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70675B1 - 슈 - Google Paten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70675B1
KR100870675B1 KR1020077014408A KR20077014408A KR100870675B1 KR 100870675 B1 KR100870675 B1 KR 100870675B1 KR 1020077014408 A KR1020077014408 A KR 1020077014408A KR 20077014408 A KR20077014408 A KR 20077014408A KR 100870675 B1 KR100870675 B1 KR 100870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surface
shoe
annular
laser
irradi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4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86621A (ko
Inventor
히로시 카네미츠
마사루 요시카와
마사하루 핫타
Original Assignee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380507A external-priority patent/JP392573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130574A external-priority patent/JP3931991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6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6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0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0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F04B27/0878Pistons
    • F04B27/0886Piston sh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16C33/106Details of distribution or circulation inside the bearings, e.g. details of the bearing surfaces to affect flow or pressure of the liqui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4Special methods of manufacture; Running-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CINDEXING SCHEME RELATING TO 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OR MATERIAL CHARACTERISTICS FOR MACHINES, ENGINES OR PUMPS OTHER THAN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 F05C2253/00Other material characteristics; Treatment of material
    • F05C2253/12Co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056Rotary to or from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Y10T74/18296Cam and slide
    • Y10T74/18336Wabble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반구형의 슈(4)는 사판(3)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4A)과 반구형 볼록면(4B)을 구비하고 있다. 슬라이딩면(4A)에는 다수의 미소한 원(6)을 그리도록 레이저를 조사하여 담금질을 행한다. 그 후, 슬라이딩면(4A)에 랩 가공을 실시하고, 마지막으로 버프 가공을 실시한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면(4A)에는 상기 각 원(6)의 위치에 다수의 환상 팽출부(7')와 오목부(8')가 형성되고, 메시형상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윤활유 통로(10')가 더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환상 팽출부(7')에 의해 담금질부가 형성된다. 상기 모든 환상 팽출부(7')의 합계의 면적이 담금질 대상 영역인 슬라이딩면(4A)의 면적에 차지하는 비율이 0.3~0.8로 되도록 상기 환상 팽출부(7')를 형성하였다. 종래와 비교하여 내시저성이 뛰어난 슈(4)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112007045711627-pct00001
사판, 슬라이딩면, 슈, 팽출부, 담금질부, 볼록부 면적율.

Description

슈{SHOE}
본 발명은 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사판식 컴프레서에 사용되어 사판과 슬라이딩하는 슈에 관한 것이다.
종래 사판식 컴프레서로서,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된 사판과 이 사판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을 갖는 슈를 구비한 것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특허 문헌 2).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 10-15316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2-317757호 공보
그런데, 전술한 종래의 사판식 컴프레서는 최근에는 고속 및 고하중의 조건 하에서, 게다가 윤활유량이 적은 조건에서 사용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최근에는 사판식 컴프레서의 작동 조건이 점점 가혹해지고 있으며, 따라서 사판이나 슈의 마모가 심해지고, 게다가 그들의 시저(눌어붙음, seizure)가 발생하기 쉽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종래로부터 슈의 슬라이딩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슈의 슬라이딩면에 표면 처리를 실시하거나 개질하거나 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는데, 이러한 처리를 행함으로써 슈의 제조 비용이 비싸진다는 결점이 있었다.
전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사판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을 구비한 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면에 미소한 다수의 팽출부로 이루어지는 담금질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팽출부를 형성하는 담금질 대상 영역의 면적을 S1이라 하고, 모든 팽출부의 합계의 면적을 S2라 하였을 때, S2/S1의 값인 볼록부 면적율이 0.3~0.8로 되도록 상기 팽출부를 형성한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후술하는 시험 결과로부터도 명백한 바와 같이, 종래와 비교하여 내시저성이 양호한 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슈의 슬라이딩면의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슈의 제조 과정에서의 요부의 확대도.
도 4는 도 3의 요부의 확대도.
