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895B1 -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895B1
KR100877895B1 KR1020067022267A KR20067022267A KR100877895B1 KR 100877895 B1 KR100877895 B1 KR 100877895B1 KR 1020067022267 A KR1020067022267 A KR 1020067022267A KR 20067022267 A KR20067022267 A KR 20067022267A KR 100877895 B1 KR100877895 B1 KR 1008778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seat
driver
display
passe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32942A (ko
Inventor
신지 와타나베
가츠히로 야스다
에이지 미야자와
노부아키 가지모토
겐이치 고지모토
기요시 하마타니
다이스케 에노모토
유스케 니시다
가즈히로 고마츠
마사호 요코야마
히로유키 후지모토
요시유키 하시모토
미츠히로 가모토
다쿠 요카와
요시카즈 우에타
도모키 사이토
다카시 에구치
쇼고 다나카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59574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70248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76770A external-priority patent/JP4934305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76772A external-priority patent/JP437736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7677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85415A/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2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8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8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a passeng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64Details of the user input interface, e.g. buttons, knobs or sliders, including those provided on a touch screen; remote controllers; input using ges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01C21/36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n-board computers
    • G01C21/3688Systems comprising multiple parts or multiple output devices (not client-server), e.g. detachable faceplates, key fobs or multiple output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56Image reproducers having separate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04N13/359Switching between monoscopic and stereoscopic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1526Dual-view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운전자로부터는 보이고, 조수석 탑승자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운전석용 영상과, 조수석 탑승자로부터는 보이고, 운전자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조수석용 영상이 동일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조작 제어를 행할 수가 있는 표시장치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우선 영상이 설정되어 있는 영상에 대한 조작 제어를 행하는 수단을 장비(裝備)한다.

Description

표시장치{Display article}
본 발명은 표시장치에 관하여, 더욱 상세하게는, 동일 화면상에 복수의 관찰자(이용자) 각각에 대하여, 독립한 다른 정보를 동시에 제공하기 위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 주행중에는, 운전자가 텔레비전이나 영화 등을 주시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고, 현재의 표시장치로는, 차량 주행중에는, 텔레비전이나 영화 등을 표시할 수가 없게 되어 있다. 이렇기 때문에,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예를 들면, 운전자 옆의 조수석 탑승자)는, 텔레비전이나 영화를 보는 것이 금지되어 있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차량 주행중에는 텔레비전이나 영화를 볼 수가 없다.
한편, 근년에 들어, 차량에 탑재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운전자에 대한 표시 내용과,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에 대한 표시 내용을 다른 것으로 하는 기술에 대하여 여러 가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아래의 특허문헌 1에는, 도 3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 커버(301)에 차광대(302), (303)를 설치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는 띠모양 표시부(304)로부터 출사(出射)된 빛은 운전자의 눈에 입사(入射)되지만,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는 띠모양 표시부(305)로부터 출사된 빛은 운전자(DR)의 눈에 입사되지 않도록 하고,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는 띠모양 표시부(305)로부터 출사된 빛은 조수석 탑승자(PA)의 눈에 입사되지만,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는 띠모양 표시부(304)로부터 출사된 빛은 조수석 탑승자(PA)의 눈에 입사되지 않도록 한 기술에 대하여 개시(開示)되어 있다.
또한, 아래의 특허문헌 2, 3에도 1대의 액정 디스플레이(LCD)로 2개의 영상이 동시에 표시되어, 운전석과 조수석으로부터 각각 다른 영상을 볼 수가 있는 표시장치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또한, 아래의 특허문헌4, 5에는, 2종류의 영상이 동시에 동일 화면상에 표시되는 2화면 표시장치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도 3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에 의한 지도 영상(307)을, 운전자(DR)로부터는 보이도록〔조수석 탑승자(PA)로부터는 보이지 않도록〕 표시장치(306)에 표시하고, DVD 영상(308)을 조수석 탑승자(PA)로부터는 보이도록〔운전자(DR)로부터는 보이지 않도록〕 표시장치(306)에 표시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이 주행중일지라도, 조수석 탑승자(PA)는 텔레비전이나 영화 등을 볼 수가 있다.
그런데, 최근의 표시장치에는 터치패널이 채용되어 있어, 표시 화면상에 조작 스위치가 형성되게 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운전자에 대한 표시 내용과,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에 대한 표시 내용을 다른 것으로 하였을 경우, 도 3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에 대한 표시화상과 운전자 이외의 탑승자에 대한 표시화상에는, 각각의 표시 내용에 대한 조작 스위치(BD1)~(BD6), (BA1)~(BA6)가 표시되는 것으로 생 각할 수가 있다.
조작 스위치(BD1)~(BD6)는 운전자만이 볼 수가 있고, 조작 스위치(BA1)~(BA6)는 조수석 탑승자만이 볼 수가 있게 되어 있지만, 도 3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BD1)~(BD6)는 조작 스위치(BA1)~(BA6) 각각과 표시 화면상에서는 조작 영역이 같은 영역(P1)~(P6) 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표시 화면상에서, 각각의 영상에서 조작 영역이 같은 영역에 조작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을 "동일" 또는 "중복"이라고 칭한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면, 표시 화면상에 있어서의 영역(P5)이 압하(押下)되었을 경우, 조작 스위치(BD5) "상세"가 압하되었을 경우에 행하는 제어(지도 영상을 상세한 표시로 하는 제어)를 실시하여야 할 것인지, 조작 스위치(BA5) "정지"가 압하되었을 경우에 행하는 제어(DVD 영상의 재생을 정지하는 제어)를 실시하여야 할 것인지를 적절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 바꿔 말하면, 이 판단이 적절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조작 제어가 실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운전석으로부터는 조수석용 영상(GPA)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조수석 탑승자(PA)가 어떠한 조작을 하고 있는지를 운전자(DR)가 알려고 하면, 몸을 움직여서, 조수석쪽으로부터 조수석용 영상(GPA)을 들여다 보지 않으면 안 된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면, 조수석 탑승자(PA)가 어린 아이이거나 고령자, 기계를 다루는 것이 서투른 사람인 경우에 불편하게 된다.
더욱이, 터치패널 이외의 스위치, 예를 들면, 표시부 주위에 배치된 조작 스위치 등에도 상기와 같은 과제가 있다.
더욱이, 나중에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표시 화면상에서, 각각의 화상에서 조작 영역이 같은 영역에 조작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을 "동일" 또는 "중복"이라고 칭하는 것에 비하여, 도 11에 도시한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 조작 스위치(49DR), (49PA)와 같이, 표시 화면상에서, 각각의 화상에서 조작 영역이 다른 위치에 조작 스위치를 배치하는 것을 "중복되지 않음"이라고 칭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3-137005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평06-186526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2000-137443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평11-331876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특허공개 평09-046622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특허공개 2003-244591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국 특허공개 2003-308032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국 특허공개 2004-206089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해서 안출된 것으로, 복수의 가시방향(可視方向)에 대하여, 각각의 개별 정보가 동일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예를 들면, 운전자가 존재하는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조수석 탑승자가 존재하는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운전석용 영상과, 조수석 탑승자가 존재하는 방향으로부터는 보이고, 운전자가 존재하는 방향으로부터는 보이지 않는 조수석용 영상이 동일 화면상에 표시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조작 제어가 실시되는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표시장치는,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개별 정보를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 입력 수단과, 상기 조작 입력의 접수를,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으로 한정하는 한정 수단과,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바꾸는 전환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 표시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개별 정보가 동일 화면상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11, 도 12에 도시하듯이, 운전자(DR)로부터는 운전석용 영상(GDR)(예를 들면, 내비게이션 장치에 의한 지도 영상)을 보이도록 하고, 조수석 탑승자(PA)로부터는 조수석용 영상(GPA)(예를 들면, DVD 영상)을 보이도록 할 수가 있다.
그런데, 도 11, 도 12에 도시하듯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하는, 같은 영역(E7)~(E12) 내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조작에 무언가 제약이 가미(加味)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조작 제어가 행하여질 우려가 있다.
상기 제1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조작 입력의 접수가, 상기 특정 가시방향〔예를 들면, 운전자(DR)가 존재하는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영상)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영상)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에 대하여서는 받아들이지만,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영상)에 대응하는 상기 조작 입력에 대하여서는 받아들이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운전자(DR)로부터의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된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이 유효하게 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은 무효하게 된다. 즉,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우선 영상이 어느쪽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파악하여 둠으로써, 원하지 않는 조작 제어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된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일지라도, 상기 우선 영상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것에 의하여 적절한 조작 제어를 실현할 수가 있기 때문에, 도 11, 도 12에 도시한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와 같이, 같은 영역(E7)~(E12) 내에 다른 성질의 조작 스위치를 배치하고, 표시 화면상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게다가, 상기 제1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은 전환되고, 상기 우선 영상은 고정이 아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된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 입력을,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과,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우선 영상의 설정이나 전환을 적절하게 행하거나, 상기 우선 영상이 어느쪽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정확하게 인식함으로써, 원하는 조작 제어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 표시장치는, 상기 제1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의 접수를 금지하는 금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도 11, 도 12에 도시한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와 같이, 같은 영역(E7)~(E12) 내에 조작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조작에 무엇인가 제약이 가미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조작 제어가 행하여질 우려가 있다. 그런데, 이것과는 달리, 각각이 겹치지 않은 다른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 조작에 제약을 만들지 않아도,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조작 제어가 행하여지는 것을 회피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운전자(DR)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볼 수가 없고, 또는, 조수석 탑승자(PA)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볼 수가 없다. 따라서, 운전자(DR)는 조수석용 영상(GPA)상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의 장소를 인식할 수가 없기 때문에, 운전자(DR)는 조작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부분을 건드렸다고 생각하여도, 조수석용 영상(GPA)상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를 건드려 버릴 우려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위치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위치가 각각 겹치지 않은 다른 영역 내에 설치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역시 조작에 무언가 제약을 가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의 접수가 금지된다. 즉, 상기 우선 영상 이외의 영상에 대응하는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는 행하여지지 않게 된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이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스위치(49PA)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그 조작은 무효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조작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표시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 표시장치에 있어서, 통상시, 어느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 표시장치에 의하면, 통상시, 상기 어느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즉, 통상시, 상기 어느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정보)이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게 된다. 따라서, 통상시에 있어서, 상기 우선 영상(정보)이 어느쪽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사용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 표시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이, 각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개별 정보의 중요도에 의거하여, 중요도의 높은 정보가 표시되는 가시방향을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 표시장치에 의하면, 중요도의 높은 정보가 표시되는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된다. 즉, 중요도가 높은 조작을 유효하게 하고, 중요도가 낮은 조작을 무효하게 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조수석용 영상(GPA)이 운전석용 영상(GDR)보다도 중요도가 높을 때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된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이 유효하게 되고,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은 무효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이 더욱 필요하게 되는 영상에 대한 조작 제어를 유효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5 표시장치는, 상기 제1~제4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 수단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한 개별 정보를 화면으로부터 소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5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즉, 상기 조작 입력을 받아들일 수 없는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개별 정보가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영상)가 우선 정보(영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조작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 제어를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6 표시장치는, 상기 제1~제4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정 수단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을 화면으로부터 소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6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즉, 상기 조작 입력을 받아들일 수 없는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개별의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이 상기 화면상에 표시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영상)가 우선 정보(영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가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오조작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 제어를 실현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조작 관련 화상으로는, 예를 들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작 스위치(43DR)~(49DR), (43PA)~(49PA)나,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부(4) 주위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15a)~(15g)의 기능을 설명하는 키 표시화상(211a)~(211g), (212a)~(212g)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7 표시장치는, 상기 제1~제6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어느 가시방향을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하는 조건이 성립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전환 수단이, 상기 어느 가시방향을, 소정의 기간,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7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어느 가시방향을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하는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어느 가시방향이, 상기 소정의 기간,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의사 표시에 의하여, 상기 조건이 성립하게 되어 있으면, 사용자는 조작을 행하고 싶을 때에, 상기 사용자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영상(정보)을 자유롭게 상기 우선 영상(정보)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또한, 사용 환경에 따라서, 상기 조건이 성립하게 되어 있으면, 예를 들면, 차량 운전으로의 주의가 더욱더 필요한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을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여, 운전자(DR)가 조작할 수가 없는 상태를 형성할 수가 있다.
상기 의사 표시를 행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아래의 a~f를 들 수가 있다.
a)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을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를 각각 독립시켜 설치한다.
b) 상기 우선 영상을 바꾸기 위한 토글스위치를 설치한다.
c) 사용자로부터의 발성(發聲)에 의하여, 상기 우선 영상을 설정한다.
i) 음성인식을 채용한다. 예를 들면, "오른쪽", "1번", "드라이버"라고 발성되면, 운전석용 영상(GDR)을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고, "왼쪽", "2번"이라고발성되면, 조수석용 영상(GPA)을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한다.
ii) 발성 방향에 의거하여, 상기 우선 영상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액션"이라는 발성이 운전석쪽으로부터 행하여졌을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을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고, "액션"이라는 발성이 조수석쪽으로부터 행하여졌을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을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한다.
d) 파워 스테어링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로, 상기 우선 영상을 설정한다.
e) 파워 스테어링으로부터 손이 떨어지고 나서, 터치패널에 물체(예를 들면, 손가락)가 접촉, 또는 접근할 때까지의 시간차에 의거하여, 상기 우선 영상을 설정한다. 예를 들면, 그 시간이 짧은 경우, 운전자(DR)에 의한 조작일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운전석용 영상(GDR)을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한다.
f) 운전석, 조수석 각각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의 조작에 의거하여, 상기 우선 영상을 설정한다.
i) 운전석의 파워 윈도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를 사용하여, 소정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을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고,한편, 조수석의 파워 윈도우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를 사용하여, 소정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을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한다.
ii) 파워 윈도우가 아니라, 그 이외의, 도어 로크, 룸 라이트 등의 조작 스위치를 이용한다.
또한, 상기 사용 환경으로서는, 예를 들면, 아래의 a~c를 들 수가 있다.
a) 차량 운전으로의 주의가 더욱더 필요한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을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한다.
i) 고속도로 주행을 하고 있을 것. 차속 펄스 등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ii) 파킹 브레이크가 OFF 상태일 것.
iii) 주행 장소가 고속도로일 것. GPS 신호 등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iv) 차량이 심하게 진동하고 있을 것. G센서 등으로 얻어지는 신호로 판단할 수가 있다.
v) 야간 주행일 것. 일루미네이션 램프의 상태 등으로 판단할 수가 있다.
b) 운전자(DR)가 조작하여도 문제가 없을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을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한다.
i) 파킹 브레이크가 ON 상태일 것.
c). 한편으로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나머지 사람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을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한다.
i) 조수석 탑승자(PA)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을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한다.
ii) 운전자(DR)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을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한다.
더욱이, 상기 소정의 기간으로는, 예를 들면, 아래의 a~d를 들 수가 있다.
a) 다음의 조작이 행하여질 때까지의 기간.
b) 다음의 조작이 행하여질 때까지의 기간, 또는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초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
c)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이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초간)을 넘길 때까지의 기간.
d) 새롭게 상기 우선 영상의 설정이 행하여질 때까지의 기간.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8 표시장치는, 상기 제1~제6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이, 소정의 시간마다,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바꾸어 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8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소정의 기간마다, 상기 특정 가시방향이 전환되어 간다. 즉, 상기 우선 영상이 자동적으로 전환되어 간다. 예를 들면, 상기 소정의 기간마다, 상기 우선 영상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의 순으로 자동적으로 전환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상기 우선 영상을 설정하거나, 전환하는 조작을 행하지 않아도 되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소정의 기간으로는, 예를 들면, 아래의 a~c를 들 수가 있다.
a) 일정 기간(예를 들면, 20초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
b)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이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 초간)을 넘길 때까지의 기간.
c) 다른 트리거(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의하여 상기 우선 영상의 전환이 지시될 때까지의 기간.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9 표시장치는, 상기 제1~제8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고지(告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9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우선 영상인지가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따라서, 그 사용자는 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기 때문에, 오조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고지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아래의 a, b를 들 수가 있다.
a) 조작 스위치의 점등, 점멸, 색깔 변경, 틀선의 굵기 변경.
i) 조작이 가능한 스위치만 표시(조작할 수가 없는 것은 표시하지 않는다).
ii) 조작이 가능한 스위치의 점멸 표시.
iii) 조작이 가능한 스위치는 검정색 글자로 하고, 조작할 수가 없는 스위치는 백발문자(검은 바탕에 백발로 문자를 뺀 것)로 한다.
iv) 조작이 가능한 스위치의 틀선을 굵게 한다.
b) 마크 표시, 소거.
i) 상기 우선 영상에 대응하는 가시방향을 나타낸 화살표의 표시. 오른쪽 핸들 차량으로, 운전석용 영상(GDR)이 상기 우선 영상일 경우, 오른쪽을 가리킨 화살표를 표시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이 상기 우선 영상일 경우, 왼쪽을 가리킨 화살표를 표시한다.
ii) 운전석용 영상(GDR)이 상기 우선 영상일 경우, 핸들 그림을 표시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이 상기 우선 영상일 경우, 그 핸들 그림에 "×" 마크를 겹쳐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0 표시장치는, 상기 제1~제8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가시방향의 전환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고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0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의 전환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즉, 상기 우선 영상의 전환이 발생한 것이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따라서, 그 사용자는 둘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기 때문에, 오조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고지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터치패널의 화면을 일시적으로 점멸시키거나, 메시지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버저음을 울리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1 표시장치는,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개별 정보를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 입력 수단과, 상기 조작 입력의 접수를,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으로 한정하는 한정 수단과,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바꾸는 전환 수단과,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고지하는 고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1 표시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개별 정보가 동일 화면상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후술하는 도 39,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DR)로부터는 운전석용 영상(GDR)(예를 들면, 내비게이션 장치에 의한 지도 영상)을 보이도록 하고, 조수석 탑승자(PA)로부터는 조수석용 영상(GPA)(예를 들면, DVD 영상)을 보이도록 할 수가 있다.
그런데, 도 39,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하는, 같은 영역(E7)~(E12) 내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조작에 무언가 제약이 가미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조작 제어가 행하여질 우려가 있다.
상기 제11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조작 입력의 접수가,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로 한정된다. 따라서,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은 받아들이지만,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운전자(DR)로부터의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만이 유효하게 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은 무효하게 된다. 즉,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우선 영상이 어느쪽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파악하여 둠으로써, 원하지 않는 조작 제어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일지라도, 상기 우선 영상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을 받아들임으로써 적절한 조작 제어를 실현할 수가 있기 때문에, 도 39, 도 40에 도시한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와 같이, 같은 영역(E7)~(E12) 내에 다른 성질의 조작 스위치를 배치하여, 표시 화면상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1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은 전환되고, 상기 우선 영상은 고정이 아니기 때문에,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을, 운전석 방향, 조수석 방향 중 어느 한쪽에서 뿐만이 아니라, 각각을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우선 영상의 설정이나 전환을 적절하게 행하거나, 상기 우선 영상이 어느쪽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정확하게 인식함으로써, 원하는 조작 제어를 실현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11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즉, 상기 조작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정보)이 고지된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이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운전자(DR)에게는 자신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상기 우선 영상인 것이 알려지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자신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상기 우선 영상이 아닌 것이 알려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볼 수 있는 영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2 표시장치는, 상기 제11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 수단이, 각 가시방향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를 고지함으로써,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2 표시장치에 의하면, 각 가시방향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상기 조작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지 없는지의 여부가 고지된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운전자(DR)에 대하여, 자신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우선 영상인 것을 알리고,한편, 조수석 탑승자(PA)에 대하여서는, 자신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우선 영상이 아닌 것을 알린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자신이 볼 수 있는 영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보다 확실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3 표시장치는, 상기 제11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 수단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이 어느 가시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고지함으로써,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3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이 어느 가시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지가 고지된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그 취지가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따라서, 운전자(DR)는, 자신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우선 영상인 것을 알 수가 있고, 조수석 탑승자(PA)는,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이며, 자신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우선 영상이 아닌 것을 알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이 어느 가시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고지하는 방법으로는, 음성으로 고지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고,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경우〔즉,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일 경우〕, 악곡A를 흘려 보내도록 하고,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경우〔즉,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일 경우〕, 악곡A와는 다른 악곡B를 흘려 보내도록 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4 표시장치는, 상기 제12 또는 제13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 수단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정보의 표시 형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의 표시 형태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어느쪽이든 한쪽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4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정보의 표시 형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의 표시 형태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어느쪽이든 한쪽이 변경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정보를 봄으로써, 자신이 보이는 영상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가 있다.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정보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방법에 대하여서는, 예를 들면, 아래의 a~c를 들 수가 있다.
a) 조작이 가능한 영상의 표시 형태만을 변경한다.
i)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조작가능"이라는 문자나, "운전석"이라는 문자, "○" 마크, 운전자(DR)를 이미지한 "핸들" 마크 등을 추가로 표시한다. "조작 가능"을 나타내는 추가 표시가 있기 때문에, 운전자(DR)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조수석용 영상(GPA)에는 상기와 같은 추가 표시 없음. "조작 가능"을 나타내는 추가 표시가 없기 때문에, 조수석 탑승자(PA)는, 상대방인 운전자(DR)로부터 보이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b)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의 표시 형태만을 변경한다.
i)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작 불가능"이라는 문자나 "×" 마크 등을 추가로 표시한다. "조작 불가능"을 나타내는 추가 표시가 있기 때문에, 조수석 탑승자(PA)는, 자신으로부터 보이는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운전석용 영상(GDR)에는 상기와 같은 추가 표시 없음. "조작 불가능"을 나타내는 추가 표시가 없기 때문에, 운전자(DR)는, 자신으로부터 보이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ii)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운전석"이라는 문자나 "핸들" 마크 등을 추가로 표시한다.
"운전석"이라는 문자나 "핸들" 마크 등의 추가 표시가 있기 때문에, 조수석 탑승자(PA)는, 운전자(DR)로부터 보이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운전석용 영상(GDR)에는 상기와 같은 추가 표시 없음. 추가 표시가 없기 때문에, 운전자(DR)는, 자신으로부터 보이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c) 조작이 가능한 영상,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의 표시 형태를 모두 변경한다.
i)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조작 가능"이라는 문자나 "○" 마크 등을 추가로 표시한다.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작 불가능"이라는 문자나 "×" 마크 등을 추가로 표시한다.
ii)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에 "운전석"이라는 문자나 "핸들" 마크 등을 추가로 표시한다.
더욱이, 표시 형태를 변경하는 방법으로는, 문자나 마크 등의 추가 표시 만이 아니라, 그 이외의 변형이나 착색, 합성 등을 들 수가 있다. 아래의 a~g에서 표시 형태의 변경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크기를 바꾼다.
b) 형태를 바꾼다.
i) 사각형에서 원형으로 바꾼다.
ii) 영상이 기울어 보이도록 한다.
c) 명도, 색상, 채도 등을 바꾼다.
d) 복수의 영상이 겹쳐 있는 경우에는, 투과율을 바꾼다.
e) 사용 가능한 색을 제한한다.
i) 흑백 영상으로 한다.
ii) 영상 전체를 하얗게 한다.
f) 표시 시간의 길이를 바꾼다.
i) 점멸 표시로 한다.
g) 문자나 마크 등의 화상을 부가(附加)한다.
i) "조작 가능"이라는 문자나, "○" 마크 등을 추가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5 표시장치는, 상기 제14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 형태가 변경되는 정보에, 각자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5 표시장치에 의하면, 표시 형태가 변경되는 정보에, 각자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상기 조작 관련 화상의 표시 형태를 봄으로써, 자신이 보이는 영상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인식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조작 관련 화상으로는, 예를 들면,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스위치(43DR)~(49DR), (43PA)~(49PA)나,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4) 주위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15a)~(15g)의 기능을 설명하는 키 표시화상(211a)~(211g), (212a)~(212g)을 들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6 표시장치는, 상기 제11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 수단이, 상기 표시 수단, 또는 장치 본체의 설치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6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표시 수단, 또는 장치 본체의 설치 상태가 변화한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경우, 운전자(DR)쪽으로부터 시인(視認)하기 쉬워지도록 상기 표시 수단, 또는 장치 본체의 각도를 바꾸고,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경우, 조수석 탑승자(PA)쪽으로부터 시인하기 쉬워지도록 상기 표시 수단, 또는 장치 본체의 각도를 바꾼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화면을 주시하지 않아도, 상기 표시 수단, 또는 장치 본체의 설치 상태로부터, 어느 영상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것인지를 인식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7 표시장치는, 상기 제11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 수단이, 발광부재의 점등 상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7 표시장치에 의하면, 발광부재의 점등 상태가 변화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수단의 주위에 적색 LED(발광 다이오드)와 녹색 LED를 배치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경우, 적색 LED를 점등시키고,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경우, 녹색 LED를 점등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화면을 주시하지 않아도, LED의 점등 상태로부터, 어느 영상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것인지를 인식할 수가 있다. 더욱이, 발광부재에 대하여서는, 상기 고지 전용의 것을 설치하지 않아도, 예를 들면, 상기 표시 수단의 바깥틀에 설치되어 있는 하드 스위치를 점등시키는 것을 채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8 표시장치는, 상기 제11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 수단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과,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을 차별화함으로써,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8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과,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대응하는 음성 출력이 차별화된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으로서, 내비게이션 장치에 의한 지도 영상이 표시되고,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 DVD 영상이 표시되어 있을 때,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경우, 내비게이션의 안내 음성의 음량을 크게 하고,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경우, DVD 음성의 음량을 크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화면을 주시하지 않아도, 어느 영상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지를 인식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9 표시장치는, 상기 제11~제18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지 수단이, 상기 조작 입력을 기점으로, 상기 특정 가시방향의 고지를 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19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조작 입력 수단에 대한 조작 입력을 기점으로, 상기 특정 가시방향의 고지가 행하여진다. 예를 들면, 터치패널에 손가락이 닿거나, 터치패널에 손가락이 접근하면, 상기 고지가 행하여진다. 따라서, 필요성이 높을 때에, 상기 고지를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0 표시장치는, 상기 제19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 수단이, 상기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이 소정 시간 계속되었을 경우, 상기 고지를 종료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0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조작 입력 수단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이 상기 소정 시간 계속되었을 경우, 상기 고지가 종료된다. 예를 들면, 터치패널로부터 손가락이 떨어지고 나서 10초 정도 경과하면, 상기 고지가 종료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정보의 표시 형태가 필요 이상으로 변화한 채로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1 표시장치는, 상기 제11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 수단이, 상기 전환 수단에 의하여 상기 특정 가시방향이 전환되었을 경우, 그 취지를 고지함으로써,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1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이 전환되었을 경우, 그 취지가 고지된다. 예를 들면, 조작이 가능한 영상이, 운전석용 영상(GDR)으로부터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전환되었을 경우, 그 취지가 사용자에게 전하여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는 조작이 가능한 영상이 바뀐 것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고지를 음성으로 행하도록 하면, 사용자는 화면을 보지 않아도, 조작이 가능한 영상이 바뀐 것을 인식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2 표시장치는, 상기 제11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시방향 중, 어느쪽이든 하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우선권을 설정하는 우선권 설정 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전환 수단이,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바뀌어 있는 상태에서, 더욱이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을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바꾸어 두는 조건이 성립하지 않게 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을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2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바뀌어 있는 상태일 때에,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을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바꾸어 두는 조건이 성립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전환된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을 때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이 10초간 실행되지 않았을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을 가능하게 해 두는 조건이 성립하지 않게 되었다고 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전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통상시에 있어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운전자(DR)의 조작 부담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3 표시장치는, 상기 제22 표시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우선권 설정 수단이, 상기 차량으로의 승차 상황에 따라 상기 우선권을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3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차량으로의 승차 상황에 따라서, 상기 우선권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운전자(DR)가 승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고, 조수석 탑승자(PA)가 승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상기 우선권이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차량으로의 승차 상황에 대하여서는, 예를 들면, 상기 차량 내에 설치된 탑승자 검지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4 표시장치는, 상기 제22 또는 제23 표시장치에 있어서, 차량에 탑재되어 사용되는 것이며, 상기 우선권 설정 수단이,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우선권을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4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서, 상기 우선권이 설정된다. 예를 들면, 상기 차량이 정지하여 있는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고, 상기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상기 우선권이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량 주행의 안전성을 높이거나,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5 표시장치는,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개별 정보를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 입력 수단과, 상기 조작 입력의 접수를,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으로 한정하는 한정 수단과, 상기 조작 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상기 복수의 가시방향으로 차례로 바꿈과 동시에,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고지하는 고지 수단과, 그 고지 수단에 의한 고지의 타이밍과, 소정의 조작 입력의 타이밍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결정하는 결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5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조작 입력 수단에 대한 조작 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 가시방향이 상기 복수의 가시방향으로 차례로 전환되고, 상기 특정 가시방향이 고지되어, 이 고지의 타이밍과, 상기 조작 입력 수단에 대한 소정의 조작 입력의 타이밍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 가시방향이 결정된다. 이들 제어의 흐름을 예를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스텝1:사용자에 의한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
스텝2:각 가시방향을 식별 가능하게 차례로 고지
예를 들면, 표시되어 있는 영상 종류의 고지
"내비게이션"이라는 음성 고지 → 1초간의 공백 → "DVD"라는 음성 고지 → 1초간의 공백→ "내비게이션"이라는 음성 고지 → …
스텝3:사용자에 의한 소정 조작
예를 들면, 같은 조작 스위치를 재차 조작한다.
