 위한 센서 판정 정보, 모터의 상승 시간과 모터 부하 전압 레벨을 판정하기 위한 모터 판정 정보를 격납하고 있고, 더구나 주제어 부(15)에 의한 처리 결과 등을 기억한다.
또한, 주기억부(16)는, 센서의 각종 전압 레벨 등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센서의 동작에 이상이 발생할 가능성을 고려한 조속한 조치의 유무 등을 판정하기 위한 센서에 관한 조치 랭크의 테이블을 격납하고 있다.
이때, 센서에 한정되기 않고, 모터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이며, 그 경우는 모터의 모터 부하 전압 레벨과 상승 시간 등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모터에 관한 조치 랭크의 테이블을 격납하고 있다.
17은 부제어부이며, 주제어부(15)과 접속하여, 부기억부(18)가 격납하는 표시 입력부(2)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서 계원에 의해 표시 입력부(2)에서 입력된 내용을 주제어부(15)에 전하는 것 이외에, 주제어부(15)에서 접수한 정보에 따른 내용을 표시 입력부(2)에 표시시켜, 표시 입력부(2)의 동작을 제어한다.
18는 부기억부이며, 표시 입력부(2)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지폐의 계수처리를 행하기 위한 조작 화면, 지폐처리기의 보수 점검을 행하기 위한 조작 화면 등을 격납하는 것 이외에, 부제어부(17)가 주제어부(15)에서 수신한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기억 에어리어를 가지고 있다.
20은 하위 제어부이며, 주제어부(15)와 접속하여, 하위 기억부(21)에 격납된 모터 제어와 센서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에 따라 반송부(3), 집적 기구(6), 지폐 다발 밀봉기구(7), 핸드부(8)에 설치되는 수광소자와 발광소자를 구비한 광학 센서(간단히 센서라고 한다)와 분리 반송 모터(간단히 모터라고 한다)의 제어나 동작 확인을 행한다.
하위 기억부(21)는, 모터 제어나 센서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나, 제어하는 센서 및 모터의 설치 장소 등을 특정하는 식별 번호를 격납하는 것 이외에, 센서의 발광 전류 확인을 행할 때에 필요한 수광전압값, 센서의 수광전압 확인을 행할 때에 필요한 발광 전류값이나, 분리 반송 모터의 판정 상승 시간과 모터 전류 확인에 필요한 구동전류값 등을 격납하는 것 이외에, 하위 제어부(20)에 의한 처리 결과를 기억한다.
또한 하위 기억부(21)는 센서의 발광 전류 확인에서 얻어지는 발광 확인 전압값의 임계값(발광 전압 임계값이라고 한다)과, 센서의 수광전압 확인으로 얻어지는 수광 확인 전압값의 임계값(수광전압 임계값이라고 한다), 모터 전류 확인으로얻어지는 모터의 전류로부터의 모터 전압값의 모터 전압 임계값을 격납하고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있어서 하위 제어부(20)가 4개 설치되어 있고, 각 하위 제어부(20)에서 반송부(3), 감별부(4), 집적 기구(6), 지폐 다발 밀봉기구(7), 핸드부(8)에 구비된 센서 및 모터의 동작을 분담해서 제어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기억부(16)에는, 지폐처리기의 각 부분에 설치된 센서와 모터마다 통전한 통전 시간을 기억해 두는 것 이외에, 지폐처리기의 청소 실시의 이력을 기억해 두기 위한 기억 에어리어를 확보하고 있다.
통전 시간은, 주제어부(15)가 하위 제어부(20)에 센서 및 모터의 동작을 지시하고나서, 동작의 종료를 지시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취득한다.
전술한 구성의 작용에 대해서 도 3에 나타낸 지폐처리기의 자기진단 테스트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를 사용해서 S로 나타낸 스텝에 따라 설명한다.
여기에서, 도 4는 보수기능 초기 화면을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자기진단 테스트 확인 화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이때,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 있는 하위 제어부(20)은 모두 동일하게 처리를 행하기 때문에, 이하의 흐름도에서는 1개의 하위 제어부(20)가 행하는 처리로 설명한다.
