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9721A - 이동 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9721A
KR20140109721A KR1020130024072A KR20130024072A KR20140109721A KR 20140109721 A KR20140109721 A KR 20140109721A KR 1020130024072 A KR1020130024072 A KR 1020130024072A KR 20130024072 A KR20130024072 A KR 20130024072A KR 20140109721 A KR20140109721 A KR 201401097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frame
user
chair
upp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3149B1 (ko
Inventor
윤상호
민병훈
김덕상
박홍수
홍을표
단병주
서희식
조병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4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149B1/ko
Priority to US14/761,576 priority patent/US9433552B2/en
Priority to PCT/KR2014/000492 priority patent/WO2014112815A1/ko
Publication of KR201401097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97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8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4Standing-up or sitting-down a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7/00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 B60K7/0007Disposition of motor in, or adjacent to, traction wheel the motor being electr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바퀴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팔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바퀴부와 함께 지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바퀴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제1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켜 지면에 대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장착되며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를 구동하도록 형성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보조 시스템{MOVE ASSIST SYSTEM}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걷기, 앉기, 서기 등과 같은 일상 활동들을 지원하고 근력을 보조하기 위한 이동 보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세계는 평균 수명 연장에 따른 노인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로 급속하게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고 있다. 일본을 비롯한 유럽의 여러 국가들은 이미 고령 사회로 접어들었으며, 한국과 미국도 빠른 속도로 고령화되어 가고 있다. 고령화 시대에 따라, 뇌졸중, 신체마비를 겪는 환자, 사고 및 질병에 의한 장애인과 근력이 부족하고, 관절염을 앓고 있거나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약자 또는 장애인의 일상 생활을 지원하고, 이들의 근력을 보조하기 위한 이동 보조 시스템이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동 보조 시스템은 사용자에게 보행 보조기(Walker)형태로 걷기만 지원하거나 휠체어(Wheel-Chair) 형태로 탑승 이동하는 것만을 지원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보행 보조기 또는 휠체어를 개별적으로 구매하여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보행 보조기 및 휠체어 겸용인 이동 보조 시스템을 구매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휠체어에 앉아서 이동하기 위해서는 타인이 사용자를 휠체어에 앉혀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탑승 후 이동할 때에도 기존의 이동 보조 시스템은 비정형 지역에서 이동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보행 보조기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직접 몸을 일으켜 움직여야 하며, 이동 보조 시스템이 사용자에게 앉기와 서기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팔과 어깨에 과도한 힘이 주어져 부담이 된다. 또한 기존의 이동 보조 시스템은 휠체어 형태로 이동 시 무게중심이 높아 전복 우려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걷기, 앉기와 서기를 지원해 주고, 사용자가 앉기나 서기를 할 시에 어깨와 팔에 과도한 힘이 주어지지 않게 하고, 사용자가 걷다가 힘들 경우 앉아서 이동할 수 있으며, 비정형 지역이나 경사로 등에서 안전하게 사용자가 이동할 수 있도록 보조해주는 이동 보조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걷기, 앉기와 서기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보조해주고, 사용자가 앉아서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이동 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 보조 시스템은, 제1바퀴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팔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바퀴부와 함께 지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바퀴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제1구동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켜 지면에 대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장착되며,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를 구동하도록 형성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은 지면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하부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되면, 지면에 대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기울기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 조절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는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 및/또는 제2바퀴부를 조향 가능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조작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력에 따른 변형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uage)를 구비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상에 노출되며, 조작에 의하여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 변형을 일으키도록 형성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또는 제2구동부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측정된 변형값을 근거로 제어된다.