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7291B1 -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7291B1
KR100867291B1 KR1020077023629A KR20077023629A KR100867291B1 KR 100867291 B1 KR100867291 B1 KR 100867291B1 KR 1020077023629 A KR1020077023629 A KR 1020077023629A KR 20077023629 A KR20077023629 A KR 20077023629A KR 100867291 B1 KR100867291 B1 KR 1008672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ide plate
plate portion
opening
no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3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20159A (ko
Inventor
고노스케 소바지마
요시히로 나카기리
도시유키 데츠다
히로시 시모후카사코
가츠유키 후루하타
노부히코 요시오카
마사시 고단
Original Assignee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다 지도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20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20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7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7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8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rubber springs ; with springs made of rubber and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32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0T8/34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 B60T8/36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e.g.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having a fluid pressure regulator responsive to a speed condition including a pilot valve responding to an electromagnetic force
    • B60T8/361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 B60T8/367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 B60T8/368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 B60T8/3685Electromagnetic valves specially adapted for anti-lock brake and traction control systems integrated in modulator units combined with other mechanical components, e.g. pump units, master cylinder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modulator unit onto the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Combined Devices Of Dampers And Spring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지지 장치가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차체에 지지한다. 이 지지 장치는 브래킷과 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브래킷은 개구부를 갖는 측판부를 갖는다. 탄성 부재는 제 1 개구부에 결합되어 브래킷과 차량 내 탑재 대상물 사이에 제공된다. 측판부는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는 한 단부와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다른 단부를 갖는 노치를 포함한다. 노치는 개구부의 중심을 실질적으로 지나면서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의 주 진동 방향으로 뻗어 있는 라인을 포함하는 평면과 교차하지 않고, 이 평면은 측판부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Description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SUPPORTING DEVICE FOR SUPPORTING AN IN-VEHICLE MOUNTED OBJE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고, 더 특별하게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차량에 지지 또는 탑재하기 위한 지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차량에 탑재되는 대상물 (차량 내 탑재 대상물) 의 예로서 브레이크 장치의 액압 유닛 (fluid-pressure unit) 을 탑재하기 위한 지지 장치로서, 탄성 부재를 통하여 액압 유닛을 탑재하는 브래킷 (bracket) (콘솔 (console)) 을 포함하는 것이 알려져 왔다 (예컨대, 특허 문헌 1 참조). 지지 장치에 포함되는 브래킷은 두 개의 판상부 (레그) 를 갖고 이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직교한다. 두 개의 판상부 중 하나는 두 개의 탄성 부재를 통해 액압 유닛의 측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 판상부에는 브래킷에 액압 유닛을 장착하는 방향 (수직 방향) 으로 개방된 두 개의 노치가 제공되고 액압 유닛에 고정된 탄성 부재는 노치에 유지된다. 한편, 긴 구멍이 다른 판상부에 형성되고 액압 유닛의 바닥판부에서 신장된 핀에 장착된 탄성 부재가 긴 구멍에 삽입된다. 액압 유닛을 탑재하기 위한 브래킷은 차체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탄성 재료와 브래킷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액압 유닛을 장착하기 위해 필요한 공간을 줄이는 것과 동시 에 차체로부터 액압 유닛으로의 진동의 전달이 억제된다.
