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600Y1 - 스케이트보드용 보조바퀴부 - Google Patents
스케이트보드용 보조바퀴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82600Y1 KR200482600Y1 KR2020150002167U KR20150002167U KR200482600Y1 KR 200482600 Y1 KR200482600 Y1 KR 200482600Y1 KR 2020150002167 U KR2020150002167 U KR 2020150002167U KR 20150002167 U KR20150002167 U KR 20150002167U KR 200482600 Y1 KR200482600 Y1 KR 20048260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ard
- wing
- skateboard
- view
- rear e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06—Accessories
- A63C17/0013—Devices used in combination with the skate but not fixed to it, e.g. supporting frames, sail, sticks, auxiliary wheel aid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of different size or type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케이트보드의 안정적인 균형유지를 위해서, 날개와 같은 윙(Wing)의 형태를 취한 구조물에 보조바퀴를 장착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케이트보드는, 앞뒤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프런트보드 및 리어보드를 상호 비틀림이 가능하도록 커넥터로 연결하고, 상기 각 보드의 저면에는 바퀴를 장착한 캐스터에 경사를 주어 설치한 인클라인드캐스터(Inclined Caster)를 사용하여서, 사용자는 상기 프런트보드 및 리어보드에 양 발을 각각 얹고, 상기 비틀림과 상기 인클라인드캐스터 사이의 유기적인 작용으로 추진력의 발생 및 방향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라이딩 기구이다.
상기 스케이트보드는, 앞뒤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프런트보드 및 리어보드를 상호 비틀림이 가능하도록 커넥터로 연결하고, 상기 각 보드의 저면에는 바퀴를 장착한 캐스터에 경사를 주어 설치한 인클라인드캐스터(Inclined Caster)를 사용하여서, 사용자는 상기 프런트보드 및 리어보드에 양 발을 각각 얹고, 상기 비틀림과 상기 인클라인드캐스터 사이의 유기적인 작용으로 추진력의 발생 및 방향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라이딩 기구이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스케이트보드의 효용을 증진시키는 스케이트보드용 보조바퀴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앞뒤로 분리되어 배치되는 프런트보드(Front Board) 및 리어보드(Rear Board)를 상호 비틀림(Wrenching)이 가능하도록 커넥터(Connector)로 연결하고, 상기 각 보드의 저면에는 바퀴를 장착한 캐스터에 경사를 주어 설치한 인클라인드캐스터(Inclined Caster)를 사용하여서, 사용자는 상기 프런트보드 및 리어보드에 양 발을 각각 얹고, 상기 비틀림과 상기 인클라인드캐스터 사이의 유기적인 작용으로 추진력의 발생 및 방향전환을 수행할 수 있는 스케이트보드에 있어서,
상기 스케이트보드의 안정적인 균형유지를 위해서, 날개와 같은 윙(Wing)의 형태를 취한 구조물에 보조바퀴를 장착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스케이트보드와 관련하는 종래기술에는 등록특허 제394848호(2003.08.04) 등이 공지되어 있는 바, 스케이트보드 자체의 구성에 대해서는 종래기술 등을 참조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케이트보드용 보조바퀴부와 관련하는 종래기술에는, 도 1의 도시에서, 등록특허 제1265864호(2013.05.13) 및 등록디자인 제693882호(2013.05.13) 등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보조바퀴모듈 (800) 의 앞뒤로 각각 2개씩 설치되는 스토퍼돌기 (810) 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기술의 보조바퀴 모듈(보조바퀴부)은,
연결부(커넥터)에 설치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프런트보드와 리어보드의 이격거리가 협소한 경우에는 그 설치를 실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보조바퀴모듈의 앞뒤로 각각 2개씩 설치되는 스토퍼돌기의 경우에는 그 크기가 작고 프런트보드 및 리어보드의 저면에 매우 밀착하여 설치될 수 밖에 없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설령, 토션을 부여한다고 해도 그 공간이 너무 협소하여서 제대로 기능을 발휘하기 어렵다.
결국, 프런트보드와 리어보드를 반대방향으로 비틀기가 어려워서, 제대로 방향을 전환하거나 추진력을 발생시킬 수가 없어서, 이런 종류의 스케이트보드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을 상실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내구성에서도 도 1의 도시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돌출하는 형태로 제공되고 있어서, 강한 힘이 가해지면 파손될 우려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이다.
