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1842A -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1842A
KR20180051842A KR1020160148680A KR20160148680A KR20180051842A KR 20180051842 A KR20180051842 A KR 20180051842A KR 1020160148680 A KR1020160148680 A KR 1020160148680A KR 20160148680 A KR20160148680 A KR 20160148680A KR 20180051842 A KR20180051842 A KR 20180051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isplay
data area
passenger
occup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86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재범
최경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86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51842A/ko
Priority to PCT/KR2017/007939 priority patent/WO2018088675A1/en
Priority to US15/674,253 priority patent/US10504490B2/en
Publication of KR20180051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1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14Display of multiple view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Arrangement of adaptations of instruments
    • B60K35/10
    • B60K35/22
    • B60K35/654
    • B60K35/656
    • B60K35/80
    • B60K35/81
    • B60K35/8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2Seats provided with an occupancy detection means mounted therein or there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G06K9/00832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5Multiple levels of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B60K2360/11
    • B60K2360/1438
    • B60K2360/148
    • B60K2360/21
    • B60K2360/566
    • B60K2360/58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8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drivers or passengers
    • B60W2040/0881Seat occupation; Driver or passenger 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6Display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0Photo or light sensitive means, e.g. infrared sensors
    • B60W2420/403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42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ensor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ir operation
    • B60W2420/42Image sensing, e.g. optical camer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5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involving copying of the display data of a local workstation or window to a remote workstation or window so that an actual copy of the data is displayed simultaneously on two or more displays, e.g. tele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06V20/593Recognising seat occupanc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64Position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70/00Aspects of data communication
    • G09G2370/02Networking asp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80/00Specific applications
    • G09G2380/10Automotive applications

Abstract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 예는, 메모리; 스크린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인식 또는 식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데이터 영역을 더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내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방송을 수신하여 출력하거나, 영상을 기록 내지 재생하는 장치와 오디오를 기록 내지 재생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예를 들어, 텔레비전, 모니터, 프로젝터, 태블릿 등이 포함된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방송의 출력이나 영상의 재생 기능 외에도,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편의가 향상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종래 차량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그 영역이 고정되어 있으며 차량 기능 등 운전자만을 위한 데이터만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다시 말해, 종래 차량 내부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운전자 외의 탑승자 예컨대, 동승자에게는 아무런 정보를 제공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어드밴스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성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 내 운전자를 제외한 탑승자를 인식/식별하고 식별된 탑승자를 위한 차량 단말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본 발명은, 차량에 탑승하는 모든 탑승자의 차량 이용 편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 예는, 메모리; 스크린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인식 또는 식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데이터 영역을 더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기술적 해결 수단은 이상에서 언급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해결 수단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어드밴스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성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 내 운전자를 제외한 탑승자를 인식/식별하고 식별된 탑승자를 위한 차량 단말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차량에 탑승하는 모든 탑승자의 차량 이용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차량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차량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 내 단말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단말기(200)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의 일 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단말기(200)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의 다른 실시 예;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단말기 디스플레이 제어를 위한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디스플레이 구성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 내 탑승자 인식/식별 모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 내지 10은 본 발명에 따라 동승자 인식/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승자 권한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 탑승자 인식/식별 및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한 차량 탑승자 인식/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탑승자 인식/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16 내지 17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과 1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승객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 중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전화가 오는 경우에 그 처리 방법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부" 등은 단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부여되는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양자는 혼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로 기술한 경우에도 그것이 순서를 의미하기보다는 해당 용어의 설명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그러한 용어나 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도,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기능을 고려하여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만,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관련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술할 것이다. 따라서, 해당 용어를 단지 그 명칭이 아니라 그가 가진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기술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함을 밝혀 둔다. 한편, 본 명세서 또는/및 도면에 기술된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 예로서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결정되어야 한다.
이하 편의상 본 발명과 관련된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에 설치된 디스플레이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차량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일반 자동차(예를 들면, 가솔린 자동차, 경우 자동차, 가스 자동차 등)뿐만 아니라 순수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하이브리드 자동차(HEV; Hybrid Electric Vehicles)는 필요 전력을 공급받기 위해 다수개의 배터리 셀로 구성된 배터리 팩을 탑재한다. 상기 배터리 팩에 포함되어 있는 다수개의 배터리 셀은 안전성과 수명 향상, 그리고 고출력을 얻기 위해 각 배터리 셀의 전압을 균일하게 해줄 필요가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 차량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100)은, 동력원으로서 엔진(101)과 모터/발전기 유닛(motor/generator unit: 이하, "M/G 유닛"이라 약칭함)(102)을 포함한다. 동력원에 의하여 구동되는 구동륜(driven wheel)은 전륜 구동 차량(front-wheel drive vehicle)에서는 전륜(front-wheel), 그리고 후륜 구동 차량(rear-wheel drive vehicle)에서는 후륜(rear-wheel)이다. 다만, 이하에서는 전륜 구동 차량에 관하여 설명한다. 후륜 구동 차량에 관한 실시 예는 전륜 구동 차량에 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하다.
상기 M/B 유닛(102)은 구동 상태에 따라 모터로 또는 발전기로 선택적으로 기능하는 장치로서,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해의 편의상 M/G 유닛(102)을 모터 혹은 발전기와 같은 명칭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모두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것이다. 상기 전기 자동차의 엔진(101)과 모터(102)는 직렬로 변속기(transmission)에 연결된다.
상기 M/G 유닛(102)은 모터 제어 유닛(motor control unit: MCU(103)의 제어에 따라 인버터(inverter)(104)의 신호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인버터(104)는 MCU(103)의 제어에 의하여, 배터리(105)에 저장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상기 M/G 유닛(102)을 동력원으로서 구동하고, 상기 M/G 유닛(102)을 발전기로 구동하는 경우에 M/G 유닛(102)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를 배터리(105)에 충전한다.
상기 엔진(101)과 M/G 유닛(102)의 동력은 클러치(106)를 통해 변속기(T/M)(107)로 전달되며, 최종 감속 기어(final drive gear, F/R)(108)를 통해 전륜(109)으로 전달된다. 후륜(110)은 엔진(101)과 M/G 유닛(102)에 의해 구동되지 않는 비구동륜이다.
상기 전륜(109)과 후륜(110) 각각에는, 각 바퀴의 회전속도를 저감시키기 위한 휠 브레이크 장치(wheel brake apparatus)(111)가 개재된다. 그리고 각 휠 브레이크 장치(111)를 구동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페달(112) 및 브레이크 페달(112)의 조작에 따라 생성된 유압을 기초로 각 휠 브레이크 장치(111)를 유압 제동하는 유압 제어 시스템(hydraulic control system)(113)을 포함한다. 상기 전기 자동차는 상기 유압 제어 시스템(113)을 제어하고 유압 제어 시스템(113)으로부터 브레이크 제어 상태를 수신하는 브레이크 제어 유닛(brake control unit: BCU)(114)을 포함한다.
상기 BCU(114)는 운전자의 브레이크 페달(112) 조작 시, 유압 제어 시스템(113)에서 발생되는 유압을 검출한다. 상기 BCU(114)는 이를 기초로 구동륜(예를 들면, 전륜(109))에 인가될 제동력과 이 중 유압에 의해 제동될 유압 제동력 및 회생제동에 의해 제동될 회생 제동력을 산출한다. 이에 따라 상기 BCU(114)는 산출된 유압 제동력을 유압 제어 시스템(113)의 제어를 통해 전륜(109)의 휠 브레이크 장치(111)에 공급한다.
