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9157B1 - 저 전력 방송 수신기 - Google Patents

저 전력 방송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9157B1
KR100909157B1 KR1020037004700A KR20037004700A KR100909157B1 KR 100909157 B1 KR100909157 B1 KR 100909157B1 KR 1020037004700 A KR1020037004700 A KR 1020037004700A KR 20037004700 A KR20037004700 A KR 20037004700A KR 100909157 B1 KR100909157 B1 KR 100909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wake
receiver
switch
wake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4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07398A (ko
Inventor
로버트 에이. 언저
Original Assignee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니 일렉트로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0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0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9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9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6Content update operation triggered locally, e.g. by comparing the version of software modules in a DVB carousel to the version stored loc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2Arrangements for resource management
    • H04H20/426Receiver si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6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applications with a direct linking to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 space-time; Broadcast-related systems
    • H04H60/25Arrangements for updating broadcast information or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executable data, e.g. software
    • H04N21/818OS softwa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방송 수신기(300)는 방송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신하는 능력을 보유한 채 절전 대기 모드에서 동작한다. 대기 모드에서 활성화되어 방송 채널을 감시하는 웨이크업 센서(306)에 의하여 제어되는 웨이크업 스위치(304)를 이용하여 대기 모드에서 가장 전력이 부족한 회로는 전원을 빼앗긴다. 만약, 수신기(300)가 대기 모드에 있는 동안 업데이트 진행 표시를 수신하면, 웨이크업 스위치(304)는 전원 켜짐 상태를 사용자에게 표시하지 않은 채 업데이트를 수신하는 데 필요한 요소에 전원을 공급한다.
웨이크업, 튜너, 디지타이저, 업데이트 센서

Description

저 전력 방송 수신기{LOW-POWER BROADCAST RECEIVER}
[관련 출원]
본 출원은 출원번호 60/237,567로 2000년 10월 3일에 35 U.S.C. 111조(b)에 근거하여 가출원된 "대기모드에서의 장비의 웨이크업 방법(Wake Up Method for Equipment in the Stand-by Mode)"에 근거하여 35 U.S.C. 119조(e)(1)에 의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도 1(종래 기술)은 방송 텔레비전 시스템(100)의 설명도이며, 이는 많은 수신기(104)와 방송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방송 전파 중계소(headend, 102)를 포함한다. 방송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케이블 시스템과 같은) 유선, 무선, 또는 유무선의 결합일 수 있다. 방송 전파 중계소(102)는 방송을 위한 디지털 정보를 저장하기 위하여 방송국에 의하여 유지되는 서버(도 1에는 나타내지 않음)를 선택적으로 포함한다. 유사한 서버들이 다른 주체에 의하여 유지될 수 있으며, 모뎀 또는 위성 연결과 같이 별도의 방송 매체나 직접 연결을 통하여 수신기(104)에서 사용 가능하게 될 수 있다.
각 수신기(104)는 부합하는 디스플레이를 구비하며, 종종 종래의 텔레비전 세트(106)를 구비한다. 각 수신기(104)는 오디오-비디오 링크(110)를 통해 각각의 텔레비전 세트(106)에 연결된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 장치를 통하여 수신기(104)를 제어하며, 대표적으로 적외선(IR) 리모트 컨트롤(108) 또는 각 수신기(104)에 있는 제어판(도 1에 나타내지 않음)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도 2는 전형적인 디지털 수신기(104)의 블록도이다. 디지털 프로세서(202)가 수신기(104)의 "두뇌"이다. 프로세서(202)는 전형적으로 예를 들면 중앙 프로세싱 유닛(CPU)과 메모리를 포함한 많은 요소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2)는 주로 요구되는 기능성에 따라 다양한 변화를 갖는다. 프로세서(202)의 내부적인 동작은 본 설명의 범위를 벗어난다. 전형적인 셋톱 박스(set-top box)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자는 참고문헌으로 반영된 U.S. 특허 No. 5,940,074 "네트워크에서의 소프트웨어의 리모트 업그레이드(Remote Upgrade of Software Over a Network)"를 참고할 수 있다.
적외선 인터페이스(214)는 적외선 리모트 컨트롤로부터 명령을 수신한다. 간단한 디스플레이(216)는 예를 들어 수신기(104)의 전원이 켜져 있는지 여부, 만약 그렇다면 방송 인터페이스 회로(204)가 튜닝 된 채널에 대한 시각적인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프로세서(202)는 부착된 비디오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수신기(104)는 선택적으로 인터넷에 접속하기 위한 모뎀(210),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소정 형태의 로컬 저장 장치(21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202)는 방송 인터페이스 회로(204)에 의해 방송 비디오 신호로부터 유도된 데이터를 수신한다. 방송 인터페이스 회로(204)는 많은 착신 방송 신호로부터 하나의 신호를 구별하여, 결합된 반송파 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제거하 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튜너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 회로(204)는 결과적인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디지털화하고, 그 결과인 디지털 정보를 프로세서(202)로 보낸다.
