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5009B1 -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네이트 유도체를 정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네이트 유도체를 정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5009B1
KR100905009B1 KR1020047002618A KR20047002618A KR100905009B1 KR 100905009 B1 KR100905009 B1 KR 100905009B1 KR 1020047002618 A KR1020047002618 A KR 1020047002618A KR 20047002618 A KR20047002618 A KR 20047002618A KR 100905009 B1 KR100905009 B1 KR 100905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ituted
compound
formula
alky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8998A (ko
Inventor
슈미츠도날드주니어
스간가진마리도노반
Original Assignee
세라밴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라밴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세라밴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400289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89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5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5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14Extraction; Separation; Purific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9/00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and having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04Antibacterial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9/00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and having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9/006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and having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the peptide sequence being part of a ring structure
    • C07K9/008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containing saccharide radicals and having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the peptide sequence being part of a ring structure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 atom of the saccharide radical, e.g. actaplanin, avoparcin, ristomycin, vancomyci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항균제로서 유용한, 각각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 글리코펩티드를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방법은 글리코펩티드 유도체 용액을 폴리스티렌-함유 레진과 접촉시키는 단계, 그 레진을 수용액으로 용리하는 단게, 및 정제된 글리고펩티드 유도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네이트 유도체를 정제하는 방법{Process for purifying glycopeptide phosphonate derivatives}
본 발명은 새로운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네이트 유도체 항생제 및 관련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레진 크로마토그래피 방법에 의한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네이트 유도체의 정제에 관한 것이다.
글리코펩티드(예: 달바헵티드(dalbaheptide))는 다양한 미생물에 의해 생산되는 잘 알려진 항생제 부류이다(Glycopeptide Antibiotics, R. Nagarajan, Marcel Dekker, Inc. New York(1994) 참조). 이러한 복잡한 다환(multi-ring) 펩티드 화합물은 다수의 그람 양성균에 대하여 매우 효과적인 항생제이다. 강력한 항생제이지만, 글리코펩티드 항생제는 독성의 우려 때문에 반합성 페니실린, 세팔로스포린, 및 린코마이신과 같은 다른 부류의 항생제만큼 세균성 질환의 치료에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그러나, 최근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많은 항생제에 대한 세균의 내성이 발생하였다(J.E. Geraci 등, Mayo Clin. Proc. 1983, 58, 88-91; 및 M. Foldes, J. Antimicrob. Chemother. 1983, 11, 21-26). 글리코펩티드 항생제는 종종 이러한 내성 박테리아 균주에 대하여 효과가 있기 때문에, 반코마이신과 같은 글리코펩티 드는 이러한 미생물에 의해 유발되는 감염을 치료하기 위한 마지막 수단이 되었다. 그러나, 최근에 반코마이신-내성 장구균(VRE)과 같은 다양한 미생물에서 반코마이신에 대한 내성이 나타났으며, 이로 인해 미래에 세균 감염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을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증가되었다(Hospital Infection Control Practices Advisory Committee, Infection Control Hospital Epidemiology, 1995, 17, 364-369; A.P. Johnson 등, Clinical Microbiology Rev., 1990, 3, 280-291; G.M. Eliopoulos, European J. Clinical Microbiol., Infection Disease, 1993, 12 , 409-412; 및 P. Courvalin, Antimicrob. Agents Chemother, 1990, 34, 2291-2296).
수많은 반코마이신 유도체 및 다른 글리코펩티드 유도체가 당해 기술분야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4,639,433; 4,643,987; 4,497,802; 4,698,327; 5,591,714; 5,840,684; 및 5,843,889를 참조하면 알 수 있다. 그 이외의 유도체들이 EP 0 802 199; EP 0 801 075; EP 0 667 353; WO 97/38702; WO 98/52589; WO 98/52592; 및 J. Amer. Chem. Soc., 1996, 118, 13107-13108; J. Amer. Chem. Soc., 1997, 119, 12041-12047; 및 J. Amer. Chem. Soc., 1994, 116 , 4573-4590에 개시되어 있다.
글리코펩티드 항생제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정제 단계를 포함한다. 글리코펩티드, 특히 반코마이신 및 관련 화합물을 정제하는 적절한 방법은 예를 들어, 미국특허번호 4,440,753; 4,845,194; 4,874,843; 5,149,784; 5,258,495; 및 5,853,720에 기재되어 있다. 다른 방법이 WO 91/08300 및 WO 93/21207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에서 참조한 공개문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인 항균 활성을 가지며 향상 된 포유류 안전 프로파일을 갖는 새로운 글리코펩티드 유도체의 필요성이 아직도 있다. 특히, 반코마이신-내성 미생물을 포함한 병원성 미생물의 광범위한 스펙트럼에서 효과가 있으며, 조직 축적 및/또는 신독성이 감소된 글리코펩티드 유도체가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새로운 유도체가 유용하기 위해서는, 약제학적 제품의 합성에 적절한 매우 순수한 형태로 생성물을 회수하는 효과적인 정제방법이 필요하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매우 효과적인 항균 활성과 향상된 포유류 안전성 프로파일을 갖는 새로운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네이트를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레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글리코펩티드 유도체를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정제된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네이트 유도체는 포유류에게 투여 시 감소된 조직 축적 및/또는 신독성을 나타낸다.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은 하나 이상(예: 1, 2, 또는 3)의 포스포노(-PO3H2)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예: 1, 2, 또는 3)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그 입체이성질체, 또는 그 프로드럭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은 하나 또는 두 개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하나 또는 두 개의 치환기로 치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은 하나 또는 두 개의 포스포노기, 바람직하게 는 하나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된다. 선택적으로,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이 최소 하나의 치환기가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한다면, 그것은 또한 포스포노기를 포함하지 않는 다른 치환기로도 치환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바람직한 유도체에서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은 C-말단에서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PO3CH2)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입체 이성질체, 또는 프로드럭이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포노-함유 치환기는 C-말단에서 아미드 결합, 에스테르 결합, 또는 테오에스테르 결합을 통해 카보닐기에 부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미드 결합을 통해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포노-함유 치환기는 하나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C-말단의 포스포노-함유 치환기의 예로는 포스포노메틸아미노, 3-포스포노프로필아미노, 및 2-히드록시-2-포스포노에틸아미노가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유도체에서,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은 R-말단(리조시놀 상에서)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포스포노기(-PO3H2)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입체 이성질체, 또는 프로드럭이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포노-함유 치환기는 R-말단에 부착된 아미노메틸기의 질소 원자를 통해 R-말단(즉, 레졸시놀)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포노-함유 치환기는 하나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R-말단에서의 포스포노-함유 치환기로는 N-(포스포노메틸)아미노메틸; -(2-히드록시-2-포스포노에틸)아미노메틸; N-카르복시메틸-N-(포스포노메틸)아미노메틸; N,N-비스(포스포노메틸)아미노메틸; 및 N-(3- 포스포노프로필)아미노메틸 등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유도체에서,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은 C-말단과 R-말단에서 하나 또는 두 개의 포스포노기(-PO3H2)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입체 이성질체, 또는 프로드럭이다. 바람직하게는, 포스포노-함유 치환기 각각은 하나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글리코펩티드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 1의 글리코펩티드이다:
[화학식 1]
상기 화학식 1에서,
R19는 수소이고;
R20은 -Ra-Y-Rb-(Z)x, Rf, -C(O)Rf, 또는 -C(O)-Ra-Y-Rb-(Z)x 이고;
R3은 -ORc, -NRcRc, -O-Ra-Y-Rb-(Z) x, -NRc-Ra-Y-Rb-(Z)x, -NRcR e, 또는 -O-Re 이거나; 또는 R3는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질소-연결, 산소-연결, 또는 황-연결 치환기이고;
R5는 수소, 할로, -CH(Rc)-NRcRc, -CH(Rc)-NR cRe, -CH(Rc)-NRc-Ra-Y-Rb-(Z) x-, -CH(Rc)-Rx, -CH(Rc)-NRc-Ra-C(=O)-Rx , 및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구성된 그룹에선 선택되고;
각각의 Ra는 알킬렌, 치환된 알킬렌, 알케닐렌, 치환된 알케닐렌, 알키닐렌, 및 치환된 알키닐렌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Rb는 공유결합, 알킬렌, 치환된 알킬렌, 알케닐렌, 치환된 알케닐렌, 알키닐렌, 및 치환된 알키닐렌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단, Z가 수소일 경우에는 Rb는 공유결합이 아니고;
각각의 Rc는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릭, 및 -C(O)Rd로 구성된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선 택되고;
각각의 Rd는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릭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e는 사카라이드기이고;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릭이고;
Rx는 N-연결 아미노 사카라이드 또는 N-연결 헤테로사이클이고;
각각의 Y는 산소, 황, -S-S-, -NRc-, -S(O)-, -SO2-, -NRcC(O)-, -OSO 2-, -OC(O)-, -NRcSO2-, -C(O)NRc-, -C(O)O-, -SO2NRc -, -SO2O-, -P(O)(ORc)O-, -P(O)(ORc)NRc-, -OP(O)(ORc)O-, -OP(O)(ORc)NRc -, -OC(O)O-, -NRcC(O)O- -NRcC(O)NRc-, -OC(O)NRc-, -C(=O)-, 및 -NRcSO2NRc-로 구성된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Z는 수소, 아릴,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릭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x는 1 또는 2이고;
단, R3 및 R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치환기이다.
바람직하게는, R20은 -CH2CH2-NH-(CH2)9CH3; -CH2CH2CH2-NH-(CH2)8CH3; -CH2CH2CH2CH2-NH-(CH2)7CH3; -CH2CH2-NHS02-(CH2)9CH3; -CH2CH2-NHS02-(CH2)11CH3; -CH2CH2-S-(CH2)8CH3; -CH2CH2-S-(CH2)9CH3; -CH2CH2-S-(CH2)10CH3; -CH2CH2CH2-S-(CH2)8CH3; -CH2CH2CH2-S-(CH2)9CH3; -CH2CH2CH2-S-(CH2)3-CH=CH-(CH2)4CH3(트랜스); -CH2CH2CH2CH2-S-(CH2)7CH3; -CH2CH2-S(O)-(CH2)9CH3; -CH2CH2-S-(CH2)6Ph; -CH2CH2-S-(CH2)8Ph; -CH2CH2CH2-S-(CH2)8Ph; -CH2CH2-NH-CH2-4-(4-Cl-Ph)-Ph; -CH2CH2-NH-CH2-4-[4-(CH3)2CHCH2-]-Ph; -CH2CH2-NH-CH2-(4-CF3-Ph)-Ph; -CH2CH2-S-CH2-4-(4-Cl-Ph)-Ph; -CH2CH2-S(O)-CH2-4-(4-Cl-Ph)-Ph; -CH2CH2CH2-S-CH2-4-(4-Cl-Ph)-Ph; -CH2CH2CH2-S(O)-CH2-4-(4-Cl-Ph)-Ph; -CH2CH2CH2-S-CH2-4-[3,4-디-Cl-PhCH20-)-Ph; -CH2CH2-NHS02-CH2-4-[4-(4-Ph)-Ph]-Ph; -CH2CH2CH2-NHS02-CH2-4-(4-Cl-Ph)-Ph; -CH2CH2CH2-NHS02-CH2-4-(Ph-C≡C-)-Ph; -CH2CH2CH2-NHS02-4-(4-Cl-Ph)-Ph; 또는 -CH2CH2CH2-NHSO2-4-(나프트-2-일)-Ph 이다. 바람직하게는, R20은 또한 4-(4-클로로페닐)벤질기 또는 4-(4-클로로벤질옥시)벤질기이다.
또는, 글리코펩티드 유도체는 R19가 수소이고; R20이 -CH2CH2 NH-(CH2)9CH3이고; R3이 -OH 이며; R5가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치환기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 염이다.
또는, 글리코펩티드 유도체는 R19는 수소이고; R20은 -Ra-Y-Rb -(Z)x, Rf, -C(O)Rf, 또는 -C(O)-Ra-Y-Rb-(Z)x 이고; R3는 OH이며; R5는 -CH2-NH-CH2-P(O)(OH)2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이거나;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상기 화합물은 매우 효과적인 항균제이다. 상기 글리코펩티드 화합물 및, 상기 화합물을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만큼 포유류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세균성 질환을 갖고 있는 포유류를 치료하는 방법은 참고로 본 명세서에 통합되는 미국특허출원 09/847,042에 기재되어 있다.
C-말단에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된 글리코펩티드를 제조하는 방법은 C-말단이 카르복시기인 해당 출발물질 글리코펩티드를 적절한 포스포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R-말단에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된 글리코펩티드를 제조하는 방법은 R-말단이 치환되지 않은 해당 출발물질 글리코펩티드를 적절한 포스포노기를 함유하는 화합물과 결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출발물질인 글리코펩티드가 반코사민 아미노 말단에서 치환될 경우, 그러한 방법은 선택적으로, 반코 사민 아미노 말단이 해당 아민인 해당 글리코펩티드를 환원적으로 알킬화함으로써 출발물질인 글리코펩티드를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C-말단에서 치환된 글리코펩티드를 제조하는 방법은 C-말단이 카르복시기인 해당 출발물질인 글리코펩티드를 유도체화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R-말단에서 치환되는 글리코펩티드를 제조하는 방법은 R-말단이 치환되지 않은(즉, 수소) 해당 출발물질인 글리코펩티드를 유도체화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R3는 OH이고, R5는 -CH2-NH-Ra-P(O)(OH)2 이고, R19는 수소이며, R20은 -Ra-Y-Rb-(Z)x 또는 Rf 이고, Ra, Rb , Rf, Y, Z, 및 x는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을 제조하는 방법은
(a) R3가 -OH이고, R5, R19, 및 R20이 수소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화학식 HC(O)-Ra'-Y-Rb-(Z)x 또는 HC(O)Rf'의 알데히드(R a' 및 Rf'은 각각 Ra 및 Rf에서 -CH2- 기가 하나 빠진 것을 나타낸다)로 환원적으로 알킬화하여, R3가 -OH, R 5 및 R19가 수소, R20이 -Ra-Y-Rb-(Z)x 또는 -R f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 염을 형성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의 생성물을 포름알데히드 및 H2N-Ra-P(O)(OH)2와 반응시켜 R3는 -OH이고, R5는 -CH2-NH-Ra-P(O)(OH)2 이고, R19는 수소이며, R20은 -Ra-Y-Rb-(Z)x 또는 -Rf 인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화학식 1의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여기에서 R19는 수소이다.
