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2946B1 -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2946B1
KR100872946B1 KR1020070119195A KR20070119195A KR100872946B1 KR 100872946 B1 KR100872946 B1 KR 100872946B1 KR 1020070119195 A KR1020070119195 A KR 1020070119195A KR 20070119195 A KR20070119195 A KR 20070119195A KR 100872946 B1 KR100872946 B1 KR 100872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latch
air
vehicle
protector
latch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9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19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9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래치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닫힘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후드래치의 일측에 구비되는 후드래치 커버와, 차량의 엔진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격자모양의 개구부를 형성한 라디에이터 그릴과,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부의 중앙에 차량주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 흡입구와, 상기 후드래치 커버의 전방 일측에 돌출 배치되는 프로텍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덕트 흡입구를 통해 엔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에어 크리너의 필터 수명 증대로 인한 비용 절감 및 엔진 파손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는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프로텍터, 리브, 라디에이터 그릴, 개구부, 후드래치 커버, 유입구

Description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protector structure of hood latch cover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후드래치 커버의 전방 일측에 프로텍터를 배치하여 공기를 통해 이물질이 덕트 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드래치는 프론트 범퍼, 라디에이터 그릴 및 라디에이터 사이에 위치하면서 엔진 후드의 잠김 및 열림이 가능하도록 하는 부품으로, 안전과 직결되어 주행중 항상 잠겨 있어야 하며 열림시 위험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중요한 보안 부품이다. 이와 같이 후드래치의 기능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은 외부에서 눈, 물,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한 부식으로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보통 라디에이터 그릴 전면에 그릴 홀을 막는 마감이나, 후드래치 커버 등으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흡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종래 기술 에 따른 후드래치 커버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차량의 흡기 시스템에서 흡기덕트(5)는 엔진성능에 유리하도록 외부의 공기를 엔진(6)으로 유입시키고 상기 엔진(6)에서 발생되는 흡기 소음을 저감시키는 목적이 있다. 상기 흡기덕트(5)의 덕트 흡입구(4)를 라디에이터 그릴(3) 상면의 정중앙에 차량주행 방향으로 위치시킬 경우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3)을 통해 상기 엔진(6) 및 에어크리너(7)에 필요한 공기를 유입하므로 흡기온이 낮아 출력 및 연비 향상에 유리하고, 일반적으로는 차량의 후드(미도시) 양옆보다는 중앙부의 높이가 높으므로 공기 유입에 필요한 단면적의 확보가 용이한 장점으로 상기 흡기덕트(5)의 상기 덕트 흡입구(4)를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3) 상면에 위치하는 차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후드래치(2)의 기능을 저해하는 가장 큰 요인은 외부에서 눈, 물, 먼지 등의 이물질에 의한 부식으로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3) 후방에 설치된 상기 후드래치(2)에 후드래치 커버(1)를 설치하여 이물질이 상기 후드래치(2)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는 라디에이타 그릴을 통과한 외부공기가 후드래치 커버 상면의 홀을 통하여 덕트 흡입구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은 방지하지 못하므로 공기를 따라 외부의 이물질(눈, 물, 먼지)이 유입되어 에어크리너의 오염이 빨라져 엔진 출력이 저하되고, 에어크리너가 막힐시 시동불량 및 주행중 시동꺼짐 발생으로 사고 발생이 우려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덕트 흡입구를 통해 엔진으로 유입되는 눈/물 기타 이물질을 차단하여 에어크리너 필터 수명을 증대하여 잦은 필터 교체로 인한 비용을 저감하고 엔진 파손을 방지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는, 차량의 후드래치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닫힘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후드래치의 일측에 일체 구비되는 후드래치 커버와, 차량의 엔진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격자모양의 개구부를 형성한 라디에이터 그릴과,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부의 중앙에 차량주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을 통과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 흡입구와, 상기 덕트 흡입구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후드래치 커버의 전방 일측에 돌출 배치되는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텍트는 공기를 따라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덕트 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로텍터의 하면에 일체되어 형성된 리브(ri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브는 공기는 흡입되나 이물질은 상기 리브에 걸려 흡입되는 것 을 방지하도록 공기 유입방향으로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을 통해 공기와 함께 들어오는 이물질이 상기 덕트 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지 하도록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기 개구부 보다 상기 덕트 흡입구에 근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로텍터와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 상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충분한 공간이 형성된 후드래치 커버 구조.
또한,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최대한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후드래치 커버의 하부에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프로텍터의 상면으로 공기가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차량의 후드래치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닫힘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후드래치의 일측에 구비되는 후드래치 커버와, 차량의 엔진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격자모양의 개구부를 형성한 라디에이터 그릴과,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부의 중앙에 차량주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을 통과한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 흡입구와, 상기 후드래치 커버의 전방 일측에 돌출 배치되는 프로텍터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덕트 흡입구를 통해 엔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여 