S1, 계원이 표시 입력부(2)에 의해 지폐처리기의 보수 점검을 위한 조작을 행하면, 부제어부(17)는 도 4에 나타낸 액추에이터 테스트, 센서 조정 테스트, 자기진단 테스트 등의 입력 키를 배치한 보수기능 초기 화면을 표시 입력부(2)에 표시한다.
자기진단 테스트는, 각 센서 및 각 모터에 대해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의 에러 판정을 행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센서 진단 정보와 모터 진단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처리이며, 일괄 코멘트에 집압되어 1회의 조작으로 모든 센서 및 모터에 관한 정보가 취득 가능하게 되어 있다.
계원은 표시된 보수기능 초기 화면의 자기진단 테스트의 입력 키를 누른다.
S2, 부제어부(17)는, 자기진단 테스트의 입력 키가 눌러진 것을 인식하면, 도 5에 나타낸 자기진단 테스트를 실행하기 위한 「실행」키와 보수기능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가기 위한 「되돌림」 키를 배치한 자기진단 테스트 확인 화면을 표시 입력부(2)에 표시한다.
계원은 표시된 자기진단 테스트 확인 화면의 「실행」키를 누른다.
S3, 부제어부(17)는, 자기진단 테스트를 실행하는 취지를 주제어부(15)에 통 지한다.
S4, 자기진단 테스트를 실행하는 취지의 통지를 받은 주제어부(15)는, 모든 하위 제어부(20)에 대하여 센서 확인 지시를 전한다.
S5, 하위 제어부(20)는, 하위 기억부(21)로부터 수광전압값과 발광 전류값을 판독하여, 우선 센서에 발광 전류를 흘려보냄으로써 발광한 빛에서 얻어지는 수광전류를 아날로그 전압으로 변환하고, 다시 AD 변환 기능에 의해 전압값을 인식하여, 그 전압값이 판독한 수광전압값 이하가 될 때까지 발광 전류를 단계적으로 상승시켜 가, 수광전압값 이하가 되었을 때의 발광 전류의 전압값(발광 확인 전압값이라고 한다)을 인식하고, 그 발광 확인 전압값을 하위 기억부(21)에 기억한다.
S6, 하위 제어부(20)는, 다음에 상기 스텝 S5에서 판독된 발광 전류값에 따라서 센서에 전류를 흘려보내고, 그 때에 센서의 수광전류의 전압값(수광확인 전압값)을 인식해서 하위 기억부(21)에 기억한다.
S7, 하위 제어부(20)는, 하위 기억부(21)에 기억하고 있는 발광 확인 전압값과 수광확인 전압값, 격납하고 있는 발광 전압 임계값과 수광전압 임계값을 판독하여, 발광 확인 전압값과 발광 전압 임계값을 비교하는 동시에, 수광확인 전압값과 수광전압 임계값을 비교해서 센서에 대해서 에러의 유무를 판정하여, 그 에러 유무의 결과로서 센서 판정 결과를 하위 기억부(21)에 기억한다.
센서에 관한 에러 유무의 판정은, 구체적으로 발광 확인 전압값이 발광 전압 임계값 이하로 있는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동시에, 수광확인 전압값이 수광전압 임계값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발광 확인 전압값이 발광 전압 임계값 이하이 고, 또한 수광확인 전압값이 수광전압 임계값 미만인 경우에는 에러 없슴으로 판정하고, 발광 확인 전압값이 발광 전류임계값을 초과하고 있거나, 혹은 수광확인 전압값이 수광전압 임계값 이상일 때에 에러 있음으로 판정한다.
S8, 하위 제어부(20)는, 하위 기억부(21)로부터 에러 유무의 판정을 행한 센서의 식별 번호를 판독하는 동시에, 기억된 센서 판정 결과와 발광 확인 전압값, 수광확인 전압값을 판독하여, 판독한 센서의 식별 번호, 판정 결과, 발광 확인 전압값, 수광확인 전압값을 부가한 센서 확인 정보를 주제어부(15)에 송신한다.