스텝4: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영상의 결정
예를 들면, "내비게이션"이라는 음성 고지로부터 다음에 "DVD"라는 음성 고지가 행하여질 때까지의 사이에, 상기 소정의 조작 입력이 행하여졌을 경우, "내비게이션" 영상을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영상으로 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작이 가능한 영상의 전환을 행하지 않아도, 사용자는 자신이 볼 수 있는 영상에 대한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6 표시장치는,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개별 정보를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 입력 수단과, 상기 조작 입력의 접수를,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으로 한정하는 한정 수단과,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바꾸는 전환 수단과, 상기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정보 표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고지하는 고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6 표시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개별 정보가 동일 화면상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도 4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자(DR)로부터는 운전석용 영상(GDR)(예를 들면, 내비게이션 장치에 의한 지도 영상)을 보이도록 하고, 조수석 탑승자(PA)로부터는 조수석용 영상(GPA)(예를 들면, DVD 영상)을 보이도록 할 수가 있다.
그런데, 도 4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하는, 같은 영역 내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BD1)~(BD6), (BA1)~(BA6)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조작에 무언가 제약이 가미되어 있지 않으면,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조작 제어가 행하여질 우려가 있다.
상기 제26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조작 입력의 접수가,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으로 한정된다. 따라서,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은 받아들이지만,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예를 들면, 운전자(DR)로부터의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만이 유효하게 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은 무효하게 된다. 즉, 운전석용 영상(GDR)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이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이 가능한 영상이 어느쪽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파악하여 둠으로써, 원하지 않는 조작 제어가 실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일지라도, 상기 조작이 가능한 영상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을 받아들임으로써 적절한 조작 제어를 실현할 수가 있기 때문에, 도 49에 도시한 조작 스위치(BD1)~(BD6), (BA1)~(BA6)와 같이, 같은 영역 내에 다른 성질의 조작 스위치를 배치하여, 표시 화면상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26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은 전환되고, 상기 조작이 가능한 영상은 고정이 아니기 때문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을, 운전자(DR), 조수석 탑승자(PA) 중 어느쪽이든 한쪽에서 뿐만이 아니라, 각각이 행할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조작이 가능한 영상의 설정이나 전환을 적절하게 행하거나, 상기 조작이 가능한 영상이 어느쪽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정확하게 인식함으로써, 원하는 조작 제어를 실현할 수가 있다.
게다가, 상기 제26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정보 표시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특정 가시방향(즉, 상기 조작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정보)이 고지된다. 예를 들면, 운전자(DR)로부터의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인 경우에, 아래의 a~c와 같이, 정보의 표시를 제어함으로써, 운전석용 영상(GDR)이 상기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 것이 고지된다.
a) 운전석용 영상(GDR)은 표시하지만, 조수석용 영상(GPA)은 표시하지 않는다.
b)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표시하지만,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은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하지 않는다.
c)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표시하지만,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은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하지 않고, 그 대신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을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자(DR)에 대하여, 자신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운전석용 영상(GDR)〕가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 것을 알릴 수가 있고, 조수석 탑승자(PA)에 대하여, 자신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조수석용 영상(GPA)〕가 아니라, 상대방〔운전자(DR)〕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운전석용 영상(GDR)〕가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 것을 알릴 수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볼 수 있는 영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7 표시장치는, 상기 제26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 수단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한 개별 정보를 화면으로부터 소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7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한 개별 정보가 화면상으로부터 소거된다. 예를 들면, 운전자(DR)로부터의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은 표시되지만, 조수석용 영상(GPA)은 표시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자(DR)에 대하여, 자신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운전석용 영상(GDR)〕가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 것임을 알릴 수가 있고, 조수석 탑승자(PA)에 대하여서는, 상대방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가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 것임을 알릴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8 표시장치는, 상기 제27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 수단에 의하여 화면으로부터 소거되는 정보가, 상기 다른 가시방향에 대한 개별 정보 중,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8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고지 수단에 의하여 화면상으로부터 소거되는 정보가, 상기 다른 가시방향에 대한 개별 정보 중,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이다. 예를 들면, 운전자(DR)로부터의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표시되지만,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은 조수석용 영상(GPA)에는 표시되지 않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자(DR)에 대하여, 자신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운전석용 영상(GDR)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 것임을 알릴 수가 있고, 조수석 탑승자(PA)에 대하여, 자신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조수석용 영상(GPA)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이 아닌 것임을 알릴 수가 있다. 더욱이 이 때, 조수석 탑승자(PA)가 원래 보고 싶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하여서는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지 않고 남기도록 하면, 조수석 탑승자(PA)는 필요한 정보를 중단되는 일 없이 취득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29 표시장치는, 상기 제26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 수단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개별 정보를,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29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개별 정보가,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된다. 예를 들면, 운전자(DR)로부터의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운전자(DR)에 대하여서는, 통상대로 운전석용 영상(GDR)이 표시되지만,한편, 조수석 탑승자(PA)에 대하여서는, 조수석용 영상(GPA)이 아니라 운전석용 영상(GDR)이 표시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자(DR), 조수석 탑승자(PA)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 것을 알릴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0 표시장치는, 상기 제29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 수단에 의하여 상기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가,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개별 정보 중,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0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고지 수단에 의하여 상기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가,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개별 정보 중,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이다. 예를 들면, 운전석 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이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이 표시되고,한편,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서는, 조수석용 영상(GPA)이 표시됨과 동시에, 해당 영상(GPA) 대신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이 표시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자(DR), 조수석 탑승자(PA)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 것을 알릴 수가 있다.
더욱이 이 때, 조수석 탑승자(PA)가 원래 보고 싶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하여서는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지 않고 남기도록 하면, 조수석 탑승자(PA)는 필요한 정보를 중단되는 일 없이 취득할 수가 있다. 또한, 그 반대로, 조수석용 영상(GPA)을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면, 조작에 관계가 없는 불필요한 영상은 소거되게 되기 때문에, 조수석 탑승자(PA)는 운전자(DR)에 의한 조작의 감시 등이 하기 쉬워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1 표시장치는, 상기 제29 또는 제30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지 수단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 장치 본체가 탑재되는 차량의 주행 상태, 상기 차량으로의 승차 상황, 및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표시 형태를 변경하고, 변경한 표시 형태에서,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개별 정보를,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1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특정 가시방향, 장치 본체가 탑재되는 차량 주행 상태, 상기 차량으로의 승차 상황, 및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표시 형태가 변경되고, 변경된 표시 형태에서,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개별 정보가,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기 때문에, 편리성과 안전성과의 밸런스를 취할 수가 있다.
표시 형태의 변경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아래의 a~d를 들 수가 있다.
a) 상기 특정 가시방향이 운전석 방향, 또는 조수석 방향 중 어느쪽인지에 따라서 표시 형태를 변경한다.
b) 주행중, 또는 정차중 중 어느쪽인지에 따라서 표시 형태를 변경한다.
c) 운전자(DR)가 승차중인지 아닌지, 또는 조수석 탑승자(PA)가 승차중인지 아닌지에 따라서 표시 형태를 변경한다.
d)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이 DVD 영상이나 TV 영상 등과 같은 동영상, 또는 정지화면 중 어느쪽인지에 따라서 표시 형태를 변경한다.
e) 상기 a~d에 나타낸 변경의 조건을 조합하고, 표시 형태를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i) 상기 특정 가시방향이 조수석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
1) 차량이 주행중인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이 DVD 영상이나 TV 영상과 같은 동영상이 아닌 경우,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고,
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이 DVD 영상이나 TV 영상과 같은 동영상인 경우,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한다.
2) 차량이 정차중인 경우,
영상의 종류에 관계없이,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한다.
ii) 상기 특정 가시방향이 운전석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는, 차량의 주행 상태나 영상의 종류에 관계없이,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2 표시장치는, 상기 제26~제31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일정 복귀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고지 수단에 의한 고지전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2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일정 복귀 조건이 성립하면, 상기 고지 수단에 의한 고지전 상태로 되돌려진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으로부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이 소거되어, 후술하는 도 7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조작 스위치)이 표시된 상태로 되돌려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자(DR)는 원래 보고 싶은 영상(예를 들면, 지도 영상)을 다시 선명히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3 표시장치는, 상기 제32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정 복귀 조건이, 상기 고지전 상태로의 복귀를 지시하는 복귀 지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는 것, 또는,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개별 정보에 대한 조작 입력이 소정 시간 행하여지지 않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3 표시장치에 의하면, 사용자로부터 지시받았을 경우, 또는,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개별 정보에 대한 조작 입력이 상기 소정 시간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즉, 상기 개별 정보에 대한 조작을 행할 필요가 없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는 상태가 되었을 경우), 통상시의,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개별 정보가 표시된 상태로 되돌려진다. 따라서, 적절한 타이밍에 통상의 표시 상태로 되돌릴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4 표시장치는, 상기 제26~제33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시방향 중, 어느 하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우선권을 설정하는 우선권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환 수단이,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을 우선적으로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4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이 우선적으로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운전석 방향으로부터 볼 수 있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이 표시되는 조수석 방향보다도, 운전석용 영상(GDR)이 표시되는 운전석 방향이, 우선적으로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어느 영상을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하기 위한 전환 조작을 행하는 회수를 줄일 수가 있어, 사용자의 조작 부담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5 표시장치는, 상기 제34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환 수단이, 상기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한 개별 정보의 표시 개시(開示)시,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을 우선적으로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5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한 개별 정보의 표시(즉, 멀티뷰 표시) 개시시,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이 우선적으로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된다. 예를 들면, 운전석 방향으로부터 볼 수 있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멀티뷰 표시 개시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조작 부담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6 표시장치는, 상기 제34 또는 제35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우선권 설정 수단이, 상기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 장치 본체가 탑재되는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상기 차량으로의 승차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우선권을 설정하여야 할 정보를 결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6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정보의 종류, 장치 본체가 탑재되는 차량의 주행 상태, 및 상기 차량으로의 승차 상황 중 적어도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우선권을 설정하여야 할 정보가 결정되기 때문에, 편리성을 높일 수가 있다.
상기 우선권의 결정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아래의 a~c를 들 수가 있다.
a) 운전석용 영상(GDR)으로서, 차량을 목적지까지 유도하여 주는(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지도 영상이 표시되고,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 영화가 표시되어 있는 경우, 지도 영상〔운전석용 영상(GDR)〕의 조작 빈도가 비교적 높다고 판단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상기 우선권을 설정하여야 할 정보로 결정한다.
b) 차량이 정지하여 있는 경우, 운전석 방향으로부터 볼 수 있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상기 우선권을 설정하여야 할 정보로 결정하고, 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 조수석 방향으로부터 볼 수 있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상기 우선권을 설정하여야 할 정보로 결정한다.
c) 운전자(DR)가 승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조수석 방향으로부터 볼 수 있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상기 우선권을 설정하여야 할 정보로 결정하고, 조수석 탑승자(PA)가 승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운전석 방향으로부터 볼 수 있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상기 우선권을 설정하여야 할 정보로 결정한다. 더욱이, 차량으로의 승차 상황에 대하여서는, 상기 차량 내에 설치된 탑승자 검지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등에 의거하여 판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7 표시장치는, 상기 제34~제36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빈도를 추정하는 조작 빈도 추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우선권 설정 수단이, 상기 조작 빈도 추정 수단으로 추정된 조작 빈도에 의거하여, 상기 우선권을 설정하여야 할 정보를 결정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각 영상에 대한 조작 빈도는, 그 영상이나 그때 그때의 상황에 따라서 변화한다. 예를 들면, 차량을 목적지까지 유도하여 주는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지도 영상의 경우, 엔진이 ON이 된 후부터 목적지의 설정이 완료될 때까지는, 조작 빈도는 높아지지만, 목적지의 설정이 완료되고, 실제로 안내가 개시된 후부터는, 조작 빈도는 낮아진다. 또한, 영화에 대하여서도 마찬가지라 할 수 있다.
상기 제37 표시장치에 의하면, 각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빈도가 각종 조건에 의하여 추정되고, 추정된 조작 빈도에 따라서, 상기 우선권을 설정하여야 할 정보가 결정된다. 예를 들면, 목적지의 안내가 개시될 때까지(또는 엔진 ON으로부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지도 영상을, 상기 우선권을 설정하여야 할 정보로 결정하고, 목적지의 안내가 개시된 후부터는(또는 엔진 ON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부터는), 다른 영상을, 상기 우선권을 설정하여야 할 정보로 결정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편리성을 더욱더 높일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8 표시장치는, 상기 제34~제37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바뀌어 있는 상태일 때에,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대한 조작 입력이 소정 시간 행하여지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상기 전환 수단이,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을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전환한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8 표시장치에 의하면,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바뀌어 있는 상태일 때에,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어 있는 정보에 대한 조작 입력이 소정 시간 행하여지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전환된다.
예를 들면, 운전석 방향으로부터 볼 수 있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지만, 그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조수석용 영상(GPA)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바뀌어 있는 상태일 때〔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을 받아들일 수 있게 되어 있을 때〕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이 상기 소정 시간(예를 들면, 6초간) 행하여지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이 필요없게 된 것으로 간주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전환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통상시에 있어서는,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을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설정하여 둘 수가 있어, 사용자의 조작 부담을 경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9 표시장치는,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개별의 화상을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복수의 가시방향 중,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화상의 표시, 특정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접수, 특정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위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중 적어도 어느쪽이든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39 표시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개별의 화상을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경우에, 복수의 가시방향 중,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화상의 표시, 특정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접수, 특정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위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중 적어도 어느쪽이든 하나를 제어하기 때문에,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 적절한 입출력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0 표시장치는, 상기 제39 표시장치에 있어서, 표시장치가 탑재되는 이동체의 이동 상태를 검출하는 이동 상태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이동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제어를 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0 표시장치에 의하면, 차량 등의 이동체에 탑재되고,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개별의 화상을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경우에, 복수의 가시방향 중,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화상의 표시, 특정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접수, 특정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위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중 적어도 어느쪽이든 하나가 이동 상태에 의거하여 제어되기 때문에, 이동 상태에 적응한 제어를 행하는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1 표시장치는, 상기 제40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에 대응하는 소스를 선택 가능한 소스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이동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주어지는 화상에 대응하는 소스가 제한 대상 소스인 경우에, 상기 제어를 행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1 표시장치에 의하면, 차량 등의 이동체에 탑재되고, 이동 상태에 의거하여, 특정 가시방향에 주어지는 화상에 대응하는 소스가 제한 대상 소스인 경우에, 화상의 표시, 조작 입력의 접수,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등이 제어되기 때문에, 주행 상태에 따라 제한이 부여되는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2 표시장치는, 상기 제40 또는 제41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상태 검출 수단이, 그 표시장치가 설치되는 차량의 주행 속도, 변속기의 상태, 제동장치의 상태, 조타장치의 상태 중 적어도 어느쪽이든 하나에 의거하여, 이동 상태를 검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2 표시장치에 의하면, 차량에 탑재되고, 차량의 주행 속도, 변속기의 상태, 제동장치의 상태, 조타장치의 상태 등에 의거하여 이동 상태가 검출되고, 검출된 이동 상태에 의거하여 화상의 표시, 조작 입력의 접수,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등이 제어되기 때문에, 자기차량의 주행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하여, 주행 상태에 적응한 제어가 행하여지는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3 표시장치는, 상기 제39~제42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을 통하여, 상기 제어의 범위를 설정 가능하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3 표시장치에 의하면, 화상의 표시, 조작 입력의 접수,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등의 제어 범위가 설정 가능하기 때문에,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제어 범위를 설정 가능한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4 표시장치는, 상기 제43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제어의 범위를 상기 이동 상태 검출 수단의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가변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4 표시장치에 의하면, 차량 등의 이동체에 탑재되고, 그 이동 상태에 의거하여 화상의 표시, 조작 입력의 접수,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등의 제어 범위를 설정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 상태에 적응한 제어를 행하는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5 표시장치는, 상기 제39~제44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작 입력이 복수의 가시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행하여지고 있는지 판별 가능한 조작 입력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5 표시장치에 의하면, 조작 입력이 복수의 가시방향 중 어느 한쪽으로부터 행하여지고 있는지 판별하기 때문에, 조작자를 식별하여 개별적으로 최적의 조작 제어를 행하는 소형의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6 표시장치는, 상기 제39~제45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였을 경우, 그 특정 가시방향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그 조작 입력의 접수 통지를 상기 표시 수단에 표시시키는 접수 통지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6 표시장치에 의하면, 특정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였을 경우, 그 특정 가시방향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그 조작 입력의 접수 통지를 표시시키기 때문에, 복수의 조작자에 의한 연휴(連携)한 조작을 지원하는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7 표시장치는, 상기 제39~제46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였을 경우, 그 특정 가시방향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가시방향으로부터의 확정 조작에 의하여, 그 특정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확정시키는 확정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7 표시장치에 의하면, 특정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였을 경우, 그 특정 가시방향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가시방향으로부터의 확정 조작에 의하여, 그 특정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확정시키기 때문에, 복수의 조작자에 의한 연휴한 조작을 지원하는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8 표시장치는, 상기 제42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가시방향이, 운전석쪽의 방향이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8 표시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속도, 변속기의 상태, 제동장치의 상태, 조타장치의 상태 등에 의거하여 이동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한 이동 상태에 의거하여 운전석 방향의 화상의 표시, 조작 입력의 접수,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등을 제어하기 때문에, 주행중에 운전자로부터의 조작을 제한하고, 더욱이 비운전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 가능한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9 표시장치는, 상기 제42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가시방향이, 운전석쪽 이외의 방향이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49 표시장치에 의하면, 차량의 주행 속도, 변속기의 상태, 제동장치의 상태, 조타장치의 상태 등에 의거하여 이동 상태를 검출하고, 검출한 이동 상태에 의거하여 운전석 이외의 방향 화상의 표시, 조작 입력의 접수,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 등을 제어하기 때문에, 주행 상태를 정확하게 판정하여 운전자로부터의 조작을 제한하고, 더욱이 비운전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 가능한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50 표시장치는, 상기 제48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화상이,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의 화상인 경우, 상기 이동 검출 수단의 이동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그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한 상기 조작 입력의 접수를 일부 규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50 표시장치에 의하면,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화상이,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부터의 화상인 경우, 이동 검출 수단의 이동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그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한 조작 입력의 접수를 일부 규제하기 때문에, 주행중에 있어서의 내비게이션 시스템 조작을 제한 가능한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51 표시장치는, 상기 제48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화상이, 컨텐츠 데이터의 출력을 행하는 컨텐츠 데이터 출력장치인 경우, 상기 이동 검출 수단의 이동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이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 변경의 상기 조작 입력의 접수를 규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51 표시장치에 의하면,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화상이, 컨텐츠 데이터의 출력을 행하는 컨텐츠 데이터 출력장치인 경우, 상기 이동 검출 수단의 이동 검출 결과에 의거하여, 그 컨텐츠 데이터의 명칭 변경의 조작 입력의 접수를 규제하기 때문에, 주행중에 있어서의 번잡한 조작의 실행을 억제하는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52 표시장치는, 상기 제39~제51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상기 표시장치가 설치되는 차량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52 표시장치에 의하면,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장치가 설치되는 차량의 주행에 관한 정보를 출력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편리성과 비운전자의 편리성을 함께 향상시킨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53 표시장치는, 상기 제52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주행에 관한 정보가, 교통 정보, 경로 안내 화상, 상기 차량 주변의 정보 중 적어도 어느쪽이든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53 표시장치에 의하면,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교통 정보, 경로 안내 화상, 상기 차량 주변의 정보 등을 출력하기 때문에, 운전에 필요한 정보를 운전자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제공하는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54 표시장치는, 상기 제39~제53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음성인식수단을 더욱이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54 표시장치에 의하면, 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운전자와 비운전자가 음성을 이용하여 조작 가능한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55 표시장치는, 상기 제54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수단이, 상기 음성의 방향을 검출하여, 상기 복수의 가시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음성인지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55 표시장치에 의하면, 음성의 방향을 검출하여 복수의 가시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음성인지를 식별하기 때문에, 음성 방향을 이용하여 운전자와 비운전자에 대하여 각각 적절한 입출력 제어를 행하는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56 표시장치는, 상기 제39~제55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또는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접수 통지를 상기 특정 가시방향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가시방향에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수단과, 상기 특정 가시방향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가시방향에 표시시키는 타이밍을 제어하는 타이밍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56 표시장치에 의하면, 특정 가시방향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또는 특정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접수 통지를 그 특정 가시방향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가시방향에 표시시키는 타이밍을 제어하기 때문에, 운전자에 대한 표시를 저해하는 일 없이 운전자와 비운전자의 입출력 제어를 협조시키는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57 표시장치는, 상기 제56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이밍 제어 수단이, 상기 표시 수단의 동작 상태, 상기 특정 가시방향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 상태, 상기 표시장치가 설치되는 차량 상태 중 적어도 어느쪽이든 하나에 의거하여 상기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57 표시장치에 의하면, 특정 가시방향에 표시되어 있는 화상 또는 특정 가시방향으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접수 통지를 그 특정 가시방향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가시방향에 표시시키는 타이밍을, 표시 수단의 동작 상태, 조작 입력 상태, 차량의 상태 등에 의거하여 제어하기 때문에,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운전자에 대한 표시를 저해하는 일 없이 운전자와 비운전자의 입출력 제어를 협조시키는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58 표시장치는, 상기 제39~제57 표시장치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화상에 대응하는 소스에 대한 설정을, 상기 특정 가시방향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의 조작 입력에 의거하여 변경하는 설정 변경 수단을 더욱이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제58 표시장치에 의하면,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화상에 대응하는 소스에 대한 설정을, 그 특정 가시방향 이외의 적어도 하나의 방향에서의 조작 입력에 의거하여 변경하기 때문에, 비운전자가 운전자용의 표시 설정을 변경 가능한 표시장치를 얻을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가지는,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개별의 영상을 동일 화면상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차량에 탑재하였을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는, 표시부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표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b)는 (a)에 있어서의 B-B선의 단면도이다.
도 4는, 표시부를 구성하는 TFT 기판의 개략을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차량에 탑재되는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6은, 화상 출력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7은, 메모리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8은, 제어부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관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1(a)는, 운전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b)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c)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a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3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6(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 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a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8b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2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관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22(a)는, 운전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b)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c)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3(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4(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5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26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 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27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28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29는,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30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31(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2(a), (b)는,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3(a), (b)는,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4는, 분리 표시를 실현하는 표시장치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5(a), (b)는,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6(a), (b)는,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표시 형태의 일례 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7은, 표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38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39(a)는, 운전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b)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c)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0(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1(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2(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3(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4(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5(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 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8(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9a는,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49b는,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0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1은,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2(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3(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4a는,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4b는,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 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5는,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6은,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57(a)는, 운전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b)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c)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8(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9(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0a는,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60b는,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61은,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62a는,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62b는,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63은,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64는,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6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6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67도는, 표시장치의 설치 상태의 변화의 일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관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9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70(a)는, 운전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b)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c)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1(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2는, 제10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 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73은, 제1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관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4는, 제1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75(a)는, 운전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용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6(a)는,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7(a)는,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8(a)는,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9a는, 제1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79b는, 제1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79c는, 제1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80은, 제1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81(a)는,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2(a)는,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3a는, 제1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83b는, 제1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83c는, 제1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84는, 제1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85(a)는,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6(a)는,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7a는, 제1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87b는, 제1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87c는, 제1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88은, 제1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8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9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91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92(a), (b)는,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9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95는,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6은, 제1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관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7은, 제1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 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98(a)는,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9(a)는,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0(a)는,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1a는, 제1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01b는, 제1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02(a)는,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3은, 제1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0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관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5는,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에 표시되는 영상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6은, 제1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관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7은, 제1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08a는, 제1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08b는, 제1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08c는, 제1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09는, 제1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10은, 제1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시한 플로차트이다.
도 111은, 본 발명의 제16 실시예인 차재 장치의 개요 구성을 도시하는 개요 구성도이다.
도 112a는, 운전자용의 화상과 비운전자용의 화상을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2b는, 운전자용의 화상과 비운전자용의 화상을 겹쳐 표시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2c는, 운전석용 디스플레이와 조수석용의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112d는, 앞자리용 디스플레이와 뒷자리용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113a는, 단일의 표시 제어부가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113b는, 디스플레이마다 표시 제어부를 설치하는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114는, 도 111에 도시한 주제어부의 처리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15a는, 조수석쪽(비운전자용)과 운전석쪽(운전자용)의 조작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5b는, 조수석쪽에 대한 조작 제한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16은, 운전자에 대한 조작 제한을 행하는 경우의 표시에 대한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7은, 운전자에게 조수석 조작을 표시하여, 조작 내용의 확정을 행하게 하는 경우의 표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8은, 안내 발생시의 끼어들기 표시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9는, 백모니터의 끼어들기 표시의 구체적인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0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인 차재 장치의 개요 구성을 도시하는 개요 구성도이다.
도 121a는, 2개의 마이크를 운전석과 조수석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1b는, 지향성 마이크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122는, 도 120에 도시한 송신 타이밍 제어부의 처리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23은, 운전석쪽의 화면 설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가지는,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개별의 영상을 동일 화면상에 표시시키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면 중 (1)은 제1 화상 소스를 나타내고, 도면 중 (2)는 제2 화상 소스를 나타내고 있다. 화상 소스로서는, 예를 들면 DVD 플레이어나 텔레비전 수신기, 내비게이션 장치 등을 들 수가 있다.
제1 화상 소스(1)로부터 얻어지는 제1 화상 데이터(D1) 및 제2 화상 소스(2)로부터 얻어지는 제2 화상 데이터(D2)는 표시 제어부(3)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이들 제1 화상 데이터(D1) 및 제2 화상 데이터(D2)는, 표시 제어부(3)에 있어서 표시부(4)에서 실질적으로 동시에 표시할 수가 있도록 처리가 행하여지고, 처리된 표시 데이터(D3)는 표시부(4)에 공급되게 되어 있다.
표시부(4)는, 나중에 자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차 배리어(26)를 구비한 액정 패널(2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그 횡방향의 총화소의 반수(예를 들면, 짝수열)가 제1 화상 소스(1)에 의거하는 제1 표시화상(5)의 표시에 사용되며, 나머지 반수(예를 들면, 홀수열)가 제2 화상 소스(2)에 근거하는 제2 표시화상(6)의 표시에 사용되게 되어 있다.
제1 표시화상(5)에 대한 화소는, 표시부(4)에 대하여 오른쪽에 위치하는 관찰자〔이용자(7)〕로부터는 보이지만, 제2 표시화상(6)에 대한 화소는, 표시부(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시차 배리어(26)에 의하여 차단되어, 관찰자(7)로부터는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한편, 제2 표시화상(6)에 대한 화소는, 표시부(4)에 대하여 왼쪽에 위치하는 관찰자〔이용자(8)〕로부터는 보이지만, 제1 표시화상(5)에 대한 화소는, 표시부(4)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시차 배리어(26)에 의하여 차단되어, 관찰자(8)로부터는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부(4)와의 위치 관계에 따라서, 바꿔 말하면 표시부(4)에 대한 시야각에 따라서, 제2 표시화상(6)은 보이지 않지만, 제1 표시화상(5)은 보이고,한편, 제1 표시화상(5)은 보이지 않지만, 제2 표시화상(6)은 보인다는 상황을 만들어 낼 수가 있게 되어 있다. 따라서, 동일 화면상에서 좌우의 관찰자〔이용자(7), (8)〕에 다른 정보나 컨텐츠를 제시할 수가 있다. 물론, 제1 화상 소스(1)와 제2 화상 소스(2)가 같으면, 좌우의 관찰자(7), (8)가 동일한 표시화상을 볼 수도 있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를 차량에 탑재하였을 경우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부(4)는, 운전석(11) 및 조수석(12)의 전방, 윈도우 쉴드(13)의 아래쪽에 설치된 대시보드(14)의 거의 중앙에 배설(配設)되고, 표시장치에 대한 각종 조작은, 표시부(4)의 표면에 형성된 터치패널, 그 주위에 설치된 조작부(15), 또는 적외선이나 무선식의 리모콘(도시하지 않음) 등의 조작에 의하여 행하여지게 되어 있다. 또한 차량의 각 도어(16)에는 스피커(17)가 배설되어, 스피커(17)로부터 표시화상에 연동한 음성이나 경고음 등이 출력되게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제1 가시방향이 되는 운전석(11)으로부터는, 내비게이션 장치의 지도 화상만을 보이도록 하고,한편, 제2 가시방향이 되는 조수석(12)으로부터는, 텔레비전 수신 화상이나 DVD 영화 화상만을 보이도록 할 수가 있다. 따라서, 운전석(11)에 착석하여 있는 운전자(DR)가, 카내비게이션에 의한 운전 지원을 받으면서, 조수석(12)에 착석하여 있는 조수석 탑승자(PA)가, 텔레비전이나 영화를 즐길 수가 있다.
게다가 각각의 표시화상은, 표시부(4)의 화면 전체(예를 들면, 7인치)를 사용하여 표시되기 때문에, 종래의 멀티 윈도우 표시와 같이 화면 사이즈는 작아지지 않는다. 즉, 운전자(DR)나 조수석 탑승자(PA)에 있어서는, 마치 화면을 점유하고 있는 것처럼 되기 때문에, 운전자(DR), 조수석 탑승자(PA) 각각에 대하여 적절하게 정보나 컨텐츠를 제시할 수가 있다.
다음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표시부(4)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는 표시부(4)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표시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는, 도 3(a)에 있어서의 B-B선의 단면도이다. 표시부(4)는, 액정 패널(21)과 백라이트(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액정 패널(21)은, 백라이트(30)로부터 조금 격리하여 배설되며, RGB색(3원색)으로 구성되는 화소를 가지고 있다.
또한, 액정 패널(21)은,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23)과 칼라 필터 기판(24)과의 사이에 액정층(25)이 협지(狹持)된 기판(22)과, 시차 배리어(26)와, 유리 기판(27)이, 백라이트(30)쪽에 배설된 편광판(28)과, 그 발광 방향측의 전면에 배설된 편광판(29)과의 사이에 협지된 구조로 되어 있다. 액정 패널(21)로서는, 예를 들면 횡방향이 800화소, 종방향이 480화소로부터 되는 것이 채용된다.
