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47916A -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디스플레이시스템 - Google Patents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디스플레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47916A
KR20100047916A KR1020080106830A KR20080106830A KR20100047916A KR 20100047916 A KR20100047916 A KR 20100047916A KR 1020080106830 A KR1020080106830 A KR 1020080106830A KR 20080106830 A KR20080106830 A KR 20080106830A KR 20100047916 A KR20100047916 A KR 201000479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box
power
digital set
control data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6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선
Original Assignee
포인스정보통신(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인스정보통신(주) filed Critical 포인스정보통신(주)
Priority to KR102008010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47916A/ko
Publication of KR201000479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791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04N21/42684Client identification by a unique number or address, e.g. serial number, MAC address, socket 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5Monitoring of client processing errors or hardware fail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의 중앙 제어에 의해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디지털셋탑박스에서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거나, 디지털셋탑박스의 개별 제어에 의해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작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중앙관리서버의 컨텐츠입력 제어 데이터 수신에 따른 채널 변경뿐만 아니라, 자체 채널 변경이 가능하며, 중앙관리서버에서 원격으로 상태 체크 데이터를 송출하여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중앙관리서버에서 전송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외부 통합제어장치와 연결시켜 외부통합제어장치를 관리하는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은,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의 중앙 제어에 의해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거나, 개별 제어에 의해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작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중앙관리서버의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 수신에 따른 채널 변경이 아닌 자체 채널 변경이 가능하며, 외부통합제어장치와 연결시켜 외부통합제어장치를 관리하며,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는 디지털셋탑박스와;
상기 디지털셋탑박스에 연결되어 영상과 음성 및 데이터 정보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지털셋탑박스로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거나, 원격으로 상태 체크 데이터를 송출하여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체크하는 중앙관리서버와;
상기 디지털셋탑박스와 중앙관리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통해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의 중앙 제어에 의해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디지털셋탑박스에서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거나, 디지털셋탑박스의 개별 제어에 의해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작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없는 전력 소비가 발생하여 불필요한 유지비용발생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디지털 셋탑박스, 원격관리, 홍보, 전원공급.

Description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public relations display system using power control of digital Set-top box.}
본 발명은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의 중앙 제어에 의해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디지털셋탑박스에서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거나, 디지털셋탑박스의 개별 제어에 의해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작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중앙관리서버의 컨텐츠입력 제어 데이터 수신에 따른 채널 변경뿐만 아니라, 자체 채널 변경이 가능하며, 중앙관리서버에서 원격으로 상태 체크 데이터를 송출하여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으며, 중앙관리서버에서 전송되는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며, 외부 통합제어장치와 연결시켜 외부통합제어장치를 관리하는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V(Television) 기술은 디스플레이, 기판, 칩셋, 메모리 반도체 등의 후방산업 뿐만 아니라 디지털 가전산업, 디지털 콘텐츠 산업 등 전방산업에도 상당한 파 급효과를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TV는 제작·편집·전송·수신 등 방송의 모든 단계를 0과 1의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TV 방송 시스템이라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정보의 종류(영상, 음성, 문자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로 처리하는 아날로그 TV와 대비되는 개념이다.
종래의 TV는 모두 아날로그 방식으로, 전파 신호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연속적으로 처리하여 화질과 음질이 선명하지 않으며 한정된 채널밖에 볼 수 없다.
이에 반해 디지털 TV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컴퓨터 회로에 의해 조절하는 최첨단 TV로서 다른 전파의 방해 등 노이즈를 제거해 줌은 물론 각종 정보(다기능) 및 프로그램을 다양(다채널)하게 선택할 수 있고, 갖가지 첨단영상(고품질)을 재현할 수 있다.