프로세서(202)는 필요에 따라 인터페이스 회로(204)로부터의 정보를 처리하여 적당하게 포맷된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디지털-아날로그 컨버터(digital-to-analog converter(DAC), 206)와 비디오 인코더(208)에 각각 제공한다. 그 결과 신호는 텔레비전(106) 또는 다른 디스플레이로 보내진다.
수신기(104)는 방송 전파 중계소(102)로부터 주기적인 업데이트(update)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방송국은 각 수신기(104)로 업데이트 된 프로그램 가이드나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보낼 수 있다. 수신기(104)의 몇몇 요소는 방송 컨텐츠를 수신하기 위하여 반드시 전원이 켜져 있어야 한다; 불행히도 이는 사용자가 텔레비전을 시청하지 않고, 수신기(104)를 끈 경우에도 수신기의 대부분이 언제나 전원이 켜져 있음을 의미한다. 도시된 예에서, 전원(220)은 적어도 방송 인터페이스 회로(204), 프로세서(202) 및 IR 인터페이스(214)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사실, 여기에 설명한 것과 유사한 일반적인 수신기를 끈다는 것은 사용자 디스플레이(216)로부터만 전원을 제거하는 것이며, 사용자 디스플레이를 끔으로써 검소한 소비자의 마음을 편하게는 하지만, 전력은 거의 절약되지는 않는다.
대부분의 수신기(104)는 언제나 켜져 있음으로써 전력과 돈을 낭비하고 있다. 문제를 더욱 어렵게 하는 것은, 설명한 타입의 수신기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으며, 전력 부족을 일으키고 있다. 전력에 있어서 보다 효율적인 방송 수신기가 명백히 필요하다.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신하는 능력을 보유하며 절전 대기 모드(stand-by mode)에서 작동할 수 있는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수신기는 방송 업데이트를 감지하는 데 적합한 업데이트 센서(즉, 웨이크업 센서)를 통합한 방송 인터페이스를 구비한다.
수신기는 업데이트 센서에 의하여 제어되는 웨이크업(wake-up)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웨이크업 스위치는 대기 모드에서 가장 전력이 부족한 회로에게서 전력을 빼앗는다. 비교적 전력 효율이 좋은 회로인 업데이트 센서는 언제나 활성화되어 있다. 적외선 수신기 또는 전원 스위치와 같이 사용자가 제어하는 입력 회로도 언제나 활성화되어 있다.
수신기가 대기 모드에서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 센서는 웨이크업 스위치를 닫고, 업데이트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요소들(즉, 수신기의 제1 부분)에게 전원을 공급한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오디오 DAC 및 비디오 인코더와 같이 업데이트에 필요 없는 요소(즉, 수신기의 제2 부분)는 업데이트 하는 동안 전원이 켜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은 전력을 절약하고,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와 스피커가 켜져서 예기치 못하게 사용자가 놀라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일실시예에 따라, 수신기는 웨이크업 스위치에 의하여 제어되지 않는 요소로 선택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전원 스위치를 포함한다. 만약 사용자가 수신기가 켜지도록 명령하면, 전체 수신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하여 웨이크업 스위치와 제2 전원 스위치 모두를 (이미 닫혀 있지 않다면) 닫는다. 수신기의 디스플레이는 전형적으로 수신기가 켜져 있다는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고,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는 텔레비전과 같이 결합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하기 위한 콘텐츠를 제공한다.
만약 업데이트의 수신 중에 사용자가 수신기가 꺼지도록 명령하면, 제2 전원 스위치만이 열리고, 업데이트를 수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소에 전원을 남겨 놓는다. 한편, 사용자가 업데이트가 없을 경우, 수신기가 꺼지도록 명령하면, 양 스위치는 모두 열려서 수신기를 대기 모드로 해둔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항에 의하여 정의되며, 이 요약에 의하여 정의되지 않는다.
도 1(종래 기술)은 방송 텔레비전 시스템(100)의 설명도.
도 2(종래 기술)는 전형적인 디지털 수신기(104)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신기(300)의 블록도.
도 4는 방송 인터페이스(302)에 대한 일실시예의 블록도.
도 5는 방송국으로 하여금 선택적으로 선택된 수만큼의 특정한 수신기만을 웨이킹(깨우기) 할 수 있게 하는 센서에 대한 일실시예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신기(300)의 블록도이다. 수신기(300)는 도 1 및 2의 종래의 수신기(104)와 같이 같은 번호를 사용하여 나타낸 요소를 많이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수신기와는 달리 수신기(300)는 방송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신하는 능력을 보유한 채, 절전 대기 모드에서 작동되도록 개조되었다. 대부분의 데이터 및 제어 경로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불필요하며, 따라서 단순화를 위하여 생략되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기(300)는 웨이크업 스위치(304)와 웨이크업 센서(306)를 구비한 방송 인터페이스(302)를 포함한다. 전원(220)으로 직접 연결하는 대신에, 전력은 웨이크업 스위치(304)를 통하여 업데이트를 수신하는데 쓰이는 요소(즉, 수신기(300)의 제1 부분)에 보내진다. 따라서, 대기 모드에서, 웨이크업 스위치(304)는 수신기(300)에서 가장 전력이 모자란 회로에게서 전력을 빼앗는다. 비교적 효율적인 회로인 웨이크업 센서(306)는 언제나 활성화되어 있다. IR 인터페이스(214)도 언제나 전력을 수신하며, 따라서 사용자로부터의 전원을 키는 명령에 응답하기 위한 준비가 되어 있다.
