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659B1 - 쵸콜렛쿠키형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쵸콜렛쿠키형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659B1
KR100886659B1 KR1020070064076A KR20070064076A KR100886659B1 KR 100886659 B1 KR100886659 B1 KR 100886659B1 KR 1020070064076 A KR1020070064076 A KR 1020070064076A KR 20070064076 A KR20070064076 A KR 20070064076A KR 100886659 B1 KR100886659 B1 KR 100886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hocolate
wire
mesh
chocolate cook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40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356A (ko
Inventor
최희돈
김윤숙
박용곤
양승용
김성수
최인욱
박동준
유종현
Original Assignee
한국식품연구원
주식회사 엄마사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식품연구원, 주식회사 엄마사랑 filed Critical 한국식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0640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659B1/ko
Publication of KR20090002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1/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0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 A23G1/32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23G1/48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containing plants or parts thereof, e.g. fruits, seeds,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002Processes of manufacture not relating to composition and compounding ingredients
    • A23G3/0004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 A23G3/0006Manufacture or treatment of liquids, pastes, creams, granules, shred or powder
    • A23G3/001Mixing, kneading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98Dry unshaped finely divided cereal produc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7/117 - A23L7/196 and A23L29/00, e.g. meal, flour, powder, dried cereal creams or extrac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Botan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분급을 이용하여 60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선식분말을 선별하고, 이를 쵸콜렛과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쵸콜렛쿠키형 선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관능적 특성이 전체적으로 우수한 선식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선식제품의 저변확대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초콜렛쿠키형 선식, 공기분급

Description

쵸콜렛쿠키형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Chocolate-cookie Type Sunshik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쵸콜렛쿠키형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공기분급을 이용하여 60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선식분말을 선별하고, 이를 쵸콜렛과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쵸콜렛쿠키형 선식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현대인은 동물성 식품과 여러 가지 가공식품의 과다섭취로 인하여 과거에는 문제가 되지 않았던 고혈압, 당뇨병, 관상동맥질환, 중풍, 담낭이상, 자궁경부암,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 등 각종 성인병에 노출되어 있다. 성인병 발생의 주요 원인은 열량과다, 지방섭취의 증가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지방섭취의 증가는 체내 지질함량을 증가시켜 순환기계 질환을 유발시키고 있으며, 유발된 순환기계 질환의 대표적인 예로는 고지혈증(hyperlipidemia)을 들 수 있는데, 이는 다양한 질병을 유발시킬 수 있어, 이를 치료할 수 있는 약물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 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 다양한 종류의 고지혈증 치료제가 개발되고, 일부는 상업적으로 판매되었으나, 이들 치료제의 대부분은 부작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보고되었다.
최근에는, 이처럼 부작용이 우려되는 약물에 의존하지 않고, 식이요법을 이용하여, 고지혈증을 예방 및 치료하는 방법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식이요법(diet therapy)이란, 환자에게 알맞은 일정한 식품조성을 가진 식사를 주어 병의 경과를 호전시키거나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의미하며, 병의 종류에 따라, 사용되는 식품구성이 각각 상이하게 변화한다. 예를 들어, 고지혈증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는 식이요법은 주로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음식이나 포화지방(동물성 지방)의 섭취를 억제하고, 총 열량 섭취를 감소시키며, 혈중 과산화지질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비타민 C와 E 등을 장복함으로써, 체내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축적을 억제하거나 또는 과량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을 소모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전문가의 처방에 의하지 않은 식이요법을 사용할 경우에는, 영양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2차적인 질병이 발병될 수도 있기 때문에, 전문가의 도움이 없이도 안전하게 식이요법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보조식품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보조식품 중에서 가장 주목받고 있는 보조식품은, 증자한 다양한 곡물류 또는 엽채류를 동결 건조하고, 이를 마쇄하여 제조된 선식이다. 