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5007B1 - 입력 장치 - Google Patents

입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5007B1
KR100875007B1 KR1020070040293A KR20070040293A KR100875007B1 KR 100875007 B1 KR100875007 B1 KR 100875007B1 KR 1020070040293 A KR1020070040293 A KR 1020070040293A KR 20070040293 A KR20070040293 A KR 20070040293A KR 100875007 B1 KR100875007 B1 KR 100875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shaped
layer
input devic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5879A (ko
Inventor
마사키 사와다
다모츠 야마모토
히로토 이노우에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701058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58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01H13/70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 H01H13/70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with contacts carried by or formed from layers in a multilayer structure, e.g. membrane switches characterised by the layers, e.g. by their material or stru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5/00Switches with compound movement of handle or other operating part
    • H01H25/04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 H01H25/041Operating part movable angularly in more than one plane, e.g. joystick having a generally flat operating member depressible at different locations to operate different contro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1/00Contacts
    • H01H2201/022Material
    • H01H2201/032Conductive polymer; Rubber
    • H01H2201/036Variable resistan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9/00Miscellaneous
    • H01H2239/078Variable resistance by variable contact area or point

Abstract

본 발명은 원호형상 저항층과 도전층으로서의 금속판이 대향 배치되고, 그들의 부분적인 접촉에 의해 조작된 위치가 검출 가능한 입력 장치로서, 그 조작 시에 있어서 원호형상 저항층의 양 단부가 금속판에 동시에 접촉하지 않도록, 원호형상 저항층의 일단부 상에 겹쳐 접촉 방지부로서의 직선형상 절연층이 배치된 소자부를 이용하여 구성하였다.

Description

입력 장치{INPU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입력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입력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입력 장치의 다른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입력 장치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입력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종래의 입력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입력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각종 전자 기기의 조작부를 구성하는 입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각종 전자 기기는 소형 경량화가 진전됨과 함께, 화면 내에 표시된 커서를 이동시켜 소정 기능을 선택하여 작동시키는 것이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각종 전자 기기의 조작 형태에 대응한 종래의 입력 장치에 대해 이하에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종래의 입력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10)는 원호형상 저항층(1)과, 원호형상 저항층(1)과 소정 간격을 두고 대향 배치된 원형 링형상의 도전층(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호형상 저항층(1)의 단부(1A 및 1B)의 각각 및 도전층(3)은 제어부(5)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원호형상 저항층(1)이나 도전층(3) 및 그들로부터의 인출 부분은 대향 배치된 수지 필름 등에 형성되어 있지만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그리고, 도 10의 단면도 및 도 11의 분해 사시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자부(10) 상에는 조작면측이 되는 하단 부분이 구면형상으로 형성된 조작체(15)가 경도 동작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17)은 조작체(15)를 조작하고 있지 않을 때에, 조작체(15)를 중립 위치에 가압하기 위해서 케이스(19)에 배 치되어 있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입력 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종래의 입력 장치의 조작은 조작체(15)의 경도(傾倒) 조작에 의해 행한다. 즉, 조작체(15)로 위쪽측의 필름 상으로부터 압압 조작력을 가하여 필름을 부분적으로 휘게 하고, 그 개소에 따른 원호형상 저항층(1)과 도전층(3)을 부분적으로 접촉한 상태로 한다. 한편, 제어부(5)의 제어에 의해 원호형상 저항층(1)의 단부(1A, 1B) 사이에는 소정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따라서, 접촉 위치의 전위는 도전층(3)의 인출 부분을 통하여 제어부(5)에 입력된다. 그리고, 그 입력에 의거하는 전압 분압비에 의해 제어부(5)와 조작 위치의 특정이 이루어지고, 그 정보에 따라 제어부(5)의 제어로 커서 이동 등이 이루어지는 것이었다.