특허 문헌 : 일본 특허 공보 출원 번호 No. 2004-521276
하지만, 차량 내 장치로서의 액압 유닛이 상기의 지지 장치를 사용하여 차체에 부착되더라도, 차량이 주행하는 동안 액압 유닛의 진동을 완전하게 억제하는 것은 어렵다. 즉, 상기의 지지 장치가 사용되고 차량이 특히 거친 도로를 주행할 때, 액압 유닛은 주로 도 1 의 화살표로 나타낸 방향으로 적지 않게 진동하고, 즉 액압 유닛 (A) 의 바닥판부에 제공되고 지지점의 역할을 하는 탄성 부재 (C) 를 포함한 형상에서 외곽선 화살표로 나타낸 수직 방향으로 진동한다. 이하에서, 이러한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의 주된 진동 방향은 "주 진동 방향" 이라고 한다. 상기의 종래 지지 장치에서, 브래킷 (B) 에 형성된 노치 (D) 는 도 1 에서 수직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부재 (C) 는 진동에 의해 탄성 부재 (C) 가 노치로부터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있고, 이에 의해, 액압 유닛 (A) 의 진동이 더욱 촉진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액압 유닛의 진동이 증가된다면, 소음 문제가 발생하거나 액압 유닛으로부터 신장된 브레이크 튜브에 형성되는 응력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개선되고 유용한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더 구체적인 목적은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대상물에 발생하거나 또는 대상물에 전달되는 진동을 억제할 수 있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의 부착을 위한 지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차체에 지지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가 제공되고, 이 지지 장치는 제 1 개구부를 갖는 측판부를 갖는 브래킷, 제 1 개구부와 결합되어 상기 브래킷과 차량 내 탑재 대상물 사이에 제공되는 제 1 탄성 부재를 포함하고, 측판부는 상기 제 1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는 한 단부와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다른 단부를 갖는 제 1 노치를 포함하고, 제 1 노치는 제 1 개구부의 중심을 실질적으로 지나면서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의 주 진동 방향으로 뻗어 있는 라인을 포함하는 평면과 교차하지 않고, 이 평면은 측판부와 실질적으로 수직인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차체에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이다.
본 발명의 지지 장치에 따르면, 브래킷의 측판부는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는 노치를 통해 삽입되어 브래킷의 개구부와 결합되는 탄성 부재를 통하여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부착된다. 지지 장치에 의해 차체에 지지되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이 이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의 진동의 주요 방향인 주 진동 방향으로 진동할 때, 큰 힘이 탄성 부재에 주 진동 방향으로 미치게 되고, 이에 의해 탄성 부재는 주 진동 방향으로 이동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장치에 포함된 브래킷의 측판부에는, 개구부의 중심점을 지나면서 주 진동 방향으로 뻗어 있는 라인을 포함하고 측판부에 수직인 평면과 교차하지 않는 노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평면과 교차하는 브래킷의 측판부의 일부가 항상 탄성 부재와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큰 힘이 탄성 부재에 주 진동 방향으로 가해진다면, 탄성 부재가 개구부에서 노치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에 의해 탄성 부재는 개구부에 유지된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지지 장치에 따라,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은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탄성 부재에 주 진동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브래킷으로부터 탄성 부재가 제거되지 않으면서 차량 내 탑재 대상물로의 진동의 전달 또는 대상물 자체의 진동이 억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에 있어서, 브래킷은 측판부로부터 뻗어 있고 탄성 부재를 통해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의 바닥에 고정되는 바닥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에 있어서, 주 진동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과 일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에 있어서, 측판부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의 진동에 의해 제 1 탄성 부재에 가해지는 최대 힘의 방향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서 제 1 탄성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에 있어서, 제 1 노치는 측판부의 제 1 측부로부터 주 진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뻗어 있을 수 있고 제 1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제 1 노치는 측판부의 제 1 측부로부터 주 진동 방향에 비스듬하게 뻗어 있을 수 있고 제 1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는 제 2 탄성 부재를 또한 포함할 수 있고, 측판부는 제 2 탄성 부재와 결합하는 제 2 개구부 및 이 제 2 개구부에 연결된 한 단부와 외측으로 개구된 다른 단부를 갖는 제 2 노치를 포함할 수 있고, 주 진동 방향은 제 1 및 제 2 개구부의 중심점을 지나는 라인에 수직이다.
상기 지지 장치에서, 제 1 노치는 측판부의 제 1 측부로부터 주 진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뻗어 있을 수 있고 제 1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노치는 제 1 측부의 반대편에 있는 측판부의 제 2 측부로부터 주 진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뻗어 있을 수 있고 제 2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 장치에 있어서, 측판부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의 진동에 의해 상기 제 2 탄성 부재에 가해지는 최대 힘의 방향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서 제 2 탄성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제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 장치에 있어서, 제 1 노치는 측판부의 제 1 측부로터 주 진동 방향에 비스듬하게 뻗어 있고 제 1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노치는 제 1 측부의 반대편에 있는 측판부의 제 2 측부로부터 주 진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뻗어 있을 수 있고 상기 제 2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지지 장치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탄성 부재는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볼 때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해 질 것이다.