선식은 가열에 의한 영양소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전혀 가열하지 않는 생식과는 달리 변성된 곡물의 전분을 포함하여, 소화기관에 부담을 주지않고 용이하게 소화될 수 있기 때 문에, 다양한 종류의 선식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615987호에는 일반인의 식사대용으로서는 물론 노약자의 영양공급에 적합한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571174호에는 청국장 콩 분말과 곡류의 분말을 포함하는 선식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429003호에는 감분말을 주재로 한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선식이 소비자들에게 환영받지 못하고 있는데, 가장 큰 이유는, 선식의 기호성이 낮기 때문이다. 현재, 시판되는 선식은 대부분 분말형태이므로, 물, 우유, 차 등의 음용할 수 있는 수용성 액체에 선식을 분산시키고, 이를 음용하는 방식으로 선식을 섭취하는데, 수용성 액체에 선식을 분산시킬 경우, 선식분말이 응결되어 음료수에 골고루 분산되지 않으므로, 선식을 섭취하는 소비자들에게 번거로움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이처럼 분산되지 않은 선식은 미각, 식감 등의 관능적 특성까지도 저하되므로, 소비자들에게 환영받지 못하는 주된 이유가 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곡류를 포함하는 선식분말을 물에 분산시킬 필요없이 쵸콜렛과 혼합하여 섭취의 편의성과 기호성을 향상시킨 쵸콜렛쿠키 형태의 선식 제품이 개발되었다. 상기 제품은 선식분말을 물에 분산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선식분말을 물에 분산시킴으로서 발생되는 종래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었으나, 상기 제품은 섭취시에 모래알을 씹는 듯한 거친 식감 및 입안에서의 퍽퍽한 식감을 나타낸다는 새로운 문제점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상기 제품에 포 함된 분말의 입자크기에 기인한 것으로서, 입자크기가 큰 분말의 함량이 많을 경우에는 모래알을 씹는 듯한 거친 식감이 나타나고, 입자크기가 작은 분말의 함량이 많을 경우에는 입안에서의 퍽퍽한 식감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식감이 개선된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여야할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식감이 개선된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공기분급을 이용하여 입자크기가 60메쉬 이하인 분말을 선별하고, 선별된 분말을 이용하여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할 경우, 모래알을 씹는 듯한 거친 식감이 감소되어 기호성이 우수한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높은 생산성으로 생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결국,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식감이 개선된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분말형 선식과 초콜렛을 혼합하여 제조한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식감이 열악함을 확인하고, 식감이 개선된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선식에 포함된 입자의 크기에 따라 입안에서 모래알을 씹는듯한 거친 식감과 퍽퍽한 느낌의 식감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식감이 개선된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다양한 입자의 크기를 갖는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한 결과, 공기분급 방법을 이용하여, 바람직하게는 60메쉬 이하의 입자크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4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선식분말을 선별하고, 이를 이용하여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할 경우, 식감이 개선된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종래의 메쉬를 이용한 방법을 이용할 경우 보다도 우수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국, 본 발명의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방법은 (i) 선식분말을 수득하고, 이를 1,000 내지 2,000rpm의 분급휠 속도로 공기분급하여 60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선식분말을 선별하는 공정; (ii) 초콜렛을 40 내지 6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상기 선별한 선식분말과 용해된 초콜렛을 7:3 내지 5:5(w/w)로 혼합하는 공정; 및, (iii) 상기 혼합물을 성형틀에 넣고, 냉각 및 고화시켜,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이때, 선식분말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곡류, 과일, 채소 및 해조류를 각각 60 내지 80℃의 열풍으로 건조시키고 혼합한 다음, 이를 분말화하고 조미료를 가하여 수득하거나, 또는 곡류, 과일, 채소 및 해조류를 각각 60 내지 80℃의 열풍으로 각각 건조시키고 분말화한 다음, 이들을 혼합하고, 조미료를 가하여 수득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곡류, 과일, 채소, 해조류 및 조미료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곡류는 보리, 현미, 검정콩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과일은 사과, 딸기, 포도, 복숭아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채소는 양파, 오이, 당근, 파슬리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해조류는 다시마, 미역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며, 조미료는 정백당, 식염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냉각은 0 내지 10℃에서 수행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관능적 특성이 전체적으로 우수한 선식제품을 우수한 생산성으로 제조할 수 있으므로, 선식제품의 저변확대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
쵸콜렛쿠키형 선식은 각종 재료의 분말을 혼합한 선식분말과 초콜렛을 혼합 하고, 이를 성형 및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보리건조분말 100g, 현미건조분말 100g, 검정콩건조분말 100g, 사과건조분말 10g, 복숭아건조분말 10g, 양파건조분말 10g, 다시마건조분말 10g, 정백당 5g 및 식염 5g을 혼합하여 선식분말을 수득하였다. 이때, 보리건조분말, 현미건조분말 및 검정콩건조분말은 보리, 현미 및 검정콩을 90℃의 온도에서 5분간 볶은 후, 이를 75℃의 열풍으로 건조시키고, 핀밀로 마쇄하여 수득하였다. 또한, 사과건조분말 및 복숭아건조분말은 사과 및 복숭아를 박피하고, 세절한 다음, 씨를 제거하여, 각각의 과육을 수득한 다음, 이를 75℃의 열풍으로 건조시키고, 핀밀로 마쇄하여 수득하였다. 끝으로, 양파건조분말 및 다시마건조분말은 양파 및 다시마를 세절한 다음, 이를 75℃의 열풍으로 건조시키고, 핀밀로 마쇄하여 수득하였다.