도 5는 도 4의 V-V 선을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2의 VI-VI 선을 따른 요부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요부의 확대 평면도.
도 8은 볼록부 면적율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종래 기술과 본 실시예의 시험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슬라이딩면(4A)의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슬라이딩면(4A)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슬라이딩면(4A)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슬라이딩면의 요부의 확대 정면도.
도 14는 도 13의 XIV-XIV 선을 따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슬라이딩면의 요부의 확대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환상 팽출부의 정면도.
삭제
삭제
삭제
<부호의 설명>
3…사판 4…슈
4A…슬라이딩면 7'…환상 팽출부(담금질부)
이하 도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도 1에 있어서, 슬라이딩 장치(1)는 사판식 컴프레서의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 장치(1)는, 상기 하우징 내에 축 지지한 회전축(2)에 경사시켜 부착한 사판(3)과 이 사판(3)과 슬라이딩하는 복수의 슈(4)로 구성되어 있다.
사판(3)은 원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사판(3)에서의 양방의 단면은 슈(4)와 슬라이딩하는 평탄한 슬라이딩면(3A, 3A)으로 되어 있다.
한편, 슈(4)는 전체적으로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사판(3)의 슬라이딩면(3A)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4A)과 반구형을 한 반구형 볼록면(4B)으 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사판식 컴프레서의 하우징 내에는 회전축(2)과 평행하게, 그리고 그것을 에워싸서 복수의 피스톤(5)을 배치하였다. 각 피스톤(5)의 일단에 형성한 원호형상의 노치부(5A) 내에 2개 1세트의 슈(4)를 슬라이딩이 자유롭게 유지하였으며, 그 상태의 노치부(5A)를 상기 사판(3)의 외주부를 감싸도록 배치함과 동시에, 각 세트의 슈(4)의 슬라이딩면(4A)을 사판(3)의 슬라이딩면(3A)에 맞닿게 하였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2)이 회전되면 사판(3)이 회전하여 사판(3)의 양단면인 슬라이딩면(3A)과 각 세트의 슈(4)의 슬라이딩면(4A)이 슬라이딩하고, 그에 따라 각 세트의 슈(4)를 통하여 각 피스톤(5)이 축 방향으로 진퇴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은 종래 공지의 슬라이딩 장치의 것과 다를 바 없다.
이리하여, 본 실시예의 슈(4)는 철계 재료인 SUJ2로 이루어지고, 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개략 평탄한 슬라이딩면(4A)은 그 중심측이 외주연보다 약간(2㎛ 정도) 솟아오른 가운데가 높은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슬라이딩면(4A)이 상기 사판(3)의 슬라이딩면(3A)과 슬라이딩할 때에는 양 슬라이딩면(4A, 3A)과의 사이에 윤활유가 끌려들어가기 쉬운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슈(4)의 슬라이딩면(4A)의 전역을 담금질 대상 영역으로 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레이저를 조사하여 담금질함으로써 슬라이딩면(4A)의 내시저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의 슬라이딩면(4A)에의 담금질의 처리 공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2~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SUJ2를 재료로 하여 제조한 슈(4)(모재)의 슬라이딩면(4A)의 전역을 담금질 대상 영역으로 하여 다수의 동일 지름의 원(6)을 그리도록 YAG 레이저를 조사한다.
상기 각 원(6)의 직경은 0.8mm로 설정되어 있으며, 또한 각 원(6)은 슬라이딩면(4A)의 전역에 걸쳐 종횡의 피치(P)가 동일한 가상의 평행선을 상정하였을 때의 각 교점의 위치에 각 교점을 중심으로 상기 원(6)을 그리도록 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피치(P)는 1.1mm로 설정되어 있으며, 상기 원(6)을 그리도록 슬라이딩면(4A)에 레이저를 조사함에 따른 담금질 폭(B)은 0.3mm가 되도록 하였다(도 5 참조).