[표 1]
Figure 112004007260801-pct00002
Figure 112004007260801-pct00003
여기에 기재한 포스포노 화합물은 포유류에게 투여 시 예상치 않게 감소된 조직 축적 및/또는 신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론에 의해 얽매이길 바라지는 않지만, 포스포노 모이어티는 생리학적 조건 하에서 글리코펩티드의 전체적인 마이너스 전하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하여 투여 후 포유류로부터의 배설을 촉진 시키는 것으로 믿어진다. 본 포스포노 화합물의 예상치 않은 배설의 증가로 인해 포스포노 작용기가 없는 해당 화합물에 비해 조직 축적의 감소 및/또는 신독성의 감소가 나타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예에 따르면, 글리코펩티드의 포스포노 유도체는 폴리스티렌과 디비닐 벤젠의 코폴리머에 기초한 레진을 이용하여 레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된다. 매우 다양하고 유용한 폴리스티렌 레진이 상업적으로 시판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TosoHaas(Montgomery, PA), Rohn & Haas(Philadelphia, PA), Mitsubishi Chemical Industries Ltd.(Tokyo, Japan); 및 Dow Chemical Co.(Midland, MI)에서 생산된다.
레진은 전형적으로 약 20 ㎛ 내지 약 800 ㎛ 범위의 특징적 크기를 가지며, 직경이 50Å 내지 1000Å 범위인 다공성 비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이 정제방법은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네이트 유도체 및 극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제 1의 산성화된 수용액을 폴리스티렌 디비닐 벤젠 레진과 접촉시키는 단계;
접촉된 레진을 극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제 2의 산성화된 수용액으로 용리시켜 용출액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정제된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네이트 유도체를 상기 용출액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에 사용된 용어 "극성 유기용매"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아세토니트릴, 아세톤, n-프로필 알콜, n-부틸 알콜, 이소부틸 알콜, 메틸 에틸 케톤,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및 감지할 수 있는 수용해도를 갖거나 물과 혼합 가능한 유사 용매가 있다. 바람직한 극성 유기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 알콜, 및 아세토니트릴이다.
제 1 및 제 2 수용액의 산성화를 위해 적절한 산의 예로는 아세트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산, 황산, 인산, 및 이와 유사한 산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아세트산 및 염산이 바람직하다.
정제된 생성물은 동결건조, 또는 침전시킨 다음 증발 및/또는 여과와 같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해 분리한다. 선택적으로는, 상기 분리 공정이, 용출물을 레진 특히 폴리스티렌 디비닐 벤젠 레진으로 처리하여 더 높은 농도의 정제된 생성물 용액을 형성시키고 그 용액으로부터 정제된 생성물을 분리시키는 제 1 농축단계를 포함한다.
한 정제 방법에서는, 레진을 칼럼에 로딩하고 용출물을 분액별로 수거한 다음, 그 분액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 및 HPLC(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해 글리코펩티드의 존재를 모니터 한다. 원하는 역치보다 더 높은 농도 및 순도를 갖는 분액을 생성물을 분리하기 전에 모은다. 본 방법을 이용하여, 80%가 넘는 순도의 포스포노 글리코펩티드 샘플이 얻어졌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하나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포함하는 글리코펩티드 유도체 항생제인 신규 화합물의 정제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합물을 기재 시, 다음 용어는 달리 특정하지 않는다면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정의
용어 "알킬"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개의 탄소 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개의 원자를 갖는, 모노라디칼의 분지되거나 분지되지 않은 포화 탄화수소 체인을 의미한다. 이 용어의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n-헥실, n-데실, 테트라데실 등과 같은 기가 있다.
용어 "치환된 알킬"은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아실옥시, 옥시아미노아실, 아지도, 시아노, 할로겐, 히드록실, 케토, 티오케토, 카르복시, 카르복시알킬, 티오아릴옥시, 티오헤테로아릴옥시, 티오헤테로시클로옥시, 티올, 티오알콕시, 치환된 티오알콕시, 아릴,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시클릭, 헤테로시클로옥시, 히드록시아미노, 알콕시아미노, 니트로, -SO-알킬, -SO-치환된 알킬, -SO-아릴, -SO-헤테로아릴, -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아릴, -SO3H, 구아니도, 및 -SO2-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내지 8 개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개의 치환기, 그리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갖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기를 말한다.
용어 "알킬렌"은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0 개의 탄소 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 개의 탄소 원자,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개의 원자를 갖 는, 디라디칼(diradical)의 분지되거나 분지되지 않은 포화 탄화수소 체인을 의미한다. 이 용어의 예로는 메틸렌(-CH2-), 에틸렌(-CH2CH2-), 프로필렌 이성질체들(예: -CH2CH2CH2- 및 -CH(CH3)CH2-) 등과 같은 기가 있다.
용어 "치환된 알킬렌"은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아실옥시, 옥시아미노아실, 아지도, 시아노, 할로겐, 히드록실, 카르복시, 카르복시알킬, 티오아릴옥시, 티오헤테로아릴옥시, 티오헤테로시클로옥시, 티올, 티오알콕시, 치환된 티오알콕시, 아릴,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시클릭, 헤테로시클로옥시, 히드록시아미노, 알콕시아미노, 니트로, -SO-알킬, -SO-치환된 알킬, -SO-아릴, -SO-헤테로아릴, -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아릴, 및 -SO2-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내지 5 개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갖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렌기를 말한다. 또한, 그러한 치환된 알킬렌기는 알킬렌 상의 두 개의 치환기가 융합하여 알킬렌기에 융합된 하나 이상의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시클릭, 또는 헤테로아릴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그러한 융합된 기가 1 내지 3 개의 융합된 환(ring) 구조를 갖는다. 또한, 용어 치환된 알킬렌은 1 내지 5 개의 알킬렌 탄소원자가 산, 황, 또는 -NR-(R은 수소 또는 알킬이다)로 치환된 알킬렌기를 포함한다. 치환된 알킬렌의 예로는 클로로메틸렌(-CH(Cl)-), 아미노에틸렌(- CH(NH2)CH2-), 2-카르복시프로필렌 이성질체들(-CH2CH(CO2H)CH 2-), 에톡시에틸(-CH2CH2O-CH2CH2-) 등이 있다.
용어 "알카릴(alkaryl)"은 -알킬렌-아릴 및 -치환된 알킬렌-아릴기를 말한다(알킬렌, 치환된 알킬렌, 및 아릴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다). 그러한 아랄킬기의 예로는 벤질, 펜에틸 등이 있다.
용어 "알콕시"는 알킬-O-, 알케닐-O-, 시클로알킬-O-, 시클로알케닐-O-, 및 알키닐-O-기를 말하며, 여기에서, 알킬, 알케닐,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및 알키닐은 여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바람직한 알콕시기는 알킬-O-이며,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t-부톡시, sec-부톡시, n-펜톡시, n-헥속시(hexoxy), 1,2-디메틸부톡시 등이 있다.
용어 "치환된 알콕시"는 치환된 알킬-O-, 치환된 알케닐-O-, 치환된 시클로알킬-O-, 치환된 시클로알케닐-O-, 및 치환된 알키닐-O-기를 말하며, 여기에서, 치환된 알킬, 치환된 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및 치환된 알키닐은 여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알킬알콕시"는 -알킬렌-O-알킬, 알킬렌-O-치환된 알킬, 치환된 알킬렌-O-알킬, 및 치환된 알킬렌-O-치환된 알킬기를 말하며, 여기에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알킬렌, 및 치환된 알킬렌은 여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바람직한 알킬알콕시기는 알킬렌-O-알킬이며, 예를 들어 메틸렌메톡시(-CH2OCH3), 에틸렌메톡시(-CH2CH2OCH3), n-프로필렌-이소프로폭시(-CH2CH2 CH2OCH(CH3)2), 메틸렌-t-부톡시(-CH2- O-C(CH3)3) 등이 있다.
용어 "알킬티오알콕시"는 -알킬렌-S-알킬, 알킬렌-S-치환된 알킬, 치환된 알킬렌-S-알킬, 및 치환된 알킬렌-S-치환된 알킬을 말하며, 여기에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알킬렌, 및 치환된 알킬렌은 여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바람직한 알킬티오알콕시기는 알킬렌-S-알킬이며, 예를 들어 메틸렌티오메톡시(-CH2SCH3), 에틸렌티오메톡시(-CH2CH2SCH3), n-프로필렌-이소티오프로폭시(-CH2 CH2CH2SCH(CH3)2), 메틸렌-t-티오부톡시(-CH2SC(CH3)3) 등이 있다.
용어 "알케닐"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0 개의 탄소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개의 탄소원자, 및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1 내지 6 개의 비닐 불포화 부위를 가지며 최소한 적어도 하나의 비닐 불포화 부위를 갖는 모노라디칼의 분지되거나 분지되지 않은 불포화된 탄화수소기를 말한다. 바람직한 알케닐기로는 에테닐(-CH=CH2), n-프로페닐(-CH2CH=CH2), 이소프로페닐(-C(CH3)=CH2) 등이 있다.
용어 "치환된 알케닐"은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아실옥시, 옥시아미노아실, 아지도, 시아노, 할로겐, 히드록실, 케토, 티오케토, 카르복시, 카르복시알킬, 티오아릴옥시, 티오헤테로아릴옥시, 티오헤테로시클로옥시, 티올, 티오알콕시, 치환된 티오알콕시, 아 릴,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시클릭, 헤테로시클로옥시, 히드록시아미노, 알콕시아미노, 니트로, -SO-알킬, -SO-치환된 알킬, -SO-아릴, -SO-헤테로아릴, -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아릴, 및 -SO2 -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내지 5 개의 치환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갖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케닐기를 말한다.
용어 "알케닐렌"은 2 내지 40 개의 탄소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개의 탄소원자,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1 내지 6 개의 비닐 불포화 부위를 가지며 최소한 적어도 하나의 비닐 불포화 부위를 갖는 디라디칼의 분지되거나 분지되지 않은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말한다. 이 용어의 예로는 에틸렌(-CH=CH-), 프로필렌 이성질체(예: -CH2CH=CH-, 및 -C(CH3)=CH-) 등과 같은 기가 있다.
용어 "치환된 알케닐렌"은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아실옥시, 옥시아미노아실, 아지도, 시아노, 할로겐, 히드록실, 카르복시, 카르복시알킬, 티오아릴옥시, 티오헤테로아릴옥시, 티오헤테로시클로옥시, 티올, 티오알콕시, 치환된 티오알콕시, 아릴,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시클릭, 헤테로시클로옥시, 히드록시아미노, 알콕시아미노, 니트로, -SO-알킬, -SO-치환된 알킬, -SO-아릴, -SO-헤테로아릴, -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아릴, 및 -SO2-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그룹에 서 선택된 1 내지 5 개의 치환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갖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케닐렌기를 말한다.
용어 "알키닐"은 2 내지 40 개의 탄소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20 개의 탄소원자,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1 내지 6 개의 아세틸렌(삼중결합) 불포화 부위를 가지며 최소한 적어도 하나의 아세틸렌 불포화 부위를 갖는 모노라디칼의 분지되지 않은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말한다. 바람직한 알키닐기로는 에티닐(-CH≡CH), 프로파질(-CH2C≡CH) 등이 있다.
용어 "치환된 알키닐"은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아실옥시, 옥시아미노아실, 아지도, 시아노, 할로겐, 히드록실, 카르복시, 카르복시알킬, 티오아릴옥시, 티오헤테로아릴옥시, 티오헤테로시클로옥시, 티올, 티오알콕시, 치환된 티오알콕시, 아릴,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시클릭, 헤테로시클로옥시, 히드록시아미노, 알콕시아미노, 니트로, -SO-알킬, -SO-치환된 알킬, -SO-아릴, -SO-헤테로아릴, -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아릴, 및 -SO2-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내지 5 개의 치환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갖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키닐기를 말한다.
용어 "알키닐렌"은 2 내지 40 개의 탄소원자,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개의 탄소원자,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 개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1 내 지 6 개의 아세틸렌(삼중결합) 불포화 부위를 가지며 최소한 적어도 하나의 아세틸렌 불포화 부위를 갖는 디라디칼의 불포화 탄화수소기를 말한다. 바람직한 알키닐렌기로는 에티닐렌(-C≡C-), 프로파질렌(-CH2C≡C-) 등이 있다.
용어 "치환된 알키닐렌"은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아실옥시, 옥시아미노아실, 아지도, 시아노, 할로겐, 히드록실, 케토, 티오케토, 카르복시, 카르복시알킬, 티오아릴옥시, 티오헤테로아릴옥시, 티오헤테로시클로옥시, 티올, 티오알콕시, 치환된 티오알콕시, 아릴,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시클릭, 헤테로시클로옥시, 히드록시아미노, 알콕시아미노, 니트로, -SO-알킬, -SO-치환된 알킬, -SO-아릴, -SO-헤테로아릴, -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아릴, 및 -SO 2-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내지 5 개의 치환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갖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키닐렌기를 말한다.
