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506B1 -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 Google Patents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506B1
KR100885506B1 KR1020080039179A KR20080039179A KR100885506B1 KR 100885506 B1 KR100885506 B1 KR 100885506B1 KR 1020080039179 A KR1020080039179 A KR 1020080039179A KR 20080039179 A KR20080039179 A KR 20080039179A KR 100885506 B1 KR100885506 B1 KR 1008855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fixed
cam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1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나은
Original Assignee
안나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나은 filed Critical 안나은
Priority to KR10200800391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5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5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506B1/ko
Priority to US12/993,898 priority patent/US8408565B2/en
Priority to PCT/KR2009/001870 priority patent/WO2009134020A2/ko
Priority to EP09738926.6A priority patent/EP23274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4Wheel arrangements
    • A63C17/016Wheel arrangements with wheels arranged in one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Landscapes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 프론트 보드와 리어 보드를 이격 상태로 고정시키며 비틀림시 탄성복원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연결되는 힌지수단과, 프론트 보드와 리어 보드의 각각의 저면에 부착되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H)은 상기 프론트 보드(FB)와 마주보는 리어 보드(RB)의 저면 일단으로 일측이 개방된 중공부(102)가 구비된 제1 힌지하우징(100)과; 상기 리어 보드(RB)와 마주보는 프론트 보드(FB)의 저면 타단에 타측이 개방된 힌지실린더(202)가 구비된 제2 힌지하우징(200)과; 일측으로 상기 제1 힌지하우징(100)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상기 제2 힌지하우징(200)에 볼트결합되어 고정되는 힌지 샤프트(300)와; 상기 힌지 샤프트(300) 일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베어링(B)과; 상기 힌지 샤프트(300)에 축결합되어 제1 힌지하우징(100)의 중공부(102) 외측 일단측으로 일측이 끼움결합되고, 타측에 사선으로 절개되어 타원형을 이룬 고정접지부(402)를 갖는 고정힌지캠(400)과; 상기 힌지 샤프트(300)에 축결합되고, 상기 고정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와 대응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된 유동접지부(50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접지부(402)를 따라 유동접지부(502)가 이동회전하여 제2 힌지하우징(200)의 힌지실린더(202) 내에서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토록 결합되는 이동힌지캠(500)과; 상기 힌지실린더(202) 내측에 안치결합되고, 상기 이동힌지캠(500)과 힌지실린더(202) 사이에 위치되어 이동힌지캠(500) 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비된 힌지 스프링(600)과; 상기 힌지 샤프트(300)가 제1, 2 힌지하우징(100,200)으로부터 이탈을 방지되도록 상기 프론트 보드(FB)와 리어 보드(RB)가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일단에 볼트결합되는 고정결합수단(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스케이트 보드, 힌지캠, 힌지 샤프트, 힌지스프링.

Description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Hinge structure of skate board}
본 발명은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 보드와 리어 보드로 2분할된 스케이트 보드의 중간부를 힌지수단에 의해 연결하여 비틀림으로 인한 힌지수단의 캠과 스프링에 의해 탄성 복원되어 추진력의 향상과 내구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파손 등에 따른 힌지수단의 분해조립이 용이하도록 형성하여 유지보수가 뛰어난 스케이트보드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는 긴 타원형의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저면에 롤러가 2개씩 구비된 2개의 바퀴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는 평지주행 중에는 운전자가 한쪽 발로 지면을 굴러서 추진을 할 수 있으며, 주행중 회전할 때에는 운전자가 발로써 보드를 진행방향에 대해 좌우측면으로 기울이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는 주행시 사용자가 발로 지면을 구르지 않고서는 스케이트 보드를 추진할 수 있는 방법이 없고, 설사 진행방향에 대해 좌우측면으로 기울이며 추진력을 얻는 기술은 극히 뛰어난 사용자가 아니면 가능하지 못한 어려움이 따랐다. 또한, 주행중 회전시에도 플레이트가 측면으로 어느 정도 이상 기울어지면 바퀴와 플레이트가 지면에 닿기 때문에 플레이트를 많이 기울일 수 없게 되어 회전반경이 클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제안되고 있는 스케이트 보드는 프론트 보드와 리어보드로 나누어진 2분할된 보드가 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2분할된 보드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프론트 보드와 리어 보드로 2분할된 플레이트와, 프론트 보드와 리어 보드를 연결하는 힌지수단과, 각각의 보드 저면에 추진력에 의해 이동가능토록 캐스터를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2분할된 스케이트보드로는 미국 특허공고 제4,076,267호, 미국 특허공고 제4,082,306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117385호 및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3-29663호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394848호, 제505754호가 제안된바 있다. 한편 상기 보드가 2분할된 스케이트보드는 보드를 흔들어 추진력을 얻도록 한 것으로 보드를 흔들어 추진력을 얻도록 한 선행자료로는 미국 특허공고 제1,056,357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28361호에 의하여 공지된 기술사상이다.