S9, 주제어부(15)는, 수신된 센서 확인 정보의 식별 번호, 센서 판정 결과, 발광 확인 전압값, 수광확인 전압값을 주기억부(16)에 기억하고, 모터 확인 지시를 하위 제어부(20)에 전해준다.
S10, 하위 제어부(20)는, 분리 반송 모터를 동작시키고나서 일정 속도에 이를 때까지의 모터의 상승 시간을 타이머 기능에 의해 측정하여, 그 상승 시간을 하위 기억부(21)에 기억하고, 계속해서 하위 기억부(21)로부터 구동전류값을 판독해서 그 구동전류값으로 모터를 구동했을 때의 모터에 흐르는 전류의 전압값을 인식하여, 그 모터 전압값을 하위 기억부(21)에 기억한다.
S11, 하위 제어부(20)는, 하위 기억부(21)에 기억된 상승 시간과 모터 전압값, 격납된 판정 상승 시간과 모터 전압 임계값을 판독하고, 상승 시간과 판정상승 시간을 비교하는 동시에, 모터 전압값과 모터 전압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모터 동작에 있어서의 에러의 유무를 판정하여, 그 모터 판정 결과를 기억한다.
모터 동작에 있어서의 에러 유무의 판정은, 구체적으로 상승 시간이 판정 상 승 시간 이하인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동시에, 모터 전압값이 모터 전압 임계값 미만인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상승 시간이 판정 상승 시간 이하에이고, 또한 모터 전압값이 모터 전압 임계값 미만일 때에 에러없슴으로 판정하고, 상승 시간이 판정 상승 시간을 넘고 있거나, 혹은 모터 전압값이 모터 전압 임계값 이상일 때에 에러 있음으로 판정한다.
S12, 하위 제어부(20)는, 하위 기억부(21)에서 에러 유무의 판정을 행한 모터의 식별 번호를 판독하는 동시에, 기억된 판정 결과와 상승 시간, 모터 전압값을 판독하여, 모터의 식별 번호, 모터 판정 결과, 상승 시간, 모터 전압값을 부가한 모터 확인 정보를 주제어부(15)에 송신한다.
S13, 주제어부(15)는, 수신된 모터 확인 정보의 식별 번호, 모터 판정 결과, 상승 시간, 모터 전압값을 주기억부(16)에 기억해 두고, 주기억부(16)에 기억한 센서의 식별 번호, 센서 판정 결과, 발광 확인 전압값, 수광확인 전압값 및 모터의 식별 번호, 모터 판정 결과, 상승 시간, 모터 전압값을 판독하여, 그것들을 사용해서 각 센서 및 각 모터에 관한 양부 판정 및 조치 판정을 행해서 센서 진단 정보와 모터 진단 정보를 구성한다.
여기에서, 도6은 센서에 있어서의 자기진단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센서의 자기진단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낸 센서 진단 정보는 센서가 설치되는 「부위」, 센서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 상기 의 센서 판정 결과와 발광 확인 전압값, 수광확인 전압값 등으로부터 정하는 「양 부 판정 No」, 그 양부 판정 No에 근거한 조치를 나타낸 「조치 No」, 조치 실시의 유무를 나타낸 「조치 실시」 등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주제어부(15)는, 「식별 번호」의 항목에는 판독된 식별 번호를 사용하고, 또한 「부위」의 항목은 판독한 식별 번호로부터 인식한 센서의 설치 장소를 사용해서 결정한다.
양부 판정 No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치 랭크와 발광 전압 레벨, 수광전압 레벨, 수명·소모 레벨, 하드웨어 이상 레벨, 에러 코드로 구성된다.
조치 랭크는 발광 전압 레벨, 수광전압 레벨, 수명·소모 레벨, 하드웨어 이상 레벨, 에러 코드로부터 종합적으로 결정되는 것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후술한다.
「발광 전압 레벨」은, 발광 확인 전압값에 따라, 미리 정해진 17단계(00∼16)의 레벨에 맞춰서 결정되며, 발광 확인 전압값이 작아져 발광소자가 가장 정상적인 상태에 가까울 때에는 낮은 레벨을 부여하도록 하고, 발광 확인 전압이 에러 등으로 취득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00」을 부여한다.
