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880B1 -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용 지지구 - Google Patents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용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880B1
KR100875880B1 KR1020080008772A KR20080008772A KR100875880B1 KR 100875880 B1 KR100875880 B1 KR 100875880B1 KR 1020080008772 A KR1020080008772 A KR 1020080008772A KR 20080008772 A KR20080008772 A KR 20080008772A KR 100875880 B1 KR100875880 B1 KR 100875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able
plate
bol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락
Original Assignee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한길종합건축사사무소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80008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5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mounting cla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H02G3/34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using separate protective tub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봉 형태로서 몸체 중앙부분에서부터 한쪽 끝단까지 나사 산이 형성되어 본체부(110)와 볼트부(120)가 형성되되, 상기 볼트부(120)가 벽면에 형성된 고정구멍(400)에 나사 결합 되는 지지봉(100)과; 상기 지지봉(100)에 결합 되는 것으로서, 금속판이 "L"자 형으로 꺾여 상기 볼트부(120)가 관통하는 관통공(212)을 가진 체결판부(210)와, 격벽(222)이 돌출되어 케이블(500)이 안착 되는 안착홈(224)이 마련된 안착판부(220)로 구성되는 한 쌍의 지지판(200)과; 상기 지지봉(100)의 볼트부(120)에 체결되어 일단은 벽면에 지지 되고 타 단은 지지봉(100)에 결합 된 상기 지지판(200)의 체결판부(210)에 지지 되는 스페이서(30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를 벽면에 설치하여 케이블을 지지하게 하는 것으로서,
볼트 식으로 벽면에 지지구를 박아 케이블을 지지함으로써 간편하게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게 되며, 유지 보수시 케이블의 교체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

Description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용 지지구{cable supporting device}
본 발명은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벽면에 일정간격으로 박아 설치함으로써 전기 케이블을 간편하게 배선할 수 있도록 하는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에는 다양한 케이블이 배선되는바, 벽면을 통해 외부로 드러나게 케이블을 배선하여야 할 경우가 있었다. 이때에는 통상 케이블을 벽면에 대고 "ㄷ"자 형태의 못으로 케이블을 잡아주도록 망치로 박아 견고하게 고정하여 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못을 박아 고정하는 형태는 다수개의 케이블을 한번에 지지하기에는 적당하지 않은 구성이었으며, 더불어 한번 배선을 하게 되면 선을 교체하거나 수리할 때 "ㄷ"자 형태의 못을 제거해 주어야 하는 불편이 있었는바, 신속한 작업을 방해하고 있었다.
따라서, 편리하게 케이블을 지지할 수 있으면서도 유지 보수시 케이블을 신속하게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케이블 배선 장치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벽면에 고정되어 전기 또는 통신용 등의 케이블을 간편하게 배선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유지 보수시 케이블의 교체 작업을 쉽게 할 수 있는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용 지지장치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 식으로 벽면에 지지구를 박아 케이블을 지지함으로써 간편하게 케이블을 배선할 수 있게 되며, 유지 보수시 케이블의 교체작업을 손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지지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지지구가 설치되어 케이블이 안착 된 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판의 다른 실시 예시 도이다.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지지구는 벽면에 고정되는 지지봉(100)과, 상기 지지봉(100)에 결합 되어 케이블(500)을 지지하는 지지판(200)과, 상기 지지봉(100)에 결합 되어 일단은 벽면에 지지 되고 타 단은 상기 지지판(200)에 지지 되는 스페이서(300)를 기본 구성으로 한다.
지지봉(100)은 봉 형태로서 몸체 중앙부분에서부터 한쪽 끝단까지 나사 산이 형성되어 본체부(110)와 볼트부(120)가 구성되어 있으며, 본체부(110)의 두께가 볼트부(12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됨으로써 본체부(110)와 볼트부(120) 사이에는 턱이 형성된다.
