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1761Y1 - 물품하역장치 - Google Patents

물품하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1761Y1
KR200201761Y1 KR2020000012743U KR20000012743U KR200201761Y1 KR 200201761 Y1 KR200201761 Y1 KR 200201761Y1 KR 2020000012743 U KR2020000012743 U KR 2020000012743U KR 20000012743 U KR20000012743 U KR 20000012743U KR 200201761 Y1 KR200201761 Y1 KR 2002017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container
lever
hook
frame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27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당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데이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데이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데이코
Priority to KR2020000012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17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17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17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4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3/00Grasping, holding, supporting the objects
    • B62B2203/70Comprising means for facilitating loading or unloa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물품의 하역을 위한 수납통에 관한 것으로, 동력의 사용이 없이 자중에 의하여 작동토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산업현장에서 자재 또는 작업 후 발생되는 처치물에 대한 운반과 하역을 위하여 사용되는 수단으로는 수납공간이 확보되어진 수납통이 동력이나 수동으로 이동되면서 들어올려져 하역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동력을 사용할 경우 제조를 위한 공정의 복잡화로 인한 가격의 상승요인이 발생되고, 수동 방식은 작업환경이 열악하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 고안의 해결방법의 요지.
수납통의 일측을 상향경사지게 형성하고, 상향경사가 시작되는 부분에는 힌지판에 연장되어진 만곡판을 수납통에 일체로 형성하여 수납통의 경사면에 의한 수납통의 기울어짐이 수납통과 연결되어진 개폐레바에 의하여 단속토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물품 하역 장치.

Description

물품하역장치{A cargo gear}
본 고안은 물품의 하역을 위한 수납통에 관한 것으로, 수납통이 동력의 사용이 없이 수납통에 수납되어지는 물품의 자중에 의하여 자연적으로 기울어지면서 하역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산업현장에서 자재 또는 작업 후 발생되는 처치물에 대한 운반과 하역을 위하여 사용되는 수단으로는 수납공간이 확보되어진 수납통을 갖는 손수레를 이용하거나 상기 손수레에 동력을 이용하여 이동토록 하고 하역을 위하여는 동력이나 인력으로 들어올려져 하역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손수레에 동력을 사용할 경우 제조를 위한 공정의 복잡화로 인한 가격의 상승요인이 발생되고, 수동 방식은 인력을 사용하여야 함으로 작업자들에게 작업환경을 열악하다는 만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수납통의 일측을 상향경사지게 형성하고, 상향경사가 시작되는 부분에는 힌지판에 연장되어진 만곡판을 수납통에 일체로 형성하여 수납통의 경사면에 의한 수납통의 기울어짐이 수납통과 연결되어진 개폐레바에 의하여 단속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수납통이 개폐레바에 의하여 고정되어진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개폐레바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수납통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수납통의 정지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수납통 2: 후크핀 3: 경사면
4:만곡면 5: 힌지판 6:축핀
11: 이동바퀴 12: 베이스 13: 후레임
14: 브라켓 15: 이동홈 16: 하우징
17: 돌출벽 18: 돌출날개 19: 구멍
20: 안내판 21: 링크기구 22: 후크
23: 레버 24: 스토퍼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을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도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갖는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이동바퀴(11)가 장착되어지는 베이스(12)의 후레임(13) 전방으로는 링크기구(21)에 의하여 후크(22)가 전.후진 되어지도록 레버(23)가 장착되고 레버(23)의 일측으로는 절첩이 자유로운 스토퍼(24)가 형성되며, 수납통(1)에는 레버(23)의 후크(22)가 탈착되어지도록 후크핀(2)이 형성되고, 수납통(1)은 일측으로 상향경사지게 경사면(3)이 형성되고 수납통(1)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만곡면(4)이 형성되는 힌지판(5)이 형성되어 힌지판(5)의 만곡면(4)에 장착되어진 축핀(6)이 베이스(12)의 후레임(13)에 장착되어진 브라켓(14)의 이동홈(15)에 끼워져 있는 구성이다.
이때 브라켓(14)에 형성된 이동홈(15)은 V자 형상을 갖도록 하고, 수납통(1)의 저면에 형성된 힌지판(5)에 형성되는 축핀(6)은 만곡면(4)에 형성토록 하여 수납통(1)이 기울어질 경우에 이동홈(15)을 따라 이동토록 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자중에 의하여 회전되는 수납통(1)에는 후크핀(2)을 형성하여, 베이스(12)의 후레임(13)에 장착되어지는 하우징(16)에 내삽되게 상하의 링크기구(21)에 의하여 레버(23)의 좌우 이동에 의하여 후크(22)가 전후진되면서 탈착토록 하여 수납통(1)의 기울어짐을 단속토록 되는 것이다.
상기한 링크기구(21)는 레버(23)와 후크(22)의 중앙과 하단부위를 핀으로 유동이 가능하여 결합시켜 레버(23)와 후크(22)가 동일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레버(23)에는 스토퍼(24)를 설치하여 하우징(16)의 돌출벽(17)에 걸려지도록 하여 레버(23)가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여 결국 수납통(1)이 임의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후레임(13)의 좌우 전방으로는 지게차의 리프트에 장착되어지도록 끼임부(17)를 형성하고 끼임부(17)의 전방으로는 양측으로 돌출날개(18)를 형성하여 돌출날개(18)에 천공된 구멍(19)을 통하여 지게차의 리프트와 고정토록 한 것이다.
또한 힌지판(5)은 베이스(12)의 후레임(13)에 장착되어진 브라켓(14)과 안내판(20)의 사이에 위치되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이동바퀴(11)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지고, 후레임(13)의 끼임부(17)로 인하여 기게차를 이용하여 들어올림에 의한 하역작업이 가능한 것이고, 하역시에는 레바를 일측으로 당김토록 함으로서 후크핀과 결합되어 고정되어 있던 수납통이 후크와 풀려지면서 수납통에 수납되어진 물품들이 수납통의 경사면에 의하여 하중이 경사면으로 기울어지게 되면서 힌지판의 만곡면에 의하여 기울어짐이 발생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기우러 짐은 만곡면의 측면으로 형성된 축핀이 브라켓의 이동홈의 범위 내에서 이동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자중에 의하여 기울어지는 원리를 적용토록 함으로 동력이 없이 작동이 가능한 것이고, 힌지판의 회전운동이 만곡면에 의한 작동이기 때문에 수납통에 물품이 가득 채워져 있는 경우에도 손쉬운 기울어짐이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동력이 없이 자중에 의한 기울어짐에 의하여 작동되어짐으로 작은 공간에서의 사용이 가능하고, 취급이 용이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8)