「수광전압 레벨」은, 수광확인 전압값에 따라, 미리 정해진 6단계 (00∼05)의 레벨에 맞춰서 결정되고, 수광확인 전압값이 커서 수광소자가 가장 정상적인 상태에 가까울 때에 낮은 레벨을 부여하도록 하고, 수광확인 전압이 에러 등으로 취득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00」을 부여한다.
「수명, 소모 레벨」은, 5단계(01∼05)로 분류해서 정하고 있고, 판독한 발광 확인 전압값과 수광확인 전압값 이외에, 주기억부(16)에 기억하고 있는 센서마 다의 「통전 시간」, 지폐처리기의 「청소 실시의 이력」 등으로부터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결정하고 있다.
「하드웨어 이상 레벨」은, 5단계(01∼05)로 분류해서 정하고 있고, 주억부(16)로부터 판독된 센서 판정 결과, 발광 확인 전압값, 수광확인 전압값으로부터 결정하고 있다.
「에러 코드」는, 발광 확인 전압값이 발광 전류 임계값을 초과하고 있었거나, 또는 수광확인 전압값이 수광전압 임계값 미만이었을 경우의 어느 한쪽, 혹은 양쪽 동시에 발생했을 경우에 각각의 경우에 따른 코드가 부여되도록 되어 있고, 에러 없슴의 경우에는 「0000」이 된다.
「조치 랭크」는, 주기억부(16)에 격납되어 있는 조치 랭크의 테이블을 사용해서 결정하도록 하고 있고, 5단계(01∼05)의 랭크로 분류되어 있다.
조치 랭크 5는 조치 필요(고장 레벨)로 하고, 에러 있음으로, 「하드웨어 이상 레벨」과 「수명, 소모 레벨」에 의해 고장이라고 인식했을 경우에 부여된다.
조치 랭크 4는 조치 필요(중지 레벨)로 하고, 에러 없슴이지만, 「하드웨어 이상 레벨」과 「수명, 소모 레벨」로부터 해당 센서에 에러가 발생하기 쉬운 상황일 경우에 부여된다.
조치 랭크 3은 조치 불필요(정상 레벨)로 하고, 에러없슴으로, 「하드웨어 이상 레벨」과 「수명, 소모 레벨」, 「발광 전압 레벨」, 「수광전압 레벨」로부터, 에러로서 나타나고는 있지 않지만 센서가 오염되어 있는 등의 알람적인 문제가 예상될 경우에 부여된다.
조치 랭크 2는 조치 불필요(정상 레벨)로 하고, 에러 없슴으로, 「하드웨어 이상 레벨」, 「수명, 소모 레벨」이 낮고, 「발광 전압 레벨」과 「수광전압 레벨」로부터, 전체적으로 운용상 문제가 없을 경우에 부여된다.
조치 랭크 1은 조치 불필요(정상 레벨)로 하고, 에러없슴으로, 「하드웨어 이상」, 「수명, 소모」의 판정 레벨은 「01」이며, 「발광 전압 레벨」과 「수광전압 레벨」로부터, 전체적으로 운용상 문제가 없고, 거의 열화하고 있지 않는 상황에 있는 경우에 부여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정해진 조치 랭크와 발광 전압 레벨, 수광전압 레벨, 수명·소모 레벨, 하드웨어 이상 레벨, 에러 코드에 의해 양부 판정 No가 결정한다.
계속해서, 센서의 조치 판정에 근거한 「조치 No」를 결정해 간다.
조치 No는 상기에서 규정한 양부 판정 No에 대응한 것을 결정해 가도록 하고 있고, 예를 들면 「센서의 오염」이 상정되는 경우에는, 「청소」의 No를 부여하고, 「센서의 고장」의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는 「교환」의 No를 부여한다.
다음에 모터에 관한 자기진단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낸 모터 진단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다.