액정 패널(21)의 각 화소는, 오른쪽〔운전석(11)〕용 화소(RP)와, 왼쪽〔조수석(12)〕용 화소(LP)에 종방향으로 교호(交互)로 그룹화 되어 표시 제어되게 되어 있다. 즉, 액정 패널(21)의 횡방향의 총획소(화소)의 반수가 제1 표시화상(5)의 표시에, 나머지의 반수의 화소가 제2 표시화상(6)의 표시로 사용되게 되어 있다.
시차 배리어(26)는, 횡방향에 소정의 간격〔각 화소로부터의 빛의 출사(出射) 방향을 좌우 중 어느쪽이든 한쪽으로 규제할 수가 있는 간격〕으로 설치되고, 세로의 줄무늬로 형성되어 있다. 시차 배리어(26)에 의하여, 오른쪽〔운전석(11)〕용 화소(RP)는, 왼쪽〔운전석(12)〕으로의 표시는 차단되지만, 오른쪽으로의 표시는 차단되지 않고, 오른쪽 운전석(11)으로부터는 보이게 되어 있는한편, 왼쪽〔조수석(12)〕용의 화소(LP)는, 오른쪽〔운전석(11)〕으로의 표시는 차단되지만, 왼쪽으로의 표시는 차단되지 않고, 왼쪽 조수석(12)으로부터는 보이게 되어 있다.
즉, 오른쪽에서 액정 패널(21)을 보면, 시차 배리어(26)가 왼쪽용 화소(LP)를 덮어 가려, 오른쪽용 화소(RP)가 보이는한편, 왼쪽에서 액정 패널(21)을 보면, 시차 배리어(26)가 오른쪽용 화소(RP)를 덮어 가려, 왼쪽용 화소(LP)가 보인다. 더욱이, 정면 부근으로부터 액정 패널(21)을 보면, 오른쪽용 화소(RP)와 왼쪽용 화소(LP)의 양쪽 모두가 보이기 때문에, 제1 표시화상(5)과 제2 표시화상(6)이 겹쳐진 것처럼 보인다.
또한, 액정 패널(21)의 각 화소에 대한 표시 제어와 시차 배리어(26)의 배치 구성을 변경하면, 3방향 이상으로 다른 화상을 표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시차 배리어(26)를 전기적(電氣的)으로 구동 가능한 액정 셔터 등으로 구성하여 시야각(視野角)을 가변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시차 배리어(26)에 대하여서는, 예를 들면, 특허공개 평 10-123461호 공보나, 특허공개 평 11-84131호 공보에 개시된 구성을 응용할 수가 있다.
또한, 도 3의 교호(交互)로 배열된 오른쪽용 화소(RP) 및 왼쪽용 화소(LP)는 RGB색을 가지고 있지만, 각 그룹 종방향 내에는, R열, G열, B열과 같이 단색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는 RGB가 복수로 섞인 열로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4는, 표시부(4)를 구성하는 TFT 기판(23)의 개략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TFT 기판(23)은, 스캐닝선(走査線) 구동회로(31)와, 데이터선 구동회로(32)와, 스캐닝선 구동회로(31)에 접속된 스캐닝선 LSCAN1, LSCAN2,.....와, 데이터선 구동회로(32)에 접속된 데이터선 LDATA1, LDATA2, .....와, 스캐닝선 구동회로(31) 및 데이터선 구동회로(32)에 접속된 표시 패널 구동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각 스캐닝선 LSCAN1, LSCAN2, ....., 및 각 데이터선 LDATA1, LDATA2, .....에 의하여 둘러싸인 영역을 일단위로서, 복수의 서브 픽셀(SP)이 형성되고, 각 서브 픽셀(SP)에는, 액정층(25)〔도 3(b) 참조〕에 전압을 인가(印加)하는 화소 전극(34)과 그것을 스위칭 제어하는 TFT 소자(35)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 구동부(33)는, 스캐닝선 구동회로(31) 및 데이터선 구동회로(32)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캐닝선 구동회로(31)는, TFT 소자(35)의 선택 스캐닝을 행하고, 또한 데이터선 구동회로(32)와, 화소 전극(34)으로의 인가 전압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서브 픽셀(SP)은, 제1 화상 데이터(D1)(도 1 참조)와 제2 화상 데이터(D2)와의 합성 데이터, 또는 제1 화상 데이터(D1), 제2 화상 데이터(D2) 각각 개개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예를 들면 데이터선 LDATA2, LDATA4에 제1 화소 데이터(D1)(오른쪽 화상 표시용)를, 또 데이터선 LDATA1, LDATA3에 제2 화소 데이터(D2)(왼쪽 화상 표시용)를 송신함으로써, 제1 표시화상(5)(도 1 참조)을 형성하는 제1 화상 데이터(D1)군과 제2 표시화상(6)을 형성하는 제2 화상 데이터(D2)군이 형성되게 되어 있다. 더욱이, 3방향 이상으로 개별의 화상을 표시시키는 경우에도, 상기와 같은 구동 제어를 실행하면 되고, 예를 들면 3방향으로 개별의 화상을 표시시키려면, 제1, 제2, 제3 화상 데이터군을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차량에 탑재되는 AV(Audio Visual)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주요부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단, 도 1~ 도 4에서 설명한 각부와 동일 기능을 가진 구성 부품에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기로 한다.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CD/MD 재생부(101), 라디오 수신부(102), TV 수신부(103), DVD 재생부(104), HD(하드 디스크) 재생부(105), 및 내비게이션부(106)를 포함한 각종 소스를 구비하고 있고, 이들 각종 소스는, 신호 라인을 통하여 분배 회로(107)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한, 외부 음성/영상 입력부(108)가 신호 라인을 통하여 분배 회로(107)에 접속되어 있다. 외부 음성/영상 입력부(108)에는, 카메라(109)(예를 들면, 후방 감시용 카메라)가 접속되어 있지만, 비디오 카메라나 게임기 등도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TV 수신부(103)에는, 실렉터(110)가 접속되어 있고, 실렉터(110)에는 차량의 오른쪽 앞, 왼쪽 앞, 오른쪽 뒤, 왼쪽 뒤에 각각 배설된 안테나 (110a)~(110d)가 접속되어 있다. 내비게이션부(106)에는, VICS 정보 수신부(111)와 GPS 정보 수신부(112)가 접속되어 있고, VICS 정보 수신부(111) 및 GPS 정보 수신부(112)에는 각각 안테나(111a), (112b)가 접속되어 있다.
분배 회로(107)는, 신호 라인을 통하여 음성 조정 회로(113)와, 제1 화상 조정 회로(114)와, 제2 화상 조정 회로(115)에 각각 접속되어 있고, 음성 조정 회로(113)는 각 도어(16)(도 2참조)에 배설된 스피커(17)에, 제1 화상 조정 회로(114) 및 제2 화상 조정 회로(115)는, 신호 라인을 통하여 화상 출력부(116)에 접속되어 있고, 화상 출력부(116)는, 신호 라인을 통하여 표시부(4)의 액정 패널(21)에, 신호 라인을 통하여 리어 표시부(117)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더욱이, 리어 표시부(117)는, 차량의 뒷자리용으로 설치된 것이며, 화상 출력부(116)를 통하여 표시부(4)에 표시되는 화상과 같은 것, 혹은 운전석용의 화상이나 조수석용의 화상의 한쪽을 표시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표시부(4)는, 백라이트(30), 액정 패널(21), 및 터치패널(118)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고, 터치패널(118)로의 조작 신호가 제어부(100)에 입력되게 되어 있다.
또한, 밝기 검지 수단(119)(예를 들면, 차량의 라이트 스위치나 광센서 등), 탑승자 검지 수단(120)(예를 들면, 압력센서 등), 무선 통신 기능을 가진 통신 유닛(121), ETC 차재기(122), 리모콘(123)과 데이터의 교환을 하는 리모콘 송수신부(124), 조작부(15), 및 메모리(125)가 제어부(100)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100)는, 제어 라인을 통하여, 각종 소스(101)~(106), 분배 회로(107), 외부 음성/영상 입력부(108), 각종 조정 회로(113)~(115), 화상 출력부(116), 및 표시부(4) 등, 시스템 내의 각부에 접속되어 있으며, 시스템의 각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6은, 화상 출력부(116)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단, 도 1~도 5에서 설명한 각부와 동일 기능을 가진 구성 부품에는, 동일 부호를 부기하기로 한다. 화상 출력부(116)는, 제1 화상 조정 회로(114)(도 5 참조)와 접속된 제1 쓰기 회로(131)와, 제2 화상 조정 회로(115)와 접속된 제2 쓰기 회로(132)와, VRAM(133)과, 표시 패널 구동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쓰기 회로(131)는, 제1 화상 조정 회로(114)에서 조정된 화상 데이터 중 화상의 짝수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제2 쓰기 회로(132)는, 제 2 화상 조정 회로(115)에서 조정된 화상 데이터 중 화상의 홀수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각각 VRAM(133)에 있어서 해당하는 영역에 쓴다. 표시 패널 구동부(33)는, 액정 패널(21)(도 3, 도 5참조)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이며, VRAM(133)에 보존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제1 화상 데이터(D1)와 제2 화상 데이터(D2)의 합성 데이터〕에 의거하여, 액정 패널(21)이 대응하는 화소를 구동시키게 되어 있다.
더욱이, VRAM(133)에는 제1 화상 데이터(D1)와 제2 화상 데이터(D2)가 합성된 멀티뷰 표시용 화상에 대응하도록 화상 데이터의 쓰기가 행하여지고 있기 때문에, 구동회로는 하나로 족하고, 그 동작도 통상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회로의 동작과 같다. 또한, 다른 형태로서, 제1 화상 데이터(D1)와 제2 화상 데이터(D2)를 합성하지 않고,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액정 패널(21)이 대응하는 화소를 구동하는 제1 표시 패널 구동부 및 제2 표시 패널 구동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7은, 메모리(125)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메모리(125)는, 유저가 설정한 제1 표시화상(5)(도 1 참조) 및 제2 표시화상(6)의 화질 조정값을 각각 쓰기 가능한 제1 화면 RAM(141) 및 제2 화면 RAM(142)과, 제1 표시화상(5) 및 제2 표시화상(6)의 각 화질 조정용으로 미리 복수 단계의 조정값이 선택 가능하게 기억된 화질 설정 정보 기억 수단(143)과, 주위 환경에 대한 제1 표시화상(5) 및 제2 표시화상(6)의 화질의 조정상태를 보지(保持)하는 대환경 조정값 보지 수단(144)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화질 설정 정보 기억 수단(143), 및 대환경 조 정값 보지 수단(144)은, 플래쉬 메모리 등의 전기적(電氣的)으로 고쳐쓰기가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또는 배터리 백업된 휘발성 메모리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8은, 제어부(1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제어부(100)는, 시스템 내의 각부와 접속된 인터페이스(151)와, 시스템 내의 각부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CPU(152)와, 시스템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이 기억된 프로그램 기억부(ROM)(153)와, 각종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부(RAM)(15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ROM(153)과 RAM(154)은, CPU(152)에 내장된 것이어도 좋고, 외부에 설치한 것이어도 좋으며, ROM(153)은 플래쉬 메모리와 같이 전기적으로 고쳐쓰기가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어도 좋다.
제어부(100)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패널(118)이나 조작부(15), 리모콘(123) 등으로부터의 조작 신호에 의거하여, 각종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각종 소스(101)~(106) 및 분배 회로(107)를 제어하고, 선택된 2개의 소스 또는 하나의 소스의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고, 선택된 소스의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분배 회로(107)를 통하여, 화상 데이터이면 제1 화상 조정 회로(114) 및 제2 화상 조정 회로(115)에, 음성 데이터이면 음성 조정 회로(113)에 각각 분배시키는 제어를 실행하게 되어 있다.
제1 화상 조정 회로(114) 및 제2 화상 조정 회로(115)에서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화상 데이터의 휘도나 색조, 콘트라스트 등이 조정되고, 조정된 화상 데이터는 화상 출력부(116)에 출력되며, 화상 출력부(116)에서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액정 패널(21)을 구동시켜 화상을 표 시하는 처리가 행하여지게 되어 있다.
또한, 음성 조정 회로(113)에서는, 제어부(10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거하여 각 스피커(17)로의 분배, 음량, 음성 등이 조정되고, 조정된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되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이들 각종 소스 (101)~(106)를 컨트롤하기 위한 조작 메뉴를 표시시키는 제어도 행하고 있다.
예를 들면 HD 재생부(105)가 선택되었을 경우, 하드 디스크(도시하지 않음)에 기록된 MP3 파일 등의 음악 데이터나 JPEG 파일 등의 화상 데이터, 내비게이션용의 지도 데이터 등이 판독되고, 음악 데이터 등을 선택하기 위한 메뉴 표시나 화상 데이터가 표시부(4)에 표시되게 되어 있다. 더욱이, 내비게이션부(106)는, 내비게이션을 위하여 이용되는 지도 정보를 기억한 지도 정보 기억부(상기 하드 디스크의 일부 영역을 사용)를 구비하고 있고, VICS 정보 수신부(111)나 GPS 정보 수신부(112)를 통하여 취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생성된 내비게이션 화상을 표시부(4)에 표시시킬 수가 있게 되어 있다. 또한, TV 수신부(103)는, 실렉터(110)에서 선택된 안테나(110a)~(110d) 중 어느쪽이든 한쪽을 통하여, 원하는 아날로그 TV 방송파나 디지털 TV 방송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밝기 검지 수단(119)이나 탑승자 검지 수단(120)에 의하여 검지된 정보를 바탕으로, 출력 화상이나 음성의 설정을 변경하는 제어 등을 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통신 유닛(121)과 ETC 차재기(122)가 제어부(100)에 접속되어 있고, 제어부(100)는, ETC 차재기(122)로부터의 요금 정보 등을 표시부(4)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하거나, 휴대 전화 등과 무선 접속하기 위한 통신 유닛(121) 을 제어하여, 그 제어에 관한 정보를 표시부(4)에 표시시키는 제어 등을 행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100)는, 화질 설정 정보나 프로그램, 차량 정보 등의 각종 설정 정보를 메모리(125)에 기억시키는 처리도 행하게 되어 있다.
도 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관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중 (201)은 표시장치를 도시하고 있으며, 표시장치(201)는 터치패널(118)이 그 표면에 형성된 표시부(4)와, 그 주위에 설치된 조작부(15)〔조작 스위치(15a)~(15h)〕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차 배리어(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일 화면상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과 조수석용 영상(GPA)을 분리 표시하여,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視認)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가 행하는 처리동작[1-1]을 도 10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1]은,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키기 위한 분리 표시(멀티뷰)가, 표시부(4)에 형성된 조작 스위치나 조작부(15), 리모콘(123) 등이 조작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지시받았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더욱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즉,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이 ON이 된 후부터 분리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분리 표시의 지시는 필요없고, 지금부터 설명하는 처리동작[1-1]은 필요없게 되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에 대하여서도 필요없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분리 표시의 지시를 받으면, 먼저,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도 11,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영상 중 한쪽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서 표시하고, 나머지를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 표시하고〔스텝(S1)〕, 이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운전석용 영상(GDR)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를 형성함과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 조수석용 영상(GPA)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를 형성한다〔스텝(S2)〕.
도 11(a)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1(b)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c)는, 조수석용 영상(GPA)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의 총 화소수의 반수의 짝수열〔오른쪽용 화소(RP)〕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고, 홀수열〔왼쪽용 화소(LP)〕이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고 있다.
도 12(a)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b)는, 조수석용 영상(GPA)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더욱이, 분리 표시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한 지도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지도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하고, 텔레비전 영상이나 영화 등은,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하는 방법이나, 각 가시방향 각각에서의 라스트 메모리나, 빈도가 높은 것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도 11, 도 12로부터, 영역(E1)~(E3) 내에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해제 스위치(42DR), 조작 스위치(49DR)가 배치되고, 영역(E1)~(E3)과는 겹치지 않는 영역(E4)~(E6) 내에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 해제 스위치(42PA), 조작 스위치(49PA)가 배치되어 있고,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해제 스위치(42DR), 조작 스위치(49DR)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도록 배치되어 있고,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 해제 스위치(42PA), 조작 스위치(49PA)는,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DR)~(48DR)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PA)~(48PA)와는 같은 영역(E7)~(E12) 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들 조작 스위치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스텝(S2)에 있어서의 처리 후, 이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2DR), (42PA)를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 각각에 형성하고〔스텝(S3)〕, 그 후,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1로 한다〔스텝(S4)〕. 더욱이, 도 12에서는, 조작 스위치(43PA)~(48PA)의 틀선과, 조작 스위치(49PA)의 틀선이 굵은 선이 되고, 조수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4)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15a)~(15h)(도 9 참조)에 대하여서는,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모두에 대응할 수가 있는 것만이어도 좋고, 어느쪽이든 한쪽에만 대응할 수가 있는 것이어도 좋으며, 이들이 혼재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가 행하는 처리동작[1-2]을 도 13a, 도 13b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2]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나 조작 스위치(43DR)~(49DR), (43PA)~(49PA),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h) 등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 표시 플래그 fSE는 당연히 필요없고,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이라는 것은,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먼저, 운전석용 영상(GDR)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11)〕,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2)〕.
운전석 플래그 fDR은 1이 아니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은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3)〕.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PA)~(49PA)의 틀선을 가늘게 하고〔스텝(S14)〕,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지 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15)〕, 조수석 탑승자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16)〕, 그 후, 스텝(S17)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13)에 있어서, 조수석 탑승자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14)~(S16)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17)으로 진행한다.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DR)~(49DR)의 틀선을 굵게 하고〔스텝(S17)〕,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DR을 0으로 하고 기동시키고〔스텝(S18)〕,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하고〔스텝(S19)〕, 그 후,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告知)한다〔스텝(S20)〕. 또한, 스텝(S12)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은 이미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타이머 t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21)〕, 그대로 처리동작[1-2]을 종료한다. 더욱이, 고지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피커(17)로부터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지만, 전술한 조작 스위치의 틀선을 굵게 하는 것을 고지로 하여도 좋다.
한편, 스텝(S11)에 있어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22)〕,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23)〕.
조수석 플래그 fPA는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은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24)〕.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DR)~(49DR)의 틀선을 가늘게 하고〔스텝(S25)〕, 타이머 tDR을 정지시키고〔스텝(S26)〕,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27)〕, 그 후, 스텝(S28)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24)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25)~(S27)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28)으로 진행한다.
다음은,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PA)~(49PA)의 틀선을 굵게 하고〔스텝(S28)〕, 타이머 tPA를 0으로 하고 기동시키고〔스텝(S29)〕, 조수석 플래그 fPA를 1로 설정하고〔스텝(S30)〕, 그 후,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한다〔스텝(S31)〕. 또는, 스텝(S23)에 있어서, 조 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은 이미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32)〕, 그대로 처리동작[1-2]을 종료한다. 더욱이, 고지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피커(17)로부터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지만, 전술한 조작 스위치의 틀선을 굵게 하는 것을 고지로 하여도 좋다.
한편, 스텝(S22)에 있어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는 조작되고 있지 않다〔즉,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41PA) 모두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41)(도 13b)으로 진행하여,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41PA) 이외에 어느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판단한다.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중복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4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43)〕, 그 후, 타이머 tDR을 0으로 되돌린다〔스텝(S44)〕.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45)〕,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46)〕, 그 후,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47)〕.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동작[1-2]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41)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9DR), 단,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해제 스위치(42DR)를 제외한다〕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48)〕,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49)〕, 그 후, 타이머 tDR을 0으로 되돌린다〔스텝(S50)〕.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동작[1-2]을 종료한다.
스텝(S41)에 있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9PA), 단,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 해 제 스위치(42PA)를 제외한다〕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51)〕,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52)〕, 그 후,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53)〕. 한편,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동작[1-2]을 종료한다.
스텝(S41)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2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54)〕,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고 판단하면,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를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S55)〕,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고〔스텝(S56)〕, 타이머 tDR,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57)〕, 운전석 플래그 fDR,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58)〕,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59)〕.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동작[1-2]을 종료한다.
스텝(S41)에 있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2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60)〕,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고 판단하면,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를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S61)〕,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고〔스텝(S62)〕, 그 후, 스텝(S57)으로 진행한다.
다음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가 행하는 처리동작[1-3]을 도 14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3]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소정의 기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 표시 플래그 fSE는 당연히 필요없고,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이라는 것은,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먼저,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71)〕,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10초)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72)〕, 타이머 tDR이 소정 의 시간 T 이상이라(즉, 마지막으로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10초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DR)~(49DR)의 틀선을 가늘게 하고〔스텝(S73)〕, 타이머 tDR을 정지시키고〔스텝(S74)〕, 운전자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린다〔스텝(S75)〕. 한편,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1-3]을 종료한다.
또는, 스텝(S71)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76)〕,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77)〕,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마지막으로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10초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PA)~(49PA)의 틀선을 가늘게 하고〔스텝(S78)〕,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79)〕,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80)〕. 한편,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나,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동작[1-3]을 종료한다.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 도 11, 도 12에 도시한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와 같이, 같은 영역(E7)~(E12) 내에 배치된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우선 영상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가 행하여진다. 즉, 상기 우선 영상 이외의 영상에 대한 조작 제어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만이 유효하게 되고,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은 무효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우선 영상의 설정이나 전환을 적절하게 행하거나, 우선 영상이 어느쪽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정확하게 인식함으로써, 원하는 조작 제어를 실현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일지라도, 사용자가 원하는 조작 제어를 실현할 수가 있다. 바꿔 말하면, 도 11, 도 12에 도시한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와 같이, 같은 영역(E7)~(E12) 내에 다른 성질의 조작 스위치를 배치할 수가 있기 때문에, 표시 화면상을 보다 유효하게 이용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영역(E1) 내에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가 배치되고, 영역(E1)과는 겹치지 않는 영역(E4) 내에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가 배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또한 영역(E2) 내에 해제 스위치(42DR)가 배치되며, 영역(E2)과는 겹치지 않는 영역(E5) 내에 해제 스위치(42PA)가 배치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들 스위치의 배치는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E1) 내에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를 배치하거나 해제 스위치(42DR)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E2) 내에 해제 스위치(42PA)를 배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다른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이외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 어부(100A)가 행하는 처리동작[2-1]을 도 15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2-1]은,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키기 위한 분리 표시(멀티뷰)가, 표시부(4)에 형성된 조작 스위치나 조작부(15), 리모콘(123) 등이 조작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지시받았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더욱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즉,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이 ON이 된 후부터 분리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분리 표시의 지시는 필요없고, 지금부터 설명하는 처리동작[2-1]은 필요없게 되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에 대하여서도 필요없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분리 표시의 지시를 받으면, 먼저,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영상 중 한쪽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서 표시하고, 나머지를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 표시하고〔스텝(S201)〕, 이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운전석용 영상(GDR)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를 형성함과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 조수석용 영상(GPA)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를 형성한다〔스텝(S202)〕. 도 16(a)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b)는, 조수석용 영상(GPA)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은, 이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2DR), (42PA)를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 각각에 형성하고〔스텝(S203)〕, 그 후,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1로 한다〔스텝(S204)〕. 그 후, 오른쪽(즉, 운전석쪽)을 가리키는 화살표(50R)를 표시하고〔스텝(S205)〕,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함과 동시에,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한다〔스텝(S206), (S207)〕. 더욱이, 도 16에서는, 오른쪽을 가리키는 화살표(50R)가 표시되어,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왼쪽(즉, 조수석쪽)을 가리키는 화살표(50L)가 표시되게 되어 있다.
다음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A)가 행하는 처리동작 [2-2]을 도 18a, 도 18b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2-2]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나 조작 스 위치(43DR)~(49DR), (43PA)~(49PA),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h) 등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 표시 플래그 fSE는 당연히 필요없고,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이라는 것은,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먼저, 운전석용 영상(GDR)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211)〕,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212)〕.
운전석 플래그 fDR은 1이 아니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은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213)〕.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왼쪽을 가리키는 화살표(50L)를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S214)〕,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215)〕,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 돌리고〔스텝(S216)〕, 그 후, 스텝(S217)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213)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214)~(S216)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217)으로 진행한다.
다음은, 오른쪽을 가리키는 화살표(50R)를 표시하고〔스텝(S217)〕,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하고〔스텝(S218)〕, 그 후,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한다〔스텝(S219)〕. 또한, 스텝(S212)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은 이미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 [2-2]을 종료한다. 더욱이, 고지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피커(17)로부터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지만, 전술한 화살표의 표시를 고지로 하여도 좋다.
한편, 스텝(S211)에 있어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220)〕,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221)〕.
조수석 플래그 fPA는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은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 부를 판단한다〔스텝(S22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오른쪽을 가리키는 화살표(50R)를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S223)〕,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224)〕, 그 후, 스텝(S225)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222)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223), (S224)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225)으로 진행한다.
다음은, 왼쪽을 가리키는 화살표(50L)를 표시하고〔스텝(S225)〕, 타이머 tPA를 0으로 하고 기동시키고〔스텝(S226)〕, 조수석 플래그 fPA를 1로 설정하고〔스텝(S227)〕, 그 후,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한다〔스텝(S228)〕. 또한, 스텝(S221)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은 이미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229)〕, 그대로 처리동작[2-2]을 종료한다. 더욱이, 고지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피커(17)로부터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지만, 전술한 화살표의 표시를 고지로 하여도 좋다.
한편, 스텝(S220)에 있어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는 조작되고 있지 않다〔즉,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41PA) 모두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 단하면, 스텝(S231)(도 18b)으로 진행하여,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41PA) 이외에 어느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판단한다.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중복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23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S233)〕.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234)〕,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235)〕, 그 후,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236)〕.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동작[2-2]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231)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받아 들이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9DR), 단,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해제 스위치(42DR)를 제외한다〕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237)〕,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S238)〕.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동작[2-2]을 종료한다.
스텝(S231)에 있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9PA), 단,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 해제 스위치(42PA)를 제외한다〕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239)〕,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240)〕, 그 후,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241)〕. 한편,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동작[2-2]을 종료한다.
스텝(S231)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2DR)이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24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고 판단하면,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를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S243)〕, 화살표(50R) 또는 화살표(50L)를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S244)〕,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고〔스텝(S245)〕,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246)〕, 운전석 플래그 fDR,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247)〕,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248)〕.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동작[2-2]을 종료한다.
스텝(S231)에 있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2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249)〕,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고 판단하면,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를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S250)〕, 화살표(50R) 또는 화살표(50L)를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S251)〕,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고〔스텝(S252)〕, 그 후, 스텝(S246)으로 진행한다.
다음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A)가 행하는 처리동작[2-3]을 도 19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2-3]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소정의 기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261)〕,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2-3]을 종료한다.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262)〕,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263)〕,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마지막으로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왼쪽을 가리키는 화살표(50L)를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S264)〕,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265)〕,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266)〕.
그 후, 오른쪽을 가리키는 화살표(50R)를 표시하고〔스텝(S267)〕,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한다〔스텝(S268)〕. 한편, 스텝(S263)에 있어서, 타이머 tPA가 소 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나, 스텝(S262)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는 1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동작[2-3]을 종료한다.
상기 제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분리 표시되어 있는 동안,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쪽이든 반드시 우선 영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통상시,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게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이 아니라, 통상시,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다른 부호를 부기하고, 그 이외의 설명을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도 20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관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중 (201A)는 표시장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표시장치(201A)는 터치패널(118)이 그 표면에 형성된 표시부(4)와, 그 주위에 설치된 조작부(15A)〔조작 스위치(15a)~(15h), 및 우선 영상을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설정하기 위한 전환 스위치(15i)〕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B)가 행하는 처리동작[3-1]을 도 21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3-1]은,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을 ON으로 한 후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며,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다.
먼저,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도 22, 도 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영상 중 한쪽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서 표시하고, 나머지를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 표시한다〔스텝(S301)〕. 도 22(a)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22(b)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c)는, 조수석용 영상(GPA)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의 총 화소수의 반수의 짝수열〔오른쪽용 화소(RP)〕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고, 홀수열〔왼쪽용 화소(LP)〕이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고 있다. 도 23(a)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23(b)는, 조수석용 영상(GPA)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은, 우선 영상이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운전석을 이미지한 핸들 마크(51)를 표시하고〔스텝(S302)〕,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한다〔스텝(S303)〕. 더욱이, 도 23에서는, 핸들 마크(51)가 표시 되어,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이 나타나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사용자가 용이하게 인식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즉,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도 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마크(51)에 "×" 마크가 겹쳐진 금지 마크(52)가 표시되게 되어 있다.
다음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B)가 행하는 처리동작[3-2]을 도 25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3-2]은, 소정의 기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어느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판단하고〔스텝(S311)〕,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중복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31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S313)〕.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314)〕, 그 후,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지고 있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315)〕.
또는, 스텝(S311)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9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316)〕,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S317)〕.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동작[3-2]을 종료한다.
스텝(S311)에 있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9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0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318)〕, 운전석 플래그 fDR이 0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 면,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319)〕, 그 후,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320)〕.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0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오조작으로 간주하고, 그대로 처리동작[3-2]을 종료한다.
스텝(S311)에 있어서, 표시부(4)의 주위에 설치된, 우선 영상을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설정하기 위한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우선 영상이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하여, 운전석을 이미지한 핸들 마크(51)를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S321)〕, 그 대신에, 금지 마크(52)를 표시하고〔스텝(S322)〕,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한다〔스텝(S323)〕.
그 후, 타이머 tPA를 0으로 하고 기동시키고〔스텝(S324)〕,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한다〔스텝(S325)〕. 더욱이, 고지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피커(17)로부터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지만, 전술한 핸들 마크(51), 금지 마크(52)의 표시를 고지로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B)가 행하는 처리동작[3-3]을 도 26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3-3]은, 소정의 기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331)〕, 운 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3-3]을 종료한다.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332)〕,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마지막으로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금지 마크(52)를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S333)〕, 핸들 마크(51)를 표시한다〔스텝(S334)〕.