  1. 이동바퀴(11)가 장착되어지는 베이스(12)의 후레임(13) 전방으로는 링크기구(21)에 의하여 후크(22)가 전.후진 되어지도록 레버(23)가 장착되어 수납통(1)에 장착된 후크핀(2)과 탈착되어지고, 상기 수납통(1)은 일측으로 상향경사지게 경사면(3)이 형성되고 수납통(1)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만곡면(4)이 형성되는 힌지판(5)이 형성되어 힌지판(5)의 만곡면(4)에 장착되어진 축핀(6)이 베이스(12)의 후레임(13)에 장착되어진 브라켓(14)의 이동홈(15)에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하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브라켓(14)에 형성된 이동홈(15)은 V자 형상을 갖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하역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수납통(1)의 저면에 형성된 힌지판(5)에 형성되는 축핀(6)은 만곡면(4)에 형성토록 하여 수납통(1)이 기울어질 경우에 이동홈(15)을 따라 이동토록 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하역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레바는 베이스(12)의 후레임(13)에 장착되어지는 하우징(16)에 내삽되어 상하의 링크기구(21)에 의하여 레버(23)의 좌우 이동에 의하여 후크(22)가 전후진되면서 탈착토록 하여 수납통(1)의 기울어짐을 단속토록 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하역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링크기구(21)는 레버(23)와 후크(22)의 중앙과 하단부위를 핀으로 유동이 가능하여 결합시켜 레버(23)와 후크(22)가 동일 방향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하역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레버(23)에는 스토퍼(24)를 설치하여 하우징(16)의 돌출벽(17)에 걸려지도록 하여 레버(23)가 임의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하역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후레임(13)의 좌우 전방으로는 지게차의 리프트에 장착되어지도록 끼임부(17)를 형성하고 끼임부(17)의 전방으로는 양측으로 돌출날개(18)를 형성하여 돌출날개(18)에 천공된 구멍(19)을 통하여 지게차의 리프트와 고정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하역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힌지판(5)은 베이스(12)의 후레임(13)에 장착되어진 브라켓(14)과 안내판(20)의 사이에 위치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품하역장치.
KR2020000012743U 2000-05-04 2000-05-04 물품하역장치 KR2002017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743U KR200201761Y1 (ko) 2000-05-04 2000-05-04 물품하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2743U KR200201761Y1 (ko) 2000-05-04 2000-05-04 물품하역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1761Y1 true KR200201761Y1 (ko) 2000-11-01

Family

ID=196549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2743U KR200201761Y1 (ko) 2000-05-04 2000-05-04 물품하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17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031B1 (ko) * 2020-11-03 2021-02-09 (주)에이치케이씨 구조 개선된 낙탄 운반용 덤프박스
KR20220124339A (ko) 2021-03-03 2022-09-14 최석재 건설 자재 운반용 수납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4031B1 (ko) * 2020-11-03 2021-02-09 (주)에이치케이씨 구조 개선된 낙탄 운반용 덤프박스
KR20220124339A (ko) 2021-03-03 2022-09-14 최석재 건설 자재 운반용 수납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8191A (en) Cargo handling loader for pallets
US3472404A (en) Material handling device
CN105235975A (zh) 用于运输电子产品的包装箱
JP2615357B2 (ja) 貨物運搬用トラック
CN109466602B (zh) 一种可卸料运料车
KR200201761Y1 (ko) 물품하역장치
KR200396854Y1 (ko)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
US11767208B2 (en) Fork assembly for forklifts
JP7189833B2 (ja) 車両用荷室のスライド脱着構造
GB2375095A (en) Goods handling apparatus
JP2004035145A (ja) 自動積み上げ装置
JP7075639B1 (ja) 物品反転排出ボックス、及び物品反転排出ボックスの使用方法
CN113636502B (zh) 一种手动式搬运车
KR100314567B1 (ko) 물건 운송차량용 적재함 승강장치
KR100702451B1 (ko)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
KR20190138722A (ko) 소형지게차의 운반장치
CN112706678B (zh) 一种机器人上下车升降装置
KR20170109991A (ko) 컨테이너 내용물 하역기계
CN219567341U (zh) 与集装袋配合使用的翻转装置
CN220201341U (zh) 一种用于储物柜的周转升降车
CN216185222U (zh) 一种物流转运推车
US3335883A (en) Lift truck
JPH09301184A (ja) ピッキング又は仕分け用のカート、装置及び台車
CN211282729U (zh) 一种纸箱输送转动装置
JPH072115A (ja) 昇降機構付き運搬台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