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9012B1 -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9012B1
KR100879012B1 KR1020080040603A KR20080040603A KR100879012B1 KR 100879012 B1 KR100879012 B1 KR 100879012B1 KR 1020080040603 A KR1020080040603 A KR 1020080040603A KR 20080040603 A KR20080040603 A KR 20080040603A KR 100879012 B1 KR100879012 B1 KR 100879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color filter
display device
wavelength
black matr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11385A (ko
Inventor
김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김일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김일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Priority to JP2010513104A priority Critical patent/JP5256564B2/ja
Priority to CN2008801026711A priority patent/CN101779157B/zh
Priority to PCT/KR2008/003416 priority patent/WO2008156286A1/en
Priority to TW097122725A priority patent/TWI335461B/zh
Publication of KR20080111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11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6Details
    • G02F1/1309Repairing; Test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4Colour filters
    • G02F1/133516Methods for their manufacture, e.g. printing, electro-deposition or photolithography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표시장치의 휘점불량을 효과적으로 수리할 수 있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을 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레이저를 이용하여 휘점불량이 있는 색필터, 또는 상기 색필터와 글래스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색필터에 이웃하는 블랙매트릭스를 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표시장치. 휘점불량. 블랙매트릭스. 확산. 레이저. 편광판.

Description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Method of repairing flat pannel display}
본 발명은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표시장치의 휘점불량을 효과적으로 수리할 수 있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액정표시장치는 소비전력이 낮고, 휴대성이 양호하여 기술집약적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차세대 첨단 디스플레이(display)소자로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 중에서도, 각 화소(pixel)별로 인가되는 전압을 스위칭할 수 있는 스위칭 소자가 구비된 액티브 매트릭스형 액정표시장치가 해상도 및 동영상 구현능력이 뛰어나 가장 주목받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액정패널(500)은 상부 기판인 컬러필터 기판(530)과 하부 기판인 TFT(Thin Film Transistor)어레이 기판(510)이 서로 대향 되도록 합착 되고, 그 사이에 유전 이방성을 갖는 액정층(520)이 형성되는 구조로 구비되어, 화소 선택용 어드레스(address)배선을 통해 수십 만개의 화소에 부가된 박막트랜지스터(TFT)를 스위칭 동작시켜 해당 화소에 전압을 인가해 주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컬러필터 기판(530)은 글래스(531)와, RGB 등의 색필터(532)와, 상기 색필터(532)들 사이에 형성된 블랙매트릭스(533)와, 오버코트층(534)과, 공통전극용 ITO(535)와, 배향막(536)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글래스의 상부에 편광판(537)이 부착된다.
이러한 액정패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공정, 컬러필터 기판 공정, 액정셀 공정 등을 수행하여야 한다.
상기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공정은 증착(deposition) 및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식각(etching)공정을 반복하여 유리 기판상에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박막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상기 컬러 필터 기판 공정은 블랙매트릭스가 형성된 글래스상에 일정한 순서로 배열되어 색상을 구현하는 RGB의 색필터를 제작한 후, 공통전극용 ITO막 등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상기 액정셀 공정은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과 컬러필터 어레이 기판 사이의 일정한 틈이 유지되도록 합착한 후, 그 틈 사이로 액정을 주입하여 액정층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또한 근래에는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에 액정을 균일하게 도포한 후, 컬러필터 기판을 합착하는 ODF(One Drop Filling)공정이 개시되고 있다.
