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82780B1 -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저해제 - Google Patents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저해제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82780B1
KR100882780B1 KR1020040105854A KR20040105854A KR100882780B1 KR 100882780 B1 KR100882780 B1 KR 100882780B1 KR 1020040105854 A KR1020040105854 A KR 1020040105854A KR 20040105854 A KR20040105854 A KR 20040105854A KR 100882780 B1 KR100882780 B1 KR 100882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testosterone
alpha reductase
pine
hair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5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67255A (ko
Inventor
고지훈
황의일
이기원
최금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040105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82780B1/ko
Publication of KR20060067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7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2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27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05Enzyme inhibi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Dermat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디터펜(diterpene) 성분인 코무닉산(trans-communic acid)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dehydroabietic acid)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활성을 억제함으로서 탈모, 여드름, 전립선 비대증 등의 증상을 예방 및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제{INHIBITORS COMPRISING EXTRACTS OF PINE NEEDLE FOR 5-α REDUCTASE}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디터펜(diterpen) 성분인 코무닉산(trans-communic acid)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dehydroabietic acid)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솔잎(Pine needle)은 소나무의 잎으로 그 주요성분은 터펜틴 오일(Terpentine oil), 시네올(cineole), 살리니그린(Salinigrin), 코니페린(Coniferin), 피-사이멘(P-Cymen), 덴시피마릭산(Densipimaric acid), 레텐(Retene) 등과 엽록소, 단백질, 인, 철분, 효소, 미네랄, 지용성 비타민 A 및 비타민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솔잎은 민간요법 등에서 피부손상 회복과 관련된 효능이 전해오고 있으며, 한방의학서인 명의별록에는 솔잎을 사용하면 모발이 희어지는 것을 방지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며, 목초강목에는 모발이 잘 부스러지는 것을 방지 하며, 머리를 맑게 해주어 건망증에 효과가 있으며, 오장을 편하게 해주고, 고혈압, 여성의 미용, 불면증, 냉 대하증 등 부인병 예방에도 효능이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995-7720호에는 삼림욕 효과를 나타내는 솔잎성분이 함유된 화장비누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0577호에는 솔잎 추출물과 은행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조성물이 비듬 및 두피의 가려움증을 예방 및 치료하는 효과가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솔잎 추출물이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활성을 가짐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으며, 종래 코무닉산 및 디하이드로바이어틱산은 디터펜 성분으로 항암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으나(Toshifumi Minami et al., J. Nat. Prod. 2002, 65, 1921-1923; Peiko Tanaka et al., Cancer Letters, 2000, 161, 165-170), 솔잎 추출물 성분들 중에 코무닉산 또는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을 포함하고 있음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한편.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는 피지선, 모낭, 전립선 등 남성 호르몬 반응성 조직에 존재하며 정소에서 생합성 되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시키는 데 관여하는 생체 촉매이다. 테스토스테론은 남성의 형질발현에 있어서, 골격근 증가, 정자 형성 등에 관여하고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여드름, 피지증가, 탈모 및 전립선비대증 등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J. Invest. Dermatol. 1995; 105(2): 209-14).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탈모, 여드름, 전립선 비대증 등과 관련된 호르몬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억제하고자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의 저해활성을 갖는 천연물을 찾던 중 솔잎에서 이와 같은 효능을 발명하고 나아가 생리활성물질까지 단리하였다.