상기 선행자료들은 모두 2분할된 보드를 구비하며 각각의 보드을 연결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힌지수단으로 연결 구성되고 보드의 저면으로는 캐스터가 설치된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한 선행자료들은 모두 2분할된 보드를 진행방향에 대하여 좌우로 비틀리게 흔들어서 추진력을 갖도록하는 구조는 동일하나 힌지수단이 단순히 비틀림에 대한 탄성복원력을 가진 것에 불과하고, 보드에 고정하는 방법이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방법을 채택하고 있어 분해조립이 어렵고, 파손 등에 따른 힌지수단의 교체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2분할된 스케이트 보드는 비틀림에 의해 추진력을 얻는 특성상 힌지수단의 내구성이 상당히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2분할된 스케이트 보드는 단순히 탄성변형에 의한 비틀림에 대한 복원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장시간 사용시, 탄성변형의 복원력이 떨어지게 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진행방향으로의 운전이 불가능하고, 이로 인한 스케이트 보드의 잦은 고장과 파손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비틀림에 대한 내구성과 높은 추진력을 얻을 수 있고,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파손 등에 따른 유지보수가 간편한 2분할된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수단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힌지캠과 스프링에 의해 비틀림강성에 따른 내구성의 향상과 탄성복원력이 우수하여 높은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속적인 비틀림에 대한 파손 등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한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는 프론트 보드와 리어 보드를 이격 상태로 고정시키며 비틀림시 탄성복원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연결되는 힌지수단과, 프론트 보드와 리어 보드의 각각의 저면에 부착되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H)은 상기 프론트 보드(FB)와 마주보는 리어 보드(RB)의 저면 일단으로 일측이 개방된 중공부(102)가 구비된 제1 힌지하우징(100)과; 상기 리어 보드(RB)와 마주보는 프론트 보드(FB)의 저면 타단에 타측이 개방된 힌지실린더(202)가 구비된 제2 힌지하우징(200)과; 일측으로 상기 제1 힌지하우징(100)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상기 제2 힌지하우징(200)에 볼트결합되어 고정되는 힌지 샤프트(300)와; 상기 힌지 샤프트(300) 일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베어링(B)과; 상기 힌지 샤프트(300)에 축결합되어 제1 힌지하우징(100)의 중공부(102) 외측 일단측으로 일측이 끼움결합되고, 타측에 사선으로 절개되어 타원형을 이룬 고정접지부(402)를 갖는 고정힌지캠(400)과; 상기 힌지 샤프트(300)에 축결합되고, 상기 고정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와 대응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된 유동접지부(50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접지부(402)를 따라 유동접지부(502)가 이동회전하여 제2 힌지하우징(200)의 힌지실린더(202) 내에서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토록 결합되는 이동힌지캠(500)과; 상기 힌지실린더(202) 내측에 안치결합되고, 상기 이동힌지캠(500)과 힌지실린더(202) 사이에 위치되어 이동힌지캠(500) 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비된 힌지 스프링(600)과; 상기 힌지 샤프트(300)가 제1, 2 힌지하우징(100,200)으로부터 이탈을 방지되도록 상기 프론트 보드(FB)와 리어 보드(RB)가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일단에 볼트결합되는 고정결합수단(7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 힌지하우징(200)은 힌지스프링(600)이 안치되고, 이동힌지캠(500)이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토록 일측이 개방된 힌지실린더(202)가 구비되되, 상기 힌지실린더(202)의 타측으로 힌지스프링(600)이 지지되도록 단차 형성된 안치지지단(204)과; 상기 안치지지단(204)의 중앙의 축선상에 직경이 축소되어 길게 요입 형성되어 힌지 샤프트(300)의 일단이 끼움결합되는 샤프트 끼움공(206)과; 상기 샤프트 끼움공(206) 내부 후단측으로 상기 제2 힌지하우징(200)의 외측으로부터 관 통형성된 볼트공(20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힌지 샤프트(300)는 일측으로 제1 힌지하우징(100)의 중공부(102) 내에서 유동가능토록 끼움결합되는 회전축부(310)와; 상기 회전축부(310)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축결합되는 이동힌지캠(500)이 축방향의 전후로 유동가능토록 가이드되며, 일단측으로 제2 힌지하우징(200)에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결합공(322)이 구비된 이동가이드축부(3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힌지캠(4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 외연을 따라 사선으로 절개되어 타원형의 면을 이룬 고정접지부(402)와; 중앙으로 상기 힌지 샤프트(300)와 축결합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통형성된 고정축공(404)과; 고정접지부(402)의 반대편 일단 외연 양측으로 상기 리어보드(RB) 일단에 결합된 고정결합수단(700)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40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힌지캠(5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 외연을 따라 상기 고정 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에 대응되도록 사선으로 절개되어 타원형의 면을 이룬 유동접지부(502)와; 중앙으로 상기 힌지 샤프트(300)와 축결합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통된 이동축공(50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 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 힌지캠(500)의 유동접지부(502)는 상기 고정접지부(402)상에서 힌지 샤프트(300)를 중심으로 0도에서 90도의 간격으로 전후 뒤틀림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고정결합수단(700)은 리어 보드(RB) 일단의 제1 힌지하우징의 중공부(102)의 단부면에 대응되어 볼트결합되고, 중앙으로 힌지샤프트 통공(712)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샤프트 통공(712) 내주연 양측으로 형성된 고정키홈(714)이 형성된 제1 고정판(710)과; 프론트 보드(FB) 타단의 제2 힌지하우징(200) 힌지실린더(202)의 단부면에 대응되어 볼트결합되고, 중앙으로 힌지샤프트 통공(712')이 형성된 제2 고정판(710')과; 상기 제2 힌지하우징(200)의 저면으로부터 내측 샤프트 끼움공(206)으로 연통된 볼트공(208)을 통해 볼트결합되고, 힌지샤프트(300)의 이동가이드축부(320) 일단에 형성된 결합공(322)에 결합되어 이동가이드축부(320)가 제2 힌지하우징(200)의 샤프트 끼움공(206)에 고정토록 구비되는 고정볼트(7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힌지샤프트(300) 일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베어링(B)이 제 1 힌지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토록 스냅링(SR)이 더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고정 힌지캠의 골형부와 이동 힌지캠의 산형부에 의해 사용자가 스케이트 보드를 운전시 추진력을 얻기위해 행하는 비틀림에 대하여 이동 힌지캠이 힌지 샤프트상에서 축방향으로 피스톤과 같이 전후 이동하고, 이에 따라 힌지스프링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추진력이 발생됨으로써, 내구성의 향상과 높은 추진력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스케이트 보드의 운전시 추진력을 얻기 위한 지속적인 비틀림에 대한 힌지수단의 파손 등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도록 분해조립이 용이하여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요부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측면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 구조의 캠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는 프론트 보드(FB)와 리어 보드(RB)를 이격 상태로 고정시키며 비틀림시 탄성복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연결되는 힌지수단과, 프론트 보드와 리어 보드의 각각의 저면에 부착되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힌지수단(H)은 프론트 보드(FB) 저면에 구비된 제1 힌지하우징(100), 리어보드(RB) 저면에 구비된 제2 힌지하우징(200), 힌지 샤프트(300), 베이링(B), 고정힌지캠(400), 이동힌지캠(500), 힌지스프링(600), 고정결합수단(70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힌지하우징(100)은 프론트 보드(FB)와 마주보는 리어 보드(RB)의 저면 일단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일단 외측으로 일측이 개방된 중공부(10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힌지하우징(100)의 일측이 개방된 중공부(102) 일단면에 후술되는 고정결합수단(700)이 결합되어 리어 보드(RB)와 고정된다.