상기 전기 자동차는 BCU(114) 및 MCU(103)와 통신(communication)하여 이들을 제어함으로써 최대 속도 제한 방법을 수행하는 전기 자동차를 구현하는 전기 자동차 전자 제어 유닛(hybrid electric vehicle electronic control unit: HEV-ECU)(115)을 포함한다.
상기 BCU(114)에서 산출된 회생 제동력은 상기 HEV-ECU(115)로 전달되고, 이에 따라 HEV-ECU(115)는 수신한 회생 제동력을 기초로 MCU(103)를 제어한다. 따라서 MCU(103)는 HEV-ECU(115)로부터 지정된 회생 제동력이 구현되도록 M/G 유닛(102)을 발전기로서 구동한다. 이때, 상기 M/G 유닛(102)에 의해 발전된 전기에너지는 배터리(105)에 저장된다.
상기 전기 자동차는 차량 속도를 검출하는 차속 검출기(116)를 더 구성한다.
상기 HEV-ECU(115)는 차속 검출기(116)에서 검출된 차량 속도를 BCU(114) 및 MCU(103)의 제어를 위한 데이터로 활용한다.
또한, 상기 전기 자동차는 상기 배터리(105)의 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 검출부(117)를 포함한다. 상기 배터리 전압 검출부(117)는 배터리(105)의 현재 전압을 검출하고, 검출된 현재 전압과 미리 설정된 기준 전압의 편차에 따라 상기 HEV-ECU(115)가 전기 자동차의 최대 속도를 제한할 수 있도록 결과 데이터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차량 내 단말기(200)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차량 내 단말기(20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말기(200)는 상기 단말기(200)를 전체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예를 들면, 중앙처리장치, CPU)(212)와, 각종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213)와, 각종 키 신호를 제어하는 키 제어부(211),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214)를 내장한 메인보드(210)로 구성된다.
상기 메모리(213)는 길 안내 정보를 디지털 지도상에 표시하기 위한 지도 정보(지도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메모리(213)는 차량이 현재 주행하는 도로 상황에 따른 교통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하는 교통 정보 수집 제어 알고리즘 및 상기 알고리즘의 제어를 위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메인보드는 고유의 기기 번호가 부여되어 차량에 내장된 이동 통신 단말기인 통신 모듈(206), 차량의 위치 안내, 출발지부터 목적지까지의 주행 경로 추적 등을 위한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신호를 수신하거나 사용자에 의해서 수집된 교통 정보를 GPS 신호로 송신하는 GPS 모듈(207), 오디오 기록매체 등에 기록된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데크(Audio Deck)(208), 자이로 센서(gyro sensor)(209)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통신 모듈(206), GPS 모듈(207)은 안테나(204, 205)를 통해서 신호를 송/수신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222)은 상기 메인보드(210)에 연결되고, 안테나(223)를 통해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메인보드(210)에는 인터페이스 보드(203)를 통해서 상기 디스플레이 제어부(214)의 제어를 받는 디스플레이부(201)와, 키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는 프론트 보드(202)와 차량의 내부 및/또는 외부를 촬영하는 카메라(227)가 연결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1)는, 각종 비디오 신호, 문자 신호를 표시하고, 상기 프론트 보드(202)는 각종 키 신호 입력을 한 버튼을 구비하고, 사용자 선택이 이루어진 버튼에 해당하는 키 신호를 메인보드(210)에 제공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01)는 도 2의 근접 센서 및 터치 센서(터치-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1)는 HUD(Head Up Display) 또는 차량 계기판(Cluster)이 될 수도 있다.
상기 프론트 보드(202)는 교통 정보를 직접 입력하기 위한 메뉴 키를 구비하며, 상기 메뉴 키는 키 제어부(211)의 제어를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상기 메인 보드와 연결되고, 각종 오디오 신호를 처리한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오디오 보드(217)의 제어를 위한 마이크로컴퓨터(219),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튜너(218), 상기 마이크로컴퓨터(219)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6), 각종 음성 신호를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215)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라디오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라디오 안테나(220)와, 오디오 기록매체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오디오 데크(221)로 구성된다. 상기 오디오 보드(217)는 상기 오디오 보드(217)에서 신호 리된 음성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음성 출력부(예를 들면, 앰프)(226)를 더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음성 출력부(앰프)(226)는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된다. 즉, 상기 오디오 보드(217)와 메인 보드는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224)에 연결된다. 상기 차량 인터페이스(224)는 음성 신호를 입력하는 핸즈프리(225a), 탑승자 안전을 위한 에어백(225b), 차량의 속도를 검출하기 위한 속도 센서(225c) 등이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 속도 센서(225c)는 차량 속도를 산출하고, 그 산출된 차량 속도 정보를 상기 중앙 처리 장치(212)에 제공한다.
상기 단말기(200)에 적용된 네비게이션 세션(299)은, 지도 데이터 및 차량 현재 위치 정보를 근거로 길 안내 정보를 발생하고, 그 발생된 길 안내 정보를 사용자에게 통지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201)는 근접 센서를 통해 표시창 내에서 근접 터치를 감지한다. 예를 들면, 상기 표시부(201)는 포인터(예를 들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팬(stylus pen))가 근접 터치될 때 그 근접 터치의 위치를 검출하고, 그 검출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부(212)에 출력한다.
음성 인식 장치(또는 음성 인식 모듈)(298)는 사용자에 의해 발성된 음성을 인식하고, 그 인식된 음성 신호에 따라 해당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기(200)에 적용된 내비게이션 세션(session)(299)은, 지도 데이터 상에 주행 경로를 표시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위치가 상기 주행 경로에 포함된 사각지대로부터 미리 정한 거리 이내일 때 무선 통신(예를 들면,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통해 주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예를 들면, 차량 네비게이션 장치) 및/또는 주변 보행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와 자동으로 무선 네트워크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주변 차량에 장착된 단말기로부터 그 주변 차량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주변 보행자가 휴대하고 있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주변 보행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 노트북 컴퓨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 울트라북,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차량과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는, 전술한 차량과 이동 단말기 사이의 페어링(pairing) 또는/및 연결,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등을 위한 모든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며, 표준에 의해 현재 지원되거나 향후 지원될 네트워크도 포함한다. 한편, 상기 유/무선 네트워크는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통신 프로토콜들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유/무선 네트워크는 예컨대, USB(Universal Serial Bus),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컴포넌트(Component), S-비디오(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GB, D-SUB와 같은 유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과, 블루투스(Bluetooth), WLAN(Wireless LAN)(Wi-Fi), Wi-Fi 다이렉트(direct),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LTE/LTE-A(Long Term Evolution/LTE-Advanced) 등과 같은 무선 연결을 위한 네트워크와 그를 위한 통신 규격 내지 프로토콜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단말기(200)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의 일 실시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400)는, 무선 통신부(410), A/V(Audio/Video) 입력부(420), 유저 입력부(430), 센싱부(440), 출력부(450), 메모리(460), 인터페이스부(470), 제어부(480), 전원 공급부(4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410)는, 이동 단말기(4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410)는 방송 수신 모듈(411), 이동 통신 모듈(412), 무선 인터넷 모듈(413), 근거리 통신 모듈(414), 위치 정보 모듈(4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여기서,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과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하며,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4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에서 EPG(Electronic Program Guide)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을 생성하고 출력하기 위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은 예를 들어, ATSC, DVB-T(Digital Video Broadcasting-Terrestrial), DVB-S(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4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다른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방송 수신 모듈(411)을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와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4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4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신호, 화상 통화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4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포함하여, 이동 단말기(4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 (Wi-Fi), Wibro, Wimax, HSDPA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 RFID, 적외선 통신(IrDA), UWB, 지그비, RS-232, RS-385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415)은, 이동 단말기(400)의 위치 정보 획득을 위한 모듈로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을 예로 할 수 있다.
