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02451B1 -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 - Google Patents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02451B1
KR100702451B1 KR1020050062769A KR20050062769A KR100702451B1 KR 100702451 B1 KR100702451 B1 KR 100702451B1 KR 1020050062769 A KR1020050062769 A KR 1020050062769A KR 20050062769 A KR20050062769 A KR 20050062769A KR 100702451 B1 KR100702451 B1 KR 100702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body
container
arm
bevel gears
arm r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27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8888A (ko
Inventor
김재규
Original Assignee
김재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규 filed Critical 김재규
Priority to KR10200500627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451B1/ko
Publication of KR20070008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65D88/12Large containers rigid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5/00Auxiliary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12Supports
    • B65D90/18Castors, rolls, or the like; e.g. detach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3/00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 B65F3/02Vehicles particularly adapted for collecting refuse with means for discharging refuse receptacles thereinto
    • B65F3/04Linkages, pivoted arms, or pivoted carriers for raising and subsequently tipping recepta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Loading Or Unloading Of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역장에서 물건을 싣게 되는 컨테이너가 암롤 차량의 암에 의해 암롤 차량에 용이하게 적재가 되거나 바닥에 내려질 때 충격을 최소화하여 안전하게 적재 및 하역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랜딩 수단을 갖춤으로써, 화물운송 시 소요되는 컨테이너가 장착된 차량의 이동에 따른 물류비 및 작업시간을 상당히 줄여 우수한 경제적 효능을 창출할 수 있는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컨테이너 몸체와, 상기 컨테이너 몸체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암의 끝단에 설치된 후크에 걸려 컨테이너 몸체를 암롤 차량에 탑재 또는 분리가능하게 하는 걸림 수단으로 구성된다.
컨테이너, 암롤 차량, 랜딩 수단, 베벨기어, 스크루 나사

Description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CONTAINER FOR JOINING OR SEPARATING FROM VEHICLES}
도 1은 종래의 암롤 차량에 컨테이너가 장착된 것을 도시한 측면도;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몸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후면 도어를 도시한 배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에 설치된 랜딩 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에 설치된 랜딩 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 나타난 단면도;
도 5a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가 암롤 차량에서 하역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암롤차량 110: 가이드 프레임
120: 유압실린더 130: 암
140: 후크 150: 가이드 롤러
200: 컨테이너 몸체 210: 돌출부
220: 걸림 부재 230: 가이드 부
240: 측면 도어 250: 후면 도어
300: 랜딩 수단 310: 회전 손잡이
311: 렌치 312: 걸림 돌기
313: 베어링 314: 돌출턱
315: 스크루 나사 316: 내측 지지대
317: 외측 지지대 318: 바퀴
319: 베이스 프레임 320: 모터
321: 회전 로드 322: 주동축
323: 주동 베벨기어 324: 종동 베벨기어
325: 종동축 326: 보스
327:가동나사 328: 바퀴
329: 베이스 하우징
본 발명은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역장에서 물건을 싣게 되는 컨테이너가 암롤 차량의 암에 의해 암롤 차량에 용이하게 적재가 되거나 바닥에 내려질 때 충격을 최소화하여 안전하게 적재 및 하역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랜딩 수단을 갖춤으로써, 화물운송 시 소요되는 컨테이너가 장착된 차량의 이동에 따른 물류비 및 작업시간을 상당히 줄여 우수한 경제적 효능을 창출할 수 있는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국제표준화기구(ISO)의 정의에 따르면「컨테이너란 내구성 및 반복사용에 견딜 만한 강도를 갖고, 상품수송을 하나 이상의 수송방식에 연계할 수 있으며, 도중에 재차 채워넣음 없이 상품수송을 하도록 특별히 설계되어 있다. 취급내용이 특히 한 운송방식에서 다른 운송방식으로 바뀔 경우 용이한 취급이 가능한 장치가 부착되고, 상품을 채워 넣고 빼내는 데 용이하게 설계되었으며 35.3 입방 피트(1m³) 이상의 용적을 가진 수송설비」이다.
컨테이너는 수용하는 화물의 종류, 주된 수송기관, 구조, 재질, 적재량, 모양 등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는데, 용적 3m³이하의 것을 소형, 그 이상을 대형이라고 부른다. 컨테이너 수송이 갖고 있는 장점으로서는 하역의 기계화, 포장비 절감, 도난방지 등이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의 종류로는 액체화물의 운송을 위한 탱크 컨테이너, 온도 조절을 요하는 화물운송용의 냉동 컨테이너와, 온도 조절이 필요없는 화물수송용의 건 컨테이너, 천정 또는 측면 개방형 컨테이너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컨테이너(CONTAINER)는 광범위하게 박스(BOX)라고도 쓰여 진다.