그 후,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335)〕,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하고〔스텝(S336)〕,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한다〔스텝(S337)〕. 더욱이, 고지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피커(17)로부터 음성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지만, 전술한 핸들 마크(51), 금지 마크(52)의 표시를 고지로 하여도 좋다.
상기 제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쪽이든 반드시 우선 영상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통상시,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게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이 아니라, 통상시, 조수석용 영상(GPA)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다른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이외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00C)는, 제어부(100)에서 행하여지는, 처리동작[1-1](도 10 참조)과 동일한 처리동작[4-1]을 행하여,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표시를 제어하여, 도 11(b),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고, 도 11(c),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게 되어 있다.
다음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C)가 행하는 처리동작[4-2]을 도 27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4-2]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소정의 기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 표시 플래그 fSE는 당연히 필요없고,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이라는 것은,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먼저, 내비게이션부(106)로부터 얻어지는 차속(車速) 정보에 의거하여, 차속 v가 소정의 속도 V(예를 들면, 60km/h)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81)〕, 차속 v가 소정의 속도 V 이상이라〔즉, 고속 주행중이며, 조수석용 영상(GPA)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82)〕. 더욱이, 차속 정보에 대하여서는, 차속 센서로부터 직접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조수석 플래그 fPA는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은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83)으로 진행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더욱이, 스텝(S83)~(S90)의 처리동작은, 도 13a에 도시한 스텝(S24)~(S31)의 처리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90)을 처리한 후, 조수석용 영상(GPA)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PA를 1로 한다〔스텝(S91)〕. 또는, 스텝(S82)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은 이미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91)으로 진행하여,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PA를 1로 한다.
또한, 스텝(S81)에 있어서, 차속 v가 소정의 속도 V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92)〕,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PA가 1이라고 판단하면, 차속 정보에 의거하여, 차속 v가 소정의 속도(V-α) 이하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93)〕. 수치 α는 정수이며, 완충 영역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차속 v가 소정의 속도(V-α) 이하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성립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94)〕. 한편, 차속 v가 소정의 속도(V-α) 이하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4-2]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92)에서,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도, 그대로 처리동작[4-2]을 종료한다.
다음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C)가 행하는 처리동작[4-3]을 도 28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4-3]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소정의 기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내비게이션부(106)로부터 얻어지는 파킹 브레이크의 ON/OFF 정보에 의거하여, 파킹 브레이크가 ON 상태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101)〕, 파킹 브레이크가 ON 상태라〔즉, 차량은 정지상태이며, 운전석용 영상(GDR)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02)〕. 더욱이, 파킹 브레이크의 ON/OFF 정보에 대하여서는,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로부터 직접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운전석 플래그 fDR은 1이 아니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은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103)으로 진행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더욱이, 스텝(S103)~(S110)의 처리동작은, 도 13a에 도시한 스텝(S13)~(S20)의 처리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S110)을 처리한 후, 운전석용 영상(GDR)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DR을 1로 한다〔스텝(S111)〕. 또한, 스텝(S102)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은 이미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스텝(S111)으로 진행하여,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DR을 1로 한다.
또한, 스텝(S101)에 있어서, 파킹 브레이크가 ON 상태가 아니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조건은 성립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112)〕,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DR이 1이라고 판단하면,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린다〔스텝(S113)〕. 한편,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4-3]을 종료한다.
다음은,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 서의 제어부(100C)가 행하는 처리동작[4-4]을 도 29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4-4]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나 조작 스위치(43DR)~(49DR), (43PA)~(49PA),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h) 등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운전석용 영상(GDR)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121)〕,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122)〕,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의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4-4]을 종료한다.
한편,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123)으로 진행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더욱이, 스텝(S123)의 처리동작은, 도 13a에 도시한 스텝(S12)~(S21)의 처리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스텝(S121)에 있어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124)〕,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125)〕,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의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4-4]을 종료한다.
한편,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126)으로 진행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더욱이, 스텝(S126)의 처리동작은, 도 13a에 도시한 스텝(S23)~(S32)의 처리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스텝(S124)에 있어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는 조작되고 있지 않다〔즉,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41PA) 모두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41)(도 13b)으로 진행하여,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 (41PA) 이외에 어느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판단한다. 더욱이, 스텝(S41) 이후의 처리동작에 관한 설명은, 여기에서는 생략한다.
또한, 제어부(100C)는, 제어부(100)에서 행하여지는, 처리동작[1-3](도 14 참조)과 동일한 처리동작[4-5]을 행하게 되어 있다. 단, 처리동작[4-5]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이며, 설정 조건 성립 플래그 FDR, FPA가 1이 아닐 때에, 소정의 기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상기 제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쪽이든 하나를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동안, 두 개의 영상 중 해당하는 영상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차량 운전으로의 주의가 더욱더 필요한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여, 운전자(DR)의 조작을 할 수가 없는 상태를 형성함으로써, 차량 주행의 안전성을 높일 수가 있다.
다음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다른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이외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00D)는, 제어부(100)에서 행하여지는, 처리동작[1-1]~[1-3](도 10, 도 13, 도 14 참조)과 동일한 처리동작[5-1]~[5-3]을 행하여,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소 표시를 제어하여, 도 11(b), 도 1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고, 도 11(c), 도 1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게 되어 있다.
다음은,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D)가 행하는 처리동작[5-4]을 도 30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5-4]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소정의 기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 표시 플래그 fSE는 당연히 필요없고,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이라는 것은,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먼저, 내비게이션부(106)로부터 얻어지는 정체 조우 정보, 또는 목적지 접근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131), (S132)〕, 정체 조우 정보, 또는 목적지 접근 정보를 수신하였다(즉, 목적지까지 안내를 하는 지도 영상이 중요한 영상이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지도 영상이 운전석용 영상(GDR)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33)〕.
상기 지도 영상이 운전석용 영상(GDR)이라고 판단하면, 스텝(S134)으로 진행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더욱이, 스텝(S134)의 처리동작은, 도 13a에 도시한 스텝(S12)~(S21)의 처리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기 지도 영상은 운전석용 영상(GDR)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이다〕고 판단하면, 스텝(S135)으로 진행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더욱이, 스텝(S135)의 처리동작은, 도 13a에 도시한 스텝(S23)~(S32)의 처리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스텝(S131), (S132)에 있어서, 정체 조우 정보, 목적지 접근 정보를 모두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CD/MD 재생부(101)로부터 얻어지는 CD 재생 종료 정보를 수신하였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136)〕, CD 재생 종료 정보를 수신하였다(즉, CD 재생 상황을 나타내고 있는 재생 상황 영상이 중요 영상이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재생 상황 영상이 운전석용 영상(GDR)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137)〕.
상기 재생 상황 영상이 운전석용 영상(GDR)이라고 판단하면, 스텝(S138)으로 진행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한편, 상기 재생 상황 영상은 운전석용 영상(GDR)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이다〕고 판단하면, 스텝(S139)으로 진행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또한, 스텝(S136)에 있어서, CD 재생 종료 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5-4]을 종료한다.
상기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내비게이션부(106)로부터의 지도 영상, 및 CD/MD 재생부(101)에 있어서의 재생 상황 영상 모두에 대응할 수가 있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 도 11, 도 12에 도시한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와 같이, 같은 영역(E7)~(E12) 내에 배치된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상기 지도 영상, 및 상기 재생 상황 영상 중 중요 영상(예를 들면, 조작할 가능성이 높은 영상)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가 행하여진다. 즉, 상기 중요 영상이 아닌 영상에 대한 조작 제어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예를 들면,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 표시되어 있는 재생 상황 영상이 상기 중요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만이 유효하게 되고,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은 무효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조작이 보다 필요한 영상에 대한 조작 제어를 유효하게 할 수가 있다.
상기 제1~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사용자로부터의 조작을 행하는 의사 표시 정보나 차량 환경 정보〔예를 들면, 차속 정보, 파킹 브레이크의 ON/OFF 정보, 정체 조우 정보, 주행중의 도로 종별 정보(일반도로, 고속도로 등)〕 등을 트리거로, 우선 영상이나 중요 영상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적절한 조작 제어를 실현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기간마다, 상기 우선 영상을 전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소정의 기간마다, 상기 우선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의 순서로 전환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작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처리가 단순화 되기 때문에 처리에 대하여서도 부하를 경감할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소정의 기간으로는, 예를 들면, 아래의 a~c를 들 수가 있다.
a) 일정 기간(예를 들면, 20 초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기간.
b)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이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10 초간)을 넘길 때까지의 기간.
c) 다른 트리거(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의하여 상기 우선 영상의 전환 지시를 받을 때까지의 기간.
또한,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우선 영상이 바뀔 때, 양자 모두 상기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지 않는 기간(예를 들면, 3초간)을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상기 우선 영상이 운전석용 영상(GDR)으로부터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바뀔 때, 즉시 바뀌는 것이 아니라, 두 개의 영상 중 어느쪽으로부터의 조작도 받아들이지 않는 기간이 설치되게 되기 때문에, 전환과 동시에 행하여지는 조작이 오조작이 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제1~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조작 스위치의 틀선의 굵기를 바꾸거나(도 12 참조), 오른쪽을 가리키는 화살표(50R), 또는 왼쪽을 가리키는 화 살표(50L)를 표시하거나(도 16, 도 17 참조), 운전석을 이미지한 핸들 마크(51), 또는 금지 마크(52)를 표시(도 23, 도 24 참조)함으로써, 우선 영상이 어느쪽으로 설정되어 있는지를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우선 영상에 대하여서만, 개별 정보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만을 표시부(4)에 표시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부(4)에 표시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영상에 대하여서만,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위치(43DR)~(48DR)를 표시하지만,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위치(43PA)~(48PA)를 표시하지 않도록 한다.
더욱이, 상기 조작 관련 화상으로는, 도 32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부(4)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15a)~(15g)의 기능을 설명하는 키 표시화상(211a)~(211g), (212a)~(212g) 등을 들 수가 있고,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3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키 표시화상(211a)~(211g)을 표시하지만,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키 표시화상(212a)~(212b)을 표시하지 않도록 한다.
또한,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우선 영상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을 우선 영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이 우선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3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스위치(43DR)~(49DR)를, 운전석용 영상(GDR)만이 아니라, 조수석용 영상(GPA)에도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제4, 제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DR)와, 조수석용 영상(GPA)을 우선 영상으로 설정하기 위한 우선 영상 설정 스위치(41PA)를 설치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조작을 행할 때마다, 2개의 상태를 교대로 바꿀 수 있는 토글스위치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까지,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채용하여,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여 왔지만,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차량에 탑재하는 것에 채용이 한정되지 않고, 가정용 텔레비전 등에 채용하여도 좋고,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개별 정보를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유효하게 된다. 또한, 가시방향은 2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3방향 이상이어도 좋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6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구성은, 제6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차 배리어(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일 화면상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과 조수석용 영상(GPA)을 분리 표시하여,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가 행하는 처리동작[6-1]을 도 38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6-1]은,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키기 위한 분리 표시(멀티뷰)가, 표시부(4)에 형성된 조작 스위치나 조작부(15), 리모콘(123) 등이 조작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지시받았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더욱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즉,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이 ON이 된 후부터 분리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분리 표시의 지시는 필요없고, 지금부터 설명하는 처리동작[6-1]은 필요없게 되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에 대하여서도 필요없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분리 표시의 지시를 받으면, 먼저,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도 39,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영상 중 한쪽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서 표시하고, 나머지를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 표시하고〔스텝(SA1)〕, 이어서, 운 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해당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DR)를 형성함과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 해당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PA)를 형성한다〔스텝(SA2)〕.
도 39(a)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39(b)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9(c)는, 조수석용 영상(GPA)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의 총 화소수의 반수의 짝수열〔오른쪽용 화소(RP)〕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고, 홀수열〔왼쪽용 화소(LP)〕이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고 있다.
도 40(a)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40(b)는, 조수석용 영상(GPA)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더욱이, 분리 표시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한 지도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지도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하고, 텔레비전 영상이나 영화 등은,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하는 방법이나, 각 가시방향 각각에서의 라스트 메모리나, 빈도가 높은 것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도 39, 도 40으로부터, 영역(E1)~(E3) 내에 설정 스위치(41DR), 해제 스위치(42DR), 조작 스위치(49DR)가 배치되고, 영역(E1)~(E3)과는 겹치지 않는 영역(E4)~(E6) 내에 설정 스위치(41PA), 해제 스위치(42PA), 조작 스위치(49PA)가 배치되고, 설정 스위치(41DR), 해제 스위치(42DR), 조작 스위치(49DR)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설정 스위치(41PA), 해제 스위치(42PA), 조작 스위치(49PA)는,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 받아들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DR)~(48DR)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PA)~(48PA)와는 같은 영역(E7)~(E12) 내에 배치되고, 이들 조작 스위치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4)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15a)~(15h), (도 9 참조)에 대하여서는,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모두에 대응할 수가 있는 것만이어도 좋고, 어느쪽이든 한쪽에만 대응할 수가 있는 것이어도 좋으며, 이들이 혼재하여도 좋다.
스텝(SA2)에 있어서의 처리 후, 이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 치(42DR), (42PA)를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 각각에 형성하고〔스텝(SA3)〕, 그 후,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1로 설정하고〔스텝(SA4)〕,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운전자(DR)에게 알리기 위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함과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조수석 탑승자(PA)에게 알리기 위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한다〔스텝(SA5)〕.
예를 들면,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 마크(50DR)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DR)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리고, 조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 "×" 마크(50PA)를 표시함으로써, 조수석 탑승자(PA)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도록 한다.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설정〔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불가능〕함과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불가능〕으로 설정한 다〔스텝(SA6)〕.
또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는, 예를 들면, 도 4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 마크(51DR)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DR)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알리고, 조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 "×" 마크(50PA)를 표시함으로써, 조수석 탑승자(PA)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도록 한다. 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는, 예를 들면, 도 4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 마크(50DR)를 표시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 "○" 마크(51PA)를 표시하도록 한다.
더욱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가?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인가?"라는 고지의 형태에 대하여서는, "○" 마크(51DR), (51PA)나 "×" 마크(50DR), (50PA)의 표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이외의 형태로는, 예를 들면, 아래의 a~g를 들 수가 있다.
a) 운전석용 영상(GDR)이나 조수석용 영상(GPA) 그 자체의 크기를, 조작 가능시와 조작 불가능시로 바꾼다.
b) 운전석용 영상(GDR)이나 조수석용 영상(GPA) 그 자체의 표시 스페이스의 형태를, 조작 가능시와 조작 불가능시로 바꾼다.
i) 사각형(조작 가능시)에서 원형(조작 불가능시)으로 바꾼다.
ii) 조작 불가능시, 영상이 기울어 보이도록 한다.
c) 명도, 색상, 채도 등을 조작 가능시와 조작 불가능시로 바꾼다.
d) 복수의 영상이 겹쳐 있는 경우, 투과율을 바꾼다.
e) 조작 불가능시, 사용 가능한 색을 제한한다.
i) 조작 불가능시, 흑백 영상으로 한다.
ii) 영상 전체를 하얗게 한다.
f) 표시 시간의 길이를 바꾼다.
i) 조작 불가능시, 점멸 표시로 한다.
g) 문자나 마크 등의 화상을 표시한다.
i) "○" 마크(51DR), (51PA)나 "×" 마크(50DR), (50PA)의 표시(도 40~도 42 참조).
ii) "조작 가능"이라는 문자(52DR)나 "조작 불가능"이라는 문자(53PA)의 표시(도 43 참조).
iii)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운전석"이라는 문자(55DR), (55PA)나,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조수석"이라는 문자(56DR), (56PA)의 표시(도 52, 도 53 참조).
iv)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나타내는 운전자(DR)를 이미지한 "핸들" 마크(54DR), (54PA)의 표시(도 44 참조).
또한, 여기에서는 조작이 가능한 영상을 고지하기 위하여, "○" 마크(51DR), (51PA) 등을 표시하고,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을 고지하기 위하여, "×" 마크(50DR), (50PA) 등을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조작이 가능한 영상에 "○" 마크(51DR), (51PA)를 표시하지만,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에는 "×" 마크(50DR), (50PA)를 표시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조작이 가능한 영상에 "○" 마크(51DR), (51PA)를 표시하지 않고,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에 "×" 마크(50DR), (50PA)를 표시한다, 와 같이, 어느쪽이든 한쪽에만 어떠한 마크나 문자를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도 45 참조).
또한, 여기까지,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 그 자체에 대한 표시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가?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인가?"라는 고지를 행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여 왔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작 스위치(41DR)~(49DR), (41PA)~(49PA)나,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4)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15a)~(15g)의 기능을 설명하는 키 표시화상(211a)~(211g), (212a)~(212g)에 대하여 변형이나 착색, 합성 등의 화상의 가공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조작이 가능한 조작 스위치나 그 기능을 설명하는 키 표시화상만을 표시하고, 조작이 불가능한 조작 스위치나 그 기능을 설명하는 키 표시화상에 대하여서는 표시하지 않도록 하여도 좋다.
도 47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의 일례이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스위치(43DR)~(48DR)가 운전석용 영상(GDR)만이 아니라, 조수석용 영상(GPA)에도 표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48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에 있어서의 표시 형태의 일례이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키 표시화상(211a)~(211g)은 표시되어 있지만,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키 표시화상(212a)~(212g)이 표시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다음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가 행하는 처리동작[6-2]을 도 49a, 도 49b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6-2]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나 조작 스위치(43DR)~(49DR), (43PA)~(49PA),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h), 리모콘(123) 등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 표시 플래그 fSE는 당연히 필요없 고,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이라는 것은,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먼저, 운전석 플래그 fDR, 조수석 플래그 fPA로부터,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 영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그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조작이 가능한 영상에 "○" 마크(51DR), (51PA)를 표시하는 등 하여, 조작 가능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고,한편,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에 "×" 마크(50DR), (50PA)를 표시하는 등 하여, 조작 불가능하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알린다〔스텝(SA10)〕. 더욱이, 여기에서는 "○" 마크(51DR), (51PA), "×" 마크(50DR), (50PA)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가?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인가?"라는 고지의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 여기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작이 가능한 영상에 대하여서는 "○" 마크(51DR), (51PA)를 표시하고,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에 대하여서는 "×" 마크(50DR), (50PA)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11)〕,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스텝(SA12)〕.
운전석 플래그 fDR은 1이 아니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은 가능한 상태가 아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13)〕.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은 가능한 상태이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1PA)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0PA)를 표시하고〔스텝(SA14)〕,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A15)〕,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A16)〕, 그 후, 스텝(SA17)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A13)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A14)~(SA16)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A17)으로 진행한다.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0DR)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1DR)를 표시하고〔스텝(SA17)〕,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DR을 0으로 하고 기동시키고〔스텝(SA18)〕,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 하고〔스텝(SA19)〕, 그 후,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한다〔스텝(SA20)〕. 더욱이, 고지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피커(17)로부터 음성(버저음이어도 좋다)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지만, 전술한 "○" 마크(51DR), "×" 마크(50PA)를 표시하는 것을 고지로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스텝(SA12)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은 이미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타이머 t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A21)〕, 그대로 처리동작[1-2]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SA11)에 있어서,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22)〕,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23)〕.
조수석 플래그 fPA는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은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24)〕.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 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은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1DR)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0DR)를 표시하고〔스텝(SA25)〕, 타이머 tDR을 정지시키고〔스텝(SA26)〕,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A27)〕, 그 후, 스텝(SA28)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A24)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A25)~(SA27)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A28)으로 진행한다.
다음은,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0PA)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1PA)를 표시하고〔스텝(SA28)〕, 타이머 tPA를 0으로 하고 기동시키고〔스텝(SA29)〕, 조수석 플래그 fPA를 1로 설정하고〔스텝(SA30)〕, 그 후,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한다〔스텝(SA31)〕. 더욱이, 고지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피커(17)로부터 음성(버저음이어도 좋다)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지만, 전술한 "○" 마크(51PA), "×" 마크(50DR)를 표시하는 것을 고지로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스텝(SA23)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은 이미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타이머 tPA 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A32)〕, 그대로 처리동작[1-2]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SA22)에 있어서, 설정 스위치(41PA)는 조작되고 있지 않다〔즉, 설정 스위치(41DR), (41PA) 모두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A41)(도 49b)으로 진행하여, 설정 스위치(41DR), (41PA) 이외에 어느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판단한다. 더욱이, 어느 조작도 행하여지지 않았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동작[6-2]을 종료한다.
스텝(SA41)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중복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4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A43)〕, 그 후, 타이머 tDR을 0으로 되돌린다〔스텝(SA44)〕.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45)〕,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 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A46)〕, 그 후,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A47)〕.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6-2]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A41)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9DR), 단, 설정 스위치(41DR), 해제 스위치(42DR)를 제외한다〕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48)〕,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A49)〕, 그 후, 타이머 tDR을 0으로 되돌린다〔스텝(SA50)〕.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6-2]을 종료한다.
스텝(SA41)에 있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9PA), 단, 설정 스위치(41PA), 해제 스위치(42PA)를 제외한다〕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51)〕,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 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A52)〕, 그 후,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A53)〕. 한편,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6-2]을 종료한다.
스텝(SA41)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2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54)〕,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고 판단하면,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를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SA55)〕,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고〔스텝(SA56)〕, 타이머 tDR,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A57)〕, 운전석 플래그 fDR,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A58)〕,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A59)〕.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6-2]을 종료한다.
스텝(SA41)에 있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2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 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60)〕,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고 판단하면,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를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SA61)〕,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고〔스텝(SA62)〕, 그 후, 스텝(SA57)으로 진행한다.
다음은,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가 행하는 처리동작[6-3]을 도 50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6-3]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소정의 기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71)〕,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6초)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72)〕,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마지막으로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1DR)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0DR)를 표시하고〔스텝(SA73)〕, 타이머 tDR을 정지시키고〔스텝(SA74)〕,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한다〔스텝(SA75)〕. 한편,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6-3]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A71)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76)〕,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77)〕,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마지막으로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1PA)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0PA)를 표시하고〔스텝(SA78)〕,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A79)〕,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한다〔스텝(SA80)〕. 한편,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나, 조수석 플래그 fPA는 1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동작[6-3]을 종료한다.
상기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조작 가능한 것은 많아도 하나로 한정되어 있다. 즉,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쪽이든 한쪽의 영상에 대한 조작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는 어느 쪽의 영상에 대한 조작도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을 때에, 도 39,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같은 영역(E7)~(E12) 내에 배치된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가 조작되었을 경우, 조작 스위치(43DR)~(48DR)에 응한 조작 제어가 행하여진다. 즉, 조작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에 대한 조작 제어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각 영상마다 조작 가능한지 아닌지의 여부가 사용자에게 고지된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지 아닌지의 여부가 운전자(DR)에게 고지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지 아닌지의 여부가 조수석 탑승자(PA)에게 고지된다. 따라서, 운전자(DR), 조수석 탑승자(PA)는 자신이 볼 수 있는 영상이 조작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조작이 가능한 영상, 및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 모두, 각각에 응하여 표시 형태를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어느쪽이든 한쪽의 표시 형태만을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다른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이외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A)가 행하는 처리동작[7-1]을 도 51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 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7-1]은,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키기 위한 분리 표시(멀티뷰)가, 표시부(4)에 형성된 조작 스위치나 조작부(15), 리모콘(123) 등이 조작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지시받았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더욱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즉,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이 ON이 된 후부터 분리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분리 표시의 지시는 필요없고, 지금부터 설명하는 처리동작[7-1]은 필요없게 되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에 대하여서도 필요없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분리 표시의 지시를 받으면, 먼저,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2개의 영상 중 한쪽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서 표시하고, 나머지를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 표시하고〔스텝(SA91)〕, 이어서, 도 39, 도 4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DR)를 형성함과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 해당 영상(GPA)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PA)를 형성한다〔스텝(SA92)〕.
다음은, 이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2DR), (42PA)를 운전석 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 각각에 형성하고〔스텝(SA93)〕, 그 후,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1로 설정하고〔스텝(SA94)〕, 그리고, 운전석 플래그 fDR, 및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즉,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불가능〕으로 설정한다〔스텝(SA95)〕.
또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는, 예를 들면,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운전석" 문자(55DR)를 표시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 동일하게 "운전석" 문자(55PA)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DR), 조수석 탑승자(PA)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알리도록 한다. 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는, 예를 들면,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조수석" 문자(56DR), 조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 "조수석" 문자(56PA)를 표시하도록 한다.
더욱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가?" 라는 고지의 형태에 대하여서는, "운전석" 문자(55DR), (55PA)나, "조수석" 문자(56DR), (56PA)의 표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도 4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마크(54DR), (54PA)를 표시함 으로써,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알리도록 하거나, 영상을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변형이나 착색, 합성 등의 화상의 가공을 행하도록 하고, 어느 영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가를 알리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작 스위치(41DR)~(49DR), (41PA)~(49PA)나, 도 4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표시부(4)의 주위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15a)~(15g)의 기능을 설명하는 키 표시화상(211a)~(211g), (212a)~(212g)에 대하여 변형이나 착색, 합성 등의 화상의 가공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A)가 행하는 처리동작[7-2]을 도 54a, 도 54b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7-2]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 조작 스위치(43DR)~(49DR), (43PA)~(49PA),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h), 리모콘(123) 등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운전석 플래그 fDR, 조수석 플래그 fPA로부터,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 영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그 판단 결과에 의거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 두 개의 영 상(GDR), (GPA)에 "운전석" 문자(55DR), (55PA)를 표시하는 등 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리고,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 두 개의 영상(GDR), (GPA)에 "조수석" 문자(56DR), (56PA)를 표시하는 등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사용자에게 알린다〔스텝(SA100)〕. 더욱이, 여기에서는 "운전석" 문자(55DR), (55PA), "조수석" 문자(56DR), (56PA)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가?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인가?"라는 고지의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 여기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에는 "운전석" 문자(55DR), (55PA)를 표시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에는 "조수석" 문자(56DR), (56PA)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101)〕,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102)〕.
운전석 플래그 fDR은 1이 아니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103)〕.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되어 있는 "조수석" 문자(56DR), (56PA)를 소거하고〔스텝(SA104)〕,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A105)〕,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A106)〕, 그 후, 스텝(SA107)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A103)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A104)~(SA106)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A107)으로 진행한다.
다음은,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에 "운전석" 문자(55DR), (55PA)를 표시하고〔스텝(SA107)〕,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DR을 0으로 하고 기동시키고〔스텝(SA108)〕,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하고〔스텝(SA109)〕, 그 후,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한다〔스텝(SA110)〕. 더욱이, 고지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피커(17)로부터 음성(버저음이어도 좋다)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지만, 전술한 "운전석" 문자(55DR), (55PA)를 표시하는 것을 고지로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스텝(SA102)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은 이미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타이머 t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A111)〕, 그대로 처리동작[7-2]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SA101)에 있어서,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112)〕,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113)〕.
조수석 플래그 fPA는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은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114)〕.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되어 있는 "운전석" 문자(55DR), (55PA)를 소거하고〔스텝(SA115)〕, 타이머 tDR을 정지시키고〔스텝(SA116)〕,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A117)〕, 그 후, 스텝(SA118)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A114)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A115)~(SA117)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A118)으로 진행한다.
다음은,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수석" 문자(56DR), (56PA)를 표시하고〔스텝(SA118)〕, 타이머 tPA를 0으로 하고 기동시키고〔스텝(SA119)〕, 조수석 플래그 fPA를 1로 설정하고〔스텝(SA120)〕, 그 후,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한다〔스텝(SA121)〕. 더욱이, 고지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피커(17)로부터 음성(버저음이어도 좋다)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지만, 전술한 "조수석" 문자(56DR), (56PA)를 표시하는 것을 고지로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스텝(SA113)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은 이미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A122)〕, 그대로 처리동작[7-2]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SA112)에 있어서, 설정 스위치(41PA)는 조작되고 있지 않다〔즉, 설정 스위치(41DR), (41PA) 모두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A131)(도 54b)으로 진행하여, 설정 스위치(41DR), (41PA) 이외에 어느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판단한다. 더욱이, 도 54b에 도시한, 스텝(SA131)~(SA152)에 대하여서는, 도 49b에 도시한 스텝(SA41)~(SA62)과 동일한 처리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은,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A)가 행하는 처리동작[7-3]을 도 55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7-3]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소정의 기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161)〕,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6초)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162)〕,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마지막으로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되어 있는 "운전석" 문자(55DR), (55PA)를 소거하고〔스텝(SA163)〕, 타이머 tDR을 정지시키고〔스텝(SA164)〕,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한다〔스텝(SA165)〕. 한편,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7-3]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A161)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166)〕,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167)〕,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마지막으로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되어 있는 "조수석" 문자(56DR), (56PA)를 소거하고〔스텝(SA168)〕,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A169),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한다〔스텝(SA170)〕. 한편,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나, 조수석 플래그 fPA는 1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동작[7-3]을 종료한다.
