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6373B1 - 물류시스템용 층간 자동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물류시스템용 층간 자동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6373B1
KR100886373B1 KR1020080096999A KR20080096999A KR100886373B1 KR 100886373 B1 KR100886373 B1 KR 100886373B1 KR 1020080096999 A KR1020080096999 A KR 1020080096999A KR 20080096999 A KR20080096999 A KR 20080096999A KR 100886373 B1 KR100886373 B1 KR 100886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trolley
floor
rising
f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후식
Original Assignee
남영물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물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영물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6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63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6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6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8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sensing devices, e.g. viewing or touch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045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uspended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37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arrangements or automatic control means for selecting which articles are to be remov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체 층을 한 방향으로 순환하는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각각의 층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물류들 중 해당 층으로 물류가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분기수단으로 구성되어, 물량처리의 신속성으로 작업성의 극대화 및 저렴한 설치비와 유지보수가 용이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층간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는 최하층과 최상층에 각각 설치된 하층 및 상층선회구간(112)(114)과 상기 하층 및 상층선회구간(112)(114)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하층선회구간(112)의 어느 한 지점에서 상위 상층으로 상승하는 층상승구간(1162)과 상기 층상승구간(1162)의 끝단에서 선회하는 상승수평선회구간(1164)과 상기 상승수평선회구간(1164)의 타방에서 상위 상층으로 상승하는 층상승구간(1162)이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상층선회구간(1164)의 어느 한 점에 상기 층상승구간(1162)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상층선회구간(114)의 다른 한 지점에서 하위 하층으로 하강하는 층하강구간(1182)과 상기 층하강구간(1182)의 끝단에서 선회하는 하강수평선회구간(1184)과 상기 하강수평선회구간(1184)의 타방에서 하위 하층으로 하강하는 층하강구간(1182)이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하층선회구간(112)의 어느 한 점에 상기 층하강구간(1182)의 일단이 연결되어 각각의 층을 선회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이송컨베이어(11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가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수단(130);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층상승구간(1162)과 상승수평선 회구간(1164) 또는 층하강구간(1182)과 하강수평선회구간(1184) 사이에 마련되어 이송컨베이어(110)를 따라 이송되는 트롤리를 분기시켜 물류를 원하는 층으로 트롤리가 이송되도록 하는 분기수단(130);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1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원스톱 모노레일, 자동분리장치, 투웨이 클램프

Description

물류시스템용 층간 자동 이송장치{Logistics system dragon floor spy bronze raises an invoice}
본 발명은 층간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 층을 한 방향으로 순환하는 이송컨베이어 및 상기 각각의 층에 설치되어 이송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물류들 중 해당 층으로 물류가 이송되도록 안내하는 분기수단으로 구성되어, 물량처리의 신속성으로 작업성의 극대화 및 저렴한 설치비와 유지보수가 용이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층간 자동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류시스템은 천장에 구성된 모노레일을 따라 트롤리가 순환하면서 상기 트롤리에 탑재된 물품을 지정된 공간에 분리 보관하는 시스템으로, 이는 의류제품을 물류처리하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행거 시스템'이라고도 한다.
