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4886B1 -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4886B1
KR100904886B1 KR1020080061968A KR20080061968A KR100904886B1 KR 100904886 B1 KR100904886 B1 KR 100904886B1 KR 1020080061968 A KR1020080061968 A KR 1020080061968A KR 20080061968 A KR20080061968 A KR 20080061968A KR 100904886 B1 KR100904886 B1 KR 100904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nnection
backrest
saddle
massag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4603A (ko
Inventor
이규대
이해성
이희상
Original Assignee
(주)대경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경산업 filed Critical (주)대경산업
Priority to KR1020080061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4886B1/ko
Publication of KR20090004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4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7/00Accessories for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안마 의자 및 상기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안마 의자는 등받이 프레임, 지지 프레임 및 안장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하단부 양측에 고정된 등받이 연결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면 및 후면 프레임 및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에 연결된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안장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 연결부재와 연결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슬라이딩 가이드로 하여, 상기 사이드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한다. 그리하여, 링크 구조를 통해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거나 평행하도록 쉽게 배치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다양한 자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 {MASSAGE CHAIR AND METHOD FOR DRIVING MASSAGE CHAIR}
본 발명은 안마 의자 및 상기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 구체적으로는 자세 변경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안마 의자 및 상기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안마 의자는 사용자가 편안한 자세로 안마를 받을 수 있도록 다양한 자세를 제공한다. 최근에 생산되는 안마 의자는 사용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등받이 부와 사용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안장부의 각도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사용자의 취향, 몸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편안하게 안마를 받을 수 있다.
상기 등받이 부와 상기 안장부는 약 90도 내지 약 180도 범위의 각을 이루도록 조절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앉은 자세로부터 누운 자세 중에서 가장 편안한 자세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등받이 부와 상기 안장부 사이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안마 의자는 다양한 구동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안마 의자는 상기 안장부는 고정되고, 상기 등받이 부가 상기 안장 부와 결합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상기 안장부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등받이 부의 회전에 따라서 신체를 다소 이동시켜야 하는 불편함을 갖게 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줄이기 위해, 안마 의자는 상기 안장부 및 상기 등받이 부가 서로 결합되는 축을 중심으로 동시에 회전할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상기 안장부 및 상기 등받이 부를 구동 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가 두 개 이상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링크 구조를 통해 자세 변경을 용이하게 한 안마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안마 의자를 구동시키는 안마 의자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안마 의자는 등받이 프레임, 지지 프레임, 제2 연결 프레임, 제3 연결 프레임 및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중앙 프레임, 상기 중앙 프레임에 연결된 전면 및 후면 프레임, 및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에 연결된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면 프레임을 연결한다. 상기 제3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2 연결 프레임과 상기 중앙 프레임을 연결한다. 상기 구동 모터는 상기 제3 연결 프레임의 주변에 고정되어, 상기 제3 연결 프레임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 및 상기 후면 프레임과 각각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3 연결 프레임은 상기 중앙 프레임 및 상기 제2 연결 프레임과 각각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 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안마 의자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하는 안장 프레임, 상기 안장 프레임에 연결되는 다리 받침 프레임, 및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1 연결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장 프레임에는 베어링이 연결되어, 상기 베어링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슬라이딩 가이드로 하여 슬라이딩할 수 있다.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은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각각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의한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은 구동 모터가 지지 프레임의 중앙 프레임과 제2 연결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3 연결 프레임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3 연결 프레임의 길이를 짧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연결 프레임에 연결되며, 등받이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연결 프레임이, 상기 후면 프레임에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제3 연결 프레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연결된 안장 프레임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드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이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제1 연결 프레임을 통해 연결된 다리 받침 프레임도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장 프레임에는 베어링이 연결되어, 상기 안장 프레임이 슬라이딩하는 단계는, 상기 베어링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슬라이딩 가이드로 하여 슬라이딩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은 구동 모터가 지지 프레임의 중앙 프레임과 제2 연결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3 연결 프레임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3 연결 프레임의 길이를 길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3 연결 프레임에 연결되며, 등받이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연결 프레임이, 상기 후면 프레임에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제3 연결 프레임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연결된 안장 프레임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드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이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제1 연결 프레임을 통해 연결된 다리 받침 