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2694B1 - 개선된 연성의 에스테르를 제공하는 α,α-분지 알칸카르복시산의 합성을 위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개선된 연성의 에스테르를 제공하는 α,α-분지 알칸카르복시산의 합성을 위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2694B1
KR100902694B1 KR1020047001197A KR20047001197A KR100902694B1 KR 100902694 B1 KR100902694 B1 KR 100902694B1 KR 1020047001197 A KR1020047001197 A KR 1020047001197A KR 20047001197 A KR20047001197 A KR 20047001197A KR 100902694 B1 KR100902694 B1 KR 100902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ene
range
acid
catalyst
olef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21659A (ko
Inventor
스티흐터르헨드리크
페트러스레오나르더스
스틸한스아리어
Original Assignee
레졸루션 레사아치 네덜란드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졸루션 레사아치 네덜란드 비.브이. filed Critical 레졸루션 레사아치 네덜란드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040021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1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2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26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0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 C07C69/22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in the acid moiety
    • C07C69/24Esters of acyclic 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having the carboxyl group bound to an acyclic carbon atom or to hydrogen having three or more carbon atoms in the acid moiety esterified with monohydroxy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1/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 C07C51/1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 with carbon monoxide
    • C07C51/14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or their salts, halides or anhydrides by reaction with carbon monoxide on a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in organic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강산 촉매 존재하에 모노-올레핀 또는 그 전구체와 일산화탄소를 반응시킴으로써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을 합성하는 제조방법으로서, 개시 올레핀은 주로 2-부텐을 포함하는 n-부텐에서 유도된 이량체 C8 또는 삼량체 C12 이고, 산 촉매는 BF3:H3PO4의 몰비가 0.5:1.0 내지 5.0:1.0 범위인 BF3/H3 PO4, 또는 CF3SO3H로 구성되며, 모노-올레핀에 대한 촉매의 중량비는 1:1 내지 10:1 범위이며, 반응은 60 내지 140℃ 범위의 온도에서, 및 8 내지 25 wt% 범위인 촉매 시스템 내 초기 물 함량으로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제조방법; 및 상기 카르복시산에서 유도된 비닐 에스테르와 글리시딜 에스테르.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 비닐 에스테르, 글리시딜 에스테르, 모노-올레핀, 2-부텐

Description

개선된 연성의 에스테르를 제공하는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의 합성을 위한 제조방법{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A-BRANCHED ALKANE CARBOXYLIC ACIDS PROVIDING ESTERS WITH AN IMPROVED SOFTNESS}
본 발명은 개선된 연성의 에스테르를 제공하는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의 합성을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9 또는 13개 탄소를 함유하며 개선된 연성의 에스테르를 제공하는, 지방족 3차 포화 카르복시산 또는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의 합성에 관한 것이다.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의 혼합물이 모노-올레핀, 일산화탄소 및 물을 개시물질로 하여 강산 존재하에 생성될 수 있음은 예를 들면, US 2,831,877, US 2,876,241, US 3,053,869, US 2,967,873 및 US 3,061,621에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모노-올레핀 개시물질로는, 특히 이소부틸렌의 이량체 및 삼량체가 사용되었다.
예를 들면, 에이치 반 후른(H van Hoorn) 및 쥐 씨 베그터(G C Vegter)의 페인트 기재 FATIPEC의 개발 도구로서의 역학계수 측정법[Euro Continental Congress 9, Pleniere p. 51-60 (1968)]; Rheol. Acta 10, p. 208-212 (1971); 에이치 반 후 른(H van Hoorn)의 이성질체 비닐 에스테르 중합체의 유리 전이 온도에 대한 측면기 구조의 영향으로부터, 최종 코팅 필름 성질과 개시 분지 카르복시산 내 이성질체 분포율과의 관계가 공지되었다.