또한, 이 출원의 발명에 관련한 선행 기술 문헌 정보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232027호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입력 장치는 그 제어 방법이나 조작 위치의 검출 방법을 포함하여 간소한 것으로 할 수 있고, 특히 그 소자부(10)에 있어서는 두께를 얇게 구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입력 장치는, 원호형상 저항층(1)의 단부(1A 및 1B) 사이의 각도 방향을 향해 조작체(15)를 경도 조작하면, 단부(1A 및 1B)가 도전층(3)에 동시에 접촉하여 거의 단락 상태가 되는 경우가 있다는 과제가 있었다. 즉, 그 상태가 되면 전류가 많이 흘러 전지 소비가 빨라짐에 더하여, 전압 분압비의 출력으로 해도 그 대각 위치와 동일한 출력이 얻어지기 때문에 조작 위치의 판별도 할 수 없게 된다는 과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의 입력 장치는, 예를 들어 4방향 조작용 등에 한정되어 기기에 탑재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최근의 기기의 고기능화 등에 수반하여 분해능이 높은 것이 요망되도록 되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원호형상 저항층을 이용한 구성으로, 그 원호형상 저항층의 단부 사이의 각도 위치에서의 조작 시에도 문제점 등이 없이 조작 위치 검출이 가능한 고분해능의 입력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원호형상 저항층에 대해서 도전층이 대향 배치되고, 원호형상 저항층과 도전층의 부분적인 접촉으로 조작된 위치가 검출 가능한 입력 장치로서, 원호형상 저항층의 양 단부 사이의 각도 위치에서의 조작 시에 원호형상 저항층의 양 단부가 도전층에 동시에 접촉하지 않는 접촉 방지부를 설치한 것이다.
이것에 의해, 원호형상 저항층의 양 단부 사이 또는 그 근방 각도 위치에서의 조작 시에도 조작 위치 검출 상태나 전력 소비 상태가 다른 각도 위치와 동등하고, 전체 둘레에 걸쳐 조작 위치 검출이 가능한 고분해능의 입력 장치를 저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40)의 분해 사시 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살표 2로 나타낸 파선에서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40)의 부분 단면도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입력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입력 장치의 소자부(40)는 기재(20)와 금속판(31)을 구비하고 있다. 기재(20)는 가요성을 갖는 PET 등의 수지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테일부 부착의 형상으로 형성된 기재이며, 그 하면에는 원호형상 저항층(21)이 인쇄 형성되어 있다. 원호형상 저항층(21)은 직경 방향의 폭이 일정 치수인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측의 단부(21A, 21B)에는 기재(20)의 하면에 형성된 서로 독립한 도전성의 제1 패턴(22A, 22B)의 일단측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그들 제1 패턴(22A, 22B)의 타단측은 테일부 선단까지 둘러져 대응하는 전극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외주 위치에 닿는 기재(20)의 하면 부분에는 금속판(31)용으로서 설치된 도전성의 제2 패턴(3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 패턴(35)의 타단측도 제1 패턴(22A, 22B)과 동일하게 테일부 선단까지 둘러져 대응하는 전극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기재(20)의 테일부 선단은 각 전극부와 함께 대응하는 커넥터에 접속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 절연층(41)은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고, 원호형상 저항층(21)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어 그 외주 위치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 절연층(41)은 테일부 선단의 각 전극부 및 제2 패턴(35)의 일단측에 접속된 전극부 위치를 제외하고 제1 패턴(22A, 22B) 및 제2 패턴(35) 상을 덮도록 하여 형성 되어 있다.
