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3028B1 - 자력 회전 버킷장치 - Google Patents

자력 회전 버킷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3028B1
KR100873028B1 KR1020070094234A KR20070094234A KR100873028B1 KR 100873028 B1 KR100873028 B1 KR 100873028B1 KR 1020070094234 A KR1020070094234 A KR 1020070094234A KR 20070094234 A KR20070094234 A KR 20070094234A KR 100873028 B1 KR100873028 B1 KR 1008730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bucket
slot
pin
lower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94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평일
Original Assignee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로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로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94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30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30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30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22Rigid members, e.g. L-shaped members, with parts engaging the under surface of the loads; Crane hooks
    • B66C1/34Crane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력 회전 버킷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스크랩 등을 적재하는 버킷을 별도의 보조원 없이 크레인 운전자의 단독 조작에 의하여 터닝할 수 있어 상기 버킷에 적재된 스크랩 등을 인양, 운반 및 하역 가능하여 작업시간의 단축, 비용절감 및 안전확보를 도모할 수 있는 자력 회전 버킷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레인 운전자 단독으로 작업하기 위한 자력 회전 버킷장치에 있어서, 양 측면 상부의 무게중심에 각각 형성된 상부핀과, 상기 상부핀과 동일면의 하부 후방에 각각 형성된 하부핀을 가지는 버킷과, 상기 상부핀과 걸어맞춤 가능하도록 상부로 개방된 오목홈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핀에 끼워져 이동가능하도록 슬롯이 하부에 형성되어 훅과 로프를 통하여 크레인과 연결되는 행거를 구비하며, 상기 슬롯과 하부핀이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행거를 후방으로 젖히면서 위로 끌어올리면 버킷이 터닝되는 자력 회전 버킷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버킷, 행거, 자력 회전, 크레인

