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2058B1 - 전동식 보행보조차 - Google Patents

전동식 보행보조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2058B1
KR100862058B1 KR1020080024322A KR20080024322A KR100862058B1 KR 100862058 B1 KR100862058 B1 KR 100862058B1 KR 1020080024322 A KR1020080024322 A KR 1020080024322A KR 20080024322 A KR20080024322 A KR 20080024322A KR 100862058 B1 KR100862058 B1 KR 100862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pedestrian
speed
case
control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43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상덕
Original Assignee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43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2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2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2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4Position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식 보행보조차에 관한 것으로, 보행보조차에 있어서, 고정대(110); 상기 고정대(110)상에 설치되며, 전후방으로의 임의의 가압력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조정되는 이동구(120); 상기 손잡이(111)와 이동구(120)의 상대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상대위치검출센서; 및 상기 상대위치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보행보조차를 구동하는 전동모터(30)에 정지, 저속, 중속 또는 고속의 속도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속도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요지로 하여, 보행보조차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거동에 맞추어 자동으로 속도가 조정되어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가능한 전동식 보행보조차에 관한 것이다.
보행보조차, 보행보조기, 손잡이, 레버, 역회전방지, 전방감지

Description

전동식 보행보조차{automatic rolling walker}
본 발명은 전동식 보행보조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거동에 따라 자동으로 구동속도가 조정되거나,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함에 있어서 구동속도와 방향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보조차는 환자나 노약자 그리고 다리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이 보행할 때 보조기구로 사용하는 장치로, 사용자가 보행보조차를 전방에 두고 몸을 지탱하며 밀고 다니면 자력으로 보행을 하는 것보다 균형을 잡기가 쉽고 넘어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어, 사용자가 보행에 의해 원하는 위치로 보다 용이하게 이동가능하도록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
종래의 보행보조차는 좌석이나 가방, 핸들의 형태 등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있으나 통상 손으로 파지하여 밀거나 당기면서 운행할 수 있는 조작핸들과, 상기 조작핸들의 하측에 연결되고 통상 스틸 파이프를 절곡하여 틀을 이룬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앞바퀴와 뒷바퀴로 구성되며, 상기 조작핸들에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뒷바퀴를 제동할 수 있는 브레이크 장치를 상기 레버와 연결한 구조 를 가진다.
종래의 보행보조차가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짐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조작핸들에 설치된 레버의 조작으로 보행보조차를 제동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구동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에 있어서는 회전식 조정단자 등을 이용하여 속도를 선택적으로 조작가능하고, 전동모드와 수동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평탄한 지형에서 보행보조차를 사용함에 있어서는 별다른 문제점이 없었다.
그러나, 사용자가 전동식 보행보조차의 속도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거동이 불편한 상태에서 보행 중에 속도를 수동으로 조작해야 함에 따라 안정적인 보행상태를 유지하기 어려워 불편함과 안전사고의 위험이 따르게 되며,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계단이나 오르막길에서 보행보조차를 상측으로 안전하게 운반하기 힘들고, 계단이나 오르막길이 도처에 있는 일상의 생활공간상에서 실제로 사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순간적인 부주의 등으로 인해 전방에 물체가 있음에도 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으며, 갑작스럽게 물체가 출현하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저속 또는 정지시키기 어려워, 전방의 물체로 인해 보행보조차의 방향이 순간적으로 변경되거나, 사용자에게 충격력을 전달하게 되거나, 보행보조차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등의 돌발적인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 항시 노출되어 있다는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보행보조차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거동에 맞추어 속도의 조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계단이나 오르막길에서의 운반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전방의 물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속도가 제어되어 거동이 불편한 상태에서도 일상의 생활공간상에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가능한 전동식 보행보조차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보행보조차에 있어서, 고정대(110); 상기 고정대(110)상에 설치되며, 전후방으로의 임의의 가압력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조정되는 이동구(120); 상기 고정대(110)와 이동구(120)의 상대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상대위치검출센서; 및 상기 상대위치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보행보조차를 구동하는 전동모터(30)에 정지, 저속, 중속 또는 고속의 속도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속도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를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대(110)는, 사용자의 하중 및 이동에 따른 가압력을 지지하는 손잡이(11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대(110)에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고정슬릿(112); 상기 고정슬릿(112)을 전후방으로 관통하여 결합된 상기 이동구(120)의 상, 하부를 커버링하 며 상기 고정대(110)상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이동구(120)의 전, 후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 후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구(120)와의 접속부에 다수의 걸림홈(131)이 전후방으로 연속형성되며, 내부에 상하방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고정돌기(132)가 구비된 커버(130); 상기 고정대(110)와 이동구(120)의 상대위치에 따라 상기 커버의 걸림홈(131)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계합되는 걸림돌기(141)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구(120)의 외면에 고정결합되는 판스프링(140); 및 상기 이동구(120)가 상기 커버의 고정돌기(132)에 걸려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도록 상기 커버의 고정돌기(13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이동구(120)상에 관통 또는 함몰형성되며, 상기 이동구(120)의 이동가능거리에 해당되는 전후방 길이를 가지는 이동슬릿(1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걸림홈(131)은, 전방으로부터 정지, 저속, 중속, 고속에 해당되는 4개 지점으로 구분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보조차에 있어서, 전후방으로의 임의의 가압력에 의해 하측의 힌지축(211)을 중심으로 상단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조정되는 손잡이부(212)를 구비한 방향조작레버(210);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221)을 구비하여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연장경로상에 고정설치되는 기어드라이버(220); 바퀴의 바퀴축(21)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다수가 배치되며, 역방향측에 위치한 일단부가 접선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정방향측에 위치한 타단부가 접선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스토퍼(230);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힌지축(241)을 기준으로 일측부는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스토퍼(230)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스토퍼(230)에 인접한 타측부상에는 상기 스토퍼(230)의 일단부와 평행한 방향으로의 접속면을 구비하여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회동조작에 따라 상기 스토퍼(230)에 착탈조정되는 걸림단(242)이 구비되는 크로스바(240); 및 상기 크로스바의 걸림단(242)이 상기 스토퍼(230)의 경사면에 접속된 상태에서 경사면을 타고 인접한 다른 스토퍼(230)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크로스바(240)를 탄성가압하는 가압스프링(26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를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기어드라이버의 가이드홀(221)은, 일측으로부터 각각 전진, 역방향 회전이 방지되는 후진, 정지에 해당되는 걸림지점을 가지는 E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향조작레버(210)보다 