상기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조작 가능한 것은 많아도 하나로 한정되어 있다. 즉,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쪽이든 한쪽의 영상에 대한 조작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는 어느 쪽의 영상에 대한 조작도 불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예를 들면, 도 5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을 때에, 같은 영역(E7)~(E12) 내에 배치된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가 조작되었을 경우, 조작 스위치(43DR)~(48DR)에 응한 조작 제어가 행하여진다. 한편,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을 때에,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가 조작되었을 경우, 조작 스위치(43PA)~(48PA)에 응한 조작 제어가 행하여진다. 즉, 조작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에 대한 조작 제어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 영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지 사용자에게 고지된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이 운전자(DR), 조수석 탑승자(PA) 양자에게 전해진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볼 수 있는 영상이 조작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조작이 가능한 영상, 및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 모두, 각각에 응하여 표시 형태를 변화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어느쪽이든 한쪽의 표시 형태만을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다른 부호를 부 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이외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B)가 행하는 처리동작[8-1]을 도 56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8-1]은,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視認)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視認)시키기 위한 분리 표시(멀티뷰)가, 표시부(4)에 형성된 조작 스위치나 조작부(15), 리모콘(123) 등이 조작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지시받았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더욱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즉,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이 ON이 된 후부터 분리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분리 표시의 지시는 필요없고, 지금부터 설명하는 처리동작[8-1]은 필요없게 되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에 대하여서도 필요없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분리 표시의 지시를 받으면, 먼저,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도 57,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영상 중 한쪽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서 표시하고, 나머지를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 표시하고〔스텝(SA181)〕, 이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DR)를 형성함과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 해당 영상(GPA)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PA)를 형성한다 〔스텝(SA182)〕.
도 57(a)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57(b)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7(c)는, 조수석용 영상(GPA)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의 총 화소수의 반수의 짝수열〔오른쪽용 화소(RP)〕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고, 홀수열〔왼쪽용 화소(LP)〕이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고 있다.
도 58(a)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58(b)는, 조수석용 영상(GPA)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더욱이, 분리 표시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한 지도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지도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하고, 텔레비전 영상이나 영화 등은,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하는 방법이나, 각 가시방향 각각에서의 라스트 메모리나, 빈도가 높은 것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도 57, 도 58로부터, 영역(E1)~(E3) 내에 설정 스위치(41DR), 해제 스위치(42DR), 조작 스위치(49DR)가 배치되고, 영역(E1)~(E3)과는 겹치지 않는 영역(E4)~(E6) 내에 설정 스위치(41PA), 해제 스위치(42PA), 조작 스위치(49PA)가 배치 되고, 설정 스위치(41DR), 해제 스위치(42DR), 조작 스위치(49DR)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설정 스위치(41PA), 해제 스위치(42PA), 조작 스위치(49PA)는,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DR)~(48DR)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PA)~(48PA)와는 같은 영역(E7)~(E12) 내에 배치되며, 이들 조작 스위치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4)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15a)~(15h), (도 9 참조)에 대하여서는,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모두에 대응할 수가 있는 것만이어도 좋고, 어느쪽이든 한쪽에만 대응할 수가 있는 것이어도 좋고, 이들이 혼재하여도 좋다.
스텝(SA182)에 있어서의 처리 후, 이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2DR), (42PA)를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 각각에 형성하고〔스텝(SA183)〕, 그 후,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1로 설정하고〔스텝(SA184)〕,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운전자(DR)에게 알리기 위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함과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조수석 탑승자(PA)에게 알리기 위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한다〔스텝(SA185), (SA186)〕.
예를 들면,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 마크(51DR)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DR)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알리고, 조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 "×" 마크(50PA)를 표시함으로써, 조수석 탑승자(PA)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도록 한다.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운전석 플래그 fDR을 1〔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가능〕로 설정하고〔스텝(SA187)〕,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불가능〕으로 설정한다〔스텝(SA188)〕.
또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는,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 마크(50DR)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DR)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리고, 조 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 "○" 마크(51PA)를 표시함으로써, 조수석 탑승자(PA)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알리도록 한다.
더욱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가?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인가?"라는 고지의 형태에 대하여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 마크(51DR), (51PA)나 "×" 마크 (50DR), (50PA)의 표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52,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문자(55DR), (55PA)나 "조수석" 문자(56DR), (56PA) 등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B)가 행하는 처리동작[8-2]을 도 60a, 도 60b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8-2]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 조작 스위치(43DR)~(49DR), (43PA)~(49PA),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h), 리모콘(123) 등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또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조작 스위치 등에 접근하였을 경우나, 조작 개시가 추정되는 경우에 처리동작[8-2]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 표시 플래그 fSE는 당연히 필요없고, 분 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이라는 것은,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먼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191)〕,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192)〕.
운전석 플래그 fDR은 1이 아니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은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193)〕.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1PA)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0PA)를 표시하고〔스텝(SA194)〕,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A195)〕, 그 후, 스텝(SA196)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A193)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A194), (SA195)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A196)으로 진행한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 마크(51DR), (51PA), "×" 마크(50DR), (50PA)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가?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인가?"라는 고지의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 여기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작이 가능한 영상에 대하여서는 "○" 마크(51DR), (51PA)를 표시하고,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에 대하여서는 "×" 마크(50DR), (50PA)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0DR)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1DR)를 표시하고〔스텝(SA196)〕,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하고〔스텝(SA197)〕, 그 후,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한다〔스텝(SA198)〕. 더욱이, 고지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피커(17)로부터 음성(버저음이어도 좋다)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지만, 전술한 "○" 마크(51DR)나 "×" 마크(50PA)를 표시하는 것을 고지로 이용하여도 좋다.
또는, 스텝(SA192)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은 이미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8-2]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SA191)에 있어서,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 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199)〕,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200)〕.
조수석 플래그 fPA는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은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201)〕.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은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1DR)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0DR)를 표시하고〔스텝(SA202)〕,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A203)〕, 그 후, 스텝(SA204)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A201)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A202), (SA203)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A204)으로 진행한다.
다음은,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0PA)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1PA)를 표시하고〔스텝(SA204)〕, 조수석 플래그 fPA를 1로 설정하고〔스텝(SA205)〕, 그 후,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한다〔스텝(SA206)〕. 더욱이, 고지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피커(17)로부터 음성(버저음이어도 좋다)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지만, 전술한 "○" 마크(51PA)나 "×" 마크(50DR)를 표시하는 것을 고지로 이용하여도 좋다.
또는, 스텝(SA200)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은 이미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8-2]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SA199)에 있어서, 설정 스위치(41PA)는 조작되고 있지 않다〔즉, 설정 스위치(41DR), (41PA) 모두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A211)(도 60b)으로 진행하여, 설정 스위치(41DR), (41PA) 이외에 어느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판단한다.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중복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21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SA213)〕.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214)〕,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SA215)〕.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8-2]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A211)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9DR), 단, 설정 스위치(41DR), 해제 스위치(42DR)를 제외한다〕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216)〕,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SA217)〕.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8-2]을 종료한다.
스텝(SA211)에 있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9PA), 단, 설정 스위치(41PA), 해제 스위치(42PA)를 제외한다〕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218)〕,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SA219)〕. 한편,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8-2]을 종료한다.
스텝(SA211)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2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220)〕,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고 판단하면,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를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SA221)〕, 2개의 화면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고〔스텝(SA222)〕, 운전석 플래그 fDR,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A223)〕, 그 후,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A224)〕.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8-2]을 종료한다.
스텝(SA211)에 있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2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225)〕,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고 판단하면,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를 화면상으로부터 소거하고〔스텝(SA226)〕, 2개의 화면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 표시로 하고〔스텝(SA227)〕, 그 후, 스텝(SA223)으로 진행한다.
상기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조작 가능한 것은 많아도 하나로 한정되어 있다. 즉,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쪽이든 한쪽의 영상에 대한 조작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각 영상마다 조작 가능한지 아닌지의 여부가 사용자에게 고지된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지 아닌지의 여부가 운전자(DR)에게 고지되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지 아닌지의 여부가 조수석 탑승자(PA)에게 고지된다. 따라서, 운전자(DR), 조수석 탑승자(PA)는 자신이 보고 있는 영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정 확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와는 달라,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 쪽인가에 대한 조작이 반드시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 스위치(41DR), (41PA)를 조작하는 회수를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상기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와 같이, 각 영상마다 조작 가능한지 아닌지의 여부가 사용자에게 고지되게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7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 영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가를 사용자에게 고지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6~제8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설정되고,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설정되게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정 스위치(41DR), (41PA) 각각이 같은 역할을 완수하는 것으로 하여, 설정 스위치(41DR), (41PA) 중 한쪽이 조작되면, 사이클릭으로 조작이 가능한 영상이 전환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운전석용, 조수석용으로 설정 스위치(41DR), (41PA)를 각각 설치하지 않아도, 하나의 스위치 조작으로 사이클릭으로 조 작이 가능한 영상이 전환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조작이 가능한 영상의 전환은, 스위치 조작이 아니라, 시간 경과에 의하여 전환되도록 하여도 좋다(예를 들면, 1분 마다 전환하도록 한다).
다음은,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다른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이외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C)가 행하는 처리동작[9-1]을 도 61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9-1]은,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視認)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키기 위한 분리 표시(멀티뷰)가, 표시부(4)에 형성된 조작 스위치나 조작부(15), 리모콘(123) 등이 조작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지시받았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더욱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즉,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이 ON이 된 후부터 분리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분리 표시의 지시는 필요없고, 지금부터 설명하는 처리동작[9-1]은 필요없게 되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에 대하여서도 필요없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분리 표시의 지시를 받으면, 먼저,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도 57,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영상 중 한쪽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서 표시하고, 나머지를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 표시하고〔스텝(SA301)〕, 이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DR)를 형성함과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 해당 영상(GPA)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PA)를 형성한다〔스텝(SA302)〕.
다음은, 이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2DR), (42PA)를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 각각에 형성하고〔스텝(SA303)〕, 그 후,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1로 설정한다〔스텝(SA304)〕. 이어서, 내비게이션부(106)로부터 얻어지는 차속 정보에 의거하여, 정차중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305)〕. 더욱이, 차속 정보에 대하여서는, 차속 센서로부터 직접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정차중이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우선권 플래그 FDR을 1로 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하여 우선권을 설정하고〔스텝(SA306)〕,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운전자(DR)에게 알리기 위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함과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조수석 탑승자(PA)에게 알리기 위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한다〔스텝(SA307), (SA308)〕.
예를 들면, 도 5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 마크(51DR)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DR)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알리고, 조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 "×" 마크(50PA)를 표시함으로써, 조수석 탑승자(PA)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도록 한다.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DR을 0으로 하고 기동시키고〔스텝(SA309)〕,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운전석 플래그 fDR을 1(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가능)로 설정하고〔스텝(SA310)〕,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불가능〕으로 설정한다〔스텝(SA311)〕.
한편, 스텝(SA305)에 있어서, 정차중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우선권 플래그 FDR을 0으로 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하여 우선권을 설정하고〔스 텝(SA312)〕,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운전자(DR)에게 알리기 위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함과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조수석 탑승자(PA)에게 알리기 위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작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를 행한다〔스텝(SA313, SA314)〕.
예를 들면, 도 5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 마크(50DR)를 표시함으로써, 운전자(DR)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리고, 조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 "○" 마크(51PA)를 표시함으로써, 조수석 탑승자(PA)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것을 알리도록 한다.
다음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PA를 0으로 하고 기동시키고〔스텝(SA315)〕,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불가능)으로 설정하고〔스텝(SA316)〕, 조수석 플래그 fPA를 1(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가능)로 설정한다〔스텝(SA317)〕. 더욱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가?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인가?"라는 고지의 형태에 대하여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 마 크(51DR), (51PA)나 "×" 마크(50DR), (50PA)의 표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도 52, 도 5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문자(55DR), (55PA)나 "조수석" 문자(56DR), (56PA) 등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C)가 행하는 처리동작[9-2]을 도 62a, 도 62b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9-2]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설정 스위치(41DR), (41PA)나 해제 스위치(42DR), (42PA), 조작 스위치(43DR)~(49DR), (43PA)~(49PA),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h) 등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321)〕,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322)〕.
운전석 플래그 fDR은 1이 아니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은 가 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323)〕.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1PA)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0PA)를 표시하고〔스텝(SA324)〕,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A325)〕,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A326)〕, 그 후, 스텝(SA327)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A323)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A324)~(SA326)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A327)으로 진행한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 마크(51DR), (51PA), "×" 마크(50DR), (50PA)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한 바와 같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인가?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인가?"라는 고지의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단, 여기에서는,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조작이 가능한 영상에 대하여서는 "○" 마크(51DR), (51PA)를 표시하고,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에 대하여서는 "×" 마크(50DR), (50PA)를 표시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0DR)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1DR)를 표시하고〔스텝(SA327)〕,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하고〔스텝(SA328)〕, 그 후,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한다〔스텝(SA329)〕. 더욱이, 고지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피커(17)로부터 음성(버저음이어도 좋다)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지만, 전술한 "○" 마크(51DR)나 "×" 마크(50PA)를 표시하는 것을 고지로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스텝(SA322)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은 이미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타이머 t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A330)〕, 처리동작[9-2]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SA321)에 있어서,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331)〕,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332)〕.
조수석 플래그 fPA는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은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333)〕.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1DR)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0DR)를 표시하고〔스텝(SA334)〕, 타이머 tDR을 정지시키고〔스텝(SA335)〕,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A336)〕, 그 후, 스텝(SA337)으로 진행한다. 한편, 스텝(SA333)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스텝(SA334)~(SA336)을 건너뛰고, 그대로 스텝(SA337)으로 진행한다.
다음은,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0PA)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1PA)를 표시하고〔스텝(SA337)〕, 조수석 플래그 fPA를 1로 설정하고〔스텝(SA338)〕, 그 후,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된 것을 사용자에게 고지한다〔스텝(SA339)〕. 더욱이, 고지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스피커(17)로부터 음성(버저음이어도 좋다)으로 출력하는 방법이나 고지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지만, 전술한 "○" 마크(51PA)나 "×" 마크(50DR)를 표시하는 것을 고지로 이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스텝(SA332)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은 이미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타이머 tPA 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A340)〕, 처리동작[9-2]을 종료한다.
한편, 스텝(SA331)에 있어서, 설정 스위치(41PA)는 조작되고 있지 않다〔즉, 설정 스위치(41DR), (41PA) 모두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스텝(SA341)(도 62b)으로 진행하여, 설정 스위치(41DR), (41PA) 이외에 어느 조작이 행하여졌는지를 판단한다. 더욱이, 도 62b에 도시한, 스텝(SA341)~(SA362)에 대하여서는, 도 49b에 도시한 스텝(SA41)~(SA62)과 동일한 처리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은,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C)가 행하는 처리동작[9-3]을 도 63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9-3]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소정의 기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371)〕,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우선권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372)〕. 우선권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이 아니라, 조수석용 영상(GPA)에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6초)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373)〕.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마지막으로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1DR)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0DR)를 표시하고〔스텝(SA374)〕, 타이머 tDR을 정지시키고〔스텝(SA375)〕,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한다〔스텝(SA376)〕. 그리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0PA)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1PA)를 표시하고〔스텝(SA377)〕, 조수석 플래그 fPA를 1로 한다〔스텝(SA378)〕.
한편, 타이머 tDR이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나, 우선권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조작이 가능한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부터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전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동작[9-3]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A371)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379)〕,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우선권 플래그 FDR이 0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380)〕. 우선권 플래그 FDR이 0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이 아니라, 운전석용 영상(GDR)에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381)〕.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마지막으로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가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1PA)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0PA)를 표시하고〔스텝(SA382)〕,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A383)〕,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한다〔스텝(SA384)〕. 그리고, 운전석용 영상(GDR)에 표시되어 있는 "×" 마크(50DR)를 소거하고, 그 대신에 "○" 마크(51DR)를 표시하고〔스텝(SA385)〕,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한다〔스텝(SA386)〕.
한편, 타이머 tPA가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나, 우선권 플래그 FDR이 0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조작이 가능한 영상을 조수석용 영상(GPA)으로부터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전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그대로 처리동작[9-3]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A379)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도, 그대로 처리동작[9-3]을 종료한다.
다음은,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C)가 행하는 처리동작[9-4]을 도 64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 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9-4]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소정의 기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내비게이션부(106)로부터 얻어지는 차속 정보에 의거하여, 정차중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391)〕. 정차중이라고 판단하면, 우선권 플래그 FDR을 1로 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하여 우선권을 설정하고〔스텝(SA392)〕,한편, 정차중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우선권 플래그 FDR을 0으로 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하여 우선권을 설정한다〔스텝(SA393)〕.
상기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조작 가능한 것은 많아도 하나로 한정되어 있다. 즉,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쪽이든 한쪽의 영상에 대한 조작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더욱이, 각 영상마다 조작 가능한지 아닌지의 여부가 사용자에게 고지된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지 아닌지의 여부가 운전자(DR)에게 고지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지 아닌지의 여부가 조수석 탑승자(PA)에게 고지된다. 따라서, 운전자(DR), 조수석 탑승자(PA)는 자신이 보고 있는 영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정확하게 인식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와는 달라,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쪽인지에 대한 조작이 반드시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설정 스위치(41DR), (41PA)를 조작하는 회수를 줄일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 한쪽인가에 대하여 우선권이 설정되고, 그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영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을 때에, 해당 영상에 대한 조작을 가능한 상태로 설정해 두는 조건이 성립하지 않게 되었을 경우(여기에서는,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이 6초간 계속되었을 경우), 조작이 가능한 영상이 전환된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을 때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6초간 실행되지 않았을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해 두는 조건이 성립하지 않게 되었다고 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전환할 수가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사용자의 조작 부하를 경감할 수가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차량이 정차중인지 아닌지에 의하여, 상기 우선권을 전환하도록 하고 있지만, 상기 우선권에 대하여서는 한쪽에 고정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우선권의 전환은 정차중인지 아닌지가 아니라, 그 이외의 차량의 주행 상태이어도 좋고, 차량으로의 승차 상황 등, 그 이외의 파라미터에 의거하여, 상기 우선권의 전환을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운전자(DR)가 승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상기 우선권을 설정하여, 조수석 탑승자(PA)가 승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운전석용 영상(GDR)에 상기 우선권을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차량으로의 승차 상황에 대하여서는, 상기 차량 내에 탑승자 검지 센서를 설치하여, 그 탑승자 검지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하도록 하면 좋다.
또한, 상기 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설정 스위치(41DR)가 조작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고, 설정 스위치(41PA)가 조작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게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설정 스위치(41DR), (41PA) 각각이 같은 역할을 완수하는 것으로 하고, 설정 스위치(41DR), (41PA) 중 한쪽이 조작되면, 사이클릭으로 조작이 가능한 영상이 바뀌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서는, 운전석용, 조수석용으로 설정 스위치(41DR), (41PA) 각각을 설치하지 않아도, 하나의 스위치 조작으로 사이클릭으로 조작이 가능한 영상이 바뀌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6~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각 영상마다 조작 가능 한지 아닌지의 여부(또는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지)를 항상 사용자에게 고지하게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고지하는 기간을 한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되고 있는 기간〔터치패널(118)에 접촉하고 있는 기간〕만 고지하도록 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하여 조작이 개시되고 나서 고지를 개시하여, 상기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은 기간이 소정의 기간 계속되면 종료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6~제9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영상의 표시 형태를 변화시키는 것 등에 의하여, 어느 영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가를 알리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음성을 사용하여,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 악곡A를 흘리도록 하고,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 악곡A와는 다른 악곡B를 흘리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작이 가능한 영상에 대한 음성 출력과,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에 대한 음성 출력과의 차별화를 도모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의 제어부〔100(100A)~(100C)〕가 행하는 처리동작을 도 65에 도시한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은 각 영상에 대한 음성이 출력될 때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음성 출력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의 어느 것에 대한 것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401)〕,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것이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40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고 판단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음량으로 음성 출력을 행하고〔스텝(SA403)〕,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작은 음량으로 음성 출력을 행한다〔스텝(SA404)〕.
한편, 스텝(SA401)에 있어서, 음성 출력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것이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405)〕.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고 판단하면,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음량으로 음성 출력을 행하고〔스텝(SA406)〕,한편,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작은 음량으로 음성 출력을 행한다〔스텝(SA407)〕.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으로서 내비게이션 장치에 의한 지도 영상이 표시되고,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 DVD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상태일 때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 내비게이션의 안내 음성은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통상의 음량으로 출력되지만, DVD 음성은 작은 음량으로 출력되게 된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조작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에 대한 음성에 대하여서도, 작은 음량이어도 출력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6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에 대한 음성만을 출력하도록 하고〔스텝(SA413), (SA416)〕, 조작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에 대한 음성에 대하여서는 출력하지 않게 하여도 좋다〔스텝(SA414), (SA417)〕.
또한, 더욱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조작이 가능한 영상에 응하여, 표시부(4)〔표시장치(201)〕의 설치 상태를 변화시키거나, LED 등의 발광 부재의 점등 상태를 변화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 6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 운전자(DR)로부터 시인(視認)하기 쉬워지도록 표시부(4)의 각도를 바꾸고,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 조수석 탑승자(PA)로부터 시인하기 쉬워지도록 표시부(4)의 각도를 바꾸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도 6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 표시장치(201A)의 정면 운전석쪽에 설치되어 있는 (LED55DR)을 점등시키고,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 정면 조수석쪽에 설치되어 있는 (LED55PA)를 점등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10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다른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이외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10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 어부(100D)가 행하는 처리동작[10-1]을 도 69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0-1]은,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키기 위한 분리 표시(멀티뷰)가, 표시부(4)에 형성된 조작 스위치나 조작부(15), 리모콘(123) 등이 조작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지시받았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더욱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즉,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이 ON이 된 후부터 분리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분리 표시의 지시는 필요없고, 지금부터 설명하는 처리동작[10-1]은 필요없게 되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에 대하여서도 필요없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분리 표시의 지시를 받으면, 먼저,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도 70, 도 71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영상 중 한쪽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서 표시하고, 나머지를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 표시하고〔스텝(SA231)〕, 이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의 오른쪽 위에, 이 분리 표시를 해제하기 위한 해제 스위치(42DR)를 형성함과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의 왼쪽 위에도 같은 해제 스위치(42PA)를 형성하고〔스텝(SA232)〕, 그 후,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1로 설정한다〔스텝(SA233)〕.
도 70(a)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는 화소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는 화소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70(b)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0(c)는, 조수석용 영상(GPA)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방향의 총 화소수의 반수의 짝수열〔오른쪽용 화소(RP)〕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사용되고, 홀수열〔왼쪽용 화소(LP)〕이 조수석용 영상(GPA)에 사용되고 있다.
도 71(a)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 71(b)는, 조수석용 영상(GPA)의 일례를 확대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더욱이, 분리 표시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한 지도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지도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하고, 텔레비전 영상이나 영화 등은,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하는 방법이나, 각 가시방향 각각에서의 라스트 메모리나, 빈도가 높은 것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도 70, 도 71로부터, 영역(E1), (E3) 내에 해제 스위치(42DR), 조작 스위치(49DR)가 배치되고, 영역(E1), (E3)과는 겹치지 않는 영역(E4), (E6) 내에 해제 스위치(42PA), 조작 스위치(49PA)가 배치되고, 해제 스위치(42DR), 조작 스위치(49DR)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도록 배치되어 있고, 해 제 스위치(42PA), 조작 스위치(49PA)는,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가 있다.
또한, 운전석용 영상(GDR)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DR)~(48DR)와 조수석용 영상(GPA)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3PA)~(48PA)와는 같은 영역(E7)~(E12) 내에 배치되고, 이들 조작 스위치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표시부(4) 주위에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15a)~(15h), (도 9 참조)에 대하여서는,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모두에 대응할 수가 있는 것만이어도 좋고, 어느쪽이든 한쪽에만 대응할 수가 있는 것이어도 좋으며, 이들이 혼재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10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D)가 행하는 처리동작[10-2]을 도 72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0-2]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해제 스위치(42DR), (42PA),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h) 등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 표시 플래그 fSE는 당연히 필요없고, 분리 표시 플 래그 fSE가 1이라는 것은,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먼저, 어느 조작이 행하여졌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A241)〕, 운전석용 영상(GDR), 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조작 스위치〔중복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스피커(17)로부터 "운전석"이라고 음성 출력하고〔스텝(SA242)〕, 그 후, 1초 이내에 같은 조작 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243), (SA244)〕.
"운전석"의 음성 출력 후, 1초 이내에 같은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판단하면, 사용자는 운전자(DR)로 간주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SA245)〕. 한편, 1초 이내에 같은 조작 스위치의 조작은 행하여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스피커(17)로부터 "조수석"이라고 음성 출력하고〔스텝(SA246)〕, 그 후, 1초 이내에 같은 조작 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247), (SA248)〕.
"조수석"의 음성 출력 후, 1초 이내에 같은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판단하면, 사용자는 조수석 탑승자(PA)로 간주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SA249)〕. 한편, 1초 이내에 같은 조작 스위치의 조작은 행하여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무효하게 하 고, 그대로 처리동작[10-2]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A241)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9DR), 해제 스위치(42DR)〕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스피커(17)로부터 "운전석"이라고 음성 출력하고〔스텝(SA250)〕, 그 후, 1초 이내에 같은 조작 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251), (SA252)〕.
"운전석"의 음성 출력 후, 1초 이내에 같은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판단하면, 사용자는 운전자(DR)로 간주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SA253)〕. 한편, 1초 이내에 같은 조작 스위치의 조작은 행하여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10-2]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A241)에 있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만을 받아들이는 조작 스위치(예를 들면, 조작 스위치(49PA), 해제 스위치(42PA)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스피커(17)로부터 "조수석"이라고 음성 출력하고〔스텝(SA254)〕, 그 후, 1초 이내에 같은 조작 스위치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A255), (SA256)〕.
"조수석"의 음성 출력 후, 1초 이내에 같은 조작 스위치의 조작이 행하여졌다고 판단하면, 사용자는 조수석 탑승자(PA)로 간주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 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SA257)〕. 한편, 1초 이내에 같은 조작 스위치의 조작은 행하여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5-2]을 종료한다.
상기 제10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표시 화면상에서의 조작 영역이 중복하는 조작 스위치(43DR)~(48DR), (43PA)~(48PA)로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 각 가시방향의 고지가 음성으로 차례로 행하여진다. 또한, 이 고지의 타이밍과 사용자에 의한 소정 조작의 타이밍에 의거하여, 조작 제어의 대상이 되는 가시방향(영상)이 결정되고, 결정된 영상에 대한 조작 제어가 행하여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작이 가능한 영상의 전환을 행하지 않아도, 사용자는 자신이 볼 수 있는 영상에 대한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각 가시방향(영상) 각각이 식별이 가능하게 음성으로 고지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화면을 주시하지 않아도 적절한 조작을 실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0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각 가시방향(영상) 각각을 식별이 가능한 고지로써 "운전석", "조수석"이라는 음성 안내를 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영상의 종류로 "내비게이션"이나 "DVD" 음성 안내를 하거나, 또는 조작 스위치에 대응하는 기능으로 "(지도의)상세 표시"나 "(DVD의 재생)정지"라는 음성 안내를 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에서는 조작 스위치를 2회 누름으로써, 사용자의 의사를 확인하여, 조작 제어의 대상이 되는 가시방향(영상)을 결정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에게 조작 스위치를 길게 누르도록 하여, 조작 스위치로부터 손가락을 뗀 타이밍에 의거하여, 조작 제어의 대상이 되는 가시방향(영상)을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까지,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채용하여,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여 왔지만,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차량에 탑재하는 것에 채용이 한정되지 않고, 가정용 텔레비전 등에 채용하여도 좋으며,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개별 정보를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유효하게 된다. 또한, 가시방향은 2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3방향 이상이어도 좋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11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구성은, 제1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도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3은, 제1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관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중 (201)은 표시장치를 나타내고 있고, 표시장치(201)는 터치패널(118)이 그 표면에 형성된 표시부(4)와, 그 주위에 설치된 조작부(15)〔조작 스위치(15a)~(15h)〕와, 나중에 자세하게 설명할 조수석 전환 스위치(P)(15i)와,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분리 해제)(15j)와, 운전석 전환 스위치(D)(15k)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차 배리어(26) 등을 포함하여 구 성되고, 동일 화면상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와 조수석용 영상(GPA)을 분리 표시하여,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視認)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가 행하는 처리동작[11-1]을 도 74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1-1]은,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키기 위한 분리 표시(멀티뷰)가, 표시부(4)에 형성된 조작 스위치나 조작부(15), 리모콘(123) 등이 조작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지시받았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더욱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즉,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이 ON이 된 후부터 분리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분리 표시의 지시는 필요없고, 지금부터 설명하는 처리동작[11-1]은 필요없게 되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에 대하여서도 필요없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분리 표시의 지시를 받으면, 먼저,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도 7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영상 중 한쪽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서 표시하고, 나머지를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 표시하고〔스텝(SB1)〕, 이어서, 분리 표시 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1로 설정하고〔스텝(SB2)〕,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설정〔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불가능〕함과 동시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불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불가능〕으로 설정한다〔스텝(SB3)〕.
더욱이, 분리 표시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한 지도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지도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하고, 텔레비전 영상이나 영화 등은,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하는 방법이나, 각 가시방향 각각에서의 라스트 메모리나, 빈도가 높은 것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도 75(a)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5(b)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도시한 도면이다. 더욱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는, 도 7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을 위한 조작 화상(CDR)이 표시되게 되어 있다. 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는, 도 7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응 하는 조작 입력을 위한 조작 화상(CPA)이 표시되게 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단순하게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작 화상(CDR), (CPA)을 겹쳐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지만, 조작 화상의 표시 형태는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7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을 축소시키고, 그 주위에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1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가 행하는 처리동작[11-2]을 도 79a~도 79c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1-2]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터치패널〔조작 스위치(BD1)~(BD6), (BA1)~(BA6)〕이나,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k), 리모콘(123) 등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실행되는 동작이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 표시 플래그 fSE는 당연히 필요없고,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이라는 것은,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먼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B11)〕,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1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76 참조), 이어서, 조작이 가능한 영상을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먼저,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B1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DR)을 소거하고〔스텝(SB14)〕,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DR을 정지시킨다〔스텝(SB15)〕.
다음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16)〕,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7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의 2영상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한다〔스텝(SB17)〕. 그 후, 조수석 플래그 fPA를 1로 설정하고〔스텝(SB18)〕,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PA를 0으로 하고 기동시킨다〔스텝(SB19)〕.