또한 물류시스템에 있어서 복층 구조로 이루어져 각각의 층으로 물류가 탑재된 트롤리를 이송하기 위한 컨베이어가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층간 이송컨베이어는 어느 하나의 하위층에서 그 바로 위의 상위층까지만 연결된 이송컨베이어가 구성되고, 상기 층간 이송컨베이어는 정, 역회전하면서 트롤리의 하나의 층만큼만 순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층간 이송컨베이어는 복층 가령, 4층이라고 가정하면, 각각의 층에 각각의 이송컨베이어를 4개 설치하게 되는 설치작업성의 비효율성 및 작업시간 및 인건비 증가로 설치비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 층으로 이동된 물류가 탑재된 트롤리를 상위층으로 이송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다른 이송 컨베이어로 이동시켜야 하는 작업성의 상실 및 작업의 번거로움으로 결국, 신속한 물류의 상실로 이어지는 물류시스템의 비효율성을 가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체 층을 순환하는 이송컨베이어 및 각각의 층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트롤리를 해당 층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분기수단으로 구성되어, 물량처리의 신속성으로 작업성의 극대화 및 저렴한 설치비와 유지보수가 용이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층간 자동 이송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층간 자동 이송장치는 오버헤 드 타입으로 천장에 설치되고 복층으로 구성된 행거랙의 각각 층으로 트롤리를 이송시켜 물류를 분할/분리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최하층과 최상층에 각각 설치된 하층 및 상층선회구간과 상기 하층 및 상층선회구간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하층선회구간의 어느 한 지점에서 상위 상층으로 상승하는 층상승구간과 상기 층상승구간의 끝단에서 선회하는 상승수평선회구간과 상기 상승수평선회구간의 타방에서 상위 상층으로 상승하는 층상승구간이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상층선회구간의 어느 한 점에 상기 층상승구간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상층선회구간의 다른 한 지점에서 하위 하층으로 하강하는 층하강구간과 상기 층하강구간의 끝단에서 선회하는 하강수평선회구간과 상기 상하강수평선회구간의 타방에서 하위 하층으로 하강하는 층하강구간이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하층선회구간의 어느 한 점에 상기 층하강구간의 일단이 연결되어 각각의 층을 선회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가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수단;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층상승구간과 상승수평선회구간 또는 층하강구간과 하강수평선회구간 사이에 마련되어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트롤리가 층별 모노레일로 진입 또는 배출시켜 물류를 원하는 층으로 트롤리가 이송되도록 하는 분기수단;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기수단은 천장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일단에 고정되고 일측에 모노레일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힌지가 구성된 너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승 또는 하강수평선회구간에 마련된 모노레일 및 각각의 층에 마련된 모노레일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파이프; 상기 너클의 힌지에 의해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복수의 연결파이프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회동파이프; 및 상기 회동파이프의 어느 일측에 피스톤의 일단이 고정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 후진되면서 상기 회동파이프를 복수의 연결파이프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하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분기수단과 층별 모노레일 사이에는 분기수단을 통해 이송된 트롤리를 강제 이송시켜 진입 또는 배출라인에 트롤리가 정체되지 않도록 상기 트롤리를 강제이송하는 반출수단;을 더 포함하며, 반출수단에는 트롤리의 진입 또는 배출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반출수단이 구동되도록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센서;를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반출수단은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어느 일측에 고정된 모터; 상기 모터의 연장축에 고정되고 케이싱에 보호되는 원동휠; 상기 원동휠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마련되고 케이싱에 보호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종동휠; 상기 원동휠과 종동휠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원동 및 종동휠 사이를 선회하는 연결매체; 및 상기 연결매체에 다수 마련되며 트롤리의 일단이 걸림되도록 하여 상기 트롤리를 강제 이송하는 걸림편;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전체 층을 순환하는 이송컨베이어 및 각각의 층에 마련되어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따라 이송되는 트롤리를 해당 층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분기수단 으로 구성되어, 물량처리의 신속성으로 작업성의 극대화 및 저렴한 설치비와 유지보수가 용이한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자동 이송장치의 설치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자동 이송장치의 설치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수단의 저면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저면도이고, 도 6 본 발명에 따른 반출수단이 구성된 상태의 일부 확대도로서, 이를 참조한다.
도 1과 2를 참조하면, 층간 자동 이송장치(10)는 복층으로 설치된 행거랙(1)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고 복층을 선회하며 물류가 탑재된 트롤리를 이송하는 이송컨베이어(11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는 동력발생수단(120)과,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되 각각의 층에 마련되어 트롤리를 원하는 위치의 층으로 분기시키도록 하는 분기수단(130), 및 이송컨베이어(11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하는 제어부(140)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분기수단(130)을 통해 각층으로 이송된 트롤리가 진입 또는 배출구간에 머물지않고 일정거리 이송시켜 진입 또는 배출구간에서의 트롤리의 정체를 방지하기 위한 반출수단(150)을 더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컨베이어(110)는 행거랙(1)의 최하층 및 최상층 에 각각 마련되는 하층 및 상층선회구간(112)(114)과, 상기 하층 및 상층선회구간(112)(114) 사이에 마련되고 각각의 층을 상승 또는 하강하는 구간이 마련되되 상호 대칭방향에 형성되어 하나의 컨베이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승구간은 하층선회구간(112)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위 상층에 마련되는 층상승구간(1162)과, 상기 층상승구간(1162)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되 수평으로 선회하여 타방의 층상승구간지점에 타단이 위치되는 상승수평선회구간(1164), 및 상기 상승수평선회구간(1164)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위 상층에 마련되는 층상승구간(116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최상층에 마련되는 층상승구간(1162)의 타단은 상층선회구간(114)의 어느 한 저점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상승구간은 층상승구간(1162)과 상승수평선회구간(1164)을 반복적으로 구성시켜, 하층 및 상층선회구간(112)(114) 사이의 상승구간을 구성하게 된다.