이러한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의 혼합물 내에서 유의적인 비율의 블록화 β-메틸-분지 카르복시산 이성질체가 발견되었는데, 코팅 산업에서 글리시딜 에스테르 또는 비닐 에스테르와 같은 유도체 형태로 적용 시, 상기 이성질체의 성질이 상기 혼합물 내 다른 α,α-분지 포화 카르복시산 성분의 유리한 성질을 상쇄시키는 것으로 밝혀짐으로써, 더욱 더 소위 연성인 산 유도체가 요구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상적으로 생성된 α,α-분지 카르복시산 혼합물은, 유의적인 비율의 블록화 β-알킬-분지 이성질체의 존재로 인해 최종 필름 코팅에 지나치게 높은 경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러한 점은 불리하기 때문에 특정 용도에 바람직하지 않다.
보다 최근의 개선책 중 하나가 EP 1 033 360 A1에 개시되어 있다. 알켄, 일산화탄소 및 물과 산 촉매로부터 제조되는 α,α-분지 산의 보다 나은 연성의 유도체를 제공하는 문제는 상기 참고문헌에서 실제로 다음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해결되었다:
(a)주로 2-부텐을 포함하는 n-부텐의 올리고머화;
(b)올리고머화물로부터의 부텐 이량체 및/또는 삼량체의 분리;
(c)부텐 이량체 및/또는 삼량체의 카르복시산으로의 전환;
(d)카르복시산의, 다른 중합체 내로 혼합되었을 때 또는 코팅물에서 공단량 체로 사용될 경우 유리한 연성을 나타내는, 상응하는 비닐 에스테르로의 전환.
상기 유리한 성질은 예를 들면, Hydrocarbon Processes Int. Ed. (1986), 65 (2, sect.1), pages 31-33에 공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특정하게 선택된 "OCTOL" 올리고머화방법의 적용에 의해서만 획득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반해서 최종 비닐 에스테르의 상기 유리한 성질은 선행 기술에서의 대안, 즉 예를 들면, Cornils, Hermann, Applied Homogeneous Catalysis with Organomettalic Compounds, p261-263, Verlag Chemie 1996에 공지되어 있는, 산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촉매를 사용한 올리고머화방법 또는 DIMERSOL 방법으로는 얻어질 수 없었다. 상기 OCTOL 방법은 2-부텐이 풍부한 소위 라피네이트(Raffinate) III 분획을 사용하며, 수득된 특정 이량체 또는 삼량체는, 촉매로 술폰산 또는 플루오르화 붕소와 물의 복합체 같은 강산을 사용하고, 공촉매로 Cu+ 이온을 사용하며, 20 내지 35℃ 범위의 온도 및 적어도 30 bar의 CO 압력을 사용하는 방법에 의해서 추후에 카르복시산으로 전환되었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주로 2-부텐을 포함하는"이란 용어는 개시 n-부텐 공급원료가 적어도 70 wt% 및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85 wt%의 2-부텐을 포함함을 의미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EP 1 033 360 A1에는 유의적으로 개선된 연성의 비닐 에스테르는 α,α-분지 카르복시산의 제조에 사용하기 위한 개시 올레핀의 분지 정도에 따라 도달될 수 있음이 공지되었다.
이러한 개시는 부텐의 산 촉매(몬모릴로나이트) 올리고머화에 의해, 주로 2-부텐 공급원료를 포함하는 n-부텐 공급원료에서 유도된 카르복시산의 비닐 에스테 르 단일중합체의 Tg는 +38℃이며 그러므로 "경성(hard)" 공단량체임을 교시했다. 주로 2-부텐을 포함하는 n-부텐의 DIMERSOL 올리고머화방법으로 수득한 디부텐에서 유도된 카르복시산의 비닐 에스테르 단일중합체의 Tg는 이보다 훨씬 낮은 +1℃이다.
EP 1 033 360 A1 방법의 목적은, 주로 2-부텐을 포함하고 디메틸헥센과 같은 다-분지 올레핀을 35 wt% 이하, 및 바람직하게는 최대 25 wt% 함유하는 n-부텐 개시물질의 OCTOL 올리고머화방법으로 수득가능한 부텐 이량체로부터 합성된 분지 카르복시산이었다.