한편, 스텝(SB12)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20)〕.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도 75 참조), 스텝(SB16)으로 진행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한편, 스텝(SB20)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77 참조), 스텝(SB11)에서 확인한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의 조작은, 조수석용 영상(GPA)을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되돌리는 지시로 간주하고,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21)〕,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PA)을 소거하고〔스텝(SB22)〕, 타이머 tPA를 정지시킨다〔스텝(SB23)〕.
또한, 스텝(SB11)에 있어서,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스텝(SB31)(도 79b)으로 진행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32)〕.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77 참조), 이어서, 조작이 가능한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먼저,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3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PA)을 소거하고〔스텝(SB34)〕, 타이머 tPA를 정지시킨다〔스텝(SB35)〕.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36)〕,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7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의 2영상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DR)을 표시한다〔스텝(SB37)〕. 그 후,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하고〔스텝(SB38)〕, 타이머 tDR을 0으로 하고 기동시킨다〔스텝(SB39)〕.
한편, 스텝(SB32)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40)〕.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도 75 참조), 스텝(SB36)으로 진행하여, 운전석용 영 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한편, 스텝(SB40)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76 참조), 스텝(SB31)에서 확인한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의 조작은, 운전석용 영상(GDR)을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되돌리는 지시로 간주하고,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B41)〕,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DR)을 소거하고〔스텝(SB42)〕, 타이머 tDR을 정지시킨다〔스텝(SB43)〕.
또한, 스텝(SB31)에 있어서,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스텝(SB51)(도 79c)으로 진행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터치패널(118)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패널(118)이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5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B53)〕, 그 후, 타이머 tDR을 0으로 되돌린다〔스텝(SB54)〕.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 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55)〕.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B56)〕, 그 후,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B57)〕. 한편,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11-2]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B51)에 있어서, 터치패널(118)이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15j)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58)〕.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15j)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59)〕.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남기기 위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스텝(SB60)〕,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61)〕,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해당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한다〔스텝(SB62)〕.
그 후,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63)〕,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B64)〕,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B65)〕. 더욱이, 여기에서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분리 표시시에, 홀수열의 화소만을 사용하여 표시하고 있던 조수석용 영상(GPA)과 같은 것을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분리 표시시에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고 있던 것을 짝수열의 화소만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표시한다.
한편, 스텝(SB59)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남기기 위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스텝(SB66)〕,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67)〕,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DR)을 표시한다〔스텝(SB68)〕.
그 후,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B69)〕, 타이머 tDR을 정 지시키고〔스텝(SB70)〕, 그 후, 스텝(SB65)으로 진행하여,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0으로 되돌린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분리 표시시에, 짝수열의 화소만을 사용하여 표시하고 있던 운전석용 영상(GDR)과 같은 것을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분리 표시시에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고 있던 것을 홀수열의 화소만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표시한다.
또한, 스텝(SB58)에 있어서,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15j)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그 이외의 조작에 응한 종래대로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은, 제1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가 행하는 처리동작[11-3]을 도 80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1-3]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소정의 시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6초)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72)〕.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마지막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을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B7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DR)을 소거하고〔스텝(SB74)〕, 타이머 tDR을 정지시킨다〔스텝(SB75)〕.
한편, 타이머 tDR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6초)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76)〕.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마지막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을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77)〕,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PA)을 소거하고〔스텝(SB78)〕, 타이머 tPA를 정지시킨다〔스텝(SB79)〕. 한편, 타이머 tPA는 소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11-3]을 종료한다.
상기 제1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조작 가능한 것은 많아도 하나로 한정되어 있다. 즉,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쪽이든 한쪽의 영상에 대한 조작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는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조작도 가능하게 되어 있지 않다. 조작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에 대한 조작 제어는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오조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조수석 방향으로부터 보 이는 조수석용 영상(GPA)(예를 들면, DVD 영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7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방향으로부터 보이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예를 들면, DVD 영상의 빨리 감기/되감기 등의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이 표시되어, 운전석 방향에서도 조작 화상(CPA)을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운전석 방향으로부터 보이는 운전석용 영상(GDR)(예를 들면, 지도 영상)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 7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수석 방향으로부터 보이는 조수석용 영상(GPA)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DR)이 표시되어, 조수석 방향에서도 조작 화상(CDR)을 볼 수 있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예를 들면, 운전자(DR)는 몸을 움직여, 조수석쪽으로부터 조수석용 영상(GPA)을 들여다 보지 않아도, 조작 화상(CPA)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조수석 탑승자(PA)가 어떠한 조작을 하고 있는지 감시할 수가 있다. 또한, 운전자(DR)가 조수석 탑승자(PA) 대신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을 행할 수도 있다. 이것은, 조수석 탑승자(PA)가 어린 아이이거나 고령자, 기계를 다루는 것이 서투른 사람인 경우에 특히 유효하게 된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나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를 누름으로써 사용자에게(조작이 가능한 영상을 어느쪽으로 설정하면 좋은지라는) 의사 표시를 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스피커(17)로부터 음성으로 질문을 출력하여, 사용자가 대답한 내용이나 사용자로부터 발화(發話)된 음성의 방향 등에 의하여, 조작이 가능한 영상을 결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제1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다른 영상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이 동시에 표시되게 되어 있지 않다. 예를 들면, 조작 화상(CDR)과 조작 화상(CPA)이 표시부(4)에 동시에 표시되게 되어 있지 않다. 즉, 조작 화상 데이터를 동시에 복수로 작성하지 않아도 된다.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려면 전용의 처리 회로 등이 필요하게 되고, 동시에 복수의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할 경우에는 독립된 상기 처리 회로가 필요하게 된다. 즉, 복수의 상기 처리 회로를 장비(裝備)하지 않으면 안 되고, 코스트 업이 된다. 그렇지만, 상기 제11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조작 화상 데이터를 동시에 복수로 작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복수의 상기 처리 회로를 장비하지 않아도 되고, 코스트 업을 막을 수가 있다.
다음은, 제1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다른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이외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00A)는, 제어부(100)에서 행하여지는, 처리동작[11-1](도 74 참 조)과 동일한 처리동작[12-1]을 행하여, 화소 표시를 제어하고, 운전자(DR)에 대하여 7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고, 조수석 탑승자(PA)에 대하여, 도 75(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게 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는, 도 8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방향에 대한 영상으로, 운전석용 영상(GDR)에,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DR)이 표시되고, 조수석 방향에 대한 영상으로, 블루백(GPA′)에 조작 화상(CDR)이 표시되게 되어 있다. 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는, 도 8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방향에 대한 영상으로서, 블루백(GDR′)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이 표시되고, 조수석 방향에 대한 영상으로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작 화상(CPA)이 표시되게 되어 있다.
다음은, 제1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A)가 행하는 처리동작[12-2]을 도 83a~도 83c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2-2]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부(4) 에 형성된 터치패널〔조작 스위치(BD1)~(BD6), (BA1)~(BA6)〕이나,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k), 리모콘(123) 등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 표시 플래그 fSE는 당연히 필요없고,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이라는 것은,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먼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B211)〕,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21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81 참조), 이어서, 조작이 가능한 영상을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먼저,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B21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DR)을 소거하고〔스텝(SB214)〕, 조수석용 영상(GPA) 대신에 표시하고 있던 블루백(GPA′)을 소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고〔스텝(SB215)〕,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DR을 정지시킨다〔스텝(SB216)〕.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여, 블루백(GDR′)을 표시하고〔스텝(SB217)〕,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218)〕,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제8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백(GDR′)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한다〔스텝(SB219)〕. 그 후, 조수석 플래그 fPA를 1로 설정하고〔스텝(SB220)〕,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PA를 0으로 하고 기동시킨다〔스텝(SB221)〕.
한편, 스텝(SB212)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222)〕.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도 75 참조), 스텝(SB217)으로 진행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한편, 스텝(SB222)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82 참조), 스 텝(SB211)에서 확인한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의 조작은, 조수석용 영상(GPA)을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되돌리는 지시로 간주하고,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22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PA)을 소거하고〔스텝(SB224)〕, 운전석용 영상(GDR) 대신에 표시하고 있던 블루백(GDR′)을 소거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고〔스텝(SB225)〕, 타이머 tPA를 정지시킨다〔스텝(SB226)〕.
또한, 스텝(SB211)에 있어서,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스텝(SB231)(도 83b)으로 진행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232)〕.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82 참조), 이어서, 조작이 가능한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먼저,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23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PA)을 소거하고〔스텝(SB234)〕, 운전석용 영상(GDR) 대신에 표시하고 있던 블루백(GDR′)을 소거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고〔스텝(SB235)〕, 타이머 tPA를 정지시킨다〔스텝(SB236)〕.
다음은,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여, 블루백(GPA′)을 표시하고〔스텝(SB237)〕,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238)〕,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8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및 블루백(GPA′)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DR)을 표시한다〔스텝(SB239)〕. 그 후,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하고〔스텝(SB240)〕, 타이머 tDR을 0으로 하고 기동시킨다〔스텝(SB241)〕.
한편, 스텝(SB232)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24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즉, 운전석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도 75 참조), 스텝(SB237)으로 진행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한편, 스텝(SB242)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81 참조), 스텝(SB231)에서 확인한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의 조작은, 운전석용 영상(GDR)을 조 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되돌리는 지시로 간주하고,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B24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DR)을 소거하고〔스텝(SB244)〕, 조수석용 영상(GPA) 대신에 표시하고 있던 블루백(GPA′)을 소거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고〔스텝(SB245)〕, 타이머 tDR을 정지시킨다〔스텝(SB246)〕.
또한, 스텝(SB231)에 있어서,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스텝(SB251)(도 83c)으로 진행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터치패널(118)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패널(118)이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25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B253)〕, 그 후, 타이머 tDR을 0으로 되돌린다〔스텝(SB254)〕.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255)〕.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B256)〕, 그 후,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B257)〕. 한편,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12-2]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B251)에 있어서, 터치패널(118)이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15j)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258)〕.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15j)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259)〕.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2개의 영상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남기기 위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스텝(SB260)〕,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261)〕,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해당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한다〔스텝(SB262)〕.
그 후,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263)〕,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B264)〕,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B265) 〕. 더욱이, 여기에서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분리 표시시에, 홀수열의 화소만을 사용하여 표시하고 있던 조수석용 영상(GPA)과 같은 것을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분리 표시시에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고 있던 것을 짝수열의 화소만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표시한다.
한편, 스텝(SB259)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는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남기기 위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스텝(SB266)〕,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267)〕,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DR)을 표시한다〔스텝(SB268)〕.
그 후,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B269)〕, 타이머 tDR을 정지시키고〔스텝(SB270)〕, 그 후, 스텝(SB265)으로 진행하여,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0으로 되돌린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분리 표시시에, 짝수열의 화소만을 사 용하여 표시하고 있던 운전석용 영상(GDR)과 같은 것을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분리 표시시에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고 있던 것을 홀수열의 화소만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표시한다.
또한, 스텝(SB258)에 있어서,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15j)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그 이외의 조작에 응한 종래대로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은, 제1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A)가 행하는 처리동작[12-3]을 도 84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2-3]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소정의 시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6초)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272)〕.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마지막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을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B27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DR)을 소거하고〔스텝(SB274)〕, 조수석용 영상(GPA) 대신에 표시하고 있던 블루백(GPA′)을 소거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고〔스텝(SB275)〕, 타이머 tDR을 정지시킨다 〔스텝(SB276)〕.
한편, 타이머 tDR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6초)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277)〕.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마지막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을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278)〕,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PA)을 소거하고〔스텝(SB279)〕, 운전석용 영상(GDR) 대신에 표시하고 있던 블루백(GDR′)을 소거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고〔스텝(SB280)〕, 타이머 tPA를 정지시킨다〔스텝(SB281)〕. 한편, 타이머 tPA는 소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12-3]을 종료한다.
상기 제12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조작 가능한 것이 많아도 하나로 한정되어 있다. 즉,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쪽이든 한쪽의 영상에 대한 조작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는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조작도 가능하게 되어 있지 않다. 조작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에 대한 조작 제어는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오조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다음은, 제1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다른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이외의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부(100B)는, 제어부(100)에서 행하여지는, 처리동작[11-1](도 74 참조)과 동일한 처리동작[13-1]를 행하여, 화소 표시를 제어하고,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도 75(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고,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도 75(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게 되어 있다.
또한,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는, 도 8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방향 및 조수석 방향에 대한 영상으로, 운전석용 영상(GDR)에,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DR)을 표시하게 되어 있다. 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는, 도 8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 방향 및 조수석 방향에 대한 영상으로, 조수석용 영상(GPA)에, 해당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게 되어 있다.
다음은, 제1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B)가 행하는 처리동작[13-2]을 도 87a~도 87c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3-2]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 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터치패널〔조작 스위치(BD1)~(BD6), (BA1)~(BA6)〕이나,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k), 리모콘(123) 등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 표시 플래그 fSE는 당연히 필요없고,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이라는 것은,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먼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B311)〕,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31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85 참조), 이어서, 조작이 가능한 영상을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먼저,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B31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DR)을 소거하고〔스텝(SB314)〕, 조수석용 영상(GPA) 대신에 표시하고 있던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고〔스텝(SB315)〕,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 정하기 위한 타이머 tDR을 정지시킨다〔스텝(SB316)〕.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고〔스텝(SB317)〕,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318)〕,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8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수석용 영상(GPA)에, 해당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한다〔스텝(SB319)〕. 그 후, 조수석 플래그 fPA를 1로 설정하고(스텝(SB320)〕,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PA를 0으로 하고 기동시킨다〔스텝(SB321)〕.
한편, 스텝(SB312)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322)〕.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도 75 참조), 스텝(SB317)으로 진행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한편, 스텝(SB322)에 대하여,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 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86 참조), 스텝(SB311)에서 확인한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의 조작은, 조수석용 영상(GPA)을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되돌리는 지시로 간주하여,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32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PA)을 소거하고〔스텝(SB324)〕, 운전석용 영상(GDR) 대신에 표시하고 있던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고〔스텝(SB325)〕, 타이머 tPA를 정지시킨다〔스텝(SB326)〕.
또한, 스텝(SB311)에 있어서,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스텝(SB331)(도 87b)으로 진행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332)〕.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86 참조), 이어서, 조작이 가능한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먼저,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33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PA)을 소거하고〔스텝(SB334)〕, 운전석용 영상(GDR) 대신에 표시하고 있던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고〔스텝(SB335)〕, 타이머 tPA를 정지시킨다〔스텝(SB336)〕.
다음은,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고〔스텝(SB337)〕,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338)〕,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8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DR)을 표시한다〔스텝(SB339)〕. 그 후,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하고〔스텝(SB340)〕, 타이머 tDR을 0으로 하고 기동시킨다〔스텝(SB341)〕.
한편, 스텝(SB332)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34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즉, 운전석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도 75 참조), 스텝(SB337)으로 진행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한편, 스텝(SB342)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85 참조), 스텝(SB331)에서 확인한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의 조작은, 운전석용 영상(GDR)을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되돌리는 지시로 간주하고,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B34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DR)을 소거하고〔스텝(SB344)〕, 조수석용 영상(GPA) 대신에 표시하고 있던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고〔스텝(SB345)〕, 타이머 tDR을 정지시킨다〔스텝(SB346)〕.
또는, 스텝(SB331)에 있어서,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스텝(SB351)(도 87c)으로 진행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터치패널(118)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더욱이, 이 이후의 스텝(SB351)~(SB370)의 처리동작은, 도 83c에 도시한 스텝(SB251)~(SB270)과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은, 제1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B)가 행하는 처리동작[13-3]을 도 88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3-3]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소정의 시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6초)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372)〕.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마지막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을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B37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DR)을 소거하고〔스텝(SB374)〕, 조수석용 영상(GPA) 대신에 표시하고 있던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고〔스텝(SB375)〕, 타이머 tDR을 정지시킨다〔스텝(SB376)〕.
한편, 타이머 tDR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6초)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377)〕.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마지막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을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378)〕,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PA)을 소거하고〔스텝(SB379)〕, 운전석용 영상(GDR) 대신에 표시하고 있던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고,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표시하고〔스텝(SB380)〕, 타이 머 tPA를 정지시킨다〔스텝(SB381)〕. 한편, 타이머 tPA는 소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13-3]을 종료한다.
상기 제1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조작 가능한 것이 많아도 하나로 한정되어 있다. 즉,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쪽이든 한쪽의 영상에 대한 조작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는 어느 하나의 영상에 대한 조작도 가능하게 되어 있지 않다. 조작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에 대한 조작 제어는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오조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 제11~제1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조작이 가능한 영상이나, 그 영상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을 상대방에게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상대방의 영상이나 조작 화상을 표시하여 유용한 효과를 발휘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가 있는 것을 생각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주행중에 운전자(DR)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의 DVD 영상이나 TV 영상과 같은 동영상을 그대로 표시하는 것은 안전면에서는 바람직하다고는 말할 수가 없다.
그래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조작하는 조작 환경(예를 들면, 운전석/조수석, 주행중/정지중)이나 영상의 종류에 의거하여, 운전석 방향이나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는 영상 등의 표시 형태를 변경하도록 하여도 좋다.
표시 형태의 변경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아래의 a, b를 들 수가 있다.
(a) 조수석용 영상(GPA)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설정되었을 경우
(i) 차량이 주행중일 때
(1)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지 않는다.
(2-1) 조수석용 영상(GPA)이 DVD 영상이나 TV 영상과 같은 동영상인 경우,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지 않는다, 또는 정지화면을 표시한다.
(2-2) 조수석용 영상(GPA)이 동영상이 아닌 경우,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한다.
(ii) 차량이 정지하여 있을 때
(1) 영상의 종류에 관계없이,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한다.
(b) 운전석용 영상(GDR)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설정되었을 경우
차량의 주행 상태나 영상의 종류에 관계없이,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예를 들면, 지도 영상)을 표시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은 조작 환경이나 영상의 종류에 의거하여, 표시 형태를 변경할 경우의 처리동작[11-2A]~[13-2A]을, 도 89~도 91에 도시한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단, 처리동작[11-2A]~[13-2A]은 각각, 도 79, 도 83, 도 87에서 설명한 처리동작[11-2]~[13-2]을 변경한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변경한 개소(個所)에 대하여서만 설명한다.
먼저, 도 89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처리동작[11-2A]을 설명한다. 스텝(SB16A)에 있어서,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는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16)〕,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7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의 2영상에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고〔스텝(SB17)〕, 그 후, 스텝(SB18)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표시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16B)〕,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고〔스텝(SB16C)〕, 그 후, 스텝(SB18)으로 진행한다.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조작 화상(CPA)은 표시하지 않는다.
더욱이, 상기 표시 조건으로는, 아래의 a~c를 들 수가 있다.
a) 차량이 주행중이 아닌 것.
b) 조수석용 영상(GPA)이 DVD 영상이나 TV 영상과 같은 동영상이 아닌 것.
c) 운전자(DR)가 승차하고 있는 것.
d) 상기 a~c를 조합한 것.
차량이 주행중인지, 정지중인지는, 내비게이션부(106)로부터 얻어지는 차속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할 수가 있다. 물론, 차속 센서로부터 직접 차속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조수석용 영상(GPA)이 DVD 영상이나 TV 영상과 같은 동영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는, CD/MD 재생부(101), 라디오 수신부(102), TV 수신부(103), DVD 재생부(104), HD 재생부(105), 및 내비게이션부(106) 등의 각종 소스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할 수가 있다. 운전자(DR)가 승차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는, 차량 내에 설치한 탑승자 검지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할 수가 있다.
다음은, 도 90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처리동작[12-2A]을 설명한다. 스텝(SB217A)에 있어서,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는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여, 블루백(GDR′)을 표시하고〔스텝(SB217)〕,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218)〕,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8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루백(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고〔스텝(SB219)〕, 그 후, 스텝(SB220)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표시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217B)〕,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고〔스텝(SB217C)〕, 그 후, 스텝(SB220)으로 진행한다.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조작 화상(CPA)은 표시하지 않는다.
다음은, 도 91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처리동작[13-2A]을 설명한다. 스텝(SB317A)에 있어서,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는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고,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표시하고〔스텝(SB317)〕,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318)〕,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8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수석용 영상(GPA)에, 해당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고〔스텝(SB319)〕, 그 후, 스텝(SB320)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표시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여, 블루백(GDR′)을 표시하고〔스텝(SB317B)〕,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317C)〕,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블루백(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고〔스텝(SB317D)〕, 그 후, 스텝(SB220)으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제11~제13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 중 어느 경우일지라도, 운전석 방향 및 조수석 방향의 양방향에 대하여, 조작 화상(CDR), (CPA)이 표시되고, 서로 상대의 조작을 감시하거나, 대신하여 조작을 할 수가 있도록 하고 있지만, 조수석 탑승자(PA)가 어린 아이나 고령자인 경우, 조수석 탑승자(PA)에게 운전자(DR)의 조작을 감시시킬 필요성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작의 보조를 필요로 하는 조작 피보조 영상(조작 피보조자)이나, 조작을 보조하는 조작 보조자를 설정하여, 조작 화상(CDR), (CPA)의 표시에 제한을 가미하도록 하여도 좋다. 아래의 a~d를 예로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조작 피보조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조수석용 영상(GPA)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되었을 경우
→도 7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한다.
(b) 조작 피보조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운전석용 영상(GDR)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되었을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화상(CDR)을 표시하지 않는다.
(c) 운전자(DR)가 조작 보조자로 설정되어 있어, 조수석용 영상(GPA)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되었을 경우
→도 7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한다.
(d) 조수석 탑승자(PA)는 조작 보조자로 설정되어 있지 않고, 운전석용 영상(GDR)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되었을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화상(CDR)을 표시하지 않는다.
더욱이, 어느 영상이 조작 피보조 영상이며, 누가 조작 피보조자이고, 조작 보조자인지는, 예를 들면, 도 9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을 표시부(4)에 표시하여, 리모콘(123) 등을 사용하여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도록 하면 좋다.
도 92(a)에 도시한 영상상에 있어서, 내비게이션부(106)에 의한 지도 영상, DVD 재생시에 표시되는 영상(영화 등), CD 재생시에 표시되는 영상, 라디오 방송 수신시에 표시되는 영상, 텔레비전 방송 수신시에 표시되는 각각의 영상에 대하여, 조작의 보조가 필요한지 아닌지의 여부를 설정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 92(b)에 도시한 영상상에 있어서, 운전석〔운전자(DR)〕, 조수석〔조수석 탑승자(PA)〕 각각에 대하여, 조작 보조쪽, 조작 피보조쪽, 또는 어느쪽도 아닌, 어느쪽이든 하나를 설정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또는, 초기설정으로, 운전자(DR)는 조작 보조자이며, 조수석 탑승자(PA)는 조작 피보조자로 정하여 두어도 좋다.
다음은, 조작 보조자, 조작 피보조자를 고려하여, 표시 형태를 변경할 경우의 처리동작[11-2B],[11-2C]을, 도 93, 도 94에 도시한 플로차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단, 처리동작[11-2B],[11-2C]은 각각, 도 79에서 설명한 처리동작[11-2]을 변경한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변경한 개소(個所)에 대하여서만 설명한다.
먼저, 도 93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처리동작[11-2B]을 설명한다. 스텝(SB16a)에 있어서, 조수석 탑승자(PA)가 조작 피보조자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조수석 탑승자(PA)가 조작 피보조자로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16)〕,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7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 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의 2영상에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고〔스텝(SB17)〕, 그 후, 스텝(SB18)으로 진행한다.
한편, 조수석 탑승자(PA)가 조작 피보조자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16b)〕,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만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고〔스텝(SB16c)〕, 그 후, 스텝(SB18)으로 진행한다.
더욱이, 조수석 탑승자(PA)가 조작 피보조자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도 92(b)에 도시한 영상상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내용에 의거하여 판단하는 방법이나, 조수석 탑승자(PA)가 어린 아이나 고령자인 경우, 조수석 탑승자(PA)는 조작 피보조자로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조수석 탑승자(PA)가 어린 아이나 고령자인지 아닌지의 여부에 관한 판단에 대하여서는, 조수석 시트에 하중 센서를 설치하여, 조수석에 착석하여 있는 탑승자의 체중으로 판단하는 방법이나, 도 95에 도시한 영상상에 있어서, 탑승자에 관한 정보를 등록해 두어, 등록된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다음은, 도 94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처리동작[11-2C]을 설명한다. 스텝(SB16d)에 있어서, 운전자(DR)가 조작 보조자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자(DR)가 조작 보조자로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16)〕, 작성한 조작 화 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7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의 2영상에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고〔스텝(SB17)〕, 그 후, 스텝(SB18)으로 진행한다.
한편, 운전자(DR)가 조작 보조자가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16e)〕,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만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고〔스텝(SB16f)〕, 그 후, 스텝(SB18)으로 진행한다.
다음은, 제1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다른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96은, 제1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관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중 (201A)는 표시장치를 나타내고 있고, 표시장치(201A)는 터치패널(118)이 그 표면에 형성된 표시부(4)와, 그 주위에 설치된 조작부(15)〔조작 스위치(15a)~(15h)〕와, 조수석 전환 스위치(P)(15i)와,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분리 해제)(15j)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차 배리어(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일 화면상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과 조수석용 영상(GPA)을 분리 표 시하여,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視認)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C)가 행하는 처리동작[14-1]을 도 97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4-1]은,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키기 위한 분리 표시(멀티뷰)가, 표시부(4)에 형성된 조작 스위치나 조작부(15), 리모콘(123) 등이 조작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지시받았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더욱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즉,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이 ON이 된 후부터 분리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분리 표시의 지시는 필요없고, 지금부터 설명하는 처리동작[14-1]은 필요없게 되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에 대하여서도 필요없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분리 표시의 지시를 받으면, 먼저,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도 9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영상 중 한쪽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서 표시하고, 나머지를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 표시하고〔스텝(SB81)〕, 그 후,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1로 설정한다〔스텝(SB82)〕.
더욱이, 분리 표시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한 지도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지도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하고, 텔레비전 영상이나 영화 등은,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하는 방법이나, 각 가시방향 각각에서의 라스트 메모리나, 빈도가 높은 것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고, 분리 표시 개시시에 있어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은,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83)〕,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9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DR)을 표시하도록 하고〔스텝(SB84)〕, 그 후,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함과 동시에,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설정한다〔스텝(SB85), (SB86)〕. 이렇게 함으로써, 이 시점에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되어 있다.
도 98(a)는 운전석용 영상(GDR)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8(b)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도시한 도면이며,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운전석용 영상(GDR)에,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DR)이 표시되게 되어 있다. 한편,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경우는, 도 9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해당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이 표시되게 되어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조작 화상(CDR)을 운전석용 영상(GDR)에만 표시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는 표시하지 않게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0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수석용 영상(GPA)에도 조작 화상(CDR)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은, 제1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C)가 행하는 처리동작[14-2]을 도 101a, 도 101b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4-2]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터치패널〔조작 스위치(BD1)~(BD6), (BA1)~(BA6)〕이나,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j), 리모콘(123) 등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 표시 플래그 fSE는 당연히 필요없고,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이라는 것은,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먼저, 조작이 가능한 영상을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바꾸기 위하여 사용하 는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B91)〕,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9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98 참조), 이어서, 조작이 가능한 영상을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먼저,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B9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DR)을 소거한다〔스텝(SB94)〕.
다음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95)〕,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9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의 2영상에, 해당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한다〔스텝(SB96)〕. 그 후, 조수석 플래그 fPA를 1로 설정하고〔스텝(SB97)〕, 타이머 tPA를 0으로 하고 기동시킨다〔스텝(SB98)〕.
더욱이, 여기에서는,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의 2영상에,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게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10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는 표시하지 않고, 조수석용 영상(GPA)에만 조작 화 상(CPA)을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스텝(SB92)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99)〕.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99 참조), 스텝(SB91)에서 확인한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의 조작은, 조수석용 영상(GPA)을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되돌리는 지시로 간주하여,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100)〕,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PA)을 소거하고〔스텝(SB101)〕, 타이머 tPA를 정지시킨다〔스텝(SB102)〕.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103)〕,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9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조작 화상(CDR)을 표시하도록 하고〔스텝(SB104)〕, 그 후,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한다[스텝(SB105)〕. 한편, 스텝(SB99)에 있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였을 경우에는, 그대로 처리동작[14-2]을 종료한다.
또는, 스텝(SB91)에 있어서,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 고 판단하면, 이어서, 스텝(SB111), (도 101b)으로 진행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터치패널(118)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패널(118)이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11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한다〔스텝(SB113)〕.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114)〕.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B115)〕, 그 후,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B116)〕. 한편,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14-2]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B111)에 있어서, 터치패널(118)이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15j)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117)〕.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15j)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 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118)〕.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남기기 위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스텝(SB119)〕,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120)〕,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DR)을 표시한다〔스텝(SB121)〕.
그 후,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B122)〕,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B123)〕. 더욱이, 여기에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분리 표시시에, 짝수열의 화소만을 사용하여 표시하고 있던 운전석용 영상(GDR)과 같은 것을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분리 표시시에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고 있던 것을 홀수열의 화소만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표시한다.
한편, 스텝(SB118)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2개의 화면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남기기 위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스텝(SB124)〕,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125)〕,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해당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한다〔스텝(SB126)〕.
그 후,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127)〕,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B128)〕, 스텝(SB123)으로 진행하여,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0으로 되돌린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분리 표시시에, 홀수열의 화소만을 사용하여 표시하고 있던 조수석용 영상(GPA)과 같은 것을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분리 표시시에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고 있던 것을 짝수열의 화소만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표시한다.