만약 수신기(300)가 대기 모드에 있는 동안에 웨이크업 명령을 수신하면, 웨이크업 센서(306)는 웨이크업 신호를 WU 선을 통해 웨이크업 스위치(304)로 제공한다. 이에 대한 응답으로, 웨이크업 스위치(304)는 전원 교환선(switched-power line) SP1을 통해 전원을 프로세서(202)와 같이 업데이트를 수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소로 공급하기 위하여 닫힌다.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216), 오디오 DAC(206) 및 비디오 인코더(208)와 같이 업데이트를 위하여 요구되지 않는 요소(즉, 수신기(300)의 제2 부분)는 업데이트를 수신하는 동안 전원이 켜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은 전력을 절약하고, 자동적으로 디스플레이와 스피커가 켜져서 예기치 못하게 사용자가 놀라는 것을 방지하게 한다.
IR 인터페이스(214)는 제2 전력 스위치(310) 및 방송 인터페이스(302)에 연결된 제어 출력 ON을 갖는다. 만약 사용자가, 예를 들어 IR 인터페이스(214) 또는 수신기(receiver)(300) 상의 (도에 나타나지 않은) 선택적인 스위치를 통해서, 수신기(300)가 켜지도록 명령하면, 라인 ON 상의 제어 신호는 웨이크업 스위치(304)를 닫아서, 프로세서(202), 모뎀(210) 및 저장 장치(212)와 같이 들어오는 신호를 수신함에 있어서 필요한 요소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라인 ON 상의 신호는 제2 전력 스위치(310)를 닫아서 사용자 디스플레이(216), 오디오 DAC(206) 및 비디오 인코더(208)에 전원을 공급한다. 제2 전력 스위치(310)를 닫는 것은 "on(켜짐)" 상태의 시각적 표시를 제공하고, 예를 들어 텔레비전(106)과 같이 결합된 디스플레이로 필요한 신호를 보낸다. 일실시예에 있어서, 수신기(300)는 텔레비전(106) 또는 다른 요소에 인가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교환선의 전압(switched line-in voltage)을 수신기(300)의 소켓(도에 없음)으로 공급한다.
만약 대표적으로 IR 인터페이스(214)와 통신하기 위하여 리모트 컨트롤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전원 꺼짐을 명령하면, 전원 교환선 SP1 및 SP2를 통하여 전원(220)에 연결된 요소로부터 전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라인 ON 상의 컨트롤 신호는 웨이크업 스위치(304) 및 제2 전력 스위치(310)를 개방한다. 이 동작은 수신기(300)를 대기 모드로 만든다; 전원은 여전히 IR 인터페이스(214) 및 방송 인터페이스(302)에 주어진다: 웨이크업 센서(306)는 새로운 프로그램 가이드,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 업그레이드와 같은 업데이트의 존재를 탐지하기 위하여 켜진 상태로 있다.
컴퓨터 모니터를 대기 모드로부터 활성화하는데 사용된 것과 같은 종래의 웨이크업 회로는 웨이크업 회로에 보내진 신호에 응답하여 전력을 제공한다. 방송 신호는 일반적으로 항상 존재하기 때문에, 이러한 종래의 회로는 수신기(300)에서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웨이크업 센서(306)는 진행중인 업데이트를 나타내는 신호와 다른 방송 신호를 구분해 내는데 적용된다.
도 4는 방송 인터페이스(302)에 대한 일실시예 블록도이다. 방송 인터페이스(302)는 다수의 착신 방송 신호로부터 하나의 신호를 구별해 낼 수 있고, 결합된 반송파 주파수를 제거할 수 있는 종래의 튜너(제1 튜너(400))를 포함한다. 종래의 디지타이저(402)는 결과적인 비디오 신호를 디지털화하고, 결과적인 데이터를 프로세서(202)로 보낸다.
제1 튜너(400) 및 디지타이저(402)는 집단적으로 상당한 양의 전력을 사용한다. 따라서, 제1 튜너(400) 및 디지타이저(402)는 웨이크업 스위치(304)를 통하여 전원(도 3의 220)에 연결되고, 그러므로 대기 모드에서는 전원을 끌어들이지 않는다.
