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8083B1 - 수세식 대변기 - Google Patents

수세식 대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8083B1
KR100908083B1 KR1020077018297A KR20077018297A KR100908083B1 KR 100908083 B1 KR100908083 B1 KR 100908083B1 KR 1020077018297 A KR1020077018297 A KR 1020077018297A KR 20077018297 A KR20077018297 A KR 20077018297A KR 100908083 B1 KR100908083 B1 KR 1009080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owl
jetting
flush toilet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8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7697A (ko
Inventor
도모야스 이치키
츠요시 오제키
도시후미 요네다
신지 시바타
슈이치 나가시마
Original Assignee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7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7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80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80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13Parts or details of bowls; Special adaptations of pipe joints or couplings for use with bowls, e.g. provisions in bowl construction preventing backflow of waste-water from the bowl in the flushing pipe or cistern, provisions for a secondary flushing, for noise-reducing
    • E03D11/14Means for connecting the bowl to the wall, e.g. to a wall outlet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08Bowls with means producing a flushing water swir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한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지 않고, 선회류를 이용한 세정방식으로 오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수세식 대변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세식 대변기(1)로서, 보울형상의 오물받이면 및 그 위가장자리의 내벽면이 안쪽을 향하여 튀어나와 있는 림부를 구비한 보울부(2)와, 이 보울부안의 오물을 배출하도록 보울부의 바닥부와 연결되어 뻗은 트랩 파이프로(4)와, 림부에 따라 형성된 제1 랙부(6)와, 이 제1 랙부보다 아래쪽이며 초기 저수수위보다 위쪽의 오물받이면에 형성된 제2 랙부(8)와, 제1 랙부 위로 토수하여 오물받이면 위에 선회류를 형성하는 제1 토수부(10)와, 제2 랙부 위로 토수하여 보울부 안의 세정수를 교반하는 흐름을 형성하는 제2 토수부(12)와, 제1, 제2 토수부로 세정수를 각각 공급하는 제1, 제2 통수로(14, 1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세식 변기, 대변기

Description

수세식 대변기{FLUSH TOILET STOOL}
본 발명은 수세식 대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정수에 의해 변기를 세정하고, 오물을 배출하는 수세식 대변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3-128774호 공보에는, 벽걸이 원피스형 변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벽걸이식 수세식 대변기는, 바닥면으로부터 떨어져 설치되기 때문에, 바닥면을 청소하기 용이하다는 등의 이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2004-100307호 공보에는, 변기의 보울면을 보울부의 상부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의 선회류로 세정하는 수세식 대변기가 기재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회류로 보울면을 세정하는 타입의 수세식 대변기는, 보울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세정수를 토수시키는 박스림(box rim) 등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형상이 단순하고 보울부를 청소하기 용이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채용되고 있다.
하지만,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3-128774호 공보에 기재된 벽걸이식 수세식 대변기에서는, 구조상 필연적으로 수세식 대변기의 배수관이 벽면에 설치된 배수배관에 접속되게 된다. 배수관이 벽면의 배수배관에 접속되는 경우, 수세식 대변기의 저수면과 접속되는 배수배관 사이의 높이차이가 작아지기 때문에, 벽걸이식 수세식 대변기에서 강한 사이펀 작용(siphon action)을 일으키기 어렵다. 이 때문에, 벽걸이식 수세식 대변기에서는,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지 않는 워시다운 방식이나, 이 방식에 가까운 사이펀 작용을 별로 이용하지 않는 세정방식이 채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2004-100307호 공보에 기재된 선회류를 이용하여 보울부를 세정하는 타입의 수세식 대변기에서는, 세정수가 보울부 안을 선회하면서 아래쪽으로 떨어지도록 흐르기 때문에, 박스림 등을 가지는 수세식 대변기에 비하여, 보울부의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한 세정수의 흐름이 약해진다. 이와 같이, 위쪽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는 세정수의 흐름이 약한 경우, 특히 보울부의 저수에 떠있는 부유오물을 배출하는 능력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선회류를 이용하여 보울부를 세정하는 타입의 수세식 대변기에서는, 강한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여 세정시에 보울부 안의 트랩 파이프로(trap pipeline) 입구까지 저수를 빨아들여 부유오물을 배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 때문에, 선회류에 의해 보울부를 세정하는 세정방식은, 벽걸이식 변기와 같이 강한 사이펀 작용을 일으키기 어려운 타입의 수세식 대변기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강한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지 않고, 선회류를 이용한 세정방식으로 오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는 수세식 대변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발명은, 세정수에 의해 변기를 세정하고, 오물을 배출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보울형상의 오물받이면 및 그 위가장자리의 내벽면이 안쪽을 향하여 튀어나와 있는 림부를 구비한 보울부와, 이 보울부안의 오물을 배출하도록 보울부의 바닥부와 연결되어 뻗으며, 보울부의 초기 저수수위를 규정하는 트랩 파이프로와, 오물받이면의 위가장자리에 림부를 따라 형성된 제1 랙(rack)부와, 이 제1 랙부보다 아래쪽이며 초기 저수수위보다 위쪽의 오물받이면에 형성된 제2 랙부와, 제1 랙부 위로 세정수를 토수하여 오물받이면 위에 선회류를 형성하는 제1 토수부와, 제2 랙부 위로 세정수를 토수하여 보울부 안의 세정수를 교반하는 흐름을 형성하는 제2 토수부와, 제1 토수부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1 통수로와, 제2 토수부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2 통수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보울부 세정시에, 제1 토수부로부터 토수된 세정수가, 제1 랙부에 따라 흐르고 선회하면서 보울부의 오물받이면을 세정하여 보울부의 바닥부로 유입된다. 한편, 제2 토수부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제2 랙부에 따라 흐르면서 보울부의 바닥부로 흘러내려가며 보울부 안의 저수를 상하로 교반한다. 