또한, 스텝(SB117)에 있어서,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15j)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그 이외의 조작에 응한 종래대로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은, 제1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C)가 행하는 처리동작[14-3]을 도 103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4-3]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소정의 시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6초)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132)〕.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마지막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용 영상(GPA)을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되돌리기 위하여,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13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PA)을 소거하고〔스텝(SB134)〕, 타이머 tPA를 정지시킨다〔스텝(SB135)〕. 한편, 타이머 tPA는 소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4-3]을 종료한다.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136)〕,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9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에 조작 화상(CDR)을 표시하도록 하고〔스텝(SB137)〕, 그 후,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한다〔스텝(SB138)〕.
상기 제1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조작 가능한 것이 하나로 한정되어 있다. 즉,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 중 어느쪽이든 한쪽의 영상 에 대한 조작만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조작이 가능하지 않은 영상에 대한 조작 제어는 행하여지지 않기 때문에, 오조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의하면, 조수석 방향으로부터 보이는 조수석용 영상(GPA)(예를 들면, DVD 영상)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예를 들면, DVD 영상의 빨리 감기/되감기 등의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은, 조수석용 영상(GPA)뿐만이 아니라, 운전석용 영상(GDR)에도 표시된다(도 99 참조).
이렇게 함으로써, 운전자(DR)는 몸을 움직여, 조수석쪽으로부터 조수석용 영상(GPA)을 들여다 보지 않아도, 조작 화상(CPA)을 볼 수가 있기 때문에, 조수석 탑승자(PA)가 어떠한 조작을 하고 있는지 감시할 수가 있다. 또는, 운전자(DR)가 조수석 탑승자(PA) 대신에 조수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을 행할 수도 있다. 이들은, 조수석 탑승자(PA)가 어린 아이이거나 고령자, 기계를 다루는 것이 서투른 사람인 경우에 특히 유효하게 된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운전석용 영상(GDR)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DR)은, 조수석용 영상(GPA)에는 표시되지 않고, 운전석용 영상(GDR)에만 표시된다(도 98 참조). 이렇게 함으로써, 필요 이상으로 불필요한 화상 이 표시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제14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우선권을 설정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조수석용 영상(GPA)에 우선권을 설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이 경우에는, 도 10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패널(118)이 그 표면에 형성된 표시부(4)와, 그 주위에 설치된 조작부(15)〔조작 스위치(15a)~(15h)〕와,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분리 해제)(15j)와, 운전석 전환 스위치(D)(15k)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시장치(201B)를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우선권에 대하여서는, 도 10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영상상에 있어서,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할 수가 있도록 하여도 좋다. 더욱이, 이 경우에는, 도 73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수석 전환 스위치(P)(15i)와 운전석 전환 스위치(D)(15k)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표시장치(201)을 채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은, 제1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그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은, 제어부(100)를 제외하고, 도 5에 도시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과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어부에는 다른 부호를 부기하고, 여기에서는 그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6은, 제1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외관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 중 (201C)는 표시장치를 나타내고 있고, 표시장치(201C)는 터치패널(118)이 그 표면에 형성된 표시부(4)와, 그 주위에 설치된 조작부(15)〔조작 스위치(15a)~(15h)〕와, 조수석 전환 스위치(P)(15i)와,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분리 해제)(15j)와, 운전석 전환 스위치(D)(15k)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표시부(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차 배리어(26)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동일 화면상에 있어서, 운전석용 영상(GDR)과 조수석용 영상(GPA)을 분리 표시하여,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킬 수 있게 되어 있다.
제1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D)가 행하는 처리동작[15-1]을 도 107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5-1]은, 운전자(DR)에게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시인시키고, 조수석 탑승자(PA)에게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시인시키기 위한 분리 표시(멀티뷰)가, 표시부(4)에 형성된 조작 스위치나 조작부(15), 리모콘(123) 등이 조작됨으로써 사용자로부터 지시받았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더욱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즉,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의 전원이 ON이 된 후부터 분리 표시가 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로부터의 분리 표시의 지시는 필요없고, 지금부터 설명하는 처리동작[15-1]은 필요없게 되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에 대하여서도 필요없게 된다.
사용자로부터 분리 표시의 지시를 받으면, 먼저, 소정의 조건에 의거하여, 도 75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의 영상 중 한쪽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서 표시하고, 나머지를 조수석용 영상(GPA)으로서 표시하고〔스텝(SB401)〕, 그 후,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1로 설정한다〔스텝(SB402)〕.
더욱이, 분리 표시의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목적지까지 유도하기 위한 지도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지도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하고, 텔레비전 영상이나 영화 등은,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하는 방법이나, 각 가시방향 각각에서의 라스트 메모리나, 빈도가 높은 것을 표시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또는, 여기에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고, 분리 표시 개시시에 있어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다음은, 조수석용 영상(GPA)에 우선권을 설정하는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에 이용하는 각종 정보를 취득하고〔스텝(SB403)〕, 취득한 각종 정보에 의거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우선권을 설정하는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404)〕. 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우선권을 설정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405)〕,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7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DR)을 표시하도록 하고〔스텝(SB406)〕, 그 후,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함과 동시에,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설정하고〔스텝(SB407), (SB408)〕, 운전석용 영상(GDR)에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우선권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한다〔스텝(SB409)〕. 이렇게 함으로써, 이 시점에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조작 화상(CDR)을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하게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9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 화상(CDR)을 운전석용 영상(GDR)에만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한편, 스텝(SB404)에 있어서, 상기 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우선권을 설정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410)〕,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7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도록 하고〔스텝(SB411)〕, 그 후, 조수석 플래그 fPA를 1로 설정함과 동시에, 운전석 플 래그 fDR을 0으로 설정하고〔스텝(SB412), (SB413)〕, 우선권 플래그 FDR을 0으로 설정한다〔스텝(SB414)〕. 이렇게 함으로써, 이 시점에서는 조수석용 영상(GDR)이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되어 있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조작 화상(CPA)을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표시하게 되어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조작 화상(CPA)을 조수석용 영상(GPA)에만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조수석용 영상(GPA)에 우선권을 설정하는 조건(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아래의 a~d를 들 수가 있다.
a) 표시되는 영상의 종류마다 순위를 부기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이 운전석용 영상(GDR)보다 높은 순위의 영상인 경우, 상기 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A순위 : 지도 영상
B순위 : 라디오 방송 수신시의 영상, 텔레비전 영상
C순위 : CD/MD 재생시의 영상, DVD 영상
D순위 : 기타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지도 영상이 표시되고,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DVD 영상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설정 조건은 성립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
b) 차량의 주행 상태에 의거하여 판단
·주행중인 경우, 상기 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차량의 주행 상태에 대하여서는, 내비게이션부(106)로부터 얻어지는 차속에 관한 정보 등에 의거하여 판단할 수가 있다.
c) 차량으로의 승차 상황에 의거하여 판단
·운전자(DR)가 승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승차 상황에 대하여서는, 차량 내에 설치된 탑승자 검지 센서로부터 얻어지는 정보 등에 의거하여 판단할 수가 있다.
d)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하여 추정되는 조작 빈도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하여 추정되는 조작 빈도보다 높은 경우, 상기 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지도 영상에 대한 조작 회수는, 목적지 설정 조작 등, 목적지까지의 유도가 개시될 때까지는, 비교적 많아질 것으로 생각되지만, 일단 목적지까지의 유도가 개시되면, 그 조작 회수는 적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바꿔 말하면, 유도 개시까지는, 지도 영상에 대한 조작 빈도는 높아지지만, 유도 개시 후에는, 지도 영상에 대한 조작 빈도는 낮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DVD 영상(특히 영화)에 대하여서도, 재생 개시 후에는, 조작 빈도는 낮아질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CD/MD 등으로부터 음악이 흐르고 있는 경우에는, 선곡 조작 등이 가끔 행하여져 조작 빈도는 보통일 것으로 추정된다.
예를 들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지도 영상(빈도 많음/빈도 적음)이 표시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CD/MD 재생시의 영상(빈도 보통)이 표시되어 있는 경우, 유도 개시까지는 상기 설정 조건은 성립하지 않지만, 유도 개시 후에는 상기 설정 조건이 성립하게 된다.
더욱이, 유도가 개시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으로는, 내비게이션부(106)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의거하여 판단하는 방법이나, 엔진 ON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방법을 들 수가 있다.
다음은, 제1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가 행하는 처리동작[15-2]을 도 108a~도 108c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5-2]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사용자에 의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터치패널〔조작 스위치(BD1)~(BD6), (BA1)~(BA6)〕이나, 조작부(15)를 구성하는 조작 스위치(15a)~(15k), 리모콘(123) 등이 조작되었을 경우에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분리 표시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분리 표시 플래그 fSE는 당연히 필요없고,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이라는 것은, 개시 조건에 포함되지 않는다.
먼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B421)〕,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42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76 참조), 이어서, 조작이 가능한 영상을 조수석용 영상(GPA)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먼저,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B42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DR)을 소거한다〔스텝(SB424)〕.
다음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425)〕,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7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의 2영상에,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한다〔스텝(SB426)〕. 그 후, 조수석 플래그 fPA를 1로 설정하고〔스텝(SB427)〕, 우선권 플래그 FDR이 0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428)〕.
우선권 플래그 FDR이 0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동작하고 있던 타이머 tDR을 정지시킨다〔스텝(SB429)〕. 한편, 우선권 플래그 FDR이 0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PA를 0으로 하고 기동시킨다〔스텝(SB430)〕.
한편, 스텝(SB422)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431)〕, 처리동작[15-2]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B421)에 있어서, 조수석 전환 스위치(15i)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스텝(SB441)(도 108b)으로 진행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을 가능하게 설정하기 위한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442)〕.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도 77 참조), 이어서, 조작이 가능한 영상을 운전석용 영상(GDR)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먼저,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443)〕,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PA)을 소거한다〔스텝(SB444)〕.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445)〕,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76에 도 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조수석용 영상(GPA)의 2영상에,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DR)을 표시한다〔스텝(SB446)〕. 그 후,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하고〔스텝(SB447)〕, 우선권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448)〕.
우선권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동작하고 있던 타이머 tPA를 정지시킨다〔스텝(SB449)〕. 한편, 우선권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이 행하여지지 않은 시간(즉, 마지막 조작으로부터의 시간)을 측정하기 위한 타이머 tDR을 0으로 하고 기동시킨다〔스텝(SB450)〕.
한편, 스텝(SB442)에 있어서, 운전석용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타이머 tDR을 0으로 되돌리고〔스텝(SB451)〕, 처리동작[15-2]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B441)에 있어서, 운전석 전환 스위치(15k)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스텝(SB461)(도 108c)으로 진행하여, 표시부(4)에 형성된 터치패널(118)이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터치패널(118)이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462)〕.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B463)〕, 그 후, 타이머 tDR을 0으로 되돌린다〔스텝(SB464)〕.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465)〕.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상기 조작에 응한 조작 제어를 행하고〔스텝(SB466)〕, 그 후, 타이머 tPA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B467)〕. 한편,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상기 조작을 무효하게 하고, 그대로 처리동작[15-2]을 종료한다.
또한, 스텝(SB461)에 있어서, 터치패널(118)이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15j)가 조작되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468)〕.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15j)가 조작되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469)〕.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이 가능한 상태로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2개의 영상 중, 운전석용 영상(GDR)을 남기기 위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소거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스텝(SB470),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471)〕,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에, 해당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DR)을 표시한다〔스텝(SB472)〕.
그 후, 운전석용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473)〕, 타이머 tDR을 정지시키고〔스텝(SB474)〕,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0으로 되돌린다〔스텝(SB475)〕. 더욱이, 여기에서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분리 표시시에, 짝수열의 화소만을 사용하여 표시하고 있던 운전석용 영상(GDR)과 같은 것을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분리 표시시에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고 있던 것을 홀수열의 화소만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표시한다.
한편, 스텝(SB469)에 있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이어서, 2개의 화면 중, 조수석용 영상(GPA)을 남기기 위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소거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스텝(SB476)〕,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스텝(SB477)〕,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해당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CPA)을 표시한다〔스텝(SB478)〕.
그 후,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되돌리고〔스텝(SB479)〕, 타이머 tPA를 정지시키고〔스텝(SB480)〕, 스텝(SB475)으로 진행하여, 분리 표시 플래그 fSE를 0으로 되돌린다. 더욱이, 여기에서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전체 화면으로 표시하도록 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분리 표시시에, 홀수열의 화소만을 사용하여 표시하고 있던 조수석용 영상(GPA)과 같은 것을 운전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도록 하여도 좋다. 즉, 분리 표시시에 조수석 방향에 대하여 표시하고 있던 것을 짝수열의 화소만을 사용하여 동일하게 표시한다.
또한, 스텝(SB468)에 있어서, 분리 표시 해제 스위치(15j)가 조작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그 이외의 조작에 응한 종래대로의 처리를 행한다.
다음은, 제1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D)가 행하는 처리동작[15-3]을 도 109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5-3]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소정의 시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우선권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하고〔스텝(SB481) 〕, 우선권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482)〕.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지만,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은 조수석용 영상(GPA)이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6초)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483)〕.
한편, 조수석 플래그 fPA가 1이 아니라〔즉, 우선권으로 설정되어 있는 운전석용 영상(GDR)이 조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5-3]을 종료한다.
스텝(SB483)에 있어서, 타이머 tPA가 소정의 시간 T 이상〔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마지막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운전석용 영상(GDR)을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을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하기 위하여, 조수석 플래그 fPA를 0으로 하고〔스텝(SB484)〕,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PA)을 소거하고〔스텝(SB485)〕, 타이머 tPA를 정지시킨다〔스텝(SB486)〕. 한편, 타이머 tPA는 소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15-3]을 종료한다.
다음은,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487)〕,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7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작 화상(CDR)을 표시하도록 하고〔스텝(SB488)〕, 그 후, 운전석 플래그 fDR을 1로 설정한다〔스텝(SB489)〕.
또한, 스텝(SB481)에 있어서, 우선권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490)〕.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라〔즉, 조수석용 영상(GPA)에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지만,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은 운전석용 영상(GDR)이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예를 들면, 6초) 이상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491)〕.
한편, 운전석 플래그 fDR이 1이 아니라〔즉, 우선권으로 설정되어 있는 조수석용 영상(GPA)이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15-3]을 종료한다.
스텝(SB491)에 있어서, 타이머 tDR이 소정의 시간 T 이상이라〔즉, 운전석용 영상(GDR)에 대한 마지막 조작이 행하여지고 나서 6초 경과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조수석용 영상(GPA)을 조작이 가능한 영상으로 하여, 운전석용 영상(GDR)을 조작이 불가능한 영상으로 하기 위하여, 운전석 플래그 fDR을 0으로 하고〔스텝(SB492)〕, 표시부(4)로부터 조작 화상(CDR)을 소거하고〔스텝(SB493)〕, 타이머 tDR을 정지시킨다〔스텝(SB494)〕. 한편, 타이머 tDR은 소정의 시간 T 이상이 아니라고 판단하면, 그대로 처리동작[15-3]을 종료한다.
다음은, 조수석용 영상(GPA)에 대한 조작 입력을 하기 위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스텝(SB495)〕, 작성한 조작 화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7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용 영상(GDR) 및 조수석용 영상(GPA)에 조작 화상(CPA)을 표시하도록 하고〔스텝(SB496)〕, 그 후, 조수석 플래그 fPA를 1로 설정한다〔스텝(SB497)〕.
다음은, 제1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부(100D)가 행하는 처리동작[15-4]을 도 110에 도시한 플로차트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더욱이, 이 처리동작[15-4]은, 상기 분리 표시가 행하여지고 있을 때(즉, 분리 표시 플래그 fSE가 1일 때)에, 소정의 시간마다 행하여지는 동작이다.
먼저, 조수석용 영상(GPA)에 우선권을 설정하는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의 판단에 이용하는 각종 정보를 취득하고〔스텝(SB501)〕, 취득한 각 종 정보에 의거하여, 조수석용 영상(GPA)에 우선권을 설정하는 조건이 성립하고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단한다〔스텝(SB502)〕.
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우선권 플래그 FDR을 0으로 하고, 조수석용 영상(GPA)에 우선권을 설정한다〔스텝(SB503)〕. 한편, 상기 설정 조건이 성립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면, 이어서, 우선권 플래그 FDR을 1로 하고, 운전석용 영상(GDR)에 우선권을 설정한다〔스텝(SB504)〕.
상기 제1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가 채용된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에 의하면, 우선권은 고정되지 않고, 그때 그때의 상황에 따라 전환되기 때문에, 편리성을 높이거나, 차량 주행의 안전성을 높여,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가 있다.
더욱이, 상기 제15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서는, 표시되어 있는 영상의 종류나, 주행 상태, 승차 상황, 각 영상에 대한 조작 빈도에 의거하여, 우선권을 자동적으로 바꾸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다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조작을 행할 때마다, 2개의 상태를 교대로 바꿀 수 있는 토글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의사로 사이클릭에 우선권을 바꿀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여기까지, AV 내비게이션 시스템으로 채용하여,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여 왔지만,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차량에 탑재하는 것에 채용이 한정되지 않고, 가정용 텔레비전 등에 채용하여도 좋고,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개별 정보를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유효하게 된다. 또한, 가시방향은 2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3방향 이상이어도 좋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의 제16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구성은, 제1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도 동일하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서, 제1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에 있어서의 조작 입력 제어 처리와 표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미 말한 것처럼, 단일 디스플레이로 탑승자의 착석 각도로부터 각각 다른 화상을 시인할 수가 있는 멀티 디스플레이를 적용하였을 경우, 운전석쪽으로부터는 예를 들면 지도 화상, 조수석쪽으로부터는 목적지의 조작 화상이 보이고, 조수석쪽으로부터 그 목적지 설정을 위한 조작(터치패널에 의한 조작) 화상을 볼 수가 있으며, 그 조작을 행할 수가 있다. 그렇지만, 주행시 등에서는 조작에 규제가 걸리기 때문에, 종래에는 조수석쪽으로부터 애써 행한 조작도 접수가 금지되어, 조작할 수가 없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주행 규제가 걸릴지라도, 조수석쪽(운전석 이외)으로부터의 조작에 대하여서는, 그 조작을 받아들이도록 한다. 즉, 자기차량이 정지할 때에는, 운전석쪽 및 조수석쪽에는 각각 내비게이션 장치를 동작시키는 조작 화상(터치패널 등의 버튼)을 표시하지만, 자기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운전석쪽은 종전과 같이 내비게이션 장치를 동작시키는 조작 화상(터치패널 등의 버튼)은 표시시키지 않고, 운전에 적절한 표시를 행하고(또는 버튼의 표시는 하지만, 조작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한편 조수석쪽에는, 내비게이션 장치를 동작시키는 조작 화상(터치패널 등의 버튼)을 표시시켜, 조수석쪽에서도 조작할 수가 있 도록 한다. 더욱이, 내비게이션 장치를 고집하는 일 없이, 오디오ㆍ비주얼 등에 대한 표시ㆍ조작 화상이어도 좋다.
또한, 이러한 조작의 접수에 관한 것 뿐만이 아니라, 운전석쪽에 적절한 표시, 조수석쪽(운전석 이외)에 적절한 표시를 각각 제어하여 표시시키는 것도 특징이다. 예를 들면, 영화 등은, 운전석쪽은 표시를 금지하고, 조수석쪽에 대하여서는 표시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이들을 포괄하면, 멀티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운전석에 대한 조작의 접수, 혹은 표시에 대하여서만 운전에 적절한 내용으로 제한하고, 운전석 이외에 대한 조작의 접수, 혹은 표시에 대하여서는, 이러한 제한을 행하지 않도록 한다.
도 111은, 제16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로서의 차재 장치(301)의 개요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동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재 장치(301)는, 그 내부에 주제어부(311), 내비게이션 유닛(312), AV(오디오·비주얼) 유닛(13), 조작 입력 접수부(321), 차속 센서(322), 변속 기구 상태 검지부(323), 브레이크 상태 검지부(324), 핸들 조작 상태 검지부(326), 표시 처리부(331), 음성 처리부(332), 디스플레이(341) 및 스피커(342)를 가진다.
조작 입력 접수부(321)는, 스위치나 터치패널 등을 이용한 탑승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처리부이며, 그 내부에 조작자 식별부(321a)를 구비한다. 조작자 식별부(321a)는, 조작 입력이 운전석쪽으로부터(즉, 운전자에 의하여) 실행되었는지, 조수석쪽으로부터(즉, 비운전자에 의하여) 실행되었는지를 식별한다. 구체적인 식별 방법으로는, 예를 들면 아래의 a~e를 생각할 수가 있다.
a) 터치패널로의 접근물(손가락)이 접근하여 오는 방향으로 판단.
i) 터치패널의 종방향에 적외선을 방사하여, 그 적외선이 차단된 개소(個所)에서 좌우의 어느 쪽에서 접근물이 접근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b) 조작 형태의 차이로 판단.
i) 누르는 압력의 차이로 판단한다.
ii) 누르는 시간의 차이로 판단한다.
iii) 누르는 회수(클릭수)의 차이로 판단한다.
c) 운전석 탑승자와 조수석 탑승자에게 각각 다른 물건(장치)을 들게 하여, 그 물건(장치)으로 판단.
i) 발신 주파수나 발신하는 코드 등의 다른 발신기를 양자의 손가락에 붙여, 그 차이로 판단한다.
ii) 화상에 의하여 식별이 가능한 물건(색이 다른 반지)을 손가락에 붙여, 그 차이로 판단한다.
d) 생체 인식(지문 등).
e) 그 장소에 사람이 존재하는지 아닌지의 여부로 판단.
i) 조수석에 탑승자가 없는 경우, 운전자로부터의 조작이라고 판단하고,한편, 운전자가 없는 경우, 조수석 탑승자로부터의 조작이라고 판단한다.
차속 센서(322)는, 자기차량의 타이어 회전 속도 등으로 자기차량의 주행 속도를 검지하는 센서이며, 변속 기구 상태 검지부(323)는, 자기차량의 변속 기구 상태를 취득하는 센서이다. 또한, 브레이크 상태 검지부(324)는, 자기차량의 제동기 구의 동작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이며, 핸들 조작 상태 검지부(326)는,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을 검지하는 센서이다.
내비게이션 유닛(312)은, 자기차량의 주행 경로의 설정 및 유도를 행하는 유닛이다. 구체적으로는, 내비게이션 유닛(312)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의하여 자기차량의 현재 위치를 취득하고, 지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자기차량이 주행하고 있는 도로를 특정하여, 디스플레이(341)나 스피커(342)를 이용하여 경로 유도를 실행한다.
AV 유닛(313)은, 라디오 방송, 텔레비전 방송 등의 수신에 의하여 취득한 컨텐츠 데이터나 CD, DVD, HD 등의 기록 매체로부터 읽어낸 컨텐츠 데이터를 차량의 탑승자에게 제공하는 유닛이다. 여기에서는, AV 유닛(313)은, 그 내부에 오디오 기능(313a), DVD 재생 기능(313b), 게임 기능(313c)을 구비하고 있다.
스피커(342)는, 탑승자에 대한 음성 출력을 행하는 장치이며, 그 출력 내용은 음성 처리부(332)가 작성한다. 또한, 디스플레이(341)은, 탑승자에 대한 표시 출력을 행하는 장치이며, 그 표시 내용은 표시 처리부(331)가 작성한다.
여기서, 표시 처리부(331)는, 운전석쪽 표시 제어부(331a) 및 조수석쪽 표시 제어부(331b)를 가진다. 운전석쪽 표시 제어부(331a)는, 디스플레이(341)에 운전자용의 표시화상을 작성하는 처리부이며, 조수석쪽 표시 제어부(331b)는, 디스플레이(341)에 비운전자용의 표시화상을 작성하는 처리부이다.
이 운전석쪽 표시 제어부(331a) 및 조수석쪽 표시 제어부(331b)에 의하여 단일 디스플레이(341)에 운전자용의 표시화상과 비운전자용의 표시화상을 개별적으로 작성할 수가 있다.
단일 디스플레이(341)에 운전자용의 화상과 비운전자용의 화상을 개별적으로 표시하는 방법에는, "표시 화면을 분할하여, 각각의 화상을 표시하는 방법(도 112a)", "탑승자의 시선 방향의 차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화상을 합성하여 표시하는 방법(도 112b)" 등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1에서는 단일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을 하지만, 운전자용과 비운전자용으로 각각 전용 디스플레이를 설치하여도 좋다.
운전자용과 비운전자용으로 개별적으로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경우의 구성예를 도 112c 및 도 112d에 도시한다. 도 112c의 구성에서는, 운전석(351)쪽을 향하여 운전자용의 디스플레이(341a)를 설치함과 동시에, 조수석(352)쪽을 향하여 조수석 탑승자용 디스플레이(341b)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도 112d의 구성에서는, 앞자리(운전석 및 조수석)의 탑승자용으로 디스플레이(341c)를 설치함과 동시에, 뒷자리 탑승자용으로 디스플레이(341d)를 설치하고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이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경우, 도 11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일 표시 제어부 내에 복수의 표시 제어부를 설치하여, 각 표시 제어부가 각각 다른 디스플레이의 표시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하여도 좋고, 도 11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복수의 표시 처리부를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각 디스플레이의 차량의 실내에 있어서의 설치 위치를 등록하여, 이 설치 위치에 의거하여 표시 제어를 행함으로써, 각 좌석에 대응한 입출력 제어를 실현할 수가 있다.
주제어부(311)는, 차재 장치(301)를 전체 제어하는 제어부이며, 조작 입력 접수부(321), 차속 센서(322), 변속 기구 상태 검지부(323), 브레이크 상태 검지부(324), 핸들 조작 상태 검지부(326)로부터의 입력을 받아 내비게이션 유닛(312) 및 AV 유닛(313)의 동작을 제어하고, 표시 처리부(331) 및 음성 처리부(332)를 통하여 디스플레이(341) 및 스피커(342)로의 출력을 행한다.
또한, 주제어부(311)는, 그 내부에 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a) 및 비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b)를 가진다. 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a)는, 운전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접수 및 운전자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며, 비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b)는 비운전자(본 제16 실시예에서는 조수석에 앉은 탑승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의 접수 및 비운전자로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이 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a) 및 비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b)에 의하여, 주제어부(311)는, 운전자에 대한 입출력과, 비운전자에 대한 입출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자기차량이 주행중인 경우에는, 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a)는 운전자에 의한 목적지의 설정 등, 복잡한 조작이나 화면의 주시가 필요한 입출력을 제한하지만, 비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b)는 이러한 제한은 행하지 않는다. 따라서, 차량 주행중의 목적지 설정은, 조수석쪽으로부터만 받아들이게 된다.
여기서, 자기차량이 주행중인지 아닌지의 여부는, 차속 센서(322)가 취득한 자기차량의 주행 속도나, 변속 기구 상태 검지부(323)가 취득한 실렉터 상태(레버가 "주차"나 "뉴트럴"에 들어가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 브레이크 상태 검지 부(324)가 취득한 브레이크 상태(파킹 브레이크가 동작중인지 아닌지의 여부), 핸들 조작 상태 검지부(326)가 취득한 운전자에 의한 핸들 조작 상태(핸들 조작이 빈번히 행하여지고 있는지 아닌지의 여부) 등에 의하여 판정할 수가 있다.
또한, 자기차량의 주행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정체 발생 등의 교통 정보나 내비게이션 유닛(312)에 의한 안내 출력, 자기차량 주변의 영상 출력은, 운전자에게 있어서는 중요한 정보이지만, 비운전자에게 있어서의 중요도는 비교적 낮다. 그래서, 주행에 관한 정보 출력의 필요가 발생하였을 경우, 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a)는 끼어들기 처리에 의하여 우선적으로 출력을 행하지만, 비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b)는 끼어들기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이 주제어부(311)의 처리동작에 대하여 도 1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일 도면에 도시하는 플로차트는, 차재 장치(301)의 가동중에 반복하여 실행되는 처리이다. 먼저, 주제어부(311)는, 차속 센서(322), 변속 기구 상태 검지부(323), 브레이크 상태 검지부(324), 핸들 조작 상태 검지부(326)로부터의 입력에 의거하여, 자기차량이 주행중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C101)〕.
그 결과, 자기차량이 주행중이 아닌 경우〔스텝(SC101, No)〕, 주제어부(311)는, 이어서, 운전석쪽 표시 제어부(331a)와 조수석쪽 표시 제어부(331b)가 동일한 화상을 표시중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하고〔스텝(SC102)〕, 동일한 화상을 표시중이라면〔스텝(SC102, Yes)〕, 단일 제어, 즉 운전자용과 비운전자용으로 동일한 제어를 행하고〔스텝(SC103)〕,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자기차량이 주행중인 경우〔스텝(SC101, Yes)〕, 혹은 그 시점에서의 표시화상이 다른 경우〔스텝(SC102, No)〕, 주제어부(311)는 개별의 제어, 즉 운전자용과 비운전자용으로 다른 제어를 행하고〔스텝(SC104)〕, 처리를 종료한다.
다음은, 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a) 및 비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b)에 의한 개별 제어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5a는, 조수석쪽(비운전자용)과 운전석쪽(운전자용) 제어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동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비게이션 기능에 대하여서는, 조수석쪽에서는 모든 조작을 받아들인다. 그러나, 운전석쪽에서는 자기차량이 주행중인 경우에 조작 제한, 예를 들면 목적지의 설정이나 각종 검색을 금지하는 제한 등을 행한다.
또한, 운전석쪽에서는, 조수석쪽으로부터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에, 조작 입력이 있었던 것을 운전자에게 통지하는 표시(조수석 조작의 표시)를 행한다. 더욱이, 조수석쪽으로부터 예를 들면 목적지 설정이 있었을 경우에, 그 목적지를 등록하는지 아닌지의 최종적인 확정 조작을 운전석쪽으로부터 행한다(조수석 조작의 확정).