설명한 실시예에 있어서, 웨이크업 스위치(304)는 종래의 전력 스위치(제1 전력 스위치(410)), 대표적으로는 릴레이(계전기, relay)에 연결된 OR 게이트(406)를 포함한다. 웨이크업 센서(306)는 하나의 방송 반송파 주파수에 결합된 웨이크업 신호를 감시하는데 적합한 단순한 튜닝된 회로를 포함한다. 일예에 있어서, 만약 방송 웨이크업 신호의 진폭이 노이즈 스파이크(noise spike)를 제거하기에 충분한 기간 동안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으로 상승하면 - 이러한 진폭 상승은 웨이크업 명령을 나타냄 -, 웨이크업 센서(306)는 언에이블링 논리 1 출력 신호를 OR 게이트(406)로 산출한다. 만약 웨이크업 센서(306)가 OR 게이트(406)의 한 입력에서 논리 1을 생성하면, OR 게이트(406)는 제1 전력 스위치(410)를 닫는 논리 1 출력 신호를 생성한다. 이에 따라, 방송 인터페이스(302)는 전원 교환선 SP1을 통하여 후속 방송 업데이트를 수신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임의의 요소에 전력을 인가한다.
대기 모드로부터 수신기(300)를 웨이킹 할 때 웨이크업 센서(306)는 스위치(도 3의 제2 전력 스위치(310))를 닫지 않는다. 제2 전력 스위치(310)로부터의 전원 없이는 디스플레이(216)는 꺼진 상태로 있으며, 수신기(300)는 오디오 또는 비디오 신호를 결합된 텔레비전이나 다른 디스플레이 장치로 공급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 관점에서, 수신기(300)는 대기 모드에 있다. 사용자는 그들의 명령 없이 자동적으로 수신기 및/또는 텔레비전이 켜질 때 깜짝 놀라거나 불쾌하게 생각할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은 중요하다. 수신기(300)는 사용자에게 대기 모드를 표시해 줄 수 있다; 또한 대안으로서 수신기(300)는 단순히 전원이 꺼진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도 5는 방송국으로 하여금, 일실시예에서 아주 낮은 비트 레이트(bit-rate)의 비동기 직렬 전송을 이용하여 선택된 수의 특정한 수신기만을 웨이킹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웨이크업 센서(306)에 관한 일실시예 블록도이다. 웨이크업 센서(306)의 이 버전은 단순한 제2 튜너(500)(예를 들어, AM 튜너), 디지타이저(502), 쉬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 각 수신기 및/또는 자격이 부여된 프로그래밍의 레벨에 고유한 수신기 식별기(receiver identifier, 506), 비교기로서 동작하는 배타적 논리합(XOR) 게이트의 집합 및 AND 게이트(510)를 포함한다. 디지타이저(502)는 도 4의 디지타이저(402)와 같거나 또는 다른 요소일 수 있다. 만약 하나의 디지타이저가 사용된다면, 수신기(300)가 대기 모드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추가적인 회로는 제1 튜너(400)와 제2 튜너(500) 중에서 선택하고, 디지타이저는 대기 모드에서 전원이 공급된다.
도 5의 실시예에 있어서, 웨이크업 신호의 진폭은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동안에 하이로 유지된다. 다른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웨이크업 스위치(304)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웨이크업 스위치(304)의 제어는 프로세서(202)로 넘어간다. 프로세서(202)는 언제 수신기(300)를 다시 대기 모드로 돌릴 것인지 결정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프로세서(202)는 항상 켜져 있으며, 웨이크업 명령에 대해 응답하는 지능 수단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이 제2 튜너(500)는 방송국이 웨이크업 신호를 전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반송파 주파수에 튜닝된다. 웨이크업 신호는 수신기 식별기(506)에 저장된 수의 모두 또는 일부와 매칭 되도록 한 식별자(identifier)를 포함한다. 쉬프트 레지스터(504)의 컨텐츠는 수신기 식별기(506)에 저장된 숫자와 연속적으로 비교된다. 만약 모든 비트가 매칭 된다면, 64 XNOR 게이트(508)는 AND 게이트(501)의 64개의 입력 터미널에 64개의 논리 1을 제공한다. AND 게이트(510)는 논리 1 출력을 만들기 위해서 이 출력 신호를 결합하고, 그에 따라 웨이크업 스위치(304)를 닫는다. 그러나, XNOR 게이트(508)의 입력에서의 두 개의 상응하는 비트가 매칭 되지 않는다면, XNOR 게이트(508)는 적어도 하나의 논리 0 출력을 생성한다. AND 게이트(510)로의 임의의 논리 0은 AND 게이트(510)가 논리 0을 출력하고, 웨이크업 스위치(304)를 열린 상태로 하며, 수신기(300)를 대기 모드로 한다.