A/V 입력부(420)는, 오디오 또는/및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421)와 마이크(4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421)는, 화상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획득되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4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4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4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4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4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422)는,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4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4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유저 입력부(430)는, 유저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유저 입력부(4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jog wheel), 조그 스위치(jog switch)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440)는, 이동 단말기(4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400)의 위치, 유저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400)의 현재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400)의 동작 제어를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가 이동되거나 기울어진 경우 이동 단말기의 위치 내지 기울기 등을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4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470)의 외부 디바이스 결합 여부 등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44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을 포함한 근접 센서(341)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4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451), 음향 출력 모듈(452), 알람부(453), 및 햅틱 모듈(4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이동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 또는 GUI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4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451)는, 액정 디스플레이(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4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유저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4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body)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451)는 출력 디바이스 이외에 입력 디바이스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4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4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4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480)는 디스플레이부(4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4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상기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은, 호신호 수신, 통화 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4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4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은 이동 단말기(4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4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 부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453)는, 이동 단말기(4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4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451)나 음성 출력 모듈(4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451,452)은 알람부(4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454)은, 유저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4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4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4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4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유저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454)은, 이동 단말기(4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460)는, 제어부(4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 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4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 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4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 하드디스크 타입,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SRAM, 롬(ROM), EEPROM, PROM,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0)는 인터넷상에서 상기 메모리(4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이동 단말기(4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디바이스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외부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4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4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디바이스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4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4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유저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유저 인증 모듈(Universal SIM,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디바이스(이하 '식별 디바이스')는, 스마트카드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디바이스는 포트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400)와 연결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470)는, 이동 단말기(4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4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유저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이동 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4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480)는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480)는, 멀티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4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481)은, 제어부(4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4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어부(480)는, 터치-스크린상에서 이루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490)는, 제어부(4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디바이스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 예는 ASICs, DSPs, DSPDs, PLDs, FPGAs,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컨트롤러, 마이크로프로세서,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제어부(4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 진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460)에 저장되고, 제어부(4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유저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본 명세서에서 디지털 디바이스 또는 외부 디바이스로 동작 또는 기능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 스마트 글래스, HMD 등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414)은, 이동 단말기(4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4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4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4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이동 단말기(4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4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4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 단말기(200)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하는 이동 단말기의 구성 블록도의 다른 실시 예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와치 타입의 이동 단말기 즉, 스마트워치(500)는 디스플레이부(551)를 구비하는 본체(501) 및 본체(501)에 연결되어 손목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밴드(502)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스마트워치(500)는 도 4의 이동 단말기(4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50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는 각종 전자 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제1 케이스(501a) 및 제2 케이스(501b)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되어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500)가 구현될 수도 있다.
스마트워치(50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본체(501)에는 상기 무선 통신을 위한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안테나는 케이스를 이용하여 그 성능을 확장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 또는 방사 영역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체(5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5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551)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551)의 윈도우(551a)는 제1 케이스(501a)에 장착되어 제1 케이스(501a)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501)에는 음향 출력부(552), 카메라(521), 마이크로폰(522), 유저 입력부(523)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551)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는 경우, 유저 입력부(523)로 기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본체(501)에 별도의 키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밴드(502)는 손목에 착용되어 손목을 감싸도록 이루어지며,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예로서, 밴드(502)는 가죽, 고무, 실리콘, 합성수지 재질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밴드(502)는 본체(501)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유저가 취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밴드로 교체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밴드(502)는 안테나의 성능을 확장시키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밴드에는 안테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그라운드 영역을 확장시키는 그라운드 확장부(미도시)가 내장될 수 있다.
밴드(502)에는 파스너(fastener; 502a)가 구비될 수 있다. 파스너(502a)는 버클, 스냅핏(snap-fit)이 가능한 후크(hook) 구조, 또는 벨크로(velcro; 상표명)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축성이 있는 구간 또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파스너(502a)가 버클 형태로 구현된 예를 제시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제어 방법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편의상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차량 내 설치되는바, 이하에서는 차량 단말기라 명명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차량 단말기는 전술한 도 4 내지 5와 같은 이동 단말기와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단말기 디스플레이 제어를 위한 구성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 실시 예는, 메모리, 스크린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인식 또는 식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데이터 영역을 더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운전자의 운행을 위한 운전자 데이터 영역, 상기 운전자의 운행을 보조하기 위한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또는 동승자를 위한 동승자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고 운전자만 존재하면, 상기 운전자 데이터 영역과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운전자 외에 탑승자가 존재하면, 상기 운전자 데이터 영역과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영역 외 상기 동승자 데이터 영역도 포함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각 좌석에 구비된 무게 센서, 상기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센서, 페어링되는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탑승자를 인식/식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데이터 영역, 상기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및 탑승자 데이터 영역이 제공되는 위치를 변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탑승자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 데이터 영역을 구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되, 상기 차량 내/외부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되는 각 데이터 영역 데이터 또는 그 설정을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와 상기 차량의 탑승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데이터 영역을 재구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식별된 탑승자 또는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데이터영역 접근 권한을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기 디스플레이 제어를 위하여, 차량은 통신부(610), 제어부(620), 메모리(630), 디스플레이부(6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차량은 디스플레이부 제어를 위하여 별도의 디스플레이 제어부(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610)는 차량 내부 및 차량 외부, 디스플레이부에 대한 터치 입력 등 다양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싱 환경 등을 제공한다.
제어부(620)는 도 6의 각 구성요소뿐만 아니라 차량 전반의 제어를 수행한다. 특히, 상기 제어부(620)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제어부(640)를 통해 또는 직접 디스플레이부(6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후술한다. 한편, 이하에서 단지 차량이라고 명명하여 설명하는 경우, 이는 상기 제어부(620)를 의미할 수도 있다.
메모리(630)는 제어부(620)의 제어에 따라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렇게 메모리(630)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하나로 후술하는 탑승자 등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50)는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의 대쉬보드 상에 구비되는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관한 전반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예컨대, 터치-스크린과 같이 터치 가능한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50)는 제어부(62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스크린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영역을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운전자의 주요 운행 기능에 관련된 운전자 데이터 영역, 상기 운전자의 운행 보조를 위한 운전 보조 데이터 영역, 차량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 그 탑승자에 관한 탑승자 데이터 영역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차량 단말기라 함은 단지 차량 내 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즉, 차량 디스플레이부뿐만 아니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차량 내 구성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단말기 디스플레이 구성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 단말기는 차량 내부의 모든 곳에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차량 단말기는 차량의 대쉬보드 상 또는/및 좌석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대쉬보드의 경우에는 특히, 운전자의 전면부에 해당하는 영역과 그 이웃 영역에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좌석의 후면부에 위치하는 차량 단말기는 해당 좌석에 임베디드 또는 개별 디스플레이가 상기 좌석 후면부와 결합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이하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대쉬보드 상에 구비되는 차량 단말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단말기는 대쉬보드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2개의 데이터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는 상기 운전자 데이터 영역이고, 다른 하나는 운전 보조 데이터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운전 보조 데이터 영역은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의 주요 운행 기능 외에 상기 차량 운행을 보조하는 데이터 영역이다. 한편, 상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추가로 차량에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탑승자 데이터 영역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대쉬보드 상에 구비되는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하드웨어적으로 일체형으로 구성되나 소프트웨어적 또는 가상으로 전술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영역들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처음부터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영역들 각각이 개별 하드웨어 구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대쉬보드 상의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은, 운전자 데이터 영역,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및 탑승자 데이터 영역으로 구분된다.
