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8420B1 -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 - Google Patents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8420B1
KR100898420B1 KR1020070091996A KR20070091996A KR100898420B1 KR 100898420 B1 KR100898420 B1 KR 100898420B1 KR 1020070091996 A KR1020070091996 A KR 1020070091996A KR 20070091996 A KR20070091996 A KR 20070091996A KR 100898420 B1 KR100898420 B1 KR 100898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dar
mushrooms
wood
short
mush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19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915A (ko
Inventor
장시흡
Original Assignee
장시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시흡 filed Critical 장시흡
Priority to KR10200700919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8420B1/ko
Publication of KR20090026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8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8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40Cultiv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50Inoculation of spaw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15/00Fungi; Liche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4Fungi;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16Yeasts;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은, 삼나무 원목을 절단하고, 생이스트 수용액에 준비한 삼나무 원목을 24 시간 동안 침지하여 전처리한 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에 넣고 밀봉하여 고온살균한 다음, 무균실에서 꺼내어 20 ~ 25 ℃에서 24 ~ 36 시간 동안 냉각하고, 여기에 꽃송이버섯 종균을 원목의 상층부에 18 ~ 22 ㎖ 씩 골고루 접종하고, 25 ℃ 에서 80 ~ 90 일 동안 암실에서 배양한 후, 발이를 유도하고, 자실체를 생장시켜 꽃송이버섯을 수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삼나무 원목을 이용하여 소규모 재배가 가능하고, 2 ~ 5 년 동안 연속수확이 가능하여 일반 농가에서도 저비용으로 쉽게 재배할 수 있는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이 제공된다.
꽃송이버섯, 삼나무, 원목, 생이스트, 폴리프로필렌

Description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SHORT PERIOD CULTIVATION OF SPARASSIS CRISPA USING CRYPTOMERIA CABER}
본 발명은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삼나무 원목을 절단하고 생이스트 수용액에 침지한 후, 종균 접종하고 암배양 한 다음, 자실체 발이를 유도하고, 생육하여 꽃송이버섯을 단기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 Wulf.ex.Fr.)은 담자균류 민주름버섯목 꽃송이버섯과의 버섯으로서, 자실체는 하얀 꽃 모양으로 10 ~ 25 ㎝ 크기의 꽃양배추 모양을 하고 있으며, 식용버섯으로서 씹는 맛이 좋고 송이버섯과 같은 향이 나서 꽃모양을 하고 있는 송이버섯과 같다고 하여 꽃송이버섯이라고 부른다.
또한, 꽃송이버섯은 가을에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너도밤나무, 메밀잣나무 등 침엽수 또는 활엽수의 뿌리 부근 땅 위나 그루터기 위에 단생하는 근주심재 갈색 부후성 버섯이며, 베타글루칸이 풍부하여 항암, 항고혈압, 항당뇨, 항진균활 성 등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474980(꽃송이 버섯의 인공 재배 방법)에는, 침엽수와 광엽수의 나무가루를 5:1 내지 3:1의 중량비율로 배합하여 배지를 만들고, 고온살균한 후, 종균을 접종하고, 만연전 배양, 승온배양, 강온/광조사 배양을 통해 꽃송이 버섯을 인공재배하는 방법에 대해 공개되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449947(꽃송이버섯의 인공재배법)에는, 낙엽송과 활엽수를 혼합한 배지에 활성탄 및 활성칼슘을 첨가하고, 질소원을 첨가해서 고온으로 살균한 후, 꽃송이버섯 균사를 배양하여 인공배양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 공개되어 있다.