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생리활성물질의 신규한 용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로부터 코무닉산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을 단리하는 것에 의한 상기 물질들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생리활성물질인 코무닉산(trans-coomunic acid)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dehydroabietic acid)의 신규한 용도인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솔잎으로부터 상기 생리활성물질인 코무닉산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을 단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생리활성물질인 코무닉산(trans-coomunic acid)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dehydroabiet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에 대하여 우수한 저해 활성을 갖는 신규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솔잎추출물은 적송(赤松), 유송(油松), 마미송(馬尾松), 해송(海松) 등의 소나무과에 속하는 솔잎에서 추출된 것이며, 기타 소나무과에 속하는 솔잎에서 추출된 추출물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솔잎 추출물은 상기 솔잎을 건조한 후 물 또는 저급 알콜을 첨가하여 추출한 솔잎의 조추출물을 포함한다. 또한, 솔잎의 알콜 추출물에 헥산, 클로로포름, 등의 유기용매와 물을 사용하여 순차적으로 분획 추출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디터펜 성분인 상기 코무닉산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은 Thuja standishii (Iwamoto et al., 2001), Calocedrus formosana (Fang et al., 1989) 및 Larix kaempferi (Ohtsu et al., 1998; Tanaka et al., 1997)로부터 단리 될 수 도 있고, 공지의 합성법에 의해 제조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솔잎으로부터 단리함으로서 상기 물질들을 얻을 수 있다.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는 피지선, 모낭, 전립선 등 남성 호르몬 반응성 조직에 존재하며 정소에서 생합성 되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시키는 데 관여하는 생체 촉매이다. 사춘기 이후 과량 분비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은 피지세포(sebocyte)에서 피지를 과잉 생성하는 주원인 물질로 작용하여 여드름 및 남성형 탈모를 유발한다(Metcalf BW et al., Trends Pharmacol Sci. 1989 Dec;10(12):491-5. Review).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모낭 세포에서 테스토스테론에 비하여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이 호르몬 수용체에 더욱 잘 결합하기 때문에 탈모를 일으키는 원인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의 작용을 저해함으로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생성을 억제하여 탈모를 방지할 수 있다(Winson JD., J Biol Chem., 1975 May 10;250(9):3498-504).
본 발명에서는 솔잎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된 코무닉산(trans-communic acid),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dehydroabietic acid)의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작용의 저해 효과 실험을 한 결과 우수한 효소 활성 저해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솔잎 추출물, 코무닉산(trans-communic acid) 또는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dehydroabiet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탈모 방지를 위한 의약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전립선비대증, 여드름 등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활성과 관련된 증상을 예방 및 치료하는 목적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충전제, 중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및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등과 혼합하여 솔잎 추출물 또는 솔잎으로부터 분리된 코무닉산(trans-communic acid)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dehydroabiet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제를 제조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정제, 캅셀제, 산제, 과립제, 현탁제, 유화제, 시럽제, 액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나 통상의 방법으로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하여 주사제로 또는 에어로졸, 로션, 크림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고, 생리 활성 물질인 코무닉산(trans-communic acid)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dehydroabietic acid)는 광범위한 투여 범위에 대해 유효하다. 예를 들어, 코무닉산(trans-communic acid)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dehydroabietic acid)의 1일 투여량은 통상적으로 약 1mg/kg 내지 2000㎎/kg, 바람직하게는 약 10mg/kg 내지 500mg/kg 범위이다. 그러나 실제적으로 투여되는 생리 활성 물질의 양은 치료하려는 질환의 상태, 선택된 투여 경로, 개별적인 환자의 연령, 체중 및 반응, 및 병의 중증도를 비롯한 관련 상황에 비추어 의사가 결정할 것이므로 상기 투여 범위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솔잎의 성분으로 알려져 있지 않은 코무닉산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을 단리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코무닉산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은 하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단리될 수 있다.