또한 유의적으로 증가된 양의 2,2-디메틸 헵탄산과 2-에틸-2-메틸 헥산산, 및 감소된 양의 2,3-디메틸-2-에틸 펜탄산을 갖는 상기 카르복시산은 C9 비닐 에스테르의 단일중합체에 대해 최소한 -3℃인 Tg와 같이, 상응하는 비닐 에스테르의 현재 요구되는 유리한 성질을 제공할 수 있었다.
상기 EP 1 033 360 A1에 개시된 방법의 또다른 목적은 OCTOL 올리고머화방법으로 수득가능한 부텐 삼량체로부터 합성된 분지 C13 카르복시산이었다. 또한 상기 카르복시산은 C13 비닐 에스테르의 단일중합체에 대해 최소한 -13℃인 Tg와 같이, 상응하는 비닐 에스테르의 현재 요구되는 유리한 성질을 유일하게 제공할 수 있었다.
추가의 개선된 구체예는 상응하는 비닐 C9 에스테르의 단일중합체가 훨씬 더 낮은 Tg, 즉 -12℃의 Tg를 나타내는 분지 카르복시산을 수득하기 위한, OCTOL 방법 으로부터의 디부텐 혼합물, 즉 C8 올레핀의 혼합물의 분획화 방법을 개시한 EP 1 029 839 A에 개시된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도달될 수 있었다.
상기 공개공보에서는 보다 연성인 분지 C13 알칸 카르복시산에 도달하기 위한 트리부텐 올리고머의 분획화 효과에 관해서는 당업자에게 어떠한 교시도 주고있지 않다.
상기 개시는 당업자에게 -12℃ 정도로 낮은 Tg의 단일중합체를 갖는, α,α-분지 C9 알칸 카르복시산의 비닐 에스테르는, 주로 2-부텐을 포함하는 n-부텐의 OCTOL 방법에 의한 올리고머화, 이어지는 올리고머 혼합물의 증류분획화, 바닥 분획의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으로의 전환, 및 상응하는 비닐 에스테르로의 추후 전환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서만 수득될 수 있음을 교시하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며, 이는 통상적인 방법과 비교할 때 단위비용을 증가시킬 것이다.
글리시딜 에스테르 또는 비닐 에스테르와 같은 그 유도체로부터 형성된 코팅 필름에 추가의 연성을 부여하고, "연성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으로서 추가로 언급될 것이며, 올레핀 공급원료의 부가적인 분획화 없이 동시에 제조될 수 있어서 제조 원가가 보다 낮은 지방족 3차 포화 카르복시산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증가하고 있음이 인지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연성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을 제공하여 이로부터 유도되는 보다 유리한 성질의 코팅물을 획득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연성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이란 용 어는, 상응하는 비닐 에스테르의 단일중합체가 C9 산의 경우에는 -3℃ 이하의 Tg를 나타내고 C13 산의 경우에는 -13℃ 이하의 Tg를 나타내는 산을 의미한다.
광범위한 연구 및 실험 결과, 놀랍게도 목적하는 분지된 카르복시산을 산출하는 방법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강산 촉매 존재하에 모노-올레핀 또는 그 전구체와 일산화탄소를 반응시킴으로써, 상응하는 비닐 에스테르가 C9 산의 경우에는 -3℃ 이하의 Tg를 갖고 C13 산의 경우에는 -13℃ 이하의 Tg를 갖는 단일중합체를 제공할 수 있는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을 합성하기 위한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개시 올레핀은 주로 2-부텐을 포함하는 n-부텐에서 유도된 이량체 또는 삼량체이고, 산 촉매는 BF3:H3PO4의 몰비가 0.5:1.0 내지 5.0:1.0 범위인 BF3/H 3PO4, 또는 CF3SO3H로 구성되며, 모노-올레핀에 대한 촉매의 중량비는 1:1 내지 10:1 범위이며, 반응은 60 내지 140℃ 범위의 온도에서, 및 8 내지 25 wt% 범위인 촉매 시스템 내 초기 물 함량으로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BF3/H3PO4 촉매를 사용하는 보다 바람직한 구체예에 따르면, BF3와 H3PO4 사이의 몰비는 1:1 내지 3:1 범위이고, 일산화탄소 압력은 20 내지 100 bar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반응 온도는 80 내지 140℃ 범위이고 일산화탄소 압력은 30 내지 90 bar 범위이다. 촉매 시스템 내 바람직한 초기 물 함량은 8 내지 25 wt% 범위 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바람직한 초기 물 함량은 12 내지 25 wt% 범위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올레핀에 대한 촉매의 중량비는 2:1 내지 6:1 범위이다.
