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3043B1 - 결속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 Google Patents

결속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3043B1
KR101783043B1 KR1020150067851A KR20150067851A KR101783043B1 KR 101783043 B1 KR101783043 B1 KR 101783043B1 KR 1020150067851 A KR1020150067851 A KR 1020150067851A KR 20150067851 A KR20150067851 A KR 20150067851A KR 101783043 B1 KR101783043 B1 KR 1017830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board
elastic
elastic body
skate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4197A (ko
Inventor
오지윤
Original Assignee
오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지윤 filed Critical 오지윤
Priority to KR10201500678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3043B1/ko
Publication of KR20160134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4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3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3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63C17/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 A63C17/061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relative movement of sub-parts on the chassis
    • A63C17/06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single-track type with relative movement of sub-parts on the chassis with a pivotal frame or cradle around transversal axis for relative movements of the wheel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각 방향성 캐스터를 장착한 프론트보드와 리어보드가 커넥터로 연결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비틀릴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프론트보드와 리어보드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리도록 양 발로 각각 밟아서 추진력을 얻거나 방향전환을 수행한다.
이러한 종류의 스케이트보드는 단지, 글라이딩 기능만을 수행하는 클래식 스케이트보드에 비하여 스스로 추진력을 가질 수 있으므로, 오락 및 레져용은 물론, 근거리 이동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Description

결속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SKATEBOARD}
본 발명은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각각 스케이트보드의 길이방향으로 기울임을 준 캐스터(방향성 캐스터)를 장착한 프론트보드와 리어보드가 커넥터로 연결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탄력적으로 비틀릴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상기 프론트보드와 리어보드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리도록 양 발로 각각 밟아서 자발적으로 추진력을 얻거나 급격한 방향전환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스케이트보드는 단지, 글라이딩 기능만을 수행하는 클래식 스케이트보드에 비하여, 스스로 추진력을 가질 수 있고 최소의 회전반경이 가능하므로, 오락 및 레져용은 물론, 근거리 이동수단으로도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자발적 추진이 가능하고 방향전환이 용이한 스케이트보드와 관련하는 구체적인 구성과 작동원리에 관해서는 등록특허 제394848호 등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는 바,
두개의 앞보드 및 뒷보드와, 이들 보드의 저면에 경사진 상태로 부착되어 있는 방향성 캐스터와, 상기 양 보드를 서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비틀림 또는 굽힘시에 복원이 가능하도록 탄성체가 내장된 비틀림 파이프 및 이 파이프를 장착시키기 위한 체결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틀림 파이프의 경우에는 앞,뒤 두개의 파이프가 베어링으로 연결되어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파이프 내에 장착되어 있는 속파이프를 통해 스프링 및 걸림쇠를 장착시킴과 동시에 속파이프 내에 설치된 판스프링을 홀더 내에 스크류로 고정시켜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보드 주행시에 앞뒤 파이프 간의 상대적 비틀림 운동에 의해 탄성변형이 일어나고 비틀림 외력의 소멸시에는 비틀림 파이프가 원상태로 회복됨에 따라 상기 앞보드와 뒷보드가 상호 엇갈리게 탄력적으로 롤링이 이루어져 파형적으로 운동하면서 전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된 스케이트보드에 있어서, 양 보드를 연결하기 위한 다수의 파이프들을 포함하여 이 파이프들 사이에 장착되는 베어링 및 공회전 방지를 위한 걸림쇠와 스프링 등의 부품을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와,