한편, 초콜렛 200g을 50℃의 온도에서 천천히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이에 상기 수득한 선식분말 300g을 가하며, 교반하면서 혼합한 다음, 쵸콜렛쿠키 형태의 성형틀에 부어 성형하고, 이를 4℃에서 고화하여,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하였다.
10명의 훈련된 관능검사원이 상기 제조한 초콜렛쿠키형 선식을 대상으로 하여, 9점 측정법(1점: 가장 나쁘다, 2점: 매우 나쁘다, 3점: 나쁘다, 4점: 좋지 않다, 5점: 보통이다, 6점: 나쁘지 않다, 7점: 좋다, 8점: 매우 좋다, 9점: 가장 좋다)으로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초콜렛쿠키형 선식은 맛과 색택의 측면에서는 우수한 관 능적 특성을 나타내었으나, 식감의 측면에서 관능적 특성이 열악함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쵸콜렛쿠키형 선식은 입안에서 모래알을 씹는듯한 거친 식감과, 퍽퍽한 느낌을 나타내는 식감이 강하여, 식감이 열악함을 알 수 있었는 바, 이를 개선하여야할 필요성이 있었다.
실시예 2: 서로 다른 입자크기의 곡류분말을 포함하는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시 사용하는 곡류의 입자크기를 달리하여 각각의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하고, 이들의 식감을 측정하였다.
먼저, 곡류의 혼합물을 핀밀로 분쇄한 다음, 40 내지 140메쉬의 망목을 갖는 체에 적용하여, 40 내지 6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 60 내지 8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 80 내지 14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 및 140메쉬 이하의 크기를 갖는 분말로 분류하였다. 이어, 상기 분류된 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하고, 이들의 식감 및 기호도를 측정하였다.
곡류분말의 입자크기에 따른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식감 및 기호도
곡류분말의 입자크기 모래알을 씹는듯한 거친 식감 강도 입안이 퍽퍽한 식감 강도 기호도
40 - 60메쉬 7.25±1.28 2.71±1.07 4.00±1.07
60 - 80메쉬 6.00±1.20 3.59±0.93 6.50±1.41
80 - 140메쉬 4.65±1.51 5.23±0.53 6.25±0.89
140메쉬 이하 2.97±1.13 8.13±0.64 2.88±1.25
상기 표 1에서 보듯이, 입자가 큰 분획을 사용한 쵸콜렛쿠키형 선식은 모래알을 씹는듯한 거친 식감이 강하고 입안이 퍽퍽한 식감은 약한 것으로 나타났고, 입자가 작은 분획을 사용한 제품의 경우에는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또한,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모래알을 씹는듯한 거친 식감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은 40 내지 8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임을 알 수 있었고, 60 내지 14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한 쵸콜렛쿠키형 선식 제품이 높은 기호도와 우수한 식감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공기분급을 이용한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보듯이, 60 내지 14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을 사용하여 제조한 쵸콜렛쿠키형 선식제품이 높은 기호도와 우수한 식감을 나타내었으나, 상기 제품을 제조하기 위하여는, 곡류를 핀밀 등으로 분쇄하고, 이를 체에 적용하여, 60메쉬 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 60 내지 14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 및 140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을 선별한 다음, 60메쉬 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을 60 내지 14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로 다시 분쇄하여야만 하므로, 연속공정으로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단점을 극복하고자, 체가 아니라 공기분급기를 이용하여, 곡류분말을 입자크기별로 선별하고자 하였다. 공기분급기를 사용하여 곡류분말을 공기분급하면, 공기분급된 미분말과 공기분급되지 못한 조분말이 개별적으로 분획되기 때문에, 연속적으로 입자의 크기에 따라 분말을 선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여, 공기분급을 통해 선별된 분말을 이용하여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하고자 하였다.
실시예 3-1: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를 위한 곡류분말의 공기분급 조건의 확립
실시예 1에서 사용한 곡류의 혼합물을 핀밀로 분쇄하여, 곡류분말을 수득한 다음, 수득한 곡류분말 1kg을 공기분급기(air classification system, Alpine, Germany)에 적용하여 공기분급하였다. 이때, 분급휠의 속도를 각각 800, 1000, 1200, 1500 및 2000rpm의 조건으로 하여 공기분급하면서, 각 조건의 분급휠을 통과하는 미분말과 각 조건의 분급휠을 통과하지 못하는 조분말을 각각 수득하고, 이들의 중량비율을 측정하였다(참조: 표 2).