개시 모노-올레핀은 부텐의 올리고머의 혼합물이다.
개시 모노-올레핀이 실제로는 다양한 비율의 각종 올레핀 이성질체로 구성됨이 인지될 것이다.
공급되는 모노-올레핀의 각 몰에 1몰의 물이 반응하기 때문에, 반응 혼합물의 물 함량은 반응 전반에 걸쳐 변화함이 또한 인지될 것이다.
본 방법의 일반적인 반응 시간은 15 내지 120분 범위 내이다. 바람직한 반응 시간은 20 내지 90분 범위 내이다. 보다 바람직한 반응 시간은 30 내지 60분 범위 내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배치(batch) 방법, 세미-배치(semi-batch) 방법 및 바람직하게는 연속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고 개시 올레핀은 전구체로부터 동일계 내에서 형성될 수 있음이 인지될 것이다.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는 올레핀용 전구체는 예를 들면 알코올, 에스테르, 또는 카르복시산이다. 올레핀용 전구체로 예를 들어 알콜을 사용하는 경우, 공동 생성된 물은 전술한 전체 물 함량의 일부를 형성하게 됨이 인지될 것이다.
연속 방법은 예를 들면 US 3,068,256 및 "New Syntheses with Carbon Monoxide" J. Falbe, New York 1980, pages 406-408과 이 안에 언급된 참고문헌에 기재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음이 또한 인지될 것이다.
초기에 수득된 산 혼합물은 공지된 방법대로, 예컨대 증류에 의해 정제할 수 있다.
"보다 연성인" α,α-분지 포화 카르복시산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서 염, 에스테르, 산 할라이드 및 보다 구체적으로는 글리시딜 에스테르나 비닐 에스테르와 같은 그들의 유도체로 전환될 수 있고, 이들은 코팅 산업에서 유리한 개시물질로 사용될 수 있음이 인지될 것이다.
연성 이성질체를 보다 높은 비율로 포함하는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의 혼합물을 재생가능 방식, 바람직하게는 연속 방식을 사용하여 비교적 저렴한 공급원료, 바람직하게는 주로 2-부텐을 포함하는 n-부텐에서 유도된 부텐 이량체나 삼량체를 개시물질로 하여 합성할 수 있음을 놀랍게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을, 상응하는 비닐 에스테르의 단일중합체가 C9 산의 경우에는 -3℃보다 낮은 Tg를 갖고 C13 산의 경우에는 -13℃보다 낮은 Tg를 갖도록 합성할 수 있고, 상기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은 부텐 이량체 또는 부텐 삼량체 올레핀 공급원료의 추가 분획화 없이, 올리고머화방법으로서 "DIMERSOL" 방법 또는 "몬모릴로나이트 촉매"(OCTOL) 방법을 사용하여, 부텐 이량체 C8 또는 부텐 삼량체 C12 올레핀으로부터 수득할 수 있음이 인지될 것인데, 이는 당업자에게 매우 놀라운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은 앞서 정의된 방법으로 수득가능한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한층 또다른 측면은 적절한 산 존재하에, 예컨대 WO 98/16494, EP 0 512 656 B1 또는 EP 0 729 448 B1에 공지된 바와 같은 아세틸렌, 또는 예컨대 WO 00/17179(PCT/EP99/07393)에 공지된 바와 같은 에피클로로히드린을 사용하여, 예컨대 상기 카르복시산을 전환시킴에 의한 그들의 비닐 에스테르 또는 글리시딜 에스테르와 같은 에스테르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서 추가로 설명하지만, 그 범위를 이들 구체예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50 ml 하스텔로이(Hastelloy) C 오토클레이브에 BF3/H3PO4 몰비 1.5/1인 BF3/H3PO4/물로 구성된 촉매 시스템을 분당 5.8 g으로 연속 공급하고 DIMERSOL형 방법으로 수득한 부텐 삼량체(BT3)를 분당 1.1 g으로 연속 공급했다. 촉매 시스템의 물 함량은 13.0 wt%로 맞췄다.
