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7789B1 -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7789B1
KR100877789B1 KR1020070049009A KR20070049009A KR100877789B1 KR 100877789 B1 KR100877789 B1 KR 100877789B1 KR 1020070049009 A KR1020070049009 A KR 1020070049009A KR 20070049009 A KR20070049009 A KR 20070049009A KR 100877789 B1 KR100877789 B1 KR 100877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cquer
extract
toxicity
present
honeysuc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9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2477A (ko
Inventor
송승훈
Original Assignee
(주)금강참옻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금강참옻 filed Critical (주)금강참옻
Priority to KR10200700490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789B1/ko
Publication of KR200801024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24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A23L5/21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by heating without chemical treatment, e.g. steam treatment, coo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동덩굴과 삼백초를 끓여서 제조한 추출액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옻나무를 찌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인동덩굴 100중량부에 대하여 삼백초 90~110중량부를 혼합하여 물 1800~2000중량부에 넣고 약 1시간 동안 끓인 후, 거름망으로 잔사를 제거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액의 증기를 이용하여 옻나무 재료를 찐 다음, 건조하는 방법으로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은 재료를 구하기가 쉽고 시간과 에너지를 적게 필요로 하며 실시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옻나무의 껍질뿐 아니라 줄기, 잎, 뿌리, 열매까지 독성을 제거함으로써, 부작용없이 누구나 옻나무를 사용하여 보양식을 제조, 섭취할 수 있다.
옻나무, 옻, 독성제거, 우루시올, 인동덩굴, 삼백초.

Description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Method of detoxifying lacquer}
도 1은 본 발명의 시험예에 따른 GC/MSD 분석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험시료에서는 우루시올이 검출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동덩굴과 삼백초를 끓여서 제조한 추출액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옻나무를 찌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옻나무는 다양한 효능이 알려져 있으나, 체질에 따라 피부염을 비롯한 알레르기성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섭취에 제약이 따른다. 옻나무의 알레르기 유발 원인은 우루시올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이를 제거함으로써 부작용없이 옻성분을 섭취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제공되어 왔다.
그 예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22832호 독성제거 옻추출액 제조방법에서는 옻을 엄나무, 자소, 죽엽, 숙지황, 감초와 혼합하여 가열 및 추출, 여과함으로써 독성이 제거된 옻추출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 은 여러 한약재를 함유하므로 체질에 따라 적합하지 못한 한약 성분까지도 함께 섭취해야 하는 한계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105434호 무독화 옻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그 추출물의 용도에서는 라카아제 분비능이 있는 담자균류에 속하는 영지, 운지, 노루궁뎅이, 상황, 느타리, 표고버섯 등의 버섯 균주를 배양함으로써 옻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온도, 습도 등의 조건을 버섯 균주의 생장에 적합하도록 맞추는 것이 까다로울 뿐 아니라, 3~24일 동안 균주를 배양시켜야 하므로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6218호 독성이 제거된 옻액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옻액을 이용한 옻닭 엑기스에서는 옻피를 감초, 서목태, 소엽과 함께 물에 담가 1~3시간 동안 찐 후, 건조한 옻피를 세절하고 물에 넣어 고온으로 4~7시간 동안 끓이고 오존 세척기로 살균, 소독하여 독성이 제거된 옻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였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고온으로 장시간 가열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에너지 소모가 많은 한계가 있었다.
이 외에도 다양한 기술들이 제공된 바 있으나, 그 대부분이 독성제거가 완전치 못하여 옻나무의 잎이나 뿌리, 열매 등은 사용하지 못하고 상대적으로 독성이 적은 줄기껍질만을 재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기술들에서 지적한 문제점, 혹은 재료가 희귀하여 구하기 어려운 문제점 등을 지니고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옻나무의 껍질뿐 아니라, 줄기, 잎, 뿌리, 열매까지 독성을 제거하여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함에 있어서 재료를 쉽게 구할 수 있고 시간과 에너지를 적게 필요로 하며 실시가 용이한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인동덩굴과 삼백초를 끓여서 제조한 추출액을 이용하여 증기를 발생시켜 옻나무를 찌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옻나무는 예로부터 옻 칠기의 재료, 또는 방부제와 살충제 등의 용도로 이용되어 왔으며, 한의학에서는 소화를 돕고 어혈과 염증을 풀어주며 피를 맑게 하고 균을 죽일 뿐 아니라 소변을 잘 나오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는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신경통, 관절염, 위장병, 간병, 늑막염 골수염, 적병과 같은 질환에 처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보양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민간에서는 옻닭을 비롯한 각종 옻 함유 요리를 보양식으로 섭취하고 있다. 옻나무의 효능은 잎과 줄기, 열매, 뿌리에서 고르게 나타나지만, 통상적으로는 상대적으로 독성이 적은 줄기껍질 부분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옻나무의 줄기껍질뿐 아니라, 잎과 줄기, 열매, 뿌리까지 재료로 사용하여 옻의 독성을 제거한다.