현재 상기한 디지털 TV에 디지털 셋탑박스를 연결시켜 디지털 방송 및 CATV 방송과 영상 홍보 안내 및 공지사항 안내 등 사내의 홍보 방송을 송출하여 종합적인 컨텐츠 방송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 디지털셋탑박스를 연계한 방송시스템들은 중앙관리센터에서 디지털셋탑박스의 온오프 제어만 가능하여 디지털 TV를 온오프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자체적으로 처리할 수 밖에 없었으며, 온 상태에서만 서비스를 실시할 수 있어 어느 지역의 디지털 TV가 온오프되어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중앙에서 알 수가 없어 단지 송출하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또한, 중앙 제어에 의해 방송 채널 변경 및 강제 방송 및 홍보 안내만 가능 할 뿐, 디지털셋탑박스의 자체 개별 제어에 따른 방송 채널 변경 및 강제 방송 및 홍보 안내가 불가능하여 사용자는 단지 송출되는 방송 정보만 시청할 수 밖에 없었다.
한편, 사람이 디지털셋탑박스 주변에 없더라도 디지털 TV는 항상 온된 상태에서 방송을 디스플레이시키게 되므로 이에 따른 필요없는 전력 소비가 발생하여 불필요한 유지비용이 상당히 발생할 수 밖에 없었으며, 디지털셋탑박스를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항상 전원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 후 전원 온오프 제어 신호를 수신받을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는 현재 각각의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와 무관하게 중앙관리센터에서 일방적으로 방송 송출을 수행하고 있을뿐,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가 온 상태여야 하는데 오프상태라든지 에러가 발생하였는지를 알 수 없어 이에 따른 유지 관리상에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디지털셋탑박스와 연결시켜 각종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영상통합제어장치 및 음향통합제어장치 및 기타 영상주변기기들을 제어하여야 하지만 이러한 장치들은 자체적인 네트워크통신부를 장착하고 있지 않아 이에 따른 제어상에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의 중앙 제어에 의해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디지털셋탑박스에서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거나, 디지털셋탑박스의 개별 제어에 의해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작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중앙관리서버의 컨텐츠입력 제어 데이터 수신에 따른 채널 변경뿐만 아니라, 로컬 지역에 구성된 디지털셋탑박스에 의해 자체 채널 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앙관리서버에서 원격으로 상태 체크 데이터를 송출하여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외부 통합제어장치와 연결시켜 외부통합제어장치를 관리하도록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원 콘센트를 통해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이 전원 제어 데이터가 송출될 경우에 전송되는 전원을 체크하여 디지털셋탑박스를 구동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중앙관리서버의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컨텐츠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채널을 변경하거나 사내 강제방송 및 홍보 안내 정보 송출시 해당 사내 강제방송 및 홍보 안내 정보로 절환시키거나, 로컬지역에 위치한 디지털셋탑박스 자체적인 사내 강제방송 및 홍보 안내 정보 송출이 가능하여 컨텐츠 출력의 활용성을 극대화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은,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의 중앙 제어에 의해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거나, 개별 제어에 의해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작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중앙관리서버의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 수신에 따른 채널 변경이 아닌 자체 채널 변경이 가능하며, 외부통합제어장치와 연결시켜 외부통합제어장치를 관리하며,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는 디지털셋탑박스와;
상기 디지털셋탑박스에 연결되어 영상과 음성 및 데이터 정보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지털셋탑박스로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거나, 원격으로 상태 체크 데이터를 송출하여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체크하는 중앙관리서버와;
상기 디지털셋탑박스와 중앙관리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셋탑박스를 이용한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은,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의 중앙 제어에 의해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디지털셋탑박스에서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거나, 디지털셋탑박스의 개별 제어에 의해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작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없는 전력 소비가 발생하여 불필요한 유지비용발생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중앙관리서버의 컨텐츠입력 제어 데이터 수신에 따른 채널 변경뿐만 아니라, 로컬 지역에 구성된 디지털셋탑박스에 의해 자체 채널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중앙관리서버에서 원격으로 상태 체크 데이터를 송출하여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어 원격지에서 온오프 상태 및 에러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유지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외부 통합제어장치와 연결시켜 외부통합제어장치를 디지털셋탑박스에 관리하거나 중앙관리서버에서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 콘센트를 통해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이 전원 제어 데이터가 송출될 경우에 전송되는 전원을 체크하여 디지털셋탑박스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원콘센트가 없는 장소에는 설치가 불가능한 점 또는 전원 대기상 태를 항상 유지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중앙관리서버의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컨텐츠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채널을 변경하거나 사내 강제방송 및 홍보 안내 정보 송출시 해당 사내 강제방송 및 홍보 안내 정보로 절환시키거나, 로컬지역에 위치한 디지털셋탑박스 자체적인 사내 강제방송 및 홍보 안내 정보 송출이 가능하여 컨텐츠 출력의 활용성을 극대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은,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의 중앙 제어에 의해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거나, 개별 제어에 의해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작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중앙관리서버의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 수신에 따른 채널 변경이 아닌 자체 채널 변경이 가능하며, 외부통합제어장치와 연결시켜 외부통합제어장치를 관리하며,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는 디지털셋탑박스와;