솔잎을 물 또는 저급 알콜로 추출하여 솔잎의 조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솔잎 조추출물을 헥산으로 추출하여 헥산 가용 분획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헥산 가용 분획물을 통상의 정제방법(역상 크로마토그라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라피, 액체 크로마토그라피 등)을 이용하여 코무닉산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을 분리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솔잎 조추출물의 제조
솔잎은 충남 서천군 종천면에 소재하는 희리산 해송 자연휴양림에 있는 해송으로부터 채취한 것을 사용하였다. 완전히 건조된 솔잎 0.5kg을 건조 분쇄한 후 20L의 메탄올로 7일간 냉침하여 추출하고, 상기 추출원액을 여과 한 후 농축하여 솔잎 조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솔잎 헥산 가용 분획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솔잎 조추출물을 80% 메탄올 100ml에 녹인 후 헥산 100ml로 3회 추출하고 그 상층액을 여과 증류하여 솔잎 헥산 가용 분획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3> 코무닉산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의 분리 및 정제
상기 헥산 가용 분획물을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라피에 흡착시킨 후, 클로로포름(95%)과 메탄올(5%) 혼합액으로 용출시켜서 활성분획을 얻고, 이 활성분획을 농축한 후 다시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라피에 흡착시켰다. 실리카겔에 흡착된 활성 성분을 클로로포름(100%) 및 클로로포름(70%)/에틸아세테이트(30%) 혼합액으로 용출시켜서 부분 정제된 활성물질을 얻었다. 부분 정제된 활성분획을 최종적으로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라피를 이용하여 순수한 효소 저해제들을 분리하였다. 이때 고성능 액체크로마토그라피는 uBondapak C18 ODS(7.7×300mm, waters 사)를 사용하였다. 상기 클로로포름(100%) 활성분획을 메탄올(90%)/물(10%)부터 메탄올(100%)까지 순차적으로 용출하였다. 또한, 상기 클로로포름(70%)/에틸아세테이트(30%) 활성분획을 메탄올(90%)과 물(10%)의 혼합용액으로 용출시켰다. 최종적으로 클로로포름(100%)과 클로로포름(70%)/에틸아세테이트(30%) 활성분획으로부터 각각 단일물질들을 21mg, 38mg 얻었다. 클로로포름(100%) 활성분획으로부터 단리된 물질을 UV 흡광도(Shimadzu UV-265 spectrophotometer) 및 고성능 질량분석(Mariner mass spectrometry, Perseptive Biosystem)을 통하여 분자량 및 분자식을 결정하였다. 또한 핵자기 공명(Varian 400MHz, Brucker 400MHz NMR)을 이용하여 1H, 13C, Cosy, HMQC, HMBC 스펙트럼을 얻었으며, 이들 스펙트럼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상기 단일물질은 코무닉산(trans-communic acid)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클로로포름(70%)/에틸아세테이트(30%) 활성분획으로부터 단리된 물질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dehydroabiatic acid)으로 확인되었다. 이들의 분석치들은 하기에 나타내었고, 스펙트럼 데이터 등으로부터 얻어진 이화학학 성질은 하기 표 1에 화학 구조식은 코무닉산은 화학식 1,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은 화학식 2와 같이 나타났다.
코무닉산:
UV(MeOH) λmax 232 nm;
ESI-MS m/z 301.2 [M-H]+;
1H-NMR (500 MHz, CDCl3): δ 1.09, 1.86 (each 1H, m, H-1), 1.54, 1.89 (each 1H, m, H-2), 1.06, 2.14, (each 1H, m, H-3), 1.34 (1H, m, H-5), 1.96, 1.89 (each 1H, m, H-6), 2.39, 1.94 (each 1H, m, H-7), 2.40 (1H, m, H-9), 1.36, 1.89 (each 1H, m, H-11), 5.40 (1H, br s, H-12), 6.33 (1H, dd, H-14), 4.89 (1H, d, H-15), 5.05 (1H, d, H-15), 4.46 (1H, s, H-17), 4.86 (1H, d, H-17), 1.74 (3H, s, 16-CH 3), 1.24 (3H, s, 18- CH 3), 0.64 (3H, s, 20- CH 3);
13C-NMR (125 MHz, CDCl3): δ 39.23 (C-1), 19.90 (C-2), 38.47 (C-3), 44.19 (C-4), 56.38 (C-5), 25.81 (C-6), 37.91 (C-7), 147.92 (C-8), 56.25 (C-9), 40.34 (C-10), 23.28 (C-11), 141.57 (C-12), 133.42 (C-13), 133.90 (C-14), 109.90 (C-15), 11.82 (16- CH3), 107.63 (C-17), 29.03 (18- CH3), 184.05 (19-COOH), 12.81 (20- CH3).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
UV(MeOH) λmax 268, 276 nm;
ESI-MS m/z 299.5 [M-H]+;
1H-NMR (500 MHz, CDCl3): δ 1.49, 2.30 (each 1H, m, H-1), 1.70, 1.77 (each 1H, m, H-2), 1.80, 1.67 (each 1H, m, H-3), 2.24 (1H, d, H-5), 1.84, 1.52 (each 1H, m, H-6), 2.88 (2H, m, H-7), 7.17 (1H, d, H-11), 7.70 (1H, d, H-12), 6.88 (1H, brs d, H-14), 2.82 (1H, m, H-15), 1.23 (3H, s, 16-CH 3), 1.21 (3H, s, 17-CH 3), 1.25 (3H, s, 19-CH 3), 1.21 (3H, s, 20-CH 3);
13C-NMR (125 MHz, CDCl3): δ 37.97 (C-1), 18.65 (C-2), 36.77 (C-3), 44.48 (C-4), 44.65 (C-5), 21.81 (C-6), 30.93 (C-7), 134.61 (C-8), 146.71 (C-9), 36.90 (C-10), 124.03 (C-11), 123.77 (C-12), 145.54 (C-13), 126.80 (C-14), 33.51 (C-15), 24.05 (16,17-2CH3), 184.75 (18-COOH), 16.37 (19- CH 3), 25.20 (20- CH3).