도 7b는 상기 도 7a와 대동소이하나 상기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의 크기 내지 사이즈가 상기 도 7a와 다르게 구성한 것이다.
도 7c는 도 7a 내지 7b와 달리, 대쉬보드 상의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은 운전자 데이터 영역과 그 밖의 영역으로 구분되었다.
도 7d는 전술한 도 7c와 유사하나, 경우에 따라 운전자 데이터 영역에 적어도 하나의 임의의 데이터 영역이 더 제공되었다. 이러한 임의의 데이터 영역은 일반적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서 구현되는 화면 분할과 같은 형태일 수도 있고,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된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임의의 데이터 영역은 예를 들어, 차량의 사이드미러, 룸미러 등을 통해 볼 수 있는 이미지에 해당하는 데이터가 출력되는 영역일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운전자 데이터 영역은 차량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보거나 조작할 수 있는 모든 기능에 대응되는 데이터 영역으로, 상기 기능에는 통상적인 차량에서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보거나 조작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된다.
상기에서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은 차량 운전자를 위한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상기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은 상술한 네비게이션 데이터와 상기 운전자 데이터 영역에서 제공하는 데이터를 제외한 차량 운행 보조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여기서, 상기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은 전술한 상기 운전자를 위한 차량 제어 기능 외의 나머지 차량 제어 기능에 대응된다.
상기에서 탑승자 데이터 영역은 상술한 운전자 데이터 영역 또는/및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으로 동승자가 있는 경우에 그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역을 의미한다. 이때, 상기 탑승자 데이터 영역은 전술한 운전자 데이터 영역 또는/및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과 동일하게 차량 제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부 데이터는 상술한 영역들의 데이터와 동일하거나 관련될 수도 있다.
전술한 도 7을 참조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적어도 하나의 영역을 포함하여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내 영역(들)은 그 위치 내지 제공 데이터가 항상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 이용 시 상황에 따라 예컨대, 운행 전, 운행 중, 동승자 여부 등 다양한 팩터에 기초하여 변경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량 운행 전, 차량 운행 중, 동승자가 있는 경우, 운행 종료 시 등과 같이, 차량의 상태 등에 기초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하에서는 편의상 차량 운행 중(차량 운행 시작 시도 포함)의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되 특히, 차량 내 탑승자가 운전자 혼자인 경우와 추가 탑승자 즉, 동승자가 있는 경우의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예로 하여 설명한다. 한편, 통상 차량 소유자가 운전자인 경우가 많으므로 편의상 차량 소유자는 운전자로 설명한다. 또한, 편의상 이하에서 탑승자라 함은 운전자를 제외한 탑승자 즉, 차량 동승자를 의미할 수 있다.
차량은 운전자의 설정에 따라 탑승자 즉, 동승자 존재 여부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식별할 수 있다. 예컨대, 차량에 동승자 수동 디텍트 모드가 설정되면, 차량은 운전자만 있는 경우를 가정 즉, 운전자만을 위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 제공한다. 다만, 이때, 차량은 운전자의 수동 설정에 따라 동승자 존재에 대한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8과 같이, 차량에 동승자 자동 디텍트 모드가 설정되면, 차량은 운행 시작을 위한 신호가 수신되면 운전자 외 차량 탑승자 즉, 동승자 유무를 자동으로 디텍트하고 판단한다. 이 경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운전자만 있는 경우와 차량 내 탑승자가 존재한 경우에 그 구성을 달리할 수 있다. 즉, 도 8을 참조하면, 차량 운전자는 동승자 디텍트 모드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선택 및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수동 또는 자동 동승자 디텍트 모드에 따라 차량 내 운전자만 탑승한 경우에는, 차량은 도 7c 또는 7d와 같은 형태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운전자 데이터 영역과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만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차량 내에 운전자 외의 적어도 한 명의 탑승자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술한 도 7c 또는 7d가 아니라 도 7a 또는 7b와 같이 탑승자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후자의 경우, 동승자 수, 동승자의 탑승 위치, 동승자의 권한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술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는 또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동승자가 있다는 것만으로 반드시 상기 탑승자 데이터 영역이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포함되어 제공되는 것은 아닐 수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차량 내 탑승자 즉, 동승자 인식 또는/및 식별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여기서, 동승자 인식이라 함은, 동승자의 차량 내 탑승 유무에 관한 내용을 그리고 동승자 식별은 인식된 동승자의 수, 동승자의 탑승 위치, 동승자의 권한 등에 관한 내용을 의미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동승자 인식이나 동승자 식별이란 용어는 상기 의미 구분없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동승자 인식이라고 하더라도 동승자 식별 내용까지 포함할 수 있으며, 반대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동승자 인식/식별은 예컨대, 차량에 구비된 무게 센서,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3D 센서 등), 온도 센서, 열감지 센서, 오디오(음성) 센서,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향기 또는 냄새 센서, 지문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동승자 인식/식별은 차량 특히, 차량 내 각 좌석에 구비된 무게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데이터에 기초하여 판단하는 것을 예로 하여 설명하나, 상술한 바와 같이 다른 센서에 의해서 또는 다른 센서에 의해 센싱되는 데이터와의 조합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동승자 인식/식별은 상기한 센서와 함께 또는 별도로 탑승자가 소지하거나 착용하는 이동 단말기와의 페어링, 연결 등 데이터 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과 10은 본 발명에 따라 동승자 인식/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차량은, 동승자 좌석에 구비된 좌석 무게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데이터 즉, 동승자의 무게 데이터로부터 동승자의 탑승 여부, 동승자의 수, 동승자의 탑승 위치 내지 탑승 좌석 등을 식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용 디스플레이 내 탑승자 데이터 영역 데이터 제공 여부, 상기 탑승자 데이터 영역의 제공 데이터의 타입, 종류, 속성 등이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도 9에서는 이러한 좌석 무게 센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동승자가 누구인지 식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사용자의 입력 내지 설정 데이터에 기초하여 동승자가 누구인지 식별할 수 있으며 그 외 적어도 한 번 이상 탑승한 자가 있는 경우 해당 탑승자의 무게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고, 이렇게 저장된 탑승자의 무게 데이터를 추후 차량 탑승자 식별에 이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한 번 차량에 탑승한 자에 대한 무게 데이터를 저장 후 다음 탑승 시에 상기 저장된 무게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탑승자를 식별하는 것이다.
한편, 탑승자를 식별하는 방법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다.
다만, 도 9에서는 탑승자를 식별함에 있어서, 좌석 무게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무게 데이터에 기초하여 성인, 어린이, 유아 등으로 구분하는 것을 일 예로 하였다. 예를 들어, 차량은 탑승자의 무게가 45kg 이상이면 성인, 7kg-44kg 사이이면 어린이 그리고 6kg 이하이면 유아로 구분할 수 있다. 한편, 좌석에 유아용 보조시트가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 보조시트의 무게를 고려하거나 해당 좌석 탑승자는 유아로 미리 간주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9를 참조하면, 탑승자의 무게를 기초로 성인 등으로 구분하였으나, 도 10에서는 이와 달리 가족, 직장 동료, unknown 등으로 동승자를 구분하는 것을 예로 하였다.