운전자가 추진력을 얻기 위해 보드에 탑승한 채로 몸을 좌우로 비틀면서 주행하게 되므로 각 부품의 연결부위에 무리한 비틀림 외력이 작용하게 되어 균열에 의한 파손을 초래하게 되며, 장기간 사용시 판스프링이 노후되어 양 보드의 수평상태를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운전자의 탑승을 방해하게 되는 문제를 개선하고자,
도 1의 도시와 같이, 프론트 보드, 리어 보드 및 힌지수단을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가 등록특허 제10-0885506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 힌지수단은 상기 프론트 보드와 마주보는 리어 보드의 저면 일단으로 일측이 개방된 중공부가 구비된 제1 힌지하우징과; 상기 리어 보드와 마주보는 프론트 보드의 저면 타단에 타측이 개방된 힌지실린더가 구비된 제2힌지하우징과; 일측으로 상기 제1 힌지하우징에 결합되고, 타측으로 상기 제2 힌지하우징에 볼트결합되어 고정되는 힌지 샤프트와; 상기 힌지 샤프트 일측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결합되는 베어링과; 상기 힌지 샤프트에 축결합되어 제1 힌지하우징의 중공부 외측 일단측으로 일측이 끼움결합되고, 타측에 사선으로 절개되어 타원형을 이룬 고정접지부를 갖는 고정힌지캠과; 상기 힌지 샤프트에 축결합되고, 상기 고정힌지캠의 고정접지부와 대응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된 유동접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접지부를 따라 유동접지부가 이동회전하여 제2 힌지하우징의 힌지실린더 내에서 축방향으로 유동가능토록 결합되는 이동힌지캠과; 상기 힌지실린더 내측에 안치결합되고, 상기 이동힌지캠과 힌지실린더 사이에 위치되어 이동힌지캠 측으로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구비된 힌지 스프링과; 상기 힌지 샤프트가 제1, 2 힌지하우징으로부터 이탈을 방지되도록 상기 프론트 보드와 리어보드가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일단에 볼트결합되는 고정결합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캠(힌지캠)을 사용하여 탄성복원력을 얻는 스케이트보드는 실재 사용에 있어서는, 스케이트보드의 비틀림 회전 운동을 캠을 통하여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탄성체에 부하를 인가하므로 탄성력의 전달이 직접적이지 못하고, 그 구성이 복잡하고, 캠 등의 슬라이딩 마찰이 발생하여 탄성력의 소모가 크고, 무게가 무거워져서 비효율적이며, 장기간 사용으로 캠 등이 닳아서 마찰력이 커지면 종국에는 비틀림 탄성 복원이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스케이트보드의 전술된 문제들을 개선하고자 이루어진 것으로서,
프론트보드 및 리어보드 사이에 보다 충분한 비틀림 복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제공하여서, 프론트보드와 리어보드의 비틀림 후에 보다 효율적으로 원 상태 복원 탄성력을 수행할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부품을 단순화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비용을 절감하고, 스케이트보드의 내구성을 견고히 할 수 있으며, 항시 수평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함에 있다.
전술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결속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는,
진행방향으로 기울임을 준 프론트휠캐스터를 저면에 장착한 프론트보드;
진행방향으로 기울임을 준 리어휠캐스터를 저면에 장착한 리어보드;
상기 프론트보드의 후방과 상기 리어보드의 전방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보드와 상기 리어보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릴 수 있도록 결속하는 커넥터;
상기 결속하는 지점에 구성되어 상기 비틀림 후에 복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결속어셈블리;를 포함하되,
상기 결속어셈블리는 프론트하우징과 상기 리어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하우징 및 상기 리어하우징은 각각, 커넥터어셉터 및 탄성체어셉터를 포함하고,
상기 프론트하우징 및 상기 리어하우징의 각 커넥터어셉터에 상기 커넥터의 일단과 타단 중 어느 한 쪽에는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다른 쪽은 비틀림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하고,
상기 프론트하우징 및 상기 리어하우징의 각 탄성체어셉터를 서로 결합하여 탄성체가이드룸을 구성하여서, 상기 탄성체가이드룸에 탄성체를 내장하고,
상기 탄성체의 일단을 상기 커넥터의 탄성체가이드에 접촉시키고, 상기 탄성체의 타단을 상기 탄성체어셉터의 탄성체가이드에 접촉시켜서 탄성력을 부여하는 구성을 한다.
더하여, 상기 커넥터를 움직이지 않게 고정나사로 조여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커넥터어셉터 및 상기 커넥터에 각각 나사홈을 연직방향으로 형성하여 두면, 조립 및 해체 작업시에도 용이하게 작업 수행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결속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의 구성에 따르면,
프론트보드 및 리어보드 사이에 보다 충분한 비틀림 복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구조를 제공하므로, 프론트보드와 리어보드의 비틀림 후에 보다 효율적으로 원 상태 복원력을 수행할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게 된다.