구 분 코무닉산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
외형(appearance) 연한 노란색 oil 연한 노란색 oil
분자식 C20H30O2 C20H28O2
분자량 302 300
가용용매 메탄올, 헥산, 클로로포름
붕용용매
<실험예 1>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에 대한 저해 활성 실험
1. 실험재료 및 방법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는 수컷 스프라그-도울리(Sprague-Dawley) 쥐의 전립선으로부터 분리한 마이크로좀(microsome)을, 기질은 0.3 uM, 0.1 uCi의 [14C]-테스토스테론을 사용하였고, 시료물질은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솔잎 조추출물, 헥산 가용분획물, 코무닉산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을 사용하였다.
상기 기질에 2 uM NADPH가 포함된 125 mM Potasium phosphate buffer (pH 6.5) 및 시료 물질을 DMSO에 녹인 것 2.5 ul를 첨가하여 반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반응액을 상기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원 하에서 37℃의 온도를 유지하며 1시간동안 반응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반응을 종료하였다. 이후 원심 분리기를 통하여 수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으로 분리하고, 이 중 생성물이 포함된 상층에서 용매를 증발시키고 다시 소량의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하여 녹인 후 TLC를 실시하였다. 이 때 TLC 조건은 클로로포름: 디에틸에테르를 80:20로 하였다. TLC상에 나타나는 생성물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ehydrotestosterone) 및 반응물인 테스토스테론은 각각 iodine vapor와 UV를 통하여 확인한 후 정량적 분석을 위하여 Instaimager를 사용하여 autoradiogram을 실시하였고, 생성물과 반응물의 방사능량을 정량하여 하기식에 따라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의 활성 저해도를 추정하였다. 비교군(Control)은 반응액에 시료를 첨가하지 않았으며, 대조군(Blank)에는 시료와 NADPH를 첨가하지 않고 반응시켜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2. 실험 결과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활성은 하기 표 2 및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해활성도(%)가 높을수록 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솔잎 추출물 및 솔잎 추출물에서 단리된 생리활성물질들은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활성도(%)가 현저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솔잎 조추출물 및 헥산 가용 분획물은 300μg/ml 농도에서 각각 50.5%, 84.5%로 저해활성을 나타냈으며, 단일물질인 코무닉산은 150 μg/ml 농도에서 86.3%,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 또한 150 μg/ml 농도에서 85.4%로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활성도를 나타내었다. 상기 물질들은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를 현저히 억제하므로 이 효소가 활성화됨으로서 나타나는 남성형 탈모 또는 전립선 비대증 등의 증상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5-알파 환원효소 저해활성도(%)
농도( μg/ml) 솔잎 조추출물 솔잎 헥산 가용분획물
300 50.5 84.5
5-알파 환원효소 저해활성도(%)
농도( μg/ml) 코무닉산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
150 86.3 85.4
75 63.6 68.3
37.5 20.5 12.4
18.75 6.8 2.4
또한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물질로 분리한 코무닉산 과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의 효소 저해 활성을 측정한 결과 IC50 값은 각각 63.4 μg/ml, 63.0 μg/ml 로 아주 적은 농도로도 상기 효소의 활성을 억제함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생리활성물질들은 우수한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 활성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솔잎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단리되는 코무닉산 및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의 신규한 용도인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생리활성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은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의 저해 활성에 의한 탈모, 여드름, 전립선비대증 등의 증상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 은 코무닉산의 MASS Spectroscopy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 는 코무닉산의 1H-NMR Spectroscopy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은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의 MASS Spectroscopy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는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의 1H-NMR Spectroscopy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4)

  1. 삭제
  2. 삭제