용어 "아실"은 HC(O)-, 알킬-C(O)-, 치환된 알킬-C(O)-, 시클로알킬-C(O)-, 치환된 시클로알킬-C(O)-, 시클로알케닐-C(O)-, 치환된 시클로알케닐-C(O)-, 아릴-C(O)-, 헤테로아릴-C(O)-, 및 헤테로시클릭-C(O)-를 말하며, 여기에서 알킬, 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화된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릭은 여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아실아미노" 또는 "아미노카르보닐"은 -C(O)NRR을 말하며, 여기서 각 각의 R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릭이거나, 두 개의 R 모두가 결합하여 헤테로시클릭기(예: 몰폴리노)를 형성하며, 여기에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릭은 여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아미노아실"은 -NRC(O)R 기를 말하며, 여기서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릭이고, 상기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릭은 여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아미노아실옥시" 또는 "알콕시카르보닐아미노"는 -NRC(O)OR기이며, 여기에서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릭이고, 상기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릭은 여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아실옥시"는 알킬-C(O)O, 치환된 알킬-C(O)O-, 시클로알킬-C(O)O-, 치환된 시클로알킬-C(O)O-, 아릴-C(O)O-, 헤테로아릴-C(O)O-, 및 헤테로시클릭 -C(O)O-을 말하며, 여기에서 알킬, 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릭은 여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아릴"은 최소 하나의 환이 방향성(예: 나프틸, 디하이드로페난드레닐, 플루오레닐, 또는 안트릴)인 단일 환(예: 페닐) 또는 다중 응축된 환(융합된 환)을 갖는 6 내지 20 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불포화의 방향족 카보시클릭기를 말한다. 바람직한 아릴에는 페닐, 나프틸 등이 있다.
아릴 치환기에 대한 정의를 달리 특정하지 않는다면, 그러한 아릴기는 아실 옥시, 히드록시, 티올, 아실, 알킬,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알킬, 치환된 알콕시, 치환된 알케닐, 치환된 알키닐, 치환된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아실, 아실아미노, 알카릴, 아릴, 아릴옥시, 아지도, 카르복시, 카르복시알킬, 시아노, 할로, 니트로,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시클릭, 헤테로시클로옥시, 아미노아실옥시, 옥시아실아미노, 술폰아미드, 티오알콕시, 치환된 티오알콕시, 티오아릴옥시, 티오헤테로아릴옥시, -SO-알킬, -SO-치환된 알킬, -SO-아릴, -SO-헤테로아릴, -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아릴, -SO2-헤테로아릴, 및 트리할로메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내지 5 개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의 치환기로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아릴 치환기의 예로는 알킬, 알콕시, 할로, 시아노, 니트로, 트리할로메틸, 및 티오알콕시가 있다.
용어 "아릴옥시"는 아릴-O-기를 말하며, 여기서 아릴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으며, 또한 상기에서 정의된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한다.
용어 "아릴렌"은 상기 정의된 아릴(치환된 아릴 포함)에서 유래된 디라디칼을 말하며, 예를 들면 1,2-페닐렌, 1,3-페닐렌, 1,4-페닐렌, 1,2-나프틸렌 등이 있다.
용어 "아미노"는 -NH2 기를 말한다.
용어 "치환된 아미노"는 -NRR 기를 말하며, 여기에서 각각의 R은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시클로 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릭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단 R 모두가 수소는 아니다.
"아미노산"은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D, L, 또는 DL 형태의 아미노산 (예: Ala, Arg, Asn, Asp, Cys, Glu, Gln, Gly, His, Hyl, Hyp, Ile, Leu, Lys, Met, Phe, Pro, Ser, Thr, Trp, Tyr, 및 Val) 모두를 말한다. 자연적으로 생성되는 아미노산의 측쇄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수소(예: 글리신), 알킬(예: 알라닌, 발린, 류신, 이소류신, 프롤린), 치환된 알킬(예: 쓰레오닌, 세린, 메티오닌, 시스테인, 아스파르트산, 아스파라긴, 글루탐산, 글루타민, 아르기닌, 및 라이신), 알카릴(예: 페닐알라닌 및 트립토판), 치환된 아릴알킬(예: 티로신), 및 헤테로아릴알킬(예: 히스티딘)이 있다.
용어 "카르복시"는 -COOH를 말한다.
용어 글리코펩티드와 관련된 "C-말단"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1의 글리코펩티드에 있어서 C-말단은 R3기가 치환된 지점이다.
용어 "디카르복시-치환 알킬"은 두 개의 카르복시기로 치환된 알킬기를 말한다. 이 용어로는 예를 들어 -CH2(COOH)CH2COOH 및 -CH2(COOH)CH 2CH2COOH가 있다.
용어 "카르복시알킬" 또는 "알콕시카르보닐"은 "-C(O)O-알킬", "-C(O)O-치환된 알킬", "-C(O)O-시클로알킬", "-C(O)O-치환된 시클로알킬", "-C(O)O-알케닐", "-C(O)O-치환된 알케닐", "-C(O)O-알키닐" 및 "-C(O)O-치환된 알키닐"을 말하며, 여기에서 알킬, 치환된 알킬,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 케닐, 알키닐, 및 치환된 알키닐은 여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시클로알킬"은 단일 시클릭 환 또는 다중의 축합된 환을 갖는 3 내지 20 개의 탄소원자의 시클릭 알킬기를 말한다. 그러한 시클로알킬기의 예로는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시클로옥틸 등과 같은 단일 환 구조 또는 아다만틸 등과 같은 다중 환 구조가 있다.
용어 "치환된 시클로알킬"은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아실옥시, 옥시아미노아실, 아지도, 시아노, 할로겐, 히드록실, 케토, 티오케토, 카르복시, 카르복시알킬, 티오아릴옥시, 티오헤테로아릴옥시, 티오헤테로시클로옥시, 티올, 티오알콕시, 치환된 티오알콕시, 아릴,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시클릭, 헤테로시클로옥시, 히드록시아미노, 알콕시아미노, 니트로, -SO-알킬, -SO-치환된 알킬, -SO-아릴, -SO-헤테로아릴, -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아릴, 및 -SO 2-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내지 5 개의 치환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갖는 시클로알킬기를 말한다.
용어 "시클로알케닐"은 단일 시클릭 환을 가지며 하나 이상의 내부 불포화 지점을 갖는 4 내지 20 개의 탄소원자로 된 시클릭 알케닐기를 말한다. 적절한 시클로알케닐기로는 예를 들어 시클로부트-2-에닐, 시클로펜트-3-에닐, 시클로옥트-3-에닐 등이 있다.
용어 "치환된 시클로알케닐"은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아실옥시, 옥시아미노아실, 아지도, 시아노, 할로겐, 히드록실, 케토, 티오케토, 카르복시, 카르복시알킬, 티오아릴옥시, 티오헤테로아릴옥시, 티오헤테로시클로옥시, 티올, 티오알콕시, 치환된 티오알콕시, 아릴,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시클릭, 헤테로시클로옥시, 히드록시아미노, 알콕시아미노, 니트로, -SO-알킬, -SO-치환된 알킬, -SO-아릴, -SO-헤테로아릴, -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아릴, 및 -SO 2-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내지 5 개의 치환기,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의 치환기를 갖는 시클로알케닐기를 말한다.
용어 "할로" 또는 "할로겐"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를 말한다.
"할로알킬"은 여기에 정의된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는 할로기 1-4 개로 치환된 여기에 정의된 알킬기를 말한다. 대표적인 할로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트리플루오로메틸, 3-플루오로도데실, 12,12,12-트리플루오로도데실, 2-브로모옥틸, 3-브로모-6-클로로헵틸 등이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1 내지 15 개의 탄소 원자 및, (환이 하나 이상이라면)최소 하나의 환 내에 산소, 질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4 개의 헤테로 원자로 구성된 방향족기를 말한다.
헤테로아릴 치환기에 대한 정의를 달리 하지 않는다면, 그러한 헤테로아릴기는 아실옥시, 히드록시, 티올, 아실, 알킬, 알콕시, 알케닐, 알키닐,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알킬, 치환된 알콕시, 치환된 알케닐, 치환된 알키닐, 치환된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아실, 아실아미노, 알카릴, 아릴, 아릴옥시, 아지도, 카르복시, 카르복시알킬, 시아노, 할로, 니트로,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시클릭, 헤테로시클로옥시, 아미노아실옥시, 옥시아실아미노, 티오알콕시, 치환된 티오알콕시, 티오아릴옥시, 티오헤테로아릴옥시, -SO-알킬, -SO-치환된 알킬, -SO-아릴, -SO-헤테로아릴, -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아릴, -SO2-헤테로아릴, 및 트리할로메틸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내지 5 개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의 치환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아릴 치환기로는 알킬, 알콕시, 할로, 시아노, 니트로, 트리할로메틸, 및 티오알콕시 등이 있다. 그러한 헤테로 아릴기는 단일 환(예: 피리딜 또는 퓨릴) 또는 여러 개의 융합된 환들(예: 인돌리지닐 또는 벤조티에닐)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한 헤테로아릴은 피리딜, 피롤, 및 퓨릴 등이다.
"헤테로아릴알킬"은 (헤테로아릴)알킬을 말한다(여기서, 헤테로아릴 및 알킬은 여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대표적인 예로는 2-피리딜메틸 등이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옥시"는 헤테로아릴-O-기를 말한다.
용어 "헤테로아릴렌"은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아릴(치환된 헤테로아릴을 포함)로부터 유도된 디라디칼기를 말하며, 예를 들어 2,6-피리딜렌, 2,4-피리 디일렌(pyridiylene), 1,2-퀴놀리닐렌, 1,8-퀴놀리닐렌, 1,4-벤조퓨라닐렌, 2,5-피리드닐렌(pyridnylene), 2,5-인돌레닐 등이 있다.
용어 "헤테로사이클" 또는 "헤테로시클릭"은 단일 환 또는 여러 개의 융합된 환을 가지며, 그 환 내에 1 내지 40 개의 탄소원자 및 질소, 황, 인, 및/또는 산소로부터 선택된 1 내지 10 개의 헤테로원자, 바람직하게는 1 내지 4 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단일 라디칼의 포화 또는 불포화된 기를 말한다.
헤테로시클릭 치환기에 대한 정의를 달리 제한하지 않는다면, 그러한 헤테로시클릭기는 필요에 따라 알콕시, 치환된 알콕시,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실, 아실아미노, 아실옥시, 아미노, 치환된 아미노, 아미노아실, 아미노아실옥시, 옥시아미노아실, 아지도, 시아노, 할로겐, 히드록실, 케토, 티오케토, 카르복시, 카르복시알킬, 티오라릴옥시, 티오헤테로아릴옥시, 티오헤테로시클로옥시, 티올, 티오알콕시, 치환된 티오알콕시, 아릴, 아릴옥시,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옥시, 헤테로시클릭, 헤테로시클로옥시, 히드록시아미노, 알콕시아미노, 니트로, -SO-알킬, -SO-치환된 알킬, -SO-아릴, -SO-헤테로아릴, -SO2-알킬, -SO2-치환된 알킬, -SO2-아릴, 옥소(=O), 및 -SO 2-헤테로아릴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1 내지 5 개의 치환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 개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질소 헤테로사이클 및 헤테로아릴의 예로는 헤테로사이클을 함유하는 N-알콕시-질소뿐만 아니라, 피롤, 이미다졸, 피라졸, 피리딘, 피라진, 피리미딘, 피리다 진, 인돌리진, 이소인돌, 인돌, 인다졸, 퓨린, 퀴놀리진, 이소퀴놀린, 퀴놀린, 프탈라진, 나프틸피리딘, 퀴녹살린, 퀴나졸린, 시놀린, 프테리딘, 카르바졸, 카르볼린, 페난트리딘, 아크리딘, 페난트롤린, 이소티아졸, 페나진, 이속사졸, 페녹사진, 페노티아진, 이미다졸리딘, 이미다졸린, 피페리딘, 피페라진, 인돌린, 몰폴리노, 피페리디닐, 테트라하이드로퓨라닐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부류의 헤테로사이클은 "크라운 화합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화학식 [-(CH2-)aA-](a는 2 이상이며, A는 각각의 경우에 O, N, S, 또는 P일 수 있다)의 하나 이상의 반복되는 유닛을 갖는 특정 부류의 헤테로사이클 화합물을 말한다. 크라운 화합물의 예로는 [-(CH2)3-NH-]3, [-((CH2)2 -O)4-((CH2)2-NH)2] 등이 있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크라운 화합물은 4 개 내지 10 개의 헤테로 원자와 8 개 내지 40 개의 탄소원자를 가질 수 있다.
용어 "헤테로시클로옥시"는 헤테로시클릭-O- 기를 말한다.
용어 "티오헤테로시클로옥시"는 헤테로시클릭-S- 기를 말한다.
글리코펩티드와 관련된 용어 "N-말단"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2의 글리코펩티드의 N-말단은 R19 및 R20이 치환된 위치이다.
용어 "옥시아실아미노" 또는 "아미노카르보닐옥시"는 각각의 R이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릭으로 치환된 -OC(O)NRR 기를 말하며, 여기에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릭은 여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포스포노"는 -PO3H2를 말한다.
용어 "포스포노메틸아미노"는 -NH-CH2-P(O)(OH)2를 말한다.
용어 "포스포노메틸아미노메틸"은 -CH2-NH-CH2-P(O)(OH)2를 말한다.
용어 "프로드럭"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포유류 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약제학적으로 활성인 화합물로 변환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980, vol. 16,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ennsylvania, 61 및 424 참조.
글리코펩티드와 관련된 용어 "R-말단"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화학식 1의 글리코펩티드의 R-말단은 R5기로 치환된 지점이다.