상기 볼트부(120)는 벽면에 형성된 고정구멍(400)에 나사 결합 되는데, 상기 본체부(110) 말단에는 나사홈(112)이 형성되어 있어서 드라이버와 같은 공구를 이용하여 돌려줌으로써 고정구멍(400)에 박아 줄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멍(400)은 벽면에 구멍을 뚫고 나사 산이 내부에 형성된 관을 억지 끼움으로 끼워 고정함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권장된다.
지지판(200)은 상기 지지봉(100)에 결합 되는 것으로서, 금속판이 "L"자 형으로 꺾인 형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수직방향과 수평방향으로 판이 배치되게 되는데, 수직 방향으로는 상기 지지봉(100)에 형성된 볼트부(12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공(212)이 형성된 체결판부(210)가 구성되고, 수평방향으로는 격벽(222)이 돌출되어 케이블(500)이 안착 되는 안착홈(224)을 가진 안착판부(220)가 구성된다.
상기 체결판부(210)에 형성된 관통공(212)에는 앞서 본 바와 같이 지지봉(100)에 형성된 볼트부(120)가 관통되는바, 관통공(212)의 지름이 본체부(110)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어서 본체부(110)와 볼트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턱에 걸리게 된다.
상기 안착판부(220)에 형성되는 격벽(222)은 주름을 잡듯이 안착판부(220)를 절곡하여서 형성하거나, 또는 별도의 판을 마련하여 용접하여서 형성하는 등 다 양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전기 케이블(500)이 안착 되는 기능적 특성을 고려하여 고무로 코팅을 하여 절연성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격벽(222)은 통상 수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판부(210) 쪽으로 기울어지게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기울어지게 형성하게 되면 케이블(500)이 안착홈(224)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구현되는 것이다.
스페이서(300)는 내부가 빈 봉 형태이다. 상기 지지봉(100)에 형성된 볼트부(120)를 감싸며 바깥으로 끼워져 체결되는 것으로서, 볼트부(120)가 벽면에 형성된 고정구멍(400)에 고정되게 되면 상기 스페이서(300)의 일단은 벽면에 지지 되고 타 단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지지봉(100)에 결합 되는 상기 지지판(200)의 체결판부(210)를 압박하게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지지구를 설치하여 케이블(500)을 지지하는 실시 상태를 살펴본다.
먼저, 앞서 설명한 지지판(200) 두 개를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하여 두 체결판부(210)의 바깥쪽이 서로 맞닿게 한다. 이후, 상기 지지봉(100)에 형성된 볼트부(120)를 상기 체결판부(210)에 형성된 관통공(212)에 관통킨 다음 상기 스페이서(300)에 상기 볼트부(120)를 끼워 관통시킨다. 이렇게 되면 체결판부(210)가 지지봉(100) 중단 부분에서 본체부(110)와 볼트부(120) 사이에 형성된 턱에 걸리게 되며, 볼트부(120)의 말단은 스페이서(300)를 관통하여 돌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봉(100)에 지지판(200)과 스페이서(300)를 결합하여 준 후, 벽면에 형성된 고정구멍(400)에 상기 볼트부(120)의 말단을 대고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박아주게 된다. 본체부(110)의 말단에 형성된 나사홈(112)에 드라이버를 대고 회전시켜 박아 주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박아주게 되면 스페이서(300)의 일단이 벽면에 지지 되면서 타 단이 본체부(110)와 볼트부(120) 사이에 형성된 턱에 걸려 있는 체결판부(210)를 압박하게 되는바, 이를 통해 두 지지판(200)이 견고하게 제 위치를 잡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지지구를 벽면에 일정 간격으로 필요한 만큼 설치한 다음 케이블(500)을 상기 지지판(200)의 안착판부(220)에 마련된 안착홈(224)에 안착시키면서 배선하게 된다.