Description

자력 회전 버킷장치{SELF TURNING BUCKET DEVICE}
본 발명은 자력 회전 버킷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크랩 등을 적재하는 버킷을 별도의 보조원 없이 크레인 운전자의 단독 조작에 의해서 인양, 운반 및 하역 가능한 버킷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크랩용 버킷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랩 (102) 을 싣는 버킷 (110) 과, 상기 버킷 (110) 을 인양, 운반 및 하역하기 위하여 지상에서 로프를 걸어주는 별도의 보조원을 동반하게 되어 있다.
특히, 상기 보조원은 하역 작업시 훅 (103) 과 버킷 (110) 의 로프 걸림부 (111) 에 로프 (104) 를 걸거나 푸는 작업을 하여 버킷 (110) 의 터닝 동작 등이 가능하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하여야만 스크랩 (102) 의 하역 작업이 이루어진다. 또한, 터닝작업이 완료된 상기 버킷 (110) 을 본래의 위치로 복귀함에 있어서도, 상기 로프 (104) 의 위치를 바꿔주는 작업을 하여야만 한다.
따라서, 상기의 버킷 (110) 과 그 관련구성은 크레인의 운전자 단독으로 버킷 (110) 을 인양, 운반 및 하역 작업이 불가능하여 작업시간이 길어지고, 보조원을 동반하게 되므로 고비용으로 되며, 이에 따른 보조원의 안전을 확보함에 있어서 도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스크랩 등을 적재하는 버킷을 별도의 보조원 없이 운전자의 단독 조작에 의하여 버킷을 터닝할 수 있어 상기 버킷에 적재된 스크랩을 인양, 운반 및 하역 가능하여 작업시간의 단축, 비용절감 및 안전확보를 도모할 수 있는 자력 회전 버킷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크레인 운전자 단독으로 작업하기 위한 자력 회전 버킷장치에 있어서, 양 측면 상부의 무게 중심에 각각 형성된 상부핀과, 상기 상부핀과 동일면의 하부 후방에 각각 형성된 하부핀을 가지는 버킷과, 상기 상부핀과 걸어맞춤 가능하도록 상부로 개방된 오목홈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핀에 끼워져 이동가능하도록 슬롯이 하부에 형성되어 훅과 로프를 통하여 크레인과 연결되는 행거를 구비하며, 상기 슬롯과 하부핀이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행거를 후방으로 젖히면서 위로 끌어올리면 버킷이 터닝되는 자력 회전 버킷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슬롯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홀 형상이며, 상기 슬롯의 형상을 따라 상기 행거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버킷 후방의 상측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행거를 거치할 수 있도록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행거의 이면에 중부와 상부에 거쳐 상기 스토퍼와 맞닿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립은 상기 하부핀이 상기 슬롯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행거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토퍼와 맞닿고, 상기 하부핀이 상기 슬롯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행거를 회전시키도 상기 스토퍼와 맞닿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행거는 상기 버킷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이동가능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스크랩용 버킷을 별도의 보조원 없이 운전자의 단독 조작에 의해서 인양, 운반 및 하역이 가능하여 작업시간의 단축, 비용절감 및 안전확보를 도모할 수 있는 자력 회전 버킷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 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자력 회전 버킷장치를 나타내는 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자력 회전 버킷장치의 자력 회전 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로서, 도 2a 는 버킷에 스크랩이 담긴 상태를 나타내며, 도 2b 는 행거가 상부핀과 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한 상태이며, 도 2c 는 행거와 상부핀이 걸어 맞춤 된 상태이고, 도 2d 는 터닝을 위하여 크레인 훅을 들어올려 터닝이 이루어지는 상태이며, 도 2e 는 터닝 완료상태이고, 도 2f 는 바닥면과의 마찰을 이용하여 버킷을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상태이고, 도 2g 는 행거가 스토퍼에 거치되어 본래의 상태로 복귀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의 자력 회전 버킷장치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랩 (2) 을 수용하는 버킷 (10) 과 상기 버킷 (10) 을 지지 및 운반 등이 용이하도록 부착된 행거 (20) 와, 상기 버킷 (10) 을 리프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행거 (20) 에 거는 훅 (3) 과 일단은 크레인 (도시생략) 에 부착되고 타단은 훅 (3) 에 부착되어 있는 로프 (4)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버킷 (10) 은 스크랩 (2) 을 수용하여 운반하기 위한 용기로서, 내부는 공동이고 상측으로 개방되어 있는 대략 사각 박스형상의 것이다. 도 1 및 도 2a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 측면 (11) 에는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행거 (20) 용 핀 (12, 13) 이 상하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핀 (12, 13) 과 행거 (20) 를 통하여 인양, 운반 및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핀 (12, 13) 의 위치가 정해진다. 