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5864B1 -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 - Google Patents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5864B1
KR101265864B1 KR1020110072708A KR20110072708A KR101265864B1 KR 101265864 B1 KR101265864 B1 KR 101265864B1 KR 1020110072708 A KR1020110072708 A KR 1020110072708A KR 20110072708 A KR20110072708 A KR 20110072708A KR 101265864 B1 KR101265864 B1 KR 101265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ateboard
wheel module
auxiliary wheel
boar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7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509A (ko
Inventor
고영승
Original Assignee
고영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755828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6586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고영승 filed Critical 고영승
Priority to KR102011007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5864B1/ko
Priority to PCT/KR2011/007719 priority patent/WO2013012129A1/en
Publication of KR20130011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5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5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uxiliary wheels not contacting the riding surface during steady rid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4Wheel arrangements
    • A63C17/016Wheel arrangements with wheels arranged in one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wheels arranged otherwise than in two pai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프런트 보드와 리어 보드로 2 분할된 스케이트 보드 중간의 연결부에 2 개의 보조바퀴가 설치되고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바퀴 모듈을 부착하여 나이가 어린 사용자 또는 초보사용자가 종래의 프런트 보드와 리어 보드로 2 분할된 스케이트를 타는 것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스케이트 보드를 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스토퍼돌기에 의해 종래의 프런트 보드와 리어 보드의 비틀림 각도를 제한하여 스케이트 보드의 사용에 더욱 안정성을 기할 수 있고, 보조바퀴모듈이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분리시켜서 종래의 2 분할된 스케이트로 탈 수 있도록 한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Skateboard with Auxiliary Casters Module}
본 발명은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프런트 보드와 리어 보드로 2 분할된 스케이트 보드 중간의 연결부에 2 개의 보조바퀴가 설치되고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바퀴 모듈을 부착하여 나이가 어린 사용자 또는 초보사용자가 종래의 프런트 보드와 리어 보드로 2 분할된 스케이트를 타는 것보다 더욱 안정적으로 스케이트 보드를 탈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스토퍼돌기에 의해 종래의 프런트 보드와 리어 보드의 비틀림 각도를 제한하여 스케이트 보드의 사용에 더욱 안정성을 기할 수 있고, 보조바퀴모듈이 탈부착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불필요한 경우에는 분리시켜서 종래의 2 분할된 스케이트로 탈 수 있도록 한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의 일 형태는 긴 타원형의 플레이트와 플레이트 저면에 롤러가 2 개씩 구비된 2 개의 바퀴 세트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는 평지주행 중에는 운전자가 한쪽 발로 지면을 굴러서 추진을 할 수 있으며, 주행중 회전할 때에는 운전자가 발로써 보드를 진행방향에 대해 좌우측면으로 기울이는 방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7 년전쯤 부터 시장에 출시된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의 새로운 형태로는 스케이트 보드가 프런트 보드와 리어보드로 나누어진 2 분할된 보드가 개시되고 있다. 