도 5의 예는 수신기(300)가 대기 모드에서 시작된다고 가정한다. 만약 수신 기가 웨이크업 신호를 받아 전원이 켜진다면, 전원은 업데이트를 수신하는데 요구되는 회로에 이미 공급되어 있다. AND 게이트(510)의 출력과 프로세서(202)간의 추가적인 연결(도에 없음)이, 수신기 ID가 들어오는 식별인자와 매칭 되는지 여부에 따라 들어오는 업데이트를 가능하게 하거나, 막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도 2의 216)는 항상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고, IR 인터페이스(214)로부터의 명령에 응답하여 켜지거나 꺼진다. 사용자의 혼란을 피하기 위하여, 웨이크업 센서(306)는 디스플레이를 자동적으로 켜거나, 끌 수 없다. 디스플레이(216)는 웨이크업 명령에 의하여 웨이킹 된 경우에 전원이 켜진 상태를 표시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수신기(300)가 자동적으로 전원이 켜지는 것을 보고 혼란스러울 일이 없다; 이와 유사하게, 사용자가 업그레이드되는 동안 수신기 유닛(300)을 끄더라도, 수신기(300)는 활성화된 상태이지만, 웨이크업 스위치(304)는 열림으로써 인코더(208), DAC(206) 및 디스플레이(216)는 꺼진 상태이다. 수신기(300)는 업데이트를 완료하고 대기 모드로 들어간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디스플레이(216) 또는 LED와 같은 다른 시각적 표시기는 전원이 켜진 상태이며, 수신기(300)는 대기 모드에 있음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와 연관하여 설명되어 있지만, 상기 실시예의 변형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능력을 가지는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예컨대, 모뎀(210)과 같은 다른 요소는 수신기(300)를 웨이킹 시키기 위하여 "온(on)" 신호를 개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는 상기한 설명에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Claims (23)

  1. a. 전원 출력 단자를 구비한 전원; 및
    b. 방송 인터페이스 회로
    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인터페이스 회로는,
    i. 다수의 방송 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 입력 단자 - 상기 신호는 각각 선택된 반송파 주파수에 의하여 변조됨 -;
    ii.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 입력 단자에 연결된 튜너 입력 단자를 구비한 제1 튜너- 상기 제1 튜너는 상기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를 튜너 출력 단자로 제공함 -;
    iii.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 입력 단자에 연결된 센서 입력 단자 및 웨이크업 센서 출력 단자를 구비한 웨이크업 센서- 상기 웨이크업 센서는 첫번째 선택된 신호의 수신에 즉시 응답하여 웨이크업 센서 출력 단자에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함 -; 및
    iv. 상기 전원 출력 단자에 연결된 웨이크업 스위치 전원 입력 단자, 웨이크업 스위치 출력 단자 및 상기 웨이크업 센서 출력 단자에 연결된 웨이크업 스위치 입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웨이크업 스위치- 상기 웨이크업 스위치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에 즉시 응답하여 닫혀서 상기 전원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웨이크업 스위치 출력 단자로 전원을 공급함 -
    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센서는 상기 첫번째 선택된 신호와 관련된 반송파 주파수로 튜닝된 제2 튜너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센서는 상기 제2 튜너와 상기 웨이크업 스위치 입력 단자 간에 간접적으로(indirectly) 연결된 디지타이저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너는 상기 웨이크업 스위치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의 전원 켜짐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2 스위치를 통하여 전원에 연결된 전력 입력 단자를 구비한 방송 수신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에 응답하여 전원 켜짐 상태를 표시하지 않는 방송 수신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스위치 출력 단자에 연결된 프로세서 전원 단자를 구비한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
  8. a. 다수의 반송파 주파수에 의해 변조된 대응하는 다수의 신호를 방송하기 위한 방송 전파 중계소- 상기 신호는 임시 웨이크업 명령(occasional wake-up instruction)을 포함함 -; 및
    b. 상기 다수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다수의 수신기
    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기 각각은,
    i. 전원 출력 단자를 구비한 전원; 및
    ii. 방송 인터페이스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방송 인터페이스 회로는,
    (1) 각각 선택된 반송파 주파수에 의하여 변조된 다수의 방송 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회로 입력 단자;
    (2)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 입력 단자에 연결된 센서 입력 단자 및 웨이크업 센서 출력 단자를 구비한 웨이크업 센서- 상기 웨이크업 센서는 첫번째 선택된 신호의 수신에 즉시 응답하여 상기 웨이크업 센서 출력 단자에서 웨이크업 신호를 생성함 -; 및
    (3) 상기 전원 출력 단자에 연결된 웨이크업 스위치 전원 입력 단자, 웨이크업 스위치 출력 단자 및 상기 웨이크업 센서 출력 단자에 연결된 웨이크업 스위치 입력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웨이크업 신호를 수신하는 웨이크업 스위치- 상기 웨이크업 스위치는 상기 웨이크업 신호의 수신에 즉시 응답하여 닫혀서 상기 전원 출력 단자로부터 상기 웨이크업 스위치 출력 단자로 전원을 공급함 -
    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네트워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센서는 첫번째 선택된 신호와 관련된 반송파 주파수로 튜닝된 제2 튜너를 더 포함하는 방송 통신 네트워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크업 센서는 상기 제2 튜너와 상기 웨이크업 스위치 입력 단자 간에 간접적으로(indirectly) 연결된 디지타이저를 더 포함하는 방송 통신 네트워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는, 튜너 입력 단자 - 상기 튜너 입력 단자는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 입력 단자에 연결됨 - 를 구비한 제1 튜너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튜너는 상기 신호들 중 하나의 신호를 선택하고, 튜너 출력 단자에 상기 선택된 신호를 제공하는 방송 통신 네트워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들 각각은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며, 상기 인터페이스 회로는 상기 제1 튜너와 상기 프로세서 간에 연결된 디지타이저를 더 포함하는 방송 통신 네트워크.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튜너는 상기 웨이크업 스위치 출력 단자에 연결된 전원 단자를 포함하는 방송 통신 네트워크.