상기 디지털셋탑박스에 연결되어 영상과 음성 및 데이터 정보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지털셋탑박스로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송 출하거나, 원격으로 상태 체크 데이터를 송출하여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체크하는 중앙관리서버와;
상기 디지털셋탑박스와 중앙관리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디지털셋탑박스는,
중앙관리서버에서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한 네트워크접속부와,
인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디지털셋탑박스제어부에 전송하는 감지센서와,
인체가 존재할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동작 대기상태를 유지시키는 동작유무처리부와,
상기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컨텐츠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채널을 변경하거나 사내 강제방송 및 홍보 안내 정보 송출시 해당 사내 강제방송 및 홍보 안내 정보로 절환시키는 컨텐츠채널변경부와,
홍보 안내 정보 및 사내 강제방송을 수신받는 알에프튜너부와,
상기 수신받은 전원 제어 데이터에 의해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온오프부와,
개별 제어에 의해 자체 채널 변경 요구시 컨텐츠채널변경부에 의해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를 개별 제어된 채널로 절환시키는 자체컨텐츠채널변경부와,
외부 통합제어장치와 연결시켜 외부 통합제어장치의 프로토콜을 부여하며, 부여된 프로토콜 정보를 관리하는 외부통합제어장치관리부와,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허브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체크하여 디지털셋탑박스를 구동시키는 전원구동부와,
상기 감지센서 및 각각의 부와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디지털셋탑박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앙관리서버에서 송출되는 상태 체크 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체크하여 현재 상태 정보(전원 온오프 상태, 에러 상태)를 재차 전송하는 현재상태확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전원구동부는,
스위칭허브로부터 전원이 전송되는지를 체크하는 전원전송체크부와,
상기 전원전송체크부를 통해 전원이 전송되면 디지털셋탑박스를 구동시키는 장치전원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디지털셋탑박스로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거나,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상태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중앙관리네트워크접속부와,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들의 고유 아이디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고유아이디정보저장부와,
상기 고유아이디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고유 아이디 정보를 참조하여 고유 아이디별 전원 제어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전원제어데이터생성부와,
방송 편성 스케쥴을 작성하기 위한 스케쥴편성부와,
상기 스케쥴편성부에 의해 편성된 스케쥴에 따라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컨텐츠입력제어데이터생성부와,
디지털셋탑박스 자체 개별 제어에 의해 자체 개별 채널로 변경될 경우에 자체 채널 변경 데이터를 수신받는 자체채널변경지역획득부와,
상기 전원제어데이터생성부에 의해 전원 제어 데이터가 생성될 경우에 생성된 전원 제어 데이터가 전원을 온시키는 데이터라면 스위칭허브에 전원 전송 신호를 전달하는 전원전송처리부와,
상기 각각의 부와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관리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상태를 체크하기 위하여 상태 체크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상태체크데이터생성부와,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온오프 상태, 에러 상태를 획득하여 전원이 온(오프)되어야 하는데 오프(온)되어 있거나, 에러 상태에 따라 해당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초기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네트워크 통신 장애일 경우에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한 상태별처리부와,
상기 상태별처리부에 의해 네트워크 통신 장애로 판단될 경우에 관리자에게 경보 신호를 전송하는 경보신호전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셋탑박스를 이용한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은,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의 중앙 제어에 의해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거나, 개별 제어에 의해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작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중앙관리서버의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 수신에 따른 채널 변경이 아닌 자체 채널 변경이 가능하며, 외부통합제어장치와 연결시켜 외부통합제어장치를 관리하며,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는 디지털셋탑박스(100)와;
상기 디지털셋탑박스에 연결되어 영상과 음성 및 데이터 정보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300)와;
상기 디지털셋탑박스로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거나, 원격으로 상태 체크 데이터를 송출하여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 치의 상태를 체크하는 중앙관리서버(200)와;
상기 디지털셋탑박스와 중앙관리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망(4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인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은 디지털셋탑박스, 디스플레이장치, 중앙관리서버, 스위칭허브 및 네트워크망으로 구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디지털셋탑박스와 중앙관리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망은 바람직하게는 IP망을 적용하게 된다.