오토클레이브에 기압계, 기계적 구동 교반기, 가열로 선반, CO 유입구, 올레핀 유입구, 새로운 촉매(시작용) 유입구, 촉매 재순환 스트림 유입구, 및 생성물/촉매 혼합물의 연속 회수를 위한 침지튜브를 장치했다. 재순환되는 물은 침전 용기 바로 직전의 반응 혼합물로 되돌아오도록 했다.
오토클레이브 내 온도는 112℃이고 80 bar의 일산화탄소 압력은 역압을 통해서 조절하였다.
그다음 반응 혼합물을 침전 용기 내에서 분리했다. 아래쪽 촉매풍부층은 반 응기로 재순환시키고 위쪽 유기층은 충진 컬럼 내에서 물을 역류시켜 연속적으로 세척했다. 세척 컬럼으로부터의 수성층은 반응기 출구로 재순환시키고 컬럼으로의 새로운 물 유속은 침전 용기 내 물 농도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정도의 속도로 맞췄다. 유기층은 미처리 카르복시산 혼합물을 함유했다. 유기층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했을 때 89 wt%의 수율인 미처리 카르복시산 혼합물을 함유했다.
증류에 의해서 유기층으로부터 라이트 엔드(light end) 및 헤비 엔드(heavy end)를 제거한 후, "연성" α,α-분지 C13 알칸 카르복시산 혼합물을 수득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수득한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의 혼합물을 예를 들면 WO 98/16494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개시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 혼합물의 아연염 존재하에 대기압에서 아세틸렌을 사용하여 전환시켰다. 이렇게 수득한 비닐 에스테르 단일중합체의 Tg는 -32℃로 측정되었다.
비교적으로, Oxeno Olefinchemie GmbH의 EP 1 033 360 A1의 실시예 15에 의해 수득한 α,α-분지 포화 카르복시산 혼합물의 C13 비닐 에스테르 단일중합체의 Tg는 -13℃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3
250 ml 하스텔로이 C 오토클레이브에 BF3/H3PO4 몰비 1.5/1인 BF3 /H3PO4/물로 구성된 촉매 시스템을 분당 3.7 g으로 연속 공급하고 3,4-디메틸헥센 32%, 3-메틸헵텐 58.8%, n-옥텐 7.2%, 기타 2%로부터 "DIMERSOL"형 방법으로 수득한 부텐 이량 체(BD2)를 분당 0.54 g으로 연속 공급했다. 촉매 시스템의 물 함량은 16.3 wt%로 맞췄다.
오토클레이브에 기압계, 기계적 구동 교반기, 가열로 선반, CO 유입구, 올레핀 유입구, 새로운 촉매(시작용) 유입구, 촉매 재순환 스트림 유입구, 및 생성물/촉매 혼합물의 연속 회수를 위한 침지튜브를 장치했다. 재순환되는 물은 침전 용기 바로 직전의 반응 혼합물로 되돌아오도록 했다.
오토클레이브 내 온도는 112℃이고 80 bar의 일산화탄소 압력은 역압을 통해서 조절하였다.
그다음 반응 혼합물을 침전 용기 내에서 분리했다. 아래쪽 촉매풍부층은 반응기로 재순환시키고 위쪽 유기층은 충진 컬럼 내에서 물을 역류시켜 연속적으로 세척했다. 세척 컬럼으로부터의 수성층은 반응기 출구로 재순환시키고 컬럼으로의 새로운 물 유속은 침전 용기 내 물 농도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는 정도의 속도로 맞췄다. 유기층은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했을 때 87 wt%의 수율인 미처리 카르복시산 혼합물을 함유했다.