보울부 안의 저수가 교반됨으로써 세정전의 저수의 수면에 떠있던 부유오물이 저수 안으로 가라앉고, 부유오물은 저수 안에 가라앉은 오물 및 세정수와 함께 트랩 파이프로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토수부로부터 토수된 세정수가 저수를 교반하여 부유오물을 저수 안으로 가라앉히기 때문에, 저수를 교반하는 능력이 작은 선회류를 이용한 세정방식의 수세식 대변기에서도 부유오물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제2 랙부는 세정시에 보울부의 저수수위가 상승하는 최고 높이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제2 토수부로부터 토수된 세정수가 제2 랙부로부터 제2 랙부보다 약간 위의 수위 또는 제2 랙부보다 약간 낮은 수위의 저수 안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제1 토수부로부터 토수되어 제1 랙부를 통하여 선회하면서 흘러내리는 세정수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어, 세정수가 튀는 것을 방지하면서 저수를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제2 랙부는 보울부의 뒷부분으로부터 측면부까지 뻗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제2 토수부로부터 토수된 세정수가 제2 랙부에 따라 흐르고, 보울부의 측면부에 위치하는 제2 랙부의 선단에 닿아 저수 안으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토수부로부터 토수된 세정수의 일부가 보울부의 측면부로부터 흘러내려가기 때문에, 보울부의 전후방향으로 뻗은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흐름이 저수 안에 발생하여, 부유오물을 효과적으로 저수 안으로 가라앉힐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제2 랙부가 보울부의 뒷부분으로부터 앞부분을 향하여 대략 J자형 또는 역 J자형으로 뻗는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제2 토수부로부터 토수된 세정수가 대략 J자형 또는 역 J자형의 제2 랙부에 따라 흐르고, 보울부의 앞부분에 위치하는 제2 랙부의 선단에 닿아 저수 안으로 유입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토수부로부터 토수된 세정수의 일부가 보울부의 앞부분으로부터 뒷부분을 향하여 흐르기 때문에, 오물을 트랩 파이프로로 배출하는 작용을 보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발명은, 세정수에 의해 변기를 세정하고, 오물을 배출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보울형상의 오물받이면 및 그 위가장자리의 내벽면이 안쪽을 향하여 튀어나와 있는 림부를 구비한 보울부와, 이 보울부 안의 오물을 배출하도록 보울부의 바닥부와 연결되어 뻗으며, 보울부의 초기 저수수위를 규정하는 트랩 파이프로와, 오물받이면의 위가장자리에 림부에 따라 형성된 제1 랙부와, 제1 랙부 위로 세정수를 토수하여 오물받이면 위에 선회류를 형성하는 제1 토수부와, 제1 랙부보다 아래쪽이며 초기 저수수위보다 위쪽 높이에 형성되며, 보울부의 앞쪽으로부터 트랩 파이프로의 입구쪽으로 세정수를 토수하여, 보울부 안의 세정수를 교반하는 흐름을 형성하는 제2 토수부와, 제1 토수부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1 통수로와, 제2 토수부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2 통수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서는, 보울부의 세정시에, 제1 토수부로부터 토수된 세정수가, 제1 랙부에 따라 흐르고 선회하면서 보울부의 오물받이면을 세정하여 보울부의 바닥부로 유입된다. 한편, 제2 토수부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보울부의 앞쪽으로부터 트랙 파이프로의 입구쪽으로 흐르고, 보울부 안의 저수를 상하로 교반한다. 보울부 안의 저수가 교반됨으로써 세정전에 저수의 수면에 떠있던 부유오물이 저수 안으로 가라앉고, 부유오물은 저수 안에 가라앉은 오물 및 세정수와 함께 트랩 파이프로를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토수부로부터 토수된 세정수가 저수를 교반하여 부유오물을 저수 안으로 가라앉히기 때문에, 저수를 교반하는 능력이 작은 선회류를 이용한 세정방식의 수세식 대변기에서도 부유오물을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제2 토수부는 세정시에 보울부의 저수수위가 상승하는 최고 높이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있어서, 제2 토수부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제2 토수부로부터 제2 토수부보다 약간 위의 수위 또는 제2 토수부보다 약간 낮은 수위의 저수 안으로 유입하기 때문에, 제1 토수부로부터 토수되어 제1 랙부를 통하여 선회하면서 흘러내리는 세정수와의 충돌을 피할 수 있어, 세정수가 튀는 것을 방지하면서 저수를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세정시에 있어서 상기 보울부의 저수수위가 항상 상기 초기 저수수위 이상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세식 대변기에서는, 사이펀 작용이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사이펀 작용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사이펀 작용에 의해 부유하는 오물을 배출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수세식 대변기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지 않고 부유오물을 트랩 파이프로로부터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트랩 파이프로의 출구가 벽면에 설치된 배수배관에 접속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세식 대변기는, 구조상 보울부 안의 저수수위와 배수배관의 높이차이가 적어, 강한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이와 같은 수세식 대변기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지 않고 부유오물을 트랩 파이프로로부터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또는 제2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벽걸이식 수세식 대변기로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수세식 대변기는, 구조상 보울부 안의 저수수위와 배수배관의 높이차이가 적어, 강한 사이펀 작용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이와 같은 벽걸이식 수세식 대변기에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지 않고 부유오물을 트랩 파이프로로부터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수세식 대변기에 따르면, 강한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지 않고 선회류를 이용한 세정방식으로 오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정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도 4의 VI-VI선에 따른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도 7의 IX-IX선에 따른 정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L: 초기 저수수위
1: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
2: 보울부 2a: 림부
2b: 오물받이면 4: 트램 파이프로
4a: 입구 4b: 최고점
4c: 출구 6: 제1 랙부
7: 단차부 7a: 선단부
8: 제2 랙부 8a: 제2 랙부 선단
9: 돌출부 10: 제1 토수부
12: 제2 토수부 14: 제1 통수로
16: 제2 통수로 18: 통수로 입구
20: 공통 통수로
100: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
102: 보울부 102a: 림부
102b: 오물받이면 104: 트랩 파이프로
104a: 입구 104b: 최고점
104c: 출구 106: 제1 랙부
107: 단차부 107a: 선단부
108: 제2 랙부 108a: 제2 랙부 선단
109: 돌출부 110: 제1 토수부
112: 제2 토수부 114: 제1 통수로
116: 제2 통수로 118: 통수로 입구
120: 공통 통수로
200: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
202: 보울부 202a: 림부
202b: 오물받이면 204: 트랩 파이프로
204a: 입구 204b: 최고점
204c: 출구 206: 제1 랙부
207: 단차부 210: 제1 토수부
212: 제2 토수부 214: 제1 통수로
216: 제2 통수로 218: 통수로 입구
220: 공통 통수로
이어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2는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III-III선에 따른 정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는, 보울부(2)와, 이 보울부(2)의 바닥부로부터 연결되어 뻗은 트랩 파이프로(4)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는, 벽걸이식 변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보울부(2)의 위가장자리는, 내벽이 안쪽으로 튀어나와 있어 림부(2a)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림부(2a)의 아래쪽에는, 오물을 받는 오물받이면(2b)이 구성되어 있다.
트랩 파이프로(4)는, 보울부(2)의 바닥부에 뚫린 입구(4a)로부터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뻗으며, 최고점(4b)을 통과한 후, 비스듬하게 아래쪽으로 뻗어 출구(4c)에 도달하고 있다. 수세식 대변기(1)의 사용시, 대기시의 저수수위인 초기 저수수위(L)는 트랩 파이프로(4)의 최고점(4b)의 높이와 같아진다. 따라서, 수세식 대변기(1)의 초기 저수수위(L)는 트랩 파이프로(4)의 형상에 따라 규정된다.