확장된 표면적을 구비하여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회동조작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240)가 연동되도록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와 크로스바(240)를 연결하는 레버연결체(251)와, 상기 방향조작레버(210)가 상기 기어드라이버의 가이드홀(221)상의 임의의 조정지점에서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레버연결체(251) 내부에 상기 방향조작레버(210)를 측방향으로 탄성가압하도록 설치되는 위치고정스프링이 구비된 레버연결구(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방향조작레버의 힌지축(211)은, 상기 크로스바의 힌지축(241)인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보조차에 있어서, 지정거리 이내로의 물체의 근접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도록 전방부에 설치되는 전방물체감지센서; 및 상기 전방물체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보행보조차를 구동하는 전동모터(30)에 구동, 정지 또는 감속의 속도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안전거리컨트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를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전방물체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는 특정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파발생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행보조차에 있어서, 바퀴의 바퀴축(21)이 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축결합부(411)와,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세로방향으로 축결합되는 본체결합부(412)를 구비하여, 상기 바퀴(20)의 각도에 따라 상기 바퀴축결합부(411)가 상기 본체결합부(412)를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회동되는 직진유도구(410); 전방의 일측부가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측부에 전후방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직진유도슬릿(422)이 형성된 가이드바(420); 상기 가이드바의 직진유도슬릿(422)을 관통하도록 상기 직진유도구(410)상에 돌출형성된 유도걸림구(430); 및 상기 가이드바의 힌지축(421)과 유도걸림구(43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인장스프링(44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를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착탈조정가능하도록 상기 직진유도구(410)상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가압접속된 상태에서 상 기 직진유도구(410)를 회동불가능하도록 정위치 고정시키는 직진고정구(4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보행보조차에 있어서, 측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손잡이(111)에 설치되며, 전후방으로의 임의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손잡이(111)상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조정되는 이동구(120); 상기 손잡이(111)와 이동구(120)의 상대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상대위치검출센서; 상기 상대위치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보행보조차를 구동하는 전동모터(30)에 정지, 저속, 중속 또는 고속의 속도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속도컨트롤러; 전후방으로의 임의의 가압력에 의해 하측의 힌지축(211)을 중심으로 상단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조정되는 손잡이부(212)를 구비한 방향조작레버(210);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221)을 구비하여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연장경로상에 고정설치되는 기어드라이버(220); 바퀴의 바퀴축(21)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다수가 배치되며, 역방향측에 위치한 일단부가 접선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정방향측에 위치한 타단부가 접선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스토퍼(230);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힌지축(241)을 기준으로 일측부는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스토퍼(230)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스토퍼(230)에 인접한 타측부상에는 상기 스토퍼(203)의 일단부와 평행한 방향으로의 접속면을 구비하여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회동조작에 따라 상기 스토퍼(230)에 착탈조정되는 걸림단(242)이 구비되는 크로스바(240); 및 상기 크로스바의 걸림 단(242)이 상기 스토퍼(230)의 경사면에 접속된 상태에서 경사면을 타고 인접한 다른 스토퍼(230)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크로스바(240)를 탄성가압하는 가압스프링(26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를 또 다른 기술적 요지로 한다.
여기서, 지정거리 이내로의 물체의 근접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도록 전방부에 설치되는 전방물체감지센서; 및 상기 전방물체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보행보조차를 구동하는 전동모터(30)에 구동, 정지 또는 감속의 속도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안전거리컨트롤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퀴의 바퀴축(21)이 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축결합부(411)와,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세로방향으로 축결합되는 본체결합부(412)를 구비하여, 상기 바퀴(20)의 각도에 따라 상기 바퀴축결합부(411)가 상기 본체결합부(412)를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회동되는 직진유도구(410); 전방의 일측부가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측부에 전후방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직진유도슬릿(422)이 형성된 가이드바(420); 상기 가이드바의 직진유도슬릿(422)을 관통하도록 상기 직진유도구(410)상에 돌출형성된 유도걸림구(430); 및 상기 가이드바의 힌지축(421)과 유도걸림구(43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인장스프링(4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퀴의 바퀴축(21)이 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축결합부(411)와,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세로방향으로 축결합되는 본체결합부(412)를 구비하여, 상기 바퀴(20)의 각도에 따라 상기 바퀴축결합부(411)가 상기 본체결합부(412) 를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회동되는 직진유도구(410); 및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착탈조정가능하도록 상기 직진유도구(410)상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가압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직진유도구(410)를 회동불가능하도록 정위치 고정시키는 직진고정구(4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111) 전방에서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손잡이(111)와 평행한 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브레이크바(510); 상기 바퀴(20)에 인접한 지점에서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회동상태에 따라 상기 바퀴(20)의 바퀴표면에 착탈조정되며, 상기 바퀴(20)와의 접속부에는 상기 바퀴(20)의 바퀴표면을 가압하여 저속 또는 정지가능한 가압단(522)이 구비되는 바퀴접속구(520); 및 상기 브레이크바(510)의 회동조작에 의해 상기 바퀴접속구(520)를 연동하여 회동조정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브레이크바(510)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바퀴접속구(520)에 결합되는 와이어(53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동모터(30)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40)를 커버링하는 배터리케이스(610); 상기 배터리케이스(610)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케이스(6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전, 후방으로 각각 돌출형성된 걸림구(621)가 구비되는 케이스고정구(620); 상기 배터리케이스(610)의 상면과 상기 케이스고정구의 걸림구(621) 사이의 이격공간부를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양단부가 고정설치되는 전, 후측 한쌍의 배터리고정대(630); 및 상기 케이스고정구(620)를 상기 배터리고정대(630)상에 정위치 고정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고정구(620)와 배터리고정대(63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볼트(6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케이스(610)는, 일단부가 개방형성된 박스형상의 제1케이스(611); 일단부가 개방형성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케이스와 개방단부끼리 계합되어 상기 배터리(40)를 내부에 수용가능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612); 상기 제1케이스(611)와 제2케이스(612)를 상호 힌지결합시키는 힌지고정구(613); 상기 제1케이스(611)에서 상기 제2케이스(612)측으로 돌출형성된 연장구(614a)와, 상기 연장구(614a)와 제2케이스(612)를 관통하는 너트형 결합홀(614b)이 구비된 볼트결합구(614); 및 상기 볼트결합구의 결합홀(614b)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6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구(120) 또는 방향조작레버(210)의 위치에 따라 정지, 저속, 중속, 고속, 전진, 후진상태임을 안내하는 음성멘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단자;, 상기 이동구(120) 또는 방향조작레버(210)의 위치에 따라 점등상태와 