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551B1 - 소둔로 및 그를 사용한 소둔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둔로 및 그를 사용한 소둔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551B1
KR100903551B1 KR1020090000471A KR20090000471A KR100903551B1 KR 100903551 B1 KR100903551 B1 KR 100903551B1 KR 1020090000471 A KR1020090000471 A KR 1020090000471A KR 20090000471 A KR20090000471 A KR 20090000471A KR 100903551 B1 KR100903551 B1 KR 1009035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nealing
annealing furnace
furnace body
support
fix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현
Original Assignee
세원셀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원셀론텍(주) filed Critical 세원셀론텍(주)
Priority to KR1020090000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5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5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5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unnel Furnaces (AREA)
  • Furnace Charging Or Dischar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대형 가공물에 대한 소둔처리를 수행하게 되는 설비로서, 각종 소재나 가공물을 중공 터널형으로 이루어진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에 장입하여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한 후 서서히 냉각시키는 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소재나 가공물의 내부 조직이 안정화되면서 내부 응력이 제거되도록 하는 소둔처리를 위한 소둔로 및 그를 사용한 소둔처리시스템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둔로는 운반대차가 이동하게 되는 소둔로 본체의 통로 양측에 지지구가 설치되고, 수직이동이 가능한 운반대차의 상판에 소둔대상물이 놓이게 되는 고정판이 장착되어 고정판이 지지구의 상측에서 상판의 수직이동에 따라 하강하여 지지구에 지지되면서 통로 상측의 소둔처리공간 하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판의 일단부에 고정단이 돌출형성되어 소둔로의 입구부를 폐쇄시키는 도어의 하부면이 고정단에 밀착고정되면서 소둔처리공간 전방부가 밀폐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단순한 구성으로도 소둔처리공간의 밀폐도가 상향되어 열손실이 저감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소둔처리시스템은 일반 노면 상을 운행할 수 있도록 바퀴가 달린 운반대차를 구비하여 가공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제조공장이나 소둔처리가 이루어지는 소둔로의 위치에 상관없이 소둔대상물을 용이하고 원활하게 소둔로로 운반하여 소둔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소둔로는 대형 가공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제조공장에서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제조공장과 레일로 연결되고, 제조공장과 소둔로 사이에 설치된 레일을 타고 운반대차가 왕복이동하면서 소둔대 상물이 이동하게 되었는데, 이에 따라 소둔로와 레일로 연결된 제조공장 이외의 장소에서 소둔대상물을 소둔로로 운반하게 되거나, 정해진 크기 이상의 소둔대상물을 레일 상을 왕복운행하는 운반대차로 운반하게 될 시에는 번거로움이 많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소둔로 및 그를 사용한 소둔처리시스템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한 것이다.
소둔로, 운반대차, 소둔로 본체, 지지구, 도어, 고정판, 유리섬유

Description

소둔로 및 그를 사용한 소둔처리시스템{An annealing furnace and annealing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소둔로 및 그를 사용한 소둔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제조공장이나 소둔로의 위치에 상관없이 소둔대상물을 소둔로로 용이하고 원활하게 운반하여 소둔처리할 수 있게 되고, 단순한 구성으로도 소둔처리공간의 밀폐도가 상향되도록 하여 열손실이 저감될 수 있는 소둔로 및 그를 사용한 소둔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소둔로는 가공과정에서 경화되거나 내부변형이 발생된 소재나 가공물의 내부 조직을 안정화시키고 내부 응력을 제거하기 위하여 소재나 가공물을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한 후 서서히 냉각시키는 소둔 열처리(풀림:annealing)를 수행하는 설비이다.