  14. 제8항에 있어서,
    각각의 수신기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의 전원 켜짐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디스플레이는 제2 스위치를 통하여 전원에 연결된 전원 입력 단자를 구비한 방송 통신 네트워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웨이크업 명령에 응답하여 전원 켜짐 상태를 표시하지 않는 방송 통신 네트워크.
  16. 방송 수신기에서 전력 사용을 줄이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a. 대기 모드에서, 전원 켜짐 명령을 위해 사용자 입력 장치를 감시하는 단계;
    b. 전원 켜짐 명령에 응답하여 수신기의 전원 켜짐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c. 전원 꺼짐 명령을 위해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를 감시하는 단계;
    d. 전원 꺼짐 명령에 응답하여 수신기의 대기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
    e. 대기 상태의 수신기에서, 웨이크업 명령을 위해 방송 통신 채널을 감시하는 단계; 및
    f. 상기 웨이크업 명령의 수신에 즉시 응답하여, 상기 수신기의 제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제1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고, 수신기 업데이트를 수신하는 동안 상기 수신기를 대기 상태로 표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대기 상태에서 전원 켜짐 명령의 수신시, 상기 수신기의 상기 제1 부분과 제2 부분에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 켜짐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켜짐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는 비디오 디스플레이 장치에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 장치는 적외선 수신기를 포함하는 방법.
  21. a. 전원 켜짐 명령을 위해 사용자 입력 장치를 감시하는 수단;
    b. 전원 켜짐 명령에 응답하여 수신기의 전원 켜짐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수단;
    c. 전원 꺼짐 명령을 위해 사용자 입력 장치를 감시하는 수단;
    d. 전원 꺼짐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수신기의 전원 꺼짐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수단; 및
    e. 상기 전원 꺼짐 상태의 수신기에서 웨이크업 명령을 위해 방송 통신 채널을 감시하는 수단- 상기 방송 통신 채널을 감시하는 수단은, 상기 웨이크업 명령에 즉시 응답하여 제어 프로세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스위치를 포함함 -
    을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
  22. 삭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은 상기 전원 스위치가 웨이크업 명령에 응답하여 상기 프로세서에 전원을 제공할 때에, 전원 꺼짐 상태를 표시하는 방송 수신기.
KR1020037004700A 2000-10-03 2001-10-01 저 전력 방송 수신기 KR100909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3756700P 2000-10-03 2000-10-03
US60/237,567 2000-10-03
US09/835,991 2001-04-16
US09/835,991 US7865922B2 (en) 2000-10-03 2001-04-16 Low-power broadcast receiver
PCT/US2001/030748 WO2002030130A1 (en) 2000-10-03 2001-10-01 Low-power broadcast recei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07398A KR20040007398A (ko) 2004-01-24
KR100909157B1 true KR100909157B1 (ko) 2009-07-23

Family

ID=26930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4700A KR100909157B1 (ko) 2000-10-03 2001-10-01 저 전력 방송 수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65922B2 (ko)
EP (1) EP1323303A4 (ko)
JP (1) JP4018533B2 (ko)
KR (1) KR100909157B1 (ko)
AU (1) AU2001296464A1 (ko)
WO (1) WO20020301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4266A1 (en) * 2001-03-05 2002-09-05 Robert Blanchard Method and device for remote access of a power control system of a set-top box
KR100480714B1 (ko) * 2002-08-08 2005-04-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 예약녹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BR0316830A (pt) * 2002-12-06 2005-10-18 Thomson Licensing Sa Redução de dissipação de energia de sintonizador em um modo de espera
GB0229899D0 (en) * 2002-12-21 2003-01-2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Power management in set top boxes
WO2004091207A1 (ja) * 2003-04-02 2004-10-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データ再生装置、映像表示装置、それらを用いたソフトウェア更新システムおよびソフトウェア更新方法
JP4505411B2 (ja) * 2003-04-03 2010-07-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受信装置、同装置を用いた表示装置及びテレビ放送システム
JP2007516631A (ja) * 2003-06-27 2007-06-21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低電力モードで電力消費を低減するための受信器および方法
US20050015806A1 (en) * 2003-07-16 2005-01-20 Patel Harish 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the bandwidth for an audio/video network
US7602698B2 (en) 2004-03-02 2009-10-13 Tellabs Oper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layer protection switching within a sub-networking connection
KR101024025B1 (ko) * 2004-04-26 2011-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케이블방송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20050122673A (ko) * 2004-06-25 2005-1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탠바이 모드에서 디지털 셋탑박스의 전력을 절감하는방법 및 장치
KR100766077B1 (ko) * 2004-08-31 2007-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신호 수신장치의 기능 갱신장치 및 그 방법
US9275052B2 (en) 2005-01-19 2016-03-01 Amazon Technologies, Inc. Providing annotations of a digital work
KR100703161B1 (ko) * 2005-06-03 2007-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데이터처리방법
US7970000B2 (en) * 2005-08-03 2011-06-28 Cisco Technology, Inc. Increasing the number of supported devices on a DOCSIS interface
KR100751146B1 (ko) * 2005-12-05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Oad 채널 변환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방송 수신기