점등색상이 다른 빛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빛출력단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손잡이를 잡은 상태에서 전방으로 밀면 이동구가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속도가 점차 가속되며,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이동구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속도가 점차 감속되거나 정지되어, 손잡이를 잡은 상태로 보행보조차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정지하 고자 하는 거동에 맞추어 자동으로 속도가 정지, 저속, 중속 또는 고속상태로 조정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향조작레버를 전방측으로 밀어올리거나 후방측으로 내리는 조작에 의해 스토퍼와 크로스바간의 접속상태가 달라지게 되어 전진, 후진, 또는 정지상태로의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진상태에서는 역방향으로의 바퀴회전이 방지됨에 따라 계단이나 오르막길에서 사용자의 후방측에 두고 후진상태로 사용하면, 계단이나 오르막길 아래측으로의 구동이 방지되면서도 바퀴의 구동에 의해 보다 적은 힘으로 운반가능하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그리고, 지정거리 이내로 물체가 근접되면 가동속도가 저속 또는 정지상태로 자동조정되므로, 갑작스런 물체 출현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사용자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지정거리 이내로의 물체의 감지 시에는 자동으로 특정소리를 재생시켜 주변에 주의를 주거나 전방에 감지된 사람이 사용자의 보행보조차를 배려하여 피하도록 할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전동식 보행보조차의 속도제어 및 제동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손잡이를 사용한 자동 속도조정, 방향조정레버를 이용한 방향조정 및 역방향 회전방지, 전방물체 감지에 따른 자동 속도조정, 브레이크바를 이용한 수동브레이크 기능을 기존의 보행보조차에 복합적 또는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가 일상의 생활공간상에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한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또한, 직진고정구에 의해 직진만 가능하도록 조정가능하며, 직진고정구를 해 제하여도 가이드바와 인장스프링을 이용하여 바퀴의 진행방향이 변경되더라도 정면을 향하여 방향을 바꾸어야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바퀴가 소형 장애물에 부딪혀 사용자가 원치않는 각도로 진행방향이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케이스를 이용해 배터리를 내부에 안정되게 수용하면서도 케이스고정구와 배터리고정대에 의해 보행보조차의 본체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배터리의 점검이나 교체, 수리 시 배터리케이스에 구비된 조임볼트를 회전조작하고 배터리케이스의 일측부를 젖힘으로써 배터리의 노출과 견고한 커버링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다른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보조차를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보조차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전방사시도이고, 도 2, 3, 4, 5, 6은 각각 도 1의 후방사시도, 정면도, 배면도, 측면도, 요부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고정대(110)와 이동구를 구비한 속도조정조립체의 요부투시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9는 도 7에서 상부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7의 요부분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방향조작레버와 기어드라이버를 구비한 방향조정조립체의 요부투시사시도이고, 도 12는 방향조작레버의 조작상태에 따른 진행방향의 전환을 보이고자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요부분해사시도이고, 도 14는 직진 유도구와 가이드바, 직진고정구를 구비한 직진조정조립체의 요부투시사시도이며, 도 15, 16은 각각 도 14의 요부측면도, 요부분해사시도이고, 도 17은 브레이크바와 바퀴접속구를 구비한 브레이크바조립체의 요부투시사시도이며, 도 18은 배터리케이스와 배터리고정대를 구비한 배터리케이스조립체의 요부투시사시도이고, 도 19, 20은 각각 도 18의 정면도, 요부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보조차의 제1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프레임에 해당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하단에 설치되는 바퀴(20), 상기 바퀴(10)에 회전구동력을 전달하는 전동모터(30), 상기 전동모터(30)에 전력을 제공하는 배터리(40)를 구비한 보행보조차에 있어서, 고정대(110)와 이동구(120)를 구비한 속도조정조립체, 방향조작레버(210)와 기어드라이버(220)를 구비한 방향조정조립체, 전방물체감지센서(미도시)를 구비한 자동브레이크조립체, 직진유도구(410)와 가이드바(420)를 구비한 직진조정조립체, 브레이크바(510)와 바퀴접속구(520)를 구비한 브레이크바조립체, 배터리케이스(610)와 배터리고정대(630)를 구비한 배터리케이스조립체를 포함한 구성을 가진다.
이하에서는 상기 속도조정조립체, 방향조정조립체, 자동브레이크조립체, 직진조정조립체, 브레이크바조립체, 배터리케이스조립체에 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속도조정조립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속도조정조립체는, 크게 고정대(110), 이동구(120), 상대위치검출센서 (미도시), 속도컨트롤러(미도시)로 이루어지며, 상기 이동구(120)가 전후방으로의 임의의 가압력에 의해 소정거리 이내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가능도록 상기 고정대(110)상에 설치되고, 상기 상대위치검출센서가 상기 고정대(110)와 이동구(120)의 상대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여, 상기 속도컨트롤러가 상기 상대위치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보행보조차를 구동하는 전동모터(30)에 정지, 저속, 중속 또는 고속의 속도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고정대(110)는, 상기 이동구(120)를 전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속하며 상기 이동구(12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이동구(120)와의 상대위치를 명확하게 형성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상의 정위치에 고정가능하다면 특정한 형상과 구조로 한정되지 아니하나, 상기 고정대(110)를 사용자의 하중 및 이동에 따른 가압력을 지지하는 손잡이(111)로 하면, 상기 손잡이(111)를 파지한 상태로 보행중인 사용자가 별도의 추가동작없이 상기 손잡이(111)를 파지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상기 이동구(120)를 밀거나 잡아당기면서 편리하게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고정대(110)를 상기 손잡이(111)로 하여 상기 이동구(120)를 임의의 가압력에 의해 전후방으로 이동조정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대(110)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이동구(120)의 노출위치, 면적, 사이즈, 형상, 갯수에 따라 상기 손잡이(111)를 파지한 상태에서 몇개의 손가락으로 가압조정하거나, 손바닥 전체로 상기 손잡이(111)를 파지한 상태 그대로 가압조정하는 실시예들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이동구(120)의 노출면적을 사용자의 손바닥 너비 이상의 크기를 가지도 록 하고, 상기 손잡이(111)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오른손과 왼손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전, 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하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11)를 오른손과 왼손 중 적어도 어느 한 부분을 파지한 상태에서 전방측으로 진행하기 위해 손목에 근접한 위치의 손바닥으로 밀거나, 감속 내지 정지를 위해 다수의 손가락으로 끌어당기는 거동을 행하게 되면, 상기 이동구(120)가 사용자의 손바닥과 손가락으로부터 가압력을 전달받아 자연히 전후방으로 이동조정되면서 속도의 제어가 사용자의 거동에 맞추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상기 속도조정조립체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속도조정조립체는 고정슬릿(112), 커버(130), 판스프링(140), 이동슬릿(12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고정슬릿(112)은 상기 이동구(120)의 전, 후단부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상기 고정대(110)상에 설치가능하도록 상기 이동구(120) 전체가 측방향으로 삽입 및 관통설치가능한 형상과 사이즈로 상기 고정대(110)에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다.
상기 커버(130)는 상기 고정슬릿(112)을 전후방으로 관통하여 결합된 상기 이동구(120)의 상, 하부를 커버링하며 상기 고정대(110)상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이동구(120)의 전, 후단부가 상기 고정대(110) 및 커버(130)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전, 후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구(120)와의 접속부에 다수의 걸림홈(131)이 전후방으로 연속형성되며, 내부에 상하방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고정돌기(132)가 형성된다.
상기 판스프링(140)은 상기 고정대(110)와 이동구(120)의 상대위치에 따라 상기 커버의 걸림홈(131)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계합되는 걸림돌기(141)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구(120)의 외면에 고정결합되며, 예를 들어, 상기 커버의 걸림홈(131)이 전방으로부터 정지, 저속, 중속, 고속에 해당되는 4개 지점으로 구분형성되면, 상기 걸림돌기(141)는 상기 이동구(120)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정지, 저속, 중속, 고속에 해당되는 상기 걸림홈(13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되고, 상기 이동구(120)와 함께 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고속, 중속, 저속, 정지에 해당되는 상기 걸림홈(13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게 된다.
상기 판스프링의 걸림돌기(141)가 상기 커버의 걸림홈(131)의 각 지점 중 어디에 위치하는지에 따라 상기 상대위치검출센서가 다른 신호를 발생하도록 설정하고, 상기 속도컨트롤러에 각각의 상기 상대위치검출센서의 신호마다 다른 속도제어신호를 상기 전동모터(30)로 출력하도록 하면 상기와 같은 작동구조를 용이하게 구현가능하다.