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바퀴부를 조향하도록 형성되는 조이스틱(joystick)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및 상기 조이스틱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시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바디에는 인체와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극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극에 전기가 통할 때에만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상기 조이스틱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보조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고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사용자의 등을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등받이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자, 및 상기 의자를 상기 등받이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동하는 의자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의자 구동부는, 인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랙(rack), 및 상기 의자와 결합되고 상기 랙과 맞물려 상기 인출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를 구비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자 구동부는, 상기 랙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이동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의자 구동부는, 상기 랙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모터, 및 상기 이동부재 또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받이에는 상기 등받이에 대한 압력 또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센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및/또는 제2구동부는 상기 센서에 의한 측정 결과를 근거로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이동 보조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발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발판은 지면에 대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되었을 때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또 다른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상부 프레임은 사용자의 좌우측 팔에 각각 대응되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바(bar)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이동 보조 시스템, 상기 복수의 바 중 어느 하나의 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다른 하나의 바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안전바,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바와 상기 안전바를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구성되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안전바에 구비되는 걸이부와, 상기 다른 하나의 바에 장착되고 상기 걸이부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구성되는 후크부와, 상기 걸이부에 대한 상기 후크부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상기 다른 하나의 바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잠금해제부,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바에 장착되며 상기 걸이부에 대한 상기 후크부의 걸림 해제시 상기 안전바를 밀어내도록 형성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행 재활, 탑승 이동 및 앉기/서기 재활이 하나의 이동 보조 시스템에서 구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재활 기기 여러 개를 사용 시에 필요로 하던 장소와 비용의 문제가 보완될 수 있으며, 다양한 편의 장치 및 안전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재활 치료나 이동 보조 시 필요로 하는 인력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작부와 연동되는 제1 및 제2구동부, 그리고 제1 및 제2바퀴부를 통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이동 보조 시스템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작부에는 스트레인 게이지와 조이스틱이 통합 적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 보조 시스템은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부 프레임 및 하부 프레임의 회전 각도 조절을 통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재활 기기에서 사이즈 별로 기구물을 제작하는 데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동 보조 시스템의 상태 변경과 연동되어 구동되는 의자와 발판을 구비하며, 안전바, 전극 등의 안전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해나 부상을 당하지 않고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 보조 시스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보조 시스템의 구현 형태 및 이동 궤적을 보인 개념도.
도 3a 및 3b는 도 1의 이동 보조 시스템을 통한 사용자의 보행 재활 및 탑승 이동시의 모습을 각각 보인 개념도.
도 4는 도 1의 조작부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의자의 인출 구조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6은 도 1의 발판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바의 구현 형태 및 이동 궤적을 보인 개념도.
도 8은 도 7의 잠금 장치의 상세 구성을 보인 개념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보조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 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구현 형태 및 이동 궤적을 보인 개념도이며, 도 3a 및 3b는 도 1의 이동 보조 시스템(100)을 통한 사용자의 보행 재활 및 탑승 이동시의 모습을 각각 보인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이동 보조 시스템(100)은 보행 보조기 및 탑승 이동 장치로서의 기능에 더하여, 앉기/서기 재활 운동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보조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동 보조 시스템(100)은 베이스 프레임(110), 상부 프레임(120), 하부 프레임(130), 제1구동부(140), 제2구동부(150) 및 조작부(160)를 포함한다. 이들 구성 중 베이스 프레임(110), 상부 프레임(120) 및 하부 프레임(130)은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기본 골격을 형성한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내부에 사용자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은 사용자의 좌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바(bar)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바는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은 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제1바퀴부(111)를 구비한다. 제1바퀴부(111)는 모터와 일체화된 형태의 바퀴(In-Wheel Motor)로 구성되거나 일정 각도 내에서 전방향 구동 가능한 형태의 바퀴(Omni-Wheel)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바퀴부(111)는 후술할 제2바퀴부(131)와 함께 이동 보조 시스템(100)을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진다.