소둔로는 다양한 형태와 구성을 가지는데, 비교적 크기가 큰 가공물을 대상으로 하는 소둔로는 중공 터널형의 소둔로 본체를 구비하여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 리공간에 소재나 가공물과 같은 소둔대상물을 장입하여 소둔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중공 터널형 소둔로 본체를 가지는 소둔로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502237호 "수평 고온 소둔로용 도어장치",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2-0000604호 "유동식 소둔로" 등이 안출되어 있는데, 상기 "수평 고온 소둔로용 도어장치"는 중공 터널형의 소둔로 본체를 가지고, 그 내부에는 다수개의 코일을 장입하여 수소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는 고온 소둔로에 있어서, 본체의 양측 개구에서 사방모서리에 경사진 밀봉면을 형성하고, 상기 밀봉면에 밀착되어 개폐가 이루어지는 도어를 갖추며, 상기 도어를 개구상에서 회동시키기 위한 도어 구동기를 갖추는 한편, 상기 개구의 내측에는 상기 도어에 의해서 본체의 내측으로 밀려져서 본체의 내화벽체들과 밀봉관계를 이루는 내화벽부재가 위치되고, 상기 도어는 외측면 하단에 중량의 웨이트가 형성되어 도어가 경사진 상태로 밀봉면에 면접촉하는 경우, 웨이트의 중량에 의하여 밀봉면과의 사이에서 보다 강화된 접촉압력을 부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유동식 소둔로"는 중공터널형의 소둔로 본체를 가지고, 그 내부에는 다수개의 코일을 장입하여 수소분위기 하에서 열처리하는 고온 소둔로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하부측에는 상기 본체에 장입된 코일에 전, 후로 유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유동기구를 구비하여 코일이 유동되면서 균일하게 열처리되어짐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소둔로(100')는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대형 가공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제조공장(400)에서 근접된 위치에 설치되어 제조공장(400)과 레일(500)로 연결되고, 제조공장(400)과 소둔로(100') 사이에 설치된 레일(500)을 타고 운반대차(200')가 왕복이동하면서 소둔대상물(300)이 이동하게 되었는데, 이에 따라 소둔로(100')와 레일(500)로 연결된 제조공장(400) 이외의 장소에서 소둔대상물(300)을 소둔로(100')로 운반하게 되거나, 정해진 크기 이상의 소둔대상물(300)을 레일(500) 상을 왕복운행하는 운반대차(200')로 운반하게 될 시에는 번거로움이 많았다. 즉, 별도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소둔대상물(300)이 위치한 제조공장(400)으로부터 소둔대상물(300)을 일일이 별도의 운반대차(200')로 이동시켜야 하는 한편, 소둔로(100') 근방에서 별도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다시 운반대차(200')로부터 소둔대상물(300)을 소둔로 내부로 장입시켜야 하는 작업이 요구되는 것이었다.
또한, 종래의 소둔로는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을 단순히 도어를 이용하여 밀폐시키는 구성을 제공하거나, 이와 달리 복잡한 구성의 밀폐장치를 구비하여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을 밀폐시키는 구성을 제공하였는데, 단순한 구성으로도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을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현재 요구되는 실정이라 하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운반대차가 이동하게 되는 소둔로 본체의 통로 양측에 지지구가 설치되고, 수직이동이 가능한 운반대차의 상판에 소둔대상물이 놓이게 되는 고정판이 장착되어 고정판이 지지구의 상측에서 상판의 수직이동에 따라 하강하여 지지구에 지지되면서 통로 상측의 소둔처리공간 하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판의 일단부에 고정단이 돌출형성되어 소둔로의 입구부를 폐쇄시키는 도어의 하부면이 고정단에 밀착고정되면서 소둔처리공간 전방부가 밀폐되도록 함으로써 단순한 구성으로도 소둔처리공간의 밀폐도가 상향되어 열손실이 저감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소둔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일반 노면 상을 운행할 수 있도록 바퀴가 달린 운반대차를 구비하여 가공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제조공장이나 소둔처리가 이루어지는 소둔로의 위치에 상관없이 소둔대상물을 소둔로로 용이하고 원활하게 운반하여 소둔처리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소둔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소둔로에 있어서, 외부로 개방되는 입구부를 가지고, 상기 입구부를 통해 출입하는 운반대차가 이동하게 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의 상측에 상기 통로와 연통되는 정해진 크기의 소둔처리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내벽에서 내측방향으로 수평되게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형성되는 가이드판이 바닥면으로부터 정해진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중공 터널형의 소둔로 본체와; 상기 소둔로 본체의 통로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판 끝단부에 연결되는 지지구 및; 상기 소둔로 본체의 입구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을 밀폐시키게 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소둔대상물이 놓이는 고정판을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시킨 상기 운반대차가 상기 소둔로 본체의 통로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소둔로 본체의 내부로 들어와 상기 고정판이 상기 소둔로 본체의 양측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판 사이의 소둔처리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지지구의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판의 하강에 의해 상기 고정판이 상기 지지구에 지지되면서 상기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의 하부가 상기 가이드판과 고정판 및 지지구에 의해 밀폐되어 폐쇄되도록 하며, 상기 도어가 하강하여 상기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이 밀폐되면 상기 고정판에 놓이는 상기 소둔대상물에 대한 소둔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둔로에서 상기 소둔로 본체의 통로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소둔로 본체의 바닥면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게 되는 밀폐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구는 상기 소둔로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정해진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고정판 사이의 틈이 상기 밀폐구가 상승하여 상기 지지구와 고정판에 밀착되면서 밀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둔로에서 상기 밀폐구는 상기 밀폐구는 상기 소둔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소둔로 본체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대와; 상기 소둔로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정해진 높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액추에이터와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며, 