  3. 다음의 단계를 거쳐 수득하는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탈모 방지, 여드름 또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 솔잎에 메탄올을 첨가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b) 상기 수득한 추출물에 헥산을 첨가하여 헥산 가용 분획물을 수득하는 단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솔잎은 해송(Pinus thunbergii)으로부터 유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여드름 또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5. 삭제
  6.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 저해 활성을 갖는 트랜스-코무닉산(trans-communic acid) 또는 디하이드로아비어틱산(dehydroabiet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여드름 또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7. 삭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해송(Pinus thunbergii)으로부터 유래하는 솔잎으로부터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탈모 방지, 여드름 또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040105854A 2004-12-14 2004-12-14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저해제 KR100882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854A KR100882780B1 (ko) 2004-12-14 2004-12-14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저해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05854A KR100882780B1 (ko) 2004-12-14 2004-12-14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저해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255A KR20060067255A (ko) 2006-06-19
KR100882780B1 true KR100882780B1 (ko) 2009-02-09

Family

ID=37161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5854A KR100882780B1 (ko) 2004-12-14 2004-12-14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저해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8278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594A (ko) 2012-09-12 2014-03-20 (주)아모레퍼시픽 트랜스코뮤닉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24032B1 (ko) 2013-04-12 2014-08-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디하이드로아비어트산 또는 코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식품 조성물
WO2018048196A1 (ko) 2016-09-08 2018-03-15 (주)아모레퍼시픽 탈수소 아비에틱산 및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US10064837B1 (en) 2018-02-15 2018-09-04 King Saud University Abietic acid derivatives as anti-tumor agents
KR101962439B1 (ko) * 2018-08-09 2019-03-26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곰솔잎, 한련초, 삼백초, 국화 추출물을 복합물로 함유하는 두피 및 두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0646B1 (ko) 2018-12-11 2020-05-15 김경호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5553A (ko) 2018-12-18 2020-06-26 김경호 규산염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5491A (ko) 2019-08-02 2021-02-10 김경호 포포나무 추출물 및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2974A (ko) 2020-04-28 2021-11-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연잎성게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 또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11202815B2 (en) 2017-12-19 2021-12-21 Genome & Medicine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prostate disease containing acanthopanax sessiliflorus, phragmites rhizome, and pinus densiflora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645B1 (ko) * 2009-05-19 2013-02-22 김세경 솔잎 증류 농축액을 포함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87655B1 (ko) * 2013-11-19 2020-03-11 (주)아모레퍼시픽 탈수소 아비에틱산과 트랜스 쿠미닉산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2187956B1 (ko) * 2018-12-28 2020-12-08 주식회사 웰니스바이오 남성 성기능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8003A (ja) * 1994-04-11 1995-10-24 Narisu Keshohin:Kk 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8003A (ja) * 1994-04-11 1995-10-24 Narisu Keshohin:Kk テストステロ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2;Soil Biology & Biochemistry*