증류에 의해서 유기층으로부터 라이트 엔드 및 헤비 엔드를 제거한 후, "연성" α,α-분지 C9 알칸 카르복시산 혼합물을 수득했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수득한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의 혼합물을 예를 들면 WO 98/16494에 기재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개시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 혼합 물의 아연염 존재하에 대기압에서 아세틸렌을 사용하여 전환시켰다. 이렇게 수득한 비닐 에스테르 단일중합체의 Tg는 -8℃로 측정되었다.
비교적으로, Oxeno Olefinchemie GmbH의 EP 1 033 360 A1의 실시예 14에 의해 수득한 α,α-분지 포화 카르복시산 혼합물의 C9 비닐 에스테르 단일중합체의 Tg는 -3℃로 측정되었다.

Claims (10)

  1. 강산 촉매 존재하에, 2-부텐을 포함하는 n-부텐의 이량체(C8) 또는 삼량체(C12)로 구성된 모노-올레핀과 일산화탄소를 반응시킴으로써 α,α-분지 알칸 카르복시산을 합성하기 위한 제조방법으로서,
    개시 n-부텐 이량체 또는 n-부텐 이량체 올레핀 공급원료는 분획화되지 않았고, 산 촉매는 BF3:H3PO4의 몰비가 0.5:1.0 내지 5.0:1.0 범위인 BF3/H3PO4, 또는 CF3SO3H로 구성되며, 모노-올레핀에 대한 촉매의 중량비는 1:1 내지 10:1 범위이며, 반응은 60 내지 140℃ 범위의 온도에서, 및 8 내지 25 wt% 범위인 촉매 시스템 내 초기 물 함량으로 수행되는 것이 특징인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BF3와 H3PO4 사이의 몰비가 1:1 내지 3:1 범위인 BF3 /H3PO4 촉매가 사용되는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일산화탄소 압력이 20 내지 100 bar 범위인 것이 특징인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반응 온도는 80 내지 140℃ 범위이고 일산화탄소 압력은 30 내지 90 bar 범위인 것이 특징인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모노-올레핀에 대한 촉매의 중량비가 2:1 내지 6:1 범위인 것이 특징인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제조방법이 연속 방법인 것이 특징인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니켈 촉매화 DIMERSOL 또는 산 촉매화 몬모릴로나이트(Montmorillonite) 올리고머화방법을 사용하여, 2-부텐을 포함하는 n-부텐의 이량체 C8 또는 삼량체 C12 로부터 수득되는 α,α-분지 포화 카르복시산을 합성하기 위한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산 촉매화 몬모릴로나이트 올리고머화방법이 사용되는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α,α-분지 포화 카르복시산이 글리시딜 에스테르로 전환되는 제조방법.
  10. 제1항의 방법으로 수득된 α,α-분지 포화 카르복시산의 비닐 에스테르로서, 그 단일중합체가 C9 산의 경우에는 -3℃보다 낮은 Tg를 갖고 C13 산의 경우에는 -13℃보다 낮은 Tg를 갖는 비닐 에스테르.