인동덩굴은 잎과 줄기에 로니세린, 후라보노이드, 탄닌, 알칼로이드 등의 약 용성분이 함유되어 항염, 항균, 진통, 해열, 해독, 이뇨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각종 염증성 질환과 피부질환, 감기 등에 처방하며 버섯 등으로 인한 중독증상의 치유에도 사용된다. 인동덩굴은 냄새가 거의 없으므로 옻나무의 맛과 향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한방에서는 옻나무와 서로 조화를 이루어 효과를 상승시키는 재료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여름에 지상부를 채취하여 말린 인동덩굴을 옻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한 재료로 사용한다.
삼백초는 정유를 함유하여 특유의 향을 지니고 있으며, 줄기와 잎에는 탄닌, 케르세틴, 케르시트린, 아비큘라린, 히페린, 루틴 등의 약용성분이 함유되어 소염, 해독, 이뇨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피부염이나 간질환에 처방하며, 노화방지의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여름에 지상부를 채취하여 말린 삼백초를 옻의 독성을 제거하기 위한 재료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동덩굴과 삼백초 추출액의 증기를 이용하여 옻나무 재료의 독성을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인동덩굴 100중량부에 대하여 삼백초 90~110중량부를 혼합하여 물 1800~2000중량부에 넣고 약 1시간 동안 끓인 후, 거름망으로 잔사를 제거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액의 증기를 이용하여 옻나무 재료를 찐 다음, 건조하는 방법으로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한다.
이때, 인동덩굴과 삼백초 중 어느 한 성분이 지나치게 많이 들어가면 독성제거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혼합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며, 물의 양이 너무 많거나 끓이는 시간이 짧으면 추출액의 농도가 낮아 효과가 떨어질 수 있고, 반대로 물의 양이 너무 적거나 끓이는 시간이 길면 추출액의 제조비용이 상승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옻나무 재료로는 옻나무 껍질은 물론이고, 옻나무 줄기와 잎, 뿌리, 열매도 사용할 수 있으며, 각각의 재료에 따라 독성제거를 위하여 추출액으로 찌는 시간이 달라진다. 옻나무 재료는 독성제거를 위해 찌는 시간을 줄이고, 요리 등에 사용시 옻성분이 잘 우러날 수 있도록 세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옻나무 껍질의 독성제거
[실시단계 1-1] 추출액 제조
인동덩굴 1kg과 삼백초 1kg, 물 20L를 용기에 넣고 60분 동안 끓인 후, 상온으로 식히고 거름망으로 잔사를 제거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실시단계 1-2] 재료 준비
건조된 옻나무 껍질 50kg을 준비하여 1~2mm 간격으로 세절하였다.
[실시단계 1-3] 가열
상기 추출액의 증기를 이용하여 세절된 옻나무 껍질을 60분 동안 쪘다.
[실시단계 1-4] 건조
상기 옻나무 껍질을 열풍건조기에서 50℃의 열풍으로 12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실시예 2] 옻나무 잎과 줄기의 독성제거
[실시단계 2-1] 추출액 제조
인동덩굴 1kg과 삼백초 1kg, 물 20L를 용기에 넣고 60분 동안 끓인 후, 상온으로 식히고 거름망으로 잔사를 제거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실시단계 2-2] 재료 준비
건조된 옻나무 줄기와 잎 5kg을 준비하여 1~2mm 간격으로 세절하였다.
[실시단계 2-3] 가열
상기 추출액의 증기를 이용하여 세절된 옻나무 줄기와 잎을 2분 동안 쪘다.