프레임도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장 프레임에는 베어링이 연결되어, 상기 안장 프레임이 슬라이딩하는 단계는, 상기 베어링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슬라이딩 가이드로 하여 슬라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안장 프레임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에서 슬라이딩하고, 동시에 상기 등받이 프레임은 상기 안장 프레임과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안마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를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자세에서 편안하게 안마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회전하는 경우, 이에 구속되어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도 회전하므로 사용자의 다리도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편안한 각도로 안마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제2 및 제3 연결 프레임들 및 슬라이딩 구조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동 모터를 통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 안장 프레임 및 다리 받침 프레임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안마 의자의 전력 소모량 및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마 의자(10)의 제1 위치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마 의자(10)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안마 의자(10)의 프레임은 등받이 프레임(100), 지지 프레임(200) 및 안장 프레임(300)을 포함하며, 다리 받침 프레임(400) 및 구동 모터(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상기 프레임들은 구조강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은 제1 등받이 프레임(110), 제2 등받이 프레임(120), 제3 등받이 프레임(130) 및 제4 등받이 프레임(13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프레임들(110, 120)은 각각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의 양 사이드에 위치하며, 상기 안장 프레임(300)을 향한 끝단에 각각 제1 및 제2 등받이 연결부재들(140, 150)이 연결된다.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연결부재들(140, 150)은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프레임들(110, 120)에 용접 등의 공정을 통해 단단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프레임들(110, 120) 및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연결부재들(140, 150)의 움직임은 서로 구속된다.
상기 제3 등받이 프레임(130)은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프레임들(110, 120) 사이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프레임들(110, 12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제3 등받이 프레임(1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프레임들(110, 120) 보다 다소 후측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안마 의자의 등받이 부가 사용자의 상체를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3 등받이 프레임(130)의 하단부에는 제2 연결 프레 임(520)이 연결되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상기 제4 등받이 프레임(131)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등받이 프레임들(110, 120, 130)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1, 제2 및 제3 등받이 프레임들(110, 120, 130)을 서로 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제4 등받이 프레임(131)의 중앙부에는 제1 연결 프레임(510)이 연결되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은 상기 제1, 제2, 제3 및 제4 프레임들(110, 120, 130, 131)의 상호 연결 및 고정을 위해 필요한 프레임들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레임들은 단단한 고정을 위해, 용접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에 쿠션을 고정한 후, 커버를 씌워 안마 의자(10)의 등받이 부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지지 프레임(200)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면 프레임(210), 후면 프레임(220), 사이드 프레임(230) 및 중앙 프레임(240)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들(210, 220)은 각각 상기 안마 의자(10)의 전면 하부 및 후면 하부를 고정하며, "U" 자 형상으로 제작되어, 일부는 바닥에 접촉하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 및 안장 프레임(3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이와 달리,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들(210, 220)은 바닥에 접촉하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 및 안장 프레임(300)을 지지할 수 있도록, "ㅁ" 자 형상, "11" 자 형상 등으로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면 프레임(210)은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전면 프레 임(210)의 바닥과 접촉하는 부분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전면 프레임(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후면 프레임(220)도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후면 프레임(220)의 바닥과 접촉하는 부분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제1 후면 프레임(2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후면 프레임(221)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이 연결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제1 전면 및 제1 후면 프레임들은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들(210, 220) 각각과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서로 고정된다.
상기 사이드 프레임(230)은 제1 사이드 프레임(23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231)은 상기 전면 프레임(210)의 상부 및 상기 후면 프레임(220)의 상부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용접 등의 방법을 통해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210, 220)의 상부에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232)도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들(210, 220)의 상부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며, 용접 등의 방법으로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들(210, 220)의 상부에 고정된다.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들(231, 232)은 서로 평행하도록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들(231, 232)의 상면은 매끄럽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하여, 상기 안장 프레임(300)이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들(231, 232)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중앙 프레임(240)은 상기 전면 프레임(210) 및 후면 프레임(220)의 중앙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들(231, 232)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중앙 프레임(240)은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 들(210, 220)과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앙 프레임(240)의 중앙부에는 제3 연결 프레임(530)이 연결되며,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상기 중앙 프레임(240)은 바닥에 접촉하도록 연결되어, 상기 안마 의자(10)의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안장 프레임(300)은 제1 안장 프레임(310), 제2 안장 프레임(320) 및 제3 안장 프레임(330)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들(310, 320) 각각에는 제1 및 제2 등받이 고정 부재들(141, 151)이 고정된다.