용어 "사카라이드기"는 글리코펩티드 또는 다른 화합물에 사카라이드 모이어티의 임의의 원자, 바람직하게는 아글리콘의 탄소 원자를 경유하여 공유결합된 산화된, 환원된, 또는 치환된 사카라이드 모노라디칼을 말한다. 그 용어의 예로는 아미노함유 사카라이드기가 있다. 대표적인 사카라이드는 예를 들어 D-글루코오스, D-만노오스, D-크실로오스, D-갈락토오스, 반코사민, 3-데스메틸-반코사민, 3-에피-반코사민, 4-에피-반코사민, 아코사민, 악티노사민, 도노사민(daunosamine), 3-에피-도노사민, 리스토사민, D-글루카민, N-메틸-D-글루카민, D-글루쿠론산, N-아세틸-D-글루코사민, N-아세틸-D-갈락토사민, 시알리익산(sialyic acid), 이듀론산(iduronic acid), L-푸코오스 등과 같은 헥소오스; D-리보오스 또는 D-아라비노오스와 같은 펜토오스; D-리불로오스 또는 D-프럭토오스와 같은 케토오스; 2-O-(α-L-바코사미닐)-β-D-글루코피라노오스, 2-O-(3-데스메틸-α-L-반코사밀)-β-D-글루코피라노오스, 수크로오스, 락토오스, 또는 말토오스 같은 디사카라이드; 아세탈, 아민, 아실화, 황산화, 및 인산화 당과 같은 유도체; 2 개 내지 10 개의 사카라이드 유닛을 갖는 올리고사카라이드가 있다. 이 정의를 위해서, 이러한 사카라이드들은 종래의 3 문자 명명법을 이용하여 언급되며, 상기 사카라이드는 개방된 형태 또는 바람직하게는 피라노오스 형태일 수 있다.
용어 "아미노-함유 사카라이드기"는 아미노 치환기를 갖는 사카라이드기를 말한다. 대표적인 아미노-함유 사카라이드로는 L-반코사민, 3-데스메틸-반코사민, 3-에피-반코사민, 4-에피-반코사민, 아코사민, 악티노사민, 도노사민, 3-에피-도노사민, 리스토사민, N-메틸-D-글루카민 등이 있다.
용어 "스피로-부착 시클로알킬기"는 두 개의 환에 공통적인 하나의 탄소원자를 경유하여 다른 하나의 환에 부착된 시클로알킬기를 말한다.
주어진 화합물과 관련된 용어 "입체이성질체"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이는 다른 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자가 공간에 배향되는 방식은 다르지만 그 다른 화합물의 원자는 어느 원자가 어느 다른 원자와 결합했는지에 대한 측면에서는 주어진 화합물의 원자와 같은, 동일한 분자식을 갖는 또 다른 화합물을 말한다(예: 거울상이성질체, 다이아스테레오머, 또는 기하 이성질체). 예를 들어, Morrison and Boyde Organic Chemistry, 1983, 4 th ed., Allyn and Bacon, Inc., Boston, Mass., 123쪽 참조.
용어 "술폰아미드"는 화학식 -SO2NRR 기를 말하며, 여기서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릭이며, 여기서 알킬, 치환된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릭은 상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용어 "티올"은 -SH기를 말한다.
용어 "티오알콕시"는 -S-알킬기를 말한다.
용어 "치환된 티오알콕시"는 -S-치환된 알킬기를 말한다.
용어 "티오아릴옥시"는 아릴-S-기를 말하며, 여기서 아릴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으며,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한다.
용어 "티오헤테로아릴옥시"는 헤테로아릴-S-기를 말하며, 여기서 헤테로아릴기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으며,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선택적으로 치환된 아릴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을 말하는데 사용되는 용어 "티오에테르 유도체"는 티오에테르(-S-), 술폭시드(-SO-), 및 술폰(-SO2-)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치환기를 함유하는 상기 모든 임의의 기에 있어서, 그러한 기는 공간적으로 실현 불가능하고 및/또는 합성이 불가능한 치환 또는 치환 패턴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이러한 화합물의 치환으로부터 유래되는 모든 입체화학적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글리코펩티드"는 반코마이신과 같이 사카라이드기로 선택적으로 치환된 다 환 펩티드 코어가 특징인 올리고펩티드(예: 헵타펩티드) 항생제(달바헵티드)를 말한다. 이러한 정의에 포함되는 글리코펩티드의 예는 Raymond C. Rao 및 Louise W. Crandall의 "Glycopeptides Classification, Occurrence, and Discovery"("Drugs and the Pharmaceutical Sceinces" 63권, Ramakrishnan Nagarajan 편집, Marcal Dekker, Inc 출판)에서 찾을 수 있다. 글리코펩티드의 또 다른 예는 미국특허 4,639,433; 4,643,987; 4,497,802; 4,698,327; 5,591,714; 5,840,684; 및 5,843,889; EP 0 802 199; EP 0 801 075; EP 0 667 353; WO 97/28812; WO 97/38702; WO 98/52589; WO 98/52592; 및 J. Amer. Chem. Soc., 1996, 118, 13107-13108; J. Amer. Chem. Soc., 1997, 119, 12041-12047; 및 J. Amer. Chem. Soc. , 1994, 116, 4573-4590에 개시되어 있다. 대표적인 글리코펩티드로는 A477, A35512, A40926, A41030, A42867, A47934, A80407, A82846, A83850, A84575, AB-65, 악타플라닌(Actaplanin), 악티노이딘(Actinoidin), 아르다신(Ardacin), 아보파르신(Aboparcin), 아주레오마이신(Azureomycin), 발히마이신(Balhimycin), 클로로오리엔티아인(Chlororientiein), 클로로폴리스포린(Chloropolysporin), 데카플라닌(Decaplanin), N-데메틸반코마이신, 에레모마이신(Eremomycin), 갈라카르딘(Galacardin), 헬베카르딘(Helvecardidn), 이주펩틴(Izupeptin), 키프델린(Kibdelin), LL-AM374, 만노펩틴(Mannopeptin), MM45289, MM47756, MM47761, MM49721, MM47766, MM55260, MM55266, MM55270, MM56597, MM56598, OA-7653, 오리엔티신(Orenticin), Parvodicin, Ristocetin, Ristomycin, Synmonicin, Teicoplanin, UK-68597, UK-69542, UK-72051, 반코마이신, 등으로서 정의된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 사용된 용어 "글리코펩티드"는 또한 당 모이어티가 존재하지 않는 상기 일반적인 펩티드 부류, 즉 글리코펩티드의 아글리콘 시리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약한 가수분해에 의해 반코마이신 상의 페놀에 부착된 이당류 모이어티를 제거하면 반코마이신 아글리콘이 생성된다. 또한, 추가의 당류 잔기, 특히 아미노글리코사이드가 반코사민과 유사한 방식으로 더 부착된 글리코펩티드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선택적인" 또는 "선택적으로"는 이후에 기재한 사건 또는 일이 이러나거나 일어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것은 사건 또는 일이 일어나는 경우 및 일어나지 않는 경우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선택적으로 치환된"은 기(group)가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불활성 유기 용매" 또는 "불활성 용매" 또는 "불활성 희석제"는 용매 또는 희석제로 이용되는 반응 조건 하에서 본질적으로 불활성인 용매 또는 희석제를 의미한다. 불활성 용매 또는 희석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대표적인 예로는 벤젠, 톨루엔, 아세토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디메틸포름아미드("DMF"), 클로로포름("CHCl3"), 메틸렌 클로라이드(또는 디클로로메탄 또는 "CH2Cl2), 디에틸 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t-부탄올, 디옥산, 피리딘 등이 있다. 그렇지 않다고 특정하지 않는다면, 본 발명의 반응에서 사용되는 용매는 불활성 용매이다.
용어 "질소-연결" 또는 "N-연결"은 기 또는 치환기가 기 또는 치환기의 질소와의 결합에 의해서 화합물(예: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나머지에 부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산소-연결" 또는 "O-연결"은 기 또는 치환기가 기 또는 치환기의 산소와의 결합에 의해서 화합물(예: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나머지에 부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황-연결" 또는 "S-연결"은 기 또는 치환기가 기 또는 치환기의 황과의 결합에 의해서 화합물(예: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나머지에 부착되는 것을 의미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모 화합물의 생물학적 유효성 및 특성을 보유하며, 투여 시 생물학적으로 또는 그 이외의 측면에서 해롭지 않은 염을 말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각각 아미노기 및 카르복시기 모두가 존재하므로 산염 및 염기염 모두를 형성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기 부가염은 무기 및 유기 염기로부터 제제될 수 있다. 무기 염기로부터 유래된 염에는 소듐염, 칼륨염, 리튬염, 암모늄염, 칼슘염, 및 마그네슘염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염기로부터 유래된 염에는 일차 아민, 이차 아민, 및 삼차 아민, 자연 발생-치환된 아민을 포함한 치환된 아민, 및 시클릭 아민의 염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그러한 예로는 이소프로필아민,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프로필아민, 에탄올아민, 2-디메틸아미노에탄올, 트로메타민, 라이신, 아르기닌, 히스티딘, 카페인, 프로케인, 하이드라바민, 콜린, 베테인, 에틸렌디아민, 글루코사민, N-알킬글루카민, 테오브로민, 퓨린, 피페라진, 피페리딘, 및 N-에틸피페리딘 등의 염이 있다. 다른 카르복실산 유도체는, 예를 들면 카르복사미드, 저급 알킬 카르복사미드, 디(저급 알킬) 카르복사미드 등을 포함한 카르복실산 아미드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에 유용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인지해야 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산 부가염은 무기산 및 유기산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무기산으로부터 유래되는 염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의 염이 있다. 유기산으로부터 유래되는 염으로는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옥살산, 말산, 말론산, 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탄술폰산, 에탄술폰산, p-톨루엔술폰산, 살리실산 등의 염이 있다.
여기에 기재한 화합물은 전형적으로 하나 이상의 부재탄소를 함유한다. 따라서, 신규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은 라세믹 화합물, 다이아스테레오머, 거울상 이성질제, 및 하나 이상의 입체이성질체를 함유하는 혼합물을 포함한다.
용어 "보호기" 또는 "차단기"는 화합물의 하나 이상의 히드록실기, 티올기, 아미노기, 카르복시기, 또는 그 이외의 기에 결합될 때, 이러한 기에서 원하지 않는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차단하고, 그러한 보호기는 종래의 화학 반응 단계 또는 효소 반응 단계에 의해 제거되어 히드록실, 티오, 아미노, 카르복시, 또는 그 이외의 기를 복구할 수 있는, 임의의 기를 말한다. 이용되는 특히 제거 가능한 차단기는 중요하지 않으며 바람직한 제거 가능한 히드록실 차단기로는, 히드록실 작용기에 화학적으로 도입될 수 있고 이후에 생성물의 특성과 양립가능한 온화한 조건 하에서 화학적 또는 효소적 방법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거될 수 있는 알릴, 벤질, 아 세틸, 클로로아세틸, 티오벤질, 벤질리덴, 펜아실, t-부틸-디페닐실릴, 및 그 이외의 임의의 기와 같은 종래의 치환기가 있다. 보호기는 T.W. Greene 및 P.G.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3rd Ed., 1999, John Wiley 및 Sons, N.Y.에 보다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제거 가능한 아미노 차단기로는 t-부톡시카르보닐(t-BOC), 벤질옥시카르보닐(CBZ), 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FMOC), 알릴옥시카르보닐(ALOC) 등과 같은 종래의 치환기가 있으며, 상기 차단기는 생성물의 특성과 양립할 수 있는 종래의 조건 하에서 제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카르복실 차단기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t-부틸 등과 같은 에스테르가 있으며, 상기 차단기는 생성물의 특성과 양립할 수 있는 온화의 조건 하에서 제거될 수 있다.
"반코마이신"은 하기 화학식을 갖는 글리코펩티드 항생제를 말한다:
Figure 112004007260801-pct00004
반코마이신 유도체를 기재할 때, 용어 "Nvan-"은 치환기가 반코마이신의 반코사민 모이어티의 아미노기에 공유결합되는 것을 가리킨다. 유사하게, 용어 "Nleu-"는 치환기가 반코마이신의 류신 모이어티의 아미노기에 공유결합되는 것을 가리킨다.
일반적인 합성 공정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은 용이하게 획득 가능한 출발물질로부터 다음의 일반적인 방법 및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전형적이거나 바람직한 처리 조건( 즉, 반응온도, 시간, 반응물의 몰비, 용매, 압력 등)이 주어질 경우, 달리 기재하지 않는 한 다른 처리조건 또한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최적의 반응 조건은 사용된 특정 반응물이나 용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그러한 조건은 통상적인 최적화 공정에 의해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보호기는 소정 작용기가 원치 않는 반응을 겪는 것을 막기 위해 필수적일 수 있다. 보호 및 탈보호를 위한 적절한 조건뿐만 아니라 특정 작용기를 위한 적절한 보호기의 선택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수 많은 보호기 및 그들의 도입과 제거가 T.W. Greene 및 G.M. Wuts, Protecting Groups in Organic Synthesis, 제 3 판, Wiley, 뉴욕, 1999, 및 그 참조문헌에 기재되어 있다.
다음 반응 도해에서,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은 카르복시 말단 라벨 [C], 반코사민 아미노 말단 라벨 [V], "비-당류" 아미노 말단(류신 아민 모이어티) 라벨 [N], 및 선택적으로 레조시놀 모이어티 라벨 [R]을 다음과 같이 나타낸, 박스"G"로 서 단순화한 형태로 도시하였다:
Figure 112004007260801-pct00005
하나 이상(예: 1, 2, 3, 4, 또는 5)의 포스포노기(-PO3H2)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C-말단에서 치환된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은 C-말단이 카르복시기인 해당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을 적절한 포스포노 함유 화합물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말단이 카르복시기인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을 포스포노 함유 아민, 알콜, 또는 티올 화합물과 결합시켜, 각각 아미드, 에스테르, 또는 티오에스테르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3가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질소 연결 모이어티인 화학식 1의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은, R3가 히드록시인 화학식 1의 해당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을 필수적인 포스포노-함유 아민과 결합시켜 R3가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질소 연결 모이어티인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형성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C-말단이 하나 이상(예: 1, 2, 3, 4, 또는 5)의 포스포노기(-PO3H2)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치환되고 반코사민 아미노 말단(V)이 치환된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은, 우선 반코사민 아미노 말단(V)이 유리 아민(NH2)인 해당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을 환원적으로 알킬화한 다음, 그 해당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을 필수적인 포스포노 함유 화합물(예: 포스포노 함유 아민, 알콜, 또는 티올)과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실례로서, 반코마이신과 같은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은 다음 반응식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원적으로 알킬화할 수 있다.