더하여, 구성부품을 보다 단순화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작이 가능하고, 저비용으로 생산이 가능하고, 스케이트보드의 내구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발적 추진이 가능한 스케이트보드의 힌지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도면 예시에 있어서 부여된 도면부호는 도 1의 도면부호와는 관련이 없다.
도 2는 스케이트보드 전체를 후방에서 비껴보인 사시도.
도 3은 전체를 보인 측면도 및 저면도.
도 4는 전체를 보인 측단면도 및 상기 측단면도의 어느 부분을 보인 확대도
도 5 A는 커넥터의 저면 사시도; 도 5 B는 프론트측 탄성체가이드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비껴보인 확대 사시도; 도 5 C는 상기 커넥터에 상기 프론트측 탄성체가이드를 고정, 장착한 것을 보인 예시도.
도 6 A는 리어측 탄성체하우징의 정면도 및 측단면도; 도 6 B는 리어측 탄성체가이드를 각각 다른 방향에서 보인 확대 사시도; 도 6 C는 상기 리어측 탄성체하우징에 상기 리어측 탄성체가이드를 고정, 장착한 것을 각각 다른 각도에서 보인 사시도.
도 7은 부부닝 분해된 상태로 결합관계를 예시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도 8 A는 어느 한 부분의 조립된 상태를 확대하여 보인 정면도. 도 8 B 및 도 8 C는 기울임 동작을 예시하여 보인 동작도.
도 9는 기울임 동작을 스케이트보드 전체 모습으로 예시하여 보인 동작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보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스케이트보드 전방부(100)의 프론트보드(110) 및 스케이트보드 후방부(200)의 리어보드(210)가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결속되어 축방향으로 상호 비틀림이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상기 프론트보드(110) 및 리어보드(210)의 저면에는 좌우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캐스터의 구성방법으로 제공이 되어지는 프론트휠캐스터(120) 및 리어휠캐스터(220)가 구비되며, 상기 프론트휠캐스터(120) 및 상기 리어휠캐스터(220) 는 스케이트보드의 진행방향(또는, 스케이트보드의 길이방향)으로 기울임을 주어 장착한다. 이러한 장착방법은 스케이트보드의 좌우 기울임을 따라 그 방향으로 진행방향이 전환되는 기능을 수행하며 또, 추진력 발생에도 도움을 준다. 이와 관련하는 보다 상세한 설명은 공지된 것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론트보드(110)의 저면에는 커넥터(300)를 끼울 중공을 갖는 프론트측 커넥터어셉터(131)가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보드의 후단(즉, 상기 프런트측 커넥터어셉터의 후단)에는 탄성체(410)를 내장할 공간을 갖는 프론트측 탄성체어셉터(132)가 형성되어, 양자가 함께 프론트하우징(130)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리어보드(210)의 저면에도 리어측 커넥터어셉터(231)가 형성되고, 상기 리어보드(210)의 전단(즉, 상기 리어측 커넥터어셉터의 전단)에도 리어측 탄성체어셉터(232)이 형성되어, 양자가 함께 리어하우징(230)을 이룬다. 상기 프론트하우징(130)과 상기 리어하우징(230)은 결속되어서 함께 결속어셈블리(T300)를 이룬다.
특히, 상기 프론트측 탄성체어셉터(132)와 상기 리어측 탄성체어셉터(232)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탄성체어셉터(130, 230)가 이루는 내부의 공간을 구성하는데 이를 탄성체가이드룸(rm)이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탄성체가이드룸(rm)은 커넥터(300)의 외주변으로부터 상기 커넥터어셉터(131, 231)보다 직경이 큰 공간을 갖는 내부가 빈 링 형태(또는, 도넛 형태)를 취하여서 그 내부의 공간에 탄성체(410)를 내장하며 비틀림(회전) 운동시에 탄성체의 변형되는 방향을 가이드 하며 탄성체가이드룸(rm) 내로 상기 탄성체를 구속한다.