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30)이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도면에서는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30)이 베이스 프레임(110)의 상단 부분 및 중앙 부분에 각각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상부 프레임(120)과 하부 프레임(130) 각각은 베이스 프레임(110)과 같이 한 쌍의 바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0)은 사용자의 팔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팔걸이(163)가 상부 프레임(120)에 상부 프레임(12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사용자는 조작부(160)를 손으로 감싸 쥐었을 때 팔꿈치가 닿는 부분으로 팔걸이(163)를 이동시킴으로써, 팔이 편안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부 프레임(120)에는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조작부(160)가 구비된다. 조작부(160)는 상기 기능에 더하여, 제1 및/또는 제2바퀴부(111, 131)를 조향 가능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프레임(130)은 제1바퀴부(111)와 함께 지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바퀴부(131)를 구비한다. 제2바퀴부(131)는 앞서 설명한 제1바퀴부(111)와 같이 In-Wheel Motor 또는 Omni-Wheel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바퀴부(111, 131)는 서로 다른 형태를 갖는 바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30)은 지면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우측면을 기준으로 보았을 때, 베이스 프레임(110)은 지면에 대하여 양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배치되고 하부 프레임(130)은 지면에 대하여 음의 기울기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상부 프레임(120)과 함께 전체로서 'ㅈ'자 형태로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제1구동부(140)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상부 프레임(120)에 각각 연결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상부 프레임(12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구동부(150)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30)에 각각 연결되고,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하부 프레임(130)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켜 지면에 대한 상부 프레임(120)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는 서로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로 구성될 수 있다. 리니어 액추에이터는 동력에 의해 자체 길이를 조절하여 각 프레임 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에서는, 제1구동부(140)를 이루는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상부 프레임(120)과 베이스 프레임(110) 사이에 배치되고, 제2구동부(150)를 이루는 리니어 액추에이터가 베이스 프레임(110)과 하부 프레임(130) 사이에 배치되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2에서는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보조 시스템 (100)이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도 3a 및 3b에서 볼 수 있듯이, 이동 보조 시스템(100)은 크게 사용자의 보행 재활을 보조하는 제1상태(도 3a)와 사용자의 탑승 이동을 지원하는 제2상태(도 3b)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연속적인 동작으로 자연스럽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서기/앉기 재활 훈련을 보조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주요 부분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조작부(160)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작부(160)는 제1바디(161)와 제2바디(162)를 포함한다. 제1바디(161)는 상부 프레임(120)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력에 따른 변형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uage, 161a)를 구비한다. 제2바디(162)는 제1바디(161)에 결합되어 상부 프레임(120) 상에 노출되며, 조작에 의하여 스트레인 게이지(161a)에 변형을 일으키도록 형성된다.
제1 및/또는 제2구동부(140, 150)는 스트레인 게이지(161a)에서 측정된 변형값을 근거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2바디(162)를 전방으로 미는 경우, 이동 보조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보행 재활을 보조하도록 제1상태(도 3a)로 변형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가 제2바디(162)를 후방으로 당기는 경우, 이동 보조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탑승 이동을 지원하도록 제2상태(도 3b)로 변형될 수 있다.
제2바디(162)에는 제1 및/또는 제2바퀴부(111, 131)를 조향하도록 형성되는 조이스틱(joystick, 162a)이 설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원활한 조작을 위하여, 조이스틱(162a)은 제2바디(162)의 경사면(192b')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조이스틱(162a)은 누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어, 누름 조작시 이동 보조 시스템(100)을 어느 한 상태에서 다른 한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트레인 게이지(161a) 및 조이스틱(162a) 중 어느 하나의 활성화시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상태(도 3a)에서는 스트레인 게이지(161a)가 활성화되고 조이스틱(162a)은 비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반대로 제2상태(도 3b)에서는 조이스틱(162a)이 활성화되고 스트레인 게이지(161a)는 비활성화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바디(162)에는 인체와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극(162b)이 설치될 수 있다. 전극(162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조작부(160)를 감싸 쥐었을 때 손가락이 놓이는 부분에 배치되거나, 손바닥이 놓이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전극(162b)은 인체의 저항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며, 측정된 결과는 체성분 분석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전극(162b)에 전기가 통할 때에만 스트레인 게이지(161a) 및/또는 조이스틱(162a)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되어, 사용자의 직접적인 조작이 아닌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2바디(162)에는 발광부(162c)가 구비되어,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현재 상태를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와 연동되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발광부(162c)는 조작부(160)의 구동이 비활성화된 상태에서는 빨간색을 표시하고, 조작부(160)가 활성화되면 파란색을 표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의자(172)의 인출 구조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다.
앞선 도면들을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부(170)가 구비된다. 지지부(170)는 등받이(171), 의자(172) 및 의자 구동부(173)를 포함한다. 등받이(171)는 베이스 프레임(110)을 이루는 한 쌍의 바를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의자(172)는 의자 구동부(173)의 구동에 의하여 등받이(171)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된다.