또한, 내주 절연층(42)은 외주 절연층(41)과 동일한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고, 원호형상 저항층(21)으로부터 소정 간격을 두어 그 내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 절연층(41)과 내주 절연층(42)은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폭(細幅) 띠형상의 직선형상 절연층(44)으로 연결되어 있다. 직선형상 절연층(44)도 외주 절연층(41)이나 내주 절연층(42)과 동일한 절연 수지로 이루어지고, 외주 절연층(41), 내주 절연층(42), 직선형상 절연층(44)은 기재(20)의 하면에 패턴 인쇄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절연층 중, 적어도 외주 절연층(41)과 내주 절연층(42)은 동시 형성하여 동일 높이로 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직선형상 절연층(44)은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기재(20) 상에 위치하는 부위와 원호형상 저항층(21)의 한쪽측의 단부(21A) 상에 위치하는 부위로 이루어진다. 또한, 이하에서는 원호형상 저항층(21)의 한쪽의 단부(21A)를 일단부(21A)라고 표기하고, 또 다른 쪽의 단부(21B)를 타단부(21B)로 표기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구성의 것에 있어서는, 원호형상 저항층(21)의 둘레 방향에서의 개구부를 구성하는 일단부(21A) 상을 덮도록 하여 형성된 직선형상 절연층(44)의 부위가 접촉 방지부로서 되는 것이다.
한편, 원호형상 저항층(21) 등이 형성된 기재(20)에 대하여, 그 아래쪽 위치에는 기재(20)의 원호형상 저항층(21)이 형성되어 있는 원형 부분과 동일하게 실질 적으로 원형상으로 형성된 금속판(31)이 배치되어 있다. 기재(20)와 금속판(31)은 외주 절연층(41)과 내주 절연층(42)의 위치에서 점착제(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점착 유지되어 있다. 즉, 기재(20)는 원호형상 저항층(21)측을 하면을 향하도록 하여 도전층으로서 기능하는 금속판(31)과 대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그 유지 상태에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일단부(21A) 상에 놓여 형성된 직선형상 절연층(44) 부위의 표면은 금속판(31)의 표면에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원호형상 저항층(21) 및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에서 구성되는 원형 링형상 부분은 직선형상 절연층(44)의 일단부(21A) 상에 놓여져 있는 둘레 방향에서의 배치폭을 제외하고, 금속판(31)의 상면에 대해서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이 두어진 대치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원호형상 저항층(21) 및 직선형상 절연층(44) 부위는 금속판(31)과 상하 방향으로 소정 틈새가 열리는 설정으로 된 것으로 해도 좋다.
한편, 외주 절연층(41)으로부터 노출된 제2 패턴(35)의 일단측에 접속된 전극부는 도전성 접착제 등을 통하여 금속판(31)의 접속 개소(31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입력 장치에서의 소자부(40)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소자부(40) 상에는 조작용 부재가 배치된다. 조작용 부재로서는 예를 들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위쪽 중앙 위치가 부풀어 오른 실질적으로 원판형상이고, 그 평탄한 하면에 원호형상 저항층(21) 및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에서 구성되는 원형 링형상 부분을 기재(20) 상으로부터 압압하는 조작 돌기(51)를 구비한 조작체(50)를 들 수 있다. 또한, 조작체(50)나 조작 돌기(51)의 형상이나 배치 상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이하에서는 조작체(50)를 이용하여 구성한 것을 예로서 설명하고 있다.