또한, 보울부(2)의 림부(2b)에 따라, 거의 수평면상으로 뻗은 제1 랙부(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랙부(6)는 대체로 보울부(2)의 좌측후부로부터 보울부(2)의 앞부분을 통과하여 우측후부까지 보울부(2)의 내주에 따라 뻗어 있다. 한편, 제1 랙부(6)는 그 외주부보다 내주부 쪽이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울부(2)의 좌측후부에 위치하는 제1 랙부(6)의 기단에는, 세정수를 토수시키는 제1 토수부(1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토수부(10)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제1 랙부(6)에 따라 림부(2a)의 내주를 선회하면서 아래쪽으로 떨어져, 오물받이면(2b)을 세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울부(2)의 오물받이면(2b)의 중턱에는, 거의 수평면상으로 뻗은 제2 랙부(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랙부(8)는 대체로 보울부(2)의 좌측후부로부터 보울부(2)의 측면부 거의 중앙의 제2 랙부 선단(8a)까지 뻗어 있다. 또한, 제2 랙부(8)는 그 외주부보다 내주부 쪽이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랙부(8)의 위쪽에는 제2 랙부(8) 위를 덮도록 돌출부(9)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시에 보울부(2) 안의 저수수위는, 보울부(2)로 세정수가 유입함으로써 초기 저수수위로부터 거의 제2 랙부(8)가 설치되어 있는 높이까지 상승한다. 따라서, 제2 랙부(8)는 제1 랙부(6)보다 아래쪽이며 초기 저수수위보다 위쪽 높이에 형성되게 된다.
또한, 보울부(2)의 좌측후부에 위치하는 제2 랙부(8)의 기단에는, 세정수를 토수시키는 제2 토수부(1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토수부(12)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돌출부(9)의 선단과 제2 랙부(8)의 내주부 사이의 슬릿형상의 틈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지면서 제2 랙부(8)에 따라 흐른다. 또한, 제2 랙부(8)에 따라 흐른 세 정수가 제2 랙부 선단(8a)에 도달하면, 거의 모든 양이 흘러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울부(2) 아래쪽의 초기 저수수위(L)보다 낮은 위치에는, 수평에 가까운 경사면으로 구성된 단차부(7)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시에는, 제2 토수부(12)로부터 토수되어 돌출부(9)의 선단과 제2 랙부(8)의 내주부 사이의 슬릿형상의 틈으로부터 흘러내린 세정수의 일부가 단차부(7)에 충돌하고, 충돌한 세정수의 일부는 위쪽으로 튀어올랐다가 다시 아래쪽으로 흘러내린다. 또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차부(7)는 보울부(2)의 앞쪽으로부터 선단부(7a)까지 뻗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선단부(7a)는 슬릿형상 틈의 중간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슬릿형상 틈의 선단부로부터 흘러내린 세정수는 단차부(7)에 충돌하고, 슬릿형상 틈의 기단부로부터 흘러내린 세정수는 단차부(7)에 충돌하지 않고 그대로 보울부(2)의 바닥부를 향한다.
수세식 대변기(1)의 뒷부분 끝에는, 제1 토수부(10) 및 제2 토수부(12)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를 도입하는 통수로 입구(18)가 형성되어 있다. 수세식 대변기(1)에 도입되는 세정수는, 상수도로부터 플러시 밸브(flush valve)(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통수로 입구(18)로 공급된다. 또한, 통수로 입구(18)로부터 수세식 대변기(1) 안으로 도입된 세정수는, 공통 통수로(20)를 통하여 수세식 대변기(1) 앞쪽을 향하여 흐른다.
공통 통수로(20)는, 보울부(2)의 뒷부분에 있어서, 보울부(2)의 뒷부분에 따라 거의 수평방향으로 뻗은 제1 통수로(14)와, 공통 통수로(20)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은 제2 통수로(16)로 분기한다. 제1 통수로(14)는, 공통 통수로(20)의 분기점으로부터 보울부(2) 좌측후부의 제1 토수부(10)까지, 보울부(2)의 뒤가장자리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뻗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통수로(16)는, 공통 통수로(20)의 분기점으로부터 거의 연직(鉛直) 아래쪽으로 뻗은 후, 제2 랙부(8)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서 앞쪽으로 만곡하여 수평방향으로 뻗어, 제2 토수부(12)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수로 입구(18)로부터 유입한 세정수 중 약 1/3이 제1 통수로(14)로 유입하고, 약 2/3가 제2 통수로(16)로 유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수세식 대변기(1)의 대기상태에 있어서, 보울부(2)에는 트랩 파이프로(4)의 최고점(4b) 높이인 초기 저수수위(L)까지 저수가 담겨져 있다. 사용자가 플러시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조작하여 보울부(2)의 세정을 시작하면, 상수도로부터 통수로 입구(18)로 세정수가 유입된다. 통수로 입구(18)로부터 유입한 세정수는, 공통 통수로(20)를 통하여 수세식 대변기(1)의 앞쪽을 향하고, 다시 제1 통수로(14)와 제2 통수로(16)로 분기되어 흐른다.
공통 통수로(20)에 유입한 세정수의 약 1/3은, 제1 통수로(14)로 유입하고 제1 토수부(10)로부터 토수된다. 보울부(2) 좌측후부의 제1 토수부(10)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제1 랙부(6)에 따라 보울부(2)의 앞부분을 향하고, 다시 보울부(2)의 앞부분을 통과하여 보울부(2) 우측후부를 향하도록 선회하여 흐른다. 또한, 제1 토수부(10)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보울부(2)의 가장자리를 선회하는 동시에, 보울부(2)의 안쪽을 향하여 흘러내리기 때문에, 세정수는 대체로 나선을 그리며 보울 부(2)의 바닥부에 도달한다. 이 세정수의 나선형 흐름에 의해, 보울부(2)의 오물받이면(2b)이 세정된다. 또한, 제1 토수부(10)로부터 토수된 세정수에는, 보울부(2)의 바깥쪽으로 튀는 방향의 원심력이 작용하는데, 보울부(2) 상단의 림부(2b)가 안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세정수가 보울부(2) 바깥쪽으로 튀지 않는다.