상기 제2 힌지하우징(200)은 리어 보드(RB)와 마주보는 프론트 보드(FB)의 저면 타단에 형성된다. 여기서, 제2 힌지하우징(200)은 힌지실린더(202), 안치지지단(204), 샤프트 끼움공(206), 볼트공(208)을 포함한다.
상기 힌지실린더(202)는 제2 힌지하우징(200) 타단 외측으로 타측이 개방된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힌지실린더(202)에는 후술되는 힌지스프링(600)이 구비되고, 후술되는 이동힌지캠(500)이 축방향으로 힌지실린더(202) 내에서 주사기의 피스톤 실린더 내에서 피스톤 플러그가 유동하는 것과 같이 유동가능토록 구비된다.
한편, 안치지지단(204)은 힌지실린더(202) 내의 타측으로 후술되는 힌지스프링(600)이 안치되어 지지되도록 직경이 감소되는 단차가 형성되어 마련된다. 여기서, 안치지지단(204)은 후술되는 힌지스프링(600)의 탄발력의 작용점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샤프트 끼움공(206)은 전술한 안치지지단(204)의 중앙의 축선상에 직경이 축소되어 후술되는 힌지 샤프트(300)의 일단이 끼움결합되도록 길게 요입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샤프트 끼움공(206) 내부 후단측으로 프론트 보드(FB) 외측으로부터 샤프트 끼움공(206)측으로 볼트공(208)이 관통형성된다.
한편, 상기 힌지 샤프트(300)는 프론트보드(FB)와 리어 보드(RB)가 연결되도록 일측으로 전술한 제1 힌지하우징(100)에 유동가능토록 끼움결합되고, 타측으로 전술한 제2 힌지하우징(200)에 볼트결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힌지 샤프트(300)는 회전축부(310), 이동가이드축부(32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축부(310)는 전술한 제1 힌지하우징(100)의 중공부(102)에 유동가능토록 끼움결합된다. 즉, 사용자에 의한 리어보드(RB)의 비틀림 유동에 대하여 중공부(102) 내에서 마찰없이 리어보드(RB)가 비틀림 유동될 수 있도록 끼움결합된다.
상기 이동가이드축부(320)는 회전축부(310)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후술되는 이동힌지캠(500)이 축결합되어 축선상에서 축방향의 전후로 유동가능토록 가이드된다. 또한, 이동가이드축부(320)의 일단측으로 제2 힌지하우징(200)의 샤프트 끼움공(206)에 끼움결합되어 이동가이드축부(320)가 프론트 보드(FB)의 외측으로부터 결합되는 후술되는 고정수단(700)의 고정볼트(720)에 의해 제2 힌지하우징(200)과 결합 고정되도록 결합공(322)이 구비된다.
상기 베어링(B)는 전술한 힌지샤프트(300)의 회전축부(3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어 리어보드(RB)의 비틀림 유동에 대하여 회전축부(310)과 리어보드(RB)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원할한 유동이 가능토록 구비된다. 여기서, 베어링(B)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샤프트(300)의 전후단으로 각각 결합되어 힌지샤프트(300)의 회전축부(310)와 리어보드(RB)의 비틀림 유동에 대하여 구조적 안정이 확보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힌지샤프트(300)의 회전축부(310)와 이동가이드축부(320)의 경계단측으로 위치되어 회전축부(310)에 결합된 베어링(B)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스냅링(SR)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힌지캠(400)은 전술한 힌지 샤프트(300)의 회전축부(310)와 이동가이드축부(320)로 나누어 지는 경계면의 이동가이드축부(310)에 결합되고, 제1 힌지하우징(100)의 중공부(102) 외측 일단에 결합되는 후술되는 고정결합수단(700)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된다. 여기서, 고정 힌지캠(4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 외연을 따라 사선으로 절개되어 타원형의 면을 이룬 고정접지부(4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중앙으로 전술한 상기 힌지 샤프트(300)의 이동가이드축부(320)에 축결합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통된 고정축공(404)이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고정 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의 반대편 일단 외연 양측으로 전술한 상기 제1 힌지하우징(100)의 일단면에 결합되는 후술되는 고정결합수단(700)에 끼움결합되어 리어보드(RB)와 고정되는 고정돌기(406)가 형성된다.