다수개의 구동기어가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다수개의 구동기어가 위치된 부위의 지주대 상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구동기어와 접속하게 되는 다수개의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와 접속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지주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지주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스크류와; 상기 지주대를 관통하는 상기 각각의 스크류에 삽입되고, 상기 지주대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어 상기 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가 상기 지주대를 관통하며 수직이동으로 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이동너트 및; 정해진 길이의 빔(beam)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둔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의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스크류와 일체로 수직이동하게 되며,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밀폐용 패드가 상부면에 부착된 가로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둔로에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소둔로 본체의 입구부에 위치하게 되는 일단부에 상기 고정판의 상면보다 낮은 상면을 가지는 고정단이 돌출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의 하부면이 상기 고정판의 고정단이 밀착고정되면서 상기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의 전방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소둔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다수개의 바퀴가 양측에 설치되어 노면 상을 이동하게 되고, 상판이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소둔대상물이 놓이게 되는 고정판이 상기 상판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상판은 액추에이터와 결합되어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고정판을 승강시켜 상기 고정판이 위치하게 되는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운반대차와; 외부로 개방되는 입구부를 가지고, 상기 입구부를 통해 출입하는 운반대차가 이동하게 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의 상측에 상기 통로와 연통되는 정해진 크기의 소둔처리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내벽에서 내측방향으로 수평되게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형성되는 가이드판이 바닥면으로부터 정해진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중공 터널형의 소둔로 본체와; 상기 소둔로 본체의 통로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판 끝단부에 연결되는 지지구 및; 상기 소둔로 본체의 입구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을 밀폐시키게 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소둔대상물이 놓이는 고정판을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시킨 상기 운반대차가 상기 소둔로 본체의 통로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소둔로 본체의 내부로 들어와 상기 고정판이 상기 소둔로 본체의 양측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판 사이의 소둔처리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지지구의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판의 하강에 의해 상기 고정판이 상기 지지구에 지지되면서 상기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의 하부가 상기 가이드판과 고정판 및 지지구에 의해 밀폐되어 폐쇄되도록 하며, 상기 도어가 하강하여 상기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이 밀폐되면 상기 고정판에 놓이는 상기 소둔대상물에 대한 소둔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소둔로에 의하면 소둔처리공간의 밀폐도가 상향되어 열손실이 저감되어 에너지효율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소둔처리시스템에 의하면 제조공장이나 소둔로의 위치에 상관없이 소둔대상물을 소둔로로 용이하고 원활하게 운반하여 소둔처리할 수 있게 되어 소둔대상물의 운반작업이 간소화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소둔로 및 그를 사용한 소둔처리시스템은 주로 대형 가공물 에 대한 소둔처리를 수행하게 되는 설비로서, 각종 소재나 가공물과 같은 소둔대상물(300)을 중공 터널형으로 이루어진 소둔로 본체(10)의 소둔처리공간(11)에 장입하여 정해진 온도까지 가열한 후 서서히 냉각시키는 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소재나 가공물의 내부 조직이 안정화되면서 내부 응력이 제거되도록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둔로(100)는 운반대차(200)가 이동하게 되는 소둔로 본체(10)의 통로(13) 양측에 지지구(20)가 설치되고, 수직이동이 가능한 운반대차(200)의 상판(220)에 소둔대상물(300)이 놓이게 되는 고정판(80)이 장착되어 고정판(80)이 지지구(20)의 상측에서 상판(220)의 수직이동에 따라 하강하여 지지구(20)에 지지되면서 통로(13) 상측의 소둔처리공간(11) 하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와 같은 고정판(80)의 일단부에 고정단(82)이 돌출형성되어 소둔로(100)의 입구부(12)를 폐쇄시키는 도어(30)의 하부면이 고정단(82)에 밀착고정되면서 소둔처리공간(11) 전방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소둔처리공간(11)의 밀폐도가 상향되어 열손실이 저감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소둔처리시스템(1)은 일반 노면 상을 운행할 수 있도록 바퀴(240)가 달린 운반대차(200)를 구비하여 가공물의 제조가 이루어지는 제조공장이나 소둔처리가 이루어지는 소둔로(100)의 위치나 소둔대상물(300)의 크기에 상관없이 소둔대상물(300)을 소둔로(100)로 운반하여 소둔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둔로(100)는 도 3의 (a)와 (b)에서와 같이 중공 터널형으로 이루어진 소둔로 본체(10)를 가지는 것으로, 소둔로 본체(10)의 하부에는 지지구(20)가 설치되고, 소둔로 본체(10)의 입구부(12)에는 도어(30)가 설치된다.
소둔로 본체(10)는 도 3의 (b)에서와 같이 외부로 개방되는 입구부(12)를 가지는데, 이와 같은 소둔로 본체(10)의 입구부(12)를 통해 운반대차(200)가 소둔로 본체(10)의 내부로 출입하게 된다.
여기서, 소둔로 본체(10)는 입구부(12)와 연통되는 통로(13)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통로(13)의 상측에 통로(13)와 연통되는 정해진 크기의 소둔처리공간(11)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데, 통로(13)는 운반대차(200)의 폭에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하여 운반대차(200)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소둔로(100)는 대형 소둔대상물(300)을 주로 소둔처리하므로, 소둔처리공간(11)은 운반대차(200)에 의해 운반되는 대형 소둔대상물(300)이 충분히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도록 한다.