조작체(50)는 조작 돌기(51)로서 30도 피치로 서로 독립하여 배치된 10개의 원주형상 돌기(52)와 그 나머지의 90도 내의 각도 위치에 배치된 1개의 원호형상 돌기(53)를 구비하고 있다. 원호형상 돌기(53)의 길이로서는, 그 둘레 방향의 단부 위치가 인접하는 원주형상 돌기(52)에 대해 30도보다도 작은 각도로 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원주형상 돌기(52)의 하단 선단부는 평탄한 소직경 원형부로서 형성되고 원호형상 돌기(53)의 하단은 소직경 원형부의 직경과 동일폭으로 둘레 방향을 따라 신장되는 원호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 원호부는 둘레 방향을 따라 양단측이 내려가는 큰 곡율 반경을 갖게 한 형상으로 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소직경 원형부 및 원호부는 근원 부분에 대해서 소정의 곡율 반경을 취하여 연결한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기재(20) 상에 배치된 조작체(50)는 도시는 생략하지만, 비조작 상태로 회전하지 않도록 기기의 케이스 등으로 규제되어 있음과 함께 중립 상태로 유지되고, 또한 위쪽으로부터의 압압 조작으로 그 방향으로 경도 동작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체(50)는 원호형상 돌기(53)가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의 위쪽 위치에 대응시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의 개구 각도는 원호형상 돌기(53)의 형성 각도보다도 작은 것을 이용하고 있다. 또한, 조작체(50)의 배치 상태에 있어서, 원호형상 돌기(53)의 양단은 각각 원호형상 저항층(21) 상에 대응하여 위치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입력 장치는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사용 기기에는 기기측의 배선 기판(도시하지 않음) 등에 장착된 커넥터에 기재(20)의 테일부를 삽입함으로써 기기의 제어부(60)에 제1 패턴(22A, 22B) 및 제2 패턴(35)을 접속시켜 탑재된다. 그 탑재 상태를 도 3의 개념도에 나타낸다.
다음에, 탑재 상태에서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조작체(50)에 대해 위쪽으로부터 누름 조작을 행하여 조작체(50)를 그 방향으로 경도시키고, 조작 위치에 대응하는 조작 돌기(51)로 기재(20)를 부분적으로 아래쪽으로 휘게 하고, 그 위치에 따른 원호형상 저항층(21)의 부분을 금속판(31)에 접촉 상태로 시킨다. 한편, 원호형상 저항층(21)에는 제어부(60)의 제어로 제1 패턴(22A, 22B)을 통하여 소정 전압이 인가되고 있다. 그리고, 조작 상태에서 부분 접촉한 전위가 금속판(31) 및 제2 패턴(35)을 통하여 제어부(60)에 입력된다. 입력된 전위로부터 원호형상 저항층(21)에 인가되고 있는 소정 전압의 전압 분압비를 구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전압 분압비에 의해 제어부(60)에서 조작 각도 위치의 특정이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원호형상 저항층(21)에 대해서 도전층으로서의 금속판(31)이 대향 배치되고 원호형상 저항층(21)과 도전층의 부분적인 접촉으로 조작된 위치가 검출 가능하게 되고 있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입력 장치는,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일단부(21A) 상에 접촉 방지부로서의 절연층인 직선형상 절연층(44)의 일부가 직경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또한 원호형상 돌기(53)를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 위의 위치에 대응시켜 배치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의 각도 위치에서의 조작 시에,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가 도전층으로서의 금속판(31)에 동시에 접촉하지 않는 접촉 방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체(50)를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의 각도 방향을 향하여 경도 조작했을 때에,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가 동시에 금속판(31)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즉, 조작체(50)를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의 각도 방향을 향해 경도 조작하면, 다른 각도 위치와 동일하게 원호형상 돌기(53)로 기재(20)가 눌려 부분적으로 휘어 간다. 그리고, 그 때에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일단부(21A) 상에 겹쳐 형성된 직선형상 절연층(44) 부분이 기재(20) 상으로부터의 높이 위치가 가장 높아진다. 따라서, 직선형상 절연층(44) 부분이 금속판(31)에 맞닿은 상태로부터, 거기를 지점으로 하여 조작체(50)가 둘레 방향측에 미소하게 경도 동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형상 절연층(44)과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일단부(21A)측의 근방이 금속판(31)에 접촉하고, 타단부(21B)측은 뜬 상태가 된다. 혹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형상 절연층(44)과 타단부(21B)측의 근방이 금속판(31)에 접촉하고 일단부(21A)측은 뜬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각각 부분 접촉한 전위가 금속판(31) 및 제2 패턴(35)을 통하여 제어부(60)에 입력된다. 따라서, 그 조작 위치를 지장없이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의 근방의 각도 방향을 향해 조작체(50)의 경도 조작 시에도 동일한 동작 상태가 되지만,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렇게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40)는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의 각도 위치 또는 그 근방의 각도 위치로의 조작 시에도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가 금속판(31)에 동시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거기에 기인하는 문제점의 발생 등도 없고, 다른 각도 위치와 동일한 상태로 조작 위치 검출이 가능해짐과 함께 전력 소비 상태 등도 다른 각도 위치와 동일한 상태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다른 각도 위치에서는 조작체(50)의 조작된 위치에 닿는 원주형상 돌기(52)로 기재(20)가 부분적으로 눌려진다. 그리고, 원호형상 저항층(21)의 그 부분이 금속판(31)에 접촉한다. 이렇게 하여 조작 개소의 위치가 제어부(60)로 특정된다.