도 1 은 지지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의 진동 상태를 설명하는 실례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에 의해 지지되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낸 지지 장치에 포함되는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나타낸 브래킷의 정면도이다.
도 5 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브래킷의 바닥판부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브래킷의 측판부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은 도 3 에 나타낸 브래킷의 부분을 설명하기 위한 실례이다.
도 8 은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브래킷의 측판부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9 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브래킷의 측판부에 고정하기 위한 구조물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에 적용 가능한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의 실례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에 적용 가능한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의 실례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 장치를 설명할 것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차량 브레이크 장치의 액압 유닛 (브레이크 작동자) (100) 이 본 실시형태에서 차량 내 탑재 대상물로 사용되고 있지만,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은 액압 유닛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장치는 제진 수단이 요구되는 다양한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 에 나타나듯이, 지지 장치 (1) 는 브래킷 (10) 을 포함하고, 차량 내 탑재 대상물로서 액압 유닛 (100) 은 다수의 쿠션 부재 (탄성 부재) (30) 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브래킷 (10) 은 볼트와 너트와 같은 고정 공구를 사용하여, 예컨대 엔진 구획부와 같은 차체에 부착되고 이에 의해 액압 유닛 (100) 은 차체에 지지되거나 장착된다.
도 3 은 지지 장치 (1) 에 포함되는 브래킷 (10) 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는 지지 장치 (1) 에 포함되는 브래킷 (10) 의 정면도이다. 이 도에서 나타나듯이, 브래킷 (10) 은 평판 형태의 바닥판부 (11) 와 이 바닥판부 (11) 의 단부로부터 일반적으로 수직으로 신장하는 평판 형태의 측판부 (12) 를 갖는다. 원형 개구 (11a) 가 바닥판부 (11) 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쿠션 부재 (30) 가 압입에 의해 원형 개구 (11a) 에 삽입된다. 추가적으로, 도 4 에 나타나듯이, 일반적으로 원형인 개구부와 같은 두 개의 구멍부 (14) 가 측판부 (12) 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다. 또한, 노치 (15) 가 측판부 (12) 에 형성되어 구멍부 (개구부) (14) 에 각각 대응한다. 각 노치 (15) 는 구멍부의 내부 단부측에서 대응하는 구멍부 (14) 에 연결된다. 다른 쿠션 부재 (30) 가 노치 (15) 를 통하여 각 구멍부에 끼워진다. 각 쿠션 부재 (30) 에는 도 5 에 나타낸 것과 같이 바닥판부 (11) 의 원형 개구 (11a) 또는 측판부 (12) 의 구멍부 (14) 에 대응하는 홈 (30a) 이 형성되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상기 브래킷 (10) 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액압 유닛 (100) 은 바닥판 부 (11) 의 원형 개구 (11a) 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나사 구멍 (도시되지 않음) 을 갖는다. 추가적으로, 스터드 볼트 (102) 가 액압 유닛 (100) 의 측판부 (12) 에 대응하는 위치, 즉 본 실시형태에서 모터 하우징 (101) 아래의 두 위치에 돌출되도록 부착된다.
액압 유닛 (100) 을 브래킷 (10) 에 부착시킬 때, 쿠션 부재 (30) 는 바닥판부 (11) 의 원형 개구 (11a) 와 측판부 (12) 의 구멍부 (14) 에 삽입된다. 그 후, 도 5 에 나타나듯이, 금속제 칼라 (collar) (31) 의 원통부 (31a) 가 각 쿠션 부재 (30) 의 개구부에 삽입되고, 칼라 (31) 의 플랜지부 (31b) 가 쿠션 부재 (30) 의 상단면과 접촉하게 된다. 그 후, 쿠션 부재 (30) 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칼라 (31) 의 플랜지부 (31b) 가 액압 유닛 (100) 의 바닥판부와 접촉하면서, 와셔 (washer) 를 갖는 볼트 (32) 가 쿠션 부재 (30) 의 개구부에 삽입된다. 볼트 (32) 는 액압 유닛 (100) 의 바닥판부의 나사 구멍에 걸리게 된다.