여기에서, 도7은 모터에 있어서의 자기진단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모터의 자기진단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낸 문 자열은 모터가 설치되어 있는 「부위」, 모터를 특정하는 「식별 번호」, 상기한 모터 판정 결과와 상승 시간, 모터 전압값 등에서 정하는 「양부 판정 No」, 그 양부 판정 No에 근거한 조치를 나타낸 「조치 No」, 조치 실시의 유무를 나타낸 「조치 실시」 등의 항목으로 구성된다.
양부 판정 No는, 도 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치 랭크와 모터 부하 전압 레벨, 모터 상승 레벨, 수명·소모 레벨, 하드웨어 이상 레벨, 에러 코드로 구성되는 것이다.
「모터 부하 전압 레벨」은, 모터 전압값에 따라, 미리 정해진 17단계(00∼16)의 레벨에 맞춰서 결정되고, 모터 전압값이 커서 모터의 동작이 가장 정상적인 상태에 가까울 때에 낮은 레벨을 부여하도록 하고, 모터 전압값이 에러 등으로 취득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00」을 부여한다.
「모터 상승 레벨」은, 상승 시간에 따라, 미리 정해진 6단계(00∼05)의 레벨에 맞춰서 결정되고, 상승 시간이 빠를 때에 낮은 레벨을 부여하도록 하고, 상승 시간이 에러 등으로 취득할 수 없었던 경우에는 「00」을 부여한다.
「수명·소모 레벨」은, 5단계(01∼05)로 분류해서 결정하고 있고, 판독된 모터 전압값과 상승 시간 이외에, 주기억부(16)에 기억하고 있는 모터마다의 「통전 시간」, 지폐처리기의 「청소 실시의 이력」 등으로부터 종합적으로 판단해서 결정하고 있다.
「하드웨어 이상 레벨」은, 5단계(01∼05)로 분류해서 결정하고 있고, 주기억부(16)로부터 판독된 모터 판정 결과, 모터 전압값, 상승 시간으로부터 결정하고 있다.
「에러 코드」는, 상승 시간이 판정상승 시간을 넘고 있거나, 혹은 모터 전압값이 모터 전압 임계값 이상인 경우, 또는 그 양쪽이 발생했을 경우에, 각각의 경우에 따른 에러 코드가 부여되도록 되어 있고, 에러 없슴의 경우에는 「0000」이 된다.
「조치 랭크」는, 상기 센서의 조치 랭크와 동일하며 주기억부(16)에 격납되어 있는 조치 랭크의 테이블을 사용해서 결정하도록 하고 있고, 5단계(01∼05)의 랭크로 분류되어 있다.
조치 랭크 5는 조치 필요(고장 레벨)로 하고, 에러 있음으로, 「하드웨어 이상 레벨」과 「수명, 소모 레벨」에 의해 고장나 있다고 인식했을 경우에 부여된다.
조치 랭크 4는 조치 필요(중지 레벨)로 하고, 에러 없슴이지만, 「하드웨어 이상 레벨」과 「수명, 소모 레벨」로부터 고장은 아니지만, 해당 모터에 에러가 발생하기 쉬운 상황인 경우에 부여된다.
조치 랭크 3은 조치 불필요(정상 레벨)로 하고, 에러 없슴으로, 「하드웨어 이상 레벨」과 「수명, 소모 레벨」, 「모터 부하 전압 레벨」, 「모터 상승 레벨」로부터, 에러로서 나타나지 않지만 알람적인 문제가 예상될 경우에 부여된다.
조치 랭크 2는 조치 불필요(정상 레벨)로 하고, 에러 없슴으로, 「하드웨어 이상 레벨」, 「수명, 소모 레벨」이 낮아, 「모터 부하 전압 레벨」과 「모터 상승 레벨」로부터, 전체적으로 운용상 문제 없을 경우에 부여된다.
조치 랭크 1은 조치 불필요(정상 레벨)로 하고, 에러 없슴으로, 「하드웨어 이상」, 「수명, 소모」의 판정 레벨은 「01」이며, 「모터 부하 전압 레벨」과 「모터 상승 레벨 」로부터, 전체적으로 운용상 문제가 없어, 거의 열화하고 있지 않는 상황에 있는 경우에 부여된다.