이렇게 배선되면 케이블(500)이 상기 안착홈(224)의 상부에 위치하는 지지봉(100)의 본체부(110)에 의해 보호되어 상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케이블(500)을 배선할 수 있고, 케이블(500)의 교체가 필요할 때에는 안착홈(224)에서 케이블(500)을 빼내는 것만으로 쉽게 제거하고 교체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안착홈(224) 마다 하나의 케이블(500)이 배선됨에 따라 인접한 케이블(500)과 떨어져 배선되게 되어 서로 닿아 마찰 됨으로써 케이블(500)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두 개의 지지판(200)을 반대방향으로 맞대어 고정함으로써 다수개의 케이블을 넉넉히 배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4, 5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지지구의 다른 실시 예시 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지지판(200)을 지지봉(100)으로 벽면 고정할 수 있다. 지지판(200)에 형성된 체결판부(210)를 벽면에 형성된 고정구멍(400) 입구에 대고 지지봉(100)에 형성된 볼트부(120)를 상기 체결판부(210)에 형성된 관통공(212)에 관통시켜 고정구멍(400)에 박아준다.
볼트부(120)는 본체부(110)와의 사이에 형성된 턱에 체결판부(210)가 걸리게 되면 진행이 멈춰지게 되는바, 이를 통해 지지판(200)이 벽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다음 앞서 본 바와 동일한 방식으로 케이블(500)을 배선하여 주게 되며, 이 구성은 지지판(200)이 한 개만 고정됨에 따라 배선할 수 있는 케이블(500)의 수가 적어지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지지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지지구가 설치되어 케이블이 안착 된 상태를 측면에서 보여주는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지지판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 4, 5는 본 발명에 의한 케이블 지지구의 다른 실시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지봉, 110 : 본체부,
120 : 볼트부, 200 : 지지판,
210 : 체결판부, 212 : 관통공,
220 : 안착판부, 222 : 격벽,
224 : 안착홈, 300 : 스페이서,
400 : 고정구멍, 500 : 케이블.

Claims (2)

  1. 주택 벽면에 전기 케이블을 배선하기 위한 지지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봉 형태로서 몸체 중앙부분에서부터 한쪽 끝단까지 나사 산이 형성되어 본체부(110)와 볼트부(120)가 형성되되, 상기 본체부(110)는 볼트부(120) 보다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110)와 볼트부(120) 사이에 턱이 형성되고, 상기 본체부(110) 말단에는 나사홈(112)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부(120)는 벽면에 형성된 고정구멍(400)에 나사 결합 되어 고정되게 구성된 지지봉(100)과;
    상기 지지봉(100)에 결합 되는 것으로서, 금속판이 "L"자 형으로 꺾인 형상이되, 상기 볼트부(120)가 관통하는 관통공(212)을 가진 체결판부(210)와, 주름을 잡듯 절곡되어 돌출된 격벽(222)이 형성되어 케이블(500)이 안착되는 안착홈(224)이 마련된 안착판부(220)로 구성되며, 고무로 코팅되어 있는 한 쌍의 지지판(200)과;
    내부가 빈 봉 형태이되, 상기 지지봉(100)의 볼트부(120)에 결합 되어 일단은 벽면에 지지 되고 타 단은 지지봉(100)에 결합 된 상기 지지판(200)의 체결판부(210)에 지지 되는 스페이서(300);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판(200)을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게 배치하여 두 체결판부(210)의 바깥쪽이 서로 맞닿게 하고, 상기 지지봉(100)에 형성된 볼트부(120)가 상기 체결판부(210)의 관통공(212)을 관통하게 하여 본체부(110)와 볼트부(120) 사이에 형성된 턱에 걸리게 한 다음, 상기 스페이서(300)를 상기 볼트부(120)에 결합시켜 벽면에 형성된 고정구멍(400)에 고정되게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용 지지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200)의 안착판부(220)에 형성된 격벽(222)은 상기 체결판부(210) 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용 지지구.