[실시단계 2-4] 건조
상기 옻나무 줄기와 잎을 144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여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줄기와 잎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옻나무 열매의 독성제거
[실시단계 3-1] 추출액 제조
인동덩굴 1kg과 삼백초 1kg, 물 20L를 용기에 넣고 60분 동안 끓인 후, 상온으로 식히고 거름망으로 잔사를 제거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실시단계 3-2] 재료 준비
옻나무 열매 3kg을 준비하여 1~2mm 간격으로 세절하였다.
[실시단계 3-3] 가열
상기 추출액의 증기를 이용하여 세절된 옻나무 열매를 120분 동안 쪘다.
[실시단계 3-4] 건조
상기 옻나무 열매를 열풍건조기에서 50℃의 열풍으로 2시간 동안 건조한 후, 48시간 동안 상온에서 자연건조하여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열매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옻나무 뿌리의 독성제거
[실시단계 4-1] 추출액 제조
인동덩굴 1kg과 삼백초 1kg, 물 20L를 용기에 넣고 60분 동안 끓인 후, 상온으로 식히고 거름망으로 잔사를 제거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실시단계 4-2] 재료 준비
옻나무 뿌리 25kg을 준비하여 1~2mm 간격으로 세절하였다.
[실시단계 4-3] 가열
상기 추출액의 증기를 이용하여 세절된 옻나무 뿌리를 60분 동안 쪘다.
[실시단계 4-4] 건조
상기 옻나무 뿌리를 96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여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뿌리를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를 부직포로 포장하여 독성이 제거된 옻티백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때 티백의 내용물로는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재료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도 있고, 두 가지 이상의 재료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라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를 이용하여 하기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시료는 하기와 같이 통상적인 우루시올 추출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독성이 제거된 옻나무 껍질 10g, 잎과 줄기 10g, 열매 5g, 뿌리 10g을 80부피%의 메탄올수용액 600ml와 혼합하여 40℃의 수조 내에서 1시간 동안 초음파 분해한 후, 감압여과를 2회 실시하고 회전식 감압증류장치를 이용해 메탄올을 제거한 다음 증류수를 첨가하여 부피가 100ml가 되도록 하였다. 분액깔대기에 상기 용액과 함께 디에틸에테르 100ml를 넣고 5분 동안 격렬하게 흔든 후 12시간 동안 방치하여 층분리하여 에테르층을 회수한 다음, 물층에 다시 디에틸에테르를 넣고 층분리하는 과정을 반복하였다. 회수된 약 200ml의 에테르층을 회전식 감압증류장치를 이용하여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메탄올 10ml에 녹여 본 발명에 따라 독성을 제거한 옻나무로부터 시험시료를 제조하였다. 한편, 식품의약품안전청으로부터 공급받은 옻나무로부터 추출한 우루시올 표준품을 메탄올에 희석하여 표준시료를 제조하였다.
상기와 같이 표준시료와 시험시료를 제조한 후 GC/MSD 장치를 이용하여 정성분석하였다. 시험장치 및 조건은 하기 [표 1]에 기재하였고, 시험 결과는 도 1에 기재하였다.
[표 1]
Apparatus GC Agilent 6890N/MSD 5973N (Agilent Technologies)
Column DB-17(0.25mm, 30m, 0.25㎛)
Injector temperature 260℃
Oven temperature 80℃(2min)-10℃/min-280℃(30min)
Injection volume 1㎕
Carrier gas He 1.0ml/min
Split ratio 40:1
Ionization mode Electron Impact
Solvent delay 4min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독성을 제거한 옻나무로부터 제조한 시험시료를 일반 옻나무로부터 추출한 우루시올 표준시료와 비교한 결과 우루시올 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시험예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에 따른 옻나무는 부작용의 원인인 우루시올이 제거되어 각종 요리에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은 재료를 구하기가 쉽고 시간과 에너지를 적게 필요로 하며 실시가 용이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옻나무의 껍질뿐 아니라 줄기, 잎, 뿌리, 열매까지 독성을 제거함으로써, 부작용없이 누구나 옻나무를 사용하여 보양식을 제조, 섭취할 수 있다.