하강구간은 상기 상승구간과 대칭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층선회구간(114)의 다른 한 지점에서 일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하위 하층에 마련되는 층하강구간(1182)과, 상기 층하강구간(1182)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되 수평으로 선회하여 타방의 층상하강구간지점에 타단이 위치되는 하강수평선회구간(1184), 및 상기 하강수평선회구간(1184)의 타단에 일단이 연결되고 하위 하층에 마련되는 층하강구간(1182)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최하층에 마련되는 층하강구간(1182)의 타단은 하층선회구간(112)의 다른 한 저점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하강구간은 층하강구 간(1182)과 하강수평선회구간(1184)을 반복적으로 구성시켜, 상층 및 하층선회구간(114)(112) 사이의 하강구간을 구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컨베이어(110)는 하층 및 상층선회구간(112)(114)과 상승 및 하강구간으로 구분되어 지면서 하나의 컨베이어로 행거랙(1)에 구성된 복층의 전층을 선회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이송컨베이어(110)는 커버레일과 상기 커버레일의 내측에 마련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에 다수의 걸림편이 마련되고, 상기 커버레일의 하방에는 트롤리가 안착되어 안내되는 안내레일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걸림편은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트롤리 특히, 경사진 층상승구간(1162) 또는 층하강구간(1182)에서도 미끄럼 없이 용이하게 이송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트롤리의 어느 일측이 트롤리에 걸림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동력발생수단(120)은 어느 한 방향의 회전력을 발생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연장축에 마련되는 체인스프로킷으로 구성되며, 상기 체인스프로킷은 이송컨베이어에 구성된 체인의 일측이 걸림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체인스프로킷이 회전되면서 상기 체인스프로킷에 일측이 걸림된 체인이 이송하게 되고, 이러한 작용에 의해 상기 체인은 커버레일에 보호되면서 행거랙(1)의 복층 전구간을 선회하게 되는 것이다.
분기수단(130)은 천장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132)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32)의 일단에 고정되고 일측에 모노레일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힌지(135)가 구성된 너클(134)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32)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승 또는 하강수평 선회구간(1164)(1184)에 마련된 모노레일 및 각각의 층에 마련된 모노레일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파이프들(136)과, 상기 너클(134)의 힌지(135)에 의해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복수의 연결파이프들(136)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회동파이프(138), 및 상기 회동파이프(138)의 어느 일측에 피스톤의 일단이 고정되어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 후진되면서 상기 회동파이프(138)를 복수의 연결파이프(136)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하는 공압실린더(139)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분기수단(130)은 제어부(140)의 제어신호에 작동되는 자동방식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경우에 