등받이(171)에는 등받이(171)에 대한 압력 내지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센서(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으며, 제1 및/또는 제2구동부(140, 150)는 센서에 의한 측정 결과를 근거로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상태(도 3a)에서 사용자가 등받이(171)를 가압하게 되면 센서가 이를 감지하여 이동 보조 시스템(100)을 제2상태(도 3b)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의자(172)는 등받이(171)로부터 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의자 구동부(173)는 랙(rack, 173a) 및 이동부재(173b)를 포함한다. 랙(173a)은 의자(172)의 적어도 일측에 의자(172)의 인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동부재(173b)는 의자(172)와 결합되고, 랙(173a)과 맞물려 상기 인출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피니언 기어(미도시)를 구비한다.
의자(172)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의자 구동부(173)는 랙(173a)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173c) 및 이동부재(173b)와 결합되고 가이드 레일(173c)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173d)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랙(173a)이 의자(172)의 일측에만 배치되는 경우, 의자(172)의 타측에는 가이드 부재(173d')가 직접 의자(172)와 결합되어 가이드 레일(173c') 상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의자(172)가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의자 구동부(173)는 랙(173a)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모터(173e), 그리고 이동부재(173b) 또는 가이드 부재(173d)의 위치를 감지하여 모터(173e)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리미트 스위치(173f)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모터(173e)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전달장치(173g)를 통하여 연결된 랙(173a)이 회전하도록 구성된 것을 보이고 있다.
도 6은 도 1의 발판(180) 부분을 확대하여 보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110)에는 발판(18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발판(180)은 이동 보조 시스템(100)이 제2상태(도 3b)에 놓였을 때 사용자가 발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발판(180)은 제1상태(도 3a)에서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발판 수용부(110a)에 수용되어 베이스 프레임(110)의 내측면을 형성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구동부(150)와 연동되어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면에 대한 상부 프레임(120)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하부 프레임(130)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하여 회전되면, 모터(181)의 구동에 의하여 베이스 프레임(110)에 수용되어 있던 발판(180)은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안전바(190)의 구현 형태 및 이동 궤적을 보인 개념도이고, 도 8은 도 7의 잠금 장치(192)의 상세 구성을 보인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부 프레임(120)에는 안전바(190)가 설치되어 사용자의 안전을 도모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보행 중 전방으로 지나치게 이동했을 때 안전바(190)에 의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보행이 가능하게 된다. 안전바(190)에는 디스플레이부(191a)를 구비하는 단말기(1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91)는 디스플레이부(191a)를 통하여 사용자의 상태와 관련된 정보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외부의 제어 시스템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안전바(190)는 상부 프레임(120)을 이루는 한 쌍의 바(121, 122) 중 어느 하나의 바(1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 하나의 바(12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개폐 구조를 통하여, 사용자는 안전바(190)를 여닫고 이동 보조 시스템(100)에 출입할 수 있다.
안전바(190)는 잠금 장치(192)에 의하여 상기 다른 하나의 바(122)에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서는 걸이부(192a), 후크부(192b), 잠금해제부(192c) 및 탄성가압부(192d)를 포함하는 잠금 장치(192)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안전바(190)에는 걸이부(192a)가 구비된다. 걸이부(192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바(190)에 고리 형태로 장착될 수도 있고, 안전바(190)에 형성되는 홈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후크부(192b)는 상기 다른 하나의 바(122)에 장착되고, 걸이부(192a)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구성된다. 후크부(192b)에는 안전바(190)가 상기 다른 하나의 바(122)를 향하여 이동될 때 걸이부(192a)가 후크부(192b)를 밀어내고 걸림될 수 있도록, 걸이부(192a)와 접촉하는 경사면(192b')이 형성될 수 있다.