상기 이동슬릿(122)은 상기 이동구(120)의 전후방 이동거리를 지정범위 이내로 제한하도록 상기 고정돌기(13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고정돌기(132)에 대응되는 폭과, 상기 이동구(120)의 이동가능거리에 해당되는 전후방 길이로 상기 이동구(120)상에 관통 또는 함몰형성되어, 상기 이동구(120)는 상기 커버의 고정돌기(132)와 상기 이동슬릿(122)이 형성하는 이동가능거리를 초과 이동하여 상기 고정대(110) 및 커버(13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상기 방향조정조립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방향조정조립체는,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방향조작레버(210), 기어드라이버(220), 스토퍼(230), 크로스바(240), 가압스프링(26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어드라이버(220)는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도록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연장경로상에 설치되고, 상기 크로스바(240)는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회동상태에 따라 연동이동되며 상기 바퀴(20)에 설치된 상기 스토퍼(230)에 착탈조정되는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바퀴(20)는 구동바퀴인 후륜바퀴이다.
상기 방향조작레버(210)는 전후방으로의 임의의 가압력에 의해 하측의 힌지축(211)을 중심으로 상단부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조정되는 손잡이부(212)를 구비하여 세로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며, 상기 기어드라이버(220)는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221)을 구비하여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연장경로상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스토퍼(230)는 상기 바퀴의 바퀴축(21)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다수가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스토퍼(230)는 역방향(전방 진행방향)측에 위치한 일단부는 상기 스토퍼(230)의 말단 지점에서의 접선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평탄하게 연장형성되고, 정방향측(후방 진행방향)에 위치한 타단부는 접선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져, 상기 스토퍼(230)의 말단부는 상기 바퀴축(21)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뾰족해지는 형상을 가진다.
상기 크로스바(240)는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크로스바의 힌지축(241)을 기준으로 일측부는 상기 방향조 작레버(21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스토퍼(230)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스토퍼(230)에 인접한 타측부상에는 상기 스토퍼(230)의 일단부와 평행한 방향으로의 접속면을 구비하여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회동조작에 따라 상기 스토퍼(230)에 착탈조정되는 걸림단(242)이 구비된다.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와 크로스바(240)가 일정한 연결상태를 유지하도록 상호 결합되면, 상기 방향조작레버의 힌지축(211)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와 일정한 연결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방향조작레버의 손잡이부(212)에 대해 하측에 위치되는 상기 크로스바의 힌지축(241)이 최종적으로 상기 방향조작레버의 힌지축(211)의 기능을 함께 구현하게 된다.
상기 기어드라이버의 가이드홀(221)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으로 3개의 걸림지점을 구비한 E형상으로 형성한 일예를 들어 전진(F), 역방향 회전이 방지되는 후진(R), 정지(P)상태로의 방향전환을 구현하는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방향조작레버(210)를 상기 기어드라이버의 가이드홀(221) 중 전진(F)에 해당되는 지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크로스바의 걸림단(242)이 상기 스토퍼(230)로부터 명확하게 이격된 상태가 되며, 상기 방향조작레버(210)를 상기 기어드라이버의 가이드홀(221) 중 역방향 회전이 방지되는 후진(R)에 해당되는 지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단(242)이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에 연동이동되어 상기 스토퍼(230)의 말단부 사이로 일부가 도입된 상태가 되며, 상기 방향조작레버(210)를 상기 기어드라이버의 가이드홀(221) 중 정지(P)에 해당되는 지점에 위치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단(242)이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에 연동이동되어 상기 스토퍼(230) 사이에 명확하게 도입된 상태가 된다.
상기 방향조작레버(210)가 전진(F)에 해당되는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바퀴(20)에 일체로 고정된 상기 스토퍼(230)와 상기 크로스바의 걸림단(242)이 완전히 이격되어 상기 바퀴(20)가 전방으로 원활하게 회전구동가능하며, 상기 방향조작레버(210)가 정지(P)에 해당되는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단(242)이 상기 스토퍼(230) 사이에 명확하게 끼워져 걸리게 되어 상기 바퀴(20)의 전, 후진이 모두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방향조작레버(210)가 역방향 회전이 방지되는 후진(R)에 해당되는 지점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바퀴(20)의 정방향(후방 진행방향)측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230)의 경사면이 상기 걸림단(242)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바퀴(20)의 후방으로 회전구동 가능하나, 상기 바퀴(20)의 역방향(전방 진행방향)측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230)의 수직면(상기 바퀴축(21)을 중심, 상기 바퀴축(21)과 스토퍼(230) 말단까지의 거리를 반경으로하는 원에 대한 접선을 기준으로)이 상기 걸림단(242)에 접속되는 경우에는 상기 걸림단(242)에 명확하게 접속되어 걸린상태를 유지하게 되어 역방향회전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가압스프링(260)은 상기 크로스바의 걸림단(242)이 상기 스토퍼(230)의 경사면에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230)의 말단측으로 경사면을 타고 인접한 다른 스토퍼(230)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탄성가압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크로스바의 걸림단(242)이 다수의 상기 스토퍼(230)와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접속됨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스토퍼(230) 전부와 일정한 접속거리와 접속가압력으로 접 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회동조작에 의해 상기 크로스바(240)가 명확하게 연동이동되도록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와 크로스바(240)를 견고하게 상호 결합시킴에 있어서는,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하단부와 상기 크로스바(240)를 상호 안정되게 연결가능하도록 상기 방향조작레버(210)보다 확장된 표면적을 구비한 레버연결체(251)와, 상기 방향조작레버(210)가 상기 기어드라이버의 가이드홀(221)상의 임의의 조정지점에서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레버연결체(251) 내부에 상기 방향조작레버(210)를 측방향으로 탄성가압하도록 설치되는 위치고정스프링(미도시)을 구비한 레버연결구(2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자동브레이크조립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자동브레이크조립체는, 크게 전방물체감지센서(미도시)와 안전거리컨트롤러(미도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물체감지센서는 지정거리 이내로의 물체의 근접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도록 보행보조차의 전방부에 설치되고, 상기 안전거리컨트롤러는 상기 전방물체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보행보조차를 구동하는 전동모터(30)에 구동, 정지 또는 감속의 속도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전방물체감지센서가 사용자의 보행 안전거리에 해당되는 지정거리 이내로의 물체의 근접을 감지하게 되면 상기 전동모터(30)를 지정된 속도로 감속시키거나 정지시키도록 상기 안전거리컨트롤러를 설정함으로써, 사용자의 순간적인 부주 의 등으로 인해 전방의 물체를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나 갑작스럽게 물체가 출현하는 경우에도, 보행보조기의 신속한 감속이나 정지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방물체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는 특정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파발생장치를 구비하면, 예를 들어 사람에게 친근한 고양이나 개와 같은 동물의 소리를 발생시킴으로써, 보행 안전거리 이내로 근접한 다른 사람들이 자연스럽게 사용자의 보행보조차를 인식하도록 하여, 동일한 보행경로를 이용하는 사람들과 사용자 모두의 안전을 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직진조정조립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직진조정조립체는, 도 14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직진유도구(410), 가이드바(420), 유도걸림구(430), 인장스프링(440)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직진유도구(410)는 상기 바퀴의 바퀴축(21)과의 결합부가 상기 본체(10)와의 결합부를 중심으로 좌, 우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상기 본체(10)와 바퀴축(21)을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바(420)는 상기 직진유도구(410)에서 돌출형성된 상기 유도걸림구(430)가 삽입 또는 관통설치가능한 직진유도슬릿(422)을 구비하여 상기 본체(10)에 전방부가 힌지결합되며, 상기 인장스프링(440)은 상기 유도걸림구(430)가 상기 직진유도슬릿(422)을 타고 전방측으로의 방향조정이 유도되도록 상기 유도걸림구(430)를 탄성가압하도록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전륜바퀴상에 설치된다.