상기 액정표시 장치의 검사 과정에서는, 액정패널의 화면에 테스트 패턴을 띄우고 불량 화소의 유무를 탐지하여 불량 화소가 발견되었을 때 이에 대한 수정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액정패널의 불량에는 점 결함과, 선 결함 및 표시 불균일로 나눌 수 있다. 점 결함은 TFT 소자, 화소전극, 컬러필터 배선의 불량 등에 의해 발 생되며, 선 결함은 배선간의 단선(Open), 쇼트(Short), 정전기에 의한 TFT들의 파괴, 구동회로와 접속불량에 기인한다. 표시 불균일은 셀 두께 불균일, 액정배향의 불균일, TFT 특성 장소 산포 및 상대적으로 큰 배선의 시정수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이 중, 점 결함 및 선 결함은 일반적으로 배선의 불량이 그 원인으로 종래에는 단선(open)된 배선이 발견되면, 단선된 부분을 연결해 주고, 쇼트(short)의 경우 해당 배선들을 단선시키는 정도에 불과하였다.
이러한 결함 외에도 액정패널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먼지, 유기물 또는 금속 등을 포함하는 불순물이 흡착되는데, 이러한 불순물이 컬러필터 부근에 흡착될 경우 해당 픽셀은 패널 구동 시 다른 정상적인 픽셀의 밝기보다 매우 밝은 빛을 내는 이른바 빛샘 현상을 유발한다. 이러한 휘점불량을 수리하기 위하여 레이저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72229에서는 배향막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손상을 가하여 액정의 배열특성을 저해시키고, 이로 인하여 액정의 빛에 대한 투과율을 낮추어 빛샘 현상을 제거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배열특성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공정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한국특허출원 10-2006-86569호를 출원한 바 있다. 상기 특허출원은 팸토초 레이저를 이용하여 불량화소를 흑화처리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팸토초 레이저를 이용하면 효율적인 흑화가 가능하지만, 팸토초 레이저를 발진하기 위한 장비가 매우 고가라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표시장치의 휘점불량을 효과적으로 수리할 수 있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위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을 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레이저를 이용하여 휘점불량이 있는 색필터, 또는 상기 색필터와 글래스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색필터에 이웃하는 블랙매트릭스를 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1)단계는, 상기 표시장치가 편광판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이고, 상기 색필터가 레드(R)영역인 경우 파장이 270~550nm인 레이저를 이용하고, 상기 색필터가 그린(G)영역인 경우 파장이 270~480nm 또는 600~750nm인 레이저를 이용하며, 상기 색필터가 블루(B)영역인 경우 파장이 270~390nm 또는 520~750nm인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단계는, 상기 표시장치가 편광판이 부착된 상태이고, 상기 색필터가 레드(R)영역인 경우 파장이 400~550nm인 레이저를 이용하고, 상기 색필터가 그린(G)영역인 경우, 파장이 400~480nm 또는 600~750nm인 레이저를 이용하며, 상기 색필터가 블루(B)영역인 경우, 파장이 520~750nm인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또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레이저의 펄스폭(pulse duration)은 100ns이하이고, 반복주파수는 1Hz ~ 1kHz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표시장치가 오버코트층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레이저의 펄스폭(pulse duration)이 50ns이하이고, 반복주파수는 1Hz ~ 100Hz이며, 레이저의 파워는 10mW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레이저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가 더 부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레이저의 프로파일은 플랫 탑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갭의 두께는 상기 색필터 두께의 20~90%가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레이저는 Ytterbium 레이저, Ti-Sapphire 레이저, Nd:YLF 레이저, Nd:Glass 레이저, Nd:Vanadate(YVO4) 레이저, Nd:YAG 레이저, Fiber 레이저 및 Dye 레이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블랙매트릭스가 금속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의 펄스폭(pulse duration)이 50ns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단계는 상기 표시장치가 편광판이 부착되지 않은 경우 파장이 270~750nm인 레이저를 이용하고, 편광판이 부착된 경우 파장이 400~750nm인 레이저 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단계는 상기 1)단계에서 사용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3) 분해된 상기 블랙매트릭스를 상기 갭에 확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 레이저를 상기 색필터 방향으로 이동시켜 분해된 상기 블랙매트릭스의 흐름을 상기 색필터 방향으로 유도한다. 또한 상기 3)단계는 상기 2)단계에서 사용되는 레이저를 이용하거나, 이와 동일한 사양의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상기 색필터 또는 블랙매트릭스에 상기 레이저를 스캔방식으로 조사하거나, 블럭샷 방식 또는 멀티블럭샷 방식으로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1) 내지 3)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색필터의 광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저를 이용하여 표시장치의 휘점불량을 효과적으로 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휘점불량이 있는 색필터에 갭을 형성하여 블랙매트릭스를 효율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다.