상기 결속어셈블리의 커넥터어셉터(131)에는 봉(또는 파이프) 형상의 커넥터(300)가 삽입된다. 상기 커넥터(300)는, 상기 프론트보드(110)의 후방과 상기 리어보드(210)의 전방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보드(110)와 상기 리어보드(210)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릴 수 있도록 회전축 및 결속체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더하여, 탄성체(410) 및 탄성체가이드(420) 등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복원부(400)가 구성되어 상기 비틀림 후에 상기 비틀림을 유발하는 하중이 제거되면 비틀림 전의 형태로 복원시켜주는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커넥터어셉터(131, 231)의 내주변 형태는 상기 커넥터(300)의 외주변 형태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야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요체라고 할 수 있는 상기 결속어셈블리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4 및 도 5 A의 예시에서, 상기 커넥터(300)는 길이를 갖는 봉 형상을 취하고, 상기 커넥터(300)의(봉 형상의) 일측에는 프론트측의 커넥터어셉터(131)(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어셉터의 중공)에 끼워져 볼트 또는 나사(a)로 고정되도록 나사홈(a1)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프론트측 커넥터어셉터(131)에도 상기 나사(a)를 끼워 관통시킬 수 있는 나사홈이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 커넥터(300)의 타측에는 상기 리어측 커넥터어셉터(131)(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어셉터의 중공)에 끼워진 후 길이방향을 축으로 비틀림 회전이 가능하되 빠지지 않게 고정되도록 상기 커넥터(300)보다 직경이 큰 걸림부(b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리어보드(210)의 커넥터어셉터(131)는 그 후단의 내부 형태가 상기 걸림부(b1)의 외부 형태에 대응시켜 형성된 걸림받이부(b)를 갖는다. 상기 걸림부(b1)는 상기 커넥터(300)를 상기 커넥터어셉터(131)에 삽입하기 용이하도록 탈착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전술된 구성에 따라, 상기 커넥터(300)는 상기 프론트보드(110)와 일체가 되어 함께 움직이도록 고정(결속)되며, 상기 리어보드(210)에 대하여서는 비틀림 회전이 가능하도록 고정(결속)될 수 있게 된다.
도 5 B 및 도 6 B에 도시된 바에는, (코일스프링과 같은) 탄성체(410 : 411. 412)의 일단부를 고정하여 잡아주며 탄성력이 작용되는 방향을 가이드 하여 주는 탄성체가이드(420)가 예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 B 및 도 5 C의 예시는 상기 커넥터(300)에 부착되는 프론트측 탄성체가이드(421)에 관한 것으로서, 그 형태는 위가 좁은 육면체 형상을 취하되 좌우 양측으로 각각 탄성체(410 : 411. 412)의 일측과 접촉할 호 형상의 돌기(421a)가 (돌출)형성되어 있고, 상기 육면체 형상의 상단은 상기 커넥터(300)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곡면(e)으로 제공되고, 하단은 협곡(f) 형태로 파내어진 공간이 형성되어서 거기에 고정나사(c)를 배치한다. 그리고 상기 협곡(f)의 천정면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상기 고정나사(c)가 통과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나사홈(c1)이 천공된다. 한편, 도 5 a의 예시처럼 상기 커넥터(300)의 중간 허리부분에 또한 연직방향으로 나사를 끼울 나사홈(c1)이 천공된다. 그 후, 도 5 C의 예시와 같이 상기 커넥터(300)의 중간 하단에 상기 프론트측 탄성체가이드(421)를 가져다 대고 상기 고정나사(c)로 상기 나사홈(c1) 모두를 일시에 조여 단단히 고정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커넥터(300)와 상기 프론트측 탄성체가이드(421)가 한 몸체로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프론트측 탄성체가이드(421)가 갖는 전술된 형태의 특성은 정밀하게 상기 커넥터(300)에 밀착될 수 있어서 쓸데없는 유격을 미연에 방지하고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역으로, 쉽게 분해될 수가 있어서, 부품교체 또는 수리시에도 편리한 잇점이 있다.