상기의 발명들과 같이 종래에는 톱밥(나무가루)을 이용하여 병재배를 해왔으나, 그 재배가 매우 어렵고, 시설비가 많이 들어 소규모의 일반 농가에서 활용하기에는 어려운 문제가 있어, 꽃송이버섯의 재배가 확대되지 못하고 일부 농가에서만 대량으로 재배를 시도하고 있으며, 그 수확량도 저조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나무 원목을 이용하여 소규모 재배가 가능하고, 2 ~ 5 년 동안 연속수확이 가능하여 일반 농가에서도 저비용으로 쉽게 재배할 수 있는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은, 삼나무 원목을 절단하여 준비하는 제1공정, 생이스트 수용액을 준비하는 제2공정, 제2공정에서 제조한 생이스트 수용액에 제1공정에서 준비한 삼나무 원목을 24 시간 동안 침지하여 전처리하는 제3공정, 제3공정을 거쳐 전처리된 삼나무 원목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에 넣고 밀봉처리하는 제4공정, 밀봉처리된 원목을 고온살균하는 제5공정, 제5공정에서 고온살균된 원목을 무균실에서 꺼내어 20 ~ 25 ℃에서 24 ~ 36 시간 동안 냉각시키는 제6공정, 무균실에서 냉각시킨 원목에 꽃송이버섯 종균을 원목의 상층부에 18 ~ 22 ㎖ 씩 골고루 접종하는 제7공정, 제7공정의 종균을 접종한 원목을 25 ℃ 에서 80 ~ 90 일 동안 암실에서 배양하는 제8공정, 제8공정에서 종균배양된 원목에서 꽃송이버섯 자실체 발이를 유도하는 제9공정, 제9공정의 자실체 발이가 유도된 원목에서 자실체를 생장시키는 제10공정, 버섯을 수확하는 제11공정을 거쳐 꽃송이버섯을 단기재배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버섯은 원목재배, 균상재배, 병재배 등을 통해 재배를 해왔으며, 그 중 꽃송이버섯은 재배가 까다로워 인공재배에 번번히 실패하는 경우가 많았고, 다른 일반적인 버섯보다 재배가 더 어려워 주로 톱밥을 이용한 병재배를 통해 재배해 왔다.
그러나, 꽃송이버섯은 병재배 또한 재배가 쉽지 않아 상업화가 어려운 상황 이었으며, 병재배는 한번 수확한 후 반복생산이 어려우며, 대량생산 체제이므로 시설비가 고가이고 재배비용이 많이 들어 일반 농가에서는 재배가 어려운 실정이었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반 농가에서도 저비용으로 쉽게 꽃송이버섯을 재배할 수 있는 방법을 찾기 위해 오랜 시간 동안 수많은 시행착오를 겪으며 연구하던 중 원목을 이용하여 저비용으로 소규모로 일반 농가에서도 재배가 용이한 방법을 찾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꽃송이버섯이 침엽수의 그루터기나 뿌리부분에서 자생하는 점에서 착안해 인공재배시 전나무, 소나무 등 침엽수의 톱밥을 이용하여 인공재배해 왔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톱밥을 이용한 병재배법이 아닌 원목을 이용하여 소규모로도 가능하고, 재배방법이 쉽고, 재배기간이 짧으면서, 수확량도 늘릴 수 있는 꽃송이버섯의 재배방법을 찾던 중 침엽수 중에서도 특히 삼나무 원목을 이용하는 경우가 같은 조건에서 다른 침엽수종에 비하여 월등히 발이가 잘 되고, 버섯의 맛과 향이 좋아지고, 육질도 더욱 좋아진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 D.Don)는 낙우송과의 침엽수로서, 약용, 관상용, 가구재 등으로 이용되며, 특히 제주도에서는 방풍림으로 이용되고 있는 나무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이러한 삼나무를 벌채하여 그늘에서 30 ~ 40 일 동안 자연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삼나무 원목을 이용해서 꽃송이버섯 종균을 접종하여 인공재배를 시도한 결 과 삼나무 원목의 길이가 버섯의 자실체 발이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즉, 삼나무 원목의 길이가 16 ㎝를 초과하면 열 전도율이 떨어지고 원목의 멸균처리가 어렵고, 양분의 이동능력이 떨어져 자실체 발이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12 ㎝ 미만은 발이유도는 잘되나 길이가 너무 짧아 1차 수확 후 연속수확률이 낮아져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삼나무 원목을 12 ~ 16 ㎝ 길이로 절단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삼나무 원목에 종균을 접종한 후 배양도 잘 이루어 지고, 발이 유도율도 더욱 높이기 위해 많은 시행착오를 겪던 중, 생이스트 수용액에 24 시간 동안 침지시키는 전처리방법을 통해 원목에 접종된 종균이 잘 배양되면서 발이율을 높일 수 있게 되었다.