지지구(20)는 도 3의 (a)에서와 같이 소둔로 본체(10)의 통로(13)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높이로 설치되는 것으로, 통로(13) 양측의 지지구(20) 상단을 가로질러 고정판(80)이 놓이게 되면서 고정판(80)의 상측으로 소둔처리공간(11)이 형성된다. 여기서, 고정판(80)은 운반대차(200)에 장착되어 이동하는 것으로, 고정판(80)의 상면에 소둔대상물(300)이 놓이게 된다.
이와 같은 지지구(20)는 소둔로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길다랗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소둔로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설치되는 다수개의 받침대(21)와 받침대(21)에 의해 지지되어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지대(22)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지구(20)는 소둔로 본체(1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되는 내벽(14)의 하부를 이루며 내벽(14)으로부터 일정길이 수평으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둔로 본체(10)의 통로(13) 상측에 형성되는 소둔처리공간(11)의 하부 양측이 밀폐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소둔로 본체(10)의 양측 내벽(14)으로부터 별도의 가이드판(15)이 일정높이에서 수평으로 돌출형성되고 이와 같은 가이드판(15)의 끝단부에 지지구(20)가 연결되어 소둔처리공간(11)의 하부 양측이 밀폐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지지구(20)의 상단에 놓이는 고정판(80)에 의해 소둔처리공간(11)의 하부 중앙부가 밀폐되는데, 지지구(20)와 고정판(80)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지지구(20)의 상단에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밀폐용 패드(70a)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밀폐용 패드(70a)의 소재로 유리섬유가 사용되는 것은 밀폐성을 높이는 동시에 고온의 소둔처리공간(11)으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견디는 내열성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어(30)는 소둔로 본체(10)의 입구부(12)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 치되는 것으로, 운반대차(200)가 소둔로 본체(10) 내부로 들어오게 될 시에는 도어(30)가 상승하여 소둔로 본체(10)의 입구부(12)가 개방되도록 하고, 운반대차(200)로 운반되는 소둔대상물(300)과 고정판(80)이 소둔로 본체(10)에 장착된 후 운반대차(200)가 소둔로 본체(10)의 외부로 빠져나온 다음에는 도어(30)가 하강하여 소둔로 본체(10)의 입구부(12)가 폐쇄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지지구(20)의 상단에 놓이는 고정판(80)은 일단부에 고정단(82)을 돌출형성시켜 도어(30)가 고정판(80)의 고정단(82)에 밀착고정되도록 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고정단(82)에도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밀폐용 패드(70b)가 부착되어 도어(30)와 고정판(80)의 고정단(82)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둔로(100)는 소둔로 본체(10)의 통로(13) 상측의 개방된 공간이 고정판(80)에 의해 폐쇄되는 단순한 구성으로 소둔처리공간(11)의 하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한편, 도어(30)가 지지구(20)의 상단에 놓인 고정판(80)의 고정단(82)에 밀착고정되는 단순한 구성으로 소둔처리공간(11)의 전방부가 밀폐되도록 하는데, 특히, 지지구(20)의 상단과 고정판(80)의 고정단(82)에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밀폐용 패드(70b)가 부착됨에 따라 소둔처리공간(11)의 밀폐도가 상향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소둔로(100)는 운반대차(200)를 포함하여 소둔처리시스템(1) 을 이루게 되는데, 본 발명에 따른 소둔처리시스템(1)을 이루는 운반대차(200)는 다수개의 바퀴(240)가 양측에 설치되어 일반 노면 상을 운행하는 것으로,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종래의 소둔처리시스템에서는 운반대차(200')가 제조공장(400)와 소둔로(100') 사이에 설치되는 레일(500)을 타고 왕복운행하는 것이어서 운행경로가 제한적이었던 것에 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둔처리시스템(1)을 이루는 운반대차(200)는 운행경로에 제한이 없음에 따라 소둔대상물(300)이 되는 가공물이 제조되는 제조공장(400)이나 소둔대상물(300)이 소둔처리되는 소둔로(100)의 위치에 관계없이 소둔대상물(300)을 용이하고 원활하게 소둔로(100)로 운반하여 소둔처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운반대차(200)는 상판(220)이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소둔대상물(300)이 놓이게 되는 고정판(80)이 상판(220)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운반대차(200)의 상판(220)은 액추에이터(260)와 결합되어 수직이동이 가능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소둔대상물(300)이 놓이게 되는 고정판(80)이 위치하게 되는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소둔처리시스템(1)에서 소둔대상물(300)이 소둔로(100)의 내부로 장입되어 소둔처리되는 과정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둔대상물(300)이 위치한 장소로 운반대차(200)을 이동시킨 후, 운반대차(200)의 상판(220)에 장착된 고정판(80)의 상면에 소둔대상물(300)을 올려놓는다. 본 발명의 소둔처리시스템(1)은 주로 대형 가공물을 소둔대상물(300)로 하여 소둔처리하게 됨에 따라, 소둔대상물(300)을 운반대차(200)의 고정판(80)에 올려놓는 작업은 크레인과 같은 운반장치를 이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소둔대상물(300)이 고정판(80)에 놓이게 되면 운반대차(200)를 소둔로(100)까지 운행하게 된다.