한편, 공통 통수로(20)에 유입한 세정수의 약 2/3는, 제2 통수로(16)로 유입하고 제2 토수부(12)로부터 토수된다. 보울부(2) 좌측후부의 제2 토수부(12)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제2 랙부(8)에 따라 보울부(2)의 앞부분을 향하고, 제2 랙부 선단(8a)에 도달한다. 또한, 제2 토수부(12)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제2 랙부(8)에 따라 흐르는 동시에, 돌출부(9)의 선단과 제2 랙부(8)의 내주부 사이의 슬릿형상의 틈으로부터 보울부(2) 안쪽을 향하여 흘러내린다. 한편, 제2 랙부(8)에 따라 흘러, 제2 랙부 선단(8a)에 닿은 세정수는, 그곳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진다. 제2 랙부(8)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정수는, 도 3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상하방향의 흐름을 형성하면서 보울부(2) 안의 저수를 교반하여, 세정 시작전에 저수면에 떠있던 부유오물을 보울부(2) 바닥부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또한, 제2 랙부(8)로부터 흘러내려 단차부(7)에 충돌한 일부 세정수는, 위쪽으로 튀어올른 후에 다시 흘러내려가기 때문에, 세정수의 상하방향의 교반작용이 강해져, 부유오물이 효과적으로 저수 안으로 끌려들어간다. 또한, 제2 랙부(8)로부터 흘러내려가 단차부(7)에 충돌하지 않고 보울부(2)의 바닥부를 향한 세정수는, 보유오물을 트랩 파이프로(4)의 입구(4a)까지 끌어들여, 효과적으로 출구(4c)까지 배출시킨다.
또한, 제1 토수부(10) 및 제2 토수부(12)로부터 세정수가 토수되어 보울부(2)로 유입되기 시작하면, 트랩 파이프로(4)의 최고점(4b)을 넘어 보울부(2)로부터 배출되는 세정수의 유량보다 보울부(2)로 유입하는 유량이 많기 때문에, 보울부(2) 안의 저수수위가 점차 상승한다. 상승한 저수수위는 제2 랙부(8)의 높이 근방까지 도달하기 때문에, 제2 랙부(8)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정수에 의해 저수면에 뜬 부유오물이 효과적으로 저수 안으로 가라앉는다.
저수수위가 상승함으로써 트랩 파이프로(4)의 최고점(4b)을 넘어 배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늘어나고, 또한 플러시 밸브(도시하지 않음)의 개구도가 점차 작아짐으로써 유입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상승한 저수수위는 곧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 때, 보울부(2)의 저수에 가라앉은 오물, 및 세정전에 저수면에 떠있다가 세정수의 흐름에 의해 저수 안으로 가라앉은 부유오물은, 세정수와 함께 트랩 파이프로(4)의 최고점(4b)을 넘어 출구(4c)로부터 배수배관(도시하지 않음)으로 배출된다. 모든 오물이 배출된 후, 저수수위가 다시 하강하여 초기 저수수위(L)까지 떨어진다. 본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1)는 벽걸이식 변기이며, 그 구조상, 저수수위와 트랩 파이프로(4) 출구(4c)와의 높이차이가 매우 작기 때문에, 사이펀 작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보울부(2) 세정의 전기간에 걸쳐 저수수위가 초기 저수수위(L)보다 낮아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에 따르면, 제2 랙부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가 보울부 안의 세정수를 교반하기 때문에, 선회류를 이용한 세정방식에서도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지 않고 부유오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에서는, 제2 랙부가 세정중에 보울부 안의 저수수위가 상승하는 높이와 거의 같은 높이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랙부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정수에 의해 보울부 안의 저수를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또한, 제2 랙부로부터의 세정수는 저수수위의 바로 위로부터 보울부 안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제1 랙부로부터 선회하면서 흘러내리는 세정수와 충돌하여 물이 튀기는 일이 없다.
이어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는, 제2 랙부의 형상이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하여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VI-VI선에 따른 정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00)는 보울부(102)와 트랩 파이프로(104)를 가진다.
보울부(102)의 위가장자리는 림부(102a)를 구성하며, 그 아래쪽에는 오물받이면(102b)이 구성되어 있다.
트랩 파이프로(104)는, 입구(104a), 최고점(104b), 출구(104c)를 가진다. 수세식 대변기(100)의 사용시, 대기시의 저수수위인 초기 저수수위(L)는 트랩 파이프로(104)의 최고점(104b)의 높이와 같아진다. 따라서, 수세식 대변기(100)의 초기 저수수위(L)는 트랩 파이프로(104)의 형상에 따라 규정된다.
또한, 보울부(102)의 림부(102a)에 따라, 거의 수평면상으로 뻗은 제1 랙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랙부(106)의 형상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보울부(102)의 좌측후부에 위치하는 제1 랙부(106)의 기단에는, 세정수를 토수시키는 제1 토수부(11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울부(102)의 오물받이면(102b)의 중턱에는, 거의 수평면상으로 뻗은 제2 랙부(108)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랙부(108)는 대체로 보울부(102)의 좌측후부로부터 보울부(102) 앞부분의 제2 랙부 선단(108a)까지, 위쪽에서 보아 역 J자형을 그리도록 뻗어 있다. 또한, 제2 랙부(108)는 그 외주부보다 내주부 쪽이 낮아지도록 경사져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 랙부(108)의 위쪽에는 제2 랙부(108) 위를 덮도록 돌출부(109)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시에 보울부(102) 안의 저수수위는, 보울부(102)로 세정수가 유입됨으로써 초기 저수수위로부터 거의 제2 랙부(108)가 설치되어 있는 높이까지 상승한다. 따라서, 제2 랙부(108)는 제1 랙부(106)보다 아래쪽이며 초기 저수수위보다 위쪽의 높이에 형성되게 된다.
한편, 보울부(102) 좌측후부에 위치하는 제2 랙부(108)의 기단에는, 세정수를 토수시키는 제2 토수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토수부(112)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돌출부(109)의 선단과 제2 랙부(108)의 내주부 사이의 슬릿형상의 틈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지면서 제2 랙부(108)에 따라 흐른다. 또한, 제2 랙부(108)에 따라 흐른 세정수가 제2 랙부 선단(108a)에 도달하면, 거의 모든 양이 흘러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울부(102) 아래쪽의 초기 저수수위(L)보다 낮은 위치에는, 수평에 가까운 경사면으로 구성된 단차부(107)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시에는, 제2 토수부(112)로부터 토수되어 돌출부(109)의 선단과 제2 랙부(108)의 내주부 사이의 슬릿형상의 틈으로부터 흘러내린 세정수의 일부가 단차부(107)에 충돌하고, 충돌한 세정수의 일부는 위쪽으로 튀어올랐다가 다시 아래쪽으로 흘러내린다. 또한, 단차부(107)는 보울부(102)의 앞쪽으로부터 선단부(107a)까지 뻗도록 형성되어 있다. 세정수가 흘러내리는 슬릿형상의 틈은,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107a)보다 뒤쪽까지 뻗어있기 때문에, 슬릿형상 틈의 단차부(107)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으로부터 흘러내린 세정수는, 단차부(107)에 충돌하지 않고 그대로 보울부(102)의 바닥부를 향한다. 한편, 슬릿형상의 틈 중, 단차부(107) 위쪽 부분으로부터 흘러내린 세정수는, 단차부(107)에 충돌하여 위쪽으로 튀어오른다.