논문3;Phytochemistry*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34594A (ko) 2012-09-12 2014-03-20 (주)아모레퍼시픽 트랜스코뮤닉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971869B1 (ko) 2012-09-12 2019-04-25 (주)아모레퍼시픽 트랜스코뮤닉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424032B1 (ko) 2013-04-12 2014-08-01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디하이드로아비어트산 또는 코문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식품 조성물
WO2018048196A1 (ko) 2016-09-08 2018-03-15 (주)아모레퍼시픽 탈수소 아비에틱산 및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KR20180028181A (ko) 2016-09-08 2018-03-16 (주)아모레퍼시픽 탈수소 아비에틱산 및 컴파운드 k를 포함하는 피부 항노화용 조성물
US11202815B2 (en) 2017-12-19 2021-12-21 Genome & Medicine Co., Ltd. Composition for preventing, treating or improving prostate disease containing acanthopanax sessiliflorus, phragmites rhizome, and pinus densiflora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US10064837B1 (en) 2018-02-15 2018-09-04 King Saud University Abietic acid derivatives as anti-tumor agents
KR101962439B1 (ko) * 2018-08-09 2019-03-26 리봄화장품 주식회사 곰솔잎, 한련초, 삼백초, 국화 추출물을 복합물로 함유하는 두피 및 두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0646B1 (ko) 2018-12-11 2020-05-15 김경호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5553A (ko) 2018-12-18 2020-06-26 김경호 규산염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15491A (ko) 2019-08-02 2021-02-10 김경호 포포나무 추출물 및 록샘파이어의 캘러스 배양물인 줄기세포 스템셀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32974A (ko) 2020-04-28 2021-11-0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연잎성게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질환 또는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7255A (ko) 200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8199B2 (en) Extracts obtained from cell line cultures from plants belonging to the Oleaceae family (e.g. Syringa vulgaris), their preparation and use
KR100882780B1 (ko)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 환원효소저해제
JP5756264B2 (ja) 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阻害剤、キサンチンオキシダーゼ及び5α−レダクターゼ阻害剤、並びに該阻害剤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RU2595860C2 (ru) Монотерпеновые производные халькона или дигидрохалькона и их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депигментирующих агентов
JPH1179936A (ja) マルベリンを含有する美白化粧料
FR2712495A1 (fr) Application de l&#39;Óoenotheine B pour obtenir un médicament destiné au traitement des troubles liés à l&#39;hyperandrogénie, et les compositions pharmaceutiques le contenant.
KR100543897B1 (ko) 치자 추출물 및 치자로부터 분리된 신규 화합물 및 그 용도
WO2022215441A1 (ja) 新規ポリフェノール化合物
JP4063496B2 (ja) 皮膚美白用組成物
KR100947148B1 (ko) 제주조릿대로부터 파라-쿠마린산의 정제 방법과 상기파라-쿠마린산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및 약학적 조성물
KR100833121B1 (ko) 활성산소 소거활성이 있는 신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0662205B1 (ko) 붓꽃추출물 및 이로부터 단리된 이소팔라손 씨를 함유하는탈모증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01877B1 (ko) 항염증 효과를 갖는 잠분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7054156B2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
JP2007210965A (ja) チロシナーゼ活性阻害剤、その製法及び用途
KR100330137B1 (ko) 트리테르펜계 지질과산화 저해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20010008772A (ko) 히스피딘계 활성산소소거물질 및 그 제조방법
KR101038022B1 (ko) 신규 당 화합물
KR20120082377A (ko) 항염증 효과를 갖는 잠분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371085B1 (ko) 신규 엘라지탄닌 배당체 화합물
JP2000136131A (ja) 5α―リダクタ―ゼ阻害剤
JP2010260818A (ja) チロシナーゼ阻害剤
WO2022254867A1 (ja) 新規フェニルプロパノイド化合物
KR20090115787A (ko) 제주조릿대로부터 파라-쿠마린산의 정제 방법과 상기 파라-쿠마린산을 이용한 기능성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1122297B1 (ko) 비짜루국화 추출물, 분획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세포 산화에 의해 야기되는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4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