이때, 전처리에 사용하는 생이스트 수용액은 정제수에 생이스트를 전체 중량대비 0.02 ~ 0.05 중량%를 첨가하여 제조하고, 이렇게 제조한 수용액에 원목을 24 시간 동안 침지시키면 종균 배양 후 발이가 잘 되고, 발이 유도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아지는 것을 알 게 되었다.
또한, 생이스트 수용액에 침지한 원목은 고온살균한 후 종균을 접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원목을 고온살균할 때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기 위해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에 넣고 밀봉한 후, 121 ℃에서 90 분간 살균처리하고, 무균실에서 꺼 내어 20 ~ 25 ℃에서 24 ~ 36 시간 동안 냉각시킨다.
본 발명에서 이용한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은 최대한 외부로부터의 감염을 막고, 종균 접종시에도 외부와의 노출을 막기 위해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일측에 종균접종 홈을 구성하도록 제작된 것이다.
살균처리 후 냉각시킨 밀봉된 상태의 원목에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의 홈을 통해 원목의 상층부에 종균을 접종한다.
이때, 꽃송이버섯의 종균을 원목 당 18 ~ 22 ㎖ 씩 골고루 접종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이렇게 접종한 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의 홈을 봉함한 다음, 25 ℃ 에서 80 ~ 90 일 동안 암실에서 배양한다.
암실 배양한 원목을 폴리프로필렌 비닐을 제거하지 않은 채 습도 70 ~ 80 %, 온도 22 ~ 25 ℃, 광도 200 lux 조건에서 1 개월 동안 꽃송이버섯의 자실체 발이를 유도한다.
이때, 습도가 70 % 미만이거나, 80 %를 초과하면 발이가 잘 되지 않는 문제가 있으므로 70 ~ 80 %인 경우가 가장 바람직하고, 온도는 22 ~ 25 ℃로 조절하는 것이 발이 유도에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광도는 200 lux 미만인 경우에는 발이가 되지 못하거나 발이까지 걸리는 시간 및 발이 후 수확까지 걸리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가 생기고, 200 lux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핀(pin head) 발이가 어려운 문제가 생기므로 발이 유도에 가장 바람직한 광도는 200 lux이다.
발이가 유도되면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을 제거하지 않은 채 재배사로 옮 기고, 습도 70 ~ 90 %, 온도 22 ~ 25 ℃의 조건에서 자실체를 생장시킨다.
이때, 자실체가 생장하는 위치나 모습, 속도 등을 관찰하면서 비닐을 적절히 개방시켜 준다.
또한, 버섯 발생 후 10 일 ~ 2 개월 동안 생육시킨 후 수확하여 꽃송이버섯을 인공재배한다.
이렇게 꽃송이버섯을 1차 수확한 후, 온도를 20 ℃ 정도로 낮추고, 관수를 통해 습도를 70 %로 올려주면 원목의 넒이 또는 크기에 따라 2 ~ 5년 동안 연속으로 수확이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의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공정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공정>
1. 제1공정 : 삼나무 원목 준비
삼나무 원목을 벌채한 후, 그늘에서 30 ~ 40 일 동안 자연건조하고, 12 ~ 16 ㎝ 길이로 절단하여 준비한다.
2. 제2공정 : 생이스트 수용액 제조
정제수에 생이스트를 전체 중량대비 0.02 ~ 0,05 중량% 넣고 혼합하여 생이스트 수용액을 제조한다.
3. 제3공정 : 전처리
침수조에 제2공정에서 준비한 생이스트 수용액을 넣고, 여기에 제1공정에서 준비한 삼나무 원목을 넣어 24 시간 동안 침지하여 전처리한다.
4. 제4공정 : 밀봉
상기의 제3공정을 거쳐 전처리된 삼나무 원목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에 넣고 밀봉처리한다.
5. 제5공정 : 고온살균
제4공정에서 밀봉처리된 원목을 121 ℃에서 90 분간 고온살균한다.