수세식 대변기(100)의 뒷부분 끝에는 통수로 입구(11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수로 입구(118)로부터 도입된 세정수는 공통 통수로(120)를 통하여 수세식 대변기(100) 앞쪽을 향하여 흐른다.
공통 통수로(120)는 제1 통수로(114)와 제2 통수로(116)로 분기된다. 제1 통수로(114)는 공통 통수로(120)의 분기점으로부터 제1 토수부(110)까지 뻗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통수로(116)는 공통 통수로(120)의 분기점으로부터 제2 토수부(112)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수로 입구(118)로부터 유입한 세정수 중 약 1/3이 제1 통수로(114)로 유입하고, 약 2/3가 제2 통수로(116)로 유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100)의 작용을 설명한 다.
먼저, 수세식 대변기(100)의 대기상태에서는, 초기 저수수위(L)까지 저수가 담겨져 있다. 사용자가 보울부(102)의 세정을 시작하면, 통수로 입구(118)로 세정수가 유입하고, 공통 통수로(120)를 통하여 제1 통수로(114)와 제2 통수로(116)로 분기하여 흐른다.
보울부(102)의 제1 토수부(110)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제1 랙부(106)에 따라 선회하여 흐른다. 또한, 제1 토수부(110)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보울부(102)의 가장자리를 선회하는 동시에 흘러내리고, 세정수는 대체로 나선을 그리며 보울부(102)의 바닥부에 도달한다. 이에 의해, 보울부(102)의 오물받이면(102b)이 세정된다.
한편, 보울부(102) 좌측후부의 제2 토수부(112)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제2 랙부(108)에 따라 보울부(120)의 앞부분을 향하고, 제2 랙부 선단(108a)에 도달한다. 또한, 제2 토수부(112)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제2 랙부(108)에 따라 흐르는 동시에, 돌출부(109)의 선단과 제2 랙부(108)의 내주부 사이의 슬릿형상의 틈으로부터 보울부(102)의 안쪽을 향하여 흘러내린다. 더구나, 제2 랙부(108)에 따라 흘러 제2 랙부 선단(108a)에 닿은 세정수는, 그곳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떨어지기 때문에, 제2 랙부(108)의 앞부분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흘러내려, 오물을 트랩 파이프로(10)의 입구(104a) 쪽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제2 랙부(108)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정수는, 보울부(102) 안의 저수를 교반하여, 세정 시작전에 저수면에 떠있던 부유오물을 보울부(102) 바닥부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또한, 제2 랙부(108)로부터 흘 러내려 단차부(107)에 충돌한 일부 세정수는, 위쪽으로 튀어올른 후에 다시 흘러내려가기 때문에, 세정수의 상하방향의 교반작용이 강해져서 부유오물이 효과적으로 저수 안으로 끌려들어간다. 또한, 제2 랙부(108)로부터 흘러내려 단차부(107)에 충돌하지 않고 보울부(102)의 바닥부를 향한 세정수는, 보유오물을 트랩 파이프로(104)의 입구(104a)까지 끌어들여, 효과적으로 출구(104c)까지 배출시킨다.
또한, 제1 토수부(110) 및 제2 토수부(112)로부터 세정수가 토수되면, 보울부(102) 안의 저수수위가 점차 상승한다. 상승한 저수수위는 제2 랙부(108)의 높이 근방까지 도달하기 때문에, 제2 랙부(108)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정수에 의해 저수면에 뜬 부유오물이 효과적으로 저수 안으로 가라앉는다.
저수수위가 상승하여 최고 높이에 도달한 후, 상승한 저수수위는 곧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 때, 보울부(102)의 저수에 가라앉은 오물, 및 세정전에 저수면에 떠있다가 세정수의 흐름에 의해 저수 안으로 가라앉은 부유오물은, 세정수와 함께 트랩 파이프로(104)의 최고점(104b)을 넘어 출구(104c)로부터 배수배관(도시하지 않음)으로 배출된다. 모든 오물이 배출된 후, 저수수위가 다시 하강하여 초기 저수수위(L)까지 떨어진다. 본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100)는 벽걸이식 변기이며, 사이펀 작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보울부(102) 세정의 전기간에 걸쳐 저수수위가 초기 저수수위(L)보다 낮아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에서는, 제2 랙부로부터의 세정수의 대부분이 보울부의 앞부분으로부터 트랩 파이프로를 향하여 흘러내려가기 때문에, 보울부 안의 오물의 트랩 파이프로로의 배출을 보조하여, 오물의 배출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는, 제2 토수부가 트랩 파이프로를 향하여 보울부의 앞부분에 설치되어 있다는 점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다르다. 따라서, 여기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만을 설명하고, 같은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7의 IX-IX선에 따른 정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200)는, 보울부(202)와 이 보울부(202)의 바닥부로부터 연결되어 뻗은 트랩 파이프로(204)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200)는 벽걸이식 변기로서 구성되어 있다.
보울부(202)에는 림부(202a) 및 오물받이면(202b)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형상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트랩 파이프로(204)는, 입구(204a), 최고점(204b), 출구(204c)를 가지며, 그 형상은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수세식 대변기(200)의 대기시의 저수수위인 초기 저수수위(L)는, 트랩 파이프로(204)의 최고점(204b)의 높이에 의해 규정된다.
또한, 보울부(202)의 림부(202a)에 따라 거의 수평면상으로 뻗은 제1 랙 부(20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1 랙부(206)의 형상도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보울부(202)의 좌측후부에 위치하는 제1 랙부(206)의 기단에는, 세정수를 토수시키는 제1 토수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토수부(210)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제1 랙부(206)에 따라 림부(202a)의 내주를 선회하면서 아래쪽으로 떨어져 오물받이면(202b)을 세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보울부(202) 앞부분의 오물받이면(202b)의 중턱에는, 트랩 파이프로(204)를 향하여 세정수를 토수시키는 제2 토수부(212)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2 토수부(212)로의 급수는, 보울부(202) 아래면측에 설치되며 위쪽에서 보아 역 J자형을 그리도록 보울부(202)의 좌측후부로부터 뻗은 제2 통수로(216)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제2 통수로(216)는 보울부(202)의 좌측후부로부터 위쪽으로 뻗어, 후술하는 공통 통수로(220)에 연결되어 있다. 세정시에 보울부(202) 안의 저수수위는, 보울부(202)에 세정수가 유입함으로써 초기 저수수위로부터 거의 제2 토수부(212)가 설치되어 있는 높이까지 상승한다. 따라서, 제2 토수부(212)는 제1 랙부(206)보다 아래쪽이며 초기 저수수위보다 위쪽의 높이에 형성되게 된다.