도 10을 참조하면, 큰 카테고리로 가족, 직장 내지 업무, 언노운(unknown)으로 구분하였으며, 이는 그룹의 의미일 수도 있다. 도 8이나 본 명세서의 디스플레이 데이터에 이러한 내용은 모두 적용 가능하다.
다시 말해, 가족을 선택하면, 가족 구성원에 따라 부모님, 와이프/남편, 자녀 등과 같이 서브 그룹까지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직장 내지 업무의 경우, 직장 동료, 선배, 후배, 고객 등 다양한 형태의 서브 그룹까지 식별할 수 있다. 또한, unknown은 차량을 처음 탑승하여 탑승자 등록이 되어 있지 않거나 기탑승 이력은 있으나 탑승자 등록이 되지 않은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9 내지 10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로 탑승자를 식별하는 방법이 있으며,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무게 센서를 통해 차량에 처음 탑승하는 탑승자를 식별하는 것은 전술한 무게 데이터게 기초하여 적절히 판단할 수 있다. 다만, 차량에 탑승 이력이 있거나 등록된 탑승자의 경우, 측정된 무게 센서 데이터만으로 상기 탑승 이력이 있거나 등록된 탑승자를 정확히 식별하는 것은 오류 가능성이 있다. 예를 들어, 등록된 탑승자의 이전 몸무게와 탑승 시점에 탑승자의 몸무게가 서로 다를 경우에는 동일한 탑승자임에도 불구하고 다른 탑승자로 인식하거나 언노운으로 인식할 수 있다. 반대로, 다른 탑승자임에도 불구하고 등록되어 있는 탑승자와 무게가 동일한 경우에, 차량은 상기 다른 탑승자를 기등록된 탑승자로 인식하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은 탑승자의 무게 데이터에 오차를 두어 판단하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른 센서를 통해 센싱되는 데이터를 탑승자 식별에 더 참조할 수 있다. 또는, 차량은 상기 센싱 데이터와 함께 또는 그와 관계없이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웨어러블 디바이스도 포함) 등을 통해 탑승자를 식별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동승자에 관한 내용은 동일 또는 유사한 형태 내지 방식으로 운전자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이하 전술한 내용에 기초하여 차량 내에 운전자만 탑승한 경우뿐만 아니라 적어도 한 명 이상의 동승자가 있는 경우에 차량 제어 또는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 예를 기술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동승자와 같은 식별된 탑승자에 따라 해당 탑승자의 권한을 달리함으로써 차량 제어 및 차량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차량은 예컨대, 기탑승 이력이 있거나 등록된 탑승자가 식별된 경우에는 해당 탑승자의 운행 등 차량 이용에 관한 개인화 내지 커스터마이즈드 서비스(이하 '커스터마이즈드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커스터마이즈드 서비스는 예를 들어, 동승자 수, 동승자 위치, 동승자 우선순위, 차량 내/외부 환경 내지 조건, 차량 운행 안정성, 페어링 또는 연결된 단말기 존재 또는/및 그 이용 여부 등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 내지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먼저 차량 내 탑승자에 대한 권한 설정 방식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이는 임의적인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방식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여 차량 제어 방법에 관한 다양한 실시 예들을 설명한다. 이러한 차량 제어 방법은 예를 들어, 운전자/탑승자에 대한 개인화된 데이터 제공,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에 제공되는 컨텐트의 제어, 차량 단말기와 통신 가능한 이동 단말기와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등에 관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승자 권한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라 차량 탑승자 인식/식별 및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은 운행 시작 시, 운전자 외의 차량 탑승자를 인식하고 식별한다. 이렇게 식별된 운전자 및 차량 탑승자에 따라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
여기서, 차량 탑승자 즉, 동승자 인식 및 식별은 예를 들어, 동승자의 수, 동승자의 탑승 위치 등을 포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는 차량에서 인식한 운전자/동승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은 만약 동승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인식된 동승자를 식별한다. 이때, 상기 인식된 동승자가 식별되면, 식별된 동승자에 대하여 권한 설정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메뉴를 제공한다. 그러나 만약 상기 인식된 동승자가 식별되지 않으면, 언노운으로 처리하고 차량 탑승자로 등록 여부에 대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차량은 식별된 동승자가 기등록되었으며 권한 설정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권한 설정 내용을 미리 고지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 내 제1 서브 영역(1110)에 인식/식별된 탑승에 대한 정보와 미등록 탑승자의 경우, 등록을 위한 아이콘 등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도 11의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 내 제2 서브 영역(1120)에는 차량 기능 이용 등과 관련된 권한 설정 사항들이 제공된다.
도 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제어 및 차량 제어 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차량은 먼저, 차량 운행 시작 신호가 입력되면(S1202), 운전자 외에 차량 탑승자 존재 유무를 판단한다(S1204).
상기 S1204 단계 판단 결과, 운전자 외에 차량 탑승자가 인식되면, 인식된 차량 탑승자의 수를 판단한다(S1206). 이와 동시에, 차량은 상기 인식된 차량 탑승자의 탑승 좌석 위치를 판단한다(S1208). 여기서, 상기 S1206 단계는 시스템에 따라 판단하지 않고 바이패스할 수도 있다.
차량은 S1206 단계 판단 결과, 인식된 차량 탑승자의 수가 복수 명이면, 각 인식된 차량 탑승자가 차량에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S1210).
또한, 차량은 S1208 단계 판단 결과, 인식된 차량 탑승자의 좌석 위치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차량 탑승자의 차량에 등록 여부를 판단한다(S1210).
차량은 S1206 단계 판단 결과, 상기 인식된 차량 탑승자 중 적어도 한 명의 차량 탑승자가 등록된 경우에는 해당 등록 탑승자에 대해 미리 설정된 권한 설정 내용을 참조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한다(S1212).
차량은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에 상기 구성에 따른 데이터를 제공한다(S1214).
한편, 차량은 S1208 단계 판단 결과, 차량 탑승자의 좌석이 운전자의 옆좌석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차량 탑승자의 등록 유무와 관계없이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운전자만 탑승한 경우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차량은 상기 차량 탑승자가 비록 차량 내 뒷좌석에 탑승하였다고 하더라도 미리 등록된 권한 설정 내용이 있는 경우에는, 일부 또는 전부를 해당 좌석과 관련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제공할 수도 있다.
또는, 차량은 S1208 단계 판단 결과, 차량 탑승자의 좌석이 운전자의 옆좌석이면, 그에 따라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고(S1212), 상기 구성에 따른 데이터를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에 제공한다(S1214).
여기서, 상기 옆좌석에 탑승한 차량 탑승자가 차량에 미등록된 탑승자이면, 상기 S1212 단계에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함에 있어서 먼저, 등록 유도 및 권한 설정을 위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옆좌석에 탑승한 차량 탑승자가 차량에 등록된 탑승자이면, 미리 설정된 권한 설정 내용을 반영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바로 제공할 수 있다.
도 11에서는 비록 차량에 등록된 탑승자의 권한과 관련하여, 주로 차량 기능에 관한 내용을 예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외에도 다양한 내용에 대하여 권한 설정을 할 수 있다.