동작 원리를 간단히 설명하자면, 상기 중앙관리서버에서 디지털셋탑박스로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거나, 원격으로 상태 체크 데이터를 송출하여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체크하게 되며, 상기 디지털셋탑박스(100)는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의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거나, 개별 제어에 의해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작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중앙관리서버의 컨텐츠입력 제어 데이터 수신에 따른 채널 변경이 아닌 자체 채널 변경이 가능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허브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체크하여 디지털셋탑박스를 구동시키게 된다.
또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은 TV/유선/DVD/VTR 화면, 동영상 광고 화면, 인터넷 특정 화면, 파일 화면, 플래쉬 광고 화면, 이미지 광고 화면등이 있으며, 이는 중앙관리서버에서 전송되는 컨텐츠이거나 로컬 지역에서 자체적으로 출력시키는 컨텐츠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의 디지털셋탑박스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셋탑박스(100)는,
중앙관리서버에서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한 네트워크접속부(105)와,
인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디지털셋탑박스제어부에 전송하는 감지센서(110)와,
인체가 존재할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동작 대기상태를 유지시키는 동작유무처리부(115)와,
상기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컨텐츠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채널을 변경하거나 사내 강제방송 및 홍보 안내 정보 송출시 해당 사내 강제방송 및 홍보 안내 정보로 절환시키는 컨텐츠채널변경부(120)와,
홍보 안내 정보 및 사내 강제방송을 수신받는 알에프튜너부(125)와,
상기 수신받은 전원 제어 데이터에 의해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온오프부(130)와,
개별 제어에 의해 자체 채널 변경 요구시 컨텐츠채널변경부에 의해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를 개별 제어된 채널로 절환시키는 자체컨텐츠채널변경부(135)와,
외부 통합제어장치와 연결시켜 외부 통합제어장치의 프로토콜을 부여하며, 부여된 프로토콜 정보를 관리하는 외부통합제어장치관리부(145)와,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허브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체크하여 디지털셋탑박스를 구동시키는 전원구동부(140)와,
상기 감지센서 및 각각의 부와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디지털셋탑박스제어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감지센서(110)는 인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디지털셋탑박스제어부에 전송하게 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는 적외선 감지센서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감지 정보를 수신받은 디지털셋탑박스제어부의 의해 동작유무처리부(115)에 인체가 존재할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전원 온)를 전송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동작 대기상태(전원 오프)를 유지하도록 하게 한다.