6. 제6공정 : 냉각
상기의 제5공정에서 고온살균된 원목을 무균실에서 꺼내어 20 ~ 25 ℃에서 24 ~ 36 시간 동안 냉각시킨다.
7. 제7공정 : 종균 접종
상기 제6공정을 거친 원목의 상층부에 비닐의 종균접종 홈을 통해 종균을 원목 1 개당 18 ~ 22 ㎖ 씩 골고루 접종하고 다시 봉함한다.
8. 제8공정 : 암실 배양
상기 제7공정의 종균을 접종한 원목을 25 ℃ 에서 80 ~ 90 일 동안 암실에서 배양한다.
9. 제9공정 : 발이 유도
제8공정에서 종균배양된 원목을 습도 70 ~ 80 %, 온도 22 ~ 25 ℃, 광도 200 lux 조건에서 1 개월 동안 꽃송이버섯의 자실체 발이를 유도한다.
10. 제10공정 : 자실체 생장
제9공정의 발이가 유도된 원목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을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재배사로 옮겨 심는다.
이때, 재배사 토질은 모래가 섞여 물빠짐이 좋은 토양을 선택하며, 재배사의 습도는 70 ~ 90 %, 온도는 22 ~ 25 ℃의 조건에서 자실체를 생장시킨다.
11. 제11공정 : 수확
자실체 발생 후 10일 ~ 2 개월 동안 생육시켜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을 1차 수확한다.
한편, 본 발명의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재배방법은 전처리부터 수확까지 4 ~ 6 개월이 걸리는 단기재배방법이다.
특히, 삼나무 원목을 이용하면 톱밥을 이용한 병재배 시에는 불가능했던 연속재배가 가능하다.
즉, 처음 수확 후 원목의 두께에 따라 2 ~ 5 년 까지 온도와 수분조절만으로 연속수확을 할 수 있어 꽃송이버섯의 재배가 종래에 비해 훨씬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재배된 꽃송이버섯은 종래의 꽃송이버섯에 비해 그 맛과 향이 진하고 풍부해서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버섯이다.
본 발명에 의해 삼나무 원목을 이용하여 소규모 재배가 가능하고, 2 ~ 5 년 동안 연속수확이 가능하여 일반 농가에서도 저비용으로 쉽게 재배할 수 있는 꽃송이버섯 단기재배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맛과 향이 진하고 풍부한 꽃송이버섯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나, 이들이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 1
제주도 서귀포시 호근동에서 감귤농장 방풍림으로 사용되던 삼나무를 12 월에 벌채하여 준비하였다.
이 삼나무를 그늘에서 30 일 동안 자연건조하고, 12 ㎝ 길이로 절단하여 준비하였다.
침수조에 정제수 1 톤을 넣고, 생이스트 20 ㎏을 넣고 혼합하여 생이스트 수용액을 만든 후, 여기에 삼나무 원목을 24 시간 동안 침지시켜 전처리하였다.
전처리된 삼나무 원목을 꺼내어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에 넣고 밀봉한 후, 121 ℃에서 90 분간 고온살균하고, 무균실에서 꺼내어 22 ℃에서 24 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살균처리 후 냉각된 원목의 상층부에 봉함되어 있던 종균접종 홈의 마개를 열고, 그 종균접종 홈을 통해 종균을 원목 1 개당 18 ㎖씩 접종하고, 비닐을 다시 봉함한 후 25 ℃ 에서 80 일 동안 암실에서 배양하였다.
암실 배양한 원목을 습도 70 %, 온도 22 ℃, 광도 200 lux 조건에서 1 개월 동안 자실체 발이를 유도하였다.
발이 유도 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을 제거하지 않은 채 재배사로 옮겨 심고, 습도는 70 %, 온도는 22 ℃의 조건에서 자실체를 생장시키고, 생육하여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을 수확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 2
제주도 서귀포시 호근동에서 감귤농장 방풍림으로 사용되던 삼나무를 12 월에 벌채하여 준비하였다.
이 삼나무를 그늘에서 30 일 동안 자연건조하고, 15 ㎝ 길이로 절단하여 준비하였다.