상기 이동힌지캠(500)은 전술한 힌지 샤프트(300)의 이동가이드축부(320)에 결합되고, 제2 힌지하우징(200)의 힌지실린더(202) 내에 일측이 슬라이딩결합되어 이동가이드축부(320)의 축선상에서 전술한 고정 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의 타원형의 면의 외연 타원궤적상에서 이동하여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토록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힌지캠(500)은 전술한 고정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에 대응되도록 사선형으로 절개되어 타원형을 갖도록 하여, 마주보도록 형성된 유동접지부(502)가 형성된다.
한편, 이동힌지캠(5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으로 전술한 힌지 샤프트(300)의 이동가이드축부(320)의 축선상에 축결합되어 앞서 말한 바와 같이, 고정접지부(402)의 타원형의 외연 타원궤적을 따라 이동되는 유동접지부(502)에 의해 축방향으로 유동토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통된 이동축공(504)이 형성된다. 한편, 고정 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에 대응되는 이동 힌지캠(500)의 유동접지부(502)가 고정접지부(402)의 타원궤적상에서 사용자의 전후 뒤틀림에 의해 힌지 샤프트(300)를 중심으로 0도에서 90도의 간격으로 유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스프링(600)은 전술한 이동힌지캠(500)에 의해 가압되어 탄성복원되는 탄발력에 의한 작용과 반작용에 따라 리어보드(RB)에 추진력이 발생되도록 제2 힌지하우징(200)의 힌지실린더(202) 내측을 통해 결합된다. 여기서, 힌지스프링(600)은 샤프트 끼움공(206)이 형성되도록 단차지게 구비된 안치지지단(204)에 일측이 안치결합되어 탄성력을 리어보드(RB)측으로 인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힌지스프링(600)은 추진력을 발생하기 위한 탄성력이 충분히 달성되도록 압축에 의한 탄발력이 작용되는 코일스프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결합수단(700)은 전술한 힌지 샤프트(300)가 제1, 2 힌지하우징으로부터 이탈을 방지되도록 프론트 보드(FB)와 리어 보드(RB)가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제1 고정판(710), 제2 고정판(710'), 고정볼트(7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고정판(710)은 리어 보드(RB) 일단의 제1 힌지하우징의 중공부(102)의 외연 단부면에 대응되어 볼트결합되고, 중앙으로 힌지샤프트 통공(712)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샤프트 통공(712) 내주연 양측으로 전술한 고정힌지캠(400)의 고정돌기(406)가 끼움결합되도록 구비된 고정키홈(71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 고정판(710')은 프론트 보드(FB) 타단의 제2 힌지하우징(200) 힌지실린더(202)의 단부면에 대응되어 볼트결합되고, 중앙으로 힌지샤프트 통공(712')이 형성된다.
즉, 상기 제1 힌지하우징(100)측에 결합되는 제1 고정판(710)의 힌지샤프트 통공(712)은 힌지샤프트(300)의 회전축부(310)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1 힌지하우징(100)의 중공부(102)로부터 힌지샤프트(300)의 회전축부(310)가 걸림되어 이탈을 방지하도록 마련되고, 양측으로 고정힌지캠(400)의 고정돌기(406)가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고정키홈(714)이 형성됨으로써, 고정힌지캠(400)과 제1 고정판(710) 및 리어보드(RB)가 일체화 되어 리어보드(RB)의 비틀림 유동에 대하여 함 께 유동되는 것이다.
또한, 제2 힌지하우징(200)의 힌지실린더(202)측에 결합되는 제2 고정판(710')의 힌지샤프트 통공(712')은 전술한 이동힌지캠(500)이 힌지실린더(202) 내에서 유동가능토록 힌지실린더(202)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볼트(720)는 상기 제2 힌지하우징(200)의 저면으로부터 내측 샤프트 끼움공(206)으로 연통된 볼트공(208)을 통해 볼트결합되고, 힌지샤프트(300)의 이동가이드축부(320) 일단에 형성된 결합공(322)에 결합되어 이동가이드축부(320)가 제2 힌지하우징(200)의 샤프트 끼움공(206)에 고정토록 구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작용은 아래의 설명과 같으며, 이하 사용상태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드 보드의 힌지구조는 먼저 리어보드(RB)의 저면측으로 구비된 제1 힌지하우징(100)의 중공부(102)에 힌지샤프트(300)의 회전축부(310)를 리어보드(RB)의 비틀림에 대하여 유동가능토록 끼움결합한다. 여기서, 힌지샤프트(300)의 회전축부(3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베어링(B)을 결합하여 리어보드(RB)의 제1 힌지하우징(100)의 중공부(102)에 끼움결합 한다. 이때, 베어링(B)이 회전축부(310)상에서 이탈이 방지토록 스냅링(SR)을 힌지샤프트(300)의 이동가이드축부(320)와 단을 이룬 회전축부(310)상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고정결합수단(700)의 제1 고정판(710)을 제1 힌지하우징(100)의 중공부(102)의 개방된 일측에 대응하여 볼트결합되도록 힌지샤프트 통공(712)이 힌지샤프트(300)의 이동가이드축부(320)를 통해 결합하여 리어보드(RB)의 일단면에 고정결합 한다.
여기서, 고정판(710)의 힌지샤프트 통공(712)은 중공부(10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중공부(102)에 끼움결합된 회전축부(310)가 사용자의 지속적인 비틀림 및 외부충격으로 인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한다.