상기 직진유도구(410)는 바퀴축결합부(411), 본체결합부(412)로 이루어지며, 상기 바퀴축결합부(411)에는 상기 바퀴의 바퀴축(21)이 정위치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본체결합부(412)에는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가 세로방향으로 축결합되어, 상기 바퀴축결합부(411)와 본체결합부(412)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상기 바퀴축결합부(411)가 상기 본체결합부(412)를 중심으로 측방향으로의 회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가이드바(420)는 전방의 일측부가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힌지결합된 지점의 후방측에는 상기 직진유도슬릿(422)이 전후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유도걸림구(430)는 상기 가이드바의 직진유도슬릿(422)을 관통하도록 상기 직진유도구(410)상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인장스프링(440)은 상기 가이드바의 힌지축(421)과 유도걸림구(43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바퀴(20)가 전, 후방으로의 직진방향이 아닌 다른 각도를 향하게 되는 경우, 상기 직진유도구(410)는 상기 바퀴축결합부(411)가 상기 본체결합부(412)의 전, 후방을 기준으로 측방향으로 벗어난 상태로 회동되며, 상기 직진유도구(410)에 결합된 상기 유도걸림구(430) 또한 상기 가이드바의 직진유도슬릿(422)상에서 후방으로 이동되며, 상기 가이드바(422)도 상기 유도걸림구(430)에 의해 상기 가이드바의 힌지축(421)을 기준으로 측방향으로 회동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인장스프링(440)은 상기 유도걸림구(430)를 상기 가이드바의 힌지축(421)측으로 잡아당기는 복원력을 지속적으로 상기 유도걸림구(430)에 제공하게 되므로, 일시적으로 상기 바퀴(20)의 방향이 직진방향이 아닌 다른 각도를 향하게 되더라도 지속적으로 다른 각도로 변형된 상태를 허용하지 않으며, 상기 바퀴(20)가 직진방향으로 방향이 전환된 후에는 직진방향이 아닌 다른 각도로 변경된 상태에 비해 보다 원활하게 진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일측부가 착탈조정가능하도록 타측부가 상기 직진유도구(410)상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일측부가 가압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직진유도구(410)를 회동불가능하도록 정위치 고정시키게되는 직진고정구(450)를 구비하면, 직진방향이 아닌 다른 각도로의 전환을 전혀 허용하지 않고 오직 직진만 가능하도록 보다 명확하게 유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브레이크바조립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브레이크바조립체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브레이크바(510), 바퀴접속구(520), 와이어(530)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레이크바(510)의 회동조작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바(510)에 일단부가 결합된 상기 와이어(530)가 당겨지고, 상기 와이어(530)의 타단부에 결합된 상기 바퀴접속구(520)가 연동이동되어 상기 바퀴(20)의 표면에 착탈조정되는 작동구조를 가진다.
상기 브레이크바(510)는 상기 손잡이(111) 전방에 가로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바퀴접속구(520)는 상기 바퀴(20)에 인접한 지점에서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회동상태에 따라 상기 바퀴(20)의 바퀴표면에 착탈조정되며, 상기 바퀴(20)와의 접속부에는 상기 바퀴(20)의 바퀴표면을 가 압하여 저속 또는 정지가능한 가압단(522)이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530)는 상기 브레이크바(510)의 회동조작에 의해 상기 바퀴접속구(520)를 연동하여 회동조정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브레이크바(510)에 결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바퀴접속구(520)에 결합되어, 상기 브레이크바(510)를 상기 손잡이(111)측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와이어(530)로 연결된 상기 바퀴접속구(520)의 일측부가 연동되어 상측으로 회동되고 상기 바퀴접속구의 힌지축(521)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하는 상기 바퀴접속구(520)의 타측부 및 가압단(522)은 상기 바퀴(20)측으로 하향이동되어 상기 바퀴(20)의 표면을 가압하여 정지시키게 되며, 상기 브레이크바(510)를 잡아당기는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브레이크바(510)가 내장된 스프링(미도시) 등에 의해 원위치로 복원되며 상기 바퀴(20)의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배터리케이스조립체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배터리케이스조립체는, 도 18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배터리케이스(610), 케이스고정구(620), 배터리고정대(630), 고정볼트(640)로 이루어지며, 상기 배터리케이스(610)는 상기 배터리(40)를 커버링하고, 상기 케이스고정구(620)는 상기 배터리케이스(610) 상측에 전, 후측 한쌍의 상기 배터리고정대(630)를 삽입가능한 전, 후측 한쌍의 슬릿을 제공하며, 상기 고정볼트(640)는 상기 케이스고정구(620)가 제공하는 슬릿에 상기 배터리고정대(6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고정구(620)와 배터리고정대(630)를 관통하며 상호 고정결합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케이스고정구(620)는 상기 배터리케이스(6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전, 후방으로 각각 돌출형성된 걸림구(621)를 구비하여 상기 배터리케이스(610) 상부에 일체로 연결형성되며, 상기 배터리고정대(630)는 상기 배터리케이스(610)의 상면과 상기 케이스고정구의 걸림구(621) 사이의 이격공간부를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양단부가 고정설치되고, 전, 후측 한쌍이 구비되며, 상기 고정볼트(640)는 상기 케이스고정구(620)를 상기 배터리고정대(630)상에 정위치 고정시키도록 상기 케이스고정구(620)와 배터리고정대(630)를 관통하여 결합된다.
상기 케이스고정구(62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형성된 상기 전, 후측 한쌍의 걸림구(621)와 상기 배터리케이스(610)의 상면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상에 상기 전, 후측 한쌍의 배터리고정대(630)를 끼워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전, 후측 한쌍의 걸림구(621)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케이스고정구(620)의 본체는 상기 배터리고정대(630)에 전, 후단부가 명확하게 구속되며, 상기 고정볼트(640)에 의해 측방향으로도 상기 케이스고정구(620)를 상기 배터리고정대(630)상에 명확하게 구속시키게 되어, 보행보조차의 사용과정에서 발생되는 흔들림이나 진동에도 상기 배터리케이스(610)가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견고하게 고정설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배터리케이스(610)는, 크게 제1케이스(611), 제2케이스(621), 힌지고정구(613), 볼트결합구(614), 조임볼트(615)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케이스(611)와 제2케이스(612)는 일단부가 개방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고 개방단부끼리 상호 계합 되어 상기 배터리(40)를 내부에 수용가능한 밀폐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힌지고정구(613)는 상기 제1케이스(611)와 제2케이스(612)의 개방단부의 일측부를 상호 힌지결합시키고, 상기 볼트결합구(614)는 상기 힌지고정구(613)의 결합위치와 반대되는 타측부에서 상기 제1케이스(611)에서 상기 제2케이스(612)측으로 돌출형성된 연장구(614a)와, 상기 연장구(614a)와 제2케이스(612)를 관통하는 너트형 결합홀(614b)을 구비하여, 상기 조임볼트(615)에 의해 관통 및 나사결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배터리케이스(610)는, 상기와 같이 상기 제1케이스(611)와 제2케이스(612)간의 접속부에 해당되는 개방단부의 일측부는 상기 힌지고정구(613)에 의해 상호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타측부는 상기 조임볼트(615)에 의해 함께 관통된 상태에서 견고하게 결속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보행보조차의 사용과정에서 발생되는 빈번한 흔들림이나 진동에도 상기 배터리(40)를 내부에 안정되게 수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조임볼트(615)를 회전조작에 의해 조립 및 해제함으로써 상기 배터리케이스(610)를 용이하게 개폐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보조차에 의하면,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111)를 잡은 상태에서 전방으로 밀면 상기 이동구(120)가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속도가 점차 가속되며, 후방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이동구(120)가 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속도가 점차 감속되거나 정지되어, 상기 손잡이(111)를 잡은 상태로 보행보조차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전방으로 이동하거나 정지하고자 하는) 거동에 맞추어 자동으 로 속도가 정지, 저속, 중속 또는 고속상태로 조정가능하다.