이를 통해 필요없는 전력 소비가 발생하여 불필요한 유지비용발생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컨텐츠채널변경부(120)는 중앙관리서버의 방송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컨텐츠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채널을 변경하거나,(예를 들어 현재 시각에 MBC 채널을 정보를 송출하였는데, 특정 시간이 되어 SBS 채널로 채널을 변 경하는 것이다.) 필요에 따라 혹은 방송 스케쥴에 따라 사내 강제방송 및 홍보 안내 정보 송출시 해당 사내 강제방송 및 홍보 안내 정보로 절환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중앙관리서버의 일방향적 방송 송출에 의해 로컬에 위치한 디지털셋탑박스는 송출되는 방송만 시청이 가능하였지만 상기 알에프튜너부(125)를 구성하여 홍보 안내 정보 및 사내 강제방송을 자체적으로 수신받아 중앙관리서버의 방송 시청 이외에 필요에 따라 개별 방송이 가능한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자체컨텐츠채널변경부(135)를 통해 개별 제어에 의해 자체 채널 변경 요구시 컨텐츠채널변경부에 의해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를 개별 제어된 채널로 절환시키게 되는 것이며, 개별 제어된 채널로 절환될 경우에는 중앙관리서버에 자체 채널 변경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중앙관리서버의 컨텐츠입력 제어 데이터 수신에 따른 채널 변경 뿐만 아니라, 로컬 지역에 구성된 디지털셋탑박스에 의해 자체 채널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전원온오프부(130)는 네트워크접속부에서 수신받은 전원 제어 데이터에 의해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온오프시키게 된다.
예를 들어, 디지털셋탑박스는 온(오프)시키고, 특정 디스플레이장치는 오프(온)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통합제어장치관리부(145)는 외부 통합제어장치와 연결시켜 외부 통합제어장치의 프로토콜을 부여하며, 부여된 프로토콜 정보를 관리하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종래의 외부장치들을 제어할려면 별도의 컴퓨터단말기 및 컨트롤러 를 구성하여야 하므로 이에 따른 추가 비용 발생 및 조작상의 어려움을 가질 수 밖에 없었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즉, 네트워크 통신을 이용하여 탄력적 제어에 의한 비용 절감 및 운영 체계의 간소화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디지털셋탑박스와 연결시켜 각종 영상 및 음향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영상통합제어장치 및 음향통합제어장치 및 기타 영상주변기기들을 제어하여야 하지만 이러한 장치들은 자체적인 네트워크통신부를 장착하고 있지 않아 이에 따른 제어상에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었으나, 상기 외부통합제어장치관리부를 통해 각각의 외부통합제어장치마다 프로토콜을 부여하여 부여된 프로토콜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여 로컬 지역 혹은 원격지에서 해당 프로토콜을 입력하여 제어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구동부(140)는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허브(200a)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체크하여 디지털셋탑박스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스위칭허브로부터 전원이 전송되는지를 체크하는 전원전송체크부와,
상기 전원전송체크부를 통해 전원이 전송되면 디지털셋탑박스를 구동시키는 장치전원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디지털셋탑박스에 언제 어디서 제어 신호가 전송될 지 모르므로 항상 전원콘센트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 제어 데이터를 수신받 아 전원 제어를 수행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전원콘센트가 설치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될 수 밖에 없으며, 전원 대기 상태에 따른 전력 소비도 상당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기능에 따라 상기 디지털셋탑박스는 상기 중앙관리서버에서 송출되는 상태 체크 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체크하여 현재 상태 정보(전원 온오프 상태, 에러 상태)를 재차 전송하는 현재상태확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상태 정보(전원 온오프 상태, 에러 상태)를 체크하여 전원이 온 상태이어야 하는데, 전원이 꺼져 있다면 이를 중앙관리서버에서 인식하여 재차 전원 온 신호를 재전송하는 것이며 에러 상태에 따라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초기화시키거나 통신 장애일 경우에 이를 확인하여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셋탑박스를 이용한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중앙관리서버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발명의 중앙관리서버(200)는,
상기 디지털셋탑박스로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거나,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상태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중앙관리네트워크접속부(205)와,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들의 고유 아이디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고유아이디정보저장부(210)와,
상기 고유아이디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고유 아이디 정보를 참조하여 고유 아 이디별 전원 제어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전원제어데이터생성부(215)와,
방송 편성 스케쥴을 작성하기 위한 스케쥴편성부(220)와,
상기 스케쥴편성부에 의해 편성된 스케쥴에 따라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컨텐츠입력제어데이터생성부(225)와,
