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5198B1 -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 - Google Patents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5198B1
KR100885198B1 KR1020080115477A KR20080115477A KR100885198B1 KR 100885198 B1 KR100885198 B1 KR 100885198B1 KR 1020080115477 A KR1020080115477 A KR 1020080115477A KR 20080115477 A KR20080115477 A KR 20080115477A KR 100885198 B1 KR100885198 B1 KR 100885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rsion spring
roll
rotation
winding
to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4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기완
Original Assignee
케이에스스크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에스스크린(주) filed Critical 케이에스스크린(주)
Priority to KR10200801154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51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5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5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는 권취롤의 외측을 마감하는 마감부; 권취롤의 일측단부에 삽입결합되고 권취롤과 연동되며 내주연에 링기어가 형성된 하우징; 하우징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부; 회전안내부와 결합되며 일단에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래칫수단이 구비되고 타단에 링기어와 치합되는 유성기어가 힌지결합된 회전부재; 유성기어와 치합되는 종동기어가 구비되어 증속되는 증속부재; 권취롤 권취시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해 직경이 증가하여 토션력이 발생되는 토션스프링; 토션스프링의 직경 증가에 따라 마찰에 의한 슬립이 발생되는 토션스프링 수용부; 토션스프링이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토션스프링 고정부; 일측이 토션스프링 고정부의 타측에 고정되어 연동되는 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권취롤의 권취속도를 일정하게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래칫이 서로 맞물림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므로 감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헛돔에 의한 권취롤의 잡작스러운 권취가 방지되어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 토션스프링, 추, 감속, 마찰, 슬립, 복귀

Description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Roll type Screen Speed Reduction Apparatus}
본 발명은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메인 토션스프링의 토션력에 의해 스크린을 권취하는 권취롤의 권취속도를 일정속도로 감속하기 위한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의 일례로는 실용신안등록번호 제-0373362호(고안의 명칭: 롤스크린 감속장치)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롤스크린 감속장치는 원심력에 의하여 벌어지는 감속편이 브레이크 역할을 하기 위해 보호관 안쪽면과 마찰을 일으켜 감속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고 철편과 보호관 내주연과 맞닿는 부분이 마모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마모가 심하게 되면 권취롤의 권취속도가 증가하게 되어 권취롤의 속도제어가 용이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권취롤에 토션력을 가해 권취롤을 구동시키는 메인 토션스프링의 토션력이 롤스크린의 크기에 따라 점점 강해질 경우 권취롤 회전시 서로 연동되도록 하고 다른 방향으로의 권취롤 회전시 서로 연동되지 않도록 하는 원웨이 클러치에 구비된 스프링의 압축력보다 강하게 되어 원웨이 클러치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고 헛돌게 되는 경우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큰 문이나 높이가 높은 문은 스크린을 감아 올리는 메인 토션스프링의 토션력이 너무 강해 원웨이 클러치에 구비된 스프링이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손상되는 경우가 발생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린 개방시에 권취롤의 권취속도가 일정하게 제어되도록 하여 스크린 권취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는 메인 토션스프링(1)의 토션력에 의해 스크린(2)을 권취하는 권취롤(3)의 권취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3)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권취롤(3)의 외측을 마감하는 마감부(10); 상기 권취롤(3)의 일측단부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권취롤(3)과 연동되며, 내주연에 링기어(21)가 형성된 하우징(20); 일측이 상기 마감부(10)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20)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하우징(20)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부(30); 상기 회전안내부(30)와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권취롤(3)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권취롤(3)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을 구속하는 래칫수단(41)이 구비되며 타단에 상기 링기어(21)와 치합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유성기어(42)가 힌지결합된 회전부재(40); 일단에 상기 유성기어(42)의 중앙에 상기 유성기어(42)와 치합되는 종동기어(51)가 구비되며 상기 유성기어(42)의 회전에 의해 증속되는 증속부재(50); 일측이 상기 증속부재(50)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권취롤(3) 권취시 상기 회전부재(40)의 회전에 의해 직경이 증가하여 