도 6의 도시는 리어측 탄성체가이드(422) 및 이와 관련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도 6 B의 예시에 의하면, 상기 리어측 탄성체가이드(422)는 아래가 좁은 육면체 형상을 취하며, 그 좌우 양측으로는 각각 탄성체(410 : 411. 412)의 타측과 접촉할 호 형상의 돌기(422a)를 돌출시켜 형성하고, 상기 육면체 형상의 전후 방향으로는 상기 리어측 탄성체가이드(422)를 고정할 나사홈(d1)을 천공, 형성한다. 도 6 A 및 도 6 C의 예시에서, 상기 리어측 탄성체가이드(422)는 상기 리어측 탄성체어셉터(232) 내의 상,하단 어느 일측에 고정나사(d)로 결속하여 고정되는데(도면의 예시에서는 상단에 결합) 이때, 상기 리어측 탄성체어셉터(232)에는 상기 리어측 탄성체가이드(422)를 고정하기 위한 브라킷(233)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브라킷(233)은 상하 양측에서 각각 전방으로 수평 돌출시킨 돌출편(p1)을 형성하고, 상기 돌출편(p1) 사이의 수직면에는 후방으로 구멍을 뚫어 나사홈(d1)을 형성한다. 이와 관련하여 도 6 B의 예시처럼, 상기 리어측 탄성체가이드(422)의 상단 좌우측으로부터 각각 위로 그리고 하단 좌우측으로부터 각각 아래로 돌출하는 돌출편(p2)을 형성하여 상기 브라킷(233) 측의 돌출편(p1)과 서로 직각으로 맞물려 끼움질이 가능하도록 조립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따르면, 상기 탄성체가이드(422)가 상기 브라킷(233)에 전후좌우로 미동도 할 수 없을 만큼 정밀하게 끼워질 수 있어서 탄성체의 탄성력이 아무리 강하게 미치더라도 유동이 없다. 그리고 상기 리어측 탄성체가이드(422)를 상기 브라킷(233)에 끼워 장착시킨 후에는 상기 나사홈(d1)을 고정나사(d)로 단단히 조여 고정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립된 구성의 결과가 도 6 C에 예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의 전술된 구성은, 도 7 및 도 8 A의 예시와 같이 조립된다. 이때,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먼저, 상기 커넥터(300)의 타단을 상기 리어측 커넥터어셉터(131)에 끼워 결합한 후 상기 커넥터(300)에 상기 프론트측 탄성체가이드(421)를 결합시킬 수 있다. 그 후, 좌우 탄성체(410 : 411. 412)의 양 단부를 각각 탄성체가이드(420)의 호 형상 돌기(421a)에 접촉시켜 고정한다. 상기 탄성체(410)는 고무, 합성수지 또는 금속 등의 부재로 재공되며, 상기 탄성체가이드룸(rm)의 내부 형태에 대응하도록 호 형상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나 설령, 호 형상이 아닌 직선의 형태라 하더라도 상기 탄성체가이드룸(rm)에 밀어 넣게 되면 강제적으로 호 형상으로 변하게 되므로 부재의 선정이 용이하다. 도 7 및 도 8의 예시처럼, 상기 탄성체(410 : 411. 412)가 코일스프링으로 제공되는 경우 그 단부를 상기 돌기(421a)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론트측 커넥터어셉터(131)에 상기 커넥터(300)의 일단을 삽입한 후, 고정나사 등으로 고정하여 도 4의 예시와 같은 구성을 달성한다.
전술된 구성을 통하여, 도 8 B, 도 8 C 및 도9의 동작 예시와 같이, 사용자가 시계방향(cw) 또는 반시계방향(-cw)의 좌우 어느 한 쪽으로 기울임을 줄 때 상기 탄성체(410 : 411. 412)는 탄성체가이드룸(rm) 내에서 외부의 간섭없이 그리고 상기 탄성체가이드룸(rm)의 내부의 정해진 공간의 가이드 루트를 따라 확실하게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상기 탄성체(410 : 411. 412)의 양 단부는 상기 커넥터어셉터(131)의 돌기에 접촉하여 고정되어 있고, 상기 탄성체의 몸체는 상기 탄성체가이드룸(rm)에 내장되어 있으므로 정해진 루트로만 압축, 팽창하도록 안내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매번 동일한 방법으로 확실하고 안정적이며 지속적인 탄성력을 제공하며, 내구성이 견실한 구성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스케이트보드의 전,후방 비틀림 회전에 대하여 탄성체가 직접적으로 그리고 회전운동 방향에 대하여 정면으로 탄성 저항을 가하므로, 캠을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탄성력을 부여하는 방식에 비하여(종래기술 중의 하나), 탄성력의 낭비가 없고 반응이 즉각적인 잇점이 있다.