Figure 112004007260801-pct00006
상기에서, A는 Ra-1의 탄소를 나타내며, Ra, Rb, Y, Z, 및 x는 여기에서 정의된 바와 같다. 이러한 반응은 전형적으로 우선 과량의, 바람직하게는 약 2.0 eq의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등과 같은 삼급 아민의 존재 하에서 글리코펩티드, 즉 반코마이신 1 eq를 과량의, 바람직하게는 1.1 내지 1.3 eq의 바람직한 알데히드와 접촉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이러한 반응은 전형적으로 약 0.25 내지 2 시간동안 주위 온도에서 DMF 또는 아세토니트릴/물과 같은 불활성 희석제에서, 해당 이민 및/또는 헤미아미날(hemiaminal)의 형성이 실질적으로 종료될 때까지 수행된다. 그 결과 생성된 이민 및/또는 헤미아미날은 전형적으로 분리하지 않고, 그 위치에서(in situ)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피리딘 보레인 등과 같은 환원제와 반응시킨다. 이러한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이민 및/또는 헤미아미날을 과량의 바람직하게는 약 3 eq의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과 접촉시킨 다음, 물 또는 아세토니트릴/물에서 주위 온도에서 환원제 약 1 내지 1.2 eq와 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한다. 그리하여 생성된 알킬화 생성물을 용이하게 침전 및/또는 역상 HPLC와 같은 종래의 공정을 이용하여 정제한다. 놀랍게도, 이민 및/또는 헤미아미날을 트리알킬 아민의 존재 하에서 형성시킨 다음, 환원제와 접촉시키기 전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으로 산화시킴으로써 환원적 알킬화 반응의 선택성은 현저히 향상된다, 즉 사카라이드(예: 반코사민)의 아미노기의 환원적 알킬화는 적어도 10:1, 보다 바람직하게는 20:1의 차이로 N-말단에서 환원적 알킬화 하는 경향이 크다.
상기 처리에 의해 글리코펩티드 항생제의 아미노 사카라이드기를 선택적으로 알킬화하는 것이 이전의 방법에 비해 현저히 향상되었다. 사카라이드-아민을 포함하는 글리코펩티드를 알킬화하는 방법은:
알데히드 또는 케톤, 적절한 염기, 및 글리코펩티드를 조합하여 반응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그 반응 혼합물을 산화하는 단계; 및
그 반응 혼합물을 적절한 환원제와 조합하여 사카라이드-아민에서 알킬화된 글리코펩티드를 생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코펩티드는 사카라이드-아민 이외의 하나 이상의 아미노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사카라이드-아민에서의 환원적 알킬화는 글리코펩티드의 또 다른 아미노기에서의 환원적 알킬화보다 약 10:1,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15:1 또는 약 20:1의 비율로 선호되는 경향이 있다.
환원적 알킬화 처리는 전형적으로 예를 들어, 할로겐화 탄화수소(예: 메틸렌 클로라이드), 선형 또는 분지의 에테르(예: 디에틸에테르, 테트라하이드로퓨란), 방향족 탄화수소(예: 벤젠 또는 톨루엔), 알콜(메탄올,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판올), 디메틸술폭시드(DMSO),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토니트릴, 물, 1,3-디메틸-3,4,5,6-테트라하이드로-2(1H)-피리미돈, 테트라메틸 유레아,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DMF), 1-메틸-2-피롤리디논, 테트라메틸렌술폭시드, 글리세롤,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필 아세테이트, N,N-디메틸프로필렌 유레아(DMPU) 또는 디옥산과 같은 적절한 용매 또는 용매의 조합의 존재 하에서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알킬화는 아세토니트릴/물, 또는 DMF/메탄올에서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환원(즉, 환원제로 처리)은 예를 들어, 알콜(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부탄올), 물 등과 같은 양성자성 용매의 존재 하에서 수행한다.
본 발명의 환원적 알킬화 처리는 반응 혼합물의 빙점 내지 환류 온도 범위의 적절한 온도에서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은 0℃ 내지 약 10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약 50℃ 범위의 온도에서, 또는 약 20℃ 내지 약 30℃의 범위에서 수행한다.
임의의 적절한 염기가 본 발명의 환원적 알킬화 처리에 이용될 수 있다. 적절한 염기로는 4급 아민(예: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메틸몰폴린, 또는 트리에틸아민) 등이 있다.
임의의 적절한 산을 이용하여 반응 혼합물을 산성화할 수 있다. 적절한 산 으로는 카르복실산(예: 아세트산, 트리클로로아세트산, 시트르산, 포름산, 또는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기산(예: 염산, 황산, 또는 인산) 등이 있다. 바람직한 산은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다.
본 발명의 환원적 알킬화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적절한 환원제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환원제가 글리코펩티드에 존재하는 기능과 양립 가능하다면, 임의의 적절한 환원제를 본 발명의 방법에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절한 환원제로는 소듐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소듐 트리아세톡시보로하이드라이드, 피리딘/보레인, 소듐 보로하이드라이드, 및 아연 보로하이드라이드 등이 있다. 상기 환원은 또한 수소 공급원(예: 수소 기체 또는 시클로헥사디엔)의 존재 하에서 전이금속 촉매(예: 팔라듐 또는 백금)의 존재 하에서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dvanced Organic Chemistry, 4판, John Wiley & Sons, 뉴욕(1992), 899-900 참조.
환원적 알킬화로부터 생성된 글리코펩티드 유도체를 포스포노 함유 아민(R3-H)과 결합시켜 아미드 결합을 형성시킨다. 이러한 반응을 하기 반응식으로 나타내었다:
Figure 112004007260801-pct00007
상기 반응식에서 R3는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질소-연결 그룹이 다. 이 반응에서, 글리코펩티드 유도체를 전형적으로 PyBOP 및 HOBT와 같은 펩티드 결합 시약의 존재 하에서 아민과 접촉시켜 아미드를 생성시킨다. 이러한 반응은 전형적으로 약 0℃ 내지 약 60℃ 범위의 온도에서 약 1 내지 24 시간동안 또는 결합 반응이 실질적으로 완료될 때까지 DMF와 같은 불활성 희석제 중에서 수행된다. 종래의 방법 및 시약을 이용한 이후의 탈보호 반응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이 생성된다.
원한다면, 상기 아민 결합 단계는 우선 아미드를 생성시킨 다음, 환원적 알킬화 및 탈보호화에 의해 본 발명의 화합물을 생성시킨다.
원한다면, -Ra-Y-Rb-(Z)x 기에 대한 전구체를 환원적 알킬화에 의해 글리코펩티드에 우선 부착시킨 다음, 이후에 그 부착된 전구체를 종래의 시약 및 방법을 이용하여 동화(elaboration)시켜 -Ra-Y-Rb-(Z)x 기를 형성시키는 단계적 방법으로도 상기 글리코펩티드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한 케톤을 상기 환원적 알킬화 반응에 이용하여 α-치환된 아민을 형성시킬 수 있다.
아미노기를 갖는 임의의 글리코펩티드는 환원적 알킬화 반응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한 글리코펩티드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하거나 종래의 방법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적절한 글리코펩티드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 3,067,099; 3,338,786; 3,803,306; 3,928,571; 3,592,095; 4,209,769; 4,051,237; 4,064,233; 4,122,168; 4,239,751; 4,303,646; 4,322,343; 4,378,348, 4,497,802; 4,504,467; 4,542,018; 4,547,488; 4,548,925; 4,548,974; 4,552,701; 4,558,008; 4,639,433; 4,643,987; 4,661,470; 4,694,069; 4,698,327; 4,782,042; 4,914,187; 4,935,238; 4,946,941; 4,994,555; 4,996,148; 5,187,082; 5,192,742; 5,312,738; 5,451,570; 5,591,714; 5,721,208; 5,750,509; 5,840,684; 및 5,843,889에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반응에 이용된 글리코펩티드는 반코마이신이다.
다음 도해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반코마이신과 같은 글리코펩티드의 레조시놀 모이어티에 포스포노 함유 아미노알킬 측쇄를 Mannich 반응에 의해 도입할 수 있다(이 도해에서, 글리코펩티드의 레조시놀 모이어티는 명백하게 하기 위해 나타내었다). 이 반응에서, 화학식 NHRR'의 아민(여기에서, R 및 R'중 하나 또는 모두는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기이다) 및 포르말린(포름알데히드의 원료)과 같은 알데히드(예: CH2O)는 글리코펩티드와 함께 기본적 조건 하에서 반응하여 글리코펩티드 유도체를 생성시킨다.
Figure 112004007260801-pct00008
술폭시드 또는 술폰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은 종래의 시약 및 방법을 이용하여 해당 티오 화합물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티오 화합물을 술폭시드로 산화시키기 위한 적절한 시약으로는 예를 들어, 과산화수소, 3-클로로퍼옥시벤조산, 과요오드산나트륨, 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나트륨, 차아염소산칼슘, t-부틸 하이포클로라이트 등과 같은 과산(MCPBA)이 있다. 키랄 산화제(광학적 활성 시약)를 이용하여 키랄 술폭시드를 생성시킬 수 있다. 그러한 광학적 활성 시약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Kagen 등, Synlett., 1990, 643-650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알킬화 반응에 적용되는 알데히드 및 케톤은 또한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으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거나 시판되는 출발물질 및 시약을 이용하여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dvanced Organic Chemistry, Jerry March, 4판, John Wiley & Sons, 뉴욕959쪽; 및 Frank R. Hartley(ed.) The Chemistry of Organophosphorous Compounds, 1-4권, John Wiley and Sons, 뉴욕 (1996) 참조. 아미노메틸포스폰산은 Aldrich Chemical Company, Milwauke, Wisconsin을부터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한 부가적인 세부사항 및 그 이외의 제조방법은 하기 실시예에 기재하였다.
정제 방법
본 발명은 폴리스티렌 및 디비닐 벤젠의 코폴리머에 기초한 레진을 이용한 레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상기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노 유도체를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약 30Å 내지 약 1000Å의 공극 크기를 갖는 다공성 비드가 특징인 그러한 레진의 수많은 예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레진의 바람직한 공극 크기는 약 50Å 내지 약 1000Å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레진의 예시적 리스트를 하기 표 2에 제조사, 공극 직경, 및 비드 크기와 함께 나타내었다.
[표 2]
Figure 112004007260801-pct00009
예시적 정제방법에 있어서, 표 2에 열거되어 있는 레진과 같은 폴리스티렌 레진은 과량의 물에 적시고, 물, 선택적으로 산성화된 물, 및/또는 극성 유기 용매의 수성용액, 선택적으로 산성화된 극성 유기 용매의 수성용액으로 세척함으로써 제조하고,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로딩한다. 정제되어야 할 글리코펩티드 샘플을 극성 유기용매를 함유하는 산성화된 물에 용해한다. 샘플 용액의 pH는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5이다. 샘플 용액의 작은 분액을 떼어내어 HPLC 분석을 위한 표준으로서 사용한다.
상기 샘플 용액을 컬럼에 로딩하고 극성 유기 용매의 제 2의 산성화된 수성 용액으로 용리하여, 그것을 분액 별로 컬럼으로부터 수집한다. 바람직하게는, 제 2의 산성화된 수성 용액은 약 10mM의 산의 농도를 가지며, 극성 유기용매: 물의 비율이 약 1:4 내지 약 1:15이다.
각각의 분액을 박층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샘플의 존재에 대해 모니터 한다. 아무런 샘플이 용출물에서 관찰되지 않을 경우, 유기 용매의 함량이 더 많은 용리액을 사용하여 컬럼으로부터 나머지 샘플을 세척한다. 그 컬럼을 산성화된 극성 유기용매 및 산성화된 물로 세척함으로써 재생시킨다.
샘플을 함유하는 분액을 샘플 농도 및 순도에 대해 HPLC로 분석한다. 원하는 역치보다 큰 농도로 샘플을 함유하는 분액을 모아서, 정제 산물을 용출물로부터 분리한다. 실시예에 기재한 바와 같이, 정제 산물은 모은 분액을 동결건조함으로써 용출물로부터 회수할 수 있다.
또는, 침전 및 여과함으로써 용출물로부터 정제산물을 분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과량의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극성 유기 용매를 용출물에 가하여 정제 산물의 고체 침전물을 생성시킬 수 있고, 그런 다음 여과한다.
선택적으로는, 분리과정 제 1 단계에서 용출물보다 정제 산물이 보다 농축된 용액을 용출물로부터 형성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정제 산물을 보다 농축된 용액으로부터 분리한다. 예를 들어, 보다 농축된 용액은 조합된 용출물 분액에 NaCl을 부가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으며, 그 결과 용액을 상기한 바와 같은 폴리스티렌 디비닐 벤젠 레진을 함유하는 크로마토그래피 컬럼에 로딩시키고, 이전의 크로마토그래피 단계에서의 유기 용매의 농도보다 더 높은 농도의 극성 유기 용매를 함유하는 용액으로 용리한다. 또는, 생성물이 레진에 흡수되도록 저온에서 용출물에 폴리스티렌 디비닐 레진을 부가하고; 그 레진을 여과한 다음, 그 레진으로부터 글리코펩티드를 실온의 수성 극성 유기용매로 탈착시킴으로써, 폴리스티렌 디비닐 레진 레진을 이용한 배치 처리에서 더욱 농축된 용액이 형성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 4에 기재한 바와 같이,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네이트의 초기 농도가 67 내지 74%인 샘플을 본 발명의 방법을 이용한 정제를 통해 약 83 내지 94%의 농도로 정제하였다.