또한 상기 슬라이딩면(4A)에 조사하는 YAG 레이저의 출력은 50W이며, 이것을 슬라이딩면(4A)의 표면에 대하여 2mm의 깊이가 되는 위치에서 YAG 레이저의 초점이 맺히도록 집광 렌즈를 조정하여, 따라서 슬라이딩면(4A)의 표면에 대해서는 디포커싱된 상태에서 YAG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레이저가 조사된 슬라이딩면(4A)에서의 각 원(6)의 개소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으로 팽출되어 환상 팽출부(7)가 되고, 이 환상 팽출부(7)의 반경 방향의 인접 내방측에 하방측이 좁아지는 테이펴 형태의 오목부(8)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각 원(6)을 그리도록 레이저를 슬라이딩면(4A)에 조사함으로써 레이저가 조사된 원(6)의 개소에 크레이터(crater) 형태의 환상 팽출부(7)가 형성된다. 더욱이, 각 환상 팽출부(7)의 반경 방향 외방측에는 서로 연통하며 슬라이딩면(4A)의 외주부까지 도달하는 메시(網目)형상 오목부(10)가 형 성되어 있다.
각 환상 팽출부(7)와 그 깊이 방향의 내방측의 개소(11)(파선(9)보다 상방측의 개소)는 슈(4)의 모재의 경도인 Hv750에 대하여 Hv100 정도 경도가 증대하여 담금질 처리가 이루어지고 있다.
다른 한편, 슬라이딩면(4A)에서의 각 환상 팽출부(7)의 반경 방향 내방측 및 환상 팽출부(7)의 외방의 개소(오목부(8) 및 메시형상 오목부(10)의 개소)는 소둔되어 비담금질부로 되어 있으며, 그 부분은 모재보다 경도가 Hv100 정도 저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슈(4)의 슬라이딩면(4A)의 전역을 담금질 대상 영역으로 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먼저 다수의 미소한 환상 팽출부(7) 및 오목부(8)와 메시형상 오목부(10)를 형성한다.
그리고, 그 후에 랩 가공에 의해 일단 상기 슬라이딩면(4A)에서의 모든 환상 팽출부(7)를 삭제하여 슬라이딩면(4A)을 평활한 면으로 하고, 그 이후부터 슬라이딩면(4A)에 대하여 버프 가공을 실시하여 가공이 종료된다.
이와 같이 하여 가공이 종료된 후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4A)의 전역에 걸쳐 상기 레이저를 조사한 각 원(6)의 개소(상기 환상 팽출부(7)의 개소)에 상기 환상 팽출부(7)와 동일한 환상 팽출부(7')가 형성됨과 아울러, 각 환상 팽출부(7')의 반경 방향 내방에 상기 오목부(8)와 동일한 오목부(8')가 형성된다. 또한, 각 환상 팽출부(7')의 반경 방향 외방측에는 윤활유가 유통 가능한 메시형상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윤활유 통로(10')가 형성된다.
