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464Y1 - 양변기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양변기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464Y1
KR200211464Y1 KR2020000022634U KR20000022634U KR200211464Y1 KR 200211464 Y1 KR200211464 Y1 KR 200211464Y1 KR 2020000022634 U KR2020000022634 U KR 2020000022634U KR 20000022634 U KR20000022634 U KR 20000022634U KR 200211464 Y1 KR200211464 Y1 KR 20021146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wall
sewage pipe
installation struc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26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승민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물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26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46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46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464Y1/ko

Links

Landscapes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파트, 단독주택 등의 욕실에 설치되는 양변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양변기를 벽에 설치하여 위생적이고 깨끗한 욕실분위기를 제공하는 동시에 누수시 하층세대에 피해를 주지 않고 배수시 하층세대로 배수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는 양변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양변기 설치구조는 벽(4)에 양변기설치대(10)가 설치되어 있고, 양변기(11)를 그 저면은 바닥(2)에 접촉하지 않고 그 후면이 상기 양변기설치대(10)에 접촉하도록 고정하며, 오수관(13)의 일단을 양변기(11)의 후방에 연결하고 상기 오수관(13)은 양쪽기 후방쪽의 양변기설치대(10)와 벽(4)에 형성된 벽구멍(4a)을 관통하여 메인오수관(5)으로 연결하며, 상기 양변기설치대(10)의 내부에 물탱크(12)가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양변기 설치구조{SANITARY SYSTEM}
본 고안은 아파트, 단독주택 등의 욕실에 설치되는 양변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변기를 벽에 설치하여 위생적이고 깨끗한 욕실분위기를 제공하는 동시에 누수시 하층세대에 피해를 주지 않고 배수시 하층세대로 배수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도록 되어 있는 양변기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양변기의 설치구조는 바닥상치형으로 도 1과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변기(1)를 바닥(2)에 설치하고, 양변기(1)의 하부와 연결된 오수관(3)은 바닥(2)에 형성된 바닥구멍(2a)을 통하여 하층으로 내려간 후 하층의 벽(4)에 형성된 벽구멍(4a)을 통하여 벽(4)의 이면에 있는 메인오수관(5)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급수관(6)은 물탱크(1a)의 하부와 벽(4)의 내부에 파이프와 연결된다. 물탱크(1a)에는 배수할 때 사용하는 푸시버튼(1b)이 구성되어 있다.
양변기는 용변을 본 후 푸시버튼(1b)을 누르면 물탱크(1a)에 있는 물이 양변기(1)의 본체를 통하여 배설물과 함께 오수관(3)을 통하여 메인오수관(5)으로 배수된다.
상기와 같은 바닥상치형의 종래 양변기 설치구조는 누수가 발생하는 경우에 하층세대에 물이 떨어져 피해를 입히고, 배수시 하층세대로 배수소음이 크게 전달되며, 욕실의 바닥공간이 협소하게 되며, 위층의 오수관(3)의 구성으로 인하여 그만큼 욕실천정이 낮게 된다.
그리고 오수관(3) 또는 오수관(3)과 양변기(1)의 연결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할 경우 하층세대의 욕실천정을 제거하여 수리를 하여야 하며, 양변기(1)를 바닥에 고정하기 위하여 세멘트부분을 뜯어야 하고 수리후에는 다시 세멘트로 고정시켜야 하는 등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양변기의 주변, 특히 뒤쪽에는 청소가 곤란하여 청결하지 못하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누수발생시 하층세대에 피해를 주지 않고 배수시 하층세대로 배수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양변기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욕실의 천정높이를 높게 하고 넓은 욕실바닥공간을 확보하며 청결하고 쾌적한 욕실환경을 제공하는 양변기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유지관리가 편리한 양변기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양변기의 설치구조는 오수관의 일단을 양변기의 후방에 연결하고 상기 오수관은 양쪽기 후방쪽의 벽에 형성된 벽구멍 을 통하여 메인오수관으로 연결하며, 양변기는 후방에 설치된 양변기설치대에 고정되며, 상기 양변기설치대의 내부에 물탱크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양변기의 설치상태도,
도 2는 종래 양변기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설치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1: 양변기 1a: 물탱크
1b: 푸시버튼 2: 바닥
2a: 바닥구멍 3, 13: 오수관
4: 벽 4a: 벽구멍
5: 메인오수관 6: 급수관
10: 양변기설치대 10a: 푸시버튼
12: 물탱크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양변기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양변기 설치구조는 벽(4)에 양변기설치대(10)가 설치되어 있고, 양변기(11)를 그 저면은 바닥(2)에 접촉하지 않고 그 후면이 상기 양변기설치대(10)에 접촉하도록 고정하며, 오수관(13)의 일단을 양변기(11)의 후방에 연결하고 상기 오수관(13)은 양쪽기 후방쪽의 양변기설치대(10)와 벽(4)에 형성된 벽구멍(4a)을 관통하여 메인오수관(5)으로 연결하며, 상기 양변기설치대(10)의 내부에 물탱크(12)가 구성되어 있다.
양변기설치대(10)는 내부에 공간이 있는 것으로서 상하방향의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외표면에 타일을 붙여서 외관을 미려하게 하고, 양변기설치대(10)에는 물탱크(12)의 물을 배수할 때 사용하는 푸시버튼(10a)을 구성한다.
양변기 설치대(10)의 좌우 넓이를 욕실의 한쪽 벽 넓이 만큼 넓게 하면 양변기설치대(10)에 세면대를 설치할 수 있고 양변기 설치대(10)의 윗면은 평평하게 하여 세면도구, 스킨과 같은 화장품 등을 올려 놓을 수 있으며, 욕실의 분위기가 고급화 되게 된다.
양변기(11)의 하부는 바닥(2)과 접촉하지 않고 빈 공간을 형성하며, 양변기(11)는 양변기설치대(10)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으로 고정한다.
양변기(11)를 사용할 때 배변후에 푸시버튼(10a)을 누르면 물탱크(12)의 물이 양변기(11)를 거쳐서 오수관(13)을 통하여 메인오수관(5)으로 들어간다.
본 고안의 양변기 설치구조는 양변기(11)가 벽(4)쪽에 설치되어 있고 오수관(13)이 바닥(2)을 관통하지 않고 바로 벽(4)을 관통하여 벽이면에 있는 메인오수관(5)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누수가 발생하더라도 하층세대에는 피해를 입히지 않으며, 배수시 배수소음이 하층세대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또한 양변기(11)의 하부공간이 비어 있으므로 넓은 바닥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양변기설치대(10)의 윗면에 세면도구, 화장도구 등을 올려 놓을 수 있으므로 종래 이들을 벽에 걸어 놓은 용기에 넣어 두는 것에 비하여 욕실을 고급화 할 수 있으며 쾌적한 욕실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본 고안은 또한 위층세대의 오수관이 천정을 관통하여 내려오지 않으므로 천장을 높게 할 수 있으며 고장수리시 하층세대의 천장을 제거 설치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양변기(11)를 양변기설치대(10)로부터 쉽게 제거할 수 있으므로 유지관리가 편리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양변기 설치구조는 누수발생시 하층세대에 피해를 전혀 주지 않으며 배수시 하층세대로 배수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하고, 천정높이를 높게 하고 넓은 욕실바닥공간을 확보하며 청결하고 쾌적한 욕실환경을 제공하며, 유지관리가 편리하게 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그러한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벽(4)에 양변기설치대(10)가 설치되어 있고, 양변기(11)를 그 저면은 바닥(2)에 접촉하지 않고 그 후면이 상기 양변기설치대(10)에 접촉하도록 고정하며, 오수관(13)의 일단을 양변기(11)의 후방에 연결하고 상기 오수관(13)은 양쪽기 후방쪽의 양변기설치대(10)와 벽(4)에 형성된 벽구멍(4a)을 관통하여 메인오수관(5)으로 연결하며, 상기 양변기설치대(10)의 내부에 물탱크(12)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변기 설치대(10)는 상하방향길이가 길게 되어 있고 좌우 넓이를 넓게 하여 양변기설치대(10)에 세면대를 동시에 설치할 수 있고 양변기설치대(10)의 윗면은 평평하게 하여 세면도구, 스킨과 같은 화장품 등을 올려 놓을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변기 설치구조.
KR2020000022634U 2000-08-09 2000-08-09 양변기 설치구조 KR20021146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34U KR200211464Y1 (ko) 2000-08-09 2000-08-09 양변기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2634U KR200211464Y1 (ko) 2000-08-09 2000-08-09 양변기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464Y1 true KR200211464Y1 (ko) 2001-01-15