침수조에 정제수 1 톤을 넣고, 생이스트 30 ㎏을 넣고 혼합하여 생이스트 수용액을 만든 후, 여기에 삼나무 원목을 24 시간 동안 침지시켜 전처리하였다.
전처리된 삼나무 원목을 꺼내어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에 넣고 밀봉한 후, 121 ℃에서 90 분간 고온살균하고, 무균실에서 꺼내어 25 ℃에서 30 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살균처리 후 냉각된 원목의 상층부에 봉함되어 있던 종균접종 홈의 마개를 열고, 그 종균접종 홈을 통해 종균을 원목 1 개당 20 ㎖씩 접종하고, 비닐을 다시 봉함한 후 25 ℃ 에서 90 일 동안 암실에서 배양하였다.
암실 배양한 원목을 습도 80 %, 온도 24 ℃, 광도 200 lux 조건에서 1 개월 동안 자실체 발이를 유도하였다.
발이 유도 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을 제거하지 않은 채 재배사로 옮겨 심고, 습도 80 %, 온도 24 ℃의 조건에서 자실체를 생장시키고, 생육하여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을 수확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 3
제주도 서귀포시 호근동에서 감귤농장 방풍림으로 사용되던 삼나무를 12 월에 벌채하여 준비하였다.
이 삼나무를 그늘에서 40 일 동안 자연건조하고, 16 ㎝ 길이로 절단하여 준비하였다.
침수조에 정제수 1 톤을 넣고, 생이스트 50 ㎏을 넣고 혼합하여 생이스트 수용액을 만든 후, 여기에 삼나무 원목을 24 시간 동안 침지시켜 전처리하였다.
전처리된 삼나무 원목을 꺼내어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에 넣고 밀봉한 후, 121 ℃에서 90 분간 고온살균하고, 무균실에서 꺼내어 25 ℃에서 36 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살균처리 후 냉각된 원목의 상층부에 봉함되어 있던 종균접종 홈의 마개를 열고, 그 종균접종 홈을 통해 종균을 원목 1 개당 22 ㎖씩 접종하고, 비닐을 다시 봉함한 후 25 ℃ 에서 90 일 동안 암실에서 배양하였다.
암실 배양한 원목을 습도 80 %, 온도 25 ℃, 광도 200 lux 조건에서 1 개월 동안 자실체 발이를 유도하였다.
발이 유도 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을 제거하지 않은 채 재배사로 옮겨 심고, 습도 90 %, 온도 25 ℃의 조건에서 자실체를 생장시키고, 생육하여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을 수확하였다.
<실험예 1> 원목의 종류에 따른 발이유도 관찰실험
종래 꽃송이버섯의 인공재배 시 톳밥의 원료로 사용되는 침엽수 중에서 제주도에 자생하는 침엽수로 소나무, 구상나무, 편백나무, 삼나무 원목을 준비하였다.
준비한 원목을 그늘에서 30일 동안 자연건조한 후, 각각의 길이를 16 ㎝가 되도록 절단하여 준비하였다.
원목 재배하는 버섯의 통상적인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원목살균, 종균접종, 배양 등을 통하여 꽃송이버섯을 재배하여 처음 자실체의 발이가 관찰되는 기간을 아래의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 원목의 종류에 따른 발이기간 관찰결과
구 분 원목의 종류
소나무 구상나무 편백나무 삼나무
발이유도 기간 17 일 17.2 일 18.5 일 15 일
상기의 표 1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른 침엽수에 비해 삼나무 원목으로 꽃송이버섯을 재배한 경우에 자실체 발이유도 기간이 월등히 짧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삼나무 원목의 절단길이에 따른 발이유도 관찰실험
상기의 실험예 1과 같이 종래 버섯의 원목재배 방법으로 꽃송이버섯을 재배 하되, 삼나무 원목의 절단길이를 아래의 표 2와 같이 달리하여 처음 발이가 관찰되는데 걸리는 기간을 관찰하였다.