인천공항이나 항만에서 하역되는 화물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화물 적재용 컨테이너가 설치된 전용트럭을 이용하여 화물을 원하는 장소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컨테이너가 설치된 전용트럭은 화물 적재용 컨테이너가 트럭의 뒷 쪽에 고정설치되어 있으므로, 한대의 트럭으로 화물을 옮길 경 우 수회 반복해서 옮겨야 되고, 한번에 많은 양의 화물을 옮기기 위해서는 규정이상의 화물을 컨테이너에 과적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다수의 트럭을 이용해서 다량의 화물을 옮기기 위해서는 화물 전용 트럭이 많이 필요하므로 차량 구입 비용이 상당히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보통, 인천공항이나 항만의 부두에는 비행기 및 선박에서 내려진 엄청난 량의 화물들이 컨테이너 안에 포장되어 화물 저장소에 쌓여있게 되는데, 지금의 컨테이너 차량의 물류 이송 시스템으로는 계속해서 공항이나 항만에 누적되는 화물을 효과적으로 이송하기는 힘들게 된다. 따라서, 산적되어 있는 많은 량의 화물을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운반할 수 있는 물류시스템이 절실히 필요하게 된다.
또한, 컨테이너가 고정 설치된 화물 전용트럭은 주로 일반 쓰레기 청소차나 건축폐기물 차량으로만 이용되므로, 화물의 성상에 따른 여러 종류의 고체 화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종류의 컨테이너가 설치된 다수 개의 화물 전용트럭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트럭과 컨테이너가 탑재 및 분리가 가능해야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가 분리 가능한 화물트럭(10)은 공항이나 항만에 내려진 화물들을 가득 싣은 컨테이너(20)를 원하는 배송지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컨테이너(20)를 화물트럭(10)에 일일이 하나씩 싣고 내리기 위해서는 지게차(30) 또는 크레인(미도시)등 기타 장비가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화물트럭(10)에 지게차(30) 또는 크레인(미도시)을 이 용하여 상기 컨테이너(20)를 적재 및 하역시키게 되면, 지게차(30)등을 비롯한 기타장비의 사용으로 추가비용과 인건비가 상승되고, 공항이나 항만에 계속해서 누적되는 화물을 신속하게 처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지게차, 크레인 등의 기타 적재 및 하역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사람의 노동력으로 하역작업을 한다면 상당한 인건비가 추가적으로 발생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일일이 화물을 수작업으로 내리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휠씬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게 위해서, 본 발명은 암롤 차량에 탈,부착이 손쉬운 컨테이너 몸체와, 몸체 전면에 설치된 걸림 수단과, 몸체의 후면 하단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랜딩 수단으로 구성되어 공항이나 항만에 적재된 많은 량의 컨테이너를 소수의 암롤 차량으로 반복하여 손쉽게 운반할 수 있고, 또한 다수의 종래 화물트럭의 이동에 따른 물류비 및 작업시간을 상당히 줄여 우수한 경제적 효능을 창출할 수 있는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는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컨테이너 몸체와, 상기 컨테이너 몸체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암의 끝단에 설치된 후크에 걸려 컨테이너 몸체를 암 롤 차량에 탑재 또는 분리가능하게 하는 걸림 수단으로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에 대한 일 실시 예로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몸체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c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의 후면 도어를 도시한 배면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에 설치된 랜딩 수단을 도시한 단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에 설치된 랜딩 수단의 또 다른 실시 예 나타난 단면도이고, 도 5a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가 암롤 차량에서 하역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a내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는 유압실린더(120)에 의해 작동되는 암(130)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가이드 프레임(110)에 적재하거나 또는 바닥에 하역시키는 암롤 차량(100)에 사용되는데, 본 발명의 구성은 크게 컨테이너 몸체(200), 걸림 수단, 가이드 부(230) 및 랜딩 수단(300)으로 이루어진다.