EP1972139A4 (en) * 2006-01-04 2011-12-28 Audiovox Corp RECEIVING AND DISTRIBUTING UNIT FOR ENTERTAINMENT SYSTEM USED IN A VEHICLE
JP4873978B2 (ja) * 2006-03-31 2012-02-0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映像供給装置、映像表示装置、およびこれらで構成された映像表示システム
US20070274341A1 (en) * 2006-05-26 2007-11-29 Tellabs Petaluma, Inc.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oftware image downloads to ONTs over a PON network
KR20080003535A (ko) * 2006-07-03 2008-01-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 수신장치의 자동 업그레이드방법 및 그 장치
KR100782856B1 (ko) * 2006-09-26 2007-12-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수신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장치
US9672533B1 (en) 2006-09-29 2017-06-06 Amazon Technologies, Inc. Acquisition of an item based on a catalog presentation of items
US8725565B1 (en) 2006-09-29 2014-05-13 Amazon Technologies, Inc. Expedited acquisition of a digital item following a sample presentation of the item
US8192287B2 (en) 2006-11-17 2012-06-05 Nintendo Co., Ltd. Game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storing a game program for conducting data communications with a network
US9665529B1 (en) 2007-03-29 2017-05-30 Amazon Technologies, Inc. Relative progress and event indicators
US8341513B1 (en) 2007-05-21 2012-12-25 Amazon.Com Inc. Incremental updates of items
US20110084815A1 (en) * 2008-03-26 2011-04-14 Aalborg Universitet Device and method for activating a communication unit
KR20100026142A (ko) * 2008-08-29 2010-03-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062184B1 (ko) * 2008-09-26 2011-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송채널에 대한 라이센스 갱신 방법 및 장치
US8823518B2 (en) * 2008-12-08 2014-09-02 Motorola Solutions, Inc. Method of sensor cluster processing for a communication device
JP2010141577A (ja) * 2008-12-11 2010-06-24 Sharp Corp ファームウェアデータ供給装置、ファームウェアデータ供給方法およびファームウェア更新システム、ファームウェアデータ供給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20100307206A1 (en) * 2009-06-08 2010-12-09 Harrow Products Llc Electronic door lock for reduced power consumption
US9210140B2 (en) 2009-08-19 2015-12-08 Solarflare Communications, Inc. Remote functionality selection
US8392732B2 (en) 2010-04-16 2013-03-0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Systems, apparatuses, and methods to monitor signals received by a paging monitor to detect an activity trigger
JP2011254410A (ja) * 2010-06-04 2011-12-15 Ntt Docomo Inc 放送コンテンツ送信装置及び放送コンテンツ受信装置
JP4977239B2 (ja) * 2010-06-30 2012-07-18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KR20120041351A (ko) * 2010-10-21 2012-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의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기기
US20120283860A1 (en) * 2011-05-04 2012-11-08 Chih-Chun Ho Energy-saving control system for automatically turning on/off electronic device
US20120324516A1 (en) * 2011-06-14 2012-12-20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a consumer electronics system with improved functionality
US8713609B2 (en) * 2011-11-04 2014-04-29 Maxlinear,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electronic service guide information in a satellite television system
CN103455755B (zh) * 2012-05-28 2018-07-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及应用于电子设备的安全防护方法
US9152203B2 (en) 2012-05-31 2015-10-0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anaging power consumption state of electronic devices responsive to predicting future demand
US9250685B2 (en) * 2012-11-05 2016-02-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motely waking a sleeping device using a wake configuration file
US10172082B2 (en) 2014-02-08 2019-01-01 Switchmate Home Llc Power optimized video for smart home ecosystem
KR20160050879A (ko) * 2014-10-31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원격 제어 장치, 원격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77668B1 (ko) * 2014-11-05 2021-07-1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송수신장치,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7085459B (zh) * 2016-02-14 2020-03-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电源管理方法以及系统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58006A (en) * 1987-07-28 1989-08-15 Sony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servicing mode of an electronic apparatus
JPH03204224A (ja) * 1990-01-05 1991-09-05 Pioneer Electron Corp オーディオ装置のスリープタイマー
US5249164A (en) * 1990-06-27 1993-09-28 Koz Mark C Digital color tv for personal computers
US5410713A (en) * 1992-01-02 1995-04-25 Smith Corona/Acer Power-management system for a computer
JPH05344022A (ja) 1992-06-10 1993-12-24 Hitachi Ltd 携帯型データ通信装置
US5296932A (en) * 1992-10-06 1994-03-22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Non-program signal acquisition system for a television signal receiver