전술한 차량 탑승자 인식/재인식하고 식별한 후에, 식별된 차량 탑승자에 따라 권한 설정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이는 수동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된 차량 탑승자가 성인으로 식별되면, 해당 탑승자는 차량 내 이용 권한을 풀(Full)로 할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이용 권한이 풀이라 함은 운전자와 동일하거나 그보다 제한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인식된 차량 탑승자가 어린이나 유아로 식별되면, 해당 탑승자는 차량 내 이용 권한을 일부만 할당, 최소화 또는 권한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식별된 차량 탑승자가 어린이나 유아이면, 그는 차량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거나 잘못된 선택을 할 가능성이 높고 이로 인해 차량 운행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안전성 우려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다른 권한 설정 방식으로는, 식별된 차량 탑승자가 성별에 기초하여 여자인 경우와 남자인 경우로 구분하여, 그에 따라 차량 내 이용 권한 내지 이용 가능한 컨텐트를 미리 설정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운행 중 음악을 재생하고자 하는 경우, 식별된 차량 탑승자가 여성이면, 발라드 장르의 음악이 먼저 재생될 수 있고, 식별된 차량 탑승자가 남성이면 록 장르의 음악이 먼저 재생될 수 있다.
이외에도, 식별된 차량 탑승자의 나이, 성별 외에도 가족 유무 등을 참고하여 다양하게 권한 설정 및 그에 따른 탑승자에 커스터마이즈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인식된 차량 탑승자의 수가 1명이거나 복수 명인 경우에도, 차량 탑승자의 식별 결과에 기초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이용 권한 등을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식된 차량 탑승자가 1명이라고 하더라도 운전자와의 관계에서 식별된 차량 탑승자 사이에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이용 권한 등을 다르게 구성할 수 있다. 예컨대, 운전자 외에 차량 탑승자의 우선순위가 상기 운전자보다 높은 경우에는 차량 탑승자를 위한 영역을 포함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고, 반대의 경우에는 운전자만을 위한 영역이 포함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인식된 차량 탑승자가 복수 명이라면, 식별된 복수의 차량 탑승자 중 어떤 탑승자에 초점을 두어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이용 권한을 구성할지 여부도 상기 식별된 각 차량 탑승자 사이의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3명의 차량 탑승자들이 있다고 가정하면,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차량 탑승자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만약 상기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차량 탑승자의 탑승 좌석 위치가 운전자의 옆자리가 아니거나 상기 운전자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경우에는, 상기와 달리 탑승자를 위한 영역이 포함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지 않고 운전자만을 위한 영역이 포함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예컨대,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 중 탑승자 데이터 영역에 네비게이션 데이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승자인 차량 탑승자는 예컨대, 그 권한에 네비게이션 이용 권한이 있다.
도 13a를 참조하면, 네비게이션 데이터와 관련하여, 맵 데이터의 론칭을 원하는 항목과 오토 드라이빙 항목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에서 탑승자 데이터 영역의 네비게이션 데이터 중 맵 데이터의 론칭 항목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은 상기 탑승자 데이터 영역 또는 다른 영역 예컨대, 차량 단말기의 탑승자 데이터 영역이 아닌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에 도 13b와 같이 맵 데이터를 제공한다. 동승자나 운전자는 상기 제공되는 맵 데이터에 기초하여 목적지, 경로 등 네비게이션 데이터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네비게이션 데이터와 함께 차량 탑승자의 데이터를 함께 제공하거나 저장하여 추후 해당 차량 탑승자가 식별되는 경우에 이를 추천 등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에서 탑승자 데이터 영역의 네비게이션 데이터 중 오토 드라이빙 항목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차량은 운전자 데이터 영역 또는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에 도 13c와 같은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3c의 데이터는 예컨대, 차량 탑승자 정보, 목적지 정보, 오토 드라이빙 요청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 경우, 운전자는 상기 도 13c의 요청에 대하여 승인 또는 거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은 인식된 차량 탑승자를 식별함에 있어서, 상기 차량 탑승자가 소지한 또는 보유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와의 연동을 통한 차량 탑승자 인식/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a는 미등록된 차량 탑승자가 식별된 경우에, 차량에서 차량 단말기의 데이터 영역 중 하나에 제공하는 데이터일 수 있다.
이를 참조하면, 차량은 식별된 차량 탑승자의 차량에 등록 여부와 해당 차량 탑승자의 권한 설정 항목들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4b는 도 14a와 달리 차량 탑승자를 인식 및 식별함에 있어서, 매뉴얼로 차량 탑승자 또는 운전자가 해당 차량 탑승자를 직접 등록 등을 하거나 또는 스마트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등록을 할지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후자의 경우, 전술한 좌석의 무게 센서를 통한 무게 센싱 데이터를 이용하여 차량 탑승자를 인식/식별하는 경우에, 무게가 있는 물건, 무생물 등을 단지 무게 센싱 데이터에 따라 챠랑 탑승자로 인식하고 그에 따른 데이터 제공 등 오동작 우려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라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차량 탑승자 인식/식별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전술한 도 14b에서 이동 단말기 항목을 선택한 경우에, 차량 내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를 인식 및 식별하는 경우이다.
도 15a와 같이, 차량은 소정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일정 범위 내의 이동 단말기 존부를 판단하기 위해 신호를 브로드캐스팅 또는 애드버타이징한다. 도 15b에서 이동 단말기에서 상기 차량에서 전송되는 브로드캐스팅 또는 애드버타이징 신호가 수신되면, 이에 대한 응답을 하면, 상기 차량과 응답한 이동 단말기 사이에 페어링이 이루어진다. 한편, 여기서, 차량 내부 또는 주변을 가정하면, 상기 소정 통신 프로토콜은 예를 들어, 블루투스나 와이파티 등이 주로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도 15에서는 편의상 블루투스를 예로 하여 도시하였다.
이렇게 한 번 페어링이 이루어지고 나면, 상기 이동 단말기를 소지한 탑승자가 차량 주변 또는 차량 내부에 진입하면, 차량은 운전자 또는 차량 탑승자의 별도의 동작이나 입력이 없어도 미리 페어링을 하여 상기 차량 탑승자를 인식 및 식별하고 그에 기초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만약 차량에서 운행을 위해 차량 탑승자를 인식/식별함에 있어서,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는 경우에 페어링되는 이동 단말기가 1개 또는 복수 개인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어링되는 이동 단말기가 1개인 경우, 차량은 상기 이동 단말기를 통해 식별된 차량 탑승자와 운전자의 우선순위를 판단하여, 그 결과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페어링되는 이동 단말기가 복수 개이면, 복수 개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식별된 복수의 차량 탑승자들 중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차량 탑승자를 기준으로 하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장 우선순위가 높은 차량 탑승자가 만약 탑승 좌석이 운전자의 옆좌석이 아니거나 운전자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달리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구성할 수도 있다.
도 16 내지 17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데이터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a와 16b는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상에 탑승자 등록을 위한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c는 상기 도 16a 내지 16b에 따라 등록된 탑승자 정보를 제공하는 영역에 대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도시한 것이다.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상에 탑승자 등록 방법은, 도 16a와 같이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제공되는 데이터를 직접 터치 등을 통한 입력을 통해 수행하는 방법과, 도 16b와 같이 페어링되는 이동 단말기를 통해 수행하는 방법이 있다.
도 16에서 차량 탑승자 등록과 관련하여 입력 항목은 예를 들어, 탑승자 이름 내지 닉네임, 연락처, 생일이 도시되었다. 다만, 본 발명은 상기 차량 탑승자 등록과 관련된 입력 항목으로 도 16에 도시된 항목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해당 탑승자에 대하여 무게 센서를 통해 센싱된 무게 데이터, 기타 권한 요청 데이터 등도 포함될 수 있다.