또한 색필터의 흑화와 함께 블랙매트릭스를 분해하여 불량위치로 확산시키기 때문에 더욱 효과적이다.
또한, 편광판의 유무, 오버코트층의 유부 및 색필터의 특성에 따라 갭을 매 우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를 참조하면, 레이저를 화살표를 따라 지그재그방식으로 스캔하면서 휘점불량이 확인된 색필터(532) 전체에 조사하여 색필터(532)와 글래스(도 1의 531참조) 사이에 갭(G)을 형성한다. 물론, 상기 갭(G)은 색필터(532)와 글래스 사이 뿐 아니라 색필터(532)의 두께방향에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2b와 같이, 레이저를 블랙매트릭스(533) 영역을 스캔하면서 조사하게 되면, 블랙매트릭스(533)가 분해하면서 갭(G)으로 유입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2c와 같이, 레이저를 블랙매트릭스(533)와 색필터(532) 영역에 걸쳐 지그재그방식으로 스캔하면서 조사하게 되면, 블랙매트릭스(533)의 분해와 분해된 블랙매트릭스(533)의 확산이 가속화되고, 갭(G)에 분해된 블랙매트릭스(533)가 고루 분포되게 된다.
이와 같이 블랙매트릭스(533)가 갭(G)에 고루 분포되게 되면, 색필터(532)는 광투과율이 저하되어 표시장치의 광원부(백라이트유닛)로부터 발생된 빛을 투과시키지 않고 흡수하도록 암점화함으로써 휘점불량이 수리되는 것이다.
표시장치의 특성에 따라 갭(G)을 형성하기 위한 에너지와 블랙매트릭스(533)를 분해하는 에너지가 거의 유사한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것과 달리, 거의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블랙매트릭스(533)영역과, 색필터(532) 영역을 순차적으로 스캐닝하면서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휘점불량을 수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블랙매트릭스(533)의 분해 및 확산, 갭(G)의 형성이 순차적이지만 거의 동시에 진행되는 것이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휘점불량을 수리하기 위하여는 갭을 형성하는 레이저와, 블랙매트릭스를 분해하는 레이저와, 분해된 블랙매트릭스를 상기 갭에 확산시키는 레이저가 요구된다.
특히, 갭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는 휘점불량이 있는 색필터의 종류, 표시장치의 편광판 유무, 오버코트층 유무 등의 공정조건과, 각 공정조건에 맞는 레이저의 사양이 중요하다. 이러한 공정조건에 맞는 레이저는 블랙매트릭스를 분해할 수도 있고, 분해된 블랙매트릭스를 상기 갭에 확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갭을 형성하는 레이저를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갭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의 사양을 설명하기로 한다.
레이저가 색필터와 같은 유기물 필름에 조사되면 필름을 구성하는 유기물은 분자 간의 결합이 끊어져 중성원자, 분자, 양음 이온을 포함한 플라즈마를 포함하여 라디컬, 클러스터, 전자 및 포톤을 방출하면서 어블레이션(ablation)되면서 갭이 형성되는 것이다.
어블레이션(ablation)은 유기물이 그 유기물을 구성하는 분자 간의 결합이 해리되면서 분자, 이온 등으로 되는 현상이지만, 이러한 해리를 위해서는 유기물의 에너지 준위 이상의 에너지를 흡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조사되는 레이저는 갭이 형성될 색필터의 투과율이 낮은 파장, 다시 말해 흡수율이 높은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를 조사하여야 한다.