전술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저면에 인클라인드캐스터를 장착하는 프런트보드와; 저면에 인클라인드캐스터를 장착하는 리어보드와; 상기 프런트보드와 상기 리어보드를 결속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의 균형유지를 위하여 보조바퀴부를 제공하되,
윙부; 보조바퀴부; 보드결착부; 및 이격공간부;를 포함하여 구성하여서 스케이트보드의 프런트보드 및 리어보드의 비틀림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한다.
본 고안의, 윙부; 보조바퀴부; 보드결착부; 및 이격공간부;를 포함하는 보조바퀴부는,
스케이트보드의 프런트보드 및 리어보드의 비틀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큰 각도로 그리고 안정적으로 탄력 대응할 수 있으며, 보조바퀴부를 장착한 상태에서도 자유로운 방향전환 및 추진력 발생이 가능하고,
프런트보드 후단 및 리어보드 전단에 설치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어서, 프런트보드와 리어보드의 이격거리에 관계없이 장착할 수 있다.
도 1은 등록특허 제1265864호 및 등록디자인 제693882호와 관련하는 도시를 보인 참조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보조바퀴부를 설치하기 위한 스케이트보드를 예시하여 보인 것으로서,
도 2는 위의 것은 사시도; 아래의 것은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스케이트보드의 비틀림 동작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보조바퀴부를 장착한 스케이트보드를 예시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비틀림 동작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위로부터 아래로, 평면도; 측면도; 저면도;이다.
도 6의 도 6 A는 평면 투시도; 도 6 B는 정면도; 도 6 C는 배면도;이다.
도 7은 사시도이다.
도 8은 저면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보조바퀴부를 스케이트보드에 탈착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보조바퀴부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0은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저면에서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의 도 12 A는 조립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2 B는 작동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예시도.
도 13은 동작을 정면에서 예시하여 보인 것으로서(보조바퀴의 도시는 생략함), 도 13 A는 전단프레임만을 예시하여 보인 정면도; 도 13 B는 후단프레임만을 예시하여 보인 정단면도; 도 13 C는 전후단프레임을 함께 비교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다른 실시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14는 분해 상태를 배면에서 비껴 보인 예시도.
도 15는 조립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6은 스케이트보드에 부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보조바퀴부를 설치하기 위한 스케이트보드를 예시하여 보인 것으로서,
도 2는 위의 것은 사시도; 아래의 것은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상기 스케이트보드의 비틀림 동작을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보조바퀴부를 장착한 스케이트보드를 예시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 4는 비틀림 동작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위로부터 아래로, 평면도; 측면도; 저면도;이다.
도 6의 도 6 A는 평면 투시도; 도 6 B는 정면도; 도 6 C는 배면도;이다.
도 7은 사시도이다.
도 8은 저면에서 보인 사시도이다.
도 9는 보조바퀴부를 스케이트보드에 탈착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보조바퀴부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 10은 분해사시도이다.
도 11은 저면에서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12의 도 12 A는 조립된 것을 보인 사시도; 도 12 B는 작동하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예시도.
도 13은 동작을 정면에서 예시하여 보인 것으로서(보조바퀴의 도시는 생략함), 도 13 A는 전단프레임만을 예시하여 보인 정면도; 도 13 B는 후단프레임만을 예시하여 보인 정단면도; 도 13 C는 전후단프레임을 함께 비교하여 보인 예시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다른 실시를 예시한 것으로서,
도 14는 분해 상태를 배면에서 비껴 보인 예시도.
도 15는 조립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6은 스케이트보드에 부착한 상태를 보인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을 개시하기로 한다.
우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함께 본 고안의 기술적 배경이 되는 스케이트보드에 관하여 간략하게 살펴본다.