<표 2> 삼나무 원목의 절단길이에 따른 발이유도 기간
구 분 절단길이(㎝)
10 12 16 20 30
발이 유도기간 12.5 일 14 일 16 일 20 일 25 일
상기의 표 2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삼나무 원목의 절단 길이에 의해 발이 유도율이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20 ㎝ 이상인 경우에는 발이가 되는데 걸리는 기간이 너무 길어져 16 ㎝ 미만인 경우에 자실체의 발이유도 기간이 짧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원목재배시 원목의 길이가 자실체의 발이유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전처리 방법에 따른 발이 유도 관찰실험
상기의 실험예 2와 같이 종래 버섯의 원목재배 방법으로 꽃송이버섯을 재배하되, 삼나무 원목의 절단길이는 15 ㎝로 준비하고, 아래의 표 3과 같이 침지액을 달리하여 원목을 전처리하였고, 이렇게 전처리한 각각의 원목에 버섯종균을 접종하여 통상적인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처음 자실체의 발이가 관찰되는 데 걸리는 기간을 아래의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삼나무 원목의 전처리방법에 따른 발이유도 기간
구 분 전처리 방법
미처리 설탕물 막걸리 생이스트 수용액
발이유도 기간 15 일 14 일 12 일 9 일 6.5 일
상기의 표 3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삼나무 원목을 전처리한 후 종균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발이유도 기간을 관찰한 결과, 원목에 종래와 같이 전처리과정 없이 곧바로 종균을 접종한 경우에 비해 전처리를 한 경우의 발이유도 기간이 보다 짧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전처리방법에 의해 자실체의 발이유도 기간이 달라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생이스트 수용액을 이용하여 전처리한 경우에 꽃송이버섯의 재배에 적합하여 발이유도 기간을 월등히 단축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발이 유도 조건에 따른 유도기간 관찰실험
상기의 실험예 3과 같은 방법으로 꽃송이버섯을 재배하되, 농도가 0.05 %인 생이스트 수용액에 24 시간 동안 원목을 침지하여 전처리한 후 종균을 접종하였다.
이때, 배양 조건을 아래 표 4 내지 6과 같이 달리하여 배양조건이 발이 유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관찰하였다.
<표 4> 발이 유도 시 습도 조건에 따른 발이유도 기간
구 분 온도 25 ℃, 광도 200 lux
습도 60 % 습도 70 % 습도 80 % 습도 90 %
발이 유도기간 - 5.3 일 5.1 일 6.9 일
<표 5> 발이 유도 시 온도 조건에 따른 발이유도 기간
구 분 습도 80 %, 광도 200 lux
온도 15℃ 온도 20 ℃ 온도 22 ℃ 온도 25 ℃ 온도 28 ℃
발이 유도기간 - 15 일 5.9 일 5.2 일 -
<표 6> 발이 유도 시 광도 조건에 따른 발이유도 기간
구 분 온도 25 ℃, 습도 80 %
광도 0 lux 광도 100 lux 광도 200 lux 광도 300 lux
발이 유도기간 - 12.5 일 5.2 일 -
상기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습도가 60 % 인 경우에는 발이가 유도되지 않았고, 온도가 20 ℃ 이하인 경우와 25 ℃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발이가 유도되지 않았으며, 빛을 처리하지 않은 경우와 200 lux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발이가 유도되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발이 유도시 가장 적절한 조건은 습도 70 ~ 80 %, 온도 22 ~ 25 ℃, 광도 200 lux인 경우에 그 발이유도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관능실험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의 방법에 의해 재배한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을 준비하였다.
또한, 종래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병재배된 꽃송이버섯을 시중에서 구입하여 준비하였다.
상기의 꽃송이버섯에 대하여 관능실험을 실시하였다.
관능검사는 맛, 향, 질감, 기호도로 구분하여 9점 평정법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연령과 성별을 고려하여 10 ~ 40대 성인 남녀를 각각 연령대별로 10명씩 총 40명을 선발하였다.