추가적으로, 다른 칼라 (31) 의 원통부 (31a) 는 측판부 (12) 의 각 구멍부 (14) 에 끼워진 각 쿠션 부재 (30) 의 개구부에 끼워진다. 액압 유닛 (100) 에 돌출되도록 부착된 스터드 볼트 (102) 는 구멍부 (14) 에 끼워지는 쿠션 부재 (30) 의 칼라 (31) 에 각각 삽입되고, 칼라 (31) 의 플랜지부 (31b) 는 액압 유닛 (100) 의 미리 정해진 부분과 접촉하게 된다. 너트 (34) 가 각 쿠션 부재 (30) 로부터 돌출된 각 스터드 볼트 (102) 의 단부에 와셔 (33) 를 통해 고정된다. 따라서, 액압 유닛 (100) 은 세 개의 쿠션 부재 (30) 를 통해 브래킷 (10) 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브래킷 (10) 은 액압 유닛 (100) 이 부착되는 대상물인 차 체에 그 바닥판부가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위치되도록 고정된다.
이제, 액압 유닛 (100) 은 상기 지지 장치 (1) 를 사용하여 차체에 지지되고, 차량이 주행할 때, 특히 차량이 거친 도로를 주행할 때, 액압 유닛 (100) 은 측판부 (12) 의 두 개의 구멍부 (14) 의 중앙 지점을 지나는 라인에 수직인 방향, 즉 본 실시형태의 수직 방향 (도 1 의 외곽선 화살표로 표시) 으로 적지 않게 진동할 수 있다. 지지 장치 (1) 에 의해 차체에 지지되는 액압 유닛 (100) 이 주 진동 방향으로 진동한다면, 큰 힘이 주 진동 방향으로 구멍부 (14) 에서 유지되는 탄성부재로서의 쿠션 부재 (30) 에 가해지고, 이에 의해 쿠션 부재 (30) 는 주 진동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향이 있다. 즉, 액압 유닛 (100) 이 진동한다면, 가장 큰 힘이 기본적으로 주 진동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측판부 (12) 의 구멍부 (14) 내의 각 쿠션 부재 (30) 에 가해지고, 이에 의해 쿠션 부재 (30) 는 주로 힘의 방향대로 이동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 장치 (1) 에서, 노치 (15) 는 브래킷 (10) 의 측판부 (12) 에 형성되어 가로 방향으로 대응하는 구멍부 (14) 에 연결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7 에 나타나듯이, 노치 (15) 를 규정하며 서로 마주하는 두 가장자리부 (15a 및 15b) 사이에 있는 라인 (L0) 이 액압 유닛 (100) 의 주 진동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뻗어 있고, 즉 일반적으로 두 개의 구멍부 (14) 의 중심점을 지나는 라인에 평행하고, 각 노치 (15) 는 구멍부 (14) 로부터 외측으로 또한 완전히 옆으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각 노치 (15) 는 평면 (P1) 과 교차하지 않는데, 이 평면 (P1) 은 라인 (L1) 을 포함하고 일반적으로 측판부 (12) 에 수직이며, 라인 (L1) 은 대응하는 구멍부 (14) 의 중심점 (14a) 을 통과하며 액압 유닛 (100) 의 주 진동 방향으로 뻗어 있다. 따라서, 브래킷 (10) 의 측판부 (12) 는 구멍부 (14) 의 중심점 (14a) 을 지나면서 액압 유닛 (100) 의 주 진동 방향을 따라 측판부 (12) 의 표면에 평행하게 뻗어 있는 라인 (L1) 의 위치, 즉 액압 유닛 (100) 의 진동에 의해 쿠션 부재 (30) 에 가해지는 가장 큰 힘의 방향에 따라 정해지는 위치에서 제한부 (12a) 를 포함하고, 이 제한부는 쿠션 부재 (30) 와 접촉하게 된다.