계속해서, 「조치 No」는 상기에서 정한 양부 판정 No에 대응한 것이 부여되도록 되어 있고, 양부 판정 No로부터 특히 모터에 이상이 없는 경우에는 「00-00」을 부여한다.
이때, 하위 제어부(20)는, 제어하고 있는 모든 센서와 모터 각각의 자기진단 테스트를 행하고 있는 중에, 센서 또는 모터에 에러 있음를 인식한 경우에도 자기진단 테스트는 중단하지 않고, 모든 센서 진단 정보와 모터 진단 정보를 취득할 때까지 처리를 계속한다.
그리고, 주제어부(15)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센서 진단 정보와 모터 진단 정보를 부제어부(17)에 건네준다.
여기에서, 도 8은 모든 센서 진단 정보와 모터 진단 정보의 일람을 나타낸 테스트 결과 화면예로서, (a)는 일람의 제1 페이지를 나타낸 화면예, (b)은 제1페이지에 전부 표시할 수 없었던 것을 다음 페이지에 표시한 일람을 나타낸 화면예이다.
도 9은 조건 표시 화면을 나타낸 설명도이다.
S14, 부제어부(17)는, 표시 입력부(2)에 도 8a에 나타낸 각 센서 진단 정보와 각 모터 진단 정보의 일람과, 화면에 전부 표시할 수 없었던 만큼을 다음 페이 지에 표시하기 위한 「다음으로」 키, 일람을 특정한 조건에 따라서 추출하기 위한 「조건 표시」키 등을 배치한 테스트 결과화면을 표시하고, 자기진단 테스트 처리를 종료한다.
이때, 계원이 테스트 결과화면의 「다음으로」 키를 눌렀을 경우, 부제어부(17)는 표시 입력부(2)에 도 8b에 나타낸 자기진단 테스트의 결과 일람의 다음 페이지를 표시한다.
또한 계원이 테스트 결과화면의 「조건 표시」키를 눌렀을 경우, 부제어부(17)는 도 9에 나타낸 일람으로부터 특정한 조치 랭크의 것을 추출하기 위한 조치 랭크 입력란이나 그 입력란에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숫자 키, 「에러 발생」 있음을 추출하기 위한 체크 항목, 「조치 No」 있음를 추출하기 위한 체크 항목 등을 배치한 조건 표시 화면을 표시 입력부(2)에 표시한다.
여기에서, 도 10은 특정한 조건에서 추출을 행했을 경우의 테스트 결과화면예로서, 도 10a는 조치 랭크가 4 이상인 센서 진단 정보와 모터 진단 정보를 표시한 화면, 도 10b는 조치 랭크가 5인 센서 진단 정보와 모터 진단 정보를 표시한 화면이다.
계원에 의해 조건 표시 화면의 숫자 키로 조치 랭크 입력란에 4가 입력되었을 경우, 주제어부(15)는 도 1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테스트 결과화면에 조치 랭크가 4 이상인 센서 진단 정보와 모터 진단 정보를 추출해서 표시하고, 또한 입력란에 5가 입력된 경우에는 도 1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테스트 결과화면에 조치 랭크가 5인 센서 진단 정보와 모터 진단 정보를 추출해서 표시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기진단 테스트를 실행할 때에 주제어부로부터 복수의 하위 제어부에 자기진단 테스트를 행하게 하기 위한 통지를 송신함으로써 각 하위 제어부가 제어하는 센서 및 모터에 대하여 일괄하여 자기진단 테스트를 행하여, 각각의 센서나 모터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가 아닌가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기진단 테스트를 단시간에 끝낼 수 있다.
또한 자기진단 테스트중에 센서 또는 모터에 에러가 있어도 자기진단 테스트는 계속해서 행하도록 했으므로, 1회의 조작으로 자기진단 테스트를 끝낼 수 있다.