상부핀 (12) 은 상측 단부의 중앙 부근인 무게 중심에 형성되어 있고, 하부핀 (13) 은 바닥 (14) 과 후방에 가까운 지점 즉, 바닥 (14) 으로부터 위쪽으로 대략 1/3 지점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후방의 상측 좌우 단부에는 행거 (20) 를 거치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스토퍼 (15)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행거 (20) 는 상기 버킷 (10) 의 양 측면에 형성된 핀 (12, 13) 에 고 정되는 대략 "ㄷ" 자 형상의 행거로서,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21) 는 훅 (3) 과 체결하고, 중부 (22) 부터 하부 (23) 까지는 폭이 넓고 후방으로 경사지게 판이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핀 (12) 과는 걸어맞추고 하부핀 (13) 과는 끼워맞춤 가능하도록, 중부 (22) 에는 상기 경사각도만큼 후방으로 경사져 하측으로 오목하며 입출구인 상측은 개방된 오목홈 (24) 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23) 의 단부 부근에는 상기와 동일한 경사각도로 길이방향을 따라 타원형의 슬롯 (25) 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타원형 슬롯 (25) 을 가지는 행거 (20) 의 하부 (23) 가 상기 하부핀 (13) 에 끼워져 슬롯 (25) 의 형상을 따라 슬롯 (25) 의 상부와 하부로 이동가능하고, 상기 행거 (20) 의 상하 이동에 수반하여 중부 (22) 에 형성된 오목홈 (24) 이 상부핀 (12) 의 위치와 맞춰져 있는 경우에는 오목홈 (24) 과 상부핀 (12) 이 걸어 맞춰진다.
또한, 상기 행거 (20) 의 내측 면에는 중부 (22) 와 상부 (21) 에 거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돌출립 (26) 이 소정길이만큼 형성되어 있어, 버킷 (10) 에 스크랩 (2) 을 적재중이거나 작업상태가 아닐 경우에는 행거 (20) 를 후방으로 젖히면, 버킷 (10) 후방 상부에 형성된 스토퍼 (15) 와 상기 돌출립 (26) 이 맞닿게 되어 거치상태가 된다.
한편, 하역시 터닝 등을 위하여 상기 돌출립 (26) 의 위치보다 행거 (20) 를 후방으로 더 젖혀야 하는 경우에는, 행거 (20) 를 상측으로 끌어올리면, 행거 (20) 가 슬롯 (25) 의 형상만큼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행거 (20) 를 뒤로 젖히면, 행거 (20) 의 돌출립 (26) 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위로 상승된 상태가 되어 버킷 (10) 의 스토퍼 (15) 와 맞닿지 않으며 하부핀 (13) 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도 2a 내지 도 2g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재된 스크랩 (2) 을 소요의 장소에 운반하여 하역함에 있어서는 첫째, 스크랩 (2) 의 적재가 완료되면, 거치되어 있는 행거 (20) 를 전방으로 훅 (3) 을 이용하여 당기면, 도 2b 와 같이 행거 (20) 의 오목홈 (24) 입구와 상부핀 (12) 이 맞닿는다.
둘째, 훅 (3) 으로 행거 (20) 를 상측으로 올리면, 도 2c 와 같이 오목홈 (24) 과 상부핀 (12) 이 걸어맞춤되어 동일한 중심으로 되므로, 지정장소까지 크레인을 조정하여 운반한다. 이때 하부핀 (13) 은 슬롯 (25) 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셋째, 지정장소에서 하역을 하기 위해서는 행거 (20) 를 하측으로 내리면, 행거 (20) 가 슬롯 (25) 을 따라 하강하게 되어 오목홈 (24) 에서는 상부핀 (12) 이 이탈된다. 이 상태에서 후방으로 행거 (20) 를 젖히면서 다시 상측으로 들어올리면, 상부핀 (12) 과 오목홈 (24) 은 완전한 분리가 이루어지므로 버킷 (10) 과 행거 (20) 는 서로 하부핀 (13) 이 회전중심으로 된다. 한편, 상기 하부핀 (13) 은 버킷 (10) 의 하부로부터 후방 쪽에 위치하고 있어, 행거 (20) 를 크레인을 통하여 상측으로 끌어올리면, 도 2d 와 같이 버킷 (10) 의 후방부가 들어 올려지고 좀 더 들어올리면, 도 2e 와 같이 버킷 (10) 이 완전히 터닝 되어 적재된 스크랩 (2) 의 하역작업이 완료된다.
넷째, 터닝된 버킷 (10) 을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도 2f 와 같이 버킷 (10) 과 지면과의 마찰을 이용하여 행거 (20) 를 후방으로 당기면서 작업을 행하면, 버킷 (10) 이 터닝 전의 상태로 된다.
다섯째, 마직막으로 행거 (20) 를 스토퍼 (15) 에 거치시키는 것으로 복귀가 완료된다. 상기 거치시 행거 (20) 를 슬럿 (25) 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스토퍼 (15) 와 돌출립 (26) 이 서로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위치하므로, 행거 (20) 를 스토퍼 (15) 측으로 젖히면 스토퍼 (15) 에 걸려 더 이상 후방으로의 회전이 불가능하게 되어 거치가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이, 버킷 (10) 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핀 (12, 13) 이 형성되어 있고, 특히 하부핀 (13) 은 버킷 (10) 이 터닝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이에 대응하여 행거 (20) 의 중부 (22) 와 하부 (23) 에도 오목홈 (24) 과 슬롯 (25) 이 형성되어 버킷 (10) 에 걸어맞춤되거나 끼워맞춤되어 버킷 (10) 의 터닝시에는 하부 (23) 의 슬롯 (25) 과 하부핀 (13) 만이 끼워맞춤되어 버킷 (10) 과 행거 (20) 가 상대회전하게 되므로, 행거 (20) 를 들어올리는 것으로 터닝이 수행된다.
상기와 같이 크레인의 운전자가 행거 (20) 를 조절함으로써, 인양, 운반 및 하역까지를 단독으로 행할 수 있는 자력 회전 버킷장치이므로, 보조원의 도움이 불필요하여 비용절감 및 안전확보를 도모할 수 있고, 또한 작업시간의 단축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자력 회전 버킷장치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자력 회전 버킷장치의 자력 회전 상태를 단계별로 나타내는 도로서, 도 2a 는 버킷에 스크랩이 수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2b 는 행거가 상부핀과 걸어맞춤 위치로 이동한 상태이며, 도 2c 는 행거와 상부핀이 걸어맞춤된 상태이고, 도 2d 는 터닝을 위하여 크레인훅을 들어올려 터닝이 이루어지는 상태이며, 도 2e 는 터닝 완료상태이고, 도 2f 는 바닥면과의 마찰을 이용하여 버킷을 본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상태이고, 도 2g 는 행거가 스토퍼에 거치되어 본래의 상태로 복귀가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 은 종래의 버킷 구성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스크랩 (SCRAP) 3 : 훅 (hook)
4 : 로프 10 : 버킷 (bucket)
11 : 측면 12 : 상부핀
13 : 하부핀 14 : 바닥
15 : 스토퍼 (stopper) 20 : 행거 (hanger)
21 : 상부 22 : 중부
23 : 하부 24 : 오목홈
25 : 슬롯 (slot) 26 : 돌출립