본 고안과 관련하는 스케이트보드는, 전방에 배치되는 보드(110)의 저면에 전륜 인클라인드캐스터(120)를 부착한 프런트보드(100); 후방에 배치되는 보드(210)의 저면에 후륜 인클라인드캐스터(220)를 부착한 리어보드(200); 및 상기 프런트보드(100) 및 상기 리어보드(200)를 상호 비틀림 가능하게 연결하여 결속하는 커넥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주행과 관련한 작동원리에 있어서는, 상기 인클라인드캐스터(120/220)는 구름운동 가능한 휠(Wheel, Roller)을 장착한 캐스터(Caster)를, 보드(110/210)의 저면에 수평면에 대하여 기울임을 주어서 부착하여 구성한다. 상기 인클라인드캐스터(120/220)는 상기 보드를 기울이는 방향으로 방향 전환을 한다. 가령, 보드의 좌측을 사용자가 발로 가압하여 보드가 좌측으로 기울면(left down) 인클라인드캐스터(120/220)는 좌측 방향(left direction)으로 진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은, 도 4 이하의 도시와 함께, 본 고안의 보조바퀴부(400)에 관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 고안의 보조바퀴부(400)는 도 9 내지 도 12의 예시에서,
윙부(410); 보조바퀴부(420); 보드결착부(430); 이격공간부(4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윙부(410) 및 이격공간부(440)는,
평면에서 보아 전체적으로 타원형 또는 장방형의 고리형상을 취한다. 이때, 디자인과 관련하는 시각적인 효용을 높이기 위해서 깃털형상, 유선형, 델타(삼각)형상 등을 취할 수 있다. 상기 윙부(410)는 고리형상을 취함으로써 자연스럽게 가운데가 빈 도너츠 형상의 이격공간부(440)를 가지게 되고, 그 둘레는 액자 프레임 형태를 취해서 비틀릴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격공간부(440)가 형성되어 있는 결과로 윙부(410)의 전체적인 비틀림 토션이 가능하고 이를 활용하면, 프런트보드(100)와 리어보드(200)가 도 3의 예시와 같이 서로 반대로 비틀어질 때 그 비틀림에 매우 잘 대응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윙부(410)는 탄성있게 휘거나, 신축하거나, 쿠션을 갖는 부재가 바람직하며 이에는, 합성수지, 우레탄, 고무, 탄소섬유 등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조바퀴부(420)는, 상기 윙부(410)의 좌우단프레임(413, 414) 하단에 캐스터(Caster) 또는 인클라이드캐스터(Inclined Caster)를 장착하여 구성한다.
상기 보드결착부(430)는 상기 전단프레임(411) 중간에 프런트보드(100)의 후단에 대응하는 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후단프레임(412)의 중간에 리어보드(200)의 전단에 대응하는 구멍을 천공하여서, 끼울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런트보드(100)의 후단 및 리어보드(200)의 전단은 정단면의 형태가 '응'의 형상을 취하므로 일단, 보드결착부(430)에 삽입되면 모서리에 걸리는 부위가 생겨서 임의로 회전하지 못한다. 이에 따라 스케이트보드는 좌우측의 보조바퀴부(420)에 의해 지지받으므로 자연상태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스케이트보드와 결합하거나 결합을 해제할 수 있도록 탈착을 위한 구성을 가지며, 상기 탈착을 위한 구성의 일 실시례를 살펴보면 우선, 상기 윙부(410)는 상단윙부(410a); 하단윙부(410b);로 나뉘어 상하로 분리할 수 있는 적층 구조를 취하고 이를 체결수단(n)으로 체결한다. 상기 체결수단의 일 에시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윙부(410)에 수직방향 등으로 체결공(n2)을 형성하고 체결나사(n1)로 조여서 체결하거나 반대로 풀어서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상기 체결공을 가능한 상기 윙부(410)의 양끝단 좌우단프레임(413, 414)에 천공하여 체결나사를 조일 수 있도록 하면, 윙부(410)의 중앙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전후단프레임(411, 412)을 꺽어 밴딩(Bending)하여 활용할 수 있는 가용 길이가 커져서 토션(Torsion) 작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도 3의 예시처럼, 주행을 위해서 방향을 바꾸는 턴을 하거나, 추진력을 부여하고자 하는 때에는 프런트보드(100)와 리어보드(200)를 서로 반대로 비틀어 줄 필요가 발생하는데, 이와 관련하여 도 4, 도 12 B 및 도 13에 도시된 바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에시된 도면에서는, 하단윙부(410b)는 경질의 부재로 제공되어서 비교적 형태에 변화가 없고, 상단윙부(410a)는 휘어 밴딩하거나 신축할 수 있는 재질로 제공되어서, 프런트보드(100) 및 리어보드(200)의 비틀림에 대하여 대응하도록 되어 있다. 만일, 도 4의 예시처럼. 프런트보드(100)의 우측(right)이 상향(up)하고, 리어보드(200)는 좌측(left)이 상향(up)하는 경우를 가정하면, 프런트보드(100) 후단은 상단윙부(410a) 전단프레임(411)의 우측(right)을 위로 가압(push)하고, 리어보드(200) 전단은 상단윙부(410a) 후단프레임(412)의 좌측(left)을 위로 가압(push)하게 된다. 상기 가압(push)은 결국, 도 12 및 도 13 의 예시처럼, 상단윙부(410a) 전후단프레임(411, 412)을 변형시킨다.