KR1020047001197A 2001-07-31 2002-07-02 개선된 연성의 에스테르를 제공하는 α,α-분지 알칸카르복시산의 합성을 위한 제조방법 KR1009026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1202901A EP1281700A1 (en) 2001-07-31 2001-07-31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lpha, alpha-branched alkane carboxylic acids providing esters with an improved softness
EP01202901.3 2001-07-31
PCT/EP2002/007538 WO2003011806A1 (en) 2001-07-31 2002-07-02 Manufacturing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a-branched alkane carboxylic acids providing esters with an improved softn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659A KR20040021659A (ko) 2004-03-10
KR100902694B1 true KR100902694B1 (ko) 2009-06-15

Family

ID=8180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197A KR100902694B1 (ko) 2001-07-31 2002-07-02 개선된 연성의 에스테르를 제공하는 α,α-분지 알칸카르복시산의 합성을 위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151192B2 (ko)
EP (2) EP1281700A1 (ko)
KR (1) KR100902694B1 (ko)
CN (1) CN1277795C (ko)
WO (1) WO200301180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203A (ko) * 2010-12-22 2013-10-07 모멘티브 스페셜티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알파, 알파 분지형 산 조성물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KR101575443B1 (ko) * 2010-12-22 2015-12-07 헥시온 인코포레이티드 알파, 알파 분지형 산 조성물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569163A1 (en) * 2004-06-02 2005-12-15 Pharmacyclics, Inc. Factor viia inhibitor
KR20160028494A (ko) * 2010-10-19 2016-03-11 헥시온 인코포레이티드 알파, 알파 분지형 네오노난산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합성 및 용도
EP2447241A1 (en) * 2010-10-19 2012-05-02 Momentive Specialty Chemicals Research Belgium Glycidyl esters of alpha, alpha branched neononanoic acids, synthesis and uses
EP2508502A1 (en) * 2011-04-07 2012-10-10 Momentive Specialty Chemicals Research S.A. Process for the manufacture of alfa,alfa branched carboxylic acid vinyl esters
US20140287252A1 (en) * 2011-10-19 2014-09-25 Momentive Specialty Chemicals Inc. Polyester polyol resins compositions
US9803051B2 (en) * 2011-10-19 2017-10-31 Hexion Inc. Acrylic polyol resins compositions
DK2768903T3 (da) 2011-10-19 2020-08-24 Hexion Res Belgium Sa Sammensætninger af polyetherpolyolresiner
WO2013056816A1 (en) * 2011-10-19 2013-04-25 Momentive Specialty Chemicals Research Belgium Sa Polyester polyol resins compositions
WO2013075805A2 (en) * 2011-11-25 2013-05-30 Momentive Specialty Chemicals Research Beigium S.A. Epoxy compositions
DE102012014396B4 (de) 2012-07-13 2018-01-11 Oxe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inylestergemisches aus einem Gemisch stellungsisomerer aliphatischer Isononansäuren ausgehend von 2-Ethylhexanol
KR101982693B1 (ko) 2014-08-25 2019-05-27 에이에스엠엘 홀딩 엔.브이. 측정 방법, 측정 장치, 리소그래피 장치 및 디바이스 제조 방법
CN106631756A (zh) * 2016-12-14 2017-05-10 安阳师范学院 有机强酸催化合成有机羧酸的方法
CN106582858B (zh) * 2016-12-20 2019-08-27 沈阳化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制备α-烯烃低聚物的催化剂及其聚合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29839A1 (de) * 1999-02-17 2000-08-23 Oxeno Olefinchemie GmbH Verfahren zur Fraktionierung von Dibuten
WO2002024700A2 (en) * 2000-09-20 2002-03-28 Pharmacia & Upjohn Company SUBSTITUTED AZEPINO[4,5b]INDOLINE DERIVATIVES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31877A (en) 1952-03-24 1958-04-22 Studiengesellschaft Kohel Mit Production of carboxylic acids from olefins
US2876241A (en) * 1954-05-15 1959-03-03 Studiengesellschaft Kohle Mit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arboxylic acids
DE972291C (de) * 1954-05-16 1959-07-02 Studiengesellschaft Kohle 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onocarbonsaeuren aus Olefinen, Kohlenoxyd und Wasser
BE566845A (ko) * 1957-04-24 1900-01-01
GB871278A (en) * 1958-12-15 1961-06-28 Shell Int Research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carboxylic acids
US3059006A (en) * 1958-12-24 1962-10-16 Shell Oil Co Production of organic acids
US3061621A (en) 1959-01-26 1962-10-30 Studiengesellschaft Kohle Mbh Process for producing carboxylic acids from olefins, carbon monoxide and water