브래킷 (10) 을 포함하는 지지 장치에서, 큰 힘이 주 진동 방향으로 각 구멍부 (14) 에 있는 쿠션 부재 (30) 에 가해지더라도, 쿠션 부재 (30) 가 주 진동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은 항상 쿠션 부재 (30) 와 접촉하고 있는 제한부 (12a) 에 의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따라서, 각 노치 (15) 는 가로 방향으로 대응하는 구멍부 (14) 와 연결되어 있고 지지 장치 (1) 에서 상기 평면 (P1) 과 교차하지 않기 때문에, 각 노치 (15) 는 적어도 큰 힘이 작용하는 주 진동 방향 (수직 방향) 으로 뻗어 있지 않다. 따라서, 지지 장치 (1) 에서, 쿠션 부재 (30) 는 진동에 의해 구멍부 (14) 로부터 각 노치 (15) 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며, 쿠션 부재 (30) 는 각 구멍부 (14) 내에 효과적으로 유지된다.
이에 의해, 지지 장치 (1) 에 따르면, 액압 유닛 (100) 으로의 진동의 전달 및 액압 유닛 (100) 자체의 진동이 차량 내 탑재 대상물로서의 액압 유닛 (100) 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그 결과, 본 실시형태에 따른 지지 장치 (1) 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액압 유닛 (100) 의 진동에 의해 야기 되는 소음 문제가 해결될 수 있고, 또한 액압 유닛 (100) 으로부터 뻗어 있는 브레이크 튜브에 발생하는 응력의 증가가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지지 장치 (1) 의 브래킷 (10) 은 일반적으로 서로 직교하는 바닥판부 (11) 및 측판부 (12) 를 갖고, 두 개의 쿠션 부재 (30) 를 통해 액압 유닛 (100) 에 고정되는 측판부 (12) 에 더하여 바닥판부 (11) 는 하나의 쿠션 부재 (30) 를 통하여 액압 유닛 (100) 의 바닥판부에 고정되어 있다. 삼점 지지 구조의 사용에 따르면, 액압 유닛 (100) 의 지지에 필요한 공간을 줄이면서 차체와 차량 내 탑재 대상물로서의 액압 유닛 (100) 간의 진동의 전달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 플랜지 (31b) 를 갖는 칼라 (31) 는 상기의 각 쿠션 부재 (30) 에 삽입되고, 각 칼라 (31) 의 플랜지부 (31b) 는 액압 유닛 (100) 과 접촉하게 된다. 이에 의해, 쿠션 부재 (30) 에 인접하게 되는 액압 유닛 (100) 의 하우징에 예컨대 브레이크 오일의 저장용 유로를 규정하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더라도, 쿠션 부재의 자리면은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즉, 쿠션 부재 (30) 에 인접하게 되는 액압 유닛 (100) 의 하우징에 오목부가 제공되는 경우에, 쿠션 부재 (30) 가 액압 유닛 (100) 과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된다면, 쿠션 부재 (30) 가 오목부에 들어갈 수 있고, 이 때문에 액압 유닛 (100) 의 탄성 지지 상태가 불안정하게 될 수 있지만, 금속제 플랜지 (31b) 가 액압 유닛 (100) 과 접촉하게 됨으로써 쿠션 부재 (30) 의 자리면은 충분하게 확보될 수 있어 액압 유닛 (100) 의 지지 상태가 안정화된다.