상기 정제 방법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는 것으로 기재하였지만,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샘플 용액을 배치 처리 용기를 이용하는 것처럼 또 다른 배열의 레진과 접촉시킬 수도 있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하는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의도는 아니다.
하기 실시예에서, 다음 약어는 하기와 같은 의미를 갖는다. 정의하지 않은 임의의 약어는 일반적으로 인식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달리 기재하지 않았다 면, 모든 온도는 섭씨(℃)이다.
ACN = 아세토니트릴
BOC, Boc = t-부톡시카르보닐
DIBAL-H =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
DIPEA =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F =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 디메틸 술폭시드
eq. = 당량
EtOAc = 에틸 아세테이트
Fmoc =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
HOBT =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하이드레이트
Me = 메틸
MS = 질량 분광분석법
PyBOP = 벤조트리아졸-1-일옥시트리스(피롤리디노)포스포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TEMPO = 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디닐옥시, 유리 라디칼
TFA =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LC, tlc =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하기 실시예에서, 반코마이신 염산 반-수화물은 Alpharma, Inc. Fort Lee, NJ 07024(Alpharma AS, Oslo Norway)로부터 입수하였다. 다른 시약 및 반응물은 Aldrich Chemical Co., Milwaukee, WI 53201에서 입수 가능하다.
일반적 방법 A
반코마이신의 환원적 알킬화
DMF 중의 반코마이신(1 eq) 및 원하는 알데히드(1.3 eq)의 혼합물에 DIPEA(2 eq)를 부가하였다. 상기 반응물을 주위 온도에서 1-2 시간동안 교반하고, 역상 HPLC로 모니터하였다. 메탄올 및 NaCNBH3(1 eq)를 상기 용액에 부가한 다음, TFA(3 eq)를 부가하였다. 한시간 더 주위 온도에서 교반을 계속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에, 메탄올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였다. 잔사를 아세토니트릴에서 침전시켰다. 여과하여 조생성물을 얻은 다음, 그것을 역상 HPLC로 정제하였다. 원할 경우, 다른 글리코펩티드 항생제를 본 방법에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인 방법 B
2-(데실티오)아세트알데히드의 합성
질소 하에서, 아세톤(100 ml) 중의 탄산칼륨(27 g, 200 mmol) 현탁액에 데실 브로마이드(10 ml, 50 mmol) 및 머캅토에탄올(4.4 ml, 63 mmol)을 부가하였다. 상기 현탁액을 실온에서 2 일동안 교반한 다음, 물 및 80% 헥산/에틸아세테이트 사이에서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2N 수산화나트륨으로 세척가고,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다음,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서 제거하여 2-(데실티오)에탄올(10.2 g, 47 mmol)을 무색의 액체로서 획득하였으며, 이것을 더 이상의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질소 하에서, 2-(데실티오)에탄올(50 g, 230 mmo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28 ml, 730 mmol),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400 ml)를 -40℃로 냉각하였다. 이 용액에, 15 분에 걸쳐 디메틸 술폭시드(600 ml)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200 ml) 중의 삼산화황 피리딘 복합체(116 g, 730 mmol) 용액을 부가하였다. 부가 후에, 상기 혼합물을 -40℃에서 15 분간 더 교반한 다음, 얼음물 600 ml를 부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냉각 배쓰에서 빼내고, 1 L의 물을 부가한 다음, 그 액체를 분배하였다. 유기상을 1 N 염산 1 L로 세척하고,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였다. 여과하여 액체 600 ml를 생성시키고, 그 액체를 헥산 600 ml로 희석한 다음, 실리카 200 ml를 통해서 통과시켰다. 실리카를 50% 메틸렌 클로라이드/헥산 100 ml로 세척한 다음, 메틸렌 클로라이드 300 ml로 세척하였다. 조합한 유기 물질을 진공 하에서 농축하여 무색의 액체로서 2-(데실티오)아세트알데히드(48 g, 220 mmol)를 획득하였다.
일반적 실시예 C
N van -2-(데실티오)에틸 반코마이신의 합성
방법 A: 질소 하에서, 반코마이신 염산 수화물(1 g, 0.64 mmol)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8 ml) 중의 2-(데실티오)아세트알데히드(139 mg, 0.64 mmol)에 부가하였다.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336 uL, 1.9 mmol)을 부가한 다음, 그 현탁액을 2.5 시간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으며, 그 과정동안 모든 반코마이신이 용해되었다. 고체 소듐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60 mg, 0.96 mmol)을 부가한 다음, 메탄올(5 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250 uL, 3.2 mmol)을 부가하였다. 그 반응 물을 실온에서 교반한 다음, 역상 HPLC로 분석하였다. 280 nm에서의 uv 흡광도에 기초한 생성물의 분포는 하기와 같았다:
용리시간(분) 면적% 생성물
2.0 29 반코마이신
3.1 50 Nvan-2-(데실티오)에틸 반코마이신
3.2 2 ---
3.3 7 Nleu-2-(데실티오)에틸 반코마이신
3.9 13 Nvan, Nleu-비스-[2-(데실티오)에틸]반코마이신
4.0 0.5 ---
방법 B: 질소 하에서, N,N-디메틸포름아미드(1.4 L) 중의 2-(데실티오)아세트알데히드(조 화합물, 48 g, 220 ml) 용액에 고체 반코마이신 염산 수화물(173 g, 110 mmol)을 부가한 다음,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58 ml, 330 mmol)을 부가하였다. 그 현탁액을 실온에서 2 시간동안 격렬하게 교반하였고, 그 과정에서 모든 반코마이신이 완전히 용해되었으며, 그 다음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53 ml, 690 mmol)을 부가하였다. 그 용액을 90 분 더 교반한 다음, 고체 소듐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10.5 g, 170 mmol), 메탄올(800 ml)를 순서대로 부가하였다. 3 시간 후에, 그 반응을 역상 HPLC로 분석하였다. 280 nm에서의 uv 흡광도에 기초한 생성물의 분포는 하기와 같았다:
용리시간(분) 면적% 생성물
2.0 15 반코마이신
3.2 77 Nvan-2-(데실티오)에틸 반코마이신
3.3 3 ---
3.4 0.5 Nleu-2-(데실티오)에틸 반코마이신
4.0 0.8 Nvan, Nleu-비스-[2-(데실티오)에틸]반코마이신
4.1 4 ---
상기 방법 중 어느 하나로부터의 반응 혼합물을 물(7 L)에 가하여, 약간 탁한 용액을 생성시켰다. 용액의 pH를 중탄산나트륨 포화용액으로 5로 맞춰, 흰색의 침전물을 생성시켰다. 이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거하고, 물, 에틸 아세테이트 순으로 세척한 다음,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Nvan-2-(데실티오)에틸 반코마이신을 획득하고, 그것을 더 이상의 정제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방법 C: ACN/H2O(1:1, 30 ml) 중의 반코마이신 염산(3.0 g, 2.1 mmol) 용액을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54 g, 0.72 ml, 4.2 mmol)으로 처리한 다음, 25℃에서 2-(데실티오)아세트알데히드(0.91 g, 4.2 mmol)로 처리하였다. 30 분 후에, 상기 반응 혼합물을 TFA(1.92 g, 1.29 ml, 16.8 mmol)로 처리한 다음, NaCNBH3(0.132 g, 2.1 mmol)로 처리하였다. 5 내지 10 분 후에, 조생성물 Nvan-2-(데실티오)에틸 반코마이신이 아세토니트릴(300 ml) 중에 침전되었다.
실시예 1
화합물 3의 제조
(R 3 가 N-(포스포노메틸)-아미노이고; R 5 가 수소이고; R 19 가 수소이며; R 20 은 -CH 2 CH 2 -S-(CH 2 ) 9 CH 3 인 화학식 1의 화합물)
Nvan-(2-데실티오)에틸 반코마이신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1 g, 0.53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23 ml, 1.33 mmol)을 DMF(10 ml) 중에 혼합하고, 균질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HOBt(0.080 g, 0.58 mmol) 및 PYBOP(0.300 g, 0.58 mmol)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5-10 분 후에, 물(3 ml) 중에 (아미노메틸)포스폰산(0.060 g, 0.53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23 ml, 1.33 mmol)을 함유하는 균질한 용액을 부가하였다. 그 반응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MS로 모니터하였다. 상기 반응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될 때, 반응 혼합물을 아세토니트릴(40 ml)로 희석하고 원심분리 하였다. 상청액을 버리고, 원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남아 있는 펠렛을 50% 수성 아세토니트릴(10 ml)에 용해시키고 역상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계산치(M+) 1742.7; 실측치(MH+) 1743.6.
실시예 2
화합물 11의 제조
(R 3 가 -OH이고; R 5 가 N-(포스포노메틸)-아미노메틸이고; R 19 가 수소이며; R 20 은 -CH 2 CH 2 -NH-(CH 2 ) 9 CH 3 인 화학식 1의 화합물)
(아미노메틸)포스폰산(3.88 g, 35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6.1 ml, 35 mmol)을 물(40 ml) 중에 혼합하고, 균질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아세토니트릴(50 ml) 및 포름알데히드(37% 수용액; 0.42 ml, 5.6 mmol)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약 15 분 후에, 상기 혼합물에 Nvan-데실아미노에틸 반코마이신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10.0 g, 5.1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6.1 ml, 35 mmol)을 부가하였다. 그 반응물을 실온에서 약 18 시간 교반한 다음, 20% TFA로 pH를 약 7로 맞추고, 아세토니트릴을 진공 하에서 제거한 다음, 잔사를 동결건조 하였다. 그 결과 생성된 고체를 물(100 ml)과 함께 분쇄하고, 여과하여 모으고, 진공 하에서 건조한 다음, 역상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계산치(MH+) 1756.6; 실측치(MH+) 1756.6.
화합물 11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도 제조하였다.
Nvan-(데실아미노에틸)반코마이신(500 mg, 0.28 mmol, 하기 서브-파트 f) 및 아미노메틸포스폰산(155 mg, 1.4 mmol)을 50% 수성 아세토니트릴(10 mL) 중에 가했다.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972 uL, 720 mg, 5.6 mmol)을 가하고, 그 혼합물을 고체가 용해될 때까지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그 반응 혼합물을 얼음 배쓰에서 냉각시키고, 포르말린(3.7%, 시판되는 37% 포르말린을 50% ACN/물, 220 uL, 8.8 mg, 0.29 mmol로 1:9로 희석시켜 제조)을 가하였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5분간 교반 하였고, 그러자 반응이 완료되었다. 상기 반응 혼합물을 0℃에 서 급냉하였고, 3N HCl을 가하여 약 pH 2로 하였다. 그 혼합물을 50% ACN/물로 희석하여 50 mL로 한 다음, 아세토니트릴(75 mL를 가한 다음, 5분 간격으로 5x10 mL, 총 125 mL) 을 부가하여 생성물을 침전시켰다. 그 고체를 진공 여과로 수거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하였다. 역상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N van -데실아미노에틸 반코마이신 트리스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a. N-Fmoc-2-(데실아미노)에탄올. 2-(n-데실아미노)에탄올(2.3 g, 11 mmol, 1.1 eq) 및 DIPEA(2.0 ml, 11 mmol, 1.1 eq)를 메틸렌 클로라이드(15 ml)에 용해하고, 얼음 배쓰에 냉각시켰다. 메틸렌 클로라이드(15 ml) 중의 9-플루오레닐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2.6 g, 10 mmol, 1.0 eq)를 부가하고, 그 혼합물을 30 분동안 교반한 다음 3N 염산(50 ml)로 두 번 세척하고, 중탄산나트륨 포화 용액(50 ml)으로 세척하였다. 그 유기 물질을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N-Fmoc-2-(데실아미노)에탄올(4.6 g, 11mmol, 108%)를 더 이상의 정제 과정 없이 사용하였다.
b. N-Fmoc-데실아미노아세트알데히드. 옥살릴 클로라이드(12.24 ml) 및 메틸렌 클로라이드(50 mL)의 -35 내지 -45℃ 용액에 메틸렌 클로라이드(25 mL) 중의 DMSO(14.75 g) 용액을 20분에 걸쳐 부가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35 내지 -45℃에서 10 분동안 교반하였다. 메틸렌 클로라이드(70 mL) 중의 N-Fmoc-데실아미노에탄올(20.0 g) 용액을 25 분에 걸쳐 가한 다음, -35 내지 -45℃에서 40 분동안 교반 하였다. 그런 다음, 트리에틸아민(21.49 g)을 부가하고, 그 혼합물을 -10 내지 -20℃에서 30 분간 교반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물(120 mL)로 급냉한 다음, 내부 온도를 0-5℃로 유지하면서 농황산(20.0 g)으로 급냉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2% 황산(100 mL)으로 세척한 다음, 물(2x10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용액을 진공 하에서 60℃에서 증류시켜 약 100 mL로 하였다. 헵탄(100 mL)를 가한 다음, 오일 배쓰의 온도를 80℃로 올리고, 잔사의 부피가 100 mL가 될 때까지 증류를 계속하였다. 헵탄(100 mL)을 더 가하고 증류를 반복하여 100 mL로 하였다. 가열 배쓰를 15℃의 차가운 워터 배쓰로 교체하였다. 그 배쓰를 20분에 걸쳐 5℃로 서서히 냉각시키자, 생성물의 침전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그런 다음, 그 슬러리를 -5 내지 -10℃로 냉각하고, 2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그 고체를 Buchner 깔대기로 수거하고 차가운(-5℃) 헵탄(2x15 mL)로 세척하였다. 젖은 고체상 물질을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알데히드를 생성시켰다.
c. N van -(N-Fmoc-2-n-데실아미노에틸) 반코마이신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반코마이신 염산(12 g, 7.7 mmol, 1.0 eq), N-Fmoc-2-(n-데실아미노)-아세트알데히드(3.2 g, 7.6 mmol, 1.0 eq) 및 DIPEA(2.6 ml, 14.9 mmol, 2.0 eq)를 DMF(120 ml) 중에서 90 분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소듐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1.4 g, 22 mmol, 3.0 eq)를 가한 다음, 메탄올(120 ml)를 가하고 나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8 ml, 23 mmol, 3.0 eq)를 가하였다. 그 혼합물을 실온에서 60 분동안 교반한 다음, 메탄올을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그 결과 용액을 600 ml 디에틸에테르에 가하여 침전물을 생성시키고, 그 침전물을 여과하고, 에테르로 세척한 다음, 진공 하에서 건조하였다. 조생성물을 역상 속성 컬럼상에서 정제하고, 10, 20, 30%의 아세토니트릴 수용액(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1% 함유)으로 용리하여 극성 불순물(잔여 반코마이신 등)을 제거한 다음, 생성물을 70% 아세토니트릴 수용액(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0.1% 함유)으로 용리하여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으로서 Nvan-(N-Fmoc-2-n-데실아미노에틸) 반코마이신 9 g을 획득하였다(4.3 mmol, 56%).
d. N van -2-( n -데실아미노)에틸 반코마이신 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Nvan-(N-Fmoc-2-n-데실아미노에틸) 반코마이신(100 mg)을 DMF(1 ml)에 용해하고, 30 분동안 피페리딘(200 uL)d,로 처리하였다. 그 혼합물을 에테르로 침전시키고, 원심분리한 다음, 아세토니트릴로 세척하였다. 역상 분취용 HPLC(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을 함유하는 10-70% 아세토니트릴 수용액을 120 분에 걸쳐)에 의해, TFA 염으로서 Nvan-2-(n-데실아미노)에틸 반코마이신을 획득하였다.