디지털셋탑박스 자체 개별 제어에 의해 자체 개별 채널로 변경될 경우에 자체 채널 변경 데이터를 수신받는 자체채널변경지역획득부(230)와,
상기 전원제어데이터생성부에 의해 전원 제어 데이터가 생성될 경우에 생성된 전원 제어 데이터가 전원을 온시키는 데이터라면 스위칭허브에 전원 전송 신호를 전달하는 전원전송처리부(235)와,
상기 각각의 부와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관리제어부(25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중앙관리서버에서 원격지에 구성된 다수의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들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거나 관리하기 위해서는 모든 장치들에게 고유 아이디 정보를 부여하게 되며 부여된 고유 아이디 정보는 고유아이디정보저장부(210)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전원제어데이터생성부(215)는 고유아이디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고유 아이디 정보를 참조하여 고유 아이디별 전원 제어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기능을 담당하는데 중앙관리서버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특정 고유 아이디 정보를 가지고 있는 장치에 전원을 온시키거나 오프시키는 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이를 중앙관리제어부에 의해 전원제어데이터생성부에 해당 명령을 수행하도록 제어 신호를 전송하게 되 며 이를 수신받아 전원 온 혹은 오프 신호를 생성시키는 것이다.
상기 스케쥴편성부(220)는 방송 편성 스케쥴을 작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관리자가 입력한 스케쥴 정보를 획득하여 방송 편성 스케쥴을 처리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스케쥴편성부에 의해 편성된 스케쥴에 따라 컨텐츠입력제어데이터생성부(225)를 통해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생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자체채널변경지역획득부(230)는 디지털셋탑박스 자체 개별 제어에 의해 자체 개별 채널로 변경될 경우에 자체 채널 변경 데이터를 수신받아 현재 방송 스케쥴에 따라 방송되지 않고 있음을 중앙관리서버의 관리자가 확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전원전송처리부(235)는 전원제어데이터생성부에 의해 전원 제어 데이터가 생성될 경우에 생성된 전원 제어 데이터가 전원을 온시키는 데이터라면 스위칭허브에 전원 전송 신호를 전달하여 스위칭허브에서 전원을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기능에 따른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상태를 체크하기 위하여 상태 체크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상태체크데이터생성부(240)와,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온오프 상태, 에러 상태를 획득하여 전원이 온되어야 하는데 오프되어 있거나, 에러 상태에 따라 해당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초기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네트워크 통신 장애일 경우에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한 상태별처리부(245)와,
상기 상태별처리부에 의해 네트워크 통신 장애로 판단될 경우에 관리자에게 경보 신호를 전송하는 경보신호전송부(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관리자가 현재 각각의 장치들의 상태를 체크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상태체크데이터생성부를 통해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상태를 체크하기 위하여 상태 체크 데이터를 생성시키게 되며, 상기 생성된 상태 체크 데이터를 중앙관리네트워크접속부에 의해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전송하여 현재 상태 정보를 수신받아 상태별처리부를 통해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온오프 상태, 에러 상태를 획득하여 전원이 온(오프)되어야 하는데 오프(온)되어 있거나, 에러 상태에 따라 해당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초기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상태별처리부를 통해 네트워크 통신 장애 상태로 판단될 경우에 경보신호전송부에 관리자에게 경보 신호를 전송하도록 경보 신호 전송데이터를 송출하여 관리자의 컴퓨터 단말기 혹은 저장부(미도시)에 저장되어 있는 관리자들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신장애 메세지를 전송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 원리를 통해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의 중앙 제어에 의해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디지털셋탑박스에서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거나, 디지털셋탑박스의 개별 제어에 의해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작 대기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 요없는 전력 소비가 발생하여 불필요한 유지비용발생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며, 중앙관리서버의 컨텐츠입력 제어 데이터 수신에 따른 채널 변경뿐만 아니라, 로컬 지역에 구성된 디지털셋탑박스에 의해 자체 채널 변경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게 되며, 중앙관리서버에서 원격으로 상태 체크 데이터를 송출하여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체크할 수 있어 원격지에서 온오프 상태 및 에러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유지 관리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며, 외부 통합제어장치와 연결시켜 외부통합제어장치를 