이러한 파장은 도 4를 참조하여 선택된다. 예를 들어 색필터가 레드(R)영역인 경우, 레드영역의 흡수율이 높은 파장은 550nm이하인 것을 알 수 있다. 레드(R)영역에 550nm이상의 파장의 레이저를 조사하면 투과율이 높기 때문에 더 많은 에너지가 필요로 하게 되고 이로 인해 오버코트층, ITO 및 배향막 등 색필터의 하부막층에 손상을 주는 위험 요인이 크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만약, 하부막층이 손상되면 손상된 부위로 액정이 올라와 버블이 형성되어 보다 심각한 불량이 발생된다.
한편, 파장이 270nm미만인 레이저는 글라스를 투과하지 못하여 색필터에 전달되지 못하고, 750nm초과인 레이저는 색필터를 투과해서 반응을 일으키지 못하므로 갭을 형성하는데 적절하지 못하다.
결론적으로 갭을 형성할 색필터가 레드영역인 경우, 파장이 270~550nm인 레이저를 조사하게 되면 하부막층의 손상없이 매우 효과적으로 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갭을 형성하고자 할 때, 색필터의 투과율이 낮은 파장을 가지는 레이저를 조사하여야 하는데, 레드(R)영역인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파장이 270~550nm인 레이저를 조사하고, 그린(G)영역인 경우 파장이 270~480nm 또는 600~750nm인 레이저를 조사하고, 블루(B)영역인 경우 파장이 270~390nm 또는 520~750nm인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이다.
만약, 표시장치에 편광판이 부착된 경우, 도 5에 도시된 편광판의 파장에 따른 투과율 그래프를 참조해야 한다. 도 1과 같이, 컬러필터 기판의 상부면에 편광 판이 부착되는데, 조사되는 레이저는 상기 편광판을 투과해야 하기 때문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은 가시광영역에서 50% 이하의 투과율을 나타내며 자외선(UV)영역에서는 전혀 투과되지 않고 근적외선 영역으로 갈수록 투과율이 증가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판이 부착되어 있는 패널의 RGB중 하나에 갭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400nm파장 이상의 레이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편광판이 부착된 표시장치의 수리를 위하여 갭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4의 그래프에 의해서 도출되는 파장에서 400nm파장 미만을 제외시켜야 한다. 결과적으로 갭을 형성할 색필터가 레드(R)영역인 경우 파장이 400~550nm인 레이저를 조사하고, 상기 색필터가 그린(G)영역인 경우 파장이 400~480nm 또는 600~750nm인 레이저를 조사하고, 상기 색필터가 블루(B)영역인 경우 파장이 520~750nm인 레이저를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내지 도 6c는 색필터에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6a는 스캔방식을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블럭샷방식을 나타낸 것이고, 도 6c는 멀티블럭샷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스캔방식은 색필터(532)의 일부면적에 대응되는 빔사이즈를 갖는 레이저를 스캐닝하여 색필터(532)의 전체 면적에 조사하는 것이고, 블럭샷방식은 색필터(532)의 전체면적에 대응되는 빔사이즈를 갖는 레이저를 한번에 조사하는 방식이다. 또한 멀티블럭샷방식은 스캔방식과 블럭샷 방식을 결합한 방식으로 블럭샷 방식으로 조사하면서 이와 함께 스캔방식처럼 연속해서 계속 조사하는 방식을 말한 다.