우선, 물건 또는 화물을 담을 수 있는 컨테이너 몸체(200)가 구비되고,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의 전면에는 상기 암(130)의 끝단에 설치된 후크(140)에 걸려 컨테이너 몸체(200)를 암롤 차량(200)에 탑재 또는 분리가능하게 하는 걸림 수단이 부착된다.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의 하면에는 컨테이너 몸체(200)가 상기 암롤 차량(100)의 가이드 프레임(100)을 타고 이동시 컨테이너 몸체(200)를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 부(230)가 형성된다.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의 후면 하측에는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컨테이너 몸체(200)를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랜딩 수단(30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의 후면에는 물건을 싣고 내릴 수 있는 후면 도어(250)가 힌지 결합되고, 그 측면에는 부분적으로 물건을 내릴 수 있는 다수 개의 측면 도어(240)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걸림 수단은 컨테이너 몸체(200)의 전면에 형성된 돌출부(210) 사이에 결합되는 걸림 부재(220)로 이루질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걸림 부재(220)는 돌출부(210) 사이에 용접되어 부착될 수 있고, 볼트와 너트 등과 같은 결합체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 부재(220)를 암롤 차량(100)의 암(130)으로 들어올릴 때 예상외로 컨테이너의 하중이 걸림 부재(220)에 많이 걸릴 경우를 대비해서 걸림 부재(220)에 보조대(미도시)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랜딩 수단(300)은 컨테이너 몸체(200)를 암롤 차량(100)에 적재하거나 하역할 때 충격을 완화하거나 컨테이너를 지지하면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의 후면 하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나왔다 들어갈 수 있고, 또한 랜딩 수단(300)은 일정한 힌지점을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펴져서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를 지지할 수 있고, 수평방향으로 접혀져서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랜딩 수단(300)은 다양한 방법 및 작동과정으로 실시될 수 있고, 상기 랜딩 수단(300)은 사람의 힘으로 작동될 수 있고, 모터 또는 유압 이용하여 작동될 수도 있고, 기타 동력을 전달하는 기계 등을 이용하여 움직일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랜딩 수단(300)의 구성을 구체적인 실시 예에서 살펴보면, 상기 랜딩 수단(300)은 컨테이너 몸체(200)의 후면 하측 양단에 베이스 프레임(319)이 설치 고정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319)의 일측에는 외측 지지대(317)가 부착되고, 상기 외측 지지대(317)의 내측에는 내측 지지대(316)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내측 지지대(316)의 하단에는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를 지지하면서 회전가능한 바퀴(318)가 설치된다.
상기 외측 지지대(317)에 삽입된 내측 지지대(317)의 내부에는 스크루 나사(315)가 나사결합 되도록 물려있고, 상기 스크루 나사(315)의 상단에는 스크루 나사(315)를 회전시킴으로써 내측 지지대(316)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회전 손잡이(310)가 결합된다.
여기서, 도 3a와 같이, 상기 외측 지지대(317)의 상단에는 상기 스크루 나사(315)의 상단에 결합 된 걸림 돌기(312)가 삽입되고, 상기 걸림 돌기(312)의 상측에는 걸림 돌기(312)를 복스 형태로 작동하는 렌치(311)가 결합되고, 상기 렌치(311)의 상부에는 렌치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루 나사(315)를 회전시키는 회전 손잡 이(31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312)의 하단에는 상기 스크루 나사(315)가 상측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돌출턱(314)이 형성되고, 상기 렌치(311)와 걸림 돌기(312) 사이에는 스크루 나사(315)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313)이 삽입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랜딩 수단(300)의 실시 예를 살펴보면, 상기 랜딩 수단(300)은 컨테이너 몸체(200)의 후면 하단에 모터(320)가 설치되고, 상기 모터(320)의 양측에는 회전 로드(321a,321b)가 결합되고, 상기 회전 로드(321a,321b)의 끝단에는 회전 로드(321a,321b)의 작동으로 회전 가능한 주동축(322a,322b)과 이에 축결합 된 주동 베벨기어(323a,323b)가 구비된다.
상기 주동 베벨기어(323a,323b)의 일측에는 상기 주동 베벨기어(323a,323b)와 기어결합되어 회전하는 종동 베벨기어(324a,324b)가 구비되고, 상기 종동 베벨기어(324a,324b)의 상측에는 종동 베벨기어(324a,324b)를 회전가능 하도록 지지하는 종동축(325a,325b)이 구비되고, 상기 종동 베벨기어(324a,324b)의 하측에는 상기 종동 베벨기어(324a,324b)와 일체로 결합되어 종동 베벨기어(324a,324b)와 동시에 회전하는 보스(326a,326b)가 위치한다.
상기 보스(326a,326b)의 내측에는 상기 모터(320)의 작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동나사(327a,327b)가 나사 결합되고, 상기 가동나사(327a,327b)의 하단에는 바퀴(328a,328b)가 설치되고, 상기 가동나사(327a,327b)의 외측에는 베이스 하우징(329a,329b)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공항이나 항만에서 화물을 가득 적재한 컨테이너를 탑재한 암롤 차량이 컨테이너의 하역을 원하는 장소로 이동된다.