한편, 수세식 대변기(200)의 뒷부분 끝에는, 제1 토수부(210) 및 제2 토수부(212)로부터 토출되는 세정수를 도입하는 통수로 입구(218)가 형성되어 있다. 수세식 대변기(200)에 도입되는 세정수는, 상수도로부터 플러시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통수로 입구(218)로 공급된다. 또한, 통수로 입구(218)로부터 수세식 대변기(200) 안으로 도입된 세정수는, 공통 통수로(220)를 통하여 수세식 대변기(200) 의 앞쪽을 향하여 흐른다.
또한, 보울부(202) 아래쪽의 초기 저수수위(L)보다 낮은 위치에는, 수평에 가까운 경사면으로 구성된 단차부(207)가 형성되어 있다. 세정시에는 제2 토수부(212)로부터 토수되어 흘러내린 세정수가 단차부(207)에 충돌하고, 충돌한 세정수의 일부는 위쪽으로 튀어올랐다가 다시 아래쪽으로 흘러내린다.
공통 통수로(220)는 보울부(202)의 뒷부분에 있어서, 보울부(202)의 뒷부분에 따라 거의 수평방향으로 뻗은 제1 통수로(214)와, 공통 통수로(220)로부터 아래쪽으로 뻗은 제2 통수로(216)로 분기한다. 제1 통수로(214)는, 공통 통수로(220)의 분기점으로부터 보울부(202) 좌측후부의 제1 토수부(210)까지, 보울부(202)의 뒤가장자리에 따라 수평방향으로 뻗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통수로(216)는, 공통 통수로(220)의 분기점으로부터 거의 연직 아래쪽으로 뻗은 후, 제2 토수부(212)와 거의 동일한 높이에서 앞쪽으로 만곡하여 수평방향으로 뻗는다. 또한, 앞쪽으로 만곡한 제2 통수로(216)는, 보울부(202)의 아래면측을 위쪽에서 보아 역 J자형을 그리도록 뻗어 제2 토수부(212)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수로 입구(218)로부터 유입한 세정수 중 약 1/3이 제1 통수로(214)로 유입하고, 약 2/3가 제2 통수로(216)로 유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세식 대변기(200)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수세식 대변기(200)의 대기상태에서는, 저수가 최고점(204b)의 높이인 초기 저수수위(L)까지 담겨져 있다. 사용자가 플러시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조작 하면, 상수도로부터 통수로 입구(218)로 세정수가 유입하고, 세정수는 공통 통수로(220)를 통과한 후, 제1 통수로(214)와 제2 통수로(216)로 분기된다.
공통 통수로(220)에 유입한 세정수의 약 1/3은, 제1 통수로(214)로 유입하고 제1 토수부(210)로부터 토수된다. 제1 토수부(210)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제1 랙부(206)에 따라 보울부(202) 안을 선회하여 흐른다. 또한, 제1 토수부(210)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선회하면서 보울부(202)의 안쪽을 향하여 흘러내리기 때문에, 세정수는 대체로 나선을 그리며 보울부(202)의 바닥부에 도달한다. 이 세정수의 나선형 흐름에 의해 보울부(202)의 오물받이면(202b)이 세정된다. 또한, 림부(202a)가 안쪽으로 튀어나오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토수부(210)로부터 토수된 세정수가 원심력에 의해 보울부(202)의 바깥쪽으로 튀지 않는다.
한편, 공통 통수로(220)에 유입한 세정수의 약 2/3는, 제2 통수로(216)로 유입하고 제2 토수부(212)로부터 토수된다. 보울부(202)의 좌측후부에서 공통 통수로(220)로부터 분기된 제2 토수로(216)는, 먼저 연직 아래쪽을 향하고, 이어서 수평방향으로 보울부(202) 앞쪽을 향하여 제2 토수부(212)에 접속된다. 또한, 제2 토수부(212)로부터 토수된 세정수는, 보울부(202)의 앞부분으로부터 트랩 파이프로(204)의 입구(204a)를 향하여 흐르고, 보울부(202) 안의 저수를 교반하여 세정 시작전에 저수면에 떠있던 부유오물을 보울부(202)의 바닥부에 뚫린 입구(204a)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한편, 제2 토수부(212)로부터 흘러내려 단차부(207)에 충돌한 세정수는, 위쪽으로 튀어올른 후에 다시 흘러내려가기 때문에, 세정수의 상하방향의 교반작용이 강해져서 부유오물이 효과적으로 저수 안으로 끌려들어간다.
또한, 제1 토수부(210) 및 제2 토수부(212)로부터 세정수가 토수되어, 보울부(202)에 유입되기 시작하면, 보울부(202) 안의 저수수위가 점차 상승한다. 상승한 저수수위는 제2 토수부(212)의 높이 근방까지 도달하기 때문에, 제2 토수부(212)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정수에 의해 저수면에 뜬 부유오물이 효율적으로 저수 안으로 가라앉는다.