다음으로, 소둔로(100)를 이루는 도어(30)를 상승시켜 소둔로 본체(10)의 입구부(12)로 개방되도록 하여 소둔로 본체(10)의 통로(13)를 통해 운반대차(200)가 소둔로 본체(10)의 내부로 들어오도록 한다. 여기서, 운반대차(200)는 상판(220)이 정해진 높이만큼 상승된 상태에서 소둔대상물(300)이 놓이는 고정판(80)이 장착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운반대차(200)가 소둔로 본체(10)의 내부로 들어오게 되면 고정판(80)은 소둔로 본체(10)의 통로(13) 양측에 설치된 지지구(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운반대차(200)는 상판(220)을 하강시켜 고정판(80)이 지지구(20)에 지지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통로(13)와 연통되어 개방된 소둔로 본체(10)의 소둔처리공간(11) 하부가 고정판(80)에 의해 폐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운반대 차(200)의 상판(220)이 하강하는 과정에서 고정판(80)이 지지구(20)에 지지되면 운반대차(200)의 상판(220)과 고정판(80)은 서로 분리되게 되고, 고정판(80)이 분리된 운반대차(200)는 소둔로 본체(10)의 내부로부터 외부로 다시 빠져나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운반대차(200)가 소둔로 본체(10)로부터 빠져나오게 되면, 도어(30)를 하강시켜 소둔로 본체(10)의 입구부(12)가 폐쇄되면서 소둔로 본체(10)의 소둔처리공간(11)이 밀폐되도록 한 후, 소둔로 본체(10)의 내벽(14)에 설치되는 화염분사노즐(50)과 같은 가열장치를 이용하여 소둔처리공간(11)에 열을 공급함으로써 고정판(80)에 놓이는 소둔대상물(300)에 대한 소둔처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운반대차(200)에 장착된 고정판(80)이 수직이동이 가능한 운반대차(200)의 상판(220)에 의해 하강하여 지지구(20)에 지지되는 구성이 제시되었으나, 이와 달리 수직이동이 가능한 지지구(20)을 구비하여 지지구(20)의 상승에 의해 고정판(80)이 지지구(20)에 지지되는 구성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5 내지 도 9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소둔로 및 소둔처리시스템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 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둔로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둔로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A"부 상세도이고,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둔로를 구성하는 밀폐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둔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운반대차와 고정판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둔로(100)는 대형 가공물을 소둔대상물(300)로 하여 소둔처리를 하기 위한 것으로, 도 6에서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다랗게 형성되는 중공 터널형의 소둔로 본체(10)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소둔로 본체(10)의 입구부(12)는 선단부에 설치되는 도어(30)에 의해 개폐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둔로(100)는 도 5에서와 같이 선단부에 가이드 포스트(40)가 수직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도어(30)가 가이드 포스트(40)의 내측에서 안정되게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도록 한다.
소둔로 본체(10)는 도 5에서와 같이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까지 통로(13)가 형성되어 운반대차(200)가 통로(13)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통로(13)의 상측으로는 소둔로 본체(10) 전체공간 중에서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는 소둔처리공 간(11)이 통로(13)와 연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소둔로 본체(10)의 소둔처리공간(11)은 내열성 소재의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내벽(14)이 둘러싸게 되는데, 도 5와 도 6에서와 같이 소둔로 본체(1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내벽(14)을 따라 화염분사노즐(50)이 설치되어 소둔처리공간(11)을 가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둔로 본체(10)는 소둔로 본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정해진 높이에 위치되는 가이드판(15)이 소둔로 본체(1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내벽(14)에서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가이드판(15)은 소둔로 본체(10)의 길이방향 양측 내벽(14)에서 내측방향으로 수평되게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되어 가이드판(15) 사이에 개방된 공간을 형성시키며 소둔처리공간(11)의 하부를 이루게 된다.