더구나, 표시 입력부에 센서 및 모터마다 양부 판정 No와 그것에 대응하는 조치 No를 표시한 일람을 표시하므로, 계원은 그 조치 No를 따르는 것으로 센서나 모터에 대한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덧붙여, 테스트 결과화면의 조건 표시로부터 조치 랭크의 지정과, 에러 발생의 있음을 지정, 조치 No 있음을 지정함으로써 표시된 자기진단 테스트의 결과 일람으로부터 지정된 조건에 해당하는 센서 진단 정보와 모터 진단 정보를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계원에 있어서 조치가 필요한 센서와 모터를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어, 보수 작업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지폐처리장치를 사용하여 설명했지만, 지폐처리장치 대신에 자동거래장치로서의 동전 처리장치나 현금 취급장치를 사용하도록 해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의 지폐처리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설명도.
도 2는 지폐처리기를 나타내는 회로 블록도.
도 3은 지폐처리기의 자기진단 테스트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보수기능 초기 화면을 나타낸 설명도.
도 5 자기진단 테스트 확인 화면을 나타낸 설명도.
도 6은 센서에 있어서의 자기진단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낸 설명도.
도 7은 모터에 있어서의 자기진단 테스트의 결과를 나타낸 설명도.
도 8은 전체의 센서 진단 정보와 모터 진단 정보의 일람을 나타낸 테스트 결과 화면예.
도 9는 조건 표시 화면을 나타낸 설명도.
도 10은 특정의 조건에서 추출을 행했을 경우의 테스트 결과 화면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지폐 수취부 2: 표시 입력부
3: 반송부 4: 감별부
5: 리젝트 집적부 6: 집적 기구
6a: 일시 집적부 7: 지폐 다발 밀봉기구
8: 핸드부 10: 오픈 포켓
15: 주제어부 16: 주기억부
17: 부제어부 18: 부기억부
20: 하위 제어부 21: 하위 기억부

Claims (4)

  1. 현금의 반송, 내보냄 및 받아들임을 행하는 각 부분에서 구동원으로서 사용되는 복수의 모터와,
    상기 각 부분에 설치되어 현금을 검출하는 복수의 센서를 구비한 현금 취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센서마다의 센서 전압 임계값과, 상기 모터마다의 모터 전압 임계값, 모터의 상승 시간 임계값을 기억하는 기억 수단을 가지고,
    상기 센서 및 모터의 동작 확인을 행하는 지시가 입력되었을 때에, 각 센서의 센서 전압값을 취득하고, 이 센서 전압값과 상기 센서 전압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센서마다 동작이 정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하고,
    각 모터의 모터 전압값과 상승 시간을 취득하고, 이 모터 전압값과 상기 모터 전압 임계값을 비교하는 동시에, 상기 상승 시간과 상기 상승 시간 임계값을 비교함으로써 모터마다 동작이 정상인가 아닌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취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복수의 상기 센서 전압값에 대하여 센서마다 실행하는 조치를 랭크로서 관련시킨 테이블과, 복수의 상기 모터 전압값과 상승 시간에 대하여 모터마다 실행하는 조치를 랭크로서 관련시킨 테이블을 기억 수단에 기억하고,
    상기 취득한 센서 전압값에 대응하는 센서의 랭크를 취득하고, 상기 취득한 모터 전압값과 상승 시간에 대응하는 모터의 랭크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취급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표시부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마다의 상기 정상인가 아닌가의 판단 결과, 상기 센서 전압값, 상기 취득한 랭크로 구성한 센서 정보와,
    상기 모터마다의 상기 정상인가 아닌가의 판단 결과, 상기 모터 전압값, 상기 상승 시간, 상기 취득한 랭크로 구성한 모터 정보의 일람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취급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일람을 표시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른 정상의 유무, 전압값, 랭크의 적어도 1개가 조건으로서 입력되었을 때에, 그 조건에 해당하는 센서 정보 및 모터 정보를 상기 일람으로부터 추출해서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현금 취급장치.