이는 최초의 환상 팽출부(7)가 랩 가공에 의해 삭제되고, 그 이후에 버프 가공이 실시됨으로써 환상 팽출부(7)의 깊이 방향의 내방측의 개소(11)의 경도가 그 주변 부분의 경도보다 높기 때문에 경도가 높은 부분이 환상으로 잔존함으로써 상기 환상 팽출부(7'), 오목부(8') 및 윤활유 통로(10')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다수의 환상 팽출부(7')에 의해 담금질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오목부(8')는 윤활유를 저류하는 저류부로서 기능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윤활유 통로(10') 안은 윤활유를 유통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4A)에 레이저 담금질을 실시하고나서 랩 가공을 행한 후에 버프 가공을 실시하도록 하였으나, 랩 가공과 버프 가공에 의한 슬라이딩면(4A)의 축 방향의 연삭량은 수 ㎛ 정도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슬라이딩면(4A)의 면적에는 변화는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환상 팽출부(7')의 높이(h)(오목부(8')의 깊이)는 0.1~0.3㎛, 환상 팽출부(7')의 단면의 최대폭(W)(스커트부의 반경 방향 치수)은 약 0.3mm로 되어 있다. 즉, 담금질부로서의 환상 팽출부(7')의 담금질 폭은 약 0.3mm로 되어 있다. 또한 각 환상 팽출부(7')의 정상부의 직경(D1)은 상기 레이저 조사 시의 원(6)의 직경과 동일한 0.8mm로 되어 있다. 또한 도 7에도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 팽출부(7')의 외경(DL)은 1.1mm 정도로 되어 있고, 또한 환상 팽출부(7')의 내경(D0)은 0.5mm 정도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레이저를 조사할 때의 담금질 대상 영역인 슬라이 딩면(4A)의 전역의 면적을 S1이라 하고, 슬라이딩면(4A)에 형성되는 모든 환상 팽출부(7')의 합계의 면적을 S2라 하였을 때, 볼록부 면적율로서의 S2/S1의 값이 0.3~0.8로 되도록 상기 환상 팽출부(7')를 형성하도록 하였다. 바꾸어 말하면, 본 실시예는 담금질 대상 영역의 면적(슬라이딩면(4A)의 면적)에 대하여 실제로 레이저 담금질된 부분(환상 팽출부(7'))의 합계 면적의 비율을 0.3~0.8로 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딩면(4A)의 전역을 담금질 대상 영역으로 하는데, 도 10~도 1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4A)의 요부를 담금질 대상 영역(A)으로 하여, 그 영역(A) 내에 전술한 바와 같이 레이저를 조사함으로써 환상 팽출부(7')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담금질 대상 영역(A)을 에워싸는 최소의 가상 원 또는 가상 틀 내의 면적이 담금질 대상 영역(A)의 면적이 된다.
슬라이딩면(4A)의 전역을 담금질 대상 영역으로 하였던 상기 도 2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딩면(4A)의 윤곽이 되는 원(12)이 담금질 대상 영역을 에워싸는 최소의 가상 원이 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시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슈(4)의 내시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발명자가 행한 시험 결과에 따르면, 보다 양호한 슈(4)의 내시저성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볼록부 면적율이 0.45~0.8로 되도록 환상 팽출부(7')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실시예의 슈(4)로서 상기 도 3에 도시한 피치(P)와 환상 팽출 부(7')의 내경(D0)을 다르게 한 경우의 볼록부 면적율의 차이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9는 상기 도 8에 예시한 것을 포함시킨 본 실시예의 슈(4) 및 종래 기술로서의 통상품의 슈에 대하여 행한 시저 면압의 시험 결과를 보인 것이다.
여기서, 종래 기술의 슈는 그 슬라이딩면에 레이저 담금질을 하지 않아 이 슬라이딩면이 평탄면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 기술 및 본 실시예의 슈도 상대재로서의 사판은 Mn과 Si를 포함한 황동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사용하였다. 내시저성의 시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시험 조건)
사판 회전수: 1000rpm씩 1분마다 9스텝 증가: 최대 회전수 9000rpm(주속 38m/s)
면압: 예하중 2.7MPa에서 2.7MPa씩 1분마다 증가: 시저에 이를 때까지
오일 미스트량: 0.05~0.25g/min 노즐 위치 고정
오일: 냉동기유
시저 조건: 축 토크 4.0N·m 오버
즉, 슈(4)의 슬라이딩면(4A)을 상기 사판(3)에 압접시킨 상태에서 이 사판(3)의 회전수를 상기 조건에서 증대시킨다. 다른 한편, 슈(4)를 사판(3)에 압접시킬 때의 면압을 상기 조건에서 증대시켜 사판(3)에 가해지는 축 토크가 4.0N·m을 초과하였을 때 시저에 이르렀다고 판정하였다. 이는 종래 기술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도 9에 검정 원으로 나타낸 것이 본 실시예의 슈(4)이며, 볼록부 면적율이 0.3보다 큰 경우에는 양호한 내시저성이 얻어졌고, 특히 볼록부 면적율이 0.45에서부터 상한인 0.8의 범위에서는 시저 면압이 19.1MPa 이상이 되어 매우 양호한 내시저성이 얻어졌다. 여기서, 상한이란 서로 이웃하는 환상 팽출부(7')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가장 조밀한 상태에서 슬라이딩면(4A)에 형성되는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도 9에 흰색 원으로 나타낸 것은 종래의 통상품의 시험 결과이며, 모두 5MPa 이하로 되어 있다.