KR1020080008772A 2008-01-28 2008-01-28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용 지지구 KR100875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772A KR100875880B1 (ko) 2008-01-28 2008-01-28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용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772A KR100875880B1 (ko) 2008-01-28 2008-01-28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용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5880B1 true KR100875880B1 (ko) 2008-12-26

Family

ID=40373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772A KR100875880B1 (ko) 2008-01-28 2008-01-28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용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588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683B1 (ko) * 2010-12-27 2011-04-12 주식회사 명 이에프씨 공동주택용 조립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985811B1 (ko) 2019-01-08 2019-06-04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지지구
KR102005964B1 (ko) 2019-02-01 2019-07-31 (주)선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분배구
KR102016925B1 (ko) 2019-06-20 2019-09-02 이경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분배기
KR102101825B1 (ko) 2019-11-20 2020-04-20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132287B1 (ko) 2020-03-24 2020-07-09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 공동주택의 전기 케이블 배선 지지구
KR102133703B1 (ko) 2020-03-04 2020-07-14 (주)건일엠이씨 건축물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2211973B1 (ko) * 2020-06-19 2021-02-05 (주)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리모델링 정보통신 세대단자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실용신안공보실1993-0008686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7683B1 (ko) * 2010-12-27 2011-04-12 주식회사 명 이에프씨 공동주택용 조립식 전기 케이블 트레이
KR101985811B1 (ko) 2019-01-08 2019-06-04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지지구
KR102005964B1 (ko) 2019-02-01 2019-07-31 (주)선경엔지니어링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분배구
KR102016925B1 (ko) 2019-06-20 2019-09-02 이경미 공동주택 건축물의 전기케이블 분배기
KR102101825B1 (ko) 2019-11-20 2020-04-20 (주)청우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2133703B1 (ko) 2020-03-04 2020-07-14 (주)건일엠이씨 건축물용 통신케이블 트레이 구조
KR102132287B1 (ko) 2020-03-24 2020-07-09 주식회사 씨에이파트너스 공동주택의 전기 케이블 배선 지지구
KR102211973B1 (ko) * 2020-06-19 2021-02-05 (주)삼우공간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리모델링 정보통신 세대단자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880B1 (ko) 공동주택 전기 케이블 배선용 지지구
KR101348039B1 (ko) 배선 고정용 클램프
US11664611B2 (en) Holder for a protective conductor and cable tray with such holder for a protective conductor and protective conductor set
JP6254047B2 (ja) 建物用外壁ルーバー
CA2678902A1 (en) Prefabricated mounting bracket assembly
JP2009026657A (ja) 支持がいし取付機構及びその取扱方法
KR101427406B1 (ko) 전기계량기함 설치대의 설치구조
KR102134870B1 (ko) 전선 트레이 설치용 분전함
KR20080005802U (ko) 전선 거치대
KR20100010842U (ko) 케이블 트레이 고정장치
KR101001094B1 (ko) 배선·배관용 클램프
KR101893092B1 (ko) 특고압 지중배전선로의 절연애자장치
KR20110019848A (ko) 매입형 전기 배선박스의 결합구조
US8167645B2 (en) Fastening device for detachable holding of an electrical distributor by latching
KR200259338Y1 (ko) 단자대 지지홀더
CN104051871B (zh) 一种用于连接电机与控制器的接线装置
CN215718005U (zh) 一种合页安装组件及工程机械
KR200433445Y1 (ko) 통신케이블용 야기봉 클램프
JP2009085366A (ja) 吊り下げ支持具
CN210246178U (zh) 一种调整式电缆桥架
JP5427059B2 (ja) コーナ用壁パネルの取付方法及び取付構造
JP6852900B2 (ja) 配管取付け金具
AU2018102225A4 (en) A fitting
JP5772649B2 (ja) パネル取付治具およびパネル部材の取り付け構造
JP6848357B2 (ja) ポストと横架部材との連結部の配線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3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