따라서, 원주형상 돌기(52)의 배치 각도 위치에 따른 10개소와 원호형상 돌기(53)에 따라 2개소의 합계 12개소의 위치 검출이 가능하고, 게다가 그 검출 각도 위치로 해도 거의 등각도에서의 검출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접촉 방지부로서 되는 직선형상 절연층(44)을 원호형상 저항층(21)에 부가한 소자부(40)는 원호형상 저항층(21)과 그 양 단부 사이에서 형성되는 원형 링형상 부분의 전제 둘레에 걸쳐 높은 분해능으로 조작 위치 검출이 가능한 것이 된다. 또한, 분해능의 설정은 조작체(50)의 조작 돌기의 배치 상태 등에 의해 좌우되기 때문에, 필요로 하는 분해능에 따라 조작체(50)의 형상을 적절히 설정하여 원하는 것으로 구성하면 좋다. 또한, 종래의 것과 달리 기기 탑재 시에서의 소자부(40)의 배치 규제 조건도 크게 완화되기 때문에 기기측에서의 설계 자유도도 크게 향상된다. 또한, 소자부(40)는 직선형상 절연층(44)을 부가한 것만의 구성이기 때문에,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직선형상 절연층(44)은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일단부(21A) 상에 있어서, 그 직경 방향을 따라 원호형상 저항층(21)의 폭 전체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 조작 시에 있어서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가 동시에 도통 상태가 되지 않는 것이면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체(50)의 형상은 필요에 따라서 적절히 설정하면 좋고, 예를 들어 조작 돌기(51)의 수나 그들의 배치 위치의 설정을 바꾸거나, 조작 돌기를 연결한 원형 링형상의 것으로 하거나 또는 종래와 같이 하단면이 구형상인 것 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40)는 직선형상 절연층(44)을 원호형상 저항층(21) 상에 겹쳐 설치했지만,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의 어떤 쪽에 따른 도전층 상의 대항 위치에 접촉 방지부로서 이루어지는 절연층을 배치한 것으로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의 각도 위치 또는 그 근방 각도 위치로의 조작 시에도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가 금속판(31)에 동시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구성의 소자부(40)에 대해서, 역측으로부터 조작하는 형태, 즉 도전층측이 위쪽 위치에 배치되고 그 위쪽으로부터 조작체(50)에서 조작되는 것 등으로 해도 좋다.
(실시의 형태 2)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7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화살표 7로 나타낸 파선에서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70)의 부분 단면도이다.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70)는 접촉 방지부로서 이루어지는 절연 피막을 실시의 형태 1의 것과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한 구성의 것이다. 그러나, 다른 부분은 대부분 실시의 형태 1과 동일 구성이기 때문에, 그 동일 구성 부분에는 동일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70)는 실시의 형태 1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40)와 동일하게, 기재(20)의 하면에 형성된 원호형상 저항층(21)과 도전층으로서의 금속판(31)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두어 대향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기재(20)의 하면에는 제1 패턴(22A, 22B) 및 제2 패턴(35) 등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원호형상 저항층(21)의 내외주 위치에 설치된 내주 절연층(42)이나 외주 절연층(41)의 부분에서 기재(20)와 금속판(31)은 점착 유지되어 있는 것 등도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는 것과 동일하다.