그 밖에, 도 17과 같이, 상기 차량 탑승자 등록 시에 해당 탑승자의 선호 기능, 선호 데이터 등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상기에서 선호 데이터라 함은 해당 탑승자 탑승시 원하는 음악 장르, 원하는 비디오 데이터 등이 있을 수 있다. 상기 선호 기능과 관련하여, 차량 탑승자가 차량 기능 중 원하는 기능 예컨대, 네비게이션 기능, 에어컨 온도 조절 기능, 라디오 주파수 설정 기능, 좌석 전후 위치 내지 좌석 기울기 등에 대한 내용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호 기능 중 일부 내지 전부는 별도 설정을 하지 않더라도 해당 탑승자의 기능 이용에 따라 자동으로 차량에 입력 내지 설정되어 저장되고 추후 해당 탑승자의 재탑승 시에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그 외에, 도 16a에서는 입력할 항목을 제공하고, 도 16b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각 항목에 대한 입력을 하면 자동으로 도 16c와 같이,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에 해당 항목의 데이터가 입력되는 방식도 이용할 수 있다.
도 18과 19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탑승객 인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은 예컨대, 차량 내 구비된 음성 인식 센서를 통해 센싱된 차량 탑승자의 음성 인식을 통하여 해당 차량 탑승자를 식별하는 방법이고, 도 19는 탑승자가 차량에 진입하면 해당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로 미리 등록된 고유 데이터를 전송하여 해당 차량 탑승자를 식별하는 방법이다.
도 18a를 참조하면, 차량은 탑승자가 차량에 진입하면, 그에 대한 다양한 데이터를 센싱하고 센싱된 데이터 수집한다. 예컨대, 탑승자가 좌석에 앉으면 해당 좌석의 위치, 상기 탑승자의 무게 데이터, 음성 데이터 등을 센싱하고 수집한다.
차량은, 상기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해당 탑승자를 인식하고 인식된 탑승자를 식별한다. 차량은 이렇게 식별된 탑승자가 맞는지 확인하기 위해 도 18b와 같이,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또는 스피커 등을 통해 식별된 탑승자의 진위 여부를 판단한다. 도 18c와 같이, 탑승자의 피드백 등을 통해 해당 탑승자가 판단된 탑승자가 맞는 것으로 식별되면, 차량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해당 탑승자의 데이터를 읽어 도 18d와 같이, 식별된 탑승자를 위한 탑승자 데이터 영역 데이터를 구성하고, 이를 반영하여, 차량 단말기용 디스플레이 구성, 제공 및 제어를 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도 18과 함께 또는 별개로 수행될 수 있다. 비록 차량 탑승자로 등록이 되었다고 하더라도 탑승자의 개인 정보는 고유한 것으로, 이러한 개인 정보는 잘못 제공될 경우 해당 탑승자의 개인 정보 유출의 우려가 있다. 따라서, 차량은 탑승객의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그와 다른 임시 데이터를 생성하고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등록된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 번호가 010-1234-5678이라고 하면, 차량은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등록된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 번호를 010-9876-5432로 변경하거나 010-1234-xxxx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는 해당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 번호를 아예 블록 처리할 수도 있다. 한편, 차량은 이동 단말기를 통해 해당 탑승자를 식별함에 있어서, 비록 010-1234-5678로 전화를 걸더라도 상기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상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010-9876-5432나 010-21234-xxx로 처리하여 제공할 수 있다. 차량은, 상기와 같이 전화 통화를 시도하여 해당 이용자의 통화를 통화 허락을 하거나 통화 허락 후 해당 사용자의 음성이나 지문 데이터 등을 수신하여 이로부터 해당 사용자 즉, 탑승자를 식별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임시 번호나 일부 블록된 전화번호 등을 이용하여 통화하는 경우를 예로 하였으나, 그 밖에 SMS, MMS, SNS 등을 통한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운행 중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전화가 오는 경우에 그 처리 방법이다.
도 20은, 운전자와 적어도 한 명의 탑승자가 탑승된 차량의 운행 중, 외부로부터 상기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게 전화가 오는 경우의 처리 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전화를 걸어 온 외부 사람이 예컨대, 차량 내 탑승자 정보에 포함된 경우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에 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전화번호 정도만 제공될 수 있다.
도 20a에서 예컨대,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로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오는 경우 그 처리 방법에 대해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이때, 통상적으로 운전자는 도 20b에 도시된 자신의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직접 또는 미리 설정한바 등에 따라 이어폰, 블루투스 기기 등을 통해 직접 통화를 할 수도 있다.
다만, 운전자가 직접 통화를 하는 경우 운행 중 사고 위험이 증가하므로, 도 20a에 도시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내 드라이버/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또는 도 20d에 도시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내 탑승자 데이터 영역 상에 외부 전화 건 사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통화 주체를 선택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드라이버가 아니라 탑승자를 선택하면, 차량은 해당 전화를 상기 탑승자에 대해 미리 등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가 수신할 수 있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차량은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또는 직접 상기 통화 데이터를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를 통해 수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차량은 상기 선택에 따라 운전자의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전화 요청을 디스커넥트하고,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가 커넥트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디스커넥트/커넥트는 단지 해당 이동 단말기 상의 표시일뿐 실제로 완전히 디스커넥트/커넥트의 의미가 아닐 수도 있다. 그 밖에, 이는 이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변경될 수도 있다.
한편, 도 20에서는 비록 전화와 같이 통화 애플리케이션의 경우를 예로 하였으나, 그 밖에 운전자나 탑승자의 이동 단말기 또는 차량에 인스톨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처리 역시 전술한 방식을 이용하여 처리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차량 탑승자 등의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단지 운행 시작시뿐만 아니라 운행 중에 발생한 가능한 다양한 이벤트에 따라 상기 설정 등록된 내용을 적절히 가변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은 비록 탑승자의 기등록 정보가 있다고 하더라도 탑승자의 차량 탑승 중 이용 패턴 등을 학습하여 운행 중 또는 해당 탑승자의 추후 탑승시에 그러한 내용을 반영하여, 탑승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도 7에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내 각 영역은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 의해 그 디스플레이 위치를 스위칭하거나 데이터를 변경 처리할 수도 있다.