이동된 후, 컨테이너 후면 하단에 설치된 랜딩 수단(300)을 작동하게 되는데, 도 3a 및 도 3b와 같이, 회전 손잡이(310)를 수동 또는 자동으로 돌려 렌치(311)에 결합 된 걸림 돌기(312)를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 돌기(312)의 하단에 위치한 스크루 나사(315)가 회전됨으로써 상기 스크루 나사(315)에 나사결합된 내측 지지대(316)가 하강하게 되면서 바퀴(318)가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또한, 역방향으로 실행을 하면 바퀴(318)가 위로 올라가게 된다.
또 다른 실시 예인 ,도 4와 같이, 모터(320)를 작동시키면 모터(320)의 양측에 설치된 회전 로드(321a,321b)가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주동축(322a,322b) 및 주동 베벨기어(323a,323b)가 회전하게 되고, 이어서 종동 베벨기어(324a,324b)와 보스(326a,326b)가 일체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보스(326a,326b)에 나사결합되어 있는 가동나사(327a,327b)가 하강하게 되면서 바퀴(328a,328b)가 아래로 내려오게 된다. 역시, 상기 실시 예도 역방향으로 실행하면 바퀴(328a,328b)가 위로 올라가게 된다.
상기와 같이 랜딩 수단(300)이 하강한 후에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롤 차량(100)에 구비된 암(130)의 후크(140)에 화물이 가득 담긴 컨테이너 몸체(200)의 걸림 부재(220)가 걸려있고,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의 바닥은 상기 암롤차량(100)의 가이드 프레임(110)에 얹혀있다.
암롤 차량(100)에 안착된 컨테이너 몸체(200)는 상기 암롤 차량(100)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120)에 의해 ,도 5b와 같이, 뒤로 밀리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는 암롤 차량(100)에 부착된 가이드 프레임(110)상에서 슬라이딩 되며 이동되고, 암롤 차량(100)의 후단 끝에 설치된 가이드 롤러(220)는 회전되면서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를 지지하게 된다.
이어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 롤차량(100)에 설치된 유압 실린더(120) 및 암(130)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는 뒤로 밀려서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면서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의 후단부 하측에 위치한 랜딩 수단(300)에 의해 상당히 충격이 완화되어 바닥에 안착이 된다.
그리고 나서,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압 실린더(120) 및 암(130)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는 완전히 뒤로 밀리게 되어 컨테이너 몸체(200) 전체가 바닥에 안착이 된다.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가 완전히 바닥에 안착되고 나서, 암롤 차량(100)에 부착된 암(130) 및 후크(210)는 컨테이너 몸체(200)로부터 분리되어 또 다른 작업을 할 수 있는데, 이때 분리된 컨테이너 몸체(200)는 하측에 구비된 랜딩 수단(300)에 의해 지지된 후 상기 랜딩 수단(300)은 위로 상승하여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가 바닥에 완전히 안착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은 컨테이너 몸체(200)를 암롤 차량에서 내릴 때를 설명한 것이고, 탱크를 암롤차량에 올릴 때는 반대의 과정으로 작업을 진행하면 되는 것이다.