또한, 상기 방향조작레버(210)를 전방측으로 밀어올리거나 후방측으로 내리는 조작에 의해 상기 스토퍼(230)와 크로스바(240)간의 접속상태가 달라지게 되어 전진, 후진, 또는 정지상태로의 조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진상태에서는 역방향으로의 바퀴회전이 방지됨에 따라 계단이나 오르막길에서 사용자의 후방측에 두고 후진상태로 사용하면, 계단이나 오르막길 아래측으로의 구동이 방지되면서도 바퀴의 구동에 의해 보다 적은 힘으로 운반가능하다.
그리고, 지정거리 이내로 물체가 근접되면 가동속도가 저속 또는 정지상태로 자동조정되므로, 갑작스런 물체 출현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어려운 사용자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지정거리 이내로의 물체의 감지 시에는 자동으로 특정소리를 재생시켜 주변에 주의를 주거나 전방에 감지된 사람이 사용자의 보행보조차를 배려하여 피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직진고정구(450)에 의해 직진만 가능하도록 조정가능하며, 상기 직진고정구(450)를 해제하여도 상기 가이드바(420)와 인장스프링(440)을 이용하여 상기 바퀴(20)의 진행방향이 변경되더라도 정면을 향하여 방향을 바꾸어야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퀴(20)가 소형 장애물에 부딪혀 사용자가 원치않는 각도로 진행방향이 임의로 변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동식 보행보조차의 속도제어 및 제동 시스템을 구현함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111)를 사용한 자동 속도조정, 상기 방향조정레버(210)를 이용한 방향조정 및 역방향 회전방지, 전방물체 감지에 따른 자동 속도조정 기능, 상기 브 레이크바(510)를 이용한 수동브레이크 기능을 기존의 보행보조차에 복합적 또는 선택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일상의 생활공간상에서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배터리케이스(610)를 이용해 상기 배터리(40)를 내부에 안정되게 수용하면서도 상기 케이스고정구(620)와 배터리고정대(630)에 의해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40)의 점검이나 교체, 수리 시 상기 배터리케이스(610)에 구비된 상기 조임볼트(615)를 회전조작하고 상기 배터리케이스(610)의 일측부를 젖힘으로써 상기 배터리(40)의 노출과 견고한 커버링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구(120) 또는 방향조작레버(210)의 위치에 따라 "역회전 방지상태입니다" 또는 "이제부터 전원이 켜집니다. 앞으로 나갑니다"와 같이 정지, 저속, 중속, 고속, 전진, 후진상태임을 안내하는 음성멘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단자를 구비하면, 기억력이 떨어지는 노인들에게 사용방법과 사용상태를 반복적으로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기억력 저하에 따른 사용상태의 어려움없이 안심하고 사용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구(120) 또는 방향조작레버(210)의 위치에 따라 점등상태와 점등색상이 다른 빛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빛출력단자를 더 구비하면, 작동에 따른 빛의 변화를 동반시킴으로써 주의력이 약한 노인들이 빛의 변화에 의해 사용상태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빛의 가시거리 이내에 있는 주변인들 또한 사용상태를 확인가능함에 따라 노인의 보행을 보조하는 도우미나 다른 보 행자들 또한 주의를 기울이기 쉽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상기 실시예들을 기존의 공지기술과 단순히 조합적용한 실시예와 함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상세한 설명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변형하여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은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당연히 포함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 -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보행보조차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전방사시도
도 2 - 도 1의 후방사시도
도 3 - 도 1의 정면도
도 4 - 도 1의 배면도
도 5 - 도 1의 측면도
도 6 - 도 1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7 - 고정대와 이동구를 구비한 속도조정조립체의 요부투시사시도
도 8 -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 - 도 7에서 상부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요부사시도
도 10 - 도 7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11 - 방향조작레버와 기어드라이버를 구비한 방향조정조립체의 요부투시사시도
도 12 - 방향조작레버의 조작상태에 따른 진행방향의 전환을 보이고자 도시한 사시도
도 13 - 도 11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14 - 직진유도구와 가이드바, 직진고정구를 구비한 직진조정조립체의 요부투시사시도
도 15 - 도 14의 요부측면도
도 16 - 도 14의 요부분해사시도
도 17 - 브레이크바와 바퀴접속구를 구비한 브레이크바조립체의 요부투시사시도
도 18 - 배터리케이스와 배터리고정대를 구비한 배터리케이스조립체의 요부투시사시도
도 19 - 도 18의 정면도
도 20 - 도 18의 요부분해사시도
<도면에 사용된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0 : 보행보조차의 본체 20 : 바퀴
21 : 바퀴축 30 : 전동모터
40 : 배터리 110 : 고정대
111 : 손잡이 112 : 고정슬릿
120 : 이동구 122 : 이동슬릿
130 : 커버 131 : 걸림홈
132 : 고정돌기 140 : 판스프링
141 : 걸림돌기 210 : 방향조작레버
211 : 방향조작레버의 힌지축 212 : 손잡이부
220 : 기어드라이버 221 : 가이드홀
230 : 스토퍼 240 : 크로스바
241 : 크로스바의 힌지축 242 : 걸림단
250 : 레버연결구 251 : 레버연결체
260 : 가압스프링 410 : 직진유도구
411 : 바퀴축결합부 412 : 본체결합부
420 : 가이드바 421 : 가이드바의 힌지축
422 : 직진유도슬릿 430 : 유도걸림구
440 : 인장스프링 450 : 직진고정구
510 : 브레이크바 520 : 바퀴접속구
521 : 바퀴접속구의 힌지축 522 : 가압단
530 : 와이어 610 : 배터리케이스
611 : 제1케이스 612 : 제2케이스
613 : 힌지고정구 614 : 볼트결합구
614a : 연장구 614b : 결합홀
615 : 조임볼트 620 : 케이스고정구
621 : 걸림구 630 : 배터리고정대
640 : 고정볼트

Claims (21)

  1. 보행보조차에 있어서,
    고정대(110);
    상기 고정대(110)상에 설치되며, 전후방으로의 임의의 가압력에 의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조정되는 이동구(120);
    상기 고정대(110)와 이동구(120)의 상대위치를 실시간으로 검출하는 상대위치검출센서; 및
    상기 상대위치검출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보행보조차를 구동하는 전동모터(30)에 정지, 저속, 중속 또는 고속의 속도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속도컨트롤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110)는,
    사용자의 하중 및 이동에 따른 가압력을 지지하는 손잡이(1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110)에 전후방으로 관통형성된 고정슬릿(112);
    상기 고정슬릿(112)을 전후방으로 관통하여 결합된 상기 이동구(120)의 상, 하부를 커버링하며 상기 고정대(110)상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이동구(120)의 전, 후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전, 후단부에 개방부가 구비되고, 상기 이동구(120)와의 접속부에 다수의 걸림홈(131)이 전후방으로 연속형성되며, 내부에 상하방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고정돌기(132)가 구비된 커버(130);
    상기 고정대(110)와 이동구(120)의 상대위치에 따라 상기 커버의 걸림홈(131)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계합되는 걸림돌기(141)를 구비하여 상기 이동구(120)의 외면에 고정결합되는 판스프링(140); 및
    상기 이동구(120)가 상기 커버의 고정돌기(132)에 걸려 전후방으로의 이동이 구속되도록 상기 커버의 고정돌기(132)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이동구(120)상에 관통 또는 함몰형성되며, 상기 이동구(120)의 이동가능거리에 해당되는 전후방 길이를 가지는 이동슬릿(122);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걸림홈(131)은,