그 밖에, 차량은 차량 탑승자로 등록된 탑승자 데이터 중 일부를 임의로 변경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은 차량 내부 또는/및 외부 환경 등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기등록된 데이터 중 일부를 설정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탑승자가 여름에 등록하면서 에어콘 온도를 섭씨 18도로 설정하였으나, 겨울이 된 경우에는 상기 설정은 변경이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설정 내용에 대응되는 적절한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내부 또는/및 외부 환경에는 상기 계절뿐만 아니라 탑승 시각 내지 현재 시각, 탑승자 수, 차량 상태, 현재 날씨, 현재 운행 지역 등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서 편의상 운전자 또는 탑승자에 대해 기술한 내용은, 탑승자 또는 운전자에 대해서도 모두 적용 가능하며, 하나의 도면으로 설명된 내용은 다른 도면과 조합되어 하나의 실시 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르면, 어드밴스드 차량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구성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에 따라 차량 내 운전자를 제외한 탑승자를 인식/식별하고 식별된 탑승자를 위한 차량 단말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차량에 탑승하는 모든 탑승자의 차량 이용 편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 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 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은 차량, 이동 단말기 등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등이 있으며,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웨이브(carrier-wave)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실시 예일 뿐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가 가능한 다양한 내용도 청구범위에 따른 권리범위에 속한다. 또한, 그러한 변형 실시들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610: 통신부 620: 제어부
630: 메모리 650: 디스플레이부

Claims (10)

  1. 차량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메모리;
    스크린상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데이터 영역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차량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인식 또는 식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추가적인 데이터 영역을 더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운전자의 운행을 위한 운전자 데이터 영역, 상기 운전자의 운행을 보조하기 위한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또는 동승자를 위한 동승자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탑승자가 존재하지 않고 운전자만 존재하면, 상기 운전자 데이터 영역과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에 운전자 외에 탑승자가 존재하면, 상기 운전자 데이터 영역과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영역 외 상기 동승자 데이터 영역도 포함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상기 차량에 탑승자에 대한 등록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각 좌석에 구비된 무게 센서, 상기 차량에 구비된 카메라 센서, 페어링되는 이동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상기 탑승자를 인식/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운전자 데이터 영역, 상기 운행 보조 데이터 영역 및 탑승자 데이터 영역이 제공되는 위치를 변경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차량 탑승자에 대한 등록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탑승자 데이터 영역을 구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되,
    상기 차량 내/외부 상태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제공되는 각 데이터 영역 데이터 또는 그 설정을 변경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량의 운전자와 상기 차량의 탑승자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결정된 우선순위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데이터 영역을 재구성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6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식/식별된 탑승자 또는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의 데이터영역 접근 권한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60148680A 2016-11-09 2016-11-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KR20180051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680A KR20180051842A (ko) 2016-11-09 2016-11-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PCT/KR2017/007939 WO2018088675A1 (en) 2016-11-09 2017-07-24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15/674,253 US10504490B2 (en) 2016-11-09 2017-08-10 Configuring the display of passenger information in a vehicle based on weight and vo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8680A KR20180051842A (ko) 2016-11-09 2016-11-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1842A true KR20180051842A (ko) 2018-05-17

Family

ID=620646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8680A KR20180051842A (ko) 2016-11-09 2016-11-09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504490B2 (ko)
KR (1) KR20180051842A (ko)
WO (1) WO201808867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402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차량의 편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2103036A1 (ko) * 2020-11-16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 전자 장치 및 차량 내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43381B2 (en) * 2016-01-12 2020-05-0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rendering multiple levels of detail
DE102017202257B4 (de) * 2017-02-13 2021-08-0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zeigevor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Kraftfahrzeug und Verfahren zur individuellen Einstellung eines Displays
DE102018211261A1 (de) * 2018-07-09 2020-01-09 Audi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von einem Fahrzeuginsassen eines Kraftfahrzeugs am Kopf getragenen Anzeigeeinrichtung und Anzeige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FR3086625A1 (fr) * 2018-09-28 2020-04-03 Psa Automobiles Sa Dispositif d’affichage a ecran tactile affichant dans des zones independantes des pages d’imagettes associees a des fonctionnalites d’un vehicule
US11106336B2 (en) * 2019-10-02 2021-08-31 William H. Havins Cognitively optimized user interface for static equipment
US10885728B1 (en) * 2019-10-02 2021-01-05 William H. Havins Cognitively optimized user interface for motor vehicle
KR20210108784A (ko) * 2020-02-26 2021-09-0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통신 id를 이용하여 차량의 내부 시스템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JP7366850B2 (ja) * 2020-07-28 2023-10-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情報共有システムおよび情報共有方法
DE102022124911A1 (de) * 2022-09-28 2024-03-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berührungsempfindlichen anzeige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23106A (en) 1980-07-18 1982-02-06 Toshiba Corp Process controller
US7477758B2 (en) * 1992-05-05 2009-01-13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objects in vehicular compartments
US8189825B2 (en) * 1994-05-09 2012-05-29 Breed David S Sound management techniques for vehicles
US7330784B2 (en) * 1998-11-17 2008-02-12 Automotive Technologies International, Inc. Weight measuring systems and methods for vehicles
JP2002057149A (ja) * 2000-08-08 2002-02-22 Tokyo Electron Ltd 処理装置及びそのクリーニング方法
US20040113797A1 (en) * 2002-12-16 2004-06-17 John Osborne System and method for alerting an operator to the presence of an occupant in a vehicle
DE10339314B3 (de) * 2003-08-27 2005-04-21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Verfahren zur Anzeigesteuerung von unterschiedlichen Informationen in einem Fahrzeug und optoakustische Informationseinheit
EP1811362A4 (en) * 2004-10-27 2011-07-27 Fujitsu Ten Ltd DISPLAY
JP5723106B2 (ja) * 2010-05-18 2015-05-27 東芝アルパイン・オートモティブ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車両用ディスプレイ方法
US9511683B2 (en) * 2010-08-25 2016-12-0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Occupant recognition and verification system
US20140309921A1 (en) * 2013-04-15 2014-10-16 Flextronics Ap, Llc Travel route alteration based on user profile and business
US9082239B2 (en) * 2012-03-14 2015-07-14 Flextronics Ap, Llc Intelligent vehicle for assisting vehicle occupants
US20140030980A1 (en) * 2012-07-26 2014-01-30 Mark D'AMBROSIO Mobile user content sharing application
US9340155B2 (en) * 2013-09-17 2016-05-17 Toyota Motor Sales, U.S.A., Inc. Interactive vehicle window display system with user identification
KR101558369B1 (ko) * 2013-12-02 2015-10-19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및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장치 제어방법
KR20160032451A (ko) * 2014-09-16 2016-03-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차량용 표시 장치 및 차량용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
KR101677648B1 (ko) * 2014-12-22 2016-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954927B2 (en) * 2015-01-26 2018-04-24 Hong Kong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mpany Limited Method for managing multiple windows on a screen for multiple users, and device and system using the same
US9550406B2 (en) * 2015-03-16 2017-01-24 Thunder Power Hong Kong Ltd. Thermal dissipation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KR102309316B1 (ko) * 2015-06-02 2021-10-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US9851882B2 (en) * 2015-12-27 2017-12-26 Thunder Power New Energy Vehicle Development Company Limited Fully designable vehicle information panel interfa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402A (ko) * 2019-10-18 2021-04-28 주식회사 엔디오에스 차량의 편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
WO2022103036A1 (ko) * 2020-11-16 2022-05-19 삼성전자 주식회사 차량 내 전자 장치 및 차량 내 전자 장치에서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04490B2 (en) 2019-12-10
WO2018088675A1 (en) 2018-05-17
US20180130449A1 (en) 2018-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4089B2 (en)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a display therein
KR2018005184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10932124B2 (en) Mobile terminal
US10149132B2 (en) Pedestrial crash prevention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9800717B2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N105898089B (zh) 移动终端、移动终端的控制方法、车辆的控制系统及车辆
KR101711835B1 (ko) 차량, 차량의 동작 방법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동작 방법
KR101641267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698103B1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8811B1 (ko) 실시간 지도 생성을 위한 v2x 통신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US20180192266A1 (en) Mobi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716145B1 (ko) 이동단말기,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20170014586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737800B1 (ko) 차량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0798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20160127491A (ko) 차량 결제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698102B1 (ko) 차량 제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1916425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101892498B1 (ko) 차량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차량과 이동 단말기의 연동 시스템
KR101698104B1 (ko) 차로 안내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20104A (ko) 차량용 표시장치 및 그것의 제어방법
KR20150116693A (ko)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40128807A (ko) 차량 설정 방법 및 그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