KR1020070115917A 2006-12-25 2007-11-14 현금 취급장치 KR100909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48519 2006-12-25
JP2006348519A JP2008158900A (ja) 2006-12-25 2006-12-25 自動取引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9502A KR20080059502A (ko) 2008-06-30
KR100909646B1 true KR100909646B1 (ko) 2009-07-27

Family

ID=39611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917A KR100909646B1 (ko) 2006-12-25 2007-11-14 현금 취급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8158900A (ko)
KR (1) KR100909646B1 (ko)
CN (1) CN10121148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4646A (zh) * 2015-01-09 2015-04-29 新达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atm机中卡钞检测和定位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2469B2 (ja) * 2012-06-11 2016-02-16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処理装置
CN105879384A (zh) * 2014-11-03 2016-08-24 韦琳 一种麻将机电机机构故障提前预警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079A (ko) * 1997-05-21 1998-12-05 아카이 가즈유키 화폐선별방법 및 장치
JP2003099837A (ja) 2001-09-21 2003-04-04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と紙葉類処理装置の点検方法とテスト媒体
JP2003263668A (ja) 2001-12-28 2003-09-19 Mars Inc 貨幣検査機の較正
KR20070083633A (ko) * 2007-04-04 2007-08-24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식별 계수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39755A1 (de) * 1985-11-22 1987-05-27 Oki Electric Ind Co Ltd Selbstdiagnoseverfahren fuer ein geraet
US7163144B1 (en) * 2002-08-05 2007-01-16 Diebold, Incorporated Automated banking machine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CN1604133A (zh) * 2003-10-01 2005-04-06 陕西国力信息技术有限公司 图文式点钞机
JP4548131B2 (ja) * 2005-01-31 2010-09-22 沖電気工業株式会社 自動化機器の保守装置及び保守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87079A (ko) * 1997-05-21 1998-12-05 아카이 가즈유키 화폐선별방법 및 장치
JP2003099837A (ja) 2001-09-21 2003-04-04 Toshiba Corp 紙葉類処理装置と紙葉類処理装置の点検方法とテスト媒体
JP2003263668A (ja) 2001-12-28 2003-09-19 Mars Inc 貨幣検査機の較正
KR20070083633A (ko) * 2007-04-04 2007-08-24 글로리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식별 계수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74646A (zh) * 2015-01-09 2015-04-29 新达通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atm机中卡钞检测和定位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11481A (zh) 2008-07-02
KR20080059502A (ko) 2008-06-30
JP2008158900A (ja) 2008-07-10
CN101211481B (zh) 201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91159A1 (en) Bill handling apparatus
KR100817867B1 (ko) 지폐류취급장치
KR100909646B1 (ko) 현금 취급장치
JP6556222B2 (ja) 検査装置および検査システム
JP5775412B2 (ja) 紙幣処理装置、紙幣処理方法、及び紙幣処理プログラム
JPS59214995A (ja) 紙幣処理装置
JP2971278B2 (ja) 紙幣処理装置における障害の復旧方法
JP7404095B2 (ja) 貨幣処理システム、貨幣処理装置、貨幣処理方法及び貨幣処理プログラム
JP2003337970A (ja) 現金自動取引装置の保守方法およびその保守プログラム
US6474546B1 (en) Method for controlling bill-processing machine
JP2007172443A (ja) 自動取引装置監視システムおよび自動取引装置
JP3590834B2 (ja) 紙幣取引装置
JP2761177B2 (ja) 貨幣集積状態判定装置
WO2015128926A1 (ja) 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2003157465A (ja) 紙幣取扱装置
JPH117568A (ja) 自動取引装置管理システムの自動復旧方法
KR20240011032A (ko) 장애 정보에 기반한 금융자동화기기 초기화 방법
JP2006184991A (ja) 現金自動取引装置
JP4830147B2 (ja) 紙幣入出金装置及び紙幣入出金装置の紙幣搬送方法
JP5271807B2 (ja) 紙幣処理装置および取引処理装置
JP2023124668A (ja)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その保守方法
US20110137431A1 (en) Valuable media management system and valuable media management method "
JPH027165A (ja) 電子機器
JP3270160B2 (ja) 電子機器
JP2010102389A (ja) 自動販売機管理システムおよび電子決済装置および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