이러한 2 분할된 보드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프런트 보드와 리어 보드로 2 분할된 플레이트와, 프런트 보드와 리어 보드를 연결하는 힌지수단과, 각각의 보드 저면에 추진력에 의해 이동가능토록 캐스터를 설치된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종래의 2 분할된 스케이트보드로는 미국 특허공고 제4,076,267호, 미국 특허공고 제4,082,306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117385호 및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3-29663호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394848호, 제 505754호가 제안된바 있다. 한편 종래의 보드가 2 분할된 스케이트 보드는 보드를 흔들어 추진력을 얻도록 한 것으로, 보드를 흔들어 추진력을 얻도록 한 선행자료로는 미국 특허공고 제1,056,357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2-28361호에 의하여 공지된 기술사상이다.
이와 같은 선행자료들은 모두 2 분할된 보드를 구비하며 각각의 보드을 연결하기 위해 탄성을 갖는 힌지수단으로 연결구성되고 보드의 저면으로는 캐스터가 설치된 구조이다.
도 1 은 종래의 2 개의 캐스터 바퀴를 가지는 스케이트 보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는 프런트 보드(FB) 와 리어 보드(RB)를 이격 상태로 고정시키며 비틀림시 복원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연결되는 힌지수단과, 프런트 보드와 리어 보드의 각각의 저면에 부착되는 캐스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은 종래의 2 개의 캐스터를 가지는 스케이트 보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2 을 참조하면, 종래의 스케이드 보드를 사용자가 양발을 프런트보드 (FB) 와 리어보드 (RB) 에 각각 올려놓은 후, 발목과 다리의 스냅을 이용하여 좌우 각도로 유동함으로써, 힌지수단의 내부에 설치된 스프링 등의 탄성 복원수단에 의해 비틀려진 프런트보드 (FB) 를 리어보드 (RB) 와 평행한 상태로 복원시키면서 추진력을 얻게 되는 것이다.
종래의 스케이트 보드는 앞 뒤로 각각 1 개씩의 캐스터바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초보자가 타기에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초보자의 경우에는 2 개의 캐스터 바퀴에 의해 지지되는 스케이드 보드를 처음타는 경우에는 균형을 잡기가 매우 어려워 스케이트 보드를 타는 도중에 넘어지기 쉽고 특히, 어린 아이의 경우에는 부상을 당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보조바퀴 2 개가 별도로 설치된 보조바퀴 모듈이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스케이트 보드의 연결부에 부착하거나 또는 부착된 것을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는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는, 종래의 2 개의 캐스터 바퀴를 가지는 스케이트 보드의 프런트보드 (FB) 와 리어보드 (RB) 를 연결하는 가운데에 위치하는 연결부 (900) 에 설치하는 보조바퀴모듈 (800) 로서,
상기 보조바퀴모듈 (800) 의 앞뒤로 각각 2개씩 설치되는 스토퍼돌기 (8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토퍼돌기 (810) 의 상면에는 완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토퍼돌기의 내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속에는 코일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끝부분에는 완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바퀴모듈에는 상기 연결부의 요철부의 형상과 반대의 형상을 가지는 상하부 안착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는 사용자의 필요에 의해 2 개의 보조바퀴가 설치된 보조바퀴모듈을 탈착 또는 부착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초보자인 경우에는 보조바퀴모듈을 스케이트보드의 연결부에 부착하여 사용하다가 스케이트 보드를 타는데 익숙해지면 보조바퀴모듈을 분리시켜서 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조바퀴모듈에는 전후에 각각 2 개씩의 스토퍼돌기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프런트보드와 리어보드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면 스토퍼돌기에 걸려서 더 이상 프런트보드와 리어보드가 기울어지지 않기 때문에 초보자의 입장에서 쉽고 안전하게 스케이트보드를 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토퍼돌기의 상면에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등의 재질로 구성된 완충부가 설치되어 사용자가 프런트보드와 리어보드에 각각의 발을 올려 놓고 타지 않는 경우에는 프런트보드와 리어보드가 지면과 수평하게 위치하게 되고, 사용자가 프런트보드와 리어보드에 각각의 발을 올려 놓고 프런트보드와 리어보드를 비틀면서 타는 경우에는 완충부가 프런트보드와 리어보드의 밑면과 스토퍼돌기와의 충돌시 충격을 완화시켜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켜주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스케이트 보드의 가운데 연결부에 오목 볼록한 요철부를 형성하고, 보조바퀴모듈의 상부안착부 및 