중간체인 Nvan-데실아미노에틸 반코마이신의 퀴누클리딘염을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e. N van -(N'-Fmoc-데실아미노에틸) 반코마이신. 기계적 교반기가 구비된 2 L 플라스크에 반코마이신 염산(50.0 g), N-Fmoc-데실아미노아세트알데히드(13.5 g), DMF(400 mL), 및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1.7 mL)를 가하였다. 그 현탁액 을 실온에서 2 시간동안 교반하였고, 그리하여 고체가 용해되었다. 메탄올(190 mL)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10.4 mL)를 순서대로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 분동안 교반한 후에, 보레인-피리딘 복합체(3.33 g)을 일시에 가하고, 메탄올(10 mL)로 세척하였다. 4 시간동안 교반한 후에, 그 반응물을 얼음 배쓰에서 5-10℃로 냉각시키고, 물(675 mL)을 임의의 속도로 가하여 온도를 20℃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그 반응 혼합물을 데워서 실온으로 하고, 10% NaOH를 가하여 pH 4.2-4.3(약 15 mL)으로 하였다. 그 결과물인 슬러리를 얼음 배쓰에서 1 시간동안 냉각한 다음, 생성물을 진공여과로 수거하고 차가운 물(2x100 mL)로 세척하였다. 젖은 고체상 물질을 진공하에서 50℃에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색을 띤 백색 내지 연분홍색의 고체로서 획득하였다.
f. N van -(데실아미노에틸) 반코마이신 퀴누클리딘 염. Nvan -(N'-Fmoc-데실아미노에틸) 반코마이신(88 g, 42 mmol)을 DMF(500 mL) 중에서 1 시간동안 실온에서 교반함으로써 용해하였다. 퀴누클리딘(9.4 g, 84 mmol)을 가한 다음, 반응 혼합물을 18 시간동안 교반하였다. DMF를 진공 하에서 제거하고, 고체를 아세토니트릴(700 mL)과 함께 3 시간동안 분쇄하였다. 고체를 Buchner 깔대기로 수집하고, 아세토니트릴(200 mL)와 함께 16 시간동안 분쇄하였다. 그런 다음, 아세토니트릴(700 mL)를 더 가하고, 고체를 Buchner 깔대기 상에 수거하고, 아세토니트릴(500 mL)로 세척한 다음, 아세토니트릴(500 mL) 중에 재현탁하였다. 2 시간동안 교반한 후에, 고체를 Buchner 깔대기 상에 수집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실시예 3
화합물 12의 제조
(R 3 가 -OH이고; R 5 가 N-(포스포노메틸)-아미노메틸이고; R 19 가 수소이며; R 20 은 -CH 2 CH 2 -S-(CH 2 ) 9 CH 3 인 화학식 1의 화합물)
(아미노메틸)포스폰산(0.295 g, 266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649 ml, 3.72 mmol)을 물(5 ml) 중에 혼합하고, 균질하게 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그런 다음, 아세토니트릴(5 ml) 및 포름알데히드(37% 수용액; 0.044 ml, 0.585 mmol)을 상기 반응 혼합물에 부가하였다. 약 15 분 후에, 상기 반응 혼합물에 Nvan-(2-데실티오)에틸 반코마이신 비스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1 g, 0.53 mmol) 및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649 ml, 3.72 mmol)을 부가하였다. 그 반응물을 실온에서 약 18 시간 교반한 다음, ACN(40 ml)으로 희석하고 원심분리 하였다. 상청액을 제거하고, 원하는 생성물을 함유하는 남아 있는 펠렛을 50% 아세토니트릴 수용액(10 ml)에 용해한 다음, 역상 분취용 HPLC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획득하였다. MS 계산치(M+) 1772.7; 실측치(MH+) 1773.4.
상기 방법 및 적절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표 1에 나타낸 화합물을 제조하 였다. 이들의 질량분광분석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4007260801-pct00010
Figure 112004007260801-pct00011
실시예 4
화합물 11의 정제
(R 3 가 -OH이고; R 5 가 N-(포스포노메틸)-아미노메틸이고; R 19 가 수소이며; R 20 은 -CH 2 CH 2 -NH-(CH 2 ) 9 CH 3 인 화학식 1의 화합물)
Amberlite XAD 1600 2 g을 4 시간동안 과량의 HPLC 등급 물과 혼합하였다. 과량의 물을 제거하고, 레진을 (1) 과량의 HPLC 등급 물; (2) 과량의 메탄올 중의 10 mM 아세트산 용액; (3) 과량의 50/50 v/v의 ACN/물 중의 10 mM 아세트산 용액; (4) 과량의 5/95 v/v 아세트산/물 용액; 및 (5) 과량의 10/90 아세트산/물 용액으로 연속적으로 세척하였다.
20 psi BPR(Back Pressure Regulator)(Upchurch P-791), 정량 송액 펌프(Ranin Dynamax Model RP-1), 및 분액 수집기(BioRad 2110)가 구비된 내부 직경 1 cm의 컬럼(Omnifit #56001)에 상기 레진을 로딩하고, 용리액(elutant)의 유속을 1 베드 볼륨/시간으로 하여, 1 ml의 분액을 얻었다.
10/90 v/v 아세트산/물 5 ml 중에 50 mg의 조화합물 11을 용해함으로써 샘플을 제조하였다. 그 용액을 5 분동안 초음파 처리하고, 컬럼에 1 베드 볼륨/시간의 유속으로 로딩하였다. 로딩 용액 20 ㎕를 물로 1:50 v/v로 희석하여, HPLC 분석의 표준으로서 사용하였다.
상기 로딩된 샘플을 17.5/82.5 v/v ACN/물 중의 10 mM 아세트산으로 용리하였다. 각각의 분액을 수집하고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로 샘플의 존재에 대해 시험하였다. 각각의 분액을 TLC 플레이트(EM Science #15341)에 스팟팅하고, 로딩 용액의 참조 스팟과 비교하여 화합물 11의 존재에 대해 확인하였다. 화합물 11이 TLC에 의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을 때까지 분액을 수집하였다. 그런 다음, 컬럼 상에 아직 남아 있는 모든 샘플을 세척해 내기 위해, 용리액을 50/50 v/v ACN/물 중의 10 mM 아세트산 용액으로 변경하였다. 세척 분액(wash-off fraction)을 또한 샘플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TLC로 검사하였다. 일단 세척액에서 샘플이 더 이상 검출되지 않으면, 분액 수집을 그만두었다. 그런 다음, 컬럼을 메탄올 중의 10 mM 아세트산 용액, 50/50 ACN/물 중의 10 mM 아세트산 용액, 및 10/90 v/v 아세트산/물 각각 5 베드 볼륨으로 세척하였다.
각각의 분액을 보르텍스 처리하고, 1:10으로 물로 희석하여 오토 샘플러 바이얼(auto sampler vial)에 넣었다. 오토 샘플러 바이얼을 보르텍스 처리하고 Varian HPLC 시스템 상에서 214 nm로 자외선 검출하여 분석하였다. 각각의 희석 분액 20 ㎕를 실온 Zorbax Bonus-RP, 4.6 X 150 mm 컬럼에 주입하였다. 82% A(5/95 v/v ACN/물 0.1% TFA) 18% B (95/5 ACN/물, 0.1% TFA) 내지 60%A/40%B의 7 분의 경사를 갖는 컬럼에서 상기 샘플을 용리하였다.
순수한 화합물 11을 89% 이상 함유하는 분액을 모았다. 모아진 분액을 VirTis 벤치탑 동결건조기 상에서 밤새 동결건조 하고, 질량을 측정하여 수율을 결정하였다. 고체 화합물 11을 10/90 v/v 아세트산/물에 용해하고, 100 ㎍/mL로 물로 희석하였다. 100 ㎍/mL의 순수한 화합물 11을 상기 HPLC 방법으로 분석하여 그 순수(purity)를 입증하였다. 교정된 수율은 다음 식으로 결정한다:
Figure 112004007260801-pct00012
하기 표 3의 제 1 라인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합물 11이 개시 농도74%에서 90%의 농도로 정제되어, 59%의 수율이 얻어졌다.
실시예 5-13
여러 레진 및 용리액을 이용한 화합물 11의 정제
화학물 11을 다양한 레진 및 용리액을 이용하여 실시예 4의 방법으로 정제하였다. 결과를 하기 표 3에 열거하였다.
[표 3]
화합물 11의 정제
Figure 112004007260801-pct00013
Figure 112004007260801-pct00014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이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네이트 유도체를 80% 초과의 순도를 갖도록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을 특정 구현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으며, 발명의 진정한 요지 및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등가물을 치환할 수 있다는 것을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알아야 한다. 또한, 특정 상황, 물질, 물질의 조성물, 방법, 방법 단계 또는 단계들을 본 발명의 상기 목적, 요지, 및 범위에 맞추기 위해, 많은 변경을 가할 수 있다. 모든 그러한 변경은 여기에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내에 속한다. 덧붙여, 여기에 인용된 모든 출판물, 특허, 및 특허문헌은 여기에 개별적으로 통합되었다고 하더라도 전체가 여기에 참고로 통합된다.