관능검사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관능실험 결과
구 분 질감 기호도 종합
실시예 1 8.7 8.8 8.8 8.8 8.78
실시예 2 8.8 8.9 8.9 8.9 8.88
실시예 3 8.9 8.9 8.9 8.9 8.90
종래의 꽃송이버섯 7.9 7.8 7.8 7.8 7.83
* 관능검사 수치(9 : 아주 좋음, 0 : 아주 나쁨)
상기 표 7의 결과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방법과 같이 병재배한 꽃송이버섯에 비하여 본 발명의 삼나무 원목을 이용해 재배한 꽃송이버섯의 맛과 향이 증진되고, 질감이 더욱 쫄깃하여 기호성이 더 좋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단기재배공정 중 삼나무 원목 준비공정 사진
A : 원목 준비, B : 원목 절단
도 2는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단기재배공정 중 전처리공정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단기재배공정 중 밀봉처리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단기재배공정 중 고온살균공정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단기재배공정 중 고온살균 후 냉각처리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단기재배공정 중 종균접종공정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단기재배공정 중 배양공정 사진
도 8은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단기재배공정 중 자실체 생장공정 사진
A : 발이유도된 후 재배사로 옮긴 상태
B : 재배사로 옮겨 비닐을 벗긴 직후
C : 재배사로 옮긴 2주 후
D : 재배사로 옮긴 3주 후
도 9는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 수확 후 사진

Claims (5)

  1.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에 있어서,
    삼나무 원목을 12 ~ 16 ㎝ 길이로 절단하여 준비하는 제1공정,
    생이스트 수용액을 준비하는 제2공정,
    제2공정에서 제조한 생이스트 수용액에 제1공정에서 준비한 삼나무 원목을 24 시간 동안 침지하여 전처리하는 제3공정,
    제3공정을 거친 삼나무 원목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에 넣고 밀봉처리하는 제4공정,
    제4공정에서 밀봉된 삼나무 원목을 121 ℃에서 90 분간 고온살균하는 제5공정,
    제5공정에서 고온살균된 원목을 무균실에서 꺼내어 20 ~ 25 ℃에서 24 ~ 36 시간 동안 냉각시키는 제6공정,
    무균실에서 냉각시킨 원목에 꽃송이버섯 종균을 원목의 상층부에 접종하는 제7공정,
    제7공정의 종균을 접종한 원목을 25 ℃ 에서 80 ~ 90 일 동안 암실에서 배양하는 제8공정,
    제8공정에서 종균배양된 원목에서 꽃송이버섯 자실체 발이를 유도하는 제9공정,
    제9공정의 자실체 발이가 유도된 원목에서 자실체를 생장시키는 제10공정,
    버섯을 수확하는 제11공정을 거쳐 꽃송이버섯을 재배하는 것으로 구성된,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2공정의 생이스트 수용액은, 생이스트를 정제수에 전체 중량대비 0.02 ~ 0.05 %를 넣고 제조하는 것이 특징인,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제7공정의 종균접종 시, 원목의 상층부에 꽃송이버섯 종균을 원목 1 개당 18 ~ 22 ㎖ 씩 골고루 접종하는 것이 특징인,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제9공정의 자실체 발이유도 시, 제8공정에서 종균배양된 원목을 습도 70 ~ 80 %, 온도 22 ~ 25 ℃, 광도 200 lux 조건에서 1 개월 동안 꽃송이버섯의 자실체 발이를 유도하는 것이 특징인,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10공정의 자실체는, 제9공정의 발이가 유도된 원목을 내열성 폴리프로필렌 비닐을 제거하지 않은 채 재배사로 옮겨 심고, 습도 70 ~ 90 %, 온도 22 ~ 25 ℃의 조건에서 자실체를 생장시키는 것이 특징인,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
KR1020070091996A 2007-09-11 2007-09-11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 KR100898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996A KR100898420B1 (ko) 2007-09-11 2007-09-11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1996A KR100898420B1 (ko) 2007-09-11 2007-09-11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915A KR20090026915A (ko) 2009-03-16
KR100898420B1 true KR100898420B1 (ko) 2009-05-21

Family