도 9에 도시한 시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슈(4)는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뛰어난 내시저성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한 시험 결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보다 양호한 내시저성을 얻기 위해서는 상기 환상 팽출부(7')의 면적율을 0.46~0.8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의 슈(4)의 슬라이딩면(4A)에는 상기 다수의 환상 팽출부(7')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 반경 방향 내방에 윤활유를 저류하는 오목부(8')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오목부(8') 내에 윤활유가 저류되게 되어 있다. 게다가, 각 환상 팽출부(7')의 인접 외방 위치에는 메시형상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윤활유 통로(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슈(4)의 슬라이딩면(4A)의 부하 용량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는 내마모성도 뛰어난 슈(4)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슈(4)의 슬라이딩면(4A)의 전역을 레이저에 의한 담금질 대상 영역으로 하여 그곳에 환상 팽출부(7')를 형성하였는데, 사판(3)과 슬라이딩할 때 압력이 높아지는 소요의 영역을 레이저에 의한 담금질 대상 영역으로 하여 그곳에 환상 팽출부(7')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즉,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4A)에서의 외주측의 영역을 제외하고 중앙측의 가상 원(21)의 내측을 담금질 대상 영역(A)으로 하여 그곳에 다수의 환상 팽출부(7')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4A)의 중앙측에서의 크고 작은 가상 원(22, 23)으로 구분되는 도넛형의 개소를 담금질 대상 영역(A)으로 하여 그곳에 다수의 환상 팽출부(7')를 형성할 수도 있다. 더욱이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4A)에서의 원주 방향의 소요 부분을 담금질 대상 영역(A)으로 하여 그곳에 환상 팽출부(7')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 도 10~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4A)의 일부인 담금질 대상 영역(A)에만 환상 팽출부(7')를 형성하는 경우라도 볼록부 면적율은 전술한 범위(0.3~0.8)로 함으로써 내시저성이 양호한 슈(4)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 환상 팽출부(7')를 종횡의 평행선의 교점에 형성하였는데,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4A)에 지그재그(千烏) 모양으로 각 환상 팽출부(7')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의 피치(P) 등의 치수는 도 3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즉, 피치(P)는 1.1mm, 각 환상 팽출부(7')의 높이(h)(오목부(8')의 깊이)는 0.1~0.3㎛, 환상 팽출부(7')의 단면의 최대 폭(W)(스커트부의 반경 방향 치수)은 약 0.3mm로 되어 있다. 또한 환상 팽출부(7')의 담금질 폭은 약 0.3mm로 하고, 각 환상 팽출부(7')의 정상부의 직경(D1)은 0.8mm로 되어 있다. 또한 환상 팽출부(7')의 외경(DL)은 1.1mm 정도로 되어 있고, 환상 팽출부(7')의 내경(D0)은 0.5mm 정도로 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슬라이딩면(4A)에 레이저를 조사할 때의 원 의 지름은 모두 동일 지름으로 하였으나,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면(4A)에 레이저를 조사할 때 특정 위치(도 15의 중앙 위치)의 것을 다른 것보다 소직경의 원을 그리도록 하여 환상 팽출부(7')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타원을 그리도록 슬라이딩면(4A)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환상 팽출부(7')를 형성할 수도 있다.