따라서는 작업자가 직접 회동파이프(138)를 회동시켜 분기시킬 수 있도록 수동으로 구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제어부(140)는 이송컨베이어(110)와 분기수단(130) 및 반출수단(150)의 작동상태를 제어하는 수단으로, 상기 제어부(140)는 어느 한 층에만 설치할 수 있으나, 각각의 층에 구성하여, 각각의 층에서 이송켄베이어(110)와 분기수단(130) 및 반출수단(150)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반출수단(150)은 층별 진입 또는 배출라인의 상방에 설치되는 것으로, 케이싱(152)과, 상기 케이싱(152)의 어느 일측에 고정된 모터(154)와, 상기 모터(154)의 연장축에 고정된 원동휠(156)과, 상기 원동휠(156)과 일정거리를 유지하며 케이싱(152)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된 종동휠(158), 및 상기 원동휠(156)과 종동휠(158)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원동휠(156)의 회전에 의해 종동휠(158) 사이를 선회하는 연결매체(157)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매체(157)에는 다수의 걸림편(159)이 마련되며, 상기 걸림 편(159)은 안내레일을 따라 이송되는 트롤리의 어느 일측이 걸림되도록 하여 연결매체(157)의 진행방향을 따라 트롤리를 강제 진행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반출수단(150)의 어느 일측에는 트롤리의 진입 또는 배출여부를 센싱하고 이러한 센싱신호는 반출수단(150)의 모터(154)로 전송되어 상기 모터(154)의 구동시키도록 하는 센서(153)를 더 구성하며, 상기 센서(153)는 리미트스위치임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가령 근접센서 또는 적외선센서 등과 같이 층간 자동 이송장치(10)를 통해 어느 한 층으로 진입 또는 배출시키고자 하는 트롤리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층간 자동 이송장치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140)를 통해 전원을 인가하면, 인가된 전원을 통해 동력발생수단(120)의 모터에서 회전력을 발생하게 되고, 이를 통해 모터에 구성된 체인스프로킷이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커버레일에 커버된 체인이 행거랙(1)의 복층을 선회한다.
그리고, 이송컨베이어(110)의 하방에 마련된 안내레일을 따라 트롤리가 이동되는 데, 이때 체인에 다수 구성된 걸림편에 트롤리의 일단이 걸림된 상태로 이송됨에 따라 이송컨베이어(110)의 전 구간을 트롤리는 선회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제어부(140)를 통해 트롤리를 분기하고자 하는 층에 위치된 분기수단(130)에 분기신호를 전송하면 상기 분기수단(130)의 공압실린더(139)에서 전진력 을 발생하고, 이를 통해 피스톤이 전진하면서 회동파이프(138)가 힌지(135)를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층별 모노레일에 연결된 연결파이프(136)에 연결된다.
또한 이러한 작동으로 제어신호를 받은 분기수단(130)이 마련된 층으로 트롤리가 위치되면 회동파이프(138)의 회동으로 연결된 층별 모노레일측으로 이송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분기수단(130)과 층별 모노레일 사이에는 반출수단(150)이 구성되어 있는바, 가령, 진입상태일 경우에는 센서(153)는 분기수단(130)에 근접하게 설치되고, 배출상태일 경우에는 센서(153)는 모노레일과 근접하게 설치되어, 안내레일 또는 모노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트롤리가 센서(153)에 감지되면, 이 감지신호는 모터(154)로 전송되고, 이로 인해 모터(154)가 구동하면서 원동휠(156)과 종동휠(158) 사이에 걸쳐진 연결매체(157)가 선회운동을 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연결매체(157)에는 다수의 걸림편(159)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걸림편(159)에 트롤리의 일단이 걸림되고 이를 통해 상기 트롤리는 강제이송되는 것이다.