이와 같이, 목적지 설정 등의 복잡한 조작을 조수석쪽에서만 조작 가능하게 하여, 운전석쪽에 조작 입력의 발생을 통지하고, 조작 내용의 확정을 행하게 하는 것으로, 운전자와 비운전자에 의한 연휴(連携)한 입력을 실현하여, 운전 조작을 저해하는 일 없이 내비게이션 기능의 복잡한 조작을 실행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또한, 운전석쪽에 있어서의 거듭되는 제어로는, 운전에 관련한 정보〔예를 들면 VICS 등에 의하여 취득한 교통 정보, 경로 유도시의 안내 화상, 자기차량의 옆쪽의 영상(화상)을 표시하는 코너 모니터, 자기차량의 후방의 영상(화상)을 표시하는 백 모니터, 등〕의 끼어들기 표시에 의하여, 운전에 사용하는 정보를 신속하게 운전자에게 인식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동일하게 오디오 기능에 대하여서도, 조수석쪽에서는 모든 조작을 받아들이지만, 운전석쪽에서는 자기차량이 주행중인 경우에 조작 제한, 예를 들면 컨텐츠 데이터의 타이틀 편집 등, 복잡한 조작이나 화면의 주시가 필요한 입출력을 제한한다.
또한, DVD 재생 기능에 대하여서는, 조수석쪽에서는 그 기능, 즉 DVD의 재생을 허가하지만, 운전석쪽에서는 재생을 허가하지 않는다. 동일하게, 게임 기능에 대하여서는, 조수석쪽, 즉 비운전자에 대하여서는 게임 컨텐츠의 제공을 행하지만, 운전석쪽, 즉 운전자에 대하여서는 게임 컨텐츠의 제공을 행하지 않는다.
더욱이, 조수석쪽 등 비운전자로부터의 조작에 대하여서도, 제한하는 것은 가능하다. 이 제한은, 조작의 범위(조작의 종류) 전부이어도 좋고,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조수석에 앉은 인물을 식별하여, 인물에 대하여 제한의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즉, 조수석의 인물이 어른이면 조작을 받아들이고, 아이이면 조작을 금지하는, 등과 같이 제한 범위를 설정하는 것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조수석의 인물을 식별하여 조수석으로부터의 조작에 대하여 제한을 행하는 경우에는, 조수석에 앉은 인물의 식별 방법으로서 차재 장치의 기동시에 조수석의 인물을 설정하거나 조수석에 설치된 감압 센서에 의하여 식별하는, 차일드 시트 장착 유무 검지에 의하여 식별하는, 등으로 실현될 수가 있다.
조수석쪽에 대한 조작 제한의 일례를 도 115b에 도시한다. 동일 도면에서는, 조수석으로부터의 조작 접수에 대하여 순위 1~3의 3개의 구분을 설치하고 있다. 순위 1의 조작 접수에서는, 조수석쪽에 대한 조작 제한을 행하지 않고, 내비게이션 기능 및 오디오 기능의 모든 조작을 허가하고, DVD 재생 기능의 사용을 허가하고, 게임 기능을 제공한다.
한편, 순위 2의 조작 접수에서는, 조수석쪽에서의 조작에 대하여 일부 제한을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내비게이션 기능에 의한 목적지 설정을 금지하고, 오디오 기능에 있어서의 타이틀 편집을 금지한다. 또는, 순위3의 조작 접수에서는, 조수석쪽에서의 모든 조작을 금지하고 있다.
더욱이, 주행 상태에 의거하여 조수석쪽의 조작 범위를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차량이 비교적 긴 직선 도로를 안정된 속도로 주행중인 경우에는 조수석쪽에서의 목적지 설정을 허가하고, 산길 등 커브가 연속되는 도로에서는 조수석쪽에서일지라도 조작을 제한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운전자쪽의 조작 제한에 대하여서도, 반드시 "주행중", "정지중"이라고 2단계에서 제어를 행할 필요는 없고, 주행 속도나 주행중 도로의 형상에 따라서 조작 제한을 가변 제어하도록 하여도 좋다.
게다가, 본 실시예에서는 내비게이션 기능, 오디오 기능, DVD 재생 기능, 게임 기능을 예로 하여 설명을 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TV 수신기능 등, 다른 기능에 대하여서도 같은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더욱이, 운전자에 대한 DVD 재생의 금지나 게임 기능의 제공 금지는, 주행중 등에 한정하고, 정지중에는 실행 가능하게 하여도 좋으며, 주행중, 정지중을 막론하고 금지한다. 즉 DVD 재생 기능과 게임 기능은 비운전자용으로 한정하는 기능이라고 하여도 좋다. 금지하였을 경우(주행중)에는, 다른 화상〔예를 들면, 내비게이션 화상, DVD 재생 기능이나 게임 기능의 전에 사용한 소스 중 규제가 걸리지 않는 것으로, 가장 최근에 사용한 소스, 고정 소스, 사용 빈도가 가장 많은 소스, "영상 출력을 차단했습니다" 등의 통지 화상〕으로 전환한다.
이어서, 디스플레이(341)에 표시하는 화상의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6은, 운전자에 대한 조작 제한을 행하는 경우의 영상의 구체적인 예이다. 정지중일 때에는, 조수석(P석)용의 표시 영역과 운전석(D석)용의 표시 영역은, 각각 지도 표시에 가하여 터치패널에 의한 가상적인 조작 버튼을 표시하고 있다.
그러나, 주행시에는, 조수석쪽에는 조수석쪽의 조작 버튼은 계속해서 표시〔조작도 가능하고, 예를 들면 "지점 등록 버튼"이 압하(押下)되었을 경우에는, "검색·설정 화면"으로 이행〕하지만, 운전석쪽의 표시 영역에서는 조작 버튼의 표시를 소거하여, 운전자에 의한 조작이 행하여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여기서, 조작 버튼의 소거로 바꾸고, 조작 버튼의 표시 상태를 변경, 예를 들면 톤 다운하여, 조작 제한중(조작 입력을 받아들이지 않는 상태)인 것을 시인 가능하게 하여도 좋다.
또는, 조작 버튼을 표시하여, 조작되었을 경우에는 설정 화상으로 이행하지만, 그 이후의 입력 조작을 금지하거나, 조작되었을 경우에 조작 제한중인 것을 표시나 음성으로 통지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더욱이, 도 116에 있어서는 조수석쪽과 운전자쪽으로 각각 지정된, 다른 지 도를 표시중인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동일한 화상을 표시중인 경우에도 같은 제어가 실행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다음은, 운전자에게 조수석 조작을 표시하여, 조작 내용의 확정을 행하게 하는 경우의 표시예를 도 117에 도시한다. 동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수석쪽에서 "지점 등록 버튼"이 압하되었을 경우, 운전석쪽의 화상에 "P석에서 목적지 설정중입니다"라는 통지 메시지를 표시하고 있다. 또는, 조수석쪽에서의 목적지 입력이 종료한 시점에서 "P석에서 목적지를 설정합니다만, 좋으십니까?"라는 확인 메시지를 표시하는 것과 동시에, 운전자로부터의 확인 입력을 받아들이는 버튼(동일 도면에서는 "YES"의 버튼)을 표시하고 있다.
다음은, 운전자에 대한 끼어들기 표시의 구체적인 예를 도 118 및 도 119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8 및 도 119에서는, 조수석(P석)쪽과 운전석(D석)쪽에 각각 동일한 화상(오디오 재생 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차량의 주행에 의하여 안내 표시의 필요성이 발생하였을 경우, 도 1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쪽에만 안내 표시를 행하여, 안내가 종료한 시점에서 원래의 오디오 화상에 복귀한다. 동일하게, 예를 들면 차량이 후진하는 경우 등 차량 후방의 영상(화상)을 표시할 필요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도 1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석에만 차량 후방의 영상(화상)을 표시하고, 후진 종료시점에서 원래의 오디오 화상으로 복귀한다.
이와 같이 운전 조작에 관계하는 끼어들기 표시를 운전자에 대하여서만 행하고, 조수석 탑승자 등 비운전자에 대하여서는 원래의 표시를 계속하는 것으로, 운 전자와 비운전자의 각각에 대하여 최적인 표시를 행할 수가 있다.
상술(上述)하여 온 것처럼, 제16 실시예에 따른 차재 장치에서는, 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a)와 조수석쪽 표시 제어부(311b)가, 자기차량의 주행 속도나 변속기 상태, 브레이크 상태, 핸들 조작 상태 등에 의거하여 운전자에 대한 입출력과 비운전자에 대한 입출력을 개별적으로 제어하기 때문에, 각각에 대하여 적절한 입출력 제어를 실현할 수가 있다.
다음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0은, 본 발명의 제17 실시예인 차재 장치(301a)의 개요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동일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재 장치(301a)는, 그 내부에 음성 인식부(325)를 더욱이 구비하는 것과 동시에, 주제어부(311) 내부에 송신 타이밍 제어부(311c) 및 설정 제어부(311d)를 가진다. 그 이외의 구성 및 동작은 제16 실시예에 나타낸 차재 장치(301)와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기하고 설명은 생략한다.
음성 인식부(325)는, 차량 실내의 음성을 수집하여 음성인식하는 것으로 탑승자로부터의 음성 입력을 받아들인다. 이렇게 함으로써, 탑승자는 음성에 의하여 차재 장치(301a)를 조작할 수가 있다. 또는, 음성 인식부(325)는, 그 내부에 발화자 식별부(325a)를 가진다. 발화자 식별부(325a)는, 그 음성이 어느 탑승자의 것인지, 즉 음성의 발화자를 식별하는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는, 발화자 식별부(325a)는, 음성의 입력 방향, 즉 음성이 어느 방향에서 입력되었는지를 검지하여 음성의 발화자를 식별한다. 이 음성의 입력 방향의 검지에 대하여, 그 구체적인 예를 도 121에 도시한다.
도 121a는, 2개의 마이크를 운전석과 조수석에 설치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동일 도면에서는, 운전석(351) 부근에 마이크(361)를, 조수석(352) 부근에 마이크(362)를 설치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운전자가 음성 입력을 행하였을 경우에는 마이크(361)의 입력 순위가 마이크(362)의 입력 순위에 비교하여 커지고, 조수석(352)에 앉은 탑승자가 음성 입력을 행하였을 경우에는 마이크(362)의 입력 순위가 마이크(361)의 입력 순위에 비교하여 커진다. 이와 같이 2개의 마이크를 떼어 놓아 설치하면, 지향성을 가지지 않는 마이크일지라도 그 입력 순위의 비교에 의하여 음성의 발화자를 식별할 수가 있다.
도 121b는, 지향성 마이크를 이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동일 도면에서는, 디스플레이(341) 부근에 지향성 마이크(363), (364)를 설치하는 것과 동시에, 지향성 마이크(363)의 집음 방향이 운전석(351)을 향하게 하고, 지향성 마이크(364)의 집음 방향이 조수석(352)을 향하게 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운전자의 음성은 지향성 마이크(363)가 선택적으로 집음하고, 조수석(352)에 앉은 탑승자의 음성은, 지향성 마이크(364)가 선택적으로 집음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향성의 마이크를 이용하면, 그 설치 위치가 근접할지라도 음성의 발화자를 식별할 수가 있다.
송신 타이밍 제어부(311c)는, 비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b)가 운전자용의 표시 영역에 표시 요구를 송신하는 경우의 송신 타이밍을 제어하는 처리를 행한다. 예를 들면, 조수석의 탑승자가 비운전자용의 화상을 이용하여 각종 처리를 행하고 있는 경우에, 그 내용을 운전자에게도 전하도록 비운전자용의 표시 영역을 운전자용 화상에 송신하여 표시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가 있다.
그러나, 운전자가 운전자용 화상을 확인중인 타이밍에 조수석쪽으로부터 표시 요구가 행하여지면, 운전자에 대한 표시를 저해할 가능성이 있다. 동일하게, 운전자가 차재 장치(301a)를 조작중인 경우나, 내비게이션 유닛(312)이 안내 음성을 출력중인 경우나 안내 출력 발생 직전, 연속되는 커브 등 운전 조작이 바쁘고, 불안정한 경우나 그 직전 등에도 조수석으로부터의 표시 요구는 행하여서는 안된다.
그래서, 송신 타이밍 제어부(311c)는, 차재 장치(301a)의 동작 상태나 운전자에 의한 차재 장치(301a)의 조작 상태, 차량의 운전 조작 상태 등을 취득하여, 운전자에게 있어서 방해가 되지 않는 타이밍에 운전자용 표시 영역으로의 표시를 행한다.
이 송신 타이밍 제어부(311c)의 처리동작의 구체적인 예를 도 122에 도시한다. 동일 도면에 도시한 플로차트는, 비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b)로부터 운전자용 표시 영역에 표시 요구를 송신할 필요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개시한다.
먼저 송신 타이밍 제어부(311c)는, 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a)가 운전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중인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SC201)〕. 그 결과, 운전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을 접수중이 아닌 경우에는〔스텝(SC201, No)〕, 차재 장치(301a)가 스피커(342)로부터 음성을 출력중인지(특히 내비게이션에 관한 음성 출력이 실행중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C202)〕.
그리고, 운전자로부터의 조작을 접수중인 경우〔스텝(SC201, Yes)〕나 스피 커(342)로부터 음성을 출력중인 경우에는〔스텝(SC202, Yes)〕, 소정 시간 대기하고〔스텝(SC206)〕, 다시 스텝(SC201)으로 이행(移行)한다.
한편, 스피커(342)로부터 음성 출력중이 아닌 경우〔스텝(SC202, No)〕, 송신 타이밍 제어부(311c)는, 다음에 내비게이션 유닛(312)에 의한 안내의 발생이 예상되는지 아닌지, 즉 현재 위치의 부근에서 안내 출력의 예정이 있는지 없는지를 판정한다〔스텝(SC203)〕.
그 결과, 안내 출력의 예정이 없는 경우〔스텝(SC203, No)〕, 자기차량의 예정 경로와 지도 정보로부터, 운전 조작의 안정이 예상되는지(예를 들면 타차량이 적은 직선 도로 등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C204)〕.
그 결과, 운전 조작의 안정이 예상되는 경우에는〔스텝(SC204, Yes)〕, 송신 타이밍 제어부(311c)는, 비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b)로부터의 표시 요구를 운전석쪽 표시 제어부(331a)에 송신하고, 운전자용 표시화상을 바꾸어 처리를 종료한다〔스텝(SC205)〕.
그 한편으로는, 안내 조작의 발생이나 예상되는 경우〔스텝(SC203, Yes)〕나 운전 조작이 불안정한 경우에는〔스텝(SC204, No)〕, 송신 타이밍 제어부(311c)는, 운전자용의 표시 영역에 전환 버튼을 표시한다〔스텝(SC207)〕. 이 전환 버튼은, 운전자에 의한 조작을 검지하였을 경우에 비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b)로부터 요구된 화상으로의 전환을 실행하는 조작 수단이다.
이와 같이, 차재 장치(301a)의 상태나 운전자의 상태 등을 감시하여, 비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b)로부터 운전자용 표시 영역으로의 표시 요구의 송신 타이 밍을 제어하는 것으로, 운전자에게 방해가 되지 않게 화상의 전환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상황에 따라서는 화상의 전환용 버튼을 표시하여, 운전자 자신에게 전환 타이밍을 선택시킬 수도 있다.
더욱이, 여기서 나타낸 송신 타이밍 제어 처리는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임의로 변경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동일 도면의 스텝(SC206)으로 전환 버튼을 표시하여, 스텝(SC207)으로 소정 시간 대기하는 처리이어도 좋다.
설정 제어부(311d)는, 화면의 휘도나 콘트라스트 등의 설정을, 표시 소스〔내비게이션 유닛(312), DVD 재생 기능(313b), 게임 기능(313c), 텔레비전 방송 등〕마다 결정, 변경하는 수단이다.
이 설정 제어부(311d)는, 예를 들면 비운전자용 입출력 제어(11b)로부터 설정 변경의 입력을 받아들였을 경우에는, 그 시점에서 조수석쪽 표시 영역에 표시하고 있는 표시 소스의 설정을 변경한다.
더욱이, 비운전자용 입출력 제어부(311b)는, 운전석쪽 표시 영역이 표시하고 있는 표시 소스의 설정에 대하여서도 변경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비운전자용 표시 영역의 일부에, 운전자용 표시 영역의 표시 내용(운전자용 표시화상)을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23에 도시하는 화면의 예에서는, 먼저, 조수석쪽 표시 영역에 오디오 재생 화상을 표시하고, 운전석쪽 표시 영역에 경로 유도의 안내 화상을 표시하고 있다. 그리고, 조수석의 탑승자가 운전석쪽 표시 영역의 설정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운전석쪽 표시화상의 내용(안내 화상)을 포함한 설정용 화상을 작성한 다.
상술(上述)하여 온 것처럼 제17 실시예에 따른 차재 장치에서는, 음성 입력에 대하여서도 어느 탑승자로부터의 입력인지를 식별하여 개별적으로 입출력 제어를 행할 수가 있다. 또는, 비운전자가 운전석용 표시 영역에 대하여 표시 요구를 송신하는 경우에, 그 송신 타이밍을 제어하는 것으로 운전자의 조작 등을 저해하는 일 없이 표시 제어를 실행할 수가 있다.
더욱이, 운전자용 표시 영역에 표시중인 표시 소스에 대한 설정을, 비운전자로부터의 조작 입력에 의거하여 변경 가능하게 할 수가 있다. 더욱이, 본 실시예에서는 각 표시 소스에 대하여 단일의 설정을 가지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예를 들면 유저마다 개별적으로 표시 설정을 가지는 구성에서는, 그 시점에서의 운전자인 유저의 설정을 다른 탑승자가 변경 가능하다.
또한, 조수석쪽 표시 영역을 운전석쪽 표시 영역의 표시 소스와 같은 것으로 하는 것으로, 조수석쪽의 표시에 대한 조작을 운전석쪽의 표시에 반영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메뉴 조작 등에서 조작된 메뉴 항목의 일련의 설정(확정)이 된 시점에서 타이밍 제어부(11c)의 조정하에, 운전석쪽의 표시에 반영된다. 조수석쪽은, 반영 후에 다른 소스로 전환하는 것으로, 다른 소스의 표시와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17 실시예에서는 단일 디스플레이상의 표시 화면을 2개로 분할하여, 각각의 화면에 운전자용의 화상과 비운전자용의 화상을 표시하는 2화면 표시 형태와, 2개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다른 2개의 화상을 출력하는 2시야 표시 형태를 예로 하여 설명을 하였지만, 단일 디스플레이상의 표시 화면을 3개 이상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화면에 화상을 표시하는 다화면 표시 형태나, 3개 이상의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다른 화상을 출력하는 다방향 표시 형태, 3개 이상의 디스플레이를 설치하는 다디스플레이 형태로서 실시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표시장치는, 다방향으로의 표시 제어에 유용하고, 특히 차재(車載)로의 탑재시에 운전자 및 비운전자에 대하여 다른 출력을 행하는 경우의 제어에 적절하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개별 정보를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화면에 표시되어, 상기 각 개별 정보에 대응되는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 입력 수단과,
    상기 조작 입력의 접수를,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으로 한정하는 한정 수단과,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바꾸는 전환 수단과,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고지(告知)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고지 수단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정보의 표시 형태의 적어도 일부, 및 상기 특정 가시방향과는 다른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의 표시 형태의 적어도 일부 중, 적어도 어느쪽이든 한쪽을 변경함으로써,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고지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표시 형태가 변경되는 정보에, 각 개별적으로 표시되는 조작 입력을 행하기 위한 조작 관련 화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각각의 개별 정보를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상기 화면에 표시되어, 상기 각 개별 정보에 대응되는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조작 입력 수단과,
    상기 조작 입력의 접수를,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으로 한정하는 한정 수단과,
    상기 특정 가시방향을 바꾸는 전환 수단과,
    상기 복수의 가시방향 중, 어느쪽이든 하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우선권을 설정하는 우선권 설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전환 수단이,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이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바뀌어 있는 상태이며, 더욱이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을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바꾸어 두는 조건이 성립하지 않게 되었다고 판단하면, 상기 우선권이 설정되어 있는 정보가 표시된 가시방향을 상기 특정 가시방향으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복수의 가시방향에 대하여 개별 정보를 동일 화면상에 표시하는 표시 수단과,
    복수의 가시방향 중, 특정 가시방향에 대한 정보의 표시,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정보에 대응하는 조작 입력의 접수, 특정 가시방향에 대하여 표시되는 조작 입력을 위한 조작 입력 화상의 표시의 적어도 어느쪽이든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과,
    음성에 의한 조작 입력을 받아들이는 음성인식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인식수단이, 상기 음성의 방향을 검출하여, 상기 복수의 가시방향 중,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음성인지를 식별하는 식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KR1020067022267A 2004-10-27 2005-10-27 표시장치 KR1008778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12798 2004-10-27
JP2004312798 2004-10-27
JP2004346798 2004-11-30
JPJP-P-2004-00346798 2004-11-30
JP2004361806 2004-12-14
JPJP-P-2004-00361806 2004-12-14
JP2005003948 2005-01-11
JPJP-P-2005-00003948 2005-01-11
JPJP-P-2005-00174054 2005-06-14
JP2005174054 2005-06-14
JP2005259574A JP2007024854A (ja) 2004-12-14 2005-09-07 表示装置
JPJP-P-2005-00259574 2005-09-07
JP2005276770A JP4934305B2 (ja) 2005-01-11 2005-09-22 表示装置
JPJP-P-2005-00276771 2005-09-22
JPJP-P-2005-00276772 2005-09-22
JP2005276772A JP4377364B2 (ja) 2004-10-27 2005-09-22 表示装置
JP2005276771A JP2006185415A (ja) 2004-11-30 2005-09-22 表示装置
JPJP-P-2005-00276770 2005-09-22
PCT/JP2005/020393 WO2006046783A1 (ja) 2004-10-27 2005-10-27 表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942A KR20070032942A (ko) 2007-03-23
KR100877895B1 true KR100877895B1 (ko) 2009-01-12

Family

ID=362280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267A KR100877895B1 (ko) 2004-10-27 2005-10-27 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80068284A1 (ko)
EP (1) EP1811362A4 (ko)
KR (1) KR100877895B1 (ko)
WO (1) WO200604678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00904A1 (ja) * 2005-03-18 2006-09-28 Sharp Kabushiki Kaisha 多重画像表示装置、多重画像表示プログラムおよびそれ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US7757185B2 (en) * 2006-01-06 2010-07-13 Apple Inc. Enabling and disabling hotkeys
US20090085830A1 (en) * 2006-03-17 2009-04-02 Sharp Kabushiki Kaisha Multiple Video Display Device, Screen Forming Progra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JP4308219B2 (ja) * 2006-04-14 2009-08-05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用表示装置
WO2007141941A1 (ja) * 2006-06-05 2007-12-13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表示装置および同装置における操作制限方法
JP5028038B2 (ja) * 2006-07-06 2012-09-19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表示装置および車載表示装置の表示方法
DE102007011543A1 (de) * 2006-08-31 2008-03-06 Volkswagen Ag Verfahren zum Bedienen von Einrichtungen eines Fahrzeugs und Bedienvorrichtung für solche Einrichtungen
US20100171767A1 (en) * 2006-08-31 2010-07-08 Waeller Christoph Method for displaying information in a motor vehicle, and information system
JP4888063B2 (ja) * 2006-11-08 2012-02-29 株式会社デンソー 手動操作装置
DE102007034272A1 (de) * 2007-07-19 2009-01-22 Volkswagen Ag Anzeige- und Bedien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mit einer Multi-View-Anzeigevorrichtung
JP5079424B2 (ja) * 2007-08-27 2012-11-21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車載機器制御装置及び車載機器制御方法
JP4623222B2 (ja) * 2008-06-09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映像信号処理装置、映像信号処理方法及び映像信号処理システム、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JP2010107380A (ja) * 2008-10-30 2010-05-13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用電子装置、動画再生方法および動画再生プログラム
US8363866B2 (en) * 2009-01-30 2013-01-29 Panasonic Automotive Systems Company Of America Audio menu navigation method
DE102009058145A1 (de) * 2009-12-12 2011-06-16 Volkswagen Ag Bedienverfahren für eine Anzeigevorrichtung eines Fahrzeugs
US20110246026A1 (en) * 2010-04-02 2011-10-06 Gary Stephen Shuster Vehicle console control system
CN101898514B (zh) * 2010-06-30 2014-03-12 山东天海电装有限公司 新能源汽车智能化数字仪表
EP2593847A4 (en) * 2010-07-15 2017-03-1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First response and second response
US20120032872A1 (en) * 2010-08-09 2012-02-09 Delphi Technologies, Inc. Dual view display system
JP5305250B2 (ja) * 2010-11-12 2013-10-02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操作入力装置
EP2753570A1 (en) * 2011-09-09 2014-07-16 Eaton Corporation Steered wheel visual feedback system for variable rate steering systems
USD666630S1 (en) * 2011-09-12 2012-09-04 Microsoft Corporation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EP2802925A1 (de) * 2012-01-09 2014-11-19 Audi AG Verfahren zum darstellen von mindestens einem anzeigeinhalt
JP5626259B2 (ja) * 2012-05-22 2014-11-19 株式会社デンソー 画像表示装置
CN103777796A (zh) * 2012-10-22 2014-05-07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USD752070S1 (en) * 2012-11-13 2016-03-22 Karl Storz Imaging, Inc. Medical imaging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US9686466B1 (en) * 2013-06-27 2017-06-20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nvironment content sharing
USD755193S1 (en) * 2013-12-02 2016-05-03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Display screen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JP6443556B2 (ja) * 2015-08-31 2018-12-26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モジュール
WO2017068759A1 (ja) 2015-10-19 2017-04-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車載表示システムおよびこの車載表示システムの制御方法
US10517159B2 (en) * 2016-04-15 2019-12-24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Control device
KR20180051842A (ko) * 2016-11-09 2018-05-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10475454B2 (en) * 2017-09-18 2019-11-12 Motorola Mobility Llc Directional display and audio broadcast
JP6805223B2 (ja) * 2018-11-22 2020-12-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車両用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DE102019200223A1 (de) * 2019-01-10 2020-07-16 Faurecia Innenraum Systeme Gmbh Verkleidungselement für Fahrzeuginnenräume
US11042249B2 (en) * 2019-07-24 2021-06-22 Samsung Electronics Company, Ltd. Identifying users using capacitive sensing in a multi-view display system
JP7484233B2 (ja) * 2020-03-04 2024-05-16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表示システム、表示制御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11815694B2 (en) 2021-07-14 2023-11-14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AR content display for rear passengers using infrared light
US20230249588A1 (en) * 2022-02-10 2023-08-10 Matthew BAYES Vehicle seat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005A (ja) * 2001-10-30 2003-05-14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7619B2 (ja) * 1996-04-30 2001-05-21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用ナビゲーション装置
GB2321815A (en) * 1997-02-04 1998-08-05 Sharp Kk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viewer position indicator
US6046849A (en) * 1996-09-12 2000-04-04 Sharp Kabushiki Kaisha Parallax barrier, display, passive polarisation modulating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such an element
GB2317291A (en) * 1996-09-12 1998-03-18 Sharp Kk Observer tracking directional display
US6624863B1 (en) * 1997-06-28 2003-09-23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king a patterned retarder, patterned retarder and illumination source
US6055103A (en) * 1997-06-28 2000-04-25 Sharp Kabushiki Kaisha Passive polarisation modulating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such an element
JP4624577B2 (ja) * 2001-02-23 2011-02-02 富士通株式会社 複数のセンサによるヒューマンインタフェースシステム
JP4425496B2 (ja) * 2001-07-03 2010-03-0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表示装置
NZ521505A (en) * 2002-09-20 2005-05-27 Deep Video Imaging Ltd Multi-view display
JP4246466B2 (ja) * 2002-10-04 2009-04-02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用表示装置
JP3925421B2 (ja) * 2003-02-10 2007-06-0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機器の操作装置
ATE386973T1 (de) * 2003-03-10 2008-03-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nzeige mit mehrfachen ansichten
JP3953434B2 (ja) * 2003-03-20 2007-08-08 株式会社ソフィア 画像表示装置
GB2405519A (en) * 2003-08-30 2005-03-02 Sharp Kk A multiple-view directional display
JP2006047534A (ja) * 2004-08-03 2006-02-16 Alpine Electronics Inc 表示制御システム
WO2006038562A1 (ja) * 2004-10-04 2006-04-13 Sharp Kabushiki Kaisha 多重映像表示装置
KR100986660B1 (ko) * 2004-10-20 2010-10-11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37005A (ja) * 2001-10-30 2003-05-14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46783A1 (ja) 2006-05-04
US20080068284A1 (en) 2008-03-20
KR20070032942A (ko) 2007-03-23
EP1811362A4 (en) 2011-07-27
EP1811362A1 (en) 200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895B1 (ko) 표시장치
US8327291B2 (en) On-vehicle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adopted in on-vehicle display device
EP1061340B1 (en) Vehicle-mounted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US6256558B1 (en) Vehicle display system with drive enforcement control
US8700309B2 (en) Multiple visual display device and vehicle-mounted navigation system
JP5098438B2 (ja) 情報表示装置
US20070013676A1 (en) Display apparatus
JP5172530B2 (ja) 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2007024854A (ja) 表示装置
JP2005199992A (ja) 車両情報表示システム
JP2007145158A (ja) 車載用表示装置及びその表示制御方法
JP2007045169A (ja) 車両用情報処理装置
JP2007045168A (ja) 車両用情報処理装置
KR20190080749A (ko) 차량 탑재 통신 장치 및 차량
JP4703404B2 (ja) 表示装置
JP2007076384A (ja) 車両用情報表示装置
JP2007024866A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4647478B2 (ja) 入出力制御装置
JP2007022520A (ja) 車載装置
JP2007015502A (ja) 情報出力装置
JP2005153671A (ja) 車両用表示操作装置
JP2006193140A5 (ko)
JP2004206471A (ja) 車両用情報表示システム
JP3907683B2 (ja) 車載用表示装置
JP2007232729A (ja) 車載用情報入出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