Claims (5)

  1. 크레인 운전자 단독으로 작업하기 위한 자력 회전 버킷장치에 있어서,
    양 측면 상부의 무게 중심에 각각 형성된 상부핀과, 상기 상부핀과 동일면의 하부 후방에 각각 형성된 하부핀을 가지는 버킷과,
    상기 상부핀과 걸어맞춤 가능하도록 상부로 개방된 오목홈이 중앙부에 형성되고, 훅과 로프를 통하여 크레인과 연결되는 행거와,
    상기 행거의 하부에 형성되며 하부핀에 끼워져 이동하는 슬롯을 구비하며,
    상기 슬롯과 하부핀이 끼워맞춤된 상태에서 행거를 후방으로 젖히면서 위로 끌어올리면 버킷이 상기 하부핀을 회전축으로 하여 터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회전 버킷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일방향으로 연장된 홀 형상이며, 상기 슬롯의 형상을 따라 상기 행거가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회전 버킷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 후방의 상측 좌우 양단부에는 상기 행거를 거치할 수 있도록 돌출된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회전 버킷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의 이면에 중부와 상부에 거쳐 상기 스토퍼와 맞닿도록 길이방향으로 돌출립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립은 상기 하부핀이 상기 슬롯의 상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행거를 회전시키면 상기 스토퍼와 맞닿고, 상기 하부핀이 상기 슬롯의 하부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상기 행거를 회전시키도 상기 스토퍼와 맞닿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회전 버킷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는 상기 버킷의 양 측면에 결합되어 이동가능한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력 회전 버킷장치.
KR1020070094234A 2007-09-17 2007-09-17 자력 회전 버킷장치 KR1008730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234A KR100873028B1 (ko) 2007-09-17 2007-09-17 자력 회전 버킷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94234A KR100873028B1 (ko) 2007-09-17 2007-09-17 자력 회전 버킷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3028B1 true KR100873028B1 (ko) 2008-12-09

Family

ID=4037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94234A KR100873028B1 (ko) 2007-09-17 2007-09-17 자력 회전 버킷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302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659A (ko) * 2013-09-16 2015-03-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 기계용 회전식 버킷
CN112158726A (zh) * 2020-09-30 2021-01-01 河南卫华重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并轨双桥起重机在竖井施工中的使用方法
CN113620168A (zh) * 2021-08-10 2021-11-09 安徽春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主梁龙门起重机渣箱自翻转装置
JP7191427B1 (ja) * 2022-05-23 2022-12-19 大山 雅也 吊りバケット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0453U (ja) 1984-08-10 1986-03-14 油谷重工株式会社 フツク付バケツトリンク
JPS6345866U (ko) 1986-09-05 1988-03-28
KR20050111861A (ko) * 2004-05-24 2005-11-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기능 유압 굴삭기용 훅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0453U (ja) 1984-08-10 1986-03-14 油谷重工株式会社 フツク付バケツトリンク
JPS6345866U (ko) 1986-09-05 1988-03-28
KR20050111861A (ko) * 2004-05-24 2005-11-2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크레인 기능 유압 굴삭기용 훅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31659A (ko) * 2013-09-16 2015-03-25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공작 기계용 회전식 버킷
KR102099476B1 (ko) 2013-09-16 2020-04-16 두산공작기계 주식회사 공작 기계용 회전식 버킷
CN112158726A (zh) * 2020-09-30 2021-01-01 河南卫华重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并轨双桥起重机在竖井施工中的使用方法
CN112158726B (zh) * 2020-09-30 2022-08-19 河南卫华重型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并轨双桥起重机在竖井施工中的使用方法
CN113620168A (zh) * 2021-08-10 2021-11-09 安徽春华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双主梁龙门起重机渣箱自翻转装置
JP7191427B1 (ja) * 2022-05-23 2022-12-19 大山 雅也 吊りバケット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028B1 (ko) 자력 회전 버킷장치
US6869265B2 (en) Lift device
KR101189629B1 (ko) 컨테이너 연결구
KR20090102366A (ko) 가스탱크 운반장치
DK152195B (da) Lasthaandteringsapparat for paller
FI94611B (fi) Nostolaite kuormia varten
US20050212237A1 (en) Wheelbarrow having an auxiliary rear wheel assembly
KR101733380B1 (ko) 굴삭기용 틸트 접이식 포크리프트
JPH1081240A (ja) パレットトラック
JP7427789B2 (ja) 荷物載置アセンブリ及び搬送ロボット
CN210555001U (zh) 应用于物流行业的分段式货物搬运工具
JP4308369B2 (ja) 運搬用台車の転倒防止装置
CN220501960U (zh) 一种止挡限位装置
KR200276973Y1 (ko) 카트(Cart)각도조절장치
KR200201761Y1 (ko) 물품하역장치
CN113371645A (zh) 一种可提高装载效率及运输安全稳定性的叉车架
KR100391306B1 (ko) 핸드 캐리어
CN214087566U (zh) 货叉增高垫及叉车
JPH07257894A (ja) フォークリフトの荷役装置
KR200182070Y1 (ko) 짐 운반용 수레.
KR20110129804A (ko) 유닛 탑재 지그
TWM563808U (zh) 全自動電動麻將桌
KR200239519Y1 (ko) 핸드 캐리어
JP2002316793A (ja) 荷役車両
JP7141694B2 (ja) パレットトラ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