그러나,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70)는 직선형상 절연층(44)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접촉 방지부로서는 기재(20)의 하면에 있어서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의 위치에 독립하여 형성된 절연 피막으 로 이루어지는 섬 형상 절연층(75)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섬 형상 절연층(75)이 섬 형상부에 상당하고 있다. 그리고, 섬 형상 절연층(75)은 원호형상 저항층(21) 및 그 양 단부 사이로 구성되는 원형 링형상 부분에 있어서,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에 대해서 각각 둘레 방향측에 동일 간격을 두고 중간 위치에 원호형상 저항층(21)과 거의 동일한 폭인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7로부터도 알 수 있듯이 섬 형상 절연층(75)의 형성 개소를 포함하여 원호형상 저항층(21) 및 그 양 단부 사이로 구성되는 원형 링형상 부분이 전체 둘레에 걸쳐 금속판(31)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소정 간격을 둔 대치 상태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위쪽 위치에 배치된 기재(20) 상에는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와 원호형상 돌기(53)의 위치를 대응시키도록 하여 조작 돌기(51)를 갖는 조작체(50)가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입력 장치는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사용 기기로의 탑재 상태로 해도 도 3에 나타낸 실시의 형태 1에 의하는 것과 동일하다.
또한, 동작 상태로 해도, 제1 패턴(22A, 22B)을 통하여 원호형상 저항층(21)에 소정 전압을 인가한 상태에 있어서, 조작체(50)를 경도 조작하여 대응하는 조작 돌기(51)(원주형상 돌기(52), 원호형상 돌기(53))로 기재(20)를 부분적으로 휘게 하여 원호형상 저항층(21)과 금속판(31)을 부분적으로 접촉시키는 점은 동일하다. 또한, 그 때에 제2 패턴(35)을 통하여 얻어지는 전압이 제어부(60)에 입력되고 그것을 제어부(60)와 연산 처리함으로써 합계로 12개소의 조작 위치의 검출이 가능한 점도 동일하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입력 장치는 실시의 형태 1의 것에 대해서 접촉 방지부의 배치 상태가 다르고,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의 조작시의 동작 상태가 상이하다. 이하에, 그 조작 상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행한다. 또한, 그 외의 각도 위치에서의 동작 상태는 실시의 형태 1의 경우와 동일하다.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입력 장치는 조작체(50)를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의 각도 방향을 향해 경도시키면, 원호형상 돌기(53)로 눌린 기재(20)는 눌린 부분이 부분적으로 휘어 대응하는 부분이 금속판(31)에 접촉한다.
이 때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에 접촉 방지부로서 이루어지는 섬 형상 절연층(75)이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는 동시에 금속판(31)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즉, 본 발명의 입력 장치는 접촉 방지부가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에 형성된 절연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섬 형상부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의 각도 위치에서의 조작 시에 도전층으로서의 금속판(31)이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일단부측으로서의 일단부(21A)와 섬 형상부로서의 섬 형상 절연층(75)에 접촉한다. 또한, 원호형상 저항층(21)의 타단부측으로서의 타단부(21B)는 뜬 상태가 된다. 혹은, 원호형상 저항층(21)의 타단부(21B)와 섬 형상 절연층(75)이 금속판(31)에 접촉하고 그 일단부(21A)측은 뜬 상태가 된다. 여기서, 그 후자의 상태는 도시히지 않는다.