상기 제1 안장 프레임(310)은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231)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231)에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안장 프레임(310)의 측면에는 복수의 베어링들(311)이 연결되어, 상기 베어링들(311)이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231)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사이드 프레임(231)은 상기 베어링들(311)이 슬라이딩 하는 경우, 상기 제1 안장 프레임(310)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제1 안장 프레임(310)의 슬라이딩 가이드 역할을 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안장 프레임(320)은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232)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232)에 안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안장 프레임(320)의 측면에도 복수의 베어링들(321)이 연결되어, 상기 베어링들(321)이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232)의 상면에서 슬라이딩 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사이드 프레임(232)은 상기 베어링들(321)이 슬라이딩 하는 경우, 상기 제2 안장 프레임(320)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제2 안장 프레 임(320)의 슬라이딩 가이드 역할을 한다.
이 경우, 슬라이딩을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들(310, 320)의 외측면 사이의 거리가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들(231, 232)의 내측면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달리, 상기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들(310, 320)에 베어링들(311, 321)이 연결되지 않고, 상기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들(310, 320)이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들(231, 232)에 직접 안착하여,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들(310, 320)의 하면에는 소정의 롤러, 슬라이더 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들(310, 320)이 이탈하지 않도록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 프레임들(231, 232)의 상면에는 소정의 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들(310, 320) 각각에는 제1 및 제2 등받이 고정 부재들(141, 151)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고정 부재들(141, 151)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들(310, 320)의 상면 중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프레임들(110, 120)과 인접한 위치에 고정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고정 부재들(141, 151)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연결 부재들(140, 150)과 서로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고정 부재들(141, 151)은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연결 부재들(140, 150)과, 예를 들어, 볼트-나사 결합 등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연결 부재들(140, 150)이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고정 부재들(141, 151)과의 연결 부분 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안장 프레임(300)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제1 및 제2 등받이 프레임들(110, 120)은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연결부재들(140, 150) 및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고정부재들(141, 151)을 사용하지 않고, 직접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안장 프레임(300)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제1 및 제2 등받이 프레임들(110, 120)은 소정의 연결부재들(미도시)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제1 및 제2 등받이 프레임들(110, 120)은 상기 소정의 연결부재들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안장 프레임(330)은 상기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들(310, 320)과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안장 프레임들(310, 320)을 서로 고정시킨다.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400)은 최전방에 위치한 상기 제3 안장 프레임(330)의 중앙부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400)은 상기 제3 안장 프레임(300)과 소정의 연결부재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볼트-나사 결합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400)은 상기 소정의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결 프레임(510)은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400)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을 서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연결 프레임(510)의 제1 끝단은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400)의 중앙부에 예를 들어, 볼트-나사 결합 등을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연결 프레임(510) 및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400)은 연결 부위(531)를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결 프레임(510)의 제2 끝단은 상기 제4 등받이 프레임(131)의 중앙부와 예를 들어, 볼트-나사 결합 등을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연결 프레임(510) 및 상기 제4 등받이 프레임(131)은 연결 부위(532)를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400) 및 제4 등받이 프레임(131)은 상기 제1 연결 프레임(51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400) 및 제4 등받이 프레임(131)의 운동 방향은 제한된다.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과 상기 지지 프레임(200)을 서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의 제1 끝단은 상기 제3 등받이 프레임(130)의 하단부에 예를 들어, 볼트-나사 결합 등을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 및 상기 제3 등받이 프레임(130)은 연결 부위(521)를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의 제2 끝단은 상기 제1 후면 프레임(221)의 중앙부와 예를 들어, 볼트-나사 결합 등을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 및 상기 제1 후면 프레임(221)은 연결 부위(523)를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제3 등받이 프레임(130) 및 제1 후면 프레임(221)은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상기 제3 등받이 프레임(130) 및 상기 제1 후면 프레임(221)의 운동 방향은 제한된다.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은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과 상기 중앙 프레임(240)을 서로 연결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의 제1 끝단은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의 중앙부에 예를 들어, 볼트-나사 결합 등을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 및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은 연결 부위(522)를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의 제2 끝단은 상기 중앙 프레임(240)의 중앙부와 예를 들어, 볼트-나사 결합 등을 통해 연결된다. 