여기서, 소둔로 본체(10)의 길이방향 양측 가이드판(15)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통로(13)와 소둔처리공간(11)이 서로 연통되게 되는데, 이와 같은 가이드판(15) 사이 공간에 소둔대상물(300)이 놓이게 되는 고정판(80)이 위치되면서 소둔처리공간(11)의 하부가 폐쇄되게 된다. 즉, 소둔처리공간(11)의 하부는 가이드판(15)과 고정판(80)에 의해 폐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이드판(15) 사이 공간에 위치되는 고정판(80)은 지지구(20)에 의해 지지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20)는 소둔로 본체(10)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판(15)의 끝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지지구(20)를 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지지구(20)는 도 7에서와 같이 가이드판(15)에 연결되도록 수평으로 설치되는 지지대(22)와, 소둔로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설치되어 지지대(22)를 지지하게 되는 다수개의 받침대(21)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지지구(20)를 이루는 지지대(22)의 상면에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일정두께의 밀폐용 패드(70a)가 부착되어 지지구(20)와 고정판(80)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운반대차(200)에 장착되어 이동하게 되고 소둔대상물(300)이 놓이게 되는 고정판(80)은 도 9에서와 같이 소둔로 본체(10)의 입구부(12)에 위치하게 되는 고정판(80)의 일단부에 고정단(82)이 돌출형성되도록 하는데, 이와 같은 고정판(80)의 고정단(82)에 도어(30)의 하부면이 밀착고정되면서 소둔로 본체(10)의 소둔처리공간(11) 전방부가 밀폐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도어(30)의 하부면이 밀착고정되는 고정단(82)에도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일정두께의 밀폐용 패드(70b)가 부착되어 고정단(82)과 도어(30) 사이에 틈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여기서, 고정단(82)은 고정판(80)의 상면보다 낮은 상면을 가지도록 하여 고정단(82)에 밀착고정되는 도어(30)의 배면으로 고정판(80)이 밀착되어 소둔처리공간(11)의 밀폐도가 향상되도록 한다.
한편, 고정판(80)은 길이방향의 양측이 상하로 단을 이루도록 하는데, 상단 이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도 7에서와 같이 지지구(20)의 지지대(22)에 지지된다.
여기서, 고정판(80) 하단의 일단부가 고정단(82)을 이루게 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둔로(100)에서는 지지구(20)의 지지대(22)와 고정판(80)의 하단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밀폐구(60)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밀폐구(60)는 지지구(20)의 받침대(21)에서 이격되어 소둔로 본체(10)의 통로(13)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면서 지지구(20)의 지지대(22)와 고정판(80)에 밀착되거나 이탈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폐구(60)는 도 8의 (a)와 (b)에서와 같이 지주대(61), 회전축(62), 기어박스(63), 스크류(64), 이동너트(65), 가로대(66)로 이루어진다.
지주대(61)는 소둔로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둔로 본체(10)의 바닥면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둔로(100)에서는 소둔로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설치되는 다수개의 지주대(61)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와 달리 소둔로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길다랗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하나의 구조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회전축(62)은 소둔로 본체(10)의 바닥면으로부터 정해진 높이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개의 고정대(67)가 소둔로 본체(10)의 바닥면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회전축(62)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회전축(62)은 유압모터와 같은 액추에이터(69)와 결합되어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축(62)은 다수개의 구동기어가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어 있 다.
기어박스(63)는 상기와 같이 회전축(62)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동기어가 위치된 부위의 지주대(61) 상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각각의 구동기어와 접속하게 된다.
스크류(64)는 기어박스(63)와 접속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으로, 지주대(6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이와 같은 스크류(64)는 지주대(61)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데, 지주대(61)는 스크류(64)가 수직이동할 수 있는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너트(65)는 지주대(61)를 관통하는 각각의 스크류(64)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이동너트(65)는 지주대(61)에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어 스크류(64)의 회전시 스크류(64)가 지주대(61)를 관통하며 수직이동으로 하도록 한다.