토션력이 발생되는 토션스프링(60); 상기 토션스프링(60)이 수용되며 내주연이 상기 토션스프링(60)의 직경 증가에 따라 마찰에 의한 슬립이 발생되는 토션스프링 수용부(70); 상기 토션스프링 수용부(70)에 수용되며 상기 토션스프링(60)이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토션스프링 고정부(80); 일측이 상기 토션스프링 고정부(80)의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되, 무게가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토션력보다 작으면 상기 토션스프링(60)에 토션력을 부가하며 무게가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토션력보다 크면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토션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토션스프링(60)을 복귀시키는 추(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토션스프링(60)의 슬립 및 복귀가 반복되어 상기 권취롤(3)의 권취속도가 일정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래칫수단(41)은 상기 회전안내부(30)의 내주연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홈(41a)과, 상기 회전부재(40)의 일단에 상기 권취롤(3) 권취시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래칫형상으로 되며 상기 권취롤(3) 풀림시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이 구속되도록 하는 걸림부(41b)가 형성된 이동통로(41c)와, 상기 회전안내부(30) 홈(41a)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40)의 회전시 상기 이동통로(41c)를 따라 상기 홈(41a)의 상하로 이동되는 구슬(41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홈(41a)은 등각도로 2개 내지 4개 구비되고, 상기 구슬(41d)은 상기 홈(41a)과 동일개수로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41b)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마감부(10)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부(11)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안내부(30)는 상기 고정부(11)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돌기(31)는 기어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1)는 기어형상으로된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증속부재(50)는 유성기어에 의한 증속이 이루어지는 증속기어군(52)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는 종래의 원웨이 클러치에 구비된 스프링이 메인토션스프링의 힘이 강해지면 견디지 못하고 래칫의 역할이 이루어지지 않아 헛돌게 되는 문제점이 전혀 발생되지 않고 권취롤의 권취속도를 일정하게 제어되도록 함으로써 래칫이 서로 맞물림 상태를 유지시키게 되므로 감속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헛돔에 의한 권취롤의 갑작스러운 권취가 방지되어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롤식 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롤식 스 크린 감속장치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롤식 스크린은 창문 또는 문 등에 설치되며 프레임(4)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4)의 상부 내측에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롤식 스크린은 일반적인 롤식 스크린과 마찬가지로 권취롤(3) 내부에 메인 토션스프링(1)이 구비되며 상기 메인 토션스프링(1)의 토션력에 의해 스크린이 권취롤(3)에 권취되게 된다.
감속장치는 메인 토션스프링(1)의 토션력에 의해 스크린(2)을 권취하는 권취롤(3)의 권취속도를 감속한다.
본 발명에 의한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는 상기 권취롤(3)의 외측을 마감하는 마감부(10); 상기 권취롤(3)의 일측단부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권취롤(3)과 연동되며 내주연에 링기어(21)가 형성된 하우징(20); 상기 하우징(20)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부(30); 상기 회전안내부(30)와 결합되며 일단에 일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는 래칫수단(41)이 구비되고 타단에 상기 링기어(21)와 치합되는 유성기어(42)가 힌지결합된 회전부재(40); 상기 유성기어(42)와 치합되는 종동기어(51)가 구비되어 상기 유성기어(42)의 회전에 의해 증속되는 증속부재(50); 상기 권취롤(3) 권취시 상기 회전부재(40)의 회전에 의해 직경이 증가하여 토션력이 발생되는 토션스프링(60); 상기 토션스프링(60)의 직경 증가에 따라 마찰에 의한 슬립이 발생되는 토션스프링 수용부(70); 상기 토션스프링(60)이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토션스프링 고정부(80); 일측이 상기 토션스프링 고정부(80)의 타측에 고정되어 연 동되는 추(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마감부(10)는 상기 권취롤(3)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권취롤(3)의 외측을 마감한다. 상기 마감부(10)는 프레임(4)에 고정된다. 상기 마감부(10)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부(11)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11)는 기어형상으로 된 홈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 토션스프링(1)의 일측은 스프링 결합부(5)와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마감부(10)와 대향되게 반대쪽에 구비되는 마감부재(6)에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 결합부(5)는 권취롤(3)에 결합되고, 타측 마감부재(6)는 프레임(4)에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20)은 스크린(2)이 권취되는 권취롤(3)의 일측단부에 삽입결합되며 상기 권취롤(3)에 의해 연동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20)의 내주연에는 링기어(21)가 형성되며, 상기 링기어(21)에는 상기 회전부재(40)에 구비된 유성기어(42)가 치합되며, 상기 권취롤(3) 회전시에 연동된 상기 하우징(20)의 회전에 의해 치합된 유성기어(42)가 회전되게 된다.