    전방으로부터 정지, 저속, 중속, 고속에 해당되는 4개 지점으로 구분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보조차를 구동하는 전동모터(30)에 연동회전되는 바퀴(20);
    상기 바퀴의 바퀴축(21)을 기준으로 방사형으로 다수가 배치되며, 역방향측에 위치한 일단부가 접선방향에 대해 수직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정방향측에 위치한 타단부가 접선방향에 대해 경사진 형상을 가지는 스토퍼(230);
    전후방으로의 임의의 가압력에 의해 하측의 힌지축(211)을 중심으로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조정되는 손잡이부(212)를 구비한 방향조작레버(210);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홀(221)을 구비하여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연장경로상에 고정설치되는 기어드라이버(220);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힌지축(241)을 기준으로 일측부는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측부는 상기 스토퍼(230)에 인접한 위치까지 연장되며, 상기 스토퍼(230)에 인접한 타측부상에는 상기 스토퍼(230)의 일단부와 평행한 방향으로의 접속면을 구비하여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회동조작에 따라 상기 스토퍼(230)에 착탈조정되는 걸림단(242)이 구비되는 크로스바(240); 및
    상기 크로스바의 걸림단(242)이 상기 스토퍼(230)의 경사면에 접속된 상태에서 경사면을 타고 인접한 다른 스토퍼(230)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크로스바(240)를 탄성가압하는 가압스프링(26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드라이버의 가이드홀(221)은,
    일측으로부터 각각 전진, 역방향 회전이 방지되는 후진, 정지에 해당되는 걸림지점을 가지는 E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작레버(210)보다 확장된 표면적을 구비하여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하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의 회동조작에 따라 상기 크로스바(240)가 연동되도록 상기 방향조작레버(210)와 크로스바(240)를 연결하는 레버연결체(251)와, 상기 방향조작레버(210)가 상기 기어드라이버의 가이드홀(221)상의 임의의 조정지점에서 정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레버연결체(251) 내부에 상기 방향조작레버(210)를 측방향으로 탄성가압하도록 설치되는 위치고정스프링이 구비된 레버연결구(2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조작레버의 힌지축(211)은,
    상기 크로스바의 힌지축(2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9. 제 1항에 있어서,
    지정거리 이내로의 물체의 근접여부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도록 전방부에 설치되는 전방물체감지센서; 및
    상기 전방물체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상기 보행보조차를 구동하는 전동모터(30)에 구동, 정지 또는 감속의 속도제어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안전거리컨트롤러;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물체감지센서의 감지여부에 따라 주위를 환기시킬 수 있는 특정한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파발생장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보조차를 구동하는 전동모터(30)에 연동회전되는 바퀴(20);
    상기 바퀴의 바퀴축(21)이 정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바퀴축결합부(411)와,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세로방향으로 축결합되는 본체결합부(412)를 구비하여, 상기 바퀴(20)의 각도에 따라 상기 바퀴축결합부(411)가 상기 본체결합부(412)를 중심으로 측방향으로 회동되는 직진유도구(410);
    전방의 일측부가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측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타측부에 전후방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직진유도슬릿(422)이 형성된 가이드바(420);
    상기 가이드바의 직진유도슬릿(422)을 관통하도록 상기 직진유도구(410)상에 돌출형성된 유도걸림구(430); 및
    상기 가이드바의 힌지축(421)과 유도걸림구(430)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인장스프링(44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착탈조정가능하도록 상기 직진유도구(410)상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가압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직진유도구(410)를 회동불가능하도록 정위치 고정시키는 직진고정구(45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행보조차를 구동하는 전동모터(30)에 연동회전되는 바퀴(20);
    상기 바퀴(20)에 인접한 지점에서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고, 회동상태에 따라 상기 바퀴(20)의 바퀴표면에 착탈조정되며, 상기 바퀴(20)와의 접속부에는 상기 바퀴(20)의 바퀴표면을 가압하여 저속 또는 정지가능한 가압단(522)이 구비되는 바퀴접속구(520);
    상기 손잡이(111) 전방에서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전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힌지결합되며, 상기 손잡이(111)와 평행한 방향으로의 연장길이를 가지는 브레이크바(510); 및
    상기 브레이크바(510)의 회동조작에 의해 상기 바퀴접속구(520)를 연동하여 회동조정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브레이크바(510)에 결합되며, 타단부가 상기 바퀴접속구(520)에 결합되는 와이어(53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1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30)에 동력을 제공하는 배터리(40)를 커버링하는 배터리케이스(610);
    상기 배터리케이스(610)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배터리케이스(610)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전, 후방으로 각각 돌출형성된 걸림구(621)가 구비되는 케이스고정구(620);
    상기 배터리케이스(610)의 상면과 상기 케이스고정구의 걸림구(621) 사이의 이격공간부를 측방향으로 가로지르며 상기 보행보조차의 본체(10)에 양단부가 고정설치되는 전, 후측 한쌍의 배터리고정대(630); 및
    상기 케이스고정구(620)를 상기 배터리고정대(630)상에 정위치 고정시키도록 상기 케이스고정구(620)와 배터리고정대(630)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고정볼트(64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케이스(610)는,
    일단부가 개방형성된 박스형상의 제1케이스(611);
    일단부가 개방형성된 박스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케이스와 개방단부끼리 계합되어 상기 배터리(40)를 내부에 수용가능한 밀폐공간을 형성하는 제2케이스(612);
    상기 제1케이스(611)와 제2케이스(612)를 상호 힌지결합시키는 힌지고정구(613);
    상기 제1케이스(611)에서 상기 제2케이스(612)측으로 돌출형성된 연장구(614a)와, 상기 연장구(614a)와 제2케이스(612)를 관통하는 너트형 결합홀(614b)이 구비된 볼트결합구(614); 및
    상기 볼트결합구의 결합홀(614b)에 나사결합되는 조임볼트(615);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20.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120) 또는 방향조작레버(210)의 위치에 따라 정지, 저속, 중속, 고속, 전진, 후진상태임을 안내하는 음성멘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음성출력단자;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21. 제 5항 또는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구(120) 또는 방향조작레버(210)의 위치에 따라 점등상태와 점등색상이 다른 빛을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빛출력단자;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보행보조차.