이 경우,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 및 상기 중앙 프레임(240)은 연결 부위(512)를 중심으로 서로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이 상기 연결 부위(512)에 고정되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못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은 제1 축(531) 및 제2 축(5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축(531)은 상기 제2 축(532)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의 길이는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축(531) 및 제2 축(532)은 피스톤과 유사하게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축(532)은 상기 제1 축(531)의 직경에 대응되는 내경을 가진 중공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축(531)은 상기 구동 모터(500)의 제어 신호를 바탕으로 상기 제2 축(532)에 삽입되거나 상기 제2 축(532)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의 길이가 길어지거나 짧아짐에 따라,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은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과 후면 프레임(220)의 연결 부위(523)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구동 모터(500)는 상기 중앙 프레임(240)에 고정된다. 이와 달리, 상기 구동 모터(500)는 상기 중앙 프레임(240)의 주변에 고정될 수 있다. 어느 경우에나, 상기 구동 모터(500)는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의 주변에 고정되며,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의 상기 제1 축(531)이 상기 제2 축(532)에 삽입되는 양을 제어하거나, 이탈되는 양을 제어한다. 그리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의 슬라이딩 양 및 슬라이딩 방향을 제어한다.
도 1 및 도 2는 사용자가 앉은 자세로 착석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마 의자(10)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 경우, 상기 각각의 프레임들의 위치 관계 및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500)가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축(531)이 상기 제2 축(532)에 삽입되는 양이 최소가 되도록 조절한 상태이다. 즉,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의 길이가 가장 길게 유지된 상태이다. 이 경우,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에 연결된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은 상기 후면 프레임(220)과의 연결 부위(523)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하여, 바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상태로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과 연결 부위(521)를 통해 연결된 제3 등받이 프레임(130)도 바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3 등받이 프레임(130)이 바닥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상태로 위치하는 경우는, 상기 제3 등받이 프레임(130)은 상기 후면 프레임(220)에 구속되어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고정 부재들(141, 15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결과이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과 연결된 상기 안장 프레임(300)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230) 상에서 슬라이딩 하여, 상기 후면 프레임(220)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연결 부재들(140, 150)은 상기 안장 프레임(300)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4 등받이 프레임(131)과 상기 제1 연결 프레임(510) 사이의 연결 부위(532)가 상기 후면 프레임(220)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4 등받이 프레임(131)과 연결된 상기 제1 연결 프레임(510)도 상기 후면 프레임(220)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400)도 상기 제3 안장 프레임(330)과 연결된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400)은 상기 안장 프레임(300)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고정된다.
결국, 상기 구동 모터(500)가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의 길이가 최대가 되도록 제어하면,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 및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400)은 상기 안장 프레임(300)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안장 프레임(300)은 상기 후면 프레임(220) 방향으로 밀착되도록 위치하여, 사용자는 앉은 자세로 안마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마 의자(20)의 제2 위치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안마 의자(20)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안마 의자(20)의 프레임 연결 관계는 도 1 및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안마 의자(10)의 프레임 연결 관계에 관한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다만, 도 3 및 도 4는 사용자가 누운 자세로 누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마 의자(20)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 경우, 상기 각각의 프레임들의 위치 관계 및 동작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서는, 상기 구동 모터(500)가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을 제어하여, 상기 제1 축(531)이 상기 제2 축(532)에 삽입되는 양이 최대가 되도록 조절한 상태이다. 즉,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의 길이가 가장 짧게 유지된 상태이다. 이 경우,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에 연결된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은 상기 후면 프레임(220)과의 연결 부위(523)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최대한 회전하여, 제1 끝단이 상기 전면 프레임(210)에 가장 근접하도록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연결 프레임(520)과 연결 부위(521)를 통해 연결된 제3 등받이 프레임(130)은 바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3 등받이 프레임(130)이 바닥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상태로 위치하는 경우는, 상기 제3 등받이 프레임(130)은 상기 후면 프레임(220)에 구속되어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고정 부재들(141, 15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결과이다. 따라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과 연결된 상기 안장 프레임(300)은 상기 사이드 프레임(230) 상에서 슬라이딩 하여, 상기 전면 프레임(210)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제1 및 제2 등받이 연결 부재들(140, 150)은 상기 안장 프레임(300)과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4 등받이 프레임(131)과 상기 제1 연결 프레임(510) 사이의 연결 부위(532)가 상기 전면 프레임(210)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4 등받이 프레임(131)과 연결된 상기 제1 연결 프레임(510)도 상기 전면 프레임(220) 방향으로 최대한 이동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제1 연결 프레임(510)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과 실질적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400)도 상기 제3 안장 프레임(330)과 연결된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400)은 상기 안장 프레임(300)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고정된다.