한편, 이와 같이 레이저를 조사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색필터는 어블레이션되는 과정에서 블랙매트릭스의 확산과 별도로 자체 광투과율이 저하된다. 이로 인해 표시장치의 광원부(백라이트유닛)로부터 발생된 빛을 투과시키지 않고 흡수하도록 암점화되어 블랙매트릭스의 확산과 함께 보다 효과적으로 휘점불량을 수리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레이저를 복수회 조사하여 갭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즉, 레이저의 1회 조사시(S1)에는 Z축 이동 스캐너를 사용하여 색필터 두께의 10% 되는 영역에 DOF(Depth of Focus, 레이저빔의 심도)를 일치시킨 후 XY축 이동 스캐너를 사용하여 갭을 형성한다. CCD카메라로 갭의 형성상태 확인하고 부족한 경우에는 다시 Z축 이동 스캐너의 위치를 이동시켜 색필터 두께의 20% 되는 영역에 DOF를 일치시키고 XY축 이동스캐너를 사용해 2회 조사(S2)한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2~4회 정도를 반복하면 원하는 수준의 갭을 형성할 수 있다.
레이저 빔의 심도는 2㎛를 넘지 않는 범위 내에서 Z축 이동 스캐너와 스캔 렌즈의 초점거리 및 입사빔의 직경에 의해서 계산된다.
DOF = λ/2(NA)2
NA = nsinθ
f/# = 1 / 2(NA)
f/# = efl /φ
상기 수학식 3과 수학식 4를 이용하면 수학식 5를 도출할 수 있다.
NA =φ/2(efl)
상기 수학식들에서 NA(numerical aperture)는 유효 수치구경이고, λ(Lambda)는 레이저의 파장을 나타낸다. efl은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입사빔의 직경이 클수록 레이저의 파장이 짧을수록 심도는 얕아지게 되고, 렌즈의 초점거리(efl)가 짧을 경우 NA가 커지게 되며 심도(DOF)는 얕아지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갭의 두께는 색필터 두께의 20% 내지 40%가 적당하고 최대 90%를 넘지 않는 두께가 바람직하다. 또는 색필터의 서로 다른 두께에 복수개의 갭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을 참조하면, 원가 및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하여 오버코트층이 없는 표시장치가 개시되고 있다.
한편, 오버코트층의 광흡수율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UV이하 영역에서는 거의 투과가 이루어지지 않고, UV영역에서는 80%정도를 흡수하 고, 20%정도를 투광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오버코트층이 없는 표시장치에 갭을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는 오버코트층이 있는 표시장치와 다른 사양의 레이저를 사용해야 한다. 왜냐하면, 레이저 조사시 발생되는 에너지를 오버코트층이 흡수하여 완충하는 역할을 해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오버코트층이 없는 표시장치의 경우, 색필터를 투과한 에너지가 액정층으로 전달되어 불량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에너지가 낮은 레이저를 사용하여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나, 이 경우에는 반응이 일어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면, 낮은 에너지를 갖되, 에너지를 가하는 시간이 짧게 하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실험 결과, 펄스폭(pulse duration)은 50ns이하이고, 반복주파수는 1Hz ~ 100Hz이며, 레이저의 파워는 10mW이하인 레이저를 사용하여야만 갭을 형성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술한 공정조건에 따라 레이저의 사양을 선택하여 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갭을 형성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블랙매트릭스를 분해하고, 분해된 블랙매트릭스를 갭에 확산시킬 수 있다.
다만, 블랙매트릭스에 티타늄 등의 금속성분이 포함된 경우에는 효과적으로 분해하기 위하여 특히, 펄스폭(pulse duration)이 50ns이하인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레이저 빔 프로파일을 도시한 것이다.
발진기에서 발진되는 레이저는 가우시안 형태로 에너지가 가운데 영역에 집 중되어 있다. 이러한 레이저 빔이 빔 형성기(beam shaper 또는 homogenizer)를 통과하면서 소정의 범위에서 레이저 빔의 세기가 균일화 되면서 크기가 확장된 플랫 탑(Flat Top)의 프로파일로 변환되는데, 이때, 빔 프로파일과 함께 조사되는 레이저의 면적도 동시에 변화된다. 이때 사각 플랫탑 모양(300) 또는 원형의 플랫 탑 모양(301)으로 변환될 수 있다.