잠금해제부(192c)는 걸이부(192a)에 대한 후크부(192b)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상기 다른 하나의 바(122)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된다. 안전바(190)가 상기 다른 하나의 바(122)에 결합된 상태에서 잠금해제부(192c)를 누르게 되면, 후크부(192b)가 밀려나 걸이부(192a)에 대한 후크부(192b)의 걸림이 해제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른 하나의 바(122)에는 탄성가압부(192d)가 구비되어, 걸이부(192a)에 대한 후크부(192b)의 걸림시에는 안전바(190)를 가압하고 있다가, 걸림 해제시 안전바(190)를 밀어내어 안전바(190)가 일정 각도까지 열리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보행 재활, 탑승 이동 및 앉기/서기 재활이 하나의 이동 보조 시스템(100)에서 구현 가능하게 구성됨으로써 재활 기기 여러 개를 사용 시에 필요로 하던 장소와 비용의 문제가 보완될 수 있으며, 다양한 편의 장치 및 안전 장치를 구비함으로써 기존의 재활 치료나 이동 보조 시 필요로 하는 인력이 절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조작부(160)와 연동되는 제1 및 제2구동부(140, 150), 그리고 제1 및 제2바퀴부(111, 131)를 통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모드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조작부(160)에는 스트레인 게이지(161a)와 조이스틱(162a)이 통합 적용되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동 보조 시스템(100)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상부 프레임(120) 및 하부 프레임(130)의 회전 각도 조절을 통하여 사용자의 다양한 신체 사이즈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기존의 재활 기기에서 사이즈 별로 기구물을 새로 제작하여야 되는 시간과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동 보조 시스템(100)의 상태 변경과 연동되어 구동되는 의자(172)와 발판(180)을 구비하며, 안전바(190), 전극(162b) 등의 안전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가 상해나 부상을 당하지 않고 오작동이 방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이동 보조 시스템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들의 방법과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기술사상이 보호되는 범위 이내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Claims (20)

  1. 제1바퀴부를 구비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팔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상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바퀴부와 함께 지면에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바퀴부를 구비하는 하부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상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제1구동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켜 지면에 대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형성되는 제2구동부; 및
    상기 상부 프레임에 장착되며,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구동부를 구동하도록 형성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은 지면에 대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되면, 지면에 대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기울기가 조절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고 길이 조절을 통하여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하부 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변화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리니어 액추에이터(Linear Actuato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조작에 의하여 상기 제1 및/또는 제2바퀴부를 조향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상부 프레임의 내부에 장착되고, 외력에 따른 변형을 측정하도록 형성되는 스트레인 게이지(strain guage)를 구비하는 제1바디; 및
    상기 제1바디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 프레임 상에 노출되며, 조작에 의하여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 변형을 일으키도록 형성되는 제2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또는 제2구동부는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에서 측정된 변형값을 근거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에는 상기 제1 및/또는 제2바퀴부를 조향하도록 형성되는 조이스틱(joystick)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및 상기 조이스틱 중 어느 하나가 활성화시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에는 인체와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는 전극이 설치되며,
    상기 전극에 전기가 통할 때에만 상기 스트레인 게이지 또는 상기 조이스틱이 활성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고, 사용자 신체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사용자의 등을 기댈 수 있도록 구성되는 등받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의자; 및
    상기 의자를 상기 등받이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동하는 의자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구동부는,
    인출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랙(rack); 및
    상기 의자와 결합되고, 상기 랙과 맞물려 상기 인출 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를 구비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구동부는,
    상기 랙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
    상기 이동부재와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의자 구동부는,
    상기 랙을 회전시키도록 형성되는 모터; 및
    상기 이동부재 또는 상기 가이드 부재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형성되는 리미트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에는 상기 등받이에 대한 압력 또는 터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센서가 장착되며,