ID=40694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1996A KR100898420B1 (ko) 2007-09-11 2007-09-11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842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74995A (zh) * 2015-12-21 2016-04-13 镇江盛弘景观植物有限公司 一种野生鸡枞菌的栽培驯化方法
KR20160097455A (ko) 2015-02-06 2016-08-18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꽃송이버섯 재배 장치
CN109937804A (zh) * 2019-04-30 2019-06-28 容益(海南)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采用缩口环的绣球菌袋栽装置及使用方法
KR20210143373A (ko) 2020-05-19 2021-11-29 농업회사법인 해국 유통 주식회사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336A (ko) * 2002-05-03 2002-06-22 농업회사법인 하나바이오텍(주) 꽃송이버섯(하나비라타케, 학명:스파라시스 크리스파) 및상황버섯(휄리너스 린테우스)의 원목을 이용한 단기재배방법
KR20060039475A (ko) * 2004-11-03 2006-05-09 김정석 꽃송이버섯의 인공 재배방법
JP2007202545A (ja) 2006-02-01 2007-08-16 Yoshihisa Imagawa きのこ栽培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336A (ko) * 2002-05-03 2002-06-22 농업회사법인 하나바이오텍(주) 꽃송이버섯(하나비라타케, 학명:스파라시스 크리스파) 및상황버섯(휄리너스 린테우스)의 원목을 이용한 단기재배방법
KR20060039475A (ko) * 2004-11-03 2006-05-09 김정석 꽃송이버섯의 인공 재배방법
JP2007202545A (ja) 2006-02-01 2007-08-16 Yoshihisa Imagawa きのこ栽培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7455A (ko) 2015-02-06 2016-08-18 인지전기공업 주식회사 꽃송이버섯 재배 장치
CN105474995A (zh) * 2015-12-21 2016-04-13 镇江盛弘景观植物有限公司 一种野生鸡枞菌的栽培驯化方法
CN109937804A (zh) * 2019-04-30 2019-06-28 容益(海南)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采用缩口环的绣球菌袋栽装置及使用方法
CN109937804B (zh) * 2019-04-30 2021-10-26 容益(海南)农业开发有限公司 一种采用缩口环的绣球菌袋栽装置及使用方法
KR20210143373A (ko) 2020-05-19 2021-11-29 농업회사법인 해국 유통 주식회사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915A (ko) 2009-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03856B (zh) 一种适宜在北方地区的辣木栽培方法
CN108401788B (zh) 一种茯苓的栽培方法
CN105766654B (zh) 一种南川木菠萝组织培养方法
CN104855292A (zh) 一种牛樟茎段组培快繁的方法
CN106538251A (zh) 一种降低大叶种茶树萎芽病的快速育苗方法
KR100898420B1 (ko) 삼나무 원목을 이용한 꽃송이버섯의 단기재배방법
KR100483333B1 (ko) 발효톱밥을 이용한 꽃송이버섯 재배방법
CN104996300A (zh) 一种南酸枣的组织培养方法
CN106171515A (zh) 一种外生菌根真菌与松属植物的共生关系建立方法
KR101006734B1 (ko) 접 붙이기 수단을 이용한 관상용 영지버섯 제조방법
CN108739403A (zh) 一种黄花梨木的组培快繁方法
Bhandaria et al. Benefit-cost ratio analysis of pleurotus mushroom cultivation using dif-ferent substrates in campus of live sciences, Dang, Nepal
CN105794650A (zh) 一种通过未成熟种子保存极小种群广西越桔后代的方法
CN107018897B (zh) 一种利用睡莲组织快速育种的方法
CN105265223A (zh) 一种迷迭香的扦插繁殖方法
CN111567318A (zh) 一种缩短桑黄发菌菌包培养的方法和栽培桑黄的方法
Jarial et al. Evaluation of different grain substrates for the spawn production of Pleurotus cornucopiae
TWI714499B (zh) 具經濟價值之塊菌接種至Castanea屬植物形成菌根苗的方法
RU2386239C2 (ru) Способ культивирования гриба весёлки обыкновенной
KR960000493B1 (ko) 복령의 인공재배방법
KR20030058463A (ko) 뽕나무를 이용한 상황버섯의 대량 재배방법
KR102049916B1 (ko) 고로쇠 수액을 이용한 간장 및 그의 제조방법
CN107232018A (zh) 一种提子的种植方法
JPH10215678A (ja) 菌根菌の子実体の人工栽培方法
CN109041841B (zh) 红花槭的快速扦插工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