빔 형성기와 빔 조정기를 이용하여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크기와 세기를 변환할 수 있다. 조사되는 레이저 빔의 면적이 작을수록, 복수의 색필터 전체에 갭을 형성하는데 매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레이저 빔의 크기를 균일하게 변환시켜, 갭형성 속도를 높임으로써, 제품을 양산하는 생산라인에 적용할 수 있다. 적절한 세기의 사각 플랫탑 프로파일(300) 또는 원형 플랫탑(301)로 변환된 레이저는 Z축 이동 스캐너에 의해 원하는 두께 및 두께방향의 위치에 갭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불순물이 포함된 액정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휘점불량 수리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수리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색필터의 파장별 투과율 그래프이다.
도 5는 편광판의 파장별 투과율 그래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갭을 형성하기 위한 레이저 조사방식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초점거리를 조절하면서 레이저를 조사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오버코트층이 없는 액정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9는 오버코트층의 광 흡수율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빔 프로파일(모양)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26)

  1. 블랙매트릭스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을 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1) 레이저를 이용하여 휘점불량이 있는 색필터, 또는 상기 색필터와 글래스 사이에 갭을 형성하는 단계; 및
    2) 레이저를 이용하여 상기 색필터에 이웃하는 블랙매트릭스를 분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표시장치가 편광판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이고, 상기 색필터가 레드(R)영역인 경우, 파장이 270~550nm인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표시장치가 편광판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이고, 상기 색필터가 그린(G)영역인 경우, 파장이 270~480nm 또는 600~750nm인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표시장치가 편광판이 부착되지 않은 상태이고, 상기 색필터가 블루(B)영역인 경우, 파장이 270~390nm 또는 520~750nm인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표시장치가 편광판이 부착된 상태이고, 상기 색필터가 레드(R)영역인 경우, 파장이 400~550nm인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표시장치가 편광판이 부착된 상태이고, 상기 색필터가 그린(G)영역인 경우, 파장이 400~480nm 또는 600~750nm인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는,
    상기 표시장치가 편광판이 부착된 상태이고, 상기 색필터가 블루(B)영역인 경우, 파장이 520~750nm인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레이저의 펄스폭(pulse duration)은 100ns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레이저의 반복주파수는 1Hz ~ 1k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가 오버코트층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레이저의 펄스폭(pulse duration)이 50ns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가 오버코트층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레이저의 반복주파수는 1Hz ~ 100Hz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장치가 오버코트층을 포함하지 않은 경우,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레이저의 파워는 10mW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레이저의 세기를 조절하는 단계가 더 부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레이저의 프로파일은 플랫 탑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갭의 두께는 상기 색필터 두께의 20~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단계에서 상기 레이저는 Ytterbium 레이저, Ti-Sapphire 레이저, Nd:YLF 레이저, Nd:Glass 레이저, Nd:Vanadate(YVO4) 레이저, Nd:YAG 레이저, Fiber 레이저 및 Dye 레이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에서, 상기 블랙매트릭스가 금속성분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레이저의 펄스폭(pulse duration)이 50ns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표시장치가 편광판이 부착되지 않은 경우, 파장이 270~750nm인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표시장치가 편광판이 부착된 경우, 파장이 400~750nm인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20. 제18항 또는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2)단계는 상기 1)단계에서 사용되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21. 제1항에 있어서,