도 6 의 상기 실시예에서 나타나듯이, 칼라 (31) 의 원통부 (31a) 가 측판부 (12) 의 구멍부 (14) 에 끼워지는 쿠션 부재 (30) 의 개구에 미리 삽입되고, 칼라 (31) 의 플랜지부 (31b) 는 액압 유닛 (100) 의 미리 정해진 부분과 접촉하게 되더라도, 본 발명은 이러한 구조에 제한되지 않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즉, 도 8 에 나타나듯이, 구멍부 (14) 에 끼워지는 쿠션 부재 (30) 에 대한 칼라 (31) 의 삽입 방향은 도 6 에 나타낸 실시예의 삽입 방향의 역방향일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칼라 (31) 는 측판부 (12) 의 구멍부에 끼워지는 쿠션 부재 (30) 의 개구에 삽입되고, 플랜지부 (31b) 가 쿠션 부재 (30) 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스터드 볼트 (102) 가 칼라 (31) 에 삽입된 후, 너트 (34) 는 스터드 볼트 (102) 의 단부에 고정된다. 이에 의해, 도 6 에 나타낸 와셔 (33) 는 생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스터드 볼트 (102) 에 연결되는 너트로서, 도 6 에 나타낸 와셔 (33) 와는 별도의 부분인 너트 (34) 대신 시트부 (플랜지부) (341) 를 갖는 시트 (플랜지 너트) 를 갖는 너트 (340) 가 도 9 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 은 상기 지지 장치 (1) 에 적용 가능한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실례이다. 도 10 에 나타낸 브래킷 (10A) 에서, 측판부 (12) 는 바닥판부 (11) 로부터 비스듬하게 뻗어 있다. 즉, 서로 직각이 아닌 바닥판부 (11) 와 측판부 (12) 를 갖는 브래킷 (10A) 은 지지 장치 (1) 에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브래킷 (10A) 을 사용하는 경우이더라도, 측판부 (12) 의 각 노치 (15) 를 대응하는 구멍부 (14) 의 중심점 (14a) 을 지나면서 액압 유닛 (100) 의 주 진동 방향으로 뻗어 있는 라인 (L1) 을 포함하고, 측판부 (12) 와 일반적으로 수직인 평면 (P1) 과 교차하지 않도록 제공함으로써, 차량 내 탑재 대상물로서의 액압 유닛 (100) 은 효과적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따라서 액압 유닛 (100) 으로의 진동의 전달이 억제되고 또한 액압 유닛 (100) 자체의 진동도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도 11 은 상기 지지 장치 (1) 에 적용 가능한 브래킷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는 실례이다. 도 11 에 나타낸 브래킷 (10B) 에서, 상기 브래킷 (10) 과 다르게 각 노치 (15B) 는 대응하는 구멍부 (14) 로부터 외측으로 또한 완전 옆으로 개구되어 있지 않으며, 대신 대응하는 구멍부 (14) 로부터 외측으로 비스듬하게 개구되어 있다. 즉, 측판부 (12) 의 각 노치 (15B) 는, 대응하는 구멍부 (14) 의 중심점 (14a) 을 지나면서 액압 유닛 (100) 의 주 진동 방향으로 뻗어 있는 라인 (L1) 을 포함하고, 측판부 (12) 와 일반적으로 수직인 평면 (P1) 과 교차하지 않도록 제공된다면, 항상 완전 옆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은 아닐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라인 (L1) 과 서로 마주보면서 각 노치 (15B) 를 형성하는 가장자리 (15a 및 15b) 사이에 있는 라인 (L0) 에 의해 형성되는 각이 α 로 정의되고, 각 노치 (15B) 는 측판부 (12) 에서, 바람직하게는 30°≤ α ≤ 90° 또는 90°≤ α ≤ 150° 을 만족하도록, 더 바람직하게는 45°≤ α ≤ 90° 또는 90°≤ α ≤ 135° 을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사용하더라도, 차량 내 탑재 대상물로서의 액압 유닛 (100) 은 효과적으로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고, 이리하여 액압 유닛 (100) 으로의 진동의 전달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또한 액압 유닛 (100) 자체의 진동도 억제된다. 하지만, 각 (α) 을 90° 로 설정하여 노치 (15) 를 완전히 옆으로 향하게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특히 기재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변형과 변경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출원은 2005 년 4 월 15 일 출원된 일본 우선권 출원 No. 2005-118953 을 기본으로 하고, 그 전체 내용은 여기서 참조로 나타난다.