JP3958355B2 (ja) * 1992-12-09 2007-08-15 セドナ・パテント・サービシズ・エルエルシー ケーブルテレビ配送システムのためのネットワーク・コントローラ
EP0610700B1 (de) * 1993-01-30 1998-12-23 Deutsche Thomson-Brandt Gmbh Stromversorgungsschaltung für ein Gerät der Unterhaltungselektronik
US5625882A (en) * 1994-03-01 1997-04-29 Motorola, Inc. Power management technique for determining a device mode of operation
US5555032A (en) * 1994-05-09 1996-09-10 Weltrend Semiconductor, Inc. Integrated circuit for economizing power consumption of a monitor by using two reference values for discrminating the input signal
JPH0876707A (ja) * 1994-07-08 1996-03-22 Sony Corp 電子ビームによる表示装置と表示画面の消去方法
US5619250A (en) * 1995-02-19 1997-04-08 Microware Systems Corporation Operating system for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set top box utilizing dynamic system upgrades
US5651010A (en) * 1995-03-16 1997-07-22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Simultaneous overlapping broadcasting of digital programs
US5659353A (en) * 1995-03-17 1997-08-19 Bell Atlantic Network Services, Inc. Television distribution system and method
KR0141751B1 (ko) * 1995-06-13 1998-06-15 구자홍 영상신호 처리기의 취침예약 확인방법
DE19531486A1 (de) * 1995-08-25 1997-02-27 Nokia Deutschland Gmbh Fernsehgerät mit einer Empfangs- und Aquirieranlage für Teletextsendungen
JPH09135399A (ja) * 1995-11-09 1997-05-20 Sony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パワーセーブモード表示方法
JP3314612B2 (ja) 1996-04-08 2002-08-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受信機
JPH10228338A (ja) 1997-02-14 1998-08-25 Canon Inc 情報処理装置及びカメラ一体型vtr
US6285406B1 (en) * 1997-03-28 2001-09-0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ower management schemes for apparatus with converged functionalities
JPH10285482A (ja) 1997-04-03 1998-10-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H11196342A (ja) * 1997-12-26 1999-07-2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送出装置および端末
JPH11196405A (ja) * 1997-12-26 1999-07-21 Jisedai Joho Hoso System Kenkyusho:Kk 情報伝達方法、及び情報伝達システム
US6052750A (en) * 1998-01-06 2000-04-18 Sony Corporation Of Japan Home audio/video network for generating default control parameters for devices coupled to the network, and replacing updated control parameters therewith
US20020073423A1 (en) * 1999-12-14 2002-06-13 Haig Krakirian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displaying simultaneously video content and supplemental information without obstructing video content
US6658231B2 (en) * 2000-05-09 2003-12-02 Sony Corporation Receiver for user-demand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system using wide area digital broadcast
US6690655B1 (en) * 2000-10-19 2004-02-10 Motorola, Inc. Low-powered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9009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1296464A1 (en) 2002-04-15
KR20040007398A (ko) 2004-01-24
JP2004524719A (ja) 2004-08-12
WO2002030130A1 (en) 2002-04-11
EP1323303A1 (en) 2003-07-02
EP1323303A4 (en) 2006-07-19
JP4018533B2 (ja) 2007-12-05
US7865922B2 (en) 2011-01-04
US20020152473A1 (en) 2002-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9157B1 (ko) 저 전력 방송 수신기
EP1887579B1 (en) Video/audio processing device
US7730507B2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starting method thereof
CN100574397C (zh) 广播接收系统和装置及其功率控制方法
US73867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power to a first and second circuit based on an operational mode and connecting state of a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KR20040079474A (ko) 전원제어 기능을 갖는 홈게이트웨이 시스템
JP2007516631A (ja) 低電力モードで電力消費を低減するための受信器および方法
US20130159751A1 (en) Installation or device with a high-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KR20080080042A (ko) 셋톱박스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셋톱박스
CN101102428A (zh) 自动升级广播接收设备的方法及其设备
KR101624772B1 (ko) 디지털 홈 네트워킹 장치에서 에너지를 절약하는 시스템 및 방법
CN105264882A (zh) 显示装置的功能扩展件及其控制方法
KR20030014728A (ko) 오디오-비디오 방송 수신 멀티미디어 장치
US9883229B2 (en) Cable modem apparatus, broadcasting signal receiving apparatus, broadcasting signal transmitt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10507B1 (ko) 대기 모드에서 소비전력을 절전하기 위한 셋톱박스
JP5034787B2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起動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100047916A (ko)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디스플레이시스템
EP2131581B1 (en) Input Detection Device For Lower Stand-By Power Consumption
KR970003440B1 (ko) 유선방송용 컨버터의 전원제어장치
KR19980031531A (ko) 브이시알에서의 오디오/비디오 통합 시스템 자동 제어방법
KR19980083804A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시간 및 채널 예약방법
KR930003452Y1 (ko) 위성방송 수신용 튜너내장형 텔레비젼의 전원제어회로
KR100252095B1 (ko) 텔레비전 수상기에 접속된 영상신호 처리장치의 전원제어방법
KR20020007655A (ko) 디지털 티브이의 프로그램 갱신장치 및 방법
JP2003324666A (ja) データ伝送回路及び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