디지털셋탑박스에 관리하거나 중앙관리서버에서도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의 효율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원 콘센트를 통해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이 전원 제어 데이터가 송출될 경우에 전송되는 전원을 체크하여 디지털셋탑박스를 구동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전원콘센트가 없는 장소에는 설치가 불가능한 점 또는 전원 대기상태를 항상 유지해야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인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은,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의 중앙 제어에 의해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디지털셋탑박스에서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거나, 디지털셋탑박스의 개별 제어에 의해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작 대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필요없는 전력 소비가 발생하여 불필요한 유지비용발생을 최소화시키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어 디지털셋탑박스를 이용한 홍보 분야에 널리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의 디지털셋탑박스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의 중앙관리서버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출력되는 화면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 도면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0 : 디지털셋탑박스
200 : 중앙관리서버
300 : 디스플레이장치
400 : 네트워크망

Claims (6)

  1.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망을 이용하여 중앙관리서버의 중앙 제어에 의해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스플레이장치로 송신하거나, 개별 제어에 의해 감지센서를 통해 감지된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동작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중앙관리서버의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 수신에 따른 채널 변경이 아닌 자체 채널 변경이 가능하며, 외부통합제어장치와 연결시켜 외부통합제어장치를 관리하며,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는 디지털셋탑박스와;
    상기 디지털셋탑박스에 연결되어 영상과 음성 및 데이터 정보를 출력시키는 디스플레이장치와;
    상기 디지털셋탑박스로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송출하거나, 원격으로 상태 체크 데이터를 송출하여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체크하는 중앙관리서버와;
    상기 디지털셋탑박스와 중앙관리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망;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셋탑박스는,
    중앙관리서버에서 송출되는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수신받기 위한 네트워크접속부와,
    인체의 존재 유무를 감지하여 감지 정보를 디지털셋탑박스제어부에 전송하는 감지센서와,
    인체가 존재할 경우에 디스플레이장치에 동작 신호를 전송하거나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동작 대기상태를 유지시키는 동작유무처리부와,
    상기 스케쥴에 따라 송출되는 컨텐츠 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컨텐츠의 채널을 변경하거나 사내 강제방송 및 홍보 안내 정보 송출시 해당 사내 강제방송 및 홍보 안내 정보로 절환시키는 컨텐츠채널변경부와,
    홍보 안내 정보 및 사내 강제방송을 수신받는 알에프튜너부와,
    상기 수신받은 전원 제어 데이터에 의해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전원온오프부와,
    개별 제어에 의해 자체 채널 변경 요구시 컨텐츠채널변경부에 의해 출력되고 있는 컨텐츠를 개별 제어된 채널로 절환시키는 자체컨텐츠채널변경부와,
    외부 통합제어장치와 연결시켜 외부 통합제어장치의 프로토콜을 부여하며, 부여된 프로토콜 정보를 관리하는 외부통합제어장치관리부와,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 대기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도록 하기 위하여 중앙관리서버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허브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을 체크하여 디지털셋탑박스를 구동시키는 전원구동부와,
    상기 감지센서 및 각각의 부와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디지털셋탑박스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에서 송출되는 상태 체크 데이터를 수신받아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상태를 체크하여 현재 상태 정보(전원 온오프 상태, 에러 상태)를 재차 전송하는 현재상태확인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구동부는,
    스위칭허브로부터 전원이 전송되는지를 체크하는 전원전송체크부와,
    상기 전원전송체크부를 통해 전원이 전송되면 디지털셋탑박스를 구동시키는 장치전원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관리서버는,
    상기 디지털셋탑박스로 전원 제어 데이터 및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송 출하거나,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상태 정보를 수신받기 위한 중앙관리네트워크접속부와,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들의 고유 아이디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고유아이디정보저장부와,