Claims (11)

  1. 제 1 개구부를 갖는 측판부를 갖는 브래킷,
    상기 제 1 개구부와 연결되어 상기 브래킷과 차량 내 탑재 대상물 사이에 제공되는 제 1 탄성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측판부는 상기 제 1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는 한 단부와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다른 단부를 갖는 제 1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노치는 제 1 개구부의 중심을 실질적으로 지나면서 상기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의 주 진동 방향으로 뻗어 있는 라인을 포함하는 평면과 교차하지 않고, 이 평면은 상기 측판부와 실질적으로 수직인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차체에 지지하는 지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상기 측판부로부터 뻗어 있고 탄성 부재를 통하여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의 바닥에 고정되는 바닥판부를 포함하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차체에 지지하는 지지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진동 방향은 실질적으로 수직 방향과 일치하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차체에 지지하는 지지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의 진동에 의해 상기 제 1 탄성 부재에 가해지는 최대 힘의 방향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서 제 1 탄성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1 제한부를 포함하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차체에 지지하는 지지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치는 측판부의 제 1 측부로부터 주 진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뻗어 있고 제 1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차체에 지지하는 지지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치는 측판부의 제 1 측부로부터 주 진동 방향에 비스듬하게 뻗어 있고 제 1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차체에 지지하는 지지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탄성 부재를 또한 포함하고, 상기 측판부는 상기 제 2 탄성 부재와 결합하는 제 2 개구부 및 상기 제 2 개구부에 연결된 한 단부와 외측으로 개구된 다른 단부를 갖는 제 2 노치를 포함하고, 상기 주 진동 방향은 상기 제 1 및 제 2 개구부의 중심점을 지나는 라인에 수직인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차체에 지지하는 지지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치는 측판부의 제 1 측부로부터 주 진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뻗어 있고 제 1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노치는 상기 제 1 측부의 판대편에 있는 측판부의 제 2 측부로부터 주 진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뻗어 있고 제 2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차체에 지지하는 지지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측판부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의 진동에 의해 상기 제 2 탄성 부재에 가해지는 최대 힘의 방향에 따라 정해진 위치에서 제 2 탄성 부재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 2 제한부를 포함하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차체에 지지하는 지지 장치.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노치는 측판부의 제 1 측부로터 주 진동 방향에 비스듬하게 뻗어 있고 제 1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노치는 상기 제 1 측부의 반대편에 있는 측판부의 제 2 측부로부터 주 진동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뻗어 있고 상기 제 2 개구부에 연결되어 있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차체에 지지하는 지지 장치.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탄성 부재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차체에 지지하는 지지 장치.
KR1020077023629A 2005-04-15 2006-03-24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 KR1008672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18953A JP4738874B2 (ja) 2005-04-15 2005-04-15 車両搭載対象物の支持装置
JPJP-P-2005-00118953 2005-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20159A KR20070120159A (ko) 2007-12-21
KR100867291B1 true KR100867291B1 (ko) 2008-11-06

Family

ID=36463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3629A KR100867291B1 (ko) 2005-04-15 2006-03-24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794607B2 (ko)
EP (1) EP1868861B1 (ko)
JP (1) JP4738874B2 (ko)
KR (1) KR100867291B1 (ko)
CN (1) CN101160229A (ko)
DE (1) DE602006008911D1 (ko)