한편, 이송컨베이어(110)는 작업시간 동안 계속해서 행거랙(1)의 복층을 선회하면서 제어부(140)에서 원하는 층에 마련된 분기수단(130)으로 제어신호를 발송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는 각각의 층에 마련된 각각의 제어부에서 필요에 따라 이송컨베이어(110) 및 분기수단(130)에 제어신호를 발송할 수 있도록 개별적으로 구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각각의 층에 마련된 복수의 분기수단(130)을 통해 트롤리의 배출 또는 진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반출수단(150)에 의해 진입 또는 배출라인에 트롤리가 정체되지 않고, 일정거리 강제이송됨에 따라 원활한 물류 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자동 이송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자동 이송장치의 설치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자동 이송장치의 설치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컨베이어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수단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기수단의 작동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6 본 발명에 따른 반출수단이 구성된 상태의 일부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행거랙 10: 층간 자동 이송장치
110: 이송컨베이어 112, 114: 하층 및 상층선회구간
1162: 층상승구간 1164: 상승수평선회구간
1182: 층하강구간 1184: 하강수평선회구간
120: 동력발생수단 130: 분기수단
132: 베이스프레임 134: 너클
136: 연결파이프들 138: 회동파이프
139: 공압실린더 140: 제어부
150: 반출수단 152: 케이싱
153: 센서 154: 모터
156: 원동휠 157: 연결매체
158: 종동휠 159: 걸림편

Claims (5)

  1. 오버헤드 타입으로 천장에 설치되고 복층으로 구성된 행거랙의 각각 층으로 트롤리를 이송시켜 물류를 분할/분리하기 위한 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장치는
    최하층과 최상층에 각각 설치된 하층 및 상층선회구간(112)(114)과 상기 하층 및 상층선회구간(112)(114)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하층선회구간(112)의 어느 한 지점에서 상위 상층으로 상승하는 층상승구간(1162)과 상기 층상승구간(1162)의 끝단에서 선회하는 상승수평선회구간(1164)과 상기 상승수평선회구간(1164)의 타방에서 상위 상층으로 상승하는 층상승구간(1162)이 복수로 구성되며 상기 상층선회구간(1164)의 어느 한 점에 상기 층상승구간(1162)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상층선회구간(114)의 다른 한 지점에서 하위 하층으로 하강하는 층하강구간(1182)과 상기 층하강구간(1182)의 끝단에서 선회하는 하강수평선회구간(1184)과 상기 하강수평선회구간(1184)의 타방에서 하위 하층으로 하강하는 층하강구간(1182)이 복수로 구성되어 상기 하층선회구간(112)의 어느 한 점에 상기 층하강구간(1182)의 일단이 연결되어 각각의 층을 선회하도록 구성된 하나의 이송컨베이어(110)와;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어느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가 어느 한 방향으로만 이송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발생수단(120);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층상승구간(1162)과 상승수평선회구간(1164) 또는 층하강구간(1182)과 하강수평선회구간(1184) 사이에 마련되어 이송컨베이어(110)를 따라 이송되는 트롤리가 층별 모노레일로 진입 또는 배출시켜 물류를 원하는 층으로 트롤리가 이송되도록 하는 분기수단(130); 및
    상기 이송컨베이어(110)의 동작상태를 제어하는 제어부(140);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자동 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기수단(130)은
    천장에 고정되는 베이스프레임(132)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32)의 일단에 고정되고 일측에 모노레일과 연결되고 타측에는 힌지(135)가 구성된 너클(134);
    상기 베이스프레임(132)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승 또는 하강수평선회구간(1164)(1184)에 마련된 모노레일 및 각각의 층에 마련된 모노레일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파이프들(136);
    상기 너클(134)의 힌지(135)에 의해 일단이 힌지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복수의 연결파이프들(136)의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회동파이프(138); 및
    상기 회동파이프(138)의 어느 일측에 피스톤의 일단이 고정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전, 후진되면서 상기 회동파이프(138)를 복수의 연결파이프들(136)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도록 하는 공압실린더(139);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자동 이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기수단(130)과 층별 모노레일 사이에는
    분기수단(130)을 통해 이송된 트롤리를 강제 이송시켜 진입 또는 배출라인에 트롤리가 정체되지 않도록 상기 트롤리를 강제이송하는 반출수단(15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자동 이송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출수단(150)에는
    트롤리의 진입 또는 배출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반출수단(150)이 구동되도록 감지신호를 전송하는 센서(15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자동 이송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반출수단(150)은
    케이싱(152)과;
    상기 케이싱(152)의 어느 일측에 고정된 모터(154);
    상기 모터(154)의 연장축에 고정되고 케이싱(152)에 보호되는 원동휠(156);
    상기 원동휠(156)과 일정 거리 이격되게 마련되고 케이싱(152)에 보호되면서 회전가능하게 구성된 종동휠(158);
    상기 원동휠(156)과 종동휠(158)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원동 및 종동휠(156)(158) 사이를 선회하는 연결매체(157); 및
    상기 연결매체(157)에 다수 마련되며 트롤리의 일단이 걸림되도록 하여 상기 트롤리를 강제 이송하는 걸림편(159);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자동 이송장치.