이렇게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입력 장치도,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의 각도 위치에서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가 동시에 금속판(31)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한, 그 조작 위치의 검출 상태 등은 다른 각도 위치와 동일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그 근방 각도 방향을 향해 조작체(50)를 경도시킨 경우에도 상기에 준하는 동작 상태가 되지만,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게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섬 형상 절연층(75)은 조작 시에서의 조작체(50)로부터 가해지는 조작력이나 기재(20)의 탄력성 등도 감안하여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그 두께로서는 원호형상 저항층(21)의 두께와 동등 혹은 그보다 약간 두껍게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70)는 독립된 섬 형상 절연층(75)을 원호형상 저항층(21)에 나열하여 배치한 구성이기 때문에, 실시의 형태 1의 것보다도 더욱 박형화된 것으로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입력 장치의 소자부(70)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의 형태 1의 사상을 조합한 것으로 해도 좋다. 즉, 섬 형상 절연층(75)의 한쪽측의 단부 위치를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일단부(21A) 상에 겹쳐 배치한 것 등으로 해도 좋다.
또한,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입력 장치는 섬 형상 절연층(75)을 절연 피막으로 구성한 것을 상술했지만,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양 단부 사이에 독립 상태로 형성된 도전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섬 형상부의 구성으로 해도 좋고, 그 경우에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원호형상 저항층(21)과 동일 재료로 섬 형상부로서의 도전 피막을 형성하도록 하면 합리적이다。
또한, 실시의 형태 2에서의 입력 장치라도, 실시의 형태 1과 동일하게 조작체(50)의 형상은 한정되지 않고, 나아가서는 도전층과 원호형상 저항층(21)의 상하의 배치 관계를 반대로 한 것 등으로 해도 좋은 것은 실시의 형태 1에서의 입력 장치와 동일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의 형태 1 및 실시의 형태 2 이외의 구성이라도, 원호형상 저항층이 이용되고, 그 원호형상 저항층의 양 단부가 도전층에 동시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촉 방지부가 강구된 것은, 본 발명의 범주에 들어간다. 또한, 예를 들어, 원호형상 저항층을 타원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것에 비교하여 고분해능으로, 저항층과 그 양 단부 사이에서 형성되는 원형 링 또는 타원형상 부분의 거의 전체 둘레에 걸쳐 조작 위치 검출이 가능한 박형 구성의 것을 염가로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호형상 저항층의 양 단부 사이 또는 그 근방 각도 위치에서의 조작 시에도 조작 위치 검출 상태나 전력 소비 상태가 다른 각도 위치와 동등하고, 전체 둘레에 걸쳐 조작 위치 검출이 가능한 고분해능의 입력 장치를 저렴하게 실현할 수 있다.

Claims (4)

  1. 원호형상 저항층과,
    상기 원호형상 저항층에 대향 배치된 도전층을 구비하고,
    입력 장치는 누름 조작에 의해 상기 원호형상 저항층의 일부가 상기 도전층의 대응하는 부분에 접촉됨으로써 조작된 위치가 검출 가능하고,
    상기 원호형상 저항층의 양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누름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
    상기 원호형상 저항층의 양 단부가 상기 도전층에 동시에 접촉하지 않는 접촉 방지부로서의 절연층 또는 섬 형상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부가 상기 원호형상 저항층의 적어도 한쪽의 단부 상에 겹쳐 설치된 절연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입력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부가 상기 원호형상 저항층의 양 단부 사이에 형성된 절연 피막 또는 도전 피막으로 이루어지는 섬 형상부로 구성되고,
    상기 원호형상 저항층의 양 단부 사이의 위치에서 누름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
    상기 도전층이 상기 원호형상 저항층의 일단부측과 상기 섬 형상부에 접촉한 상태,
    또는, 상기 섬 형상부와 상기 원호형상 저항층의 타단부측에 접촉한 상태가 되는, 입력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촉 방지부로서의 절연층이 상기 원호형상 저항층의 양 단부의 어느 한쪽의 위치에 대응하는 상기 도전층 상의 대향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입력 장치.