상기 하우징(20)의 일측단부는 직경이 점점 커지는 벨마우스 형태로 되어 있으며, 타측단부는 토션스프링 수용부(70)와 결합된다.
상기 회전안내부(30)는 일측이 상기 마감부(10)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20)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하우징(20)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안내부(30)는 상기 마감부(10)에 구비된 상기 고정부(11)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1)가 형성되어 상기 마감부(10)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기(31)는 상기 고정부(11)와 마찬가지로 기어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부(11)와 결합돌기(31)가 기어형태로 되게 되면 상기 고정부(11)와 결합돌기(31)의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부재(40)는 상기 회전안내부(30)와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권취롤(3)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권취롤(3)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을 구속하는 래칫수단(41)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40)의 타단에는 상기 링기어(21)와 치합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유성기어(42)가 힌지결합된다.
상기 권취롤(3)이 권취되면 상기 하우징(2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2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20)의 링기어(21)와 결합된 유성기어(42)가 상기 링기어(21)를 따라 회전되게 되어 상기 회전부재(40)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권취롤(3)이 풀리게 되면 상기 하우징(20)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하우징(20)이 회전하게 되면 상기 하우징(20)의 링기어(21)와 결합된 유성기어(42)가 상기 링기어(21)를 따라 회전되나 상기 래칫수단(41)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40)의 회전이 구속되므로 상기 회전부재(40)는 회전하지 않고 유성기어(42)만 회전되게 된다.
상기 래칫수단(41)은 상기 회전안내부(30)의 내주연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홈(41a)과, 상기 회전부재(40)의 일단에 상기 권취롤(3) 권취시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래칫형상으로 되며 상기 권취롤(3) 풀림시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이 구속되도록 하는 걸림부(41b)가 형성된 이동통로(41c)와, 상기 회전안내부(30) 홈(41a)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40)의 회전시 상기 이동통로(41c)를 따라 상기 홈(41a)의 상하로 이동되는 구슬(41d)로 이루어진다.
상기 권취롤(3)이 권취되면 구슬(41d)은 상기 홈(41a)을 따라 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이동통로(41c)를 따라 이동되게 되어 상기 회전부재(40)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권취롤(3)이 풀리게 되면 상기 구슬(41d)은 이동통로(41c)에 형성된 걸림부(41b)에 걸리게 되어 상기 회전부재(40)의 회전을 구속하게 된다.
이러한 방식은 한쪽 방향으로의 권취롤 회전시 서로 연동되도록 하고 다른 방향으로의 권취롤 회전시 서로 연동되지 않도록 하는 원웨이 클러치 방식과 원리가 동일하다.