하부안착부에는 연결부의 요철부위와 반대의 형상의 요철부를 형성하여 보조바퀴모듈이 설치되는 방향이 바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종래의 2 개의 캐스터 바퀴를 가지는 스케이트 보드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2 은 종래의 2 개의 캐스터를 가지는 스케이트 보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A-A' 를 기준으로 바라본 프런트보드의 좌우의 밑면이 스토퍼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의 스토퍼돌기의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이 스케이트보드의 연결부에 결합되어 조립되는 모습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C 부분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돌기의 변형예의 내부 구조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를 밑면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스케이트 보드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A-A' 를 기준으로 바라본 프런트보드의 좌우의 밑면이 스토퍼돌기에 의해 지지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는 종래의 2 개의 캐스터 바퀴를 가지는 스케이트 보드의 프런트보드 (FB) 와 리어보드 (RB) 를 연결하는 가운데에 위치하는 연결부 (900) 에 보조바퀴모듈 (800) 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보조바퀴모듈 (800) 은 좌우에 각각 1개씩 캐스터바퀴 (820) 가 설치되어, 프런트보드 (FB) 와 리어보드 (RB) 에 각각 1 개씩의 캐스터바퀴가 설치되어 있는 스케이트 보드가 한쪽으로 쓰러지는 것을 지지한다.
본 발명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더욱 안정적으로 본 발명의 스케이트를 탈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보조바퀴모듈 (800) 에 의해 스케이트보드가 한쪽으로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보조바퀴모듈 (800) 에는 앞뒤로 각각 2개씩 총 4 개의 스토퍼돌기 (810) 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4 개의 스토퍼돌기 (810) 의 상면에는 연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의 완충부 (805) 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4 개의 스토퍼돌기 (810) 의 상면과 스케이트 보드의 프런트보드 (FB) 와 리어보드 (RB) 의 밑면은 약간의 간격을 가지고 떨어져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완충부 (805) 가 각각의 스토퍼돌기 (810) 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스케이트 보드의 프런트보드 (FB) 와 리어보드 (RB) 는 지면에 놓여진 상태에서 각각의 밑면이 한쪽 부분의 스토퍼돌기 (810) 의 상면과 닫는 정도로 기울어지기 쉽게 된다.
부드러운 재질의 연성의 고무 또는 실리콘 등으로 구성된 완충부 (805) 가 스토퍼돌기 (810) 의 상면에 설치되어, 4 개의 스토퍼돌기 (810) 의 상면과 스케이트 보드의 프런트보드 (FB) 와 리어보드 (RB) 의 밑면 사이의 간격을 메우기 때문에 본 발명의 스케이드 보드는 지면에 놓여졌을때 프런트보드 (FB) 와 리어보드 (RB) 가 지면과 평행을 이루게 된다.
본 발명의 사용자가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의 프런트보드 (FB) 와 리어보드 (RB) 에 한 발씩을 각각 올려놓고 타게 되면, 스케이트보드의 프런트보드 (FB) 와 리어보드 (RB) 가 화살표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각도는 스토퍼돌기 (810) 에 의해 제한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가 본 발명의 스케이트 보드를 탈때, 스케이트보드의 프런트보드 (FB) 또는 리어보드 (RB) 가 갑자기 많은 각도로 기울어지게 되는 것이 방지되어 안정적으로 스케이드 보드를 탈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프런트보드 (FB) 와 리어보드 (RB) 가 화살표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되는 각도는 8도 내지 13도 정도로 제한하는 것이 스케이트 보드를 타는데 안정적이고 기울어짐 각도가 10 도가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 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 (800) 은 좌우에 각각 1개의 캐스터 바퀴 (820) 가 설치되어 있는 하부지지대 (840) 와 하부지지대 (840) 의 가운데 부분인 하부안착부 (844) 에 스케이트 보드의 연결부 (900) 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하부지지대 (840) 의 윗부분을 연결부 (900) 의 윗부부과 함께 덮는 덮개판 (830) 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각각의 캐스터 바퀴 (820) 는 하부지지대 (840) 와 볼트 너트 등의 체결수단 (842) 에 의해 결합되고, 하부안착부 (844) 는 볼록 오목한 요철형식으로 구성된 스케이트 보드의 연결부 (900) 가 