가로대(66)는 정해진 길이의 빔(beam) 형상으로 이루어져 소둔로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스크류(64)의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있어 스크류(64)와 일체로 수직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로대(66)는 스크류(64)와 일체로 이동하면서 지지구(20)의 지지대(22)와 고정판(80)에 밀착되거나 이탈되게 된다. 여기서, 가로대(66)는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밀폐용 패드(70c)가 상부면에 부착되어 지지구(20)의 지지대(22)와 고정판(80)에 대한 밀폐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둔로 및 그를 사용한 소둔처리시스템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소둔처리시스템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종래 소둔처리시스템에서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운반대차가 소둔로로 들어가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3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소둔로를 정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개략도;
도 3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소둔로를 측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둔처리시스템에 의해 소둔대상물이 소둔로 본체에 장입되는 과정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둔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둔로의 측면도;
도 7은 도 5의 "A"부 상세도;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둔로를 구성하는 밀폐구의 구성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소둔처리시스템을 구성하는 운반대차와 고정판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둔로 시스템 10 : 소둔로 본체
11 : 소둔처리공간 12 : 입구부
13 : 통로 14 : 내벽
15 : 가이드판 20 : 지지구
21 : 받침대 22 : 지지대
30 : 도어 40 : 가이드 포스트
50 : 화염분사노즐 60 : 밀폐구
61 : 지주대 62 : 회전축
63 : 기어박스 64 : 스크류
65 : 이동너트 66 : 가로대
67 : 고정대 68 : 베어링
69 : 액추에이터 70a, 70b, 70c : 밀폐용 패드
80 : 고정판 82 : 고정단
100 : 소둔로 200 : 운반대차
220 : 상판 240 : 바퀴
260 : 액추에이터 300 : 소둔대상물
400 : 제조공장 500 : 레일

Claims (6)

  1. 소둔로에 있어서,
    외부로 개방되는 입구부를 가지고, 상기 입구부를 통해 출입하는 운반대차가 이동하게 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의 상측에 상기 통로와 연통되는 정해진 크기의 소둔처리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내벽에서 내측방향으로 수평되게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형성되는 가이드판이 바닥면으로부터 정해진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중공 터널형의 소둔로 본체와;
    상기 소둔로 본체의 통로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판 끝단부에 연결되는 지지구 및;
    상기 소둔로 본체의 입구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을 밀폐시키게 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소둔대상물이 놓이는 고정판을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시킨 상기 운반대차가 상기 소둔로 본체의 통로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소둔로 본체의 내부로 들어와 상기 고정판이 상기 소둔로 본체의 양측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판 사이의 소둔처리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지지구의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판의 하강에 의해 상기 고정판이 상기 지지구에 지지되면서 상기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의 하부가 상기 가이드판과 고정판 및 지지구에 의해 밀폐되어 폐쇄되도록 하며,
    상기 도어가 하강하여 상기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이 밀폐되면 상기 고정판에 놓이는 상기 소둔대상물에 대한 소둔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둔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둔로 본체의 통로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소둔로 본체의 바닥면 상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상하방향으로 승강하게 되는 밀폐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지지구는 상기 소둔로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정해진 높이로 설치되어,
    상기 지지구와 상기 지지구에 의해 지지되는 상기 고정판 사이의 틈이 상기 밀폐구가 상승하여 상기 지지구와 고정판에 밀착되면서 밀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둔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구는 상기 소둔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소둔로 본체의 바닥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대와;
    상기 소둔로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정해진 높이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액추에이터와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며, 다수개의 구동기어가 길이방향을 따라 정해진 간격으로 외주면 둘레에 형성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형성된 다수개의 구동기어가 위치된 부위의 지주대 상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구동기어와 접속하게 되는 다수개의 기어박스와;
    상기 기어박스와 접속하여 회전하게 되고, 상기 지주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되 상기 지주대를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는 다수개의 스크류와;
    상기 지주대를 관통하는 상기 각각의 스크류에 삽입되고, 상기 지주대에 회 전되지 않게 고정되어 상기 스크류의 회전시 상기 스크류가 상기 지주대를 관통하며 수직이동으로 하도록 하는 다수개의 이동너트 및;
    정해진 길이의 빔(beam)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소둔로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의 상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스크류와 일체로 수직이동하게 되며,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밀폐용 패드가 상부면에 부착된 가로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둔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소둔로 본체의 입구부에 위치하게 되는 일단부에 상기 고정판의 상면보다 낮은 상면을 가지는 고정단이 돌출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도어의 하부면이 상기 고정판의 고정단이 밀착고정되면서 상기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의 전방부가 밀폐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둔로.
  5. 소둔처리시스템에 있어서,
    다수개의 바퀴가 양측에 설치되어 노면 상을 이동하게 되고, 상판이 수평면으로 이루어져 소둔대상물이 놓이게 되는 고정판이 상기 상판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되, 상기 상판은 액추에이터와 결합되어 수직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고정판을 승강시켜 상기 고정판이 위치하게 되는 높이를 조절하게 되는 운반대차와;
    외부로 개방되는 입구부를 가지고, 상기 입구부를 통해 출입하는 운반대차가 이동하게 되는 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통로의 상측에 상기 통로와 연통되는 정해진 크기의 소둔처리공간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측에 형성된 내벽에서 내측방향으로 수평되게 정해진 길이만큼 돌출형성되는 가이드판이 바닥면으로부터 정해진 높이에 위치하게 되는 중공 터널형의 소둔로 본체와;
    상기 소둔로 본체의 통로 양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각각의 가이드판 끝단부에 연결되는 지지구 및;
    상기 소둔로 본체의 입구부에 상하방향으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을 밀폐시키게 되는 도어를 포함하여,
    소둔대상물이 놓이는 고정판을 상부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시킨 상기 운반대차가 상기 소둔로 본체의 통로를 통해 이동하여 상기 소둔로 본체의 내부로 들어와 상기 고정판이 상기 소둔로 본체의 양측 내벽에 형성된 가이드판 사이의 소둔처리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지지구의 상측으로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고정판의 하강에 의해 상기 고정판이 상기 지지구에 지지되면서 상기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의 하부가 상기 가이드판과 고정판 및 지지구에 의해 밀폐되어 폐쇄되도록 하며,
    상기 도어가 하강하여 상기 소둔로 본체의 소둔처리공간이 밀폐되면 상기 고정판에 놓이는 상기 소둔대상물에 대한 소둔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둔처리시스템.