삭제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슈(4)의 소재로서 SUJ2를 사용하였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른 철계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전술한 레이저 조사에 의한 레이저 담금질 대신 전자 빔을 슬라이딩면에 조사하여 담금질을 실시함으로써 전술한 환상 팽출부 또는 팽출부를 형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Claims (17)

  1. 사판과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면을 구비한 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면에 미소한 다수의 환상 팽출부로 이루어지는 담금질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환상 팽출부를 형성하는 담금질 대상 영역의 면적을 S1이라 하고, 모든 환상 팽출부의 합계의 면적을 S2라 하였을 때, S2/S1의 값인 볼록부 면적율이 0.3~0.8로 되도록 상기 환상 팽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환상 팽출부는 모재의 표면에 미소한 다수의 원을 그리도록 레이저를 조사한 후에, 상기 모재의 표면에 랩 가공을 실시하고, 그 후에 버프 가공을 더 실시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환상 팽출부의 반경 방향 내방측은 윤활유를 저류 가능한 오목부로 되어 있고, 또한 각 환상 팽출부의 반경 방향 외방측에는 윤활유가 유통 가능한 메시형상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윤활유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팽출부는 슬라이딩면의 전역 또는 슬라이딩면의 소요 범위에 대하여 지그재그형 또는 종횡의 평행선의 교점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에 레이저를 조사할 때의 상기 원의 직경은 0.8mm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피치는 1.1mm로 설정되어 있으며, 더욱이 상기 환상 팽출부의 높이는 0.1~0.3㎛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6. 삭제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팽출부는 레이저 또는 전자 빔을 슬라이딩면에 조사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8. 제 5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면적율이 0.45~0.8로 되도록 상기 환상 팽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팽출부는 슬라이딩면의 전역 또는 슬라이딩면의 소요 범위에 대하여 지그재그형 또는 종횡의 평행선의 교점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에 레이저를 조사할 때의 상기 원의 직경은 0.8mm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피치는 1.1mm로 설정되어 있으며, 더욱이 상기 환상 팽출부의 높이는 0.1~0.3㎛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팽출부는 레이저 또는 전자 빔을 슬라이딩면에 조사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면적율이 0.45~0.8로 되도록 상기 환상 팽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에 레이저를 조사할 때의 상기 원의 직경은 0.8mm로 설정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피치는 1.1mm로 설정되어 있으며, 더욱이 상기 환상 팽출부의 높이는 0.1~0.3㎛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팽출부는 레이저 또는 전자 빔을 슬라이딩면에 조사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15. 제 13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면적율이 0.45~0.8로 되도록 상기 환상 팽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 팽출부는 레이저 또는 전자 빔을 슬라이딩면에 조사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17. 제 1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 면적율이 0.45~0.8로 되도록 상기 환상 팽출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슈.
KR1020077014408A 2004-12-28 2005-12-26 KR1008706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80507A JP3925730B2 (ja) 2004-12-28 2004-12-28 シュー
JPJP-P-2004-00380507 2004-12-28
JP2005130574A JP3931991B2 (ja) 2005-04-27 2005-04-27 シュー
JPJP-P-2005-00130574 2005-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6621A KR20070086621A (ko) 2007-08-27
KR100870675B1 true KR100870675B1 (ko) 2008-11-26

Family

ID=366148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4408A KR100870675B1 (ko) 2004-12-28 2005-12-26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021901B2 (ko)
EP (1) EP1835175B1 (ko)
KR (1) KR100870675B1 (ko)
AT (1) ATE516439T1 (ko)