안착되어 결합이 되도록 연결부 (900) 의 요철형식과는 반대의 요철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보조바퀴모듈이 방향이 바뀌어 반대방향으로 연결부 (900) 와 결합되게 설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만일 보조바퀴모듈 (800) 이 꺼꾸로, 즉 반대방향으로 조립이 되면 캐스터바퀴 (820) 의 방향이 반대가 되어 스케이트 보드가 동작을 할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의 덮개판 (830) 의 상부안착부 (830) 에도 연결부 (900) 의 오복 볼록한 요철과는 반대의 요철이 구성되어 덮개판 (830) 과 하부지지대 (840) 가 반대로 연결부 (900) 와 결합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스케이트 보드의 연결부 (900) 와의 결합력이 최대로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부지지대 (840), 연결부 (900) 및 덮개판 (830) 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결합너트 (834) 가 덮개판 (830) 의 구멍 (836) 속으로 삽입되고 체결수단 (842) 과 볼트 너트 결합하여 보조바퀴 모듈 (800) 이 스케이트 보드의 연결부 (900) 와 조립되게 된다.
본 발명의 보조바퀴 모듈 (800) 이 스케이트 보드의 연결부 (900) 와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프런트보드 (FB) 및 리어보드 (RB) 각각의 밑면은 4 개의 스토퍼돌기 (810) 위에 각각 설치된 완충부 (805) 의 윗면과 닿게 된다.
완충부 (805) 는 부드러운 고무 또는 실리콘의 재질로 구성되기 때문에 프런트보드 (FB) 또는 리어보드 (RB) 가 비틀려지는 경우에 완충부 (805) 의 높이에 해당하는 대부분의 두께가 눌려지게 구성된다.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의 스토퍼돌기의 부분확대사시도이다.
도 6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하부지지대 (840) 의 앞뒤로 각각 2 개씩 돌출되게 구성되는 스토퍼돌기 (810) 와 완충부 (805) 의 확대된 구성을 알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이 스케이트보드의 연결부에 결합되어 조립되는 모습의 조립사시도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직경을 달리하는 오목 보록의 요철 형식으로 구성된 스케이트 보드의 연결부 (900) 가 연결부 (900) 의 요철형식과 반대의 요철형식으로 구성된 본 발명의 하부지지대 (840) 의 하부안착부 (844) 에 안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본 발명의 보조바퀴 모듈을 뒤집어서 조립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덮개판 (830) 의 상부안착부 (832) 도 하부안착부 (844) 와 동일한 형상의 요철형식을 하고 있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를 측면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9 는 도 8 의 C 부분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8 및 도 9 를 참조하면, 스케이트 보드의 프런트보드 (FB) 및 리어보드 (RB) 각각의 밑면이 4 개의 스토퍼돌기 (810) 위에 각각 설치된 완충부 (805) 의 윗면과 닿게 구성되어 있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토퍼돌기의 변형예의 내부 구조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스토퍼돌기 (810) 내부에 코일스프링 (814) 이 안착될 수 있는 홈 (812) 이 형성되고, 코일스프링 (814) 의 상부에 완충부 (805) 가 부착된 구성이다.
이와 같은 변형예에서는 프런트보드 (FB) 나 리어보드 (RB) 가 비틀려지면서 완충부 (805) 를 누르게 되면, 완충부 (805) 의 밑면에는 코일스프링 (814) 이 연결되게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완충부 (805) 가 스토퍼돌기 (810) 의 홈 (812) 속으로 들어가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사용되는 완충부 (805) 는 반드시 부드러운 재질의 고무 또는 실리콘일 필요는 없고,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도 상관이 없게 된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를 밑면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1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보조바퀴모듈 (800) 의 하부지지대 (840) 에는 앞뒤로 각각 2 개씩 총 4 개의 스토퍼돌기 (810) 가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4 개의 스토퍼돌기 (810) 윗부분에는 본 발명의 스케이트 보드의 프런트보드 (FB) 및 리어보드 (RB) 의 밑면이 위치하고 있는 구성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이다.
800: 보조바퀴 모듈 805: 완충부
810: 스토퍼돌기 812: 홈
814: 코일스프링 820: 캐스터바퀴
830: 덮개판 832: 상부안착부
834: 결합너트 836: 구멍
840: 하부지지대 842: 체결수단
844: 하부안착부 900: 연결부
H : 힌지수단
FB : 프런트 보드 RB : 리어 보드