WO (1) WO20061122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56613A1 (en) * 2009-06-05 2013-03-07 Carrier Corporation Grommet Mounting Assembly
DE102009029569A1 (de) * 2009-09-18 2011-03-31 Robert Bosch Gmbh Vorrichtung zur schwingungsdämpfenden Lagerung eines Fluidaggregats und zugehöriges Fluidaggregat
DE202010006746U1 (de) 2010-05-12 2010-08-26 Acument Gmbh & Co. Ohg Elektrisch isolierende Käfigmutter
DE102011013685A1 (de) * 2011-03-11 2012-09-13 Ebm-Papst Landshut Gmbh Schwingungsdämpfende Aufnahmevorrichtung
US8956069B2 (en) * 2012-05-25 2015-02-17 Robert Bosch Gmbh Tool-free connector and mounting arrangement
DE102012108737A1 (de) 2012-09-18 2014-04-03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ntilblock mit einer schwingungsisolierenden Lagerung
US20150375966A1 (en) * 2014-06-30 2015-12-31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Noise Abatement for Elevator Submersible Power Units
EP3427558B1 (en) * 2016-03-08 2022-06-29 Commscope Technologies LLC Universal rru mounting assembly
US9975535B1 (en) * 2016-11-21 2018-05-22 Honda Motor Co., Ltd. Component bracket and cover
CN109131292B (zh) * 2018-08-20 2020-09-15 江西中汽瑞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集成控制阀固定机构
CN115163744B (zh) * 2022-09-07 2024-01-16 万向钱潮股份公司 一种固定减震装置及其安装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4099C1 (de) 1993-07-17 1994-07-07 Daimler Benz Ag Vorrichtung zur Halterung der Hydraulik-Einheit eines ABS und/oder einer ASR
US6099190A (en) * 1997-01-23 2000-08-08 Unisia Jecs Corporation Apparatus for facilitating securing a component to a stationary bracket
US20030155809A1 (en) * 2000-07-27 2003-08-21 Michael Schlitzkus Device for the elastic mounting of a hydraulic unit in a motor vehicle braking system on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20278B2 (ja) * 2001-06-13 2005-11-2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ブレーキ装置の液圧ユニット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324099C1 (de) 1993-07-17 1994-07-07 Daimler Benz Ag Vorrichtung zur Halterung der Hydraulik-Einheit eines ABS und/oder einer ASR
US6099190A (en) * 1997-01-23 2000-08-08 Unisia Jecs Corporation Apparatus for facilitating securing a component to a stationary bracket
US20030155809A1 (en) * 2000-07-27 2003-08-21 Michael Schlitzkus Device for the elastic mounting of a hydraulic unit in a motor vehicle braking system on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68861B1 (en) 2009-09-02
CN101160229A (zh) 2008-04-09
WO2006112248A1 (en) 2006-10-26
US20080157447A1 (en) 2008-07-03
DE602006008911D1 (de) 2009-10-15
US8794607B2 (en) 2014-08-05
JP4738874B2 (ja) 2011-08-03
KR20070120159A (ko) 2007-12-21
JP2006300110A (ja) 2006-11-02
EP1868861A1 (en) 2007-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7291B1 (ko) 차량 내 탑재 대상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 장치
KR20000016087A (ko) 자동차용방진장치_
US20070145228A1 (en) Bracket fixing structure
JP2011220434A (ja) 防振装置
EP2730486A1 (en) Structure for front portion of vehicle
JP2007292150A (ja) ゴムマウント
KR101261127B1 (ko) 자동차용 엔진의 마운팅구조
JP2020082789A (ja) 車載部品の支持構造
JP5206340B2 (ja) 自動車の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JP2012153195A (ja) 車両用エンジンマウント構造
JP6866767B2 (ja) パワートレインのマウント装置
CN110816666B (zh) 副车架
KR101198448B1 (ko) 자동차용 엔진 마운팅구조
KR100499774B1 (ko) 엔진 지지구조
CN108215756B (zh) 动力传动系的安装装置
JP7309591B2 (ja) 防振装置
KR100610973B1 (ko) 자동차의 트랜스미션 마운팅 구조
JP6284337B2 (ja) 防振装置
KR100254341B1 (ko) 블럭고무식 엔진마운트
JP2008051217A (ja) ダイナミックダンパ
KR100507657B1 (ko) 자동차용 프론트엔드모듈의 라디에이터 지지구조
KR100552163B1 (ko) 차체의 후론트 사이드멤버 보강구조
KR200210790Y1 (ko) 배기계의 레조네이터 장착 구조
KR100846039B1 (ko) 스토퍼 일체형 엔진마운트
JP2007015634A (ja) 固定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