Family

ID=73057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2634U KR200211464Y1 (ko) 2000-08-09 2000-08-09 양변기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46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426A (ko) * 2001-10-22 2003-05-01 홍천화 급수 배수소음이 저감된 절수형 벽식 변기
KR100908083B1 (ko) * 2005-02-10 2009-07-16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수세식 대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3426A (ko) * 2001-10-22 2003-05-01 홍천화 급수 배수소음이 저감된 절수형 벽식 변기
KR100908083B1 (ko) * 2005-02-10 2009-07-16 토토 가부시키가이샤 수세식 대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0369162U (zh) 一种卫生间同层防水排水结构
US3696448A (en) Lavatory-water closet combination
JPH06507689A (ja) 壁と一体化された便器を有する水洗便所ユニット
KR200211464Y1 (ko) 양변기 설치구조
WO2009006781A1 (fr) Urinoir rotatif
DE50008183D1 (de) Abflusssystem für Nasszellen
JPS62268438A (ja) 住宅の廃水管路系
JPH052151Y2 (ko)
KR200374717Y1 (ko) 벽면형 양변기
KR101666675B1 (ko) 다용도 세척조를 갖는 욕실
KR101921482B1 (ko) 수납장을 구비하는 조립형 세면대
JPH043076Y2 (ko)
CN217078979U (zh) 一体化厨卫管井沉箱关联排水系统
CN216380401U (zh) 一种集成卫生间防水结构
CN214194817U (zh) 冲水结构、水箱、排水管及马桶
CN2339645Y (zh) 厨卫下水管道本层板面安装防溢防臭清堵配件
KR200267747Y1 (ko) 급수 배수소음이 저감된 절수형 벽식 변기
JPH036689Y2 (ko)
JPH0237896Y2 (ko)
JPS6013886Y2 (ja) 洗面台
JPH0352852Y2 (ko)
JPH0310210Y2 (ko)
KR200308729Y1 (ko) 좌변기 와 물탱크
JPS586941Y2 (ja) 簡易水洗便器用水タンクの水抜栓
CN2204824Y (zh) 废水利用冲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11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