Claims (2)

  1. 인동덩굴 100중량부에 대하여 삼백초 90~110중량부를 혼합하여 물 1800~2000중량부에 넣고 1시간 동안 끓인 후, 거름망으로 잔사를 제거하여 추출액을 제조하고, 상기 추출액의 증기를 이용하여 옻나무 재료를 찐 다음,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옻나무 재료는 옻나무의 껍질, 줄기와 잎, 뿌리, 열매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KR1020070049009A 2007-05-21 2007-05-21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KR100877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009A KR100877789B1 (ko) 2007-05-21 2007-05-21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9009A KR100877789B1 (ko) 2007-05-21 2007-05-21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477A KR20080102477A (ko) 2008-11-26
KR100877789B1 true KR100877789B1 (ko) 2009-01-08

Family

ID=4028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9009A KR100877789B1 (ko) 2007-05-21 2007-05-21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78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38B1 (ko) * 2018-04-30 2018-07-06 정수화 옻나무 잎, 씨앗의 옻 액 추출방법
KR20200140166A (ko) 2019-06-05 2020-12-15 이재원 옻이 함유된 잡화꿀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62247A (ko) 2021-10-29 2023-05-09 김종규 옻나무의 우루시올 제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9176B1 (ko) * 2015-07-03 2016-08-18 권오인 옻 추출물을 함유하는 냉면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345A (ko) * 1999-07-27 2001-02-15 김명조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한 옻물 제조방법
KR20020069594A (ko) * 2001-02-27 2002-09-05 문병완 옻과 한약의 추출 엑기스를 이용한 닭고기 숙성방법
KR20070022832A (ko) * 2007-02-02 2007-02-27 김상섭 독성제거옻추출액제조방법
KR100729747B1 (ko) 2005-07-07 2007-06-20 이현순 독성이 제거된 옻액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옻액을 이용한옻닭엑기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1345A (ko) * 1999-07-27 2001-02-15 김명조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한 옻물 제조방법
KR20020069594A (ko) * 2001-02-27 2002-09-05 문병완 옻과 한약의 추출 엑기스를 이용한 닭고기 숙성방법
KR100729747B1 (ko) 2005-07-07 2007-06-20 이현순 독성이 제거된 옻액 및 그 제조방법과 그 옻액을 이용한옻닭엑기스
KR20070022832A (ko) * 2007-02-02 2007-02-27 김상섭 독성제거옻추출액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5738B1 (ko) * 2018-04-30 2018-07-06 정수화 옻나무 잎, 씨앗의 옻 액 추출방법
KR20200140166A (ko) 2019-06-05 2020-12-15 이재원 옻이 함유된 잡화꿀 건강보조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62247A (ko) 2021-10-29 2023-05-09 김종규 옻나무의 우루시올 제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2477A (ko) 200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eethi et al.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efficacy of some medicinal plants against food borne pathogens
CN104705354B (zh) 一种园林用植物源杀虫剂
US10595552B2 (en) Preparation of mixed tea composition comprising aloeswood
CN101632391A (zh) 一种新型室内杀螨剂的研制
KR100877789B1 (ko) 옻나무의 독성을 제거하는 방법
KR100512328B1 (ko) 국균의 발효를 이용한 옻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사용하여제조된 옻물
KR20190085339A (ko) 무농약 인삼 농축액,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조성물
Eleazu et al. Phytochemical composition and antifungal actions of aqueous and ethanolic extracts of the peels of two yam varieties
KR101515781B1 (ko) 계피로부터 계피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Devmurari et al. A review: Carissa congesta: phytochemical constituents, traditional use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CN102326592B (zh) 中药电热液体蚊香及其制备方法
KR100852138B1 (ko) 인삼열매와 인삼화병 추출물의 제조방법
CN104924953A (zh) 一种具有提神健脑功能的汽车脚垫组件
KR20190136231A (ko) 항균 및 지시기능을 가진 물티슈 조성물
KR101662936B1 (ko) 옻나무의 피부염 유발 독성물질 제거 법제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옻나무 식품 첨가물
Suryawanshi et al. A descriptive study and in-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leaves extracts of tridax procumbens linn
KR101319829B1 (ko) 생더덕과 찐더덕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포함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능 개선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20130031729A (ko) 기호성과 기능성이 강화된 남해 약쑥차 및 그 제조방법
CN103444794A (zh) 一种植物提取液制备的杀菌剂
KR20010055489A (ko) 옻나무 추출물의 옻 독 제거방법
KR101884627B1 (ko) 천연식물 에센셜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진균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5941718A (zh) 一种红豆杉绿茶
KR102325161B1 (ko) 반려동물의 모낭충 제거 및 냄새 제거를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30362B1 (ko) 황칠나무 추출액,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료
KR102299413B1 (ko) 냄새 제거 및 항균 효과를 갖는 두피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