다음으로, 프론트보드(FB)에 구비된 제2 힌지하우징(200)의 힌지실린더(202) 내측의 안치지지단(204)으로 힌지스프링(600)을 삽입 안치한다. 이후, 힌지스프링(600)이 안치지지단(204)에 안치된 힌지실린더(202)측으로 제2 고정판(710')을 볼트결합한다.
다음으로, 힌지샤프트(300)의 이동가이드축부(320)와 회전축부(310)의 단차진 경계면측으로 고정힌지캠(400)의 고정축공(404)을 대응하여 축결합 고정한다. 여기서, 고정힌지캠(400)의 고정돌기(406)는 리어보드(RB)에 결합된 제1 고정판(710)의 고정키홈(714)에 끼움결합하여 리어보드(RB)와 고정되도록 결합한다.
이후, 제2 힌지하우징(200)의 힌지실린더(202)측으로 대응되어 볼트결합된 제2 고정판(710')의 힌지샤프트 통공(712')을 통해 이동힌지캠(500)을 삽입하여 이동힌지캠(500)의 일단이 힌지실린던(202) 내측으로 위치되도록 구비한다.
다음으로, 이동힌지캠(500)의 이동축공(504)을 관통하여 제2 힌지하우징(200)의 샤프트 끼움공(206)측으로 끼움결합되도록 힌지샤프트(300)의 이동가이드축부(320)를 끼움결합한다.
다음으로, 샤프트 끼움공(206)에 끼움결합된 이동가이드축부(320)가 프론트 보드(FB)에 고정되도록 프론트 보드(FB) 저면에서 샤프트 끼움공(206)으로 관통된 볼트공(208)을 통해 고정볼트(720)를 볼트결합하여 이동가이드축부(320)의 결합공(322)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힌지샤프트(300)에 의해 프론트 보드(FB)와 리어보드(RB)가 연결되고, 고정힌지캠(400)과 이동힌지캠(500)이 힌지샤프트(300)의 축선상에서 마주보며 대응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는 이동힌지캠(500)의 유동접지부(502)와 대응되어 최초 수평이 유지되도록 완성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완성된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드 보드의 힌지구조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이동힌지캠(500)의 유동접지부(502)가 고정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상에 위치되어 수평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수평상태를 유지한 이동힌지캠(500)과 고정힌지캠(400)은 사용자가 스케이드 보드의 프론트 보드(FB)와 리어 보드(RB)에 발을 얻어 위치한 후, 사용자가 프론트 보드(FB)를 전후로 뒤틀리게 되면 프론트 보드(FB)와 결합된 힌지샤프트(300)가 프론트 보드(FB)의 비틀림과 동일하게 축선상에서 회전하게 된다.
이와 같이, 힌지샤프트(300)가 프론트 보드(FB)와 회전하게 되면 이동가이드축부(310) 상에 결합된 이동힌지캠(500)이 함께 회전한다. 따라서, 프론트 보드(FB)가 비틀림을 발생하게 되면 고정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에 위치된 이동힌지캠(500)이 비틀림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유동접지부(502)가 고정접지부(402)의 타원궤적상에서 위치변화되고, 이에 따라 힌지샤프트(300)의 이동가이드축부(320)의 축선상에서 이동힌지캠(500)이 힌지샤프트(300)의 축선상에서 전후로 반복적으로 이격되며 유동된다.
즉, 이동힌지캠(500)의 유동접지부(502)가 고정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의 타원궤적상에서 위치이동되면 고정힌지캠(400)과 이동힌지캠(500)이 접하는 거리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이동힌지캠(500)은 힌지샤프트(300)의 이동가이 드축부(320) 상에서 제2 힌지하우징(200)의 힌지실린더(202)측으로 축선상의 전후로 유동된다. 이에 따라, 힌지실린더(202)측으로 유동되는 이동힌지캠(500)의 일단이 힌지스프링(600)을 가압한다.
다음으로, 사용자에 의해 프론트 보드(FB)가 수평상태로 위치이동되면 이동힌지캠(500)은 프론트 보드(FB)와 함께 수평상태로 위치이동되도록 고정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의 타원궤적상에 대응되는 측으로 이동됨과 고정힌지캠(400)과 이동힌지캠(500)의 접하는 거리가 최단거리에 위치하게 됨과 함께 힌지스프링(600)에 의해 탄발력이 리어보드(RB) 측으로 인가되어 리어보드(RB)에 추진력을 발생하게 된다.
즉, 도 6의 프로파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힌지캠(500)의 유동접지부(502)는 고정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의 곡선상에서 0°~90°의 회전각 사이에서 작동하게 되어 이동힌지캠(500)에 의해 힌지스프링(600)의 가압복귀를 반복적으로 작용하게 되어 힌지스프링(6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리어보드(RB) 측으로 추진력을 발생한다.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드 보드의 힌지구조를 가진 스케이드 보드를 사용자가 양발을 프론트보드(FB)와 리어보드(RB)에 각각 올려놓은 후, 발목과 다리의 스냅을 이용하여 전후 각도로 유동함으로써, 힌지 샤프트(30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이동힌지캠(500)이 고정힌지캠(400) 상에서 회전되어 이동힌지캠(500)과 고정힌지캠(400)의 접하는 거리가 변화된다.