상기 홈(41a)은 상기 회전안내부(30)의 내주연에 등각도로 2개 내지 4개 구비되고, 상기 구슬(41d)은 상기 홈(41a)과 동일개수로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41b)는 상기 회전부재(40)의 상기 이동통로(41c)에 등각도로 적어도 둘이상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슬을 복수개 구비하고 걸림부가 둘이상 구비되면 권취롤(3) 풀림시 상기 구슬(41d)이 상기 걸림부(41b)에 걸릴 때까지의 헛돔현상이 줄어들게 되며 상기 구슬(41d)이 상기 걸림부(41b)에 걸리게 될 때에 발생되는 소음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증속부재(50)는 일단에 상기 유성기어(42)의 중앙에 상기 유성기어(42)와 치합되는 종동기어(51)가 구비되며 상기 유성기어(42)의 회전에 의해 증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증속부재(50)의 타단은 상기 토션스프링(60)과 결합되어 권취롤 권취시 상기 토션스프링(60)에 증속된 회전을 전달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증속부재(50)는 유성기어에 의한 증속이 이루어지는 증속기어군(52)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증속기어군(52)은 상기 유성기어(42)와 증속부재(50)의 상기 종동기어(51)와 마찬가지 형태로 구비되어 증속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토션스프링(60)은 상기 증속부재(50)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권취롤(3) 권취시 상기 증속부재(50)의 회전에 의해 직경이 증가하여 토션력이 발생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60)이 토션력이 발생되면 직경이 증가하여 직경이 증가된 토션스프링(60)의 외주연이 마찰에 의한 슬립에 의해 감속에 관여하게 된다. 감속시 토션스프링(60)과 추(90)의 작동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토션스프링 수용부(70)는 상기 토션스프링(60)이 수용되며 내주연이 상기 토션스프링(60)의 직경 증가에 따라 마찰에 의한 슬립이 발생되도록 한다. 이러한 마찰에 의한 슬립에 의해 권취롤(3)이 서서히 권취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토션스프링 고정부(80)는 상기 토션스프링 수용부(70)에 수용되며 상기 토션스프링(60)이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토션스프링 고정부(80)는 상기 증속부재(50)의 회전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추(90)는 일측이 상기 토션스프링 고정부(80)의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된다. 이때, 상기 추(90)는 상기 추(90)의 무게가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토션력보다 작으면 상기 토션스프링(60)에 토션력을 부가하며 상기 추(90)의 무게가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토션력보다 크면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토션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토션스프링(60)을 복귀시킨다. 상기 추 (90)는 토션스프링(60)의 토션력 크기에 따라 무게를 조정한다.
권취롤이 일정속도로 감속되어 권취되는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권취롤(3)이 권취되면 상기 권취롤(3)과 연동되도록 결합된 하우징(20)이 회전안내부(30)에 의해 안내되어 회전되게 된다. 상기 하우징(20)이 회전되게 되면 상기 하우징(20)의 내주연에는 링기어(21)를 따라 상기 회전부재(40)에 구비된 유성기어(42)가 회전하게 되고 유성기어(42)와 치합된 종동기어(51)가 회전하게 되어 증속부재(50)를 증속시켜 회전시키게 된다. 회전부재(40)의 회전 및 구속은 전술하였으므로 생략한다.
상기 증속부재(50)가 회전하게 되면 증속부재(50)와 연결된 토션스프링(60)이 회전되게 되며, 상기 토션스프링(60)은 토션스프링(60)의 타측에 결합된 추(90)가 무게에 의해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토션스프링(60)은 직경이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는 토션스프링(60)의 토션력이 추(90)의 무게보다 작은 상태이며, 토션스프링(60)은 증속부재(50)와 연결된 일측단부부터 직경이 커지기 시작하여, 토션스프링(60) 전체가 즉 토션스프링(60)의 일측에서 타측 모두가 직경이 커지게 되면 토션스프링(60)의 토션력이 추(90)의 무게보다 커진 상태가 되므로 추(90)를 회전시키기 시작한다. 추(90)가 회전되기 시작하여 가속도가 붙게 되면 추(90)의 회전속도가 토션스프링(60)의 회전속도보다 커지게 되므로 토션스프링(60)은 추(90)의 회전에 의해 원래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토션스프링(60)의 직경증가에 따른 마찰에 의한 슬립과 추(90)의 회전에 의한 토션스프링(60)의 복귀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권취롤(3)의 권취속도가 일정하게 제어되게 된다.
미설명부호 100은 증속부재(50)와 연동되며 토션스프링(60)을 상기 증속부재(50)와 연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토션스프링 고정판이고, 110은 토션스프링 수용부(70) 내부에 토션스프링(60)과 토션스프링 고정부(80) 및 추(90)가 수용되도록 하여 상기 토션스프링 수용부(70)에 고정되는 커버이다.