  6. 삭제
KR1020090000471A 2009-01-05 2009-01-05 소둔로 및 그를 사용한 소둔처리시스템 KR1009035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471A KR100903551B1 (ko) 2009-01-05 2009-01-05 소둔로 및 그를 사용한 소둔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0471A KR100903551B1 (ko) 2009-01-05 2009-01-05 소둔로 및 그를 사용한 소둔처리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03551B1 true KR100903551B1 (ko) 2009-06-23

Family

ID=4098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471A KR100903551B1 (ko) 2009-01-05 2009-01-05 소둔로 및 그를 사용한 소둔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55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974A (ko) 2015-05-29 2016-12-07 (주)보은 폐열 재활용 소둔로 시스템
KR20170138986A (ko) * 2016-05-12 2017-12-18 가부시키가이샤 히로치쿠 원통형 스퍼터링 타겟재의 소성 장치 및 소성 방법
CN115838908A (zh) * 2022-12-09 2023-03-24 浙江永杰铝业有限公司 一种铝卷冷却方法
CN115838908B (zh) * 2022-12-09 2024-06-07 浙江永杰铝业有限公司 一种铝卷的冷却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097U (ko) 1987-06-26 1989-01-12
JPH08327243A (ja) * 1995-05-31 1996-12-13 Takasago Ind Co Ltd 台車式焼成炉
JPH10267561A (ja) 1997-03-24 1998-10-09 Murata Mfg Co Ltd 被加熱物の収納容器
JP2006292348A (ja) * 2005-03-18 2006-10-26 Mino Ceramic Co Ltd 被処理物の炉内搬入・搬出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5097U (ko) 1987-06-26 1989-01-12
JPH08327243A (ja) * 1995-05-31 1996-12-13 Takasago Ind Co Ltd 台車式焼成炉
JPH10267561A (ja) 1997-03-24 1998-10-09 Murata Mfg Co Ltd 被加熱物の収納容器
JP2006292348A (ja) * 2005-03-18 2006-10-26 Mino Ceramic Co Ltd 被処理物の炉内搬入・搬出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9974A (ko) 2015-05-29 2016-12-07 (주)보은 폐열 재활용 소둔로 시스템
KR20170138986A (ko) * 2016-05-12 2017-12-18 가부시키가이샤 히로치쿠 원통형 스퍼터링 타겟재의 소성 장치 및 소성 방법
KR101892877B1 (ko) * 2016-05-12 2018-08-28 가부시키가이샤 히로치쿠 원통형 스퍼터링 타겟재의 소성 장치 및 소성 방법
CN115838908A (zh) * 2022-12-09 2023-03-24 浙江永杰铝业有限公司 一种铝卷冷却方法
CN115838908B (zh) * 2022-12-09 2024-06-07 浙江永杰铝业有限公司 一种铝卷的冷却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3551B1 (ko) 소둔로 및 그를 사용한 소둔처리시스템
CN106643131A (zh) 一种移动式立式真空炉结构
KR20110013318A (ko) 반송 기구의 조립 방법 및 반송실
JP2010266176A (ja) 多室型熱処理装置
CN202401104U (zh) 箱式保护气氛热处理炉
RU2012103846A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зиционирования загрузочной корзины
KR100747962B1 (ko) 기판 처리 장치
CN212270194U (zh) 一种水平喷流式筒形炉
ES2518215T3 (es) Procedimiento para controlar un equipo de colada de mezcla de hormigón fijado de forma desmontable a una grúa y un equipo de colada de mezcla de hormigón fijado de forma desmontable a una grúa
JP2006210767A (ja) 基板処理装置
CN102534147A (zh) 箱式保护气氛热处理炉炉门密封装置
CN209459426U (zh) 一种安全高效的石英烧结炉提升送料设备
KR20090112407A (ko) 승하강장치를 구비한 수직형 진공로
JP5634335B2 (ja) 下部槽交換システム及び下部槽交換方法
KR100752934B1 (ko) 진공처리장치
JPH05500238A (ja) 複数の水平に運動可能な炉下側部分を有する閉鎖溶融炉
CN207090911U (zh) 一种驴运输用自动升降装置
JPS6123000Y2 (ko)
CN110616304A (zh) 固熔炉设备及固熔方法
CN219829488U (zh) 一种可分离式热处理炉
CN215363395U (zh) 一种气氛炉原料输送装置
CN220380232U (zh) 一种提高台车炉温度均匀性的装置
CN215832487U (zh) 一种自动熔炼系统
CN100399503C (zh) 基板处理装置
CN201568975U (zh) 托梁式火化机进尸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