BR (1) BRPI0519787A2 (ko)
PL (1) PL1835175T3 (ko)
WO (1) WO200607073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1327A (ko) * 2005-01-17 2007-09-10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슬라이딩 부재의 제조 방법
US8118567B2 (en) * 2006-12-15 2012-02-21 Kabushiki Kaisha Kawasaki Precision Machinery Swash plate type piston pump motor
JP5472630B2 (ja) * 2010-07-27 2014-04-16 大豊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とその製造方法
JP5621990B2 (ja) * 2011-12-22 2014-11-12 大豊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
JP5731991B2 (ja) * 2012-01-20 2015-06-10 大豊工業株式会社 摺動部材
JP6177852B2 (ja) * 2015-10-01 2017-08-09 大豊工業株式会社 コンプレッサ用斜板及びそれを具備するコンプレッサ
CN105965379A (zh) * 2016-05-17 2016-09-28 江苏远业液压机械有限公司 一种滑靴上表面研磨工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7733A (ja) 1985-10-23 1987-05-07 Taiho Kogyo Co Ltd シュの製造方法
JPS62133016A (ja) * 1985-12-05 1987-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摺動表面の硬化方法
JP2001279421A (ja) 2000-03-30 2001-10-10 Kawasaki Heavy Ind Ltd 摺動部材の製造方法
JP2002310157A (ja) * 2001-04-09 2002-10-23 Ricoh Opt Ind Co Ltd 摺動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1479A (ja) * 1983-05-27 1984-12-13 Toyoda Autom Loom Works Ltd 斜板式コンプレツサ
JP2634617B2 (ja) * 1988-03-01 1997-07-30 株式会社リケン 斜板式圧縮機用シユー
JPH02173212A (ja) * 1988-12-26 1990-07-04 Hitachi Ltd 摺動材及びその表面処理方法
JP2900467B2 (ja) * 1990-01-22 1999-06-02 大豊工業株式会社 シュの製造方法
JP2696590B2 (ja) 1990-07-18 1998-01-14 株式会社不二越 産業用ロボット制御装置の入出力方法
US5462362A (en) * 1993-04-30 1995-10-31 Nsk Ltd. Wear resisting slide member
US5834094A (en) * 1996-09-30 1998-11-10 Surface Technologies Ltd. Bearing having micropores and design method thereof
JPH10153169A (ja) 1996-11-21 1998-06-09 Sanden Corp 斜板式可変容量圧縮機
JP4075109B2 (ja) * 1997-09-30 2008-04-16 宇部興産株式会社 非水二次電池
DE19824310C1 (de) * 1998-06-02 1999-08-12 Fraunhofer Ges Forschung Gleitlager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02317757A (ja) 2001-04-20 2002-10-31 Toyota Industries Corp 容量可変型斜板式圧縮機における斜板
US8323349B2 (en) * 2004-02-17 2012-12-04 The University Of Notre Dame Du Lac Textured surfaces for orthopedic implants
JP2005249150A (ja) * 2004-03-08 2005-09-15 Daido Metal Co Ltd 摺動部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3931990B2 (ja) * 2005-04-27 2007-06-20 大豊工業株式会社 摺動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7733A (ja) 1985-10-23 1987-05-07 Taiho Kogyo Co Ltd シュの製造方法
JPS62133016A (ja) * 1985-12-05 1987-06-16 Mitsubishi Electric Corp 摺動表面の硬化方法
JP2001279421A (ja) 2000-03-30 2001-10-10 Kawasaki Heavy Ind Ltd 摺動部材の製造方法
JP2002310157A (ja) * 2001-04-09 2002-10-23 Ricoh Opt Ind Co Ltd 摺動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35175B1 (en) 2011-07-13
US9021901B2 (en) 2015-05-05
BRPI0519787A2 (pt) 2009-03-17
PL1835175T3 (pl) 2011-12-30
US20080112655A1 (en) 2008-05-15
KR20070086621A (ko) 2007-08-27
ATE516439T1 (de) 2011-07-15
EP1835175A4 (en) 2010-04-21
EP1835175A1 (en) 2007-09-19
WO2006070736A1 (ja) 2006-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0675B1 (ko)
KR100888016B1 (ko) 슬라이딩 장치
US7892656B2 (en) Sliding device
KR100858098B1 (ko) 슬라이딩 부재
JP4075899B2 (ja) 斜板の製造方法
KR20070091327A (ko) 슬라이딩 부재의 제조 방법
CN100501156C (zh) 滑靴
JP3880009B2 (ja) 摺動部材の製造方法
JP3931991B2 (ja) シュー
JP3932138B2 (ja) 摺動部材の製造方法。
JP2006307726A (ja) シュ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