    상기 제1 및/또는 제2구동부는 상기 센서에 의한 측정 결과를 근거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의 발을 얹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발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지면에 대한 상기 상부 프레임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하여 회전되었을 때 외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프레임은 사용자의 좌우측 팔에 각각 대응되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의 바(ba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바 중 어느 하나의 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선택적으로 다른 하나의 바에 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안전바;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바와 상기 안전바를 결합 및 결합해제 가능하게 구성되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장치는,
    상기 안전바에 구비되는 걸이부;
    상기 다른 하나의 바에 장착되고, 상기 걸이부에 걸림 및 걸림해제 가능하게 구성되는 후크부;
    상기 걸이부에 대한 상기 후크부의 걸림을 해제하도록 상기 다른 하나의 바에 누름 조작 가능하게 형성되는 잠금해제부; 및
    상기 다른 하나의 바에 장착되며, 상기 걸이부에 대한 상기 후크부의 걸림 해제시 상기 안전바를 밀어내도록 형성되는 탄성가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KR1020130024072A 2013-01-17 2013-03-06 이동 보조 시스템 KR102043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72A KR102043149B1 (ko) 2013-03-06 2013-03-06 이동 보조 시스템
US14/761,576 US9433552B2 (en) 2013-01-17 2014-01-16 Electric walking assistant device
PCT/KR2014/000492 WO2014112815A1 (ko) 2013-01-17 2014-01-16 전동 보행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072A KR102043149B1 (ko) 2013-03-06 2013-03-06 이동 보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9721A true KR20140109721A (ko) 2014-09-16
KR102043149B1 KR102043149B1 (ko) 2019-11-11

Family

ID=51756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072A KR102043149B1 (ko) 2013-01-17 2013-03-06 이동 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1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2778B2 (en) 2015-03-04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 device, and X-ray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10267825A1 (en) * 2018-06-27 2021-09-02 Guangzhou Shiyuan Electronics Co., Ltd. Wheelchair structur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58B1 (ko) * 2008-03-17 2008-10-09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전동식 보행보조차
KR20090121509A (ko) * 2008-05-22 2009-11-2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보행 보조기 및 그 구동 방법
JP2011067323A (ja) * 2009-09-25 2011-04-07 Koa Corp 歩行補助車
KR20130001663A (ko) * 2011-06-27 201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행 보조 장치 및 그 작동 제어 방법
KR20130006902A (ko) * 2011-06-27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58B1 (ko) * 2008-03-17 2008-10-09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전동식 보행보조차
KR20090121509A (ko) * 2008-05-22 2009-11-26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보행 보조기 및 그 구동 방법
JP2011067323A (ja) * 2009-09-25 2011-04-07 Koa Corp 歩行補助車
KR20130001663A (ko) * 2011-06-27 2013-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보행 보조 장치 및 그 작동 제어 방법
KR20130006902A (ko) * 2011-06-27 2013-0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보조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82778B2 (en) 2015-03-04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tch device, and X-ray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20210267825A1 (en) * 2018-06-27 2021-09-02 Guangzhou Shiyuan Electronics Co., Ltd. Wheelchair structure
US11883339B2 (en) * 2018-06-27 2024-01-30 Guangzhou Shiyuan Electronics Co., Ltd. Wheelchair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149B1 (ko) 2019-1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3570B2 (ja) 移乗・移動装置
TWI589287B (zh) Moving car
JP2018511452A (ja) 患者の搬送および訓練補助器具
JP2011504112A (ja) バランス及び身体の向きの支援装置
US6832770B1 (en) Child ambulation aid with enhanced maneuverability
KR20200001098A (ko) 재활운동을 위한 보행용 스마트 전동휠체어
KR101219305B1 (ko) 보행보조용 플랫폼
JP6302769B2 (ja) 離着座補助装置
CN110812023A (zh) 一种具有辅助行走训练的电动轮椅
KR101965786B1 (ko)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는 기립보행기 및 이를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
KR20140109721A (ko) 이동 보조 시스템
CA2302061A1 (en) Mobility assisting device and method
CN210903721U (zh) 轮椅
KR101592321B1 (ko) 지능형 보행 보조차의 제어방법
US9610212B2 (en) Walking assistance apparatus
KR102045459B1 (ko) 센서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JP2015037437A (ja) 移乗・移動装置
KR20180123995A (ko) 기립과 착석을 보조하는 기립보행기
Bloswick et al. Maneuverability and usability analysis of three knee-extension propelled wheelchairs
CN201342020Y (zh) 多功能轮椅
CN214073913U (zh) 一种新型神经内科护理用电动轮椅车
CN210644371U (zh) 一种康复轮椅
JP5525648B1 (ja) 認知症専用じりつ歩行補助具
JP2013078445A (ja) 手動式移動車
CA2206822A1 (en) Improved walking fr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