Claims (19)

  1. (a)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 1의 산성화된 수용액을 폴리스티렌 디비닐 벤젠 레진과 접촉시키는 단계;
    (b) 접촉된 레진을 극성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제 2의 산성화된 수용액으로 용리시켜 용출액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c)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용출액으로부터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입체이성질체, 또는 프로드럭을 정제하는 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08029121153-pct00015
    상기 화학식 1에서,
    R19는 수소이고;
    R20은 -Ra-Y-Rb-(Z)x, Rf, -C(O)Rf, 또는 -C(O)-Ra-Y-Rb-(Z)x 이고;
    R3은 -ORc, -NRcRc, -O-Ra-Y-Rb-(Z)x, -NRc-Ra-Y-Rb-(Z)x, -NRcRe, 또는 -O-Re; 또는 R3는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질소-연결, 산소-연결, 또는 황-연결 치환기이고;
    R5는 수소, 할로, -CH(Rc)-NRcRc, -CH(Rc)-NRcRe, -CH(Rc)-NRc-Ra-Y-Rb-(Z)x-, -CH(Rc)-Rx, -CH(Rc)-NRc-Ra-C(=O)-Rx, 및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치환기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되고;
    각각의 Ra는 알킬렌, 치환된 알킬렌, 알케닐렌, 치환된 알케닐렌, 알키닐렌, 및 치환된 알키닐렌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Rb는 공유결합, 알킬렌, 치환된 알킬렌, 알케닐렌, 치환된 알케닐렌, 알키닐렌, 및 치환된 알키닐렌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단, Z가 수소일 경우에는 Rb는 공유결합이 아니고;
    각각의 Rc는 수소,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시클릭, 및 -C(O)Rd로 구성된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Rd는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릭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Re는 사카라이드기이고;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알킬, 치환된 알킬, 알케닐, 치환된 알케닐, 알키닐, 치환된 알키닐, 시클로알킬, 치환된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치환된 시클로알케닐, 아릴, 헤테로아릴, 또는 헤테로시클릭이고;
    Rx는 N-연결 아미노 사카라이드 또는 N-연결 헤테로사이클이고;
    각각의 Y는 산소, 황, -S-S-, -NRc-, -S(O)-, -SO2-, -NRcC(O)-, -OSO2-, -OC(O)-, -NRcSO2-, -C(O)NRc-, -C(O)O-, -SO2NRc-, -SO2O-, -P(O)(ORc)O-, -P(O)(ORc)NRc-, -OP(O)(ORc)O-, -OP(O)(ORc)NRc-, -OC(O)O-, -NRcC(O)O- -NRcC(O)NRc-, -OC(O)NRc-, -C(=O)-, 및 -NRcSO2NRc-로 구성된 그룹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각각의 Z는 수소, 아릴, 시클로알킬, 시클로알케닐,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시클릭에서 독립적으로 선택되며;
    x는 1 또는 2이고,
    단, R3 및 R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치환기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의 산성화된 수용액에 존재하는 극성 유기 용매는 아세토니트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의 산성화된 수용액에 존재하는 극성 유기 용매는 극성 유기 용매:물의 비율이 1:4 내지 1:15 v/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2의 산성화된 수용액에 존재하는 산은 아세트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2의 산성화된 수용액에 존재하는 산은 염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2의 산성화된 수용액에 존재하는 극성 유기용매의 용액 중의 산은 농도가 5 mM 내지 5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a)에서의 폴리스티렌 디비닐 벤젠 레진은 50Å 내지 1000Å의 공극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c)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동결건조에 의해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c)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을 침전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c)는 화학식 1의 화합물의 농도가 용출액에서보다 더 높은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삭제
  12. 제 1 항에 있어서, 단계 (b)는 접촉된 레진을 극성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수용액으로 여러 번 세척하여 다수의 분액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그 분액을 혼합하여 용출액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3가 -OH 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4.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3가 하나 이상의 포스포노기를 포함하는 질소-연결, 산소-연결, 또는 황-연결 치환기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5.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3가 화학식 -O-Ra-P(O)(OH)2, -S-Ra-P(O)(OH)2, 또는 -NRc-Ra-P(O)(OH)2 기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5가 화학식 -(CH(R21)-N(Rc)-R a-P(O)(OH)2 인 화합물이며, 여기서 R21은 수소 또는 R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7.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은 R20이 -CH2CH2-NH-(CH2)9CH3; -CH2CH2CH2-NH-(CH2)8CH3; -CH2CH2CH2CH2-NH-(CH2)7CH3; -CH2CH2-NHS02-(CH2)9CH3; -CH2CH2-NHS02-(CH2)11CH3; -CH2CH2-S-(CH2)8CH3; -CH2CH2-S-(CH2)9CH3; -CH2CH2-S-(CH2)10CH3; -CH2CH2CH2-S-(CH2)8CH3; -CH2CH2CH2-S-(CH2)9CH3; -CH2CH2CH2-S-(CH2)3-CH=CH-(CH2)4CH3(트랜스); -CH2CH2CH2CH2-S-(CH2)7CH3; -CH2CH2-S(O)-(CH2)9CH3; -CH2CH2-S-(CH2)6Ph; -CH2CH2-S-(CH2)8Ph; -CH2CH2CH2-S-(CH2)8Ph; -CH2CH2-NH-CH2-4-(4-Cl-Ph)-Ph; -CH2CH2-NH-CH2-4-[4-(CH3)2CHCH2-]-Ph; -CH2CH2-NH-CH2-4-(4-CF3-Ph)-Ph; -CH2CH2-S-CH2-4-(4-Cl-Ph)-Ph; -CH2CH2-S(O)-CH2-4-(4-Cl-Ph)-Ph; -CH2CH2CH2-S-CH2-4-(4-Cl-Ph)-Ph; -CH2CH2CH2-S(O)-CH2-4-(4-Cl-Ph)-Ph; -CH2CH2CH2-S-CH2-4-[3,4-디-Cl-PhCH20-)-Ph; -CH2CH2-NHS02-CH2-4-[4-(4-Ph)-Ph]-Ph; -CH2CH2CH2-NHS02-CH2-4-(4-Cl-Ph)-Ph; -CH2CH2CH2-NHS02-CH2-4-(Ph-C≡C-)-Ph; -CH2CH2CH2-NHS02-4-(4-Cl-Ph)-Ph; 또는 -CH2CH2CH2-NHSO2-4-(나프트-2-일)-Ph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이 R3이 -OH이고; R5가 N-(포스포노메틸)-아미노메틸이고; R19가 수소이며; R20이 -CH2CH2-NH-(CH 2)9CH3인 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그 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화합물이 R3이 -OH이고; R5가 N-(포스포노메 틸)-아미노메틸이고; R19가 수소이며; R20이 -CH2CH2-NH-(CH 2)9CH3인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47002618A 2001-08-24 2002-08-23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네이트 유도체를 정제하는 방법 KR100905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1471201P 2001-08-24 2001-08-24
US60/314,712 2001-08-24
PCT/US2002/026854 WO2003018608A2 (en) 2001-08-24 2002-08-23 Process for purifying glycopeptide phosphonate derivativ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8998A KR20040028998A (ko) 2004-04-03
KR100905009B1 true KR100905009B1 (ko) 2009-06-29

Family

ID=23221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2618A KR100905009B1 (ko) 2001-08-24 2002-08-23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네이트 유도체를 정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5) US7015307B2 (ko)
EP (1) EP1487863B1 (ko)
JP (1) JP4116547B2 (ko)
KR (1) KR100905009B1 (ko)
CN (1) CN100418980C (ko)
AT (1) ATE430159T1 (ko)
AU (1) AU2002326740A1 (ko)
CA (1) CA2457218C (ko)
DE (1) DE60232197D1 (ko)
DK (1) DK1487863T3 (ko)
ES (1) ES2324771T3 (ko)
NO (1) NO330734B1 (ko)
TW (1) TWI233932B (ko)
WO (1) WO200301860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A75083C2 (uk) * 2000-06-22 2006-03-15 Тераванс, Інк. Похідні глікопептидфосфонатів
TWI233932B (en) * 2001-08-24 2005-06-11 Theravance Inc Process for purifying glycopeptide phosphonate derivatives
TWI342312B (en) 2003-10-22 2011-05-21 Theravance Inc Hydrochloride salts of a glycopeptide phosphonate derivative
EP1818340A4 (en) 2004-11-29 2009-02-25 Univ Nagoya Nat Univ Corp MONOMERIC ANTIBIOTIC DERIVATIVES OF GLYCOPEPTIDES
TW200808818A (en) * 2006-05-26 2008-02-16 Shionogi & Co Glycopeptide antibiotic derivatives
US20090069219A1 (en) * 2007-09-09 2009-03-12 Protia, Llc Deuterium-enriched telavancin
AU2008343502A1 (en) * 2007-12-26 2009-07-09 Biomarin Pharmaceutical Inc. Novel semi-synthetic glycopeptides as antibacterial agents
GB2465863A (en) * 2008-12-05 2010-06-09 Lead Therapeutics Inc Semi-synthetic heptapeptidic glycopeptides for the treatment of bacterial infections
CN103105327A (zh) * 2011-11-11 2013-05-15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采用金属氧化物富集糖肽的通用方法
US9753436B2 (en) 2013-06-11 2017-09-05 Apple Inc. Rotary input mechanism for an electronic device
CN109766020B (zh) 2013-08-09 2022-04-29 苹果公司 用于电子设备的触觉开关
CN107759672A (zh) 2013-08-19 2018-03-06 南京爱斯药业有限公司 万古霉素衍生物、制备方法及其应用
WO2015122885A1 (en) 2014-02-12 2015-08-20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Rejection of false turns of rotary inputs for electronic devices
US10190891B1 (en) 2014-07-16 2019-01-29 Apple Inc. Optical encoder for detecting rotational and axial movement
CN205121417U (zh) 2014-09-02 2016-03-30 苹果公司 可穿戴电子设备
TN2017000358A1 (en) 2015-02-23 2019-01-16 Theravance Biopharma Antibiotics Ip Llc Doses and methods of administering telavancin
CN105985412A (zh) * 2015-02-28 2016-10-05 爱斯医药科技(南京)有限公司 万古霉素衍生物、制备方法及其应用
JP6515185B2 (ja) 2015-03-05 2019-05-15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Apple Inc. 方向依存光学特性を有する光学エンコーダを有する時計、手首装着型電子デバイス及びウェラブル電子デバイス
KR102163612B1 (ko) 2015-03-08 2020-10-08 애플 인크. 회전 및 병진 가능한 입력 메커니즘을 갖는 시계
US10018966B2 (en) 2015-04-24 2018-07-10 Apple Inc. Cover member for an input mechanism of an electronic device
US9891651B2 (en) 2016-02-27 2018-02-13 Apple Inc. Rotatable input mechanism having adjustable output
CN107325159A (zh) * 2016-04-29 2017-11-07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一类万古霉素衍生物、其制备方法、药物组合物和用途
US10551798B1 (en) 2016-05-17 2020-02-04 Apple Inc. Rotatable crown for an electronic device
US10061399B2 (en) 2016-07-15 2018-08-28 Apple Inc. Capacitive gap sensor ring for an input device
US10019097B2 (en) 2016-07-25 2018-07-10 Apple Inc. Force-detecting input structure
US10664074B2 (en) 2017-06-19 2020-05-26 Apple Inc. Contact-sensitive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0962935B1 (en) 2017-07-18 2021-03-30 Apple Inc. Tri-axis force sensor
US11360440B2 (en) 2018-06-25 2022-06-1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US11561515B2 (en) 2018-08-02 2023-01-24 Apple Inc. Crown for an electronic watch
CN211293787U (zh) 2018-08-24 2020-08-18 苹果公司 电子表
US11181863B2 (en) 2018-08-24 2021-11-23 Apple Inc. Conductive cap for watch crown
CN209625187U (zh) 2018-08-30 2019-11-12 苹果公司 电子手表和电子设备
US11194298B2 (en) 2018-08-30 2021-12-07 Apple Inc. Crown assembly for an electronic watch
US11194299B1 (en) 2019-02-12 2021-12-07 Apple Inc. Variable frictional feedback device for a digital crown of an electronic watch
US11550268B2 (en) 2020-06-02 2023-01-10 Apple Inc. Switch module for electronic crown assembly
US11983035B2 (en) 2020-06-11 2024-05-14 Apple Inc. Electronic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0570A2 (en) * 1987-02-27 1988-08-31 Eli Lilly And Company Glycopeptide recovery process
EP0299707A2 (en) * 1987-07-13 1989-01-18 Eli Lilly And Company Glycopeptide antibiotics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40753A (en) 1982-03-15 1984-04-03 Eli Lilly And Company Purification of glycopeptide antibiotics using non-functional resins
US4667024A (en) 1983-07-13 1987-05-19 Smithkline Beckman Corporatio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purified vancomycin class antibiotics
GB8608798D0 (en) 1986-04-11 1986-05-14 Lepetit Spa Recovery of glycopeptide antibiotics from aqueous solutions
US4845104A (en) * 1986-11-20 1989-07-04 Merck & Co., Inc. Oxidized analogs of 17β-N-monosubstituted-carbamoyl-4-aza-5-α-androstan-3-ones
US4874843A (en) 1987-12-03 1989-10-17 Eli Lilly And Company Chromatographic purification process
JP2577133B2 (ja) 1989-11-27 1997-01-29 スティフティング フォール ド テフニスヘ ウェッテンスハッペン 船舶のプロペラ
US5149784A (en) 1990-07-10 1992-09-22 Abbott Laboratories Process for making vancomycin
US5258495A (en) 1990-07-10 1993-11-02 Abbott Laboratories Process for making vancomycin HC1
DE4039451A1 (de) * 1990-12-11 1992-06-17 Hoechst Ag Metallocene mit bicyclischen cyclopentadienderivaten als ligande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katalysatoren
EP0640095B1 (en) 1992-04-20 1998-07-01 Abbott Laboratories Process for making vancomycin
UA43323C2 (uk) * 1994-01-28 2001-12-17 Елі Ліллі Енд Компані Антибіотичні похідні глікопептидів, спосіб отримання та фармацевтична композиція
SI9500039B (sl) 1995-02-07 2002-02-28 Lek, Nov kombiniran postopek čiščenja Vankomicin hidroklorida
WO1998026085A1 (fr) 1996-12-11 1998-06-18 Nippon Kayaku Kabushiki Kaisha Procedes de fabrication de vancomycine
UA75083C2 (uk) 2000-06-22 2006-03-15 Тераванс, Інк. Похідні глікопептидфосфонатів
TWI233932B (en) * 2001-08-24 2005-06-11 Theravance Inc Process for purifying glycopeptide phosphonate derivativ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80570A2 (en) * 1987-02-27 1988-08-31 Eli Lilly And Company Glycopeptide recovery process
EP0299707A2 (en) * 1987-07-13 1989-01-18 Eli Lilly And Company Glycopeptide antibiotic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468420B2 (en) 2008-12-23
EP1487863B1 (en) 2009-04-29
US20060100415A1 (en) 2006-05-11
CN1671732A (zh) 2005-09-21
KR20040028998A (ko) 2004-04-03
CA2457218A1 (en) 2003-03-06
US20080103290A1 (en) 2008-05-01
JP2005505542A (ja) 2005-02-24
US7858583B2 (en) 2010-12-28
ES2324771T3 (es) 2009-08-14
NO20040768L (no) 2004-04-29
US20030119722A1 (en) 2003-06-26
US20090215673A1 (en) 2009-08-27
US7015307B2 (en) 2006-03-21
CN100418980C (zh) 2008-09-17
DK1487863T3 (da) 2009-07-13
DE60232197D1 (de) 2009-06-10
US20110257364A1 (en) 2011-10-20
US7375181B2 (en) 2008-05-20
EP1487863A2 (en) 2004-12-22
CA2457218C (en) 2011-08-02
EP1487863A4 (en) 2007-08-29
JP4116547B2 (ja) 2008-07-09
TWI233932B (en) 2005-06-11
NO330734B1 (no) 2011-06-27
WO2003018608A2 (en) 2003-03-06
WO2003018608A8 (en) 2003-04-24
WO2003018608A3 (en) 2004-10-07
ATE430159T1 (de) 2009-05-15
AU2002326740A1 (en) 2003-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5009B1 (ko)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네이트 유도체를 정제하는 방법
KR100768488B1 (ko) 글리코펩티드 포스포네이트 유도체
EP1140993B1 (en) Glycopeptid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EP1278549B1 (en) Composition containing a cyclodextrin and a glycopeptide antibiotic
AU2001261107A1 (en) Glycopeptide phosphonate derivatives
JP2008222718A (ja) グリコペプチドに対する還元的アルキル化プロセス
EP1292611B1 (en) Glycopeptide carboxy-saccharide derivatives
WO2001083520A2 (en) Polyacid glycopeptide derivatives
WO2001098329A1 (en) Polyhydroxy glycopeptide derivativ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