    3) 분해된 상기 블랙매트릭스를 상기 갭에 확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레이저를 상기 색필터 방향으로 이동시켜 분해된 상기 블랙매트릭스의 흐름을 상기 색필터 방향으로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3)단계는 상기 2)단계에서 사용되는 레이저를 이용하거나, 이와 동일한 사양의 레이저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색필터 또는 블랙매트릭스에 상기 레이저를 스캔방식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25.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색필터 또는 블랙매트릭스에 상기 레이저를 블럭샷 방식 또는 멀티블럭샷 방식으로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1) 내지 3)단계를 수행하면서 상기 색필터의 광투과율이 저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KR1020080040603A 2007-06-18 2008-04-30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KR100879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513104A JP5256564B2 (ja) 2007-06-18 2008-06-17 表示装置の揮点不良修理方法
CN2008801026711A CN101779157B (zh) 2007-06-18 2008-06-17 修复平板显示器的方法
PCT/KR2008/003416 WO2008156286A1 (en) 2007-06-18 2008-06-17 Method of repairing flat pannel display
TW097122725A TWI335461B (en) 2007-06-18 2008-06-18 Method of repairing bright pixel defect of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059221 2007-06-18
KR1020070059221 2007-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11385A KR20080111385A (ko) 2008-12-23
KR100879012B1 true KR100879012B1 (ko) 2009-01-15

Family

ID=40369645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587A KR100879011B1 (ko) 2007-06-18 2008-04-30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KR1020080040573A KR100879010B1 (ko) 2007-06-18 2008-04-30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KR1020080040603A KR100879012B1 (ko) 2007-06-18 2008-04-30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587A KR100879011B1 (ko) 2007-06-18 2008-04-30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KR1020080040573A KR100879010B1 (ko) 2007-06-18 2008-04-30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3) JP2011508895A (ko)
KR (3) KR100879011B1 (ko)
CN (3) CN101707897A (ko)
TW (3) TWI3354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7131B2 (en) 2015-05-26 2018-06-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3230B1 (ko) * 2010-03-24 2012-02-20 (주)미래컴퍼니 휘점 리페어 장치 및 휘점 리페어 방법
TWI430000B (zh) 2010-07-02 2014-03-11 Ind Tech Res Inst 平面顯示器之修補方法與系統
CN102338942B (zh) * 2010-07-21 2013-07-10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平面显示器的修补方法与系统
JP5707960B2 (ja) * 2011-01-20 2015-04-30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層の欠陥修正方法および、カラー液晶表示素子
JP5853331B2 (ja) * 2011-03-11 2016-02-09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レーザ照射装置及びそれを使用した液晶表示パネルの輝点修正方法
CN102845132B (zh) * 2011-04-12 2015-12-16 株式会社日本有机雷特显示器 有机el元件的制造方法和激光焦点位置设定方法
JP5744640B2 (ja) * 2011-06-21 2015-07-08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の輝点欠陥黒化方法
JP5733065B2 (ja) 2011-07-07 2015-06-10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とその修復方法
CN102654661B (zh) * 2012-05-04 2015-01-2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面板的修复方法
JP2014157335A (ja) * 2013-02-18 2014-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液晶表示装置の輝点欠陥修正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9304090B2 (en) * 2013-03-11 2016-04-05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olarization compensated multi-spectral laser repair of liquid crystal display panels
JP6214197B2 (ja) * 2013-04-24 2017-10-18 三菱電機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の輝点欠陥の暗点化方法
JP6265648B2 (ja) 2013-08-07 2018-01-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ー、液晶パネルおよび修復方法
KR102499179B1 (ko) * 2015-09-25 2023-02-10 티씨엘 차이나 스타 옵토일렉트로닉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리페어 방법
JP6714898B2 (ja) 2016-03-30 2020-07-01 三菱電機株式会社 カラーフィルタ基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9212791A (zh) 2017-07-07 2019-0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面板、显示面板亮点不良的修复方法
CN107450209B (zh) * 2017-09-30 2021-01-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亮点修复方法及彩膜基板