    상기 고유아이디정보저장부에 저장된 고유 아이디 정보를 참조하여 고유 아이디별 전원 제어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전원제어데이터생성부와,
    방송 편성 스케쥴을 작성하기 위한 스케쥴편성부와,
    상기 스케쥴편성부에 의해 편성된 스케쥴에 따라 컨텐츠 입력 제어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컨텐츠입력제어데이터생성부와,
    디지털셋탑박스 자체 개별 제어에 의해 자체 개별 채널로 변경될 경우에 자체 채널 변경 데이터를 수신받는 자체채널변경지역획득부와,
    상기 전원제어데이터생성부에 의해 전원 제어 데이터가 생성될 경우에 생성된 전원 제어 데이터가 전원을 온시키는 데이터라면 스위칭허브에 전원 전송 신호를 전달하는 전원전송처리부와,
    상기 각각의 부와 연결되어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중앙관리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현재 상태를 체크하기 위하여 상태 체 크 데이터를 생성시키는 상태체크데이터생성부와,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 온오프 상태, 에러 상태를 획득하여 전원이 온(오프)되어야 하는데 오프(온)되어 있거나, 에러 상태에 따라 해당 디지털셋탑박스 및 디스플레이장치에 초기화 제어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네트워크 통신 장애일 경우에 관리자에게 알리기 위한 상태별처리부와,
    상기 상태별처리부에 의해 네트워크 통신 장애로 판단될 경우에 관리자에게 경보 신호를 전송하는 경보신호전송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
KR1020080106830A 2008-10-30 2008-10-30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디스플레이시스템 KR201000479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830A KR20100047916A (ko) 2008-10-30 2008-10-30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디스플레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6830A KR20100047916A (ko) 2008-10-30 2008-10-30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디스플레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7916A true KR20100047916A (ko) 2010-05-11

Family

ID=42274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6830A KR20100047916A (ko) 2008-10-30 2008-10-30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디스플레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4791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424B1 (ko) * 2012-05-31 2014-02-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전원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셋탑장치
WO2014051181A1 (ko) * 2012-09-28 2014-04-03 (주)재플 광고 제어 장치 및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6424B1 (ko) * 2012-05-31 2014-02-03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클라우드 스트리밍 기반의 전원 관리 방법, 이를 위한 시스템, 이를 위한 서비스장치 및 이를 위한 셋탑장치
WO2014051181A1 (ko) * 2012-09-28 2014-04-03 (주)재플 광고 제어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3790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装置
US6591423B1 (en) Gateway power synchronization
US20050073518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power status of a display device
EP1323303A1 (en) Low-power broadcast receiver
JP2008301232A (ja) テレビジョン受像装置および機器制御方法
CA2568268A1 (en) Emergency alert signaling method and digital cable broadcast system
KR100363544B1 (ko) 디지털 방송 방법 및 그 수신 장치
EP2095637B1 (en) System for displaying imag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11008508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te control in home network
KR20080080042A (ko) 셋톱박스의 전원 관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셋톱박스
JPH11317713A (ja) ディジタル放送方法およびその受信装置
KR20100047916A (ko) 디지털셋탑박스의 전원을 제어하는 홍보용 영상디스플레이시스템
CN101102428A (zh) 自动升级广播接收设备的方法及其设备
JP2010004496A (ja) シンクデバイスおよびソースデバイス
KR100966429B1 (ko) 디지털셋탑박스를 이용한 홍보용 영상 디스플레이시스템
JP4579766B2 (ja) テレビ放送受信装置
KR101410507B1 (ko) 대기 모드에서 소비전력을 절전하기 위한 셋톱박스
KR100748687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의 모드 처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07208374A (ja) 映像受信装置
CN201118723Y (zh) 电视机开机锁屏系统架构
JP2002290858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731372B1 (ko)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4706257B2 (ja) モデム内蔵セットトップボックス
JP2010152918A (ja) 電子機器および表示制御方法
JP2005260646A (ja) 放送システム、放送サービス制御装置、制御処理方法、放送受信装置及び放送サービス提供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