KR1020080024322A 2008-03-17 2008-03-17 전동식 보행보조차 KR100862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322A KR100862058B1 (ko) 2008-03-17 2008-03-17 전동식 보행보조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4322A KR100862058B1 (ko) 2008-03-17 2008-03-17 전동식 보행보조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62058B1 true KR100862058B1 (ko) 2008-10-09

Family

ID=40152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4322A KR100862058B1 (ko) 2008-03-17 2008-03-17 전동식 보행보조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2058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389B1 (ko) 2009-06-10 2011-09-21 이동권 실버카의 제동장치
WO2011115318A1 (ko) * 2010-03-19 2011-09-22 대진기술정보 보행 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02845B1 (ko) 2009-10-12 2012-01-05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전동 간이 이동 장치
KR101122677B1 (ko) 2009-09-11 2012-03-09 대진기술정보 (주) 보행 보조장치
KR101124072B1 (ko) 2010-10-14 2012-03-20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휠체어 겸용의 전동식 보행 보조기
KR101198841B1 (ko) 2010-10-28 2012-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 보조장치
KR101197127B1 (ko) 2011-02-21 2012-11-21 황정흥 태양열 차광막을 가지는 보행보조기.
KR20130071175A (ko) * 2011-12-20 201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홀센서를 적용한 동작의도 파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보조장치
WO2014112815A1 (ko) * 2013-01-17 2014-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 보행 보조 장치
KR20140109721A (ko) * 2013-03-06 2014-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보조 시스템
KR101583158B1 (ko) * 2014-10-27 2016-01-06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전동 휠체어 겸용 보행 보조기의 구동장치
JP2017024459A (ja) * 2015-07-16 2017-02-02 株式会社ミツバ 電動アシスト車輪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手押し移動体
KR102078923B1 (ko) 2018-09-10 2020-02-18 강명균 능동형 보행 보조 장치
KR102179942B1 (ko) * 2019-05-15 2020-11-17 신병권 스마트 보행기
KR20210156651A (ko)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 씨티엔에스 전동휠체어 제어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920A (ja) 1997-11-26 1999-06-15 Hitachi Chem Co Ltd 自立歩行支援機
JP2000024061A (ja) 1998-07-10 2000-01-25 Technol Res Assoc Of Medical & Welfare Apparatus 歩行補助装置
JP2000084016A (ja) 1998-09-17 2000-03-28 Hitachi Ltd 歩行訓練装置
KR200428130Y1 (ko) 2006-07-06 2006-10-09 박형목 충돌 예방장치가 설치된 보행기
JP2007014533A (ja) 2005-07-07 2007-01-25 Nsk Ltd エリアセンシング装置付き白杖
KR100717397B1 (ko) 2006-07-19 2007-05-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로드셀을 이용한 노약자의 보행보조로봇에 장착되는보행의지파악 시스템
KR100807300B1 (ko) 2007-01-26 2008-03-0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55920A (ja) 1997-11-26 1999-06-15 Hitachi Chem Co Ltd 自立歩行支援機
JP2000024061A (ja) 1998-07-10 2000-01-25 Technol Res Assoc Of Medical & Welfare Apparatus 歩行補助装置
JP2000084016A (ja) 1998-09-17 2000-03-28 Hitachi Ltd 歩行訓練装置
JP2007014533A (ja) 2005-07-07 2007-01-25 Nsk Ltd エリアセンシング装置付き白杖
KR200428130Y1 (ko) 2006-07-06 2006-10-09 박형목 충돌 예방장치가 설치된 보행기
KR100717397B1 (ko) 2006-07-19 2007-05-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로드셀을 이용한 노약자의 보행보조로봇에 장착되는보행의지파악 시스템
KR100807300B1 (ko) 2007-01-26 2008-03-03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389B1 (ko) 2009-06-10 2011-09-21 이동권 실버카의 제동장치
KR101122677B1 (ko) 2009-09-11 2012-03-09 대진기술정보 (주) 보행 보조장치
KR101102845B1 (ko) 2009-10-12 2012-01-05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전동 간이 이동 장치
WO2011115318A1 (ko) * 2010-03-19 2011-09-22 대진기술정보 보행 보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124072B1 (ko) 2010-10-14 2012-03-20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휠체어 겸용의 전동식 보행 보조기
KR101198841B1 (ko) 2010-10-28 2012-1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보행 보조장치
KR101197127B1 (ko) 2011-02-21 2012-11-21 황정흥 태양열 차광막을 가지는 보행보조기.
KR101892004B1 (ko) 2011-12-20 2018-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홀센서를 적용한 동작의도 파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보조장치
KR20130071175A (ko) * 2011-12-20 201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홀센서를 적용한 동작의도 파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보조장치
WO2014112815A1 (ko) * 2013-01-17 2014-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 보행 보조 장치
US9433552B2 (en) 2013-01-17 2016-09-06 Lg Electronics Inc. Electric walking assistant device
KR20140109721A (ko) * 2013-03-06 2014-09-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보조 시스템
KR102043149B1 (ko) 2013-03-06 2019-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보조 시스템
KR101583158B1 (ko) * 2014-10-27 2016-01-06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전동 휠체어 겸용 보행 보조기의 구동장치
JP2017024459A (ja) * 2015-07-16 2017-02-02 株式会社ミツバ 電動アシスト車輪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手押し移動体
KR102078923B1 (ko) 2018-09-10 2020-02-18 강명균 능동형 보행 보조 장치
KR102179942B1 (ko) * 2019-05-15 2020-11-17 신병권 스마트 보행기
KR20210156651A (ko) 2020-06-18 2021-12-27 주식회사 씨티엔에스 전동휠체어 제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2058B1 (ko) 전동식 보행보조차
US7802659B2 (en) Brake control device for a wheeled walker
KR20170142009A (ko) 후륜 견인 타입 링크 부재를 이용한 전동 킥보드
KR200456241Y1 (ko)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장치
US20120104710A1 (en) Foldable walker apparatus
KR100768644B1 (ko)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
US20060119078A1 (en) Wheelchair with forced driven front caterpillar wheels
JP2010125221A (ja) 移動体
JP2009023544A (ja) 駆動力自動解除式一方向回転駆動装置
JP2010184696A (ja) 自在キャスターを利用した人力駆動の4輪車
US20150258890A1 (en) Hand Control Throttle System
KR100756551B1 (ko) 장애자용 운전 보조장치
JP7039366B2 (ja) 歩行支援装置
KR20220142332A (ko) 운전 보조 장치
JP4242196B2 (ja) ブレーキ付保護者用操向装置及びこの装置を備えた幼児用乗物
JP2010246828A (ja) 足踏み駆動式車椅子
JP6759939B2 (ja) 電動車両のアクセル装置
KR20190069807A (ko) 전동 킥보드
KR20200075705A (ko) 자전거의 보조핸들 구조체
KR200498003Y1 (ko) 휠체어의 보조 동력원을 제공하기 위한 전동보조장치
JP2004331261A (ja)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
JPH0558343B2 (ko)
JP2010057605A (ja) 歩行補助器の自動ブレーキ装置
JP2007014647A (ja) ブレーキ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歩行器
NO20210640A1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