KR102079455B1 (ko) * 2018-10-05 2020-02-19 주식회사 코윈디에스티 액정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134A (ko) * 2004-12-09 2006-06-1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의 리페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86569A (ko) * 2005-01-27 2006-08-01 임채용 자동차 도어 자동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KR100780012B1 (ko) 2006-12-29 2007-11-27 참앤씨(주) 액정표시패널의 리페어 방법 및 장치
KR20080065748A (ko) * 2007-01-10 2008-07-15 참앤씨(주) 액정표시패널의 리페어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1265A (ja) * 1999-08-12 2001-02-23 Toray Ind Inc 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2001183615A (ja) * 1999-12-27 2001-07-06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の輝点修正方法及び液晶表示装置
US7199330B2 (en) * 2004-01-20 2007-04-03 Coherent, Inc. Systems and methods for forming a laser beam having a flat top
JP3969408B2 (ja) * 2004-09-06 2007-09-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の欠陥補修方法および欠陥補修装置
KR101133765B1 (ko) * 2005-02-15 2012-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장치의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
KR100716472B1 (ko) * 2005-07-20 2007-05-10 (주)미래컴퍼니 기판 결함 수정장치 및 방법
KR101232136B1 (ko) * 2005-09-14 2013-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셀의 휘점불량을 리페어하는 방법, 그 방법을 이용한액정표시소자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리페어된액정표시소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65134A (ko) * 2004-12-09 2006-06-1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패널의 리페어 장치 및 방법
KR20060086569A (ko) * 2005-01-27 2006-08-01 임채용 자동차 도어 자동 개폐장치 및 개폐방법
KR100780012B1 (ko) 2006-12-29 2007-11-27 참앤씨(주) 액정표시패널의 리페어 방법 및 장치
KR20080065748A (ko) * 2007-01-10 2008-07-15 참앤씨(주) 액정표시패널의 리페어 방법 및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7131B2 (en) 2015-05-26 2018-06-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pairing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779157A (zh) 2010-07-14
CN101796453A (zh) 2010-08-04
JP2011508895A (ja) 2011-03-17
JP5245144B2 (ja) 2013-07-24
KR100879010B1 (ko) 2009-01-15
TW200912440A (en) 2009-03-16
KR20080111385A (ko) 2008-12-23
TW200916886A (en) 2009-04-16
TWI335451B (en) 2011-01-01
TWI335461B (en) 2011-01-01
CN101707897A (zh) 2010-05-12
KR20080111384A (ko) 2008-12-23
CN101779157B (zh) 2012-02-29
JP2011504599A (ja) 2011-02-10
KR20080111383A (ko) 2008-12-23
JP2010530991A (ja) 2010-09-16
JP5256564B2 (ja) 2013-08-07
TW200907466A (en) 2009-02-16
TWI335462B (en) 2011-01-01
KR100879011B1 (ko) 200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012B1 (ko)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방법
KR100816594B1 (ko) 액정 패널의 보수 방법 및 장치
TWI386709B (zh) 修復液晶面板之缺陷胞之方法
JP5235896B2 (ja) レーザーを用いた液晶パネルの黒化装置および方法
KR101117982B1 (ko) 액정표시소자 및 그 휘점 리페어 방법
US20080220553A1 (en) Method of produc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forming an align mark in an insulating mother substrate
US8928853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pairing flat panel display
KR100829005B1 (ko) 칼라필터 흑화장치 및 그 방법
KR101133080B1 (ko) 표시장치의 휘점불량 수리장치
WO2008156286A1 (en) Method of repairing flat pannel display
WO2008156280A1 (en) Method of repairing flat pannel display
JP2001133803A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と液晶表示装置およびレーザリペア装置
KR101152555B1 (ko) 액정패널의 리페어패턴 형성장치 및 방법
WO2008156284A1 (en) Method of repairing flat pannel display
KR100835327B1 (ko) 불량화소 흑화장치
JP5746065B2 (ja) 液晶表示装置の輝点欠陥の暗点化方法及び暗点化装置
JP4776291B2 (ja) 液晶パネル及びそのリペア方法
CN108254946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和制造装置
JP2008175848A (ja) 液晶パネルのレーザリペア方法、レーザリペア装置及び液晶パネルの製造方法
KR20060002202A (ko) 칼라필터 결함 리페어 장치
JP2014157335A (ja) 液晶表示装置の輝点欠陥修正方法および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9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