도 13 A의 경우는 전단프레임(411)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전단프레임(411)의 우측(right)이 위로 상향(up)하는 변형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에, 도 13 B의 경우는 단면도로 후단프레임(412)만을 도시한 것으로서, 후단프레임(412)의 좌측(left)이 위로 상향(up)하는 변형을 나타내 보여주고 있다. 도 13 C는 전단프레임(411)과 후단프레임(412)을 함께 도시하여 비교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윙부(410)는 전단프레임(411)과 후단프레임(412)이 각각 독립적으로 움직이므로 프런트보드(100)와 리어보드(200)의 서로 반대방향의 심한 비틀림에도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으며, 기구적으로도 안정적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더하여, 상기 윙부(410)와 상기 프런트보드(100) 후단 및 리어보드(200) 전단 사이에는 쿠션의 기능을 보다 향상시키고, 비틀림시에 윙부(410)의 변형으로 인한 이격된 틈을 메우기 위해서 솜, 고무, 에어폼 등의 쿠션부재를 덧대는 구성을 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의 도시에서는, 상,하단의 윙부(410) 특히, 상단윙부(410a)의 경도 또는 강도가 강하여 충분하게 휠 수 없는 경우 보조적으로 쿠션부재(450 : 450fr, 450fl, 450rr, 450rl)를 추가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상기 윙부(410)의 부재는 내구성을 우선으로 하여 강도를 높일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윙부(410) 자체에서 충분한 쿠션을 제공할 수 없으므로 이러한 경우에 상기 쿠션부재(450)가 보조적으로 쿠션을 보충하여 줄 수 있다.
상기 보드결착부(430)의 길이방향 중간에는 쓰레스홀드(430C)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쓰레스홀드(430C)는 하기 틈새(gap)에 대응하는 반 고리 또는 초승달 형태를 취하여, 하단 보드결착부(430b)로부터 위로 돌출하여서, 상기 프런트보드(100)의 후방과 상기 리어보드(200)의 전방 사이 틈새(gap)에 끼워진 후, 상기 윙부(410)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고정턱 또는 걸림턱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쿠션부재(450)는 상기 보드결착부(430)에 안착되되, 상기 걸림턱(430c)을 중심으로 그 앞뒤로 배치되어, 전단 쿠션부재(450fl, 450fr) 및 후단 쿠션부재(450rl, 450rr)로 구분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전단좌측 쿠션부재(450fl); 전단우측 쿠션부재(450r); 후단좌측 쿠션부재(450rl); 후단우측 쿠션부재(450rr);의 4개로 이루어지며, 'L' 자 형태를 취하여서, 상기 프런트보드(100)의 후단 좌우측 모서리 및 상기 리어보드(200)의 전단 좌우측 모서리를 끼운상태로 각각 지지하여 잡아주면서 상기 프런트보드(100)와 상기 리어보드(200)가 서로 엇갈리게 비틀릴 때, 이를 일정부분 허용하면서 토션, 탄력을 부여하는 쿠션을 제공한다.