그리고 탄성체 등을 교환해야 하는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커넥터(300)의 고정나사(a)만을 풀게 되면, 도 7의 예시와 같이, 탄성체 등을 바로 빼어내어 교환할 수 있어서 수리가 매우 용이하다. 즉, 고정나사 하나만을 풀어서, 상기 결속어셈블리(T300)만 전개하면 바로 필요한 요소들을 교환하거나 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역으로, 다시 조립할 시에 그 과정도 간소화 할 수 있어서 제작 및 수리시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것이다.
프론트보드(110);
프론트휠캐스터(120);
프론트하우징(130);
리어보드(210);
리어휠캐스터(220);
리어하우징(230);
커넥터(300);
탄성복원부(400);
탄성체(410);
탄성체가이드(420);
결속어셈블리(T300);

Claims (3)

  1. 프론트보드와 리어보드로 분리되어 커넥터로 연결되는 스케이트보드로서,
    진행방향으로 기울임을 준 프론트휠캐스터를 저면에 장착한 프론트보드;
    진행방향으로 기울임을 준 리어휠캐스터를 저면에 장착한 리어보드;
    상기 프론트보드의 후방과 상기 리어보드의 전방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프론트보드와 상기 리어보드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릴 수 있도록 결속하는 봉 형상의 커넥터;
    상기 결속하는 지점에 구성되어 상기 비틀림 후에 복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결속어셈블리;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보드의 저면에는 상기 커넥터를 끼울 중공을 갖는 프론트측 커넥터어셉터(131)가 형성되고, 상기 프런트측 커넥터어셉터의 후단에는 탄성체(410)를 내장할 공간을 갖는 프론트측 탄성체어셉터(132)가 형성되어, 상기 프론트측 커넥터어셉터와 상기 프론트측 탄성체어셉터가 함께 프론트하우징(130)을 이루고,
    상기 리어보드의 저면에도 리어측 커넥터어셉터(231)가 형성되고, 상기 리어측 커넥터어셉터의 전단에도 리어측 탄성체어셉터(232)이 형성되어, 상기 리어측 커넥터어셉터와 상기 리어측 탄성체어셉터가 함께 리어하우징(230)을 이루고,
    상기 프론트하우징(130)과 상기 리어하우징(230)은 결속되어서 함께 결속어셈블리(T300)를 이루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결속어셈블리의 프론트측/리어측 커넥터어셉터(131, 231)에 삽입되고,
    상기 프론트측 탄성체어셉터(132)와 상기 리어측 탄성체어셉터(232)가 함께 결합되어 하나의 내부 공간을 제공하는 탄성체가이드룸(rm)을 이루되, 상기 탄성체가이드룸(rm)은, 상기 커넥터의 외주변으로부터 내부가 빈 링 형태를 취하여서, 상기 프론트측/리어측 커넥터어셉터(131, 231) 보다 직경이 큰 내부 공간을 갖고 그 공간에 상기 탄성체(410)를 내장하여 비틀림 회전 운동시에 탄성체의 변형되는 방향을 가이드 하면서서 상기 탄성체가이드룸(rm) 내로 상기 탄성체를 구속하고,

    상기 결속어셈블리는,
    상기 커넥터의 일측에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프론트측 커넥터어셉터(131)에 끼워진 후 나사(a)로 고정되도록 나사홈(a1)이 형성되고, 상기 프론트측 커넥터어셉터(131)에도 상기 나사(a)를 끼울 나사홈이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는 상기 프론트보드와 일체가 되어 함께 움직이도록 결속되며,
    상기 커넥터의 타측에는 상기 리어측 커넥터어셉터(131)에 끼워진 후 길이방향을 축으로 비틀림 회전이 가능하되 빠지지 않게 고정되도록 상기 커넥터보다 직경이 큰 걸림부(b1)가 형성되고,
    상기 리어측 커넥터어셉터(131)는 그 후단의 내부 형태가 상기 걸림부(b1)의 외부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된 걸림받이부(b)를 갖는 구성을 통하여, 상기 커넥터는 상기 리어보드에 대하여서는 비틀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속되며,

    상기 커넥터에는 프론트측 탄성체가이드(421)가 부착되며, 그 형태는 위가 좁은 육면체 형상을 취하되, 좌우 양측으로 각각 탄성체(410 : 411. 412)의 일측과 접촉할 호 형상의 돌기(42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육면체 형상의 상단은 상기 커넥터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곡면(e)으로 제공되고, 하단은 협곡(f) 형태로 파내어진 공간이 형성되어서 거기에 고정나사(c)를 배치되고,
    상기 협곡(f)의 천정면으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상기 고정나사(c)가 통과되어 끼워질 수 있도록 나사홈(c1)이 천공되고,