이와 같은 이동힌지캠(500)과 고정힌지캠(400)의 접하는 거리의 변화에 따라 힌지샤프트(300)의 축방향에 대하여 이동힌지캠(500)이 전후유동하게 되고, 이로 인해 힌지스프링(600)이 가압, 복원을 반복하면서 추진력을 얻게 되는 것이며, 프론트 보드(FB)와 리어보드(RB)를 동시에 전후로 비틀림하여도 동일한 작용을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요부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작동상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캠프로파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제1 힌지하우징 102 : 중공부
200 : 제2 힌지하우징 202 : 힌지실린더
204 : 안치지지단 206 : 샤프트 끼움공
208 : 볼트공 300 : 힌지 샤프트
310 : 회전축부 320 : 이동가이드축부
322 : 결합공 400 : 고정힌지캠
402 : 고정접지부 404 : 고정축공
406 : 고정돌기 500 : 이동힌지캠
502 : 유동접지부 504 : 이동축공
600 : 힌지스프링 700 : 고정결합수단
701 : 제 1고정판 712 : 힌지샤프트 통공
714 : 고정키홈 710' : 제2 고정판
712' : 힌지샤프트 통공 720 : 고정볼트
H : 힌지수단 FB : 프론트 보드
RB : 리어 보드 B : 베어링
SR : 스냅링

Claims (8)

  1. 프론트 보드와 리어 보드를 이격 상태로 고정시키며 비틀림시 탄성복원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연결되는 힌지수단과, 프론트 보드와 리어 보드의 각각의 저면에 부착되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스케이트 보드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H)은 상기 프론트 보드(FB)와 마주보는 리어 보드(RB)의 저면 일단으로 일측이 개방된 중공부(102)가 구비된 제1 힌지하우징(100)과;
    상기 리어 보드(RB)와 마주보는 프론트 보드(FB)의 저면 타단에 타측이 개방된 힌지실린더(202)가 구비된 제2 힌지하우징(200)과;
    일측으로 상기 제1 힌지하우징(100)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상기 제2 힌지하우징(200)에 볼트결합되어 고정되는 힌지 샤프트(300)와;
    상기 힌지 샤프트(300) 일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베어링(B)과;
    상기 힌지 샤프트(300)에 축결합되어 제1 힌지하우징(100)의 중공부(102) 외측 일단측으로 일측이 끼움결합되고, 타측에 사선으로 절개되어 타원형을 이룬 고정접지부(402)를 갖는 고정힌지캠(400)과;
    상기 힌지 샤프트(300)에 축결합되고, 상기 고정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와 대응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된 유동접지부(502)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접지부(402)를 따라 유동접지부(502)가 이동회전하여 제2 힌지하우징(200)의 힌지실린더(202) 내에서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토록 결합되는 이동힌지캠(500)과;
    상기 힌지실린더(202) 내측에 안치결합되고, 상기 이동힌지캠(500)과 힌지실린더(202) 사이에 위치되어 이동힌지캠(500) 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비된 힌지 스프링(600)과;
    상기 힌지 샤프트(300)가 제1, 2 힌지하우징(100,200)으로부터 이탈을 방지되도록 상기 프론트 보드(FB)와 리어 보드(RB)가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일단에 볼트결합되는 고정결합수단(7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하우징(200)은 힌지스프링(600)이 안치되고, 이동힌지캠(500)이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토록 일측이 개방된 힌지실린더(202)가 구비되되,
    상기 힌지실린더(202)의 타측으로 힌지스프링(600)이 지지되도록 단차 형성된 안치지지단(204)과;
    상기 안치지지단(204)의 중앙의 축선상에 직경이 축소되어 길게 요입 형성되어 힌지 샤프트(300)의 일단이 끼움결합되는 샤프트 끼움공(206)과;
    상기 샤프트 끼움공(206) 내부 후단측으로 상기 제2 힌지하우징(200)의 외측으로부터 관통형성된 볼트공(20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샤프트(300)는 일측으로 제1 힌지하우징(100)의 중공부(102) 내에서 유동가능토록 끼움결합되는 회전축부(310)와;
    상기 회전축부(310) 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고, 축결합되는 이동힌지캠(500)이 축방향의 전후로 유동가능토록 가이드되며, 일단측으로 제2 힌지하우징(200)에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결합공(322)이 구비된 이동가이드축부(32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힌지캠(4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일단 외연을 따라 사선으로 절개되어 타원형의 면을 이룬 고정접지부(402)와;
    중앙으로 상기 힌지 샤프트(300)와 축결합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통형성된 고정축공(404)과;
    고정접지부(402)의 반대편 일단 외연 양측으로 상기 리어보드(RB) 일단에 결합된 고정결합수단(700)에 끼움결합되어 고정되는 고정돌기(40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힌지캠(500)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타단 외연을 따라 상기 고정 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에 대응되도록 사선으로 절개되어 타원형의 면을 이룬 유동접지부(502)와;
    중앙으로 상기 힌지 샤프트(300)와 축결합되도록 일측에서 타측으로 연통된 이동축공(504);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힌지캠(400)의 고정접지부(402)에 대응되는 상기 이동 힌지캠(500)의 유동접지부(502)는 상기 고정접지부(402)의 사선절개된 타원궤적상에서 힌지 샤프트(300)를 중심으로 0도에서 90도의 간격으로 전후 뒤틀림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결합수단(700)은 리어 보드(RB) 일단의 제1 힌지하우징의 중공부(102)의 단부면에 대응되어 볼트결합되고, 중앙으로 힌지샤프트 통공(712)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샤프트 통공(712) 내주연 양측으로 형성된 고정키홈(714)이 형성된 제1 고정판(710)과;
    프론트 보드(FB) 타단의 제2 힌지하우징(200) 내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힌지하우징(200)의 타단 외측으로 타측이 개방형성된 힌지실린더(202)의 외측 단부면에 대응되어 볼트결합되며, 중앙으로 힌지샤프트 통공(712')이 형성된 제2 고정판(710')과;