에어 크리너의 필터 수명 증대로 인한 비용 절감 및 엔진 파손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라디에이타 그릴의 상기 개구부를 통해 상기 후드 래치를 조작하여 차량의 후드를 개폐할 가능성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래치 커버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래치 커버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래치 커버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6a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와 이물질의 유동을 간략하게 도시한 정면도,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와 이물질의 흐름을 간략하게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는 차량의 후드래치(10)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닫힘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후드래치(10)의 일측에 일체 구비되는 후드래치 커버(20)와, 차량의 엔진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40)의 상부에 배치되고, 격자모양의 개구부(55)를 형성한 라디에이터 그릴(radiator grille)(50)과,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50)의 상부의 중앙에 차량주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50)을 통과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 흡입구(60)와, 상기 덕트 흡입구(60)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후드래치 커버(20)의 전방 일측에 돌출 배치되는 프로텍터(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로텍터(30)는 상기 후드래치 커버(20)와 일체 성형하여 제작 가능하고, 또한 금형 구조가 불가시 별도의 프로텍터를 상기 후 드래치 커버(20)에 장착도 가능한 구조이다.
이물질은 공기에 비해 질량이 크므로 같이 흡입되어 유동되다가 유동의 경로가 바뀌는 곳에서 직진하려는 경향에 의해 유동과 분리되고 상기 프로텍터에 근접하면 만유인력에 의해 프로텍터에 하부에 부착되어 흐르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프로텍트(30)는 공기를 따라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덕트 흡입구(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로텍터(30)의 하면에 일체되어 형성된 리브(rib)(35)를 배치한다.
또한, 상기 리브(35)는 공기는 흡입되나 이물질은 상기 리브(35)에 걸려 공기와 함께 상기 프로텍터(30) 상부로 넘어가지 않도록 복수개의 상기 리브(3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로텍터(30)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50)을 통해 공기와 함께 들어오는 이물질이 상기 덕트 흡입구(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50)의 상기 개구부(55) 보다 상기 덕트 흡입구(60)에 근접 배치된다.
상기 프로텍터(30)와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50) 상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충분한 공간이 형성하여 이 공간으로 양옆에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한다.
또한, 차량의 엔진(미도시)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최대한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후드래치 커버(20)의 하부에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25)를 갖는다.
또한,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기 개구부(55)를 통하여 상기 프로텍터(30)의 상면으로 공기가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차량의 후드래치(10)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닫힘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후드래치(10)의 일측에 일체 구비되는 후드래치 커버(20)에 프로텍터를 설치하는데 차량의 엔진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40)의 상부에 배치되고, 격자모양의 개구부(55)를 형성한 라디에이터 그릴(50)을 통해 유입된 공기가 덕트 흡입구(60)로 직접 유입되지 않고 상기 프로텍터(30)의 양옆을 통해 우회하여 유입된다. 그리고, 우회 유입시 이물질은 자체의 질량에 의한 관성효과로 분리되어 상기 덕트 흡입구(60)로의 유입량이 최소화된다.
상기 프로텍터(30)의 위치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50) 상부와 충분한 공간을 형성하여 이 공간으로 양옆에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선정한다. 또한,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50)의 개구부(55)를 통하여 상기 프로텍터(30)의 상면으로 공기가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50) 형상을 고려하여 상기 프로텍터(30)의 설치 높이를 정한다.
또한, 상기 프로텍터(30)와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50) 후방 사이의 공간은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50) 조립시 편차를 고려한 것으로 이 공간을 통하여서도 공기가 일부 유입된다.
이때, 프로텍터의 면적은 이물질 유입 시험에 의하여 적정 면적으로 결정하되,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50)의 상기 개구부(55)로 손이나 기타 도구를 사용하여 차량의 후드(미도시)를 개폐하는 것을 충분히 막을 수 있도록 설정한다.
또한, 상기 프로텍터(30)의 하면에 차량주행방향(외부공기 주입방향)으로 다수의 리브(35)를 형성하여 상기 프로텍터(30)가 주행풍에 의하여 휘어지거나 떨리지 않도록 강도를 보장하고, 유입된 이물질이 공기를 따라 상기 프로텍터(30)의 상면에 위치한 상기 덕트 흡입구(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프로텍터(30)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50)을 통해 공기와 함께 들어오는 이물질이 상기 덕트 흡입구(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지 하도록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50)의 상기 개구부(55) 보다 상기 덕트 흡입구(60)에 근접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프로텍터(30)와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50) 상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충분한 공간이 형성하여 이 공간으로 양옆에서 유입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6을 참조하여, 상기 후드래치 커버(20)의 하부에 공기가 흡입되도록 유입구(25)를 설치하여 차량의 엔진(미도시)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최대한 증대시키고, 상기 후드래치 커버(20) 하면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은 관성효과 및 상기 후드래치(10)의 구조물들에 의하여 상기 덕트 흡입구로의 유입이 어렵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는, 후드래치 커버의 프로덱터를 배치하여 덕트 흡입구를 통해 엔진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장치로 차량의 에어크리너의 필터 수명을 증대하여 엔진 출력 저하 주기와 잦은 교체로 인한 비용을 저감하는데 활용한다.
도 1은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흡기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후드래치 커버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후드래치 커버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래치 커버 구조를 도시한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후드래치 커버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와 이물질의 유동을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 후드래치 20 : 후드래치 커버
25 : 유입구 30 : 프로텍터
35 : 리브 40 : 라디에이터
50 : 라디에이터 그릴 55 : 개구부
60 : 덕트 흡입구