곡류분말의 공기분급시 분급휠의 속도에 따른 미분말과 조분말의 중량비
분급휠 속도 (rpm) 비율 (%)
미분말(입자크기) 조분말(입자크기)
800 95(45메쉬 이하) 5(45메쉬 이상)
1,000 88(60메쉬 이하) 12(60메쉬 이상)
1,200 81(70메쉬 이하) 19(70메쉬 이상)
1,500 70(80메쉬 이하) 30(80메쉬 이상)
2,000 53(140메쉬 이하) 47(140메쉬 이상)
상기 표 2에서 보듯이, 분급휠의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분급된 미분말의 입자크기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분급휠의 속도가 1,000 내지 2,000rpm인 경우, 60 내지 14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을 다량으로 수득할 수 있었다.
실시예 3-2: 공기분급된 곡류분말을 이용한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
상기 실시예 3-1과 같이, 각각 800, 1000, 1200, 1500 및 2000rpm의 분급휠의 속도로 공기분급하여 수득한 각각의 미분말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하고, 이들의 식감 및 기호도를 측정하였다(참조: 표 3). 이때, 대조군으로는 공기분급하지 않은 곡류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된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사용하였다.
각각의 분급된 미분말을 이용하여 제조된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식감 및 기호도
분급휠 속도(rpm) 모래알을 씹는듯한 거친 식감 강도 입안이 퍽퍽한 식감 강도 기호도
0(대조군) 6.51±1.34 4.76±1.68 5.37±1.34
800 5.14±1.28 4.83±1.13 5.48±1.86
1000 4.73±1.52 5.55±1.29 7.17±1.64
1200 4.04±1.26 6.56±1.94 7.72±1.58
1500 3.96±1.02 7.46±1.72 6.57±1.43
2000 3.94±1.14 8.41±1.38 6.19±1.08
상기 표 3에서 보듯이, 분급휠의 속도가 증가할 수록, 이로부터 분급된 미분말을 포함하는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모래알을 씹는듯한 거친 식감 강도가 감소하고, 입안이 퍽퍽한 식감 강도는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기호도는 1,000 내지 1,200rpm의 분급휠 속도로 공기분급된 미분말을 포함하는 쵸콜렛쿠키형 선식이 비교적 우수하였다. 또한, 1,500 내지 2,000rpm의 분급휠 속도로 공기분급된 미분말을 포함하는 쵸콜렛쿠키형 선식은, 1,000 내지 1,200rpm의 분급휠 속도로 공기분급된 미분말을 포함하는 쵸콜렛쿠키형 선식보다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대조군 및 800rpm의 분급휠 속도로 공기분급된 미분말을 포함하는 쵸콜렛쿠키형 선식보다는 높은 수준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공기분급기를 이용한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방법과 체를 이용한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방법의 생산성 비교
상기 실시예 3-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함에 있어서, 체를 이용하여 입자크기를 선별한 곡류분말을 사용하는 제조방법(실시예 2)과 공기분급기를 이용하여 입자크기를 선별한 곡류분말을 사용하는 제조방법(실시예 3-2)을 이용할 경우, 결과적으로 동일한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할 수 있었으므로, 양자 방법의 생산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먼저, 곡류의 혼합물 10kg을 핀밀로 분쇄한 다음, 40 내지 140메쉬의 망목을 갖는 체에 적용하여, 60 내지 14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과 60메쉬 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을 분류하고, 상기 60메쉬 이상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을 핀밀로 재분쇄하는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60 내지 14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 9.5kg을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수득한 60 내지 14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 9.5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을 이용하여 쵸콜렛쿠키형 선식 15.3kg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시 소요된 시간은 곡류의 혼합물을 핀밀로 분쇄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하였으며, 총 20시간이 소요되었으므로, 시간당 생산성은 0.75kg/h임을 알 수 있었다.