결국, 상기 구동 모터(500)가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의 길이가 최소가 되도록 제어하면,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 및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400)은 상기 안장 프레임(300)에 실질적으로 평행이 되도록 위치하여, 사용자는 누운 자세로 안마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과 상기 안장 프레임(300)은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하거나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위치하는 경우 외에, 소정의 각을 이루며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모터(500)가 상기 제3 연결 프레임(530)이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제어하면,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은 상기 안장 프레임(300)과 약 90도 내지 약 180도 범위 사이의 소정의 각을 이루며 위치할 수 있다. 그리하여, 사용자는 상기 등받이 프레임(100)과 상기 안장 프레임(300)이 이루는 각을 약 90도 내지 약 180도 범위 사이에서 선택하여, 가장 편안 한 자세로 안마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안장 프레임은 사이드 프레임에서 슬라이딩하고, 동시에 등받이 프레임은 상기 안장 프레임과의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므로, 안마 의자에 착석한 사용자가 신체의 일부를 움직이지 않고도 다양한 자세에서 편안하게 안마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회전하는 경우, 이에 구속되어 다리 받침 프레임도 회전하므로 사용자의 다리도 사용자의 자세에 따라 편안한 각도로 안마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및 제3 연결 프레임들 및 슬라이딩 구조를 이용하여, 하나의 구동 모터를 통해서, 상기 등받이 프레임, 안장 프레임 및 다리 받침 프레임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으므로, 안마 의자의 전력 소모량 및 제조 원가를 줄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마 의자의 제1 위치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안마 의자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안마 의자의 제2 위치에서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안마 의자의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Claims (11)

  1. 회전 운동하는 등받이 프레임;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며, 중앙 프레임, 상기 중앙 프레임에 연결된 전면 및 후면 프레임, 및 상기 전면 및 후면 프레임에 연결된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연결 프레임;
    상기 제2 연결 프레임과 상기 중앙 프레임에 직접 연결되는 제3 연결 프레임;
    상기 제3 연결 프레임의 주변에 고정되어, 상기 제3 연결 프레임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 모터;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연결되며, 상기 사이드 프레임 상에서 슬라이딩 운동만 하는 안장 프레임;
    상기 안장 프레임에 연결되어 회전 운동하는 다리 받침 프레임; 및
    상기 회전 운동하는 다리 받침 프레임과 상기 회전 운동하는 등받이 프레임을 직접 연결하여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과 상기 등받이 프레임의 회전 운동을 구속하는 제1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안장 프레임에는 베어링이 연결되어, 상기 베어링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슬라이딩 가이드로 하여 슬라이딩 하며, 이를 통해 상기 안장 프레임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만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은 상기 등받이 프레임 및 상기 후면 프레임과 각각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제3 연결 프레임은 상기 중앙 프레임 및 상기 제2 연결 프레임과 각각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 프레임은 상기 다리 받침 프레임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각각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6. 구동 모터가 지지 프레임의 중앙 프레임과 제2 연결 프레임을 직접 연결하는 제3 연결 프레임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3 연결 프레임의 길이를 짧게 하는 단계;
    상기 제3 연결 프레임에 직접 연결되며, 등받이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연결 프레임이, 상기 후면 프레임에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제3 연결 프레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단계;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연결된 안장 프레임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드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이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지면과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평행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제1 연결 프레임을 통해 연결된 다리 받침 프레임도 상기 사이드 프레임 및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장 프레임에는 베어링이 연결되어, 상기 안장 프레임이 슬라이딩하는 단계는, 상기 베어링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슬라이딩 가이드로 하여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만 슬라이딩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구동 방법.