KR1020080096999A 2008-10-02 2008-10-02 물류시스템용 층간 자동 이송장치 KR100886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999A KR100886373B1 (ko) 2008-10-02 2008-10-02 물류시스템용 층간 자동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999A KR100886373B1 (ko) 2008-10-02 2008-10-02 물류시스템용 층간 자동 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6373B1 true KR100886373B1 (ko) 2009-03-03

Family

ID=40697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999A KR100886373B1 (ko) 2008-10-02 2008-10-02 물류시스템용 층간 자동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637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357B1 (ko) 2014-10-22 2016-03-10 남희대 방화셔터 하강 안내장치를 갖춘 물류 이송용 레일
CN113165806A (zh) * 2018-12-07 2021-07-23 Tgw机械有限公司 存放装置和具有改进的装载物入库和出库的拣选系统以及用于此的运行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0928U (ko) * 1990-10-02 1992-05-26
JPH06211345A (ja) * 1992-10-01 1994-08-02 Nippon Steel Kk 洗濯物分配装置のハンガー掛止装置
WO1995021116A1 (en) 1994-02-02 1995-08-10 Istria S.R.L. Continuous helical gear plant for conveying and storing suspended items and relative supports
JP2004010218A (ja) 2002-06-04 2004-01-15 Ckd Corp 荷物仕分切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60928U (ko) * 1990-10-02 1992-05-26
JPH06211345A (ja) * 1992-10-01 1994-08-02 Nippon Steel Kk 洗濯物分配装置のハンガー掛止装置
WO1995021116A1 (en) 1994-02-02 1995-08-10 Istria S.R.L. Continuous helical gear plant for conveying and storing suspended items and relative supports
JP2004010218A (ja) 2002-06-04 2004-01-15 Ckd Corp 荷物仕分切換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2357B1 (ko) 2014-10-22 2016-03-10 남희대 방화셔터 하강 안내장치를 갖춘 물류 이송용 레일
CN113165806A (zh) * 2018-12-07 2021-07-23 Tgw机械有限公司 存放装置和具有改进的装载物入库和出库的拣选系统以及用于此的运行方法
CN113165806B (zh) * 2018-12-07 2023-08-08 Tgw机械有限公司 存放装置和具有改进的装载物入库和出库的拣选系统以及用于此的运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07950B (zh) 物品搬送設備
KR100997530B1 (ko)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이송방법
KR101676717B1 (ko) 자동창고 시스템
EP3670418A1 (en) Smart multi-car elevator system
CN104058241A (zh) 多层互通式卷帘升降设备
JP2005506942A (ja) 運搬装置
CN105083902A (zh) 一种适用于楼板布置的贴地式辊道输送机构
KR100886373B1 (ko) 물류시스템용 층간 자동 이송장치
KR101407417B1 (ko) 반송 시스템
CN102701061B (zh) 一种与扶梯同步运行的行李运输装置
KR100879069B1 (ko) 차량용 타이어 공급장치
KR200419872Y1 (ko) 수평이송형 팔레트용 컨베이어
JP4338598B2 (ja) 物品を搬送するための搬送システム
KR102381208B1 (ko) 논스톱 수직 로테이트형 체인모듈과 롤러컨베이어 수직 승하강 리프트모듈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형 50Kg 고하중 물품 논스톱 자동화리프트장치
KR101339395B1 (ko) 화물운송기능을 구비한 승강기, 이를 이용하는 화물운송 시스템 및 화물운송방법
KR102473480B1 (ko) 컨베이어용 이송방향 교차변환장치
CN109178746A (zh) 一种立体仓储系统
US5437529A (en) Conveying system
CN203922044U (zh) 多层互通式卷帘升降设备
CN112791960A (zh) 循环式分拣机控制系统
CN110902544A (zh) 一种购物车专用扶梯系统
JP2021120315A (ja) 搬送装置および自動倉庫システム
CN110668102A (zh) 一种利用齿轮齿条实现货物循环垂直高效输送的技术
CN211366669U (zh) 一种购物车专用扶梯系统
JPH0734699A (ja) エレベータ式駐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