저수수위가 상승함으로써 트랩 파이프로(204)의 최고점(204b)을 넘어 배출되는 세정수의 유량이 늘어나고, 또한 플러시 밸브(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유입하는 세정수의 유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상승한 저수수위는 곧 하강하기 시작한다. 이 때, 보울부(202)의 저수에 가라앉은 오물, 및 세정전에 저수면에 떠있다가 세정수의 흐름에 의해 저수 안으로 가라앉은 부유오물은, 세정수와 함께 트랩 파이프로(204)의 출구(204c)로부터 배수배관(도시하지 않음)으로 배출된다. 모든 오물이 배출된 후, 저수수위가 다시 하강하여 초기 저수수위(L)까지 떨어진다. 본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200)는 벽걸이식 변기이며, 그 구조상 사이펀 작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보울부(2) 세정의 전기간에 걸쳐 저수수위가 초기 저수수위(L)보다 낮아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에 따르면, 제2 토수부로부터 토수되는 세정수가 보울부 안의 세정수를 교반하기 때문에, 선회류를 이용한 세정방식에서도 사이펀 작용을 이용하지 않고 부유오물을 효과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세식 대변기에서는, 제2 토수부가 세정중에 보울부 안의 저수수위가 상승하는 높이와 거의 같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토수 부로부터 흘러내리는 세정수에 의해 보울부 안의 저수를 효과적으로 교반할 수 있다. 또한, 제2 토수부로부터의 세정수는 저수수위의 바로 위로부터 보울부 안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제1 랙부로부터 선회하면서 흘러내리는 세정수와 충돌하여 물이 튀기는 일이 없다. 또한, 제2 토수부로부터의 세정수는, 보울부의 앞부분으로부터 트랩 파이프로의 입구를 향하여 흘러내려가기 때문에, 보울부 안의 오물을 트랩 파이프로로 배출시키는 것을 보조하여, 오물의 배출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를 여러가지로 변경할 수 있다. 특히,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세정수가 수도로부터 직접 공급되는 수도 직결식 수세식 대변기에 적용하였는데, 본 발명을 세정수 탱크로부터 세정수가 공급되는 탱크식 수세식 대변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사용자가 세정수 탱크의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수세식 대변기의 세정이 시작되고, 세정수 탱크 안의 세정수가 소정 양까지 감소했을 때, 수세식 대변기로의 세정수 공급이 정지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2 랙부 및 제2 토수부(제3 실시예)가 세정시의 최고 저수수위 근방에 형성되었는데, 제2 랙부 및 제2 토수부는 또한 위쪽에 형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1 토수부로부터 토수된 세정수와의 충돌에 의한 물튀김이 발생하지 않는 높이에, 제2 랙부 또는 제2 토수부를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벽걸이식 수세식 대변기에 적용하였는데, 사이펀 작용이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사이펀 작용이 약한 스탠드식 수세식 대변기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도 매우 유효하다. 또한, 본 발명을 사이펀 작용이 발생하는 수세식 대변기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내용 중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9)

  1. 세정수에 의해 변기를 세정하고, 오물을 배출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보울형상의 오물받이면 및 그 위가장자리의 내벽면이 안쪽을 향하여 튀어나와 있는 림부를 구비한 보울부와,
    이 보울부안의 오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보울부의 바닥부와 연결되어 뻗으며, 상기 보울부의 초기 저수수위를 규정하는 트랩 파이프로와,
    상기 오물받이면의 위가장자리에 상기 림부를 따라 형성된 제1 랙부와,
    이 제1 랙부보다 아래쪽이며 상기 초기 저수수위보다 위쪽의 상기 오물받이면에 형성된 제2 랙부와,
    상기 제1 랙부 위로 세정수를 토수하여, 상기 오물받이면 위에 선회류를 형성하는 제1 토수부와,
    상기 제2 랙부 위로 세정수를 토수하여, 상기 보울부 안의 세정수를 교반하는 흐름을 형성하는 제2 토수부와,
    상기 제1 토수부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1 통수로와,
    상기 제2 토수부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2 통수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랙부가 세정시에 상기 보울부의 저수수위가 상승하는 최고 높이 근 방에 형성되어 있는 수세식 대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랙부가 상기 보울부의 뒷부분으로부터 측면부까지 뻗는 수세식 대변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랙부가 상기 보울부의 뒷부분으로부터 앞부분을 향하여 대략 J자형 또는 역 J자형으로 뻗는 수세식 대변기.
  5. 세정수에 의해 변기를 세정하고, 오물을 배출하는 수세식 대변기로서,
    보울형상의 오물받이면 및 그 위가장자리의 내벽면이 안쪽을 향하여 튀어나와 있는 림부를 구비한 보울부와,
    이 보울부 안의 오물을 배출하도록 상기 보울부의 바닥부와 연결되어 뻗으며, 상기 보울부의 초기 저수수위를 규정하는 트랩 파이프로와,
    상기 오물받이면의 위가장자리에 상기 림부에 따라 형성된 제1 랙부와,
    상기 제1 랙부 위로 세정수를 토수하여, 상기 오물받이면 위에 선회류를 형성하는 제1 토수부와,
    상기 제1 랙부보다 아래쪽이며 상기 초기 저수수위보다 위쪽 높이에 형성되며, 상기 보울부의 앞쪽으로부터 상기 트랩 파이프로의 입구쪽으로 세정수를 토수 하여, 상기 보울부 안의 세정수를 교반하는 흐름을 형성하는 제2 토수부와,
    상기 제1 토수부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1 통수로와,
    상기 제2 토수부로 세정수를 공급하는 제2 통수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식 대변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토수부가 세정시에 상기 보울부의 저수수위가 상승하는 최고 높이 근방에 형성되어 있는 수세식 대변기.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세정시에 상기 보울부의 저수수위가 항상 상기 초기 저수수위 이상인 수세식 대변기.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랩 파이프로의 출구가, 벽면에 설치된 배수배관에 접속되는 수세식 대변기.
  9.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세식 대변기는 벽걸이식으로 되어 있는 수세식 대변기.
KR1020077018297A 2005-02-10 2006-02-09 수세식 대변기 KR1009080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34797 2005-02-10
JP2005034797 2005-02-10
PCT/JP2006/302242 WO2006085575A1 (ja) 2005-02-10 2006-02-09 水洗大便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697A KR20070107697A (ko) 2007-11-07
KR100908083B1 true KR100908083B1 (ko) 2009-07-16

Family

ID=36793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8297A KR100908083B1 (ko) 2005-02-10 2006-02-09 수세식 대변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827628B2 (ko)
EP (1) EP1847656B1 (ko)
JP (1) JP3975486B2 (ko)
KR (1) KR100908083B1 (ko)
CN (1) CN100582402C (ko)
HK (1) HK1116844A1 (ko)
RU (1) RU2382149C2 (ko)
TW (1) TW200636133A (ko)
WO (1) WO200608557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9881A (zh) * 2014-03-21 2015-12-23 科勒公司 无唇面马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67494B2 (ja) * 2009-02-04 2014-04-09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5510881B2 (ja) * 2009-03-31 2014-06-04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CN101962967B (zh) * 2009-07-24 2014-10-15 吉博力国际股份公司 用于wc的冲洗装置以及操作该冲洗装置的方法
EP2562314B1 (en) * 2011-08-24 2022-05-11 Toto Ltd. Flush toilet
JP6246453B2 (ja) * 2011-08-24 2017-12-13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5935970B2 (ja) * 2011-08-24 2016-06-15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US20130219605A1 (en) * 2012-02-24 2013-08-29 As Ip Holdco, Llc Rimless toilet