    상기 제2 힌지하우징(200)의 저면으로부터 내측 샤프트 끼움공(206)으로 연통된 볼트공(208)을 통해 볼트결합되고, 힌지샤프트(300)의 이동가이드축부(320) 일단에 형성된 결합공(322)에 결합되어 이동가이드축부(320)가 제2 힌지하우징(200)의 샤프트 끼움공(206)에 고정토록 구비되는 고정볼트(7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샤프트(300) 일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는 베어링(B)이 제 1 힌지하우징(100)으로부터 이탈을 방지토록 스냅링(SR)이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KR1020080039179A 2008-04-28 2008-04-28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KR1008855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179A KR100885506B1 (ko) 2008-04-28 2008-04-28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US12/993,898 US8408565B2 (en) 2008-04-28 2009-04-11 Hinge structure of skateboard
PCT/KR2009/001870 WO2009134020A2 (ko) 2008-04-28 2009-04-11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EP09738926.6A EP2327459B1 (en) 2008-04-28 2009-04-11 Hinge structure of skateboar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179A KR100885506B1 (ko) 2008-04-28 2008-04-28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5506B1 true KR100885506B1 (ko) 2009-02-26

Family

ID=406820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179A KR100885506B1 (ko) 2008-04-28 2008-04-28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408565B2 (ko)
EP (1) EP2327459B1 (ko)
KR (1) KR100885506B1 (ko)
WO (1) WO2009134020A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0386A1 (en) * 2008-08-11 2011-06-16 Eem Sik Yoon Skateboard
KR20150145847A (ko) * 2014-06-19 2015-12-31 주식회사 랜드웨이스포츠 스케이트보드
KR101783043B1 (ko) 2015-05-15 2017-09-28 오지윤 결속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KR20230013183A (ko) 2021-07-17 2023-01-26 박왕희 스케이트보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38278B2 (en) 2012-02-12 2014-05-27 Shane Chen Two-wheel, self-balancing vehicle with independently movable foot placement sections
JP2013240570A (ja) * 2012-04-24 2013-12-05 Jd Japan Kk スケートボード
CN104014123A (zh) 2014-06-13 2014-09-03 杭州骑客智能科技有限公司 纵向双轮车体
EP3223923A1 (en) 2014-11-26 2017-10-04 Razor USA LLC Powered wheeled board
USD770585S1 (en) 2015-05-04 2016-11-01 Razor Usa Llc Skateboard
US10071303B2 (en) 2015-08-26 2018-09-11 Malibu Innovations, LLC Mobilized cooler device with fork hanger assembly
US10252724B2 (en) 2015-09-24 2019-04-09 P&N Phc, Llc Portable two-wheeled self-balancing personal transport vehicle
US10807659B2 (en) 2016-05-27 2020-10-20 Joseph L. Pikulski Motorized platforms
USD840872S1 (en) 2016-07-20 2019-02-19 Razor Usa Llc Two wheeled board
USD803963S1 (en) 2016-07-20 2017-11-28 Razor Usa Llc Two wheeled board
USD941948S1 (en) 2016-07-20 2022-01-25 Razor Usa Llc Two wheeled board
US11203391B2 (en) * 2016-08-26 2021-12-21 Shenzhen Xiangyou Technology Co., Ltd. Self-balancing scooter and main frame assembly thereof
CN108698659B (zh) * 2016-08-26 2020-05-05 深圳香柚科技有限公司 平衡车主机架及平衡车
US11203390B2 (en) * 2016-08-26 2021-12-21 Shenzhen Xiangyou Technology Co., Ltd. Self-balancing scooter and main frame assembly thereof
JP1593302S (ko) 2016-09-02 2017-12-18
EP3612282A4 (en) * 2017-04-18 2021-01-27 Razor USA LLC POWERED BOARD WITH WHEELS
CN209553392U (zh) 2017-12-22 2019-10-29 美国锐哲有限公司 电动平衡车
CN109238256A (zh) * 2018-11-02 2019-01-18 苏州星宇测绘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北斗港口自动化监测系统
CN117959692A (zh) 2019-03-06 2024-05-03 美国锐哲有限公司 电动滑板车
US11141647B2 (en) 2019-05-01 2021-10-12 Bowen Li Self-balancing vehicle with rotation stop
US10421006B1 (en) * 2019-05-01 2019-09-24 Bowen Li Self-balancing vehicle and structural support therein
JP2022548300A (ja) 2019-09-18 2022-11-17 レイザー・ユーエスエー・エルエルシー 取外し可能なインサートを有するキャスタボード
CN113212622A (zh) * 2021-06-24 2021-08-06 深圳百客电子商务有限公司 一种平衡车及其控制方法和以平衡车为动力的卡丁车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2427B1 (ko) 2006-04-12 2006-08-16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보드
KR100679418B1 (ko) 2006-05-30 2007-02-06 신경남 놀이용 보드
KR20070098467A (ko) * 2006-03-29 2007-10-05 주식회사 두발테크 스케이트보드
KR20080031087A (ko) * 2006-10-02 2008-04-08 주식회사 슬로비 자력을 통하여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보드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1243A (en) * 1904-10-12 1905-01-31 Sedgefield Thompson Foldable truck.
US1056357A (en) 1911-10-12 1913-03-18 Luke S Murdock Coaster.