    상기 커넥터의 중간 허리부분에 또한 연직방향으로 나사를 끼울 나사홈(c1)이 천공된 후, 상기 커넥터의 중간 하단에 상기 프론트측 탄성체가이드(421)를 가져다 대고 상기 고정나사(c)로 상기 나사홈(c1) 모두를 일시에 조여 단단히 고정하여 상기 커넥터와 상기 프론트측 탄성체가이드(421)가 한 몸체로 조립되어, 상기 프론트측 탄성체가이드(421)가 정밀하게 상기 커넥터에 밀착되어서 쓸데없는 유격을 미연에 방지하고 단단히 고정되며, 역으로 쉽게 분해될 수가 있어서, 부품교체 또는 수리시에도 편리하도록 제공되며,

    상기 리어측 탄성체어셉터(232) 내의 상,하단 어느 일측에 리어측 탄성체가이드(422)가 고정나사(d)로 고정되어서, 탄성체(410 : 411. 412)의 타측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속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2. 삭제
  3. 삭제
KR1020150067851A 2015-05-15 2015-05-15 결속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KR101783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851A KR101783043B1 (ko) 2015-05-15 2015-05-15 결속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851A KR101783043B1 (ko) 2015-05-15 2015-05-15 결속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197A KR20160134197A (ko) 2016-11-23
KR101783043B1 true KR101783043B1 (ko) 2017-09-28

Family

ID=57541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851A KR101783043B1 (ko) 2015-05-15 2015-05-15 결속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30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7153B1 (ko) * 2019-03-26 2019-08-05 강인태 에스보드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797B1 (ko) 2005-06-04 2005-12-19 김준홍 롤러 보드
KR100885506B1 (ko) 2008-04-28 2009-02-26 안나은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7797B1 (ko) 2005-06-04 2005-12-19 김준홍 롤러 보드
KR100885506B1 (ko) 2008-04-28 2009-02-26 안나은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4197A (ko) 2016-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506B1 (ko) 스케이트 보드의 힌지구조
JP4822289B2 (ja) サポートヨーク間隙自動調整装置
KR100859413B1 (ko) 스케이트 보드
KR200478090Y1 (ko) 스쿠터의 헤드 튜브 리셋 기구
RU2570983C2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шаровой шарнир для передней подвеск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20100171298A1 (en) Torsionally Flexible Connecting Structure for Transportation Device
US20150024654A1 (en) Assembly and toy to be assembled using same
KR101783043B1 (ko) 결속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스케이트보드
WO2007139356A1 (en) A skate board
CN104747702A (zh) 换挡杆装置
KR101296407B1 (ko) 조립식 완구 연결용 커넥터
TWM511925U (zh) 棘輪扳手方向切換控制構造
KR101800941B1 (ko) 틸팅식 방향전환 킥스쿠터
KR20080004939A (ko) 2단 스케이트 보드
KR101170127B1 (ko) 스케이트보드
KR101462919B1 (ko) 공용변속레버와 브라켓 체결구조
KR101572729B1 (ko) 스케이트 보드
KR20060132285A (ko) 접이식 시트용 솔리드 프로프 로드
KR200482600Y1 (ko) 스케이트보드용 보조바퀴부
KR101589923B1 (ko) 스케이트보드
KR102540925B1 (ko) 랙바의 지지구조
KR20120053447A (ko) 스케이트 보드
JP7108679B2 (ja) プラグロック機構
KR101384770B1 (ko) 차량용 어시스트 핸들
KR101501710B1 (ko) 인라인 구동장치와 이를 구비한 스케이트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