프런트보드(100);
리어보드(200);
인클라인드캐스터(120/220);
커넥터(300);
보조바퀴부(400);
윙부(410);
보조바퀴부(420);
보드결착부(430);
이격공간부(440);
리어보드(200);
인클라인드캐스터(120/220);
커넥터(300);
보조바퀴부(400);
윙부(410);
보조바퀴부(420);
보드결착부(430);
이격공간부(440);
Claims (3)
- 저면에 인클라인드캐스터를 장착하는 프런트보드; 저면에 인클라인드캐스터를 장착하는 리어보드; 및 상기 프런트보드와 상기 리어보드를 결속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스케이트보드의 균형유지를 위한 것으로, 윙부; 상기 윙부의 중간에 구성되는 보드결착부; 및 상기 윙부의 좌우단프레임에 구비되는 보조바퀴부;를 포함하는 보조바퀴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윙부는 평면에서 보아 가운데가 빈 이격공간부를 갖고, 상기 이격공간부의 둘레는 전단프레임 및 후단프레임을 포함하는 장방형의 고리형상을 취하고,
상기 보드결착부는, 상기 전단프레임의 중간에 상기 프런트보드의 후단에 대응된 형태의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후단프레임의 중간에 상기 리어보드의 전단에 대응된 형태의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프런트보드의 후단 및 상기 리어보드의 전단이 각각 삽입되면 모서리에 걸리는 부위가 생기도록 제공되고,
`L' 자 형태를 취하는 쿠션부재가 상기 보드결착부에 안착되어서, 상기 프런트보드의 후단 좌우측 모서리 및 상기 리어보드의 전단 좌우측 모서리를 각각 끼운 상태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의 보조바퀴유니트.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2167U KR200482600Y1 (ko) | 2015-04-06 | 2015-04-06 | 스케이트보드용 보조바퀴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50002167U KR200482600Y1 (ko) | 2015-04-06 | 2015-04-06 | 스케이트보드용 보조바퀴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3558U KR20160003558U (ko) | 2016-10-17 |
KR200482600Y1 true KR200482600Y1 (ko) | 2017-02-13 |
Family
ID=57234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50002167U KR200482600Y1 (ko) | 2015-04-06 | 2015-04-06 | 스케이트보드용 보조바퀴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2600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724175B2 (en) * | 2021-06-18 | 2023-08-15 | Yvolve Sports Limited | Swing scooter with movable foot platforms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65864B1 (ko) * | 2011-07-21 | 2013-05-20 | 고영승 |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 |
-
2015
- 2015-04-06 KR KR2020150002167U patent/KR200482600Y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3558U (ko) | 2016-10-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89926B1 (ko) | 스케이트보드의 보조바퀴유니트 | |
KR101265864B1 (ko) |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 | |
KR100859413B1 (ko) | 스케이트 보드 | |
US9713383B2 (en) | Ball chair | |
US8864152B1 (en) | Deck assembly for wheeled vehicle | |
US20130130869A1 (en) | Platform for supporting conveyor belt of treadmill | |
US9901807B2 (en) | Shock-absorbing bushing of skateboard | |
ATE425685T1 (de) | Stuhl mit deformierbarer ruckenlehne | |
US7537220B2 (en) | Skateboard system | |
JP2006224960A (ja) | 組立式走行体 | |
CN218944330U (zh) | 脚轮板、具有可调节轮位置的个人移动车辆、用于组装滑板的紧凑型套件 | |
KR101651922B1 (ko) | 아치 높낮이를 조절가능한 기능성 인솔 | |
KR101042540B1 (ko) |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 | |
KR200482600Y1 (ko) | 스케이트보드용 보조바퀴부 | |
KR100818786B1 (ko) | 스케이트보드 | |
CN203315684U (zh) | 一种可拆式两用跳跳鞋 | |
US20140117633A1 (en) | Drift skate | |
CN203408440U (zh) | 一种紧固式跳跳鞋 | |
KR100893776B1 (ko) | 스케이트 보드 | |
US20140175856A1 (en) | Skate wheel for manual skating apparatus | |
KR101451377B1 (ko) | 충격흡수 기능을 갖는 신발 | |
KR102310308B1 (ko) | 안장 조립체 | |
CN202514705U (zh) | 跟部减震鞋底 | |
JP3177725U (ja) | ストレッチ器具 | |
US20150197312A1 (en) | Clipless pedal of bicyc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