Claims (8)

  1. 차량의 후드래치에 이물질이 유입되어 닫힘 불량을 개선하기 위해 상기 후드래치의 일측에 일체 구비되는 후드래치 커버와;
    차량의 엔진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는 라디에이터의 상부에 배치되고, 격자모양의 개구부를 형성한 라디에이터 그릴과;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부의 중앙에 차량주행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을 통과한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덕트 흡입구와;
    상기 덕트 흡입구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후드래치 커버의 전방 일측에 돌출 배치되는 프로텍터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트는 공기를 따라 유입되는 이물질이 상기 덕트 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프로텍터의 하면에 일체되어 형성된 리브(rib)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공기는 흡입되나 이물질은 상기 리브에 걸려 흡입되는 것을 방 지하도록 공기 유입방향으로 복수개의 리브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는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을 통해 공기와 함께 들어오는 이물질이 상기 덕트 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지 하도록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기 개구부 보다 상기 덕트 흡입구에 근접 배치되는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텍터와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 상부에 공기가 유입되도록 충분한 공간이 형성된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엔진에 흡입되는 공기량을 최대한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후드래치 커버의 하부에 공기가 흡입되도록 형성된 유입구를 포함하는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기 개구부를 통하여 상기 프로텍터의 상면으로 공기가 직접 유입되지 않도록 상기 프로텍터의 설치 높이는 상기 개구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라디에이터 그릴의 상기 개구부는 손이나 기타 도구를 사용하여 차량의 후드를 개폐하는 것을 충분히 막을 수 있도록 작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
KR1020070119195A 2007-11-21 2007-11-21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 KR100872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195A KR100872946B1 (ko) 2007-11-21 2007-11-21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9195A KR100872946B1 (ko) 2007-11-21 2007-11-21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946B1 true KR100872946B1 (ko) 2008-12-08

Family

ID=40372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9195A KR100872946B1 (ko) 2007-11-21 2007-11-21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9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9836A (ja) * 1995-07-27 1997-02-10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ラジエータグリル配設構造
JP2006069380A (ja) 2004-09-02 2006-03-1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39836A (ja) * 1995-07-27 1997-02-10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ラジエータグリル配設構造
JP2006069380A (ja) 2004-09-02 2006-03-1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前部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7878B2 (en) Intake air introducing structure for automobile
JP5449313B2 (ja) 自動車用隔壁上吸気システム
US9675920B2 (en) Apparatus for air precleaner and precleaner
US9151253B2 (en) Rain deflector for an intake duct of a work vehicle
JP2015074439A (ja) 自動車のエアクリーナ
JP4853632B2 (ja) エンジンの吸気ダクト構造
JP2004190671A (ja) 内燃機関のための粗空気を吸い込むための装置
KR100872946B1 (ko) 차량의 후드래치 커버 구조
JP4569435B2 (ja) 車両吸気ダクトの吸気取入構造
WO2017086261A1 (ja) 吸気ダクト
JP2008296853A (ja) 自動車の吸気ダクト構造
JP3851518B2 (ja) 吸気ダクト
JP6056674B2 (ja) 車体前部構造
JP6689528B2 (ja) 吸気ダクト
JPS644584Y2 (ko)
JP4596157B2 (ja) エンジンのオイルクーラ取付構造
KR102249595B1 (ko) 차량용 에어 클리너 유닛
JP3205670B2 (ja) ダクトの入水防止構造
KR20070021702A (ko) 차량의 에어클리너
JP6146152B2 (ja) 車体前部構造
JP4784610B2 (ja) 車両
JP2021021342A (ja) エンジンの吸気装置
KR101714254B1 (ko) 휠가드 후면 공기배출구조
KR100921864B1 (ko) 트럭용 로어덕트의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JP7391477B2 (ja) エアクリー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