한편, 곡류의 혼합물 10kg을 핀밀로 분쇄한 다음, 이를 공기분급기에 적용하고, 1,500rpm의 분급휠 속도로 공기분급하여, 분급된 미분말과 분급되지 않은 조분말을 각각 수득하고, 상기 수득한 조분말을 다시 핀밀로 분쇄하고, 이를 1,500rpm의 분급휠 속도로 공기분급하는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60 내지 14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 9.3kg을 수득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수득한 60 내지 14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분말 9.3kg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을 이용하여 쵸콜렛쿠키형 선식 14.8kg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시 소요된 시간은 곡류의 혼합물을 핀밀로 분쇄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조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으로 하였으며, 총 12시간이 소요되었으므로, 시간당 생산성은 1.23kg/h임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체를 이용하여 입자크기를 선별한 곡류분말을 사용하는 제조방법 보다는 공기분급기를 이용하여 입자크기를 선별한 곡류분말을 사용하는 제조방법을 사용할 경우, 제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입증하였듯이, 본 발명은 공기분급을 이용하여 60메쉬 이하의 입자크기를 갖는 선식분말을 선별하고, 이를 쵸콜렛과 혼합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방법을 이용하면, 관능적 특성이 전체적으로 우수한 선식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선식제품의 저변확대에 크게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i) 선식분말을 수득하고, 이를 1,000 내지 2,000rpm의 분급휠 속도로 공기분급하여 60 내지 140메쉬의 입자크기를 갖는 선식분말을 선별하는 공정;
    (ii) 초콜렛을 40 내지 60℃로 가열하여 용해시키고, 상기 선별한 선식분말과 용해된 초콜렛을 7:3 내지 5:5(w/w)로 혼합하는 공정; 및,
    (iii) 상기 혼합물을 성형틀에 넣고, 0 내지 10℃로 냉각 및 고화시켜, 쵸콜렛쿠키형 선식을 수득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선식분말은 곡류, 과일, 채소 및 해조류를 각각 60 내지 80℃의 열풍으로 건조시키고 혼합한 다음, 이를 분말화하고 조미료를 가하여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선식분말은 곡류, 과일, 채소 및 해조류를 각각 60 내지 80℃의 열풍으로 각각 건조시키고 분말화한 다음, 이들을 혼합하고, 조미료를 가하여 수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방법.
  4.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곡류는 보리, 현미 또는 검정콩이고, 과일은 사과, 딸기, 포도 또는 복숭아이며, 채소는 양파, 오이, 당근 또는 파슬리이고, 해조류는 다시마 또는 미역이며, 조미료는 정백당 또는 식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쵸콜렛쿠키형 선식의 제조방법.
  5. 삭제
KR1020070064076A 2007-06-28 2007-06-28 쵸콜렛쿠키형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886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076A KR100886659B1 (ko) 2007-06-28 2007-06-28 쵸콜렛쿠키형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4076A KR100886659B1 (ko) 2007-06-28 2007-06-28 쵸콜렛쿠키형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356A KR20090002356A (ko) 2009-01-09
KR100886659B1 true KR100886659B1 (ko) 2009-03-04

Family

ID=40485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4076A KR100886659B1 (ko) 2007-06-28 2007-06-28 쵸콜렛쿠키형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65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148A (ko) * 2002-11-04 2004-05-10 백철언 정미성 생식쿠키 제조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148A (ko) * 2002-11-04 2004-05-10 백철언 정미성 생식쿠키 제조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356A (ko) 2009-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080B1 (ko) 과립형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61333B1 (ko) 한끼 식사용 밀웜 쉐이크와 그 제조방법
CN102715463B (zh) 一种红豆全粉粉丝和粉皮及其生产方法
CN101411426B (zh) 一种苦荞桃片及其制作方法
JP2006166776A (ja) 飲料、造粒物及び造粒物の製造方法
KR101865538B1 (ko) 두부 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
CN102715462A (zh) 一种蚕豆全粉粉丝和粉皮及其生产方法
KR20150017113A (ko) 감 껍질을 포함하는 선식
CN102125287A (zh) 一种玉米汁豆奶饮料及其制备方法
CN108125119A (zh) 一种米粉的加工方法
KR20180087589A (ko) 흰강낭콩을 함유하는 곡류 분말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반죽 제품
KR101156002B1 (ko) 식혜형 쌀두유의 제조방법
KR100886659B1 (ko) 쵸콜렛쿠키형 선식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30010793A (ko) 모시두부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0972B1 (ko) 매실 스프의 제조방법
KR101299611B1 (ko) 신선초 식이섬유를 함유하는 웰빙형 계육 햄버거 패티 및 그 제조방법
KR101469207B1 (ko) 감귤착즙박 함유 양갱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02144B1 (ko) 완두콩을 포함하는 콩국수용 콩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722525A (zh) 一种马铃薯粉素肉及其制备方法
KR101511592B1 (ko) 미네랄이 보강된 선식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025181A (ko) 미분쇄 복합공정을 이용한 깨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깨 페이스트
CN109845836A (zh) 一种大豆豆腐及其制备方法
CN111184182A (zh) 一种即食型黑苦荞麦糊及其制备方法
KR20150110219A (ko) 웰빙막대쿠키형 선식 및 제조방법
KR100708229B1 (ko) 대두피 미세분말로 코팅된 밀가루를 포함하는 튀김가루 및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