도 1은 롤식 스크린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의 전체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의 주요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 메인 토션스프링 2: 스크린
3: 권취롤 4: 프레임
10: 마감부 11: 고정부
20: 하우징 21: 링기어
30: 회전안내부 31: 결합돌기
40: 회전부재 41: 래칫수단
41a: 홈 41b: 걸림부
41c: 이동통로 41d: 구슬
42: 유성기어 50: 증속부재
51: 종동기어 52: 증속기어군
60: 토션스프링 70: 토션스프링 수용부
80: 토션스프링 고정부 90: 추
100: 토션스프링 고정판 110: 커버

Claims (6)

  1. 메인 토션스프링(1)의 토션력에 의해 스크린(2)을 권취하는 권취롤(3)의 권취속도를 감속하기 위한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롤(3)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권취롤(3)의 외측을 마감하는 마감부(10);
    상기 권취롤(3)의 일측단부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권취롤(3)과 연동되며, 내주연에 링기어(21)가 형성된 하우징(20);
    일측이 상기 마감부(10)에 고정되고 상기 하우징(20)에 삽입결합되어 상기 하우징(20)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안내부(30);
    상기 회전안내부(30)와 결합되며 일단에 상기 권취롤(3) 권취방향으로의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권취롤(3)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을 구속하는 래칫수단(41)이 구비되며 타단에 상기 링기어(21)와 치합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유성기어(42)가 힌지결합된 회전부재(40);
    일단에 상기 유성기어(42)의 중앙에 상기 유성기어(42)와 치합되는 종동기어(51)가 구비되며 상기 유성기어(42)의 회전에 의해 증속되는 증속부재(50);
    일측이 상기 증속부재(50)의 타단과 결합되며 상기 권취롤(3) 권취시 상기 회전부재(40)의 회전에 의해 직경이 증가하여 토션력이 발생되는 토션스프링(60);
    일단이 상기 하우징(20)의 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토션스프링(60)이 수용되며 내주연이 상기 토션스프링(60)의 직경 증가에 따라 마찰에 의한 슬립이 발생되는 토션스프링 수용부(70);
    상기 토션스프링 수용부(70)에 수용되며 상기 토션스프링(60)이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상기 증속부재(50)의 회전을 안내하는 토션스프링 고정부(80);
    일측이 상기 토션스프링 고정부(80)의 타측에 고정되어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되, 무게가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토션력보다 작으면 상기 토션스프링(60)에 토션력을 부가하며 무게가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토션력보다 크면 상기 토션스프링(60)의 토션력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토션스프링(60)을 복귀시키는 추(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토션스프링(60)의 슬립 및 복귀가 반복되어 상기 권취롤(3)의 권취속도가 일정하게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수단(41)은 상기 회전안내부(30)의 내주연에 축방향으로 형성된 홈(41a)과, 상기 회전부재(40)의 일단에 상기 권취롤(3) 권취시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래칫형상으로 되며 상기 권취롤(3) 풀림시의 회전방향으로 회전이 구속되도록 하는 걸림부(41b)가 형성된 이동통로(41c)와, 상기 회전안내부(30) 홈(41a)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부재(40)의 회전시 상기 이동통로(41c)를 따라 상기 홈(41a)의 상하로 이동되는 구슬(41d)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41a)은 등각도로 2개 내지 4개 구비되고, 상기 구슬(41d)은 상기 홈(41a)과 동일개수로 구비되며, 상기 걸림부(41b)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부(10)는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부(11)가 구비되며,
    상기 회전안내부(30)는 상기 고정부(11)에 결합되는 결합돌기(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31)는 기어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11)는 기어형상으로된 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증속부재(50)는 유성기어에 의한 증속이 이루어지는 증속기어군(52)이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
KR1020080115477A 2008-11-20 2008-11-20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 KR100885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477A KR100885198B1 (ko) 2008-11-20 2008-11-20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477A KR100885198B1 (ko) 2008-11-20 2008-11-20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85198B1 true KR100885198B1 (ko) 2009-02-23