  7. 삭제
  8. 삭제
  9. 구동 모터가 지지 프레임의 중앙 프레임과 제2 연결 프레임을 직접 연결하는 제3 연결 프레임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제3 연결 프레임의 길이를 길게 하는 단계;
    상기 제3 연결 프레임에 직접 연결되며, 등받이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후면 프레임을 연결하는 제2 연결 프레임이, 상기 후면 프레임에 연결된 부분을 중심으로 상기 제3 연결 프레임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는 단계;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연결된 안장 프레임이 상기 지지 프레임의 사이드 프레임 상에서 상기 제2 연결 프레임이 회전하는 방향을 향해 슬라이딩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등받이 프레임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됨에 따라, 상기 등받이 프레임과 제1 연결 프레임을 통해 연결된 다리 받침 프레임도 상기 사이드 프레임과 수직이 되도록 배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안장 프레임에는 베어링이 연결되어, 상기 안장 프레임이 슬라이딩하는 단계는, 상기 베어링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의 상면에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을 슬라이딩 가이드로 하여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만 슬라이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마 의자 구동 방법.
  10. 삭제
  11. 삭제
KR1020080061968A 2008-06-27 2008-06-27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 KR100904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968A KR100904886B1 (ko) 2008-06-27 2008-06-27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1968A KR100904886B1 (ko) 2008-06-27 2008-06-27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5567A Division KR100893161B1 (ko) 2007-06-29 2007-06-29 안마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03A KR20090004603A (ko) 2009-01-12
KR100904886B1 true KR100904886B1 (ko) 2009-06-29

Family

ID=40486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1968A KR100904886B1 (ko) 2008-06-27 2008-06-27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4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926B1 (ko) * 2013-01-03 2013-11-26 매직라이프코리아(주) 슬라이드식 안마의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5259B1 (ko) * 2013-02-18 2015-07-08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안마 의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41U (ko) * 1990-04-27 1992-01-17
JPH0416937U (ko) * 1990-06-01 1992-02-12
JPH051337U (ja) * 1991-06-27 1993-01-14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構造
KR20050076623A (ko) * 2004-01-19 2005-07-26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4841U (ko) * 1990-04-27 1992-01-17
JPH0416937U (ko) * 1990-06-01 1992-02-12
JPH051337U (ja) * 1991-06-27 1993-01-14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構造
KR20050076623A (ko) * 2004-01-19 2005-07-26 오므론 헬스캐어 가부시키가이샤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2926B1 (ko) * 2013-01-03 2013-11-26 매직라이프코리아(주) 슬라이드식 안마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4603A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26874B2 (ja) 車椅子
EP2016866B1 (en) Chair-type massage machine
US8740304B2 (en) Assistant standing seat
KR100893161B1 (ko) 안마 의자
KR101692959B1 (ko) 안마의자의 자세 조정장치
KR101799971B1 (ko) 신체부위별 배치각도 조절형 전동 침대프레임
JP2008254645A (ja) 車両用シート
CN102160716A (zh) 一种可调节靠背位置的椅架
US7819473B2 (en) Chair
CN104433385A (zh) 具有零重力和向后倾斜位置的家具动力机构
KR102080917B1 (ko) 전동 휠체어
KR100904886B1 (ko)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
JP4037674B2 (ja) 椅子
CN111067293A (zh) 一种带搁脚板的椅子
TWI691323B (zh) 床體結構
JP4872866B2 (ja) マッサージ椅子
JP4965946B2 (ja) ベッド
KR100851949B1 (ko) 안마 의자 및 안마 의자의 구동 방법
JP2006346272A (ja) 椅子型マッサージ機
US20220378208A1 (en) Tilt chair
KR100817334B1 (ko) 의자용 가슴받이
JP2007006942A (ja) シート
US20240082103A1 (en) Massage apparatus
JP7304771B2 (ja) マッサージユニット及びマッサージ機
JP2009045342A (ja) リクライニング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