US3583722A (en) * 1969-05-15 1971-06-08 Isidor R Jacobson Collapsible bobsled
US4076267A (en) 1976-09-20 1978-02-28 Willis Leonard Lipscomb Articulated skateboard
US4082306A (en) 1976-12-09 1978-04-04 Gregg Sheldon Torsion bar skateboard
US4458907A (en) * 1982-08-02 1984-07-10 Meredith Deanna R Skateboard
KR20020042572A (ko) 2002-05-01 2002-06-05 고진경 흔들어서 나아가는 구름판
JPH06103765B2 (ja) 1987-10-30 1994-12-14 日本電気株式会社 半導体レーザバイアス電流制御方式
US5540455A (en) * 1994-02-23 1996-07-30 Chambers; Lile R. Articulating skateboard with springable connector
US5505474A (en) * 1995-05-04 1996-04-09 Yeh; Hsiu-Ying Folding skateboard
US5707068A (en) * 1995-11-21 1998-01-13 Bradfield; Athol George In-line skateboard
US5769438A (en) * 1997-02-19 1998-06-23 Svetlov; Felix Skateboard
US6131931A (en) * 1997-04-01 2000-10-17 Globerson; Justin David Folding skateboard
JP2001029663A (ja) 1999-07-19 2001-02-06 Koji Takahashi 遊戯用スプリングボード
KR20020028361A (ko) 2000-10-09 2002-04-17 윤창현 인라인 스케이트 보드
US7083178B2 (en) * 2001-04-11 2006-08-01 Steven Dickinson Potter Balancing skateboard
US7150461B2 (en) * 2002-01-07 2006-12-19 Minson Enterprises Co., Ltd Foldable skateboard
AU2003224481B2 (en) * 2002-05-01 2006-12-21 Razor Usa, Llc Skateboard with direction-caster
USD505470S1 (en) * 2004-07-02 2005-05-24 Thomas K. Hong Folding skateboard
KR100505754B1 (ko) 2004-08-31 2005-08-03 유석연 2륜 스케이트보드
CN2714112Y (zh) * 2004-09-13 2005-08-03 江显灿 滑行板
US7325819B2 (en) * 2005-01-25 2008-02-05 No Un Kwak Skateboard
US7635137B2 (en) * 2005-08-03 2009-12-22 Portaboard, L.L.C. Disassemblable skateboard for improved portability
US7523955B2 (en) * 2007-04-17 2009-04-28 Maryann Blair Foldable wagon
US7775534B2 (en) * 2007-11-28 2010-08-17 Razor USA, Inc. Flexible skateboard with grinding tube
US20100225080A1 (en) * 2009-03-09 2010-09-09 Shane Smith Articulated Two-piece Wheeled Sport Board with Rigid Flexible Connector
US7976034B1 (en) * 2010-01-25 2011-07-12 Hong Thomas K Foldable skateboard
US8910959B2 (en) * 2010-03-20 2014-12-16 Jordan Alva Folding sports board and truck mounting apparatus
US8746715B2 (en) * 2010-03-25 2014-06-10 John Woncik Folding skateboar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8467A (ko) * 2006-03-29 2007-10-05 주식회사 두발테크 스케이트보드
KR100612427B1 (ko) 2006-04-12 2006-08-16 트라이스포츠 주식회사 자발적 전진이 가능한 보드
KR100679418B1 (ko) 2006-05-30 2007-02-06 신경남 놀이용 보드
KR20080031087A (ko) * 2006-10-02 2008-04-08 주식회사 슬로비 자력을 통하여 수평유지 기능을 갖는 보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140386A1 (en) * 2008-08-11 2011-06-16 Eem Sik Yoon Skateboard
US8459668B2 (en) * 2008-08-11 2013-06-11 Eem Sik Yoon Skateboard
KR20150145847A (ko) * 2014-06-19 2015-12-31 주식회사 랜드웨이스포츠 스케이트보드
KR101589923B1 (ko) 2014-06-19 2016-02-01 주식회사 랜드웨이스포츠 스케이트보드
KR101783043B1 (ko) 2015-05-15 2017-09-28 오지윤 결속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KR20230013183A (ko) 2021-07-17 2023-01-26 박왕희 스케이트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27459A2 (en) 2011-06-01
US8408565B2 (en) 2013-04-02
WO2009134020A2 (ko) 2009-11-05
EP2327459A4 (en) 2013-10-23
EP2327459B1 (en) 2015-03-25
WO2009134020A3 (ko) 2010-02-18
US20110131759A1 (en)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506B1 (ko)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KR100859413B1 (ko) 스케이트 보드
JP4411200B2 (ja) スケートボード
CN101642624B (zh) 电子玩具
KR101675912B1 (ko) 스케이트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
WO2008127862A3 (en) Integral tilting pad bearing
US20080156616A1 (en) Omniwheel and vehicle using the same
CN108343701B (zh) 一种液压衬套
US7574944B2 (en) High-durability cam wheel assembly
US8424882B2 (en) Skateboard truck
CN104859837A (zh) 可折叠桨臂组件及无人机
KR20070098467A (ko) 스케이트보드
CN101554868B (zh) 防锁定刹车结构
CN107244185B (zh) 一种全地形刚性柔性切换轮
KR20120000804U (ko) 스케이트 보드
KR101783043B1 (ko) 결속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KR101589923B1 (ko) 스케이트보드
CN112855532B (zh) 一种动盘组件及压缩机
CN208101586U (zh) 一种用于机台的支撑结构以及机台
KR100509347B1 (ko) 조향이 가능한 인라인 스케이트의 휠 설치구조
CN108343703B (zh) 一种用于液压衬套的刚度调节装置和液压衬套
CN104314969A (zh) 一种刹片式转轴结构
KR100893776B1 (ko) 스케이트 보드
KR100672281B1 (ko) 안마의자의 안마부재 가동장치
CN219701030U (zh) 一种陆地冲浪滑板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