US3053869A (en) 1959-12-31 1962-09-11 Standard Oil Co Carboxylic acids
US3059007A (en) * 1960-01-15 1962-10-16 Shell Oil Co Production of carboxylic acids
US3068256A (en) 1960-08-17 1962-12-11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Process for producing carboxylic acids
US3282993A (en) * 1962-02-19 1966-11-01 Texaco Inc Carbonylation process
GB1182519A (en) * 1968-11-15 1970-02-25 Shell Int Research Process of the 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s
EP0296275B2 (en) * 1987-06-23 1996-10-09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Carboxylic acid mixtur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5229461A (en) * 1990-05-22 1993-07-20 Daikin Industries, Ltd. Vinylidene fluoride copolymer and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GB9110110D0 (en) 1991-05-10 1991-07-03 Shell Int Researc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vinyl derivatives
JPH09505070A (ja) 1993-11-17 1997-05-20 シエル・インターナシヨネイル・リサーチ・マーチヤツピイ・ベー・ウイ エチレン性不飽和化合物の製造方法
US5430179A (en) * 1994-07-28 1995-07-04 Union Carbide Chemicals & Plastics Technology Homogeneous process for the ruthenium catalyzed addition of carboxylic acids to alkynes
ZA979132B (en) 1996-10-15 1998-07-17 Shell Int Research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vinylesters
TW455584B (en) 1998-09-23 2001-09-21 Shell Int Research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glycidylesters of branched carboxylic acids
KR100633971B1 (ko) 1998-10-22 2006-10-16 레졸루션 레사아치 네덜란드 비.브이. 알파,알파-측쇄 카복실산의 제조방법
DE19908320A1 (de) 1999-02-26 2000-08-31 Oxeno Olefin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inylestern aus Butenoligomer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29839A1 (de) * 1999-02-17 2000-08-23 Oxeno Olefinchemie GmbH Verfahren zur Fraktionierung von Dibuten
WO2002024700A2 (en) * 2000-09-20 2002-03-28 Pharmacia & Upjohn Company SUBSTITUTED AZEPINO[4,5b]INDOLINE DERIVATIV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9203A (ko) * 2010-12-22 2013-10-07 모멘티브 스페셜티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 알파, 알파 분지형 산 조성물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KR101575443B1 (ko) * 2010-12-22 2015-12-07 헥시온 인코포레이티드 알파, 알파 분지형 산 조성물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KR101629070B1 (ko) * 2010-12-22 2016-06-09 헥시온 인코포레이티드 알파, 알파 분지형 산 조성물의 글리시딜 에스테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1659A (ko) 2004-03-10
US20050176979A1 (en) 2005-08-11
EP1412315A1 (en) 2004-04-28
CN1277795C (zh) 2006-10-04
CN1541198A (zh) 2004-10-27
WO2003011806A1 (en) 2003-02-13
US7151192B2 (en) 2006-12-19
EP1281700A1 (en) 2003-02-05
EP1412315B1 (en) 2013-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2694B1 (ko) 개선된 연성의 에스테르를 제공하는 α,α-분지 알칸카르복시산의 합성을 위한 제조방법
RU2094420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меси с9-спиртов для пластификаторов
EP1515934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c13-alkoholgemischen
US7501548B2 (en) Oligomerization of isobutene-containing feedstocks
TWI487692B (zh) 由2-乙基己醇製造異壬酸之製法和製品及其衍生物之製法
KR20020073154A (ko) 선택적 올레핀 올리고머화
CA2298871A1 (en) Process for fractionating dibutene
JP4681095B2 (ja) ブテンオリゴマーからビニルエステルを製造する方法、コモノマーおよび可塑剤としてのその使用
TW201500343A (zh) 由2-乙基己醇製造包含三級異壬酸混合物之製法及其衍生物之製備
JP4292072B2 (ja) t−ブタノールの製法
JPH0564933B2 (ko)
US3776974A (en) Linear monoolefin production
EP0505807B1 (en) Olefin purification process
CN112409120A (zh) 借助于优化的蒸馏使烯烃低聚的方法
US4229586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motor fuel and phthalate esters or acyclic alcohols
JPH0669974B2 (ja) 可塑剤用アルコールの製造法
US4209652A (en) Process for production of motor fuel and phthalate esters or acyclic alcohols
US2731503A (en) Alcohol synthesis process
KR20140015419A (ko) 1―부텐 및 1,3―부타디엔 유도체를 제조하는 방법
CN112409119A (zh) 借助于优化的蒸馏使烯烃低聚的方法
CN111943798A (zh) 用于抑制c3-至c5-烯烃的低聚的方法
EP0665205A1 (en) Reactive separation process
MXPA00001451A (en) Process for fractionating dibut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