JP6006037B2 (ja) * 2012-08-17 2016-10-12 株式会社Lixil 水洗式便器
DE202014100320U1 (de) 2013-01-25 2014-02-11 Kausar Zakarievich Sabirov Toilette
WO2014123494A1 (en) 2013-02-05 2014-08-14 Eczacibaşi Yapi Gereçleri Sanayi Ve Ticaret Anonim Şirketi Toilet bowl washing system
CN104074255B (zh) * 2013-03-29 2017-08-04 Toto株式会社 冲水大便器
JP5553188B1 (ja) 2013-09-26 2014-07-16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6344543B2 (ja) * 2013-09-30 2018-06-20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US9732507B2 (en) 2013-10-23 2017-08-15 As Ip Holdco, Llc Wall-hung toilet with improved load-bearing capacity
CN104712044A (zh) * 2013-12-15 2015-06-17 湖南国维洁具股份有限公司 一种节水型坐便器
JP6436412B2 (ja) * 2013-12-19 2018-12-1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水洗便器
KR101540284B1 (ko) * 2014-01-14 2015-07-29 대림비앤코주식회사 벽배수 트랩형 변기용 접속유닛
US9719239B2 (en) 2014-03-18 2017-08-01 Kohler India Corporation Private Limited Dual-jet toilet
JP2016094762A (ja) * 2014-11-14 2016-05-26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RU2017126634A (ru) 2014-12-26 2019-01-28 Еджзаджибаши Йапи Геречлери Санайи Ве Тиджарет Аноним Ширкет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мыва для чаши унитаза с регулятором скорости потока
JP6573066B2 (ja) 2015-02-04 2019-09-11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6919153B2 (ja) * 2015-09-09 2021-08-18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WO2018151351A1 (ko) * 2017-02-16 2018-08-23 강현웅 사이클론식 변기
DE202017005242U1 (de) * 2017-06-09 2018-09-17 Geberit lnternational AG Wasserklosett
CN107740472A (zh) * 2017-09-20 2018-02-27 佛山市乐华恒业卫浴有限公司 一种隐藏水箱式马桶
DE102018121465A1 (de) 2017-11-17 2019-05-23 Villeroy & Boch Ag Spültoilette
US11965322B2 (en) * 2018-09-28 2024-04-23 Kohler Co. Flush toilet
DE102019105730A1 (de) 2019-03-07 2020-09-10 Duravit Aktiengesellschaft Sanitärgegenstand in Form eines WCs
JP7095669B2 (ja) * 2019-09-30 2022-07-05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JP7092100B2 (ja) * 2019-09-30 2022-06-28 Toto株式会社 水洗大便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1950A (ja) * 1997-08-08 1999-03-05 Inax Corp 洗落し洋風便器
KR200211464Y1 (ko) * 2000-08-09 2001-01-15 삼성물산주식회사 양변기 설치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58680A (en) * 1944-10-09 1951-06-26 Angus W Groff Rim wash toilet
DE1817631U (de) * 1958-06-24 1960-09-01 Eickhoff Geb Vorrichtung zum pruefen von getrieben.
DE1817631A1 (de) * 1968-12-23 1970-06-25 Butzke Werke Ag Klosettbecken
US5170515A (en) * 1987-09-16 1992-12-15 Toto Ltd. Water closet
JPH07100455B2 (ja) 1989-10-16 1995-11-01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トラック用車台フレーム
JPH0748779Y2 (ja) * 1990-04-06 1995-11-08 株式会社イナックス 壁掛ワンピース型便器を有するトイレルーム
JP3128774B2 (ja) 1990-11-30 2001-01-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磁気感熱記録媒体
JPH0748779A (ja) 1993-08-06 1995-02-21 Kanebo Ltd コーティング布帛
JP3381261B2 (ja) * 1996-10-15 2003-02-24 東陶機器株式会社 水洗便器
AU2001242808A1 (en) * 2000-03-29 2001-10-08 Toto Ltd. Water closet
WO2003016643A1 (fr) 2001-08-13 2003-02-27 Toto Ltd. Cuvette de toilettes et procede de fabrication
JP2003129550A (ja) * 2001-08-13 2003-05-08 Toto Ltd 大便器
US7392550B2 (en) * 2002-08-21 2008-07-01 Inax Corporation Silencer and water supply device
US20040040080A1 (en) * 2002-08-30 2004-03-04 American Standard, Inc. Toilet assembly
CN100430562C (zh) * 2002-09-03 2008-11-05 Toto株式会社 冲水便器
JP4075541B2 (ja) 2002-09-10 2008-04-16 Toto株式会社 水洗式大便器
US6989172B2 (en) * 2003-01-27 2006-01-24 Micell Technologies, Inc. Method of coating microelectronic substrates
TWM288640U (en) * 2005-09-29 2006-03-11 Globe Union Ind Corp Toilet structur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1950A (ja) * 1997-08-08 1999-03-05 Inax Corp 洗落し洋風便器
KR200211464Y1 (ko) * 2000-08-09 2001-01-15 삼성물산주식회사 양변기 설치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89881A (zh) * 2014-03-21 2015-12-23 科勒公司 无唇面马桶
CN105189881B (zh) * 2014-03-21 2018-03-27 科勒公司 无唇面马桶
US10060113B2 (en) 2014-03-21 2018-08-28 Kohler Co. Rimless toilet
US10233627B2 (en) 2014-03-21 2019-03-19 Kohler Co. Rimless toil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7697A (ko) 2007-11-07
JP3975486B2 (ja) 2007-09-12
HK1116844A1 (en) 2009-01-02
US20070277302A1 (en) 2007-12-06
RU2007133610A (ru) 2009-03-20
US8037552B2 (en) 2011-10-18
TW200636133A (en) 2006-10-16
CN100582402C (zh) 2010-01-20
EP1847656B1 (en) 2016-12-28
US20110023224A1 (en) 2011-02-03
TWI319787B (ko) 2010-01-21
WO2006085575A1 (ja) 2006-08-17
EP1847656A1 (en) 2007-10-24
US7827628B2 (en) 2010-11-09
EP1847656A4 (en) 2008-12-10
RU2382149C2 (ru) 2010-02-20
JPWO2006085575A1 (ja) 2008-06-26
CN101115887A (zh) 200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083B1 (ko) 수세식 대변기
JP3381261B2 (ja) 水洗便器
JP5292681B2 (ja) 水洗便器
JP2013044178A (ja) 水洗大便器
CN110306636B (zh) 冲水坐便器
JP2009243052A (ja) 水洗大便器
JP5510881B2 (ja) 水洗大便器
JP2013044179A (ja) 水洗大便器
JP2011058300A (ja) 洗い落とし式便器
JP5305218B2 (ja) 水洗大便器
JP5927629B2 (ja) 水洗大便器
JP4075541B2 (ja) 水洗式大便器
JP5831847B2 (ja) サイホン式大便器
JP2018013037A (ja) 水洗大便器
JP2021120536A (ja) 水洗大便器
JP5835549B2 (ja) 洗い落し式汚物排出装置
JP2001026960A (ja) 水洗便器
JP2014088765A (ja) 水洗大便器
JP2019173324A (ja) 水洗大便器
JP2015017460A (ja) 水洗大便器
JP6890774B2 (ja) 水洗大便器
JP2004003382A (ja) 水洗便器
JP2001026971A (ja) 水洗便器
JP2022113885A (ja) 水洗大便器
CN115404962A (zh) 一种虹吸式挂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