Family

ID=40682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477A KR100885198B1 (ko) 2008-11-20 2008-11-20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519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361B1 (ko) * 2009-07-15 2010-11-23 남이식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권취속도 감속장치
KR101163320B1 (ko) 2010-09-17 2012-07-05 고상익 롤식 방충망 감속 장치
KR20130087645A (ko) * 2012-01-28 2013-08-07 문제선 롤스크린의 구동장치
KR200474523Y1 (ko) * 2013-10-25 2014-09-22 금중식 롤스크린의 감속장치
CN110469255A (zh) * 2019-09-10 2019-11-19 襄阳市思想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单向门的副门卷筒
KR102657754B1 (ko) * 2023-11-16 2024-04-16 한대길 롤블라인더 구동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987Y1 (ko) * 1993-07-22 1998-04-14 박해성 커텐의 권치기의 감속장치
KR200170411Y1 (ko) 1999-08-28 2000-02-15 이해완 농업용 개폐기의 감속장치
KR200386851Y1 (ko) 2005-03-22 2005-06-16 창 목 이 롤 타입 스크린용 감속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13987Y1 (ko) * 1993-07-22 1998-04-14 박해성 커텐의 권치기의 감속장치
KR200170411Y1 (ko) 1999-08-28 2000-02-15 이해완 농업용 개폐기의 감속장치
KR200386851Y1 (ko) 2005-03-22 2005-06-16 창 목 이 롤 타입 스크린용 감속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361B1 (ko) * 2009-07-15 2010-11-23 남이식 출입문용 권취식 방충망의 권취속도 감속장치
KR101163320B1 (ko) 2010-09-17 2012-07-05 고상익 롤식 방충망 감속 장치
KR20130087645A (ko) * 2012-01-28 2013-08-07 문제선 롤스크린의 구동장치
KR101598648B1 (ko) 2012-01-28 2016-02-29 문제선 롤스크린의 구동장치
KR200474523Y1 (ko) * 2013-10-25 2014-09-22 금중식 롤스크린의 감속장치
CN110469255A (zh) * 2019-09-10 2019-11-19 襄阳市思想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单向门的副门卷筒
CN110469255B (zh) * 2019-09-10 2024-04-26 襄阳市思想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单向门的副门卷筒
KR102657754B1 (ko) * 2023-11-16 2024-04-16 한대길 롤블라인더 구동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5198B1 (ko) 롤식 스크린 감속장치
US20130062024A1 (en) Blind with adjustable feedback energy
CA2459681A1 (en) Control system for architectural coverings with reversible drive and single operating element
JP2007314161A (ja) シートベルトのウェビングロッキング防止装置
EP1898384B1 (en) Device with a brake, for opening and closing an opening/closing member
WO2005059291A1 (ja) 日射遮蔽装置の障害物検知停止装置
JP2542234B2 (ja) 閉鎖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減速機構
JP2008290696A (ja) シートベルトのウェビングロッキング防止装置
JP6151571B2 (ja) カムユニット
US7706067B2 (en) Decelerating and locking mechanism for a projection screen and the manually operated projection screen using the mechanism
WO2015199050A1 (ja) シートベルトリトラクタ及びシートベルト装置
US9834173B2 (en) Belt retractor with a recoil brake
JP7361553B2 (ja) 検知装置及び遮蔽装置
JP5331048B2 (ja) ウエビング巻取装置
JP2007177405A (ja) 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駆動装置
JP4858749B2 (ja) 電動シャッター駆動装置及び電動シャッター開閉装置
WO2014181706A1 (ja) カムユニット、横型ブラインド、日射遮蔽装置の駆動ユニット
JP3124716B2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昇降装置
JPH06262544A (ja) スプリングバランサ
JP2008095426A (ja) 日射遮蔽部材用減速装置
EP3902969B1 (en) Operating mechanism for a window covering and window covering
JP2001032655A (ja) シャッター落下防止装置
JP4645783B2 (ja) 電動シャッター駆動装置
JP5192141B2 (ja) 開閉装置用急閉鎖抑制装置
KR102452508B1 (ko) 한 줄 안전 블라인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