Claims (4)

  1. 종래의 2 개의 캐스터 바퀴를 가지는 스케이트 보드의 프런트보드 (FB) 와 리어보드 (RB) 를 연결하는 가운데에 위치하는 연결부 (900) 에 설치하는 보조바퀴모듈 (800) 로서,
    상기 보조바퀴모듈 (800) 의 앞뒤로 각각 2개씩 설치되는 스토퍼돌기 (81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돌기 (810) 의 상면에는 완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돌기의 내부에는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 속에는 코일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끝부분에는 완충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바퀴모듈에는 상기 연결부의 요철부의 형상과 반대의 형상을 가지는 상하부 안착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
KR1020110072708A 2011-07-21 2011-07-21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 KR101265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708A KR101265864B1 (ko) 2011-07-21 2011-07-21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
PCT/KR2011/007719 WO2013012129A1 (en) 2011-07-21 2011-10-18 A skateboard with an auxiliary caster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708A KR101265864B1 (ko) 2011-07-21 2011-07-21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509A KR20130011509A (ko) 2013-01-30
KR101265864B1 true KR101265864B1 (ko) 2013-05-20

Family

ID=47558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708A KR101265864B1 (ko) 2011-07-21 2011-07-21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265864B1 (ko)
WO (1) WO20130121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51Y1 (ko) 2013-08-06 2014-08-12 임응규 두 바퀴 보드용 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21399B (zh) * 2014-01-08 2015-04-22 太仓市车中宝休闲用品有限公司 铝挤型便携活力板
WO2015119304A1 (ko) * 2014-02-04 2015-08-13 (주)타이젠 스케이트보드
KR101589926B1 (ko) * 2014-06-30 2016-02-01 주식회사 랜드웨이스포츠 스케이트보드의 보조바퀴유니트
KR200482600Y1 (ko) * 2015-04-06 2017-02-13 주식회사 랜드웨이스포츠 스케이트보드용 보조바퀴부
JP1593302S (ko) 2016-09-02 2017-12-18
CN116370942A (zh) 2019-03-06 2023-07-04 美国锐哲有限公司 电动滑板车
JP2022548300A (ja) 2019-09-18 2022-11-17 レイザー・ユーエスエー・エルエルシー 取外し可能なインサートを有するキャスタボード
CN213347728U (zh) * 2020-09-29 2021-06-04 美国锐哲有限公司 一种滑板
CN112957719B (zh) * 2021-03-26 2022-04-22 深圳东博士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转向辅助装置的四轮电动滑板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320Y1 (ko) 2006-02-15 2006-06-30 주식회사 데코리 캐스터를 구비한 스케이트보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35972U (ko) * 1988-03-14 1989-09-18
KR20060028948A (ko) * 2004-09-30 2006-04-04 전경숙 로울러 스케이트보드
KR20090003996U (ko) * 2007-10-25 2009-04-29 김재호 균형이 쉽게 잡히는 에스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0320Y1 (ko) 2006-02-15 2006-06-30 주식회사 데코리 캐스터를 구비한 스케이트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3951Y1 (ko) 2013-08-06 2014-08-12 임응규 두 바퀴 보드용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012129A1 (en) 2013-01-24
KR20130011509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5864B1 (ko)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
CA2206028C (en) Fitness-balance board
US5263725A (en) Skateboard truck assembly
JP2011516185A (ja) サスペンションスケートボードトラック
US5085445A (en) Skate cushioning device
US8985609B2 (en) Scooter rear shock damping structure
KR100818786B1 (ko) 스케이트보드
US9144730B1 (en) Hybrid reverse kingpin truck hanger
CA2330847C (en) In-line roller skate
US20140327224A1 (en) Unicycle with inner leg supports
KR101589926B1 (ko) 스케이트보드의 보조바퀴유니트
US20010006282A1 (en) In-line skate suspension system with brake
CN203315684U (zh) 一种可拆式两用跳跳鞋
US20140117633A1 (en) Drift skate
KR20150106298A (ko) 킥스쿠터
KR101833742B1 (ko) 스케이트로 사용 가능한 스케이트보드
KR100844620B1 (ko) 썰매형 롤러보드
US20120313336A1 (en) Unicycle roller skate
WO2004078288A2 (en) Low profile roller skate
CN203408440U (zh) 一种紧固式跳跳鞋
CN2336834Y (zh) 直排溜冰鞋分离式避震底座
KR200482600Y1 (ko) 스케이트보드용 보조바퀴부
CN208611770U (zh) 一种儿童娱乐用自动力摇摇马
CN204932799U (zh) 滑行用轮架及滑行用具
JP3057791U (ja) インラインスケートの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0921

Effective date: 201603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6

Year of fee payment: 4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200002799;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0427

Effective date: 20161209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055;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6300003136; JUDGMENT (SUPREME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61228

Effective date: 2017033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30000055;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70403

Effective date: 201704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5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4

Year of fee payment: 6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0001936;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70623

Effective date: 201812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