이 실시예는 본원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과 작용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암롤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는 암롤 차량에 탈,부착이 손쉬운 컨테이너 몸체와, 몸체 전면에 설치된 걸림 수단과, 몸체의 후면 하단에 설치되어 컨테이너를 지지하며 이동시키는 랜딩 수단으로 구성되어 공항이나 항만에 적재된 많은 량의 컨테이너를 소수의 암롤 차량으로 반복하여 손쉽게 운반할 수 있고, 또한 다수의 종래 화물트럭의 이동에 따른 물류비 및 작업시간을 상당히 줄여 우수한 경제적 효능을 창출할 수 있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상당히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량의 화물을 처리하기 위해 소수의 차량으로 다수 개의 컨테이너를 기다림 없이 신속히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물류의 안정 및 신속을 유도 수 있고, 컨테이너의 적재 및 하역 시에 지게차 및 크레인 등의 부수적인 장비가 불필요하므로 비용 및 작업 효율 면에서 상당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물건을 담을 수 있는 컨테이너 몸체(200)와;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의 전면에 부착되고, 상기 암(130)의 끝단에 설치된 후크(140)에 걸려 컨테이너 몸체(200)를 암롤 차량(200)에 탑재 또는 분리가능하게 하는 걸림 수단과;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는 그 하면에 컨테이너 몸체(200)가 상기 암롤 차량(100)의 가이드 프레임(110)을 타고 이동시 컨테이너 몸체(200)를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 부(230)와; 상기 컨테이너 몸체(200)는 그 후면 하측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컨테이너 몸체(200)를 지지하면서 이동시키는 랜딩수단(300)이 구비된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에 있어서,
    상기 랜딩 수단(300)은 컨테이너 몸체(200)의 후면 하측 양단에 설치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임(319)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319)의 일측에 고정되는 외측 지지대(317)와, 상기 외측 지지대(317)의 내측에 삽입되는 내측 지지대(316)와, 상기 내측 지지대(316)의 하단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 된 바퀴(318)와, 상기 내측 및 외측 지지대(316,317)의 중앙에 나사 결합되는 스크루 나사(315)와, 상기 스크루 나사(315)의 상단에 결합되어 스크루 나사(315)를 회전시킴으로써 내측 지지대(316)를 상,하 방향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회전 손잡이(31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수단(300)은 컨테이너 몸체(200)의 후면 하단에 설치고정되는 모터(320)와, 상기 모터(320)의 양측에 결합 되는 회전 로드(321a,321b)와, 상기 회전로드(321a,321b)와 결합 되어 작동되는 주동 베벨기어(323a,323b)와, 상기 주동 베벨기어(323a,323b)와 기어결합되어 회전하는 종동 베벨기어(324a,324b)와, 상기 종동 베벨기어(324a,324b)와 일체로 결합되어 종동 베벨기어(324a,324b)와 동시에 회전하는 보스(326a,326b)와, 상기 보스(326a,326b)의 내측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모터(320)의 작동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되는 가동나사(327a,327b)와, 상기 가동나사(327a,327b)의 하단에 설치된 바퀴(328a,328b)와, 상기 가동나사(327a,327b)의 외측에 설치되는 베이스 하우징(329a,329b)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
KR1020050062769A 2005-07-12 2005-07-12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 KR100702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769A KR100702451B1 (ko) 2005-07-12 2005-07-12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2769A KR100702451B1 (ko) 2005-07-12 2005-07-12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0277U Division KR200396854Y1 (ko) 2005-07-12 2005-07-12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888A KR20070008888A (ko) 2007-01-18
KR100702451B1 true KR100702451B1 (ko) 2007-04-06

Family

ID=3801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2769A KR100702451B1 (ko) 2005-07-12 2005-07-12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024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4266A (ja) * 1992-04-03 1993-10-29 Brother Ind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84266A (ja) * 1992-04-03 1993-10-29 Brother Ind Ltd ファクシミリ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0528426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888A (ko) 200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30545B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facilitating loading and unloading cargo from cargo spaces of vehicles
US8342784B2 (en) Collapsible intermodal transport platform
US8545161B2 (en) Unloading vehicle and combination of an unloading vehicle with a container
US8757943B2 (en) Intermodal transport platform
WO2015108831A1 (en) Modular shipping apparatus and system
US8100614B2 (en) Dual use transport vehicle
US20090191036A1 (en) Container unloading device
CN106794847A (zh) 用于货运车厢的车厢附属装置以及带有这种车厢附属装置的货运车厢、带有这种货运车厢的货物转运设备和货物转运方法
KR200396854Y1 (ko)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
CN100364810C (zh) 运送货物用的箱体
US20050019147A1 (en) Refuse collection vehicle and method with stackable refuse storage container
HUE025664T2 (en) Freight Supplier
US5310303A (en) Underslung trailer cargo container system
KR100702451B1 (ko) 암롤 차량에 탑재 및 분리 가능한 컨테이너
EP1930260B1 (en) Transporting Vehicles
EP2221214B1 (en) Dual use transport vehicle
EP2440478B1 (en) Transport container
KR101065389B1 (ko) 적재함용 화물 운반장치
CA2667746A1 (en) Unloading vehicle and combination of an unloading vehicle with a container
JPH09188188A (ja) コンテナーバッグを搭載したコンテナー車両
ZA200207201B (en) Adaptor for converting bulk solids container for fluid transport/storage.
CN209456031U (zh) 一种叉车运送装置
KR101062925B1 (ko) 컨테이너의 화물 탑재 어셈블리 및 그 적층 구조
JPS61115744A (ja) 乗用自動車の輸送方法
RU210357U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еревозки сыпучего или штучного груз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