KR1020070040293A 2006-04-27 2007-04-25 입력 장치 KR1008750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23215A JP4735396B2 (ja) 2006-04-27 2006-04-27 入力装置
JPJP-P-2006-00123215 2006-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5879A KR20070105879A (ko) 2007-10-31
KR100875007B1 true KR100875007B1 (ko) 2008-12-19

Family

ID=38181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0293A KR100875007B1 (ko) 2006-04-27 2007-04-25 입력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212767B2 (ko)
EP (1) EP1850212B1 (ko)
JP (1) JP4735396B2 (ko)
KR (1) KR100875007B1 (ko)
CN (1) CN101063916B (ko)
TW (1) TWI35643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83781B2 (en) 2015-10-30 2018-09-25 Vishay Dale Electronics, Llc Surface mount resis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same
US10438729B2 (en) 2017-11-10 2019-10-08 Vishay Dale Electronics, Llc Resistor with upper surface heat dissip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9552A (en) 1999-06-02 2000-05-30 Duraswitch Industries, Inc. Directionally sensitive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1077A (en) 1923-08-27 1924-09-04 Wortley Osborn Arthur William Method of and means for taking graphs of electrical variables
US3005055A (en) * 1957-10-08 1961-10-17 Bell Telephone Labor Inc Tilting dial circuit selector
US4297542A (en) * 1979-12-19 1981-10-27 Shumway Anthony G Folded circuit switch apparatus having multiple contacts
US4554618A (en) * 1984-05-14 1985-11-19 General Motors Corporation Switch, lamp, and connector assembly
JPH11232027A (ja) 1997-12-11 1999-08-27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td 角度検出型座標検出装置
US6369692B1 (en) 1999-06-02 2002-04-09 Duraswitch Industries, Inc. Directionally sensitive switch
JP4260406B2 (ja) 2002-02-14 2009-04-30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押圧方向検出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JP2004192520A (ja) * 2002-12-13 2004-07-08 Korg Inc 押圧位置検出装置
JP2006019784A (ja) 2004-06-30 2006-01-19 Alpine Electronics Inc 車載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69552A (en) 1999-06-02 2000-05-30 Duraswitch Industries, Inc. Directionally sensitive switch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35396B2 (ja) 2011-07-27
KR20070105879A (ko) 2007-10-31
EP1850212B1 (en) 2011-09-07
EP1850212A3 (en) 2008-02-06
TW200818228A (en) 2008-04-16
CN101063916A (zh) 2007-10-31
JP2007293749A (ja) 2007-11-08
US20070254551A1 (en) 2007-11-01
EP1850212A2 (en) 2007-10-31
TWI356436B (en) 2012-01-11
US8212767B2 (en) 2012-07-03
CN101063916B (zh) 2010-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82561B2 (en) Input device
JP4821290B2 (ja) タッチパネル
US7019765B2 (en) Input device
JP4899963B2 (ja) 入力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20110128724A (ko) 정전 용량식 입력 장치
JP2003242849A (ja) 押圧方向検出センサ及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US8599141B2 (en) Input device having coordinate-inputting unit and switching unit
JP2014123430A (ja) 入力装置
JP5407152B2 (ja) 感圧導電シ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パネルスイッチ
KR100875007B1 (ko) 입력 장치
KR20190094148A (ko) 푸시버튼 스위치용 부재
US8681117B2 (en) Flexible slide-touch controlling device and the related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JP2001255996A (ja) 入力装置ならびに検出装置
JP2006059649A (ja) 操作入力装置
JP3923789B2 (ja) 多方向入力装置
JP4397295B2 (ja) 入力装置
JP2006318860A (ja) 多方向入力装置
JP4276584B2 (ja) 操作装置
JP5473061B2 (ja) 多方向入力スイッチ装置
JP6700142B2 (ja) 配線接続構造及び静電容量式入力装置
JP3772409B2 (ja) タッチパネルスイッチ
JP4336533B2 (ja) 押圧式の操作装置
JP2002324463A (ja) 静電容量方式x−y入力装置
JP2011150885A (ja) 入力センサスイッチ
JP2011138674A (ja) 抵抗シート、感圧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